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856A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필름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856A
KR20200099856A KR1020190018017A KR20190018017A KR20200099856A KR 20200099856 A KR20200099856 A KR 20200099856A KR 1020190018017 A KR1020190018017 A KR 1020190018017A KR 20190018017 A KR20190018017 A KR 20190018017A KR 20200099856 A KR20200099856 A KR 20200099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refractive
layer
window film
film
refractive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거산
강민경
김승희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8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9856A/ko
Priority to JP2021547386A priority patent/JP7401549B2/ja
Priority to CN202080014476.4A priority patent/CN113423771B/zh
Priority to PCT/KR2020/001895 priority patent/WO2020166933A1/ko
Priority to US17/430,827 priority patent/US20220164050A1/en
Publication of KR20200099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8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6Coating with compositions not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L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7Particle size smaller than 100 n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361/00 - C08J2377/00
    • C08J23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J23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4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4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08K7/26Silicon- containing compou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Optical Filter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색도가 높은 폴리이미드 필름을 사용하더라도, 윈도우 필름 전체의 색상을 뉴트럴하게 조정하여 낮은 황색도를 가짐과 동시에 높은 투과율을 가질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및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필름 {Window Film for Flexible Display}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및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황색도가 높은 폴리이미드 필름을 사용하더라도, 윈도우 필름 전체의 색상을 뉴트럴하게 조정하여 낮은 황색도를 가짐과 동시에 높은 투과율을 가질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및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상 이미지를 포함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liquid crystal display: LCD) 장치, 유기 발광 표시(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장치, 플라즈마 표시(plasma display panel: PDP) 장치 및 전계 방출 표시(field emission display: FED) 장치 등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에 있어서, 예를 들면 LCD 패널 및 OLED 패널과 같은 표시 패널 상부에 외부 환경으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윈도우 기판 또는 윈도우 필름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기판 또는 윈도우 필름은 글래스 재질의 베이스 기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최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개발되면서, 상기 베이스 기판으로서 투명 플라스틱 재질이 활용되고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하기 위한 종래 윈도우 커버 글래스(Window Cover Glass)를 대체할 수 있는 투명 플라스틱 필름은 높은 경도(hardness)와 광학적 특성을 충족해야 한다.
한편, 폴리이미드(polyimide, PI)는 높은 열 안정성, 기계적 물성, 내화학성, 그리고 전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고성능 고분자 재료로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기판 소재로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이미드 소재의 필름은 황색도가 높아 투명성이 요구되는 윈도우 필름에 적용시 이의 보정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8-0089860호에는 폴리이미드 필름의 황색도를 보정하기 위하여 적어도 1종의 블루잉제를 함유하는 폴리이미드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은 블루잉제의 투입으로 인하여 필름 전체의 투과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8-0089860호
본 발명의 한 목적은 황색도가 높은 폴리이미드 필름을 사용하더라도, 윈도우 필름 전체의 색상을 뉴트럴하게 조정하여 낮은 황색도를 가짐과 동시에 높은 투과율을 가질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광학 적층체가 구비된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으로, 본 발명은 폴리이미드 필름의 적어도 한면에,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보다 굴절율이 낮은 저굴절층을 가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필름으로서,
상기 윈도우 필름은 하기 수학식 1 내지 3을 만족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필름을 제공한다.
[수학식 1]
A-B ≤ 0.55 (%)
[수학식 2]
황색도(YI) ≤ 2.0
[수학식 3]
녹색 시감 투과율 (Y) ≥ 92%
상기 식에서,
A는 540nm에서의 투과율(%)이고,
B는 480nm에서의 투과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황색도(YI)는 2.0을 초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저굴절층의 굴절율은 1.5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율의 양의 제곱근-0.1 이상에서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율의 양의 제곱근+0.2 이하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저굴절층의 두께는 30nm 이상 130㎚/저굴절층의 굴절율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저굴절층은 저굴절 재료, 투광성 수지, 광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저굴절층 형성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저굴절 재료는 중공 실리카 나노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필름은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과 저굴절층 사이에 하드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필름, 및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필름의 일면에 적층된 광학층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광학층은 편광판 및 터치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상기 광학 적층체가 구비된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필름은 황색도(YI)가 2.0을 초과하는 폴리이미드 필름을 사용하더라도, 윈도우 필름 전체의 색상을 뉴트럴하게 조정하여 낮은 황색도(YI)를 가짐과 동시에 저굴절층의 반사방지 효과로 높은 투과율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윈도우 필름과 폴리이미드 필름의 투과율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폴리이미드 필름의 적어도 한면에,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보다 굴절율이 낮은 저굴절층을 가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필름으로서,
상기 윈도우 필름은 하기 수학식 1 내지 3을 만족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필름에 관한 것이다.
