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8881A -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 - Google Patents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8881A
KR20200098881A KR1020190016542A KR20190016542A KR20200098881A KR 20200098881 A KR20200098881 A KR 20200098881A KR 1020190016542 A KR1020190016542 A KR 1020190016542A KR 20190016542 A KR20190016542 A KR 20190016542A KR 20200098881 A KR20200098881 A KR 20200098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ayer support
support structure
porous plate
present
la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욱
Original Assignee
이승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욱 filed Critical 이승욱
Priority to KR1020190016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8881A/ko
Publication of KR20200098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8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comprising a deformed thin sheet, i.e. the layer having its entire thickness deformed out of the plane, e.g. corrugated, crump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2Alternating layers, e.g. ABAB(C), AABBAABB(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표면이 평탄한 상태로 이루어지고,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하부 및 상부 표면지, 상기 하부 및 상부 표면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및 상부 표면지를 지지하며, 요철로 형성되는 층간지지구조체 및 상기 층간지지구조체의 상부에 적층되는 중간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및 상부 표면지, 상기 중간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면을 접어 상기 층간지지구조체의 개방된 요부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는 내부에 배치되는 층간지지구조체를 용도 및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층으로 적층함으로써, 두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는 내부에 적층되는 층간지지구조체가 요철로 이루어져 전체적인 무게를 줄이면서도, 각층마다 서로 직교하며 적층되는 구조를 통해 물리적인 강도를 증대시키고, 이에 따라 건축물에도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는 파지를 재활용한 재생 종이로 제작됨에 따라 자원 재활용에 따른 자연보호와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화재 시 유독성 매연의 배출이 적으며, 급격한 화재확산을 방지하여 재산과 생명보호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Board type insulating materials with porous laminating}
본 발명은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열재 내부에 다공성과 다적층을 특성으로 하여 전제적인 무게를 경량화하면서도, 높은 단열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단열재란, 전도나 대류 또는 반사에 의한 열의 이동을 방해하여 보온 및 열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열전도율이 0.04kcal/mh°c 이하의 물질을 나타낸다. 이러한 단열재를 통해 상온에서 보온 또는 보냉 기능을 구현하고, 열손실을 방지하며 에너지소비량을 절감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단열재를 건물에 적용하는 경우, 외부로부터의 열을 손실하거나 취득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건물 내 배치된 냉난방장치의 사용을 줄이고, 이에 따라 에너지 비용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
이처럼 건물에 사용되는 단열재로 인해 해당 건물의 유지비용, 난방효율 및 화재 안전부분에서 큰 차이가 나므로, 사용되는 단열재의 종류 또한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건물 보온단열재로 사용되는 발포스티로폼 또는 발포우레탄폼 등의 고체형 압출법 및 비드법 판재단열재는 내부에 화학적 반응에 의해 생성 발포된 다공질의 무수한 공기주머니 속에 정지공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정지공기가 열의 전달을 억제하고 차단한다. 또한, 상기 정지공기는 상온 20℃의 경우 열전도율이 0.022~0.027㎉/mh℃ 정도로서, 단열효과가 매우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고체형 판재단열재의 종류로서, 발포폴리스틸렌 등이 주로 사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발포폴리스틸렌의 경우에는 단열성은 우수하나, 유기물질로 인해 화재 시 확산이 빠르고, 맹독성 유독성가스를 발생시키는 문제와 같이 건물의 단열재로 사용되기에는 매우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704417 (2017.02.02.)