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8948B1 - 다기능 버튼조립체 - Google Patents

다기능 버튼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8948B1
KR100608948B1 KR1020050045605A KR20050045605A KR100608948B1 KR 100608948 B1 KR100608948 B1 KR 100608948B1 KR 1020050045605 A KR1020050045605 A KR 1020050045605A KR 20050045605 A KR20050045605 A KR 20050045605A KR 100608948 B1 KR100608948 B1 KR 100608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elastic deformation
holder
guide ring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5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5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9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12Household applia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버튼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면플레이트(20)의 관통공(22)에 가이드링(26)이 장착된다. 상기 가이드링(26)을 관통하여 상기 전면플레이트(20)의 전방으로 전면이 노출되게 버튼(30)이 설치된다. 상기 버튼(30)은 버튼홀더(38)와 연결보스(32)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버튼홀더(38)는 저면플레이트(20)의 배면에 설치되는 기판(47)상에 그 중심핀(40)이 지지된다. 상기 버튼홀더(38)는 버튼장착부(39)의 외주면을 둘러 지지레그(42)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지지레그(42)는 상기 버튼장착부(39)에 연결되는 연결부(43)와 상기 연결부(43)의 선단에 연결되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변형부(43')를 구비한다. 상기 탄성변형부(43')에는 누름돌기(45)가 형성된 돌출부(44)가 구비된다. 상기 누름돌기(45)는 상기 버튼(30)의 조작에 의해 기판(47)상에 실장된 스위치(48)를 온오프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그 설치를 위한 공간이 최소화되어 버튼조립체가 사용되는 전자기기를 경박단소화시킬 수 있고, 버튼홀더의 탄성변형부가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탄성변형되므로 버튼이 스위치를 정확하게 눌러주어 버튼조립체의 동작이 정확하게 되며, 버튼의 유동이 최소화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다기능버튼, 버튼, 누름돌기, 버튼홀더

Description

다기능 버튼조립체{Multi functional button assembly}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다기능 버튼조립체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버튼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개략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튼이 전면플레이트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전면플레이트 22: 관통공
23: 가이드리브 24: 가이드핀
26: 가이드링 26': 관통부
27: 장착돌편 28: 결합후크
30: 버튼 32: 연결보스
34: 스위치돌기 36: 결합돌기
38: 버튼홀더 39: 버튼장착부
40: 중심핀 42: 지지레그
43: 연결부 43': 탄성변형부
44: 돌출부 45: 누름돌기
47: 기판 48: 스위치
본 발명은 다기능 버튼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버튼이 눌러지는 방향에 따라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다기능 버튼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다기능 버튼조립체의 요부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버튼(10)은 그 전면이 전자기기의 전면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버튼(10)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그 배면 중심에 연결보스(11)가 형성된다. 상기 버튼(10)의 배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일정한 간격으로 누름돌기(12)가 형성된다. 상기 누름돌기(12)는 전면플레이트의 배면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기판(도시되지 않음)상에 설치된 다수개의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눌러주는 부분이다.
상기 버튼(10)을 지지하기 위해 버튼홀더(14)가 구비된다. 상기 버튼홀더(14)는 상기 전면플레이트나 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10)을 지지한다. 상기 버튼홀더(14)의 중앙부분에는 버튼장착부(15)가 형성된다. 상기 버튼장착부(15)는 상기 연결보스(11)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버튼장착부(15)의 배면에는 상기 기판 에 지지되는 중심핀(15')이 구비된다. 상기 중심핀(15')은 상기 버튼(10)이 눌러질 때, 기판에 지지되어 상기 버튼(10)의 중심보다는 그 가장자리 부분이 눌러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버튼장착부(15)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다수개의 지지레그(16)가 방사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레그(16)는 탄성변형이 용이한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버튼장착부(15)가 버튼(10)과 함께 보다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레그(16)의 단부에는 각각 고정컬럼(17)이 상기 중심핀(15')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고정컬럼(17)은 상기 전면플레이트나 기판에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의 버튼홀더(14)는 탄성변형이 일어나는 지지레그(16)의 끝부분에 각각 고정컬럼(17)이 형성되어 버튼홀더(14)를 전면플레이트나 기판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고정컬럼(17)이 버튼홀더(14)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므로, 상기 버튼홀더(14), 즉 버튼조립체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많아지게 된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버튼홀더(14)가 상기 중심핀(15')과 고정컬럼(17)이 전면플레이트나 기판에 지지되고, 버튼장착부(15)가 상기 지지레그(16)의 탄성변형에 의해 버튼(10)의 유동이 일어나게 한다. 하지만, 상기 지지레그(16)의 형상이 탄성변형의 방향성이 없이 다양한 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어, 상기 버튼(10)의 누름돌기(12) 2개가 동시에 각각 스위치를 눌러 오동작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레그(16)의 탄성변형의 방향성이 없어 상기 버튼장착부(15)에 장착된 버튼(10)의 유동이 상대적으로 많아 제품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설치공간이 최소화된 다기능 버튼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튼을 지지하여 스위치를 눌러주는 동작을 제어하는 버튼홀더의 탄성변형부가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탄성변형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튼의 유동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면플레이트의 관통공에 설치되는 가이드링과; 상기 가이드링 내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링을 통해 전면이 전면플레이트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에 버튼장착부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버튼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탄성변형부를 구비하는 지지레그가 상기 버튼장착부 외주면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는 버튼홀더와; 상기 버튼홀더의 버튼장착부의 타단이 지지되며, 상기 버튼의 조작에 의한 상기 탄성변형부의 탄성변형에 의해 눌러져 온오프되도록 기판에 실장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링에는 상기 전면플레이트에 형성된 가이드핀이 삽입되는 장착공을 구비하는 장착돌편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링의 후단 가장자리에는 대 칭되게 결합후크가 형성된다.
