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5821A - 여과 장치 - Google Patents

여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5821A
KR20200105821A KR1020207017230A KR20207017230A KR20200105821A KR 20200105821 A KR20200105821 A KR 20200105821A KR 1020207017230 A KR1020207017230 A KR 1020207017230A KR 20207017230 A KR20207017230 A KR 20207017230A KR 20200105821 A KR20200105821 A KR 20200105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plate
filter
lid member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7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츠노부 오카모토
마사노리 와카바야시
신야 히로세
Original Assignee
야마신 필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신 필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신 필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05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8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15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01D29/19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on solid frames with surface groov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15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01D29/21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with corrugated, folded or woun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4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with cartridges made of a piece of unitary material, e.g. filter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8Construction of th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9/6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pressure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01D35/1435Filter condition indicators with 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4Supports for the filtering elements
    • B01D2201/0415Details of supporting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9Filter cartridge constructions
    • B01D2201/291End caps
    • B01D2201/295End caps with projections extending in a radial outward direction, e.g. for use as a guide, spa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 B01D2201/303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not arranged concentr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6Closures, lids, caps or filter heads forming one element with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4Seals or gaskets for filtering elements
    • B01D2201/347Radial sea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01/4015Bayonet conn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01/4046Means for avoiding false mounting of different parts
    • B01D2201/4061Means for avoiding false mounting of different parts between a cartridge and a filter head or manifo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01/4092Threaded sections, e.g. screw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정규품 이외의 부품(이른바 비정규품의 부품)의 사용을 방지할 수가 있다. 여과재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내통에는, 제2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대략 원판형상의 플랜지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볼록부가 형성된다. 여과재의 하단의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제2 플레이트의 하측의 면에는 볼록부가 삽입되는 오목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여과 장치
본 발명은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는 필터 엘리먼트의 단면을 향해 돌출된 뚜껑측 볼록부가 뚜껑 부재의 하면에 형성되고, 뚜껑측 볼록부와 감합하는 형상의 필터측 오목부가 필터 엘리먼트에 형성된 필터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실용신안 등록 제3185612호
특허 문헌 1에 기재의 발명에서는, 뚜껑측 볼록부나 필터측 오목부가 형성된 부품(이른바 정규품)의 뚜껑측 볼록부나 필터측 오목부를 절삭 가공함으로써, 뚜껑측 볼록부나 필터측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품(이른바 비정규품)이 사용 가능하게 되어 버린다. 비정규품의 사용에 의해 여과 성능이 저하하거나 액체가 누설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정규품 이외의 부품(이른바 비정규품의 부품)의 사용을 방지할 수가 있는 여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여과 장치는, 예를 들면, 양단에 개구를 가지는 중공 원통형상의 여과재와, 상기 여과재의 상단의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여과재의 하단의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제2 플레이트를 가지는 필터 엘리먼트와, 상기 필터 엘리먼트가 내부에 설치된 바닥을 갖는 대략 원통형상의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케이스의 상단의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된 뚜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 엘리먼트는, 상기 여과재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내통을 가지고, 상기 제2 플레이트에는, 상기 내통이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내통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대략 원판형상의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된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하측의 면에는 상기 볼록부가 삽입되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여과 장치에 의하면, 여과재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내통에는, 제2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대략 원판형상의 플랜지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볼록부가 형성되고, 여과재의 하단의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제2 플레이트의 하측의 면에는 볼록부가 삽입되는 오목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볼록부 및 오목부를 가지는 정규품에 반해, 볼록부나 오목부가 설치되지 않은 비정규품의 경우에는, 필터 엘리먼트를 올바른 위치까지 삽입하지 못하여 여과 장치를 사용할 수가 없다. 이와 같이, 정규품에 볼록부 및 오목부를 설치함으로써, 정규품 이외의 부품(이른바 비정규품의 부품)의 사용을 방지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필터 엘리먼트가 상기 필터 케이스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뚜껑 부재를 향해 돌출하는 대략 원통형상의 제1 통형상부를 가지고, 상기 뚜껑 부재는, 상기 제1 통형상부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제2 통형상부와, 상기 제2 통형상부가 상기 제1 통형상부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제1 통형상부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리브를 가지고, 평면시에 있어서 상기 제1 통형상부와 상기 리브의 위치가 겹치고, 상기 리브와 상기 제1 통형상부가 겹치는 부분을 노치하도록 상기 리브에 제2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상기 뚜껑 부재가 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오목부의 바닥면이 상기 제1 통형상부의 선단에 인접해도 좋다. 이러한 제2 오목부를 가지는 정규품에 반해, 제2 오목부가 설치되지 않은 비정규품의 경우에는, 리브의 선단과 제1 통형상부의 선단이 맞닿아 버려, 필터 엘리먼트를 올바른 위치까지 삽입하지 못하여 여과 장치를 사용할 수가 없다. 따라서, 비정규품의 부품의 사용을 방지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통형상부는, 선단측에 설치된 소경부와 근원측에 설치된 대경부를 가지고, 상기 소경부는, 상기 대경부보다 외경이 작게 되어 있고, 평면시에 있어서 상기 리브와 상기 소경부의 위치가 겹치고, 상기 리브와 상기 소경부가 겹치는 부분을 노치하도록 상기 리브에 상기 제2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상기 뚜껑 부재가 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리브는 상기 소경부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리브의 선단은 상기 소경부와 상기 대경부의 사이에 형성된 평면부에 인접해도 좋다. 이러한 제2 오목부를 가지는 정규품에 반해, 제2 오목부가 설치되지 않은 비정규품의 경우에는, 리브의 선단과 소경부의 선단이 맞닿아 버려, 필터 엘리먼트를 올바른 위치까지 삽입하지 못하여 여과 장치를 사용할 수가 없다. 따라서, 비정규품의 부품의 사용을 방지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통형상부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를 가지고, 상기 리브는, 노치를 가지고,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상기 뚜껑 부재가 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통형상부가 상기 제1 통형상부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노치에 상기 돌기가 삽입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 비정규품의 부품 제조가 곤란하게 되어, 비정규품의 부품을 사용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막을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볼록부는, 대략 원통형상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볼록부를 단순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규품 이외의 부품(이른바 비정규품의 부품)의 사용을 방지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여과 장치(1)의 개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여과 장치(1)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여과 장치(1)의 부분 확대도이며 일부를 절단한 도이다.
