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5784A - 루버 시스템 - Google Patents

루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5784A
KR20200105784A KR1020200110927A KR20200110927A KR20200105784A KR 20200105784 A KR20200105784 A KR 20200105784A KR 1020200110927 A KR1020200110927 A KR 1020200110927A KR 20200110927 A KR20200110927 A KR 20200110927A KR 20200105784 A KR20200105784 A KR 20200105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uver
control unit
temperature
air conditioner
sea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5061B1 (ko
Inventor
서윤현
Original Assignee
서윤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1445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90094838A/ko
Application filed by 서윤현 filed Critical 서윤현
Priority to KR1020200110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061B1/ko
Publication of KR20200105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40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루버 시스템이 개시된다. 루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제어부가 소음센서로부터 감지된 소음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에어컨 가동중인지 판단하는 단계; 에어컨 가동중이면, 상기 제어부가 루버를 개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에어컨 가동중이 아니면, 상기 제어부가 현재 온도가 계절별로 루버를 개방하기 위한 제1기준온도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현재 온도가 계절별로 루버를 개방하기 위한 제1기준온도 이상 이면, 상기 제어부가 루버를 개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창문에 설치된 프레임의 내부 양측에 설치된 수직바의 사이에 다수개로 설치된 루버를 전동오퍼레이터가 서로 연동시켜 에어컨 가동시에 자동으로 루버가 개방되도록 하는 에어컨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루버 시스템{Louver system}
본 발명은 루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루버장치를 열지 않고 루버장치가 닫혀 외부와 단절된 상태에서 에어컨 등을 가동하면 에어컨 외기에서 나오는 열로 인해 열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해 에어컨 외기가 설치된 공간이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 차가운 겨울에 루버가 열려 있을시 베란다 등의 실내 온도가 내려가 배란다에 설치된 수도가 얼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루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버장치는 동절기에는 일사량을 실내로 많이 투입되게 하고 하절기에는 일사량의 투입을 차단시켜 일사량에 의한 냉난방 수요를 경감시키며 주광을 최대로 이용함으로써 건물에서 소요되는 냉난방에너지 및 조명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루버의 개폐 조작은 사람이 손으로 잡는 작동부에 링크부재와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차양용 루버의 이동 및 회전각도를 조절하게 되는데, 사람이 인위적으로 손을 이용하여 열고 닫도록 형성된다.
한편, 모터를 이용하여 루버의 개폐각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된 전동식 루버장치 및 외부환경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개폐각도를 조절하는 자동 루버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외기가 건물의 내부 베란다에 설치되어 있을시 에어컨을 가동하기 위해서는 루버장치를 열어 에어컨 외기의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창문을 열고, 루버를 회동시켜 외부와 내부를 소통하여 에어컨 외기에서 발생된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에어컨 외기에 열이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그런데, 루버장치를 열지 않고 루버장치가 닫혀 외부와 단절된 상태에서 에어컨 등을 가동하면 에어컨 외기에서 나오는 열로 인해 열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해 에어컨 외기가 설치된 공간이 온도가 상승하여 에어컨 외기의 온도도 같이 상승하여 가동 효율이 떨어지고 또 고장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차가운 겨울에 루버가 열려 있을시 베란다 등의 실내 온도가 내려가 배란다에 설치된 수도가 얼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베란다 등 창틀에 설치되어 외부와 내부를 개폐하기 위한 종래의 루버 장치는 자동으로 개폐되지 못하여 온도 등 여러 환경에 따라 사람이 인위적으로 시스템루버를 직접 개폐하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해 에어컨 고장이나 수도관 파손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창문에 설치된 프레임의 내부 양측에 설치된 수직바의 사이에 다수개로 설치된 루버를 전동오퍼레이터가 서로 연동시켜 에어컨 가동시에 자동으로 