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4548A -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 - Google Patents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4548A
KR20150024548A KR20130101555A KR20130101555A KR20150024548A KR 20150024548 A KR20150024548 A KR 20150024548A KR 20130101555 A KR20130101555 A KR 20130101555A KR 20130101555 A KR20130101555 A KR 20130101555A KR 20150024548 A KR20150024548 A KR 20150024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fractive index
high refractive
optical laminate
antir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1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거산
이성철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1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4548A/ko
Priority to PCT/KR2014/007789 priority patent/WO2015030428A1/ko
Publication of KR20150024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54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1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6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having an anti-static effect, e.g. electrically conducting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 상에 형성된 고굴절 광 루미네선스층 및 상기 고굴절 광 루미네선스층 상에 형성된 저굴절층을 포함하는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 및 그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적층체는 레이저 포인터를 디스플레이에 직접 포인팅하는 경우에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사방지 성능 향상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 {Anti-reflection Optical Laminate}
본 발명은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굴절 광 루미네선스층과 저굴절층을 포함하여 레이저 포인터를 디스플레이에 직접 포인팅하는 경우에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사방지성을 나타내는 광학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회의나 발표회 등에서의 프레젠테이션에서는 프로젝터를 사용하여 자료 화상을 스크린이나 벽에 투영하는 것이 많이 행해져 왔다. 이때, 발표자는 프레젠테이션 화상 상의 어느 장소에 레이저광을 투사하는 레이저 포인터를 사용하여, 스크린 등을 가리키면서 프레젠테이션을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프로젝터를 사용한 스크린 투영의 경우, 투영되는 화상에 있어서는, 콘트라스트가 저하되거나 화질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가 70 인치를 초과하는 대형화가 진행되고 있어, 프로젝터 투영이 아니라, 이들 디스플레이 자체에 직접 화상을 표시하게 하여 프레젠테이션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에 의한 직접 표시로 프레젠테이션을 실시하는 경우, 디스플레이가 자발광이기 때문에, 레이저 포인터에 의한 레이저광 투사가 잘 보이지 않는다. 또한, 디스플레이 자체의 표시 품위를 향상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 표면에 있어서의 방현성이 향상되면, 레이저 포인터의 투사광의 반사도 억제되기 때문에,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이 좋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최근에는 일본 공개특허 제2001-23618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포인터를 디스플레이 상에서 화면 지시 조작을 행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로서 사용할 가능성도 있어, 그 시인성은 더욱 더 중요해지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1-23618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한 목적은 레이저 포인터를 디스플레이에 직접 포인팅하는 경우에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사방지성을 나타내는 광학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으로 본 발명은 기재 상에 형성된 고굴절 광 루미네선스층 및 상기 고굴절 광 루미네선스층 상에 형성된 저굴절층을 포함하는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고굴절 광 루미네선스층은 굴절률이 1.54 내지 1.70이고, 저굴절층은 굴절률이 1.10 내지 1.4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상기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느 일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는 고굴절 광 루미네선스층과 저굴절층을 포함하여 레이저 포인터를 디스플레이에 직접 포인팅하는 경우에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사방지 성능 향상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는 기재 상에 형성된 고굴절 광 루미네선스층 및 상기 고굴절 광 루미네선스층 상에 형성된 저굴절층을 포함한다.
상기 고굴절 광 루미네선스층은 굴절률이 구체적으로 1.54 내지 1.70이며, 광 루미네선스 물질을 포함하여 광에 의한 자극으로 발광하므로, 레이저 포인터를 디스플레이에 직접 포인팅하는 경우에 레이저 포인터의 빛에 의해 해당 부위가 발광하여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저굴절층은 굴절률이 구체적으로 1.10 내지 1.40이며, 고굴절 광 루미네선스층과의 굴절률 차이에 의해 반사방지 성능 향상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고굴절 광 루미네선스층은 고굴절 광 루미네선스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굴절 광 루미네선스층 형성용 조성물은 고굴절 광 루미네선스 물질, 투광성 수지, 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광 루미네선스 물질이란 빛에 의해 자극 받아 스스로 빛을 내는 물질을 말한다.