도 4는 뚜껑 부재(2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필터 엘리먼트(30)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여과 장치(1)의 단면 사시도이며 일부를 확대 표시한 도이다
도 7은 필터 케이스(10) 및 내통(31)의 단면 사시도이며 일부를 확대 표시한 도이다
도 8은 필터 엘리먼트(30)의 사시도이며 일부를 확대 표시한 도이다.
도 9는 여과 장치(2)가 가지는 제1 모방품 부착 방지 구조(50A)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면 P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소경부(34g)를 이용하지 않는 변형예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여과 장치(3)가 가지는 제3 모방품 부착 방지 구조(52)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의 실시의 형태>
도 1은 여과 장치(1)의 개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과 장치(1)는, 기름, 물 등의 액체에 포함되는 먼지 등을 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것이고, 주로 필터 케이스(10)와, 뚜껑 부재(20)와, 필터 엘리먼트(30)(도 2 등의 참조)를 가진다.
뚜껑 부재(20)에는, 필터 케이스(10)와 뚜껑 부재(2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여과전의 액체를 유입시키는 유입구(21)와, 여과후의 액체를 유출시키는 유출구(22)가 형성된다.
뚜껑 부재(20)에는, 인디케이터(indicator)(40)가 설치된다. 인디케이터(40)는, 내부에 설치된 리드 스위치(reed switch)(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필터 케이스(10) 내부의 압력차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램프(도시하지 않음)의 점등 및 소등에 의해 표시한다. 또한, 측정 결과의 표시는, 램프의 점등 및 소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표시부(예를 들면 액정 패널)에 측정 결과를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도 2는 여과 장치(1)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필터 케이스(10)는, 일단(여기에서는, 하단)이 대략 폐색되고, 타단이 개구하는 바닥을 갖는 대략 원통형상의 부재이며, 금속 또는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필터 케이스(10)의 대략 폐색된 하단은, 바닥면(11)이다.
필터 케이스(10)의 바닥면(11)에는 구멍(12)이 형성되고, 구멍(12)에는 드레인(drain)(도시 생략)이 설치된다. 또한, 드레인을 설치하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필터 케이스(10)는, 대략 원통형상의 측면(13)을 가진다. 측면(13)의 하단은 바닥면(11)에 연결되어 있다. 측면(13)의 상단은 개구단(14)이다. 개구단(14) 근방에 있어서, 측면(13)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5)가 형성된다.
뚜껑 부재(20)는, 바닥을 갖는 대략 원통형상의 부재이며, 금속에 의해 형성된다. 뚜껑 부재(20)는, 바닥면으로부터 하측(-z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대략 원통형상의 부착부(23)를 가진다. 부착부(23)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24)가 형성된다.
필터 케이스(10)의 개구단(14)은, 뚜껑 부재(20)에 부착된다. 수나사부(24)를 암나사부(15)에 나합(螺合)시키면, 뚜껑 부재(20)가 필터 케이스(10)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하여 필터 케이스(10)의 개구단(14)을 덮도록 뚜껑 부재(20)가 설치된다. 또한, 뚜껑 부재(20)는, 바닥면이 상측(+z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뚜껑 부재(20)의 개구단과 필터 케이스(10)의 개구단이 연결됨으로써, 필터 엘리먼트(30)가 삽입되는 공간이 여과 장치(1)의 내부에 형성된다.
필터 케이스(10)와 뚜껑 부재(20)의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는 씰(seal) 부재(예를 들면, O링(O ring))가 설치된다. 씰 부재에 의해, 필터 케이스(10)와 뚜껑 부재(20)의 사이로부터 액체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게 씰(seal) 된다.
뚜껑 부재(20)는, 바닥면으로부터 하측(-z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대략 원통형상의 감합통(25)을 가진다. 감합통(25)은, 부착부(23)의 내측에 형성된다. 감합통(25)은, 플레이트(34)(후에 상술)의 통형상부(34c)(후에 상술)의 내부에 삽입된다. 감합통(25)은, 모방품 부착 방지용의 구조(제1 모방품 부착 방지 구조, 후에 상술)를 구성한다.
필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필터 엘리먼트(30)와 내통(31)이 설치된다. 필터 엘리먼트(30)는, 주로 여과재(32)와 여과재(32)의 양단에 설치되는 플레이트(33, 34)를 가진다.
