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1805A - 무선 유도가열 밥솥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유도가열 밥솥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1805A
KR20200101805A KR1020190020143A KR20190020143A KR20200101805A KR 20200101805 A KR20200101805 A KR 20200101805A KR 1020190020143 A KR1020190020143 A KR 1020190020143A KR 20190020143 A KR20190020143 A KR 20190020143A KR 20200101805 A KR20200101805 A KR 20200101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induction heating
power receiving
receiving coil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현식
김완수
박병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0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1805A/ko
Priority to PCT/KR2020/001567 priority patent/WO2020171420A1/ko
Priority to CN202080015438.0A priority patent/CN113453588B/zh
Priority to EP20157042.1A priority patent/EP3700299B1/en
Priority to US16/796,586 priority patent/US20200260899A1/en
Publication of KR20200101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8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dapted to high-frequenc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15Locking devices where vessel and lid have adapted shapes to provide for the lock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14Devices wherein the heating current flows through particular resistan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36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adapted to induce current in a coil to supply power to a device and electrical heating devices powered in this w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6Cook-top or cookwar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9/00Foods and beverages: apparatus
    • Y10S99/14Induction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부와 뚜껑부의 정상 체결 여부를 전기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유도가열 밥솥은 유도가열장치 상에서 동작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회전 체결되는 뚜껑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유도가열장치의 가열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가열되는 내솥,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열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전류가 유도되는 제1 전력 수신 코일, 상기 본체부의 일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전력 수신 코일에 유도된 전류를 공급받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전력 송신 코일, 상기 뚜껑부의 일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전력 송신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전류가 유도되는 제2 전력 수신 코일 및 상기 제2 전력 수신 코일에 유도되는 전류량에 기초하여 상기 뚜껑부의 체결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유도가열 밥솥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WIRELESS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WIRELESS INDUCTION HEAT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본체부와 뚜껑부의 정상 체결 여부를 전기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과, 이를 포함하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밥솥은 쌀과 같은 다양한 곡물을 가열 조리하는 조리기기의 일종으로서, 일반적으로 본체와 뚜껑으로 구성된다. 뚜껑은 본체에 대해 체결됨으로써 밥솥 내부를 밀폐하고, 밥솥의 가열 조리 동작은 밥솥 내부가 밀폐된 상태에서 수행된다.
밥솥 내부에서 가열 조리가 수행되면 밥솥 내부 압력은 급격히 상승하게 된다. 이 때, 뚜껑과 본체가 정상적으로 체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밥솥 내부 압력에 의해 뚜껑부가 비정상적으로 본체로부터 이탈되며 이탈 시 발생하는 충격은 폭발이나 화재를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뚜껑의 정상 체결 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0032호(이하, 선행문헌)에는 전기압력밥솥의 뚜껑 잠금 상태 감지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뚜껑의 잠금 상태를 감지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전기압력밥솥의 뚜껑 잠금 상태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선행문헌의 도면(도 3)을 발췌한 것으로서, 뚜껑의 잠금 상태 감지를 위한 개폐링의 전반적인 구조를 나타낸다. 한편, 도 1에 나타낸 도면 부호는 선행문헌에 기재된 도면 부호와 일부 다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마그네틱 부재(110')는, 밥솥 뚜껑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뚜껑 외측에 설치된 핸들에 의해 회동됨으로써 밥솥 본체와 뚜껑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상태로 만드는 개폐링(100')의 일측에 설치된다.
마그네틱 부재(110')는 개폐링(100')의 내주면 일측에 개폐링(100')의 원중심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의 브라켓(111')과, 브라켓(111')의 상면에 안착되는 마그넷(112'), 및 마그넷(112')이 브라켓(111')에 결합되도록 하는 후크(113')로 구성된다.
한편, 리드 스위치는 마그네틱 부재(110')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마그넷(112')의 자성에 의해 작동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개폐링(100')이 일방향으로 회동하여 뚜껑이 잠금 상태가 된 경우, 마그넷(112')의 자성에 의해 리드 스위치가 접속하게 되며, 개폐링(100')이 타방향으로 회동하여 뚜껑이 잠금 해제 상태가 된 경우, 마그넷(112')의 자성이 리드 스위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어 리드 스위치가 접속 해제된다.
선행문헌의 제어부는 리드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리드 스위치의 접속 여부에 기초하여 뚜껑의 잠금 상태를 판단한다.
이와 같은 선행문헌에 의하면, 뚜껑의 잠금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추가 구성(마그네틱 부재(110') 및 리드 스위치)을 밥솥에 설치해야 하므로, 별도의 설치 공간을 마련해야 할 뿐만 아니라 밥솥의 생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에 의하면 리드 스위치와 제어부(예컨대, PCB) 간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배선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며, 추가되는 배선으로 인해 밥솥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본체부와 뚜껑부의 정상 체결 여부를 전기적으로 파악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과 이를 포함하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 코일을 통해 무선 유도가열 밥솥에 자기장을 제공하는 유도가열장치와, 가열 코일을 통해 제공되는 자기장 중 내솥에 대한 열전달 효율이 낮은 영역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내부 전자 디바이스의 전원으로 이용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을 포함하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와 뚜껑부의 불량 체결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과 이를 포함하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무선 유도가열 밥솥은 뚜껑부의 회전 체결 시 뚜껑부에 전달되는 전력량에 기초하여 뚜껑부의 체결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본체부와 뚜껑부의 정상 체결 여부를 전기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 유도가열 밥솥은 내솥의 가장자리 영역의 하부에서 가열 코일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코일에 유도된 전류를 이용하여 전자 디바이스를 구동함으로써, 내솥에 대한 열전달 효율이 낮은 영역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내부 전자 디바이스의 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 유도가열 밥솥 및 유도가열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뚜껑부의 체결 상태가 불량 상태로 판단된 경우 이상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함으로써, 본체부와 뚜껑부의 불량 체결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물리적인 구성을 추가할 필요 없이 본체부와 뚜껑부의 정상 체결 여부를 전기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산 비용 증가 및 생산성 저하 없이 뚜껑의 체결 상태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솥에 대한 열전달 효율이 낮은 영역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내부 전자 디바이스의 전원으로 이용함으로써, 유도가열장치에서 무선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조리 동작에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와 뚜껑부의 불량 체결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조리 시 뚜껑의 불량 체결로 인한 폭발이나 화재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 전기압력밥솥의 뚜껑 잠금 상태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유도가열 밥솥이 유도가열장치 상에서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무선 유도가열 밥솥을 구성하는 뚜껑부, 내솥 및 본체부를 분리 도시한 도면.
