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291B1 - 필름 합지 장치 - Google Patents

필름 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291B1
KR101838291B1 KR1020170113996A KR20170113996A KR101838291B1 KR 101838291 B1 KR101838291 B1 KR 101838291B1 KR 1020170113996 A KR1020170113996 A KR 1020170113996A KR 20170113996 A KR20170113996 A KR 20170113996A KR 101838291 B1 KR101838291 B1 KR 101838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ilm
paper
adhered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기원
Original Assignee
한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기원 filed Critical 한기원
Priority to KR1020170113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2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32B37/0053Constructional details of laminating machines comprising roller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B32B38/1825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constructional features of devices for tensioning, stretching or registration
    • B32B38/1833Positioning, e.g. registration or centering

Landscapes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 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피착지를 권출시키는 피착지 롤러, 점착제를 도포시키는 도포부, 피착지의 진행방향을 반전시키는 제 1 유턴 롤러, 점착제를 가 건조시키는 제 1 드라잉존, 피착지의 정 위치 여부를 감지하는 제 1 센서, 피착지를 교정하는 제 1 교정부, 피착지의 진행 방향을 반전시키는 제 2 유턴 롤러, 필름을 권출시키는 필름 롤러, 피착지와 필름을 통과시켜 합지지로 합지시키는 합지부, 피착지에 필름이 제 2 정 위치대로 합지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 2 센서, 피착지와 필름을 교정하는 제 2 교정부, 접착제를 건조시키는 제 2 드라잉존 및 합지지를 전달받아 권취시키는 권취 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교정부 및 제 2 교정부로 인해 필름과 합지지를 보다 정밀하게 합지시킬 수 있고, 합지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보관되기 전에 필름 또는 피착지을 교정하여 정 위치시킬 수 있으며, 합지 과정이나 피착지 공급 중에 발생한 오차를 교정하여 합지시킴으로써 필름의 파손을 줄일 수 있고, 납품 또는 보관 중에 필름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름 합지 장치{FILM LAMINATING DEVICE}
본 발명은 합지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필름과 피착지를 합지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필름은 납품되기 위해 일면에 점착제가 도포되고 점착제가 경화되거나, 필름에 물리적인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피착지를 부착하여 납품되어 왔다. 이러한 합지지는 필름과 동일한 규격으로 제조되어 서로 포개어져 합지되지만, 합지 과정에서 미세한 오차 등이 발생함으로써 완성된 필름이 파손되거나, 보관 시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 또는 제조시 오차로 인해 필름에 주름이 발생하는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384365호(등록일자 2014.04.04.)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필름과 합지지를 정밀하게 합지시키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합지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보관되기 전에 필름이나 피착지를 교정하여 정 위치시킬 수 있는 합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권취된 피착지를 일 방향으로 권출시키는 피착지 롤러, 피착지의 점착면과 접하는 점착 롤러와 점착 롤러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도포부, 피착지의 점착면이 상측을 바라보도록 진행 방향을 타 방향으로 유(U)턴시키는 제 1 유턴 롤러, 진행 방향이 반전된 피착지를 전달받아 점착제를 가 건조시키는 제 1 드라잉존, 가 건조된 피착지의 제 1 정 위치 여부를 감지하는 제 1 센서, 제 1 센서의 감지 