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5713A - 입력 장치,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입력 장치,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05713A KR20200105713A KR1020207022852A KR20207022852A KR20200105713A KR 20200105713 A KR20200105713 A KR 20200105713A KR 1020207022852 A KR1020207022852 A KR 1020207022852A KR 20207022852 A KR20207022852 A KR 20207022852A KR 20200105713 A KR20200105713 A KR 2020010571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tection signal
- proximity
- change
- time
- input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886 linear fun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4 electromagnetic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2—Filtering of noise external to the device and not generated by digitiser compon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6—Touch location disambigu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 는 검출부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검출 신호의 크기와 제 2 시간의 관계를 도해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입력 장치에 있어서 검출 신호를 취득하고 나서 차분값을 산출할 때까지의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5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입력 장치에 있어서의 판정부의 판정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6 은 제 1 시간에 있어서의 검출 신호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입력 장치에 있어서의 판정부의 판정 처리의 일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8a 는 제 1 시간에 있어서의 검출 신호의 변화를 근사하는 회귀 직선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 는 제 1 시간에 있어서의 검출 신호의 변화를 근사하는 회귀 직선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입력 장치에 있어서의 판정부의 판정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입력 장치에 있어서의 판정부의 판정 처리의 일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 은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입력 장치에 있어서의 판정부의 판정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2 는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입력 장치에 있어서의 판정부의 판정 처리의 일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3 은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입력 장치에 있어서의 판정부의 판정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4 는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입력 장치에 있어서의 판정부의 판정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5 는 검출 신호의 크기와 제 1 시간의 관계를 도해한 도면이다.
도 16 은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입력 장치에 있어서의 판정부의 판정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7 은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된 입력 장치에 있어서의 판정부의 판정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10-1 ∼ 10-n : 검출부
101 : 검출 전극
102 : 정전 용량 검출 회로
103 : 스위치 회로
110 : 연산 증폭기
111 : 구동 전압 공급부
112 : AD 변환기
113 : 복조부
114 : 로우 패스 필터
30 : 처리부
301 : 제어부
302 : 판정부
302, 303 : 기준값 갱신부
304 : 차분값 산출부
305 : 위치 산출부
40 : 기억부
401 : 프로그램
50 : 인터페이스부
S1 ∼ Sn : 검출 신호
Claims (14)
- 물체의 근접 상태에 따른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장치로서,
상기 물체의 근접의 정도에 따라 변화하는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있어서 생성된 일련의 상기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물체의 근접에 수반하는 상기 검출 신호의 변화가 생겼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물체의 근접에 수반하는 상기 검출 신호의 변화가 생기지 않았다고 상기 판정부에 있어서 판정된 경우, 상기 검출부에 있어서 생성된 상기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물체가 근접하여 있지 않은 상태의 상기 검출 신호의 값을 나타내는 기준값을 갱신하는 기준값 갱신부를 갖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검출 신호와 상기 기준값의 차가 나타내는 상기 물체의 근접의 정도가 높을수록, 상기 물체의 근접에 수반하는 상기 검출 신호의 변화가 생겼다고 판정하기 쉬워지도록 판정 기준을 변경하는,
입력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제 1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검출 신호의 변화의 크기를 나타내는 제 1 평가값이 제 1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지 반복 판정하고,
상기 제 1 평가값이 상기 제 1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 상태가 제 2 시간 이상 계속된 경우, 상기 물체의 근접에 수반하는 상기 검출 신호의 변화가 생기지 않았다고 판정하고,
상기 검출 신호와 상기 기준값의 차가 나타내는 상기 물체의 근접의 정도에 따라, 상기 제 1 시간, 상기 제 1 범위 및 상기 제 2 시간의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입력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제 1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검출 신호의 변화의 크기를 나타내는 제 1 평가값이 제 1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지 반복 판정하고,
