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2451B1 - 시스템 루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시스템 루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2451B1
KR102282451B1 KR1020190057148A KR20190057148A KR102282451B1 KR 102282451 B1 KR102282451 B1 KR 102282451B1 KR 1020190057148 A KR1020190057148 A KR 1020190057148A KR 20190057148 A KR20190057148 A KR 20190057148A KR 102282451 B1 KR102282451 B1 KR 102282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uver
motor
air conditioner
sensor
out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2152A (ko
Inventor
이흥룡
Original Assignee
이흥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흥룡 filed Critical 이흥룡
Priority to KR1020190057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451B1/ko
Publication of KR20200132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8Remote control using Internet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30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10Weather information or foreca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루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는, 에어컨 실외기와 마주하는 상기 시스템 루버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컨 실외기로부터 배출되는 바람의 세기를 측정하는 풍속센서; 상기 시스템 루버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루버의 개폐를 수행하는 개폐수단과 연결되는 모터; 및 상기 풍속센서로부터 입력받는 바람세기 데이터를 선정된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바람세기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모터를 통해 상기 루버가 열림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바람세기가 상기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모터를 통해 상기 루버가 닫힘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스템 루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MOVING OF SYSTEM LOUVER}
본 발명은 시스템 루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컨 실외기의 가동여부나 실내외의 환경상황에 대응하여 루버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 루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버(Louver)는 통풍이 요구되는 곳에 대한 시각적 노출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통풍을 보장하면서도 햇빛을 차단하고 우천시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루버는 보통 기계실이나 주차장, 공장 벽체 등에 설치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건물의 미관이나 실외기의 청결 문제 등으로 인해 옥상 등에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여 에어컨의 실외기를 설치하거나, 건물 내에 실외기를 매입 설치하고 있다. 이때, 실외기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냉방시에는 개방하여 열풍을 배출할 수 있도록 실외기의 외측에 루버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를 시스템 루버라 한다.
통상적인 시스템 루버는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11)과 한 쌍의 수평프레임(112)이 조립되어 형성되는 장방형의 프레임부재(110)와; 상기 수직프레임(111) 사이에 상하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설치되며 회전을 통해 프레임부재(110)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복수개의 개폐블레이드(120)와; 상기 수직프레임(111)에 구비되어 개폐블레이드(120)를 동시에 개폐시키는 구동장치(130)와;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블레이드(125); 상기 수직프레임(111)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개폐블레이드(120)의 단부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회전브래킷(140); 및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고정블레이드(125)의 단부를 지지하는 고정브래킷(145);을 포함한다.
상기한 통상의 시스템 루버에서는 상기 개폐블레이드(120)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개폐블레이드(120)와 고정블레이드(125)가 맞물림과 아울러 상기 개폐블레이드(120)들끼리 서로 맞물리게 됨으로써 상기 프레임부재(110)를 밀폐할 수 있고, 상기 개폐블레이드(120)들이 회전되어 나란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프레임부재(110)를 개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구동장치(130)를 직접 손으로 밀거나 당기면서 개폐블레이드(120), 즉 루버가 열리거나 닫히게 할 수 있다. 시스템 루버는 주로 에어컨 실외기가 위치하는 공간인 실외기실에 설치되는데 실외기실은 주로 발코니나 복도 등 실내와는 이격된 공간에 위치한다. 따라서 실내에서 에어컨을 가동시키면 사용자가 직접 실외기실로 이동하여 수동으로 루버를 열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미세먼지 등 외부 공기오염이 심한 상황에서 에어컨의 가동이 잦아지면 사용자는 수시로 실외기실로 이동하여 루버를 수동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뒤따른다. 