루버가 개방되도록 하는 에어컨 고장을 방지하는 루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가운 겨울에 루버가 열려 있을시 베란다 등의 실내 온도가 내려가면 자동으로 루버를 닫아 배란다에 설치된 수도가 얼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루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계절별로 다른 온도를 적용하여 온도가 일정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루버를 닫고, 또한, 계절별로 일정온도 이상 올라가면, 루버를 여는 루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루버를 닫건나 열었을 경우에는 일정시간 동안은 현재상태를 유지하고, 일정 시간후에 상기 자동제어를 수행하는 루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에어컨 가동중이 아닐 경우에 눈이나 비가 오는 것을 감지하여 루버를 닫아 내부로 물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루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루버 시스템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
계절별로 루버를 열기 위한 제1기준온도 및 루버를 닫기 위한 제2기준온도를 저장하는 메모리;
시계 기능을 하는 타이머;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현재 온도를 입력받고, 상기 타이머로부터 현재의 계절을 입력받아 계절별로 제1기준온도 이상이면 루버를 닫고, 제2기준온도 이하이면 루버를 열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루버를 열거나 닫기 위한 전동오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에어컨의 가동을 감지하기 위한 소음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음센서의 입력에 따라 에어컨 가동을 판단하여 에어컨 가동시에 상기 루버를 열고,
눈이나 비가 오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빗방울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에어컨 미가동시에 상기 빗방울 감지 센서로부터 비나 눈이 오는 것을 감지하여 루버를 닫고,
제어부가 소음센서로부터 감지된 소음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에어컨 가동중인지 판단하는 단계;
에어컨 가동중이면, 상기 제어부가 루버를 개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에어컨 가동중이 아니면, 상기 제어부가 현재 온도가 계절별로 루버를 개방하기 위한 제1기준온도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현재 온도가 계절별로 루버를 개방하기 위한 제1기준온도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가 루버를 개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현재 온도가 계절별로 루버를 개방하기 위한 제1기준온도 이상이 아니면, 상기 제어부가 현재 온도가 계절별로 루버를 폐쇄하기 위한 제2기준온도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
현재 온도가 계절별로 루버를 폐쇄하기 위한 제2기준온도 이하이면, 상기 제어부가 루버를 폐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현재 온도가 계절별로 루버를 폐쇄하기 위한 제2기준온도 이하가 아니면, 상기 제어부가 빗방울이 감지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빗방울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에어컨이 가동중인지 판단하는 단계;
에어컨이 가동중이 아니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루버를 폐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창문에 설치된 프레임(20)과, 양측 상기 프레임(20)의 내측에 복수개로 설치된 수직바(21)와, 양 상기 수직바(21)의 사이에 외기를 차폐할 수 있게 다수개로 수직으로 설치된 루버(30)와, 상기 루버(30)의 양단부에 이의 회전을 용이하게 설치된 브라켓(31)과, 양 상기 수직바(21)의 외측에 설치된 로드바(22)와, 상기 수직바(21)와 상기 브라켓(31)에 관통되어 연결되는 회동캡(40)과, 상기 회동캡(40)의 내측은 양 상기 로드바(22)의 외측면과 연결되어 회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회동캡(40)의 정역회전에 따라 양 상기 로드바(22)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하강하거나 상승함으로써 상기 루버(30)를 여닫게 되는 전동오퍼레이터(50)를 구비하며
상기 공지된 기술인 온도센서, 메모리, 타이머, 제어부, 전동오퍼레이터, 소음센서, 루버, 빗방울 감지 센서, 프레임(20), 수직바(21), 브라켓(31), 로드바(22), 회동캡(40)으로 형성된 루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동오퍼레이터(50)는 상기 회동캡(40)과 연결된 회동축(51)과, 상기 회동축(51)과 연결된 감속기(52)가 설치된 장착프레임(53)과, 상기 감속기(52)와 연결설치되고, 상기 장착프레임(53)에 설치된 모터(54)와, 상기 감속기(52) 및 상기 모터(54)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장착프레임(53)에 설치된 제어피씨비(PCB)기판(55)와, 상기 제어피씨비(PCB)기판(55)과 연결되고 상기 장착프레임(53)에 설치된 제어버튼부(56)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버튼부(56)의 상부 후방에 상기 감속기(52)의 구동축(52a)의 외측둘레에 삽입되도록 결합홈부(57a)를 갖는 결합지지대(5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창문에 설치된 프레임의 내부 양측에 설치된 수직바의 사이에 다수개로 설치된 