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7295A - 분지형 링커를 갖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접합체 - Google Patents

분지형 링커를 갖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7295A
KR20200097295A KR1020207019406A KR20207019406A KR20200097295A KR 20200097295 A KR20200097295 A KR 20200097295A KR 1020207019406 A KR1020207019406 A KR 1020207019406A KR 20207019406 A KR20207019406 A KR 20207019406A KR 20200097295 A KR20200097295 A KR 20200097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jugate
receptor
acid
independently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9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3344B1 (ko
Inventor
로버츠 용신 자오
큉리앙 양
유안유안 후앙
린야오 자오
슌 가이
?? 가이
항보 예
준 레이
이팡 수
밍준 카오
후이후이 구오
준시앙 지아
치안치안 통
웬준 리
샤오마이 주오
홍쉥 시에
루 바이
시앙 카이
샤오타오 주오
시우쥉 장
시우?? 장
준 쥉
준 ??
Original Assignee
항저우 디에이씨 바이오테크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항저우 디에이씨 바이오테크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항저우 디에이씨 바이오테크 씨오, 엘티디
Priority to KR1020237017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565B1/ko
Publication of KR20200097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7Tetra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01Drug-antibody or immunoglobulin conjugates defined by the pharmacologically or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803Drugs conjugated to an antibody or immunoglobulin, e.g. cisplatin-antibody conjugates
    • A61K47/6811Drugs conjugated to an antibody or immunoglobulin, e.g. cisplatin-antibody conjugates the drug being a protein or peptide, e.g. transferrin or bleomycin
    • A61K47/6817Toxins
    • A61K47/6829Bacterial toxins, e.g. diphteria toxins or Pseudomonas exotoxin 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89Conjugates wherein the antibody being the modifying agent and wherein the linker, binder or spacer confers particular properties to the conjugates, e.g. peptidic enzyme-labile linkers or acid-labile linkers, providing for an acid-labile immuno conjugate wherein the drug may be released from its antibody conjugated part in an acidic, e.g. tumoural or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3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 A61K47/68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the antibody targeting a determinant of a tumour ce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3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 A61K47/68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the antibody targeting a determinant of a tumour cell
    • A61K47/685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the antibody targeting a determinant of a tumour cell the tumour determinant being from breast cancer ce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10Tetrapeptides
    • C07K5/1024Tetra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heterocyclic

Abstract

본 발명은 비정상 세포의 표적화 치료 및 접합체 분자의 양호한 전달을 위한 분지형/측쇄 링커를 사용한 세포-결합 분자에 대한 튜불리신 유사체 화합물의 접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세포-결합 리간드에 대한 튜불리신 유사체 분자의 접합의 분지형-링키지 방법뿐만 아니라, 암, 감염 및 자가면역 질환의 표적화된 치료에서 상기 접합체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502
.

Description

분지형 링커를 갖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접합체
본 발명은 접합체 화합물의 전달에서 보다 양호한 약동학을 가져서, 비정상 세포의 보다 정밀한 표적화된 치료를 야기하기 위해서 분지형(측쇄) 링커(branched(side-chain) linker)를 사용하여 세포-결합 분자에 튜불리신(tubulysin) 유사체 화합물을 접합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세포-결합 리간드에 대한 튜불리신 유사체 분자의 접합의 분지형-링키지 방법(branched-linkage method)뿐만 아니라 암, 감염 및 자가면역 질환의 표적화된 치료에서 접합체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항체-약물 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는 재발/난치성 호지킨 림프종을 위한 브렌툭시맙(brentuximab) 베도틴(vedotin)(Adcetris)(Okeley, N., et al, Hematol Oncol. Clin. North. Am, 2014, 28, 13-25; Gopal, A., et al, Blood 2015, 125, 1236-43) 및 재발 HER2+ 유방암을 위한 아도트라스투주맙 엠탄신(adotrastuzumab emtansine)(Peddi, P. and Hurvitz, S., Ther. Adv. Med. Oncol. 2014, 6(5), 202-9; Lambert, J. and Chari, R., J. Med. Chem. 2014, 57, 6949-64)의 임상적 성공에 의해서 증명된 바와 같이 암을 위한 유망한 표적화 요법 중 하나가 되었다. ADC의 3개의 중요한 성분인 단클론성 항체, 세포독성 페이로드(payload), 및 조건부 링크와 링커-페이로드 성분을 연결하는 부위는 ADC의 성공을 위한 중요한 인자 전부이다(L. Ducry and B Stump, Bioconjugate Chem. , 2010, 21, 5-13; G.S. Hamilton, Biologicals 2015, 43, 318-32). 30년 동안 ADC의 성분의 각각의 인자에 대해서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링커 기술은 범위가 제한적이었는데, 그 이유는 접합되는 약물이 특정 반응성 작용기를 함유해야 하고, 순환 안정성을 보장해야 하고, 항원 결합 및 세포내 흡수 시에 약물 방출이 용이해야 하고, 중요하게는 링커-페이로드 성분이 순환 동안 오프-타깃화(off-targeting)될 때 정상 조직에 유해하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Ponte, J. et al., Bioconj. Chem., 2016, 27(7), 1588-98; Dovgan, I., et al. Sci. Rep. 2016, 6, 30835; Ross, P. L. and Wolfe, J. L. J. Pharm. Sci. 105(2), 391-7; Chen, T. et al. J. Pharm. Biomed. Anal., 2016, 117, 304-10).
초기 ADC에서, 액상 종양의 ADC 표적화를 위해서 특별하게 사용되는 링커는 매우 불안정하였고, 순환 및 후속 오프-타깃 독성에서 유리 약물의 방출로 이어졌다(Bander, N. H. et al, Clin. Adv. Hematol. Oncol., 2012, 10, 1-16). 현재 ADC에서, 링커는 보다 안정적이고, 세포독성제는 상당히 더 효력이 있다(Behrens, C. R. and Liu, B., mAbs, 2014. 6, 46-53). 그러나, 지금까지 오프-타깃 독성은 현재 ADC 약물의 발달에서 주요 도전이다(Roberts, S. A. et al, Regul. Toxicol. Pharmacol. 2013, 67, 382-91). 예를 들어, 임상 시험에서, 안정적인(비-절단성) MCC 링커를 사용한 아도트라스투주맙 엠탄신(T-DM1, Kadcyla®)은 HER2-양성 전이성 유방암(mBC) 또는 mBC에 대해서 이미 치료되었거나 또는 보조 요법 6개월 이내에 HER2 종양 재발이 일어난 환자에게 큰 이점을 나타내었다(Peddi, P. and Hurvitz, S., Ther. Adv. Med. Oncol. 2014, 6(5), 202-209; Piwko C, et al, Clin Drug Investig. 2015, 35(8), 487-93; Lambert, J. and Chari, R., J. Med. Chem. 2014, 57, 6949-64). 그러나, T-DM1은, 효능에 대해서 부수적인 독성을 비교할 때 환자에 대한 적은 이점으로 인해서, HER2 양성 절제 불가능한 국지적 진행 또는 전이성 유방암을 갖는 환자를 위한 1차 치료로서 그리고 HER2-양성 진행 위암의 2차 치료로서의 임상 시험에서 실패하였다(Ellis, P. A., et al, J. Clin. Oncol. 2015, 33, (suppl; abstr 507 of 2015 ASCO Annual Meeting); Shen, K. et al, Sci Rep. 2016; 6: 23262; de Goeij, B. E. and Lambert, J. M. Curr Opin Immunol 2016, 40, 14-23; Barrios, C. H. et al, J Clin Oncol 2016, 34, (suppl; abstr 593 of 2016 ASCO Annual Meeting).
오프-타깃 독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특히 표적/표적 질환에 대한 ADC의 링커-페이로드의 활성도를 해결하기 위해서, ADC 화학 및 설계의 연구 및 개발은 현재 효력있는 페이로드 단독을 넘어서서 링커-페이로드 컴파트먼트 및 접합체 화학의 범주로 확장되고 있다(Lambert, J. M. Ther Deliv 2016, 7, 279-82; Zhao, R. Y. et al, 2011, J. Med. Chem. 54, 3606-23). 현재 다수의 약물 개발 회사 및 연구소는 부위-특이적 ADC 접합을 위한 신규한 실현 가능한 특이적 접합 링커 및 방법을 확립하는 데 상당히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그것은 ADC의 더 긴 순환 반감기, 더 높은 효능, 잠재적으로 감소된 오프-타깃 독성, 및 좁은 범위의 생체내 약동학(PK) 특성뿐만 아니라 ADC 생산에서의 더 양호한 배취-대-배취 일관성을 가질 것이다(Hamblett, K. J. et al, Clin. Cancer Res. 2004, 10, 7063-70; Adem, Y. T. et al, Bioconjugate Chem. 2014, 25, 656-664; Boylan, N. J. Bioconjugate Chem. 2013, 24, 1008-1016; Strop, P., et al 2013 Chem. Biol. 20, 161-67; Wakankar, A. mAbs, 2011, 3, 161-172). 이러한 특이적 접합 방법은 지금까지 조작된 시스테인(Junutula, J. R. et al. Nat. Biotechnol. 2008, 26, 925-32; Junutula, J. R., et al 2010 Clin. Cancer Res. 16, 4769; 미국 특허 제8,309,300호; 제7,855,275호; 제7,521,541호; 제7,723,485호, WO2008/141044), 셀레노시스테인(Hofer, T., et al. Biochemistry 2009, 48, 12047-57; Li, X., et al. Methods 2014, 65, 133-8; 미국 특허 제8,916,159호(US National Cancer Institute)), 퍼플루오로방향족 시약을 갖는 태그를 함유하는 시스테인(Zhang, C. et al. Nat. Chem. 2015, 8, 1-9), 티올푸코스(Okeley, N. M., et al 2013 Bioconjugate Chem. 24, 1650), 비자연 아미노산(Axup, J. Y., et al, Proc. Nat. Acad. Sci. USA. 2012, 109, 16101-6; Zimmerman, E.S., et al., 2014, Bioconjug. Chem. 25, 351-361; Wu, P., et al, 2009 Proc. Natl. Acad. Sci. 106, 3000-5; Rabuka, D., et al, Nat. Protoc. 2012, 7, 1052-67; 미국 특허 제8,778,631호 및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00184135호, WO2010/081110(수트로 바이오파마사(Sutro Biopharma)); WO2006/069246, 2007/059312, 미국 특허 제7,332,571호, 제7,696,312호 및 제7,638,299호(암브릭스사(Ambrx)); WO2007/130453, 미국 특허 제7,632,492호 및 제7,829,659호(알로자인사(Allozyne)), 다이브로모말레이미드의 재브리징(re-bridging)에 의한 환원된 분자간 다이설파이드에 대한 접합(Jones, M. W. et al. J. Am. Chem. Soc. 2012, 134, 1847-52), 비스-설폰 시약(Badescu, G. et al. Bioconjug. Chem. 2014, 25, 1124-36; WO2013/190272, WO2014/064424(폴리테릭스사(PolyTherics Ltd)), 다이브로모피리다진다이온(Maruani, A. et al. Nat. Commun. 2015, 6, 6645), 갈락토실- 및 시알릴트랜스퍼라제(Zhou, Q. et al. Bioconjug. Chem. 2014, 25, 510-520;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40294867호(사노피-젠자임사(Sanofi-Genzyme), 폼일글리신 생성 효소(FGE)(Drake, P. M. et al. Bioconj. Chem. 2014, 25, 1331-41; Carrico, I. S. 등의 미국 특허 제7,985,783호; 제8,097,701호; 제8,349,910호, 및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40141025호, 제20100210543호(레드우드 바이오사이언스(Redwood Bioscience), 포스포판테테이닐 트랜스퍼라제(PPTases)(Grunewald, J. et al. Bioconjug. Chem. 2015, 26, 2554-62), 소타제(sortase) A(Beerli, R. R., et al. PLoS One 2015, 10, e0131177), 스트렙토버티실리움 모바라엔스(Streptoverticillium mobaraense) 트랜스글루타미나제(mTG)를 갖는 유전적으로 도입된 글루타민 태그(Strop, P., Bioconj. Chem., 2014, 25, 855-62; Strop, P., et al., Chem. Biol. 2013, 20, 161-7; 미국 특허 제8,871,908호(리나트-화이자사(Rinat-Pfizer)) 또는 미생물 트랜스글루타미나제(MTGase)를 갖는 것(Dennler, P., et al, 2014, Bioconjug. Chem. 25, 569-78; Siegmund, V. et al. Angew. Chemie - Int. Ed. 2015, 54, 13420-4;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30189287호(이네이트 파마사(Innate Pharma); 미국 특허 제7,893,019호(바이오-케르사(Bio-Ker S.r.l.) (IT)), 단백질 주쇄의 외부에 형성된 아이소펩타이드 결합-펩타이드 결합을 형성하는 효소/박테리아(Kang, H. J., et al. Science 2007, 318, 1625-8; Zakeri, B.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2012, 109, E690-7; Zakeri, B. & Howarth, M. J. Am. Chem. Soc. 2010, 132, 4526-7)의 혼입을 포함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예컨대, 브로모 말레이미드 및 다이브로모말레이미드 링커(WO2014/009774), 2,3-이치환된 석신산/2-일치환된/2,3-이치환된 퓨마르산 또는 말레산 링커(WO2015/155753, WO20160596228), 아세틸렌다이카복실산 링커(WO2015/151080, WO20160596228) 또는 하이드라진 링커(WO2015/151081)를 사용하여 네이티브 항체의 환원된 쇄 간 다이설파이드 결합의 한 쌍의 티올을 재브리징시키는 몇몇 접합 방법을 개시하였다. 이러한 링커 및 방법으로 제조된 ADC는, 항체 상의 시스테인 또는 라이신 잔기를 통한 전통적인 비선택적인 접합보다 더 양호한 치료 지수창(therapeutic index windows)을 나타내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자들은 긴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접합체의 발명을 개시한다. 긴 측쇄 링커는 항체-약물 접합체가 가수분해효소, 예를 들어, 프로테이나제 또는 에스터라제에 의해서 가수분해되는 것을 예방하여, 접합체는 순환계에서 더 안정적이 될 수 있다.
강력한 세포독성제로서의 튜불리신은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고, 공지된 방법에 따라서 자연 공급원으로부터 단리될 수 있거나 공지된 방법에 따라서 합성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예를 들어, 문헌[Balasubramanian, R., et al. J. Med. Chem., 2009, 52, 238-40; Wipf, P., et al. Org. Lett., 2004, 6, 4057-60; Pando, O., et al. J. Am. Chem. Soc., 2011, 133, 7692-5; Reddy, J. A., et al. Mol. Pharmaceutics, 2009, 6, 1518-25; Raghavan, B., et al. J. Med. Chem., 2008, 51, 1530-33; Patterson, A. W., et al. J. Org. Chem., 2008, 73, 4362-9; Pando, O., et al. Org. Lett., 2009, 11 (24), 5567-9; Wipf, P., et al. Org. Lett., 2007, 9 (8), 1605-7; Friestad, G. K., Org. Lett.,2004, 6, 3249-52; Peltier, H. M., et al. J. Am. Chem. Soc., 2006, 128, 16018-9; Chandrasekhar, S., et al J. Org. Chem., 2009, 74, 9531-4; Liu, Y., et al. Mol. Pharmaceutics, 2012, 9, 168-75; Friestad, G. K., et al. Org. Lett., 2009, 11, 1095-8; Kubicek, K., et al., Angew Chem Int Ed Engl, 2010.49: 4809-12; Chai, Y., et al., Chem Biol, 2010, 17: 296-309; Ullrich, A., et al., Angew Chem Int Ed Engl, 2009, 48, 4422-5; Sani, M., et al. Angew Chem Int Ed Engl, 2007, 46, 3526-9; Domling, A., et al., Angew Chem Int Ed Engl, 2006, 45, 7235-9]; 특허 출원: Zanda, M. 등의 캐나다 특허 출원 제CA 2710693호(2011); Chai, Y. 등의 유럽 특허 출원 제2174947호(2010), WO 2010034724; Leamon, C. 등의 WO2010033733, WO 2009002993; Ellman, J. 등의 PCT WO2009134279; WO 2009012958, 미국 출원 제20110263650호, 제20110021568호; Matschiner, G. 등의 WO2009095447; Vlahov, I. 등의 WO2009055562, WO 2008112873; Low, P. 등의 WO2009026177; Richter, W., WO2008138561; Kjems, J. 등의 WO 2008125116; Davis, M. 등의 WO2008076333; Diener, J. 등의 미국 특허 출원 제20070041901호, WO2006096754; Matschiner, G. 등의 WO2006056464; Vaghefi, F. 등의 WO2006033913; Doemling, A., Ger. Offen. DE102004030227, WO2004005327, WO2004005326, WO2004005269; Stanton, M. 등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40249130호; Hoefle, G. 등의 Ger. Offen. DE10254439, DE10241152, DE10008089; Leung, D. 등의 WO2002077036; Reichenbach, H. 등의 독일 특허 제DE19638870호; Wolfgang, R., US20120129779; Chen, H.의 미국 출원 제20110027274호). 본 발명자들은 암, 감염 및 자가면역 질환의 표적화 치료를 위한 튜불리신 접합체의 구성을 개시하였다(PCT/IB2012/053554). 긴 분지형(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접합체의 본 발명은 표적화된 전달 동안 접합체의 반감기를 연장시키고, 혈액 순환 동안 비표적 세포, 조직 또는 기관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시켜, 오프-타깃 독성(off-target toxicity)을 감소시켰다.
본 발명은 항체에 튜불리신 유사체의 분지형-링키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측쇄-링커를 사용하여 항체에 튜불리신 유사체를 접합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서, 측쇄 링키지를 함유하는 접합체는 하기 화학식 (I)로 표현된다:
Figure pct00001
식 중,
"
Figure pct00002
"는 단일 결합을 나타내고; n은 1 내지 30이며;
T는 항체, 단일 쇄 항체, 표적 세포에 결합하는 항체 단편, 단클론성 항체, 단일 쇄 단클론성 항체, 표적 세포에 결합하는 단클론성 항체 단편, 키메라 항체, 표적 세포에 결합하는 키메라 항체 단편, 도메인 항체, 표적 세포에 결합하는 도메인 항체 단편, 항체를 모방하는 어드넥틴(adnectin), DARPin, 림포카인, 호르몬; 비타민; 성장 인자, 집락 자극 인자; 또는 영양분-수송 분자(트랜스페린) 및 알부민, 중합체, 덴드리머, 리포솜, 나노입자, 소낭(vesicle), 또는 (바이러스성) 캡시드 상에 부착된 결합 펩타이드, 단백질, 소분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세포-결합제/세포-결합 분자이고;
L1 및 L2는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00개의 원자를 갖는, C, N, O, S, Si 및 P로부터 선택된 원자의 쇄이고, 이것은 W 및 V1 및 V1 및 V2에 공유 연결된다. L1 및 L2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이러한 원자는 모든 화학적으로 관련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고, 예컨대, 알킬렌, 알켄일렌, 및 알킨일렌, 에터, 폴리옥시알킬렌, 에스터, 아민, 이민, 폴리아민, 하이드라진, 하이드라존, 아마이드, 유레아, 세미카바자이드, 카바자이드, 알콕시아민, 알콕실아민, 우레탄, 아미노산, 펩타이드, 아실옥실아민, 하이드록삼산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L1 및 L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O, NH, N, S, P, NNH, NHNH, N(R3), N(R3)N(R3'), CH, CO, C(O)NH, C(O)O, NHC(O)NH, NHC(O)O, 화학식 (OCH2CH2)pOR3 또는 (OCH2CH-(CH3))pOR3 또는 NH(CH2CH2O)pR3 또는 NH(CH2CH(CH3)O)pR3 또는 N[(CH2CH2O)pR3]-[(CH2CH2O)p'R3'] 또는 (OCH2CH2)pCOOR3 또는 CH2CH2(OCH2CH2)pCOOR3의 폴리에틸렌옥시 단위(식 중, p 및 p'는 독립적으로 0 내지 약 1000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임) 또는 이들의 조합물; C1-C8 알킬; C2-C8의 헤테로알킬, 알킬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3-C8의 아릴, Ar-알킬, 복소환식, 탄소환식,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알킬사이클로알킬, 알킬카보닐, 헤테로아릴; 또는 (Aa)r(r은 1 내지 12이고(1 내지 12개 아미노산 단위), 이것은 자연 또는 비자연 아미노산, 또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서열의 다이펩타이드, 트라이펩타이드, 테트라펩타이드, 펜타펩타이드, 헥사펩타이드, 헵타펩타이드, 옥타펩타이드, 노나펩타이드, 데카펩타이드, 운데카펩타이드 또는 도데카펩타이드 단위로 구성됨)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W는 일반적으로 자기-희생 스페이서(self-immolative spacer), 펩타이드 단위, 하이드라존, 다이설파이드, 티오에터, 에스터 또는 아마이드 결합을 갖는 스트레처 단위(stretcher unit)이고; w는 1 또는 2 또는 3이며;
V1 및 V2는 독립적으로 스페이서 단위이고, O, NH, S, C1-C8 알킬, C2-C8 헤테로알킬, 알켄일 또는 알킨일, C3-C8 아릴, 복소환식, 탄소환식, 사이클로알킬, 알킬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아르알킬, 헤테로알킬사이클로알킬 또는 알킬카보닐 또는 (Aa)r(r은 1 내지 12이고(1 내지 12개 아미노산 단위), 이것은 자연 또는 비자연 아미노산, 또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서열의 다이펩타이드, 트라이펩타이드, 테트라펩타이드, 펜타펩타이드, 헥사펩타이드, 헵타펩타이드, 옥타펩타이드, 노나펩타이드, 데카펩타이드, 운데카펩타이드 또는 도데카펩타이드 단위로 구성됨); 또는 (CH2CH2O)p(p는 0 내지 1000임)로부터 선택되며; v1 및 v2는 독립적으로 0, 1 또는 2이지만, v1 및 v2는 동시에 0은 아니고; v1 또는 v2가 0인 경우, 그것은 측쇄 Q1 또는 Q2 단편 중 하나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고;
Q1 및 Q2는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 (I-q1)로 표현되며:
Figure pct00003
식 중,
Figure pct00004
는 L1 또는 L2에 연결된 부위이고; G1 및 G2는 독립적으로 OC(O), NHC(O), C(O), CH2, NH, OC(O)NH, NHC(O)NH, O, S, B, P(O)(OH), NHP(O)(OH), NHP(O)(OH)NH, CH2P(O)(OH)NH, OP(O)(OH)O, CH2P(O)(OH)O, NHS(O)2, NHS(O)2NH, CH2S(O)2NH, OS(O)2O, CH2S(O)2O, Ar, ArCH2, ArO, ArNH, ArS, ArNR1, (Aa)r(r은 1 내지 12임)이고; X1 및 X2는 독립적으로 O, CH2, S, NH, N(R1), +NH(R1), +N(R1)(R2), C(O), OC(O), OC(O)O, OC(O)NH, NHC(O)NH이며; Y2는 O, NH, NR1, CH2, S, Ar이며; G3은 OH, SH, OR1, SR1, OC(O)R1, NHC(O)R1, C(O)R1, CH3, NH2, NR1, +NH(R1), +N(R1)(R2), C(O)OH, C(O)NH2, NHC(O)NH2, BH2, BR1R2, P(O)(OH)2, NHP(O)(OH)2, NHP(O)(NH2)2, S(O)2(OH), (CH2)q1C(O)OH, (CH2)q1P(O)(OH)2, C(O)(CH2)q1C(O)OH, OC(O)(CH2)q1C(O)OH, NHC(O)(CH2)q1C(O)OH, CO(CH2)q1P(O)(OH)2, NHC(O)O(CH2)q1C(O)OH, OC(O)NH(CH2)q1C(O)OH, NHCO(CH2)q1P(O)(OH)2, NHC(O)(NH)(CH2)q1C(O)OH, CONH(CH2)q1P(O)(OH)2, NHS(O)2(CH2)q1C(O)OH, CO(CH2)q1S(O)2(OH), NHS(O)2NH(CH2)q1C(O)OH, OS(O)2NH(CH2)q1C(O)OH, NHCO(CH2)q1S(O)2(OH), NHP(O)(OH)(NH)(CH2)q1C(O)OH, CONH(CH2)q1S(O)(OH), OP(O)(OH)2, (CH2)q1P(O)(NH)2, NHS(O)2(OH), NHS(O)2NH2, CH2S(O)2NH2, OS(O)2OH, OS(O)2OR1, CH2S(O)2OR1, Ar, ArR1, ArOH, ArNH2, ArSH, ArNHR1 또는 (Aa)q1이고; p1, p2 및 p3은 독립적으로 0 내지 100이지만, 동시에 0은 아니고; q1 및 q2는 독립적으로 0 내지 24이고;
바람직하게는 Q1 및 Q2는 독립적으로 C2-C90 폴리카복실산; C2-C90 폴리알킬아민; C6-C90 올리고당 또는 다당류; 4차 암모늄 양이온 및 설포네이트 음이온으로 이루어진 C6-C90 쯔비터이온성 베타인 또는 쯔비터이온성 폴리(설포베타인)(PSB); 예컨대, 폴리(락트산/글리콜산)(PLGA), 폴리(아크릴레이트), 키토산, N-(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아마이드의 공중합체, 폴리[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포스포릴콜린](PMPC), 폴리-L-글루탐산, 폴리(락티드-코-글리콜리드)(PLG), 폴리(락티드-코-글리콜리드),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PG), 폴리(락티드-코-글리콜리드), 폴리(에틸렌 글리콜)-변형된 펩타이드, 폴리(에틸렌 글리콜)-변형된 지질, 폴리(에틸렌 글리콜)-변형된 알킬카복실산, 폴리(에틸렌 글리콜)-변형된 알킬아민, 폴리(락티드-코-글리콜리드, 히알루론산(HA)(글리코사미노글리칸), 헤파린/헤파란 설페이트(HSGAG),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더마탄 설페이트(CSGAG), 폴리(에틸렌 글리콜)-변형된 알킬설페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변형된 알킬포스페이트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변형된 알킬 4차 암모늄으로 구성된 생분해성 중합체이고;
D는 하기 화학식 (II)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또는 수화된 염; 또는 다형성 결정 구조; 또는 광학 이성질체, 라세미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또는 거울상이성질체를 갖는 튜불리신 유사체이고:
Figure pct00005
식 중,
Figure pct00006
는 독립적으로 W에 연결되는 링키지 부위이고;
R1, R2,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H, C1~C8 알킬; C2~C8 헤테로알킬 또는 복소환식; C3~C8 아릴, Ar-알킬, 사이클로알킬, 알킬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알킬사이클로알킬, 탄소환식 또는 알킬카보닐이거나; 또는 R1R2, R1R3, R2 R3, R3 R4, R5 R6, R11 R12 또는 R13 R14는 3 내지 7원의 탄소환식, 사이클로알킬, 복소환식,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고리계를 형성하고; R1 및 R2는 이들이 독립적으로 또는 동시에 W에 연결된 경우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수 있고, Y1은 N 또는 CH이고;
R5 , R6, R8, R10 및 R11은 독립적으로 H 또는 C1~C4 알킬 또는 헤테로알킬이며;
R7은 독립적으로 H, R14, -R14C(=O)X1R15; 또는 -R14X1R15이고; X1은 O, S, S-S, NH, CH2 또는 NR14이며;
R9는 H, OH, -O-, =O, -OR14, -OC(=O)R14, -OC(=O)NHR14-, -OC(=O) R14SSR15-, OP(=O)(OR14)-, -OC(=O)NR14R15, OP(=O)(OR14) 또는 OR14OP(=O)(OR15)로부터 선택되고;
R11은 독립적으로 H, R14, -R14C(=O)R16, -R14X2R16, -R14C(=O)X2이되, X2는 -O-, -S-, -NH-, -N(R14)-, -O-R14-, -S-R14-, -S(=O)-R14- 또는 -NHR14이며;
R12는 R15, -OH, -SH,-NH2, NH, NHNH2, -NH(R15), -OR15, - R15COR16, - R15COOR16, -R15C(O)NH2, -R15C(O)NHR17, -SR16, R15S(=O)R16, -R15P(=O)(OR17)2, -R15OP(=O)(OR17)2, -CH2OP(=O)(OR17)2, -R15SO2R17, -R15X2R16, -R15C(=O)X2이되, X2는 -O-, OH, SH, -S-, NH2, -NH-, -N(R15)-, -O-R15-, -S-R15-, -S(=O)-R15-, CH2 또는 -NHR15-이고;
R13 및 R14는 독립적으로 H, O, S, NH, N(R15), NHNH, -OH, -SH, -NH2, NH, NHNH2, -NH(R15), -OR15, CO, -COX2, -COX2R16, R17, F, Cl, Br, I, SR16, NR16R17, N=NR16, N=R16, NO2, SOR16R17, SO2R16, SO3R16, OSO3R16, PR16R17, POR16R17, PO2R16R17, OP(O)(OR17)2, OCH2OP(O)(OR17)2, OC(O)R17, OC(O)OP(O)(OR17)2, PO(OR16)(OR17), OP(O)(OR17)OP(O)(OR17)2, OC(O)NHR17; -O-(C4-C12 글리코사이드), -N-(C4-C12 글리코사이드); C1~C8 알킬, 헤테로알킬; C2-C8의 알켄일, 알킨일, 헤테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3-C8의 아릴, Ar-알킬, 탄소환식,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알킬사이클로알킬, 알킬카보닐, 헤테로아릴 또는 2 내지 8개 탄소 원자의 에스터, 에터 또는 아마이드; 또는 1 내지 8개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펩타이드(NH(Aa)1~8 또는 CO(Aa)1~8(N-말단 또는 C-말단의 1 내지 8개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아미노산), 또는 화학식 (OCH2CH2)p 또는 (OCH2CH(CH3))p의 폴리에틸렌옥시 단위(식 중, p는 0 내지 약 1000의 정수임) 또는 이들 군의 조합물이고; X2는 O, S, S-S, NH, CH2, OH, SH, NH2, CHR14 또는 NR14이며;
R15, R16 및 R17은 독립적으로 H, C1~C8 알킬, 헤테로알킬; C2-C8의 알켄일, 알킨일, 헤테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3-C8의 아릴, Ar-알킬, 탄소환식,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알킬사이클로알킬, 알킬카보닐, 헤테로아릴, 알킬카보닐 또는 Na+, K+, Cs+, Li+, Ca2+, Mg+, Zn2+, N+(R1)(R2)(R3)(R4), HN+(C2H5OH)3 염이고;
Y1 및 Y2는 독립적으로 N 또는 CH이며; q는 0 또는 1이고; q가 0이고, Y3이 존재하지 않고, Y4, Y5, Y6 및 Y7이 독립적으로 CH, N, NH, O, S 또는 N(R1)인 경우, 따라서 Y2, Y4, Y5, Y6 및 Y7은 퓨란, 피롤, 티오펜, 티아졸, 옥사졸 및 이미다졸, 피라졸, 트라이아졸, 테트라졸, 티아다이아졸의 헤테로방향족 고리를 형성하고; q가 1이고, Y3, Y4, Y5, Y6 및 Y7이 독립적으로 CH 또는 N인 경우, 따라서 Y2, Y3, Y4, Y5, Y6 및 Y7은 벤젠, 피리딘, 피리다진, 피리미딘, 피라진, 트라이아진, 테트라진, 펜타진의 방향족 고리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서, 측쇄-링키지를 함유하는 접합체는 하기 화학식 (III)으로 표현된다:
Figure pct00007
식 중, D, W, w, L1, L2, Q1, Q2, V1, V2, v1, v2, n, T는 화학식 (I)에서와 동일하게 정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서, 측쇄-링키지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V)로 표현되는데, 이것은 세포-결합 분자 T와 쉽게 반응하여 화학식 (I)의 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Figure pct00008
식 중, D, W, w, L1, L2, Q1, Q2, V1, V2, v1, v2 및 n은 화학식 (I)에서와 동일하게 정의되고; Lv1은 하기에 기재된 작용기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서, 측쇄-링키지 화합물은 화학식 (V)로 표현되는데, 이것은 세포-결합 분자 T와 쉽게 반응하여 화학식 (III)의 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Figure pct00009
식 중, D, W, w, L1, L2, Q1, Q2, V1, V2, v1, v2 및 n은 화학식 (I)에서와 동일하게 정의된다.
Lv1 및 Lv2는 세포-결합 분자 상의 티올, 아민, 카복실산, 셀레놀, 페놀 또는 하이드록시기와 반응할 수 있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반응기이고, Lv1 및 Lv2는 독립적으로 OH; F; Cl; Br; I; 나이트로페놀;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NHS); 페놀; 다이나이트로페놀; 펜타플루오로페놀; 테트라플루오로페놀; 다이플루오로페놀; 모노-플루오로페놀; 펜타클로로페놀; 트라이플레이트; 이미다졸; 다이클로로페놀; 테트라클로로페놀; 1-하이드록시벤조트라이아졸; 토실레이트; 메실레이트; 2-에틸-5-페닐아이속사졸륨-3'-설포네이트, 그 자체로부터 형성되거나 또는 다른 무수물과 함께 형성된 무수물, 예를 들어, 아세틸 무수물, 폼일 무수물; 또는 펩타이드 커플링 반응 또는 미츠노부 반응(Mitsunobu reaction)을 위한 축합 시약을 사용하여 생성된 중간체 분자로부터 선택된다. 축합 시약의 예는 EDC(N-(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다이이미드), DCC(다이사이클로헥실-카보다이이미드), N,N'-다이아이소프로필카보다이이미드(DIC), N-사이클로헥실-N'-(2-몰폴리노-에틸)카보다이이미드 메토-p-톨루엔설포네이트(CMC 또는 CME-CDI), 1,1'-카보닐다이이미다졸(CDI), TBTU(O-(벤조트라이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N,N,N',N'-테트라메틸-O-(1H-벤조-트라이아졸-1-일)-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BTU), (벤조트라이아졸-1-일옥시)트리스(다이메틸아미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BOP), (벤조트라이아졸-1-일옥시)트라이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yBOP), 다이에틸 사이아노포스포네이트(DEPC), 클로로-N,N,N',N'-테트라-메틸폼아미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비스(다이메틸아미노)메틸렌]-1H-1,2,3-트라이아졸로[4,5-b]피리디늄 3-옥사이드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ATU), 1-[(다이메틸아미노)-(몰폴리노)메틸렌]-1H-[1,2,3]트라이아졸로[4,5-b]피리딘-1-윰 3-옥사이드-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DMA), 2-클로로-1,3-다이메틸-이미다졸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CIP), 클로로트라이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yCloP), 플루오로-N,N,N',N'-비스(테트라메틸렌)-폼아미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BTFFH), N,N,N',N'-테트라메틸-S-(1-옥사이도-2-피리딜)티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O-(2-옥소-1(2H)피리딜)-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TPTU), S-(1-옥사이도-2-피리딜)-N,N,N',N'-테트라메틸티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O-[(에톡시카보닐)-사이아노메틸렌아미노]-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OTU), (1-사이아노-2-에톡시-2-옥소에틸리덴아미노옥시) 다이메틸아미노-몰폴리노-카베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COMU), O-(벤조트라이아졸-1-일)-N,N,N',N'-비스(테트라메틸렌)-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BPyU), N-벤질-N'-사이클로헥실-카보다이이미드(중합체 결합되거나 결합되지 않음), 다이피롤리디노(N-석신이미딜-옥시)카베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SPyU), 클로로다이피롤리디노카베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yClU), 2-클로로-1,3-다이메틸이미다졸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CIB), (벤조트라이아졸-1-일옥시)다이피페리디노-카베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BPipU), O-(6-클로로벤조트라이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TCTU), 브로모트리스(다이메틸아미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BroP), 프로필포스폰산 무수물(PPACA, T3P®), 2-몰폴리노에틸 아이소사이아나이드(MEI), N,N,N',N'-테트라메틸-O-(N-석신이미딜)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STU), 2-브로모-1-에틸-피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BEP), O-[(에톡시카보닐)사이아노-메틸렌아미노]-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TOTU), 4-(4,6-다이메톡시-1,3,5-트라이아진-2-일)-4-메틸모폴리늄클로라이드(MMTM, DMTMM), N,N,N',N'-테트라메틸-O-(N-석신이미딜)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TSTU), O-(3,4-다이하이드로-4-옥소-1,2,3-벤조트라이아진-3-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TDBTU), 1,1'-(아조다이카보닐)-다이피페리딘(ADD), 다이-(4-클로로벤질)아조다이카복실레이트(DCAD), 다이-tert-부틸 아조다이카복실레이트(DBAD), 다이아이소프로필 아조다이카복실레이트(DIAD), 다이에틸 아조다이카복실레이트(DEAD)이다. 또한, Lv1 및 Lv2는 산 자체에 의해서 형성되거나 또는 다른 C1~C8 산 무수물과 함께 형성된 무수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추가로 화학식 (I) 및 화학식 (III)의 세포-결합 분자-약물의 접합체의 제조 방법 및 화학식 (I) 및 화학식 (III)의 접합체의 응용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튜불리신 유사체의 Tuv 성분의 일반적인 합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튜불리신 성분의 합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튜불리신 성분의 합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성분의 합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성분의 합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튜불리신 유사체의 성분의 합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튜불리신 유사체의 성분의 합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접합체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성분의 합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성분의 합성 및 항체에 대한 이들의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측쇄 링커의 성분의 합성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항체에 대한 이의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항체에 대한 이의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항체에 대한 이의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항체에 대한 이의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측쇄 링커의 성분의 합성 및 Tup 성분에 대한 이의 링키지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항체에 대한 이의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항체에 대한 이의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튜불리신 유사체의 성분의 합성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성분의 합성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항체에 대한 이의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21은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항체에 대한 이의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22는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항체에 대한 이의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23은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항체에 대한 이의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24는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항체에 대한 이의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25는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항체에 대한 이의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26은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을 도시한 도면.
도 27은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항체에서 한 쌍의 티올을 통한 항체에 대한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28은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성분의 합성을 도시한 도면.
도 29는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항체에서 한 쌍의 티올을 통한 항체에 대한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30은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항체에서 한 쌍의 티올을 통한 항체에 대한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31은 튜불리신 성분의 합성을 도시한 도면.
도 32는 튜불리신 성분의 합성을 도시한 도면.
도 33은 튜불리신 성분의 합성을 도시한 도면.
도 34는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성분의 합성을 도시한 도면.
도 35는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항체에 대한 이의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36은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항체에 대한 이의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37은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항체에 대한 이의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38은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항체에 대한 이의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39는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항체에 대한 이의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40은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항체에 대한 이의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41은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항체에 대한 이의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42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을 도시한 도면.
도 43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을 도시한 도면.
도 44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을 도시한 도면.
도 45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항체에 대한 이의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46은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항체에 대한 이의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47은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을 도시한 도면.
도 48은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항체에 대한 이의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49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항체에 대한 이의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50은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항체에 대한 이의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51은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항체에 대한 이의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52는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항체에 대한 이의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53은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항체에서 한 쌍의 티올을 통한 항체에 대한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54는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항체에 대한 이의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55는 항체에 대한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을 도시한 도면.
도 56은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항체에 대한 이의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57은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을 도시한 도면.
도 58은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항체에서 한 쌍의 티올을 통한 항체에 대한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59는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항체에서 한 쌍의 티올을 통한 항체에 대한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60은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항체에서 한 쌍의 티올을 통한 항체에 대한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61은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항체에 대한 이의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62는 측쇄 링커를 함유하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항체에 대한 이의 접합을 도시한 도면.
도 63은 6㎎/㎏의 용량으로 1회 i.v. 주사에서, 인간 위 종양 N87 세포 모델을 사용하여 T-DM1를 갖는 접합체 화합물 474, 486, 493, 601, 626, 637, 641, 669, 673, 680 및 692의 항-종양 효과의 비교를 도시한 도면.
도 64는 마우스 혈청에서 모노-링키지를 갖는 보통 접합체(화합물 133) 및 T-DM1과 비교한, 측쇄-링키지를 갖는 접합체(680 및 692)의 안정성 연구를 도시한 도면.
정의
"알킬"은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 원자로부터의 1개 또는 2개의 수소 원자의 제거에 의해서 알칸으로부터 유래된 1가 기를 지칭한다. 이것은 쇄 내에 C1-C8(1내지 8개의 탄소 원자)을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다. "분지형"은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저급 C 알킬기가 선형 알킬 쇄에 부착된 것을 의미한다. 예시적인 알킬기는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t-부틸, n-펜틸, 3-펜틸, 옥틸, 노닐, 데실,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2,2-다이메틸부틸, 2,3-다이메틸부틸, 2,2-다이메틸펜틸, 2,3-다이메틸펜틸, 3,3-다이메틸펜틸, 2,3,4-트라이메틸펜틸, 3-메틸-헥실, 2,2-다이메틸헥실, 2,4-다이메틸헥실, 2,5-다이메틸헥실, 3,5-다이메틸헥실, 2,4-다이메틸펜틸, 2-메틸헵틸, 3-메틸헵틸, n-헵틸, 아이소헵틸, n-옥틸, 및 아이소옥틸을 포함한다. C1-C8 알킬기는 -C1-C8 알킬, -O-(C1-C8 알킬), -아릴, -C(O)R', -OC(O)R', -C(O)OR', -C(O)NH2, -C(O)NHR', -C(O)N(R')2, -NHC(O)R', -SR', -S(O)2R', -S(O)R', -OH, -할로겐, -N3, -NH2, -NH(R'), -N(R')2 및 -CN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될 수 있고; 여기서 각각의 R'는 -C1-C8 알킬 및 아릴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할로겐"은 플루오린, 염소, 브로민 또는 아이오딘 원자;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린 및 염소 원자를 지칭한다.
"헤테로알킬"은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가 O, S 및 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의 헤테로원자로 독립적으로 대체된 C2-C8 알킬을 지칭한다.
"탄소환"은 모노사이클로서 3 내지 8개의 탄소 원자 또는 바이사이클로서 7 내지 1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포화 또는 불포화 고리를 지칭한다. 단환식 탄소환은 3 내지 6개의 고리 원자, 보다 전형적으로 5 또는 6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다. 이환식 탄소환은 바이사이클 [4,5], [5,5], [5,6] 또는 [6,6] 시스템으로서 배열된 7 내지 12개의 고리 원자, 또는 바이사이클 [5,6] 또는 [6,6] 시스템으로서 배열된 9 또는 10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다. 대표적인 C3-C8 탄소환은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헥센일, -1,3-사이클로헥사다이엔일, -1,4-사이클로헥사다이엔일, -사이클로헵틸, -1,3-사이클로헵타다이엔일, -1,3,5-사이클로헵타트라이엔일, -사이클로옥틸, 및 -사이클로옥타다이엔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C3-C8 탄소환"은 3-, 4-, 5-, 6-, 7- 또는 8-원의 포화 또는 불포화 비방향족 탄소환식 고리를 지칭한다. C3-C8 탄소환기는 -C1-C8 알킬, -O-(C1-C8 알킬), -아릴, -C(O)R', -OC(O)R', -C(O)OR', -C(O)NH2, -C(O)NHR', -C(O)N(R')2, -NHC(O)R', -SR', -S(O)R',-S(O)2R', -OH, -할로겐, -N3, -NH2, -NH(R'), -N(R')2 및 -CN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될 수 있고; 여기서 각각의 R'는 -C1-C8 알킬 및 아릴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알켄일"은 쇄 내에 2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는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함유하는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함유하는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지칭한다. 예시적인 알켄일기는 에텐일, 프로펜일, n-부텐일, i-부텐일, 3-메틸부트-2-엔일, n-펜텐일, 헥실렌일, 헵텐일, 옥텐일을 포함한다.
"알킨일"은 쇄 내에 2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는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함유하는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지칭한다. 예시적인 알킨일기는 에틴일, 프로핀일, n-부틴일, 2-부틴일, 3-메틸부틴일, 5-펜틴일, n-펜틴일, 헥실린일, 헵틴일 및 옥틴일을 포함한다.
"알킬렌"은 1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포화, 분지형 또는 직쇄형 또는 환식 탄화수소 라디칼을 지칭하고, 모 알칸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2개의 탄소 원자로부터 2개의 수소 원자를 제거함으로써 유래된 2개의 1가 라디칼 중심을 갖는다. 전형적인 알킬렌 라디칼은 메틸렌(-CH2-), 1,2-에틸(-CH2CH2-), 1,3-프로필(-CH2CH2CH2-), 1,4-부틸(-CH2CH2CH2CH2-)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알켄일렌"은 2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의 불포화, 분지형 또는 직쇄형 또는 환식 탄화수소 라디칼을 지칭하며, 모 알켄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2개의 탄소 원자로부터 2개의 수소 원자를 제거함으로써 유래된 2개의 1가 라디칼 중심을 갖는다. 전형적인 알켄일렌 라디칼은 1,2-에틸렌(-CH=CH-)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알킨일렌"은 2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의 불포화, 분지형 또는 직쇄형 또는 환식 탄화수소 라디칼을 지칭하고, 모 알킨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2개의 탄소 원자로부터 2개의 수소 원자를 제거함으로써 유래된 2개의 1가 라디칼 중심을 갖는다. 전형적인 알킨일렌 라디칼은 아세틸렌, 프로파길 및 4-펜틴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아릴" 또는 "Ar"은 3 내지 14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수 개의 고리로 구성된 방향족 또는 헤테로 방향족기를 지칭한다. "헤테로 방향족기"의 용어는 방향족기 상의 하나 또는 수 개의 탄소를 지칭하고, 바람직하게는 1, 2, 3 또는 4개의 탄소 원자가 O, N, Si, Se, P 또는 S로, 바람직하게는 O, S 및 N으로 대체된다. 용어 아릴 또는 Ar은 또한 하나 또는 수 개의 H 원자는 -R', -할로겐, -OR', 또는 -SR', -NR'R", -N=NR', -N=R', -NR'R", -NO2, -S(O)R', -S(O)2R', -S(O)2OR', -OS(O)2OR', -PR'R", -P(O)R'R", -P(OR')(OR"), -P(O)(OR')(OR") 또는 -OP(O)(OR')(OR")에 의해서 독립적으로 대체된 방향족 기를 지칭하고, 여기서 R', R"는 독립적으로 H, 알킬, 알켄일, 알킨일, 헤테로알킬, 아릴, 아릴알킬, 카보닐, 또는 약제학적 염이다.
"헤테로사이클"은 1 내지 4개의 고리 탄소 원자가 O, N, S, Se, B, Si 및 P의 군으로부터의 헤테로원자로 독리적으로 대체된 고리 시스템을 지칭한다. 바람직한 헤테로원자는 O, N 및 S이다. 헤테로사이클은 또한 문헌[The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78th Edition, CRC Press, Inc., 1997-1998, p. 225 to 226]에 기술되어 있고, 이의 개시내용은 참고로 포함된다. 바람직한 비방향족 헤테로환식은 에폭시, 아지리딘일, 티란일, 피롤리딘일, 피라졸리딘일, 이미다졸리딘일, 옥시란일,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일, 다이옥솔란일,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 다이옥산일, 다이옥솔란일, 피페리딘일, 피페라진일, 모폴린일, 피란일, 이미다졸린일, 피롤린일, 피라졸린일, 티아졸리딘일, 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란일, 다이티안일, 티오모폴린일, 다이하이드로피란일,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 다이하이드로피란일, 테트라하이드로피리딜, 다이하이드로피리딜, 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일, 다이하이드로티오피란일, 아제판일, 뿐만 아니라 페닐기와의 축합으로부터 생성된 융합 시스템을 포함한다.
용어 "헤테로아릴" 또는 방향족 헤테로사이클은 3 내지 14,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원의 방향족 헤테로, 모노-, 이환식 또는 다환식 고리를 지칭한다. 예는 피롤릴, 피리딜, 피라졸릴, 티엔일, 피리미딘일, 피라진일, 테트라졸릴, 인돌릴, 퀴놀린일, 퓨린일, 이미다졸릴, 티엔일, 티아졸릴, 벤조티아졸릴, 퓨란일, 벤조퓨란일, 1,2,4-티아디아졸릴, 아이소티아졸릴, 트라이아졸릴, 테트라졸릴, 아이소퀴놀릴, 벤조티엔일, 아이소벤조퓨릴, 피라졸릴, 카바졸릴, 벤즈이미다졸릴, 아이속사졸릴, 피리딜-N-옥사이드, 뿐만 아니라 페닐기와의 축합으로부터 생성된 융합 시스템을 포함한다.
"알킬", "사이클로알킬", "알켄일", "알킨일",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환식" 등은 또한 2개의 수소 원자의 제거에 의해서 형성된 상응하는 "알킬렌", "사이클로알킬렌", "알켄일렌", "알킨일렌", "아릴렌", "헤테로아릴렌", "헤테로사이클렌"을 지칭한다.
"아릴알킬"은 탄소 원자, 전형적으로 말단 또는 sp3 탄소 원자에 결합된 수소 원자 중 하나가 아릴 라디칼로 대체된 비환식 알킬 라디칼을 지칭한다. 전형적인 아릴알킬기는 벤질, 2-페닐에탄-1-일, 2-페닐에텐-1-일, 나프틸메틸, 2-나프틸에탄-1-일, 2-나프틸에텐-1-일, 나프토벤질, 2-나프토페닐에탄-1-일 등을 포함한다.
"헤테로아릴알킬"은 탄소 원자, 전형적으로 말단 또는 sp3 탄소 원자에 결합된 수소 원자 중 하나가 헤테로아릴 라디칼로 대체된 비환식 알킬 라디칼을 지칭한다. 헤테로아릴알킬기의 예는 2-벤즈이미다졸릴메틸, 2-퓨릴에틸이다.
"하이드록실 보호기"의 예는 메톡시메틸 에터, 2-메톡시에톡시메틸 에터,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 에터, 벤질 에터, p-메톡시벤질 에터, 트라이메틸실릴 에터, 트라이에틸실릴 에터, 트라이아이소프로필실릴 에터, t-부틸다이메틸실릴 에터, 트라이페닐메틸실릴 에터, 아세테이트 에스터, 치환된 아세테이트 에스터, 피발로에이트, 벤조에이트, 메탄설포네이트 및 p-톨루엔설포네이트를 포함한다.
"이탈기"는 또 다른 작용기에 의해서 치환될 수 있는 작용기를 지칭한다. 이러한 이탈기는 관련 기술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고, 예는 할라이드(예를 들어,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및 아이오다이드), 메탄설포닐(메실), p-톨루엔설포닐(토실), 트라이플루오로메틸설포닐(트라이플레이트), 및 트라이플루오로메틸설포네이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이탈기는 나이트로페놀;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NHS); 페놀; 다이나이트로페놀; 펜타플루오로페놀; 테트라플루오로페놀; 다이플루오로페놀; 모노플루오로페놀; 펜타클로로페놀; 트라이플레이트; 이미다졸; 다이클로로페놀; 테트라클로로페놀; 1-하이드록시벤조트라이아졸; 토실레이트; 메실레이트; 2-에틸-5-페닐아이속사졸륨-3'-설포네이트, 그 자체에 의해서 형성되거나 또는 다른 무수물과 함께 형성된 무수물, 예를 들어, 아세틸 무수물, 폼일 무수물; 또는 펩타이드 커플링 반응 또는 미츠노부 반응을 위한 축합 시약을 사용하여 생성된 중간체 분자로부터 선택된다.
하기 약어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고, 제시된 정의를 갖는다: Boc, tert-부톡시 카보닐; BroP, 브로모트리스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CDI, 1,1'-카보닐다이이미다졸; DCC, 다이사이클로헥실카보다이이미드; DCE, 다이클로로에탄; DCM, 다이클로로메탄; DEAD, 다이에틸아조다이카복실레이트; DIAD, 다이아이소프로필아조다이카복실레이트; DIBAL-H, 다이아이소부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DIPEA 또는 DEA,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DEPC, 다이에틸 포스포로사이아나이데이트; DMA, N,N-다이메틸 아세트아마이드; DMAP, 4-(N,N-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 DMF,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DMSO, 다이메틸설폭사이드; DTPA,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펜타아세트산; DTT, 다이티오트레이톨; EDC, 1-(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보다이이미드 염산염; ESI-MS, 전자분무 질량분석; EtOAc, 에틸 아세테이트; Fmoc, N-(9-플루오렌일메톡시카보닐); HATU, O-(7-아자벤조트라이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OBt, 1-하이드록시벤조트라이아졸; HPLC,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NHS,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MeCN,.아세토나이트릴; MeOH, 메탄올; MMP, 4-메틸모폴린; PAB, p-아미노벤질; PBS, 인산염-완충 염수(pH 7.0 내지 7.5); Ph, 페닐; phe, L-페닐알라닌; PyBrop, 브로모-트리스-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PEG, 폴리에틸렌 글리콜; SEC,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TCEP, 트리스(2-카복시에틸)포스핀; TFA,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THF, 테트라하이드로퓨란; Val, 발린. TLC,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UV, 자외선.
