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2842A - 기판과 케이스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기판과 케이스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2842A
KR20200102842A KR1020190021353A KR20190021353A KR20200102842A KR 20200102842 A KR20200102842 A KR 20200102842A KR 1020190021353 A KR1020190021353 A KR 1020190021353A KR 20190021353 A KR20190021353 A KR 20190021353A KR 20200102842 A KR20200102842 A KR 20200102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case
insertion hole
locking
circum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1106B1 (ko
Inventor
윤명희
Original Assignee
㈜엠지에이치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지에이치코리아 filed Critical ㈜엠지에이치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021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106B1/ko
Publication of KR20200102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0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 H05K7/1405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by clips or resilient members, e.g. hoo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과 케이스를 나사(screw)의 사용 없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기판(100)에 관통 형성된 삽입공(110); 및 상기 삽입공(110)을 관통하여 기판(100)에 걸리도록 케이스(200)에서 돌출 형성된 결합부(210);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210)는, 상기 삽입공(110)에 삽입되는 기둥부(211); 상기 기둥부(211)의 단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삽입공(110)의 둘레를 벗어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기판(100)의 표면과 접하게 되는 걸림면(212a)과, 상기 걸림면(212a)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점차 축소되도록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경사면(212b)을 갖는 걸림부(212); 및 상기 경사면(212b)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 걸림면(212a)이 상기 삽입공(110)의 둘레 안으로 위치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부(212)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부(2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판과 케이스의 결합구조{Assembly structure of substrate and case}
본 발명은 기판과 케이스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판과 케이스를 나사(screw)의 사용 없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기판과 케이스를 나사의 사용 없이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6031호(2011.05.04. 공개,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인쇄회로기판을 고정하기 위한 하우징 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인쇄회로기판을 고정하기 위한 하우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위치시키기 위한 중공부를 에워싸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 면에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홈과 상기 홈에 삽입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고정하는 날개로 이루어진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하우징부의 내부 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고정부의 홈에 인쇄회로기판의 양측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나사 또는 고정핀과 같은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인쇄회로기판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인쇄회로기판을 고정부의 홈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해야 함으로써 하우징부의 측면에 인쇄회로기판이 드나들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 구조적인 제약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6031호(2011.05.04.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판과 케이스를 나사의 사용 없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기판과 케이스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판과 케이스의 결합구조는, 기판(100)에 관통 형성된 삽입공(110); 및 상기 삽입공(110)을 관통하여 기판(100)에 걸리도록 케이스(200)에서 돌출 형성된 결합부(210);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210)는, 상기 삽입공(110)에 삽입되는 기둥부(211); 상기 기둥부(211)의 단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삽입공(110)의 둘레를 벗어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기판(100)의 표면과 접하게 되는 걸림면(212a)과, 상기 걸림면(212a)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점차 축소되도록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경사면(212b)을 갖는 걸림부(212); 및 상기 경사면(212b)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 걸림면(212a)이 상기 삽입공(110)의 둘레 안으로 위치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부(212)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부(21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부(212)는 상기 공간부(213)에 의해 상호 이격되도록 분할된 둘 이상의 단위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부(212)의 경사면(212b)이 진입할 수 있는 대응경사면(310)과, 상기 대응경사면(310)의 둘레를 따라 돌출 또는 요입 형성된 고정부(320)를 갖는 공구(300)를 이용하여 상기 걸림면(212a)이 변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210)는 상기 고정부(320)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경사면(212b)의 둘레를 따라 요입 또는 돌출 형성된 대응고정부(214)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판(100)에는 상기 케이스(200)에서 기판(100)을 꺼내기 위한 도구 또는 작업자의 손가락이 진입할 수 있는 개구부(12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기판과 케이스의 결합구조에 의하면, 기판에 형성된 삽입공을 케이스에 형성된 결합부에 맞춰 끼워넣는 것만으로 기판과 케이스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판과 케이스의 결합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판과 케이스의 결합구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판과 케이스의 결합구조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결합부가 공구에 의해 변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판과 케이스의 결합구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판과 케이스의 결합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판과 케이스의 결합구조는 기판(100)과, 상기 기판(100)을 수용하는 케이스(200)를 상호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기판(100)에 형성된 삽입공(110) 및 상기 케이스(200)에 형성된 결합부(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기판(100)과 케이스(200)는 실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케이스(200)는 온수매트나 전기장판 등에 사용되는 컨트롤러의 케이스일 수 있으며, 기판(100)은 상기 컨트롤러에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또한, 케이스(200)는 상하로 분리된 구조일 수 있으며, 도어(door) 형태의 커버를 구비한 구조일 수 있다.