루버를 전동오퍼레이터가 서로 연동시켜 에어컨 가동시에 자동으로 루버가 개방되도록 하는 에어컨 고장을 방지하는 루버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가운 겨울에 루버가 열려 있을시 베란다 등의 실내 온도가 내려가면 자동으로 루버를 닫아 배란다에 설치된 수도가 얼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루버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계절별로 다른 온도를 적용하여 온도가 일정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루버를 닫고, 또한, 계절별로 일정온도 이상 올라가면, 루버를 여는 루버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루버를 닫거나 열었을 경우에는 일정시간 동안은 현재상태를 유지하고, 일정 시간후에 상기 자동제어를 수행하는 루버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에어컨 가동중이 아닐 경우에 눈이나 비가 오는 것을 감지하여 루버를 닫아 내부로 물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루버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에서 제어버튼부와, 터치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에서 제어버튼부와, 프레임, 수직바, 회동캡, 로드바를 나타낸 분리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의 내부 주요 구성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의 좌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의 우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의 배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의 제어버튼부와, 터치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의 제어버튼부와, 프레임, 수직바, 회동캡, 로드바를 나타낸 분리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의 설치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의 내부 주요 구성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56d);
계절별로 루버(30)를 열기 위한 제1기준온도 및 루버(30)를 닫기 위한 제2기준온도를 저장하는 메모리(113);
시계 기능을 하는 타이머(114);
상기 온도 센서(56d)로부터 현재 온도를 입력받고, 상기 타이머로부터 현재의 계절을 입력받아 계절별로 제1기준온도 이상이면 루버(30)를 닫고, 제2기준온도 이하이면 루버(30)를 열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51);
상기 제어부(551)의 제어에 따라 루버(30)를 열거나 닫기 위한 전동오퍼레이터(50)를 포함한다.
에어컨의 가동을 감지하기 위한 소음 센서(1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51)는 상기 소음센서(111)의 입력에 따라 에어컨 가동을 판단하여 에어컨 가동시에 상기 루버(30)를 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눈이나 비가 오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빗방울 감지 센서(1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51)는 에어컨 미가동시에 상기 빗방울 감지 센서로부터 비나 눈이 오는 것을 감지하여 루버(30)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하기 위한 제어 버튼부(56)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어버튼부(56)를 조작하여 루버(30)를 열거나 닫은 경우, 제어부(551)는 일정시간 동안 제어를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루버 시스템의 외부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루버 시스템은, 창문에 사각으로 설치된 프레임(20)을 포함한다.
또한, 양측 상기 프레임(20)의 내측에 복수개로 설치된 수직바(21)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바(21)에는 결합공(21a)이 형성된다.
양 상기 수직바(21)의 사이에 외기를 차폐할 수 있게 다수개로 수직으로 설치된 루버(30)가 구성된다.
상기 루버(30)의 양단부에 이의 회전을 용이하게 설치된 브라켓(31)이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31)에는 결합통공(31a)이 형성된다.
양 상기 수직바(21)의 외측에 설치된 로드바(22)가 구성된다.
상기 수직바(21)와 상기 브라켓(31)에 관통되어 연결되는 회동캡(40)이 구성된다. 즉, 상기 회동캡(40)에 형성된 연결축(41)은 상기 수직바(21)의 상기 결합공(21a)과 상기 브라켓(31)의 상기 결합통공(31a)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축(41)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돌기(42)는 후술되는 양 로드바(22)에 형성된 결합삽입통공(22a)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동캡(40)의 내측은 양 상기 로드바(22)의 외측면과 연결되어 회동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회동캡(40) 상기 연결축(41)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돌기(42)는 후술되는 양 로드바(22)에 형성된 결합삽입통공(22a)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동캡(40)의 정역회전에 따라 양 상기 로드바(22)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하강하거나 상승함으로써 상기 루버(30)를 여닫게 되는 전동오퍼레이터(50)로 구성된다.