"아미노산(들)"은 자연 및/또는 비자연 아미노산, 바람직하게는 알파-아미노산일 수 있다. 자연 아미노산은 유전자 암호에 의해서 암호화된 것이며, 이것은 알라닌, 아르기닌, 아스파라긴, 아스파트산, 시스테인, 글루탐산, 글루타민, 글리신, 히스티딘, 아이소류신, 류신, 라이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프롤린, 세린, 트레오닌, 타이로신. 트립토판 및 발린이다. 비자연 아미노산은 단백질생성 아미노산의 형태로 유래된다. 예는 하이드록시프롤린, 란티오닌, 2-아미노아이소부티르산, 데하이드로알라닌, 감마-아미노부티르산(신경 전달 물질), 오르니틴, 시트룰린, 베타 알라닌 (3-아미노프로판산), 감마-카복시글루타메이트, 셀레노시스테인(대부분의 진핵 생물뿐만 아니라 많은 비진핵 생물에 존재하지만, DNA에 의해 직접 암호화되지는 않음) 피롤리신(일부 고등어와 하나의 박테리아에서만 발견됨) N-폼일메티오닌(종종 박테리아, 미토콘드리아 및 엽록체 내의 단백질의 초기 아미노산임), 5-하이드록시트립토판, L-다이하이드록시페닐알라닌, 트라이아이오도타이로닌, L-3,4-다이하이드록시페닐알라닌(DOPA), 및 O-포스포세린을 포함한다. 용어 아미노산은 또한 아미노산 유사체 및 모방체를 포함한다. 유사체는 R기가 자연 아미노산에서 발견되는 것이 아닌 것을 제외하고는, 자연 아미노산의 동일한 일반식 H2N(R)CHCO2H 구조식를 갖는 화합물이다. 유사체의 예는 호모세린, 노르류신, 메티오닌-설폭사이드, 및 메티오닌 메틸 설포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아미노산 모방체는 알파-아미노산의 일반적인 화학 구조식와 상이한 구조식를 갖지만 그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용하는 화합물이다. 용어 "비자연 아미노산"은 "D" 입체화학 형태를 나타내도록 의도되며, 자연 아미노산은 "L"형이다. 1 내지 8개의 아미노산이 본 특허 출원에서 사용되는 경우, 아미노산 서열은 바람직하게는 프로테아제에 대한 절단 인식 서열이다. 다수의 절단 인식 서열이 관련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어, 문헌[Matayoshi et al. Science 247: 954 (1990); Dunn et al. Meth. Enzymol. 241: 254 (1994); Seidah et al. Meth. Enzymol. 244: 175(1994); Thornberry, Meth. Enzymol. 244: 615(1994); Weber et al. Meth. Enzymol. 244: 595(1994); Smith et al. Meth. Enzymol. 244: 412 (1994); 및 Bouvier et al. Meth. Enzymol. 248: 614 (1995)] 참고; 이들의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됨). 특히, 그러한 서열은 Val-Cit, Ala-Val, Ala-Ala, Val-Val, Val-Ala-Val, Lys-Lys, Ala-Asn-Val, Val-Leu-Lys, Cit-Cit, Val-Lys, Ala-Ala-Asn, Asp-Lys, Asp-Glu, Glu-Lys, Lys, Cit, Ser 및 Glu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글리코사이드"는 당기가 글리코사이드 결합을 통해서 또 다른 기에 애노머 탄소를 통해서 결합된 분자이다. 글리코사이드는 O-(O-글리코사이드), N-(글리코실아민), S-(티오글리코사이드), 또는 C-(C-글리코사이드) 글리코사이드 결합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의 코어 실험식은 Cm(H2O)n(식 중, m은 n과 상이할 수 있고, m 및 n은 36 미만임)이다. 본 명세서에서 글리코사이드는 글루코스(덱스트로스), 프룩토스(레불로스) 알로스, 알트로스, 만노스, 글로스, 아이오도스, 갈락토스, 탈로스, 갈락토사민, 글루코사민, 시알산, N-아세틸글루코사민, 설포퀴노보스(6-데옥시-6-설포-D-글루코피라노스), 리보스, 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릭소스, 솔비톨, 만니톨, 수크로스, 락토스, 말토스, 트레할로스, 말토덱스트린, 리피토스, 글루코쿠론산(글루쿠로나이드), 및 스타키오스를 포함한다. 이것은 D형 또는 L형, 5 원자 환식 퓨라노즈 형태, 6 원자 환식 피라노즈 형태, 또는 비환식 형태, α-이성질체(하워쓰(Haworth) 투영의 탄소 원자의 평면 아래의 애노머 탄소의 -OH) 또는 β-이성질체(하워쓰 투영면 위의 애노머 탄소의 -OH)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당류, 이당류, 폴리올 또는 3 내지 6개의 당 단위를 함유하는 올리고당이 사용된다.
용어 "항체"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전장 면역글로불린 분자 또는 전장 면역글로불린 분자의 면역학적 활성 부분, 즉, 관심대상 표적의 항원에 면역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원 결합 부위를 함유하는 분자 또는 이의 부분을 지칭하고, 이러한 표적은 암 세포 또는 자가면역 질환과 연관된 자가면역 항체를 생산하는 세포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면역글로불린은 면역글로불린 분자의 임의의 유형(예를 들어, IgG, IgE, IgM, IgD, IgA 및 IgY), 클래스(예를 들어, IgG1, IgG2, IgG3, IgG4, IgA1 및 IgA2) 또는 서브클래스일 수 있다. 면역글로불린은 임의의 종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면역글로불린은 인간, 뮤린 또는 토끼 기원이다. 본 발명에 유용한 항체는 바람직하게는 단클론성이고, 다클론성, 단클론성, 이중특이적 인간, 인간화된 또는 키메라 항체, 단일 쇄 항체, Fv, Fab 단편, ab') 단편s, F(ab')2 단편, Fab 발현 라이브러리에 의해서 생산된 단편, 항-이디오타입(항-Id) 항체, CDR 및 이들의 임의의 에피토프-결합 단편(이들은 암세포 항원, 바이러스 항원 또는 미생물 항원에 면역특이적으로 결합함)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광학 이성질체"로서도 공지된 "거울상이성질체"는 왼손과 오른손이 하나의 축을 따라서 반대인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것처럼(손은 방향전환에 의해서 단순히 동일하게 보이게 될 수 없음), 중첩되지 않는(동일하지 않은) 서로의 거울상인 2개의 입체이성질체 중 하나이다. 화합물 내의 단일 카이럴 원자 또는 유사한 구조 특징부는, 화합물이 서로의 거울상 각각에 중첩하지 않는 2개의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한다. 주어진 화합물 내의 다수의 카이럴 특징부의 존재는, 일부 완벽한-거울-상 쌍이 존재할 수 있지만, 가능한 기하 형태의 수를 증가시킨다. 순수한 거울상이성질체(enantiopure) 화합물은 검출 한계 내에서 단지 하나의 카이럴성의 분자를 갖는 샘플을 지칭한다. 대칭 환경으로 존재하는 경우, 거울상이성질체는 동일한 양이지만, 반대 방향으로 평면 편광(+/-)을 회전시키는 능력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화학 특성 및 물성을 갖는다(편광은 비대칭 매질이라고 간주될 수 있음). 이것은 때로는 이러한 이유로 인해서 광학 이성질체라고 불린다. 동일한 부의 광학 활성 이성질체 및 이의 거울상 이성질체의 혼합물은 라세믹이라고 지칭되고, 0의 순 회전(zero net rotation)의 편면 편광을 갖는데, 그 이유는 각각의 (+) 형태의 양회전이 (-) 형태의 음회전에 의해서 정확히 상쇄되기 때문이다. 거울상이성질체 구성원은 보통 다른 거울상이성질체 물질과 상이한 화학 반응을 갖는다. 다수의 생물 분자는 거울상이성질체이기 때문에, 생물 유기체에 대한 두 거울상이성질체의 효과가 때로는 뚜렷하게 상이하다. 약물에서, 예를 들어, 보통 약물 거울상이성질체 중 단지 하나가 목적하는 생리학적 효과에 대한 책임이 있는 반면, 나머지 거울상이성질체는 덜 활성이거나, 불활성이거나 때로는 심지어는 부작용을 나타낸다. 이러한 발견으로 인해서, 약물학적 효능을 향상시키고, 때로는 일부 부작용을 제거하기 위해서 단지 하나의 거울상이성질체("순수한 거울상이성질체")로 구성된 약물을 개발할 수 있다.
동위원소는 중성자수가 상이한 특정 화학 원소의 변이체이다. 주어진 원소의 모든 동위원소는 각각의 원자 내에 동일한 양성자수를 갖는다. 각각의 원자 번호는 구체적인 원소를 식별하지만, 동위원소를 식별하지 못하며; 주어진 원소의 원자는 중성자의 수에서 다양한 범위를 가질 수 있다. 핵 내에서 핵자(nucleon)(양성자 및 중성자 둘 다)의 수는 원자의 질량수이고, 주어진 원소의 각각의 동위원소는 상이한 질량수를 갖는다. 예를 들어, 탄소-12, 탄소-13 및 탄소-14는 각각 12, 13 및 14의 질량수를 갖는 탄소 원소의 3개의 동위원소이다. 탄소의 원자수는 6인데, 이것은 모든 탄소 원자가 6개의 양성자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여, 이들 동위원소의 중성자수는 각각 6, 7 및 8이다. 수소 원자는 경수소(1H), 중수소(2H) 및 삼중수소(3H)의 3개의 동위원소를 가지며, 여기서 중수소는 경수소의 질량의 2배이고, 삼중수소는 경수소의 질량의 3배이다. 동위원소 치환을 사용하여 화학 반응의 기전 및 동적 동위원소 효과를 결정할 수 있다. 동위원소 치환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대사 효소, 예컨대, 사이토크롬 P450 또는 글루쿠로노실트랜스퍼라제 효소에 의한) 신체 내에서 물질의 대사 변화뿐만 아니라 흡수 및 분포의 기전을 통해서 투여 후 신체가 특정 제노바이오틱/화학물질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 및 약물의 대사산물의 효과 및 경로를 연구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를 약동학(PK)이라고 부른다. 동위원소 치환을 사용하여 약물의 생화학적 효과 및 생리학적 효과를 연구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동물(인간 포함), 미생물 또는 유기체의 조합(예를 들어, 감염) 내에서 메니페스트된(manifested)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약력학(PD)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효과는 동물(인간 포함), 미생물 또는 유기체의 조합(예를 들어, 감염) 내에서 메니페스트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둘 다는 함께 약물의 투여, 이익 및 부작용에 영향을 미친다. 동위원소는 안정적인 원소(비-방사성) 또는 불안정적인 원소를 함유할 수 있다. 약물의 동위원소 치환은 기원 약물의 상이한 치료 효능을 가질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은 동물, 또는 인간에게 적절하게 투여되는 경우, 유해한, 알레르기성 또는 다른 부적절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분자 실체 및 조성물을 지칭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매화물" 또는 "용매화물"은 하나 이상의 용매 분자 및 개시된 화합물의 회합을 지칭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매화물을 형성하는 용매의 예는 물, 아이소프로판올, 에탄올, 메탄올, DMSO,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트산 및 에탄올아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는 임의의 담체, 희석제, 보조제 또는 비히클, 예컨대, 보존제 또는 항산화제, 충전제, 붕해제, 습윤제, 유화제, 현탁제, 용매, 분산 매질, 코팅제, 항박테리아 및 항진균제, 등장제, 및 흡수지연제 등을 포함한다. 약제학적 활성 물질을 위한 그러한 매질 및 작용제의 사용은 관련 기술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임의의 통상적인 매질 또는 작용제가 활성 성분과 비혼화성인 경우를 제외하고, 치료 조성물에서의 그의 사용이 고려된다. 보충 활성 성분은 또한 적합한 치료 조합물로서 조성물에 혼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약제학적 염"은 모 화합물이 그의 산 또는 염기염을 제조함으로써 변형된 개시된 화합물의 유도체를 지칭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예를 들어, 비독성 무기산 또는 유기산으로부터 형성된 모 화합물의 통상적인 무독성 염 또는 4차 암모늄 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그러한 통상적인 무독성 염은 무기산, 예컨대, 염산, 브로민산, 황산, 설팜산, 인산, 질산 등; 유기산, 예컨대,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석신산, 타타르산, 시트르산, 메탄설폰산, 벤젠설폰산, 글루쿠론산, 글루탐산, 벤조산, 살리실산, 톨루엔설폰산, 옥살산, 퓨마르산, 말레산, 락트산 등으로부터 제조된 염을 포함한다. 추가의 부가염은 암모늄염, 예컨대, 트로메타민, 메글루민, 에포라민 등, 금속염, 나트륨, 칼륨, 칼슘, 아연 또는 마그네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염은 통상적인 화학적 방법에 의해서 염기성 또는 산성 모이어티를 함유하는 모 화합물로부터 합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염은 이들 화합물의 유리 산성 또는 염기성 형태를 물 또는 유기 용매 또는 이들 둘의 혼합물 중에서 화학양론적 양의 적절한 염기 또는 산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수성 매질, 예컨대, 에터, 에틸 아세테이트, 에탄올, 아이소프로판올 또는 아세토나이트릴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염의 목록은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7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85, p. 1418]에서 발견되며, 이의 개시내용은 참고로 포함된다.
"투여하는" 또는 "투여"는 대상체에게 약제학적 약물 또는 기타 작용제를 전송, 전달, 도입 또는 수송하는 임의의 모드를 지칭한다. 이러한 모드는 경구 투여, 국소 접촉, 정맥내, 복강내, 근육내, 병변내, 비강내, 피하 또는 척추강내 투여를 포함한다. 작용제의 투여 시 장치 또는 장비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본 발명에서 고려된다. 이러한 장치는 능동적 또는 수동적 수송을 이용할 수 있고, 느린-방출 또는 신속-방출 전달 장치일 수 있다.
암의 맥락에서, 용어 "치료하는"은 종양 세포 또는 암세포의 성장의 예방, 종양 세포 또는 암세포의 복제 예방, 전체 종양 부하의 경감 및 질환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증상의 개선 중 임의의 것 또는 모두를 포함한다.
자가면역 질환의 맥락에서, 용어 "치료하는"은 자가면역 항체를 생산할 수 있는 세포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은 자가면역 질환 상태와 연관된 세포의 복제 예방, 자가면역 항체 부하의 경감 및 자가면역 질환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개선 중 임의의 것 또는 모두를 포함한다.
감염 질환의 맥락에서, 용어 "치료하는"은 감염 질환을 유발하는 병원체의 성장, 증식 또는 복제의 예방 및 감염 질환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개선 중 임의의 것 또는 모두를 포함한다.
"포유동물" 또는 "동물"의 예는 인간, 래트, 마우스, 기니피그, 원숭이, 돼지, 염소, 소, 말, 개, 고양이 새 및 가금류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신규 접합체는 브리지 링커를 사용한다. 일부 적합한 링커의 예 및 이들의 합성을 도 1 내지 도 34에 도시한다.
측쇄-링키지를 통한 세포-결합제-세포독성 분자의 접합체
본 발명의 일 양상에서, 측쇄-링키지를 함유하는 접합체는 하기 화학식 (I)로 표현된다:
Figure pct00010
식 중,
"
Figure pct00011
"는 단일 결합을 나타내고; n은 1 내지 30이며;
T는 항체, 단일 쇄 항체, 표적 세포에 결합하는 항체 단편, 단클론성 항체, 단일 쇄 단클론성 항체, 표적 세포에 결합하는 단클론성 항체 단편, 키메라 항체, 표적 세포에 결합하는 키메라 항체 단편, 도메인 항체, 표적 세포에 결합하는 도메인 항체 단편, 항체를 모방하는 어드넥틴, DARPin, 림포카인, 호르몬; 비타민; 성장 인자, 집락 자극 인자; 또는 영양분-수송 분자(트랜스페린), 및/또는 알부민, 중합체, 덴드리머, 리포솜, 나노입자, 소낭(), 또는 (바이러스성) 캡시드 상에 부착된 세포-결합 펩타이드, 단백질 또는 소분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세포-결합제(세포-결합제)/분자이고;
L1 및 L2는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00개의 원자를 갖는, C, N, O, S, Si 및 P로부터 선택된 원자의 쇄이고, 이것은 W 및 V1 및 V1 및 V2에 공유 연결된다. L1 및 L2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이러한 원자는 모든 화학적으로 관련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고, 예컨대, 알킬렌, 알켄일렌, 및 알킨일렌, 에터, 폴리옥시알킬렌, 에스터, 아민, 이민, 폴리아민, 하이드라진, 하이드라존, 아마이드, 유레아, 세미카바자이드, 카바자이드, 알콕시아민, 알콕실아민, 우레탄, 아미노산, 펩타이드, 아실옥실아민, 하이드록삼산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L1 및 L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O, NH, N, S, P, NNH, NHNH, N(R3), N(R3)N(R3'), CH, CO, C(O)NH, C(O)O, NHC(O)NH, NHC(O)O, 화학식 (OCH2CH2)pOR3 또는 (OCH2CH-(CH3))pOR3 또는 NH(CH2CH2O)pR3 또는 NH(CH2CH(CH3)O)pR3 또는 N[(CH2CH2O)pR3]-[(CH2CH2O)p'R3'] 또는 (OCH2CH2)pCOOR3 또는 CH2CH2(OCH2CH2)pCOOR3의 폴리에틸렌옥시 단위(식 중, p 및 p'는 독립적으로 0 내지 약 1000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임) 또는 이들의 조합물; C1-C8 알킬; C2-C8의 헤테로알킬, 알킬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3-C8의 아릴, Ar-알킬, 복소환식, 탄소환식,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알킬사이클로알킬, 알킬카보닐, 헤테로아릴; 또는 (Aa)r(r은 1 내지 12이고(1 내지 12개의 아미노산 단위), 이것은 자연 또는 비자연 아미노산, 또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서열의 다이펩타이드, 트라이펩타이드, 테트라펩타이드, 펜타펩타이드, 헥사펩타이드, 헵타펩타이드, 옥타펩타이드, 노나펩타이드, 데카펩타이드, 운데카펩타이드 또는 도데카펩타이드 단위로 구성됨)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W는 C1-C18, 일반적으로 자기-희생 스페이서, 펩타이드 단위, 하이드라존, 다이설파이드, 티오에터, 에스터 또는 아마이드 결합을 갖는 스트레처 단위이고; w는 1 또는 2 또는 3이며;
V1 및 V2는 독립적으로 스페이서 단위이고, O, NH, S, C1-C8 알킬, C2-C8 헤테로알킬, 알켄일 또는 알킨일, C3-C8 아릴, 복소환식, 탄소환식, 사이클로알킬, 알킬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아르알킬, 헤테로알킬사이클로알킬 또는 알킬카보닐 또는 (Aa)r(r은 1 내지 12이고(1 내지 12개 아미노산 단위), 이것은 자연 또는 비자연 아미노산, 또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서열의 다이펩타이드, 트라이펩타이드, 테트라펩타이드, 펜타펩타이드, 헥사펩타이드, 헵타펩타이드, 옥타펩타이드, 노나펩타이드, 데카펩타이드, 운데카펩타이드 또는 도데카펩타이드 단위로 구성됨); 또는 (CH2CH2O)p(p는 0 내지 1000임)로부터 선택되며; v1 및 v2는 독립적으로 0, 1 또는 2이지만, v1 및 v2는 동시에 0은 아니고; v1 또는 v2가 0인 경우, 그것은 측쇄 Q1 또는 Q2 단편 중 하나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고;
Q1 및 Q2는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 (I-q1)로 표현되며:
Figure pct00012
식 중,
Figure pct00013
는 L1 또는 L2에 연결된 부위이고; G1 및 G2는 독립적으로 OC(O), NHC(O), C(O), CH2, NH, OC(O)NH, NHC(O)NH, O, S, B, P(O)(OH), NHP(O)(OH), NHP(O)(OH)NH, CH2P(O)(OH)NH, OP(O)(OH)O, CH2P(O)(OH)O, NHS(O)2, NHS(O)2NH, CH2S(O)2NH, OS(O)2O, CH2S(O)2O, Ar, ArCH2, ArO, ArNH, ArS, ArNR1 또는 (Aa)q1이며; G3은 OH, SH, OR1, SR1, OC(O)R1, NHC(O)R1, C(O)R1, CH3, NH2, NR1, +NH(R1), +N(R1)(R2), C(O)OH, C(O)NH2, NHC(O)NH2, BH2, BR1R2, P(O)(OH)2, NHP(O)(OH)2, NHP(O)(NH2)2, S(O)2(OH), (CH2)q1C(O)OH, (CH2)q1P(O)(OH)2, C(O)(CH2)q1C(O)OH, OC(O)(CH2)q1C(O)OH, NHC(O)(CH2)q1C(O)OH, CO(CH2)q1P(O)(OH)2, NHC(O)O(CH2)q1C(O)OH, OC(O)NH(CH2)q1C(O)OH, NHCO(CH2)q1P(O)(OH)2, NHC(O)(NH)(CH2)q1C(O)OH, CONH(CH2)q1P(O)(OH)2, NHS(O)2(CH2)q1C(O)OH, CO(CH2)q1S(O)2(OH), NHS(O)2NH(CH2)q1C(O)OH, OS(O)2NH(CH2)q1C(O)OH, NHCO(CH2)q1S(O)2(OH), NHP(O)(OH)(NH)(CH2)q1C(O)OH, CONH(CH2)q1S(O)(OH), OP(O)(OH)2, (CH2)q1P(O)(NH)2, NHS(O)2(OH), NHS(O)2NH2, CH2S(O)2NH2, OS(O)2OH, OS(O)2OR1, CH2S(O)2OR1, Ar, ArR1, ArOH, ArNH2, ArSH, ArNHR1 또는 (Aa)q1이고; (Aa)q1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서열의 자연 또는 비자연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펩타이드이며; X1 및 X2는 독립적으로 O, CH2, S, S(O), NHNH, NH, N(R1), +NH(R1), +N(R1)(R2), C(O), OC(O), OC(O)O, OC(O)NH, NHC(O)NH이고;
Y2는 O. NH, NR1, CH2, S, NHNH, Ar이며; p1, p2 및 p3은 독립적으로 0 내지 100이지만, 동시에 0은 아니고; q1 및 q2는 독립적으로 0 내지 24이고;
R1, R2, R3 및 R3'는 독립적으로 H, C1~C8 알킬; C2~C8 헤테로알킬 또는 복소환식; C3~C8 아릴, Ar-알킬, 사이클로알킬, 알킬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알킬사이클로알킬, 탄소환식 또는 알킬카보닐이며;
바람직하게는 Q1 및 Q2는 독립적으로 C2-C100 폴리카복실산; C2-C90 폴리알킬아민; C6-C90 올리고당 또는 다당류; 4차 암모늄 양이온 및 설포네이트 음이온으로 이루어진 C6-C100 쯔비터이온성 베타인 또는 쯔비터이온성 폴리(설포베타인)(PSB); 예컨대, 폴리(락트산/글리콜산)(PLGA), 폴리(아크릴레이트), 키토산, N-(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아마이드의 공중합체, 폴리[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포스포릴콜린](PMPC), 폴리-L-글루탐산, 폴리(락티드-코-글리콜리드)(PLG), 폴리(락티드-코-글리콜리드),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PG), 폴리(락티드-코-글리콜리드), 폴리(에틸렌 글리콜)-변형된 펩타이드, 폴리(에틸렌 글리콜)-함유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 폴리(에틸렌 글리콜)-변형된 지질, 폴리(에틸렌 글리콜)-변형된 알킬카복실산, 폴리(에틸렌 글리콜)-변형된 알킬아민, 폴리(락티드-코-글리콜리드, 히알루론산(HA)(글리코사미노글리칸), 헤파린/헤파란 설페이트(HSGAG),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더마탄 설페이트(CSGAG), 폴리(에틸렌 글리콜)-변형된 알킬설페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변형된 알킬포스페이트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변형된 알킬 4차 암모늄으로 구성된 C6-C100 생분해성 중합체이다.
Q1 및 Q2의 예시적인 구조를 하기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식 중, R25 및 R25'는 H; HC(O), CH3C(O), CH3C(NH), C1-C18 알킬, C1-C18 알킬, 알킬-Y1-SO3H, C1-C18 알킬-Y1-PO3H2, C1-C18 알킬-Y1-CO2H, C1-C18 알킬-Y1-N+R1'R2'R3'R4', C1-C18 알킬-Y1-CONH2, C2-C18 알킬렌, C2-C18 에스터, C2-C18 에터, C2-C18 아민, C2-C18 알킬 카복실아마이드, C3-C18 아릴, C3-C18 환식 알킬, C3-C18 복소환식, 1 내지 24개의 아미노산; C2-C18 지질, C2-C18 지방산 또는 C2-C18 지방 암모늄 지질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X1 및 X2는 NH, N(R1'), O, CH2, S, C(O), S(O), S(O2), P(O)(OH), NHNH, CH=CH, Ar 또는 (Aa)q1(q1은 0 내지 24(0 내지 24개의 아미노산)이고, q1이 0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함)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X1, X2, X3, X4, Y1, Y2 및 Y3은 NH, N(R1'), O, C(O), CH2, S, S(O), NHNH, C(O), OC(O), OC(O)O, OC(O)NH, NHC(O)NH, Ar 또는 Ar 또는 (Aa)q1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X1, X2, X3, X4, Y1, Y2 및 Y3은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수 있고; p1, p2 및 p3은 독립적으로 0 내지 100이지만, 동시에 0은 아니며; q1, q2 및 q3은 독립적으로 0 내지 24이며; R1', R2', R3' 및 R4'는 H 및 C1-C6 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Aa는 자연 또는 비자연 아미노산이며; Ar 또는 (Aa)q1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서열의 펩타이드이고; q1이 0이라는 것은 (Aa)q1이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하고;
D는 하기 화학식 (II)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또는 수화된 염; 또는 다형성 결정 구조; 또는 광학 이성질체, 라세미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또는 거울상이성질체를 갖는 튜불리신 유사체이고:
Figure pct00017
식 중,
Figure pct00018
는 독립적으로 W에 연결되는 링키지 부위이고;
R1, R2,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H, C1~C8 알킬; C2~C8 헤테로알킬 또는 복소환식; C3~C8 아릴, Ar-알킬, 사이클로알킬, 알킬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알킬사이클로알킬, 탄소환식 또는 알킬카보닐이거나; 또는 R1R2, R1R3, R2 R3, R3 R4, R5 R6, R11 R12 또는 R13 R14는 3 내지 7원의 탄소환식, 사이클로알킬, 복소환식,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고리계를 형성하고; R1 및 R2는 이들이 독립적으로 또는 동시에 W에 연결된 경우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수 있고, Y1은 N 또는 CH이고;
R5 , R6, R8, R10 및 R11은 독립적으로 H 또는 C1~C4 알킬 또는 헤테로알킬이며;
R7은 독립적으로 H, R14, -R14C(=O)X1R15; 또는 -R14X1R15이고; X1은 O, S, S-S, NH, CH2 또는 NR14이며;
R9는 H, OH, -O-, =O, -OR14, -OC(=O)R14, -OC(=O)NHR14-, -OC(=O) R14SSR15-, OP(=O)(OR14)-, -OC(=O)NR14R15, OP(=O)(OR14) 또는 OR14OP(=O)(OR15)로부터 선택되고;
R11은 독립적으로 H, R14, -R14C(=O)R16, -R14X2R16, -R14C(=O)X2이되, X2는 -O-, -S-, -NH-, -N(R14)-, -O-R14-, -S-R14-, -S(=O)-R14- 또는 -NHR14이며;
R12는 R15, -OH, -SH,-NH2, NH, NHNH2, -NH(R15), -OR15, - R15COR16, - R15COOR16, -R15C(O)NH2, -R15C(O)NHR17, -SR16, R15S(=O)R16, -R15P(=O)(OR17)2, -R15OP(=O)(OR17)2, -CH2OP(=O)(OR17)2, -R15SO2R17, -R15X2R16, -R15C(=O)X2이되, X2는 -O-, OH, SH, -S-, NH2, -NH-, -N(R15)-, -O-R15-, -S-R15-, -S(=O)-R15-, CH2 또는 -NHR15-이고;
R13 및 R14는 독립적으로 H, O, S, NH, N(R15), NHNH, -OH, -SH, -NH2, NH, NHNH2, -NH(R15), -OR15, CO, -COX2, -COX2R16, R17, F, Cl, Br, I, SR16, NR16R17, N=NR16, N=R16, NO2, SOR16R17, SO2R16, SO3R16, OSO3R16, PR16R17, POR16R17, PO2R16R17, OP(O)(OR17)2, OCH2OP(O)(OR17)2, OC(O)R17, OC(O)OP(O)(OR17)2, PO(OR16)(OR17), OP(O)(OR17)OP(O)(OR17)2, OC(O)NHR17; -O-(C4-C12 글리코사이드), -N-(C4-C12 글리코사이드); C1~C8 알킬, 헤테로알킬; C2-C8의 알켄일, 알킨일, 헤테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3-C8의 아릴, Ar-알킬, 탄소환식,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알킬사이클로알킬, 알킬카보닐, 헤테로아릴 또는 2 내지 8개 탄소 원자의 에스터, 에터 또는 아마이드; 또는 1 내지 8개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펩타이드(NH(Aa)1~8 또는 CO(Aa)1~8(N-말단 또는 C-말단의 1 내지 8개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아미노산), 또는 화학식 (OCH2CH2)p 또는 (OCH2CH(CH3))p의 폴리에틸렌옥시 단위(식 중, p는 0 내지 약 1000의 정수임) 또는 이들 군의 조합물이고; X2는 O, S, S-S, NH, CH2, OH, SH, NH2, CHR14 또는 NR14이며;
R15, R16 및 R17은 독립적으로 H, C1~C8 알킬, 헤테로알킬; C2-C8의 알켄일, 알킨일, 헤테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3-C8의 아릴, Ar-알킬, 탄소환식,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알킬사이클로알킬, 알킬카보닐, 헤테로아릴, 알킬카보닐 또는 Na+, K+, Cs+, Li+, Ca2+, Mg+, Zn2+, N+(R1)(R2)(R3)(R4), HN+(C2H5OH)3 염이고;
Y1 및 Y2는 독립적으로 N 또는 CH이며; q는 0 또는 1이고; q가 0이고, Y3이 존재하지 않고, Y4, Y5, Y6 및 Y7이 독립적으로 CH, N, NH, O, S 또는 N(R1)인 경우, 따라서 Y2, Y4, Y5, Y6 및 Y7은 퓨란, 피롤, 티오펜, 티아졸, 옥사졸 및 이미다졸, 피라졸, 트라이아졸, 테트라졸, 티아다이아졸의 헤테로방향족 고리를 형성하고; q가 1이고, Y3, Y4, Y5, Y6 및 Y7이 독립적으로 CH 또는 N인 경우, 따라서 Y2, Y3, Y4, Y5, Y6 및 Y7은 벤젠, 피리딘, 피리다진, 피리미딘, 피라진, 트라이아진, 테트라진, 펜타진의 방향족 고리를 형성한다.
튜불리신 구조의 예를 하기에 도시한다: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Figure pct00024
Figure pct00025
Figure pct00026
Figure pct00027
Figure pct00028
Figure pct00029
식 중, R20은 H; C1-C8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또는 헤테로알킬; C2-C8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켄일, 알킨일, 알킬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3-C8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아릴, Ar-알킬, 복소환식, 탄소환식,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알킬사이클로알킬, 알킬카보닐, 헤테로아릴; 카보네이트(-C(O)OR17), 카바메이트(-C(O)NR17R18); 또는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의 카복실레이트, 에스터, 에터 또는 아마이드; 또는 1 내지 8개의 아미노산; 또는 화학식 (OCH2CH2)p 또는 (OCH2CH(CH3))p의 폴리에틸렌옥시 단위이되, p는 0 내지 약 1000의 정수이거나; 또는 R20은 존재하지 않고, 산소는 케톤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형성하고; Z3 및 Z3은 독립적으로 H, OH, NH2, O, NH, COOH, COO, C(O),C(O), C(O)NH, C(O)NH2, R18, OCH2OP(O)(OR18)2, OC(O)OP(O)(OR18)2, OPO(OR18)2, NHPO(OR18)2, OP(O)(OR18)OP(O)(OR18)2, OC(O)R18, OC(O)NHR18, OSO2(OR18),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또는 헤테로알킬의 O-(C4-C12-글리코사이드); C2-C8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켄일, 알킨일, 알킬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3-C8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아릴, Ar-알킬, 복소환식, 탄소환식,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알킬사이클로알킬, 알킬카보닐, 헤테로아릴; 카보네이트(-C(O)OR17), 카바메이트(-C(O)NR17R18)이고; R17 및 R18는 독립적으로 H,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또는 헤테로알킬; C2-C8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켄일, 알킨일, 알킬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3-C8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아릴, Ar-알킬, 복소환식, 탄소환식,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알킬사이클로알킬, 알킬카보닐, 헤테로아릴; 카보네이트(-C(O)OR17), 카바메이트(-C(O)NR17R18)이며; R19는 H, OH, NH2, OSO2(OR18), XCH2OP(O)(OR18)2, XPO(OR18)2, XC(O)OP(O)(OR18)2, XC(O)R18, XC(O)NHR18 , C1~C8 알킬 또는 카복실레이트; C2~C8 알켄일, 알킨일, 알킬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3~C8 아릴 또는 알킬카보닐; 또는 약제학적 염이며; X는 O, S, NH, NHNH 또는 CH2이고; R7은 상기와 동일하게 정의된다.
추가로, W, L1, L2, V1, 및 V2는 독립적으로 하기에 도시된 구조 1 내지 12개의 자연 또는 비자연 아미노산 단위를 갖는 자연 또는 비자연 펩타이드로서 6-말레이미도카프로일("MC"), 말레이미도프로판오일("MP"), 발린-시트룰린("val-cit" 또는 "vc"), 알라닌-페닐알라닌("ala-phe" 또는 "af"), p-아미노벤질옥시-카보닐("PAB"), 4-티오펜타노에이트("SPP"), 4-(N-말레이미도메틸)사이클로헥산-1 카복실레이트("MCC"), (4-아세틸)아미노-벤조에이트("SIAB"), 4-티오-부티레이트(SPDB), 4-티오-2-하이드록시설포닐-부티레이트(2-설포-SPDB) 중 하나 이상의 링커 성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자연 아미노산은 바람직하게는 아스파트산, 글루탐산, 아르기닌, 히스티딘, 라이신, 세린, 트레오닌,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시스테인, 셀레노시스테인, 타이로신, 페닐알라닌, 글리신, 프롤린, 트립토판, 알라닌;
Figure pct00030
Figure pct00031
및 1 내지 20개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L- 또는 D-, 자연 또는 비자연 펩타이드로부터 선택되고;
W, L1, L2 V1 및 V2는 또한 독립적으로 자기-희생 또는 비-자기-희생 성분, 펩타이드 단위, 하이드라존 결합, 다이설파이드, 에스터, 옥심, 아마이드 또는 티오에터 결합을 함유할 수 있다. 자기-희생 단위는 파라-아미노벤질카바모일(PAB)기, 예컨대, 2-아미노이미다졸-5-메탄올 유도체, 복소환식 PAB 유사체, 베타-글루쿠로나이드 및 오쏘 또는 파라-아미노벤질아세탈과 전기적으로(electronically) 유사한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자기-희생 링커 성분은 하기 구조 중 하나를 갖는다:
Figure pct00032
식 중, (*) 원자는 추가적인 스페이서 또는 해방 가능한 링커 단위 또는 세포독성제 및/또는 결합 분자(CBA)의 부착점이고; X1, Y1, Z2 및 Z3은 독립적으로 NH, O 또는 S이며; Z1은 독립적으로 H, NHR1, OR1, SR1, COX1R1이되, X1 및 R1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고; v는 0 또는 1이고; U1은 독립적으로 H, OH, C1~C6 알킬, (OCH2CH2)n, F, Cl, Br, I, OR5, SR5, NR5R5', N=NR5, N=R5, NR5R5', NO2, SOR5R5', SO2R5, SO3R5, OSO3R5, PR5R5', POR5R5', PO2R5R5', OPO(OR5)(OR5') 또는 OCH2PO(OR5(OR5')이되, R5 및 R5'는 H, C1~C8 알킬; C2~C8 알켄일, 알킨일, 헤테로알킬 또는 아미노산; C3~C8 아릴, 복소환식, 탄소환식,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아르알킬, 알킬카보닐 또는 글리코사이드; 또는 약제학적 양이온 염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W, L1, L2 V1 및 V2는 또한 독립적으로 하기 구조 중 하나를 갖는 비-자기-희생 링커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Figure pct00033
Figure pct00034
Figure pct00035
식 중, (*) 원자는 추가 스페이서 또는 해방 가능한 링커, 세포독성제 및/또는 결합 분자의 부착점이고; X1, Y1, U1, R5, R5'는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고; r은 0 내지 100이며; m 및 n은 독립적으로 0 내지 6이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W, L1, L2 V1, 및 V2는 독립적으로 해방 가능한 링커 성분일 수 있다. 용어 해방 가능한은 생리 조건 하에서 파괴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예컨대, pH-불안정한, 산-불안정한, 염기-불안정한, 산화적으로 불안정한, 대사적으로 불안정한, 생화학적으로 불안정한 또는 효소-불안정한 결합을 포함하는 링커를 지칭한다. 결합 파괴를 초래하는 이러한 생리 조건은 생물학적 또는 대사 과정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대신에 표준 화학 반응, 예컨대 가수분해 또는 치환 반응, 예를 들어, 세포질 pH보다 낮은 pH를 갖는 엔도좀, 및/또는 악성 세포 내의 글루타티온이 풍부한 밀리몰 범위와 같은 세포 내 티올과의 다이설파이드 결합 교환 반응을 포함할 수 있다고 인지된다.
W, L1, L2 V1 및 V2의 해방 가능한 성분의 예는 독립적으로 하기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CR5R6)m(Aa)r(CR7R8)n(OCH2CH2)t-, -(CR5R6)m(CR7R8)n(Aa)r(OCH2CH2)t-, -(Aa)r-(CR5R6)m(CR7R8)n(OCH2CH2)t-, -(CR5R6)m(CR7R8)n(OCH2CH2)r(Aa)t-, -(CR5R6)m-(CR7=CR8)(CR9R10)n(Aa) t(OCH2CH2)r-, -(CR5R6)m(NR11CO)(Aa)t(CR9R10)n-(OCH2CH2)r-, -(CR5R6)m(Aa)t(NR11CO)(CR9R10)n(OCH2CH2)r-,-(CR5R6)m(OCO)(Aa)t(CR9R10)n-(OCH2CH2)r-, -(CR5R6)m(OCNR7)(Aa)t(CR9R10)n(OCH2CH2)r-, -(CR5R6)m(CO)(Aa)t-(CR9R10)n(OCH2CH2)r-, -(CR5R6)m(NR11CO)(Aa)t(CR9R10)n(OCH2CH2)r-, -(CR5R6)m-(OCO)(Aa)t(CR9R10)n-(OCH2CH2)r-, -(CR5R6)m(OCNR7)(Aa)t(CR9R10)n(OCH2CH2)r-, -(CR5R6)m(CO)(Aa)t(CR9R10)n-(OCH2CH2)r-, -(CR5R6)m-페닐-CO(Aa)t(CR7R8)n-, -(CR5R6)m-퓨릴-CO(Aa)t(CR7R8)n-, -(CR5R6)m-옥사졸릴-CO(Aa)t(CR7R8)n-, -(CR5R6)m-티아졸릴-CO(Aa)t(CCR7R8)n-, -(CR5R6)t-티엔일-CO(CR7R8)n-, -(CR5R6)t-이미다졸릴-코-(CR7R8)n-, -(CR5R6)t-몰폴리노-CO(Aa)t-(CR7R8)n-, -(CR5R6)t피페라지노-CO(Aa)t-(CR7R8)n-, -(CR5R6)t-N-메틸피페라진-CO(Aa)t-(CR7R8)n-, -(CR5R)m-(Aa)t페닐-, -(CR5R6)m-(Aa)t퓨릴-, -(CR5R6)m-옥사졸릴(Aa)t-, -(CR5R6)m-티아졸릴(Aa)t-, -(CR5R6)m-티엔일-(Aa)t-, -(CR5R6)m-이미다졸릴(Aa)t-, -(C R5R6)m-몰폴리노-(Aa)t-, -(CR5R6)m-피페라지노-(Aa)t-, -(CR5R6)m-N-메틸피페라지노-(Aa)t-, -K(CR5R6)m-(Aa)r(CR7R8)n(OCH2CH2)t-, -K(CR5R6)m(CR7R8)n(Aa)r(OCH2CH2)t-, -K(Aa)r-(CR5R6)m-(CR7R8)n(OCH2CH2)t-, -K(CR5R6)m(CR7R8)n(OCH2CH2)r(Aa)t-, -K(CR5R6)m-(CR7=CR8)-(CR9R10)n(Aa)t(OCH2CH2)r-, -K(CR5R6)m(NR11CO)(Aa)t(CR9R10)n(OCH2CH2)r-, -K(CR5R6)m(Aa)t(NR11CO)(CR9R10)n(OCH2CH2)r-, -K(CR5R6)m(OCO)(Aa)t(CR9R10)n-(OCH2CH2)r-, -K(CR5R6)m(OCNR7)(Aa)t(CR9R10)n(OCH2CH2)r-, -K(CR5R6)m(CO)(Aa)t-(CR9R10)n(OCH2CH2)r-, -K(CR5R6)m(NR11CO)(Aa)t(CR9R10)n(OCH2CH2)r-, -K(CR5R6)m-(OCO)(Aa)t(CR9R10)n(OCH2CH2)r-, -K(CR5R6)m(OCNR7)(Aa)t(CR9R10)n(OCH2CH2)r-, -K-(CR5R6)m(CO)(Aa)t(CR9R10)n(OCH2CH2)r-, -K(CR5R6)m-페닐-CO(Aa)t(CR7R8)n-, -K-(CR5R6)m-퓨릴-CO(Aa)t-(CR7R8)n-, -K(CR5R6)m-옥사졸릴-CO(Aa)t(CR7R8)n-, -K(CR5R6)m-티아졸릴-CO(Aa)t-(CR7R8)n-, -K(CR5R6)t-티엔일-CO(CR7R8)n-, -K(CR5R6)t이미다졸릴-코-(CR7R8)n-, -K(CR5R6)t몰폴리노-CO(Aa)t(CR7R8)n-, -K(CR5R6)t피페라지노-CO(Aa)t-(CR7R8)n-, -K(CR5R6)t-N-메틸피페라진CO(Aa)t(CR7R8)n-, -K(CR5R)m(Aa)t페닐, -K-(CR5R6)m-(Aa)t퓨릴-, -K(CR5R6)m-옥사졸릴(Aa)t-, -K(CR5R6)m-티아졸릴(Aa)t-, -K(CR5R6)m-티엔일-(Aa)t-, -K(CR5R6)m-이미다졸릴(Aa)t-, -K(CR5R6)m-몰폴리노(Aa)t-, -K(CR5R6)m-피페라지노-(Aa)tG, -K(CR5R6)mN-메틸피페라지노(Aa)t-(식 중, M, Aa, M, n, R3, R4, 및 R5는 상기에 기술되어 있고; t 및 r은 독립적으로 0 내지 100이고; R6, R7, R8, R9, 및 R10은 독립적으로 H; 할라이드; C1~C8의 알킬, 아릴, 알켄일, 알킨일, 에터, 에스터, 아민 또는 아마이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이들은 하나 이상의 할라이드, CN, NR1R2, CF3, OR1, 아릴, 헤테로사이클, S(O)R1, SO2R1, -CO2H, -SO3H, -OR1, -CO2R1, -CONR1, -PO2R1R2, -PO3H 또는 P(O)R1R2R3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치환되고; K는 NR1, -SS-, -C(=O)-, -C(=O)NH-, -C(=O)O-, -C=NH-O-, -C=N-NH-, -C(=O)NH-NH-, O, S, Se, B, Het(C3-C8를 갖는 복소환식 또는 헤테로방향족 고리), 또는 1 내지 20개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펩타이드임).
추가로 W, L1, L2 V1 및 V2의 성분은 독립적으로 하기 친수성 구조 중 하나를 함유할 수 있다:
Figure pct00036
Figure pct00037
식 중,
Figure pct00038
는 링키지의 부위이고; X2, X3, X4, X5, 또는 X6 NH; NHNH; N(R3); N(R3)N(R3'); O; S; C1-C6의 알킬; C2-C6의 헤테로알킬, 알킬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3-C8의 아릴, Ar-알킬, 복소환식, 탄소환식,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알킬사이클로알킬, 알킬카보닐 또는 헤테로아릴; 또는 1 내지 8개의 아미노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R3 및 R3'는 독립적으로 H; C1-C8의 알킬; C2-C8의 헤테로-알킬, 알킬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3-C8의 아릴, Ar-알킬, 복소환식, 탄소환식,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알킬사이클로알킬, 알킬카보닐 또는 헤테로아릴; 또는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의 에스터, 에터 또는 아마이드; 또는 화학식 (OCH2CH2)p 또는 (OCH2CH(CH3))p(식 중, p는 0 내지 약 1000의 정수임)를 갖는 폴리에틸렌옥시 단위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W, L1, L2 V1, 및 V2 성분은 독립적으로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알킬, 또는 화학식 (OCH2CH2)p(p는 1 내지 5000임)를 갖는 폴리에틸렌옥시 단위 또는 1 내지 4개 단위의 아미노산(L 또는 D형)을 함유하는 펩타이드 또는 상기의 조합물이다.
대안적으로, W, Q1, Q2, L1, L2, V1 또는 V2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은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수 있지만, Q1 및 Q2은 동시에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또 다른 양상에서, V1 및/또는 V2가 세포-결합 분자, T에 연결되거나, L1 및/또는 L2가 T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여기서 V1 V2는 존재하지 않음), 이것은 하기 링키지의 구조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Figure pct00039
Figure pct00040
식 중, R20 및 R21은 독립적으로 C1~C8 알킬; C2~C8 헤테로알킬 또는 복소환식; C3~C8 아릴, Ar-알킬, 사이클로알킬, 알킬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알킬사이클로알킬, 탄소환식 또는 알킬카보닐; 또는 (CH2CH2O)p(p는 상기에 정의됨)의 화학식을 갖는 C2-C100 폴리에틸렌 글리콜이다.
또 다른 추가 양상에서, Q1 및 Q2는 바람직하게는 C2-C18 지질 또는 C2-C18 지방산 또는 C2-C18 지방 암모늄 지질을 함유하는 폴리알킬렌 글리콜로부터 선택된다.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제조 동안 접합체를 보다 친수성이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접합체 링커가 가수분해효소, 예를 들어, 프로테이나제 또는 에스터라제에 의해서 가수분해되는 것을 방지한다. 지질은 포유동물 혈액에서 접합체가 알부민에 결합하는 것을 도울 수 있고, 이어서 혈액 순환 동안 이러한 복합체로부터 접합체가 서서히 해리되게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측쇄 링커는 접합체를 순환 시에 더 안정적이게 만든다.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본 명세서에서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및 에틸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공중합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고; PEG가 특히 바람직하고, 일작용성의 활성화된 하이드록시PEG(예를 들어, 단일 말단에서 활성화된 하이드록실 PEG, 예컨대, 하이드록시PEG-모노카복실산의 반응성 에스터, 하이드록시PEG-모노알데하이드, 하이드록시PEG-모노아민, 하이드록시PEG-모노하이드라자이드, 하이드록시PEG-모노카바제이트, 하이드록실 PEG-모노아이오도아세트아마이드, 하이드록실 PEG-모노말레이미드, 하이드록실 PEG-모노오쏘피리딜 다이설파이드, 하이드록시PEG-모노옥심, 하이드록시PEG-모노페닐 카보네이트, 하이드록실 PEG-모노페닐 글리옥살, 하이드록실 PEG-모노티아졸리딘-2-티온, 하이드록실 PEG-모노티오에스터, 하이드록실 PEG-모노티올, 하이드록실 PEG-모노트라이아진 및 하이드록실 PEG-모노바이닐설폰)가 보다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약 10달톤 내지 약 200kDa, 바람직하게는 약 88Da 내지 약 40kDa의 분자량을 갖고; 2개의 분지쇄는 각각 약 88Da 내지 약 40kDa의 분자량을 갖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분지는 각각 약 88Da 내지 약 20kDa이다. 특정 일 실시형태에서,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폴리(에틸렌) 글리콜이고, 약 10kDa; 약 20kDa, 또는 약 40kDa의 분자량을 갖는다. 구체적인 실시형태에서, PEG는 PEG 10kDa(선형 또는 분지형), PEG 20kDa(선형 또는 분지형), 또는 PEG 40kDa(선형 또는 분지형)이다. 다수의 미국 특허,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428,128호; 제5,621,039호; 제5,622,986호; 제5,643,575호; 제5,728,560호; 제5,730,990호; 제5,738,846호; 제5,811,076호; 제5,824,701호; 제5,840,900호; 제5,880,131호; 제5,900,402호; 제5,902,588호; 제5,919,455호; 제5,951,974호; 제5,965,119호; 제5,965,566호; 제5,969,040호; 제5,981,709호; 제6,011,042호; 제6,042,822호; 제6,113,906호; 제6,127,355호; 제6,132,713호; 제6,177,087호, 및 제6,180,095호에는 선형 또는 분지형 "비항원성" PEG 중합체 및 이의 유도체 또는 접합체의 제조가 개시되어 있다.
화학식 (I)의 예를 하기에 열거한다:
Figure pct00041
Figure pct00042
Figure pct00043
Figure pct00044
Figure pct00045
Figure pct00046
Figure pct00047
Figure pct00048
Figure pct00049
Figure pct00050
Figure pct00051
Figure pct00052
Figure pct00053
Figure pct00054
Figure pct00055
Figure pct00056
Figure pct00057
Figure pct00058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또는 수화된 염; 또는 이들 화합물의 다형성 결정 구조; 이들의 광학 이성질체, 라세미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또는 거울상이성질체(식 중, Z3 및 Z3은 독립적으로 H, OH, NH2, O, NH, COOH, COO, C(O),C(O), C(O)NH, C(O)NH2, R18, OCH2OP(O)(OR18)2, OC(O)OP(O)(OR18)2, OPO(OR18)2, NHPO(OR18)2, OP(O)(OR18)OP(O)(OR18)2, OC(O)R18, OC(O)NHR18, OSO2(OR18),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또는 헤테로알킬의 O-(C4-C12-글리코사이드); C2-C8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켄일, 알킨일, 알킬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3-C8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아릴, Ar-알킬, 복소환식, 탄소환식,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알킬사이클로알킬, 알킬카보닐, 헤테로아릴; 카보네이트(-C(O)OR17), 카바메이트(-C(O)NR17R18)이거나;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약 88달톤 내지 약 20kDa의 분자량을 갖고; R17 및 R18는 독립적으로 H,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또는 헤테로알킬; C2-C8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켄일, 알킨일, 알킬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3-C8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아릴, Ar-알킬, 복소환식, 탄소환식,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알킬사이클로알킬, 알킬카보닐, 헤테로아릴; 카보네이트(-C(O)OR17), 카바메이트(-C(O)NR17R18)이고; R19는 H, OH, NH2, OSO2(OR18), XCH2OP(O)(OR18)2, XPO(OR18)2, XC(O)OP(O)(OR18)2, XC(O)R18, XC(O)NHR18 , C1~C8 알킬 또는 카복실레이트; C2~C8 알켄일, 알킨일, 알킬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3~C8 아릴 또는 알킬카보닐; 또는 약제학적 염이며; X, X1, X2 및 X3은 독립적으로 O, S, NH, NHNH 또는 CH2이고; q1, q2 및 q3은 0 내지 24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p, p1 및 p2는 독립적으로 1 내지 100이며; R1', R2', R3' 및 R4'는 H 및 C1-C6 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Aa는 자연 또는 비자연 아미노산이며; r은 0 내지 12이며; (Aa)r은 r이 2보다 큰 경우 동일하거나 상이한 아미노산 서열을 함유하는 펩타이드이고; r이 0이라는 것은 (Aa)r이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하고; m 및 n은 독립적으로 1 내지 30임).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서, 측쇄-링키지를 함유하는 접합체를 하기 화학식 (III)으로 나타낸다:
Figure pct00059
식 중 D, W, w, L1, L2, Q1, Q2, V1, V2, v1, v2, n, T는 화학식 (I)에서와 동일하게 정의된다.