정보를 기초로 피착지를 교정하는 제 1 교정부, 교정된 피착지의 점착면이 하측을 바라보도록 진행 방향을 일 방향으로 다시 유턴시키는 제 2 유턴 롤러, 권취된 필름을 일 방향으로 권출시키는 필름 롤러, 피착지를 전달받는 제 1 합지 롤러와 제 1 합지 롤러와 근접 배치되고 필름을 전달받는 제 2 합지 롤러를 포함하고, 제 1 합지 롤러와 제 2 합지 롤러 사이로 피착지와 필름을 통과시켜 합지지로 합지시키는 합지부, 피착지에 필름이 제 2 정 위치대로 합지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 2 센서, 제 2 센서의 감지 정보를 기초로 피착지와 필름을 교정하는 제 2 교정부, 교정된 합지지를 건조시켜 접착제를 건조시키는 제 2 드라잉존 및 합지지를 전달받아 권취시키는 권취 롤러를 포함하고, 제 1 교정부는 원통형의 메인 롤러, 단면이 호 형상으로 구비되고 복수개로 구비되어 메인 롤러의 둘레면을 감싸는 형상을 갖는 외판부, 메인 롤러와 외판부 사이에 구비되어 외판부의 일 측면 방향을 메인 롤러로부터 멀어지거나 접하도록 이동시키는 제 1 직경 조절부, 메인 롤러와 외판부 사이에 구비되어 외판부의 타 측면 방향을 메인 롤러로부터 멀어지거나 접하도록 이동시키는 제 2 직경 조절부 및 복수의 외판부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관 형상으로 구비되는 탄성 재질의 커버부를 포함하고, 제 1 직경 조절부 및 제 2 직경 조절부는 제 1 교정부의 일 측면과 타 측면의 직경을 각각 조절해 일 측면과 타 측면이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제 1 교정부에 권취되는 피착지를 일측 방향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 1 정 위치시키며, 제 2 교정부는 무한 궤도 형상으로 구비되어 합지지의 상면 방향에 위치되고, 복수의 제 1 궤도 롤러 및 제 1 궤도 롤러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피착지와 접하는 제 1 벨트부를 포함하는 제 1 궤도부 무한 궤도 형상으로 구비되어 합지지의 저면 방향에 위치되고, 복수의 제 2 궤도 롤러 및 제 2 궤도 롤러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필름과 접하는 제 2 벨트부를 포함하는 제 2 궤도부 및 제 2 궤도부에 구비되어 복수의 제 1 궤도 롤러간의 거리를 이격 또는 근접 시키되, 복수의 제 1 궤도 롤러의 일 측 방향과 타 측 방향의 거리를 각각 별도로 조절할 수 있는 거리 조절부를 포함하고, 거리 조절부가 복수의 제 1 궤도 롤러 간의 일 측 또는 타측 방향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피착지를 필름에 제 2 정 위치시키는 필름 합지 장치.
본 발명에 따르면 필름과 합지지를 정밀하게 합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합지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보관되기 전에 필름 또는 피착지을 교정하여 정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합지 과정이나 피착지 공급 중에 발생한 오차를 교정하여 합지시킴으로써 필름의 파손을 줄일 수 있고, 납품 또는 보관 중에 필름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합지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합지 장치의 합지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합지 장치의 도포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합지 장치의 제 1 교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합지 장치의 합지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합지 장치의 제 2 교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합지 장치는 피착지(1)와 필름(2)을 합지시키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피착지(1)를 권출시키는 피착지 롤러(10), 피착지(1)에 점착제(G)를 도포시키는 도포부(100), 피착지(1)를 유턴시키는 제 1 유턴 롤러(200), 점착제(G)를 가 건조시키는 제 1 드라잉존(300), 피착지(1)의 정 위치 여부를 감지하는 제 1 센서(401), 피착지(1)를 교정하는 제 1 교정부(400), 피착지(1)를 다시 유턴시키는 제 2 유턴 롤러(500), 필름(2)을 권취시키는 필름 롤러(20), 피착지(1)와 필름(2)을 합지시키는 합지부(600), 합지지(3)의 정위치 여부를 감지하는 제 2 센서(701), 합지지(3)를 교정하는 제 2 교정부(700), 교정된 합지지(3)의 접착제를 건조시키는 제 2 드라잉존(800), 합지지(3)를 전달받아 권취시키는 권취 롤러(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합지지(3)와 필름(2)을 롤러를 통해 이동시킨 뒤 이를 합지시키는 구성으로서, 복수의 롤러로 구성되어 있고, 복수의 롤러를 통해 합지지(3)와 필름(2)이 각각 경로 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지극히 자명한 위치의 롤러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나 도면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1을 기준으로 하기 설명에서 표현되는 일 방향은 미리 지정된 수평 상의 방향 또는 그와 유사한 방향을 일컫고, 타 방향은 일 방향과 정 반대 또는 대칭되는 방향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제부터 대응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피착지 롤러(10)는 피착지(1)가 권취되어 보관되고 회전 운동에 따라 피착지(1)를 공정라인으로 권출하는 구성이다. 