삽입공(110)은 기판(100)에 관통 형성된다. 삽입공(110)은 기판(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둘 이상이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기판(100)의 중앙 부위에도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210)는 삽입공(110)을 관통하여 기판(100)에 걸리도록 케이스(200)에서 돌출 형성된 것으로서, 기둥부(211), 걸림부(212) 및 공간부(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기둥부(211)는 기판(100)의 두께와 같거나 다소 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삽입공(110)의 내측에 삽입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케이스(200)의 바닥에는 기판(100)을 받치게 되는 다수의 지지부(22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기둥부(211)는 상기 각 지지부(220)의 상면 중앙에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지지부(220)는 기판(100)을 받침으로써 기판(100)을 케이스(200)의 바닥에서 이격시키게 된다. 필요에 따라 기둥부(211)는 상기 지지부(220) 없이 케이스(200)의 바닥에서 직접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212)는 기둥부(211)의 단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삽입공(110)의 둘레를 벗어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기판(100)의 표면과 접하게 되는 걸림면(212a)과, 상기 걸림면(212a)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점차 축소되도록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경사면(212b)을 갖는다. 결국, 걸림부(212)는 콘(cone)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걸림면(212a)이 위치한 단부가 상기 삽입공(110)의 둘레를 벗어나는 크기를 갖고, 걸림면(212a)의 반대쪽 단부가 상기 삽입공(110)의 둘레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다.
공간부(213)는 상기 걸림부(212)의 경사면(212b)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 걸림면(212a)이 삽입공(110)이 둘레 안으로 위치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걸림부(212)의 내측에 형성된다. 즉, 공간부(213)는 걸림부(212)가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걸림부(212)의 내측에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에 의하면, 도면상 걸림부(212)의 상측에 삽입공(110)을 맞추어 끼워넣은 후 기판(100)을 하방으로 가압하면, 삽입공(110)의 내주연이 걸림부(212)의 경사면(212b)을 가압하여 걸림부(212)를 변형시키면서 기판(100)이 하강함에 따라 삽입공(110)이 걸림부(212)를 통과하여 기둥부(211)에 끼워지게 된다. 삽입공(110)이 걸림부(212)를 통과하고 나면, 걸림부(212)가 복원됨에 따라 걸림면(212a)이 기판(100)의 표면과 접하여 기판(100)을 고정하게 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걸림부(212)는 상기 공간부(213)에 의해 상호 이격되도록 분할된 네 개의 단위체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공간부(213)는 걸림부(212)를 둘 이상의 단위체로 분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공간부(213)는 상기한 구조 외에도 걸림부(212)의 내부에 마련된 중공(中孔)으로 이루어지는 등, 걸림부(212)가 탄성변형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공간부(213)는 걸림부(212)에서 기둥부(211) 까지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지지부(220)에 까지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기판과 케이스의 결합구조에 의하면, 기판(100)에 형성된 삽입공(110)을 케이스(200)에 형성된 결합부(210)에 맞춰 끼워넣는 것만으로 기판(100)과 케이스(200)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 소비자가 기판(100)을 케이스(200)에서 분리하기가 곤란하게 됨으로써, 일반 소비자 등의 비전문가가 기판(100)을 임의로 수리하거나 교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나사의 사용이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제작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판(100)에 회로 설계 시 나사와 회로 간의 절연거리를 고려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회로의 배치 및 공간 확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0)에는 케이스(200)에서 기판(100)을 꺼내기 위한 도구 또는 작업자의 손가락이 진입할 수 있는 개구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20)는 끝이 갈고리 형태로 된 도구나 손가락을 기판(100)에 걸어 당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판(100)을 케이스(200)에서 용이하게 꺼낼 수 있게 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판과 케이스의 결합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결합부가 공구에 의해 변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의한 기판과 케이스의 결합구조는 공구(300)를 이용함으로써 걸림부(212)가 변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구(300)는 상기 걸림부(212)의 경사면(212b)이 진입할 수 있는 대응경사면(310)과, 상기 대응경사면(310)의 둘레를 따라 돌출 또는 요입 형성된 고정부(320)를 가지며, 상기 결합부(210)는 상기 고정부(320)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경사면(212b)의 둘레를 따라 요입 또는 돌출 형성된 대응고정부(21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공구(300)와 상기 걸림부(212)는 상기 경사면(212b)이 대응경사면(310)을 따라 진입하여 상기 걸림부(212)가 상기 삽입공(110)의 둘레 안으로 위치하게 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320)와 대응고정부(214)가 상호 맞물리게 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구(300)의 대응경사면(310)을 상기 걸림부(212) 측으로 밀어넣어 상기 고정부(320)와 대응고정부(214)가 상호 맞물리게 함으로써 상기 걸림부(212)가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작업자는 이 상태에서 기판(100)을 케이스(20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기판과 케이스의 결합구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기판 110 : 삽입공
120 : 개구부 200 : 케이스
210 : 결합부 211 : 기둥부
212 : 걸림부 212a : 걸림면
212b : 경사면 213 : 공간부
214 : 대응고정부 220 : 지지부