화학식 (III) 구조의 예는 하기와 같다:
Figure pct00060
Figure pct00061
Figure pct00062
Figure pct00063
Figure pct00064
Figure pct00065
Figure pct00066
Figure pct00067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또는 수화된 염; 또는 이들 화합물의 다형성 결정 구조; 이들의 광학 이성질체, 라세미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또는 거울상이성질체(식 중, X1, X2, X3, M, n, (Aa)r, p1, p2, p3, q1, q2는 상기에 기재되어 있음).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서, 측쇄-링키지 화합물은 화학식 (IV)로 표현되며, 이것은 세포-결합 분자 T 또는 변형된 세포-결합 분자 T와 쉽게 반응하여 화학식 (I)의 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Figure pct00068
식 중, D, W, w, L1, L2, Q1, Q2, V1, V2, v1, v2 및 n은 화학식 (I)에서와 동일하게 정의되고;
Lv1은 세포-결합 분자 상의 티올, 아민, 카복실산, 셀레놀, 페놀 또는 하이드록시와 반응할 수 있는 반응기이다. 이러한 반응기는 할라이드(예를 들어, 플루오라이드,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및 아이오다이드), 메탄설포닐(메실), 톨루엔설포닐(토실), 트라이플루오로메틸-설포닐(트라이플레이트), 트라이플루오로메틸설포네이트, 나이트로페녹실, N-석신이미딜옥실(NHS), 페녹실; 다이나이트로페녹실; 펜타플루오로페녹실, 테트라플루오로페녹실, 트라이플루오로페녹실, 다이플루오로페녹실, 모노플루오로페녹실, 펜타클로로-페녹실, 1H-이미다졸-1-일, 클로로페녹실, 다이클로로페녹실, 트라이클로로페녹실, 테트라클로로페녹실, N-(벤조트라이아졸-일)옥실, 2-에틸-5-페닐아이속사졸륨-3'-설포닐, 페닐옥사다이아졸-설포닐(-설폰-ODA), 2-에틸-5-페닐아이속사졸륨-일, 페닐옥사다이아졸-일(ODA), 옥사다이아졸-일, 불포화 탄소(탄소-탄소, 탄소-질소, 탄소-황, 탄소-인, 황-질소, 인-질소, 산소-질소 또는 탄소-산소 사이의 이중 또는 삼중 결합), 또는 미츠노부 반응을 위한 축합 시약을 사용하여 생성된 중간체 분자이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축합 시약의 예는 EDC(N-(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다이이미드), DCC(다이사이클로헥실-카보다이이미드), N,N'-다이아이소프로필-카보다이이미드(DIC), N-사이클로헥실-N'-(2-몰폴리노-에틸)카보다이이미드 메토-p-톨루엔설포네이트(CMC 또는 CME-CDI), 1,1'-카보닐다이이미다졸(CDI), TBTU(O-(벤조트라이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N,N,N',N'-테트라메틸-O-(1H-벤조트라이아졸-1-일)-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BTU), (벤조트라이아졸-1-일옥시)트리스-(다이메틸아미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BOP), (벤조트라이아졸-1-일옥시)트라이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yBOP), 다이에틸 사이아노포스포네이트(DEPC), 클로로-N,N,N',N'-테트라메틸폼아미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비스(다이메틸아미노)메틸렌]-1H-1,2,3-트라이아졸로[4,5-b]피리디늄 3-옥사이드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ATU), 1-[(다이메틸아미노)(몰폴리노)메틸렌]-1H-[1,2,3]트라이아졸로[4,5-b]피리딘-1-윰 3-옥사이드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DMA), 2-클로로-1,3-다이메틸-이미다졸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CIP), 클로로트라이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yCloP), 플루오로-N,N,N',N'-비스(테트라메틸렌)폼아미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BTFFH), N,N,N',N'-테트라메틸-S-(1-옥사이도-2-피리딜)티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O-(2-옥소-1(2H)피리딜)-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TPTU), S-(1-옥사이도-2-피리딜)-N,N,N',N'-테트라메틸티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O-[(에톡시카보닐)-사이아노메틸렌아미노]-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OTU), (1-사이아노-2-에톡시-2-옥소에틸리덴아미노-옥시)다이메틸아미노-몰폴리노-카베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COMU), O-(벤조트라이아졸-1-일)-N,N,N',N'-비스(테트라메틸렌)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BPyU), N-벤질-N'-사이클로헥실-카보다이이미드(중합체 결합되거나 결합되지 않음), 다이피롤리디노(N-석신이미딜-옥시)카베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SPyU), 클로로다이피롤리디노카베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yClU), 2-클로로-1,3-다이메틸이미다졸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CIB), (벤조트라이아졸-1-일옥시)다이피페리디노-카베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BPipU), O-(6-클로로벤조트라이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TCTU), 브로모트리스(다이메틸아미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BroP), 프로필포스폰산 무수물(PPACA, T3P®), 2-몰폴리노에틸 아이소사이아나이드(MEI), N,N,N',N'-테트라메틸-O-(N-석신이미딜)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STU), 2-브로모-1-에틸-피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BEP), O-[(에톡시카보닐)사이아노-메틸렌아미노]-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TOTU), 4-(4,6-다이메톡시-1,3,5-트라이아진-2-일)-4-메틸모폴리늄클로라이드(MMTM, DMTMM), N,N,N',N'-테트라메틸-O-(N-석신이미딜)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TSTU), O-(3,4-다이하이드로-4-옥소-1,2,3-벤조트라이아진-3-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TDBTU),1,1'-(아조다이카보닐)-다이피페리딘(ADD), 다이-(4-클로로벤질)-아조다이카복실레이트(DCAD), 다이-tert-부틸 아조다이카복실레이트(DBAD), 다이아이소프로필 아조다이카복실레이트(DIAD), 다이에틸 아조다이카복실레이트(DEAD)이다. 또한, Lv1 및 Lv2는 산 자체에 의해서 형성되거나 또는 다른 C1~C8 산 무수물과 함께 형성된 무수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Lv1은 할라이드(예를 들어, 플루오라이드,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및 아이오다이드), 메탄설포닐(메실), 톨루엔설포닐(토실), 트라이플루오로메틸-설포닐(트라이플레이트), 트라이플루오로메틸설포네이트, 나이트로페녹실, N-석신이미딜옥실(NHS), 페녹실; 다이나이트로페녹실; 펜타플루오로페녹실, 테트라플루오로페녹실, 트라이플루오로페녹실, 다이플루오로페녹실, 모노플루오로-페녹실, 펜타클로로페녹실, 1H-이미다졸-1-일, 클로로페녹실, 다이클로로페녹실, 트라이클로로페녹실, 테트라클로로페녹실, N-(벤조트라이아졸-일)옥실, 2-에틸-5-페닐아이속사졸륨-3'-설포닐, 페닐옥사다이아졸-설포닐(-설폰-ODA), 2-에틸-5-페닐아이속사졸륨-일, 페닐옥사다이아졸-일(ODA), 옥사다이아졸-일, 불포화 탄소(탄소-탄소, 탄소-질소, 탄소-황, 탄소-인, 황-질소, 인-질소, 산소-질소 또는 탄소-산소 간의 이중 또는 삼중 결합), 또는 하기 구조 중 하나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069
Figure pct00070
식 중, X1'는 F, Cl, Br, I 또는 Lv3이고; X2'는 O, NH, N(R1) 또는 CH2이며; R3은 독립적으로 H, 방향족, 헤테로방향족 또는 방향족기이고, 여기서 하나 또는 몇몇 H 원자는 독립적으로 -R1, -할로겐, -OR1, -SR1, -NR1R2, - NO2, -S(O)R1,-S(O)2R1, 또는 -COOR1에 의해서 대체되고; Lv3은 F, Cl, Br, I, 나이트로페놀;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NHS); 페놀; 다이나이트로페놀; 펜타플루오로페놀; 테트라플루오로페놀; 다이플루오로페놀; 모노플루오로페놀; 펜타클로로페놀; 트라이플레이트; 이미다졸; 다이클로로페놀; 테트라클로로페놀; 1-하이드록시벤조트라이아졸; 토실레이트; 메실레이트; 2-에틸-5-페닐아이속사졸륨-3'-설포네이트, 그 자체로부터 형성되거나 또는 다른 무수물과 함께 형성된 무수물, 예를 들어, 아세틸 무수물, 폼일 무수물; 또는 펩타이드 커플링 반응 또는 미츠노부 반응을 위한 축합 시약으로 생성된 중간체 분자로부터 선택된 이탈기이다.
화학식 (IV)의 예를 하기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71
Figure pct00072
Figure pct00073
Figure pct00074
Figure pct00075
Figure pct00076
Figure pct00077
Figure pct00078
Figure pct00079
Figure pct00080
Figure pct00081
Figure pct00082
Figure pct00083
Figure pct00084
Figure pct00085
Figure pct00086
Figure pct00087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또는 수화된 염; 또는 이들 화합물의 다형성 결정 구조; 이들의 광학 이성질체, 라세미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또는 거울상이성질체(식 중, X1, X2, X3, Z2, Z3, p, p1, p2, p3, q1, q2, Lv3, (Aa)r, R25, R25' 및 m은 상기에 기재되어 있음).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서, 측쇄-링키지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V)로 표현되고, 이것은 세포-결합 분자 T와 쉽게 반응하여 화학식 (III)의 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Figure pct00088
식 중, D, W, w, L1, L2, Q1, Q2, V1, V2, v1, v2 및 n은 화학식 (I)에서와 동일하게 정의되고; Lv1 및 Lv2는 독립적으로 화학식 (IV)에서 Lv1의 동일한 정의를 갖고, Lv1 및 Lv2 둘 다는 화학식 (V)에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화학식 (V)의 예를 하기에 도시한다:
Figure pct00089
Figure pct00090
Figure pct00091
Figure pct00092
Figure pct00093
Figure pct00094
Figure pct00095
식 중, X1, X2, X3, Z2, Z3, p, p1, p2, p3, q1, q2, Lv3, (Aa)r, R25, R25' 및 m은 상기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추가로 화학식 (I) 및 화학식 (III)의 세포-결합 분자-튜불리신 유사체 접합체의 제조 방법 및 화학식 (I) 및 화학식 (I)의 접합체의 응용에 관한 것이다.
세포-결합제/세포-결합 분자, T는 치료적으로 또는 달리 생물학적으로 변형되도록 추구된 세포 집단의 모이어티에 결합하거나, 이와 복합체를 이루거나, 이와 반응하는 분자는 현재 공지되어 있거나 공지된 임의의 부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세포-결합제/세포-결합 분자는 면역요법 단백질, 항체, 단일 쇄 항체; 표적 세포에 결합하는 항체 단편; 단클론성 항체; 단일 쇄 단클론성 항체; 또는 표적 세포에 결합하는 단클론성 항체 단편; 키메라 항체; 키메라 표적 세포에 결합하는 항체 단편; 도메인 항체; 도메인 표적 세포에 결합하는 항체 단편; 항체를 모방하는 어드넥틴; DARPin; 림포카인; 호르몬; 비타민; 성장 인자; 집락 자극 인자; 또는 영양분-수송 분자(트랜스페린); 4개 초과의 아미노산을 갖는 결합 펩타이드, 또는 단백질, 또는 항체, 또는 알부민, 중합체, 덴드리머, 리포솜, 나노입자, 소낭, 또는 (바이러스성) 캡시드 상에 부착된 소세포-결합 분자 또는 리간드이다.
바람직하게는 Lv1 및 Lv2는 세포-결합제/세포-결합 분자의 티올 쌍과 반응한다. 티올은 바람직하게는 다이티오트레이톨(DTT), 다이티오에리트리톨(DTE), L-글루타티온(GSH), 트리스(2-카복시에틸)포스핀(TCEP), 2-머캅토에틸아민(β-MEA), 및/또는 베타 머캅토에탄올(β-ME, 2-ME)로부터 선택된 환원제에 의해서 세포-결합제의 쇄 간 다이설파이드 결합으로부터 환원된 황 원자의 쌍이다.
측쇄-링키지를 통한 튜불리신 유사체 대 세포 결합 분자의 접합체의 제조
본 발명의 세포 결합 분자 대 튜불리신 유사체의 접합체의 제조 및 측쇄-링키지를 통해서 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합성 경로를 도 1 내지 도 51에 도시한다.
화학식 (I) 및 (III)의 접합체는 각각 화학식 (IV) 및 (V)의 중간체 화합물을 통해서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학식 (IV) 및 (V)의 튜불리신 유사체는 세포-결합 분자 및 변형된 세포-결합 분자와 쉽게 반응할 수 있는 Lv1 및 Lv2의 작용기를 갖도록 합성된다. 화학식 (IV) 및 (V)의 튜불리신 유사체의 합성 및 화학식 (I) 및 (III)의 일부 제조를 도 1 내지 도 51에 구조식으로 도시한다.
화학식 (I)의 접합체를 합성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화학식 (IV) 상의 작용기 Lv1을 0 내지 60℃, pH 5 내지 9 수성 매질(0 내지 30%의 수 혼합 가능(혼화성) 유기 용매, 예컨대, DMA, DMF,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THF, 아이소프로판올, 다이옥산,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에틸렌 다이올이 첨가되거나 첨가되지 않음)에서 세포 결합 분자의 1개, 2개 또는 그 초과의 잔기와 반응시키고, 그 다음 투석 또는 크로마토그래피 정제시켜 화학식 (I)의 접합체 화합물을 형성한다. 세포-결합 분자의 잔기(접합을 위한 반응기) 중 일부는 단백질 조작을 통해서 획득될 수 있다.
화학식 (III)의 접합체는 또한 0 내지 60℃, pH 5 내지 9의 수성 매질(0 내지 30%의 수 혼합 가능(혼화성) 유기 용매가 첨가되거나 첨가되지 않음)에서 세포 결합 분자의 2개 이상의 잔기, 바람직하게는 세포-결합 분자의 다이설파이드 결합의 환원을 통해서 생성된 한 쌍의 유리 티올에 대해서 화학식 (V)의 링커의 작용기 Lv1 및 Lv2를 반응시켜 접합체 분자를 형성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티올의 쌍은 pH 4 내지 9의 수성 매질(0 내지 30%의 수 혼합 가능(혼화성) 유기 용매가 첨가되거나 첨가되지 않음)에서 다이티오트레이톨(DTT), 다이티오에리트리톨(DTE), L-글루타티온(GSH), 트리스(2-카복시에틸)포스핀(TCEP), 2-머캅토에틸아민(β-MEA), 및/또는 베타 머캅토에탄올(β-ME, 2-ME)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환원제에 의해서 세포-결합제의 쇄 간 다이설파이드 결합으로부터 환원된 바람직한 다이설파이드 결합의 쌍이다.
독립적으로 다이설파이드, 티올, 티오에스터, 말레이미도, 할로 치환된 말레이미도, 할로아세틸, 아자이드, 1-인(yne), 케톤, 알데하이드, 알콕시아미노, 트라이플레이트, 카보닐이미다졸, 토실레이트, 메실레이트, 2-에틸-5-페닐아이속사졸륨-3'-설포네이트, 또는 나이트로페놀의 카복실산 에스터,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NHS), 페놀; 다이나이트로페놀, 펜타플루오로페놀, 테트라플루오로페놀, 다이플루오로페놀, 모노플루오로페놀, 펜타클로로페놀, 다이클로로페놀, 테트라클로로페놀, 1-하이드록시벤조트라이아졸, 무수물, 또는 하이드라자이드기, 또는 기타 산 에스터 유도체일 수 있는, 화학식 (IV) 및 화학식 (V) 상의 Lv1 및 Lv2의 반응성 기를 0 내지 60℃, pH 4 내지 9.5의 수성 매질(0 내지 30%의 수 혼합 가능(혼화성) 유기 용매가 첨가되거나 첨가되지 않음)에서 세포-결합 분자/제 상의 1개, 2개 또는 그 초과의 기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반응시키고, 칼럼 정제 또는 투석 후에, 화학식 (I) 및 화학식 (III)의 접합체를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화학식 (V) 및 화학식 (V) 상의 Lv1 및 Lv2의 반응성 기는 상이한 방식으로 변형된 세포-결합 분자와 반응한다.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세포-결합제-튜불리신 유사체 접합체 내의 다이설파이드 결합 함유 링키지는 변형된 세포-결합제 내의 다이설파이드 결합과 유리 티올기를 갖는 Lv1 및 Lv2 간의 다이설파이드 교환에 의해서, 또는 변형된 세포-결합제 내의 유리 티올기와 Lv1 및/또는 Lv2의 다이설파이드 결합 간의 다이설파이드 교환에 의해서 달성된다. 다이설파이드 교환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다이설파이드기는 일반적으로 다이설파닐피리딘, 다이설파닐-나이트로피리딘, 다이설파닐-나이트로벤젠, 다이설파닐-나이트로벤조산 또는 다이설파닐-다이나이트로벤젠 등의 기이다. 화학식 (I) 및 화학식 (III)의 접합체 내의 티오에터 결합 함유 링키지는 각각 화학식 (IV) 및 화학식 (V)의 튜불리신 유사체 상 또는 변형된 세포-결합제 상의 유리 티올 기에 대한 변형된 세포-결합제 또는 화학식 (IV) 및 화학식 (V)의 튜불리신 유사체 상의 말레이미도 또는 할로아세틸 또는 에틸설포닐의 반응에 의해서 달성되고; 따라서 접합체 내의 산 불안정한 하이드라존의 결합을 함유하는 링키지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예를 들어, 문헌[P. Hamann et al., Cancer Res. 53, 3336-34, 1993; B. Laguzza et al., J. Med. Chem., 32; 548-55, 1959; P. Trail et al., Cancer Res., 57; 100-5, 1997] 참고)에 의해서 변형된 세포-결합 분자 또는 화학식 (IV) 및 화학식 (V)의 약물 상의 하이드라자이드 모이어티와 화학식 (IV) 및 화학식 (V)의 약물 또는 세포-결합 분자의 카보닐기의 반응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고; 따라서 접합체 내에 트라이아졸의 결합을 함유하는 링키지는 클릭 화학(후이스젠(Huisgen) 환화첨가반응)(Lutz, J-F. et al, 2008, Adv. Drug Del. Rev.60, 958-70; Sletten, E. M. et al 2011, AccChem. Research 44, 666-76))을 통해서 화학식 (IV) 및 화학식 (V)의 약물 또는 세포-결합 분자의 1-인기와 다른 반대부분 상의 아지도 모이어티의 반응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옥심을 통해서 연결된 접합체에서 옥심의 결합을 함유하는 링키지는 각각 화학식 (IV) 및 화학식 (V)의 약물 또는 세포-결합 분자의 케톤 또는 알데하이드기의 기와 다른 반대부분 상의 옥실아민의 기의 반응에 의해서 달성된다. 티올-함유 세포-결합 분자는 수성 완충액 중에서 pH 5.5 내지 9.0에서 말레이미도, 또는 할로아세틸, 또는 에틸설포닐 치환체를 보유하는 화학식 (IV) 및 화학식 (V)의 약물 분자 링커와 반응시켜 화학식 (I) 및 화학식 (III)의 티오에터 링키지 접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티올-함유 세포-결합 분자를 피리딜다이티오 모이어티를 보유하는 화학식 (IV) 및 화학식 (V)의 약물 링커와 다이설파이드 교환시켜 다이설파이드 결합 링키지를 갖는 접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하이드록실기 또는 티올기를 보유하는 세포-결합 분자를, 약염기의 존재 하에서, 예를 들어, pH 8.0 내지 9.5에서, 할로겐, 특히 카복실레이트의 알파 할라이드를 보유하는 화학식 (IV) 및 화학식 (V)의 약물 링커와 반응시켜 에터 또는 티올 에터 링키지를 보유하는 변형된 약물을 제공할 수 있다. 세포-결합 분자 상의 하이드록실기 또는 아미노기를, 탈수제, 예컨대, EDC 또는 DCC의 존재 하에서 카복실기를 보유하는 화학식 (IV) 및 화학식 (V)의 가교 약물 링커와 축합시켜 에스터 링키지를 제공할 수 있다.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세포-결합 분자를 화학식 (IV) 및 화학식 (V)의 약물-링커 상의 NHS, 이미다졸, 나이트로페놀의 카복실 에스터;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NHS); 페놀; 다이나이트로페놀; 펜타플루오로페놀; 테트라플루오로페놀; 다이플루오로페놀; 모노플루오로페놀; 펜타클로로페놀; 트라이플레이트; 이미다졸; 다이클로로페놀; 테트라클로로페놀; 1-하이드록시벤조트라이아졸; 토실레이트; 메실레이트; 2-에틸-5-페닐아이속사졸륨-3'-설포네이트의 기와 축합시켜 아마이드 결합 링키지를 통해서 접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합성 접합체는 Sephadex G25 또는 Sephacryl S300 컬럼 상의 젤 여과, 흡착 크로마토그래피, 및 이온 교환 또는 투석과 같은 표준 생화학적 수단에 의해 정제될 수 있다. 일부 경우, 소분자 약물과 접합된 세포-결합제(예를 들어, 엽산, 멜라닌세포 자극 호르몬, EGF 등)와 같은 소분자는 크로마토그래피, 예컨대, HPLC, 중압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될 수 있다.
세포 결합 분자, 바람직하게는 항체 상의 한 쌍의 유리 티올과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I)을 위한 접합 반응의 더 높은 수율을 달성하기 위해서, 반응 혼합물에 낮은 백분율의 수 혼화성 유기 용매, 또는 상 전달제를 첨가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먼저, 화학식 (IV) 또는 화학식 (V)의 가교 시약(링커)을 물과 혼화성인 극성 유기 용매, 예를 들어, 상이한 알코올,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및 프로판올,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1,4-다이옥산, 다이메틸 폼아마이드(DMF), 다이메틸 아세트아마이드(DMA), 또는 다이메틸설폭사이드(DMSO) 중에, 높은 농도로, 예를 들어, 1 내지 500mM의 농도로 용해시킬 수 있다. 한편, pH 4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pH 6 내지 8.5의 수성 완충액 중에 1 내지 50㎎/㎖의 농도로 용해된 세포-결합 분자, 예컨대, 항체를 0.5 내지 20 당량의 TCEP 또는 DTT로 20분 내지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환원 후, SEC 크로마토그래피 정제에 의해 DTT를 제거할 수 있다. TCEP는 SEC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거되거나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 반응을 위해 반응 혼합물에 잔류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TCEP는 아자이드 화합물, 예컨대, 4-아지도벤조산, 4-(아지도메틸)벤조산, 또는 아지도-폴리에틸렌 글리콜(예를 들어, 2-(2-(2-(2-아지도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탄올)로 중화된다. 또한, TCEP로의 항체 또는 다른 세포-결합제의 환원은 존재하는 화학식 (IV) 또는 화학식 (V)의 약물-링커 분자와 함께 수행될 수 있으며, 세포-결합 분자에 대한 가교 접합이 TCEP 환원과 함께 동시에 달성될 수 있다.
세포-결합제의 개질을 위한 수성 용액은 pH 4 내지 9,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5로 완충되며, 이들 pH 범위에 유용한 임의의 비-친핵성 완충염을 함유할 수 있다. 전형적인 완충액은 인산염, 아세테이트, 트라이에탄올아민 HCl, HEPES 및 MOPS 완충제를 포함하며, 이들은 사이클로덱스트린,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 폴리에틸렌 글리콜, 수크로스 및 염, 예를 들어 NaCl 및 KCl과 같은 추가적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환원된 세포-결합 분자를 함유하는 용액에 화학식 (IV) 또는 화학식 (V)의 약물-링커를 첨가한 후, 반응 혼합물을 4℃ 내지 45 ℃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주변 온도에서 인큐베이션시킨다. 반응의 진행은 특정 자외선 파장, 예컨대, 252㎚에서 흡수 감소를 측정하거나 특정 UV 파장, 예컨대, 280㎚ 또는 기타 적절한 파장에서 흡수 증가를 측정하여 모니터링될 수 있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변형된 세포-결합제의 단리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예를 들어 젤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흡착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실리카젤 또는 알루미나 상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결정화, 정제용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HPLC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개질의 정도는 UV 스펙트럼을 통해 방출되는 나이트로피리딘 티온, 다이나이트로피리딘 다이티온, 피리딘티온, 카복실아미도피리딘 다이티온 및 다이카르실-아미도피리딘 다이티온기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평가될 수 있다. 발색단 기가 없는 접합체의 경우, 개질 또는 접합 반응은 LC-MS, 바람직하게는 HPLC-MS/MS, UPLC-QTOF 질량 분석법, 또는 모세관 전기영동 분석법(CE-MS)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측쇄 가교-링커는 임의의 세포-결합 분자, 특히 적합한 치환체를 갖는 변형된 세포-결합 분자와 반응할 수 있는 다양한 작용기를 갖는다. 예를 들어, 아미노 또는 하이드록실 치환체를 갖는 변형된 세포-결합 분자는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NHS) 에스터를 갖는 약물과 반응할 수 있고, 티올 치환체를 갖는 변형된 세포-결합 분자는 말레이미도 또는 할로아세틸기를 갖는 약물과 반응할 수 있다. 또한, 단백질 조작, 효소 반응 또는 화학적 변형을 통해서 카보닐(케톤 또는 알데하이드) 치환체를 갖는 변형된 세포-결합 분자는 하이드라자이드 또는 알콕시아민을 갖는 약물과 반응할 수 있다. 당업자는 변형된 세포-결합 분자 상의 이용 가능한 작용기의 공지된 반응성에 기초하여 어느 변형된 약물-링커를 사용할지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세포-결합제
본 발명의 접합체 및 변형된 세포-결합제를 포함하는 세포-결합 분자 Cb는 치료적으로 또는 달리 생물학적으로 변형되도록 추구된 세포 집단의 모이어티에 결합하거나, 이와 복합체를 이루거나, 이와 반응하는 분자의 현재 공지되어 있거나 공지된 임의의 부류일 수 있다.
세포 결합 분자/제는 고분자량 단백질, 예를 들어, 항체, 항체-유사 단백질, 전장 항체(다클론성 항체, 단클론성 항체, 이량체, 다량체, 다중특이적 항체(예를 들어, 이중특이적 항체) 등; 단일 쇄 항체; 항체의 단편, 예컨대, Fab, Fab', F(ab')2, Fv, [Parham, J. Immunol. 131, 2895-902 (1983)], Fab 발현 라이브러리에 의해서 생산된 단편, 항이디오타입(항-Id) 항체, CDR, 다이아바디, 트라이아바디, 테트라바디, 미니항체, 작은 면역 단백질(SIP), 및 특정 항원을 인식하고, 이에 결합하거나 또는 목적하는 생물학적 활성도를 나타낼 수 있는 면역계에 의해서 생성된 암 세포 항원, 바이러스 항원, 미생물 항원 또는 단백질에 면역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상기 중 임의의 것의 에피토프-결합 단편(Miller et al (2003) J. of Immunology 170: 4854-61); 인터페론(예컨대, 타입 I, II, III); 펩타이드; 림포카인, 예컨대, IL-2, IL-3, IL-4, IL-5, IL-6, IL-10, GM-CSF, 인터페론-감마 (IFN-γ); 호르몬, 예컨대, 인슐린, TRH(갑상선 방출 호르몬), MSH(멜라닌세포-자극 호르몬), 스테로이드 호르몬, 예컨대, 안드로겐 및 에스트로겐, 멜라닌세포-자극 호르몬(MSH); 성장 인자 및 집락 -자극 인자, 예컨대, 표피 성장 인자(EGF), 과립구 대식세포 집락 자극 인자(GM-CSF), 형질전환 성장 인자(TGF), 예컨대, TGFα, TGFβ, 인슐린 및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IGF-I, IGF-II) G-CSF, M-CSF 및 GM-CSF[Burgess, Immunology Today, 5, 155-8 (1984)]; 백시니아 성장 인자(VGF); 섬유모세포 성장 인자(FGF); 더 작은 분자량의 단백질, 폴리-펩타이드, 펩타이드 및 펩타이드 호르몬, 예컨대, 봄베신, 가스트린, 가스트린-방출 펩타이드; 혈소판-유래 성장 인자; 인터류킨 및 사이토카인, 예컨대, 인터류킨-2(IL-2), 인터류킨-6(IL-6), 백혈병 저해 인자, 과립구 대식세포 집락 자극 인자(GM-CSF); 비타민, 예컨대, 엽산염; 아포단백질 및 당단백질, 예컨대, 트랜스페린[O'Keefe et al, 260 J. Biol. Chem. 932-7 (1985)]; 당-결합 단백질 또는 지질단백질, 예컨대, 렉틴; 세포 영양분-수송 분자; 및 소분자 저해제, 예컨대, 전립선-특이적 막 항원(PSMA) 저해제 및 소분자 타이로신 카이나제 저해제(TKI), 비-펩타이드 또는 임의의 다른 세포 결합 분자 또는 물질, 예컨대, 생체활성 중합체(Dhar, et al, Proc. Natl. Acad. Sci. 2008, 105, 17356-61); 융합 단백질; 카이나제 저해제; 유전자-표적화제; 생체활성 덴드리머(Lee, et al, Nat. Biotechnol. 2005, 23, 1517-26; Almutairi, et al; Proc. Natl. Acad. Sci. 2009, 106, 685-90); 나노입자(Liong, et al, ACS Nano, 2008, 2, 1309-12; Medarova, et al, Nat. Med. 2007, 13, 372-7; Javier, et al, Bioconjugate Chem. 2008, 19, 1309-12); 리포솜(Medinai, et al, Curr. Phar. Des. 2004, 10, 2981-9); 바이러스성 캡시드(Flenniken, et al, Viruses Nanotechnol. 2009, 327, 71-93)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적절하게 입수 가능한 경우 단클론성 항체가 세포-표면 결합제로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항체는 뮤린, 인간, 인간화된, 키메라, 또는 다른 종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항체의 생산은 생체내 또는 시험관내 절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다클론성 항-수용체 펩타이드 항체를 생산하는 방법은 관련 기술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고, 예컨대, 미국 특허 제4,493,795호(Nestor 등)에 공지되어 있다. 단클론성 항체는 전형적으로 목적하는 항원으로 면역화된 마우스의 비장 세포와 골수종 세포를 융합시킴으로써 제조된다(Koehler, G.; Milstein, C. (1975). Nature 256: 495-7). 상세한 절차는 "항체-실험실 매뉴얼"(Harlow and Lane, eds.,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New York (1988))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것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특히 단클론성 항체는 무손상 표적 세포, 표적 세포로부터 단리된 항원, 전체 바이러스, 약독화된 전체 바이러스 및 바이러스성 단백질과 같은 관심대상 항원으로 마우스, 래트, 햄스터 또는 임의의 다른 포유동물을 면역화시킴으로써 생산된다. 비장세포는 전형적으로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6000을 사용하여 골수종 세포와 융합된다. 융합된 혼성체는 HAT(hypoxanthine-aminopterin-thymine)에 대한 민감도에 의해 선택된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유용한 단클론성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는 특정 수용체와 면역 반응하거나 표적 세포 상의 수용체 활성도를 저해하는 능력에 의해 식별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단클론성 항체는 적절한 항원 특이성의 항체 분자를 분비하는 하이브리도마를 함유하는 영양 배지를 포함하는 단클론성 하이브리도마 배양물을 개시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배양물은 하이브리도마가 항체 분자를 배지에 분비하기에 충분한 시간 및 조건 하에서 유지된다. 이어서, 항체-함유 배지를 수집한다. 이어서, 단백질-A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음이온, 양이온, 소수성 또는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특히 단백질 A 이후의 특정 항원에 대한 친화성 및 사이징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원심 분리, 차동 용해도, 또는 단백질 정제를 위한 다른 표준 기술과 같은 널리 알려진 기술에 의해 항체 분자를 추가로 단리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의 제조에 유용한 배지는 관련 기술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고,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고, 합성 배양 배지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합성 배지는 둘베코 최소 필수 배지(DMEM; Dulbecco et al., Virol. 8, 396(1959))이며, 이 배지에는 4.5gm/ℓ 글루코스, 0 내지 20mM 글루타민, 0 내지 20% 우태아 혈청, Cu, Mn, Fe, Zn 등의 중금속 수 ppm의 양 또는 염 형태로 첨가된 기타 중금속 및 소포제,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가 보충된다.
또한, 항체-생산 세포주는 발암성 DNA로 B 림프구를 직접 형질전환시키거나, 온코바이러스(oncovirus), 예컨대, 엡스타인-바르 바이러스(EBV, 인간 헤르페스 바이러스 4(HHV-4)라고도 부름) 또는 카포시 육종 연관 헤르페스 바이러스(KSHV)로의 형질주입과 같은 융합 이외의 기술로 생성될 수 있다(미국 특허 제4,341,761호; 제4,399,121호; 제4,427,783호; 제4,444,887호; 제4,451,570호; 제4,466,917호; 제4,472,500호; 제4,491,632호; 제4,493,890호 참고). 단클론성 항체는 또한 관련 기술 분야에 널리 공지된 기술된 바와 같은 카복실 말단을 함유하는 항-수용체 펩타이드 또는 펩타이드를 통해서 생산될 수 있다(문헌[Nima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0: 4949-53 (1983); Geyse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2: 178-82 (1985); Lei et al. Biochemistry 34(20): 6675-88, (1995)] 참고). 전형적으로, 항-수용체 펩타이드 또는 펩타이드 유사체는 항-수용체 펩타이드 단클론성 항체를 생산하기 위한 면역원으로서 단독으로 또는 면역원성 담체에 접합되어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결합 분자로서의 단클론성 항체를 제조하기 위한 다른 널리 공지된 다수의 기술이 존재한다. 완전 인간 항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특히 유용하다. 하나의 방법은 친화성 강화 방법을 사용하여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다양한 인간 항체를 선택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파지 디스플레이 기술이다. 파지 디스플레이는 문헌에 완벽하게 기술되어 있고, 파지 디스플레이 라이브러리의 작제 및 스크리닝은 관련 기술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어, 문헌[Dente et al, Gene. 148(1):7-13 (1994); Little et al, Biotechnol Adv. 12(3): 539-55(1994); Clackson et al., Nature 352: 264-8 (1991); Huse et al., Science 246: 1275-81 (1989)] 참고).
인간 이외의 또 다른 종, 예컨대, 마우스로부터의 하이브리도마 기술에 의해 유래된 단클론성 항체는 인간에게 주입될 때, 인간 항-마우스 항체를 회피하기 위해서 인간화될 수 있다. 항체의 인간화의 보다 일반적인 방법에는 상보성 결정 영역 이식 및 리서페이싱(resurfacing)이 있다. 이러한 방법은 광범위하게 기술되어 있다(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859,205호 및 제6,797,492호; 문헌[Liu et al, Immunol Rev. 222: 9-27 (2008); Almagro et al, Front Biosci. 13: 1619-33 (2008); Lazar et al,mol Immunol. 44(8): 1986-98 (2007); Li et al, Proc. Natl. Acad. Sci. U S A. 103(10): 3557-62 (2006)] 참고, 각각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됨). 완전 인간 항체는 또한 면역원으로 인간 면역 글로불린 중쇄 및 경쇄의 상당 부분을 운반하는 트랜스제닉 마우스, 토끼, 원숭이 또는 다른 포유동물을 면역화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마우스의 예는 Xenomouse(아브제닉스사(Abgenix)/암젠사(Amgen)), HuMAb-mouse(마다렉스사(Medarex)/BMS), Velocimouse(레제너론사(Regeneron))이다(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6,596,541호, 제6,207,418호, 제6,150,584호, 제6,111,166호, 제6,075,181호, 제5,922,545호, 제5,661,016호, 제5,545,806호, 제5,436,149호 및 제5,569,825호 참고). 인간 요법에서, 뮤린의 가변 영역 및 인간 불변 영역은 또한 뮤린 mAb보다 사람에서 면역원성이 훨씬 낮은 "키메라 항체"라고 불리는 작제물에 융합될 수 있다(Kipriyanov et al,mol Biotechnol. 26: 39-60 (2004); Houdebine, Curr Opin Biotechnol. 13: 625-9 (2002), 각각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됨). 또한, 항체의 가변 영역에서 부위-지향된 돌연변이유발(site-directed mutagenesis)은 항원에 대한 친화도 및 특이성이 보다 높은 항체를 생성할 수 있고(Brannigan et al, Nat Revmol 세포 Biol. 3: 964-70, (2002)); Adams et al, J Immunol Methods. 231: 249-60 (1999)), mAb의 불변 영역의 교환은 결합 및 세포독성도 효과기 기능을 매개하는 능력을 개선시킬 수 있다.
악성 세포 항원에 대한 면역특이적 항체는 또한 상업적으로 획득되거나 예를 들어 화학적 합성 또는 재조합 발현 기술과 같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악성 세포 항원에 대한 면역특이적인 항체를 암호화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은 상업적으로, 예를 들어 유전자 데이터베이스 또는 그것과 유사한 데이터베이스, 문헌 간행물 또는 통상적인 클로닝 및 서열결정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항체와 별개로, 표적화된 세포 상의 에피토프 또는 상응하는 수용체와 결합/차단/표적화하거나 일부 다른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 펩타이드 또는 단백질이 결합 분자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펩티드 또는 단백질은 에피토프 또는 상응하는 수용체에 대해 친화성을 갖는 임의의 펩타이드 또는 단백질일 수 있으며, 반드시 면역 글로불린 패밀리일 필요는 없다. 이러한 펩타이드는 파지 디스플레이 항체와 유사한 기술로 단리될 수 있다(Szardenings, J Recept Signal transduct Res. 2003, 23(4): 307-49)). 이러한 무작위 펩타이드 라이브러리로부터의 펩타이드의 사용은 항체 및 항체 단편과 유사할 수 있다. 펩타이드 또는 단백질의 결합 분자는 그러한 부착이 펩타이드 또는 단백질이 그의 항체 결합 특이성을 유지하도록 허용하는 한, 큰 분자 또는 물질, 예컨대, 비제한적으로 알부민, 중합체, 리포솜, 나노입자, 덴드리머 상에 접합 또는 연결될 수 있다.
암, 자가면역 질환, 및/또는 감염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서 이러한 예방의 링커를 통해서 약물의 접합을 위해서 사용되는 항체의 예는, 3F8(항-GD2), 아바고보맙(항-CA-125), 아브식시맙(항 CD41(인터그린 알파-IIb), 아달리무맙(항-TNF-α), 아데카투무맙(항-EpCAM, CD326), 아펠리모맙(항-TNF-α), 아퓨투즈맙(항-CD20), 알라시주맙 페골(항-VEGFR2), ALT518(항-IL-6), 알렘투즈맙(Campath, MabCampath, 항-CD52), 알트모맙(항-CEA), 아나투모맙(항 TAG-72), 안루킨주맙(IMA-638, 항 IL-13), 아폴리주맙(항-HLA-DR), 아르시투모맙(항-CEA), 아셀리주맙(항-L-셀렉틴(CD62L), 아틀리주맙(토실리주맙, 악템라, 로악템라, 항-IL-6 수용체), 아토롤리무맙(항-레서스 인자), 바피뉴주맙(항-베타 아밀로이드), 바실릭시맙(Simulect, 항CD25(IL-2 수용체의 α 쇄), 바비툭시맙(항-포스파티딜세린), 벡투모맙(LymphoScan, 항-CD22), 벨리무맙(Benlysta, LymphoStat-B, 항-BAFF), 벤랄리주맙(항-CD125), 베르틸리무맙(항-CCL11(에오탁신-1), 베실레소맙(Scintimun, 항-CEA 관련 항원), 베바시주맙(Avastin, 항 VEGF-A), 비시로맙(FibriScint, 항-피브린 Ⅱ 베타 쇄), 비바투주맙(항-CD44 v6), 블리나투모맙(BiTE, 항-CD19), 브렌툭시맙(cAC10, 항-CD30 TNFRSF8), 브리아키누맙(항 IL-12, IL-23), 카나키누맙(Ilaris, 항-IL-1), 칸투주맙(C242, 항-CanAg), 카프로맙, 카투막소맙(Removab, 항-EpCAM, 항-CD3), CC49(항-TAG-72), 세델리주맙(항-CD4), 세르톨리주맙 페골(Cimzia, 항-TNF-알파), 세툭시맙(Erbitux, IMC-C225, 항-EGFR), 시타투주맙 보가톡스(항-EpCAM), 식수투무맙(항-IGF-1), 클레놀릭시맙(항-CD4), 클리바투주맙(항-MUC1), 코나투무맙(항-TRAIL-R2), CR6261(항-인플루엔자 A 헤마글루티닌), 다세투주맙(항-CD40), 다클리주맙(Zenapax, 항-CD25 (IL-2 수용체의 α 쇄)), 다라투무맙(항-CD38(환식 ADP 리보스 가수분해효소), 데노수맙(Prolia, 항-RANKL), 데투모맙(항-B-림프종 세포), 도르리모맙, 도르릭시주맙, 에크로멕시맙(항-GD3 강글리오사이드), 에쿨리주맙(Soliris, 항-C5), 에도바코맙(항-엔도톡신), 에드레코로맙(Panorex, MAb17-1A, 항-EpCAM), 에팔리주맙(Raptiva, 항-LFA-1(CD11a), 에펀구맙(Mycograb, 항-Hsp90), 엘로투주맙(항-SLAMF7), 엘실리모맙(항-IL-6), 엔리모맙 페골(항-ICAM-1(CD54)), 에피투모맙(항-에피시알린), 에프라투주맙(항-CD22), 에를리주맙(항-ITGB2(CD18)), 에르투막소맙(Rexomun, 항-HER2/neu, CD3), 에타라시주맙(Abegrin, 항-인터그린 αvβ3), 엑스비비루맙(항-B형 간염 표면 항원), 파놀레소맙(NeutroSpec, 항-CD15), 파랄리모맙(항-인터페론 수용체), 파를레투주맙(항-엽산 수용체 1), 펠비주맙(항-호흡기 융합 바이러스), 페자키누맙(항-IL-22), 피지투무맙(항-IGF-1 수용체), 폰토리주맙(항-IFN-γ), 포아비루맙(항-광견병 바이러스 당 단백질), 프레솔리무맙(항-TGB-β), 갈릭시맙(항-CD80), 간테네루맙(항-베타 아밀로이드), 가빌리모맙(항-CD147(asigin)), 젬투주맙(항-CD33), 지렌툭시맙(항-탄산 탈수효소 9), 글렘바투무맙(CR011, 항-GPNMB), 골리무맙(Simponi, 항-TNF-α), 고밀릭시맙(항-CD23(IgE 수용체)), 이발리주납(항-CD4), 이브리투모맙(항-CD20), 이고보맙(Indimacis-125, 항-CA-125), 임시로맙(Myoscint, 항-심장 마이오신), 인플릭시맙(Remicade, 항-TNF-α), 인테투무맙(항-CD51), 인올리모맙(항-CD25(IL-2 수용체의 α 쇄), 이노투주맙(항-CD22), 이필리무맙(항-CD152), 이라투무맙(항-CD30(TNFRSF8)), 켈릭시맙(항-CD4), 라베투주맙(CEA-Cide, 항-CEA), 레브리키주맙(항-IL-13), 레말레소맙(항-NCA-90(과립구 항원)), 레르델리무맙(항-TGF 베타 2), 렉사투무맙(항-TRAIL-R2), 리비비루맙(항-B형 간염 표면 항원), 린투주맙(항-CD33), 루카투무맙(항-CD40), 루밀릭시맙(항-CD23(IgE 수용체), 마파투무맙(항-TRAIL-R1), 마슬리모맙(항-T-세포 수용체), 마투주맙(항-EGFR), 메폴리주맙(Bosatria, 항-IL-5), 메텔리무맙(항-TGF 베타 1), 밀라투주맙(항-CD74), 민레투모맙(항-TAG-72), 미투모맙(BEC-2, 항-GD3 강글리오사이드), 모롤리무맙(항-레서스 인자), 마타비주맙(Numax, 항-호흡기 융합 바이러스), 무로모납-CD3(오쏘클론 OKT3, 항-CD3), 나콜로맙(항-C242), 납투모맙(항-5T4), 나탈리주맙(Tysabri, 항-인테그린 α4), 네바쿠맙(항-엔도톡신), 네시투무맙(항-EGFR), 네릴리모맙(항-TNF-α), 니모투주맙(Theracim, Theraloc, 항-EGFR), 노페투모맙, 오크렐리주맙(항-CD20), 오둘리모맙(아폴리모맙, 항-LFA-1(CD11a)), 오파투무맙(Arzerra, 항-CD20), 올라투맙(항-PDGF-Rα), 오말리주맙(Xolair, 항-IgE Fc 영역), 오포르투주맙(항-EpCAM), 오레고보맙(OVaRex, 항-CA-125), 오텔릭시주맙(항-CD3), 파기박시맙(항-리포테이코산), 팔리비주맙(Synagis, Abbosynagis, 항-호흡기 융합 바이러스), 판니누무납(Vectibix, ABX-EGF, 항-EGFR), 파노바쿠맙(항-슈도모나스 아레루기노사), 파스콜리주맙(항-IL-4), 펨투모맙(Theragyn, 항-MUC1), 퍼투주맙(Omnitarg, 2C4, 항-HER2/neu), 페셀리주맙(항-C5), 핀투모맙(항-선암 항원), 프릴릭시맙(항-CD4), 피투무맙(항-비멘틴), PRO 140(항-CCR5), 라코투모맙(1E10, 항-(N-글리콜릴뉴라민산(NeuGc, NGNA)-강글리오사이드 GM3)), 라피비루맙(항-광견병 바이러스 당단백질), 라무시루맙(항-VEGFR2), 라니비주맙(Lucentis, 항-VEGF-A), 락시바쿠맙(항-탄저균 독소, 보호 항원), 레가비루맙(항-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당단백질 B), 레슬리주맙(항-IL-5), 리로투무맙(항-HGF), 리툭시맙(MabThera, 리툭산맙, 항-CD20), 로바투무맙(항-IGF-1 수용체), 론탈리주맙(항-IFN-α), 로벨리주맙(LeukArrest, 항-CD11, Cd18), 루플리주맙(Antova, 항-CD154(CD40L)), 사투모맙(항-TAG-72), 세비루맙(항-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시브로투주맙(항-FAP), 시팔리무맙(항-IFN-α), 실툭시맙(항-IL-6), 시플리주맙(항-CD2), (스마트)MI95(항-CD33), 솔라네주맙(항-베타 아밀로이드), 소넵시주맙(항-스핀고신-1-포스페이트), 손투주맙(항-에피시알린), 스탐울루맙(항-마이오스타틴), 술레소맙(LeukoScan, (항-NCA-90(과립구 항원), 타카투주맙(항-알파-페토프로테인), 타도시주맙(항-인터그린αIIbβ3), 탈리주맙(항-IgE), 타네주맙(항-NGF), 탑리투모맙(항-CD19), 테피바주맙(Aurexis,(항-클럼핑 인자 A), 텔리모맙, 테나투모맙(항-테나신 C), 테넬릭시맙(항-CD40), 테플리주맙(항-CD3), TGN1412(항-CD28), 티실이무맙(트레멜리무맙,(항-CRLA-4), 티가투주맙(항-TRAIL-R2), TNX-650(항-IL-13), 토실리주맙(아틀리주맙, 악템라, 로악템라, (항-IL-6-수용체), 토랄리주맙(항-CD154(CD40L)), 토시투모맙(항-CD20), 트라스투주맙(허셉틴,(항-HER2/neu), 트레멜리무맙(항-CTLA-4), 투코투주맙 셀몰루킨(항-EpCAM), 투비루맙(항-B형 간염 B 바이러스), 우르톡사주맙(에쉐리키아 콜라이), 우스테키누맙(Stelara, 항-IL-12, IL-23), 바팔리시맙(항-AOC3(VAP-1)), 베돌리주맙, (항-인테그린 α4β7), 벨투주맙(항-CD20), 베팔리모맙(항-AOC3(VAP-1)), 비실리주맙(Nuvion, 항-CD3), 비탁신(항-혈관 인테그린 avb3), 볼록시시맙(항-인테그린 α5β1), 보투무맙(HumaSPECT, 항-종양 항원 CTAA16.88), 잘루투무맙(HuMax-EGFr,(항-EGFR), 자놀리무맙(HuMax_CD4, 항-CD4), 지랄리무맙(항-CD147(basigin)), 졸리모맙(항-CD5), 에타네르셉트(Enbrel®), 알레파셉트(Amevive®), 아바타셉트(Orencia®), 릴오나셉트(Arcalyst), 14F7[항-IRP-2(철 단백질 2)], 14G2a(항-GD2 강글리오사이드, 흑색종 및 고형 종양의 경우 국립 암 기관으로부터), J591(항-PSMA, 전립선 암의 경우 웨일 코넬 메디컬 스쿨(Weill Cornell Medical School)), 225.28S[항-HMW-MAA(고분자량-흑색종-연관 항원), 흑색종의 경우 소린 라디오파르마시사(Sorin Radiofarmaci S.R.L.)(이태리 밀란 소재)], COL-1(항-CEACAM3, CGM1, 결장직장 및 위암의 경우 국립 암 기관), CYT-356(Oncoltad®, 전립선암의 경우), HNK20(호흡기 융합 바이러스의 경우 오라박스사(OraVax Inc.)), ImmuRAIT(NHL의 경우 이뮤노메딕스사(Immunomedics)로부터), Lym-1(항-HLA-DR10, 암의 경우 페레그린 팜사(Peregrine Pharm.)), MAK-195F(항-TNF(종양 괴사 인자; TNFA, TNF-알파: TNFSF2), 패혈증 독성 쇼크의 경우 애봇사(Abbott)/크놀사(Knoll)로부터), MEDI-500[T10B9, 항-CD3, TRαβ(T 세포 수용체 알파/베타), 복합체[이식편대 숙주병의 경우 메드이뮨사(MedImmune Inc)로부터], 고리 SCAN[항-TAG 72(종양 연관 당단백질 72), 유방암, 결장 및 직장암의 경우 네오프로브사(Neoprobe Corp)로부터], 아비시딘(항-EPCAM)(상피 세포 접착 분자), 항-TACSTD1(종양-연관 칼슘 신호 변환기 1), 항-GA733-2(위장내 종양-연관 단백질 2), 항-EGP-2(상피 당단백질 2); 항-KSA; KS1/4항원; M4S; 종양 항원 17-1A; CD326[결장암, 난소암, 전립선암 및 NHL의 경우 네옥스사(NeoRx Corp.)로부터]; 림포사이드(이뮤노메딕스사(Immunomedics), 미국 뉴저지주 소재), 스마트 ID10(프로테인 디자인 랩(단백질 Design Lab)), 온코림(테크니클론사(Techniclone Inc), 미국 캘리포니아주 소재), 알로문(바이오트랜스플랜트사(BioTransplant), 미국 캘리포니아주 소재), 항-VEGF(Genentech, 미국 캘리포니아주 소재); CEAcide(이뮤노메딕스사, 미국 뉴저지주 소재), IMC-1C11(임클론사(ImClone), 미국 뉴저지주 소재) 및 세툭시맙(임클론사, 미국 뉴저지주 소재)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세포 결합 분자/리간드로서의 다른 항체는 하기 항원에 대한 항체: 아미노펩티다제 N(CD13), 아넥신 A1, B7-H3(CD276, 각종 암), CA125(난소), CA15-3(암종), CA19-9(암종), L6(암종), 루이스 Y(암종), 루이스 X(암종), 알파 페토프로테인(암종), CA242(결장직장), 태반 알칼린 포스파타제(암종), 전립선 특이적 항원(전립선), 전립선산 포스파타제(전립선), 표피 성장 인자(암종), CD2(호지킨병, NHL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CD3 엡실론 T 세포 림프종, 폐암, 유방암, 위암, 난소암, 자가면역 질환, 악성 복수), CD19(B 세포 악성종양), CD20(비호지킨 림프종), CD22(백혈병,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SLE), CD30(호지킨 림프종), CD33(백혈병, 자가면역 질환), CD38(다발성 골수종), CD40(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백혈병 (CLL)), CD51(전이성 흑색종, 육종), CD52(백혈병), CD56(소세포 폐암, 난소암, 마켈(Merkel) 세포 암종, 및 액상 종양, 다발성 골수종), CD66e(암), CD70(전이성 신장 세포 암종 및 비호지킨 림프종), CD74(다발성 골수종), CD80(림프종), CD98(암), 뮤신(암종), CD221(고형 종양), CD227(유방암, 난소암), CD262 (NSCLC 및 기타 암), CD309(난소암), CD326(고형 종양), CEACAM3(결장직장, 위암), CEACAM5(암배아 항원; CEA, CD66e)(유방암, 결장직장암 및 폐암), DLL3(델타-유사-3), DLL4(델타-유사-4), EGFR(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 각종 암), CTLA4(흑색종), CXCR4(CD184, 헴-종양학(Heme-oncology), 고형 종양), 엔도글린(CD105, 고형 종양), EPCAM(상피 세포 접착 분자, 방광암, 두부암, 경부암, 결장암, NHL 전립선암, 및 난소암), ERBB2(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 2; 폐암, 유방암, 전립선암), FCGR1(자가면역 질환), FOLR(엽산염 수용체, 난소암), GD2 강글리오사이드(암), G-28(세포 표면 항원 글리볼리피드, 흑색종), GD3 이디오타입(암), 열 충격 단백질(암), HER1(폐암, 위암), HER2(유방암, 폐암 및 난소암), HLA-DR10(NHL), HLA-DRB(NHL, B 세포 백혈병), 인간 융모성 성선 자극 호르몬(암종), IGF1R(인슐린-유사 성장 인자 1 수용체, 고형 종양, 혈액 암), IL-2 수용체(인터류킨 2 수용체, T-세포 백혈병 및 림프종), IL-6R(인터류킨 6 수용체, 다발성 골수종, RA, 캐슬맨병, IL6 의존성 종양), 인테그린(각종 암의 경우 αvβ3, α5β1, α6β4, αllβ3, α5β5, αvβ5), MAGE-1(암종), MAGE-2(암종), MAGE-3(암종), MAGE 4(암종), 항-트랜스페린 수용체(암종), p97(흑색종), MS4A1(막-스패닝 4-도메인 서브패밀리 A 구성원 1, 비호지킨 B 세포 림프종, 백혈병), MUC1 또는 MUC1-KLH(유방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기관지암 및 위장내 암), MUC16(CA125)(난소암), CEA(결장직장), gp100(흑색종), MART1(흑색종), MPG(흑색종), MS4A1(막-스패닝 4-도메인 서브패밀리 A, 소세포 폐암, NHL), 뉴클레오린, Neu 종양유전자 산물(암종), P21(암종), 항-(N-글리콜릴뉴라민산의 파라토프(유방암, 흑색종암), PLAP-유사 고환 알칼리 포스파타제(난소암, 고환암), PSMA(전립선 종양), PSA(전립선), ROBO4, TAG 72(종양 연관 당단백질 72, AML, 위암, 결장직장암, 난소암), T 세포 막관통 단백질(암), 타이(Tie)(CD202b), TNFRSF10B(종양 괴사 인자 수용체 슈퍼패밀리 구성원 10B, 암), TNFRSF13B(종양 괴사 인자 수용체 슈퍼패밀리 구성원 13B, 다발성 골수종, NHL, 기타 암, RA 및 SLE), TPBG(영양아층 당단백질, 신장 세포 암종), TRAIL-R1(종양 괴사 세포사멸 유도 리간드 수용체 1, 림프종, NHL, 결장직장암, 폐암), VCAM-1(CD106, 흑색종), VEGF, VEGF-A, VEGF-2(CD309)(각종 암)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항체에 의해서 인식되는 일부 다른 종양 연관 항원은 문헌[Gerber, et al, mAbs 1:3, 247-53 (2009); Novellino et al, Cancer Immunol Immunother. 54(3), 187-207 (2005). Franke, et al, Cancer Biother Radiopharm. 2000, 15, 459-76]에 검토되어 있다.