피착지 롤러(10)는 지속적인 회전 운동을 통해 피착지(1)를 공정 라인으로 연속 공급한다. 피착지 롤러(10)는 피착지(1)를 일 방향으로 권출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도포부(100)는 피착지(1)에 점착제(G)를 도포하는 구성이다. 도포부(100)는 피착지(1)의 점착면에 점첵제를 위치시키는 구성이다. 후술되는 공정을 통해 피착지(1)의 점착면은 필름(2)의 일면과 접함으로써 합지된다. 도포부(100)는 점착 롤러(110)와 분사 노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점착 롤러(110)는 롤러 형상으로 구비되어 회전 운동하고 외주면이 피착지(1)의 점착면과 접한다. 또한, 점착 롤러(110)의 회전 운동 속도는 외주면의 이동 속도가 연속 공급되는 피착지(1)의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 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 롤러(110)는 피착지(1)보다 하측 방향인 지면 방향에 위치되고, 피착지(1)는 점착 롤러(110)보다 상측 방향에 위치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 따라서, 피착지(1)의 점착면은 하측 방향을 바라보도록 위치된다. 분사 노즐(120)은 점착 롤러(110)의 외주면에 점착제(G)를 도포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분사 노즐(120)이 점착 롤러(110)의 외주면에 점착제(G)를 도포함으로써 점착 롤러(110)의 외주면에 점착제(G)가 도포되고, 점착 롤러(110)가 피착지(1)의 점착면과 접하여 회전 운동함으로써 피착지(1)의 점착면에 점착제(G)가 도포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포부(100)는 브러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쉬부는 점착면과 접하도록 고정되어 위치된다. 브러쉬부는 점착면에 접하게 위치되어 피착지(1)가 이동됨으로써 점착면에 위치된 점착제(G)에 소정의 패턴(무늬)을 형성하고, 과도하게 도포된 점착제(G)를 소정량 수거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점착면에 직접 점착제(G)를 도포하는 것 보다 점착 롤러(110)를 통해 점착제(G)를 점착면에 간접 도포하고, 브러쉬부를 구비하는 경우 점착제(G)가 점착면에 보다 균일하게 도포되고 과도한 양이 도포되어 점착제(G)가 흘러내리거나 합지 후 두께가 불균형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유턴 롤러(200)는 피착지(1)를 유턴 시키는 구성이다. 제 1 유턴 롤러(200)는 피착지(1)를 상측 방향으로 유턴시켜 일 방향으로 진행되는 피착지(1)를 타 방향으로 반전시킨다. 피착지(1)가 유턴되어 타 방향으로 반전되는 경우 하측 방향을 바라보는 점착면은 상측 방향을 바라보도록 위치된다. 제 1 유턴 롤러(200)는 하나 이상의 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유턴 롤러(200)는 복수의 롤러로 구성될 수 있고, 유턴되는 과정 중에 도포부(100)가 위치될 수 있다.
제 1 드라잉존(300)은 피착지(1)에 도포된 점착제(G)를 가 건조시킨다. 제 1 드라잉존(300)은 복수의 롤러가 구비되고 타 방향으로 피착지(1)를 이동시키고, 피착지(1)가 이동 중에 건조될 수 있도록 피착지(1)가 이동되는 경로를 감싸는 건조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제 제 1 유턴 롤러(200)에 의해 상측에 점착면이 위치된 피착지(1)는 타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 1 드라잉존(300)을 통과하고, 제 1 드라잉존(300)을 통과 시 건조 모듈에 의해 점착제(G)가 가 건조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제 1 센서(401)는 피착지(1)의 제 1 정 위치 여부를 감지한다. 제 1 센서(401)는 미리 지정된 경로로 피착지(1)가 제 1 정 위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제 1 센서(401)는 촬상 소좌가 구비되는 카메라일 수 있다. 제 1 센서(401)는 피착지(1)가 제 1 정 위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후행되는 제 1 교정부(400)로 해당 정보를 전송한다.
제 1 교정부(400)는 피착지(1)가 제 1 정 위치되도록 교정하는 구성이다. 제 1 교정부(400)는 제 1 센서(401)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기초로 피착지(1)가 제 1 정 위치되도록 피착지(1)를 교정하는 구성이다.