[수학식 1]
A-B ≤ 0.55 (%)
[수학식 2]
황색도(YI) ≤ 2.0
[수학식 3]
녹색 시감 투과율 (Y) ≥ 92%
상기 식에서,
A는 540nm에서의 투과율(%)이고,
B는 480nm에서의 투과율(%)이다.
상기 황색도(Yellowness Index, YI)는, 황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투명 또는 백색(낮은 YI) 대 더욱 황색(높은 YI)으로서 시험 샘플의 색상을 기술하는 분광광도 데이터로부터 계산된 값이다. 본 발명에서, 황색도는 ASTM E313-73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상기 녹색 시감 투과율 (Y)은 가시광 영역의 투과율을 측정하여 CIE 1931에 따라 계산된 값이다. 본 발명에서, 녹색 시감 투과율 (Y)은 분광색차계로 측정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실험예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블루 영역에서의 상쇄간섭이 최대가 되도록 하여 블루 영역의 투과율을 향상시켜 상기 수학식 1을 만족하도록, 즉 540㎚에서의 투과율(A)과 480㎚에서의 투과율(B)의 차이(A-B)를 0.55% 이하가 되도록 조절함으로써 폴리이미드 필름 기재 자체의 낮은 블루 영역의 투과율을 보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윈도우 필름은 황색도(YI)가 2.0을 초과하는 폴리이미드 필름을 사용하더라도, 윈도우 필름 전체의 색상을 뉴트럴하게 조정하여 낮은 황색도(YI)를 가짐과 동시에 저굴절층의 반사방지 효과로 높은 투과율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540㎚에서의 투과율(A)과 480㎚에서의 투과율(B)의 차이(A-B), 황색도 및 녹색 시감 투과율은 저굴절층의 굴절율과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저굴절층은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율보다 귤절율이 낮은 층으로서, 저굴절층 표면의 반사광과, 저굴절층과 폴리이미드 필름 계면에서의 반사광이 서로 상쇄 간섭을 일으키도록 형성된 층이다.
상기 저굴절층의 굴절율은 효과적인 박막 간섭을 일으키기 위해 1.5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율의 양의 제곱근-0.1 이상에서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율의 양의 제곱근+0.2 이하의 범위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율의 양의 제곱근-0.05 이상에서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율의 양의 제곱근+0.15 이하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저굴절층의 굴절율이 상술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쇄 간섭 성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특히 하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저굴절층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저굴절층의 두께는 블루 영역에서 상쇄 간섭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30nm 이상 130㎚/저굴절층의 굴절율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저굴절층의 두께가 30nm 미만인 경우에는 상쇄 간섭 영역이 UV 영역에서 최대화되어 블루 영역의 상쇄 간섭 효과가 미미하며, 130㎚/저굴절층의 굴절율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쇄 간섭 현상이 600nm 이상에서 최대화되어 그린이나 레드 영역의 투과율이 크게 상승할 수 있다. 이 경우 코팅 필름의 황색도가 크게 증가하여 필름이 노랗게 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필름은 폴리이미드 필름 및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적어도 한면에,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보다 굴절율이 낮은 저굴절층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은 윈도우 필름의 베이스 기재로서의 역할을 한다.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은 황색도(YI)가 2.0을 초과하는 것으로서, 시판되는 것을 입수하여 사용하거나 직접 제조하여 사용 가능하다.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두께는 특별하게 제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30 내지 10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일 수 있다.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두께가 30㎛ 미만이면 하부 층에 대한 보호 성능이 저하되고, 취급이 어려울 수 있으며, 100㎛ 초과이면 굴곡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저굴절층은 저굴절층 형성용 조성물을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에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저굴절층 형성용 조성물은 저굴절 재료, 투광성 수지, 광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저굴절 재료는 굴절율이 1.5 이하인 재료이며, 대표적인 재료로 MgF2와 같은 함불소 재료, 중공 실리카 나노 입자와 같은 중공 형상의 나노 입자, 실리콘계 재료 등이 있다.