세포-결합제인 보다 바람직한 항체는 종양 세포, 바이러스 감염 세포, 미생물 감염 세포, 기생충 감염 세포, 자가면역 세포, 활성화된 세포, 골수 세포, 활성화된 T-세포, B 세포, 또는 멜라닌세포에 대해서 기능할 수 있는 임의의 작용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세포 결합제는 하기 항원 또는 수용체 중 임의의 하나에 대해서 기능할 수 있는 임의의 작용제/분자일 수 있다: CD1, CD1a, CD1b, CD1c, CD1d, CD1e,CD2, CD3, CD3d, CD3e, CD3g, CD4,CD5,CD6,CD7,CD8,CD8a, CD8b, CD9,CD10,CD11a,CD11b,CD11c,CD11d,CD12w,CD14,CD15,CD16,CD16a, CD16b, CDw17,CD18,CD19, CD20, CD21, CD22,CD23,CD24,CD25, CD26, CD27, CD28, CD29, CD30, CD31,CD32,CD32a, CD32b, CD33, CD34, CD35, CD36,CD37,CD38, CD39, CD40, CD41,CD42,CD42a, CD42b, CD42c, CD42d, CD43,CD44,CD45,CD46,CD47,CD48,CD49b,CD49c, CD49c, CD49d, CD49f, CD50, CD51, CD52, CD53,CD54,CD55,CD56, CD57, CD58,CD59,CD60, CD60a, CD60b, CD60c, CD61,CD62E,CD62L,CD62P,CD63,CD64, CD65, CD65s, CD66, CD66a, CD66b, CD66c, CD66d, CD66e, CD66f, CD67, CD68,CD69,CD70, CD71,CD72,CD73, CD74, CD75, CD75s, CD76, CD77, CD78, CD79,CD79a,CD79b,CD80, CD81,CD82,CD83,CD84, CD85, CD85a, CD85b, CD85c, CD85d, CD85e, CD85f, CD85g, CD85g, CD85i, CD85j, CD85k, CD85m, CD86,CD87,CD88,CD89,CD90,CD91,CD92, CD93, CD94, CD95,CD96,CD97, CD98, CD99, CD100,CD101, CD102, CD103, CD104,CD105,CD106,CD107, CD107a, CD107b, CD108, CD109,CD110, CD111,CD112, CD113, CD114, CD115,CD116,CD117, CD118, CD119, CD120,CD120a, CD120b, CD121,CD121a, CD121b, CD122,CD123, CD123a,CD124, CD125, CD126,CD127, CD128, CD129, CD130, CD131,CD132, CD133,CD134,CD135,CD136, CD137, CD138, CD139,CD140,CD140a, CD140b, CD141,CD142,CD143,CD144,CD145,CDw145, CD146, CD147,CD148,CD149, CD150,CD151,CD152,CD153, CD154,CD155,CD156,CD156a, CD156b, CD156c, CD156d, CD157, CD158,CD158a,CD158b1,CD158b2,CD158c,CD158d,CD158e1,CD158e2,CD158f2,CD158g,CD158h,CD158i,CD158j,CD158k,CD159,CD159a,CD159b,CD159c,CD160, CD161,CD162, CD163,CD164,CD165, CD166,CD167, CD167a, CD167b, CD168,CD169,CD170,CD171,CD172, CD172a, CD172b, CD172g, CD173,CD174,CD175, CD175s, CD176,CD177, CD178,CD179,CD179a,CD179b,CD180,CD181,CD182, CD183,CD184,CD185, CD186,CDw186,CD187, CD188,CD189,CD190,CD191,CD192, CD193,CD194,CD195, CD196,CD197, CD198,CD199,CDw198,CDw199,CD200,CD201,CD202, CD202(a,b),CD203,CD203c,CD204,CD205, CD206,CD207, CD208,CD209,CD210,CDw210a,CDw210b,CD211,CD212, CD213,CD213a1,CD213a2,CD214,CD215, CD216,CD217, CD218,CD218a,CD218,CD21b9,CD220,CD221,CD222, CD223,CD224,CD225, CD226,CD227, CD228,CD229,CD230,CD231,CD232, CD233,CD234,CD235, CD235a,CD235b,CD236,CD237, CD238,CD239,CD240,CD240ce,CD240d,CD241,CD242, CD243,CD244,CD245, CD246,CD247, CD248,CD249,CD250,CD251,CD252, CD253,CD254,CD255, CD256,CD257, CD258,CD259,CD260,CD261,CD262, CD263,CD264,CD265, CD266,CD267, CD268,CD269,CD270,CD271,CD272, CD273,CD274,CD275, CD276,CD277, CD278,CD279,CD281,CD282, CD283,CD284,CD285, CD286,CD287, CD288,CD289,CD290,CD291,CD292, CD293,CD294,CD295, CD296,CD297, CD298,CD299,CD300,CD300a,CD300b,CD300c,CD301,CD302, CD303,CD304,CD305, CD306,CD307, CD307a, CD307b, CD307c, CD307d, CD307e, CD307f, CD308,CD309,CD310,CD311,CD312, CD313,CD314,CD315, CD316,CD317, CD318,CD319,CD320,CD321,CD322, CD323,CD324,CD325, CD326,CD327, CD328,CD329,CD330,CD331,CD332, CD333,CD334,CD335, CD336,CD337, CD338,CD339,CD340,CD341,CD342, CD343,CD344,CD345, CD346,CD347, CD348,CD349,CD350,CD351,CD352, CD353,CD354,CD355, CD356,CD357, CD358,CD359,CD360,CD361,CD362, CD363,CD364,CD365, CD366,CD367, CD368,CD369,CD370,CD371,CD372, CD373,CD374,CD375, CD376,CD377, CD378,CD379,CD381,CD382, CD383, CD384,CD385, CD386, CD387, CD388,CD389, CRIPTO, CR, CR1, CRGF, CRIPTO, CXCR5, LY64, TDGF1, 4-1BB, APO2,ASLG659,BMPR1B, 4-1BB, 5AC, 5T4(영양아층 당단백질, TPBG, 5T4, Wnt-활성화 저해인자 1 또는 WAIF1), 선암항원, AGS-5, AGS-22M6, 액티빈 수용체-유사 카이나제 1, AFP, AKAP-4, ALK, 알파 인테그린, 알파 v 베타6, 아미노-펩티다제 N, 아밀로이드 베타, 안드로겐 수용체, 안지오포이에틴 2, 안지오포이에틴 3, 아넥신 A1, 탄저균 독소-보호성 항원, 항-트랜스페린 수용체, AOC3(VAP-1), B7-H3, 바실루스 안트라시산트랙스, BAFF(B-세포 활성화 인자), B-림프종 세포, bcr-abl, 봄베신, BORIS, C5, C242 항원, CA125(탄수화물 항원 125, MUC16), CA-IX(또는 CAIX, 탄산 탈수효소 9), CALLA, CanAg, 카니스 루프스 파밀리아스 IL31, 탄산 탈수효소 IX, 심장 마이오신, CCL11(C-C 모티프 케모카인 11), CCR4(C-C 케모카인 수용체 타입 4, CD194), CCR5, CD3E(엡실론), CEA(암배아 항원), CEACAM3, CEACAM5(암배아 항원), CFD(인자 D), Ch4D5, 콜레시스토키닌 2(CCK2R), CLDN18(클라우딘-18), 클럼핑 인자 A,CRIPTO, FCSF1R(집락 자극 인자 1 수용체, CD115), CSF2(집락 자극 인자 2, 과립구 대식세포 집락 자극 인자(GM-CSF)), CTLA4 (세포독성 T-림프구 연관 단백질 4), CTAA16.88 종양 항원, CXCR4(CD184), C-X-C 케모카인 수용체 타입 4, 환식 ADP 리보스 가수분해효소, 사이클린 B1, CYP1B1,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당단백질 B, 다비가트란, DLL3(델타-유사-리간드 3), DLL4(델타-유사-리간드 4), DPP4(다이펩티딜-펩티다제 4), DR5(사멸 수용체 5), 이. 콜라이 시가(shiga) 독소-1, 이. 콜라이 시가 톡신타입-2, ED-B, EGFL7(EGF-유사 도메인-함유 단백질 7), EGFR, EGFRII, EGFRvIII, 엔도글린 (CD105), 엔도텔린 B 수용체, 엔도톡신, EpCAM(상피 세포 접착 분자), EphA2, 에피시알린, ERBB2(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 2), ERBB3, ERG (TMPRSS2 ETS 융합 유전자), 에쉐리키아 콜라이, ETV6-AML, FAP(섬유모세포 활성화 단백질 알파), FCGR1, 알파-페토프로테인, 피브린 II, 베타 쇄, 피브로넥틴 엑스트라 도메인-B, FOLR(엽산염 수용체), 엽산염 수용체 알파, 엽산염 가수분해효소, 포스-관련 항원 1, 호흡기 융합 바이러스의 F 단백질, 프리즐드 수용체, 푸코실 GM1,GD2 강글리오사이드, G-28( 세포 표면 항원 글리볼리피드), GD3 이디오타입, GloboH, 글리피칸 3, N-글리콜릴뉴라민산, GM3, GMCSF 수용체 α-쇄, 성장 분화 인자 8, GP100, GPNMB(막관통 당단백질 NMB), GUCY2C(구아닐레이트 고리화효소 2C, 구아닐릴 고리화효소 C(GC-C), 장내 구아닐레이트 고리화효소, 구아닐레이트 고리화효소-C 수용체, 열-안정성 엔테로톡신 수용체(hSTAR)), 열 충격 단백질, 헤마글루티닌, B형 간염 표면 항원, B형 간염 바이러스, HER1(인간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 1), HER2, HER2/neu, HER3(ERBB-3), IgG4, HGF/SF(간세포 성장 인자/산란 인자), HHGFR, HIV-1, 히스톤 복합체, HLA-DR(인간 백혈구 항원), HLA-DR10, HLA-DRB, HMWMAA, 인간 융모성 성선 자극 호르몬, HNGF, 인간 산란 인자 수용체 카이나제, HPV E6/E7, Hsp90, hTERT, ICAM-1(세포간 접착 분자 1), 이디오타입, IGF1R(IGF-1, 인슐린-유사 성장 인자 1 수용체), IGHE, IFN-γ, 인플루엔자 헤마글루티닌, IgE, Fc region, IGHE, IL-1, IL-2 수용체(인터류킨 2 수용체), IL-4, IL-5, IL-6, IL-6R(인터류킨 6 수용체), IL-9, IL-10, IL-12, IL-13, IL-17, IL-17A, IL-20, IL-22, IL-23, IL31RA, ILGF2(인슐린-유사 성장 인자 2), 인테그린(α4, αIIbβ3, αvβ3, α4β7, α5β1, α6β4, α7β7, αllβ3, α5β5, αvβ5), 인터페론 감마-유도된 단백질, ITGA2, ITGB2, KIR2D, LCK, Le, 레구마인, 루이스-Y 항원, LFA-1(림프구 기능-연관 항원 1, CD11a), LHRH, LINGO-1, 리포테이코산, LIV1A, LMP2, LTA, MAD-CT-1, MAD-CT-2, MAGE-1, MAGE-2, MAGE-3, MAGE A1, MAGE A3, MAGE 4, MART1, MCP-1, MIF(대식세포 이동 저해 인자, 또는 글리코실화-저해 인자(GIF)), MS4A1(막-스패닝 4-도메인 서브패밀리 A 구성원 1), MSLN(메소텔린), MUC1(뮤신 1, 세포 표면 연관된(MUC1) 또는 다형성 상피 뮤신(PEM)), MUC1-KLH, MUC16(CA125), MCP1(단핵구 화학주성 단백질 1), MelanA/MART1,ML-IAP, MPG, MS4A1(막-스패닝 4-도메인 서브패밀리 A), MYCN, 미엘린-연관 당단백질, 미오스타틴, NA17, NARP-1, NCA-90(과립구 항원), 넥틴-4(ASG-22ME), NGF, 신경 세포자멸-조절 프로테이나제 1, NOGO-A, 노치 수용체, 뉴클레오린, Neu 종양유전자 산물, NY-BR-1, NY-ESO-1, OX-40, OxLDL(산화된 저밀도 지질단백질), OY-TES1,P21, p53 비돌연변이체, P97, Page4, PAP, 항-(N-글리콜릴뉴라민산)의 파라토프, PAX3, PAX5, PCSK9, PDCD1(PD-1, 세포 예정사 단백질 1, CD279), PDGF-Rα(알파형 혈소판-유래 성장 인자 수용체), PDGFR-β, PDL-1, PLAC1, PLAP-유사 고환 알칼리 포스파타제, 혈소판-유래 성장 인자 수용체 베타, 포스페이트-나트륨 공동 수용체, PMEL 17, 폴리시알산, 프로테이나제 3(PR1), 전립선 암종, PS(포스파티딜세린), 전립선 암종 세포, 슈도모나스 녹농균, PSMA, PSA, PSCA, 광견병 바이러스 당단백질, RHD(Rh 폴리펩타이드 1(RhPI), CD240), 레서스 인자, RANKL, RhoC, Ras 돌연변이체,RGS5, ROBO4, 호흡기 융합 바이러스, RON, 육종 전위 파단점(Sarcoma translocation breakpoint), SART3, 스클레로스틴, SLAMF7(SLAM 패밀리 구성원 7), 셀렉틴 P, SDC1(신데칸 1), sLe(a), 소마토메딘 C, SIP(스핑고신-1-포스페이트), 소마토스타틴, 정자 단백질 17, SSX2, STEAP1(전립선 1의 6-막관통 상피 항원), STEAP2, STn, TAG-72(종양 연관 당단백질 72), 서바이빈, T-세포 수용체, T 세포 막관통 단백질, TEM1(종양 내피 마커 1), TENB2, 테나신 C(TN-C), TGF-α, TGF-β(형질전환 성장 인자 베타), TGF-β1, TGF-β2 (형질전환 성장 인자-베타 2), 타이(CD202b), 타이2, TIM-1(CDX-014), Tn, TNF, TNF-α, TNFRSF8, TNFRSF10B(종양 괴사 인자 수용체 슈퍼패밀리 구성원 10B), TNFRSF13B(종양 괴사 인자 수용체 슈퍼패밀리 구성원 13B), TPBG(영양아층 당단백질), TRAIL-R1(종양 괴사 세포사멸 유도 리간드 수용체 1), TRAILR2(사멸 수용체 5(DR5)), 종양-연관 칼슘 신호 변환기 2, MUC1의 종양 특이적 글리코실화, TWEAK 수용체, TYRP1(당단백질 75), TROP-2, TRP-2, 타이로시나제, VCAM-1(CD106), VEGF, VEGF-A, VEGF-2(CD309), VEGFR-1, VEGFR2, 또는 비멘틴, WT1, XAGE 1, 또는 임의의 인슐린 성장 인자 수용체 또는 임의의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형태에서, 세포-결합 분자는 하기로부터 선택되는 리간드 또는 수용체 효능제일 수 있다: 엽산염 유도체(엽산염 수용체에 결합함, 난소암 및 기타 악성종양에서 과발현되는 단백질)(Low, P. S. et al 2008, Acc. Chem. Res. 41, 120-9); 글루탐산 유레아 유도체(전립선 특이적 막 항원에 결합함, 전립선암 세포의 표면 마커)(Hillier, S. M.et al, 2009, Cancer Res. 69, 6932-40); 소마토스타틴(성장 호르몬-저해 호르몬(GHIH) 또는 소마토트로핀 방출-저해 인자(SRIF)) 또는 소마토트로핀 방출-저해 호르몬이라고도 공지됨) 및 이의 유사체, 예컨대, 옥트레오타이드(Sandostatin) 및 란레오타이드(Somatuline)(특히, 신경내분비 종양, GH-생산 뇌하수체 선종, 부신경절종, 비기능성 뇌하수체 선종, 크롬친화성세포종)(Ginj, M., et al, 2006, Proc. Natl. Acad. Sci. U.S.A. 103, 16436-41); GH-분비 뇌하수체 선종에서의 소마토스타틴 수용체 하위유형(sst1, sst2, sst3, sst4 및 sst5)(Reubi J. C., Landolt, A. M. 1984 J. Clin. Endocrinol Metab 59: 1148-51; Reubi J. C., Landolt A. M. 1987 J Clin Endocrinol Metab 65: 65-73; Moyse E, et al, J Clin Endocrinol Metab 61: 98-103), 위장관췌장 종양(Reubi J. C., et al, 1987 J Clin Endocrinol Metab 65: 1127-34; Reubi, J. C, et al, 1990 Cancer Res 50: 5969-77), 크롬친화성세포종(Epel-baum J, et al 1995 J Clin Endocrinol Metab 80:1837-44; Reubi J. C., et al, 1992 J Clin Endocrinol Metab 74: 1082-9), 신경모세포종(Prevostg, 1996 Neuroendocrinology 63:188-197; Moertel, C. L, et al 1994 Am J Clin Path 102:752-756), 갑상선 수질암(Reubi, J. C, et al 1991Lab Invest 64:567-573) 소세포 폐암(Sagman U, et al, 1990 Cancer 66:2129-2133), 수막종, 수모세포종 또는 신경교종(Reubi J. C., et al 1986 J Clin Endocrinol Metab 63: 433-8; Reubi J. C., et al 1987 Cancer Res 47: 5758-64; Fruhwald, M. C, et al 1999 Pediatr Res 45: 697-708), 유방 암종(Reubi J. C., et al 1990 Int J Cancer 46: 416-20; Srkalovicg, et al 1990 J Clin Endocrinol Metab 70: 661-669), 림프종(Reubi J. C., et al 1992, Int J Cancer 50: 895-900), 신장 세포 암(Reubi J. C., et al 1992, Cancer Res 52: 6074-6078), 간충직 종양(Reubi J. C., et al 1996 Cancer Res 56: 1922-31), 전립선(Reubi J. C., et al 1995, J. Clin. Endocrinol Metab 80: 2806-14; et al 1989, Prostate 14:191-208; Halmos G, et al J. Clin. Endo-crinol Metab 85: 2564-71), 난소(Halmos, G, et al, 2000 J Clin Endocrinol Metab 85: 3509-12; Reubi J. C., et al 1991 Am J Pathol 138:1267-72), 위(Reubi J. C., et al 1999, Int J Cancer 81: 376-86; Miller, G. V, 1992 Br J Cancer 66: 391-95), 간세포(Kouroumalis E, et al 1998 Gut 42: 442-7; Reubi J. C., et al 1999 Gut 45: 66-774) 및 비인두 암종(Loh K. S, et al, 2002 Virchows Arch 441: 444-8); 방향족 설폰아마이드(탄산 탈수효소 IX에 특이적임)(저산소증 및 신장 세포 암종의 마커)에 특이적인(Neri, D., et al, Nat. Rev. Drug Discov. 2011, 10, 767-7); 크롬친화성세포종 및 부신경절종에 대한 뇌하수체 아데닐산 고리화효소 활성화 펩타이드(PACAP)(PAC1); 혈관활성 장내 펩타이드(VIP) 및 이들의 수용체 하위유형(VPAC1, VPAC2); α-멜라닌세포-자극 호르몬(α-MSH) 수용체; 콜레시스토키닌(CCK)/가스트린 수용체 및 이들의 수용체 하위유형(CCK1(이전 CCK-A) 및 CCK2; 봄베신(Pyr-Gln-Arg-Leu-Gly-Asn-Gln-Trp-Ala-Val-Gly-His-Leu-Met-NH2)/가스트린-방출 펩타이드(GRP) 및 이들의 수용체 하위유형(BB1, GRP 수용체 하위유형(BB2), BB3 및 BB4)(Ohlsson, B., et al, 1999, Scand. J. Gastroenterology 34 (12): 1224-9; Weber, H. C., 2009, Cur. Opin. Endocri. Diab. Obesity 16(1): 66-71, Gonzalez N, et al, 2008, Cur. Opin. Endocri. Diab. Obesity 15(1), 58-64); 뉴로텐신 수용체 및 이의 수용체 하위유형(NTR1, NTR2, NTR3); 기질 P 수용체 및 이들의 수용체 하위유형(예컨대, 신경교 종양에 대한 NK1 수용체(Hennig I. M., et al 1995 Int. J. Cancer 61, 786-792); 신경펩타이드 Y(NPY) 수용체 및 수용체 하위유형(Y1-Y6); 호밍 펩타이드는 이량체 및 다량체 환식 RGD 펩타이드(예를 들어, cRGDfV)인 RGD(Arg-Gly-Asp), NGR(Asn-Gly-Arg)를 포함함(Laakkonen P, Vuorinen K. 2010, Integr Biol (Camb). 2(7-8): 326-337; Chen K, Chen X. 2011, Theranostics. 1:189-200; Garanger E, et al, Anti-Cancer Agents Med Chem. 7(5): 552-558; Kerr, J. S. et al, AntiCancer Research, 19(2A), 959-968; Thumshirn,g, et al, 2003 Chem. Eur. J. 9, 2717- 2725), 및 TAASGVRSMH 또는 LTLRWVGLMS(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 NG2 수용체) 및 F3 펩타이드(세포 표면-발현된 뉴클레오린 수용체에 결합하는 31 아미노산 펩타이드)(Zitzmann, S., 2002 Cancer Res., 62, 18, pp. 5139-5143, Temminga, K., 2005, Drug Resistance Updates, 8, 381-402; P. Laakkonen and K. Vuorinen, 2010 Integrative Biol, 2(7-8), 326-337; M. A. Burg, 1999 Cancer Res., 59(12), 2869-2874; K. Porkka, et al 2002, Proc. Nat. Acad. Sci. USA 99(11), 7444-9); 세포 침투성 펩타이드(CPP)(Nakase I, et al, 2012, J. Control Release. 159(2),181-188); 펩타이드 호르몬, 예컨대, 황체형성 호르몬-방출 호르몬(LHRH) 효능제 및 길항제, 및 고나도트로핀-방출 호르몬(GnRH) 효능제는 난포 호르몬(FSH) 및 황체형성 호르몬(LH), 뿐만 아니라 테스토르테론 생산을 표적으로 함으로써 작용함, 예를 들어, 부세렐린(Pyr-His-Trp-Ser-Tyr-D-Ser(OtBu)-Leu-Arg-Pro-NHEt), 고나도렐린(Pyr-His-Trp-Ser-Tyr-Gly-Leu-Arg-Pro-Gly-NH2), 고세렐린(Pyr-His-Trp-Ser-Tyr-D-Ser(OtBu)-Leu-Arg-Pro-AzGly-NH2), 히스트렐린(Pyr-His-Trp-Ser-Tyr-D-His(N-벤질)-Leu-Arg-Pro-NHEt), 류프롤라이드(Pyr-His-Trp-Ser-Tyr-D-Leu-Leu-Arg-Pro-NHEt), 나파렐린(Pyr-His-Trp-Ser-Tyr-2Nal-Leu-Arg-Pro-Gly-NH2), 트라이프토렐린(Pyr-His-Trp-Ser-Tyr-D-Trp-Leu-Arg-Pro-Gly-NH2), 나파렐린, 데슬로렐린, 아바렐릭스(Ac-D-2Nal-D-4-클로로Phe-D-3-(3-피리딜)Ala-Ser-(N-Me)Tyr-D-Asn-Leu-아이소프로필Lys-Pro-DAla-NH2), 세트로렐릭스(Ac-D-2Nal-D-4-클로로-Phe-D-3-(3-피리딜)Ala-Ser-Tyr-D-Cit-Leu-Arg-Pro-D-Ala-NH2), 데가렐릭스(Ac-D-2Nal-D-4-클로로Phe-D-3-(3-피리딜)Ala-Ser-4-아미노Phe(L-하이드로오로틸)-D-4-아미노Phe(카바모일)-Leu-아이소프로필Lys-Pro-D-Ala-NH2), 및 가니렐릭스(Ac-D-2Nal-D-4-클로로Phe-D-3-(3-피리딜)Ala-Ser-Tyr-D-(N9,N10-다이에틸)-호모Arg-Leu-(N9, N10-다이에틸)-호모Arg-Pro-D-Ala-NH2)(Thundimadathil, J., J. Amino Acids, 2012, 967347, doi:10.1155/2012/967347; Boccon-Gibod, L.; et al, 2011, Therapeutic Advances in Urology 3(3): 127-140; Debruyne, F., 2006, Future Oncology, 2(6), 677-696; Schally A. V; Nagy, A. 1999 Eur J Endocrinol 141:1-14; KoppanM, et al 1999 Prostate 38:151-158); 및 소분자(이미퀴모드, 구아니신 및 아데노신 유사체)에서 큰 복합체 생물거대 분자, 예컨대, 지질다당류(LPS), 핵산(CpG DNA, 폴리I:C) 및 지질펩타이드(Pam3CSK4)(Kasturi, S. P., et al, 2011, Nature 470, 543-547; Lane, T., 2001, J. R. Soc. Med. 94, 316; Hotz, C., and Bourquin, C., 2012, Oncoimmunology 1, 227-228; Dudek, A. Z., et al, 2007, Clin. Cancer Res. 13, 7119-25)까지의 크기 범위인 패턴 인식 수용체(PRR), 예컨대, 톨-유사 수용체(TLR), C-타입 렉틴 및 노드유사 수용체(NLR)(Fukata, M., et al, 2009, Semin. Immunol. 21, 242-253; Maisonneuve, C., et al, 2014, Proc. Natl. Acad. Sci. U. S. A. 111, 1-6; Botos, I., et al, 2011, 구조 19, 447-459; Means, T. K., et al, 2000, Life Sci. 68, 241-258); 파골세포 및 신장에 대한 효과를 통해서 칼슘 수준을 조절하는 데 상당히 관여되는 32-아미노산 신경펩타이드인 칼시토닌 수용체(ZaidiM, et al, 1990 Crit Rev Clin Lab Sci 28, 109-174; Gorn, A. H., et al 1995 J Clin Invest 95:2680-91); 및 일반적으로 혈관신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다양한 세포, 특히 파골세포, 내피 세포 및 종양 세포의 표면 상에서 발현되는 인테그린 수용체 및 이들의 수용체 하위유형(예컨대, αVβ1, αVβ3, αVβ5, αVβ6, α6β4, α7β1, αLβ2, αIIbβ3 등)(Ruoslahti, E. et al, 1994 Cell 77, 477-8; Albelda, S. M. et al, 1990 Cancer Res., 50, 6757-64)에서 발견되었다. 짧은 펩타이드, GRGDSPK 및 환식 RGD 펜타펩타이드, 예컨대, 사이클로(RGDfV)(L1) 및 이의 유도체[사이클로(-N(Me)R-GDfV), 사이클로(R-Sar-DfV), 사이클로-(RG-N(Me)D-fV), 사이클로(RGD-N(Me)f-V), 사이클로(RGDf-N(Me)V-)(실렌지타이드)]는 인테그린 수용체의 높은 결합 친화성을 나타내었다(Dechantsreiter, M. A. et al, 1999 J. Med. Chem. 42, 3033-40, Goodman, S. L., et al, 2002 J. Med. Chem. 45, 1045-51).
세포-결합 분자/리간드 또는 세포 수용체 효능제는 Ig-기반 및 비-Ig-기반 단백질 스캐폴드 분자일 수 있다. Ig-기반 스캐폴드는 나노바디(VHH(카멜리드 Ig)의 유도체)(Muyldermans S., 2013 Annu Rev Biochem. 82, 775-97); 도메인 항체(dAb, VH 또는 VL 도메인의 유도체)(Holt, L. J, et al, 2003, Trends Biotechnol. 21, 484-90); 이중특이적 T 세포 인게이저(BiTE, 이중특이적 다이아바디)(Baeuerle, P. A, et al, 2009, Curr. Opin.mol. Ther. 11, 22-30); 이중 친화성 재표적화(DART, 이중특이적 다이아바디)(Moore P. A. P, et al. 2011, Blood 117(17), 4542-51); 4가 탠덤 항체(TandAb, 이량체화된 이중특이적 다이아바디)(Cochlovius, B, et al. 2000, Cancer Res. 60(16):4336-4341)로부터 선택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비-Ig 스캐폴드는 안티칼린(리포칼린의 유도체)(Skerra A. 2008, FEBS J., 275(11): 2677-83; Besteg, et al, 1999 Proc. Nat. Acad. USA. 96(5):1898-903; Skerra, A. 2000 Biochim Biophys Acta, 1482(1-2): 337-50; Skerra, A. 2007, Curr Opin Biotechnol. 18(4): 295-304; Skerra, A. 2008, FEBS J. 275(11):2677-83); 어드넥틴(제10 FN3(피브로넥틴))(Koide, A, et al, 1998 J.mol. Biol., 284(4):1141-51; Batori V, 2002, Protein Eng. 15(12): 1015-20; Tolcher, A. W, 2011, Clin. Cancer Res. 17(2): 363-71; Hackel, B. J, 2010, Protein Eng. Des. Sel. 23(4): 211-19); 설계된 안크린 반복 단백질(DARPin)(안크린 반복(AR) 단백질의 유도체)(Boersma, Y.L, et al, 2011 Curr Opin Biotechnol. 22(6): 849-57), 예를 들어, DARPin C9, DARPin Ec4 및 DARPin E69_LZ3_E01(Winkler J, et al, 2009 Mol Cancer Ther. 8(9), 2674-83; Patricia M-K. M., et al, Clin Cancer Res. 2011; 17(1):100-10; Boersma Y. L, et al, 2011 J. Biol. Chem. 286(48), 41273?85); 아비머(도메인 A/저밀도 지질단백질(LDL) 수용체)(Boersma Y. L, 2011 J. Biol. Chem. 286(48): 41273-41285; Silverman J, et al, 2005 Nat. Biotechnol., 23(12):1556-61)로부터 선택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특허 출원의 세포-결합 분자/리간드 또는 세포 수용체 효능제의 소분자 구조의 예는 하기와 같다: 하기 구조식에 나타낸 LB01(엽산염), LB02(PMSA 리간드), LB03(PMSA 리간드), LB04(PMSA 리간드), LB05(소마토스타틴), LB06(소마토스타틴), LB07(옥트레오타이드, 소마토스타틴 유사체), LB08(란레오타이드, 소마토스타틴 유사체), LB09(바프레오타이드(Sanvar), 소마토스타틴 유사체), LB10(CAIX 리간드), LB11(CAIX 리간드), LB12(가스트린 방출 펩타이드 수용체(GRPr), MBA), LB13(황체형성 호르몬-방출 호르몬(LH-RH) 리간드 및 GnRH), LB14(황체형성 호르몬-방출 호르몬(LH-RH) 및 GnRH 리간드), LB15(GnRH 길항제, 아바렐릭스), LB16(코발라민, 비타민 B12 유사체), LB17(코발라민, 비타민 B12 유사체), LB18(αvβ3 인테그린 수용체의 경우, 환식 RGD 펜타펩타이드), LB19(VEGF 수용체의 경우 이종-2가 펩타이드 리간드), LB20(뉴로메딘 B), LB21(G-단백질 커플드 수용체의 경우 봄베신), LB22(톨-유사 수용체의 경우 TLR2), LB23(안드로겐 수용체의 경우), LB24(αv 인테그린 수용체의 경우 실렌지타이드/사이클로(-RGDfV-)), LB23(플루드로코티손), LB25(리파부틴 유사체), LB26(리파부틴 유사체), LB27(리파부틴 유사체), LB28(플루드로코티손), LB29(덱사메타손), LB30(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LB31(베클로메타손 다이프로피오네이트), LB32(트라이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 LB33(프레드니손), LB34(프레드니솔론), LB35(메틸프레드니솔론), LB36(베타메타손), LB37(이리노테칸 유사체), LB38(크리조티닙 유사체), LB39(보르테조밉 유사체), LB40(카필조밉 유사체), LB41(카필조밉 유사체), LB42(류프롤라이드 유사체), LB43(트립토렐린 유사체), LB44 (클린다마이신), LB45(리라글루타이드 유사체), LB46(세마글루타이드 유사체), LB47 (레타파물린 유사체), LB48(인디불린 유사체), LB49(빈블라스틴 유사체), LB50(릭시세나타이드 유사체), LB51(오시머티닙 유사체), LB52(뉴클레오사이드 유사체), LB53(에를로티닙 유사체) 및 LB54(라파티닙 유사체):
Figure pct00096
Figure pct00097
Figure pct00098
Figure pct00099
Figure pct00100
Figure pct00101
Figure pct00102
Figure pct00103
Figure pct00104
Figure pct00105
식 중, "
Figure pct00106
"는 본 특허의 측쇄 링커를 연결하기 위한 부위이고; X4 및 Y1은 독립적으로 O, NH, NHNH, NR1, S, C(O)O, C(O)NH, OC(O)NH, OC(O)O, NHC(O)NH, NHC(O)S, OC(O)N(R1), N(R1)C(O)N(R1), CH2, C(O)NHNHC(O) 및 C(O)NR1이며; X1은 H, CH2, OH, O, C(O), C(O)NH, C(O)N(R1), R1, NHR1, NR1, C(O)R1 또는 C(O)O이고; X5는 H, CH3, F 또는 Cl이고; M1 및 M2는 독립적으로 H, Na, K, Ca, Mg, NH4, N(R1R2R3 R4)이며; R1, R2, R3 및 R4는 화학식 (I)에 정의되어 있다;
접합체의 응용
본 발명의 측쇄 링커를 통한 세포-결합 리간드-약물 접합체는 암의 표적화 치료를 위해서 사용된다. 표적 암은 부신피질 암종, 항문암, 방광암, 뇌종양(성인, 뇌 줄기 세포종, 유년기, 소뇌 성상 세포종, 대뇌 성상 세포종, 뇌실막종, 수아종, 원시 신경 외배엽 및 송과체 종양, 시각 경로 및 시상하부 신경교종), 유방암, 카르시노이드 종양, 위장내, 미지의 원발성 암종, 경부암, 결장암, 자궁내막암, 식도암, 간외 담관암, 유잉(Ewing) 패밀리의 종양(PNET), 두개외 배아 세포 종양, 안구암, 안내 흑색종, 담낭암, 위암(위), 배아 세포 종양, 생식선외, 임신성 영양아층 종양, 두경부암, 하인두암, 도 세포 암종, 신장암(신장세포암), 후두암, 백혈병(급성 림프구성, 급성 골수성, 만성 림프구성, 만성 골수성, 털 세포), 입술 및 구강암, 간암, 폐암(비소세포, 소세포, 림프종(AIDS-관련, 중추 신경계, 피층 T-세포, 호지킨병, 비호지킨병, 악성 중피종, 흑색종, 머켈 세포 암종, 잠복 원발성 다발성 골수종을 동반한 전이성 편평 두부암 및 기타 형질 세포 신생물, 균상식육종, 골수이형성 증후군, 척수 증식성 장애, 비인두암, 신경모세포종, 구강암, 구강인두암, 골육종, 난소암(상피, 배아 세포 종양, 저 악성 잠재성 종양), 췌장암(외분비, 도세포 암종), 부비동 및 비강암, 부갑상선암, 음경암, 크롬친화성세포종 암, 뇌하수체암, 형질 세포 신생물, 전립선암, 횡문근 육종, 직장암, 신장 세포 암(신장암), 신장 골반 및 폐렴(이행세포), 침샘 암, 세자리 증후군, 피부암, 피부암(피부 T-세포 림프종, 카포시 육종, 흑색종), 소장암, 연조직 육종, 위암, 고환암, 흉선종(악성), 갑상선암, 요도암, 자궁암(육종), 유년기의 특이한 암, 질암, 불바르(Vulvar)암, 빌름스(Wilms) 종양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세포-결합-약물 접합체는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에 따라서 사용된다. 자가면역 질환은 아클로히드라(Achlorhydra) 자가면역 활성 만성 감염, 급성 파종 뇌척수염, 급성 출혈성 뇌백질염, 애디슨병, 무감마글로불린혈증, 원형 탈모증, 경화증, 강직성 척추염, 항-GBM/TBM 신염, 항인지질 증후군, 항합성효소 증후군, 관절염, 아토피성 알레르기, 아토피성 피부염, 자가면역성 재생불량성 빈혈, 자가면역성 심근증,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자가면역성 간염, 자가면역성 내이병, 자가면역성 림프증식 증후군, 자가면역성 말초 신경병증, 자가면역성 췌장염, 자가면역성 다선 증후군 타입 I, II, 및 III, 자가면역성 프로게스테론 피부염, 자가면역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자가면역성 포도막염, 발로병/발로 동심성 경화증, 바체트 증후군, 버거병, 비커스태프 뇌염, 블라우 증후군, 수포성 유사천포창, 캐슬맨병, 사가스병, 만성 피로 면역 이상 증후군,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성신경병증, 만성 재발성 다병소성 골수염, 만성 라임병, 만성 폐쇄성 폐 질환, 척 슈트라우스 증후군, 흉터유사천포창, 실리악병, 코간 증후군, 한냉 응집 질환, 보체 성분 2 결핍, 두개 동맥염, CREST 증후군, 크론병(특발성 염증성 장질환의 유형), 쿠싱 증후군, 피부 백혈구파괴성 혈관염, 데고병, 더쿰병, 포진형 피부염, 피부근육염, 1형 당뇨병, 광범위 피부 전신 경화증, 드레슬러 증후군, 원판상 홍반성 낭창, 습진, 자궁내막증, 착부염-관련 관절염, 호산구성 근막염, 후천성 표피 수포증, 결절성 홍반, 필수 혼합 한랭글로불린혈증, 에반 증후군, 진행성 골화성 섬유이형성증, 섬유근육통, 섬유근염, 섬유화 아베올리티스, 위염, 위장 천포창, 거대 세포 동맥염, 사구체 신염, 굿파스처 증후군, 그레이브스병, 길랑-바레 증후군(GBS), 하시모토 뇌염, 하시모토 갑상선염, 용혈성 빈혈, 헤노흐-숀라인 자반증, 임신성 포진, 화농성 한선염, 휴게스 증후군(항 인지질 증후군 참조), 저감마글로불린혈증, 특발성 염증성 탈수초성 질환, 특발성 폐섬유증,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자가면역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참조), IgA 신증(또한 버거병), 인클루전 바디 근염,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성 신경병증, 간질성 방광염, 과민성 대장 증후군(IBS), 청소년 특발성 관절염, 청소년 류마티스 관절염, 가와사키병, 램버트-이튼 근무력 증후군, 백혈구파괴 혈관염, 편평 태선, 경화성 태선, 선형 IgA 질환(LAD), 루게릭병(또한 루게릭 경화증), 루포이드 간염, 홍반성 낭창, 마지드 증후군, 메니에르병, 현미경 다발성 맥관염, 밀러-피셔 증후군, 혼합 결합 조직 질환, 경화증, 무차-하버만병, 머클-웰스 증후군, 다발성 골수종, 다발성 경화증, 중증 근무력증, 근염, 기면증, 시신경척수염(또한 데빅병), 신경근육기장증, 안구 반흔 천포창, 안구간대경련-근간대경련 증후군, 오드 갑상선염, 재발성 류마티스, PANDAS(스트렙토코쿠스 연관 소아 면역 신경 정신 장애), 부신생물 소뇌 변성,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 패리 롬베르그 증후군, 파르소니지-터너 증후군, 중간부 포도막염, 천포창, 심상성 천포창, 악성 빈혈, 정맥주위 뇌척수염, POEMS 증후군, 결절성 다발 동맥염, 다발성 근육통, 다발성 근염, 원발성 담즙 간경변,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 진행성 염증성 신경병증, 건선, 건선 관절염, 괴저성 농피증, 순수 적혈구 무형성증, 라스무센 뇌염, 레이노 현상, 재발성 다발 연골염, 라이터 증후군, 하지불안 증후군, 후복막 섬유증, 류마티스 관절염, 류마티스 열, 사르코이드증, 정신분열증, 슈미트 증후군, 슈니츨러 증후군, 공막염, 경피증, 쇼그렌 증후군, 척추 관절증, 점착성 혈액 증후군, 스틸병, 강직인간 증후군, 아급성 세균성 심내막염(SBE), 수사크 증후군, 스위트 증후군, 시데남무도병, 교감 안염, 타카야수 동맥염, 측두 동맥염(거대 세포 동맥염함), 톨로사-헌트 증후군, 횡단성 척수염, 궤양성 대장염(특발성 염증성 장 질환의 유형), 미분화 결합 조직 질환, 미분화 척추 관절병증, 혈관염, 백반증, 베게너 육아종증, 윌슨 증후군 및 위스코트-아드리치 증후군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형태에서,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본 발명의 측쇄-링커를 통한 접합체를 위해서 사용되는 결합 분자는, 항-엘라스틴 항체; 상피 세포 항체에 대한 Abys; 항-기저막 콜라겐 타입 IV 단백질 항체; 항-핵 항체; 항 ds DNA; 항 ss DNA, 항 카디올리핀 항체 IgM, IgG; 항-셀리악 항체; 항 인지질 항체 IgK, IgG; 항 SM 항체; 항 미토콘드리아 항체; 갑상선 항체; 마이크로솜 항체, T-세포 항체; 티로글로불린 항체, 항 SCL-70; 항-Jo; 항-U.sub.1RNP; 항-La/SSB; 항 SSA; 항 SSB; 항 페리탈(Perital) 세포 항체; 항 히스톤; 항 RNP; C-ANCA; P-ANCA; 항 동원체; 항-피브릴라린, 및 항 GBM 항체, 항-강글리오사이드 항체; 항-데스모게인 3 항체; 항-p62 항체; 항-sp100 항체; 항-미토콘드리아(M2) 항체; 류마티스 인자 항체; 항-MCV 항체; 항-토포아이소머라제 항체; 항-호중구 세포질(cANCA) 항체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서 접합체를 위한 결합 분자는 자가면역 질환과 연관된 활성화된 림프구 상에서 발현되는 수용체 및 수용체 복합체 둘 다에 결합할 수 있다. 수용체 또는 수용체 복합체는 면역글로불린 유전자 슈퍼패밀리 구성원(예를 들어, CD2, CD3, CD4, CD8, CD19, CD20, CD22, CD28, CD30, CD33, CD37, CD38, CD56, CD70, CD79, CD79b, CD90, CD125, CD137, CD138, CD147, CD152/CTLA-4, PD-1, 또는 ICOS), TNF 수용체 슈퍼패밀리 구성원(예를 들어, CD27, CD40, CD95/Fas, CD134/OX40, CD137/4-1BB, INF-R1, TNFR-2, RANK, TACI, BCMA, 오스테오프로테게린, Apo2/TRAIL-R1, TRAIL-R2, TRAIL-R3, TRAIL-R4, 및 APO-3), 인테그린, 사이토카인 수용체, 케모카인 수용체, 주조직 적합성 단백질, 렉틴(C-타입, S-타입, 또는 I-타입), 또는 보체 대조군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형태에서, 바이러스 또는 미생물 항원에 면역특이적인 유용한 세포 결합 리간드는 인간화 또는 인간 단클론성 항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바이러스 항원"은 면역 반응을 도출할 수 있는 임의의 바이러스성 펩타이드, 폴리펩타이드 단백질(예를 들어, HIV gp120, HIV nef, RSV F 당단백질,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뉴라미니다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헤마글루티닌, HTLV tax, 단순 포진 바이러스 당단백질(예를 들어, gB, gC, gD 및 gE) 및 B형 간염 표면 항원)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미생물 항원"은 면역 반응을 도출할 수 있는 임의의 미생물 펩타이드, 폴리펩타이드, 단백질, 당류, 다당류, 또는 지질 분자(예를 들어, 박테리아, 진균, 병원성 원생동물 또는 효모 폴리펩타이드, 예를 들어, LPS 및 협막 다당류 5/8 포함)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바이러스 또는 미생물 감염에 사용 가능한 항체의 예는 RSV 감염의 치료를 위한 인간화된 항-호흡기 융합 바이러스 단클론성 항체인 팔리비주맙; HIV 감염의 치료를 위한 CD4 융합 항체인 PRO542;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치료를 위한 인간 항체인 오스타비어;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의 치료를 위한 인간화된 IgG.sub.1 항체인 PROTVIR; 및 항-LPS 항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측쇄-링커를 통한 세포 결합 분자-약물 접합체는 감염성 질환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이들 감염성 질환은 아시네토박터(Acinetobacter) 감염, 방선균증(Actinomycosis), 아프리카 수면병(아프리카 트리파노소마증(African trypanosomiasis)), AIDS(후천성 면역결핍증), 아메바증, 아나플라즈마증(Anaplasmosis), 탄저병, 용혈성 아카노박테리아균 감염(Arcanobacterium haemolyticum infection), 아르헨티나 출혈열, 회충증, 아스페르길루스증 (Aspergillosis), 아스트로바이러스 감염(Astrovirus infection), 바베시아증, 바실루스 세레우스 감염(Bacillus cereus infection), 세균성 폐렴, 세균성 질염, 박테로이데스 감염, 발란티듐증, 바일리사스카리스 감염(Baylisascaris infection), BK 바이러스 감염, 흑색사모증, 블라스토시스티스 호미니스 감염, 분아진균증, 볼리비아 출혈열, 보렐리아 감염, 보툴리누스증(및 영아 보툴리누스증), 브라질 출혈열, 브루셀라증, 버크홀데리아 감염(Burkholderia infection), 부룰리 궤양(Buruli ulcer), 칼리시바이러스 감염(Calicivirus infection)(노로바이러스(Norovirus) 및 사포바이러스(Sapovirus)), 캠필로박테리아증(Campylobacteriosis), 칸디다증(모닐리아증; 아구창), 고양이 할큄병(Cat-scratch disease), 봉와직염, 샤가스병(아메리카 수면병), 무른 궤양, 수두, 클라미디아, 클라미마이도필라 폐렴균 감염(Chlamydophila pneumoniae infection), 콜레라, 클로모블라스트진균증(Chromoblastomycosis), 간흡충증(Clonorchiasis),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 감염(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콕시디오이데스 진균증(Coccidioidomycosis), 콜로라도 진드기열(Colorado tick fever), 통상의 감기(급성 바이러스 비인두염; 급성 비염), 크로이츠펠트-야콥병(Creutzfeldt-Jakob disease), 크리민-콩고 출혈열(Crimean-Congo hemorrhagic fever), 크립토코커스증(Cryptococcosis), 크립토스포리디움증(Cryptosporidiosis), 피부 유충이행증(Cutaneous larva migrans), 원포자증, 낭미충증,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감염, 댕기열, 이핵아메바증, 디프테리아, 광절열두조충, 메디나충증, 에볼라 출혈열, 포충증(Echinococcosis), 에를리히아증(Ehrlichiosis), 요충증(Enterobiasis)(요충 감염), 엔테로코쿠스 감염(Enterococcus infection), 엔테로바이러스 감염(Enterovirus infection), 발진 티푸스(Epidemic typhus), 전염성 홍반 (Erythema infectiosum)(제5 질환(Fifth disease)), 돌발진, 비대흡충증, 간질증, 치명적 가족성 불면증, 사상충증,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겐스에 의한 식중독(Food poisoning by Clostridium perfringens), 자유 생존 아메바 감염(Free-living amebic infection), 푸소박테리움 감염(Fusobacterium infection), 가스괴사병(크로스티리디아성 근괴사(Clostridial myonecrosis)), 게오트리쿰증, 게르스트만-슈트로이슬러-샤인커 증후군(Gerstmann-Straussler-Scheinker syndrome), 편모충증, 마비저, 악구충증, 임질, 서혜부 육아종(도노바니아증), 군 A 스트렙토코쿠스 감염(streptococcal infection), 군 B 스트렙토코쿠스 감염,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Haemophilus influenzae) 감염, 수족구병(hand, foot and mouse disease: HFM), 한타바이러스 폐 증후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 감염, 용혈성-요독성 증후군, 신장 증후군 동반 출혈열, A형 간염, B형 간염, C형 간염, D형 간염, E형 간염, 단순 포진, 히스토플라스마증, 구충 감염(Hookworm infection), 인간 보카바이러스 감염(Human bocavirus infection), 인간 에윈기 에를리히아증(Human ewingii ehrlichiosis), 인간 과립구성 아나플라마증(Human granulocytic anaplasmosis), 인간 메타뉴모바이러스 감염(Human metapneumovirus infection), 인간 단핵구성 에를리히아증(Human monocytic ehrlichiosis), 인간 파필로마 감염, 인간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왜소조충증(Hymenolepiasis), 엡스타인-바르 바이러스 전염성 단핵증(Mononucleosis: Mono), 인플루엔자, 포자충증, 가와사키병, 각막염, 킨겔라 킨개(Kingella kingae) 감염, 구루병, 라사열, 레지오넬라증(재향군인병), 레지오넬라증(폰티악열병), 리슈만편모충증, 한센병, 렙토스피라증, 리스테리아증, 라임병(라임 보렐리아증(Lyme borreliosis)), 림프성 사상충증(상피병), 림프구성 맥락수막염, 말라리아, 마르부르크 출혈열, 홍역, 유비저(휘트모어병(Whitmore's disease)), 뇌수막염(Meningitis), 수막구균 질환, 요코가와흡충증, 미포자충증, 전염성 연속종, 유행성 이하선염, 발진열(전염성 티푸스), 마이코플라스마 폐렴(Mycoplasma pneumonia), 진균종, 구더기증, 신생아 결막염(신생아 안염), (신규) 변종 크로이츠펠트-야콥병(vCJD, nvCJD), 노카르디아증, 회선사상충층(사상충증), 파라콕시디오이데스 진균증(Paracoccidioidomycosis)(남아메리카 분아균증(South American blastomycosis)), 폐흡충증, 파스투렐라병, 머리이 기생증(머릿니), 몸니 기생증(몸니), 사면발이 기생증(사면발이(Pubic lice, Crab lice)), 골반 염증성 질병, 백일해(Pertussis, Whooping cough), 흑사병, 폐렴구균 감염, 주폐포자충 폐렴, 폐렴, 소아마비, 프레보텔라 감염, 원발성 아메바성 수막뇌염, 진행성 다병소성 백질뇌증, 앵무새병(Psittacosis), Q 열, 광견병(Rabies), 서교증, 호흡기 융합 바이러스 감염, 리노스포리듐증, 리노바이러스 감염, 리케차 감염, 리케차두창, 리프트 밸리 열, 록키산 홍반열, 로타바이러스 감염, 풍진, 살모넬라증, SARS(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옴, 주혈흡충증, 패혈증, 세균성 이질(Shigellosis, Bacillary dysentery), 대상포진(Shingles, Herpes zoster), 천연두(Smallpox, Variola), 스포로트리쿰증, 스타필로코쿠스 식중독, 스타필로코쿠스 감염, 분선충증, 매독, 조충증, 파상풍(Tetanus, Lockjaw), 수염백선증(Tinea barbae, Barber's itch), 머리백선증(Tinea capitis, Ringworm of Scalp), 몸백선증(Tinea corporis, Ringworm of Body), 샅백선증(Tinea cruris, Jock itch), 수부백선(Tinea manuum, Ringworm of Hand), 흑색백선증, 무좀(Tinea pedis, Athlete's foot), 손발톱백선증(Tinea unguium, Onychomycosis), 어루르기(Tinea versicolor, Pityriasis versicolor), 톡소카라증(안구유충이행증), 톡소카라증(내장유충이행증), 톡소플라스마증, 선모충증, 트리코모나스증, 편충증(편충 감염), 폐결핵, 산토끼병, 유레아플라스마 감염, 베네수엘라 마뇌염, 베네수엘라 출혈열, 바이러스성 폐렴, 웨스트 나일 열, 백색사모증(백색 윤선), 가성 결핵균 감염, 예시니아증, 황열 및 접합균증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병원성 균주에 대항하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항체인 것으로 보다 바람직한 세포 결합 분자는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cinetobacter baumannii), 악티노마이세스 이스라엘리(Actinomyces israelii), 악티노마이세스 제렌세리애(Actinomyces gerencseriae) 및 프로피온니박테리움 프로피오니쿠스(Propionibacterium propionicus), 트리파노소마 브루세이(Trypanosoma brucei), HIV(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이질아메바(Entamoeba histolytica), 안나플라즈마 속(Anaplasma genus), 바실루스 안트라시스(Bacillus anthracis), 용혈성 아카노박테리아균(Arcanobacterium haemolyticum), 주닌 바이러스, 아카리스 루브리코이데스(Ascaris lumbricoides), 아스페르길루스 속(Aspergillus genus), 아스트로비리대 패밀리(Astroviridae family), 바베시아 속(Babesia genus), 바실루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멀티플 박테리아(multiple bacteria), 박테로이데스 속(Bacteroides genus), 발란티디움 콜라이(Balantidium coli), 배이리사스카리스 속(Baylisascaris genus), BK 바이러스, 피에드라이아 호르태(Piedraia hortae), 블라스토시스티스 호미니스(Blastocystis hominis), 블라스토마이세스 더마티티데스(Blastomyces dermatitides), 마추포(Machupo) 바이러스, 보렐리아 속(Borrelia genus), 클로스트리디움보툴리늄(Clostridium botulinum), 사비아(Sabia), 브루셀라 속(Brucella genus), 통상 부르크홀데리아 세파시아(usually Burkholderia cepacia) 및 기타 부르크홀데리아 종, 마이코박테리움 울세란스(Mycobacterium ulcerans), 칼리시비리대 패밀리(Caliciviridae family), 캄필로박터 속(Campylobacter genus), 통상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및 기타 칸디다 종, 바르토넬라 헨셀래(Bartonella henselae), 군 A 스트렙토코쿠스 및 스타필로코쿠스, 트리파노소마 크루지(Trypanosoma cruzi), 헤모필루스 듀크레이(Haemophilus ducreyi), 바리셀라 조스터(Varicella zoster) 바이러스(VZV),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Chlamydia trachomatis), 클라미도필라 뉴모니애(Chlamydophila pneumoniae), 비브리오 콜레라(Vibrio cholerae), 포세카애 페드로소이(Fonsecaea pedrosoi), 클로노치스 시엔시스(Clonorchis sinensis), 클로스트리듐 디피실(Clostridium difficile), 콕시디오이데스임미티스(Coccidioides immitis) 및 콕시디오이데스 포사다시(Coccidioides posadasii), 콜로라도 진드기 열 바이러스, 리노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CJD 프리온, 크리민-콩고 출혈열 바이러스, 크립토코쿠스 네오포르만스(Cryptococcus neoformans), 크립토스포르디움 속(Cryptosporidium genus), 안사이클로토마 브라질리엔스(Ancylostoma braziliense); 멀티플 기생충, 사이클로스포라 카이에타넨시스(Cyclospora cayetanensis), 태니아 솔리움(Taenia solium),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뎅기 바이러스(DEN-1, DEN-2, DEN-3 및 DEN-4) - 플라비바이러스(Flavivirus), 장관기생아메바(Dientamoeba fragilis), 코리네박테리움 디프테리애(Corynebacterium diphtheriae), 디필로보트륨(Diphyllobothrium), 드라쿤쿨루스 메디엔시스(Dracunculus medinensis), 에볼라바이러스, 에치노코쿠스 속(Echinococcus genus), 에를리히아속(Ehrlichia genus), 엔테로비우스 버미쿨라리스(Enterobius vermicularis), 엔테로코쿠스 속(Enterococcus genus), 엔테로바이러스 속, 리케치아 프로와제키(Rickettsia prowazekii), 파보바이러스(Parvovirus) B19, 인간 헤르페스바이러스 6 및 인간 헤르페스바이러스 7, 파실로롭시스 부스키(Fasciolopsis buski), 파시올라 헤파티카(Fasciola hepatica) 및 파시올라 지간티카(Fasciola gigantica), FFI 프리온(prion), 필라리오데 슈퍼패밀리(Filarioidea superfamily),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 푸소박테륨 속(Fusobacterium genus),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리젠스(Clostridium perfringens); 기타 클로스트리듐 종, 게오트리쿰 칸디둠(Geotrichum candidum), GSS 프리온, 지아디아 인테스티날리스(Giardia intestinalis), 부르크홀데리아 말레이(Burkholderia mallei), 그나토스토마 스피니게룸(Gnathostoma spinigerum) 및 그나토마스토마 히스피둠(Gnathostoma hispidum), 니세리아 고노호애(Neisseria gonorrhoeae), 클레브시엘라 그라눌로마티스(Klebsiella granulomatis), 스트렙토코쿠스 파이오제네스(Streptococcus pyogene), 스트렙토코쿠스 아갈락티애(Streptococcus agalactiae), 해모필루스 인플루엔자(Haemophilus influenzae), 엔테로바이러스, 주로 콕사키(Coxsackie) A 바이러스 및 엔테로바이러스 71, 신 놈브레(Sin Nombre) 바이러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에쉐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O157:H7, 부니아비리대 패밀리(Bunyaviridae family), A형 간염 바이러스, B형 간염 바이러스, C형 간염 바이러스, D형 간염 바이러스, E형 간염 바이러스, 단순 포진 바이러스 1, 단순 포진 바이러스 2, 히스토플라스마 캡슐라툼(Histoplasma capsulatum), 십이지장충(Ancylostoma duodenale) 및 아메리카 구충(Necator americanus),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Hemophilus influenzae), 인간 보카바이러스(Human bocavirus), 에를리히아 유잉이(Ehrlichia ewingii), 아나플라즈마 파고시토필륨(Anaplasma phagocytophilum), 인간 메타뉴모바이러스(metapneumovirus), 에를리히아 샤펜시스(Ehrlichia chaffeensis), 인간 파필로마바이러스, 인간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소형조충(Hymenolepis nana) 및 쥐조충(Hymenolepis diminuta), 엡스테인-바르 바이러스, 오르토믹소비리대 패밀리(Orthomy-xoviridae family), 이소스포라 벨리(Isospora belli), 킨젤라 킨가에(Kingella kingae), 클레브시엘라 뉴모니애(Klebsiella pneumoniae), 클레브시엘라 오자에나스(Klebsiella ozaenas), 클레브시엘라 리노스클레로모티스(Klebsiella rhinoscleromotis), 크루 프리온(Kuru prion), 라사(Lassa) 바이러스, 레지오넬라 뉴모필라(Legionella pneumophila), 레지오넬라 뉴모필라(Legionella pneumophila), 레이쉬마니아 속(Leishmania genus), 마이코박테리움 레프래(Mycobacterium leprae) 및 마이코박테리움 레프로마토시스(Mycobacterium lepromatosis), 렙토스피라 속(Leptospira genus), 리스테리아 모노시토제네스(Listeria monocytogenes), 보렐리아 부르그도르페리(Borrelia burgdorferi) 및 기타 보렐리아 종(Borrelia species), 반크로프트사상충(Wuchereria bancrofti) 및 말레이사상충(Brugia malayi), 림프구성 맥낙 뇌막염 바이러스(Lymphocytic choriomeningitis virus: LCMV), 플라스모디움 속(Plasmodium genus), 마버그(Marburg) 바이러스, 메슬레스(Measles) 바이러스, 부르콜데리아 슈도말레이(Burkholderia pseudomallei), 나이세리아 메닝지티데스(Neisseria meningitides), 메타고니무스 요카가와이(Metagonimus yokagawai), 마이코플라스마 문(Microsporidia phylum), 감염성 연속종 바이러스(Molluscum contagiosum virus: MCV), 볼거리(Mumps) 바이러스, 리케치아 티피(Rickettsia typhi), 마이코플라스마 뉴모니애, 다수중 종의 박테리아(악티노마이세토마) 및 진균(에우미세토마(Eumycetoma)), 기생충 날개 달린 파리 유충(parasitic dipterous fly larvae),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Chlamydia trachomatis) 및 임균(Neisseria gonorrhoeae), vCJD 프리온, 노카디아 아스테로이드(Nocardia asteroides) 및 기타 노카르디아 종(Nocardia species), 회선사상충(Onchocerca volvulus), 파라콕시디오이데스 브라질리엔시스(Paracoccidioides brasiliensis), 폐흡충(Paragonimus westermani) 및 기타 폐흡충 종, 파스테우렐라 속(Pasteurella genus), 머리이(Pediculus humanus capitis), 몸니(Pediculus humanus corporis), 사면발이(Phthirus pubis), 보르데텔라 퍼투시스(Bordetella pertussis), 에르시니아 페스티스), 스트렙토콕쿠스 뉴모니애(Streptococcus pneumoniae), 뉴모사이스티스 지로베시(Pneumocystis jirovecii), 폴리오바이러스(Poliovirus), 프레보텔라 속(Prevotella genus), 내글러리아 파울레리(Naegleria fowleri), JC 바이러스, 클라미도필라 프시타시(Chlamydophila psittaci), 콕시엘라 부르네티(Coxiella burnetii), 광견병 바이러스, 스트렙토바실루스 모닐리포르미스(Streptobacillus moniliformis), 및 스피리룸 미너스(Spirillum minus), 호흡기 융합 바이러스, 리노스포리듐 시베리(Rhinosporidium seeberi), 리노바이러스, 리케치아 속(Rickettsia genus), 리케차 아카리(Rickettsia akari), 리프트 밸리 열 바이러스(Rift Valley fever virus), 리케차 리케트시(Rickettsia rickettsii), 로타 바이러스, 루벨라 바이러스, 살모넬라 속(Salmonella genus), SARS 코로나바이러스, 사르콥테스 스카비에이(Sarcoptes scabiei), 스치스토소마 속(Schistosoma genus), 시겔라 속(Shigella genus), 바리셀라 조스터(Varicella zoster) 바이러스, 바리올라 메이저(Variola major) 또는 바리올라 마이너(Variola minor), 스포로트릭스 셴키(Sporothrix schenckii), 스타필로코쿠스 속, 스타필로코쿠스 속,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스트렙토코쿠스 피오제네스(Streptococcus pyogenes), 분선충(Strongyloides stercoralis), 매독트레포네마(Treponema pallidum), 태니아 속(Taenia genus), 클로스트리듐 테타니(Clostridium tetani), 트리코피톤 속(Trichophyton genus), 트리코피톤 토수란스(Trichophyton tonsurans), 트리코피톤 속, 에피더모피톤 플록코섬(Epidermophyton floccosum), 트리코피톤 루브룸(Trichophyton rubrum), 및 트리코피톤 메타그로피테스(Trichophyton mentagrophytes), 트리코피톤 루브룸(Trichophyton rubrum), 호르태아 웨넥키(Hortaea werneckii), 트리코피톤 속(Trichophyton genus), 말라세지아 속(Malassezia genus), 톡소카라 카니스(Toxocara canis) 또는 톡소카라 카티(Toxocara cati), 톡소플라스마 곤디(Toxoplasma gondii), 트리키넬라 스피랄리스(Trichinella spiralis), 트리코모나스 바지날리스(Trichomonas vaginalis), 트리처리스 트리치우라(Trichuris trichiura), 마이코박테리움 투버쿨로시스(Mycobacterium tuberculosis), 프란시셀라 투라렌시스(Francisella tularensis), 유레아플라즈마 우레알리티쿰(Ureaplasma urealyticum), 베네수엘라마뇌염(Venezuelan equine encephalitis) 바이러스, 비브리오 콜레라, 구아나리토(Guanarito) 바이러스, 웨스트 나일(West Nile) 바이러스, 트리초스포론 베이겔리(Trichosporon beigelii), 예러시니아 슈도투벨르큘로시스(Yersinia pseudotuberculosis), 예르시니아 엔테로코리티카(Yersinia enterocolitica), 황열병 바이러스, 무코랄레스 오더(Mucorales order)(털곰팡이증(Mucormycosis)) 및 엔토프토랄레스 목(Entomophthorales order)(엔토모프토라증(Entomophthoramycosis), 슈도모나스 녹농균, 캄필로박터(Campylobacter) (비브리오) 태아, 아에로모나스 하이드로필라(Aeromonas hydrophila), 에드워드시엘라 타르다(Edwardsiella tarda), 에르시니아 페스티스(Yersinia pestis), 시겔라 디센테리애(Shigella dysenteriae), 시겔라 플렉스네리(Shigella flexneri), 시겔라 손네이(Shigella sonnei), 살모넬라 티피무리움(Salmonella typhimurium), 트레포네마 페르테누에(Treponema pertenue), 트레포네마 카르테움(Treponema carateneum), 보렐리아 빈센티(Borrelia vincentii), 보렐리아 부르고도리페리(Borrelia burgdorferi), 렙토스피라 이시테로헤모르하지애(Leptospira icterohemorrhagiae), 뉴모시스티스 카리니(Pneumocystis carinii), 브루셀라 아보르투스(Brucella abortus), 브루셀라 수이스(Brucella suis), 브루셀라 멜리텐시스(Brucella melitensis), 마이코플라스마 종(Mycoplasma spp.), 리케차 프로와제키(Rickettsia prowazeki), 리케차 츠츠구무쉬(Rickettsia tsutsugumushi), 클라미디아 종(Clamydia spp.); 병원성 진균(pathogenic fungi)(아스페르질루스 푸미가투스(Aspergillus fumigatus),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히스토플라스마 캅술라툼(Histoplasma capsulatum); 원생동물(이질 아메바, 트리초모나스 테나스(Trichomonas tenas), 트리초모나스 호미니스(Trichomonas hominis), 트리오아노소마 감비엔스(Tryoanosoma gambiense), 트리파노소마 로데시엔세(Trypanosoma rhodesiense), 레이시마니아 도노바니(Leishmania donovani), 레이시마니아 트로피카(Leishmania tropica), 레이시마니아 브라질리엔시스(Leishmania braziliensis), 뉴모사이스티스 뉴모니아(Pneumocystis pneumonia), 플라스모디움 비백스(Plasmodium vivax), 플라스모디움 팔시파룸(Plasmodium falciparum), 플라스모디움 말라리아(Plasmodium malaria)); 또는 헬미니스(Helminith)(쉬스토소마 자포니쿰(Schistosoma japonicum), 쉬스토소마 만소니(Schistosoma mansoni), 쉬스토소마 해바토비움(Schistosoma haematobium), 및 십이지장충(hookworm)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바이러스 질환의 치료를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접합체는 예로서 하기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병원성 바이러스의 항원에 대한 항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폭시리대(Poxyiridae), 헤르페스비리대(Herpesviridae), 아데노비리대(Adenoviridae), 파포바비리대(Papovaviridae), 엔테로비리대(Enteroviridae), 피코르나비리대(Picornaviridae), 파르보비리대(Parvoviridae), 레오비리대(Reoviridae), 레트로비리대(Retroviridae),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볼거리, 홍역, 호흡기 융합 바이러스, 풍진, 아르보비리대(Arboviridae), 라브도비리대(Rhabdoviridae), 아레나비리대(Arenaviridae), 비-A형/비-B형 간염 바이러스, 리노비리대(Rhinoviridae), 코로나비리대(Coronaviridae), 로토비리대(Rotoviridae), 온코바이러스[예컨대, HBV(간세포 암종), HPV(경부암, 항문암), 카포시 육종 연관 포진 바이러스(카포시 육종), 엡스타인-바르 바이러스(비인두 암종, 버킷 림프종, 원발 중추 신경계 림프종), MCPyV(머켈 세포암), SV40(시미안 바이러스 40), HCV(간세포 암종), HTLV-I(성인 T-세포 백혈병/림프종)], 면역 장애 유발된 이러스: [예컨대, 인간 면역결핍바이러스(AIDS)]; 중추 신경계 바이러스: [예컨대, JCV(진행성 다병소성 백혈구증), MeV(아급성 경화성 뇌막염), LCV(림프구성 맥락수막염), 아르보바이러스(Arbovirus) 뇌염, 오쏘믹소비리대(Orthomyxoviridae)(가능성)(기면성 뇌염), RV(광견병), 헤르페스바이러스 수막염, 램지 헌트 증후군 유형 II; 폴리오 바이러스(소아마비, 소아마비후 증후군), HTLV-I(열대성 경성 대마비)];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사이토메갈로 바이러스 망막염, HSV(포진성 각막염)); 심혈관계 바이러스[예컨대, CBV(심막염, 심근염)]; 호흡기/급성 바이러스성 비인두염/바이러스성 폐렴: [엡스테인-바르 바이러스(EBV 감염/감염성 단핵구증),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SARS 코로나바이러스(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오쏘믹소비리대: 인플루엔자 A/B/C(인플루엔자/조류 인플루엔자), 파라믹소바이러스(Paramyxovirus): 인간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파라인플루엔자), RSV(인간 호흡기 신티알바이러스(syncytialvirus), hMPV]; 소화계 바이러스[MuV(볼거리),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에소파지티스(esophagitis); 아데노바이러스(아데노바이러스 감염); 로타바이러스, 노보바이러스, 아스트로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HBV(B형 간염 바이러스), CBV, HAV(A형 간염 바이러스), HCV(C형 간염 바이러스), HDV(D형 간염 바이러스), HEV(E형 간염 바이러스), HGV(G형 간염 바이러스)]; 비뇨생식기 바이러스[예컨대, BK 바이러스, MuV(볼거리)].