일례로, 제 1 교정부(400)는 메인 롤러(410), 외판부(420), 제 1 직경 조절부(430), 제 2 직경 조절부(440) 및 커버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롤러(410)는 원통 형상의 롤러로 구비된다. 외판부(420)는 단면이 호 형상으로 구비되고 복수개로 구비되어 메인 롤러(410)의 둘레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외판부(420)는 단면이 호 형상으로 구비되고 메인 롤러(41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하거나 큰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외판부(420)는 단면이 호 형상을 갖는 기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외판부(420)는 메인 롤러(410)의 둘레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복수의 외판부(420)가 메인 롤러(410)에 배치 시, 복수의 외판부(420)는 단면이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직경 조절부(430) 및 제 2 직경 조절부(440)는 메인 롤러(410)와 외판부(4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제 1 직경 조절부(430) 및 제 2 직경 조절부(440)는 메인 롤러(410)에 설치되어 외판부(4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 1 직경 조절부(430) 및 제 2 직경 조절부(440)는 외판부(420)가 메인 롤러(410)에서 멀어지도록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제 1 직경 조절부(430) 및 제 2 직경 조절부(440)는 메인 롤러(410)와 멀어진 외판부(420)를 서로 가깝게 위치되도록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제 1 직경 조절부(430)는 메인 롤러(410)와 외판부(420)의 사이에 구비되되 외판부(420)의 일측 방향에 위치되고, 제 2 직경 조절부(440)는 타측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 1 직경 조절부(430)는 메인 롤러(410)와 외판부(420)의 일측 방향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제 2 직경 조절부(440)는 메인 롤러(410)와 외판부(420)의 타측 방향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도 6을 참고하면, 제 1 직경 조절부(430)가 작동되는 경우 외판부(420)의 일측 방향이 메인 롤러(410)와 거리가 이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 1 교정부(400)는 제 1 직경 조절부(430)가 위치되는 일측 방향의 직경이 형태의 큰 원뿔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부(450)는 외판부(42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커버부(450)는 관 형상으로 구비되어 복수의 외판부(420)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커버부(450)는 외판부(420)가 제 1 직경 조절부(430) 또는 제 2 직경 조절부(440)에 의해 직경이 커진 경우, 복수의 각 외판부(420) 사이의 틈을 제거함으로써 피착지(1)가 권취되어 이동될 때 피착지(1)에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줄여주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제 1 교정부(400)를 구성하는 경우, 제 1 직경 조절부(430) 또는 제 2 직경 조절부(440)가 외판부(420)와 메인 롤러(410)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권취되는 피착지(1)의 진행 방향을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피착지(1)를 제 1 정 위치시킬 수 있다. 일례를 들어 설명하자면, 제 1 센서(401)에 의해 피착지(1)가 제 1 정 위치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오차가 발생한 경우, 외판부(420)의 타측 방향을 제어하는 제 2 직경 조절부(440)가 작동되고, 제 2 직경 조절부(440)가 메인 롤러(410)와 외판부(420)의 타측 방향을 서로 멀어지게 조절함으로써 제 1 교정부(400)의 타측 방향의 직경이 커지고, 일측 방향은 타측 방향보다 비교적 작은 직경을 갖게 된다. 따라서, 제 1 교정부(400)에 권취되어 이동되는 피착지(1)는 제 1 교정부(400)의 일측과 타측에서 동일한 속도로 회전 운동되고, 외판부(420)의 일측과 타측의 직경이 다르기 때문에 피착지(1)는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방법을 통해 피착지(1)를 제 1 정 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상기와 같은 효과를 위해 제 1 교정부(400)에 피착지(1)가 소정 영역 권취되어 이동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피착지(1)는 제 1 교정부(400)의 90도 이상의 영역 면적에 권취되어 이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제 2 유턴 롤러(500)는 피착지(1)를 유턴 시키는 구성이다. 제 2 유턴 롤러(500)는 피착지(1)를 하측 방향으로 유턴시켜 타 방향으로 진행되는 피착지(1)를 일 방향으로 반전시킨다. 피착지(1)가 유턴되어 일 방향으로 다시 반전되는 경우 상측 방향을 바라보는 점착면은 하측 방향을 바라보도록 위치된다. 제 2 유턴 롤러(500)는 하나 이상의 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유턴 롤러(500)는 복수의 롤러로 구성될 수 있고, 유턴되는 과정 중에 제 1 교정부(400) 또는 후술하는 합지부(600)가 위치되거나, 제 2 유턴 롤러(500) 중 일부의 롤러가 제 1 교정부(400) 또는 합지부(600)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필름 롤러(20)는 필름(2)이 권취되어 보관되고 회전 운동에 따라 필름(2)을 공정라인으로 권출하는 구성이다. 필름 롤러(20)는 지속적인 회전 운동을 통해 필름(2)을 공정 라인으로 연속 공급한다. 필름 롤러(20)는 필름(2)을 일 방향으로 권출시킬 수 있다. 필름(2)은 일 방향으로 공급되되 피착지(1)의 점착면과 접하는 면이 상측에 위치되도록 공급할 수 있고, 공급된 필름(2)은 후술하는 합지부(600)로 이동되어 합지부(600)에 의해 피착지(1)와 합지된다.
