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208B1 - 판유리 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판유리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판유리 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판유리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208B1
KR101121208B1 KR1020110042093A KR20110042093A KR101121208B1 KR 101121208 B1 KR101121208 B1 KR 101121208B1 KR 1020110042093 A KR1020110042093 A KR 1020110042093A KR 20110042093 A KR20110042093 A KR 20110042093A KR 101121208 B1 KR101121208 B1 KR 101121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lass
unit
conveying
washing
ri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2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세진
Original Assignee
(주)유니티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니티엔씨 filed Critical (주)유니티엔씨
Priority to KR1020110042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12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2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 B24B7/2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for grinding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7/2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for grinding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for grinding or polishing glass
    • B24B7/24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for grinding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for grinding or polishing glass for plate glass
    • B24B7/24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for grinding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for grinding or polishing glass for plate glass continu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1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1/00Arrangements for automatic control of a series of individual steps in grinding a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7/00Devices for feeding, applying, grading or recovering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7/02Devices for feeding, applying, grading or recovering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for feeding of fluid, sprayed, pulverised, or liquefied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2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 B24B7/2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for grinding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7/2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for grinding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for grinding or polishing glass
    • B24B7/2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for grinding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for grinding or polishing glass for simultaneously grinding or polishing opposite faces of continuously travelling sheets or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유리를 공급 및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판유리의 표면을 세륨혼합물을 이용하여 연마하는 연마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판유리의 하면을 지지하여 이송하는 이송롤러와, 상기 판유리를 강제 이송시키는 강제이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판유리 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판유리 처리장치{TRANSFERRING APPARATUS AND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판유리 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판유리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유리창, 태양전지패널 등과 같은 곳에 사용되는 대형 유리판을 연마 및 세정하기 위한 판유리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판유리의 경우 다양한 사용처에서 사용된다 간단하게는 대형 유리창에 사용되거나, 다르게는 대형 텔레비전, 태양광전지패널의 표면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대형 판유리의 경우 장시간 노출되면 표면에 미세한 흠집이 생기거나, 오염물질들이 고착되어 고유의 투과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장시간 사용된 판유리를 세척 및 연마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종래에도 건축용 대형 판유리를 세척하여 건조시키는 장치 등이 있었으나 이 장치는 단순하게 판유리를 세척하고 스폰지 등으로 세척수를 흡수 제거하도록 한것에 불과하므로 판유리의 세척시 오히려 판유리에 미세한 흠집이 발생하거나, 미세한 얼룩 등이 남아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장치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세척용 상/하 회전브러쉬와 판유리의 상/하면에 각각 접촉하는 복수개의 상/하 회전스폰지로울러를 설치하여 판유리가 세척용 상/하 회전브러쉬를 통과하면서 세척되고 이어서 상/하 회전스폰지로울러를 통과하면서 상부 또는 하부중 어느 하나의 회전스폰지로울러를 다른 로울러보다 강하게 판유리에 압접되게 하므로서 판유리의 두께에 해당하는 측면부의 잔류수적까지 흡수하여 제거토록 한 것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물방울 제거시 스폰지로울러와의 접촉에 의해 수행되므로 판유리 양면의 미세한 얼룩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판유리의 이송시 판유리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에 의해 세척되는 판유리가 다시 오염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기존의 판유리 처리장치의 경우 단순히 판유리 표면에 고착된 오염물들을 제거하는 것일뿐 판유리 자체에 발생한 미세한 흠집등과 같은 것은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판유리의 세척시 판유리 표면에 손상된 미세한 흠집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판유리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판유리의 세척시 세척을 위하여 판유리를 이동시킬 때 판유리가 다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판유리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판유리의 세척시 세척을 위하여 판유리에 투여된 세정제 및 물 등에 의해 얼룩이 남지 않도록 한 판유리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판유리를 공급 및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판유리의 표면을 세륨혼합물을 이용하여 연마하는 연마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판유리의 하면을 지지하여 이송하는 이송롤러와, 상기 판유리를 강제 이송시키는 강제이송부를 구비하는 