상기 제 1 평가값이 상기 제 1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물체의 근접에 수반하는 상기 검출 신호의 변화가 생기지 않았다고 판정하고,
상기 검출 신호와 상기 기준값의 차가 나타내는 상기 물체의 근접의 정도에 따라, 상기 제 1 시간 및 상기 제 1 범위의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입력 장치.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제 1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검출 신호의 평균값에 대한 상기 검출 신호의 편차의 크기를 나타내는 상기 제 1 평가값을 산출하는,
입력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제 1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검출 신호의 분산 또는 표준 편차에 따른 상기 제 1 평가값을 산출하는,
입력 장치.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제 1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검출 신호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에 따른 상기 제 1 평가값을 산출하는,
입력 장치. -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검출 신호를 평활화하는 로우 패스 필터 처리를 실시하고, 상기 로우 패스 필터 처리에 의해 평활화된 상기 검출 신호의 상기 제 1 시간에 있어서의 변화의 크기를 나타내는 상기 제 1 평가값을 산출하는,
입력 장치. -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제 1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검출 신호의 변화를 근사하는 회귀 직선의 기울기를 산출하고, 상기 회귀 직선의 기울기가 클수록, 상기 물체의 근접에 수반하는 상기 검출 신호의 변화가 생겼다고 판정되기 쉬워지도록 상기 제 1 시간 및 상기 제 1 범위의 적어도 일방을 변경하는,
입력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회귀 직선에 의한 상기 검출 신호의 추정값과 상기 검출 신호의 근사의 정도를 나타내는 제 2 평가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 2 평가값이 나타내는 상기 근사의 정도가 클수록, 상기 물체의 근접에 수반하는 상기 검출 신호의 변화가 생겼다고 판정되기 쉬워지도록 상기 제 1 시간 및 상기 제 1 범위의 적어도 일방을 변경하는,
입력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물체의 근접의 정도에 따라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캐패시터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상기 전극을 개재하여 전송되는 상기 캐패시터의 전하에 기초하여, 상기 정전 용량에 따른 상기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정전 용량 검출 회로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 - 물체의 근접 상태에 따른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물체의 근접의 정도에 따라 변화하는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검출부를 갖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검출부에 있어서 생성된 일련의 상기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물체의 근접에 수반하는 상기 검출 신호의 변화가 생겼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과,
상기 물체의 근접에 수반하는 상기 검출 신호의 변화가 생기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검출부에 있어서 생성된 상기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물체가 근접하여 있지 않은 상태의 상기 검출 신호의 값을 나타내는 기준값을 갱신하는 것과,
상기 검출 신호와 상기 기준값의 차가 나타내는 상기 물체의 근접의 정도가 높을수록, 상기 물체의 근접에 수반하는 상기 검출 신호의 변화가 생겼다고 판정되기 쉬워지도록, 당해 변화가 생겼는지 여부의 판정 기준을 변경하는 것을 갖는,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의 근접에 수반하는 상기 검출 신호의 변화가 생겼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은,
제 1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검출 신호의 변화의 크기가 제 1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지 반복 판정하는 것과,
상기 제 1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검출 신호의 변화의 크기가 상기 제 1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 상태가 제 2 시간 이상 계속된 경우, 상기 물체의 근접에 수반하는 상기 검출 신호의 변화가 생기지 않았다고 판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판정 기준을 변경하는 것은, 상기 검출 신호와 상기 기준값의 차가 나타내는 상기 물체의 근접의 정도에 따라, 상기 제 1 시간, 상기 제 1 범위 및 상기 제 2 시간의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의 근접에 수반하는 상기 검출 신호의 변화가 생겼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은,
제 1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검출 신호의 변화의 크기가 제 1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지 반복 판정하는 것과,
상기 제 1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검출 신호의 변화의 크기가 상기 제 1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물체의 근접에 수반하는 상기 검출 신호의 변화가 생기지 않았다고 판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판정 기준을 변경하는 것은, 상기 검출 신호와 상기 기준값의 차가 나타내는 상기 물체의 근접의 정도에 따라, 상기 제 1 시간 및 상기 제 1 범위의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8044504 | 2018-03-12 | ||
JPJP-P-2018-044504 | 2018-03-12 | ||
PCT/JP2019/005140 WO2019176429A1 (ja) | 2018-03-12 | 2019-02-13 | 入力装置、入力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5713A true KR20200105713A (ko) | 2020-09-08 |
KR102375993B1 KR102375993B1 (ko) | 2022-03-17 |
Family