상기 광 루미네선스 물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광 루미네선스 안료, 광 루미네선스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 루미네선스 안료는 예를 들면 유기형광안료, 무기형광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 루미네선스 염료는 예를 들면 스틸벤 유도체계 염료, 이미다졸 유도체계 염료, 벤조이미다졸계 염료, 쿠마린 유도체계 염료, 벤지딘계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 루미네선스 안료 및 염료는 고상, 액상, 파우더 등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파우더일 수 있다.
광 루미네선스 파우더는 예를 들면 란타나이드 복합체, 유기형광체 및 무기형광체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란타나이드 복합체일 수 있다.
상기 란타나이드 복합체는 란타나이드계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화합물로서, 란타나이드계 금속 원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유로피움, 터비움, 디스프로시움, 사마리움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로피움일 수 있다. 상기 유로피움 복합체로는, 예를 들면 트리스(다이벤조일메탄)모노(1,10-페난트롤린)유로피움(III)(이하, Eu(DBM)3Phen), 트리스(다이나프틸메탄)모노(1,10-페난트롤린)유로피움(III)(이하, Eu(DNM)3Phen)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예시된 란타나이드 복합체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 루미네선스 물질의 최대 여기 파장은 레이저 포인터의 레이저 빛의 파장과 관련되며, 100nm 내지 450nm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빛의 파장이 100nm 미만이면, X선 영역의 광원이므로 광원이 인체에 노출되었을 경우 인체에 유해한 문제가 있으며, 450nm를 초과하면 가시광선 영역의 광원이므로 디스플레이로부터 나오는 백라이트 빛으로도 발광이 발생하여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최대 여기 파장은 여기광의 파장을 변화시키면서 측정한 형광 스펙트럼에서 형광 강도가 가장 큰 값이 되는 여기광의 파장을 의미한다.
상기 광 루미네선스 물질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기 광루미네선스층 형성용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9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5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광 루미네선스 물질의 함량이 0.01 내지 90중량부인 경우, 충분한 광 루미네선스 효과를 낼 수 있으며, 그 외 성분이 적정 함량으로 포함되어 적정의 경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투광성 수지는 광경화형 수지일 수 있으며, 상기 광경화형 수지는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또는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는, 예를 들면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분자 내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촉매 존재 하에서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분자 내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구체적인 예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개환 히드록시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혼합물,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혼합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1,4-디이소시아나토부탄, 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1,8-디이소시아나토옥탄, 1,12-디이소시아나토도데칸, 1,5-디이소시아나토-2-메틸펜탄, 트리메틸-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1,3-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트랜스-1,4-시클로헥센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2,4-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2,6-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자일렌-1,3-디이소시아네이트, 1-클로로메틸-2,4-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2,6-디메틸페닐이소시아네이트), 4,4'-옥시비스(페닐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유도되는 3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탄프로판올어덕트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모노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광경화형 관능기로 (메타)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스티릴기, 알릴기 등의 불포화 기를 분자 내에 갖는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으며,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의 구체적인 예로는, 네오펜틸글리콜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1,2,4-시클로헥산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글리세롤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헥사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디(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덱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네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예시한 광경화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모노머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투광성 수지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기 광루미네선스층 형성용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8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투광성 수지의 함량이 0.5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경도 향상을 도모하기 어렵고, 8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컬링이 심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개시제는 당해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개시제로는, 구체적으로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린프로판온-1, 디페닐케톤 