300 : 공구 310 : 대응경사면
320 : 고정부

Claims (4)

  1. 기판(100)과, 상기 기판(100)을 수용하는 케이스(200)를 상호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기판(100)에 관통 형성된 삽입공(110); 및
    상기 삽입공(110)을 관통하여 기판(100)에 걸리도록 상기 케이스(200)에서 돌출 형성된 결합부(210);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210)는
    상기 삽입공(110)에 삽입되는 기둥부(211);
    상기 기둥부(211)의 단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삽입공(110)의 둘레를 벗어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기판(100)의 표면과 접하게 되는 걸림면(212a)과, 상기 걸림면(212a)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점차 축소되도록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경사면(212b)을 갖는 걸림부(212); 및
    상기 경사면(212b)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 걸림면(212a)이 상기 삽입공(110)의 둘레 안으로 위치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부(212)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부(2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과 케이스의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212)는 상기 공간부(213)에 의해 상호 이격되도록 분할된 둘 이상의 단위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과 케이스의 결합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212)의 경사면(212b)이 진입할 수 있는 대응경사면(310)과, 상기 대응경사면(310)의 둘레를 따라 돌출 또는 요입 형성된 고정부(320)를 갖는 공구(300)를 이용하여 상기 걸림면(212a)이 변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210)는 상기 고정부(320)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경사면(212b)의 둘레를 따라 요입 또는 돌출 형성된 대응고정부(2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과 케이스의 결합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100)에는 상기 케이스(200)에서 기판(100)을 꺼내기 위한 도구 또는 작업자의 손가락이 진입할 수 있는 개구부(1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과 케이스의 결합구조.
KR1020190021353A 2019-02-22 2019-02-22 기판과 케이스의 결합구조 KR102181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353A KR102181106B1 (ko) 2019-02-22 2019-02-22 기판과 케이스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353A KR102181106B1 (ko) 2019-02-22 2019-02-22 기판과 케이스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842A true KR20200102842A (ko) 2020-09-01
KR102181106B1 KR102181106B1 (ko) 2020-11-20

Family

ID=72451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353A KR102181106B1 (ko) 2019-02-22 2019-02-22 기판과 케이스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10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1979A (ja) * 1996-11-22 1998-06-09 Tachi S Co Ltd ヘッドレストホルダーの抜き取り方法、ヘッドレストホルダーおよびそのホルダーブラケット構造
JP2000022059A (ja) * 1998-07-07 2000-01-21 Fujitsu Ltd 電子装置
KR20030014000A (ko) * 2001-08-10 2003-02-1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회로기판 설치구조
KR100437246B1 (ko) * 1999-06-10 2004-06-23 인텔 코오퍼레이션 전자조립체의 히트 싱크 클립
KR20110046031A (ko) 2009-10-28 2011-05-04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을 고정하기 위한 하우징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1979A (ja) * 1996-11-22 1998-06-09 Tachi S Co Ltd ヘッドレストホルダーの抜き取り方法、ヘッドレストホルダーおよびそのホルダーブラケット構造
JP2000022059A (ja) * 1998-07-07 2000-01-21 Fujitsu Ltd 電子装置
KR100437246B1 (ko) * 1999-06-10 2004-06-23 인텔 코오퍼레이션 전자조립체의 히트 싱크 클립
KR20030014000A (ko) * 2001-08-10 2003-02-1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회로기판 설치구조
KR20110046031A (ko) 2009-10-28 2011-05-04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을 고정하기 위한 하우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1106B1 (ko) 2020-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1966B2 (en) Coaxial connector
JP2008034250A (ja) コネクタ装置
JP3550788B2 (ja) Icソケット
KR102181106B1 (ko) 기판과 케이스의 결합구조
JP2007287826A (ja) 回路基板の取付け構造
US6459058B1 (en) Operating device having operating button adapted to slide in housing while being pushed to effect switching operation
KR102138549B1 (ko) 터미널, 터미널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1969993B1 (ko)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
US20150098199A1 (en) Fixing mechanism for a circuit board and related electronic device
JP4896634B2 (ja) 部品設置構造
JP2006005209A (ja) 電子回路基板とコネクタの固定構造
KR20130105069A (ko) 인쇄회로기판 조립 구조가 형성된 하우징
KR100656507B1 (ko)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US11444420B2 (en) Electrical plug
KR20130061405A (ko) 소켓 어댑터
US20020142631A1 (en) Connecting assembly
JP7384618B2 (ja) 接続構造および組立体
JPS5832299Y2 (ja) プリント基板等の固定具
JP2007046749A (ja) 取付部材の被取付部材への取付構造
KR101477695B1 (ko) 다방향 택트 스위치
JPH07202454A (ja) 電気器具
KR100608948B1 (ko) 다기능 버튼조립체
JPH10144417A (ja) コネクタの取付け構造
JP2002223079A (ja) 電子機器のプリント基板収容ケース及びプリント基板取り付け方法
JP6320877B2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