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8463A - 3d프린팅 출력부품 접합장치 - Google Patents

3d프린팅 출력부품 접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8463A
KR20200098463A KR1020200101303A KR20200101303A KR20200098463A KR 20200098463 A KR20200098463 A KR 20200098463A KR 1020200101303 A KR1020200101303 A KR 1020200101303A KR 20200101303 A KR20200101303 A KR 20200101303A KR 20200098463 A KR20200098463 A KR 20200098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output
printing
bonding
moving
mel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6161B1 (ko
Inventor
한영훈
Original Assignee
한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훈 filed Critical 한영훈
Priority to KR1020200101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161B1/ko
Publication of KR20200098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95He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02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프린팅 출력부품 접합장치에 있어서, 양측이 개방된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 내측에 형성되며, 3D프린팅 출력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몸체 내벽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거리센서; 상기 2개 이상의 3D프린팅 출력물의 접합면을 용융하도록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용융기구 및 상기 용융기구가 상기 몸체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용융기구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센서로 측정된 거리에 따라 상기 지지부가 상기 3D프린팅 출력물의 접합면이 서로 일치되도록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프린팅 출력부품 접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3D프린팅 출력부품 접합장치{3Dprinting output component splicing device}
본 발명은 3D프린팅 출력부품 접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3D프린팅을 사용한 열가소성 소재 및 특수 소재의 접합에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3D프린팅 출력부품 접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3D프린팅 출력물은 소재마다 작업 특이 다양하지만, 뽑기 용이한 플라스틱도 출력물의 크기가 커지면 상대적으로 수축현상이 발생하여 3D프린팅 출력물의 품질을 좌우하는 부분으로 빌드 베드에 안착이 안정적으로 되어야 하는 레이어에서 들뜸으로 이어지는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특히, 기본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 더욱 심하게 들뜨게 되는데 이러한 영향으로 좋은 품질의 3D프린팅 출력물을 얻기가 힘들다.
또한, 제한된 출력사이즈로 인해 어쩔 수 없이 부품을 나눠 출력하게 되는 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빌드 베드가 커져야 하나 이는 비용적으로 합리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비용적인 측면의 문제점으로 인해 나눈 부품을 접합하는 사람이 부착재료를 이용하여 부품을 부착하는 형식으로 대체되어 왔다.
이는 정밀한 부품을 생산하는 데 문제점이 있었고, 부착재료의 비용도 합리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장치가 개발되어야 되는 실정이다.
종래의 기술로는 3D프린팅 출력물의 거친 표면을 완화시켜주는 기술이 개시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6619호가 제안되었다.
상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본 발명은 3D프린팅을 사용한 열가소성 소재 및 특수 소재의 접합에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3D프린팅 출력부품 접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프린팅 출력부품 접합장치에 있어서, 양측이 개방된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 내측에 형성되며, 3D프린팅 출력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몸체 내벽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거리센서; 상기 2개 이상의 3D프린팅 출력물의 접합면을 용융하도록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용융기구 및 상기 용융기구가 상기 몸체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용융기구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센서로 측정된 거리에 따라 상기 지지부가 상기 3D프린팅 출력물의 접합면이 서로 일치되도록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융기구조절부는, 상기 용융기구의 일단 및 타단이 연결되는 타이밍 벨트;
상기 타이밍 벨트가 회전되도록 상기 몸체와 축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벨트풀리 및 상기 축을 동작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몸체의 내부 하단에 설치되는 지지레일 및 상기 지지레일을 따라 상기 3D프린팅 출력물을 고정시켜 이동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ㄷ' 또는 'C'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면에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 양단의 간격 및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조절부 및 상기 손잡이 하단에 상기 지지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지지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융기구는, 좌우 또는 원형으로 진동하며 3D프린팅 출력물들 사이에서 접합면을 3D프린팅 출력물의 소재에 따라 온도가 200 내지 500℃범위에서 조정되어 용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융기구가 상기 몸체 내부에서 좌우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용융기구조절부와 결합되며, 틀 형상의 상하단에 이동롤러를 포함하는 이동틀; 상기 이동틀의 이동롤러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 내측 상하단에 형성되는 이동레일 및 상기 3D프린팅 출력물의 접합면의 위치를 측정하여 위치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측정센서에 의해 상기 3D프린팅 출력물의 접합면의 위치가 감지되면, 그 위치로 상기 용융기구가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롤러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외측 일단에 형성되어 다수개의 몸체를 순차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를 이용해 상기 3D프린팅 출력물의 크기 또는 개수에 따라 다수개의 몸체를 연결하여 접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의 외측 타단을 삽입할 수 있도록 'ㄷ' 또는 'C'형상의 바로 형성되는 체결바 및 상기 체결바와 상기 몸체 일단 사이에 구비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체결바 일단과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릴을 포함하고, 상기 3D프린팅 출력물의 크기에 따라 연결될 몸체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프린팅 출력부품 접합장치는 3D프린팅을 사용한 열가소성 소재 및 특수 소재의 접합에 용이할 수 있다.