벤질디메틸케탈, 2-히드록시-2-메틸-1-페닐-1-온, 4-히드록시시클로페닐케톤, 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안트라퀴논, 플루오렌, 트리페닐아민, 카바졸, 3-메틸아세토페논, 4-크놀로아세토페논, 4,4-디메톡시아세토페논, 4,4-디아미노벤조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개시제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기 광루미네선스층 형성용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개시제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경화 속도가 늦고, 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경화로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당해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제는 알코올계(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메틸셀루소브, 에틸솔루소브 등), 아세테이트계(에틸아세테이트, 프로필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메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에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메톡시펜틸아세테이트 등), 케톤계(메틸에틸케톤, 메틸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에틸케톤, 디프로필케톤, 시클로헥사논 등), 헥산계(헥산, 헵탄, 옥탄 등), 벤젠계(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예시된 용제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제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기 광루미네선스층 형성용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98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제가 상기 기준으로 10중량부 미만이면 점도가 높아 작업성이 떨어지고, 98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건조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 루미네센스층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 성분 외에도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경화제, 레벨링제, 밀착 촉진제, 산화 방지제 등의 첨가제; 강도 보강용 나노 실리카, 무기 나노입자 및 포스(폴리헤드럴 올리고머릭 실세스퀴옥산); 대전 방지용 전도성 고분자, 나노입자 및 이온성액체; 방현성 부여용 유기 입자, 무기 입자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기재는 내구성이 크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잘 볼 수 있도록 하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사용되는 소재가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리,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phone), 폴리아크릴레이트(PAR, polyac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EI, 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TAC),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AP,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 루미네선스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고 경화하여 광 루미네선스층을 형성할 수 있는데, 경화에 앞서 필요에 따라 건조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상기 도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파운틴 코팅법, 다이 코팅법, 스핀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롤 코팅법, 바 코팅법 등이 있다.
건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자연 건조, 열풍 건조, 가열 건조 등의 방법에 의할 수 있다.
경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 전리 방사선 경화 등의 방법에 의할 수 있다. 그 수단에는 각종 활성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는데, 자외선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에너지선원으로는, 예를 들어 고압 수은 램프, 할로겐 램프, 크세논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질소 레이저, 전자선 가속 장치, 방사성 원소 등이 바람직하다. 에너지선원의 조사량은, 자외선 A영역에서의 적산 노광량으로서 50 내지 5000mJ/㎠가 바람직하다. 조사량이 50mJ/㎠ 이상이면 경화가 보다 충분해져, 형성되는 광 루미네선스층의 경도가 보다 충분한 것이 된다. 또한, 5000mJ/㎠ 이하이면, 형성되는 광 루미네선스층의 착색을 방지할 수 있어, 투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굴절 광 루미네선스층 상에 저굴절층을 코팅함으로써, 외광의 반사를 방지하여 우수한 디스플레이 시인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저굴절층의 형성 재료는 당해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수지 등의 수지계 재료, 수지 중에 메조포러스 실리카 입자, 중공 실리카 입자 등의 무기 미립자를 분산시킨 하이브리드계 재료, 테트라에톡시실란, 티탄테트라에톡시드 등의 금속 알콕시드를 사용한 졸-겔계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조포러스 혹은 중공이고 구상인 산화규소 초미립자가 함유되어 있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화규소 초미립자는, 평균 입자경이 5 내지 3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20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저굴절층 형성 재료를 상기 광 루미네선스층 상에 도포하고 경화하여 저굴절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경화에 앞서 필요에 따라 건조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상기 도포, 건조 및 경화 방법은 상기 광 루미네선스층 형성시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광학 적층체는 적어도 1층의 광학기능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광학기능층은 예를 들면, 하드코팅층, 편광자, 편광자 보호층, 지문방지층, 위상차층, 대전방지층 등일 수 있다. 이들의 적층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광 루미네선스층 하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기재의 반대 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광학 적층체는 기재와 고굴절 광 루미네선스층 사이에 하드코팅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느 일면에 부착된 상기 광학 적층체를 포함한다.