도 4는 뚜껑부와 본체부의 회전 체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각 예에 따른 제1 전력 수신 코일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무선 유도가열 밥솥 및 유도가열장치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블록도.
도 7은 제2 전력 수신 코일과 전력 송신 코일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뚜껑부의 회전 체결 여부에 따라 변화하는 제2 전력 수신 코일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제2 전력 수신 코일과 전력 송신 코일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에 도시된 뚜껑부의 회전 체결 여부에 따라 변화하는 제2 전력 수신 코일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제2 전력 수신 코일과 전력 송신 코일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부와 뚜껑부의 정상 체결 여부를 전기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유도가열 밥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유도가열 밥솥이 유도가열장치 상에서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무선 유도가열 밥솥을 구성하는 뚜껑부, 내솥 및 본체부를 분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뚜껑부와 본체부의 회전 체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 예에 따른 제1 전력 수신 코일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무선 유도가열 밥솥 및 유도가열장치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7은 제2 전력 수신 코일과 전력 송신 코일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a 및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뚜껑부의 회전 체결 여부에 따라 변화하는 제2 전력 수신 코일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제2 전력 수신 코일과 전력 송신 코일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에 도시된 뚜껑부의 회전 체결 여부에 따라 변화하는 제2 전력 수신 코일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2 전력 수신 코일과 전력 송신 코일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은 본체부(110), 뚜껑부(120), 내솥(130)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본체부(110)에는 제1 전력 수신 코일(140a) 및 전력 송신 코일(150)이 구비되며, 뚜껑부(120)에는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뚜껑부(120)는 그 내부에 제어 모듈(121), 통신 모듈(122), 디스플레이 모듈(123), 증기 배출 모듈(124), 압력추(125) 및 소음 저감 모듈(12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은, 전자기 유도 현상을 통해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임의의 유도가열장치(200)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은 가열 코일(210)이 구비된 임의의 유도가열장치(200)의 상부 플레이트(220)에 놓여진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은 가열 코일(210)의 수직선상에서 상부 플레이트(220)에 놓여진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유도가열장치(200)의 메인 PCB는 가열 코일(210)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열 코일(210)에는 자기장이 발생할 수 있다. 가열 코일(210)에서 발생한 자기장은 후술하는 내솥(130) 및 제1 전력 수신 코일(140a)에 전류를 유도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의 하부 및 측부를 지지하는 케이스로,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조리물에 대한 조리는 본체부(110)의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10)에는 내솥(130)이 수납되며, 쌀과 같은 다양한 곡물은 내솥(130) 내부에서 가열 조리될 수 있다.
내솥(130)은 본체부(110) 내부에 수납되어 유도가열장치(200)의 가열 코일(21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내솥(130)은 본체부(11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가 원통 형상인 경우 내솥(130) 또한 상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이 유도가열장치(200)의 상부에 놓인 경우, 내솥(130)의 하면과 가열 코일(210)은 본체부(110)의 바닥면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될 수 있다. 가열 코일(210)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가열 코일(21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은 내솥(130)에 전류를 유도할 수 있고, 내솥(130)에는 유도된 전류에 의한 줄열(Joule's heat)이 발생할 수 있다.
유도 전류의 발생을 위해 내솥(130)은 자성을 띄는 임의의 성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솥(130)은 철(Fe) 성분이 포함된 주철(cast iron)이나, 철(Fe), 알루미늄(Al), 및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등을 접합시킨 클래드(clad)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내솥(130)의 바닥면의 넓이는 가열 코일(210)의 넓이보다 좁을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열 코일(210)이 원형의 평판 코일이고 내솥(130)이 원통 형상을 가질 때, 내솥(130) 바닥면의 반경은 가열 코일(210)의 코일 반경(Rc)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솥(130)의 바닥면의 넓이를 가열 코일(210)의 넓이보다 좁게 설계하는 경우, 가열 코일(210)에서 생성된 자기장은 내솥(130)이 배치된 영역 내에서 누설 없이 모두 내솥(130)의 바닥면으로 전달될 수 있다.
뚜껑부(120)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의 상부를 밀폐하는 케이스로서, 본체부(110)의 상면에 회전 체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뚜껑부(120)는 본체부(110)의 상면에 회전 체결됨으로써 본체부(110)에 탈착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체결은 뚜껑부(120)가 본체부(110)의 상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본체부(110)에 결합되거나 결합이 해제되는 임의의 체결일 수 있다. 예컨대, 회전 체결은 임의의 두 대상에 각각 구비된 체결돌기와 체결홈이 수평방향으로 맞물림으로써 두 대상이 결합하는 임의의 체결일 수 있다.
일 예에서, 본체부(110)의 상면에는 제1 체결링(111)이 구비되고, 뚜껑부(120)의 하면에는 제2 체결링(127)이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제1 체결링(111)과 제2 체결링(127)의 회전 체결에 따라 뚜껑부(120)는 본체부(110)의 상면에 탈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체결링(111)은 본체부(110) 상면의 둘레를 따라 고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제2 체결링(127)은 뚜껑부(120) 하면의 둘레를 따라 고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체결링(111)과 제2 체결링(127)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삽입되어 회전함으로써 회전 체결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결링(111)은 본체부(110)의 상면에서 함몰 형성되고, 제2 체결링(127)은 뚜껑부(120)의 하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체결링(111)은 하부 방향으로 함몰된 홈(113)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체결링(127)은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체결링(127)은 제1 체결링(111)의 홈(113)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체결링(127)은 제1 체결링(111)의 홈(113)에 삽입된 후, 제1 체결링(111)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체결링(111)과 회전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체결링(111)과 제2 체결링(127)에는, 제2 체결링(127)의 회전 시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부재가 각각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결링(111)은 복수의 가이드 턱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체결링(127)은 복수의 걸림턱(128)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링(127)이 제1 체결링(111)의 홈(113)에 삽입된 이후 회전되면, 제2 체결링(127)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턱(128)은 제1 체결링(111)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턱(112)에 각각 맞물릴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가이드턱(112)은 일 수평 방향(예컨대,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 체결링(111)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걸림턱(128)은 타 수평 방향(예컨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 체결링(127)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턱(112)과 걸림턱(128)은 제1 체결링(111)에 대한 제2 체결링(127)의 회전 시 원주 방향으로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이드턱(112)과 걸림턱(128)이 원주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제2 체결링(127)은 제1 체결링(111)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체결링(127)이 제1 체결링(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면, 걸림턱(128)은 가이드턱(112)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2 체결링(127)이 제1 체결링(111)에 대해 특정 각도만큼 회전하는 경우 복수의 가이드턱(112)은 복수의 걸림턱(128)에 완전히 맞물릴 수 있다.