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한은 과제로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높이를 다양하게 조절하면서도 경량화하고, 높은 단열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는 표면이 평탄한 상태로 이루어지고,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하부 및 상부 표면지; 상기 하부 및 상부 표면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및 상부 표면지를 지지하며, 요철로 형성되는 층간지지구조체; 및 상기 층간지지구조체의 상부에 적층되는 중간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및 상부 표면지, 상기 중간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면을 접어 상기 층간지지구조체의 개방된 요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층간지지구조체는 상기 요철이 톱니, 구형파, 물결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층간지지구조체는 다층으로 적층되는 경우, 상기 중간지를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한 제1 층간지지구조체와 상부에 위치한 제2 층간지지구조체가 서로 직교하거나, 또는 평행하도록 적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는 내부에 배치되는 층간지지구조체를 용도 및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층으로 적층함으로써, 단열재의 두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는 내부에 적층되는 층간지지구조체가 요철로 이루어져 전체적인 무게를 줄이면서도, 각층마다 서로 직교하며 적층되는 구조를 통해 물리적인 강도를 증대시키고, 이에 따라 건축물에도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는 파지를 재활용한 재생 종이로 제작됨에 따라 자원 재활용에 따른 자연보호와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화재 시 유독성 매연의 배출이 적으며, 급격한 화재확산을 방지하여 재산과 생명보호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간지를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한 제1 층간지지구조체와 상부에 위치한 제2 층간지지구조체가 서로 직교하여 적층되는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간지를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한 제1 층간지지구조체와 상부에 위치한 제2 층간지지구조체가 서로 직교하여 적층되는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간지를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한 제1 층간지지구조체와 상부에 위치한 제2 층간지지구조체가 서로 직교하여 적층되는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간지를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한 제1 층간지지구조체와 상부에 위치한 제2 층간지지구조체가 서로 평행하여 적층되는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간지를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한 제1 층간지지구조체와 상부에 위치한 제2 층간지지구조체가 서로 직교하여 적층되는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춥고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는 가을, 겨울철에는 건물 화재로 인한 인명사고의 발생 및 재산손실이 큰 문제로 매년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처음 건물의 시공 시, 화재로부터 건물 안전을 예방하면서도 높은 단열 효과를 갖는 단열재에 대한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본 발명은 이처럼 건물의 화재 발생으로 인한 인명사고 및 재산손실 발생을 줄이고, 단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다중공과 다적층 형성구조를 이용하는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100)는 하부 표면지(110), 상부 표면지(140), 층간지지구조체(120) 및 중간지(130)를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상기 층간지지구조체(120)가 5층으로 적층된 구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하부 및 상부 표면지(110, 140)는 표면이 평탄한 상태로 이루어지고,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하부 및 상부 표면지(110, 140)는 내부 일측면에 폴딩축(FX1, FX2)이 형성되어, 향후 상기 폴딩축(FX1, FX2)을 따라 일측면이 폴딩된다.
층간지지구조체(120)는 상기 하부 표면지(110)와 상부 표면지(14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및 상부 표면지(110, 140)를 지지하며, 요철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조밀한 다중공이 연속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요철은 트러스 구조의 톱니, 구형파, 물결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층간지지구조체(120)가 요철로 형성됨에 따라, 하부 표면지(110)와 상부 표면지(140) 사이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100)의 전체적인 강도를 매우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층간지지구조체(120)는 사용자가 원하는 두께만큼 다층으로 적층되어, 단열재(100)의 전체적인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100)는 조밀하게 형성된 층간지지구조체(120)의 요철 형태와 높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100)의 내부 구성 또한 조밀하면서도 다공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정지공기로 인해 높은 단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는 공지의 건축물 단열재로 범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비드법 발포폴리스티렌 판재단열재 및 압출법 폴리스티렌 판재단열재와 같이 단열의 기본적인 원리는 정지공기의 단열원리와 동일하다. 이러한 정지공기를 이용한 단열재는 공기주머니에 해당하는 구멍 크기와 수량에 따라 단열의 성능이 결정된다.
만약, 상기 층간지지구조체(120)가 다층으로 적층될 때, 적층된 층간지지구조체(120)가 각자 개별적으로 흔들리지 않고 고정시키기 위해 중간지(130)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층간지지구조체(120)가 다층으로 적층되는 경우에, 상기 중간지(130)를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한 제1 층간지지구조체(121)와 상부에 위치한 제2 층간지지구조체(122)가 서로 직교하며 적층될 수 있다.