상기 버튼의 후단 중앙에는 상기 버튼홀더와 연결되는 연결보스가 원심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버튼의 후단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지지레그의 갯수와 대응되는 스위치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버튼홀더의 버튼장착부 타단에는 상기 기판에 지지되는 중심핀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레그는 하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레그는 하트 모양의 하단부가 상기 버튼장착부의 외주면에 일체로 되는 연결부를 형성하고, 하트 모양의 상단부가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서 연장되어 서로 연결되어 탄성변형부를 형성하며, 상기 탄성변형부에 누름돌기가 구비된 돌출부가 형성된다.
서로 인접하는 지지레그의 연결부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연결부는 하나의 지지레그에 2개가 직각을 형성하게 버튼장착부에서 연장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버튼조립체에서는 그 설치를 위한 공간이 최소화되어 다기능 버튼조립체가 사용되는 전자기기를 경박단소화시킬 수 있고, 버튼홀더의 탄성변형부가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탄성변형되므로 버튼이 스위치를 정확하게 눌러주어 버튼조립체의 동작이 정확하게 되며, 버튼의 유동이 최소화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버튼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버튼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개략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튼이 전면플레이트에 설치된 상태가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면플레이트(20)는 전자기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오디오유니트의 전면플레이트(20)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전면플레이트(20)를 전후로 관통해서는 원형상의 관통공(22)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2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전면플레이트(20)의 배면으로 돌출되게 가이드리브(23)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23)에 인접한 전면플레이트(20)의 배면에는 가이드핀(24)이 다수개 돌출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22)내에 안착되게 가이드링(26)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링(26)은 원형상으로 중앙을 관통하여 관통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링(26)의 후단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장착돌편(2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돌편(27)은 상기 가이드핀(2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장착돌편(27)은 상기 가이드링(26)의 가장자리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핀(24)이 관통되는 장착공(27')이 각각 천공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링(26)의 후단에는 서로 대칭되게 결합후크(28)가 형성되어 있다.
버튼(30)은 상기 가이드링(26)의 관통부(26')내에 설치된다. 상기 버튼(30) 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그 후면 부분이 개구되어 있다. 상기 버튼(30)의 전면은,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플레이트(20)의 전방으로 상기 관통공(22)을 통해 노출되어 있다. 상기 버튼(30)의 내면 중앙에는 후방을 향해 돌출되게 연결보스(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보스(32)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튼홀더(38)의 버튼장착부(39)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버튼(30)의 후단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다수개의 스위치돌기(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돌기(34)는 상기 버튼(30)의 후단 가장자리를 둘러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스위치돌기(34)가 90°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버튼(30)의 후단에는 상기 가이드링(26)의 결합후크(28)에 결합되는 결합돌기(36)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36)는 상기 결합후크(28)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결합돌기(36)는 상기 결합후크(28)내에서 유동가능하게 위치된다.
버튼홀더(38)는 상기 버튼(30)을 아래에서 설명될 기판(47)에 대해 지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버튼홀더(38)에는 대략 원기둥형상의 버튼장착부(39)가 구비된다. 상기 버튼장착부(39)의 일단은 상기 버튼(30)의 연결보스(32)에 연결된다. 상기 버튼장착부(39)의 타단에는 중심핀(40)이 구비된다. 상기 중심핀(40)은 기판(47)상에 버튼홀더(38)를 지지하여 상기 버튼(30)의 중심이 눌러지더라도, 버튼(30)이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고, 버튼(30)의 가장자리가 눌러질 때, 버튼(30)의 회전중심점이 된다.