이에 에어컨 실외기의 가동상태나 환경상태에 따라 시스템 루버의 개방이나 폐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KR 10-2011-0084064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에어컨 실외기의 가동여부나 실내외의 환경상황에 대응하여 루버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 루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루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는, 에어컨 실외기와 마주하는 상기 시스템 루버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컨 실외기로부터 배출되는 바람의 세기를 측정하는 풍속센서; 상기 시스템 루버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루버의 개폐를 수행하는 개폐수단과 연결되는 모터; 및 상기 풍속센서로부터 입력받는 바람세기 데이터를 선정된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바람세기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모터를 통해 상기 루버가 열림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바람세기가 상기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모터를 통해 상기 루버가 닫힘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루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의 상기 제어기는 하나 이상의 바람세기 범위값 각각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루버 개방각도 정보가 기록된 개방각도 테이블을 유지하고, 상기 풍속센서로부터 입력받는 상기 바람세기 데이터의 바람세기 값에 대응하는 루버 개방각도를 상기 개방각도 테이블로부터 판독하며, 상기 판독된 루버 개방각도만큼 상기 루버가 열림 상태가 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루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는, 건물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시스템 루버의 외측에 설치되어 빗물을 감지하는 레인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레인센서로부터 입력받는 데이터를 통해 비가 내리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모터를 통해 상기 루버가 닫힘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루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는, 건물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시스템 루버의 외측에 설치되어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 및 건물 내부로 노출되는 상기 시스템 루버의 내측에 설치되어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입력받는 제1 온도와 상기 제2 온도센서로부터 입력받는 제2 온도 간의 차가 선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모터를 통해 상기 루버가 열림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루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는,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기와 통신 연결되는 이산화탄소 농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센서로부터 입력받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선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루버가 열림 상태가 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루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의 상기 제어기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미세먼지 정보 제공서버와 연결되어 미세먼지 정보를 수신하고, 현재 미세먼지 값이 선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루버가 닫힘 상태가 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루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는 상기 에어컨 실외기의 전원 단자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컨 실외기로 유입되는 전류의 세기를 측정하는 전류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전류센서로부터 입력받는 전류의 세기가 선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루버가 열림 상태가 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 루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지 않더라도 에어컨 실외기의 작동여부나 실내외 환경상황에 따라 적절히 대응하여 자동으로 루버가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 루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에 따르면, 에어컨 실외기가 가동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비가오는 상황이나 실내외 온도차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미세먼지 상황에 따라 루버의 개폐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보다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시스템 루버의 외부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시스템 루버의 블레이드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루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루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루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는 시스템 루버와 연계하여 설치될 수 있다. 시스템 루버는 주로 에어컨 실외기실에 설치되는데, 본 발명의 장치는 에어컨 실외기실에 시스템 루버와 함께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각종 센서와 제어기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각종 센서는 필요에 따라 시스템 루버에 설치될 수도 있고, 실외기실의 외부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건물 내부의 생활공간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어기는 별도의 독립된 기기로 구현되어 시스템 루버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일부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에어컨 실외기의 유무와 상관없이 시스템 루버가 설치되는 다양한 환경에서 설치되고 동작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가 에어컨 실외기에 대응하여 실외기실의 시스템 루버와 연동되어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루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루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루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는 풍속센서(311), 레인센서(312), 제1 온도센서(313), 제2 온도센서(314), 이산화탄소 농도센서(315), 전류센서(316), 제어기(320), 모터(330)를 구성으로 포함한다.