추가 목적에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암, 감염 또는 자가면역 장애의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와 함께, 본 발명의 접합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암, 감염 및 자가면역 장애의 치료 방법은 시험관내, 생체내 또는 생체외에서 수행될 수 있다. 시험관내 사용의 예는 표적 항원을 발현하지 않는 목적하는 변이체를 제외한 모든 세포를 사멸시키거나, 또는 목적하지 않은 항원을 발현하는 변이체를 사멸시키기 위한 세포 배양물의 처리를 포함한다. 생체외 사용의 예는 병에 걸린 세포 또는 악성 세포를 사멸시키기 위해 동일한 환자에게 이식(HSCT)을 수행하기 전에, 조혈 줄기세포(HSC)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암 치료 또는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에서 자가유래 이식 이전에, 골수로부터 종양 세포 또는 림프 세포를 제거하는 생체외 처리, 또는 이식편대숙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 동종이계 골수로부터 이식 이전에 T 세포 및 다른 림프구 세포를 제거하는 생체외 처리는 하기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골수를 환자 또는 다른 개체로부터 수거하고, 이어서 약 37℃에서 약 30분 내지 약 48시간 동안, 약 1pM 내지 0.1mM의 농도 범위의 본 발명의 접합체가 첨가된 혈청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인큐베이션시킨다. 정확한 농축 조건 및 인큐베이션 시간(=용량)은 숙련된 임상의에 의해 쉽게 결정된다. 인큐베이션 후, 골수 세포를 혈청을 함유하는 배지로 세척하고, 공지된 방법에 따라 i.v. 주입에 의해서 환자에게 다시 제공한다. 환자가 골수 수거와, 처리된 세포의 재주입 사이에 절제(ablative) 화학 요법 또는 전신 방사선 조사의 과정과 같은 다른 치료를 받는 상황에서, 처리된 골수 세포는 표준 의료 장비를 사용하여 액체 질소에 냉동 보관된다.
상승작용을 위한 화학치료 약물/세포독성제
상승작용을 위해서 본 발명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화학치료 약물은 세포 독성제를 비롯한 소분자 약물이다. "소분자 약물"은 본 명세서에서 예를 들어, 100 내지 2500, 보다 적합하게는 200 내지 2000의 분자량을 가질 수 있는 유기, 무기 또는 유기 금속 화합물을 지칭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소분자 약물은 관련 기술 분야에 양호하게 특징규명되어 있고, 예컨대, WO05058367A2 및 미국 특허 제4,956,303호에 특징규명되어 있고, 이들 모두는 참고로 위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약물은 공지된 약물 및 공지된 약물이 될 수 있는 약물을 포함한다.
공지된 약물은 하기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1) 화학치료제: a) 알킬화제: 예컨대, 질소 머스타드: 클로람부실, 클로르나파진,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 다카바진, 에스트라무스틴, 이포스파마이드, 메클로레타민, 메클로레타민 옥사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만노머스틴, 미토브로니톨, 멜팔란, 미토락톨, 피포브로만, 노벰비친, 페네스테린, 프레드니무스틴, 티오테파, 트로포스파마이드, 우라실 머스타드; CC-1065(이의 아데젤레신, 카젤레신 및 비젤레신 합성 유사체 포함); 듀오카마이신(합성 유사체, KW-2189, 및 CBI TMI 포함); 벤조다이아제핀 이량체(예를 들어, 피롤로벤조다이아제핀(PBD) 또는토마이마이신 이량체, 인돌리노벤조다이아제핀, 이미다조벤조티아다이아제핀 또는 옥사졸리디노벤조다이아제핀의 이량체); 나이트로소유레아: (카무스틴, 로무스틴, 클로로조토신, 포테무스틴, 니무스틴, 라니무스틴); 알킬설포네이트: (부설판, 트레오설판, 임프로설판 및 피포설판); 트라이아젠: (다카바진); 백금 함유 화합물(카보플라틴, 시스플라틴, 옥살리플라틴); 아지리딘, 예컨대, 벤조도파, 카보쿠온, 메투레도파, 및 우레도파; 알트레타민, 트라이에틸렌멜라민, 트라이에틸렌포스포아마이드, 트라이에틸렌티오포스포아마이드 및 트리메틸올로멜라민을 비롯한 에틸렌이민 및 메틸라멜라민; b) 식물 알칼로이드: 예컨대, 빈카 알칼로이드: (빈크리스틴, 빈블라스틴, 빈데신, 비노렐빈, 나벨빈); 탁소이드(Taxoid): (파클리탁셀, 도세탁솔) 및 이들의 유사체, 메이탄시노이드(DM1, DM2, DM3, DM4, 메이탄신 및 안사미토신) 및 이들의 유사체, 크립토파이신(특히 크립토파이신 1 및 크립토파이신 8); 에포틸론, 엘레우테로빈, 디스코더몰리드, 브리오스타틴, 돌로스타틴, 오리스타틴, 튜불리신, 세팔로스타틴; 판크라티스타틴; 사르코딕틴; 스폰지스타틴; c) DNA 토포이소머라제 저해제: 예컨대 [에피포도필린스: (9-아미노캄프토테신, 캄프토테신, 크리나톨, 다우노마이신, 에토포사이드, 에토포사이드 포스페이트, 이리노테칸, 미토산트론, 노반트론, 레티노산(레티놀), 테니포사이드, 토포테칸, 9-나이트로캄토테신(RFS 2000)); 미토마이신(미토마이신 C]; d) 항대사제: 예컨대, {[항-엽산염: DHFR 저해제: (메토트렉세이트, 트라이메트렉세이트, 데노프테린, 프테로프테린, 아미노프테린(4-아미노프테르 산) 또는 기타 엽산 유사체); IMP 탈수소효소 저해제: (마이코페놀산, 티아조퓨린, 리바비린, EICAR); 리보뉴클레오타이드 환원효소 저해제: (하이드록시유레아, 데페록사민)]; [피리미딘 유사체: 우라실 유사체: (안시타빈, 아자시티딘, 6-아자우리딘, 카페시타빈(Xeloda), 카모퍼, 시타라빈, 다이데옥시 우리딘, 독시플루리딘, 에노시타빈, 5-플루오로우라실, 플록스우리딘, 래티트렉세드(Tomudex)); 사이토신 유사체: (시타라빈, 사이토신 아라비노사이드, 플루다라빈); 퓨린 유사체: (아자티오프린, 플루다라빈, 메르캅토퓨린, 티아민프린, 티오구아닌)]; 엽산 보충제, 예컨대, 프롤린 산}; e) 호르몬 요법: 예컨대, {수용체 길항제: [항-에스트로겐: (메제스트롤, 랄록시펜, 타목시펜); LHRH 효능제: (고스크르클린(goscrclin),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 항-안드로겐: (비칼루타마이드, 플루타마이드, 칼루스테론, 드로모스타놀론 프로피오네이트, 에피티오스타놀, 고세렐린, 류프롤라이드, 메피티오스탄, 닐루타마이드, 테스토락톤, 트릴로스탄 및 기타 안드로겐 저해제)]; 레티노이드/델토이드: [비타민 D3 유사체: (CB 1093, EB 1089, KH 1060, 콜레칼시페롤, 에르고칼시페롤); 광역학 요법: (베르트포르핀, 프탈로시아닌, 광민감제 Pc4, 데메톡시하이포크렐린 A); 사이토카인: (인터페론-알파, 인터페론-감마, 종양 괴사 인자(TNF), TNF 도메인을 함유하는 인간 단백질)]}; f) 카이나제 저해제: 예컨대, BIBW 2992(항-EGFR/Erb2), 이마티닙, 제피티닙, 페갑타닙, 소라페닙, 다사티닙, 수니티닙, 에를로티닙, 닐로티닙, 라파티닙, 액시티닙, 파조파닙, 반데타닙, E7080(항-VEGFR2), 무브리티닙, 포나티닙(AP24534), 바페티닙(INNO-406), 보수티닙SKI-606),카보잔티닙, 비스모데집, 이니파립, 룩솔리티닙, CYT387, 악시티닙, 티보자닙, 소라페닙, 베바시주맙, 세툭시맙, 트라스투주맙, 라니비주맙, 파니투무맙, 이스피네십; g) 폴리(ADP-리보스) 중합효소(PARP) 저해제: 예컨대, 올라파립, 니라파립, 이니파립, 탈라조파립, 벨리파립, CEP 9722(세팔론사(Cephalon)), E7016(에이자이사(Eisai)), BGB-290(베이젠사(BeiGene)) 또는 3-아미노벤즈아미드;
h) 항생제, 예컨대, 에네다이인 항생제(예를 들어, 칼리케아미신, 특히, 칼리케아미신 γ1, δ1, α1 또는 β1(예를 들어, 문헌[J. Med. Chem., 39 (11), 2103-2117 (1996), Angew Chem Intl. Ed. Engl. 33:183-186 (1994)] 참고); 다이네미신 A 및 데옥시다이네미신을 비롯한 다이네미신; 에스페라미신, 케다르시딘, C-1027, 마두로펩틴뿐만 아니라 네오카르지노스타틴 발색단 및 관련 크로모프로테인 에네다이인 항생제 발색단), 아클라시노마이신, 액티노마이신, 오트라마이신, 아자세린, 블레오마이신, 칵티노마이신, 카라비신, 카미노마이신, 카르지노필린; 크로모마이신, 닥티노마이신, 다우노루비신, 데토루비신, 6-다이아조-5-옥소-L-노르류신, 독소루비신, 모폴리노-독소루비신, 사이아노모폴리노-독소루비신, 2-피롤리노-독소루비신 및 데옥시독소루비신, 에피루비신, 에소루비신, 이다루비신, 마르셀로마이신, 니토마이신, 마이코페놀산, 노갈라마이신, 올리보마이신, 페플로마이신, 폿퍼로마이신, 푸로마이신, 쿠엘라마이신, 로도루비신, 스트렙토니그린, 스트렙토조신, 투버시딘, 우베니멕스, 지노스타틴, 조루비신; i) 기타: 예컨대, 폴리케타이드(아세토게닌), 특히, 불라타신 및 불라타시논, 겜시타빈, 에폭소미신(예를 들어, 카필조밉), 보르테조밉, 탈리도마이드, 레날리도마이드, 포말리도마이드, 토세도스타트, 지브레스타트, PLX4032, STA-9090, 스티무박스, 알로벡틴-7, 엑세게바(Xegeva), 프로벤지, 에르보이(Yervoy), 단백지질화 저해제(예컨대, 로바스타틴), 도파민성 신경독(예컨대, 1-메틸-4-페닐피리디늄 이온), 세포 사이클 저해제(예컨대, 스타우로스포린), 악티노마이신(예컨대, 악티노마이신 D, 닥티노마이신), 블레오마이신(예컨대, 블레오마이신 A2, 블레오마이신 B2, 페플로마이신), 안트라사이클린(예컨대, 다우노루비신, 독소루비신(아드리아마이신), 이다루비신, 에피루비신, 피라루비신, 조루비신, 엠톡산트론, MDR 저해제(예컨대, 베라파밀), Ca2+ ATPase 저해제(예컨대, 탑시가르긴),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저해제(보리노스타트, 로미뎁신, 파노비노스타트, 발프로산, 모세티노스타트(MGCD0103), 벨리노스타트, PCT-24781, 엔티노스타트, SB939, 레스미노스타트, 지비노스타트, AR-42, CUDC-101, 설포라판, 트리초스타틴 A); 탑시가르긴, 셀레콕시브, 글리타존,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다이설피람, 살리노스포라마이드 A; 항-아드레날, 예컨대, 아미노글루트티미드, 미토탄, 트릴로스탄; 아세글라톤; 알도포스파마이드 글리코사이드; 아미노레불린산; 암사크린; 아라비노사이드, 베스트라부실; 비산트렌; 에다트락세이트; 데포파민; 데메콜신; 디아지쿠온; 에플로니틴(DFMO), 엘포미틴; 엘립티늄 아세테이트, 에토글루시드; 갈륨 나이트레이트, 가사이토신, 하이드록시유레아; 이반드로네이트, 렌티난; 로니다민; 미토구아존; 미톡산트론; 모피다몰; 니트라크린; 펜토스타틴; 페나멧; 피라루비신; 포도필린산; 2-에틸하이드라자이드; 프로카바진; PSK®; 라족산; 리족신; 시조피란; 스피로게르마늄; 테누아존산; 트라이아지쿠온; 2,2',2"-트라이클로로트라이에틸아민; 트리초테센(특히, T-2 톡신, 버루카린 A, 로리딘 A 및 안구이딘); 우레탄, siRNA, 안티센스 약물; 및 핵산분해 효소.
2) 항-자가면역 질환제는 사이클로스포린, 사이클로스포린 A, 아미노카프로 산, 아자티오프린, 브로모크립틴, 클로람부실, 클로로퀸,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 코르티코스테로이드(예를 들어, 암시노나이드, 베타메타손, 부데소나이드, 하이드로코르티손, 플루니솔리드,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플루코톨론 다나졸, 덱사메타손, 트라이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 베클로메타손 다이프로피오네이트), DHEA, 에나너셉트, 하이드록시클로로퀸, 인플릭시맙, 메록시캄, 메토트렉세이트, 모페틸, 마이코페닐레이트, 프레드니손, 시롤리무스, 타크롤리무스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3) 항-감염성 질환제는 하기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a) 아미노글리코사이드: 아미카신, 아스트로미신, 젠타미신(네틸미신, 시소미신, 이세파미신), 하이그로마이신 B, 카나마이신(아미카신, 아르베카신, 베카나마이신, 디베카신, 토브라마이신), 네오마이신(프라마이세틴, 파로모마이신, 리보스타마이신), 네틸미신, 스펙티노마이신, 스트렙토마이신, 토브라마이신, 베르다미신; b) 암페니콜: 아지다페니콜, 클로람페니콜, 플로페니콜, 티암페니콜; c) 안사마이신: 젤다나마이신, 헤르비마이신; d) 카바페넴: 비아페넴, 도리페넴, 에르타페넴, 이미페넴/실라스타틴, 메로페넴, 파니페넴; e) 세펨: 카바세펨(로라카르베프), 세파세트릴, 세파클로, 세프라딘, 세파드록실, 세팔로늄, 세팔로리딘, 세팔로틴 또는 세팔로씬, 세팔렉신, 세팔로글리신, 세파만돌, 세파피린, 세파트리진, 세파자플루, 세파제돈, 세파졸린, 세프부페라존, 세프카펜, 세프달록심, 세페핌, 세프미녹스, 세폭시틴, 세프프로질, 세프록사딘, 세프테졸, 세푸록심, 세픽심, 세프디니어, 세프디토렌, 세페핌, 세페타메트, 세프메녹심, 세포디짐, 세포니시드, 세포페라존, 세포라나이드, 세포탁심, 세포티암, 세포조프란, 세팔렉신, 세프피미졸, 세프피라마이드, 세프피롬, 세프포독심, 세프프로질, 세프퀴놈, 세프술로딘, 세프타지딤, 세프테람, 세프티부텐, 세프티올렌, 세프티족심, 세프토비프롤, 세프트리악손, 세푸록심, 세푸조남, 세파마이신(세폭시틴, 세폭테탄, 세프메타졸), 옥사세펨(플로목세프, 라타목세프); f) 글리코펩타이드: 블레오마이신, 반코마이신(오리타반신, 텔라반신), 테이코플라닌(달바반신), 라모플라닌; g) 글리실사이클린: 예를 들어, 티게사이클린; g) β-락타마제 저해제: 페남(설박탐, 타조박탐), 클라밤(클라불란 산) i) 린코사마이드: 클린다마이신, 린코마이신; j) 리포펩타이드: 답토마이신, A54145, 칼슘-의존 항체(CDA); k) 마크롤리드: 아지트로마이신, 세트로마이신, 클라리트로마이신, 디리스트로마이신, 에리트로마이신, 플루리트로마이신, 요사마이신, 케톨리드(텔리트로마이신, 세트로마이신), 미데카마이신, 미오카마이신, 올레안도마이신, 리파마이신(리팜피신, 리팜핀, 리파부틴, 리파펩틴), 로키타마이신, 록시트로마이신, 스펙티노마이신, 스피라마이신, 타크롤리무스(FK506), 트롤레안도마이신, 텔리트로마이신; l) 모노박탐: 아즈트레오남, 티게모남; m) 옥사졸리디논: 리네졸리드; n) 페니실린: 아목시실린, 암피실린(피밤피실린, 헤타실린, 바캄피실린, 메탐피실린, 탈람피실린), 아지도실린, 아즐로실린, 벤질페니실린, 벤자틴 벤질페니실린, 벤자틴 페녹시메틸페니실린, 클로메토실린, 프로카인 벤질페니실린, 카르베니실린(카린다실린), 클록사실린, 디클록사실린, 에피실린, 플루클록사실린, 메실리남(피브메실리남), 메즐로실린, 메티실린, 나프실린, 옥사실린, 페나메실린, 페니실린, 페네티실린, 페녹시메틸페니실린, 피페라실린, 프로피실린, 설베니실린, 테모실린, 티카르실린; o) 폴리펩타이드: 바시트라신, 콜리스틴, 폴리믹신 B; p) 퀴놀론: 알라트로플록사신, 발로플록사신,시프로플록사신, 클리나플록사신, 다노플록사신, 디플록사신, 에녹사신, 엔로플록사신, 플로신, 가레녹사신, 가티플록사신, 제미플록사신, 그레파플록사신, 카노트로바플록사신, 레보플록사신, 로메플록사신, 마보플록사신, 목시플록사신, 나디플록사신, 노르플록사신, 오르비플록사신, 오플록사신, 페플록사신, 트로바플록사신, 그레파플록사신, 시타플록사신, 스파플록사신, 테마플록사신, 토수폴록사신, 트로바플록사신; q) 스트렙토그라민: 프리스티나마이신, 퀴누프리스틴/달포프리스틴; r) 설폰아마이드: 마페나이드, 프론토실, 설파세타마이드, 설파메티졸, 설파닐이미드, 설파살라진, 설프아이속사졸, 트라이메토프림, 트라이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코-트리목사졸); s) 스테로이드 항균제: 푸시드산; t) 테트라사이클린: 독시사이클린, 클로르테트라사이클린, 클로모사이클린, 데메클로사이클린, 라임사이클린, 메클로사이클린, 메타사이클린, 미노사이클린, 옥시테트라사이클린, 페니메피사이클린, 롤리테트라사이클린, 테트라사이클린, 글리실사이클린(예를 들어, 티게사이클린 포함); u) 기타 유형의 항생제: 안노나신, 아스페나민, 박토프레놀 저해제(바시트라신), DADAL/AR 저해제(사이클로세린), 딕티오스타틴, 디스코더몰리드, 엘레우테로빈, 에포틸론, 에탐부톨, 에토포사이드, 파로페넴, 푸시드산, 푸라졸리돈, 이소니아자이드, 라울리말리드, 메트로니다졸, 무피로신, 마이코락톤, NAM 합성 저해제(예를 들어, 포스포마이신), 나이트로푸란토인, 파클리탁셀, 플래텐시마이신, 피라진아마이드, 퀴누프리스틴/달포프리스틴, 리팜피신(리팜핀), 타조박탐 티니다졸, 우바리신.
4) 항-바이러스성 약물: a) 유입/융합 저해제: 아프라비록, 마라비록, 비크리비록, gp41(엔푸비어타이드), PRO 140, CD4(이발리주납); b) 인테그라제 저해제: 랄테그라비어, 엘비테그라비어, 글로보이드난 A; c) 성숙 저해제: 베비리마트, 비베콘; d) 뉴라미니다제 저해제: 오셀타미비어, 자나미비어, 페라미비어; e) 뉴클레오사이드 및 뉴클레오타이드: 아바카비어, 아시클로비어, 아데포비어, 암독소비어, 아프리시타빈, 브리부딘, 시도포비어, 클레부딘, 덱셀부시타빈, 디다노신(ddI), 엘부시타빈, 엠트리시타빈(FTC), 엔테카비어, 팜사이클로비어, 플루오로우라실(5-FU), 3'-플루오로-치환된 2',3'-다이데옥시뉴클레오사이드 유사체(예를 들어, 3'-플루오로-2',3'-다이데옥시티미딘(FLT) 및 3'-플루오로-2',3'-다이데옥시구아노신(FLG)), 포미비르센, 간시클로비어, 이독스우리딘, 라미부딘(3TC), 1-뉴클레오사이드(β-1-티미딘 및 β-1,2'-데옥시사이티딘), 펜시클로비어, 라시비어, 리바비린, 스탬피딘, 스타부딘(d4T), 타리바비린(비라미딘), 텔비부딘, 테노포비어, 트리플루리딘, 발라시클로비어, 발간시클로비어, 잘시타빈(ddC), 지도부딘(AZT); f) 비-뉴클레오사이드: 아만타딘, 아테비리딘, 캡라비린, 다이아릴피리미딘(에트라비린, 릴피비린), 델라비르딘, 도코사놀, 에미비린, 에파비렌즈, 포스카르넷(포스포노폼산), 이미퀴모드, 인터페론 알파, 로비라이드, 로데노신, 메티사존, 네비라핀, NOV-205, 페그인터페론 알파, 포도필로톡신, 리팜피신, 리만타딘, 레시퀴모드(R-848), 트로만타딘; g) 프로테아제 저해제: 암프레나비어, 아타자나비어, 보세프레비어, 다루나비어, 포삼프레나비어, 인디나비어, 로피나비어, 넬피나비어, 플레코나릴, 리토나비어, 사퀴나비어, 텔라프레비어(VX-950), 팁라나비어; h) 기타 유형의 항-바이러스 약물: 아브자임, 아르비돌, 칼라놀라이드 a, 세라게닌, 사이아노비린-n, 다이아릴피리미딘,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 포스카르넷, 그리피쓰신, 타리바비린(비라미딘), 하이드록시유레아, KP-1461, 밀테포신, 플레코나릴, 포트만테우(portmanteau) 저해제, 리바비린, 셀리시클립.
5) 방사선요법을 위한 방사성동위원소. 방사성동위원소(방사성핵종)의 예는 3H, 11C, 14C, 18F, 32P, 35S, 64Cu, 68Ga, 86Y, 99Tc, 111In, 123I, 124I, 125I, 131I, 133Xe, 177Lu, 211At 또는 213Bi이다. 방사성동위원소 표지된 항체는 수용체 표적화 영상화 실험에 유용하거나 또는 예컨대, 항체-방사성동위원소 접합체를 사용한 표적화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Wu et al (2005) Nature Biotechnology 23(9): 1137-46). 세포 결합 분자, 예를 들어, 항체는 문헌[Current Protocols in Immunology, Volumes 1 and 2, Coligen et al, Ed. Wiley-Interscience, New York, Pubs. (1991)]에 기술된 기술을 사용하여, 방사성동위원소 금속에 결합하거나, 이와 킬레이팅하거나 또는 달리 복합체를 이루는 리간드 시약으로 표지될 수 있다. 금속 이온과 복합체를 이룰 수 있는 킬레이팅 리간드는 DOTA, DOTP, DOTMA, DTPA 및 TETA(마이크로사이클릭스사(Macrocyclics), 미국 텍사스주 달라스 소재).
6). 상승작용 요법으로서의 또 다른 세포-결합 분자-약물 접합체. 바람직한 상승작용 접합체는 튜불리신 유사체, 메이탄시노이드 유사체, 탁사노이드(탁산) 유사체, CC-1065 유사체, 다우노루비신 및 독소루비신 화합물, 아마톡신 유사체, 벤조다이아제핀 이량체(예를 들어, 피롤로벤조다이아제핀(PBD), 토마이마이신, 안트라마이신, 인돌리노벤조다이아제핀, 이미다조벤조티아다이아제핀, 또는 옥사졸리디노벤조다이아제핀의 이량체), 칼리케아미신 및 에네다이인 항생제 화합물, 악티노마이신, 아자세린, 블레오마이신, 에피루비신, 타목시펜, 이다루비신, 돌라스타틴, 오리스타틴(예를 들어, 모노메틸 오리스타틴 E, MMAE, MMAF, 오리스타틴 PYE, 오리스타틴 TP, 오리스타틴 2-AQ, 6-AQ, EB (AEB), 및 EFP(AEFP)), 듀오카마이신, 젤다나마이신 또는 메토트렉세이트, 티오테파, 빈데신, 빈크리스틴, 헤미아스테를린, 나줌아마이드, 마이크로기닌, 라디오수민, 알테로박틴, 마이크로스클레로더민, 테오넬라마이드, 에스페라미신, PNU-159682; 및 이들의 유사체 및 유도체의 세포독성제를 갖는 접합체일 수 있다.
7) 상기 약물 중 임의의 것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산 또는 유도체.
추가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면역독소가 상승작용 약물로서 세포-결합 분자에 접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면역독소는 통상적으로 박테리아 또는 식물 단백질로부터 유래되는 세포독성 단백질, 예컨대, 디프테리아 독소(DT), 콜레라 독소(CT), 트라이코산틴(trichosanthin: TCS), 다이안틴(Dianthin), 슈도모나스 외독소 A(ETA'), 발적 독소(Erythrogenic toxin), 디프테리아 독소, AB 독소, 타입 III 외독소 등인 마크로분자 약물이다. 그것은 또한 활성화를 위해서 단백질분해 가공이 필요한 매우 독성인 포어-형성(pore-forming) 프로톡신(protoxin)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톡신의 예는 프로아에로라이신 및 이의 유전자 개질 형태인 톱살라이신이다. 톱살라이신은 전립선 내의 효소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도록 조작되어, 이웃하는 조직과 신경을 손상시키지 않고 국지화된 세포 사멸 및 조직 파괴를 유도하는 변형된 재조합 단백질이다.
또 다른 상승작용 면역요법에서, 면역관문 저해제(checkpoint inhibitor)의 항체, TCR(T 세포 수용체) T 세포 또는 CAR(키메라 항원 수용체) T 세포 또는 B 세포 수용체(BCR), 자연 살해(NK) 세포 또는 세포독성 세포 또는 항-CD3, CD4, CD8, CD16(FcγRIII), CD27, CD40, CD40L, CD45RA, CD45RO, CD56, CD57, CD57bright, TNFβ Fas 리간드, MHC 클래스 I 분자(HLA-A, B, C) 또는 NKR-P1의 항체가 상승작용 요법을 위해서 본 특허의 접합체와 함께 사용하기에 바람직하다.
제형 및 응용
본 출원의 접합체는 액체로 제형화되거나, 또는 동결건조된 후 액체 제형으로 재구성되기에 적합하다. 액체 제형 또는 제형화된 동결건조 분말 중의 접합체는 제형 중의 주성분으로서 0.01% 내지 99중량%를 차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높은 수준의 항체 응집 없이 환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0.1g/ℓ 내지 300g/ℓ의 농도의 접합체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액체 제형은 1종 이상의 폴리올(예를 들어, 당), pH 4.5 내지 7.5의 완충제, 계면활성제(예를 들어, 폴리솔베이트 20 또는 80), 항산화제(예를 들어, 아스코르브산 및/또는 메티오닌), 등장제(예를 들어, 만니톨, 솔비톨 또는 NaCl), 킬레이팅제, 예컨대, EDTA; 금속 복합체(예를 들어, Zn-단백질 복합체); 생분해성 중합체, 예컨대, 폴리에스터; 보존제(예를 들어, 벤질 알코올) 및/또는 유리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제형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완충제는 유기산염, 예컨대,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 글루콘산, 탄산, 타타르산, 석신산, 아세트산 또는 프탈산의 나트륨, 칼륨, 암모늄 또는 트라이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염; Tris, 트로메트아민 염산염, 황산염 또는 인산염 완충액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아미노산 성분은 또한 완충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아미노산 성분은 비제한적으로 아르기닌, 글리신, 글리실글리신, 및 히스티딘을 포함한다. 아르기닌 완충액은 아르기닌 아세테이트, 아르기닌 클로라이드, 아르기닌 포스페이트, 아르기닌 설페이트, 아르기닌 석신에이트 등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아르기닌 완충액은 아르기닌 아세테이트이다. 히스티딘 완충액의 예는 히스티딘 클로라이드-아르기닌 클로라이드, 히스티딘 아세테이트-아르기닌 아세테이트, 히스티딘 포스페이트-아르기닌 포스페이트, 히스티딘 설페이트-아르기닌 설페이트, 히스티딘 석신에이트-아르기닌 석신에이트 등을 포함한다. 완충액의 제형은 4.5 내지 pH 7.5, 바람직하게는 약 4.5 내지 약 6.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6.2의 pH를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완충액 중의 유기산염의 농도는 약 10mM 내지 약 500mM이다.
제형 중에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폴리올"은 다수의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물질이다. 폴리올은 액체 제형 및 동결건조 제형 둘 모두에서 부형제 및/또는 등장제를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폴리올은 생물약제를 물리적 분해 경로 및 화학적 분해 경로 둘 모두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우선적으로, 제외된 공용매는 단백질 계면에서 용매의 유효 표면 장력을 증가시키고, 이에 의해서 가장 에너지 선호되는 구조 입체배좌는 가장 작은 표면적을 갖는 것이다. 폴리올은 당(환원당 및 비환원당), 당 알코올 및 당 산을 포함한다. "환원당"은 금속 이온을 환원시킬 수 있거나 또는 단백질 내의 라이신 및 다른 아미노기와 공유 반응할 수 있는 헤미아세탈기를 함유하는 것이고, "비환원당"은 환원당의 특성을 갖지 않는 것이다. 환원당의 예는 프룩토스, 만노스, 말토스, 락토스, 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리보스, 람노스, 갈락토스 및 글루코스이다. 비환원당은 수크로스, 트레할로스, 소보스, 멜레지토스 및 리피토스를 포함한다. 당 알코올은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트리톨, 말티톨, 락티톨, 에리트리톨, 트레이톨, 솔비톨 및 글리세롤로부터 선택된다. 당 산은 L-글루코네이트 및 이의 금속염을 포함한다. 액체 제형 또는 제형화된 동결건조 고체 중의 폴리올은 0.0% 내지 20중량%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의 농도의 비환원당: 수크로스 또는 트레할로스가 제형에서 선택되는데, 여기서 트레할로스의 용액 안정성으로 인해서, 트레할로스가 수크로스보다 바람직하다.
제형 중의 계면활성제는 선택적으로 폴리솔베이트(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1, 폴리솔베이트 85 등); 폴록사머(예를 들어, 폴록사머 188, 폴리(에틸렌 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폴록사머 407 또는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등); 트리톤;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SDS); 소듐 라우렐 설페이트; 소듐 옥틸 글리코사이드; 라우릴-, 미리스틸-, 리놀레일-, 또는 스테아릴-설포베타인; 라우릴-, 미리스틸-, 리놀레일- 또는 스테아릴-사코신; 리놀레일-, 미리스틸-, 또는 세틸-베타인; 라우로아미도프로필-, 코카미도프로필-, 리놀레아미도프로필-, 미리스트아미도프로필-, 팔미도프로필-, 또는 아이소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베타인(예를 들어, 라우로아미도프로필); 미리스트아미도프로필-, 팔미도프로필-, 또는 아이소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다이메틸아민; 소듐 메틸 코코일-, 또는 다이소듐 메틸 올레일-타우레이트; 도데실 베타인, 도데실 다이메틸아민 옥사이드,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및 코코 암포 글리시네이트; 및 MONAQUATTM 시리즈(예를 들어, 아이소스테아릴 에틸이미도늄 에토설페이트); 폴리에틸 글리콜, 폴리프로필 글리콜, 및 에틸렌과 프로필렌 글리콜의 공중합체(예를 들어, 플루로닉(Pluronic), PF68 등) 등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터 예를 들어, 폴리솔베이트 20, 40, 60 또는 80(Tween 20, 40, 60 또는 80)이다. 제형 중의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0.0% 내지 약 2.0%의 범위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계면활성제 농도는 약 0.01% 내지 약 0.2%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계면활성제 농도는 약 0.02%이다.
제형 중의 "보존제"는 선택적으로 그 내에서 박테리아 작용을 본질적으로 감소시키는 화합물이다. 가능한 보존제의 예는 옥타데실다이메틸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 헥사메토늄 클로라이드,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알킬기가 장쇄 화합물인 알킬벤질다이메틸염화암모늄의 혼합물) 및 벤즈에토늄 클로라이드를 포함한다. 다른 유형의 보존제는 방향족 알코올 예컨대, 페놀, 부틸 및 벤질 알코올, 알킬 파라벤, 예컨대, 메틸 또는 프로필 파라벤, 카테콜, 레소르시놀, 사이클로헥산올, 3-펜탄올, 및 m-크레졸을 포함한다. 액체 제형 또는 제형화된 동결건조 분말 중의 보존제는 0.0중량% 내지 5.0중량%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서 보존제는 벤질 알코올이다.
제형에서 벌크 물질 또는 등장제 또는 삼투압 조절로서 적합한 유리 아미노산은 아르기닌, 시스틴, 글리신, 라이신, 히스티딘, 오르니틴, 아이소류신, 류신, 알라닌, 글리신 글루탐산 또는 아스파트산 중 하나 이상으로 부터 선택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염기성 아미노산, 즉 아르기닌, 라이신 및/또는 히스티딘의 포함이 바람직하다. 조성물이 히스티딘을 포함하는 경우, 이것은 완충제 및 유리 아미노산 둘 모두로서 작용할 수 있지만, 히스티딘 완충액이 사용되는 경우, 그것은 비-히스티딘 유리 아미노산을 포함하도록, 예를 들어, 히스티딘 완충액 및 라이신을 포함하는 것이 전형적이다. 아미노산은 D-형 및/또는 L-형으로 존재할 수 있지만, L-형이 전형적이다. 아미노산은 임의의 적합한 염, 예를 들어, 염산염, 예컨대, 아르기닌-HCl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액체 제형 또는 제형화된 동결건조 분말 중의 아미노산은 0.0중량% 내지 30중량%일 수 있다.
제형은 선택적으로 액체 제형 중에 최대 약 5㎎/㎖의 농도로 또는 제형화된 동결건조 분말 중에 0.0중량% 내지 5.0중량%의 농도로 산화제로서 메티오닌, 글루타티온, 시스테인, 시스틴 또는 아스코르브산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제형은 금속 킬레이팅제, 예를 들어, EDTA, EGTA 등을 액체 제형 중에 최대 약 2mM의 농도로 또는 제형화된 동결건조 분말 중에 0.0중량% 내지 0.3중량%의 농도로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최종 제형은 완충액 조정제(예를 들어, 산, 예컨대, HCl, H2SO4, 아세트산, H3PO4, 시트르산 등 또는 염기, 예컨대, NaOH, KOH, NH4OH, 에탄올아민, 다이에탄올아민 또는 트라이에탄올 아민,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시트르산삼나트륨, 트로메타민 등)를 사용하여 바람직한 pH로 조정될 수 있고, 제형은 "등장성"이도록 제어되어야 하는데, 이는 관심대상 제형이 인간 혈액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삼투압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등장성 제형은 일반적으로 약 250 내지 350mOsm의 삼투압을 갖는다. 등장성은 예를 들어, 증기압 또는 얼음 동결 유형 삼투압계를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등장제는 만니톨, 솔비톨, 아세트산나트륨, 염화칼륨,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시트르산삼나트륨 또는 NaCl로부터 선택된다. 일반적으로, 완충액염 및 등장제는 제형에서 30중량%를 차지할 수 있다.
본 특허 출원의 액체 또는 동결건조된 제형에서 유용할 수 있는 기타 부형제는 예를 들어, 푸코스, 셀로비오스, 말토트리오스, 멜리비오스, 옥툴로스, 리보스, 자일리톨, 아르기닌, 히스티딘, 글리신, 알라닌, 메티오닌, 글루탐산, 라이신, 이미다졸, 글리실글리신, 만노실글리세레이트, 트리톤 X-100, 플루로닉 F-127, 셀룰로스, 사이클로덱스트린, (2-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 덱스트란(10, 40 및/또는 70kD), 폴리덱스트로스, 말토덱스트린, 피콜, 젤라틴, 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ZnCl2, 아연, 산화아연, 시트르산나트륨, 시트르산삼나트륨, 트로메타민, 구리, 피브로넥틴, 헤파린, 인간 혈청 알부민, 프로타민, 글리세린, 글리세롤, EDTA, 메타크레졸, 벤질 알코올, 페놀, 다가 알코올, 또는 폴리알코올, 1차 또는 2차 하이드록실기로 환원된 카보닐기를 갖는 탄수화물의 수소화 형태를 포함한다.
본 특허 출원의 수성 약제학적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고려되는 부형제는 예를 들어, 착향료, 항미생물제, 감미료, 항산화제, 정전기방지제, 지질, 예컨대, 인지질 또는 지방산, 스테로이드, 예컨대, 콜레스테롤, 단백질 부형제, 예컨대, 혈청 알부민(인간 혈청 알부민), 재조합 인간 알부민, 젤라틴, 카제인, 염-형성 반대 이온, 예컨대, 나트륨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이러한 및 추가적인 공지된 약제학적 부형제 및/또는 첨가제는 관련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문헌[The Handbook of Pharmaceutical Excipients, 4th edition, Rowe et al., Eds., American Pharmaceuticals Association (2003); 및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1th edition, Gennaro, E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5)]에 열거되어 있다.
약제학적 컨테이너 또는 용기는 본 특허 출원의 접합체 중 임의의 것의 약제학적 제형을 보유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용기는 바이알, 병, 사전 충전 주사기, 사전 충전 또는 자동-주입 주사기이다. 액체 제형은 보로실리케이트 바이알 또는 소다 석회 유리 바이알에서 케이크 또는 분말의 형태로 동결 건조 또는 드럼 건조될 수 있다. 고체 분말은 또한 효율적인 분무 건조에 의해서 제조되고, 이어서 저장 및 배포를 위해서 바이알 또는 약제학적 컨테이너에 보유될 수 있다.