판유리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송롤러는 상기 이송롤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장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이물질제거장치는 상기 이송롤러의 외주면에 접하여 이물질을 분리하는 스크리버와, 상기 스크리버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을 불어내는 블로워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마부를 통과한 상기 판유리를 세척하는 세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부를 통과한 상기 판유리를 세정하는 린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린스부에서 사용된 세척수를 상기 세척부에서 사용하도록 침전시켜 저수하는 저수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마부는 상기 판유리의 상면을 연마하는 상면연마부와, 상기 판유리의 하면을 연마하는 하면연마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부는 상기 판유리의 상면을 세척하는 상면세척부와, 상기 판유리의 하면을 세척하는 하면세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린스부는 상기 판유리의 상면을 린스하는 상면린스부와, 상기 판유리의 하면을 린스하는 하면린스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린스부에서 사용된 세척수를 상기 세척부에서 사용하도록 침전시켜 저수하는 저수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수조는 상기 린스부에서 사용된 상기 세척수가 저수되는 복수의 린스저수부와, 상기 세척부에서 사용된 상기 세척수가 저수되는 복수의 세척저수부를 구비하며, 상기 린스저수부와 상기 세척저수부를 구획하는 각각의 격벽에는 판유리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높이가 높아지는 누수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판유리를 이송하기 위하여, 판유리의 하면을 지지하고, 판유리를 이송하는 이송롤러와, 상기 판유리를 강제 이송시키는 강제이송부와, 상기 이송롤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장치를 더 구비하는 판유리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이송롤러의 외주면에 접하여 이물질을 분리하는 스크리버와, 상기 스크리버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을 불어내는 블로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처리장치는 판유리의 세척시 판유리 표면에 손상된 미세한 흠집 등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판유리의 세척시 세척을 위하여 판유리를 이동시킬 때 판유리가 다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판유리의 세척시 세척을 위하여 판유리에 투여된 세정제 및 물 등에 의해 얼룩이 남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처리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처리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처리장치의 이송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처리장치의 이송롤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처리장치의 강제이송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처리장치의 연마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처리장치의 연마롤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처리장치의 세척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처리장치의 세척롤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처리장치의 린스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처리장치의 저수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에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유리 처리장치(100)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첨부한 도면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유리 처리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처리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처리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처리장치(100)는 외형을 형성하고 후술할 각종 구성부가 설치되는 장방형의 프레임(110)과,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판유리(G)의 이동경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투입되는 판유리(G)를 이동시키는 이송부(120)와, 이송부(120)에 의해 이동되는 판유리의 표면을 세륨을 통하여 연마하는 연마부(130)와, 연마된 판유리(G)의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부(140)와, 세척된 판유리(G)의 표면에 잔류하는 세제들을 처리하는 린스부(150)와, 린스된 판유리(G)의 표면에 잔류하는 세척수를 건조시켜 제거하는 건조부(170)와, 세척부(140) 및 린스부(150)에 순차적으로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저장하는 저수조(160)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판유리 처리장치의 이송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처리장치의 이송롤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처리장치의 강제이송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는 판유리를 이송하기 위하여, 판유리의 하면을 지지하고, 판유리를 이송하는 이송롤러와, 상기 판유리를 강제 이송시키는 강제이송부와, 상기 이송롤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장치를 구비한다.그리고, 상기 이물질제거장치는 상기 이송롤러의 외주면에 접하여 이물질을 분리하는 스크리버와, 상기 스크리버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을 불어내는 블로워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판유리 이송장치는 판유리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이송부로 사용될 수도 있고, 판유리를 다른 목적으로 이송하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판유리 처리장치의 이송부는 단독으로 판유리 이송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므로, 이송부와 관련된 설명은 단독으로 판유리 이송장치를 설명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120) 또는 판유리 이송장치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척하고자 하는 판유리(G)가 연마부(130), 세척부(140), 린스부(150)를 통과하도록 이동시키는 것으로, 프레임(110)의 중앙부에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이송부(120)는 판유리(G)를 하부를 지지하는 이송롤러(122)와, 판유리(G)를 강제 이동시키는 강제이송부(127)와, 이송롤러(122) 및 강제이송부(127)에 동력을 공급하는 이송모터(121)(도 1참고)를 구비한다.
여기서, 이송모터(121)는 이송롤러(122)와 강제이송부(127)에 마련되는 각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각 이송롤러(122)와 강제이송부(127)의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재(121a)가 더 마련된다. 한편 동력전달부재(121a)는 체인과 스프라켓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송모터(121) 및 동력전달부재(121a)에 대해서는 당업자다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롤러(122)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된 판유리(G)를 지지하는 상태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판유리(G)의 하부에 접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이송롤러(122)가 결합되며 이송롤러(122)를 회전시키는 회전축(122a)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이송롤러(122)의 회전축(122a)은 상술한 이송모터(121)로부터 동력전달부재(121a)에 의해 동력을 전달 받도록 마련된다.