상기 저굴절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기 저굴절층 형성용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8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저굴절 재료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굴절률 저하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80 중량부 초과이면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투광성 수지는 광경화형 수지이며, 상기 광경화형 수지는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또는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는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통상적으로 사용하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분자내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촉매 존재 하에서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분자내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구체적인 예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개환 히드록시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혼합물 및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1,4-디이소시아나토부탄, 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1,8-디이소시아나토옥탄, 1,12-디이소시아나토도데칸, 1,5-디이소시아나토-2-메틸펜탄, 트리메틸-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1,3-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트랜스-1,4-시클로헥센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2,4-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2,6-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자일렌-1,3-디이소시아네이트, 1-클로로메틸-2,4-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2,6-디메틸페닐이소시아네이트), 4,4'-옥시비스(페닐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유도되는 3관능 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메탄프로판올어덕트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모노머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광경화형 관능기로 (메타)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스티릴기, 알릴기 등의 불포화기를 분자내에 갖는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는 구체적인 예로, 네오펜틸글리콜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1,2,4-시클로헥산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글리세롤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헥사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디(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덱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보네올(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예시한 투광성 수지인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모노머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투광성 수지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기 저굴절층 형성용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8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1 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경도 향상을 도모하기 어렵고, 8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컬링이 심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광개시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케톤류, 아미노케톤류, 수소탈환형 광개시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로는 구체적으로,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린프로판온-1, 디페닐케톤 벤질디메틸케탈, 2-히드록시-2-메틸-1-페닐-1-온, 4-히드록시시클로페닐케톤, 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안트라퀴논, 플루오렌, 트리페닐아민, 카바졸, 3-메틸아세토페논, 4-크놀로아세토페논, 4,4-디메톡시아세토페논, 4,4-디아미노벤조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벤조페논, 디페닐(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옥사이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상기 저굴절층 형성용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기로 1 내지 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조성물의 경화 속도가 늦고 미경화가 발생하여 기계적 물성이 떨어질 수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경화로 인해 도막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용제는 상기 언급한 바의 조성을 용해 또는 분산시킬 수 있는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용제로 알려진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용제는 알코올계(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메틸셀루소브, 에틸셀루소브 등), 케톤계(메틸에틸케톤, 메틸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에틸케톤, 디프로필케톤, 시클로헥사논 등), 아세테이트계(에틸아세테이트, 프로필아세테이트, 노말부틸아세테이트, 터셔리부틸아세테이트, 메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에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메톡시펜틸아세테이트 등), 헥산계(헥산, 헵탄, 옥탄 등), 벤젠계(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 에테르계(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예시된 용제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제의 함량은 상기 저굴절층 형성용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9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제가 10 중량부 미만이면 점도가 높아 작업성이 떨어지고, 9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건조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저굴절층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한 성분들 이외에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 예를 들어 항산화제, UV 흡수제, 광안정제, 열적 고분자화 금지제, 레벨링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방오제 등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저굴절층은 상기 저굴절층 형성용 조성물을 폴리이미드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하고 건조한 다음, UV 경화시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저굴절층 형성용 조성물은 다이코터, 에어 나이프, 리버스 롤, 스프레이, 블레이드, 캐스팅, 그라비아, 마이크로 그라비아, 스핀코팅 등 공지된 방식을 적절히 사용하여, 도공(Coating Process)이 가능하다.
상기 저굴절층 형성용 조성물을 폴리이미드 필름에 도포한 후에는, 30 내지 150℃의 온도에서 10초 내지 1시간 동안, 보다 구체적으로는 30초 내지 30분 동안 휘발물을 증발시켜 건조시킨 다음, UV 광을 조사하여 경화시킨다. 상기 UV 광의 조사량은 구체적으로 약 0.01 내지 10J/㎠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0.1 내지 2J/㎠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윈도우 필름은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과 저굴절층 사이에 기계적 강도 보강을 위한 하드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드코팅층이 더 포함되는 경우, 상기 윈도우 필름은 폴리이미드 필름/하드코팅층/저굴절층의 순서로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배면에도 하드코팅층 및/또는 저굴절층이 추가로 적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윈도우 필름은 하드코팅층/폴리이미드 필름/하드코팅층/저굴절층 또는 저굴절층/하드코팅층/폴리이미드 필름/하드코팅층/저굴절층의 순서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에는 대전방지 기능 등이 부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술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필름, 및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필름의 일면에 적층된 광학층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광학층은 편광판 및 터치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편광판은 편광자 및 필요에 따라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된 보호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는 캐리어 기판상에 분리층을 형성하여 터치 센서 형성 공정을 진행하고, 캐리어 기판과 분리되면 분리층이 배선 피복층으로 사용되도록 하는 터치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센서는 필름 형태를 갖는 필름 터치 센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술한 광학 적층체가 구비된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느 일면에 부착된 상기 광학 적층체를 포함한다.