가이드턱(112)이 걸림턱(128)에 맞물린 경우, 제2 체결링(127)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 이상, 뚜껑부(120) 및 본체부(110)에 수직 방향(상부 또는 하부)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뚜껑부(120)는 본체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뚜껑부(120)는 본체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의 사용에 있어서, 뚜껑부(120)에 대한 청소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4에 도시된 구조를 참조하여, 뚜껑부(120)가 본체부(110)에 회전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뚜껑부(120)는 도 4에 도시된 구조 외에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구조를 통해 본체부(110)에 회전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부(1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디바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뚜껑부(120)에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121), 유도가열장치(200)의 메인 PCB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122),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의 상태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2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뚜껑부(120)에는 전술한 제어 모듈(121), 통신 모듈(122) 및 디스플레이 모듈(12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어 모듈(121), 통신 모듈(122) 및 디스플레이 모듈(123)은 다수 IC(integrated circuit)로 구성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뚜껑부(120)에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의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압력추(125)와, 증기 배출시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흡음 부재가 내장된 소음 저감 모듈(126)이 구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뚜껑부(120)에는 특정 제어 신호에 따라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의 내부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증기 배출 모듈(124)(예컨대,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전력 수신 코일(140a)은 본체부(110)의 바닥면에 구비될 수 있고, 제1 전력 수신 코일(140a)에는 가열 코일(21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전류가 유도될 수 있다.
제1 전력 수신 코일(140a)은 일정한 내경 및 외경을 갖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본체부(110)의 바닥면 중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한 내솥(130)의 가열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해 제1 전력 수신 코일(140a)은 내솥(130)의 가장자리 영역의 하부에서 가열 코일(210)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가장자리 영역은 내솥(130)의 중심 수직선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정의되는 영역으로서, 내솥(130)의 원주면에 인접한 영역일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장자리 영역은 내솥(130)을 상면에서 바라볼 때, 내솥(130)의 원주에 인접한 영역일 수 있다. 이하,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내솥(130)의 가장자리 영역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내솥(130)의 바닥면은 조리물의 조리 완료 이후 해당 조리물의 취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 모서리 부분(이하, 라운딩부)이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솥(130)의 바닥면은 평평한 부분으로서 가열 코일(210)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평판 영역(FA)과, 내솥(130)의 바닥면과 측면의 연결부에서 라운딩 처리된 라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내솥(130)의 가장자리 영역(RA)은 라운딩부와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력 수신 코일(140a)은 내솥(130)의 가장자리 영역(RA), 즉 라운딩부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내솥(130)의 바닥면 중 평판 영역(FA)은 내솥(130)의 중심 수직선(HL)을 기준으로 제1 기준 반경 이내(Rf1)에 형성될 수 있고, 가장자리 영역(RA)은 제1 기준 반경(Rf1)과 내솥(130)의 외경(Ro)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제1 전력 수신 코일(140a)은 가장자리 영역(RA)인, 제1 기준 반경(Rf1)과 내솥(130)의 외경(Ro)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가장자리 영역(RA)과 가열 코일(210) 사이의 거리는 평판 영역(FA)과 가열 코일(210) 사이의 거리보다 멀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 코일(21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한 열 전달량은 평판 영역(FA)에서보다 가장자리 영역(RA)에서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제1 전력 수신 코일(140a)은 이와 같이 열 전달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가장자리 영역(RA)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내솥(130)에 대한 전체 열 전달량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가열 코일(21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도 5b를 참조하면 내솥(130)의 가장자리 영역(RA)은 수직적으로 내솥(130) 외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내솥(130)의 가장자리 영역(RA)은 내솥(130)의 외경(Ro)과, 내솥(130)의 외경보다 큰 제2 기준 반경(Rf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전력 수신 코일(140a)은 내솥(130)을 상면에서 바라볼 때, 내솥(130)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전력 수신 코일(140a)은 그 내경(Rci)이 내솥(130)의 외경(Ro)보다 큰 구조로 내솥(13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1 전력 수신 코일(140a)에 유도 전류가 효율적으로 발생되도록 하기 위해, 제1 전력 수신 코일(140a)의 외경(Rco)은 가열 코일(210)의 코일 반경(Rc)보다 작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력 수신 코일(140a)의 내경(Rci)은 내솥(130)의 외경(Ro)보다 크고, 제1 전력 수신 코일(140a)의 외경(Rco)은 가열 코일(210)의 코일 반경(Rc)보다 작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 전력 수신 코일(140a)이 형성하는 영역은 수직적으로 가열 코일(210)이 형성하는 영역 내에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b에 도시된 예시에서, 가열 코일(210)에서 발생된 자기장은 제1 전력 수신 코일(140a)이 배치된 영역 내에서 누설 없이 제1 전력 수신 코일(140a)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전력 수신 코일(140a)은 이와 같이 내솥(130)에 대한 수직적인 열 전달이 발생하지 않는 가장자리 영역(RA)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내솥(130)에 대한 열 전달량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가열 코일(21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솥(130)에 대한 열전달 효율이 낮은 영역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후술하는 방법에 따라 내부 전자 디바이스의 전원으로 이용함으로써, 유도가열장치(200)에서 무선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조리 동작에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측면 가열 코일(160)은 내솥(130)의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 전력 수신 코일(140a)과 연결되어 제1 전력 수신 코일(140a)에 유도된 전류를 이용하여 내솥(130)을 가열할 수 있다.