중간지(130)는 상기 층간지지구조체(120)의 상부에 적층되어, 상기 층간지지구조체(120)가 다층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하부 표면지(110)의 상부에 제1 층간지지구조체(121)가 적층되어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 후, 상기 제1 층간지지구조체(121)의 상부로 제2 층간지지구조체(122)를 적층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층간지지구조체(121)의 상부 전면을 덮도록 평탄한 상태의 제1 중간지(131)가 먼저 적층되고, 이후 상기 제1 중간지(131)의 상부에 제2 층간지지구조체(122)가 적층된다.
이때, 상기 제1 층간지지구조체(121)와 제2 층간지지구조체(122)는 제1 중간지(131)를 사이에 두고, 제1 층간지지구조체(121)의 톱니모양의 요철부의 방향은 제2 층간지지구조체(122)의 요철부 방향과 서로 직교되도록 상기 제1 중간지(131)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술한 하부 및 상부 표면지(110, 140), 상기 층간지지구조체(120) 및 상기 중간지(130)는 무기물, 유기물, 혼합물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를 다층(예를 들어, 5층)으로 적층하는 경우에, 하부 표면지(110)의 상부에는 제1 층간지지구조체(121)가 적층되고, 상기 제1 층간지지구조체(121)의 상부에는 제1 중간지(131)가 적층된다. 이어서, 상기 제1 중간지(131)의 제2 층간지지구조체(122)가 적층된다. 또한, 상기 제2 층간지지구조체(122)의 상부에는 제2 중간지(132)가 적층되고, 상기 제2 중간지(132)의 상부에는 제3 층간지지구조체(123)가 적층된다. 이어서, 상기 제3 층간지지구조체(123)의 상부에는 제3 중간지(133)가 적층되고, 상기 제3 중간지(133)의 상부에는 제4 층간지지구조체(124)가 적층된다. 또한, 상기 제4 층간지지구조체(124)의 상부에 제4 중간지(134)가 적층되고, 상기 제4 중간지(134)의 상부에는 제5 층간지지구조체(125)가 적층된다. 이후, 상기 제5 층간지지구조체(125)의 상부에 상부 표면지(140)가 적층된다.
이때, 상기 제1 층간지지구조체(121)와 상기 제2 층간지지구조체(122)는 제1 중간지(131)를 사이에 두고 요철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층간지지구조체(122)와 상기 제3 층간지지구조체(123), 상기 제3 층간지지구조체(123)와 상기 제4 층감지지구조체(124), 상기 제4 층간지지구조체(124)와 상기 제5층간지지구조체(125) 역시 각각 요철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층간지지구조체가 다층으로 적층되는 경우에, 중간지를 사이에 두고 하부 및 상부에 각각 배치되는 층간지지구조체는 요철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층간지지구조체의 적층 방향은 상술한 바와 같이 요철이 서로 직교하는 상태로 배치될 수도 있지만, 이에 더하여 사선 방향으로 비스듬히 배치되거나, 격자 등의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적층 구조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100)는 층간지지구조체(120)가 예를 들어, 5층으로 적층될 때, 제1, 제3, 제5 층간지지구조체(121, 123, 125)는 개방된 요부가 전면에 형성되고, 제2, 제4 층간지지구조체(122, 124)는 개방된 요부가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층된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100)는 전면과 측면에 각각 형성된 층간지지구조체(120)의 개방된 요부를 통해 공기 순환이 이루어져 단열 효과를 크게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100)의 단열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100)를 구성하는 하부 표면지(110), 상부 표면지(140), 중간지(130)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면을 접어, 접혀진 폴딩 영역이 단열재(100)의 내부를 구성하는 층간지지구조체(120)의 개방된 요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만약, 상기 하부 표면지(110)와 상부 표면지(140) 사이에 제1 내지 제5 층간지지구조체(121, 122, 123, 124, 125)가 적층되고, 상기 제1 내지 제5 층간지지구조체 사이(121, 122, 123, 124, 125)에 제1 내지 제4 중간지(131, 132, 133, 134)가 적층되는 구조를 갖는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100)가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상기 제1 층간지지구조체(121)의 전면과 후면에는 개방된 요부가 형성되고, 양 측면에는 밀폐된 철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표면지(110)의 가로방향에 형성된 제1 폴딩축(FX1)을 따라 상기 하부 표면지(110)의 가로방향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FA)을 내측으로 접어 올려, 접혀진 상기 하부 표면지(110)의 가로방향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FA)이 상기 하부 표면지(110)의 상부에 적층된 제1 층간지지구조체(121)의 개방된 요부를 밀폐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1 층간지지구조체(121)의 전면과 후면 및 양 측면은 모두 밀폐된 상태를 이루어, 내부를 관통하는 공기 순환을 방지한다.
