KR20200106353A - 연속 주조 공정 중 래들 및 턴디쉬의 자유 표면의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연속 주조 공정 중 래들 및 턴디쉬의 자유 표면의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6353A
KR20200106353A KR1020190024783A KR20190024783A KR20200106353A KR 20200106353 A KR20200106353 A KR 20200106353A KR 1020190024783 A KR1020190024783 A KR 1020190024783A KR 20190024783 A KR20190024783 A KR 20190024783A KR 20200106353 A KR20200106353 A KR 20200106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ort
plate
ladle
tundish
radi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4274B1 (ko
Inventor
박일석
손종현
이종희
김영진
고재형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4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274B1/ko
Priority to US17/434,851 priority patent/US20220161320A1/en
Priority to PCT/KR2020/002941 priority patent/WO2020180063A1/ko
Priority to CN202080015913.4A priority patent/CN114096361A/zh
Publication of KR20200106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03Distributing the molten metal, e.g. using runners, floats, distribu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8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for bottom po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 공정 중 배출 포트를 각각 갖는 래들 및 턴디쉬의 자유 표면의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는 상기 래들 및 상기 턴디쉬의 배출 포트에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는 디스크 형상의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래들 및 상기 턴디쉬의 각각의 배출 포트 주변의 표면에 대해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래들의 배출 포트의 반지름 대비 상기 플레이트의 폭의 비율 및 상기 턴디쉬의 배출 포트의 반지름 대비 상기 플레이트의 폭의 비율은 각각 적어도 1 이상이다.

Description

연속 주조 공정 중 래들 및 턴디쉬의 자유 표면의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ENTRAINMENT OF FLOATING MATTERS ON FREE SURFACES OF LADLE AND TUNDISH DURING CONTINUOUS CASTING PROCESS}
이하, 실시예들은 연속 주조 공정 중 래들 및 턴디쉬의 자유 표면의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에서의 액체가 폭이 좁은 포트(port)를 통해 배출되거나 흡입될 때, 자유 표면(free surface) 상에서 딤플(dimple)이 종종 발견된다. 와류(swirling flow)가 컨테이너에서의 코리올리 효과(Coriolis effect) 또는 외란(external disturbance)에 의해 발생할 때, 딤플은 수직 방향으로 빠르게 발달하고 배출 포트 또는 펌프 입구에 도달한다. 이러한 딤플 침투는 공심 현상(air-core phenomenon)으로 불린다. 액체 배출 공정 중 공심 현상은 많은 산업 디바이스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예를 들어, 액체 추진제 탱크에서의 와류에 의해 생성된 공심 현상은 연료 공급률의 변동을 야기한다. 액체상(liquid phase)의 유체에 의해 차지하는 유효 배출 면적(effective drainage area)은 공심으로 인해 좁아지기 때문에, 연료 공급률이 공심 현상에 의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섬프 펌프 스테이션(sump pump station)에서, 공심은 펌프 작동에 의해 개시된 와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펌프에 동반된 공기는 펌프 블레이드 상의 캐비테이션(cavitation), 펌프 효율의 감소, 진동 및 소음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연속 주조 공정(continuous casting process)에서 턴디쉬 배출 공정(tundish discharging process)에 따르면, 용융 금속 위에 떠다니는 슬래그가 공심 현상으로 인해 슬랩(slab)으로 동반될 수 있고, 이는 철강 제품의 상당한 품질 결함을 야기한다. 따라서, 이러한 공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8023호 (2011.03.17. 공개)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연속 주조 공정 중 래들 및 턴디쉬의 자유 표면의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 공정 중 배출 포트를 각각 갖는 래들 및 턴디쉬의 자유 표면의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는 상기 래들 및 상기 턴디쉬의 배출 포트에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는 디스크 형상의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래들 및 상기 턴디쉬 각각의 배출 포트 주변의 표면에 대해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래들의 배출 포트의 반지름 대비 상기 플레이트의 폭의 비율 또는 상기 턴디쉬의 배출 포트의 반지름 대비 상기 플레이트의 폭의 비율은 각각 적어도 1 이상이다.