한편, 이송롤러(122)와, 이송롤러(122)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이송롤러(122)의 표면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장치(123)를 더 구비한다. 이러한 이물질제거장치(123)는 판유리의 이동시 이송롤러(122)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이송롤러(122)의 이물질이 다시 판유리(G)에 옮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이물질제거장치(123)는 이송롤러(122)의 외주면이 삽입되도록 이송롤러(122)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는 함입부(124)가 형성된다. 함입부(124)와 이송롤러(122)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이물질제거장치(123)의 내부에는 이송롤러(122)의 외주면에 접하는 스크리버(125)를 구비한다.
상기 스크리버(125)는 탄성부재(도면부호 미도시)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롤러(122)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마모되는 경우, 탄성부재에 의한 지지력에 의하여 이송롤러(122)와의 접촉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허용 한계 이상 마모되는 경우 새로운 스크리버(125)로 교체되어 이물질 제거성능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리버(125)는 별도의 이송장치(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등)에 의해 이송롤러(122)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이동되면서 이송롤러(122)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롤러(122)의 외주면에 잔류하는 이물질이 스크리버(125)에 의해 분리된다.
한편 이물질제거장치(123)의 일측에는 스크리버(125)에 의해 분리되는 이물질을 이송롤러(122)와 스크리버(125)에서 분리시키는 블로워(126)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블로워(126)는 이물질제거장치(123)를 관통하여 스크리버(125)와 이송롤러(122)의 접점에 인점하게 에어를 분사한다. 이에 블로워(126)에서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이물질이 스크리버(125)와 이송롤러(122)에서 분리되어 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강제이송부(127)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롤러(122)에 안착된 판유리(G)를 강제 이송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이송롤러(122)의 경우 단지 판유리(G)의 하부만을 지지하기 때문에 이송롤러(122)가 판유리에 대하여 미끄러질 경우 판유리(G)의 이송이 중단될 수 있다. 따라서 판유리(G)를 이동시키기 위한 보조적인 동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강제이송부(127)는 판유리(G)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탄성롤러(129)와, 판유리의 상부를 가압하는 상부탄성롤러(128)를 구비한다. 하부탄성롤러(129)는 하부회전축(129a)에 결합되어 하부회전축(129a)에 의해 회전된다. 상부탄성롤러(128)는 상부회전축(128a)에 결합되어 상부회전축(128a)에 의해 회전된다. 한편, 상부회전축(128a) 또는/ 및 하부회전축(129a)은 상술한 이송모터(121)로부터 동력전달부재(121a)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또한, 상부탄성롤러(128)와 하부탄성롤러(129)의 외주면은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우레탄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탄성롤러(128)와 하부탄성롤러(129)는 판유리(G)를 가압하는 상태에서 회전되어 판유리(G)를 이송시킨다. 또한 상부탄성롤러(128)와 하부탄성롤러(129)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고 있어 판유리(G)의 두께 변화에 따라 압축 변형되면서 판유리(G)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송롤러(122) 및 강제이송부(127)는 판유리(G)의 이동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복수가 마련될 수 있다. 즉, 판유리(G)의 면적 및 이동거리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이하 연마부(130)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처리장치의 연마부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처리장치의 연마롤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연마부(130)는 이송부(120)에 의해 이송되는 판유리(G)의 표면을 세륨을 통하여 연마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마부(130)는 판유리(G)의 상면을 연마하는 상면연마부(133a)와 판유리(G)의 하면을 연마하는 하면연마부(133b)를 구비한다. 상면연마부(133a)와 하면연마부(133b)는 프레임(110)에 고정되는 설치부(131)에 설치된다.
한편, 설치부(131)의 상부에는 상면연마부(133a) 또는/및 하면연마부(133b)로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연마모터(132)가 마련된다. 상면연마부(133a) 또는/및 하면연마부(133b)는 별도의 동력전달부재(132a)로부터 연마모터(132)의 동력을 전달 받는다.
여기서, 상면연마부(133a)는 설치부(131)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면가압브라켓(135a)과, 설치부(131)에 마련되어 상면가압브라켓(135a)을 판유리(G)측으로 가압하는 하방가압부(134a)와, 상면가압브라켓(135a)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상면연마롤러(136a)를 구비한다.