풍속센서(311)는 에어컨 실외기(310)와 마주하는 시스템 루버에 설치되어 에어컨 실외기(310)로부터 배출되는 바람의 세기를 측정한다. 풍속센서(311)는 측정한 바람세기에 대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제어기(320)로 전송한다. 모터(330)는 개폐수단(301)과 연결된다. 개폐수단(301)은 시스템 루버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루버(302)의 개폐를 수행한다. 모터(330)는 개폐수단(301)에 동력을 전달하여 루버(302)가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기(320)는 풍속센서(311)로부터 바람세기 데이터를 입력 받는다. 제어기(320)는 상기 바람세기 데이터를 선정된 임계값과 비교한다. 제어기(320)는 상기 바람세기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모터(330)를 제어하여 루버(302)가 열림 상태가 되도록 한다. 제어기(320)는 상기 바람세기가 상기 임계값 미만인 경우 모터(330)를 제어하여 루버(302)가 닫힘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에어컨 실외기(310)로부터 일정 세기 이상의 바람이 배출되면 이를 풍속센서(311)가 감지하고, 제어기는 풍속센서(311)의 감지에 대응하여 모터(330)를 통해 루버(302)가 자동으로 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320)는 내장된 메모리에 개방각도 테이블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개방각도 테이블에는 하나 이상의 바람세기 범위값과 그에 대응하는 각각의 루버 개방각도 정보가 기록된다. 예를 들어 바람세기가 1 내지 10으로 구현되는 경우, '0' 이라는 바람세기 범위값에 대응하여 '0도'라는 루버 개방각도 정보가 기록되고, '1 ~ 3'이라는 바람세기 범위값에 대응하여 '30도'라는 루버 개방각도 정보가 기록되며, '4 ~ 6'이라는 바람세기 범위값에 대응하여 '60도'라는 루버 개방각도 정보가 기록되고, '7 ~ 10'이라는 바람세기 범위값에 대응하여 '90도'라는 루버 개방각도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바람세기 범위값과 루버 개방각도는 관리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한 실측 값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기(320)는 풍속센서(311)로부터 입력받는 바람세기 데이터의 바람세기 값을 판독한다. 제어기(320)는 상기 판독한 바람세기 값이 속하는 바람세기 범위값을 상기 개방각도 테이블로부터 판독한다. 제어기(320)는 상기 판독한 바람세기 범위값에 대응하는 루버 개방각도 정보를 판독하고, 그에 해당하는 만큼의 각도로 루버(302)가 틸팅되어 열림상태가 되도록 모터(3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에어컨 실외기의 가동여부를 에어컨 실외기에서 배출되는 바람을 풍속센서(311)가 감지하는 방법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에어컨 실외기의 가동여부를 전류센서(316)를 통해 감지할 수도 있다.
전류센서(316)는 에어컨 실외기의 전원 단자에 설치되어 에어컨 실외기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를 측정하고 이에 대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제어기(320)로 전송한다. 실내의 에어컨이 전원오프 상태이면 에어컨 실외기도 전원오프 상태이므로 에어컨 실외기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거나 미세한 대기전류만 흐르게 된다. 에어컨이 가동되면 에어컨 실외기도 함께 가동되므로 에어컨 실외기에는 일정 수준 이상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제어기(320)는 에어컨 실외기가 가동될 때 흐르는 전류의 최소세기에 대응하는 전류 임계값에 대한 정보를 유지한다. 제어기(320)는 전류센서(316)로부터 입력받는 전류의 세기를 상기 전류 임계값과 비교한다. 상기 비교결과 상기 입력받는 전류의 세기가 상기 전류 임계값 이상으로 판독되는 경우, 제어기(320)는 에어컨 실외기가 가동된 것으로 판단하여 루버(302)가 열림 상태가 되도록 모터(330)를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류센서(3150)로부터 입력받는 전류의 세기가 상기 전류 임계값 미만인 경우, 제어기(320)는 에어컨 실외기의 가동이 중지된 것으로 판단하여 루버(302)가 닫힘 상태가 되도록 모터(330)를 제어할 수 있다.