상기 래들의 배출 포트의 반지름 대비 상기 플레이트의 폭의 비율 또는 상기 턴디쉬의 배출 포트의 반지름 대비 상기 플레이트의 폭의 비율은 각각 적어도 2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래들의 배출 포트의 반지름 대비 상기 플레이트의 폭의 비율 또는 상기 턴디쉬의 배출 포트의 반지름 대비 상기 플레이트의 폭의 비율은 각각 8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래들의 배출 포트의 반지름 대비 상기 플레이트의 폭의 비율 또는 상기 턴디쉬의 배출 포트의 반지름 대비 상기 플레이트의 폭의 비율은 각각 4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래들의 배출 포트의 반지름 대비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배출 포트의 주변의 표면 사이의 거리의 비율 또는 상기 턴디쉬의 배출 포트의 반지름 대비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배출 포트의 주변의 표면 사이의 거리의 비율은 적어도 2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래들의 배출 포트의 반지름 대비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배출 포트의 주변의 표면 사이의 거리의 비율 또는 상기 턴디쉬의 배출 포트의 반지름 대비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배출 포트의 주변의 표면 사이의 거리의 비율은 4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돌출하는 복수 개의 돌출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돌출 요소들은 상기 플레이트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연속 주조 공정 중 래들 및 턴디쉬의 자유 표면의 부유물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 공정 중 래들 및 턴디쉬의 자유 표면의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연속 주조 공정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가 설치된 모습의 개념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의 기술적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사용된 실험 장비의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실험 장비를 이용하여 도출한, 탱크의 바닥 표면으로부터의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의 높이 변화에 따른 배출 시간과 물 높이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4의 실험 장비를 이용하여 도출한, 탱크의 바닥 표면으로부터의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의 폭 변화에 따른 배출 시간과 물 높이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4의 실험 장비를 이용하여 도출한 배수 중 물-공기 인터페이스의 경과 시간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가 없는 경우(a), 15mm의 폭과 10mm의 높이를 가지는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가 있는 경우(b) 및 30mm의 폭과 20mm의 높이를 가지는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가 있는 경우(c)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연속 주조 공정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 공정 시스템(10)은 래들(ladle)(110), 턴디쉬(tundish)(120), 주조 몰드(130) 및 래들(110)과 턴디쉬(120)에서 발생하는 와류를 억제하여 래들(110)의 자유 표면 상의 부유물 및 턴디쉬(120)의 자유 표면 상의 부유물의 주조 몰드(130)로의 혼입을 방지하는 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래들(110)과 턴디쉬(120) 사이에 제1쉬라우드(first shroud)(114)가 설치되고, 턴디쉬(120)와 주조 몰드(130) 사이에 제2쉬라우드(second shroud)(116)가 설치될 수 있다. 제1쉬라우드(114) 상에는 래들(110)로부터 턴디쉬(120)로 이어지는 유로 상의 유체의 유동을 개폐하는 제1밸브(116)가 설치될 수 있다. 제2쉬라우드(124) 상에는 턴디쉬(120)로부터 주조 몰드(130)로 이어지는 유로 상의 유체의 유동을 개폐하는 제2밸브(126)가 설치될 수 있다.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140)들은 래들(110)의 배출 포트(112) 및 턴디쉬(120)의 배출 포트(122)에 각각 인접하게 래들(110)의 바닥 표면 상에, 그리고 턴디쉬(120)의 바닥 표면 상에 설치될 수 있다. 테일러 보텍스(Taylor vortex)는 래들(110) 및 턴디쉬(120)의 각각의 중심으로 유체를 배출함으로써 개시되는 축 방향 모멘텀을 집중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래들(110) 및 턴디쉬(120)의 강한 축 방향 모멘텀은 테일러 보텍스의 성장을 돕는다. 