상술한 상면연마부(133a)의 하방가압부(134a), 상면가압브라켓(135a)은 판유리(G)의 이동방향의 양측에 각각 대치되는 형태로 마련되어 상면연마롤러(136a)의 양측을 지지한다.
그리고, 하면연마부(133b)는 설치부(131)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면가압브라켓(135b)과, 설치부(131)에 마련되어 하면가압브라켓(135b)을 판유리(G)측으로 가압하는 상방가압부(134b)와, 하면가압브라켓(135b)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상면연마롤러(136a)를 구비한다.
상술한 하면연마부(133b)의 상방가압부(134b), 하면가압브라켓(135b)은 판유리(G)의 이동방향의 양측에 각각 대치되는 형태로 마련되어 하면연마롤러(136b)의 양측을 지지한다.
여기서 상면연마롤러(136a)와 하면연마롤러(136b)는 중공이 형성되는 회전축(137)과, 회전축(137)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원기둥형태의 우레탄폼(139)과, 회전축(137)의 일단에 마련되어 세륨혼합물이 공급되는 주입구(137a)와, 주입구(137a)에 대하여 회전축(137)이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주입구(137a)를 통하여 공급되는 세륨혼합물을 회전축(137)의 중공으로 공급하는 로터리조인트(138)를 구비한다. 한편, 회전축(137)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어 주입구(137a)로 공급되는 세륨혼합물이 회전축(137)을 통하여 우레탄폼(139)을 통하여 우레탄폼(139)의 외주면으로 분사된다.
이에 상면연마롤러(136a)와 하면연마롤러(136b)는 별도 공급되는 세륨혼합물을 분사한다. 동시에 연마모터(132)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을 동력전달부재(132a)에 의해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판유리(G)의 상면과 하면을 연마한다. 이때 동력전달부재(132a)에 의해 회전되는 상면연마롤러(136a)와 하면연마롤러(136b)는 각각 이송부(120)에 의해 이동되는 판유리(G)의 이송방향에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판유리(G)의 양면을 연마한다.
이하, 세척부(140)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처리장치의 세척부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처리장치의 세척롤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세척부(140)는 이송부(120)에 의해 이송되는 판유리(G)의 표면을 세척수를 통하여 세척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세척부(140)는 판유리(G)의 상면을 세척하는 상면세척부(143a)와 판유리(G)의 하면을 세척하는 하면세척부(143b)를 구비한다. 상면세척부(143a)와 하면세척부(143b)는 프레임(110)에 고정되는 설치부(141)에 설치된다.
한편, 설치부(141)의 상부에는 상면세척부(143a) 또는/및 하면세척부(143b)로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세척모터(142)가 마련된다. 상면세척부(143a) 또는/및 하면세척부(143b)는 별도의 동력전달부재(142a)로부터 세척모터(142)의 동력을 전달 받는다.
여기서, 상면세척부(143a)는 설치부(141)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면가압브라켓(145a)과, 설치부(141)에 마련되어 상면가압브라켓(145a)을 판유리(G)측으로 가압하는 하방가압부(144a)와, 상면가압브라켓(145a)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상면세척롤러(146a)를 구비한다.
상술한 상면세척부(143a)의 하방가압부(144a), 상면가압브라켓(145a)은 판유리(G)의 이동방향의 양측에 각각 대칭되는 형태로 마련되어 상면세척롤러(146a)의 양측을 지지한다.
그리고, 하면세척부(143b)는 설치부(141)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면가압브라켓(145b)과, 설치부(141)에 마련되어 하면가압브라켓(145b)을 판유리(G)측으로 가압하는 상방가압부(144b)와, 하면가압브라켓(145b)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상면세척롤러(146a)를 구비한다.
상술한 하면세척부(143b)의 상방가압부(144b), 하면가압브라켓(145b)은 판유리(G)의 이동방향의 양측에 각각 대칭되는 형태로 마련되어 하면세척롤러(146b)의 양측을 지지한다.