또한, 겨울철에 들뜸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접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정밀하게 접합면을 용융하여 접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프린팅 출력부품 접합장치를 도시한 투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정부의 구성 및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3D프린팅 출력부품 접합장치에 이동부의 구성을 추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3D프린팅 출력부품 접합장치에 결합부의 구성을 추가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프린팅 출력부품 접합장치(1)는 몸체(100), 지지부(200), 거리센서(10), 용융기구(20), 용융기구조절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몸체(100)는 3D프린트로 출력된 2개 이상의 부품을 서로 접하도록 하기 위한 하우징으로써, 양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몸체(100)는 도면에서 쉽게 설명하기 위해 양측이 개방된 상자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제작되는 3D프린팅 출력물(P1,P2)의 크기 또는 형상에 따라 변경되어 제작 될 수 있다.
지지부(200)는 몸체(100) 내측에 형성되며, 3D프린팅 출력물(P1,P2)을 지지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200)는 지지레일(210) 및 고정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레일(210)은 몸체(100)의 하단에 설치되며, 2개의 3D프린팅 출력물(P1,P2)을 각각 잡는 고정부(220)가 이동하는 길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고정부(220)가 지지레일(210)을 따라 3D프린팅 출력물(P1,P2)을 각각 이동시켜 접합할 면이 서로 맞닿도록 최단거리로 유지하게끔 고정 한다.
이때, 고정부(220)는 거리센서(10)와 연동되어 3D프린팅 출력물(P1,P2)의 위치를 파악하고, 접할 다른 3D프린팅 출력물(P1,P2)과의 거리를 파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220)는 'ㄷ' 또는 'C'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면에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손잡이(221), 손잡이(221) 양단의 간격 및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조절부 및 손잡이(221) 하단에 지지레일(210)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지지롤러(222)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221)는 3D프린팅 출력물(P1,P2)과 직접 닿는 부분으로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조절부가 구비되어 3D프린팅 출력물(P1,P2)의 크기에 따라 손잡이(221)의 양단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조절부를 통한 손잡이(221)의 간격 조절방향은 몸체(100)의 개방 방향과 수직일 수 있다.
이때, 조절부는 실린더 및 완충역할을 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거리센서(10)가 손잡이(221)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조절부와 연동되어 손잡이(221)의 양단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실린더는 출력물의 높이에 따라서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스프링은 양단을 수축 이완시킬 수 있다.
몸체(100)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거리센서(10)와 연동되는 것은 실질적으로 지지롤러(222)를 동작시키는 모터이며, 모터는 소형모터를 이용할 수 있다.
지지롤러(222)가 모터에 의해 동작되면, 지지레일(210)을 따라 좌우(몸체(100) 양단방향)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지지레일(210)은 몸체(100)의 일단 및 타단에서 각각 용융기구(20)가 위치한 곳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거리 까지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용융기구는 3D프린팅 출력물(P1,P2)의 PLA, ABS, Carbon Fiber, HIPS, Nylon 등과 같은 소재에 따라 열선 또는 레이저다이오드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열선을 예시로 하여 작성하였다.