도 7을 참고하면, 합지부(600)는 피착지(1)와 필름(2)을 전달받아 합지지(3)로 합지시키는 구성이다. 합지부(600)는 제 1 합지 롤러(610)와 제 2 합지 롤러(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합지부(600)는 피착지(1)를 전달받는 제 1 합지 롤러(610)와 필름(2)을 전달받는 제 2 합지 롤러(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합지 롤러(610)와 제 2 합지 롤러(620)는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고, 제 1 합지 롤러(610)와 제 2 합지 롤러(620)의 사이로 피착지(1)와 필름(2)이 각각 이동되어 합지된다.
추가적인 일례로, 제 1 합지 롤러(610)는 제 2 합지 롤러(620)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1 합지 롤러(610)는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하는 동력 롤러(611)와 일단이 동력 롤러(611)의 일단과 밸트(613) 연결되어 회전 운동하고, 제 2 합지 롤러(620)와 접하도록 위치되는 근접 롤러(6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근접 롤러(612)는 동력 롤러(61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 1 합지 롤러(610)와 근접 롤러(612)는 서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조절될 수 있다. 즉, 제 1 합지 롤러(610)와 제 2 합지 롤러(620)는 피착지(1)와 필름(2)의 두께에 따라 서로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제 1 합지 롤러(610) 또는 제 2 합지 롤러(620)를 이동시켜야 하는데, 제 1 합지 롤러(610) 및 제 2 합지 롤러(620)가 동력원에 기어 또는 체인 등을 통해 연결되거나 밸트(613)으로 연결되는 경우 미세한 움직임에 따라 나사산이 어긋나거나, 밸트(613) 등이 느슨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합지 롤러(610)는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 롤러(611)와 동력 롤러(611)와 밸트(613) 연결되어 회전하고, 동력 롤러(61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근접 롤러(612)를 통해 제 2 합지 롤러(620)와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제 2 센서(701)는 피착지(1)에 필름(2)이 제 2 정 위치대로 합지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제 2 센서(701)는 미리 지정된 경로로 피착지(1) 또는 필름(2)이 제 2 정 위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거나, 합지된 피착지(1)와 필름(2)이 서로 제 2 정위치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 2 센서(701)는 촬상 소자가 구비되는 카메라일 수 있다. 제 2 센서(701)는 피착지(1)와 필름(2)이 서로 제 2 정 위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후행되는 제 2 교정부(700)로 해당 정보를 전송한다.
제 2 교정부(700)는 피착지(1)와 필름(2)이 제 2 정 위치되도록 교정하는 구성이다. 제 2 교정부(700)는 제 2 센서(701)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기초로 피착지(1)와 필름(2)이 제 2 정 위치되도록 피착지(1) 또는 필름(2)을 교정하는 구성이다.