*상기 전동오퍼레이터(50)는 상기 회동캡(40)과 연결된 회동축(51)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회동캡(40)의 외측에 연장형성된 연결부(40a)에 상기 회동축(51)이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회동축(51)과 연결된 감속기(52)가 설치된 장착프레임(53)으로 구성된다.
상기 감속기(52)와 연결설치되고, 상기 장착프레임(53)에 설치된 모터(54)로 구성된다.
*상기 감속기(52) 및 상기 모터(54)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장착프레임(53)에 설치된 제어피씨비(PCB)기판(55)으로 구성된다.
제어피씨비(PCB)기판(55)에는 제어부(551), 메모리(113), 타이머(114)가 포함된다.
상기 제어피씨비(PCB)기판(55)과 연결되고 상기 장착프레임(53)에 설치된 제어버튼부(56)로 구성된다.
상기 장착프레임(53)의 상부에는 상기 감속기(52)가 설치되고, 상기 감속기(52)의 하부에 상기 모터(54)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54)의 하부에 상기 제어피씨비기판(55)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버튼부(56)의 상부 후방에 상기 감속기(52)의 구동축(52a)의 외측둘레에 삽입되도록 결합홈부(57a)를 갖는 결합지지대(57)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어버튼부(56)의 상부 후방에 상기 감속기(52)의 구동축(52a)의 외측둘레에 삽입되도록 결합홈부(57a)를 갖는 결합지지대(57)가 설치되는 것은, 상기 제어버튼부(56)가 상기 장착프레임(53)에 다수개의 볼트로 결합시 상기 장착프레임(53)에 설치된 상기 감속기(52)의 상기 회동축(51)의 외측둘레에 보다 상기 결합지지대(57)로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어버튼부(56)의 외측면에 형성된 홈부(56a)에는 다수개의 통공(59)들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통공(59)의 내부에는 상기 제어피씨비(PCB)기판(55)과 연계되는 구동버튼(56b)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어피씨비(PCB)기판(55)과 연계된 무선리모트콘트롤러 센서부(56c)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버튼(56b)들의 각각의 외측면에 맞닿도록 전방부에 다수개로 형성된 터치부(58a)를 형성한 접촉커버(58)로 구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상기 구동버튼(56b)은 상기 루버(30)들을 상기 감속기(52) 및 상기 모터(54)를 가동하여 상기 프레임(20)의 내부에서 상승 및 하강시키는 전원온 및 오프버튼(56b-1)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루버(30)들을 상기 양 상기 수직바(21)의 내부에서 상부로 완전히 상승시키는 상승풀오픈버튼(56b-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루버(30)들을 양 상기 수직바(21)의 내부에서 상부로 순차적으로 상승시키는 상승스텝오픈버튼(56b-3)으로 구성된다.
상기 루버(30)들을 양 상기 수직바(21)의 내부에서 하부로 완전히 하강시키는 하강풀오픈버튼(56b-4)으로 구성된다.
상기 루버(30)들을 양 상기 수직바(21)의 내부에서 하부로 순차적으로 하강시키는 하강스텝오픈버튼(56b-5)들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구동버튼(56b)를 전원온 및 오프버튼(56b-1), 상승풀오픈버튼(56b-2), 상승스텝오픈버튼(56b-3), 하강풀오픈버튼(56b-4), 하강스텝오픈버튼(56b-5)으로 구성하여 상기 구동버튼(56b)과, 상기 제어피씨비기판(55)과, 상기 모터(54)와, 상기 감속기(52)와 연계되어 구동되는 상기 구동축(31)으로 상기 구동캡(40)을 구동하여 상기 구동캡(40)과 연동되는 상기 로드바(22)와, 브라켓(31)과 연동되는 상기 루버(30)들을 상기 프레임(20)의 내부 양측 상기 수직바(21)의 내부에서 완전승강시키거나, 상기 루버(30)들을 상기 프레임(20)의 내부 양측의 상기 수직바(21) 내부에서 순차적으로 상승 및 하강을 자유롭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어버튼부(56)에는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온도센서(56d)가 설치되고, 상기 온도센서(56d)와 연계되어 상기 구동버튼(56b)을 구동하는 구동부(56e)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어버튼부(56)에는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온도센서(56d)가 설치되고, 상기 온도센서(56d)와 연계되어 상기 구동버튼(56b)을 구동하는 구동부(56e)가 구비된다.