다시 도 2,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측면 가열 코일(160)은 내솥(130)의 외주면을 따라 감김으로써 내솥(130) 외주면에 밀착 배치될 수 있다. 만일 본체부(110) 내부에 내솥(130)을 지지하기 위한 내솥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내솥 지지부재가 내솥(130)의 바닥면뿐만 아니라 내솥(130)의 외주면을 함께 지지하는 경우, 측면 가열 코일(160)은 내솥 지지부재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측면 가열 코일(160)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측면 가열 코일(160)은 그 턴 수에 따라 복수의 층을 갖는 코일로서, 각 층은 수직방향으로 내솥(130)의 외주면을 따라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측면 가열 코일(160)은 제1 전력 수신 코일(14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측면 가열 코일(160)의 일단은 제1 전력 수신 코일(140a)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결국, 제1 전력 수신 코일(140a)과 측면 가열 코일(160)은 하나의 금속 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때 제1 전력 수신 코일(140a)과 측면 가열 코일(160)은 그 위치와 기능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측면 가열 코일(160)이 제1 전력 수신 코일(14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측면 가열 코일(160)에는 제1 전력 수신 코일(140a)에 유도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측면 가열 코일(160)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측면 가열 코일(160)에서는 자기장이 발생할 수 있고, 측면 가열 코일(16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은 내솥(130)의 외주면에 전류를 유도함으로써 내솥(130), 구체적으로는 내솥(130)의 측면을 가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솥의 바닥면에 대한 열전달 효율이 낮은 영역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내솥의 측면을 가열하는 데 이용함으로써, 내솥을 가열하는데 있어서 가열 코일에서 출력되는 전력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전력 송신 코일(150)은 본체부(110)의 일 측면에 구비되어 제1 전력 수신 코일(140a)에 유도된 전류를 공급받아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력 송신 코일(150)은 임의의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본체부(110)의 일 측면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력 송신 코일(150)은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의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 본체부(110)의 측면에 밀착 배치될 수 있다.
전력 송신 코일(150)은 평판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후술하는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기 위해, 본체부(110)의 측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전력 송신 코일(150)은 본체부(110)의 측면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력 송신 코일(150)은 제1 전력 수신 코일(14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력 송신 코일(150)이 제1 전력 수신 코일(14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전력 송신 코일(150)에는 제1 전력 수신 코일(140a)에 유도된 전류가 제공될 수 있다. 전력 송신 코일(150)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력 송신 코일(150)에서는 자기장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은 제1 전력 수신 코일(140a)에 유도된 전류를 변환하여 전력 송신 코일(150)로 제공하는 제1 전력 변환 회로(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전력 변환 회로(170)는 집적 회로 패키지(packaged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본체부(110)의 일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력 변환 회로(170)는 전력 송신 코일(150)의 하부에서 본체부(110)의 일 측면에 고정 구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전력 변환 회로(170)의 입력단은 제1 전력 수신 코일(140a)에 연결될 수 있고, 제1 전력 변환 회로(170)의 출력단은 전력 송신 코일(15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전력 변환 회로(170)는 제1 전력 수신 코일(140a)에 유도된 전류를 안정적인 고주파 전류로 변환하여 전력 송신 코일(15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전력 수신 코일(140a)에 유도되는 전류량은 가열 코일(210)의 출력, 내솥(130)의 부하량(조리물에 포함된 수분, 조리물의 양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1 전력 수신 코일(140a)에 유도되는 전류량은 가열 코일(210)과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코일 간 정합도(degree of matching)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제1 전력 변환 회로(170)는 이와 같이 전류량 변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1 전력 수신 코일(140a)에 유도된 전류를 일정한 전압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전압을 안정적인 고주파 전류로 변환하여 전력 송신 코일(15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 송신 코일(150)은 고주파 전류를 공급받아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은 뚜껑부(120)의 일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은 임의의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뚜껑부(120)의 일 측면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은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의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 뚜껑부(120)의 측면에 밀착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은 전력 송신 코일(150)과 마찬가지로 평판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전력 송신 코일(150)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기 위해, 뚜껑부(120)의 측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은 뚜껑부(120)의 측면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과 전력 송신 코일(150)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전력 송신 코일(150)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에는 전력 송신 코일(15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전류가 유도될 수 있다.
이 때,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에 유도되는 전류량은 전력 송신 코일(150)과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의 배치에 따라 달라지는데, 전력 송신 코일(150)과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의 구체적인 배치와, 각 코일의 상대적 위치 관계에 따른 전력 전달 과정에 대해서는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은 전력 송신 코일(15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유도된 전류를 뚜껑부(12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디바이스에 공급할 수 있다.
도 2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은 뚜껑부(120) 내부의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뚜껑부(120) 내부의 각 전자 디바이스는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에서 발생한 유도 전류를 전원으로서 제공받을 수 있다.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는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로부터 제공된 전원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모듈(121)은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로부터 제공된 전원을 이용하여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의 전반적인 동작(예컨대, 증기 배출 모듈(124)의 증기 배출 및 차단)을 제어할 수 있고, 통신 모듈(122)은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로부터 제공된 전원을 이용하여 유도가열장치(200)의 메인 PCB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23)은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로부터 제공된 전원을 이용하여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의 상태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은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에 유도된 전류를 뚜껑부(120) 내 전자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제2 전력 변환 회로(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력 변환 회로(180)는 제1 전력 변환 회로(170)와 마찬가지로 집적 회로 패키지의 형태로 뚜껑부(12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전력 변환 회로(180)의 입력단은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전력 변환 회로(180)의 출력단은 뚜껑부(120) 내 각 전자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전력 변환 회로(180)는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에 유도된 전류를 일정 주파수의 교류 전압로 변환하거나 일정 크기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각 전자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에는 교류 전류가 유도되는데, 뚜껑부(120) 내 각 전자 디바이스는 그 제원에 따라 일정 주파수의 교류 전압 또는 일정 크기의 직류 전압을 전원으로 인가받아 동작할 수 있다.