여기서 상면세척롤러(146a)와 하면세척롤러(146b)는 중공이 형성되는 회전축(147)과, 회전축(147)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브러쉬(149)와, 회전축(147)의 일단에 마련되어 세척수가 공급되는 주입구(147a)와, 주입구(147a)에 대하여 회전축(147)이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주입구(147a)를 통하여 공급되는 세척수를 회전축(147)의 중공으로 공급하는 로터리조인트(148)를 구비한다. 한편, 회전축(147)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어 주입구(147a)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회전축(147)의 관통공을 통하여 공급되어 브러쉬에 의해 판유리(G)의 표면으로 분사된다.
이에 상면세척롤러(146a)와 하면세척롤러(146b)는 별도 공급되는 세척수를 판유리(G) 표면에 분사한다. 동시에 세척모터(142)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을 동력전달부재(142a)로부터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판유리(G)의 상면과 하면을 세척한다. 이때 동력전달부재(142a)에 의해 회전되는 상면세척롤러(146a)와 하면세척롤러(146b)는 각각 이송부(120)에 의해 이동되는 판유리(G)의 이송방향에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판유리(G)의 양면을 세척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세척부(140)의 경우 본 발명에서는 제 1, 2세척부(140a, 140b)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판유리(G)의 세척면적에 따라 필요할 경우 복수의 세척부(140)로 구성하여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린스부(150)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처리장치의 린스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상기 린스부(150)는 이송부(120)에 의해 이송되는 판유리(G)의 상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면린스부(151a)와, 판유리(G)의 하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면린스부(151b)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면린스부(151a)는 이송부(120)의 상측 프레임(110)에 설치되며, 판유리(G)의 이송방향에 반대방향으로 판유리(G)의 상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회동노즐(155a)과, 상부회동노즐(155a)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노즐브라켓(153a)을 구비한다.
그리고 하면린스부(151b)는 이송부(120)의 하측 프레임(110)에 설치되며, 판유리(G)의 이송방향에 반대방향으로 판유리(G)의 하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회동노즐(155b)과, 하부회동노즐(155b)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노즐브라켓(153b)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부노즐브라켓(153a) 및 하부노즐브라켓(153b)은 판유리(G)의 이동방향의 양측에 각각 대치되는 형태로 마련되어 상부회동노즐(155a)과 하부회동노즐(155b)의 양측을 각각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이에 상부회동노즐(155a)과 하부회동노즐(155b)은 각각 상부노즐브라켓(153a) 및 하부노즐브라켓(153b) 사이에서 회동되어 판유리로의 세척수 분사각도가 변화되어 세척수를 분사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린스부(150)의 경우 본 발명에서는 제 1, 2린스부(150a, 150b)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판유리(G)의 세척면적에 따라 필요할 경우 복수의 린스부(150)로 구성하여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저수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처리장치의 저수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상기 저수조(160)는 상술한 연마부(130)에서 사용된 세륨혼합물을 저장함과 동시에 린스부(150) 및 세척부(140)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저수조(160)는 상술한 연마부(130), 세척부(140) 및 린스부(15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10)에 고정된다.
이러한 저수조는 연마부(130), 세척부(140) 및 린스부(150)에서 사용되거나 연마부(130), 세척부(140) 및 린스부(150)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저장되도록 다수의 저수조(160)와 다수의 격벽으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세척부(140)와 린스부(150)가 각각 제 1, 2세척부(140a, 140b) 및 제 1, 2린스부(150a, 150b)로 이루어질 경우 저수조(160)의 구조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하지만 저수조(160)의 구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판유리(G)가 제 1세척부(140a), 제 2세척부(140b), 제 1린스부(150a), 제 2린스부(150b)를 통과함에 따라 제 2린스부(150b)에서 사용된 세척수가 가장 오염이 적게되며, 제 1세척부(140a)에서 사용된 세척수가 가장 오염이 많이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 2린스부(150b)에서 사용된 세척수를 제 1린스부(150a)에서 다시 사용하고, 제 1린스부(150a)에서 사용된 세척수를 제 2세척부(140b)에서 다시 사용하고, 제 2세척부(140b)에서 사용된 세척수를 제 1세척부(140a)에서 다시 사용하여 세척수의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세륨저수부(169)의 경우 다른 저수부와 연계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저수조(160)는 제 1세척부(140a)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1세척저수부(165)와, 제 2세척부(140b)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2세척저수부(167)와, 제 1린스부(150a)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1린스저수부(161)와, 제 2린스부(150b)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2린스저수부(163)와, 연마부(130) 하부에 위치하는 세륨저수부(169)가 구비된다. 한편, 세륨저수부(169)의 경우 그 하부에 배수필터(169f)가 마련되며, 배수필터에 의해 세륨혼합물중 오염물질의 배수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린스저수부(163)와 제 1린스저수부(161) 사이에는 제 1격벽(162)이 마련되고, 제 1린스저수부(161)와 제 2세척저수부(167) 사이에는 제 2격벽(164)이 마련되며, 제 2세척저수부(167)와 제 1세척저수부(165) 사이에는 제 3격벽(166)이 마련되고, 제 1세척저수부(165)와 세륨저수부(169) 사이에는 제 4격벽(168)이 마련된다.