따라서,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140)들이 각각 배출 포트들(112, 122)에 인접하게(또는 직접적으로) 위치하는 것은 테일러 보텍스와 축 방향 모멘텀 사이의 교호 작용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돕는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가 설치된 모습의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140)는 플레이트(142) 및 지지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42)는 공심 발생을 효과적으로 지연(retard)시키기에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142)는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여러 다각형과 같은 디스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144)는 플레이트(142)를 래들(110)의 바닥 표면(S1), 특히 래들(110)의 배출 포트(112) 주변의 표면(S1)에 대해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지지부(144)는 플레이트(142)를 턴디쉬의 바닥 표면, 특히 턴디쉬의 배출 포트 주변의 표면에 대해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지지부(144)는 복수 개의 돌출 요소(1441)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돌출 요소(1441)들은 플레이트(142)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돌출 요소(1441)들은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 개의 돌출 요소(1441)들은 플레이트(14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배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복수 개의 돌출 요소(1441)들은 플레이트(142)의 하부면 상에서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체의 하강 패턴은 플레이트(142) 폭(2R)에 의존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체의 하강 패턴은 플레이트(142) 폭(2R)과 배출 포트(112)의 폭(2r)의 비율에 의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체의 하강 패턴은 플레이트(142)와 표면(S1) 사이의 거리(h)에 의존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표면(S1)으로부터 플레이트(142)의 높이는 유체의 하강 패턴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의 기술적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사용된 실험 장비의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의 기술적 효과를 입증하기 위하여 액체 배출 실험에 사용된 실험 장비가 도시된다. 탱크(T)의 내부에 설정 비율의 공기와 물을 담았다. 이 때, 탱크(T)의 바닥에는 배출 포트가 형성되어 있다. 수치 해석(numerical analysis)을 위해, 배출 포트의 폭을 10mm, 다시 말하면, 배출 포트의 반지름을 5mm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탱크(T)의 폭을 90mm로 설정하고, 탱크(T)에 담긴 물의 높이는 바닥으로부터 250mm로, 공기층의 높이는 물의 자유 표면으로부터 100mm로 설정하였다. 여기서, 자유 표면은 탱크(T)의 상부 커버를 제거함으로써 구현되었다. 또한, 탱크(T)에 있는 물의 배출에 따라 와류 현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모터(M)를 탱크(T)에 연결된 샤프트(S)에 벨트(B)로 연결하고 모터(M)를 구동하여 탱크(T)를 회전시켰다. 순간적인 유체 배출 패턴을 캡쳐하기 위해, CCD 카메라(C)가 1초당 20프레임 스피드로 탱크(T)에 담긴 물의 화상 이미지를 획득하였다. CCD 카메라(C)로부터 받은 화상 이미지에 기초하여 컴퓨터(P)를 통해 시간 경과에 따른 액체의 레벨(level)이 측정되었다. 마지막으로,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가 프로토 타입으로서 탱크의 배출 포트에 인접하게 배치되었다.
도 5는 도 4의 실험 장비를 이용하여 도출한, 탱크의 바닥 표면으로부터의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의 높이 변화에 따른 배출 시간과 물 높이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의 유무에 따른 비교 및 일정한 폭을 가지는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의 높이에 따른 비교를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된다. 범주에서, "Rot"는 탱크의 회전을 의미하고, "Supp"는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No Rot"는 탱크의 회전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고, "No Supp"는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탱크의 회전 및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가 없는 제1케이스에서, 탱크의 물이 완전히 배출되기까지 걸린 시간, 즉 완전 배출 시간이 약 21초 정도 소요되었다.
한편,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가 없고 탱크의 회전이 있는 제2케이스에서, 배출이 시작된 이후 약 3초 부근에서 수위(water level)의 하강 속도가 갑작스럽게 변화하였다. 이는 공심 발생에 의해 배출 포트로 공기가 동반된 것에 기인한다. 배출 유동 속도는 상기 시간(약 3초) 이후로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수위의 하강 속도가 감속하였다. 제1케이스에 대비할 때, 제2케이스가 완전 배출 시간이 거의 2배 정도 소요되었다.