레인센서(312)는 건물 외부로 노출되는 시스템 루버의 외측에 설치되어 빗물을 감지한다. 레인센서(312)는 빗물이 감지되면 이에 대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제어기(320)로 전송한다. 제어기(320)는 레인센서(312)로부터 빗물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외부에 비가 내리는 것으로 감지하고, 루버(302)가 닫힘 상태가 되도록 모터(330)를 제어한다. 제어기(320)는 에어컨 실외기(310)로부터 일정 세기 이상의 바람이 배출되어 루버(302)가 열린 상태이면서 레인센서(312)를 통해 빗물이 감지된 경우에는 루버(302)가 열림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컨 실외기의 작동 상황과 비가 내리는 상황이 경합하는 경우, 제어기(320)는 에어컨 실외기의 작동 상황에 우선권을 부여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루버(302)의 개방이나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온도센서(313)는 건물 외부로 노출되는 시스템 루버의 외측에 설치되어 외부 온도를 측정하고 이에 대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제어기(320)로 전송한다. 제2 온도센서(314)는 건물 내부로 노출되는 시스템 루버의 내측이나 실내에 설치되어 내부 온도를 측정하고 이에 대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제어기(320)로 전송한다. 제어기(320)는 제1 온도센서(313)로부터 입력받는 제1 온도와 제2 온도센서(314)로부터 입력받는 제2 온도의 차를 연산한다. 제어기(320)는 제1 온도와 제2 온도 간의 차를 선정된 값과 비교한다. 제1 온도와 제2 온도 간의 차가 선정된 값 이상으로 판독되는 경우, 제어기(320)는 모터(330)를 통해 루버가 열림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320)는 레인센서(312)를 통해 빗물이 감지되어 루버(302)가 닫힌 상태이면서 제1 온도와 제2 온도 간의 차가 선정된 값 이상으로 판독되는 경우에는 루버(302)가 닫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빗물 감지 상황과 실내외 온도차가 심한 상황이 경합하는 경우, 제어기(302)는 빗물 감지 상황에 우선권을 부여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루버(302)의 개방이나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농도센서(315)는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고 이에 대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제어기(320)로 전송한다. 제어기(320)는 이산화탄소 농도센서(315)로부터 입력받는 이산화탄소 농도를 선정된 값과 비교한다. 이산화탄소 농도가 선정된 값 이상으로 판독되는 경우, 제어기(320)는 루버(302)가 열림 상태가 되도록 모터(3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302)는 빗물이 감지되어 루버(302)가 닫힌 상태이면서 이산화탄소 농도가 선정된 값 이상으로 판독되는 경우에는 루버(302)가 열림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빗물 감지 상황과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심한 상황이 경합하는 경우, 제어기(320)는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심한 상황에 우선권을 부여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루버(302)의 개방이나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320)는 미세먼지 정보 제공서버(304)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다. 제어기(320)는 미세먼지 정보 제공서버(304)로부터 일정 주기마다 미세먼지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기(320)는 수신하는 미세먼지 정보에 포함되는 미세먼지 값을 선정된 임계값과 비교한다. 비교결과 미세먼지 값이 상기 임계값 이상으로 판독되는 경우, 제어기(320)는 루버(302)가 닫힘 상태가 되도록 모터(330)를 제어할 수 있다. 에어컨 실외기의 가동에 따른 루버(302) 열림 상태와 미세먼지 값이 임계값 이상인 상황이 경합하는 경우, 제어기(320)는 에어컨 실외기 가동 상황에 우선권을 부여하여 루버(302)가 에어컨 가동 시간까지만 열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온도와 제2 온도 간의 차가 선정된 값 이상으로 판독되어 루버(302)가 열린 상태와 미세먼지 값이 임계값 이상인 상황이 경합하는 경우, 제어기(320)는 미세먼지 상황에 우선권을 부여하여 루버(302)가 닫힘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농도가 심하여 루버(302)가 열린 상태와 미세먼지 값이 임계값 이상인 상황이 경합하는 경우, 제어기(320)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심한 상황에 우선권을 부여하여 루버(302)가 이산화탄소 농도가 정상으로 회복되는 시간까지 열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루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는 에어컨 실외기 가동여부, 빗물 감지여부, 실내외 온도차,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미세먼지 현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루버(302)가 자동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301: 개폐수단 302: 루버
303: 벽체 304: 미세먼지 정보 제공서버
310: 에어컨 실외기 311: 풍속센서