제2 전력 변환 회로(180)는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에 유도된 전류를 직류 전압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직류 전압을 각 전자 디바이스의 제원에 맞는 일정 주파수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력 변환 회로(180)는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에 유도된 전류를 직류 전압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직류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하여 각 전자 디바이스의 제원에 맞는 일정 크기의 직류 전압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각 전자 디바이스는 자신의 제원에 맞는 전원 전압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은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에 유도된 전류를 저장하는 배터리(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0)는 뚜껑부(120) 내부에 구비되어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에 유도된 전류를 예비 전력으로서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전력 변환 회로(180)는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에 유도된 전류를 배터리(190)에 공급하여 배터리(190)를 충전시킬 수 있다.
배터리(190)는 뚜껑부(120) 내부의 각 전자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고, 각 전자 디바이스는 배터리(19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 전자 디바이스는 제2 전력 변환 회로(180)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다가, 제2 전력 변환 회로(180)에서 더 이상 전원이 출력되지 않으면, 배터리(19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전력 송신 코일(150)과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의 구체적인 배치 및 각 코일의 상대적 위치에 따른 전력 전달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전력 송신 코일(150)은 본체부(110)의 상부 일 측면에서 본체부(110)의 외면을 따라 제1 길이로 형성되고,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은 뚜껑부(120)의 일 측면에서 뚜껑부(120)의 외면을 따라 제2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전력 송신 코일(150)은 본체부(110)의 외면을 따라 배치되므로, 본체부(1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은 뚜껑부(120)의 외면을 따라 배치되므로, 뚜껑부(1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체부(110)가 원통 형상을 가질 때, 전력 송신 코일(150)은 본체부(110)의 상부 일 측면에서 본체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찌그러진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력 송신 코일(150)은 그 장축(major axis)이 본체부(110)의 외주면과 평행한 원호(circular arc) 형상을 갖는 타원 형상일 수 있다. 이 때, 전력 송신 코일(150)의 장축 길이는 제1 길이(L1, L1')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본체부(110)가 사각 기둥 형상을 갖는 경우, 전력 송신 코일(150)은 본체부(110)의 상부 일 측면에서 본체부(110)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력 송신 코일(150)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의 길이가 본체부(110)의 외면에 대응하는 직선 형상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본체부(110)의 외면에 밀착되는 변의 길이는 제1 길이일 수 있다.
다시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뚜껑부(120)가 원통 형상을 가질 때,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은 뚜껑부(120)의 하부 일 측면에서 뚜껑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찌그러진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은 그 장축이 뚜껑부(120)의 외주면과 평행한 원호 형상을 갖는 타원 형상일 수 있다. 이 때,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의 장축 길이는 제2 길이(L2, L2')일 수 있다.
만일, 뚜껑부(120)가 사각 기둥 형상을 갖는 경우,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은 뚜껑부(120)의 하부 일 측면에서 뚜껑부(120)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의 길이가 뚜껑부(120)의 외면에 대응하는 직선 형상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뚜껑부(120)의 외면에 밀착되는 변의 길이는 제2 길이일 수 있다.
제1 길이(L1, L1')와 제2 길이(L2, L2')는 설계상의 필요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뚜껑부(120)의 회전 체결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해, 제1 길이(L1, L1')와 제2 길이(L2, L2')는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부(110)와 뚜껑부(120)가 각각 원통 형상을 갖는 경우, 전력 송신 코일(150)은 본체부(110)의 원주면을 따라 제1 중심각 내에서 형성될 수 있고,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은 뚜껑부(120)의 원주면을 따라 제2 중심각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전력 송신 코일(150)과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은 각각 원통 형상의 본체부(110) 및 뚜껑부(120)의 외면, 다시 말해 본체부(110) 및 뚜껑부(120)의 원주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송신 코일(150)은 본체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찌그러진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은 뚜껑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찌그러진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전력 송신 코일(150)은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의 중심 수직선을 기준으로 제1 중심각(θ1, θ1') 내에서 형성될 수 있고,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은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의 중심 수직선을 기준으로 제2 중심각(θ2, θ2')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전력 송신 코일(150) 및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이 본체부(110) 및 뚜껑부(120)에 각각 밀착되는 찌그러진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에도, 전력 송신 코일(150)은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의 중심 수직선을 기준으로 제1 중심각(θ1, θ1') 내에서 형성될 수 있고,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은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의 중심 수직선을 기준으로 제2 중심각(θ2, θ2')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중심각(θ1, θ1')과 제2 중심각(θ2, θ2')은 설계상의 필요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뚜껑부(120)의 회전 체결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해, 제1 중심각(θ1, θ1')과 제2 중심각(θ2, θ2')은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전력 송신 코일(150)과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이 형성되는 길이(제1 길이 및 제2 길이) 또는 전력 송신 코일(150)과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이 형성되는 각도(제1 중심각 및 제2 중심각)가 동일한 경우에도 전력 송신 코일(150)과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의 너비는 다를 수 있다.
일 예에서, 전력 송신 코일(150)과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이 찌그러진 타원 형상을 가질 때, 원호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코일의 장축 길이가 동일한 경우에도, 원호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두 코일의 단축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력 송신 코일(150)과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이 찌그러진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때, 본체부(110) 및 뚜껑부(120)에 밀착되는 각 코일의 어느 한 변의 길이가 동일한 경우에도, 원호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각 코일의 다른 변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더 나아가, 전력 송신 코일(150)과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의 크기와 모양은 완전히 동일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전술한 예에서 전력 송신 코일(150)과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이 찌그러진 타원 형상일 때, 두 코일의 장축 및 단축 길이뿐만 아니라 타원의 원주면의 곡률 또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송신 코일(150)과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이 찌그러진 직사각형 형상일 때, 두 코일의 각 변의 길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본체부(110)에 대한 뚜껑부(120)의 회전 정도에 따라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과 전력 송신 코일(150)은 중첩 영역(OA)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회전 체결 정도에 따라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과 전력 송신 코일(150)은 서로 다른 면적의 중첩 영역(OA)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중첩 영역(OA)은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을 상면에서 바라볼 때,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과 전력 송신 코일(150)이 중첩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8a를 함께 참조하면, 복수의 가이드턱(112)과 복수의 걸림턱(128)이 원주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제2 체결링(127)이 제1 체결링(111)에 삽입되면,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과 전력 송신 코일(150)은 일부 중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과 전력 송신 코일(150)은 일정 너비의 중첩 영역(OA)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 및 도 8b를 함께 참조하면, 제2 체결링(127)이 제1 체결링(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면, 각 걸림턱(128)은 각 가이드턱(112)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복수의 걸림턱(128)은 복수의 가이턱에 완전히 맞물릴 수 있다. 이 때,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과 전력 송신 코일(150)은 완전히 중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과 전력 송신 코일(150)은 최대의 중첩 영역(OA)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도 9에 도시된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과 전력 송신 코일(150)이 형성되는 길이 및 각도는, 도 7에 도시된 길이 및 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예컨대,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과 전력 송신 코일(150)이 형성되는 중심각은 도 4에 도시된 어느 한 가이드턱(112) 및 걸림턱(128)의 중심각 이내일 수 있다.
