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6110B1 - 건축용 단열보드 - Google Patents

건축용 단열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6110B1
KR100646110B1 KR1020030031223A KR20030031223A KR100646110B1 KR 100646110 B1 KR100646110 B1 KR 100646110B1 KR 1020030031223 A KR1020030031223 A KR 1020030031223A KR 20030031223 A KR20030031223 A KR 20030031223A KR 100646110 B1 KR100646110 B1 KR 100646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sheet
air
air layer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1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8903A (ko
Inventor
이수억
Original Assignee
이은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자 filed Critical 이은자
Priority to KR1020030031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6110B1/ko
Publication of KR20040098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8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340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profiled spacer 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340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profiled spacer sheets
    • E04C2002/3411Dimpled spacer sheets
    • E04C2002/3416Dimpled spacer sheets with cylindrical dimp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단열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축물의 벽면 등에 설치되고 다수의 미세기공이 형성되는 기초시트와, 상기 기초시트 상측에 알루미늄 입자를 균일한 두께로 피복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알루미늄 펄층과, 상기 알루미늄 펄층 상측에 부착되는 시트부 및 상기 시트부 상측에 간격을 두고 세워지고 관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기방이 형성되는 다수의 셀부로 이루어져 상기 각 공기방에 의해 공기층을 형성하는 공기층 형성시트와, 상기 공기층 형성시트 상측에 부착되어 상기 공기방을 밀폐시키는 알루미늄 포일로 구성되기 때문에 공기층 및 알루미늄의 복합작용으로 단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공기층의 소음 및 진동 상쇄작용으로 방음, 방진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알루미늄의 방습성 및 난연성으로 방습효과가 우수함은 물론 열변형 또한 최소화할 수 있는 건축용 단열보드에 관한 것이다.
공기층, 단열, 방습, 방음, 방진, 알루미늄, 열전도율