추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a) 접합체, 부형제 및 완충액 시스템을 포함하는 제형을 동결건조시키는 단계; 및 (b) 단계 (a)의 동결건조된 혼합물을, 재구성된 제형이 안정적이도록 재구성 매질 중에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형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단계 (a)의 제형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벌킹제, 염, 계면활성제 및 보존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부형제 및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재구성 매질로서, 몇몇 희석된 유기산 또는 물, 즉, 멸균수, 주사용 정균수(BWFI)가 사용될 수 있다. 재구성 매질은 물, 즉, 멸균수, 주사용 정균수(BWFI) 또는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석신산, 염화나트륨, 염화마그네슘, 염화나트륨의 산성 용액, 염화마그네슘의 산성 용액 및 아르기닌의 산성 용액(약 10 내지 약 250mM의 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특허 출원의 접합체의 액체 약제학적 제형은 다양한 미리 정의된 특징을 나타내야 한다. 액체 약물 생성물에서 주요 문제점 중 하나는 안정성인데, 그 이유는 단백질/항체는 저장 동안 용해성 및 불용성 응집물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다양한 화학 반응이 용액 중에서 일어나서(탈아미드화, 산화, 클립핑, 이성질체화 등) 생성물 분해 수준의 증가 및/또는 생물활성도의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액체 또는 동결건조 제형의 접합체는 25℃에서 6개월 초과의 저장 수명을 나타내야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액체 또는 동결건조 제형 중의 접합체는 25℃에서 12개월 초과의 저장 수명을 나타내야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액체 제형은 2 내지 8℃에서 24개월 내지 36개월의 저장 수명을 나타내야 하고, 동결건조 제형은 2 내지 8℃에서 대략 바람직하게는 최대 60개월의 저장 수명을 나타내야 한다. 액체 제형 및 동결건조 제형 둘 모두는 -20℃ 또는 -70℃에서 적어도 2년 동안의 반감기를 나타내야 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제형은 제형의 동결(예를 들어, -20℃, 또는 -70℃) 및 해동, 예를 들어, 1, 2 또는 3주기의 동결 및 해동 이후에 안정적이다. 안정성은 약물/항체(단백질)비 및 응집물 형성(예를 들어, UV,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의 사용, 탁도의 측정에 의해서 그리고/또는 육안 검사에 의해서)의 평가;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상 모세관 이성질체 전기 포커싱(image capillary isoelectric focusing: icIEF) 또는 모세관 구역 전기영동을 사용한 전하 불균질성의 평가; 아미노-말단 또는 카복시-말단 순서 분석; 질량 분석기 분석 또는 매트릭스-도움 레이저 탈착 이온화/비행시간 질량 분석기(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MALDI/TOF MS) 또는 HPLC-MS/MS; 환원된 항체 및 무손상 항체를 비교하기 위한 SDS-PAGE; 펩타이드 맵(예를 들어, 트립틱 또는 LYS--C) 분석; 항체의 생물학적 활성도 또는 항원 결합 기능의 평가 등을 비롯한, 다양한 상이한 방식으로 정성적 및/또는 정량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불안정성은 하기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응집, 탈아미드화(예를 들어, Asn 탈아미드화), 산화(예를 들어, Met 산화), 이성질체화(예를 들어, Asp 이성질체화), 클립핑/가수분해/단편화(예를 들어, 힌지 영역 단편화), 석신이미드 형성, 비짝지움 시스테인(들), N-말단 연장, C-말단 가공, 글리코실화 차이 등.
안정적인 접합체는 또한 약제학적 제형 중에서 "생물학적 활성도를 유지"해야 하고, 예를 들어, 항원 결합 검정 및/또는 시험관내 세포독성 검정에서 결정되는 경우, 접합체의 생물학적 활성도는, 주어진 시간, 예를 들어, 12개월에, 약제학적 제형이 제조된 시간에 나타낸 생물학적 활성도의 약 20%, 바람직하게는 약 10%(검정의 오차 이내) 이내의 차이를 가져야 한다.
생체내 임상 사용을 위해서, 본 발명의 비스-링키지를 통한 접합체는 용액으로서 또는 주사용 멸균수 중에 재용해될 수 있는 동결건조된 고체로서 공급될 것이다. 접합체 투여의 적합한 프로토콜의 예는 하기와 같다. 접합체는 일 단위, 주 단위, 격주 단위, 3주 단위, 8 내지 54주 동안 4주 1회 또는 개월 단위로 i.v. 볼러스(bolus)로서 제공된다. 볼러스 용량은 인간 혈청 알부민(예를 들어, 인간 혈청 알부민의 농축된 용액 0.5 내지 1㎖, 100㎎/㎖)이 선택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50 내지 1000㎖의 식염수 중에 제공된다. 투여량은 약 50㎍ 내지 20㎎/체중 ㎏/주 i.v.(주사 당 10㎍ 내지 200㎎/㎏ 범위)일 것이다. 치료 후 4 내지 54주에, 환자에게 제2 과정의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 투여 경로, 부형제, 희석제, 투여량, 시간 등에 관한 구체적인 임상 프로토콜은 숙련된 의사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선택된 세포 집단을 사멸시키는 생체내 또는 생체외 방법에 따라서 치료될 수 있는 의학적 병태의 예는 암, 자가면역 질환, 이식 거부 및 감염(바이러스성, 박테리아성 또는 기생충)의 임의의 유형의 악성 상태를 포함한다.
목적하는 생물학적 효과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접합체의 양은 접합체의 화학적 특징, 효력, 생체이용률, 질환의 유형, 환자가 속한 종, 환자의 질환 상태, 투여 경로, 요구되는 투여량, 전달 및 투여될 요법을 설명하는 모든 인자를 비롯하여, 다수의 인자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비스-링커를 통한 접합체는 비경구 투여의 경우 0.1 내지 10% w/v 접합체를 함유하는 수성 생리 완충액 중에 제공될 수 있다. 전형적인 용량 범위는 주 단위; 격주 단위; 3주 단위 또는 개월 단위로 1㎎/체중 ㎏ 내지 0.1g/체중이고; 바람직한 용량 범위는 인간에게 동등한 용량으로, 주 단위; 격주 단위; 3주 단위 또는 개월 단위로 0.01㎎/체중 ㎏ 내지 20㎎/체중 ㎏이다. 투여될 약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질환 또는 장애의 유형 및 진행 정도, 특정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 선택된 화합물의 상대적인 생물학적 효능, 화합물의 제형, 투여 경로(정맥내, 근육내 등), 선택된 전달 경로에 의한 접합체의 약동학 특성 및 투여 속도(볼러스 또는 연속적 주입) 및 스케줄(주어진 시간 기간 동안의 반복 횟수)과 같은 변수에 좌우될 것이다.
본 발명의 링커를 통한 접합체는 또한 단위 투여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여기서 용어 "단위 투여"는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고, 쉽게 취급 및 포장될 수 있고, 활성 접합체 자체 또는 하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물리학적으로 그리고 화학적으로 안정적인 단위 용량으로 유지되는 단일 용량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전형적인 전체 일 단위/주 단위/격주 단위/개월 단위 용량 범위는 0.01 내지 100㎎/체중 ㎏이다. 일반적인 가이드라인에 의해서, 인간의 경우 단위 용량은 일, 주, 2주(격주), 3주 또는 개월당 1㎎ 내지 3000㎎의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단위 용량 범위는 1개월에 1 내지 4회 투여되는 1 내지 500㎎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주 또는 격주 또는 3주 1회의 1㎎ 내지 100㎎이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접합체는 1종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와 혼합함으로써 약제학적 조성물 중에 제형화될 수 있다. 이러한 단위 용량 조성물은 경구 투여, 특히 정제, 단순 캡슐 또는 연질 젤 캡슐의 형태; 또는 비강내, 특히 분말, 비강 점적액 또는 에어로졸의 형태; 또는 피부, 예를 들어, 연고, 크림, 로션, 젤 또는 스프레이 또는 경피 패치를 통한 국소 사용을 위해서 제조될 수 있다.
추가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I)의 접합체 또는 임의의 본 명세서에 기술된 접합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암, 자가면역 질환 또는 감염성 질환의 상승작용적으로 효과적인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해서 다른 치료제, 예컨대, 화학치료제, 방사선 요법, 면역치료제, 자가면역 장애 치료제, 항감염제 또는 다른 접합체와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상승작용적 작용제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약물 중 하나 또는 몇몇으로부터 선택된다: 아바타셉트, 아베마시클립, 아비라테론 아세테이트, 아브락산, 아세트아미노펜/하이드로코돈, 아칼라브루티닙, 아두카누맙, 아달리무맙, ADXS31-142, ADXS-HER2, 아파티닙 다이말레에이트, 알데스류킨, 알렉티닙, 알렘투주맙, 알리트레티노인, 아도트라스투주맙 엠탄신, 암페타민/덱스트로암페타민, 아나스트로졸, 아리피프라졸, 안트라사이클린, 아리피프라졸, 아타자나비어, 아테졸리주맙, 아토바스타틴, 아벨루맙, 악시캅타젠 실로루셀(Axicabtagene ciloleucel), 악시티닙, 벨리노스타트, BCG(생), 베바시주맙, 벡사로텐, 블리나투모맙, 보르테조밉, 보수티닙, 브렌툭시맙 베도틴, 브리가티닙, 부데소나이드, 부데소나이드/포르모테롤, 부프레노핀, 카바지탁셀, 카보잔티닙, 캡마티닙, 카페시타빈, 카필조밉, 키메라 항원 수용체-조작 T(CAR-T) 세포, 셀레콕시브, 세리티닙, 세툭시맙, 시다마이드, 사이클로스포린, 시나칼세트, 크리조티닙, 코비메티닙, 코센틱스(Cosentyx), 크리조티닙, CTL019, 다비가트란, 다브라페닙, 다카바진, 다클리주맙, 다코모티닙, 댑토마이신, 다라투무맙, 다르베포에틴 알파, 다루나비어, 다사티닙, 데니류킨 디프티톡스, 데노수맙, 데파코테, 덱슬란소프라졸, 덱스메틸페니데이트, 덱사메타손, 디그니캡 쿨링 시스템, 디누툭시맙, 독시사이클린, 둘록세틴, 두벨리십, 두발루맙, 엘로투주맙, 엠트리시빈/릴피비린/테노포비어, 디소프록실 퓨마레이트, 엠트리시트빈/테노포비어/에파비렌즈, 엔옥사파린, 엔사티닙, 엔자루타마이드, 에포에틴 알파, 에를로티닙, 에소메프라졸, 에스조피클론, 에타너셉트, 에베롤리무스, 엑세메스탄, 에버롤리무스, 엑세나타이드 ER, 에제티미베, 에제티미베/심바스타틴, 페노피브레이트, 필그라스팀, 핀골리모드,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플루티카손/살메테롤, 풀베스트란트, 가지바, 게피티닙, 글라티라머, 고세렐린 아세테이트, 이코티닙, 이마티닙, 이브리투모맙 티욱세탄, 이브루티닙, 이델라리십, 이포스파마이드, 인플릭시맙, 이미퀴모드, ImmuCyst, 이뮤노 BCG, 이니파립, 인슐린 아스파르트, 인슐린 데테미어, 인슐린 글라르긴, 인슐린 리스프로, 인터페론 알파, 인터페론 알파-1b, 인터페론 알파-2a, 인터페론 알파-2b, 인터페론 베타, 인터페론 베타 1a, 인터페론 베타 1b, 인터페론 감마-1a, 라파티닙, 이필리무맙, 이프라트로피움 브로마이드/살부타몰, 익사조밉, 카누마, 란레오타이드 아세테이트, 레날리도마이드, 레날리오마이드, 렌바티닙 메실레이트, 레트로졸, 레보티록신, 레보티록신, 리도카인, 리네졸리드, 리라글루타이드, 리스덱삼페타민, LN-144, 로라티닙, 메만틴, 메틸페니데이트, 메토프롤롤, 메킨니스트, 머리시타빈/릴피비린/테노포비어, 모달피닐, 모메타손, 미시댁(Mycidac)-C, 네시투무맙, 네라티닙, 닐로티닙, 니라파립, 니볼루맙, 오파투무맙, 오비누투주맙, 올라파립, 올메사탄, 올메사탄/하이드로클로로티아자이드, 오말리주맙, 오메가-3 지방산 에틸 에스터, 온코린, 오셀타미비어, 오시머티닙, 옥시코돈, 팔보시클립, 팔리비주맙, 파니투무맙 파노비노스타트, 파조파닙, 펨브롤리주맙, PD-1 항체, PD-L1 항체, 페메트렉세드, 페투주맙, 뉴모코칼 접합체 백신(Pneumococcal 접합체 vaccine), 포말리도마이드, 프레가발린, 프로스카박스, 프로프라놀올, 퀘티아핀, 라베프라졸, 라듐 223 클로라이드, 랄록시펜, 랄테그라비어, 라무시루맙, 라니비주맙, 레고라페닙, 리보시클립, 리툭시맙, 리바옥사반, 로미뎁신, 로수바스타틴, 룩소리티닙 포스페이트, 살부타몰, 사볼리티닙, 세마글루타이드, 세베라머, 실데나필, 실툭시맙, 시풀류셀-T, 시타글립틴, 시타글립틴/메트포민, 솔리페나신, 솔라네주맙, 소니데깁, 소라페닙, 수니티닙, 타크롤리무스, 타크리무스, 타달라필, 타목시펜, 타핀라르, 탈리모진 라헤르파렙벡(Talimogene laherparepvec), 탈라조파립, 텔라프레비어, 탈라조파립, 테모졸로마이드, 템시롤리무스, 테노포비어/엠트리시타빈, 테노포비어 다이아이소프록실 퓨마레이트, 테스토스테론 젤, 탈리도마이드, TICE BCG, 티오트로피움 브로마이드, 티사겐레클류셀(Tisagenlecleucel), 토레미펜, 트라메티닙, 트라스투주맙, 트라벡테딘(엑테이나시딘(ecteinascidin) 743), 트라메티닙, 트레멜리무맙, 트라이플루리딘/티피라실, 트레티노인, Uro-BCG, 우스테키누맙, 발사탄, 벨리파립, 반데타닙, 베무라페닙, 베네토클락스, 보리노스타트, 지브-아플리베르셉트, 조스타박스 및 이들의 유사체, 유도체,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 또는 이들의 조합물.
본 특허의 분지형 링커를 통한 접합을 위해서 사용되는 약물/세포독성제는 본 특허에 기술된 튜불리신의 임의의 유사체 및/또는 유도체일 수 있다. 약물/세포독성제 분야의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튜불리신 각각이, 생성되는 화합물이 출발 화합물의 특이성 및/또는 활성도를 여전히 보유하는 방식으로 개질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당업자는 또한 이러한 유사체 또는 유도체 화합물 중 다수가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튜불리신 유사체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튜불리신 유사체는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기재되지 않은 튜불리신 화합물의 다수의 유사체 또는 유도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하기 실시예에서 인용된 모든 참고 문헌은 이들의 전문이 참고로 명확히 포함된다.
실시예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서 추가로 기술되며, 이는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하기 실시예에 기술된 세포주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아메리칸 타입 컬쳐 컬렉션(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또는 독일 미생물 및 세포 배양 수집부(Deutsche Sammlung von Mikroorganismen und Zellkulturen GmbH, Braunschweig, Germany)(DMSZ), 또는 중국 과학 아카데미 상해 세포 배양 연구소(The Shanghai Cell Culture Institute of Chinese Acadmy of Science)에 의해서 명시된 조건에 따라 배양물 중에서 유지되었다. 세포 배양 시약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인비트로젠사로부터 입수하였다. 모든 무수 용매를 상업적으로 수득하고, 질소 하에 슈어-실(Sure-seal) 병에 저장하였다. 다른 모든 시약 및 용매는 입수 가능한 가장 높은 등급으로 구입하여 추가적인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정제용 HPLC 분리는 Varain PreStar HPLC로 수행하였다. NMR 스펙트럼은 Bruker 500 MHz Instrument 상에서 기록하였다. 화학 이동(델타)은 0.00에서 테트라메틸실란을 기준으로 백만분율(ppm)로 기록되며, 커플링 상수(J)는 Hz로 기록된다. 질량 스펙트럼 데이터는 Waters Acquity UPLC 분리 모듈 및 Acquity TUV 검출기가 장착된 Waters Xevo QTOF 질량 스펙트럼에서 획득되었다.
실시예 1. 다이-tert-부틸 1,2-비스(2-(tert-부톡시)-2-옥소에틸)하이드라진-1,2-다이카복실레이트의 합성.
Figure pct00107
DMF(150㎖) 중의 다이-tert-부틸 하이드라진-1,2-다이카복실레이트(8.01g, 34,4m㏖)에 NaH(오일 중의 60%, 2.76g, 68.8m㏖)를 첨가하였다. RT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tert-부틸 2-브로모아세테이트(14.01g, 72.1m㏖)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고, 메탄올(3㎖)을 첨가하여 반응정지시키고, 농축시키고, EtOAc(100㎖) 및 물(100㎖)로 희석시키고, 분리시키고, 수성층을 EtOAc(2×50㎖)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증발시키고,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EtOAc/헥산 1:5에서 1:3)에 의해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12.98g, 82% 수율)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C22H41N2O8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461.28, 실측치 461.40.
실시예 2. 2,2'-(하이드라진-1,2-다이일)다이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pct00108
1,4-다이옥산(40㎖) 중의 다이-tert-부틸 1,2-비스(2-(tert-부톡시)-2-옥소에틸)하이드라진-1,2-다이카복실레이트(6.51g, 14.14m㏖)에 HCl(12M, 10㎖)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고, 다이옥산(20㎖) 및 톨루엔(40㎖)으로 희석시키고, 증발시키고, 다이옥산(20㎖) 및 톨루엔(40㎖)과 함께 건조물로 공증발시켜 추가로 제조하지 않고 다음 단계를 위한 조 표제 생성물(2.15g, 103% 수율, 약 93% 순도)을 수득하였다. C4H9N2O4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149.05, 실측치 149.40.
실시예 3. 2,2'-(1,2-비스((E)-3-브로모아크릴로일)하이드라진-1,2-다이일)다이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pct00109
THF(50㎖) 및 NaH2PO4(0.1M, 80㎖, pH 6.0)의 혼합물 중의 2,2'-(하이드라진-1,2-다이일)다이아세트산(1.10g, 7.43m㏖)의 용액에 (E)-3-브로모아크릴로일 브로마이드(5.01g, 23.60m㏖)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3% 폼산을 함유하는 H2O/CH3CN(1:9)로 용리시키는 SiO2 칼럼 상에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2.35g, 77% 수율, 약 93% 순도)을 수득하였다. C10H11Br2N2O6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412.89, 실측치 413.50.
실시예 4. 2,2'-(1,2-비스((E)-3-브로모아크릴로일)하이드라진-1,2-다이일)다이아세틸 클로라이드의 합성.
Figure pct00110
다이클로로에탄(15㎖) 중의 2,2'-(1,2-비스((E)-3-브로모아크릴로일)하이드라진-1,2-다이일)다이아세트산(210㎎, 0.509m㏖)에 (COCl)2(505㎎, 4.01m㏖), 그 다음 0.040㎖의 DMF를 첨가하였다. RT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다이클로로에탄(2×20㎖) 및 톨루엔(2×15㎖)과 건조물로 공증발시켜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를 위한 표제 조 생성물(이것은 안정적이지 않음)(245㎎, 107% 수율)을 수득하였다. C10H9Br2Cl2N2O4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448.82, 450.82, 452.82, 454.82, 실측치 448.60, 450.60, 452.60, 454.60.
실시예 5. tert-부틸 2,8-다이옥소-1,5-옥사조칸-5-카복실레이트의 합성.
Figure pct00111
4℃에서 1.0M NaOH(300㎖) 중의 3,3'-아잔다이일다이프로판산(10.00g, 62.08m㏖)의 용액에 1시간 동안 200㎖ THF 중의 다이-tert-부틸 다이카보네이트(22.10g, 101.3m㏖)를 첨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2시간 동안 4℃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0.2M H3PO4로 조심스럽게 pH ~4까지 산성화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CH2Cl2로 추출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키고, AcOH/MeOH/CH2Cl2(0.01:1:5)로 용리시키는 플래쉬 SiO2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시켜 3,3'-((tert-부톡시카보닐)아잔다이일)다이프로판산(13.62g, 84% 수율)을 수득하였다. ESI MS m/z C11H19NO6 [M+H] +, 계산치 262.27, 실측치 262.40.
0℃에서 CH2Cl2(500㎖) 중의 3,3'-((tert-부톡시카보닐)아잔다이일)다이프로판산(8.0g, 30.6m㏖)의 용액에 오산화인(8.70g, 61.30m㏖)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2시간 동안, 이어서 r.t.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짧은 SiO2 칼럼으로 여과시키고, 칼럼을 EtOAc/CH2Cl2(1:6)로 헹궜다. 여과액을 농축시키고, EtOAc/헥산으로 배산처리(triturated)하여 표제 화합물(5.64g, 74% 수율)을 수득하였다. ESI MS m/z C11H17NO5 [M+H] +, 계산치 244.11, 실측치 244.30.
실시예 6. 2,5-다이옥소피롤리딘-1-일 프로피올레이트의 합성.
Figure pct00112
CH2Cl2(150㎖) 및 DIPEA(5㎖, 28.7m㏖) 중의 프로피올산(5.00g, 71.4m㏖), NHS(9.01g, 78.3m㏖) 및 EDC(20.0g, 104.1m㏖)를 밤새 교반하고, 증발시키고,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EtOAc/헥산 1:4)로 정제시켜 무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9.30g, 79% 수율)을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2.68 (s, 1H), 2.61 (s, 4H). C7H5NaNO4 [M+Na]+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190.02, 실측치 190.20.
실시예 7. tert-부틸 2-프로피올로일하이드라진카복실레이트의 합성.
Figure pct00113
CH2Cl2(150㎖) 및 DIPEA(5㎖, 28.7m㏖) 중의 프로피올산(5.00g, 71.4m㏖), tert-부틸 하이드라진카복실레이트(9.45g, 71.5m㏖) 및 EDC(20.0g, 104.1m㏖)를 밤새 교반하고, 증발시키고,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EtOAc/헥산 1:5)로 정제시켜 무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7.92g, 84% 수율)을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8.76 (m, 2H),2.68 (s, 1H), 1.39 (s, 9H). C5H12NaN2O2[M+Na]+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155.09, 실측치 155.26.
실시예 8. 프로피올로하이드라자이드, HCl 염의 합성.
Figure pct00114
1,4-다이옥산(12㎖)에 용해시킨 tert-부틸 2-프로피올로일하이드라진카복실레이트(4.01g, 30.35m㏖)를 4℃에서 4㎖의 HCl(진한)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고, 다이옥산(30㎖) 및 톨루엔(30㎖)으로 희석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조 혼합물을 용리액으로서 메틸렌 클로라이드 중의 메탄올(5%에서 10%) 및 1% 폼산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실리카겔 상에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2.11g, 83% 수율)을 제공하였다, ESI MS m/z C3H5N2O [M+H]+, 계산치 85.03, 실측치 85.30.
실시예 9. 화합물 2의 합성
Figure pct00115
10-ℓ 반응기에서 2,2-다이에톡시아세토나이트릴(1.00㎏, 7.74㏖, 1.0eq.)을 실온에서 메탄올(6.0ℓ)에서 (NH4)2S(48% 수성 용액, 1.41㎏, 9.29㏖, 1.2eq.)와 혼합하였다. 내부 온도가 33℃까지 증가되고, 이어서 r.t로 떨어졌다. 밤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ℓ)로 취하고, 포화 NaHCO3 용액(4×1.0ℓ)으로 세척하였다.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5×1.0ℓ)로 재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하고, 염수(3ℓ)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생성된 고체를 진공 여과로 수집하고, 석유 에터로 세척하였다. 여과액을 농축시키고, 석유 에터로 배산처리하여 약간의 크롭(crop)의 백색 또는 밝은 황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모든 크롭을 합하여 1.1㎏의 목적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87% 수율). 1H NMR (500 MHz, CDCl3) δ 7.81 (d, J = 71.1 Hz, 2H), 5.03 (s, 1H), 3.73 (dq, J = 9.4, 7.1 Hz, 2H), 3.64 (dq, J = 9.4, 7.0 Hz, 2H), 1.25 (t, J = 7.1 Hz, 6H).
실시예 10. 화합물 3의 합성
Figure pct00116
환류 응축기 및 첨가 깔때기가 장치된 5-ℓ 3구 둥근 병 플라스크에, 에틸 브로모피루베이트(80% 순도, 404㎖, 2.57㏖, 1.2eq.)를 3ℓ EtOH 중의 분자체(3Å, 500g) 및 티오아마이드(350g, 2.14㏖, 1.0eq.)의 혼합물에 30분에 걸쳐서 첨가하였다. 첨가 중에, 내부 온도가 약간 증가되었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환류까지 가열시키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r.t.까지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상에서 여과시키고, 여과 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여과액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2개 배취의 조 생성물을 합하고, 실리카겔(1.5㎏)과 혼합하고, 실리카겔(10㎏ 패킹됨) 칼럼 상에 로딩하고,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터(10-20%)로 용리시켜 티아졸 카복실레이트를 갈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509g, 92% 수율).
실시예 11. 화합물 4의 합성
Figure pct00117
아세톤(3.0ℓ) 중의 아세탈(300g, 1.16㏖)의 용액을 환류까지 가열시키고, 4N HCl(250㎖)을 환류 용액에 1.0시간에 걸쳐서 첨가하였다. TLC 분석이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내었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상을 분리시켰다. 유기상을 에틸 아세테이트(1.5ℓ)로 희석시키고, 포화 NaHCO3 용액(1.0ℓ), 물(1.0ℓ) 및 염수(1.0ℓ)로 세척하고, 이어서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수성 상 모두를 합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합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유기 용액을 감압 하에서 여과 및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석유 에터 및 다이에틸 에터(5:1)로 배산처리하고, 생성된 고체를 진공 여과로 수집하고, 석유 에터 및 에틸 아세테이트(10:1)로 세척하였다. 여과액을 농축시키고, 0-15%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터를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시켜 또 다른 크롭의 목적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모든 백색 내지 밝은 황색 고체를 합하고, 40g으로 칭량되었다(43% 수율).1H NMR (500 MHz, CDCl3) δ 10.08 - 10.06 (m, 1H), 8.53 - 8.50 (m, 1H), 4.49 (q, J = 7.1 Hz, 2H), 1.44 (t, J = 7.1 Hz, 3H). C7H8NO3S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186.01; 실측치 186.01.
실시예 12. 화합물 6의 합성
Figure pct00118
NaN3(740g, 11.4㏖)를 물(2.0ℓ)에 용해시키고, 다이클로로메탄(2.0ℓ)을 첨가하고, 0℃에서 냉각시키고, 이것에 Tf2O(700㎖, 4.10㏖, 1.8eq.)를 1.5시간에 걸쳐서 첨가하였다. 첨가가 끝난 후, 반응물을 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상을 분리시키고 수성상을 다이클로로메탄(2×500㎖)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포화 NaHCO3 용액(3×1.0ℓ)으로 세척하였다. 이러한 트라이플릴 아자이드(triflyl 아자이드)의 다이클로로메탄 용액을 r.t.에서 물(3.0ℓ) 및 메탄올(3.0ℓ) 중의 (L)-아이소류신(300g, 2.28㏖, 1.0eq.), K2CO3(472g, 3.42㏖, 1.5eq.), CuSO4 . 5H2O(5.7g, 22.8m㏖, 0.01eq.)의 혼합물에 첨가하였고, 첨가 중에, 내부 온도가 약간 증가되었다. 그리고 이어서 혼합물을 r.t.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고, 수성상을 진한 HCl(약 280㎖ 첨가)로 pH 6-6.5까지 산성화시키고, 이어서 포스페이트 완충액(0.25M, pH 6.2, 6.0ℓ)으로 희석시키고, EtOAc(6×2.0ℓ)로 세척하여 설폰아마이드 부산물을 제거하였다. 용액을 진한 HCl(약 400㎖ 첨가)로 pH 3까지 산성화시키고, EtOAc(4×2.0ℓ)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2.0ℓ)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농축시켜 생성물 6(320g, 89% 수율)을 밝은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12.01 (s, 1H), 3.82 (d, J = 5.9 Hz, 1H), 2.00 (ddd, J = 10.6, 8.6, 5.5 Hz, 1H), 1.54 (dqd, J = 14.8, 7.5, 4.4 Hz, 1H), 1.36 - 1.24 (m, 1H), 1.08 - 0.99 (m, 3H), 0.97 - 0.87 (m, 3H).
실시예 13. 화합물 10의 합성
Figure pct00119
1ℓ THF 중의 (S)-2-메틸프로판-2-설핀아마이드(100g, 0.825㏖, 1.0eq.)의 용액에 Ti(OEt)4(345㎖, 1.82㏖, 2.2eq.) 및 3-메틸-2-부탄온(81㎖, 0.825㏖, 1.0eq.)을 N2 하에서 첨가하고, r.t.에서 반응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이어서 r.t.까지 냉각시키고, 빙수(1ℓ)에 부었다.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여과 케이크를 EtOAc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분리시키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잔류물을 제공하였고, 이것을 진공 증류(15-20torr, 95℃)로 정제시켜 생성물 10(141g, 90% 수율)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2.54 - 2.44 (m, 1H), 2.25 (s, 3H), 1.17 (s, 9H), 1.06 (dd, J = 6.9, 5.1 Hz, 6H). C9H19NaNOS [M+Na]+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212.12; 실측치 212.11.
실시예 14. 화합물 11의 합성
Figure pct00120
-78℃에서 N2 하에서 무수 THF(1ℓ) 중의 다이아이소프로필아민(264㎖, 1.87㏖, 1.65eq.)의 용액에 n-부틸리튬(2.5M, 681㎖, 1.70㏖, 1.5eq.)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30분에 걸쳐서 0℃까지 가온시키고, 이어서 다시 -78℃까지 냉각시켰다. 화합물 10(258g, 1.36㏖, 1.2eq.)을 첨가하고, THF(50㎖)로 헹궜다.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고, 그 후 THF(1.05ℓ) 중의 ClTi(O i Pr)3(834g, 3.17㏖, 2.8eq.)를 적가하였다.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THF(500㎖)에 용해시킨 화합물 4(210g, 1.13㏖, 1.0eq.)를 약 1시간 동안 적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 분석이 반응의 완결을 나타내었다. 반응을 아세트산 및 THF(v/v 1:1, 300㎖)의 혼합물로 반응정지시키고, 이어서 염수(2ℓ)에 붓고, EtOAc(8×1ℓ)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DCM/EtOAc/PE 2:1:2)로 정제시켜 화합물 11(298g, 74% 수율)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8.13 (s, 1H), 6.63 (d, J = 8.2 Hz, 1H), 5.20 - 5.11 (m, 1H), 4.43 (q, J = 7.0 Hz, 2H), 3.42 - 3.28 (m, 2H), 2.89 (dt, J = 13.1, 6.5 Hz, 1H), 1.42 (t, J = 7.1 Hz, 3H), 1.33 (s, 9H), 1.25 - 1.22 (m, 6H). C16H26NaN2O4S2 [M+Na]+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397.13, 실측치 397.11.
실시예 15. 화합물 12의 합성
Figure pct00121
THF(200㎖)에 용해시킨 화합물 11(509g, 1.35㏖, 1.0eq.)의 용액을 -78℃까지 냉각시켰다. Ti(OEt)4(570㎖, 2.72㏖, 2.0eq.)를 서서히 첨가하였다. 첨가를 완결한 후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고, 그 다음 NaBH4(51.3g, 1.36㏖, 1.0eq.)를 90분에 걸쳐서 나누어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8℃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 분석이 출발 물질이 여전히 남아있음을 나타내었다. EtOH(50㎖)를 서서히 첨가하고, 반응물을 1.5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염수(2ℓ, 250㎖ HOAc 함유)에 붓고, r.t.까지 가온시켰다. 셀라이트 상에서 여과시킨 후, 유기상을 분리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EtOAc/PE 1:1)로 정제시켜 생성물 12(364g, 71%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8.10 (s, 1H), 5.51 (d, J = 5.8 Hz, 1H), 5.23 - 5.15 (m, 1H), 4.41 (q, J = 7.0 Hz, 2H), 3.48 - 3.40 (m, 1H), 3.37 (d, J = 8.3 Hz, 1H), 2.29 (t, J = 13.0시간z, 1H), 1.95 - 1.87 (m, 1H), 1.73 - 1.67 (m, 1H), 1.40 (t, J = 7.1 Hz, 3H), 1.29 (s, 9H), 0.93 (d, J = 7.3 Hz, 3H), 0.90 (d, J = 7.2 Hz, 3H). C16H28NaN2O4S2 [M+Na]+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399.15, 실측치 399.14.
실시예 16. 화합물 13의 합성
Figure pct00122
0℃에서 에탄올(590㎖) 중의 화합물 12(600g, 1.60㏖, 1.0eq.)의 용액에 다이옥산 중의 4 NHCl(590㎖)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백색 침전물을 부수고, 여과로 수집하고, EtOAc로 세척하였다. 여과액을 농축시키고, EtOAc로 배산처리하였다. 2개 크롭의 백색 고체를 합하고, 446g(90% 수율)으로 칭량되었다.
실시예 17. 화합물 14의 합성
Figure pct00123
화합물 10: 아지도-Ile-OH(6, 153g, 0.97㏖, 2.0eq.)를 THF(1.5ℓ)에 용해시키고, 0℃까지 냉각시키고, 이것에 NMM(214㎖, 1.94㏖, 4.0eq.) 및 아이소부틸클로로폼에이트(95㎖, 0.73㏖, 2.0eq.)를 순서대로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1.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화합물 13(150g, 0.49m㏖, 1.0eq.)을 나누어 첨가하였다.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반응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0℃에서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반응정지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로3회 동안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1N HCl, 포화 NaHCO3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0-30% EtOAc/PE)로 정제시켜 백색 고체(140g, 70% 수율)를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8.14 (s, 1H), 6.57 (d, J = 8.9 Hz, 1H), 4.91 (d, J = 11.1 Hz, 1H), 4.44 (dd, J = 13.2, 6.3 Hz, 2H), 4.08 - 3.95 (m, 2H), 2.21 (dd, J = 24.4, 11.5 Hz, 2H), 1.90 - 1.79 (m, 3H), 1.42 (t, J = 6.6 Hz, 3H), 1.37 - 1.27 (m, 2H), 1.11 (d, J = 6.4 Hz, 3H), 1.01 - 0.94 (m, 9H). C18H30N5O4S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412.19, 실측치 412.19.
실시예 18. 화합물 15의 합성
Figure pct00124
화합물 11: 0℃에서 CH2Cl2(50㎖) 중의 화합물 14(436g, 1.05㏖, 1.0eq.)의 용액에 이미다졸(94g, 1.37m㏖, 1.3eq.), 그 다음 클로로트라이에틸실란(222㎖, 1.32㏖, 1.25eq.)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까지 1시간에 걸쳐 가온시키고, 추가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염수를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시키고, 수성층을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석유 에터 중의 15-35% EtOAc의 구배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시켜로 생성물 15(557.4g, 95%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8.12 (s, 1H), 6.75 (d, J = 8.0 Hz, 1H), 5.20 - 5.12 (m, 1H), 4.44 (q, J = 7.0 Hz, 2H), 4.06 - 3.97 (m, 1H), 3.87 (d, J = 3.8 Hz, 1H), 2.14 (d, J = 3.8 Hz, 1H), 2.01 - 1.91 (m, 3H), 1.42 (t, J = 7.1 Hz, 3H), 1.34 - 1.25 (m, 2H), 1.06 (d, J = 6.8 Hz, 3H), 1.00 - 0.93 (m, 18H), 0.88 (dd, J = 19.1, 6.8 Hz, 6H). C24H44N5O4SSi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526.28, 실측치 526.28.
실시예 19. 화합물 16의 합성
Figure pct00125
0℃에서 THF(4ℓ) 중의 15(408g, 0.77㏖, 1.0eq.) 및 메틸 아이오다이드(145㎖, 2.32㏖, 3.0eq.)의 용액에 소듐 하이드라이드(광유 중의 60% 분산물, 62.2g, 1.55㏖, 2.0eq.)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0℃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빙수 냉각된 포화 염화암모늄(5ℓ)에 부었다. 이어서 혼합물을 EtOAc로 추출(3×500㎖)하고,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키고, 석유 에터 중의 15-35% EtOAc의 구배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시켜 생성물 16(388g, 93% 수율)을 밝은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8.09 (s, 1H), 4.95 (d, J = 6.6 Hz, 1H),4.41 (q, J = 7.1 Hz, 2H), 3.56 (d, J = 9.5 Hz, 1H), 2.98 (s, 3H), 2.27 - 2.06 (m, 4H), 1.83 - 1.70 (m, 2H), 1.41 (t, J = 7.2 Hz, 3H), 1.29 (ddd, J = 8.9, 6.8, 1.6 Hz, 3H), 1.01 (d, J = 6.6 Hz, 3H), 0.96 (dt, J = 8.0, 2.9 Hz, 15H), 0.92 (d, J = 6.6 Hz, 3H), 0.90 (d, J = 6.7 Hz,3H). C25H46N5O4SSi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540.30, 실측치 540.30.
실시예 20. 화합물 17의 합성
Figure pct00126
중성 pH에 도달될 때까지 메탄올(15㎖) 중의 화합물 16(1.01g, 1.87m㏖)의 용액에 0.1N HCl을 적가하였다. Pd/C(10 wt%, 583㎎)의 첨가 후, 혼합물을 H2(1atm) 하에서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필터 패드를 메탄올로 세척하면서 Pd/C를 여과로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EtOAc(50㎖)에 다시 용해시키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농축시켜 화합물 17(900㎎, 94% 수율)을 연한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21. 화합물 22의 합성
Figure pct00127
메탄올(100㎖) 중의 D-피페콜린산(10.0g, 77.4m㏖, 1.0eq.)의 용액에 폼알데하이드(37% 수성 용액, 30.8㎖, 154.8m㏖, 2.0eq.), 그 다음 Pd/C(10 wt%, 1.0g)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H2(1atm) 하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필터 패드를 메탄올로 세척하면서 셀라이트로 여과시켰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화합물 22(10.0g, 90%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22. 화합물 23의 합성
Figure pct00128
EtOAc(50㎖) 중의 D-N-메틸 피페콜린산(2.65g, 18.5m㏖)의 용액에 펜타플루오로페놀(3.75g, 20.4m㏖) 및 DCC(4.21g, 20.4m㏖)룰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셀라이트 상에서 여과시켰다. 필터 패드를 로 10㎖의 EtOAc로 세척하였다. 여과액을 추가로 정제 또는 농축시키지 않고 즉시 사용하였다.
실시예 23. 화합물 28의 합성
Figure pct00129
2-아미노-2-메틸프로판산(500g, 4.85㏖, 1.0eq.), 수성 폼알데하이드(37%, 1.0ℓ, 12.1㏖, 2.5eq.) 및 폼산(1.0ℓ)의 혼합물을 3.0시간 동안 환류까지 가열시켰다(80℃). 이어서 6N HCl(850㎖)을 r.t.에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생성된 고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동안(1.0ℓ) 세척하면서 여과로 수집하였다. 고체를 물(1.5ℓ)에 용해시키고, 4N NaOH(약 1.0ℓ 용액)로 pH 7.0까지 중화시켰다. 용액을 농축시키고, 에탄올(2.0ℓ)과 공동 증발시켜 남아있는 물을 제거하였다. MeOH(2.0ℓ)를 잔류물에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면서 고체(NaCl)를 여과시켰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백색 고체 639.2g을 제공하였고, 이것은 약간의 NaCl을 함유하였고, 추가 처리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실시예 24. 화합물 29의 합성
Figure pct00130
EtOAc(1ℓ) 중의 2-(다이메틸아미노)-2-메틸프로판산(97g, 0.74㏖)의 용액에 펜타플루오로페놀(163g, 0.88㏖) 및 DIC(126㎖, 0.81㏖)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셀라이트 상에서 여과시켰다. 필터 패드를 10㎖의 EtOAc로 세척하였다. 여과액을 추가로 정제 또는 농축시키지 않고 즉시 사용하였다.
실시예 25. 화합물 30의 합성
Figure pct00131
건조 Pd/C(10 wt%, 300㎎) 및 아자이드 화합물 16(3.33g, 6.61m㏖)을 EtOAc 중의 펜타플루오로페닐 에스터 23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7시간 동안 수소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고, EtOAc로 필터 패드를 세척하면서 셀라이트 플러그로 여과시켰다. 합한 유기 분획을 농축시키고, EtOAc 중의 0-5% 메탄올의 구배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시켜 화합물 30(3.90g, 86% 수율)을 제공하였다. C32H59N4O5SSi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639.39, 실측치 639.39.
실시예 26. 화합물 31의 합성
Figure pct00132
커플링된 생성물 화합물 30(3.90g, 6.1m㏖)을 AcOH/물/THF(v/v/v 3:1:1, 100㎖)에 용해시키고, r.t.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농축시키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2:98 내지 15:85 MeOH/EtOAc)로 정제시켜 화합물 31(2.50g, 2단계에 걸쳐서 72% 수율)을 수득하였다. C26H45N4O5S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525.30, 실측치 525.33.
실시예 27. 화합물 32의 합성
Figure pct00133
0℃에서 LiOH(0.4N, 47.7㎖, 19.1m㏖, 4.0eq.)의 수성 용액을 다이옥산(47.7㎖) 중의 화합물 31(2.50g, 4.76m㏖, 1.0eq.)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켰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100% CH2Cl2 내지 CH2Cl2/MeOH/NH4OH 80:20:1)시켜 화합물 32(2.36g, 99% 수율)를 비정질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C24H41N4O5S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497.27, 실측치 497.28.
실시예 28. 화합물 33의 합성
Figure pct00134
0℃에서 피리딘(50㎖) 중의 화합물 32(2.36g, 4.75m㏖)의 용액에, 아세트산 무수물(2.25㎖, 24m㏖)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시간에 걸쳐서 r.t.까지 가온시키고, r.t.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농축시키고, 이어서 다이옥산/물(v/v 1:1, 10㎖)로 1시간 동안 처리하여 가능한 무수물을 파괴시켰다. 농축 후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시켜(100% CH2Cl2에서 CH2Cl2/MeOH/NH4OH 50:50:1) 화합물 33(2.25g, 88% 수율)을 비정질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C26H43N4O6S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539.28, 실측치 539.28.
실시예 29. 화합물 38의 합성
Figure pct00135
펜타플루오로페닐 에스터 29의 EtOAc 용액에, 화합물 16(200g, 0.37㏖) 및 건조 Pd/C(10 wt%, 10g)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수소 분위기(1atm) 하에서 27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필터 패드를 EtOAc로 세척하면서 셀라이트 플러그로 여과시켰다. 합한 유기 분획을 농축시키고, EtOAc 중의 0-5% 메탄올의 구배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시켜 화합물 38(184g, 79% 수율)을 제공하였다. C31H58N4O5SSi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627.39, 실측치 627.39.
실시예 30. 화합물 39의 합성
Figure pct00136
화합물 38(200g, 0.32m㏖)을 AcOH/물/THF(v/v/v 3:1:1, 638㎖)에 용해시키고, r.t.에서 4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농축시키고, 톨루엔을 첨가하고, 다시 농축시키고; 이 단계를 2회 반복하여 화합물 39를 수득하였고, 이것을 다음 단계에 직접 사용하였다. C25H45N4O5S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513.30, 실측치 513.30.
실시예 31. 화합물 40의 합성
Figure pct00137
0℃에서 LiOH(0.4N, 600㎖, 2.55㏖, 8.0eq.)의 수성 용액을 MeOH(1.2ℓ) 중의 화합물 39(160g, 0.319㏖, 1.0eq.)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켰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순수한 CH2Cl2에서 80:20:1 CH2Cl2/MeOH/NH4OH)시켜 화합물 40(140g, 91% 수율, 2단계에 대해서)을 비정질 고체로서 얻었다. C23H40N4O5S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485.27, 실측치 485.27.
실시예 32. 화합물 41의 합성
Figure pct00138
무수 THF(1.4ℓ) 및 무수 DMF(75㎖) 중의 화합물 27(143g, 0.30㏖, 1.0eq.) 및 DMAP(0.36g, 2.95m㏖, 0.01eq.)의 용액을 0℃까지 냉각시키고, 이것에 TEA(82.2㎖, 0.59m㏖, 2.0eq.) 및 아세트산 무수물(56㎖, 0.59m㏖, 2.0eq.)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24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켰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5-50% MeOH/DCM)는 화합물 41(147g, 95% 수율)을 비정질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C25H44N4O6S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527.28, 실측치 527.28.
실시예 33. 화합물 41a의 합성
Figure pct00139
N2 하에서 실온에서 무수 DCM(100㎖) 중의 화합물 41(5.0g, 9.5m㏖, 1.0 eq)의 용액에 EDC(4.6g, 23.8m㏖, 2.5 eq) 및 펜타플루오로페놀(4.4g, 23.8m㏖, 2.5 eq)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DCM(100㎖)에 희석시키고, 물(2×200㎖) 및 염수(200㎖)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키고,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50% EtOAc/PE)로 정제시켜 화합물 41a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5.2g, 79% 수율). C31H42F5N4O6S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693.27, 실측치:693.27.
실시예 34. 화합물 95의 합성
Figure pct00140
자석 교반 막대가 장치된 500㎖ 둥근 바닥 플라스크 내에, 트라이페닐포스핀(100g, 381m㏖, 1.0eq.) 및 에틸 2-브로모프로피오네이트(100㎖, 762m㏖, 2.0eq.)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에서 밤새 50℃까지 가열하였다. 백색 고체(PPh3)를 용해시킨 후, 다량의 백색 고체가 생성되었다. 석유 에터/EtOAc로의 배산처리 및 여과는 화합물 95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135g, 80% 수율). C23H24O2P [M-Br]+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363.15, 실측치 363.13.
실시예 35. 화합물 96의 합성
Figure pct00141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다이클로로메탄(500㎖) 중의 화합물 95(135.42g, 305.7m㏖)의 용액을 10% NaOH 용액(450㎖)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유기 용액이 신속하게 밝은 황색으로 변했다. 30분 후, TLC 분석이 반응이 완결되었음을 나타내었다. 층을 분리시키고, 수성층을 추가로 CH2Cl2(2×20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황색 고체 96(104g, 94% 수율)을 제공하였다. C23H24O2P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362.14, 실측치 363.13. 조 생성물을 다음 단계에 직접 사용하였다.
실시예 36. 화합물 98의 합성
Figure pct00142
아세톤(3ℓ) 중의 Boc-L-Tyr-OMe(670g, 2.27㏖, 1.0eq.), K2CO3(358g, 2.5㏖, 1.1eq.) 및 KI(38g, 0.227㏖, 0.1eq.)의 혼합물에 벤질 브로마이드(283㎖, 2.38㏖, 1.05eq.)를 서서히 첨가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밤새 환류시켰다. 물(6ℓ)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EtOAc(5×100ℓ)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2ℓ)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키고,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4:1 헥산/EtOAc)로 정제시켜 백색 고체 98(795g, 91% 수율)를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7.43 (d, J = 7.0 Hz, 2H), 7.38 (t, J = 7.4 Hz, 2H), 7.32 (t, J = 7.2 Hz, 1H), 7.04 (d, J = 8.5 Hz, 2H), 6.91 (d, J = 8.6 Hz, 2H), 5.04 (s, 2H), 4.55 (d, J = 6.9 Hz, 1H), 3.71 (s, 3H), 3.03 (qd, J = 14.0, 5.8 Hz, 2H), 1.43 (s, 9H). ESI: m/z: C22H28NO5 [M+H]+에 대한 계산치: 386.19, 실측치 386.19.
실시예 37. 화합물 99의 합성
Figure pct00143
-78℃에서 무수 다이클로로메탄(1ℓ) 중의 에스터 98(380g, 987m㏖, 1.0eq.)의 용액에 DIBAL(헥산 중의 1.0M, 2.9ℓ, 2.9eq.)을 3시간에 걸쳐서 첨가하였다. 첨가를 완료한 후 혼합물을 3ℓ의 에탄올로 반응정지시켰다. pH 4에 도달될 때까지 1N HCl을 적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0℃까지 가온시켰다. 층을 분리시키고, 수성층을 추가로 EtOAc(3×3ℓ)로 추출하였다. T합한 유기 용액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PE/EtOAc로의 배산처리 및 여과는 백색 고체 99(263g, 75% 수율)를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9.65 (s, 1H), 7.45 (d, J = 7.1 Hz, 2H), 7.41 (t, J = 7.4 Hz, 2H), 7.35 (t, J = 7.1 Hz, 1H), 7.11 (d, J = 8.6 Hz, 2H), 6.95 (d, J = 8.6 Hz, 2H), 5.07 (s, 2H), 4.42 (dd, J = 12.4, 6.1 Hz, 1H), 3.09 (d, J = 6.2 Hz, 2H), 1.46 (s, 9H). ESI: m/z: C21H26NO4 [M+H]+에 대한 계산치: 356.18, 실측치 356.19.
실시예 38. 화합물 100의 합성
Figure pct00144
실온에서 무수 다이클로로메탄(800㎖) 중의 알데하이드 99(81.4g, 229m㏖, 1.0eq.)의 용액에 무수 다이클로로메탄(800㎖) 중의 일리드(ylide) 96(2.0eq.)를 30분에 걸쳐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키고,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6:1 석유 에터/EtOAc)로 정제시켜 백색 고체 100(63.4g, 63% 수율)을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7.45 - 7.41 (m, 2H), 7.40 - 7.35 (m, 2H), 7.33 (d, J = 7.2 Hz, 1H), 7.10 - 7.06 (m, 2H), 6.92 - 6.88 (m, 2H), 6.50 (dd, J = 8.8, 1.3 Hz, 1H), 5.04 (s, 2H), 4.57 (s, 2H), 4.18 (q, J = 7.1 Hz, 2H), 2.86 (d, J = 8.5 Hz, 1H), 2.72 (dd, J = 13.6, 6.8 Hz, 1H), 1.71 (d, J = 1.4 Hz, 3H), 1.41 (d, J = 2.2 Hz, 9H), 1.28 (td, J = 7.5, 5.1 Hz, 4H). C26H33NaNO5 [M+Na]+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462.24, 실측치 462.22.
실시예 39. 화합물 101의 합성
Figure pct00145
수소화 병 내에, Pd/C(1.83g, 10 wt%, 50% 물)를 THF(100㎖) 및 메탄올(300㎖) 중의 화합물 100(30.2g, 68.9m㏖)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atm H2 하에서 밤새 진탕하고, 셀라이트(여과 보조제)로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농축시켜 화합물 101(25.0g, 이론 수율)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6.99 (d, J = 7.0 Hz, 2H), 6.72 (d, J = 7.6 Hz, 2H), 4.39 (s, 1H), 4.18 - 4.04 (m, 2H), 3.82 (s, 1H), 2.60 (dd, J = 37.2, 20.9 Hz, 4H), 1.95 - 1.81 (m, 1H), 1.39 (s, 11H), 1.24 (dd, J = 9.5, 4.3 Hz, 3H), 1.13 (t, J = 8.9 Hz, 3H). C19H31NO5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352.20, 실측치 352.19.
실시예 40. 화합물 102의 합성
Figure pct00146
실온에서 무수 다이클로로메탄(200㎖) 중의 화합물 101(5.96g, 35.9m㏖, 1.0eq.)의 용액에 Ac2O(3.2㎖, 33.9m㏖, 2.0eq.) 및 HNO3(65%-68%, 3.5㎖, 50.79m㏖, 3.0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고, TLC 분석이 반응이 완결되었음을 나타내었다. 반응 용액을 물(3×200㎖)로 세척하고, 수성층을 다이클로로메탄(3×100㎖)으로 재추출하였다. 합한 다이클로로메탄 용액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키고,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5:1 헥산/EtOAc)로 정제시켜 화합물 102를 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4.18g, 72% 수율). 1H NMR (500 MHz, CDCl3) δ 10.49 (s, 1H), 7.89 (s, 1H), 7.44 (d, J = 8.4 Hz, 1H), 7.09 (d, J = 8.6 Hz, 1H), 4.32 (d, J = 8.3 Hz, 1H), 4.12 (dd, J = 14.0, 7.0 Hz, 2H), 3.80 (s, 1H), 2.76 (dd, J = 13.0, 6.8 Hz, 2H), 2.59 (s, 1H), 1.88 (s, 1H), 1.37 (t, J = 8.7 Hz, 9H), 1.25 (dd, J = 13.5, 6.9 Hz, 4H), 1.16 (t, J = 8.0 Hz, 3H). C19H28NaN2O7 [M+Na]+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419.19, 실측치 419.17.
실시예 41. 화합물 103의 합성
Figure pct00147
실온에서 THF(100㎖) 및 메탄올(100㎖) 중의 에스터 102(15.3g, 38.6m㏖, 1.0eq.)의 용액에 물(190㎖) 중의 LiOH . H2O(16.3g, 389m㏖, 10.0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4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물(400㎖)로 희석시키고, pH 3 내지 4에 도달할 때까지 1N KHSO4 적가하였다. EtOAc(3×300㎖)로의 추출 후, 유기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켜 103 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14.4g, 이론 수율). 1H NMR (500 MHz, CDCl3) δ 10.48 (s, 1H), 7.98 - 7.88 (m, 1H), 7.42 (dd, J = 18.4, 8.2 Hz, 1H), 7.14 - 7.03 (m, 1H), 4.48 (d, J = 8.6 Hz, 1H), 3.90 (s, 1H), 2.82 - 2.53 (m, 3H), 1.97 - 1.82 (m, 2H), 1.42 - 1.27 (m, 10H), 1.21 (d, J = 6.7 Hz, 4H). C17H23N2O7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367.16, 실측치 367.14.
실시예 42. 화합물 104의 합성
Figure pct00148
수소화 병에서, Pd/C(2.60g, 10 wt%, 50% 물)를 메탄올(260㎖) 중의 화합물 103(26.0g, 70.6m㏖, 1.0eq.)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atm H2 하에서 밤새 진탕하고, 이어서 셀라이트(여과 보조제)로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농축시켜 화합물 104를 녹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24.0g, >100 % 수율).
실시예 43. 화합물 106의 합성
Figure pct00149
무수 아세토나이트릴(1ℓ) 중의 tert-부틸-2-브로모프로판오에이트(255g, 1.22㏖, 1.0eq.) 및 트라이페닐 포스핀(320g, 1.22㏖, 1.0eq.)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아세토나이트릴을 감압 하에서 제거하고, 톨루엔을 첨가하여 백색 침전물을 부쉈다. 이어서 톨루엔을 따라내고, 백색 고체를 다이클로로메탄(1ℓ)에 용해시키고, 첨가 깔때기로 옮겼다. 10% NaOH(1ℓ)를 깔때기에 첨가하고, 진탕 후 유기층이 즉시 황색으로 변했다. 유기층을 분리시키고, 수성층을 다이클로로메탄(1ℓ)으로 1회 추출하였다. 다이클로로메탄층을 합하고, 염수(400㎖)로 1회 세척하고, 이어서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켜, 일리드 106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80g, 58%).