여기서, 제 1, 2, 3격벽(162, 164, 166)에는 각기 다른 높이로 제 1, 2, 3누수홀(162a, 164a, 166a)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격벽(162)에 형성되는 제 1누수홀(162a)이 가장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제 3누수홀(166a)이 가장 낮은 위치에 형성되며, 제 2누수홀(164a)은 제 1누수홀(162a)과 제 3누수홀(166a)의 사이에 위치하여 형성된다.
이에 제 1, 2세척부(140a, 140b) 및 제 1, 2린스부(150a, 150b)에서 사용된 세척수들은 각 하부에 위치하는 제 1, 2세척저수부(165, 167) 및 제 1, 2린스저수부(161, 163)에 각각 저장된다.
한편, 저수조(160)에서의 세척수 이동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제 2린스저수부(163)로 세척수가 공급된다. 이에 제 2린스저수부(163)에 저장되는 세척수는 세척수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제 1격벽(162)에 형성된 제 1누수홀(162a)에 의해 제 1린스저수부(161)로 이동된다. 이때 이동되는 세척수는 제 2린스저수부(163)에서 이물질의 침전이 발생된 이후에 제 1린스저수부(161)로 이동되는 것이다.
또한, 제 1린스저수부(161)로 이동된 세척수는 제 1린스부(150a)에서 사용되며 사용된 세척수는 제 1린스저수부(161)에 저장된다. 이에 제 1린스저수부(161)에 세척수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제 2격벽(164)에 형성된 제 2누수홀을 통해 제 2세척저수부로 이동된다. 이때 이동되는 세척수는 제 1린스저수부(161)에서 이물질의 침전이 발생된 이후에 제 2세척저수부(167)로 이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 2세척저수부(167)로 이동된 세척수는 제 2세척부(140b)에서 사용되며 사용된 세척수는 제 2세척저수부(167)에 저장된다. 이에 제 2세척저수부(167)에 세척수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제 3격벽(166)에 형성된 제 3누수홀을 통해 제 1세척저수부로 이동된다. 이때 이동되는 세척수는 제 2세척저수부(167)에서 이물질의 침전이 발생된 이후에 제 1세척저수부(165)로 이동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제 1세척저수부(165)로 이동된 세척수는 제 1세척부(140a)에서 사용되며 사용된 세척수는 제 1세척저수부(165)를 배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2린스부(150a, 150b) 및 제 1, 2세척부(140a, 140b)에서 사용된 세척수들은 오염도에 따라 선행과정에서 다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세척수의 사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Claims (13)

  1. 판유리를 공급 및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판유리의 표면을 세륨혼합물을 이용하여 연마하는 연마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판유리의 하면을 지지하여 이송하는 이송롤러와, 상기 판유리를 강제 이송시키는 강제이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마부는 상기 판유리의 상면을 연마하는 상면연마부와, 상기 판유리의 하면을 연마하는 하면연마부를 구비하는 판유리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는 상기 이송롤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장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이물질제거장치는
    상기 이송롤러의 외주면에 접하여 이물질을 분리하는 스크리버와,
    상기 스크리버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을 불어내는 블로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를 통과한 상기 판유리를 세척하는 세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를 통과한 상기 판유리를 세정하는 린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린스부에서 사용된 세척수를 상기 세척부에서 사용하도록 침전시켜 저수하는 저수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처리장치.
  6. 삭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판유리의 상면을 세척하는 상면세척부와,
    상기 판유리의 하면을 세척하는 하면세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처리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린스부는
    상기 판유리의 상면을 린스하는 상면린스부와,
    상기 판유리의 하면을 린스하는 하면린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처리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린스부에서 사용된 세척수를 상기 세척부에서 사용하도록 침전시켜 저수하는 저수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는
    상기 린스부에서 사용된 상기 세척수가 저수되는 복수의 린스저수부와,
    상기 세척부에서 사용된 상기 세척수가 저수되는 복수의 세척저수부를 구비하며,
    상기 린스저수부와 상기 세척저수부를 구획하는 각각의 격벽에는 판유리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높이가 높아지는 누수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처리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리버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처리장치.