도 4 및 도 10a를 함께 참조하면, 도 9에 도시된 구조에서 복수의 가이드턱(112)과 복수의 걸림턱(128)이 원주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제2 체결링(127)이 제1 체결링(111)에 삽입되면,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과 전력 송신 코일(150)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과 전력 송신 코일(150)은 중첩 영역(OA)을 형성하지 못할 수 있다.
도 4 및 도 10b를 함께 참조하면, 제2 체결링(127)이 제1 체결링(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면, 각 걸림턱(128)은 각 가이드턱(112)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복수의 걸림턱(128)은 복수의 가이턱에 완전히 맞물릴 수 있다. 이 때,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과 전력 송신 코일(150)은 완전히 중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과 전력 송신 코일(150)은 최대의 중첩 영역(OA)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은 뚜껑부(120)의 측면에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전력 송신 코일(150)은 본체부(110)의 측면에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의 개수와 전력 송신 코일(150)의 개수는 동일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은 위치상으로 대응되는 복수의 전력 송신 코일(150)과 각각 중첩 영역(OA)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과 전력 송신 코일(150) 사이에 형성되는 중첩 영역(OA)에 대해서는 단일의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과 단일의 전력 송신 코일(150)을 기준으로 전술한 바 있고, 도 11에 도시된 복수의 코일에도 동일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는 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회전 체결은 뚜껑부(120)가 본체부(110)의 상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본체부(110)에 결합되거나 결합이 해제되는 임의의 체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 구조 이외에도, 뚜껑부(120)가 본체부(110)의 상면에 대해 일정 각도 회전되기 전에는 본체부(110)와 뚜껑부(120)는 완전히 체결되지 않을 수 있고, 뚜껑부(120)가 본체부(110)의 상면에 대해 일정 각도 회전되면 본체부(110)와 뚜껑부(120)는 완전히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중첩 영역(OA)의 너비는 뚜껑부(120)의 회전 각도가 증가할수록 넓어지다가, 뚜껑부(120)가 본체부(110)에 완전히 회전 체결되면 최대의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에 유도되는 전류량은 중첩 영역(OA)의 면적에 비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기 유도 현상을 통해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에 유도되는 전류량은,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과 전력 송신 코일(150) 간의 결합계수(coupling factor)에 비례할 수 있다.
두 코일간의 결합계수는 중첩 영역(OA)의 너비가 넓을수록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에 되는 전류량은 전술한 중첩 영역(OA)의 면적에 비례할 수 있다.
제어 모듈(121)은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에 유도된 전류량에 기초하여 뚜껑부(120)의 체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첩 영역(OA)은 뚜껑부(120)의 회전에 따라 다른 면적을 형성하고,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에 유도되는 전류량은 중첩 영역(OA)의 면적에 비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에 유도되는 전류량은 뚜껑부(120)의 회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제어 모듈(121)은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에 유도되는 전류량에 기초하여 뚜껑부(120)의 회전 정도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본체부(110)에 대한 뚜껑부(120)의 체결 상태를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체결 상태는 정상 상태와 불량 상태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어 모듈(121)은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에 유도된 전류량이 최대 전류량이면 체결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단하고,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에 유도된 전류량이 최대 전류량 미만이면 체결 상태를 불량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 모듈(121)은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에 유도되는 전류량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 모듈(121)의 전류량 검출 동작에는 임의의 전류 센서 또는 전류 검출 회로가 이용될 수 있다.
도 8b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뚜껑부(120)가 본체부(110)에 대해 완전히 회전 체결되면,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과 전력 송신 코일(150) 사이의 중첩 영역(OA)의 너비는 최대일 수 있다. 이 때,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에 유도되는 전류량은 최대일 수 있다.
제어 모듈(121)은 내부 메모리를 참조하여 미리 설정된 최대 전류량을 식별하고, 식별된 최대 전류량과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에 유도된 전류량을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에 유도된 전류량이 최대 전류량과 동일한 경우, 뚜껑부(120)가 본체부(110)에 대해 완전히 회전 체결된 것으로 보아 체결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에,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에 유도된 전류량이 최대 전류량 미만인 경우, 뚜껑부(120)가 본체부(110)에 대해 완전히 회전 체결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체결 상태를 불량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어 모듈(121)은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에 유도된 전류량이 기준 전류량 이상이면 체결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단하고,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에 유도된 전류량이 기준 전류량 미만이면 체결 상태를 불량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첩 영역(OA)의 너비는 뚜껑부(120)가 본체부(110)에 대해 완전히 회전 체결된 경우에 최대의 너비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은 뚜껑부(120)가 본체부(110)에 대해 완전히 회전 체결되지 않은 경우,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걸림턱(128)이 가이드턱(112)에 완전히 맞물리지 않은 경우에도 조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뚜껑부(120)가 본체부(110)에 대해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여 체결된 경우에도 뚜껑부(120)는 조리 시 내솥(130)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압을 버틸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때, 제어 모듈(121)은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에 유도된 전류량을 기준 전류량과 비교하여 체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전류량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 있고, 예컨대, 전술한 최대 전류량의 90%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 모듈(121)은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에 유도된 전류량이 기준 전류량 이상 최대 전류량 미만인 경우, 조리 동작이 수행될 수 있을 정도로 뚜껑부(120)가 본체부(110)에 대해 회전 체결된 것으로 보아 체결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에,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에 유도된 전류량이 기준 전류량 미만인 경우, 조리 동작이 수행될 수 있을 정도로 뚜껑부(120)가 본체부(110)에 대해 회전 체결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체결 상태를 불량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별도의 물리적인 구성을 추가할 필요 없이 본체부(110)와 뚜껑부(120)의 정상 체결 여부를 전기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산 비용 증가 및 생산성 저하 없이 뚜껑의 체결 상태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모듈(121)은 뚜껑부(120)의 체결 상태가 불량 상태이면 디스플레이 모듈(123)에 출력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123)은 출력 제어 신호에 따라 이상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이상정보는 뚜껑부(120)의 체결 상태가 불량 상태임을 알리는 임의의 정보일 수 다. 