한편,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가 있는 경우, 배출 유동 속도의 급작스러운 변화가 발생하지 않았고, 완전 배출 시간이 제2케이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당히 감소하였다. 아울러, 순간 배출 유동 속도가 전체적인 배출 시간에 걸쳐 더욱 균일해졌다. 이는 수위에 따른 유체 하강 패턴이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의 높이에 상당히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도 6은 도 4의 실험 장비를 이용하여 도출한, 탱크의 바닥 표면으로부터의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의 폭 변화에 따른 배출 시간과 물 높이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정한 높이로 탱크 바닥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의 폭에 따른 비교를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된다. 여기서, "폭"이란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의 수평 방향으로 최대 길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가 원형의 디스크 형상을 가지면, "폭"은 "직경"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폭이 5mm인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 즉 배출 포트의 5mm의 반지름 대비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의 폭이 상대적으로 작은 케이스에서, 처음 약 4초 동안 상당히 빠르게 수위가 하강하였다. 한편,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의 폭이 탱크의 배출 포트의 반지름에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증가할수록, 초기 배출 중의 수위의 갑작스러운 변화가 사라지고, 수위의 초기 하강 속도가 상당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약 17초에서,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의 폭이 상대적으로 큰 케이스들(W = 20mm, 30mm, 40mm)의 하강 수위가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의 폭이 상대적으로 작은 케이스들(W = 5mm, 10mm)의 하강 수위를 앞질렀다. 결국,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의 크기에도 불구하고, 완전 배출 시간이 감소하였다. 이는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의 폭이 20mm 이상이면,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의 폭이 수위의 하강 패턴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7은 도 4의 실험 장비를 이용하여 도출한 배수 중 물-공기 인터페이스의 경과 시간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가 없는 경우(a), 15mm의 폭과 10mm의 높이를 가지는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가 있는 경우(b) 및 30mm의 폭과 20mm의 높이를 가지는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가 있는 경우(c)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a)의 케이스에서, 탱크 회전에 의해 생성된 딤플이 약 3초에서 배출 포트로 급격하게 흡입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배출 시간 동안 공심은 남아있었다. 기상(air phase)이 배출 포트의 횡단면(cross section)을 부분적으로 차지하기 때문에, 물의 배출 유동 속도가 공심 생성 후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한편, (b)의 케이스 및 (c)의 케이스에서, 딤플의 어떤 갑작스러운 흡입도 발생하지 않았다. 출렁거림(sloshing), 즉 자유 표면의 반복적인 상하 운동이 배출이 지속되는 동안 탱크의 중심부에서 나타났다. 다만, (c)의 케이스에 비해 (b)의 케이스가 초기 배출 기간 동안 약간 더 빠른 수위 하강을 보여주었다. 약 4초 이후에, (b)의 케이스의 수위 하강 속도가 상당히 느려졌다. 그러나, 완전 배출 시간은 (b)의 케이스가 (c)의 케이스보다 더 길었다.