*실내온도를 상기 온도센서(56d)는 이 실내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56e)를 구동하여 상기 제어피씨비기판(55)과 연계하여 상기 구동캡(40)을 구동하여 상기 구동캡(40)과 연동되는 상기 로드바(22)와, 브라켓(31)와 연동되는 상기 루버(30)들을 상기 프레임(20)의 내부 양측의 상기 수직바(21) 내부에서 승강시키거나, 상기 루버(30)들의 각도를 조절하여 실내온도를 조절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온도센서(56d)가 실내온도가 높을 경우, 이 실내온도를 하강 시키기 위해서, 상기 구동부(56e)를 구동하여 상기 구동부(56e)와 연계된 상기 루버(30)들의 각도를 조절하여 양 상기 수직바(21)의 사이에서 상기 루버(30)들을 개방하여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하도록하여 실내온도를 조절하고, 다시 상기 구동부(56e)로 하여금 상기 루버(30)들을 양 상기 수직바(21)에서 닫아 조절된 실내온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종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장착프레임(53)의 전방일단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제어버튼부(56)의 후방면이 맞닿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어버튼부(56)의 결합지지대(57)에 구비된 결합홈부(57a)가 상기 장착프레임(53)에 설치된 상기 회동축(51)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회동축(51)은 상기 장착프레임(53)에 형성된 결합공(53a)에 삽입관통되어 상기 장착프레임(53)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회동축(51)과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어버튼부(56)는 상기 장착프레임(53)의 전방일단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수평판(56-1)과, 상기 수평판(56-1)의 외측면에서 일측으로 치우쳐져서 돌출형성된 돌설부(56-2)로 구성된다.
상기 돌설부(56-2)의 외측면에 홈부(56a)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어버튼부(56)의 상기 접촉커버(58)에는 복수개의 자동수신센서램프(70a)와 수동수신센서램프(70b)가 설치되고, 상기 자동수신센서램프(70a)와 수동수신센서램프(70b)와 연계된 자동수동전환스위치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술하는 본 발명은 상기 창문(10)에 사각으로 설치된 상기 프레임(20)의 내부 양측에 설치된 상기 수직바(21)의 사이에 수직으로 다수개로 설치된 상기 루버(30)와 이 상기 루버(30)를 양 상기 프레임(20), 상기 수직바(21)의 사이에서 여닫도록 상기 브라켓(31)과 상기 회동캡(40)과, 상기 로드바(22)와, 상기 전동오퍼레이터(50)가 서로 연동되게 구성되고, 상기 모터(54)와, 상기 감속기(52)와, 상기 제어피씨비기판(55)과, 이들과 연계된 상기 전동오퍼레이터(50)를 구성하며, 상기 모터(54)와, 상기 감속기(52)와, 상기 제어피씨비기판(55)이 구비된 상기 프레임(20)과 이 상기 프레임(20)과 연결된 상기 전동오퍼레이터(50)로 구성한다.