상기 화상표시장치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액정표시장치, 플라스마표시장치, 전계발광표시장치, 음극선관표시장치 등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일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는 오직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제조예 1: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15.5중량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SC2153) 15중량부, 에틸아세테이트 33.5중량부, 부틸아세테이트 33.5중량부, 광개시제(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2중량부 및 레벨링제(BYK3530) 0.5중량부를 교반기를 이용하여 배합하고, PP재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고굴절 광 루미네선스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1.7중량부, 고굴절 광 루미네선스 물질(Eu(DBM)3Phen) 0.3중량부, 에틸아세테이트 48.8중량부, 부틸아세테이트 48.8중량부, 광개시제(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0.2중량부 및 레벨링제(BYK3530) 0.2중량부를 교반기를 이용하여 배합하고, PP재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고굴절 광루미네선스층 형성용 조성물(굴절율 1.56)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고굴절 광 루미네선스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2에서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1.4중량부, 고굴절 광 루미네선스 물질(Eu(DBM)3Phen) 0.6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고굴절 광루미네선스 조성물(굴절율 1.58)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고굴절 광 루미네선스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2에서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1중량부, 고굴절 광 루미네선스 물질(Eu(DBM)3Phen) 1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고굴절 광루미네선스 조성물(굴절율 1.62)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고굴절 광 루미네선스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2에서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0.6중량부, 고굴절 광 루미네선스 물질(Eu(DBM)3Phen) 1.4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고굴절 광루미네선스 조성물(굴절율 1.66)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의 제조
40um 트리아세틸 셀룰로우스 필름 상에 상기 제조예 1에서 수득한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경화 후 5um 두께가 되도록 코팅한 후, 70도 온도로 2분 동안 용제를 건조시켰다. 건조된 필름에 적산광량 400mJ/cm2로 UV를 조사하여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형성된 하드코팅층 상에 제조예 2의 고굴절 광 루미네선스층 형성용 조성물을 경화 후 80nm 두께가 되도록 코팅한 후, 상기와 동일하게 건조, UV 조사를 실시하여 고굴절 광루미네선스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고굴절 광루미네선스층 상에 촉매화성사 저굴절 코팅액(경화 후 굴절율 1.35)을 경화 후 100nm 두께가 되도록 코팅한 후, 상기와 동일하게 건조, UV 조사를 실시하여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의 제조
실시예 1에서 고굴절 광루미네선스층 형성 시 제조예 3의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의 제조
실시예 1에서 고굴절 광루미네선스층 형성 시 제조예 4의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의 제조
실시예 1에서 고굴절 광루미네선스층 형성 시 제조예 5의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고굴절 광루미네선스층 형성 과정을 제외한 것 이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고굴절 광루미네선스층 형성 시 광루미네선스 기능이 없는 고굴절 코팅액(굴절율 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반사율 및 레이져 포인터 시인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4에서 수득한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수득한 필름의 반사율 및 레이져 포인터 시인성을 하기 방법에 따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반사율
광학 적층체 또는 필름의 배면을 검은색 아크릴판에 접합 후, 코팅 면의 12도 정반사율을 UV-Vis. 반사율 측정기 (시마즈 사, UV2450)를 통해 측정한 후, 시감 반사율 Y(%)로 환산하였다.
(2) 레이져 포인터 시인성
광학 적층체 또는 필름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에 부착한 후, 디스플레이를 화이트 모드로 전환하고, 405nm 레이저 포인터를 패널에 60도 각도에서 비추었을 때, 패널 정면에서 레이져 포인터의 시인성을 평가하였다.
○: 레이져 포인터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다.
X: 레이저 포인터의 위치가 확인되지 않는다.