ID=67907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22852A Active KR102375993B1 (ko) | 2018-03-12 | 2019-02-13 | 입력 장치,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1112906B2 (ko) |
EP (1) | EP3767442B1 (ko) |
JP (1) | JP6840287B2 (ko) |
KR (1) | KR102375993B1 (ko) |
CN (1) | CN111819527B (ko) |
WO (1) | WO201917642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779547B (zh) * | 2020-04-05 | 2022-10-01 | 昇佳電子股份有限公司 | 電容感測裝置操作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91322A (ko) * | 2008-09-19 | 2008-10-10 | 주식회사 애트랩 | 센서, 센서의 센싱 방법, 및 센서의 필터 |
KR20110087003A (ko) * | 2010-01-25 | 2011-08-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터치 감지 방법 및 그에 따른 터치 센서 장치 |
JP2017111507A (ja) | 2015-12-14 | 2017-06-22 |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 タッチ式入力装置 |
JP2017183272A (ja) * | 2016-03-25 | 2017-10-05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操作スイッチ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08682A (ja) * | 2006-02-02 | 2007-08-1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タッチパネル |
JP4714070B2 (ja) * | 2006-04-14 | 2011-06-29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入力装置 |
JP2010257046A (ja) * | 2009-04-22 | 2010-11-11 | Mitsubishi Electric Corp | 近接検知装置 |
JP5656666B2 (ja) * | 2011-01-21 | 2015-01-21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タッチパネル装置 |
JP5978663B2 (ja) * | 2012-03-12 | 2016-08-24 | 株式会社デンソー | 表示装置 |
JP5892514B2 (ja) * | 2012-08-08 | 2016-03-23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入力装置 |
JP2016095648A (ja) * | 2014-11-13 | 2016-05-26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入力装置 |
US10203804B2 (en) * | 2014-11-26 | 2019-02-12 | Alps Electric Co., Ltd. |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for |
JP2018044504A (ja) | 2016-09-15 | 2018-03-22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内燃機関の制御装置 |
JP2019067123A (ja) * | 2017-09-29 | 2019-04-25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 |
-
2019
- 2019-02-13 WO PCT/JP2019/005140 patent/WO2019176429A1/ja active IP Right Grant
- 2019-02-13 EP EP19768440.0A patent/EP3767442B1/en active Active
- 2019-02-13 CN CN201980017968.6A patent/CN111819527B/zh active Active
- 2019-02-13 KR KR1020207022852A patent/KR102375993B1/ko active Active
- 2019-02-13 JP JP2020505701A patent/JP6840287B2/ja active Active
-
2020
- 2020-09-08 US US17/014,531 patent/US11112906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91322A (ko) * | 2008-09-19 | 2008-10-10 | 주식회사 애트랩 | 센서, 센서의 센싱 방법, 및 센서의 필터 |
KR20110087003A (ko) * | 2010-01-25 | 2011-08-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터치 감지 방법 및 그에 따른 터치 센서 장치 |
JP2017111507A (ja) | 2015-12-14 | 2017-06-22 |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 タッチ式入力装置 |
JP2017183272A (ja) * | 2016-03-25 | 2017-10-05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操作スイッチ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176429A1 (ja) | 2019-09-19 |
EP3767442B1 (en) | 2025-04-02 |
KR102375993B1 (ko) | 2022-03-17 |
JPWO2019176429A1 (ja) | 2020-10-22 |
JP6840287B2 (ja) | 2021-03-10 |
EP3767442A1 (en) | 2021-01-20 |
US20200401268A1 (en) | 2020-12-24 |
US11112906B2 (en) | 2021-09-07 |
CN111819527B (zh) | 2024-09-06 |
EP3767442A4 (en) | 2021-12-15 |
CN111819527A (zh) | 2020-10-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219182B2 (ja) | 入力装置 | |
JP6246783B2 (ja) | 静電容量検出装置及び入力装置 | |
JP6976450B2 (ja) | センサ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6513513B2 (ja) | 入力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102375993B1 (ko) | 입력 장치,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 |
US12130986B2 (en) | Capacitance detection device and input device | |
KR102382657B1 (ko) | 입력 장치와 그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 |
CN110463041A (zh) | 用于电容检测的电路、触摸检测装置和终端设备 | |
US11054933B2 (en) | Touch sensor circuit and touch sensor method | |
JP6291077B2 (ja) | 入力装置 | |
JP2017156919A (ja) | 入力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80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3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