그래서 상기 전동오퍼레이터(50)의 구성을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구비된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동오퍼레이터(50)의 자체에 상기 모터(54)와 상기 감속기(52)를 설치하여 상기 루버(30)들을 상기 프레임(20)의 상기 수직바(21)의 사이에서 승강시, 상기 전동오퍼레이터(50)에 상기 모터(54) 및 상기 감속기(52)와 연계된 상기 제어피씨비기판(55)과 연계되어 제어하는 상기 구동버튼(56b)들로 상기 프레임(20)의 상기 수직바(21)의 사이에서 상기 루버(30)들을 상,하로 완전히 상승 및 하강시키거나, 상,하로 순착적으로 상,하로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하여 상기 루버(30)들의 승강을 완전히 또는 선택적으로 승강하도록 하여서, 상기 전동오퍼레이터(50)로 상기 프레임(20)의 상기 수직바(21)의 사이에서 상기 루버(30)들을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상승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소음센서(111)가 에어컨의 소음을 감지하고, 온도 센서(56d)가 루버 시스템의 내부 온도 또는 외부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551)로 출력한다(S100). 또한, 빗방울 감지 센서(112)는 비나 눈을 감지하여 제어부(551)로 출력한다.
그러면, 제어부(551)가 소음센서(111)로부터 감지된 소음을 수신하고(S100), 상기 제어부(551)가 에어컨 가동중인지 판단한다(S110). 즉 소음이 일정 수준 이상이면 에어컨 가동으로 판단한다. 필요에 따라 진동 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에어컨 가동중이면, 상기 제어부(551)가 전동오퍼레이터(50)를 구동하여 루버(30)를 개방시킨다(S150).
에어컨 가동중이 아니면, 상기 제어부(551)가 현재 온도가 계절별로 루버(30)를 개방하기 위한 제1기준온도 이상인지 판단한다(S120).
현재 온도가 계절별로 루버(30)를 개방하기 위한 제1기준온도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551)가 전동오퍼레이터(50)를 구동하여 루버(30)를 개방시킨다(S150).
현재 온도가 계절별로 루버(30)를 개방하기 위한 제1기준온도 이상이 아니면, 상기 제어부(551)가 현재 온도가 계절별로 루버(30)를 폐쇄하기 위한 제2 기준온도 이하인지 판단한다(S130). 제1기준온도는 루버(30)가 폐쇄된 상태에서 에어컨이 가동되는 경우로서, 봄이나 가을철에는 섭씨 20~25도이고. 여름철에는 섭씨 27~35도일 수 있다.
현재 온도가 계절별로 루버(30)를 폐쇄하기 위한 제2기준온도 이하이면, 상기 제어부(551)가 루버(30)를 폐쇄시킨다(S160). 제2온도는 루버(30)가 개방되었을 경우의 온도로서 겨울철에는 섭씨 0~10도이고, 봄이나 가을에는 섭씨10~20도이고, 여름철에는 섭씨 20~25도일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다.
현재 온도가 계절별로 루버(30)를 폐쇄하기 위한 제2기준온도 이하가 아니면, 상기 제어부(551)가 빗방울이 감지되었는지 판단한다(S140).
빗방울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551)는 에어컨이 가동중인지 판단한다(S170).