상기 버튼장착부(39)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다수개의 지지레그(42)가 형성 된다. 상기 지지레그(42)는 각각 하트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레그(42)는 상기 스위치돌기(34)와 같은 갯수만큼 구비된다. 상기 지지레그(42)는 하트모양의 하단을 형성하는 연결부(43)가 상기 버튼장착부(39)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43)의 선단에는 하트모양의 상단을 형성하는 탄성변형부(43')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변형부(43')는 실제로 대부분의 탄성변형이 일어나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43)는 그 인접하는 지지레그(42)의 것이 거의 평행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43)는 하나의 지지레그(42)에 2개가 거의 직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탄성변형부(43')의 중앙부분에는 돌출부(44)가 각각 상기 버튼장착부(39)의 외주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44)에는 누름돌기(45)가 형성된다. 상기 누름돌기(45)는 상기 스위치돌기(3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그 돌출방향은 동일하여 서로 마주보지 않는다. 상기 누름돌기(4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에서 설명될 스위치(48)에 살짝 지지된 상태로 있는다.
기판(47)은 상기 전면플레이트(20)의 배면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버튼(30)의 조작에 의해 눌러지는 스위치(48)등 각종 부품이 실장된다. 상기 스위치(48)는 상기 각각의 누름돌기(45)와 대응되는 위치에 실장되어, 상기 버튼(30)의 조작에 의해 각각의 누름돌기(45)에 의해 선택적으로 온오프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49는 LED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버튼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링(26)은 상기 전면플레이트(20)의 관통공(22)에 위 치된다. 특히, 상기 장착돌편(27)의 장착공(27')에 가이드핀(24)이 삽입되어 그 설치위치가 안내된다. 물론 상기 가이드핀(24)을 융착시켜 가이드링(26)을 전면플레이트(2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링(26)에는 상기 버튼(30)이 유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버튼(30)의 결합돌기(36)가 상기 가이드링(26)의 결합후크(28)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버튼(30)의 연결보스(32)에는 상기 버튼홀더(38)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링(26), 버튼(30) 및 버튼홀더(38)가 서로 결합된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링(26)에 버튼(30)이 장착되고, 상기 버튼(30)에 상기 버튼홀더(38)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링(26)이 전면플레이트(20)에 설치되고, 상기 기판(47)이 전면플레이트(20)의 배면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버튼(30)의 스위치돌기(34)는 상기 버튼홀더(38)의 누름돌기(45)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누름돌기(45)는 상기 기판(47)의 스위치(48)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전면플레이트(20)의 전방으로 노출된 버튼(30)을 조작하면, 상기 버튼홀더(38)의 누름돌기(45)에 의해 상기 스위치(48)가 눌러진다. 특히, 상기 버튼(30)중 도 3의 화살표로 표시된 부분이나 도 5의 가이드링(26)의 4군데 표시부분과 대응되는 버튼(30)의 가장자리중 일측을 눌러주면 상기 중심핀(40)을 중심으로 상기 버튼홀더(38)가 일방향으로 약간 기울어지고, 상 기 버튼(30)의 스위치돌기(34)에 의해 일측 지지레그(42)가 탄성변형된다. 상기 일측 지지레그(42)가 탄성변형되면, 해당되는 누름돌기(45)가 상기 기판(47)의 대응되는 스위치(48)를 눌러 주어 신호가 입력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레그(42)는 상기 탄성변형부(43')가 주로 탄성변형된다. 즉, 상기 버튼(30)의 스위치돌기(34)에 의해 상기 돌출부(44)중 누름돌기(45)가 있는 부분이 주로 눌러지면서 상기 지지레그(42)의 탄성변형부(43')가 탄성변형되어 누름돌기(45)에 의해 상기 스위치(48)가 눌러지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버튼(30)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지지레그(42), 특히 탄성변형부(43')가 복원되면서 상기 버튼(30)은 상기 가이드링(26)에 대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여, 다음의 조작을 기다리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버튼(30)의 가장자리가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면, 그와 대응되는 지지레그(42)의 탄성변형부(43')가 탄성변형되면서 각각의 스위치(48)가 선택적으로 눌러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스위치(48)를 선택적으로 눌러 원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버튼(30)에 의해 총 4개의 스위치(48)가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3개 혹은 5개 이상의 스위치(48)가 선택적으로 조작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이드링(26)이나 버튼(30)의 형상은 도시된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즉, 상기 버튼(30)에 의해 상기 버튼홀더(38)가 조작되어 스위치(48)가 선택적으로 눌러질 수 있는 것이면 그 구성이 어떠하여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버튼(30)의 후단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된 스위치돌기(34)는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버튼(30)의 후단가장자리에 의해 상기 지지레그(42)의 탄성변형부(43')를 탄성변형시킬 수 있으면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버튼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버튼홀더의 버튼장착부가 버튼과 연결된 상태에서 그 중심핀이 기판에 지지되고, 버튼장착부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레그가 기판 상에 실장된 스위치에 안착된 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버튼홀더의 크기가 최소화되어 버튼조립체 자체의 크기가 작아짐과 동시에 그 설치공간, 특히 기판상의 공간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버튼홀더의 버튼장착부에 원주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레그가 그 연결부는 상대적으로 탄성변형이 적고,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 연결된 탄성변형부가 주로 탄성변형된다. 다시 말해, 상기 지지레그의 변형은 상기 연결부쪽에서는 거의 일어나지 않고 탄성변형부에서 대부분이 일어난다. 따라서 상기 지지레그의 탄성변형은 일정한 방향으로만 일어나게 되면서, 기판에 실장 된 버튼이 정확하게 눌러져 버튼조립체의 동작이 정확하게 일어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버튼이 가이드링내에 설치되고 그 후단 가장자리가 버튼홀더의 지지레그에 지지되는데, 상기 지지레그가 그 탄성변형이 방향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버튼의 유동이 최소화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전면플레이트의 관통공에 설치되는 가이드링과;