또한, 제2 층간지지구조체(122)의 양 측면에는 개방된 요부가 형성되고, 전면과 후면에는 밀폐된 철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층간지지구조체(122)의 하부에 적층된 제1 중간지(131)의 세로 방향에 형성된 제2 폴딩축(FX2)을 따라 상기 제1 중간지(131)의 세로방향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FA)을 내측으로 접어 올려, 접혀진 상기 제1 중간지(131)의 세로 방향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FA)이 상기 제2 층간지지구조체(122)의 개방된 요부를 밀폐한다. 따라서, 상기 제2 층간지지구조체(122) 역시 전면과 후면 및 양 측면은 모두 밀폐된 상태를 이루어, 역시 내부를 관통하는 공기 순환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층간지지구조체(121)와 제2 층간지지구조체(122)는 개방된 요부가 서로 직교하도록 위치함에 따라, 상기 제1 층간지지구조체(121)와 제2 층간지지구조체(122)는 개방된 요부를 밀폐시키기 위해 폴딩되는 하부 표면지(110) 및 제1 중간지(131)의 폴딩방향 또한 서로 직교한다.
즉, 본 발명의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100)가 다층으로 적층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표면지(110), 상부 표면지(140), 중간지(130)가 서로 직교하며 폴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100)는 내부에 적층되는 층간지지구조체(120)의 개방된 요부를 통해 공기가 이동하는 흐름을 막아 다중공과 다적층 구조를 갖는 층간지지구조체(120)가 전도와 대류에 의한 열의 이동을 방해하여 보온 및 열을 차단한다. 결과적으로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100)가 열전도율이 0.04kcal/mh℃ 이하인 특성을 가지므로, 건물의 단열재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100) 내부에 구성되는 층간지지구조체(120)가 총 10층으로 적층된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100)를 구성하는 하부 표면지(110), 층간지지구조체(120), 중간지(130) 및 상부 표면지(140)는 앞서 도 1 내지 2를 통해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방식으로 적층되며, 다만 적층되는 층간지지구조체(120)와 중간지(130)의 개수에 대해서만 차이가 발생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100)는 하부 표면지(110)와 중간지(130)가 내부에 미리 형성된 폴딩축(FX1, FX2)을 따라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각각 폴딩됨으로써, 내부에 적층된 층간지지구조체(120)의 전후면 또는 양 측면에 개방된 상태로 배치된 요부는 밀폐되고, 폐쇄된 다른 부분은 노출될 수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확대도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100)의 하부 표면지(110)와 중간지(130)의 일부 측면이 폴딩된 내부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100)의 바닥면에 배치된 하부 표면지(110)의 상부에 제1 층간지지구조체(121)가 적층된다. 이때 상기 제1 층간지지구조체(121)의 개방된 요부가 배치된 상기 하부 표면지(110)의 전면 일측면에 폴딩축(FX1)을 따라 접혀지는 폴딩영역(FA)이 형성된다.
