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5170A -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 - Google Patents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5170A
KR20200105170A KR1020190023953A KR20190023953A KR20200105170A KR 20200105170 A KR20200105170 A KR 20200105170A KR 1020190023953 A KR1020190023953 A KR 1020190023953A KR 20190023953 A KR20190023953 A KR 20190023953A KR 20200105170 A KR20200105170 A KR 20200105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unit
bogie
space
rail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9788B1 (ko
Inventor
송호정
송호준
송지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유코리아
송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유코리아, 송호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유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023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788B1/ko
Publication of KR20200105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5/00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by other methods; Apparatus for 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with organic solvents
    • C23G5/02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by other methods; Apparatus for 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with organic solvents using organic solvents
    • C23G5/04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08B5/043Cleaning travelling work
    • B08B5/046Cleaning moving web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3/00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 C23G3/02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for cleaning wires, strips, filaments continuously
    • C23G3/025Details of the apparatus, e.g. linings or sealing means
    • C23G3/026Details of the apparatus, e.g. linings or sealing means for guiding the object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3/00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 C23G3/02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for cleaning wires, strips, filaments continuously
    • C23G3/027Associated apparatus, e.g. for pretreating or after-tr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8Lubricating, e.g. lubricating tool and workpiece simultaneousl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leaning And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s By Chem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링거롤이 포함된 고정형 워싱 유닛만을 사용하여 세정하는 경우 협소한 공간에 오일러 장치 등 표면처리장치와 진공롤 세정시스템을 상호 독립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표면처리와 진공 흡입 공정을 선택적으로 연계 수행할 수 있는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은 상기 링거롤의 전방에 상기 강판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도록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 상에 설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대차와; 상기 제1대차에 설치되어 강판 표면처리장치와; 상기 레일 상에 상기 제1대차와 직렬로 설치되는 제2대차와; 상기 제2대차에 설치되어 강판 표면의 오일 또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진공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Stand-alone washing unit for space saving}
본 발명은 현장에 설치된 고정형 워싱 유닛의 일측에 설치가능한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링거롤이 포함된 고정형 워싱 유닛이 설치된 협소한 공간에서도 오일러 등 표면처리장치와 함께 진공롤로 이루어진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을 선택적으로 연계하여 필요한 오일 분사 등 표면처리와 함께, 진공롤의 진공 흡입 공정을 선택적으로 수행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바디 패널 부품을 생산하는 프레스 라인에서는, 외판, 내판, 용접 블랭크 등으로 가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소재 더미로부터 한 장씩 소재를 분리하고 세척하여 프레스 내에 자동 투입하는 디스텍 시트 피더(destacksheet feeder) 장비가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디스텍 시트 피더 장비에는 프레스 공정 전 단계에서 판형 소재의 표면에 묻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세척유로 세척하는 세정공정이 있고 이러한 세정공정은 자동차 바디 외판 품질불량과 밀접한 영향이 있다.
종래 프레스 라인의 세정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좌측으로부터 판형 소재(1)가 투입되며, 이 판형 소재(1)는 이송롤러(10)에 의해 수평 이송이 이루어지고, 도면 우측으로 수평 이송되는 동안 브러시롤러(20)에 의해 세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브러시롤러(20)와 인접하여 다수의 노즐부(30)가 구비되는데, 브러시롤러(20)의 회전 동작 중에 이 노즐부(30)에서 세척유가 분사되어 판형 소재(1)에 묻은 이물질이 제거할 수 있게 지원한다.
브러시롤러(20)를 통과한 판형 소재(1)는 링거롤러(40)를 통과하면서 표면에 묻어 있는 세척유가 제거되는데, 세정에 사용된 세척유는 오일 공급부(50)로 회수되어 필터링 과정을 거쳐 다시 노즐부(30)로 공급되고, 오일 공급부(50)는 회수된 세척유를 필터링하기 위한 여과장치와 세척유를 가압하여 공급하는 오일펌프가 구비된다.