반사율(%)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실시예 1 0.5 O
실시예 2 0.4 O
실시예 3 0.3 O
실시예 4 0.3 O
비교예 1 1.0 X
비교예 2 0.5 X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실시예 1 내지 4에서 수득한 본 발명에 따른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는 고굴절 광루미네선스층 상에 저굴절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반사율이 낮고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이 우수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와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1. 기재 상에 형성된 고굴절 광 루미네선스층 및 상기 고굴절 광 루미네선스층 상에 형성된 저굴절층을 포함하는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
  2. 제1항에 있어서, 고굴절 광 루미네선스층의 굴절률이 1.54 내지 1.70이고, 저굴절층의 굴절률이 1.10 내지 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
  3. 제1항에 있어서, 고굴절 광 루미네선스층이 고굴절 광 루미네선스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
  4. 제3항에 있어서, 고굴절 광 루미네선스 물질이 란타나이드 복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
  5. 제3항에 있어서, 고굴절 광 루미네선스 물질의 최대 여기 파장이 100nm 내지 450nm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
  6. 제1항에 있어서, 저굴절층이 메조포러스 혹은 중공이고 구상인 산화규소 초미립자가 함유되어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
  7. 제1항에 있어서, 하드코팅층, 편광자, 편광자 보호층, 지문방지층, 위상차층, 및 대전방지층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광학기능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는 편광판.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느 일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액정표시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2. 제8항에 따른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액정표시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KR20130101555A 2013-08-27 2013-08-27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 KR2015002454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555A KR20150024548A (ko) 2013-08-27 2013-08-27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
PCT/KR2014/007789 WO2015030428A1 (ko) 2013-08-27 2014-08-21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555A KR20150024548A (ko) 2013-08-27 2013-08-27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548A true KR20150024548A (ko) 2015-03-09

Family

ID=52586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1555A KR20150024548A (ko) 2013-08-27 2013-08-27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024548A (ko)
WO (1) WO201503042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3948A1 (ko) * 2015-09-11 2017-03-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10690810B2 (en) 2015-09-11 2020-06-23 Lg Chem Ltd. Antireflection film and display device having hard coating layer with specified surface roughness and internal haze
TWI768910B (zh) * 2021-05-20 2022-06-21 方略電子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86480B (zh) * 2017-11-28 2022-03-01 株式会社Lg化学 用于显示面板的可见性改善膜和包括其的显示装置
CN110888255A (zh) * 2019-11-19 2020-03-17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1708211A (zh) * 2020-06-12 2020-09-25 惠州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257B1 (ko) * 2004-10-05 2006-08-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4914858B2 (ja) * 2007-03-26 2012-04-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散乱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918916B1 (ko) * 2007-11-22 2009-09-23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광학용 적층필름
JP2009259792A (ja) * 2008-03-26 2009-11-05 Fujifilm Corp 有機el表示装置
JP5476843B2 (ja) * 2009-08-04 2014-04-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積層体、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3948A1 (ko) * 2015-09-11 2017-03-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10690810B2 (en) 2015-09-11 2020-06-23 Lg Chem Ltd. Antireflection film and display device having hard coating layer with specified surface roughness and internal haze
TWI768910B (zh) * 2021-05-20 2022-06-21 方略電子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30428A1 (ko)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171B1 (ko) 저반사 광학 적층체
TWI395796B (zh) 透明膜形成用組成物及積層透明膜
KR102223501B1 (ko) 표시 장치
KR20150024548A (ko) 반사방지 광학 적층체
TWI387790B (zh) 紅外線吸收薄膜
JP6231209B2 (ja)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3083524A1 (fr) Film stratifie, filtre pour afficheur, et afficheur correspondant
JP2016526174A (ja) 光学積層体
JP2010002825A (ja) 近赤外線吸収能を有する反射防止材
KR101979200B1 (ko) 광학 필름 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JP2020511328A (ja) フレキシブルウィンドウ積層体及びそれを含む画像表示装置
JP2010266658A (ja) 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KR20140127675A (ko) 광학 적층체
US20200363561A1 (en) Anti-glare film and polarizer with the same
KR101856795B1 (ko) 레이저 포인팅 표시기기
KR20150109853A (ko) 광 루미네선스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 루미네선스 필름
JP2002167576A (ja) 高屈折率導電性材料用組成物、透明導電性材料ならびに減反射材
KR20150109854A (ko) 광 루미네선스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 루미네선스 필름
KR102502398B1 (ko)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KR20150024549A (ko) 광 루미네선스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 루미네선스 필름
KR20150024547A (ko) 광 루미네선스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 루미네선스 필름
KR20150086663A (ko) 광학 필름
CN108807700B (zh) 透明显示膜
CN113423771B (zh) 用于柔性显示器的窗口膜
KR102300896B1 (ko) 하드 코팅 필름 및 하드 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