실시예 44. 화합물 107의 합성
Figure pct00150
알데하이드 99(450g, 1.27㏖, 1.0eq.)를 무수 다이클로로메탄(3ℓ)에 용해시키고, 이것에 tert-부틸 에스터 일리드 106(546g, 1.40m㏖, 1.1eq.)를 첨가하고, TLC에 의해서 완결이 결정될 때까지 용액을 r.t.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10-50% EtOAc/헥산)에 의한 정제는 화합물 107(444g, 75%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C28H38NO5 [M+H]+ 에 대한 ESI m/z 계산치: 468.27, 실측치 468.22.
실시예 45. 화합물 108의 합성
Figure pct00151
화합물 107(63g, 0.13㏖)을 메탄올(315㎖)에 용해시키고, Pd/C 촉매(10 wt%, 6.3g)로 r.t.에서 밤새 수소화시켰다(1atm H2). 촉매를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화합물 108(45.8g, 93% 수율)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6. 화합물 109의 합성
Figure pct00152
THF(4ℓ) 중의 화합물 108(390g, 1.03㏖, 1.0eq.)의 용액에 tert-부틸 나이트라이트(1.06 ㎏, 10.3㏖, 10eq.)를 r.t.에서 첨가하고, 반응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THF의 제거 후,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10-50% EtOAc/헥산)로 정제시켜 화합물 109(314g, 72% 수율)를 밝은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47. 화합물 110의 합성
Figure pct00153
EtOAc(500㎖) 중의 109(166g, 0.392㏖, 1.0eq.)의 용액에 질소 하에서 Pd/C(10 wt%, 16g)를 첨가하고, 반응 플라스크를 진공화시키고, 수소로 3회 퍼징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수소(1atm) 하에서, r.t.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셀라이트 상에서 여과시키고, 농축시켜 생성물 110(146g, 97% 수율) 밝은 황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6.62 (d, J = 7.9 Hz, 1H), 6.55 (s, 1H), 6.43 (d, J = 7.3 Hz, 1H), 4.39 (dd, J = 53.0, 44.2 Hz, 1H), 3.77 (s, 4H), 2.72 - 2.29 (m, 3H), 1.83 - 1.58 (m, 1H), 1.40 (d, J = 7.6 Hz, 18H), 1.24 (s, 1H), 1.06 (t, J = 5.7 Hz, 3H). C21H35N2O5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394.25, 실측치 395.25.
실시예 48. 화합물 114의 합성
Figure pct00154
N2 하에서 -78℃에서 무수 THF(200㎖) 중의 (S)-4-아이소프로필옥사졸리딘-2-온(5.00g, 38.7m㏖, 1.0eq.)의 용액에 30분 동안 n-BuLi(헥산 중 2.5M, 17.0㎖, 1.2eq.)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8℃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프로피온일 클로라이드(4.0㎖, 42.58m㏖, 1.1eq.)를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78℃에서 추가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TLC 분석이 반응이 완결되었음을 나타내었다.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250㎖)을 첨가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3×100㎖). 합한 유기층을 1N NaOH 용액(200㎖) 및 염수(300㎖)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키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시켜(7:1 헥산/EtOAc) 화합물 114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6.36g, 89% 수율). C9H16NO3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186.10, 실측치 186.10. 1H NMR (400 MHz, CDCl3) δ 4.48 - 4.39 (m, 1H), 4.27 (t, J = 8.7 Hz, 1H), 4.21 (dd, J = 9.1, 3.1 Hz, 1H), 3.06 - 2.82 (m, 2H), 2.38 (dtd, J = 14.0, 7.0, 4.0 Hz, 1H), 1.17 (t, J = 7.4 Hz, 3H), 0.90 (dd, J = 17.0, 7.0 Hz, 6H).
실시예 49. 화합물 115의 합성
Figure pct00155
N2 하에서 0℃에서 무수 다이클로로메탄(20㎖) 중의 (S)-4-아이소프로필-3-프로피온일옥사졸리딘-2-온(2.00g, 11.9m㏖, 1.1eq.)의 용액에 DIPEA(2.3㎖, 12.9m㏖, 1.2eq.) 및 n-Bu2BOTf(다이클로로메탄 중의 1.0M, 12.0㎖, 1.1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45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78℃까지 냉각시키고, 이것에 다이클로로메탄 중의 화합물 99(4.24㎖, 10.8m㏖, 1.0eq.)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78℃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서서히 실온까지 가온시켰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PBS(0.1M, pH 7.0, 100㎖)를 첨가하였다. 상 분리 후, 수성상을 추가로 다이클로로메탄(3×50㎖)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200㎖),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메탄올(100㎖)에 다시 용해시키고, 0℃에서 3시간 동안 H2O2(30% 수성 용액, 26㎖, 23eq.)로 처리하였다. 메탄올을 회전식 증발기로 제거하고, 물(100㎖)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였다(3×100㎖). 합한 유기층을 염수(300㎖)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키고,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3:1 헥산/EtOAc)로 정제시켜 화합물 115를 발포성 고체로서 제공하였다(2.70g, 49% 수율). 1H NMR (400 MHz, CDCl3) δ7.52 - 7.26 (m, 5H), 7.15 (d, J = 7.4 Hz, 2H), 6.93 (d, J = 7.3 Hz, 2H), 5.05 (s, 2H), 4.69 (d, J = 7.0 Hz, 1H), 4.47 (s, 1H), 4.36 (t, J = 7.8 Hz, 1H), 4.17 (d, J = 8.5 Hz, 1H), 3.93 (d, J = 7.1 Hz, 1H), 3.85 (s, 2H), 2.84 (d, J = 6.9 Hz, 2H), 2.31 (s, 1H), 1.40 - 1.37 (m, 9H), 1.31 (s, 3H), 0.92 (dd, J = 13.4, 6.6 Hz,6H). C30H41N2O7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541.28, 실측치 541.30.
실시예 50. 화합물 116의 합성
Figure pct00156
무수 THF(46㎖) 중의 화합물 115(2.50g, 4.63m㏖, 1.0eq.) 및 1,1'-티오카보닐다이이미다졸(2.48g, 13.89m㏖, 3.0eq.)의 혼합물을 밤새 환류시켰다. 물(100㎖)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였다(3×50㎖). 합한 유기층을 염수(200㎖)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키고,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3:1 헥산/EtOAc)로 정제시켜 화합물 116 황색 발포체로서 제공하였다(2.33g, 77% 수율).1H NMR (400 MHz, CDCl3) δ 8.41 (s, 1H), 7.67 (s, 1H), 7.36 (dt, J = 16.0, 6.9 Hz, 6H), 7.09 (s, 1H), 7.05 (d, J = 8.4 Hz, 2H), 6.86 (d, J = 8.4 Hz, 2H), 6.32 (d, J = 9.5 Hz, 1H), 5.01 (s, 2H), 4.56 - 4.43 (m, 2H), 4.32 (ddd, J = 16.2, 15.6, 7.8 Hz, 3H), 4.19 (d, J = 8.7 Hz, 1H), 2.96 (dd, J = 14.6, 4.4 Hz, 1H), 2.49 (dd, J = 14.5, 10.5 Hz, 1H), 2.29 (td, J = 13.4, 6.7 Hz, 1H), 1.31 (s, 3H), 1.29 (s, 9H), 0.91 (dd, J = 13.9, 6.9 Hz, 6H). C34H43N4O7S[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651.27, 실측치 651.39.
실시예 51. 화합물 117의 합성
Figure pct00157
무수 톨루엔(30㎖) 중의 화합물 116(1.90g, 2.92m㏖, 1.0eq.)의 용액에 n-Bu3SnH(1.6㎖, 5.84m㏖, 2.0eq.) 및 아조다이아이소부티로나이트릴(0.05g, 0.584m㏖, 0.1eq.)을 순서대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이어서 농축시키고,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5:1 헥산/EtOAc)로 정제시켜 화합물 117을 백색 발포체로서 제공하였다(1.21g, 79% 수율). 1H NMR (400 MHz, CDCl3) δ 7.36 (ddd, J = 24.5, 14.5, 7.1 Hz, 5H), 7.08 (d, J = 8.5 Hz, 2H), 6.90 (d, J = 8.5 Hz, 2H), 5.04 (d, J = 5.1 Hz, 2H), 4.48 (d, J = 4.2 Hz, 1H), 4.33 (t, J = 8.4 Hz, 1H), 4.22 (d, J = 9.7 Hz, 1H), 4.15 (d, J = 8.8 Hz, 1H), 3.81 (s, 2H), 2.73 (dd, J = 14.1, 5.9 Hz, 1H), 2.61 (dd, J = 14.0, 7.2 Hz, 1H), 2.29 (dq, J = 13.5, 6.8 Hz, 1H), 2.11 - 2.00 (m, 1H), 1.35 (s, 9H), 1.20 (d, J = 6.9 Hz, 3H), 0.89 (dd, J = 14.0, 6.9 Hz, 6H). C30H41N2O6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525.28, 실측치 525.37.
실시예 52. 화합물 118의 합성
Figure pct00158
THF(30㎖) 중의 화합물 117(1.20g, 2.29m㏖, 1.0 eq)의 용액에 물(6㎖) 중의 LiOH(0.192g, 4.58m㏖, 2.0eq.) 및 H2O2(30% 수성 용액, 1.4㎖, 6.0eq.)를 첨가하였다. 0℃에서 3시간 교반 후, 중아황산나트륨 용액(1.5M, 30㎖)을 첨가하여 반응을 반응정지시켰다. 30분 후, pH 4에 도달될 때까지 1N KHSO4를 적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였다(3×50㎖). EtOAc 용액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키고,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3:1 헥산/EtOAc, 1% HOAc 함유)로 정제시켜 화합물 118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0.78g, 82% 수율). 1H NMR (400 MHz, CDCl3) δ 7.46 - 7.28 (m, 5H), 7.07 (d, J = 7.7 Hz, 2H), 6.91 (d, J = 7.8 Hz, 2H), 4.52 (d, J = 8.5 Hz, 1H), 3.87 (d, J = 41.8 Hz, 1H), 2.82 - 2.43 (m, 3H), 1.85 (t, J = 12.2 Hz, 1H), 1.41 (s, 9H), 1.17 (d, J = 6.9 Hz, 3H). C24H32NO5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414.22, 실측치 414.21.
실시예 53. 화합물 119의 합성
Figure pct00159
메탄올(15㎖) 중의 화합물 118(0.77g, 1.86m㏖, 1.0eq.) 및 Pd/C(10%, 0.25g)의 혼합물을 1atm H2 압력 하에서 16시간 동안 수소화시키고, 이어서 셀라이트(여과 보조제)로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농축시켜 화합물 119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58g, 96% 수율). 1H NMR (400 MHz, CDCl3) δ 7.00 (d, J = 7.5 Hz, 2H), 6.80 (s, 2H), 4.51 (d, J = 9.0 Hz, 1H), 3.88 (s, 1H), 2.66 (dd, J = 65.6, 22.6 Hz, 4H), 1.88 (t, J = 12.2 Hz, 1H), 1.42 (s, 9H), 1.14 (d, J = 6.6 Hz, 3H). C17H26NO5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324.17, 실측치 324.16.
실시예 54. 화합물 120의 합성
Figure pct00160
0℃에서 THF(10㎖) 중의 화합물 119(0.57g, 1.76m㏖, 1.0eq.)의 용액에 t-BuONO(0.63㎖, 5.28m㏖, 3.0eq.)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이어서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50㎖)을 첨가한 후, 반응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였다(3×30㎖). 합한 유기층을 염수(100㎖)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키고,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2:1 헥산/EtOAc, 1% HOAc 함유)로 정제시켜 화합물 120을 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0.50g, 77% 수율). 1H NMR (400 MHz, DMSO) δ7.92 (s, 1H), 7.47 (d, J = 8.3 Hz, 1H), 7.05 (d, J = 8.5 Hz, 1H), 3.73 (s, 1H), 2.78 (dd, J = 13.6, 5.3 Hz, 1H), 2.69 - 2.47 (m, 2H), 1.87 (t, J = 11.9 Hz, 1H), 1.47 - 1.37 (m, 1H), 1.32 (s, 9H), 1.17 (d, J = 7.2 Hz, 3H). C17H25N2O7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369.15, 실측치 369.14.
실시예 55. 화합물 121의 합성
Figure pct00161
메탄올(10㎖) 중의 화합물 120(0.50g, 1.36m㏖, 1.0eq.) 및 Pd/C(10 wt%, 0.02g)의 혼합물을 r.t.에서 1시간 동안 수소화시키고(1atm H2), 이어서 셀라이트(여과 보조제)로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농축시켜 화합물 121을 백색 발포체로서 수득하였다(0.43g, 93% 수율). C17H27N2O5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339.18, 실측치 339.17. 1H NMR (400 MHz, MeOD) δ 6.60 (d, J = 7.9 Hz, 2H), 6.44 (d, J = 7.3 Hz, 1H), 3.71 (d, J = 6.3 Hz, 1H), 2.62 - 2.37 (m, 3H), 1.83 (ddd, J = 13.7, 9.9, 3.7 Hz, 1H), 1.39 (s, 9H), 1.13 (d, J = 7.1 Hz, 3H).
실시예 56. 화합물 124의 합성
Figure pct00162
아세트산(1ℓ) 중의 말레산 무수물(268g, 2.73㏖)의 용액에 4-아미노부탄산(285g, 2.76㏖)을 첨가하였다. r.t.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반응물을 1.5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r.t.까지 냉각시키고,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 잔류물을 제공하였고, 이것을 EA로 취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EtOAc 및 PE로부터 결정화시켜 백색 고체(400g, 80 % 수율)를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6.71 (s, 2H), 3.60 (t, J = 6.7 Hz, 2H), 2.38 (t, J = 7.3 Hz, 2H), 2.00 - 1.84 (m, 2H).
실시예 57. 화합물 125의 합성
Figure pct00163
화합물 124(400g, 2.18㏖, 1.0eq.)를 CH2Cl2(1.5ℓ)에 용해시키고, 이것에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276g, 2.40m㏖, 1.1eq.) 및 DIC(303g, 2.40㏖, 1.1eq.)를 r.t.에서 첨가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농축시키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시켜(1:2 석유 에터/EtOAc) NHS 에스터 125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382g, 63% 수율). 1H NMR (500 MHz, CDCl3) δ 6.74 (s, 2H), 3.67 (t, J = 6.8 Hz, 2H), 2.85 (s, 4H), 2.68 (t, J = 7.5 Hz, 2H), 2.13 - 2.03 (m, 2H).
실시예 58. 화합물 126의 합성
Figure pct00164
0℃에서 교반하면서 THF(600㎖) 중의 124(60g, 328m㏖, 1.3eq.)의 용액에 NMM(85.3㎖, 984m㏖, 3.0eq.)을 첨가하고, 그 다음 아이소부틸 클로로폼에이트 (44.6㎖, 426m㏖, 1.3eq.)를 적가하였다.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온도를 0℃로 유지시키면서 생성된 혼합물을 THF(400㎖) 중의 104(102g, 259m㏖, 1.0eq.)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첨가를 완료한 후 반응물을 추가 3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물(300㎖)로 반응정지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3×300㎖). 합한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키고, 9-35% EtOAc/PE의 구배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시켜 화합물 126(104g, 73% 수율)을 밝은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86 (s, 1H), 8.40 (d, J = 17.3 Hz, 1H), 6.87 (s, 3H), 6.70 (s, 2H), 4.53 - 4.16 (m, 0H), 3.79 (s, 1H), 3.62 (t, J = 6.1 Hz, 1H), 2.63 (s, 1H), 2.40 (t, J = 6.9 Hz, 1H), 2.12 - 1.88 (m, 4H), 1.84 - 1.64 (m, 1H), 1.38 (t, J = 9.6 Hz, 6H), 1.06 (t, J = 6.0 Hz, 3H).
실시예 59. 화합물 127의 합성
Figure pct00165
CH2Cl2(20㎖)에 용해시킨 화합물 126(12.7g, 22.7m㏖)을 0℃에서 TFA(40㎖)로 처리하고, 반응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톨루엔과 3회 공동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다이에틸 에터로 배산처리하고, 밝은 황색 고체 127를 수집하였다(11.4g, 이론 수율).
실시예 60. 화합물 128의 합성
Figure pct00166
EtOAc 중의 카복실산 33(40㎎, 0.074m㏖, 1.0eq.)의 용액에 펜타플루오로페놀(27㎎, 0.148m㏖, 2.0eq.) 및 DCC(23㎎, 0.111m㏖, 1.5eq.)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EtOAc로 패드를 세척하면서 셀라이트 패드 상에서 여과시켰다. 여과액을 농축시키고, DMA(6㎖)에 다시 용해시키고, 이어서 화합물 127(56.6㎎, 0.13m㏖) 및 DIPEA(47.4㎕, 0.18m㏖)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키고, 역상 HPLC(C18 칼럼, 10-100% 아세토나이트릴/물)로 정제시켜 화합물 128(43㎎, 63%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C46H66N7O11S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924.45, 실측치 924.45.
실시예 61. 화합물 132의 합성
Figure pct00167
0℃에서 DMF(100㎖) 중의 화합물 41a(11g, 15.9m㏖, 1.0eq.) 및 화합물 127(12.3g, 23.8m㏖, 1.5eq.)의 용액에 DIPEA(6.9㎖, 39.7m㏖, 2.5eq.)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칼럼(100% DCM에서 10% MeOH/DCM) 상에서 정제시켜 화합물 132(10g, 69% 수율)를 비정질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C45H65N7O11S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912.45, 실측치 912.45.
실시예 62. 화합물 166의 합성
Figure pct00168
-78℃에서 N2 하에서 무수 THF(1150㎖) 중의 (R)-4-아이소프로필옥사졸리딘-2-온(25.0g, 0.194㏖, 1.0eq)의 용액에 n-BuLi(85.0㎖, 0.213㏖, 1.1eq)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다량의 백색 고체가 형성되었다. 이어서 프로피온일 클로라이드(20.0㎖, 0.232㏖, 1.2eq)를 -78℃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S)-4-아이소프로필옥사졸리딘-2-온의 소모를 TLC에 의해서 모니터링한 후, 용액을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1.2ℓ)에 붓고, 혼합물을 EA(700㎖, 350㎖×2)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1.0N NaOH 용액(1.0ℓ) 및 염수(1.0ℓ)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PE:EA = 10:1)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32.6g, 90.8%). ESI m/z: C9H17NO3 [M+H]+에 대한 계산치: 186.1, 실측치 186.1. 1H NMR (400 MHz, CDCl3) δ 4.48 - 4.37 (m, 1H), 4.27 (t, J = 8.7 Hz, 1H), 4.21 (dd, J = 9.1, 3.1 Hz, 1H), 3.04 - 2.82 (m, 2H), 2.45 - 2.30 (m, 1H), 1.17 (t, J = 7.4 Hz, 3H), 0.90 (dd, J = 17.1, 7.0 Hz, 6H).
실시예 63. 화합물 167의 합성.
Figure pct00169
0℃에서 N2 하에서, 무수 DCM(200㎖) 중의 (R)-4-아이소프로필-3-프로피온일옥사졸리딘-2-온(18.4g, 99.5m㏖, 1.1 eq)의 용액에 Bu2BOTf(1M 다이클로로메탄 용액, 100㎖, 100m㏖, 1.1eq) 및 DIPEA(19㎖, 108.6m㏖, 1.2eq)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45분 동안 교반하였다. 다이클로로메탄(320㎖) 중의 알데하이드 99(32.2g, 90.5m㏖, 1.0 eq)의 용액을 -78℃에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용액을 15시간 동안 서서히 실온까지 가온시켰다. 혼합물을 700㎖의 인산칼륨 완충액(pH 7.0)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이어서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메탄올(730㎖)에 용해시키고, 0℃까지 냉각시키고, 이어서 30% H2O2 수성 용액(225㎖)을 서서히 첨가하고,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750㎖)첨가 후,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메탄올을 제거하였다. 생성된 수성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500㎖, 150㎖×2), 유기 추출물을 5% 중탄산나트륨 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PE:EA = 3:1)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을 백색 발포체로서 제공하였다(31.7g, 64.8%). ESI m/z: C30H41N2O7 [M+H]+에 대한 계산치: 541.3, 실측치 541.3. 1H NMR (400 MHz, CDCl3) δ 7.49 - 7.29 (m, 5H), 7.17 (t, J = 10.7 Hz, 2H), 6.93 (d, J = 7.0 Hz, 2H), 5.06 (s, 2H), 4.28 (dd, J = 44.4, 36.4 Hz, 3H), 4.04 - 3.52 (m, 3H), 3.11 - 2.73 (m, 2H), 2.35 (s, 1H), 1.41 (t, J = 16.3 Hz, 9H), 0.91(dd, J=15.6,6.4Hz,5H).
실시예 64. 화합물 168의 합성.
Figure pct00170
무수 THF(350㎖) 중의 화합물 167(28.3g, 52.3m㏖, 1.0 eq)의 용액에 1,1-티오카보닐 다이이미다졸(TCDI)(35.1g, 157.0m㏖, 3.0 eq)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밤새 환류 하에서 가열시켰다. TLC로 출발 물질의 소모를 모니터링한 후,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PE:EA = 3:1)로 정제시켜 연한 황색 발포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26.1g, 76.8 %). ESI m/z: C34H43N4O7S [M+H]+에 대한 계산치: 651.3, 실측치 651.3. 1H NMR (400 MHz, CDCl3) δ 8.21 (s, 1H), 7.43 (d, J = 11.8 Hz, 1H), 7.42 - 7.28 (m, 5H), 7.06 (d, J = 8.3 Hz, 2H), 7.01 (s, 1H), 6.80 (d, J = 8.3 Hz, 2H), 6.17 (dd, J = 8.5, 2.9 Hz, 1H), 4.96 (s, 2H), 4.42 - 4.04 (m, 5H), 2.83 (dd, J = 14.2, 6.2 Hz, 1H), 2.69 (dd, J = 14.2, 7.1 Hz, 1H), 2.32 (dd, J = 6.8, 4.2 Hz, 1H), 1.37 (s, 9H), 1.30 (d, J = 6.9 Hz, 3H), 0.87 (dd, J = 9.9, 7.0 Hz, 6H).
실시예 65. 화합물 169의 합성.
Figure pct00171
N2 하에서 무수 톨루엔(350㎖) 중의 화합물 168(26.0g, 40.0m㏖, 1.0 eq)의 용액에 n-Bu3SnH(21.5㎖, 80.0m㏖, 2.0 eq) 및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나이트릴)(AIBN)(0.066g, 0.01 eq)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환류 하에서 1시간 동안 가열시켰다. TLC로 출발 물질의 소모를 모니터링한 후,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PE:EA = 5:1)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을 백색 발포체로서 제공하였다(6.0g, 37.3 %). ESI m/z: C30H41N2O6 [M+H]+에 대한 계산치: 525.3, 실측치 525.3. 1H NMR (400 MHz, CDCl3) δ 7.37 (ddd, J = 25.1, 15.1, 7.1 Hz, 5H), 7.08 (d, J = 7.9 Hz, 2H), 6.89 (d, J = 8.4 Hz, 2H), 5.03 (s, 2H), 4.61 (d, J = 8.4 Hz, 1H), 4.40 (s, 1H), 4.32 - 4.08 (m, 2H), 3.91 - 3.66 (m, 2H), 2.83 (d, J = 8.4 Hz, 1H), 2.60 (t, J = 10.1 Hz, 1H), 2.33 (s, 1H), 1.71 (s, 1H), 1.41 (s, 9H), 1.15 (d, J = 6.5 Hz, 3H), 0.87 (dd, J = 17.0, 7.0 Hz, 6H).
실시예 66. 화합물 170의 합성
Figure pct00172
0℃에서 THF(90㎖) 및 물(30㎖) 중의 화합물 169(7.84g, 15.0m㏖, 1.0 eq)의 용액에 30% H2O2 수성 용액(11.4㎖, 112.5m㏖, 7.5eq) 중의 LiOH·H2O(1.57g, 37.5m㏖, 2.5eq)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0℃에서 1.5M Na2SO3 용액(160㎖)의 첨가 후,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pH 4까지 1N KHSO4 서서히 첨가하였다. 생성된 수성 용액을 로 EA(200㎖, 75㎖×2)로 추출하고,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PE:EA = 2:1)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6.18g, 100%). ESI m/z: C24H32N1O5 [M+H]+에 대한 계산치: 414.2, 실측치 414.2. 1H NMR (400 MHz, CDCl3) δ 7.39 (ddd, J = 24.5, 15.0, 7.2 Hz, 5H), 7.11 (d, J = 7.8 Hz, 2H), 6.93 (d, J= 8.3 Hz, 2H), 5.06 (s, 2H), 4.44 (t, J = 8.3 Hz, 1H), 3.83 (d, J = 69.4 Hz, 1H), 2.85 - 2.61 (m, 2H), 2.61 - 2.40 (m, 1H), 1.99 - 1.70 (m, 1H), 1.39 (d, J = 26.1 Hz, 9H), 1.19 (s, 3H).
실시예 67. 화합물 171의 합성
Figure pct00173
수소화 병 내에서, MeOH(50㎖) 중의 화합물 170(6.18g, 15.0m㏖, 1.0 eq)의 용액에 Pd/C(0.6g, 10% Pd/C)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atm 수소 분위기 하에서 밤새 진탕하고, 이어서 여과시켰다. 여과액을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4.8g, 99% 수율). ESI m/z: C17H26N1O5 [M+H]+에 대한 계산치: 324.2, 실측치 324.2. 1H NMR (400 MHz, CDCl3) δ 6.97 (d, J = 6.5 Hz, 2H), 6.74 (d, J = 8.2 Hz, 2H), 3.93 - 3.66 (m, 1H), 2.58 (tdd, J = 19.5, 12.9, 7.4 Hz, 3H), 1.75 (ddd, J = 20.1, 16.3, 7.7 Hz, 1H), 1.37 (d, J = 21.5 Hz, 9H), 1.11 (d, J = 7.0 Hz, 3H).
실시예 68. 화합물 172의 합성
Figure pct00174
0℃에서 N2 하에서 무수 THF(75㎖) 중의 화합물 171(4.8g, 15.0m㏖, 1.0 eq)의 용액에 t-BuONO(18.0㎖, 150m㏖, 10.0 eq)를 서서히 첨가하고,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출발 물질의 소모를 모니터링한 후, 1N KHSO4를 pH 4까지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생성된 수성 용액을 EA(150㎖, 75㎖×2)로 추출하고,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PE:EA=3:1)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3.6g, 65.4%). ESI m/z: C17H25N2O7 [M+H]+에 대한 계산치: 369.2, 실측치 369.2. 1H NMR (400 MHz, MeOD) δ 7.93 (d, J = 2.0 Hz, 1H), 7.48 (dd, J = 8.6, 2.1 Hz, 1H), 7.06 (d, J = 8.5 Hz, 1H), 3.83 - 3.71 (m, 1H), 2.82 (dd, J = 13.6, 5.0 Hz, 1H), 2.66 - 2.41 (m, 2H), 1.84 (ddd, J = 14.0, 10.6, 5.6 Hz, 1H), 1.65 - 1.51 (m, 1H), 1.28 (d, J = 24.9 Hz, 9H), 1.15 (d, J = 7.0 Hz, 3H).
실시예 69. 화합물 173의 합성
Figure pct00175
수소화 병 내에서, MeOH(20㎖) 중의 화합물 172(3.2g, 7.74m㏖, 1.0 eq)의 용액에 Pd/C(0.2g, 10% Pd/C)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atm H2 분위기 하에서 3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TLC로 출발 물질의 소모를 모니터링한 후,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백색 발포체로서 제공하였다(2.3g, 92.0% 수율). ESI m/z: C17H27N2O5 [M+H]+에 대한 계산치: 339.2, 실측치 339.2. 1H NMR (400 MHz, MeOD) δ 6.61 (d, J = 8.0 Hz, 2H), 6.45 (d, J = 6.3 Hz, 1H), 3.72 (d, J = 7.3 Hz, 1H), 2.68 - 2.34 (m, 3H), 1.81 - 1.66 (m, 1H), 1.56 - 1.45 (m, 1H), 1.36 (d, J = 29.0 Hz, 9H), 1.08 (d, J = 6.9 Hz, 3H).
실시예 70. 화합물 187의 합성
Figure pct00176
-25℃에서 아세토나이트릴(10㎖) 중의 화합물 102(1.00g, 2.52m㏖)의 용액에 CCl4(2.2㎖, 22.7m㏖, 9.0eq.)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교반한 후,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0.88㎖, 5.04m㏖, 2.0eq.) 및 DMAP(0.03g, 0.252m㏖, 0.1eq.)를 첨가하고, 그 다음 다이벤질 포스파이트(0.84㎖, 3.78m㏖, 1.5eq.)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5시간에 걸쳐서 r.t.에 도달시키고, 이어서 KH2PO4(0.5M, 50㎖)의 용액으로 반응정지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였다(3×50㎖).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10-50% EtOAc/PE)로 정제시켜 화합물 187(1.60g, 96% 수율)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C33H41N2O10P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657, 실측치 657.
실시예 71. 화합물 188의 합성
Figure pct00177
메탄올(20㎖) 중의 화합물 187(1.60g, 2.43m㏖)의 용액에 Pd/C(10 wt%, 160㎎)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H2 분위기(1atm) 하에서 r.t.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셀라이트로 여과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화합물 188(1.00g, 91%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C19H31N2O8P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447, 실측치 447.
실시예 72. 화합물 189의 합성
Figure pct00178
에탄올(10㎖) 중의 화합물 188(730㎎, 1.63m㏖)의 용액을 1 N NaOH(16㎖, 16.3m㏖, 10eq.)로 r.t.에서 밤새 처리하고, 이어서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물(20㎖)로 취하고, 1N HCl로 pH 6까지 산성화시켰다. 수성 용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MeOH/EtOAc(80:20, 5㎖)로 배산처리하여, 화합물 189(0.68g, 99% 수율)를 여과로부터 백색 고체로서 수집하였다. C17H27N2O8P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417, 실측치 417.
실시예 73. 화합물 299의 합성
Figure pct00179
아세토나이트릴(350㎖) 중의 2-(2-아미노에톡시)에탄올(21.00g, 200m㏖, 1.0eq.) 및 K2CO3(83.00g, 600m㏖, 3.0eq.)를 BnBr(57.0㎖, 480m㏖, 2.4eq.)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환류시켰다. 물(1ℓ)을 첨가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3×300㎖). 합한 유기층을 염수(1000㎖)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키고,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4:1 헥산/EtOAc)로 정제시켜 무색 오일을 제공하였다(50.97g, 89.2% 수율). C18H23NO2Na [M + Na]+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309.17, 실측치 309.19.
실시예 74. 화합물 300의 합성
Figure pct00180
DCM(560㎖) 중의 2-(2-(다이벤질아미노)에톡시)에탄올(47.17g, 165.3m㏖, 1.0eq.), tert-부틸 아크릴레이트(72.0㎖, 495.9m㏖, 3.0eq.) 및 n-Bu4NI(6.10g, 16.53m㏖, 0.1eq.)의 혼합물에 수산화나트륨 용액(300㎖, 50%)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분리시키고, 수층을 EtOAc로 추출하였다(3×100㎖). 유기층을 물(3×300㎖) 및 염수(300㎖)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키고,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7:1 헥산/EtOAc)로 정제시켜 무색 오일(61.08g, 89.4% 수율)을 제공하였다. C25H36NO4 [M + 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414.2566, 실측치 414.2384.
실시예 75. 화합물 301의 합성
Figure pct00181
수소화 병 내에서 THF(30㎖) 및 MeOH(60㎖) 중의 tert-부틸 3-(2-(2-(다이벤질아미노)에톡시)에톡시) 프로판오에이트 (20.00g, 48.36m㏖, 1.0eq.)의 용액에 Pd/C(2.00g, 10 wt%, 50% 습식)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진탕하고, 셀라이트(여과 보조제)로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농축시켜 무색 오일(10.58g, 93.8% 수율)을 수득하였다. C11H24NO4 [M + 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234.1627, 실측치 234.1810.
실시예 76. 화합물 302의 합성
Figure pct00182
DCM(10㎖) 중의 (E)-3-브로모아크릴산(0.15g, 1m㏖), DMAP(0.15g, 1.2m㏖) 및 DCC(0.21g, 1m㏖)의 용액에, 0℃에서 화합물 301(0.23g, 1m㏖)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밤새 교반하였다. 조 생성물을 농축시키고, EA/DCM의 구배로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시켜 표제 생성물 302(0.31g, 85% 수율)를 제공하였다. ESI MS m/z: C14H25BrNO5 [M+H]+에 대한 계산치: 366.08, 실측치 366.08.
실시예 77. 화합물 303의 합성
Figure pct00183
0℃에서 화합물 302(0.31g, 0.84m㏖)를 폼산(4㎖)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H2O(2㎖)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밤새 교반하였다. 조 생성물을 농축시키고,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를 위해서 사용하였다. ESI MS m/z: C10H17BrNO5 [M+H]+에 대한 계산치: 310.02, 실측치 310.03.
실시예 78. 화합물 304의 합성
Figure pct00184
화합물 303(0.12g, 0.39m㏖), NHS(0.067g, 0.58m㏖) 및 EDCI(0.11g, 0.58m㏖)를 DCM(10㎖)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시켜 표제 생성물 304(0.13g, 82% 수율)를 제공하였다. ESI MS m/z: C14H20BrN2O7 [M+H]+에 대한 계산치: 407.04, 실측치 407.04.
실시예 79. 화합물 326의 합성
Figure pct00185
H2O(40㎖) 중의 4-아미노부티르산(7.5g, 75m㏖) 및 NaOH(6g, 150m㏖)의 용액을 0℃까지 냉각시키고, THF(32㎖) 중의 CbzCl(16.1g, 95m㏖)의 용액의 적가로 처리하였다. 1시간 후, 반응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HF를 진공 하에서 제거하고, 6N HCl을 첨가하여 수성 용액의 pH를 1.5로 조정하였다.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화합물 326(16.4g, 92% 수율)을 제공하였다. C12H16NO5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238.10, 실측치 238.08.
실시예 80. 화합물 327의 합성
Figure pct00186
DMAP(0.8g, 6.56m㏖) 및 DCC(17.1g, 83m㏖)를 DCM(100㎖) 중의 4-(((벤질옥시)카보닐)아미노)부탄산(16.4g, 69.2m㏖) 및 t-BuOH(15.4g, 208m㏖)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r.t.에서 밤새 교반한 후, 반응물을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1N HCl,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농축 및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10에서 50% EtOAc/헥산)는 화합물 327(7.5g, 37% 수율)를 제공하였다. C16H23NO4Na [M+Na]+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316.16, 실측치 316.13.
실시예 81. 화합물 328의 합성
Figure pct00187
tert-부틸 4-(((벤질옥시)카보닐)아미노)부탄오에이트(560㎎, 1.91m㏖)를 MeOH(50㎖)에 용해시키고, Pd/C 촉매(10 wt%, 100㎎)와 혼합하고, 이어서 r.t.에서 3시간 동안 수소화시켰다(1atm). 촉매를 여과시키고, 모든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서 제거하고, 화합물 328(272㎎, 90% 수율)을 수득하였다. C8H18NO2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160.13, 실측치 160.13.
실시예 82. 화합물 330의 합성
Figure pct00188
tert-부틸 4-아미노부탄오에이트(477㎎, 3m㏖) 및 2,3-다이브로모석신산(414㎎, 1.5m㏖)을 DCM(35㎖)에 용해시키고, 이것에 DIPEA(1.16g, 9m㏖) 및 EDC(0.86g, 4.5m㏖)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r.t.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여과, 농축 및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순수한 DCM에서 10% MeOH/DCM)는 화합물 330(160㎎, 22% 수율)을 제공하였다. C20H34BrN2O6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477.15, 실측치 477.16.
실시예 83. 화합물 331의 합성
Figure pct00189
화합물 330(80㎎, 0.168m㏖)을 DCM(5㎖)에 용해시키고, 38℃에서 밤새 폼산(8㎖)으로 처리하였다. 모든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서 제거하여, 화합물 331(61㎎, 99% 수율)을 수득하였다. C12H18BrN2O6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365.03, 실측치 365.05.
실시예 84. 화합물 332의 합성
Figure pct00190
NHS(60㎎, 0.504m㏖) 및 EDCI(97㎎, 0.504m㏖)를 DCM(10㎖) 중의 화합물 331(61㎎, 0.168m㏖)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r.t.에서 밤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시켜(0에서 10% MeOH/DCM) 화합물 332(72㎎, 77% 수율)를 수득하였다. C20H24BrN4O10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559.06, 실측치 559.78.
실시예 85. 화합물 333의 합성
Figure pct00191
NaH2PO4(물 중의 0.1M, 1㎖)를 EtOH(5㎖) 중의 화합물 332(36㎎, 0.065m㏖) 및 화합물 110(25㎎, 0.063m㏖)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r.t.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HO-(PEG)24-NH2(95㎎)를 혼합물에 첨가하고, r.t.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모든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시켜(0에서 10% MeOH/DCM) 화합물 333(28㎎, 24% 수율)을 수득하였다. MS ESI m/z 1798.93 ([M+H]+).
실시예 86. 화합물 335의 합성
Figure pct00192
화합물 333(28㎎, 0.0156m㏖)을 DCM(2㎖)에 용해시키고, r.t.에서 2시간 동안 TFA(2㎖)로 처리하였다. 모든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서 제거하여, 화합물 335(25㎎, 98% 수율)를 수득하였고, 이것을 다음 단계에 직접 사용하였다. MS ESI m/z 1642.82 ([M+H]+).
실시예 87. 화합물 337의 합성
Figure pct00193
화합물 335(25㎎, 0.0152m㏖) 및 퍼플루오로페닐 에스터 33a(15㎎, 0.0213m㏖)를 DMA(5㎖)에 용해시켰다. 혼합물에, DIPEA(10㎎, 0.077m㏖)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정제용 HPLC(C18 칼럼, 10-90% MeCN/H2O)로 정제시켜 화합물 337(13㎎, 40% 수율)을 수득하였다. MS ESI m/z 2163.82 ([M+H]+).
실시예 88. 화합물 341의 합성
Figure pct00194
무수 THF(200㎖) 중의 2,2'-(에탄-1,2-다이일비스(옥시))다이에탄올(55.0㎖, 410.75m㏖, 3.0eq.)의 용액에 소듐(0.1g)을 첨가하였다. Na가 사라질 때까지 혼합물을 교반하고, 이어서 tert-부틸 아크릴레이트(20.0㎖, 137.79m㏖, 1.0eq.)를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0℃에서 HCl 용액(20.0㎖, 1N)로 반응정지시켰다. THF를 회전식 증발기로 제거하고, 염수(300㎖)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였다(3×100㎖).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3×300㎖)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농축시켜 무색 오일(30.20g, 79.0% 수율)을 수득하였고, 이것을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C13H27O6 [M + 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278.1729, 실측치 278.1730.
실시예 89. 화합물 342의 합성
Figure pct00195
0℃에서 무수 DCM(220㎖) 중의 tert-부틸 3-(2-(2-(2-하이드록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 프로판오에이트(30.20g, 108.5m㏖, 1.0eq.) 및 TsCl(41.37g, 217.0m㏖, 2.0eq.)의 용액에 TEA(30.0㎖, 217.0m㏖, 2.0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물(3×300㎖) 및 염수(300㎖)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키고,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3:1 헥산/EtOAc)로 정제시켜 무색 오일(39.4g, 84.0% 수율)을 제공하였다. C20H33O8S [M + 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433.1818, 실측치 433.2838.
실시예 90. 화합물 343의 합성
Figure pct00196
무수 DMF(100㎖) 중의 tert-부틸 3-(2-(2-(2-(토실옥시)에톡시)에톡시)에톡시) 프로판오에이트(39.4g, 91.1m㏖, 1.0eq.)의 용액에 NaN3(20.67g, 316.6m㏖, 3.5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500㎖)을 첨가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3×300㎖). 합한 유기층을 물(3×900㎖) 및 염수(900㎖)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키고,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5:1 헥산/EtOAc)로 정제시켜 밝은 황색 오일을 제공하였다(23.8g, 85.53% 수율). C13H25O3N5Na [M + Na]+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326.2, 실측치 326.2.
실시예 91. 화합물 344의 합성
Figure pct00197
라니-Ni(7.5g, 물에 현탁됨)을 물(3회), 아이소프로필 알코올(3회)로 세척하고,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에서 화합물 343(5.0g, 16.5m㏖)과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H2 풍선 하에서 r.t.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아이소프로필 알코올로 패드를 세척하면서 셀라이트 패드 상에서 여과시켰다. 여과액을 농축시키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시켜(5-25% MeOH/DCM) 밝은 황색 오일을 제공하였다(2.60g, 57% 수율). C13H28NO5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279.19; 실측치 279.19.
실시예 92. 화합물 345의 합성
Figure pct00198
아세틸렌다이카복실산(0.35g, 3.09m㏖, 1.0eq.)을 NMP(10㎖)에 용해시키고, 0℃까지 냉각시키고, 이것에 화합물 344(2.06g, 7.43m㏖, 2.4eq.)를 첨가하고, 그 다음 DMTMM(2.39g, 8.65m㏖, 2.8eq.)을 나누어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 용액을 농축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와 석유 에터의 혼합물 용매로 배산처리하였다. 고체를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농축시키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시켜(80-90% EA/PE) 밝은 황색 오일을 제공하였고(2.26g, >100% 수율), 이것을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C30H53N2O12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633.35; 실측치 633.30.
실시예 93. 화합물 346의 합성
Figure pct00199
화합물 345(2.26g)을 다이클로로메탄(15㎖)에 용해시키고, 0℃까지 냉각시키고 이어서 TFA(15㎖)로 처리하였다. 반응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45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용매 및 잔류하는 TFA를 회전식 증발기에서 제거하였다. 조 생성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시켜(0-15% MeOH/DCM) 밝은 황색 오일을 제공하였다(1.39g, 2단계에 대해서 86% 수율). C22H37N2O12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521.23; 실측치 521.24.
실시예 94. 화합물 380의 합성
Figure pct00200
화합물 110(68㎎, 0.17m㏖), 화합물 124(94.5㎎, 0.52m㏖) 및 HATU(162㎎, 0.425m㏖)를 DCM(50㎖)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TEA(73ul, 0.52m㏖)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SiO2 칼럼으로 정제시켜 표제 생성물 380(98㎎, 80% 수율)을 제공하였다. C37H49N4O11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725.33, 실측치 725.34.
실시예 95. 화합물 381의 합성
Figure pct00201
DCM(1.0㎖)에 용해시킨 화합물 380(98㎎, 0.135m㏖)을 r.t.에서 2시간 동안 TFA(1.0㎖)로 처리하고, 이어서 농축시키고, DMA(1㎖)에 재용해시키고, 이것에 펜타플루오로페닐 에스터 41a(44㎎, 0.06m㏖) 및 DIPEA(45.8㎕, 0.27m㏖)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MeCN/H2O의 구배를 사용하여 정제용-HPLC로 정제시켜 표제 생성물 381(37㎎, 55% 수율)을 제공하였다. C53H73N8O14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1077.49, 실측치 1077. 50.
실시예 96. 화합물 384의 합성
Figure pct00202
0℃에서 메탄올(120㎖) 중의 (S)-2-아미노-3-(4-나이트로페닐)프로판산(13.2g, 62.8m㏖)의 용액에 티오닐 클로라이드(9㎖, 125.6m㏖)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환류까지 가열시키고,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50㎖)에 현탁시켰다. 이어서 혼합물을 여과시켜 백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14.5g, 91% 수율)을 수득하였다. C10H13N2O4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225.08, 실측치 225.08.
실시예 97. 화합물 385의 합성
Figure pct00203
THF(200㎖) 중의 화합물 384(9.5g, 36.4m㏖)의 용액에 트라이에틸아민 (12.6㎖, 91.1m㏖)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한 후, 다이-tert-부틸 다이카보네이트(12.5㎖, 54.7m㏖)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에틸 아세테이트(200㎖)로 희석시키고, 1N HCl(30㎖), 물(30㎖)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백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11.4g, 97% 수율)을 수득하였다. C15H21N2O6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325.13, 실측치 325.13.
실시예 98. 화합물 386의 합성
Figure pct00204
-78℃에서 무수 다이클로로메탄(150㎖) 중의 화합물 385(14g, 43.2m㏖)의 용액에 DIBAL-H(108㎖, 108m㏖)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8℃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빙수에(200㎖)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3×80㎖). 합한 유기상을 1N HCl(2×50㎖), 물(50㎖)로 세척하였다,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8.6g, 68% 수율)을 수득하였다. C14H19N2O5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295.12, 실측치 295.12.
실시예 99. 화합물 387의 합성
Figure pct00205
0℃에서 DCM(100㎖) 중의 화합물 106(8.1g, 20.8m㏖)의 용액에 화합물 386(5.2g, 17.8m㏖)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칼럼으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5.9g, 82% 수율). C21H31N2O6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406.21, 실측치 406.21.
실시예 100. 화합물 388의 합성
Figure pct00206
수소화 병 내에서 MeOH(40㎖) 중의 화합물 387(4g, 9.85m㏖)의 용액에 Pd/C(0.4g, 10 wt%)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atm H2 하에서 밤새 교반하고, 셀라이트(여과 보조제)로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농축시켜 화합물 388(3.6g, 수율 약 100%)을 수득하였다. ESI m/z: C21H35N2O4 [M+H]+에 대한 계산치: 379.25, 실측치 379.25.
실시예 101. 화합물 389의 합성
Figure pct00207
0℃에서 다이클로로메탄(50㎖) 중의 화합물 388(3.6g, 9.52m㏖) 및 트라이에틸아민(1.3㎖, 9.52m㏖)의 용액에 4-나이트로벤젠설포닐 클로라이드(2.1g, 9.52m㏖)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DCM(50㎖)로 희석시키고, 1N HCl(20㎖), 물(20㎖)로 세척하였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이어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g, 75% 수율). C27H38N3O8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564.23, 실측치 564.23.
실시예 102. 화합물 390의 합성
Figure pct00208
아세토나이트릴(40㎖) 중의 화합물 389(3.6g, 6.39m㏖)의 용액에 tert-부틸 나이트라이트(2.29㎖, 19.1m㏖)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5℃까지 가온시키고,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3g, 79% 수율)을 수득하였다. C27H37N4O10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609.22, 실측치 609.22.
실시예 103. 화합물 391의 합성
Figure pct00209
아세토나이트릴/DMSO(30㎖/1㎖) 중의 화합물 390(3.0g, 4.92m㏖)의 용액에 4-메톡시 티오페놀(2.76g, 19.7m㏖) 및 탄산칼륨(2.7g, 19.7m㏖)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에틸 아세테이트(100㎖)로 희석시키고, 물(20㎖), 염수(20㎖)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1.7g, 85% 수율)을 수득하였다. C21H34N3O6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424.24, 실측치 424.24.
실시예 104. 화합물 392의 합성
Figure pct00210
수소화 병 내에서 MeOH(4㎖) 중의 화합물 391(100㎎, 0.236m㏖)의 용액에 Pd/C(10㎎, 10 wt%)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atm H2 하에서 밤새 교반하고, 셀라이트(여과 보조제)로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92.9㎎, 약 100% 수율)을 수득하였다. C21H36N3O4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394.26, 실측치 394.26.
실시예 105. 화합물 393의 합성
Figure pct00211
화합물 392(66㎎, 0.17m㏖), 화합물 124(94.5㎎, 0.52m㏖) 및 HATU(162㎎, 0.425m㏖)를 DCM(50㎖)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TEA(73ul, 0.52m㏖)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SiO2 칼럼으로 정제시켜 표제 생성물 393(98㎎, 80% 수율)을 제공하였다. C37H50N5O10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724.35, 실측치 724.35.
실시예 106. 화합물 394의 합성
Figure pct00212
r.t.에서 2시간 동안 DCM(1.0㎖)에 용해시킨 화합물 393(98㎎, 0.135m㏖)을 TFA(1.0㎖)로 처리하고, 이어서 농축시켜 화합물 394를 제공하였고, 이것을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107. 화합물 395의 합성
Figure pct00213
DMA(1㎖) 중의 화합물 394(76.9㎎, 0.135m㏖)의 용액에 펜타플루오로페닐 에스터 41a(44㎎, 0.06m㏖) 및 DIPEA(45.8㎕, 0.27m㏖)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MeCN/H2O의 구배로 정제용-HPLC로 정제시켜 표제 생성물 395(37㎎, 55% 수율)를 제공하였다. C53H74N9O13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1076.50, 실측치 1076.50.
실시예 108. 화합물 409의 합성
Figure pct00214
0℃에서 EtOAc(120㎖) 중의 말레이미드(6.35g, 65.4m㏖, 1.0eq.)의 용액에 N-메틸 morpholine (8.6㎖, 78.5m㏖, 1.2eq.) 및 메틸 클로로폼에이트(6.0㎖, 78.5m㏖, 1.2eq.)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30분 동안, r.t.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고체를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CH2Cl2에 용해시키고, 실리카겔 플러그로 여과시키고, CH2Cl2로 용리시켜 색상을 제거하였다. 적절한 분획을 농축시키고, 생성된 고체를 10% EtOAc/PE로 배산처리하여 백색 고체(9.00g, 89% 수율)를 제공하였다.
실시예 109. 화합물 410의 합성
Figure pct00215
화합물 301(8.16g, 35.0m㏖, 1.0eq.) 및 포화 NaHCO3(40㎖)의 혼합물을 0℃까지 냉각시키고, 이것에 화합물 409(5.43g, 35.0m㏖, 1.0eq.)를 나누어 첨가하였다.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DCM(3×100㎖)으로 추출하고,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시켜 백색 고체(6.76g, 62% 수율)를 제공하였다. C15H23NO6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314.15, 실측치 314.15.
실시예 110. 화합물 411의 합성
Figure pct00216
화합물 410(1.85g, 5.9m㏖)의 용액을 DCM(20㎖)에 용해시키고, r.t.에서 16시간 동안 TFA(7㎖)로 처리하고, 이어서 농축시키고,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11:1 DCM/MeOH)로 정제시켜 백색 발포체(1.47g, 97% 수율)를 제공하였다. C11H15NO6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258.09, 실측치 258.09.
실시예 111. 화합물 412의 합성
Figure pct00217
화합물 110(100㎎, 0.25m㏖), 화합물 411(65㎎, 0.25m㏖) 및 HATU(190㎎, 0.5m㏖)를 DCM(50㎖)에 용해시켰다. TEA(73㎕, 0.5m㏖)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SiO2 칼럼으로 정제시켜 표제 생성물 412(164㎎, 75% 수율)를 제공하였다. C43H61N4O15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873.41, 실측치 873.41.
실시예 112. 화합물 413의 합성
Figure pct00218
DCM(1.0㎖)에 용해시킨 화합물 412(52.4㎎, 0.06m㏖)를 r.t.에서 2시간 동안 TFA(1.0㎖)로 처리하고, 이어서 농축시키고, DMA(1㎖)에 다시 용해시키고, 이것에 펜타플루오로페닐 에스터 41a(44㎎, 0.06m㏖) 및 DIPEA(34㎕, 0.20m㏖)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MeCN/H2O의 구배로 정제용-HPLC로 정제시켜 표제 생성물 413(33㎎, 45% 수율)을 제공하였다. C59H85N8O18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1225.56, 실측치 1225. 55.
실시예 113. 화합물 415의 합성
Figure pct00219
화합물 392(98㎎, 0.25m㏖), 화합물 411(130㎎, 0.5m㏖) 및 HATU(190㎎, 0.5m㏖)를 DCM(50㎖)에 용해시켰다. TEA(73㎕, 0.5m㏖)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SiO2 칼럼으로 정제시켜 표제 생성물 415(163㎎, 75% 수율)을 제공하였다. C43H62N5O14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872.42, 실측치 872.42.
실시예 114. 화합물 416의 합성
Figure pct00220
DCM(1.0㎖)에 용해시킨 화합물 415(54.3㎎, 0.06m㏖)를 r.t.에서 2시간 동안 TFA(1.0㎖)로 처리하고, 이어서 농축시키고, DMA(1㎖)에 다시 용해시키고, 이것에 펜타플루오로페닐 에스터 41a(44㎎, 0.06m㏖) 및 DIPEA(34㎕, 0.20m㏖)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MeCN/H2O의 구배로 정제용-HPLC로 정제시켜 표제 생성물 416(33㎎, 45% 수율)을 제공하였다. C59H86N9O17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1224.58, 실측치 1224.58.
실시예 115. 화합물 419의 합성
Figure pct00221
N-Boc-에틸렌다이아민(5.6㎖, 35.4m㏖, 1.1eq.) 및 포화 NaHCO3(60㎖)의 혼합물을 0℃까지 냉각시키고, 이것에 화합물 409(5.00g, 32.2m㏖, 1.0eq.)를 나누어 첨가하였다.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반응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여과로 수집하고, 차가운 물로 세척하고, 이어서 EtOAc에 용해시키고,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백색 고체(6.69g, 87% 수율)를 제공하였다.