한편 최신 기술이 보급된 국내 일부 생산라인에서는 상기 핀치롤, 브러시롤, 링거롤과 함께 강판 표면 세정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는 최신 진공롤이 직렬적으로 연결되도록 워싱 유닛을 구성하여 운용 중이나, 대부분의 소규모 기업체 생산라인에서는 내부 공간이 협소한 상태에서 핀치롤, 브러시롤 및 링거롤만 설치되어 최신 기술을 설치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즉 링거롤을 통해 오일은 90% 이상 제거할 수 있으나 이는 글로벌 품질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나머지 10% 내외의 오일을 완벽하게 제거하기 위해서는 최신 진공롤을 적용하여 함에도 고정 워싱 유닛이 이미 설치되고 추가 설치는 공간이 협소하여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5324호는 세정용 소재를 이송하기 위한 핀치롤러 및, 이에 의해 이송된 소재를 세정하는 브러시벨트 및 브러시벨트를 통과한 링거롤러를 포함하는 일반적 세정장치로서 종래 브러시 롤러대신 벨트형태의 브러시를 사용한 개선점이 있을뿐 여전히 품질 수준은 미흡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2-3850호는 세정장치의 점유 스페이스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세정기판 저면에 세정액 공급노즐을 갖추고 이에 간섭하지 않도록 승강이동시키는 지지체 승강구동장치를 갖도록 기판 세정장치가 구성되는데, 이는 고정형 워싱 유닛이 설치된 공장에 적용할 수 없는 기술인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처럼 종래의 고정형 워싱 유닛이 표면처리장치 공정과 연계 설치되어 운용되는 경우 진공롤 세정시스템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2-3850호(2002.1.1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5324호(2015.08.2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55268호(2008.06.19.)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21568호(1999.01.15.)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링거롤이 포함된 고정형 워싱 유닛과 오일러 등 표면처리장치가 설치된 소규모 공장에서 공간을 최소화하여 진공롤 세정장치를 추가할 수 있는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링거롤이 포함된 고정형 워싱 유닛의 일측에 설치가능한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은, 상기 링거롤의 전방에 상기 강판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도록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 상에 직렬로 설치되며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대차 및 제2대차가 설치되되; 상기 제1대차에는 강판 표면처리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제2대차에는 강판 표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진공롤;이 포함됨으로써, 상기 제1대차 또는 제2대차가 고정형 워싱 유닛에 선택적으로 연계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은 상기 링거롤의 전방에 배치되는 중앙 레일부와, 상기 중앙 레일부를 기준으로 좌측에 마련된 좌측 레일부와, 상기 중앙 레일부를 기준으로 우측에 마련된 우측 레일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 레일부와, 좌측 및 우측 레일부 중 어느 하나의 레일부는 상기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이 설치된 상태에서 제1대차 및 제2대차가 배치되지 않는 빈 공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대차와, 제2대차는 동시에 이동할 수 있는 일체형 또는 서로 분리된 채 이동할 수 있는 독립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형 워싱 유닛이 병렬로 2이상 복수 개가 평행 배치되는 경우, 상기 레일은, 상기 복수 개의 고정형 워싱 유닛에 포함된 링거롤의 전방에는 상기 중앙 레일부, 좌측 레일부 및 우측 레일부가 각각 대응하여 복수 개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대응 레일에는 상기 제1대차 및 제2대차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제1대차 및 제2대차는, 상기 표면처리장치 또는 진공롤을 적재하는 적재 대차와, 상기 레일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적재 대차를 이동시키는 구동 대차로 이루어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처리장치는 오일러인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은 이미 설치된 오일러 등 표면처리장치와 연계하여 협소한 공간에 설치할 수 있는 공간 절약효과가 있다.
또한 표면처리장치 또는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이 고정형 워싱 유닛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연계되도록 지원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 다양하게 처리할 수 있는 공정을 제공할 수 있다.