    상기 가이드링 내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링을 통해 전면이 전면플레이트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에 버튼장착부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버튼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탄성변형부를 구비하는 지지레그가 상기 버튼장착부 외주면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는 버튼홀더와;
    상기 버튼홀더의 버튼장착부의 타단이 지지되며, 상기 버튼의 조작에 의한 상기 탄성변형부의 탄성변형에 의해 눌러져 온오프되도록 기판에 실장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버튼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링에는 상기 전면플레이트에 형성된 가이드핀이 삽입되는 장착공을 구비하는 장착돌편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링의 후단 가장자리에는 대칭되게 결합후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버트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후단 중앙에는 상기 버튼홀더와 연결되는 연결보스가 원심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버튼의 후단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지지레그의 갯수와 대응되는 스위치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다기능 버튼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홀더의 버튼장착부 타단에는 상기 기판에 지지되는 중심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버튼조립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그는 하트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버튼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그는 하트 모양의 하단부가 상기 버튼장착부의 외주면에 일체로 되는 연결부를 형성하고, 하트 모양의 상단부가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서 연장되어 서로 연결되어 탄성변형부를 형성하며, 상기 탄성변형부에 누름돌기가 구비된 돌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버튼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지지레그의 연결부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버튼조립체.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하나의 지지레그에 2개가 직각을 형성하게 버튼장착부에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버튼조립체.
KR1020050045605A 2005-05-30 2005-05-30 다기능 버튼조립체 KR100608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5605A KR100608948B1 (ko) 2005-05-30 2005-05-30 다기능 버튼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5605A KR100608948B1 (ko) 2005-05-30 2005-05-30 다기능 버튼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8948B1 true KR100608948B1 (ko) 2006-08-08

Family

ID=37184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5605A KR100608948B1 (ko) 2005-05-30 2005-05-30 다기능 버튼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89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4866U (ko) * 1995-09-28 1997-04-28 대우전자주식회사 시소노브장치
KR19990024008U (ko) * 1997-12-10 1999-07-05 전주범 노브 스위치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4866U (ko) * 1995-09-28 1997-04-28 대우전자주식회사 시소노브장치
KR19990024008U (ko) * 1997-12-10 1999-07-05 전주범 노브 스위치 조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464584A (en) A touch module connected to a housing and disposed above a swich module
US10180250B2 (en) User interface for a household appliance
US8232495B2 (en) Power button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7355136B2 (en) Button device for computer bezel
JP2009211930A (ja) キーボード
US20070193865A1 (en) Control panel assembly in washer
JP2007227337A (ja) 多方向入力装置
US9443680B2 (en) Electronic device and input device thereof
KR100608948B1 (ko) 다기능 버튼조립체
JP2006286328A (ja) 複合操作型入力装置
US7786399B2 (en) Apparatus comprising a button formed with a panel and flat panel display
JP2001345031A (ja) 複合操作型電子部品
JP2006286331A (ja) 多方向入力装置
TW201327610A (zh) 多方向按鍵總成及電子裝置
KR20090024566A (ko) 버튼어레이 및 이를 구비한 버튼어셈블리
JP2005339896A (ja) 押圧操作装置
KR100863311B1 (ko)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JP4717787B2 (ja) 押釦スイッチの構造
JP3790304B2 (ja) 多方向入力スイッチ装置
JP2007149705A (ja) 二段押圧スイッチ及び回転式電子部品付き押圧スイッチ
JP2001202853A (ja) スイッチ構造
JP2007193958A (ja) 回転型電気部品
KR20090101776A (ko) 버튼 조립체
KR20200102842A (ko) 기판과 케이스의 결합구조
JP2008130493A (ja) 押ボタン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