상기에서 설명한 거리센서(10)는 적외선, 초음파와 같은 거리를 측정하여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용융기구(20)는 2개 이상의 3D프린팅 출력물(P1,P2)의 접합면을 용융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몸체(100) 중심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용융기구(20)를 상하로 조절되어 접합면을 용융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융기구(20)를 몸체(100) 내부에서 상하로 조절하는 구성은 용융기구조절부(300)이며, 용융기구조절부(300)는 용융기구(20)의 일단 및 타단이 연결되는 타이밍 벨트(310), 타이밍 벨트(310)가 회전되도록 상기 몸체(100)와 축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벨트풀리(320) 및 축을 동작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타이밍 벨트(310)는 2개로 형성되어 각각 용융기구(20)의 일단 및 타단이 결합되는 것으로 용융기구(20)가 상하로 조절될 수 있도록 벨트풀리(320)에 고정되며, 이때 벨트풀리(320)도 각 타이밍 벨트(310)를 고정하기 위해 상하에 2개씩 형성되어 몸체(100) 내부의 중심 양측 벽면과 축결합 되고, 모터에 의해 축이 동작되게 된다.
이때, 모터는 몸체(100)외부에 구비되는 리모트컨트롤러 또는 스위치를 이용해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용융기구(20)를 상하로 조절하며 3D프린팅 출력물(P1,P2)의 접합면을 용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용융기구(20)는 좌우 또는 원형으로 진동하며 3D프린팅 출력물(P1,P2)들 사이에서 접합면을 3D프린팅 출력물(P1,P2)의 소재에 따라 온도가 200 내지 500℃범위에서 조정되어 용융할 수 있다.
3D프린팅 출력물(P1,P2)은 PLA, ABS, Carbon Fiber, HIPS, Nylon 등과 같은 소재로 출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프린팅 출력부품 접합장치(1)는 이동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400)는 상하로 조절되는 용융기구(20)를 좌우로도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며, 3D프린팅 출력물(P1,P2)의 크기와 길이에 따라 용융기구(20)가 이동되어 용융 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부(400)는 이동틀(410), 이동레일(420), 위치측정센서(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틀(410)은 상기에서 설명한 용융기구조절부(300)와 결합되도록 틀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하단에 이동롤러(4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레일(420)은 몸체(100)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어 이동틀(410) 상단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롤러가 이동될 수 있는 길 역할을 한다.
또한, 이동레일(420)은 몸체(100) 내부의 중심으로부터 몸체(100)의 양단까지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의 용융기구조절부(300)와 중첩되지 않도록 중심으로부터 몸체(100) 양단 방향으로 일부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이동틀(410) 모서리 측은 용융기구조절부(300)의 벨트풀리(320)와 축결합되며, 용융기구(20)가 상하이동 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이동틀(410)의 이동롤러(415)가 동작되면 이동레일(420)을 따라 좌우로 용융기구(20)가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이동롤러(415)는 모터로 동작될 수 있으며, 이동틀(410)에 구비되는 위치측정센서(430)와 연동되어 모터가 동작될 수 있다. 상기의 모터는 소형모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동부(400)는 위치측정센서(430)에 의해 3D프린팅 출력물(P1,P2)의 접합면의 위치가 감지되면, 그 위치로 용융기구(20)가 위치하도록 이동롤러(415)를 동작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프린팅 출력부품 접합장치(1)는 결합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결합부(500) 이동부(400)가 구비되는 않은 3D프린팅 출력부품 접합장치(1)에 형성되도록 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이동부(400)가 구비된 상태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결합부(500)는 3D프린팅 출력물(P3)의 크기, 길이 또는 개수에 따라 3D프린팅 출력부품 접합장치(1)를 다수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구성이다.
구체적으로, 결합부(500)는 체결바(510) 및 간격조절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바(510)는 몸체(100)의 외측 타단 변 또는 둘레를 삽입할 수 있도록 'ㄷ' 또는 'C'형상의 바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바(510)는 몸체(100)의 변 또는 둘레의 크기에 따라 다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간격조절부(520)는 체결바(510)와 몸체(100) 일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바(510)를 일측방향으로 추출할 수 있어 3D프린팅 출력부품 접합장치(1)가 다수 개로 연결될 시 3D프린팅 출력물(P3)의 크기와 길이에 따라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간격조절부(520)는 와이어(521) 및 릴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521)는 체결바(510)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릴은 와이어(521)를 감거나 푸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서는 보관함이 따로 있어 그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즉, 간격조절부(520)는 체결바(510)가 다른 3D프린팅 출력부품 접합장치(1)의 타단에 결합된 후 3D프린팅 출력물(P3)의 길이가 길고 무게가 무거운 경우 하나의 3D프린팅 출력부품 접합장치(1)의 지지부(200)로는 지지하기 힘든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다른 3D프린팅 출력부품 접합장치(1)의 지지부(200)도 함께 3D프린팅 출력물(P3)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결합부(500)는 다수 개의 3D프린팅 출력물(P1,P2,P3)을 접합하기에도 용이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간격조절부(520)를 이용하지 않고, 고정부(220)재를 체결바(510) 내측에 구비하여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즉, 간격조절부(520)의 릴의 회전을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핀은 중심이 중공된 형상의 릴의 중심부분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릴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프린팅 출력부품 접합장치(1)는 3D프린팅을 사용한 열가소성 소재 및 특수 소재의 접합에 용이할 수 있다.