필터 케이스(10)에 뚜껑 부재(20)가 부착되면, 필터 엘리먼트(30)와, 내통(31)이 필터 케이스(10)와 뚜껑 부재(20)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보유된다.
내통(31)은, 내부식성이 높은 재료(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된 대략 중공 원통형상의 부재이다. 내통(31)은, 필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여과재(32)의 내주면에 삽입된다. 여과재(32)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대략 원통 부분을 통형상부(31a)로 한다. 통형상부(31a)의 전체면에는, 작동유가 통과하는 구멍(31d)이 다수 형성된다.
여과재(32)는, 직경 방향으로 두께를 가지는 대략 중공 원통형상이다. 여과재(32)는, 합성수지나 종이 등을 이용한 시트 형상의 여과지를 주름접기하고, 주름접기한 여과지의 양단을 연결하여 원통형상으로 둥글게 말아 형성된다. 여과재(32)는, 내통(31)의 외측에 설치된다.
플레이트(33, 34)는, 대략 판형상의 부재이며, 내부식성이 높은 재료(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플레이트(33)는 여과재(32)의 하측에 설치되고, 플레이트(34)는 여과재(32)의 상측에 설치된다.
플레이트(33, 34)는, 여과재(32)의 단면을 덮는 대략 원판형상의 판형상부(33a, 34a)를 가진다. 판형상부(33a, 34a)에는, 각각, 내통(31)이 삽입되는 구멍(33b, 34b)이 형성된다. 평면시에 있어서(z방향으로부터 보아서), 구멍(33b, 34b)의 크기는, 여과재(32)의 중공부의 크기와 대략 동일하다.
내통(31)은, 판형상부(33a)의 하측에 배치되는 대략 원판형상의 플랜지부(31b)와, 플랜지부(31b)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볼록부(31c)를 가진다. 판형상부(33a)의 하측의 면에는 볼록부(31c)가 삽입되는 오목부(33c)가 형성된다. 볼록부(31c) 및 오목부(33c)는, 모방품 부착 방지용의 구조(제2 모방품 부착 방지 구조, 후에 상술)를 구성한다.
판형상부(34a)에는, 대략 원통형상의 통형상부(34c)가 형성된다. 통형상부(34c)는, 플레이트(34)가 여과재(32)에 설치되었을 때에 여과재(32)와는 반대측으로 돌출한다. 바꾸어 말하면, 통형상부(34c)는, 필터 엘리먼트(30)가 필터 케이스(10)에 삽입된 상태로 뚜껑 부재(20)를 향해 돌출한다.
통형상부(34c)의 선단(34e) 근방에는 돌기(34d)가 형성된다. 돌기(34d)는, 모방품 부착 방지용의 구조(제1 모방품 부착 방지 구조, 후에 상술)를 구성한다.
통형상부(34c)에는, 감합통(25)이 삽입된다. 통형상부(34c)의 선단(34e) 근방에는 감합통(25)이 삽입되었을 때에 감합통(25)과 대향하는 내주면(34f)을 가진다. 감합통(25)이 통형상부(34c)에 삽입되면, 내주면(34f)에 설치된 씰 부재(41)가 탄성변형하여 감합통(25)과 통형상부(34c)에 밀착한다. 이에 의해 필터 엘리먼트(30)가 뚜껑 부재(20)에 설치된다.
도 3은 여과 장치(1)의 부분 확대도이며 일부를 절단한 도이다. 제1 모방품 부착 방지 구조(50)는, 주로 감합통(25)에 형성된 리브(25a)와, 통형상부(34c)에 형성된 돌기(34d)를 가진다.
도 4는 뚜껑 부재(20)의 사시도이다. 감합통(25)(도 3, 참조)의 하단 근방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대략 원판형상의 플랜지부(25b)가 설치된다. 감합통(25)의 플랜지부(25b)보다 선단측은 삽입부(25c)이며, 통형상부(34c)(도 3, 참조)의 중공부에 삽입된다.
플랜지부(25b)에는, 삽입부(25c)와 대략 평행한 리브(25a)가 복수 형성된다. 리브(25a)는, 대략 판형상의 부재이며, 삽입부(25c)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한다. 복수의 리브(25a)는, 각각, 대략 원통형상의 리브(rib)의 일부이며, 이간하여 설치된다. 인접하는 리브(25a)와 리브(25a)의 사이는, 돌기(34d)가 삽입되는 노치(25d)이다. 평면시에 있어서, 복수의 리브(25a) 및 노치(25d)는, 균등하게 배치된다.
도 5는 필터 엘리먼트(30)의 사시도이다. 통형상부(34c)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대략 판형상의 돌기(34d)가 복수 형성된다. 복수의 돌기(34d)는, 각각, 대략 원판형상의 플랜지의 일부이며, 이간하여 설치된다. 평면시에 있어서, 복수의 돌기(34d)는, 균등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34d)는 선단(34e)을 따라 설치되어 있지만, 돌기(34d)는 선단(34e)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으면 좋고, 예를 들면 돌기(34d)가 선단(34e)보다 다소 하방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다만, 돌기(34d)의 높이 방향의 위치가 내주면(34f)과 겹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설명으로 되돌아온다. 삽입부(25c)(도 4, 참조)가 통형상부(34c)에 삽입되고, 플레이트(34)에 뚜껑 부재(20)가 부착되면, 리브(25a)는, 통형상부(34c)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된다. 또, 삽입부(25c)(도 4, 참조)가 통형상부(34c)에 삽입되고, 플레이트(34)에 뚜껑 부재(20)가 부착되면, 리브(25a)와 리브(25a)의 사이에 돌기(34d)가 삽입된다.