추가적인 일례로, 제 2 교정부(700)는 무한 궤도 형상으로 구비되어 합지지(3)의 상면 방향에 위치되어 피착지(1)와 접하는 제 1 궤도부(710), 무한 궤도 형상으로 구비되어 합지지(3)의 저면 방향에 위치되어 필름(2)과 접하는 제 2 궤도부(720), 복수의 제 1 궤도부(710)에 구비되어 제 1 궤도 롤러(711)간의 거리를 이격 또는 근접시키는 거리 조절부(7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1 궤도부(710)는 복수의 제 1 궤도 롤러(711)와 제 1 궤도 롤러(711)의 외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피착지(1)와 접하는 제 1 벨트부(712)를 포함하고, 제 2 궤도부(720)는 복수의 제 2 궤도 롤러(721)와 제 2 궤도 롤러(721)의 외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필름(2)과 접하는 제 2 벨트부(722)를 포함한다. 제 1 궤도부(710)와 제 2 궤도부(720)는 무한 궤도 형상으로 설명하였으나, 컨베이어 벨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복수의 제 1 궤도 롤러(711) 또는 제 2 궤도 롤러(721)는 동일한 직경의 롤러로 구비되고, 서로 수평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무한 궤도 또는 컨베이어 벨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거리 조절부(713)는 제 1 궤도부(710)에 구비되어 복수의 제 1 궤도 롤러(711)간의 거리를 이격 또는 근접 시키되, 복수의 제 1 궤도 롤러(711)의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의 거리를 각각 별도로 조절할 수 있다. 즉, 거리 조절부(713)는 복수의 제 1 궤도 롤러(711) 간의 일측 또는 타측의 거리를 이격 또는 근접시킴으로써 제 1 벨트부(712)의 일측과 타측의 이동 속도를 달리할 수 있다. 상세하게, 거리 조절부(713)가 복수의 제 1 궤도 롤러(711) 간의 일측 또는 타측 방향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피착지(1)를 필름(2)에 제 2 정 위치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필름(2)은 제 2 궤도부(720)에 의해 고정 이동되고, 피착지(1)는 제 1 궤도부(710)에 의해 진행 방향이 수정되어 제 2 정 위치된다. 즉, 필름(2)은 제 2 궤도부(720)에 의해 고정되되, 제 1 궤도부(710)의 거리 조절부(713)가 제 1 궤도 롤러(711) 간의 일측 또는 타측 방향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피착지(1)의 일측 또는 타측 방향의 진행 속도를 다르게 하고, 이로 인해 피착지(1)가 필름(2)의 상면에 제 2 정 위치시킬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여 일례를 들어 설명하자면, 피착지(1)가 필름(2)의 타측 방향으로 쏠려 잘못 부착된 경우, 거리 조절부(713)는 제 1 궤도 롤러(711) 간의 타측 방향의 간격을 멀어지도록 제어하면, 제 1 벨트부(712)와 함께 이동되는 피착지(1)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필름(2)은 제 2 궤도부(720)의 제 2 벨트부(722)와 함께 일측 및 타측의 이동속도가 동일하도록 고정 이동되는 반면, 피착지(1)는 제 1 벨트부(712)에 의해 타측 방향의 이동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를 통해 피착지(1)를 필름(2)에 제 2 정 위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거리 조절부(713)는 제 1 궤도부(710)에 구비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제 2 궤도부(720)에도 또 다른 거리 조절부(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필름(2)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2 드라잉존(800)은 제 2 교정부(700)에 의해 교정된 합지지(3)의 접착제를 완전히 건조시키는 구성이다. 제 2 드라잉존(800)은 제 1 드라잉존(30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2 드라잉존(800)을 통해 교정된 피착지(1)와 필름(2)이 완전 부착되어 부착면에 오차가 발생하거나 서로 이격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권취 롤러(30)는 제 2 드라잉존(800)을 통해 완전 건조된 합지지(3)를 전달받아 권취 및 보관하는 구성이다.
포집부는 점착면이 외부로 노출된 피착지(1)에 먼지 등 이물질이 달라붙지 않도록 방지하는 구성이다. 포집부는 피착지(1)가 이동하는 경로 중, 도포부(100)에서 합지부(600)까지의 경로에 구비될 수 있다. 포집부는 메시(Mesh) 형상 또는 그물망 형상등으로 구비될 수 있고, 피착지(1)의 이동 경로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외부 전력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게 함으로써 먼지를 포집하여 접착면을 보호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피착지 10: 피착지 롤러
2: 필름 20: 필름 롤러
3: 합지지 30: 권취 롤러
100: 도포부 110: 점착 롤러
120: 분사 노즐
200: 제 1 유턴 롤러 300: 제 1 드라잉존
400: 제 1 교정부 401: 제 1 센서
410: 메인 롤러 420: 외판부
430: 제 1 직경 조절부 440: 제 2 직경 조절부
450: 커버부
500: 제 2 유턴 롤러
600: 합지부 610: 제 1 합지 롤러
611: 동력 롤러 612: 근접 롤러
613: 밸트 620: 제 2 합지 롤러
700: 제 2 교정부 710: 제 1 궤도부
711: 제 1 궤도 롤러 712: 제 1 벨트부
713: 거리 조절부 720: 제 2 궤도부
721: 제 2 궤도 롤러 722: 제 2 벨트부
701: 제 2 센서
800: 제 2 드라잉존 G: 점착제

Claims (3)