또한, 3D프린팅 출력물(P1,P2,P3)을 겨울철에도 들뜸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접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정밀하게 접합면을 용융하여 접합시킬 수 있다.
또한, 3D프린팅 출력물(P1,P2,P3)의 크기와 상관없이 접합시킬 수 있다.
또한, 다수 개의 3D프린팅 출력물(P1,P2,P3)을 한번에 접합시킬 수 있다.
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3D프린팅 출력부품 접합장치
P1, P2, P3 : 3D프린팅 출력물
10 : 거리센서
20 : 용융기구(열선)
100 : 몸체
200 : 지지부
210 : 지지레일
220 : 고정부
221 : 손잡이
222 : 지지롤러
300 : 용융기구조절부
310 : 타이밍 벨트
320 : 벨트풀리
400 : 이동부
410 : 이동틀
415 : 이동롤러
420 : 이동레일
430 : 위치측정센서
500 : 결합부
510 : 체결바
520 : 간격조절부
521 : 와이어

Claims (6)

  1. 양측이 개방된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 내측에 형성되며, 3D프린팅 출력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몸체 내벽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거리센서;
    상기 2개 이상의 3D프린팅 출력물의 접합면을 용융하도록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열선 또는 레이저다이오드로 구비되는 용융기구 및
    상기 용융기구가 상기 몸체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용융기구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센서로 측정된 거리에 따라 상기 지지부가 상기 3D프린팅 출력물의 접합면이 서로 맞닿도록 위치를 고정한 후에 상기 용융기구로 접합하되,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몸체의 내부 하단에 설치되는 지지레일 및
    상기 지지레일을 따라 상기 3D프린팅 출력물을 고정시켜 이동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ㄷ' 또는 'C'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면에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 양단의 간격 및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거리센서와 연동되는 조절부 및
    상기 손잡이 하단에 상기 지지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지지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용융기구조절부는,
    상기 몸체 내부에 마련되며, 마련된 위치에서 선회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용융기구의 일단 및 타단이 연결되어 용융기구를 상하로 조절하는 타이밍 벨트;
    상기 타이밍 벨트가 선회하도록 상기 몸체와 축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벨트풀리 및
    상기 축을 동작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상기 용융기구가 서로 맞닿아진 3D프린팅 출력물의 모서리상을 따라 접합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몸체의 개방 방향과 상기 조절부를 통한 손잡이의 간격 조절방향은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프린팅 출력부품 접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기구는
    좌우 또는 원형으로 진동하며 3D프린팅 출력물들 사이에서 접합면을 3D프린팅 출력물의 소재에 따라 온도가 200 내지 500℃범위에서 조정되어 용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프린팅 출력부품 접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기구가 상기 몸체 내부에서 좌우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용융기구조절부와 결합되며, 틀 형상의 상하단에 이동롤러를 포함하는 이동틀;
    상기 이동틀의 이동롤러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 내측 상하단에 형성되는 이동레일 및
    상기 3D프린팅 출력물의 접합면의 위치를 측정하여 위치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측정센서에 의해 상기 3D프린팅 출력물의 접합면의 위치가 감지되면, 그 위치로 상기 용융기구가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롤러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프린팅 출력부품 접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측 일단에 형성되어 다수개의 몸체를 순차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를 이용해 상기 3D프린팅 출력물의 크기 또는 개수에 따라 다수개의 몸체를 연결하여 접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프린팅 출력부품 접합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의 외측 타단을 삽입할 수 있도록 'ㄷ' 또는 'C'형상의 바로 형성되는 체결바 및
    상기 체결바와 상기 몸체 일단 사이에 구비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3D프린팅 출력부품 접합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체결바 일단과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릴을 포함하고,
    상기 3D프린팅 출력물의 크기에 따라 연결될 몸체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프린팅 출력부품 접합장치.