이와 같이, 리브(25a) 및 돌기(34d)를 배치함으로써, 돌기(34d)와 리브(25a)가 간섭하지 않고, 통형상부(34c)의 선단(34e)(도 5, 참조)이 플랜지부(25b)에 맞닿을 때까지, 플레이트(34)에 대해서 뚜껑 부재(20)를 밀어 넣을 수가 있다.
도 6은 여과 장치(1)의 단면 사시도이며 일부를 확대 표시한 도이다. 제2 모방품 부착 방지 구조(51)는, 주로 내통(31)에 형성된 볼록부(31c)와, 플레이트(33)에 형성된 오목부(33c)를 가진다.
도 7은 필터 케이스(10) 및 내통(31)의 단면 사시도이며 일부를 확대 표시한 도이다. 내통(31)은, 대략 원판형상의 플랜지부(31b)로부터 하방향(-z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볼록부(31e)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31e)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31f)를, 구멍(12)에 형성된 암나사부(12a)에 나합시키면, 내통(31)이 필터 케이스(10)에 부착된다. 내통(31)이 필터 케이스(10)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플랜지부(31b)는, 바닥면(11)과 맞닿는다.
플랜지부(31b)에는, 플랜지부(31b)로부터 상방향(+z방향)으로 돌출하는 볼록부(31c)가 형성된다. 여기에서는, 볼록부(31c)는, 단순한 형상으로 하고,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대략 원통형상의 리브(rib)이다.
도 8은 필터 엘리먼트(30)의 사시도이며 일부를 확대 표시한 도이다. 플레이트(33)는, 판형상부(33a)의 하측에 형성된 통형상부(33d)를 가진다. 통형상부(33d)의 하측의 면(33e)에는, 오목부(33c)가 형성된다. 여기에서는, 오목부(33c)는, 대략 원형의 홈(groove)이다.
도 6의 설명으로 되돌아온다. 필터 엘리먼트(30)는, 여과재(32)의 중공부에 내통(31)이 삽입되도록, 필터 케이스(10) 내에 삽입된다. 볼록부(31c)가 오목부(33c)에 삽입되기 때문에, 필터 엘리먼트(30)는, 면(33e)이 플랜지부(31b)의 상면에 맞닿을 때까지 삽입된다.
면(33e)이 플랜지부(31b)의 상면에 맞닿을 때까지 삽입되면, 구멍(33b)에 설치된 씰 부재(42)가 탄성변형 해 내통(31)의 외주면(31g)과 통형상부(33d)의 내주면에 밀착한다. 이에 의해 필터 엘리먼트(30)가 내통(31)에 설치된다.
다음에, 여과 장치(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의 화살표는, 액체의 흐름을 나타낸다. 유입구(21)로부터 유입한 액체는, 필터 케이스(10)와 필터 엘리먼트(30)의 사이에 이끌린다. 그 후, 액체는, 여과재(32)를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통과하고, 그 과정에서 액체 중의 불순물이 제거된다. 여과재(32)의 내측으로 통과한 액체는, 내통(31)에 형성된 구멍(31d)을 통과하여 내통(31)의 내부로 유출한다.
여과후의 액체는, 내통(31)의 내측으로부터 유출구(22)를 통해 여과 장치(1)의 외부로 유출한다. 또한, 필터 엘리먼트(30)와 내통(31)의 사이, 필터 엘리먼트(30)와 뚜껑 부재(20)의 사이는, 각각 씰 부재(41, 42)에 의해 액밀(液密)하게 폐색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여과전의 액체가 내통(31)의 내부에 침입할 일은 없다.
여과재(32)는, 액체를 여과함으로써 점차 여과 능력이 저하해 간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서 필터 엘리먼트(30)의 교환을 행한다. 이하, 교환의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수나사부(24)와 암나사부(15)의 나합을 해제하고, 필터 케이스(10)와 뚜껑 부재(20)를 분해한다. 그 결과, 필터 엘리먼트(30)의 플레이트(34)가 노출하기 때문에, 플레이트(34)를 위로 끌어올림으로써 필터 엘리먼트(30)를 내통(31)으로부터 떼어낸다. 이 때에 돌기(34d)를 파지부로서 이용함으로써, 필터 엘리먼트(30)의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그 후, 새로운 필터 엘리먼트(30)를 필터 케이스(10)에 삽입한다. 내통(31)에는 볼록부(31c)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목부(33c)가 형성된 필터 엘리먼트(30)를 삽입함으로써, 볼록부(31c)가 오목부(33c)에 삽입되고, 면(33e)이 플랜지부(31b)의 상면에 맞닿을 때까지 필터 엘리먼트(30)가 밀어 넣어진다.