표면처리장치와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은 일체형 또는 독립형으로 구성하여 레일을 이용해 연계함으로써 복수의 고정형 워싱 유닛이 운용되는 대규모 생산라인에서도 쉽게 연계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이 배치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고정형 워싱 유닛의 전방에 진공롤이 배치되어 강판을 세정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고정형 워싱 유닛의 전방에 표면처리장치인 오일러 장치가 배치되어 강판을 세정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대차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1대차에 표면처리장치인 오일러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3c는 도 3b의 정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2대차에 진공롤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정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고정형 워싱 유닛이 병렬로 복수 개가 배치된 경우,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이 연계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프레스 라인의 세정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이란 고정형 워싱 유닛이 설치된 공장 내부의 강판 세정설비 일측에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표면처리장치와 독립 워싱 유닛을 선택적으로 연계하여 대체하도록 하는 독립형으로 고안된 워싱 유닛으로서, 워싱 유닛에 진공롤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이 배치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고정형 워싱 유닛의 전방에 진공롤이 배치되어 강판을 세정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고정형 워싱 유닛의 전방에 표면처리장치인 오일러 장치가 배치되어 강판을 세정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3a는 본 발명의 대차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1대차에 표면처리장치인 오일러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3c는 도 3b의 정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제2대차에 진공롤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정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공롤(150)을 이용한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100)은 강판(1) 표면을 세정하는 고정형 워싱 유닛(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은, 상기 링거롤의 전방에 상기 강판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도록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 상에 직렬로 설치되며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대차 및 제2대차가 설치되되; 상기 제1대차에는 강판 표면처리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제2대차에는 강판 표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진공롤;이 포함됨으로써, 상기 제1대차 또는 제2대차가 고정형 워싱 유닛에 선택적으로 연계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예로 고정형 워싱 유닛(10)은 핀치롤(pinch roll)(11)과, 브러쉬롤(brush roll)(12) 및, 링거롤(wringer roll)(15)이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강판(1)은 상기 핀치롤(11)에서 링거롤(15) 방향으로 이송되며 세정된다.
상기 핀치롤(11)은 상하 한 쌍으로 구성되며 회전하면서 강판(1)을 공정으로 투입된 시점에 픽업하여 이송을 시작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브러쉬롤(12)은 상하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강판의 이송 방향과 반대로 회전하면서 강판(1)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분리해 내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세정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하여 상기 브러쉬롤(12)의 전,후에는 강판(1) 표면에 세정유를 분사하는 노즐(13)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링거롤(15)은 통상 세정공정의 마지막 단계로서 세정을 마무리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문에 롤 표면은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져 강판(1) 표면 세정유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100)은 일 실시예로서 레일(110)과, 제1대차(121)와, 표면처리장치인 오일러 장치(130)와, 제2대차(122)와, 진공롤(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110)은 상기 링거롤(15)의 전방에 상기 강판(1)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상기 제1대차(121)와 제2대차(122)가 고정형 워싱 유닛(10)의 전방에서 직교하여 이동할 수 있게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세정롤에 연계되어 직교한 레일을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는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100)은 표면처리장치와 함께 제1대차 및 제2대차에 각각 설치된 경우 사용자 필요에 따라 표면처리장치 또는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100)을 고정형 워싱 유닛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지원한다.
또한 상기 레일(110)은 고정형 워싱 유닛(10)의 링거롤(15)의 전방에 배치되는 중앙 레일부(111)와, 상기 중앙 레일부(111)를 기준으로 좌측에 마련된 좌측 레일부(112)와, 상기 중앙 레일부(111)를 기준으로 우측에 마련된 우측 레일부(1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형 워싱 유닛에 후속하여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을 연계하고자 하면 이를 중앙레일부(111)에 위치하도록 하고, 오일러 장치 등 표면처리장치를 연계하고자 할 경우엔 표면처리장치를 중앙레일부(111)에 위치하게 함과 동시에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은 좌측 또는 우측 레일부로 이동시키면 된다.
그리고 각 대차는 도 3b, 도 3c 및 도 4a,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면처리장치인 오일러 장치(130) 또는 진공롤(150)을 적재하는 적재 대차(123)와, 상기 레일(11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적재 대차(123)를 이동시키는 구동 대차(12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적재 대차와 구동 대차를 구분하여 운영하면 장비 유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적재 대차에 다양한 처리공정을 부가할 수 있다.