상기와 같이,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의 폭이 적절한 범위에 있을 때 공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지연시킬 수 있고, 유체의 배출 속도 및 완전 배출 시간 관점에서 유리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8)

  1. 연속 주조 공정 중 배출 포트를 각각 갖는 래들 및 턴디쉬의 자유 표면의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는 상기 래들 및 상기 턴디쉬의 배출 포트에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는
    디스크 형상의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래들 및 상기 턴디쉬의 각각의 배출 포트 주변의 표면에 대해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래들의 배출 포트의 반지름 대비 상기 플레이트의 폭의 비율 또는 상기 턴디쉬의 배출 포트의 반지름 대비 상기 플레이트의 폭의 비율은 각각 적어도 1 이상인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들의 배출 포트의 반지름 대비 상기 플레이트의 폭의 비율 또는 상기 턴디쉬의 배출 포트의 반지름 대비 상기 플레이트의 폭의 비율은 각각 적어도 2 이상인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들의 배출 포트의 반지름 대비 상기 플레이트의 폭의 비율 또는 상기 턴디쉬의 배출 포트의 반지름 대비 상기 플레이트의 폭의 비율은 각각 8 이하인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래들의 배출 포트의 반지름 대비 상기 플레이트의 폭의 비율 또는 상기 턴디쉬의 배출 포트의 반지름 대비 상기 플레이트의 폭의 비율은 각각 4 이하인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들의 배출 포트의 반지름 대비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배출 포트의 주변의 표면 사이의 거리의 비율 또는 상기 턴디쉬의 배출 포트의 반지름 대비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배출 포트의 주변의 표면 사이의 거리의 비율은 적어도 2 이상인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래들의 배출 포트의 반지름 대비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배출 포트의 주변의 표면 사이의 거리의 비율 또는 상기 턴디쉬의 배출 포트의 반지름 대비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배출 포트의 주변의 표면 사이의 거리의 비율은 4 이하인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돌출하는 복수 개의 돌출 요소들을 포함하는 부유물 혼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돌출 요소들은 상기 플레이트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배열되는 부유물 혼입 장치.
KR1020190024783A 2019-03-04 2019-03-04 연속 주조 공정 중 래들 및 턴디쉬의 자유 표면의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 KR102184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783A KR102184274B1 (ko) 2019-03-04 2019-03-04 연속 주조 공정 중 래들 및 턴디쉬의 자유 표면의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
US17/434,851 US20220161320A1 (en) 2019-03-04 2020-03-02 Device for Preventing Ingress of Floating Matter on Free Surfaces of Ladle and Tundish During Continuous Casting Process
PCT/KR2020/002941 WO2020180063A1 (ko) 2019-03-04 2020-03-02 연속 주조 공정 중 래들 및 턴디쉬의 자유 표면의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
CN202080015913.4A CN114096361A (zh) 2019-03-04 2020-03-02 用于在连铸工艺中防止漂浮物混入钢包及中间包的自由表面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783A KR102184274B1 (ko) 2019-03-04 2019-03-04 연속 주조 공정 중 래들 및 턴디쉬의 자유 표면의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353A true KR20200106353A (ko) 2020-09-14
KR102184274B1 KR102184274B1 (ko) 2020-11-30

Family

ID=72337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783A KR102184274B1 (ko) 2019-03-04 2019-03-04 연속 주조 공정 중 래들 및 턴디쉬의 자유 표면의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161320A1 (ko)
KR (1) KR102184274B1 (ko)
CN (1) CN114096361A (ko)
WO (1) WO20201800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5686B1 (ko) 2023-06-22 2023-10-27 김기훈 턴디쉬 커버 지금 제거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4719A (ja) * 1993-11-08 1995-05-16 Nippon Steel Corp 表層均質鋳片鋳造用の浸漬ノズル