예컨대, 이상정보는 사용자에게 뚜껑부(120)의 정상 체결을 요구하는 텍스트 및 이미지 정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121)은 뚜껑부(120)의 체결 상태가 불량 상태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모듈(123)에 디지털 신호인 출력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23)은 제어 모듈(121)로부터 출력 제어 신호를 제공받고, 내부 메모리를 참조하여 출력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이상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이상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부(110)와 뚜껑부(120)의 불량 체결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조리 시 뚜껑의 불량 체결로 인한 폭발이나 화재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12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1)은 유도가열장치(200)와, 유도가열장치(200) 상에서 동작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1)을 구성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은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며,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부분과 차이가 되는 부분만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가열장치(200)는 메인 PCB와, 메인 PCB의 제어에 따라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가열 코일(21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도가열장치(200)는 외부전원과 연결될 수 있고, 유도가열장치(200)내 메인 PCB는 외부전원을 이용하여 가열 코일(210)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가열 코일(210)에 전류가 인가되면 가열 코일(210)에서는 자기장이 발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가열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50) 및 노브 스위치(260)를 포함할 수 있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의 통신 모듈(122)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 노브 스위치(260) 및 통신부는 메인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메인 PCB에 의해 제어되거나 메인 PCB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노브 스위치(260)는 유도가열장치(200)의 상면에 구비되어, 그 회전 정도에 따른 신호를 메인 PCB에 제공할 수 있다. 메인 PCB는 노브 스위치(260)로부터 제공된 신호에 따라 가열 코일(210)의 출력을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열 코일(210)에 인가되는 전류량은 노브 스위치(260)의 회전 정도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은 본체부(110)와, 본체부(110)에 회전 체결되는 뚜껑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와 뚜껑부(120)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이러한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은 가열 코일(210)이 형성하는 영역 상에 배치되어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가열 코일(210)이 형성하는 영역은 가열 코일(210)의 모든 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 최소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코일(210)이 원형의 평판 코일일 때, 가열 코일(210)이 형성하는 영역의 넓이는 가열 코일(210)의 중심으로부터 가열 코일(210)의 외주면까지의 거리인 코일반경에 의해 결정되는 원의 넓이일 수 있다.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은 가열 코일(21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조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조리 동작은 내솥의 가열을 통한 조리물의 가열 동작뿐만 아니라, 도 6에 도시된 제어 모듈(121), 통신 모듈(122) 및 디스플레이 모듈(123)의 전반적인 동작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은 가열 코일(210)을 통해 수신되는 전력량에 기초하여 뚜껑부(120)의 체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은 도 6에 도시된 제2 전력 수신 코일(140b)에 유도되는 전류량에 기초하여 뚜껑부(120)의 체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체결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으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유도가열장치(200) 및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은 상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상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유도가열장치(200)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의 상태 정보에 따라 가열 코일(21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고,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은 유도가열장치(200)의 상태 정보에 따라 내부의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뚜껑부(120)의 체결 상태가 불량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무선 유도가열 밥솥(100)은 통신 모듈(122)을 통해 유도가열장치(200)에 이상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유도가열장치(200)는 통신부를 통해 이상신호를 수신하고, 메인 PCB는 수신된 이상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250)를 제어하여 이상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9)

  1. 유도가열장치 상에서 동작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회전 체결되는 뚜껑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유도가열장치의 가열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가열되는 내솥;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열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전류가 유도되는 제1 전력 수신 코일;
    상기 본체부의 일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전력 수신 코일에 유도된 전류를 공급받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전력 송신 코일;
    상기 뚜껑부의 일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전력 송신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전류가 유도되는 제2 전력 수신 코일; 및
    상기 제2 전력 수신 코일에 유도되는 전류량에 기초하여 상기 뚜껑부의 체결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는 제1 체결링이 구비되고,
    상기 뚜껑부의 하면에는 상기 제1 체결링에 회전 체결되는 제2 체결링이 구비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링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서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링은 상기 뚜껑부의 하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링은 상기 제1 체결링의 홈에 삽입된 이후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 체결링과 회전 체결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링은 복수의 가이드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링은 복수의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링이 상기 제1 체결링의 홈에 삽입된 이후 회전되면 상기 복수의 걸림턱은 상기 복수의 가이드턱에 맞물리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 수신 코일은 상기 내솥의 가장자리 영역의 하부에서 상기 가열 코일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력 수신 코일은 상기 전력 송신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유도된 전류를 상기 뚜껑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디바이스에 공급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제어 모듈, 통신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 증기 배출 모듈,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 수신 코일에 유도된 전류를 변환하여 상기 전력 송신 코일로 제공하는 제1 전력 변환 회로를 더 포함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송신 코일은 상기 본체부의 상부 일 측면에서 상기 본체부의 외면을 따라 제1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전력 수신 코일은 상기 뚜껑부의 일 측면에서 상기 뚜껑부의 외면을 따라 제2 길이로 형성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송신 코일은 상기 본체부의 원주면을 따라 제1 중심각 내에서 형성되고,