Description

건축용 단열보드{Heat insulating board for build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단열보드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단열보드가 도시된 부분 절개사시도,
도 3은 도 1의 "가 - 가"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나"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단열보드가 도시된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초시트 11 : 미세기공
20 : 알루미늄 펄층 21 : 알루미늄 입자
30 : 공기층 형성시트 31 : 시트부
32 : 셀부 32' : 공기방
40 : 알루미늄 포일 41 : 마개부
A : 공기층 W : 벽면
본 발명은 건축용 단열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고 그 상, 하측을 알루미늄으로 피복함으로써 공기층과 알루미늄의 복합작용으로 극대화된 단열효과는 물론 방음, 방진 및 방습효과 또한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단열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실내를 여러 공간으로 구획하는 벽면에는 외부로의 열 손실이나 열의 유입을 적게 하기 위한 단열재가 설치된다.
여기서 단열재는 소재 자체의 열전도율이 작은 것을 사용하는 게 좋으나 대개의 경우 그렇지 못하므로 열전도율을 작게 하고자 다공성을 가지도록 만들어 미세기공 속에 있는 공기의 단열성(공기는 열전도율이 작기 때문에 대류작용을 일으키지 않도록 가두어 두면 이상적인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다)을 이용하여 단열효과를 얻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단열재로는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구입하기가 손쉽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발포스티렌(expanded poly-styrene, 스티로폼)을 그 대표적인 예로 꼽을 수 있다.
그러나 발포스티렌은 단순히 다수의 미세기공 속에 존재하는 공기의 단열성에만 의존하여 열전도율을 저하, 단열효과를 발휘하므로 그 효과에 한계가 있어 보 다 높은 단열효과를 기대하는 거주자의 일반적인 심리에 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포스티렌은 특성상 벽면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소음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고, 아울러 습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하므로 이에 만족스러운 방진, 방음 및 방습효과를 제공할 수 없어 보다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발포스티렌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화기에 취약하므로 화재가 발생하였을 시 단시간에 연소될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유독가스를 생성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종래의 단열방음층으로는 일본국공개실용신안공보 소54-28210호에 의하여 알려진 지붕재료로서 그 기술내용은 지붕의 덮개로 사용되는 함석판을 최상층으로 하여 그 아래에 단열층, 불연성매트, 중공상의 벌집형상을 상·하에서 시트로 밀폐한 단열방음층, 알루미늄박판을 차례로 접착하므로서 지붕을 통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열이나 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알루미늄박판이 최하층에만 형성되어 있어 흡입되는 열반사 및 소음 또는 습기를 차단하는 충분한 역할을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벌집형상의 중공이 시트에 의하여 상·하에 접착되어 중공부가 변형될 수 있으므로 완전히 밀폐하기가 어려워 중공부가 공기를 계속 함유하고 있기에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중공부만이 공기를 함유할 수 있어 공기를 함유할 수 있는 부피가 적어서 소음 및 열 차단재로서는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고, 이 공기층의 상, 하측을 각각 알루미늄으로 피복한 구조로 구성되기 때문에 공기층 및 알루미늄의 복합작용으로 단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공기층의 소음 및 진동 상쇄작용으로 방음, 방진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알루미늄의 방습성 및 난연성으로 방습효과가 우수함은 물론 열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건축용 단열보드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 등에 설치되 고 다수의 미세기공이 형성되는 기초시트와, 상기 기초시트 상측에 알루미늄 입자를 균일한 두께로 피복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알루미늄 펄층과, 상기 알루미늄 펄층 상측에 부착되는 시트부 및 상기 시트부 상측에 간격을 두고 세워지고 관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기방이 형성되는 다수의 셀부로 이루어져 상기 각 공기방에 의해 공기층을 형성하는 공기층 형성시트와, 상기 공기층 형성시트 상측에 부착되어 상기 공기방을 밀폐시키는 알루미늄 포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단열보드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용 단열보드(1)는 기초시트(10)와, 이 기초시트(10)의 상측을 피복하는 알루미늄 펄층(aluminum pearl layer)(20)과, 이 알루미늄 펄층(20) 상측에 부착되어 공기층(A)을 형성하는 공기층 형성시트(30)와, 이 공기층 형성시트(30) 상측에 부착되는 알루미늄 포일(aluminum foil)(40)로 구성된다.
기초시트(10)는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벽면(W)에 접착제 등으로 견고히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무수히 많은 미세기공(11)을 형성하여 이 미세기공(11) 속에 있는 공기의 단열성으로 외부로의 열 손실이나 실내(R)로 유입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도록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아크릴(acrylic) 원액을 교차 결합시켜(cross-link) 약 4mm 두께로 만든 연성의 발포체로 이루어진다.
이 때 기초시트(10)로는 발포체를 대신할 수 있는 부직포(non-woven fabric)를 이용하여 이룰 수도 있다.
이러한 기초시트(10)는 본 발명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cushion)의 역할도 동시에 행한다.
알루미늄 펄층(20)은 방습성, 내부식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알루미늄을 분말화한 알루미늄 입자(21)를 기초시트(10)의 상측 전반에 걸쳐 접착제를 사용하여 발라 균일한 두께로 피복함으로써 형성되는 판상의 층으로서, 습기를 차단함은 물론 자체 특성인 열반사작용으로 열을 반사, 차단한다.
공기층 형성시트(30)는 알루미늄 펄층(10)의 상측 전반에 걸쳐 접착제로 부착되는 시트부(31)와, 이 시트부(31) 상측에 조밀한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다수의 셀(cell)부(3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각 셀부(32)는 내부에 공기방(32')이 형성될 수 있도록 약 2mm 높이의 관(pipe)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각 공기방(32')에 의해 알루미늄 펄층(20)과 알루미늄 포일(40) 사이에 열을 차단함은 물론 소음 및 진동을 상쇄시키는 약 2mm 두께의 공기층(A)을 형성한다.
이 때 도면에서는 셀부(32)를 원통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사각 또는 육각 등의 다각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셀부(32)는 외부에서 공기층(A)에 가해지는 압력으로부터 공기층(A)을 보호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 포일(40)을 지지하는 바, 예를 들어 공기방(32')의 부피가 크도록 셀부(32)를 형성하면 알루미늄 포일(40)을 충분히 지지할 수 없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그 크기가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공기층 형성시트(30)는 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로 이루어진다.
알루미늄 포일(40) 역시 알루미늄 펄층(20)과 마찬가지의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압연롤(rolling roll)을 사용해 얇은 띠판으로 만들고, 이것을 랩(lap)압연해 만들어진다.
이러한 알루미늄 포일(40)은 공기층 형성시트(30)의 셀부(32) 상측을 밀폐, 공기방(32') 속에 있는 공기의 유실을 방지한다.
즉 공기층(A)의 단열성으로 이상적인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공기의 대류작용을 억제한 것이다.
한편 알루미늄 포일(40)에는 각 공기방(32')을 긴밀히 밀폐할 수 있도록 각 셀부(32) 상단을 감싸는 마개부(41)가 형성된다.
여기서 마개부(41)는 알루미늄 포일(40)을 셀부(32)의 형상에 부합하도록 함몰시켜 형성한 것으로서, 이에 의해 알루미늄 포일(40)의 표면에는 셀부(32)와 같은 무늬가 형성된다.
상기에서처럼 구성되는 본 발명의 건축용 단열보드(1)는 벽면(W)과 석고보드(B) 사이에 설치할 수 있는 바, 외부에서 실내(R)로 유입되거나 반대로 외부로 유출되는 열은 반드시 기초시트(10), 알루미늄 펄층(20), 공기층(A) 및 알루미늄 포일(40)을 통과해야만 하므로 이들의 복합작용으로 열전도율은 최소화가 된다.
그리고 소음 및 진동은 본 발명을 통과하는 중 공기층(A)에서 굴절, 흡수되어 상쇄되고, 습기는 알루미늄 펄층(20) 및 알루미늄 포일(40)에 의해 차단된다.
한편 아래의 표 1은 한국화학시험연구원 토건재료센터에 의뢰하여 본 발명의 열전도율을 시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시험성적서의 내용이다.
참고로 본 출원인이 한국화학시험연구원에 제공한 시료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6mm 두께의 것으로서, 아래의 결과치는 두께 70mm의 발포스티렌이 발휘하는 열전도율이라 한다.
(표 1)
Figure 112003017432464-pat00001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1)미세기공이 형성된 기초시트, 알루미늄 펄층, 공기층 및 알루미늄 포일이 각각 발휘하는 복합적인 열 전도 저하작용으로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거나 반대로 외부로 유실되는 열의 차단을 극대화할 수 있고, (2)공기층에 의해 소음 및 진동이 굴절되어 흡수되므로 방음, 방진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3)알루미늄 펄층 및 알루미늄 포일의 방습성으로 방습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포일의 난연성으로 화기에 의한 열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열효과는 물론이고 방음, 방진 및 방습효과, 게다가 열변형까지 동시에 획기적으로 증대되어 상품성이 향상된 매우 유용한 발명임에 틀림없다.