  12. 판유리를 이송하기 위하여, 판유리의 하면을 지지하고, 판유리를 이송하는 이송롤러와, 상기 판유리를 강제 이송시키는 강제이송부와, 상기 이송롤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제거장치는 이송롤러의 외주면이 삽입되도록 이송롤러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는 함입부, 상기 이물질제거장치의 내부에는 이송롤러의 외주면에 접하며 탄성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이송롤러의 외주면에 접하여 이물질을 분리하는 스크리버, 상기 이물질제거장치를 관통하여 스크리버와 이송롤러의 접점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스크리버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을 불어내는 블로워를 포함하는 판유리 이송장치.
  13. 삭제
KR1020110042093A 2011-05-03 2011-05-03 판유리 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판유리 처리장치 KR101121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093A KR101121208B1 (ko) 2011-05-03 2011-05-03 판유리 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판유리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093A KR101121208B1 (ko) 2011-05-03 2011-05-03 판유리 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판유리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1208B1 true KR101121208B1 (ko) 2012-07-13

Family

ID=46715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2093A KR101121208B1 (ko) 2011-05-03 2011-05-03 판유리 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판유리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12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08633A (ja) * 2014-02-28 2017-03-30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ガラス処理装置およびガラス処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6606A (ja) * 1996-11-14 1998-06-02 Nkk Corp ロール付着物除去装置
KR200253765Y1 (ko) * 2001-07-31 2001-11-22 오일광 드럼형 가공휠을 이용한 평면 자동연마장치
KR100487774B1 (ko) 2001-12-20 2005-05-03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그라인딩라인 탈지설비의 탈지액탱크 내의 스와프제거장치
JP2008238322A (ja) * 2007-03-27 2008-10-09 Toppan Printin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研磨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6606A (ja) * 1996-11-14 1998-06-02 Nkk Corp ロール付着物除去装置
KR200253765Y1 (ko) * 2001-07-31 2001-11-22 오일광 드럼형 가공휠을 이용한 평면 자동연마장치
KR100487774B1 (ko) 2001-12-20 2005-05-03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그라인딩라인 탈지설비의 탈지액탱크 내의 스와프제거장치
JP2008238322A (ja) * 2007-03-27 2008-10-09 Toppan Printin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研磨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08633A (ja) * 2014-02-28 2017-03-30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ガラス処理装置およびガラス処理方法
US10717168B2 (en) 2014-02-28 2020-07-21 Corning Incorporated Glass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s of treating glas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1251B1 (ko) 기판 처리 장치
KR100890503B1 (ko) 예비 토출장치
KR20120124514A (ko) 판유리 처리장치
JP4435761B2 (ja) 床面洗浄装置
KR20060040559A (ko) 평판램프 제조용 성형유리기판 세정 장치 및 방법
KR20070101770A (ko) 기판 처리장치
KR101614423B1 (ko) 패널세정시스템
KR20190044748A (ko) 도장 공작 대상물의 건조 시스템
KR101121208B1 (ko) 판유리 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판유리 처리장치
JP2009185347A (ja) 鋼板洗浄装置
KR101705303B1 (ko) 유리 기판 이송용 캐리어를 세척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10059154A (ko) 판유리의 세척장치 및 방법과 판유리 가공 시스템
JP2001338904A (ja) ウェハの洗浄装置
KR20180101874A (ko) 모래 이송용 콘베이어벨트의 모래 회수장치
CN211386018U (zh) 清洁设备
KR101736783B1 (ko) 하이브리드식 세정구조를 갖는 친환경 스팀 세정기
JP6720659B2 (ja) 基材の液切り装置
KR20120124513A (ko) 판유리 처리장치
KR20090108857A (ko) 기판세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기판세정시스템
KR20200102410A (ko) 유리판의 제조 방법
CN211589555U (zh) 具有清洗功能的光学镜片研磨机
KR20080024793A (ko) 평판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이물질 제거장치
CN204544839U (zh) 平板玻璃清洗装置
KR101877305B1 (ko) 인쇄조판 자동 세척장치
JP2000037669A (ja) 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