    상기 제2 전력 수신 코일은 상기 뚜껑부의 원주면을 따라 제2 중심각 내에서 형성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송신 코일과 상기 제2 전력 수신 코일의 크기와 모양은 동일한 무선 유도가열 밥솥.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대한 상기 뚜껑부의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제2 전력 수신 코일과 상기 전력 송신 코일은 중첩 영역을 형성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력 수신 코일에 유도되는 전류량은 상기 중첩 영역의 면적에 비례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2 전력 수신 코일에 유도된 전류량이 기준 전류량 이상이면 상기 체결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제2 전력 수신 코일에 유도된 전류량이 상기 기준 전류량 미만이면 상기 체결 상태를 불량 상태로 판단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2 전력 수신 코일에 유도된 전류량이 최대 전류량이면 상기 체결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제2 전력 수신 코일에 유도된 전류량이 상기 최대 전류량 미만이면 상기 체결 상태를 불량 상태로 판단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뚜껑부의 체결 상태가 불량 상태이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출력 제어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출력 제어 신호에 따라 이상정보를 출력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의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전력 수신 코일과 연결되어 상기 유도된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내솥을 가열하는 측면 가열 코일을 더 포함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18. 메인 PCB와 상기 메인 PCB의 제어에 따라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가열 코일을 포함하는 유도가열장치; 및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회전 체결되는 뚜껑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조리 동작을 수행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유도가열 밥솥은 상기 가열 코일을 통해 수신되는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뚜껑부의 체결 상태를 판단하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유도가열 밥솥은
    상기 본체부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유도가열장치의 가열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가열되는 내솥;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열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전류가 유도되는 제1 전력 수신 코일;
    상기 본체부의 일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전력 수신 코일에 유도된 전류를 공급받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전력 송신 코일;
    상기 뚜껑부의 일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전력 송신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전류가 유도되는 제2 전력 수신 코일; 및
    상기 제2 전력 수신 코일에 유도되는 전류량에 기초하여 상기 뚜껑부의 체결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
KR1020190020143A 2019-02-20 2019-02-20 무선 유도가열 밥솥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 KR2020010180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143A KR20200101805A (ko) 2019-02-20 2019-02-20 무선 유도가열 밥솥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
PCT/KR2020/001567 WO2020171420A1 (ko) 2019-02-20 2020-02-03 무선 유도가열 밥솥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
CN202080015438.0A CN113453588B (zh) 2019-02-20 2020-02-03 无线感应加热炊具和包括其的无线感应加热系统
EP20157042.1A EP3700299B1 (en) 2019-02-20 2020-02-13 Wireless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wireless induction heating system including same
US16/796,586 US20200260899A1 (en) 2019-02-20 2020-02-20 Wireless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wireless induction heating system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143A KR20200101805A (ko) 2019-02-20 2019-02-20 무선 유도가열 밥솥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805A true KR20200101805A (ko) 2020-08-28

Family

ID=69581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143A KR20200101805A (ko) 2019-02-20 2019-02-20 무선 유도가열 밥솥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260899A1 (ko)
EP (1) EP3700299B1 (ko)
KR (1) KR20200101805A (ko)
CN (1) CN113453588B (ko)
WO (1) WO20201714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337B1 (ko) * 2021-04-12 2021-11-16 조찬주 무선 발열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82380B1 (en) * 2015-04-16 2020-04-08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aratus
USD961330S1 (en) * 2020-07-16 2022-08-23 Midea Group Co., Ltd. Electric cooker lid
USD960640S1 (en) * 2020-07-16 2022-08-16 Midea Group Co., Ltd. Lid for a pressure cook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6171A (ja) * 1997-04-17 1998-10-27 Zojirushi Corp 誘導加熱式炊飯器
JP3225209B2 (ja) * 1997-06-19 2001-11-05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炊飯器
KR200209548Y1 (ko) * 1998-08-24 2001-03-02 김동길 전기압력솥의 뚜껑 개폐구조
KR200445013Y1 (ko) 2007-06-28 2009-06-23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전기압력밥솥의 뚜껑 잠금 상태 감지장치
ES2393378B1 (es) * 2011-06-07 2013-10-31 Electrodomésticos Taurus, S.L. Encimera de cocina con medios de accionamiento giratorio y recipiente de cocina utilizable con dicha encimera
JP2014033904A (ja) * 2012-08-10 2014-02-24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炊飯器
RU2615166C1 (ru) * 2014-01-31 2017-04-04 Ниссан Мотор Ко., Лтд. Система беспроводной подачи энергии и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энергии
JP6366483B2 (ja) * 2014-11-27 2018-08-01 三菱電機株式会社 炊飯器
WO2016181208A1 (en) * 2015-05-08 2016-11-17 Waco Pacific Ltd. Induction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induction cooking apparatus
JP6465784B2 (ja) * 2015-09-28 2019-02-06 三菱電機株式会社 炊飯器
CN108370618A (zh) * 2015-10-16 2018-08-03 三菱电机株式会社 加热烹调系统、感应加热烹调器以及电气设备
WO2018223590A1 (zh) * 2017-06-05 2018-12-13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分体式烹饪器具
JP6710257B2 (ja) * 2018-11-07 2020-06-17 三菱電機株式会社 炊飯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337B1 (ko) * 2021-04-12 2021-11-16 조찬주 무선 발열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453588B (zh) 2022-10-04
CN113453588A (zh) 2021-09-28
EP3700299A1 (en) 2020-08-26
EP3700299B1 (en) 2022-05-04
US20200260899A1 (en) 2020-08-20
WO2020171420A1 (ko)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01805A (ko) 무선 유도가열 밥솥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
EP3700298A1 (en) Wireless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wireless induction heat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N103308948B (zh) 检测装置、电力接收装置和电力发送装置
JP6560247B2 (ja) ワイヤレス電力受信機コイルの構成のための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
US997923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magnetic flux density and receiving wireless power
JP5894287B2 (ja) ワイヤレス電力搬送波同期通信
WO2017064803A1 (ja) 加熱調理システム、誘導加熱調理器、及び電気機器
JP6403808B2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及び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
CN113453589B (zh) 无线感应加热炊具和包括其的无线感应加热系统
JP2011101524A (ja) 電子装置、設定診断装置、設定診断システム、空気調和機、センサ装置、計測器及び電気機器
JP2010049959A (ja) 誘導加熱調理器
WO2017175321A1 (ja) 加熱調理システム、誘導加熱調理器、及び調理装置
KR20200101826A (ko) 유도가열 밥솥
JP5287444B2 (ja) 誘導加熱調理器
US20200260902A1 (en) Induction heating cooker
EP3503348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US20150349545A1 (en) Apparatus for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KR20200101825A (ko) 무선 유도가열 밥솥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
EP3698681B1 (en) Wireless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wireless induction heating system including same
JP6028757B2 (ja) 受電装置および送電装置
JP2005204921A (ja) 電気炊飯器
JPWO2019073574A1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21051948A (ja) 誘導加熱装置
KR20190138052A (ko) 무선 전력 시스템
JP2005168552A (ja) 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