상기 화상표시장치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액정표시장치, 유기 EL 표시장치, 플라스마표시장치, 전계발광표시장치, 음극선관표시장치 등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일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는 오직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제조예 1: 저굴절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2 중량부, 중공 실리카(일휘 촉매화성사, THRULYA4320, 고형분 20%) 6 중량부, 광개시제(바스프사, 이르가큐어 184) 0.5 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91.2 중량부 및 레벨링제(BYK사, BYK-UV3570) 0.3 중량부를 혼합하여 저굴절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저굴절층 형성용 조성물의 경화 후 굴절율은 1.35이었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 윈도우 필름의 제조
40㎛ 투명 폴리이미드 필름(스미토모 화학사, YI 2.33, 굴절율: 1.54) 상에 상기 제조예 1에서 수득한 저굴절층 형성용 조성물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각각의 마이어바를 이용하여 코팅한 후, 90℃에서 3분간 건조시켰다. 이후, 질소 퍼지 하에 고압수은램프를 이용하여 600mJ/㎠의 UV를 조사하여 하기 표 1에 기재된 각각의 건조 두께를 갖는 저굴절층을 형성하여 윈도우 필름을 제조하였다.
마이어바 # 건조두께(nm)
실시예 1 4 70
실시예 2 5 80
실시예 3 3 60
비교예 1 7 110
비교예 2 6 100
비교예 3 8 125
실험예 1:
상기와 같이 제조된 윈도우 필름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투과율 스펙트럼
제작된 윈도우 필름의 투과율 스펙트럼을 코니카 미놀타 적분구식 스펙트로포토미터(CM-3600d)를 이용하여 SCI모드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540㎚에서의 투과율(A)과 480㎚에서의 투과율(B)의 차이(A-B)를 계산하였다.
2) 황색도( YI )
제작된 윈도우 필름의 황색도를 코니카 미놀타 적분구식 스펙트로포토미터(CM-3600d)를 이용하여 SCI모드로 측정하여 ASTM E313-73 표준 방식을 적용하여 측정하였다.
3) 녹색 시감 투과율(Y)
제작된 윈도우 필름의 녹색 시감 투과율(Y)를 코니카 미놀타 적분구식 스펙트로포토미터(CM-3600d)를 이용하여 SCI모드로 측정하였다.
A(540nm투과율) B(480nm투과율) A-B 녹색 시감 투과율(Y) 황색도(YI)
실시예 1 93.62% 93.31% 0.31% 93.57% 1.63
실시예 2 94.11% 93.62% 0.49% 94.07% 1.98
실시예 3 92.19% 91.84% 0.35% 92.18% 1.68
비교예 1 93.74% 92.83% 0.91% 93.78% 2.74
비교예 2 94.12% 93.44% 0.68% 94.11% 2.32
비교예 3 92.18% 91.55% 0.63% 92.29% 2.26
미코팅 기재 90.27% 89.55% 0.72% 90.33% 2.33
상기 표 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540㎚에서의 투과율(A)과 480㎚에서의 투과율(B)의 차이(A-B)가 0.55% 이하가 되도록 조절된 실시예 1 내지 3의 윈도우 필름은 블루 영역에서의 투과율이 상승하여 2.0 이하의 낮은 황색도(YI)를 가질 뿐만 아니라 전체 필름의 녹색 시감 투과율 Y가 저굴절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하지 않은 폴리이미드 필름 대비 상승하여 92% 이상의 값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반면, 540㎚에서의 투과율(A)과 480㎚에서의 투과율(B)의 차이(A-B)가 0.55%를 초과하는 비교예 1 내지 3의 윈도우 필름, 및 저굴절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하지 않은 폴리이미드 필름의 경우 블루 영역에서 급격한 기울기를 가져 2.0을 초과하는 높은 황색도(YI)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와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폴리이미드 필름의 적어도 한면에,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보다 굴절율이 낮은 저굴절층을 가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필름으로서,
    상기 윈도우 필름은 하기 수학식 1 내지 3을 만족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필름:
    [수학식 1]
    A-B ≤ 0.55 (%)
    [수학식 2]
    황색도(YI) ≤ 2.0
    [수학식 3]
    녹색 시감 투과율 (Y) ≥ 92%
    상기 식에서,
    A는 540nm에서의 투과율(%)이고,
    B는 480nm에서의 투과율(%)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황색도(YI)는 2.0을 초과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굴절층의 굴절율은 1.5 이하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굴절층의 굴절율은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율의 양의 제곱근-0.1 이상에서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율의 양의 제곱근+0.2 이하의 범위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굴절층의 두께는 30nm 이상 130㎚/저굴절층의 굴절율 이하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굴절층은 저굴절 재료, 투광성 수지, 광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저굴절층 형성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굴절 재료는 중공 실리카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과 저굴절층 사이에 하드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필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필름, 및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필름의 일면에 적층된 광학층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층은 편광판 및 터치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11. 제9항에 따른 광학 적층체가 구비된 화상표시장치.