하지만 이와 반대로, 상기 제1 층간지지구조체(121)의 개방된 요부가 아닌 폐쇄된 철부가 배치된 상기 하부 표면지(110)의 측면에는 폴딩영역이 형성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100)의 내부에 적층되는 다수의 층간지지구조체(120)에 대하여, 상기 층간지지구조체(120)의 하부에 위치한 하부 표면지(110), 중간지(130) 또는 상기 층간지지구조체(120)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 표면지(140)의 일 측면이 하부 또는 상부 방향으로 각각 폴딩됨으로써, 상기 층간지지구조체(120)의 개방된 요부만을 밀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층으로 적층되는 층간지지구조체(120)는 앞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달리, 층간지지구조체(120)의 요철방향이 상호 직교 방향이 아닌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는 도 4 내지 도 5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간지를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한 제1 층간지지구조체와 상부에 위치한 제2 층간지지구조체가 서로 평행하여 적층되는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간지를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한 제1 층간지지구조체와 상부에 위치한 제2 층간지지구조체가 서로 직교하여 적층되는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100)는 앞서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하며, 다만, 적층되는 층간지지구조체(120)의 요철 방향에만 차이점이 존재한다. 즉, 제1 층간지지구조체(121)의 상부에 제1 중간지(131)가 적층되고, 상기 제1 중간지(131)의 상부에 제2 층간지지구조체(122)가 적층되는데 있어서, 상기 제1 층간지지구조체(121)의 요철 형성 방향과, 상기 제2 층간지지구조체(122)의 요철 형성 방향이 서로 평행하도록 상기 제2 층간지지구조체(122)가 상기 제1 중간지(131)의 상부에 적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따라, 적층되는 모든 층간지지구조체(121 내지 125)는 모두 동일한 요철 방향 즉, 서로 평행하도록 적층될 수 있다. 또한, 다층의 층간지지구조체(120)가 상술한 바와 같이 평행하게 적층되는 구성 뿐만 아니라, 사선 방향으로 비스듬히 배치되거나, 격자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적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100)의 내부에 적층되는 층간지지구조체(120)를 요철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100)의 전체적인 무게를 경량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야기되는 단열특성이 저하하는 문제를 상기 층간지지구조체(120)의 개방된 요부만을 선택적으로 밀폐시켜 해결함으로써, 경량화와 단열 특성을 모두 개선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층간지지구조체(120)를 10층, 20층, 30층 등으로 반복 적층하여, 다공성 및 다적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100)의 두께가 50mm, 100mm, 150mm, 200mm 등으로 제작될 수 있고, 요철의 크기는 2.5mm, 5.0mm, 7.5mm, 10.0mm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는 실시의 일 예로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른 방법으로도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100)를 구성하는 하부 표면지(110), 상부 표면지(140), 층간지지구조체(120) 및 중간지(130)는 방습, 방부, 방수, 방화, 방염용 약품 이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첨가될 수 있으며, 단열재의 외부면은 기능성 유기물 또는 무기물이 도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100)가 외부로 노출되더라도 단열재(100)가 방습, 방부, 방수, 방화, 방염 등으로부터 용이하게 보호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표면지(110)의 표면에 도포된 기능성 유기물 또는 무기물로 인하여, 외부의 환경조건과 상관없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구조를 갖는 단열재(100)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다공성 및 다적층의 구조를 갖는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100)의 소재는 무기질의 판재단열재 중 하나인 종이로 가공되는데, 이때 이미 사용된 파지를 재활용하거나, 품질이 떨어지는 재생 종이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100)가 유기물의 판재단열재 중 하나인 합성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유기물과 무기물을 혼합 또는 복합 물질을 단열재(100)의 소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100)는 건물의 외부 또는 습기가 심한 곳과 수분이 접촉되는 부분에 사용될 수 있다.