312: 레인센서 313: 제1 온도센서
314: 제2 온도센서 315: 이산화탄소 농도센서
320: 제어기 330: 모터

Claims (7)

  1. 시스템 루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에어컨 실외기와 마주하는 상기 시스템 루버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컨 실외기로부터 배출되는 바람의 세기를 측정하는 풍속센서;
    상기 시스템 루버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루버의 개폐를 수행하는 개폐수단과 연결되는 모터;
    건물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시스템 루버의 외측에 설치되어 빗물을 감지하는 레인센서;
    건물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시스템 루버의 외측에 설치되어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
    건물 내부로 노출되는 상기 시스템 루버의 내측이나 실내에 설치되어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고, 제어기와 통신 연결되는 이산화탄소 농도센서;
    상기 에어컨 실외기의 전원 단자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컨 실외기로 유입되는 전류의 세기를 측정하는 전류센서; 및
    상기 풍속센서로부터 입력받는 바람세기 데이터를 선정된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바람세기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모터를 통해 상기 루버가 열림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바람세기가 상기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모터를 통해 상기 루버가 닫힘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되, 하나 이상의 바람세기 범위값 각각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루버 개방각도 정보가 기록된 개방각도 테이블을 유지하고, 상기 풍속센서로부터 입력받는 상기 바람세기 데이터의 바람세기 값에 대응하는 루버 개방각도를 상기 개방각도 테이블로부터 판독하며, 상기 판독된 루버 개방각도만큼 상기 루버가 열림 상태가 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레인센서로부터 입력받는 데이터를 통해 비가 내리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모터를 통해 상기 루버가 닫힘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에어컨 실외기로부터 일정 세기 이상의 바람이 배출되어 루버가 열린 상태이면서 레인센서를 통해 빗물이 감지된 경우에는 루버가 열림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입력받는 제1 온도와 상기 제2 온도센서로부터 입력받는 제2 온도 간의 차가 선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모터를 통해 상기 루버가 열림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레인센서를 통해 빗물이 감지되어 루버가 닫힌 상태이면서 제1 온도와 제2 온도 간의 차가 선정된 값 이상으로 판독되는 경우에는 상기 루버가 닫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센서로부터 입력받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선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루버가 열림 상태가 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며, 상기 레인센서를 통해 빗물이 감지되어 상기 루버가 닫힌 상태이면서 이산화탄소 농도가 선정된 값 이상으로 판독되는 경우에는 상기 루버가 열림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기는 전류센서로부터 입력받는 전류의 세기가 선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루버가 열림 상태가 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전류센서로부터 입력받는 전류의 세기가 상기 전류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루버가 닫힘 상태가 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며,
    상기 제어기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미세먼지 정보 제공서버와 연결되어 미세먼지 정보를 수신하고, 현재 미세먼지 값이 선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루버가 닫힘 상태가 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에어컨 실외기의 가동에 따른 상기 루버의 열림 상태와 미세먼지 값이 임계값 이상인 상황이 경합하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에어컨 실외기 가동 상황에 우선권을 부여하여 상기 루버가 에어컨 가동 시간까지만 열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온도센서와 상기 제2 온도센서를 통해 수집하는 제1 온도와 제2 온도 간의 차가 선정된 값 이상으로 판독되어 상기 루버가 열린 상태와 미세먼지 값이 임계값 이상인 상황이 경합하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미세먼지 상황에 우선권을 부여하여 상기 루버가 닫힘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센서를 통해 수집한 이산화탄소 농도가 임계값 이상으로 판독되어 상기 루버가 열린 상태와 상기 미세먼지 정보 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미세먼지 값이 임계값 이상인 상황이 