필터 엘리먼트(30)를 필터 케이스(10)에 삽입하면, 수나사부(24)와 암나사부(15)를 나합하여 필터 케이스(10)와 뚜껑 부재(20)를 결합한다. 수나사부(24)와 암나사부(15)를 나합하는 과정에서, 감합통(25)이 통형상부(34c)에 삽입되고, 리브(25a)와 리브(25a)의 사이에 돌기(34d)가 삽입된다. 그대로 수나사부(24)와 암나사부(15)의 나합을 계속하면, 리브(25a)가 돌기(34d)를 누름으로써, 뚜껑 부재(20) 및 필터 엘리먼트(30)가 내통(31)에 대해서 회전하면서, 감합통(25)이 통형상부(34c)의 내부에 삽입되어 간다.
리브(25a)와 리브(25a)의 사이의 노치(25d)에 돌기(34d)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통형상부(34c)의 선단(34e)이 플랜지부(25b)에 맞닿을 때까지, 수나사부(24)와 암나사부(15)를 나합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필터 엘리먼트(30)의 교환이 종료한다.
여기서, 정규품인 필터 엘리먼트(30) 이외의 비정규품인 필터 엘리먼트를 필터 케이스(10) 및 뚜껑 부재(20)에 부착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비정규품의 필터 엘리먼트에 오목부(33c)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면(33e)이 볼록부(31c)와 맞닿아 버려, 비정규품의 필터 엘리먼트를 올바른 위치까지 삽입할 수 없다. 그 결과, 수나사부(24)와 암나사부(15)를 나합하지 못하여 여과 장치(1)를 사용할 수가 없다.
또 예를 들면, 비정규품의 필터 엘리먼트에 형성된 오목부(33c)의 깊이가 불충분한 경우나, 비정규품의 필터 엘리먼트에 돌기(34d)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수나사부(24)와 암나사부(15)를 도중까지 밖에 나합하지 못하여 여과 장치(1)를 사용할 수가 없다.
또 예를 들면, 정규품인 필터 엘리먼트(30)의 돌기(34d)에 대신하여, 비정규품인 필터 엘리먼트에 대략 원판형상의 플랜지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생각할 수가 있다. 이러한 비정규품의 필터 엘리먼트를 필터 케이스(10)에 삽입한 경우에는, 수나사부(24)와 암나사부(15)를 나합하는 과정에서 리브(25a)가 플랜지에 부딪혀 버려, 수나사부(24)와 암나사부(15)를 나합하지 못하여 여과 장치(1)를 조립할 수가 없다. 또, 정규품이 아닌 뚜껑 부재에 노치(25d)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대략 원통형상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도, 대략 원통형상의 리브와 돌기(34d)가 부딪혀 버려, 수나사부(24)와 암나사부(15)를 나합하지 못하여 여과 장치(1)를 조립할 수가 없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정규품인 필터 엘리먼트(30) 이외의 필터 엘리먼트, 즉 비정규품의 필터 엘리먼트의 사용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여과 장치(1)는 제1 모방품 부착 방지 구조(50) 및 제2 모방품 부착 방지 구조(51)를 구비하였지만, 여과 장치(1)는 제1 모방품 부착 방지 구조(50) 또는 제2 모방품 부착 방지 구조(51)를 구비하고 있으면 좋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여과 장치(1)는 4개의 리브(25a)와 4개의 돌기(34d)를 구비하였지만, 돌기(34d)는 적어도 1개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돌기(34d)가 1개인 경우에는, 2개의 리브(25a)가 돌기(34d)를 사이에 두는 위치에 설치되고, 2개의 리브(25a)의 사이의 노치(25d)에 돌기(34d)가 삽입되면 좋다. 또 돌기(34d)가 1개인 경우에는, 2개의 리브(25a) 대신에, 돌기(34d)가 감합하는 노치(25d)를 가지는 대략 원통형상의 1개의 리브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다만, 비정규품의 제조를 곤란하게 하고, 정규품 이외의 부품의 사용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서는, 리브(25a), 노치(25d) 및 돌기(34d)를 복수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복수의 리브(25a), 노치(25d) 및 돌기(34d)는, 균등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리브(25a), 노치(25d) 및 돌기(34d)를 각각 6개씩, 대략 60°간격으로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리브(25a), 노치(25d) 및 돌기(34d)를 각각 복수 설치하고, 이들을 균등하게 배치함으로써, 정규품 이외의 부품의 사용을 방지하면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제2의 실시의 형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모방품 부착 방지 구조(50)가 리브(25a) 및 돌기(34d)를 가지고, 리브(25a)가 통형상부(34c)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지만, 리브(25a), 통형상부(34c) 및 돌기(34d)의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9는 여과 장치(2)가 가지는 제1 모방품 부착 방지 구조(50A)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이다. 제1 모방품 부착 방지 구조(50A)는, 리브(25a-1), 통형상부(34c-1) 및 돌기(34d)를 가진다. 리브(rib)(25a-1)와 리브(25a-1)의 사이는, 돌기(34d)가 삽입되는 노치(notch)(25d-1)이다. 돌기(34d)는, 소경부(34g)의 선단에 설치된다. 소경부(34g)는, 통형상부(34c-1)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있고, 통형상부(34c-1)의 근원측에 설치된 대경부(34i)보다 외경이 작게 되어 있다.
통형상부(34c-1)는 평면부(34h)를 가지고, 평면부(34h)는 소경부(34g)와 대경부(34i)의 사이에 형성된다. 플레이트(34A)에 뚜껑 부재(20A)가 부착되면, 돌기(34d)가 노치(25d-1)에 삽입되고, 리브(25a-1)가 소경부(34g)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고, 리브(25a-1)의 선단이 평면부(34h)에 인접한다.