Claims (4)

  1. 건축물의 벽면(W) 등에 설치되고 다수의 미세기공(11)이 형성되는 기초시트(10)와;
    상기 기초시트(10) 상측에 부착되는 시트부(31) 및 상기 시트부(31) 상측에 간격을 두고 세워지고 관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기방(32')이 형성되는 다수의 셀부(32)로 이루어져 상기 각 공기방(32')에 의해 공기층(A)을 형성하는 공기층 형성시트(30)와;
    상기 공기층 형성시트(30) 상측에 부착되어 상기 공기방(32')을 밀폐시키는 알루미늄 포일(40)로 구성되는 종래의 단열보드(1)에 있어서,
    상기 기초시트(10)와 시트부(31) 사이에 알루미늄 입자(21)를 균일한 두께로 피복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알루미늄 펄층(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보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포일(40)에는 상기 각 셀부(32)의 상단을 감쌀 수 있도록 마개부(4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단열보드(1).
KR1020030031223A 2003-05-16 2003-05-16 건축용 단열보드 KR100646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223A KR100646110B1 (ko) 2003-05-16 2003-05-16 건축용 단열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223A KR100646110B1 (ko) 2003-05-16 2003-05-16 건축용 단열보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192U Division KR200324567Y1 (ko) 2003-05-16 2003-05-16 건축용 단열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903A KR20040098903A (ko) 2004-11-26
KR100646110B1 true KR100646110B1 (ko) 2006-11-14

Family

ID=37376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1223A KR100646110B1 (ko) 2003-05-16 2003-05-16 건축용 단열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61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510B1 (ko) * 2013-01-14 2014-08-07 소재욱 건축용 지붕 구조
KR101636641B1 (ko) 2015-01-07 2016-07-05 유대한 단열재 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510B1 (ko) * 2013-01-14 2014-08-07 소재욱 건축용 지붕 구조
KR101636641B1 (ko) 2015-01-07 2016-07-05 유대한 단열재 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903A (ko) 2004-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1897B2 (ja) 構造体
KR20040063015A (ko) 흡음 판넬
JP2007133246A (ja) 吸音構造
KR100646110B1 (ko) 건축용 단열보드
KR20080001139U (ko) 층간 소음방지용 판넬
JP2007047567A (ja) 吸音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構造体
KR200324567Y1 (ko) 건축용 단열보드
KR200370844Y1 (ko) 건축용 단열보드
KR200379098Y1 (ko) 건축용 단열보드
JP5514015B2 (ja) 断熱材付き内装建材
KR200380186Y1 (ko) 건축용 단열보드
KR200374682Y1 (ko) 건축용 단열보드
BRPI0714731A2 (pt) material de construÇço para revestimento, isolante tÉrmico e, preferivelmente, tambÉm acéstico
JP2010013839A (ja) 断熱壁
JP4010923B2 (ja) 防火断熱パネル
JP4113064B2 (ja) 建造物の壁体、及び建造物、並びに防火方法
KR101177348B1 (ko)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
KR20200098881A (ko) 적층법 다공성 판재단열재
KR20120097909A (ko) 건축용 단열 패널
JPH11241427A (ja) 建物の壁体構造
KR20180129385A (ko) 하이브리드 단열재
CN114150830B (zh) 一种建筑外墙装饰节能保温板结构
CN215802380U (zh) 一种泡沫铝夹芯隔音板
CN214658407U (zh) 一种隔声墙结构
CN213138116U (zh) 玻镁夹芯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