경합하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심한 상황에 우선권을 부여하여 상기 루버가 이산화탄소 농도가 정상으로 회복되는 시간까지 열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루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057148A 2019-05-15 2019-05-15 시스템 루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 KR102282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148A KR102282451B1 (ko) 2019-05-15 2019-05-15 시스템 루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148A KR102282451B1 (ko) 2019-05-15 2019-05-15 시스템 루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152A KR20200132152A (ko) 2020-11-25
KR102282451B1 true KR102282451B1 (ko) 2021-07-26

Family

ID=73645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148A KR102282451B1 (ko) 2019-05-15 2019-05-15 시스템 루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4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949B1 (ko) 2022-04-11 2023-05-26 주식회사 흥성이엔씨 실외기 작동 여부 및 온도에 따라 자동 조정되는 루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225B1 (ko) * 2020-12-01 2021-09-27 주식회사 금영이엔지 댐퍼 일체형 풍량 조절 시스템
CN115092561A (zh) * 2022-06-06 2022-09-23 国家能源集团国源电力有限公司 预防煤仓自燃装置及煤仓
CN117060242B (zh) * 2023-08-18 2024-05-28 北京达三江电器设备厂 一种自动报警的防雨式配电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8324A (ja) * 2008-01-16 2009-07-30 Panasonic Corp 吸気口
KR101550157B1 (ko) 2014-11-26 2015-09-03 박선은 에어컨실외기의 자동루버시스템
KR101821625B1 (ko) * 2017-07-27 2018-01-25 (주)나우 루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635B1 (ko) 2010-01-15 2011-11-04 안건형 시스템루버의 구조
KR200471341Y1 (ko) * 2012-05-24 2014-02-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라멜라 각도 자동조절 기능을 구비한 루버
KR20160047794A (ko) * 2014-10-23 2016-05-03 최성열 실내외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 가능한 루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8324A (ja) * 2008-01-16 2009-07-30 Panasonic Corp 吸気口
KR101550157B1 (ko) 2014-11-26 2015-09-03 박선은 에어컨실외기의 자동루버시스템
KR101821625B1 (ko) * 2017-07-27 2018-01-25 (주)나우 루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949B1 (ko) 2022-04-11 2023-05-26 주식회사 흥성이엔씨 실외기 작동 여부 및 온도에 따라 자동 조정되는 루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152A (ko)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2451B1 (ko) 시스템 루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
JP4434998B2 (ja) 室内温度制御システム
US10295209B2 (en) Air-conditioning system and controller
CN101240931B (zh) 空调控制系统及方法
JP6193684B2 (ja) 電動突き出し窓
US201003320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Electrical Insulating Shutter System
KR102151260B1 (ko) 미세먼지감지기가 적용된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
JP6193683B2 (ja) 電動突き出し窓
JP4452610B2 (ja) 室内環境制御システム
KR100984118B1 (ko) 외기냉방 겸용 전열 교환 폐열회수 환기유니트
KR101238958B1 (ko) 공기 청정 및 에너지 저감 시스템
JP6321343B2 (ja) 電動突き出し窓
JP5629192B2 (ja) 室内環境制御システム
KR102292149B1 (ko) 실내 공기질 관리를 위한 원격 자동개폐 스마트 창호 시스템
CN105352125A (zh) 空调室外机工作环境检测方法及装置
JP2018080905A (ja) 温熱環境制御装置
JP2018162925A (ja) 空調制御装置、空気調和機、空調システム、空調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00141597A1 (en) Determining window efficiency setting for use in humidity control of a building
KR101821625B1 (ko) 루버 시스템
JP6425932B2 (ja) 空調システム
KR20180118834A (ko) 통풍경로를 제어하는 환기시스템 및 환기방법
JP5502699B2 (ja) 室内環境制御システム
CN105121972A (zh) 通风控制装置、通风系统和程序
WO2022024374A1 (ja) 空気調和システムおよび結露防止方法
JP5178003B2 (ja) 電動ブラインド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