도 10은 도 9의 면 P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0에서는 도 9의 지면 앞측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다. 평면시에 있어서, 리브(25a-1)의 위치와 통형상부(34c-1)의 위치가 겹친다. 또, 평면시에 있어서, 리브(25a-1)의 위치와 소경부(34g)의 위치가 겹치고, 리브(25a-1)와 소경부(34g)가 겹치는 부분을 노치하도록 리브(25a-1)에 오목부(25e)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34A)에 뚜껑 부재(20A)가 부착되면, 오목부(25e)의 바닥면(25f)이 소경부(34g)의 선단에 인접하고, 리브(25a-1)의 선단이 평면부(34h)에 인접하는 위치까지 플레이트(34A)에 대해서 뚜껑 부재(20A)가 밀어 넣어진다.
여기서, 리브(25a-1)에 오목부(25e)가 설치되지 않은 비정규품을 필터 케이스(10)(도 9, 참조)에 부착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가 있다. 오목부(25e)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리브(25a-1)의 선단과 소경부(34g)의 선단이 맞닿아 버려, 리브(25a-1)의 선단이 평면부(34h)에 인접하는 위치까지 뚜껑 부재(20A)를 밀어 넣지 못하여 필터 케이스(10)에 뚜껑 부재(20A)를 부착할 수가 없다. 이에 반해 여과 장치(2)에서는, 평면시에 있어서의 리브(25a-1)의 위치와 통형상부(34c-1)의 위치가 겹치게 되도록 리브(25a-1) 및 통형상부(34c-1)를 형성하고, 리브(25a-1)와 소경부(34g)가 부딪치지 않게 오목부(25e)를 설치함으로써, 리브(25a-1)의 선단이 평면부(34h)에 인접하는 위치까지 뚜껑 부재(20A)를 밀어 넣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비정규품의 필터 엘리먼트나 뚜껑 부재의 사용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 구성 부품이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조립성이 저하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2 모방품 부착 방지 구조(51)는 필수는 아니다. 여과 장치(2)는, 제1 모방품 부착 방지 구조(50A)만을 가지고 있어도 좋고, 제1 모방품 부착 방지 구조(50A) 및 제2 모방품 부착 방지 구조(51)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제2의 실시의 형태의 변형예>
제2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선단에 소경부(34g)가 형성된 통형상부(34c-1)를 이용하였지만, 소경부(34g)는 필수는 아니다. 도 11은 소경부(34g)를 이용하지 않는 변형예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이다. 평면시에 있어서, 리브(25a-2)의 위치와 통형상부(34c)의 위치가 겹치고, 리브(25a-2)와 통형상부(34c)가 겹치는 부분을 노치하도록 리브(25a-2)에 오목부(25g)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34)에 뚜껑 부재(20B)가 부착되면, 오목부(25g)의 바닥면(25h)이 통형상부(34c)의 선단에 인접하고, 리브(25a-2)의 선단이 판형상부(34a)에 인접하는 위치까지 플레이트(34)에 대해서 뚜껑 부재(20B)가 밀어 넣어진다.
이에 반해 오목부(25g)가 설치되지 않은 비정규품을 필터 케이스(10)(도 9, 참조)에 부착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가 있다. 오목부(25g)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리브(25a-2)의 선단과 통형상부(34c)의 선단이 맞닿아 버려, 리브(25a-2)의 선단이 판형상부(34a)에 인접하는 위치까지 뚜껑 부재(20B)를 밀어 넣을 수가 없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제2의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비정규품의 필터 엘리먼트나 뚜껑 부재의 사용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다만, 제2의 실시의 형태는, 본 변형예보다 형상이 복잡하고, 비정규품의 뚜껑 부재나 필터 엘리먼트를 가공하여 정규품의 필터 케이스에 부착하려고 할 경우에 비정규품의 가공이 곤란하다. 따라서, 제2의 실시의 형태는, 본 변형예에 비해, 비정규품의 필터 엘리먼트나 뚜껑 부재의 사용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제3의 실시의 형태>
제3의 실시의 형태는, 제1 모방품 부착 방지 구조(50)에 대신하여, 제3 모방품 부착 방지 구조(52)를 가지는 형태이다. 도 12는, 여과 장치(3)가 가지는 제3 모방품 부착 방지 구조(52)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이다.
제3 모방품 부착 방지 구조(52)와 제1 모방품 부착 방지 구조(50A)의 차이는, 노치(25d-1)의 유무이다. 제3 모방품 부착 방지 구조(52)는, 리브(25a-2)와 통형상부(34c-2)를 가진다. 리브(25a-2)는, 삽입부(25c)(도 2 참조)와 대략 평행한 대략 원통형상의 리브이며, 노치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 이외는 리브(25a-1)와 마찬가지이다. 통형상부(34c-2)는, 돌기(34d)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 이외는 통형상부(34c-1)와 마찬가지이다. 도 12에 있어서의 면 P의 단면 형상은, 도 10과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여과 장치(3)가 제3 모방품 부착 방지 구조(52)를 가짐으로써, 비정규품의 필터 엘리먼트나 뚜껑 부재를 필터 케이스(10)에 부착하려고 해도, 수나사부(24) 및 암나사부(15)(도 2 참조)를 나합할 수가 없다. 이에 의해 비정규품의 필터 엘리먼트나 뚜껑 부재의 사용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여과 장치(3)는, 제3 모방품 부착 방지 구조(52)에 더하여 제2 모방품 부착 방지 구조(51)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여과 장치(3)가 제2 모방품 부착 방지 구조(51) 및 제3 모방품 부착 방지 구조(52)를 가짐으로써, 비정규품의 필터 엘리먼트나 뚜껑 부재의 사용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도 12에 있어서의 면 P의 단면 형상은, 도 11과 마찬가지라도 좋다.