에어컨이 가동중이 아니면, 상기 제어부(551)는 전동오퍼레이터(50)를 구동하여 상기 루버(30)를 폐쇄시킨다(S160).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에어컨 가동중이 아닐 경우에 눈이나 비가 오는 것을 감지하여 루버를 닫아 내부로 물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현재 온도가 계절별로 루버(30)를 폐쇄하기 위한 제2기준온도 이하이면, 상기 제어부(551)는 전동오퍼레이터(50)를 구동하여 상기 루버(30)를 폐쇄시킨다(S160).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외부의 매연이나 좋지 않은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차가운 겨울에 루버가 열려 있을시 베란다 등의 실내 온도가 내려가면 자동으로 루버를 닫아 배란다에 설치된 수도가 얼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창문에 설치된 프레임의 내부 양측에 설치된 수직바의 사이에 다수개로 설치된 루버를 전동오퍼레이터가 서로 연동시켜 에어컨 가동시에 자동으로 루버가 개방되도록 하는 에어컨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계절별로 다른 온도를 적용하여 온도가 일정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루버를 닫고, 또한, 계절별로 일정온도 이상 올라가면, 루버를 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루버를 닫거나 열었을 경우에는 일정시간 동안은 현재상태를 유지하고, 일정 시간후에 상기 자동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창문 20: 프레임
21: 수직바 21a: 결합공
22: 로드바 22a: 결합삽입통공
30: 루버 31: 브라켓
31a: 결합통공 40: 회동캡
40a: 연결부 41: 연결구
42: 결합돌기 50: 전동오퍼레이터
51: 구동축 52: 감속기
53: 장착프레임 54: 모터
55: 제어피씨비기판 56: 제어버튼부
56a: 홈부 56b: 구동버튼
56c: 무선리모트콘트롤러 센서부 56d: 온도센서
56e: 구동부 57: 결합지지대
57a: 결합홈부 58: 접촉커버
58a : 터치부 59: 통공
111: 소음센서 112: 빗방울 감지 센서
113: 메모리 114: 타이머
551: 제어부

Claims (1)

  1. 루버 시스템에서,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
    계절별로 루버를 열기 위한 제1기준온도 및 루버를 닫기 위한 제2기준온도를 저장하는 메모리;
    시계 기능을 하는 타이머;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현재 온도를 입력받고, 상기 타이머로부터 현재의 계절을 입력받아 계절별로 제1기준온도 이상이면 루버를 닫고, 제2기준온도 이하이면 루버를 열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루버를 열거나 닫기 위한 전동오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에어컨의 가동을 감지하기 위한 소음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음센서의 입력에 따라 에어컨 가동을 판단하여 에어컨 가동시에 상기 루버를 열고,
    눈이나 비가 오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빗방울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에어컨 미가동시에 상기 빗방울 감지 센서로부터 비나 눈이 오는 것을 감지하여 루버를 닫고,
    제어부가 소음센서로부터 감지된 소음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에어컨 가동중인지 판단하는 단계;
    에어컨 가동중이면, 상기 제어부가 루버를 개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에어컨 가동중이 아니면, 상기 제어부가 현재 온도가 계절별로 루버를 개방하기 위한 제1기준온도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현재 온도가 계절별로 루버를 개방하기 위한 제1기준온도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가 루버를 개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현재 온도가 계절별로 루버를 개방하기 위한 제1기준온도 이상이 아니면, 상기 제어부가 현재 온도가 계절별로 루버를 폐쇄하기 위한 제2기준온도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
    현재 온도가 계절별로 루버를 폐쇄하기 위한 제2기준온도 이하이면, 상기 제어부가 루버를 폐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현재 온도가 계절별로 루버를 폐쇄하기 위한 제2기준온도 이하가 아니면, 상기 제어부가 빗방울이 감지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빗방울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에어컨이 가동중인지 판단하는 단계;
    에어컨이 가동중이 아니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루버를 폐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창문에 설치된 프레임(20)과, 양측 상기 프레임(20)의 내측에 복수개로 설치된 수직바(21)와, 양 상기 수직바(21)의 사이에 외기를 차폐할 수 있게 다수개로 수직으로 설치된 루버(30)와, 상기 루버(30)의 양단부에 이의 회전을 용이하게 설치된 브라켓(31)과, 양 상기 수직바(21)의 외측에 설치된 로드바(22)와, 상기 수직바(21)와 상기 브라켓(31)에 관통되어 연결되는 회동캡(40)과, 상기 회동캡(40)의 내측은 양 상기 로드바(22)의 외측면과 연결되어 회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회동캡(40)의 정역회전에 따라 양 상기 로드바(22)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하강하거나 상승함으로써 상기 루버(30)를 여닫게 되는 전동오퍼레이터(50)를 구비하며
    상기 공지된 기술인 온도센서, 메모리, 타이머, 제어부, 전동오퍼레이터, 소음센서, 루버, 빗방울 감지 센서, 프레임(20), 수직바(21), 브라켓(31), 로드바(22), 회동캡(40)으로 형성된 루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동오퍼레이터(50)는 상기 회동캡(40)과 연결된 회동축(51)과, 상기 회동축(51)과 연결된 감속기(52)가 설치된 장착프레임(53)과, 상기 감속기(52)와 연결설치되고, 상기 장착프레임(53)에 설치된 모터(54)와, 상기 감속기(52) 및 상기 모터(54)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장착프레임(53)에 설치된 제어피씨비(PCB)기판(55)와, 상기 제어피씨비(PCB)기판(55)과 연결되고 상기 장착프레임(53)에 설치된 제어버튼부(56)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버튼부(56)의 상부 후방에 상기 감속기(52)의 구동축(52a)의 외측둘레에 삽입되도록 결합홈부(57a)를 갖는 결합지지대(5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시스템.