  1. 권취된 피착지(1)를 일 방향으로 권출시키는 피착지 롤러(10);
    상기 피착지(1)의 점착면과 접하는 점착 롤러(110)와 상기 점착 롤러(110)에 점착제(G)를 도포하는 분사 노즐(120)을 포함하는 도포부(100);
    상기 피착지(1)의 점착면이 상측을 바라보도록 진행 방향을 타 방향으로 유(U)턴시키는 제 1 유턴 롤러(200);
    진행 방향이 반전된 상기 피착지(1)를 전달받아 점착제(G)를 가 건조시키는 제 1 드라잉존(300);
    가 건조된 상기 피착지(1)의 제 1 정 위치 여부를 감지하는 제 1 센서(401);
    상기 제 1 센서(401)의 감지 정보를 기초로 상기 피착지(1)를 교정하는 제 1 교정부(400);
    교정된 상기 피착지(1)의 점착면이 하측을 바라보도록 진행 방향을 상기 일 방향으로 다시 유턴시키는 제 2 유턴 롤러(500);
    권취된 필름(2)을 상기 일 방향으로 권출시키는 필름 롤러(20);
    상기 피착지(1)를 전달받는 제 1 합지 롤러(610)와 상기 제 1 합지 롤러(610)와 근접 배치되고 상기 필름(2)을 전달받는 제 2 합지 롤러(62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합지 롤러(610)와 상기 제 2 합지 롤러(620) 사이로 상기 피착지(1)와 상기 필름(2)을 통과시켜 합지지(3)로 합지시키는 합지부(600);
    상기 피착지(1)에 상기 필름(2)이 제 2 정 위치대로 합지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 2 센서(701);
    상기 제 2 센서(701)의 감지 정보를 기초로 상기 피착지(1)와 상기 필름(2)을 교정하는 제 2 교정부(700);
    교정된 상기 합지지(3)를 건조시켜 상기 접착제를 건조시키는 제 2 드라잉존(800); 및
    상기 합지지(3)를 전달받아 권취시키는 권취 롤러(3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교정부(400)는,
    원통형의 메인 롤러(410), 단면이 호 형상으로 구비되고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메인 롤러(410)의 둘레면을 감싸는 형상을 갖는 외판부(420), 상기 메인 롤러(410)와 상기 외판부(4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외판부(420)의 일 측면 방향을 상기 메인 롤러(410)로부터 멀어지거나 접하도록 이동시키는 제 1 직경 조절부(430), 상기 메인 롤러(410)와 상기 외판부(4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외판부(420)의 타 측면 방향을 상기 메인 롤러(410)로부터 멀어지거나 접하도록 이동시키는 제 2 직경 조절부(440) 및 복수의 상기 외판부(42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관 형상으로 구비되는 탄성 재질의 커버부(45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직경 조절부(430) 및 상기 제 2 직경 조절부(440)는 상기 제 1 교정부(400)의 일 측면과 타 측면의 직경을 각각 조절해 일 측면과 타 측면이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1 교정부(400)에 권취되는 상기 피착지(1)를 일측 방향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 1 정 위치시키며,
    상기 제 2 교정부(700)는,
    무한 궤도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합지지(3)의 상면 방향에 위치되고, 복수의 제 1 궤도 롤러(711) 및 상기 제 1 궤도 롤러(711)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피착지(1)와 접하는 제 1 벨트부(712)를 포함하는 제 1 궤도부(710);
    무한 궤도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합지지(3)의 저면 방향에 위치되고, 복수의 제 2 궤도 롤러(721) 및 상기 제 2 궤도 롤러(721)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필름(2)과 접하는 제 2 벨트부(722)를 포함하는 제 2 궤도부(720); 및
    상기 제 1 궤도부(710)에 구비되어 복수의 상기 제 1 궤도 롤러(711)간의 거리를 이격 또는 근접 시키되, 복수의 상기 제 1 궤도 롤러(711)의 일 측 방향과 타 측 방향의 거리를 각각 별도로 조절할 수 있는 거리 조절부(713);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 조절부(713)가 복수의 상기 제 1 궤도 롤러(711) 간의 일 측 또는 타측 방향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피착지(1)를 상기 필름(2)에 제 2 정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착지(1)가 이동하는 경로 중, 상기 도포부(100)에서 상기 합지부(600)까지의 경로에 포집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포집부는 메시(Mesh) 형상을 갖고, 상기 피착지(1)의 이동 경로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외부 전력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게 함으로써 먼지를 포집하여 접착면을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합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합지 롤러(610)는,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하는 동력 롤러(611); 및
    일단이 상기 동력 롤러(611)의 일단과 밸트(613) 연결되어 회전 운동하고, 상기 제 2 합지 롤러(620)와 접하는 근접 롤러(612);를 포함하고,
    상기 근접 롤러(612)는 상기 동력 롤러(61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 2 합지 롤러(620)와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합지 장치.