KR19980051195A (ko) * 1996-12-23 1998-09-15 김종진 래들 또는 턴디쉬내의 와류발생 억제 장치
KR20090105371A (ko) * 2008-04-02 2009-10-07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용 쉬라우드 노즐
KR20110028023A (ko) 2009-09-11 2011-03-17 학교법인 동의학원 턴디쉬 내 용강의 와류 억제장치
KR20110120602A (ko) * 2010-04-29 2011-11-04 현대제철 주식회사 래들의 바닥 구조체
KR20120079476A (ko) * 2009-11-06 2012-07-12 수미도모 메탈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용융 금속의 연속 주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501Y2 (ja) * 1980-04-23 1984-05-22 日本鋼管株式会社 金属用容器出湯孔のスラグ巻込み防止装置
JPS632539A (ja) * 1986-06-23 1988-01-07 Nippon Kokan Kk <Nkk> 溶湯流出口を備えた溶湯容器
CA2084845A1 (en) * 1992-12-08 1994-06-09 Roderick I.L. Guthrie Flow control device for the suppression of vortices
US5375816A (en) * 1993-11-16 1994-12-27 Wci Steel Corporation Slag detecting device and method
KR200267443Y1 (ko) * 1997-12-16 2002-06-26 이구택 제강공정에서의용강중슬래그혼입저감구조
JP2000301297A (ja) * 1999-04-20 2000-10-31 Akechi Ceramics Co Ltd タンディッシュ
DE19959540A1 (de) * 1999-12-09 2001-06-13 Sms Demag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leiten einer Schmelze aus einem Verteiler über ein Tauchrohr in eine Stranggießkokille
CN101844223B (zh) * 2010-06-22 2011-10-12 重庆大学 防止连铸中间包产生旋流的旋流抑制器
CN102398004A (zh) * 2011-11-29 2012-04-04 中冶南方工程技术有限公司 防止旋涡产生的滑动水口装置
CN102554207A (zh) * 2012-01-17 2012-07-11 中冶南方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防止旋涡产生的滑动水口装置
JP6520592B2 (ja) * 2015-09-11 2019-05-29 日本製鉄株式会社 金属の連続鋳造装置、及び、金属の連続鋳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4719A (ja) * 1993-11-08 1995-05-16 Nippon Steel Corp 表層均質鋳片鋳造用の浸漬ノズル
KR19980051195A (ko) * 1996-12-23 1998-09-15 김종진 래들 또는 턴디쉬내의 와류발생 억제 장치
KR20090105371A (ko) * 2008-04-02 2009-10-07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용 쉬라우드 노즐
KR20110028023A (ko) 2009-09-11 2011-03-17 학교법인 동의학원 턴디쉬 내 용강의 와류 억제장치
KR20120079476A (ko) * 2009-11-06 2012-07-12 수미도모 메탈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용융 금속의 연속 주조 방법
KR20110120602A (ko) * 2010-04-29 2011-11-04 현대제철 주식회사 래들의 바닥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4274B1 (ko) 2020-11-30
US20220161320A1 (en) 2022-05-26
CN114096361A (zh) 2022-02-25
WO2020180063A1 (ko) 202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4274B1 (ko) 연속 주조 공정 중 래들 및 턴디쉬의 자유 표면의 부유물 혼입 방지 장치
JP2007069236A (ja) 溶融金属の連続鋳造方法
JP4670762B2 (ja) 溶融金属の連続鋳造方法
JP5440610B2 (ja) 溶融金属の連続鋳造方法
JP2766637B2 (ja) 渦巻きポンプ
US8162531B2 (en) Mixing system for increased height tanks
JP6520592B2 (ja) 金属の連続鋳造装置、及び、金属の連続鋳造方法
JP2009167812A (ja) 遠心分離式オイルフィルタ
JPS6211049B2 (ko)
KR100775336B1 (ko) 턴디시 용강의 와류 억제장치
JP3096879B2 (ja) 表面および内部品質の優れた鋳片の連続鋳造方法
US3228530A (en) Distribution means for separation and clarification tanks
JPS61193755A (ja) 電磁撹拌方法
US20240053100A1 (en) Pump system for transferring molten metal
JP2020157350A (ja) 旋回流付与装置、タンディッシュ、鋼の連続鋳造システム及び鋼の連続鋳造方法
JPS58369Y2 (ja) エキタイフウニユウシキスイチユウモ−タ ノ フウニユウエキチユウニユウソウチ
CN107983944A (zh) 一种连铸过程中减少钢水铸余量的方法及装置
JPS62296944A (ja) 溶融金属注湯用ノズル
KR20100115611A (ko) 턴시디 용강의 와류 억제장치
KR20190137469A (ko) 전도성 액체의 배수 시스템 및 방법
KR101701324B1 (ko) 노즐
JPH01315691A (ja) 立軸形ポンプ
JP7031463B2 (ja) 連続鋳造方法
SU103507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рционного вакуумировани металла
JP2018176239A (ja) 連続鋳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