상기 중앙 레일부(111)와, 좌측 레일부(112) 및 우측 레일부(113) 중 어느 하나의 레일부는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이 설치된 상태에서 제1대차(121) 및 제2대차(122)가 배치되지 않는 빈 공간(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 및 도 2a에서는 좌측 레일부(112)에 표면처리장치인 오일러 장치(130)가 배치되고, 중앙 레일부(111)에 진공롤(150)이 배치되며, 우측 레일부(113)는 빈 공간(S)으로 남는다. 따라서 도 1a의 경우 링거롤(15)을 빠져나온 강판(1)은 중앙 레일부(111)에 배치된 구동 대차(125)의 개구부(127)와, 진공롤(150)을 통과하기 때문에 표면처리장치인 오일러 장치(130)는 구동되지 않고 진공롤(150)만 구동되면서 표면의 이물질과 오일이 제거된 다음, 마그네틱 벨트 컨베이어(170)로 이송된다.
도 1b 및 도 2b에서는 좌측 레일부(112)가 빈 공간으로 남고, 중앙 레일부(111)에는 표면처리장치인 오일러 장치(130)가 배치되며, 우측 레일부(113)에는 진공롤(150)이 배치된다. 따라서 도 1b의 경우 링거롤(15)을 빠져나온 강판(1)은 중앙 레일부(111)에 배치된 구동 대차(125)의 개구부(127)와, 표면처리장치인 오일러 장치(130)를 통과하기 때문에 진공롤(150)은 구동되지 않고 표면처리장치인 오일러 장치(130)만 구동되면서 표면에 오일이 분사된다.
도 1c에서는 표면처리장치인 오일러 장치(130)와, 진공롤(150)이 각각 좌측 레일부(112) 및 우측 레일부(113)로 이동하여 중앙 레일부(111)가 빈 공간으로 남기 때문에 진공롤(150)과 표면처리장치인 오일러 장치(130)는 모두 구동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1c의 경우 세정 처리된 강판(1)을 이송하는 마그네틱 벨트 컨베이어(170)는 링거롤(15)에 인접하도록 이동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고정형 워싱 유닛(10)의 전방에 표면처리장치인 오일러 장치(130)와 진공롤(15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배치하거나, 빈 공간(S)으로 남겨 놓는 등 다양한 조합의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100)을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강판(1)의 종류, 표면 상태, 용도, 품질 등 제반 사정을 고려해 원하는 공정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대차 및 제2대차는, 상기 표면처리장치 또는 진공롤을 적재하는 적재 대차(123)와, 상기 레일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적재 대차를 이동시키는 구동 대차(12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 대차(125)는 레일(110) 상에 설치되며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적재 대차(123)는 구동 대차(125)에 의해 이동한다.
상기 구동 대차(125)의 구동원의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이 없으나,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캐리어(126)를 구비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대차(121)와, 제2대차(122)에는 각각 구동원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독립적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인데, 표면처리장치인 오일러 장치(130)와, 진공롤(150)을 독립형으로 설계함으로써 운용이 더욱 편리할 수 있다.