KR1020170113996A 2017-09-06 2017-09-06 필름 합지 장치 KR101838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996A KR101838291B1 (ko) 2017-09-06 2017-09-06 필름 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996A KR101838291B1 (ko) 2017-09-06 2017-09-06 필름 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8291B1 true KR101838291B1 (ko) 2018-03-13

Family

ID=61660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996A KR101838291B1 (ko) 2017-09-06 2017-09-06 필름 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2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407B1 (ko) 2018-07-18 2019-01-22 배문수 합지 필름 제조 장치
CN109648948A (zh) * 2018-12-04 2019-04-19 安徽墙煌彩铝科技有限公司 一种可边角覆膜的金属板覆膜机
CN116872598A (zh) * 2023-06-30 2023-10-13 成都瑞波科材料科技有限公司 膜生产设备以及生产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235Y1 (ko) 2000-05-19 2000-11-01 성우전자주식회사 라미네이터의 커버필름 권취용 롤러장치
KR101541116B1 (ko) 2014-02-19 2015-08-03 주식회사 씨에이디 적층차폐시트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235Y1 (ko) 2000-05-19 2000-11-01 성우전자주식회사 라미네이터의 커버필름 권취용 롤러장치
KR101541116B1 (ko) 2014-02-19 2015-08-03 주식회사 씨에이디 적층차폐시트 제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407B1 (ko) 2018-07-18 2019-01-22 배문수 합지 필름 제조 장치
CN109648948A (zh) * 2018-12-04 2019-04-19 安徽墙煌彩铝科技有限公司 一种可边角覆膜的金属板覆膜机
CN116872598A (zh) * 2023-06-30 2023-10-13 成都瑞波科材料科技有限公司 膜生产设备以及生产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8291B1 (ko) 필름 합지 장치
JP6125268B2 (ja) 段ボールシートの糊付装置及び糊付方法並びに段ボールシート製造装置
JP4769165B2 (ja) 感光性積層体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04333647A (ja) 光学フィルム貼付装置、方法及び基板
CN106558724B (zh) 垂片焊接装置和卷绕装置
EP1967451B1 (en) Packaging-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packaging-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CN1202868A (zh) 测量网材卷直径的方法和装置
CN105377727A (zh) 玻璃卷制造方法和玻璃卷
KR101577268B1 (ko) 필름 부착장치 및 필름 부착방법
JP6301179B2 (ja) 貼り合わせ媒体製造装置
WO2021243948A1 (zh) 薄膜处理系统和方法
CN106536355A (zh) 贴合装置、光学显示器件的生产系统、贴合方法以及光学显示器件的生产方法
JP6613383B2 (ja) タイヤ・コンポーネントをドラムに貼り付けるための方法およびアッセンブリ
KR100875676B1 (ko) 마대의 방수비닐 코팅장치
US20140131504A1 (en) Automatic splicing system and method
JPH05124758A (ja) ウエブの蛇行修正装置
JP4898388B2 (ja) 感光性積層体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US9592684B2 (en)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KR102267473B1 (ko) 실시간 장력제어를 이용한 미세패턴 롤 제작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미세패턴 롤 제작방법
JP3963735B2 (ja) 帯状ゴム部材の貼合わせ方法及びその装置
JP3769506B2 (ja) フィルム貼付装置
JP7289759B2 (ja) ラベル貼付装置
CN215041124U (zh) 贴附装置
JP5654838B2 (ja) 転写ロール清掃装置および転写装置
JP7214942B2 (ja) タイヤ構成部材の製造装置及びタイヤ構成部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