KR1020190018017A 2019-02-15 2019-02-15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필름 KR20200099856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017A KR20200099856A (ko) 2019-02-15 2019-02-15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필름
JP2021547386A JP7401549B2 (ja) 2019-02-15 2020-02-11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用ウィンドウフィルム
CN202080014476.4A CN113423771B (zh) 2019-02-15 2020-02-11 用于柔性显示器的窗口膜
PCT/KR2020/001895 WO2020166933A1 (ko) 2019-02-15 2020-02-11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필름
US17/430,827 US20220164050A1 (en) 2019-02-15 2020-02-11 Window film for flexible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017A KR20200099856A (ko) 2019-02-15 2019-02-15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856A true KR20200099856A (ko) 2020-08-25

Family

ID=72045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017A KR20200099856A (ko) 2019-02-15 2019-02-15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164050A1 (ko)
JP (1) JP7401549B2 (ko)
KR (1) KR20200099856A (ko)
CN (1) CN113423771B (ko)
WO (1) WO202016693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860A (ko) 2017-02-01 2018-08-09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이미드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131B1 (ko) * 2005-11-22 2007-07-06 제일모직주식회사 반사방지 필름용 저굴절층 코팅액 및 이를 채용한반사방지필름
TWI435902B (zh) * 2007-08-20 2014-05-01 Kolon Inc 聚亞醯胺膜
KR101546098B1 (ko) * 2009-08-03 2015-08-2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저굴절층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반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10060037A (ko) * 2009-11-30 2011-06-0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저굴절층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반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JP2015112811A (ja) 2013-12-12 2015-06-22 日油株式会社 色調補正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透明導電性フィルム
JP6661286B2 (ja) * 2014-06-30 2020-03-11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樹脂膜、光学部材および偏光部材
US9910276B2 (en) * 2015-06-30 2018-03-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with graded edges
KR20170026076A (ko) * 2015-08-28 2017-03-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윈도우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62252B1 (ko) * 2015-08-03 2018-05-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렉시블 플라스틱 필름
JP6939225B2 (ja) * 2016-08-10 2021-09-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ポリイミドフィルム、積層体、及びディスプレイ用表面材
KR102018356B1 (ko) * 2016-12-13 2019-09-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윈도우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8132592A (ja) * 2017-02-14 2018-08-23 株式会社トッパンTomoegawaオプティカルフィルム 光学フィルム、これを用いた偏光板及びディスプレイ部材
JP7119424B2 (ja) * 2017-03-02 2022-08-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I684632B (zh) * 2018-08-02 2020-02-11 明基材料股份有限公司 抗反射膜、具此抗反射膜之偏光板、及含此抗反射膜及/或含具此抗反射膜之偏光板的影像顯示裝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860A (ko) 2017-02-01 2018-08-09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이미드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66933A1 (ko) 2020-08-20
CN113423771A (zh) 2021-09-21
JP7401549B2 (ja) 2023-12-19
CN113423771B (zh) 2023-05-26
JP2022524724A (ja) 2022-05-10
US20220164050A1 (en) 2022-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556B1 (ko) 적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20200008007A (ko) 하드코팅필름
KR102009962B1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KR102082410B1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KR102249775B1 (ko) 패턴화된 하드코팅 필름
KR20140076787A (ko) 고경도 하드코팅필름
KR20150024548A (ko)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
KR20140127675A (ko) 광학 적층체
KR101546098B1 (ko) 저굴절층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반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30048298A (ko) 하드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102315000B1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20200008648A (ko) 하드코팅필름
KR20190035642A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윈도우
CN113423771B (zh) 用于柔性显示器的窗口膜
KR20150109853A (ko) 광 루미네선스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 루미네선스 필름
CN118119863A (zh) 硬涂膜及其制造方法
KR102502398B1 (ko)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KR102341198B1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20180087956A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윈도우
KR20170111922A (ko)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투명 도전성 필름
KR20150109854A (ko) 광 루미네선스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 루미네선스 필름
KR20160095869A (ko) 방현 필름
KR101576295B1 (ko) 저굴절층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반사 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20051290A (ko) 하드코팅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240003424A (ko) 하드코팅 조성물, 이를 적용한 하드코팅 필름, 윈도우 및 화상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