단열재의 시공방법은 일반 판형단열재와 같이 접착제로 붙이거나 피스로 고정시키고, 이음부와 줄눈에는 접착제 또는 테이프 등을 부착하고, 이를 통해 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100)의 외부면에 방수와 미관을 위한 기능성 유기물 또는 무기물과 건축물의 치장 또는 기능성 재료가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는 내부에 배치되는 층간지지구조체를 용도 및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층으로 적층함으로써, 두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는 내부에 적층되는 층간지지구조체가 요철로 이루어져 전체적인 무게를 줄이면서도, 각층마다 서로 직교하며 적층되는 구조를 통해 물리적인 강도를 증대시키고, 이에 따라 건축물에도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는 파지를 재활용한 재생 종이로 제작됨에 따라 자원 재활용에 따른 자연보호와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화재 시 유독성 매연의 배출이 적으며, 급격한 화재확산을 방지하여 재산과 생명보호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10: 하부 표면지 120: 층간지지구조체
130: 중간지 140: 상부 표면지

Claims (3)

  1. 표면이 평탄한 상태로 이루어지고,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하부 및 상부 표면지;
    상기 하부 및 상부 표면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및 상부 표면지를 지지하며, 요철로 형성되는 층간지지구조체; 및
    상기 층간지지구조체의 상부에 적층되는 중간지;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및 상부 표면지, 상기 중간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면을 접어 상기 층간지지구조체의 개방된 요부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지지구조체는
    상기 요철이 톱니, 구형파, 물결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지지구조체는
    다층으로 적층되는 경우, 상기 중간지를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한 제1 층간지지구조체와 상부에 위치한 제2 층간지지구조체가 서로 직교하거나, 또는 평행하도록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
KR1020190016542A 2019-02-13 2019-02-13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 KR202000988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542A KR20200098881A (ko) 2019-02-13 2019-02-13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542A KR20200098881A (ko) 2019-02-13 2019-02-13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881A true KR20200098881A (ko) 2020-08-21

Family

ID=72235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542A KR20200098881A (ko) 2019-02-13 2019-02-13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88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44112A (zh) * 2021-09-28 2021-12-28 东南大学 一种复合蜂窝材料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417B1 (ko) 2015-06-02 2017-02-09 주식회사 이제이코리아 친환경 복합 단열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417B1 (ko) 2015-06-02 2017-02-09 주식회사 이제이코리아 친환경 복합 단열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44112A (zh) * 2021-09-28 2021-12-28 东南大学 一种复合蜂窝材料
CN113844112B (zh) * 2021-09-28 2023-08-29 东南大学 一种复合蜂窝材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1852B2 (en) Reflective heat insulation
US8221871B2 (en) Metallized polymeric film reflective insulation material
JP2008505261A (ja) エネルギー効率がよい絶縁性を有する建物用被覆材
KR20180033675A (ko) 난연, 흡음 및 방습기능을 겸비한 복합기능성 단열재
KR20200023125A (ko) 화염 확산 방지기능이 향상된 세라믹울 내장형 복합단열재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화염 확산 방지기능이 향상된 세라믹울 내장형 복합단열재
GB2449985A (en) Thermal insulation having securing flaps compensating for variation in coverage
CN106499150A (zh) 一种气凝胶蜂窝夹心板
KR20200098881A (ko)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
JP2000204689A (ja) 複合断熱材
CN205219982U (zh) 三聚氰胺泡沫芯复合板
CN112832645A (zh) 一种木质隔热防火门
KR20180000916U (ko) 난연, 흡음 및 방습기능을 겸비한 복합기능성 단열재
KR102417250B1 (ko) 난연 및 내화성이 향상된 복합 단열재
JP2010013839A (ja) 断熱壁
CA3123799A1 (en) Foam wall structure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JP2006104702A (ja) 高断熱性−耐燃焼性基礎建材
TWM497685U (zh) 屋頂隔熱系統
JP3043477U (ja) 建築物
JPH0712628Y2 (ja)
CN216195621U (zh) 一种建筑防水保温隔热复合板
US11298915B2 (en) Composite, structural, insulative board
JP3587997B2 (ja) 建築用積層パネルとそれを使用した建物構造
TWI507589B (zh) 防火吸音與隔音複合結構系統
JP5184254B2 (ja) 屋根パネル
KR100646110B1 (ko) 건축용 단열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