또한 제1대차(121)와, 제2대차(122)는 서로 연결하여 어느 한 대차의 구동원에 의해 견인되어 동시에 이동할 수 있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공정상 밀접하게 선택되어 적용되는 표면처리장치와 진공롤을 빠르게 적용할 수 있게 지원한다. 또한 제1대차(121)와, 제2대차(122)는 서로 분리된 채 이동할 수 있는 독립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장치인 오일러 장치(130)는 오일을 분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내부에는 오일을 분사하는 노즐(131)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표면처리장치인 오일러 장치(130)는 제1대차(121)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링거롤(15)을 통과한 강판(1)이 제1대차(121)를 거쳐 표면처리장치인 오일러 장치(130)로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제1대차(121)에는 상기 링거롤(15)을 통과한 강판(1)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127)가 마련되며,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대차(121) 내부에 강판을 이송 또는 안내할 수 있는 한 쌍의 롤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진공롤(150)은 강판 표면의 이물질이나 오일을 흡입하는 흡입공(151)과 흡입유로(152)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유로(152)는 진공롤(150)의 일단에 설치된 로터리 조인트(153)를 통해 진공펌프(155)와 연통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고정형 워싱 유닛이 병렬로 2이상 복수 개가 평행 배치된 것으로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이 배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100)은 고정형 워싱 유닛(10)이 복수 개 배치된 경우 다양한 조합이 가능해진다. 즉 상기 고정형 워싱 유닛은 병렬로 2이상 복수 개가 평행 배치되는 경우, 상기 레일은, 상기 복수 개의 고정형 워싱 유닛에 포함된 링거롤의 전방에는 상기 중앙 레일부, 좌측 레일부 및 우측 레일부가 각각 대응하여 복수 개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대응 레일에는 상기 제1대차 및 제2대차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도 5a의 일 실시예의 경우, 제1, 2, 3 고정형 워싱 유닛(10)의 전방의 중앙 레일부(111)에 순차적으로 표면처리장치인 오일러 장치(130)와, 진공롤(150) 2개가 배치되어 있고, 우측 레일부(113)와, 좌측 레일부(112)는 빈 공간(S)이 된다.
도 5b의 경우, 좌측 레일부(112)에 표면처리장치인 오일러 장치(130)가 배치되고, 첫 번째 중앙 레일부(111)가 빈 공간(S)이 되고, 두 번째, 세 번째 중앙 레일부(111)에 진공롤 2개(150)이 배치되며, 우측 레일부(113)도 빈 공간(S)이 된다. 상기 빈 공간(S)에는 후속 처리공정을 연계할 수 있도록 운용할 수 있는데, 즉 도 5b의 첫 번째 중앙 레일부(111)에는 마그네틱 벨트 컨베이어가 연속되도록 지원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다만,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표면처리장치인 오일러 장치(130)가 복수 개 설치되고, 진공롤(150)이 단수 개 설치될 수도 있으며, 좌,우측 레일부도 단수 개가 아닌 복수 개가 마련되어 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마그네틱 벨트 컨베이어를 고정형 워싱 유닛의 전방으로 연계하여 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강판 10 : 고정형 워싱 유닛
11 : 핀치롤 12 : 브러쉬롤
13 : 노즐 15 : 링거롤
100 :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 110 : 레일
111 : 중앙 레일부 112 : 좌측 레일부
113 : 우측 레일부 S : 빈 공간
121 : 제1대차 122 : 제2대차
123 : 적재 대차 125 : 구동 대차
127 : 개구부 130 : 표면처리장치
131 : 노즐 150 : 진공롤
151 : 흡입공 152 : 흡입유로
153 : 로터리 조인트 155 : 진공펌프
170 : 마그네틱 벨트 컨베이어

Claims (6)

  1. 링거롤이 포함된 고정형 워싱 유닛의 일측에 설치가능한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은,
    상기 링거롤의 전방에 상기 강판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도록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 상에 직렬로 설치되며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대차 및 제2대차가 설치되되;
    상기 제1대차에는 강판 표면처리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제2대차에는 강판 표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진공롤;이 포함됨으로써,
    상기 제1대차 또는 제2대차가 고정형 워싱 유닛에 선택적으로 연계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링거롤의 전방에 배치되는 중앙 레일부와, 상기 중앙 레일부를 기준으로 좌측에 마련된 좌측 레일부와, 상기 중앙 레일부를 기준으로 우측에 마련된 우측 레일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 레일부와, 좌측 및 우측 레일부 중 어느 하나의 레일부는 상기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이 설치된 상태에서 제1대차 및 제2대차가 배치되지 않는 빈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대차와, 제2대차는 동시에 이동할 수 있는 일체형 또는 서로 분리된 채 이동할 수 있는 독립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워싱 유닛이 병렬로 2이상 복수 개가 평행 배치되는 경우,