이상, 이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해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된다. 당업자이면, 실시 형태의 각 요소를 적당하게 변경, 추가, 변환 등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대략」이란, 엄밀하게 동일한 경우뿐만 아니라, 동일성을 잃지 않는 정도의 오차나 변형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면, 대략 동일이라는 것은, 엄밀하게 동일한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성을 잃지 않는 정도의 오차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 예를 들면, 단지 동일이라고 표현하는 경우에 있어서, 엄밀하게 동일한 경우뿐만 아니라, 대략 동일한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근방」이란, 기준이 되는 위치의 가까이의 어떤 범위(임의에 정할 수가 있음)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A의 근방이라고 하는 경우에, A의 가까이의 어떤 범위의 영역으로서, A를 포함하고 있어도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좋은 것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1:여과 장치
10:필터 케이스 11:바닥면
12:구멍 12a:암나사부
13:측면 14:개구단
15:암나사부 20:뚜껑 부재
21:유입구 22:유출구
23:부착부 24:수나사부
25:감합통
25a, 25a-1, 25a-2:리브(rib) 25b:플랜지부
25c:삽입부 25d, 25d-1:노치(notch)
25e, 25g:오목부 25f:바닥면
30:필터 엘리먼트(filter element)
31:내통
31a:통형상부 31b:플랜지부
31c:볼록부 31d:구멍
31e:볼록부 31f:수나사
31g:외주면
32:여과재
33, 34:플레이트(plate)
33a:판형상부 33b:구멍
33c:오목부 33d:통형상부
33e:면(surface)
34a:판형상부 34b:구멍
34c, 34c-1, 34c-2:통형상부 34d:돌기
34e:선단 34f:내주면
34g:소경부 34h:평면부
40:인디케이터(indicator) 41, 42:씰(seal) 부재
50, 50A:제1 모방품 부착 방지 구조
51:제2 모방품 부착 방지 구조
52:제3 모방품 부착 방지 구조

Claims (5)

  1. 양단에 개구를 가지는 중공 원통형상의 여과재와, 상기 여과재의 상단의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여과재의 하단의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제2 플레이트를 가지는 필터 엘리먼트와,
    상기 필터 엘리먼트가 내부에 설치된 바닥을 갖는 대략 원통형상의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케이스의 상단의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된 뚜껑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 엘리먼트는, 상기 여과재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내통을 가지고,
    상기 제2 플레이트에는, 상기 내통이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내통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대략 원판형상의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된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하측의 면에는 상기 볼록부가 삽입되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필터 엘리먼트가 상기 필터 케이스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뚜껑 부재를 향해 돌출하는 대략 원통형상의 제1 통형상부를 가지고,
    상기 뚜껑 부재는, 상기 제1 통형상부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제2 통형상부와, 상기 제2 통형상부가 상기 제1 통형상부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제1 통형상부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리브를 가지고,
    평면시에 있어서 상기 제1 통형상부와 상기 리브의 위치가 겹치고,
    상기 리브와 상기 제1 통형상부가 겹치는 부분을 노치하도록 상기 리브에 제2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상기 뚜껑 부재가 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오목부의 바닥면이 상기 제1 통형상부의 선단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형상부는, 선단측에 설치된 소경부와 근원측에 설치된 대경부를 가지고,
    상기 소경부는, 상기 대경부보다 외경이 작게 되어 있고,
    평면시에 있어서 상기 리브와 상기 소경부의 위치가 겹치고, 상기 리브와 상기 소경부가 겹치는 부분을 노치하도록 상기 리브에 상기 제2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상기 뚜껑 부재가 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리브는 상기 소경부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리브의 선단은 상기 소경부와 상기 대경부의 사이에 형성된 평면부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청구항 2또는 3에 기재의 여과 장치이며,
    상기 제1 통형상부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를 가지고,
    상기 리브는, 노치를 가지고,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상기 뚜껑 부재가 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통형상부가 상기 제1 통형상부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노치에 상기 돌기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대략 원통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KR1020207017230A 2018-01-16 2019-01-07 여과 장치 KR202001058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05227A JP7041525B2 (ja) 2018-01-16 2018-01-16 濾過装置
JPJP-P-2018-005227 2018-01-16
PCT/JP2019/000085 WO2019142672A1 (ja) 2018-01-16 2019-01-07 濾過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821A true KR20200105821A (ko) 2020-09-09

Family

ID=67301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7230A KR20200105821A (ko) 2018-01-16 2019-01-07 여과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02705B2 (ko)