KR1020200101303A 2020-08-12 2020-08-12 3d프린팅 출력부품 접합장치 KR102166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303A KR102166161B1 (ko) 2020-08-12 2020-08-12 3d프린팅 출력부품 접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303A KR102166161B1 (ko) 2020-08-12 2020-08-12 3d프린팅 출력부품 접합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734A Division KR20190119235A (ko) 2018-04-05 2018-04-05 3d프린팅 출력부품 접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463A true KR20200098463A (ko) 2020-08-20
KR102166161B1 KR102166161B1 (ko) 2020-10-15

Family

ID=72242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303A KR102166161B1 (ko) 2020-08-12 2020-08-12 3d프린팅 출력부품 접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16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8273A (ko) * 2005-03-31 2007-11-08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접합체 및 접합방법
JP2010046941A (ja) * 2008-08-22 2010-03-04 Toray Ind Inc 一体化成形品の製造方法
JP2012509206A (ja) * 2008-11-21 2012-04-19 ニューフレイ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接合方法及び接合装置
KR20120051762A (ko) * 2009-09-16 2012-05-22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중공상 연속체의 제조 방법
KR101428630B1 (ko) * 2013-02-08 2014-08-13 고석우 플라스틱 부재의 열융착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52199A (ko) * 2014-11-04 2016-05-12 주식회사 휴로 가변노즐헤드가 구비되는 3d프린터 및 그 작동방법
KR101650540B1 (ko) * 2015-04-30 2016-08-23 주식회사 세전더블유엠에스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 시 접합 면 사이의 거리 측정 오차 보정 장치
KR20170046355A (ko) * 2015-10-21 2017-05-02 (주)케이랩스 3d 프린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8273A (ko) * 2005-03-31 2007-11-08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접합체 및 접합방법
JP2010046941A (ja) * 2008-08-22 2010-03-04 Toray Ind Inc 一体化成形品の製造方法
JP2012509206A (ja) * 2008-11-21 2012-04-19 ニューフレイ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接合方法及び接合装置
KR20120051762A (ko) * 2009-09-16 2012-05-22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중공상 연속체의 제조 방법
KR101428630B1 (ko) * 2013-02-08 2014-08-13 고석우 플라스틱 부재의 열융착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52199A (ko) * 2014-11-04 2016-05-12 주식회사 휴로 가변노즐헤드가 구비되는 3d프린터 및 그 작동방법
KR101650540B1 (ko) * 2015-04-30 2016-08-23 주식회사 세전더블유엠에스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 시 접합 면 사이의 거리 측정 오차 보정 장치
KR20170046355A (ko) * 2015-10-21 2017-05-02 (주)케이랩스 3d 프린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6161B1 (ko) 202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5511B1 (en) Transduce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10000351B2 (en) Splicer device
US20080308324A1 (en) Drive unit for an inspection vehicle and also inspection vehicle with such a drive unit
BR112015001677B1 (pt) máquina para fechar a extremidade final de um rolo de material de manta
KR102166161B1 (ko) 3d프린팅 출력부품 접합장치
EP0117090B1 (en) Serial printer
TWI605955B (zh) 記錄裝置
US7370958B2 (en) Multi purpose digital printer
US20140116849A1 (en) Strip material dispensing device
CN114179414A (zh) 胎面贴合装置及纠偏方法
WO2012173176A1 (ja) 媒体搬送装置
JP4442297B2 (ja) ベルト架設装置及び印刷装置
KR20190119235A (ko) 3d프린팅 출력부품 접합장치
KR101838291B1 (ko) 필름 합지 장치
JP2000111821A (ja) 走査光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327067B2 (en) Light scanning apparatus
KR102547863B1 (ko) 무인 배송 로봇
TWI760147B (zh) 線狀體供給裝置
US65676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lateral motion of a transfer belt of a laser printer
CN105547141B (zh) 位置检测装置及方法、电子设备、记录装置、和机器人
ES2912061T3 (es) Dispositivo de transporte
KR102025690B1 (ko) 스트립 권취 장치
US20210086526A1 (en) Printing on free surfaces
IT201900018107A1 (it) Manigliatrice per l’applicazione di maniglie ad imballaggi stesi
CN100569531C (zh) 多用途喷墨打印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