    상기 레일은,
    상기 복수 개의 고정형 워싱 유닛에 포함된 링거롤의 전방에는 상기 중앙 레일부, 좌측 레일부 및 우측 레일부가 각각 대응하여 복수 개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대응 레일에는 상기 제1대차 및 제2대차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대차 및 제2대차는,
    상기 강판 표면처리장치 또는 진공롤을 적재하는 적재 대차와,
    상기 레일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적재 대차를 이동시키는 구동 대차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 표면처리장치는 오일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
KR1020190023953A 2019-02-28 2019-02-28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 KR102169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953A KR102169788B1 (ko) 2019-02-28 2019-02-28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953A KR102169788B1 (ko) 2019-02-28 2019-02-28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170A true KR20200105170A (ko) 2020-09-07
KR102169788B1 KR102169788B1 (ko) 2020-10-26

Family

ID=72472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953A KR102169788B1 (ko) 2019-02-28 2019-02-28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78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568Y1 (ko) 1995-09-02 1999-01-15 송화웅 브러쉬 롤의 물분출장치
KR20020003850A (ko) 1998-10-08 2002-01-15 오미 다다히로 기판세정장치
KR100758444B1 (ko) * 2006-06-08 2007-09-14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의 오일도포 검사장치
KR20080055268A (ko) 2006-12-15 2008-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레스 라인의 세정장치
KR101545324B1 (ko) 2015-03-19 2015-08-21 (주)폴리텍 세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정방법
KR101606018B1 (ko) * 2015-01-07 2016-03-25 주식회사 제이유코리아 패널의 이물질제거장치
KR101639251B1 (ko) * 2015-07-16 2016-07-13 주식회사 포스코 링거 롤 및 이를 구비하는 이물질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568Y1 (ko) 1995-09-02 1999-01-15 송화웅 브러쉬 롤의 물분출장치
KR20020003850A (ko) 1998-10-08 2002-01-15 오미 다다히로 기판세정장치
KR100758444B1 (ko) * 2006-06-08 2007-09-14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의 오일도포 검사장치
KR20080055268A (ko) 2006-12-15 2008-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레스 라인의 세정장치
KR101606018B1 (ko) * 2015-01-07 2016-03-25 주식회사 제이유코리아 패널의 이물질제거장치
KR101545324B1 (ko) 2015-03-19 2015-08-21 (주)폴리텍 세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정방법
KR101639251B1 (ko) * 2015-07-16 2016-07-13 주식회사 포스코 링거 롤 및 이를 구비하는 이물질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9788B1 (ko) 202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56163B1 (de) Industrielle reinigungsanlage
US1054930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and for recovering paint in painting machines
KR101643524B1 (ko) 운반대차의 대차바퀴 세척장치
RU2618823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нанесения покрытий
KR102169788B1 (ko) 공간 절약형 독립 워싱 유닛
CN110369352B (zh) 清洗装置及基板清洗方法
JPH10189528A (ja) 基板洗浄装置および基板洗浄方法
JP2000281209A (ja) 搬送装置
CN211386018U (zh) 清洁设备
KR100985437B1 (ko) 피혁도장장치의 이송기구
CN203540981U (zh) 纺织机械零部件清洗装置
JPS6362599B2 (ko)
CN112707219A (zh) 清洁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698477B1 (ko) 드립 팬 유지보수장치 및 드립 팬 유지보수방법
KR100760599B1 (ko) 필터프레스의 부가장치를 위한 이송기구
KR101769964B1 (ko) 운반대차의 바퀴 세척장치
KR101121208B1 (ko) 판유리 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판유리 처리장치
JPH03295649A (ja) 自動スクリーン捺染機におけるスクリーン枠の交換装置
KR20130077690A (ko) 폐비닐 세척장치
KR20130131924A (ko) 디스플레이 기판 세정장치
JP4714886B2 (ja) 清浄装置
KR20140008089A (ko) 렌즈용 트레이 및 지그 세척장치
CN106824874A (zh) 一种玻璃垂直清洗装置
KR100808769B1 (ko) 백 페인트 유리 제조 장치 및 방법
JP5748327B2 (ja) 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