EP (1) EP3741441B1 (ko)
JP (1) JP7041525B2 (ko)
KR (1) KR20200105821A (ko)
CN (1) CN111565814B (ko)
WO (1) WO20191426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41524B2 (ja) * 2018-01-16 2022-03-24 ヤマシンフィルタ株式会社 濾過装置
KR102358567B1 (ko) * 2019-11-19 2022-02-04 (주)피엘엠 기능수공급장치와 결합되어 사용되는 교체형 기능성모듈의 모방품 방지구조 및 모방품 유통 방지방법
JP2022019379A (ja) * 2020-07-17 2022-01-27 和興フィルタ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流体フィルタ
KR102514571B1 (ko) * 2021-03-19 2023-03-29 (주)피엘엠 교체형 필터를 갖는 샤워헤드 및 그에 사용되는 씨일 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85612A (en) 1961-10-16 1965-05-25 Hampshire Mfg Corp Seamed article and method for mak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8593U (ja) 1984-04-17 1985-11-08 岡崎 龍夫 浄水器
DE4430341C2 (de) * 1993-08-27 1997-01-09 Hengst Walter Gmbh & Co Kg Stützkörper für einen Fluidfilter
DE19613847A1 (de) 1996-04-06 1997-10-09 Hydac Filtertechnik Gmbh Filtervorrichtung
JP4465486B2 (ja) 2000-04-10 2010-05-19 有限会社サンメンテナンス工機 フィルタ装置
ITRE20010065A1 (it) * 2001-06-12 2002-12-12 Ufi Universal Filter Int Spa Filtro per liquidi per motori a combustione dei veicoli
US7297255B2 (en) 2002-03-28 2007-11-20 Entegris, Inc. Mass or energy transfer cartridge and module
KR100925587B1 (ko) 2002-03-28 2009-11-06 엔테그리스, 아이엔씨. 필터 카트리지 구조물
JP4469204B2 (ja) 2004-03-31 2010-05-26 ヤマシンフィルタ株式会社 濾過装置
US20090008320A1 (en) 2005-01-18 2009-01-08 Donaldson Company Inc. Fluid Filter and Methods
US10010817B2 (en) * 2008-04-25 2018-07-03 Donaldson Company, Inc. Top load liquid filter assembly, system, and methods
JP4644276B2 (ja) 2008-08-11 2011-03-02 有限会社スラッシュ オイルフィルター
DE102010063822A1 (de) * 2010-12-22 2012-06-28 Hengst Gmbh & Co. Kg Flüssigkeitsfilter mit einem Filterumgehungsventil
JP5802466B2 (ja) * 2011-07-28 2015-10-2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マスタシリンダ
US9764263B2 (en) 2012-03-01 2017-09-19 Caterpillar Inc. Filter element
JP3185612U (ja) 2013-06-13 2013-08-22 台湾恩慈股▲ふん▼有限公司 改良型フィルター構造
US10213713B2 (en) 2014-12-01 2019-02-26 Ufi Filters S.P.A. Filter cartridge provided with means for draining water and a relative filter group
CN204582727U (zh) * 2015-04-09 2015-08-26 雅玛信过滤器株式会社 过滤器装置
WO2016174777A1 (ja) 2015-04-30 2016-11-03 ミライアル株式会社 濾過装置
JP6574107B2 (ja) 2015-06-02 2019-09-11 ヤマシンフィルタ株式会社 フィルタ装置
JP6684071B2 (ja) * 2015-08-28 2020-04-22 ヤマシンフィルタ株式会社 フィルタ装置
CN108136295B (zh) 2015-09-23 2021-04-27 沃尔沃卡车集团 过滤器插入件和过滤器设备
JP7041524B2 (ja) 2018-01-16 2022-03-24 ヤマシンフィルタ株式会社 濾過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85612A (en) 1961-10-16 1965-05-25 Hampshire Mfg Corp Seamed article and method for mak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41441B1 (en) 2023-03-29
CN111565814B (zh) 2023-01-06
US11602705B2 (en) 2023-03-14
EP3741441A1 (en) 2020-11-25
JP2019122917A (ja) 2019-07-25
EP3741441A4 (en) 2021-03-10
WO2019142672A1 (ja) 2019-07-25
JP7041525B2 (ja) 2022-03-24
CN111565814A (zh) 2020-08-21
US20200330908A1 (en) 202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05821A (ko) 여과 장치
RU2470870C2 (ru) Фильтрующий патрон,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емкостей с перколяционным фильтром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20200105820A (ko) 여과 장치
US9901854B1 (en) Water filter cartridge with improved leak indicator
JP2009078269A (ja) 燃料フィルタダイバータ
US20220016550A1 (en) Filter element and filter device
US9987570B2 (en) Filter element and filtering device
US20230242416A1 (en) Filter cartridge
US11786850B2 (en) Key system to ensure correct use of inserts
US10058801B2 (en) Filter with diverse shaped and dimensioned protrusions formed on an end plate of its cylindrically shaped filter material
EP3153220B1 (en) Cartridge for filtering liquids
JP2017042754A (ja) フィルタ装置
JP6814000B2 (ja) フィルタ装置
TWI715923B (zh) 具有倒掛式濾芯單元的過濾機
CN210170947U (zh) 一种自锁式滤芯组件
KR101774682B1 (ko) 이온수기용 필터하우징
JP4579756B2 (ja) 定流量弁及び定流量継手
KR101331819B1 (ko) 누수 방지 필터 카트리지
JP2016064336A (ja) フィル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