KR1020200110927A 2018-02-06 2020-09-01 루버 시스템 KR102255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927A KR102255061B1 (ko) 2018-02-06 2020-09-01 루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452A KR20190094838A (ko) 2018-02-06 2018-02-06 루버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0200110927A KR102255061B1 (ko) 2018-02-06 2020-09-01 루버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452A Division KR20190094838A (ko) 2018-01-04 2018-02-06 루버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784A true KR20200105784A (ko) 2020-09-09
KR102255061B1 KR102255061B1 (ko) 2021-05-21

Family

ID=72434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927A KR102255061B1 (ko) 2018-02-06 2020-09-01 루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0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706Y1 (ko) * 2004-06-30 2005-01-03 주식회사 엔휀스타 전동 개폐식 환기창
KR200405932Y1 (ko) * 2005-10-05 2006-01-11 주식회사 한스 복층유리 내장형 자동 블라인드 장치
KR20060113229A (ko) * 2005-04-30 2006-11-02 주식회사 그린엠앤씨 건축용 루버 자동 개폐장치
KR20080112688A (ko) * 2007-06-22 2008-12-26 신성델타테크 주식회사 환경 센서 노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706Y1 (ko) * 2004-06-30 2005-01-03 주식회사 엔휀스타 전동 개폐식 환기창
KR20060113229A (ko) * 2005-04-30 2006-11-02 주식회사 그린엠앤씨 건축용 루버 자동 개폐장치
KR200405932Y1 (ko) * 2005-10-05 2006-01-11 주식회사 한스 복층유리 내장형 자동 블라인드 장치
KR20080112688A (ko) * 2007-06-22 2008-12-26 신성델타테크 주식회사 환경 센서 노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5061B1 (ko) 2021-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3649B2 (en) Window treatment control using bright override
KR20190094838A (ko) 루버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US20120261079A1 (en) Method of controlling a motorized window treatment to save energy
KR200446074Y1 (ko) 친환경 에너지 절약형 자동제어 창호 시스템
CA2773110A1 (en) Automated window enclosure
KR102282451B1 (ko) 시스템 루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
KR101489307B1 (ko) 단열 시스템 루버
JP2002227328A (ja) ビル外壁用カーテンウォール
KR100783632B1 (ko) 창호용 자동 환기시스템
JP4735451B2 (ja) 通風建物
KR102255061B1 (ko) 루버 시스템
KR102041695B1 (ko) 루버시스템의 전동오퍼레이터
KR101612006B1 (ko) 이중창 시스템
KR20090019388A (ko) 개폐식 지붕 채광 창
CN211623063U (zh) 一种大推力迷你型电动开窗器
KR20160047794A (ko) 실내외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 가능한 루버장치
JP2780922B2 (ja) 光感応式駆動装置
KR101562171B1 (ko)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루버창
KR100588073B1 (ko) 빗물가림막 주택창호시설
JP4607739B2 (ja) 建物
JP3087794B2 (ja) スリット付シャッターの開閉制御装置
KR101510253B1 (ko) 루버시스템의 구동장치
KR101443273B1 (ko) 루버시스템의 구동장치
CN205778363U (zh) 一种自动百叶窗
WO2015023843A1 (en) Window treatment control using bright overr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