실시예 116. 화합물 420의 합성
Figure pct00222
고압 튜브 내의 톨루엔(120㎖) 중의 화합물 419(6.00g, 25.0m㏖), 퓨란(18.0㎖)의 용액을 환류까지 가열시키고,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무색 용액이 반응 동안 황색으로 변했다. 이어서 혼합물을 r.t.까지 냉각시키고, 농축시켰다. 생성된 백색 고체를 에틸 에터로 배산처리하여 화합물 420(6.5g, 84% 수율)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117. 화합물 421의 합성
Figure pct00223
화합물 420(9.93g, 32.2m㏖)의 용액을 다이옥산(15㎖)에 용해시키고, 진한 HCl(15㎖)로 r.t.에서 3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반응물을 농축시키고, EtOAc로 여과 케이크를 세척하면서 생성된 고체를 여과로 수집하였다. 고체를 오븐(50℃)에서 밤새 건조시켜 화합물 421(6.94g, 88% 수율)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118. 화합물 422의 합성
Figure pct00224
-10℃ THF(10㎖) 중의 화합물 421(0.85g, 3.47m㏖)의 용액에 POCl3(162㎕, 1.73m㏖), 그 다음 TEA(966㎕, 6.95m㏖)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용액을 DCM(20㎖)으로 희석시키고, 셀라이트 상에서 여과시켰다, 여과액을 농축시켜 화합물 422를 제공하였고, 이것을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C20H23ClN4O7P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497.09, 실측치 497. 09.
실시예 119. 화합물 423의 합성
Figure pct00225
화합물 422(0.50g, 1.0m㏖) 및 DIPEA(0.4㎖, 2.4m㏖)를 0℃에서 DCM(5.0㎖)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화합물 301(0.23g, 1.0m㏖)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키고, SiO2 칼럼으로 정제시켜 표제 생성물 423(0.30g, 43%)을 제공하였다. C31H45N5O11P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694.28, 실측치 694.28.
실시예 120. 화합물 424의 합성
Figure pct00226
화합물 423(0.30g, 0.5m㏖)을 DCM(3㎖)에 용해시키고, r.t.에서 2시간 동안 TFA(3㎖)로 처리하고, 이어서 농축시켜 화합물 424를 제공하였고, 이것을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121. 화합물 425의 합성
Figure pct00227
화합물 424(40㎎, 0.063m㏖), 화합물 110(40㎎, 0.10m㏖), HATU(24㎎, 0.063m㏖)를 DCM(5㎖)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TEA(27.8㎕, 0.2m㏖)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SiO2 칼럼으로 정제시켜 표제 생성물 425(53.4㎎, 84% 수율)를 제공하였다. C48H69N7O15P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1014.45, 실측치 1014.45.
실시예 122. 화합물 426의 합성
Figure pct00228
화합물 425(53.4㎎, 0.053m㏖)를 DCM(2㎖)에 용해시키고, TFA (2㎖)로 r.t.에서 2시간 동안 처리하고, 이어서 농축시켜 화합물 426 제공하였고, 이것을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123. 화합물 427의 합성
Figure pct00229
DMA(1㎖) 중의 화합물 426(45.0㎎, 0.053m㏖)의 용액에 펜타플루오로페닐 에스터 41a(37.0㎎, 0.053m㏖) 및 DIPEA(17㎕, 0.1m㏖)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밤새 교반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MeCN/H2O의 구배로 정제용-HPLC로 정제시켜 표제 생성물 427(26.2㎎, 36% 수율)을 제공하였다. C64H93N11O18P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1366.61, 실측치 1366. 61.
실시예 124. 화합물 428의 합성
Figure pct00230
화합물 427(8.0㎎, 0.0058m㏖)을 톨루엔(5.0㎖)에 용해시키고, 밤새 환류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농축시키고, MeCN/H2O의 구배로 정제용-HPLC로 정제시켜 표제 생성물 428(6.4㎎, 90% 수율)을 제공하였다. C56H85N11O16P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1230.56, 실측치 1230. 56.
실시예 125. 화합물 432의 합성
Figure pct00231
NaH(60%, 8.0g, 200m㏖)를 THF(1.0ℓ) 중의 2,5,8,11,14,17,20,23,26-노나옥사옥타코산-28-올(42.8g, 100m㏖)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r.t.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tert-부틸 2-브로모아세테이트(48.8g, 250m㏖)를 혼합물에 첨가하고, r.t.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빙수에 붓고, DCM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0%에서 5% MeOH: DCM)에 의한 정제는 화합물 432를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32g, 59% 수율).
실시예 126. 화합물 433의 합성
Figure pct00232
화합물 432(40.0g, 73.8m㏖)을 DCM(400㎖)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폼산(600㎖)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25℃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모든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서 제거하였고, 이것은 표제 생성물을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36.0g, 이론 수율). C21H43O12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487.27, 실측치 487.24.
실시예 127. 화합물 434의 합성
Figure pct00233
DCM(640㎖)에 용해시킨 화합물 433(36.0g, 73.8m㏖)의 용액에, (COCl)2(100㎖) 및 DMF(52g, 0.74m㏖)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r.t.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모든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서 제거하여, 표제 생성물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128. 화합물 436의 합성
Figure pct00234
Z-L-Lys-OH(41.4g, 147.6m㏖), Na2CO3(23.4g, 221.4m㏖) 및 NaOH(5.9g, 147.6m㏖)를 물(720㎖)에 용해시켰다. 혼합물을 0℃까지 냉각시키고, 이것에 THF(20㎖) 중의 화합물 434(37.2g, 73.8m㏖)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r.t.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HF를 진공 하에서 제거하고, pH 3에 도달할 때까지 얼음 냉각 하에서 진한 HCl을 수성 용액에 첨가하였다. DCM으로의 추출 후,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표제 생성물을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55g, 99% 수율). C35H60N2O15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749.40, 실측치 749.39.
실시예 129. 화합물 437의 합성
Figure pct00235
HATU(39.9g, 105m㏖)를 DMF(300㎖) 중의 4-(((벤질옥시)카보닐)아미노) 부탄산(26.1g, 110m㏖)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r.t.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을 DMF(300㎖) 중의 화합물 110(39.4g, 100m㏖) 및 TEA(20.2g, 200m㏖)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r.t.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물을 첨가하고, EtOAc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20%에서 70% EA/PE)에 의한 정제는 표제 생성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45g, 73% 수율). C33H48N3O8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614.34, 실측치 614.15.
실시예 130. 화합물 438의 합성
Figure pct00236
화합물 437(100g, 163m㏖)을 메탄올(500㎖)에 용해시키고, Pd/C 촉매(10 wt%, 10g)로 r.t.에서 밤새 수소화시켰다(1atm). 촉매를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화합물 438(75.8g, 97% 수율)을 갈색 발포성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11 (s, 1H), 6.83 (d, J = 10.3 Hz, 2H), 5.04 - 4.52 (m, 6H), 3.90 - 3.56 (m, 1H), 2.81 (d, J = 5.3 Hz, 2H), 2.63 (dd, J = 12.5, 6.1 Hz, 2H), 2.54-2.26 (dd, J = 14.0, 7.6 Hz, 4H), 1.94-1.64 (m, 3H), 1.44 - 1.36 (m, 18H), 1.08 (d, J = 6.9 Hz, 3H). C25H42N3O6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480.30, 실측치 480.59.
실시예 131. 화합물 439의 합성
Figure pct00237
0℃에서 DMF(500㎖) 중의 화합물 436(130g, 174m㏖, 1.1eq.)의 용액에 TEA(66㎖, 474m㏖, 3eq.) 및 HATU(72g, 190m㏖, 1.2eq.)를 순서대로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DMF(500㎖) 중의 화합물 438(75.8g, 158m㏖, 1.0 eq)의 용액을 0℃에서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4ℓ)에 붓고, 수성층을 EtOAc(3×500㎖)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하고, 염수(2ℓ)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조 생성물 439(190g)을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ESI: m/z: C60H100N5O20 [M+H]+에 대한 계산치: 1210.69, 실측치 1210.69.
실시예 132. 화합물 440의 합성
Figure pct00238
이전 반응으로부터의 조 생성물 439(190g)을 메탄올(900㎖)에 용해시키고 ,Pd/C 촉매(10 wt%, 19g)로 r.t.에서 밤새 수소화시켰다(1atm). 촉매를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조 화합물을 DCM/MeOH의 구배로 SiO2 칼럼으로 정제시켜 표제 생성물 440(105g, 2단계에 걸쳐서 62% 수율)을 갈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C52H95N5O18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1077.65, 실측치 1077.65.
실시예 133. 화합물 441의 합성
Figure pct00239
EtOH(5.3ℓ) 중의 화합물 440(105g, 97.1m㏖, 1.0eq.)의 용액에 화합물 125(54.4g, 194.2m㏖, 2.0 eq)를 r.t.에서 첨가하고, 이어서 0.1M NaH2PO4 용액(1.1ℓ)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EtOH를 진공 하에서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물(3ℓ)에 부었다. 수성 용액을 EtOAc로 추출하고(4×500㎖), 유기층을 합하고, 염수(2ℓ)로 세척하고, Na2SO4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조 생성물을 DCM/MeOH의 구배로 SiO2 칼럼으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441(100g, 83% 수율)을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9.43 (s, 1H), 7.35 (s, 1H), 7.23 (t, J = 5.1 Hz, 1H), 7.01 (d, J = 4.5 Hz, 2H), 6.89 (s, 2H), 6.70 (s, 2H), 4.56 - 4.45 (m, 1H), 4.30 (t, J = 9.7 Hz, 1H), 3.97 (s, 2H), 3.86-3.74 (m, 1H) , 3.66 - 3.63 (m, 36H), 3.58 - 3.52 (m, 5H), 3.38 (s, 3H), 3.33 - 3.19 (m, 3H), 2.47 (d, J = 6.2 Hz, 4H), 2.23 (dd, J = 11.6, 6.1 Hz, 2H), 1.91 (dtd, J = 26.8, 13.6, 6.5 Hz, 7H), 1.71 (d, J = 7.7 Hz, 2H), 1.56 - 1.49 (m, 2H), 1.42 (s, 9H), 1.39 (s, 9H), 1.10 (d, J = 6.5 Hz, 3H). C60H101N6O21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1241.69, 실측치 1241.69.
실시예 134. 화합물 442의 합성
Figure pct00240
DCM(2㎖) 중의 화합물 441(79.1㎎, 0.062m㏖)의 용액을 r.t.에서 2시간 동안 TFA(2㎖)로 처리하고, 이어서 농축시키고, 톨루엔과 공동 증발시켜 조 생성물 442를 제공하였고, 이것을 다음 단계에 직접 사용하였다.
실시예 135. 화합물 443의 합성
Figure pct00241
화합물 442(67㎎, 0.062m㏖) 및 화합물 41a(43㎎, 0.062m㏖)를 DMA(4㎖)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DIPEA(43㎕, 0.248m㏖)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r.t.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진공 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잔류물을 정제용 HPLC(C18 칼럼, 10-90% MeCN/H2O) 상에서 농축시켜 표제 생성물 443(59㎎, 60% 수율)을 수득하였다. C76H125N10O24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1594.92, 실측치 1594.24.
실시예 136. 화합물 457의 합성
Figure pct00242
NaH(60%, 0.64g, 16m㏖)를 THF(25㎖) 중의 2,5,8,11,14,17-헥사옥사노나데컨-19-올(2.37g, 8m㏖)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r.t.에서 15분 동안 교반한 후, tert-부틸 2-브로모아세테이트(3.90g, 20m㏖)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빙수에 붓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20%에서 50% PE/EtOAc)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1.47g, 45%). C19H39O9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411.25, 실측치 411.15.
실시예 137. 화합물 458의 합성
Figure pct00243
화합물 457(1.47g, 3.60m㏖)을 DCM(30㎖)에 용해시키고, 폼산(50㎖)을 로 처리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38℃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모든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서 제거하였고, 이것은 표제 화합물(1.20g, 94% 수율)을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C15H31O9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355.19, 실측치 355.18.
실시예 138. 화합물 459의 합성
Figure pct00244
화합물 458(1.10g, 3.20m㏖)을 DCM(20㎖)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에, (COCl)2(4㎖) 및 DMF(3방울)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r.t.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모든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고, 이것을 다음 단계에 직접 사용하였다.
실시예 139. 화합물 460의 합성
Figure pct00245
Z-L-Lys-OH(1.80g, 6.4m㏖), Na2CO3(1.00g, 9.6m㏖) 및 NaOH(0.26g, 6.4m㏖)를 물(30㎖)에 용해시키고, 0℃까지 냉각시키고, 이어서 THF(10㎖) 중의 화합물 459(1.20g, 3.2m㏖)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r.t.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HF를 진공 하에서 제거하고, 진한 HCl을 얼음 냉각 하에서 pH 3까지 첨가하였다. 용액을 DCM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갈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1.77g, 90%). C29H49N2O12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617.32, 실측치 617.31.
실시예 140. 화합물 461의 합성
Figure pct00246
NHS(644㎎, 5.60m㏖) 및 EDC(1.08g, 5.60m㏖)를 DCM(100㎖) 중의 화합물 460(2.30g, 3.70m㏖)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r.t.에서 밤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겔 칼럼 상에 로딩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0% 내지 10% MeOH/DCM)는 표제 화합물(2.10g, 80% 수율)을 갈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C33H52N3O14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714.34, 실측치 714.32.
실시예 141. 화합물 462의 합성
Figure pct00247
NaH2PO4(0.1M, 3㎖)를 EtOH(15㎖) 중의 화합물 461(357㎎, 0.50m㏖) 및 화합물 110(200㎎, 0.50m㏖)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r.t.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모든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5%에서 10% MeOH/DCM)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216㎎, 44% 수율)을 갈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C50H81N4O16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993.56, 실측치 993.57.
실시예 142. 화합물 463의 합성
Figure pct00248
화합물 462(108㎎, 0.109m㏖)를 MeOH(5㎖)에 용해시키고, 팔라듐 촉매(탄소 상의 10%, 50㎎)와 함께 수소 분위기(1atm) 하에서 r.t.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모든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서 제거하였고, 이것은 표제 화합물(94㎎, 이론 수율)을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C42H75N4O14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859.52, 실측치 859.93.
실시예 143. 화합물 464의 합성
Figure pct00249
NaH2PO4(0.1M, 2.0㎖)를 EtOH(10㎖) 중의 화합물 463(94㎎, 0.109m㏖) 및 화합물 125(61㎎, 0.218m㏖)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r.t.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모든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서 제거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5%에서 10% MeOH/DCM)는 표제 화합물을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40㎎, 36% 수율). C50H82N5O17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1024.56, 실측치 1024.98.
실시예 144. 화합물 465의 합성
Figure pct00250
화합물 464(20㎎, 0.0196m㏖)를 DCM(3㎖)에 용해시키고, TFA(3㎖)로 r.t.에서 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모든 휘발성 물질을 진공에서 제거하였고, 이것은 표제 화합물(17.0㎎, 이론 수율)을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C41H66N5O15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868.45, 실측치 868.47.
실시예 145. 화합물 466의 합성
Figure pct00251
화합물 465(17.0㎎, 0.0196m㏖) 및 화합물 41a(14㎎, 0.0196m㏖)를 DMA(3㎖)에 용해시켰다. 혼합물에, DIPEA(10㎕, 0.0588m㏖)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r.t.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용매를 진공 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정제용 HPLC(C18 칼럼, 10-90% MeCN/H2O)상에서 정제시켜 황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 466(15㎎, 64% 수율)을 수득하였다. C66H106N9O20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1376.72, 실측치 1376.72.
실시예 146. 화합물 487의 합성
Figure pct00252
화합물 110(0.30g, 0.76m㏖), 화합물 Z-L-Ala-OH(0.17g, 0.76m㏖) 및 HATU(0.29g, 0.76m㏖)를 DCM(20㎖)에 용해시켰고, 이것에 TEA(110㎕, 0.8m㏖)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SiO2 칼럼으로 정제시켜 표제 생성물 487(0.43g, 95% 수율)을 제공하였다. C32H46N3O8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600.32, 실측치 600.32.
실시예 147. 화합물 488의 합성
Figure pct00253
수소화 병 내에서, Pd/C(0.10g, 33 wt%, 50% 습식)를 MeOH(10㎖) 중의 화합물 487(0.3g, 0.5m㏖)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atm H2 하에서 밤새 진탕하고, 이어서 셀라이트(여과 보조제)로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농축시키고, EtOH(20㎖) 중의 화합물 461(357㎎, 0.5m㏖)과 혼합하였다. NaH2PO4(0.1M, 4㎖)를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r.t.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모든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서 제거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5% 내지 10% MeOH/DCM)로 잔류물을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을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176㎎, 33%). C53H86N5O17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1064.59, 실측치 1064.60.
실시예 148. 화합물 489의 합성
Figure pct00254
화합물 488(176㎎, 0.166m㏖)을 MeOH(15㎖)에 용해시키고, 팔라듐 촉매(10 %, 80㎎)로 r.t.에서 3시간 동안 수소화시켰다(1atm). 촉매를 여과시키고, 모든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서 제거하였고, 이것은 표제 화합물(154㎎, 이론 수율)을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C45H80N5O15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930.56, 실측치 930.56.
실시예 149. 화합물 490의 합성
Figure pct00255
NaH2PO4(0.1M, 4㎖)를 EtOH(20㎖) 중의 화합물 489 (154㎎, 0.166m㏖) 및 화합물 125(93㎎, 0.332m㏖)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r.t.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모든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서 제거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5% 내지 10% MeOH: DCM)는 표제 화합물(117㎎, 64%)을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C53H87N6O18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1095.60, 실측치 1095.61.
실시예 150. 화합물 491의 합성
Figure pct00256
화합물 490(39㎎, 0.0356m㏖)을 DCM(3㎖)에 용해시키고, TFA(3㎖)로 r.t.에서 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모든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서 제거하였고, 이것은 표제 화합물(33㎎, 이론 수율)을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C44H71N6O16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939.48, 실측치 939.49.
실시예 151. 화합물 492의 합성
Figure pct00257
화합물 491(33㎎, 0.0356m㏖) 및 화합물 41a(25㎎, 0.0356m㏖)를 DMA(3㎖)에 용해시키고, 이것에 DIPEA(15㎎, 0.116m㏖)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r.t.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정제용 HPLC(C18 칼럼, 10-90% MeCN/H2O) 상에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492(17㎎, 33%)를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C69H111N10O21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1447.76, 실측치 1448.78.
실시예 152. 화합물 495의 합성
Figure pct00258
2-(다이메틸아미노)아세트산(0.60g, 4.30m㏖) 및 HATU(1.08g, 2.86m㏖)를 DMF(2㎖)에 용해시켰고, 이것에 TEA(1㎖, 7.16m㏖)를 첨가하였다. r.t.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DMF(2㎖) 중의 Z-L-Lys-OH(0.80g, 2.86m㏖)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MeCN/H2O의 구배로 정제용-HPLC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495(0.50g, 50%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C18H28N3O5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366.20, 실측치 366.20.
실시예 153. 화합물 496의 합성
Figure pct00259
DCM(15㎖) 중의 카복실산 495(0.50g, 1.37m㏖)의 용액에 펜타플루오로페놀(0.38g, 2.05m㏖) 및 EDCI(0.52g, 2.74m㏖)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여과 케이크를 DCM으로 세척하면서 셀라이트 상에서 여과시켰다. 여과액을 농축시키고, 생성된 PFP-에스터를 10㎖ DCM에 용해시켰다. 화합물 438(0.44g, 0.91m㏖) 및 i-Pr2EtN(0.32㎖, 1.82m㏖)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MeOH/DCM의 구배를 사용하여 SiO2 칼럼으로 정제시켜 생성물 496(1.02g, 이론 수율)을 제공하였다. C43H67N6O10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827.48, 실측치 827.48.
실시예 154. 화합물 497의 합성
Figure pct00260
화합물 496(1.02g, 1.23m㏖)을 MeOH(10㎖)에 용해시키고, 수소 분위기(1atm) 하에서 팔라듐 촉매(탄소 상의 10%, 100㎎)와 함께 r.t.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촉매를 여과시키고, 모든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서 제거하였고, 이것은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0.76g, 89% 수율). C35H61N6O8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693.45, 실측치 693.45.
실시예 155. 화합물 498의 합성
Figure pct00261
NaH2PO4(0.1M, 1㎖)를 EtOH(5㎖) 중의 화합물 497(0.25g, 0.36m㏖, 1 eq) 및 화합물 125(0.15g, 0.54m㏖, 1.5 eq)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r.t.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모든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서 제거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5%에서 10% MeOH/DCM)는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0.15g, 48% 수율). C43H68N7O11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858.49, 실측치 858.49.
실시예 156. 화합물 499의 합성
Figure pct00262
화합물 498(0.15g, 0.175m㏖)을 DCM(1㎖)에 용해시키고, TFA(2㎖)로 r.t.에서 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모든 휘발성 물질을 진공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DMA(2㎖)에 용해시키고, 이것에 펜타플루오로페닐 에스터 41a(121.1㎎, 0.175m㏖)를 첨가하고, 그 다음 DIPEA(91㎕, 0.525m㏖)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밤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MeCN/H2O의 구배로 정제용-HPLC로 정제시켜 표제 생성물 499(30.7㎎, 14%)를 제공하였다. C59H92N11O14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1210.65, 실측치 1210.62.
실시예 157. 화합물 501의 합성
Figure pct00263
EtOH(20㎖) 중의 H-Lys-OH(0.31g, 2.14m㏖, 1eq)의 용액에 화합물 125(1.80g, 6.42m㏖, 3 eq)를 r.t.에서 첨가하고, 이어서 0.5 M Na2HPO4(4㎖)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서 증발시킨 후, 잔류물을 H2O/MeCN의 구배로 정제용-HPLC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501(0.26g, 26%)을 제공하였다. C22H29N4O8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477.19, 실측치 477.19.
실시예 158. 화합물 502의 합성
Figure pct00264
DCM(10㎖) 중의 카복실산 501(0.26g, 0.55m㏖)의 용액에 NHS(0.095g, 0.825m㏖) 및 EDCI(0.16g, 0.825m㏖)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키고, H2O(50㎖)로 희석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2×20㎖). 합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농축시켜 조 생성물 502(0.34g)을 제공하였고, 이것을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C26H32N5O10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574.21, 실측치 574.21.
실시예 159. 화합물 503의 합성
Figure pct00265
EtOH(30㎖) 중의 화합물 438(0.19g, 0.4m㏖, 1.0eq.)의 용액에 화합물 502(0.34g, 0.6m㏖, 1.5eq.) 및 0.1 M NaH2PO4(6㎖)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H2O(100㎖)로 희석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2×40㎖). 합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이어서 DCM/MeOH의 구배로 SiO2 칼럼으로 정제시켜 표제 생성물 503(0.115g, 31%)을 제공하였다. C47H68N7O13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938.48, 실측치 938.49.
실시예 160. 화합물 504의 합성
Figure pct00266
1㎖의 DCM 중의 화합물 503(0.115g, 0.12m㏖)의 용액에 2㎖의 TFA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키고, H2O/MeCN의 구배로 정제용-HPLC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504(0.0312g, 33%)를 제공하였다. C22H29N4O8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477.19, 실측치 477.19.
실시예 161. 화합물 505의 합성
Figure pct00267
DMA(2㎖) 중의 화합물 504(31.2㎎, 0.04m㏖)의 용액에 펜타플루오로페닐 에스터 41a(27㎎, 0.04m㏖), 그 다음 DIPEA(16㎕, 0.08m㏖)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밤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MeCN/H2O의 구배로 정제용-HPLC로 정제시켜 표제 생성물 505(11.9㎎, 24%)를 제공하였다. ESI: m/z: C63H92N11O16S [M+H]+에 대한 계산치: 1290.64, 실측치 1290.64.
실시예 162. 화합물 508의 합성
Figure pct00268
10㎖ DCM 중의 화합물 300(5.00g, 12.1m㏖)의 용액에 5㎖의 TFA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DCM(50㎖)에 용해시키고, 이것에 NHS(4.25g, 37m㏖) 및 EDCI(7.10g, 37m㏖)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키고, DCM/MeOH의 구배로 SiO2 칼럼으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508(5.00g, 91%)을 제공하였다. C25H31N2O6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455.21, 실측치 455.21.
실시예 163. 화합물 509의 합성
Figure pct00269
EtOH(10㎖) 중의 화합물 110(1.00g, 2.5m㏖, 1.0eq.)의 용액에 화합물 508(1.80g, 3.9m㏖, 1.5eq.) 및 0.1M NaH2PO4(2㎖)를 r.t.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H2O(100㎖)로 희석시키고, 이어서 EtOAc로 추출하였다(3×50㎖). 합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키고, DCM/MeOH의 구배로 SiO2 칼럼으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509(0.93g, 50%)를 제공하였다. C42H60N3O8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734.43, 실측치 734.43.
실시예 164. 화합물 510의 합성
Figure pct00270
수소화 병 내에서, Pd/C(0.093g, 10 wt%)를 EtOAc(20㎖) 중의 화합물 509(0.93g, 1.27m㏖)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atm H2 하에서 밤새 진탕하고, 이어서 셀라이트(여과 보조제)로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농축시켜 화합물 510(0.57g, 81%)을 수득하였고, 추가로 정제시키지 않고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C28H48N3O8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554.34, 실측치 554.34.
실시예 165. 화합물 511의 합성
Figure pct00271
EtOH(5㎖) 중의 화합물 510(0.25g, 0.45m㏖, 1.0eq.)의 용액에 화합물 502(0.39g, 0.68m㏖, 1.5eq.)를 r.t.에서 첨가하고, 이어서 0.1M NaH2PO4(1㎖)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H2O(100㎖)로 희석시키고, 이어서 EtOAc로 추출하였다(2×50㎖). 합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키고, DCM/MeOH의 구배로 SiO2 칼럼으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511(0.076g, 17%)을 제공하였다. C50H74N7O15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1012.52, 실측치 1012.53.
실시예 166. 화합물 512의 합성
Figure pct00272
2㎖ DCM 중의 화합물 511(0.076g, 75m㏖)의 용액에 4㎖의 TFA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조 생성물 512을 추가로 정제시키지 않고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C41H58N7O13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856.40, 실측치 856.40.
실시예 167. 화합물 513의 합성
Figure pct00273
DMA(2㎖) 중의 상기 화합물 512의 용액에 화합물 41a(33㎎, 0.048m㏖) 및 DIPEA(25㎕, 0.144m㏖)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r.t.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키고, MeCN/H2O의 구배로 정제용-HPLC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513(21.3㎎, 32%)을 제공하였다. C66H98N11O18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1364.67, 실측치 1364.67.
실시예 168. 화합물 515의 합성
Figure pct00274
1㎖ DCM 중의 화합물 437(1.00g, 1.63m㏖)의 용액에 2㎖ TFA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조 생성물 515를 추가로 정제시키지 않고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C24H32N3O6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458.22, 실측치 458.22.
실시예 169. 화합물 516의 합성
Figure pct00275
DMF(3㎖) 중의 화합물 515의 용액에 펜타플루오로페닐 에스터 41a(0.63g, 0.91m㏖) 및 DIPEA(0.46㎖, 2.73m㏖)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키고, DCM/MeOH의 구배로 SiO2 칼럼으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516(1.75g, 이론 수율)을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C49H72N7O11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966.49, 실측치 966.49.
실시예 170. 화합물 517의 합성
Figure pct00276
수소화 병 내에서, Pd/C(0.02g, 10 wt%)를 MeOH(15㎖) 중의 화합물 516(0.20g, 0.20m㏖)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1N HCl을 첨가하여 pH를 대략 4로 조정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1atm H2 하에서 진탕하고, 이어서 셀라이트(여과 보조제)로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농축시켜 화합물 517 수득하였고, 이것을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C41H66N7O9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832.46, 실측치 832.46.
실시예 171. 화합물 519의 합성
Figure pct00277
0℃에서 포화 NaHCO3(20㎖) 중의 H-Dap(Boc)-OH(1.00g, 4.9m㏖)의 용액에 화합물 409(2.30g, 14.7m㏖)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r.t.까지 가온시키고, 추가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1N KHSO4를 첨가하여 pH를 약 6으로 조정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였다(2×50㎖). 합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켜 화합물 519(0.42g, 30% 수율)를 제공하였다. C12H15N2O6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283.10, 실측치 283.10.
실시예 172. 화합물 520의 합성
Figure pct00278
EtOAc(10㎖)중의 카복실산 519(0.21g, 0.74m㏖)의 용액에 펜타플루오로페놀(0.27g, 1.48m㏖) 및 DCC(0.30g, 1.48m㏖)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EtOAc로 여과 케이크를 세척하면서 여과시켰다. 여과액을 농축시켜 PFP-에스터(0.17g, 0.37m㏖)를 제공하였고, 이것을 1㎖ DMF에 용해시켰다. 화합물 517(0.36g, 0.43m㏖) 및 DIPEA(0.13㎖, 0.74m㏖)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농축시키고, MeCN/H2O의 구배로 정제용-HPLC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520(50㎎, 13%)을 제공하였다. C53H80N9O14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1098.55, 실측치 1098.55.
실시예 173. 화합물 521의 합성
Figure pct00279
0.5㎖ DCM 중의 화합물 520(50㎎, 0.046m㏖)의 용액에 1㎖ TFA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키고, MeCN/H2O의 구배로 정제용-HPLC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521(11㎎, 25%)을 제공하였다. C48H72N9O12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998.49, 실측치 998.49.
실시예 174. 화합물 523의 합성
Figure pct00280
2㎖ DCM 중의 화합물 509(1.00g, 1.36m㏖)의 용액에 4㎖ TFA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켜 화합물 523을 제공하였고, 이것을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C33H44N3O6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578.32, 실측치 578.32.
실시예 175. 화합물 524의 합성
Figure pct00281
DMF(5㎖) 중의 화합물 523의 용액에 펜타플루오로페닐 에스터 41a(0.78g, 1.13m㏖) 및 DIPEA(0.8㎖, 4.52m㏖)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키고, DCM/MeOH의 구배로 SiO2 칼럼으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524(1.64g, 이론 수율)를 제공하였다. C58H84N7O11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1086.59, 실측치 1086.58.
실시예 176. 화합물 525의 합성
Figure pct00282
수소화 병 내에서, Pd/C(0.08g, 10 wt%, 65.9% 습식)를 MeOH(10㎖) 중의 화합물 524(0.80g, 0.20m㏖)의 용액에 첨가하고, 1N HCl을 첨가하여 pH를 약 4로 조정하였다. 혼합물을 1atm H2 하에서 밤새 진탕하고, 이어서 셀라이트(필터 보조제)로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농축시켜 화합물 525를 수득하였고, 이것은 일부 미반응 출발 물질을 함유하였고, 추가로 정제시키지 않고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ESI: m/z: C41H66N7O9S [M+H]+에 대한 계산치: 832.46, 실측치 832.46.
실시예 177. 화합물 527의 합성
Figure pct00283
r.t.에서 EtOH(16㎖) 중의 H-Lys(Boc)-OH(1.00g, 3.8m㏖, 1.0eq.)의 용액에 화합물 125(1.00g, 5.6m㏖, 1.5eq.)를 첨가하였다. 0.1M NaH2PO4(3㎖)를 첨가한 후,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DCM/MeOH의 구배로 SiO2 칼럼으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527(1.62g, 이론 수율)을 제공하였다. C19H30N3O7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412.20, 실측치 412.20.
실시예 178. 화합물 528의 합성
Figure pct00284
EtOAc(10㎖) 중의 카복실산 527(0.24g, 0.58m㏖)의 용액에 펜타플루오로페놀(0.21g, 1.17m㏖) 및 DCC(0.24g, 1.17m㏖)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EtOAc로 여과 케이크를 세척하면서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농축시켰다. 생성된 PFP-에스터(32㎎, 0.056m㏖)를 1㎖ DMF에 용해시키고, 이것에 화합물 525(50㎎, 0.056m㏖) 및 i-Pr2EtN(29㎕, 0.168m㏖)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MeCN/H2O의 구배로 HPLC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528(3㎎, 4% 수율)을 제공하였다. C63H99N10O17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1299.68, 실측치 1299.68.
실시예 179. 화합물 529의 합성
Figure pct00285
0.5㎖ DCM 중의 화합물 528(3㎎, 0.002m㏖)의 용액에 1㎖ TFA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MeCN/H2O의 구배로 HPLC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529(1.43㎎, 52% 수율)를 제공하였다. C58H91N10O15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1199.63, 실측치 1199.62.
실시예 180. 화합물 532의 합성
Figure pct00286
화합물 527의 펜타플루오로페닐 에스터(0.11g, 0.19m㏖)를 1㎖ DMF에 용해시키고, 이것에 화합물 517(0.21g, 0.25m㏖) 및 i-Pr2EtN(86㎕, 0.5m㏖)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MeCN/H2O의 구배로 정제용-HPLC로 정제시켜 표제 생성물 532(20㎎, 9%)를 제공하였다. C60H93N10O15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1225.65, 실측치 1225.66.
실시예 181. 화합물 533의 합성
Figure pct00287
1㎖ DCM 중의 화합물 532(20㎎, 0.016m㏖)의 용액에 2㎖ TFA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키고, 조 생성물을 MeCN/H2O의 구배로 정제용-HPLC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533(8.9㎎, 18% 수율)을 제공하였다. C55H85N10O13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1125.59, 실측치 1125.59.
실시예 182. 화합물 536의 합성
Figure pct00288
r.t.에서 EtOH(30㎖) 중의 H-Dap(Boc)-OH(1.00g, 4.9m㏖, 1.0eq.)의 용액에 화합물 125(2.00g, 7.3m㏖, 1.5eq.)를 첨가하고, 이어서 0.1M NaH2PO4(6㎖)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DCM/MeOH의 구배로 SiO2 칼럼으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536(1.41g, 78%)을 제공하였다. C16H24N3O7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370.15, 실측치 370.15.
실시예 183. 화합물 537의 합성
Figure pct00289
2㎖ DCM 중의 화합물 536(1.41g, 3.8m㏖)의 용액에 5㎖ TFA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 537을 추가로 정제시키지 않고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C11H16N3O5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270.10, 실측치 270.10.
실시예 184. 화합물 538의 합성
Figure pct00290
EtOH(20㎖) 중의 상기 화합물 537의 용액에 화합물 125(1.90g, 6.9m㏖, 1.5eq.)를 r.t.에서 첨가하고, 이어서 0.1M NaH2PO4(4㎖)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서 제거하고, 이어서 잔류물을 H2O/MeCN의 구배로 HPLC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538(0.45g, 22% 수율)을 제공하였다. C19H23N4O8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435.14, 실측치 435.14.
실시예 185. 화합물 539의 합성
Figure pct00291
DMF(2㎖) 중의 화합물 538(0.15g, 0.34m㏖), 화합물 438(0.17g, 0.34m㏖) 및 HATU(0.16g, 0.41m㏖)의 용액에, TEA(95㎕, 0.68m㏖)를 첨가하였다. r.t.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MeCN/H2O의 구배로 정제용-HPLC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539(34㎎, 11% 수율)를 제공하였다. C44H62N7O13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896.43, 실측치 896.42.
실시예 186. 화합물 540의 합성
Figure pct00292
0.5㎖ DCM 중의 화합물 539(34㎎, 0.04m㏖)의 용액에 1㎖ TFA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540을 수득하였고, 이것을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C35H46N7O11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740.30, 실측치 740.32.
실시예 187. 화합물 541의 합성
Figure pct00293
DMA(2㎖) 중의 화합물 540의 용액에 펜타플루오로페닐 에스터 41a(28㎎, 0.04m㏖), 그 다음 DIPEA(21㎕, 0.12m㏖)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키고, MeCN/H2O의 구배로 정제용-HPLC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541(14.4㎎, 29%)을 제공하였다. C60H86N11O16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1248.59, 실측치 1248.60.
실시예 188. 화합물 544의 합성
Figure pct00294
무수 DCM(30㎖) 중의 화합물 132(0.300g, 0.329m㏖, 1.0eq.) 및 tert-부틸 (2-아미노에틸)카바메이트 염산염(0.063g, 0.395m㏖, 1.2eq.)의 용액에 0℃에서 EDCI(0.189g, 0.988m㏖, 3.0eq.)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교반한 후, 반응물을 실온까지 가온시키고,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DCM으로 희석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DCM /MeOH)로 정제시켜 화합물 544를 황색 발포성 고체(0.132g, 54% 수율)로서 제공하였다. C52H80N9O12S[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1054.6, 실측치:1054.6.
실시예 189. 화합물 545의 합성
Figure pct00295
r.t.에서 DCM(4.5㎖) 중의 화합물 544(0.132g, 0.125m㏖, 1.0eq.)의 용액에 TFA(1.5㎖)를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무수 톨루엔으로 희석시키고, 농축시키고, 이 작업을 3회 동안 반복하여 황색 오일을 제공하였고, 이것을 정제용-HPLC(C18 칼럼, 이동상 A: 물, 이동상 B: 아세토나이트릴, 60분 동안 10%의 B에서 80%의 B로)상에서 정제시켰다. 분획을 풀링(pooled)시키고, 동결건조시켜 화합물 545(111㎎, 93% 수율)를 제공하였다. C47H72N9O10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954.5, 실측치: 954.5.
실시예 190. 화합물 548의 합성
Figure pct00296
0℃에서 무수 DCM(10㎖) 중의 화합물 132(0.050g, 0.0549m㏖,1.0eq.) 및 tert-부틸 (2-(2-(2-(2-아미노에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카바메이트(0.024g, 0.0824m㏖, 1.5eq.)의 용액에 EDCI(0.032g, 0.1647m㏖, 3.0eq.)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교반한 후, 반응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DCM으로 희석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을 황색 발포성 고체로서 제공하였다(0.030g, 46% 수율). C58H92N9O15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1186.6, 실측치:1186.6.
실시예 191. 화합물 549의 합성
Figure pct00297
r.t.에서 DCM(3.0㎖) 중의 화합물 548(0.030g, 0.0253m㏖, 1.0eq.)의 용액에 TFA(1.0㎖)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무수 톨루엔으로 희석시키고, 농축시키고, 이 작업을 3회 반복하여 황색 오일을 제공하였고, 이것을 정제용-HPLC(C18 칼럼, 이동상 A: 물, 이동상 B: 아세토나이트릴, 60분 동안 10%의 B에서 80%의 B) 상에서 정제시켰다. 분획을 풀링시키고, 동결건조시켜 화합물 549(11.7㎎, 43% 수율)를 제공하였다. C53H84N9O13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1086.6, 실측치:1086.6.
실시예 192. 화합물 552의 합성
Figure pct00298
0℃에서 무수 DCM(350㎖) 중의 N-(2-아미노에틸)에탄-1,2-다이아민(28.7g, 275m㏖, 10.0eq.) 및 DMAP(0.034g, 0.000275m㏖, 0.01eq.)의 용액에 무수 DCM(100㎖) 중의 Boc2O(6.0g, 0.0275m㏖, 1.0eq.)를 3시간에 걸쳐서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밤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을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4.5g, 80% 수율). C9H22N3O2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204.2, 실측치:204.2.
실시예 193. 화합물 553의 합성
Figure pct00299
0℃에서 무수 DCM(6㎖) 중의 화합물 132(0.060g, 0.0658m㏖, 1.0eq.) 및 tert-부틸 (2-((2-아미노에틸)아미노)에틸)카바메이트(0.016g, 0.0790m㏖, 1.2eq.)의 용액에 EDCI(0.038g, 0.1974m㏖, 3.0eq.)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교반한 후, 반응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정제용-HPLC(C18 칼럼, 이동상 A: 물, 이동상 B: 아세토나이트릴, 60분 동안 10%의 B에서 80%의 B) 상에서 정제시켰다. 분획을 풀링시키고, 동결건조시켜 표제 화합물553(48㎎, 66% 수율)을 제공하였다. C54H85N10O12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1097.6, 실측치:1097.6.
실시예 194. 화합물 554의 합성
Figure pct00300
r.t.에서 DCM(3.0㎖) 중의 화합물 553(0.048g, 0.0437m㏖, 1.0eq.)의 용액에 TFA(1.0㎖)를 첨가하였다.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물을 무수 톨루엔으로 희석시키고, 농축시키고, 이 작업을 3회 반복하여 황색 오일을 제공하였고, 이것을 정제용-HPLC(C18 칼럼, 이동상 A: 물, 이동상 B: 아세토나이트릴, 60분 동안 10%의 B에서 80%의 B)상에서 정제시켰다. 분획을 풀링시키고, 동결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554(111㎎, 93% 수율)을 제공하였다. C49H77N10O10S[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997.5, 실측치: 997.5.
실시예 195. 화합물 558의 합성
Figure pct00301
0℃에서 무수 DCM(40㎖) 중의 화합물 132(0.400g, 0.439m㏖, 1.0eq.) 및 H-Lys(Boc)-O t Bu·HCl(0.135g, 0.528m㏖, 1.2eq.)의 용액에 EDCI(0.189g, 1.317m㏖, 3.0eq.)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교반한 후, 반응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DCM으로 희석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로 정제시켜 화합물 558을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0.43g, 82% 수율). C60H94N9O14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1196.7, 실측치:1196.7.
실시예 196. 화합물 559의 합성
Figure pct00302
r.t.에서 DCM(6.0㎖) 중의 화합물 558(0.230g, 0.192m㏖, 1.0eq.)의 용액에 TFA(2.0㎖)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3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톨루엔으로 희석시키고, 농축시키고, 이 작업을 3회 반복하여 황색 오일을 제공하였고, 이것을 정제용-HPLC(C18칼럼, 이동상 A: 물, 이동상 B: 아세토나이트릴, 60분 동안 10%의 B에서 80%의 B) 상에서 정제시켰다. 분획을 풀링시키고, 동결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153㎎, 76% 수율). ESI m/z 에 대한 계산치C51H78N9O12S [M+H]+: 1040.5, 실측치:1040.5.
실시예 197. 화합물 562의 합성
Figure pct00303
0℃에서 무수 DCM(10㎖) 중의 화합물 558(0.200g, 0.167m㏖,1.0eq.) 및 Boc-L-Lys(Boc)-OH(0.070g, 0.200m㏖, 1.2eq.)의 용액에 HATU(0.095g, 0.250m㏖, 1.5eq.) 및 TEA(46㎕, 0.334m㏖, 2.0eq.)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0분 동안 0℃에서 교반하고, 1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r.t.까지 가온시키고,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DCM으로 희석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로 정제시켜 화합물 562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0.270g, 이론 수율). C76H122N11O19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1524.9, 실측치:1524.9.
실시예 198. 화합물 563의 합성
Figure pct00304
r.t.에서 DCM(6.0㎖) 중의 화합물 562(0.270g, 0.177m㏖, 1.0eq.)의 용액에 TFA(2.0㎖)를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무수 톨루엔으로 희석시키고, 농축시키고, 이 작업을 3회 반복하여 황색 오일을 제공하였고, 이것을 정제용-HPLC(C18 칼럼, 이동상 A: 물, 이동상 B: 아세토나이트릴, 60분 동안 10%의 B에서 80%의 B) 상에서 정제시켰다. 분획을 풀링시키고, 동결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172㎎, 83% 수율). C57H90N11O13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1168.6, 실측치:1168.6.
실시예 199. 화합물 566의 합성
Figure pct00305
0℃에서 무수 DCM(500㎖) 중의 에탄-1,2-다이아민(30.0g, 0.5㏖, 10.0eq.)의 용액에 7시간에 걸쳐서 무수 DCM(250㎖) 중의 CbzCl(8.53g, 0.050㏖, 1.0eq.)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벤질 (2-아미노에틸)카바메이트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7.0g, 94% 수율). C10H14N2O2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195.1, 실측치:195.2.
실시예 200. 화합물 567의 합성
Figure pct00306
0℃에서 MeOH(120㎖) 중의 화합물 566(7.0g, 35.8m㏖, 1.0eq.) 및 37% HCHO(aq)(14㎖, 0.1772m㏖, 5.0eq.)의 용액에 NaBH3CN(3.9g, 0.0620㏖, 1.6eq.)을 첨가하고, 이어서 HOAc(3㎖)를 첨가하여 pH 약 7.0으로 조정하였다. 혼합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DCM(200㎖)에 용해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을 밝은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6.4g, 80% 수율). ESI m/: C12H18N2O2 [M+H]+에 대한 계산치: 224.1, 실측치:224.1.
실시예 201. 화합물 568의 합성
Figure pct00307
화합물 567(3.0g, 13.4m㏖, 1.0eq.) 및 Pd/C(0.3g, 10% Pd/C, 50% 습식)를 수소화 병 내에서 HCl(3㎖) 및 MeOH(100㎖)와 혼합하고, 100psi H2 분위기에서 5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셀라이트 상에서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2.1g, 98% 수율). 1H NMR (400 MHz, D2O) δ 3.33 (d, J = 4.6 Hz, 2H), 3.27 (s, 2H), 2.79 (s, 6H).
실시예 202. 화합물 569의 합성
Figure pct00308
0℃에서 무수 DMF(10㎖) 중의 화합물 103(0.58g, 1.58m㏖, 1.0eq.) 및 화합물 568(0.051g, 3.15m㏖, 2.0eq.)의 용액에 HATU(0.090g, 2.37m㏖, 1.5eq.) 및 TEA(0.656㎖, 4.74m㏖, 3.0eq.)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교반한 후, 반응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90분 동안 교반하고. 혼합물을 H2O로 희석시키고, EA(3×10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황색 발포성 고체로서 제공하였다(0.67g, 97% 수율). C21H35N4O6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439.2, 실측치:439.2.
실시예 203. 화합물 570의 합성
Figure pct00309
Pd/C(0.2g, 10% Pd/C, 50% 습식)를 EA(10㎖) 중의 화합물 569(0.60g, 13.7m㏖, 1.0eq.)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0psi H2 분위기에서 4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셀라이트 상에서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녹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5.50g, 98% 수율). C21H37N4O64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409.3, 실측치:409.3.
실시예 204. 화합물 571의 합성
Figure pct00310
95% EtOH(10㎖) 및 0.1M NaH2PO4(2㎖) 중의 화합물 570(0.50g, 1.22m㏖, 1.0eq.)의 용액에 화합물 125(0.683g, 2.44m㏖, 2.0eq.)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키고,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을 밝은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0.624g, 89% 수율). C29H44N5O7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574.3, 실측치:574.3.
실시예 205. 화합물 572의 합성
Figure pct00311
r.t.에서 DCM(6.0㎖) 중의 화합물 571(0.20g, 0.349m㏖, 1.0eq)의 용액에 TFA(2.0㎖)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무수 톨루엔으로 희석시키고, 농축시키고, 이 작업을 3회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165㎎, 이론 수율). C24H36N5O5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474.3, 실측치:474.3.
실시예 206. 화합물 573의 합성
Figure pct00312
0℃에서 무수 DMF(2㎖) 중의 화합물 572(0.165g, 0.349m㏖,1.0eq.)의 용액에 무수 DMF(3㎖) 중의 화합물 41a(0.290g, 1.047m㏖, 1.2eq.)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1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r.t.까지 가온시키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정제용-HPLC(C18 칼럼, 이동상 A: 물, 이동상 B: 아세토나이트릴, 60분 동안 10%의 B에서 80%의 B) 상에서 정제시켰다. 분획을 풀링시키고, 동결건조시켜 표제 화합물(58㎎, 17% 수율)을 밝은 황색 발포성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C49H76N9O10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982.5, 실측치: 982.5.
실시예 207. 화합물 576의 합성
Figure pct00313
THF(30㎖) 중의 2-브로모-2-메틸프로판산(3.00g, 17.9m㏖)의 용액에 트라이메틸아민(THF 중의 1M 용액, 17.9㎖, 35.9m㏖)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r.t.에서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여과로 수집하고, EA로 세척하여 화합물 576(4.00g, 이론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C7H16NO2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146, 실측치 146.
실시예 208. 화합물 577의 합성
Figure pct00314
DCM(20㎖) 중의 화합물 576(1.55g, 6.9m㏖) 및 PFP(2.50g, 13.8m㏖)의 용액에 DCC(2.80g, 13.8m㏖)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화합물 577을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고, 이것을 다음 단계에 직접 사용하였다. ESI m/: C13H15F5NO2 [M+H]+에 대한 계산치: 312, 실측치 312.
실시예 209. 화합물 578의 합성
Figure pct00315
0℃에서 DMF(20㎖) 중의 화합물 17(1.78g, 3.4m㏖) 및 화합물 577(6.9m㏖)의 용액에 DIPEA(1.8㎖, 10.4m㏖)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 칼럼(100:1에서 5:1 DCM/MeOH)에 의해서 정제시켜 화합물 578 (1.20g, 54% 수율)을 발포성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C32H61N4O5SSi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642, 실측치 642.
실시예 210. 화합물 579의 합성
Figure pct00316
화합물 578(1.20g, 1.86m㏖)을 AcOH/THF/H2O(v/v/v 3:1:1, 20㎖)에 용해시키고,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를 위해서 사용하였다. C26H47N4O5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527, 실측치 527.
실시예 211. 화합물 580의 합성
Figure pct00317
1,4-다이옥산(10㎖) 중의 화합물 579(1.86m㏖)의 용액에 1N NaOH(9.3㎖)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물(10㎖)로 희석시키고, 1N HCl을 첨가하여 pH 약 4로 조정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화합물 580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C24H43N4O5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499, 실측치 499.
실시예 212. 화합물 581의 합성
Figure pct00318
0℃에서 피리딘(10㎖) 중의 화합물 580(1.86m㏖)의 용액에 아세트산 무수물(884㎕, 9.36m㏖)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이어서 H2O(20㎖)로 희석시키고, EA(3×10㎖)로 세척하였다. 수성층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화합물 581을 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C26H45N4O6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541, 실측치 541.
실시예 213. 화합물 582의 합성
Figure pct00319
DCM(2㎖) 중의 화합물 581(150㎎, 0.277m㏖) 및 펜타플루오로페놀(76.5㎎, 0.415m㏖)의 용액에 EDCI(63.7㎎, 0.33m㏖)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교반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화합물 582를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C32H44F5N4O6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707, 실측치 707.
실시예 214. 화합물 583의 합성
Figure pct00320
0℃에서 DMF(2㎖) 중의 화합물 127(50㎎, 0.07m㏖) 및 화합물 582(0.14m㏖)의 용액에 DIPEA(49㎕, 0.28m㏖)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정제용-HPLC(10-90% MeCN/H2O)로 정제시켜 화합물 583(30㎎, 46%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C46H68N7O11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926, 실측치 926.
실시예 215. 화합물 586의 합성
Figure pct00321
티오닐 클로라이드(10㎖) 중의 베타인(870㎎, 7.4m㏖)의 현탁액을 70℃까지 가열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톨루엔(3×10㎖)과 공동 증발시키고 화합물 586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이것을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16. 화합물 587의 합성
Figure pct00322
DCM(20㎖) 중의 화합물 17(1.90g, 3.71m㏖)의 현탁액에 DIPEA(2.58㎖, 14.8m㏖)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용액을 0℃까지 냉각시키고, DCM(20㎖) 중의 상기 화합물 586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 칼럼(100:1에서 5:1 DCM/MeOH)으로 정제시켜 화합물 587(2.3g, 이론 수율)을 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C30H57N4O5SSi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613, 실측치 613.
실시예 217. 화합물 588의 합성
Figure pct00323
화합물 587(2.3g, 3.7m㏖)을 AcOH/THF/H2O(v/v/v 3:1:1, 40㎖)에 용해시키고,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농축시켜 화합물 588을 제공하였고, 이것을 임의로 정제시키지 않고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C24H43N4O5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499, 실측치 499.
실시예 218. 화합물 589의 합성
Figure pct00324
1,4-다이옥산(20㎖) 중의 화합물 588(3.7m㏖)의 용액에 1N NaOH(18.5㎖)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10㎖ 물로 희석시키고, 1N HCl로 pH 약 4까지 산성화시키고, 이어서 농축시켜 화합물 589(1.00g, 57%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C22H39N4O5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471, 실측치 471.
실시예 219. 화합물 590의 합성
Figure pct00325
0℃에서 피리딘(10㎖) 중의 화합물 589(1.00g, 2.12m㏖)의 용액에 아세트산 무수물(1㎖, 10.6m㏖)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이어서 물(20㎖)로 희석시키고, EA(3×10㎖)로 세척하였다. 수성상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화합물 590을 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C24H41N4O6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513, 실측치 513.
실시예 220. 화합물 591의 합성
Figure pct00326
DCM(2㎖) 중의 화합물 590(70㎎, 0.136m㏖) 및 펜타플루오로페놀(30㎎, 0.163m㏖)의 용액에 DCC(33.7㎎, 0.163m㏖)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교반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화합물 591을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C30H40F5N4O6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679, 실측치 679.
실시예 221. 화합물 592의 합성
Figure pct00327
0℃에서 DMF(2㎖) 중의 화합물 591(0.136m㏖) 및 화합물 127(0.11g, 0.273m㏖)의 용액에 DIPEA(71㎕, 0.408m㏖)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정제용-HPLC로 정제시켜 화합물 592(30.9㎎, 25% 수율)를 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C44H64N7O11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899, 실측치 899.
실시예 222. 화합물 604의 합성
Figure pct00328
(S)-2-((tert-부톡시카보닐)(메틸)아미노)-3-메틸부탄산(33㎎, 0.14m㏖), DCC(32㎎, 0.154m㏖) 및 펜타플루오로페놀(39㎎, 0.21m㏖)을 에틸 아세테이트(20㎖)에 용해시키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건조물로 농축시켜 화합물 602를 제공하였고, 이것을 2㎖의 DMA에 용해시키고, 3㎖의 DMA 중의 화합물 603(52㎎, 0.14m㏖의 용액 및 DIPEA(48.5㎕, 0.28m㏖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1㎖의 아세토나이트릴로 희석시키고, MeCN/H2O의 구배로 역상 HPLC로 정제시켜 화합물 604(40.2㎎, 49% 수율)를 수득하였다. ESI: m/z: C28H49N4O7S [M+H]+에 대한 계산치: 585.32, 실측치 585.32.
실시예 223. 화합물 605의 합성
Figure pct00329
0℃에서 피리딘(8㎖) 중의 화합물 604(40㎎, 0.069m㏖)의 용액에 아세트산 무수물(20.4㎎, 0.2m㏖)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까지 가온시키고,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MeOH/DCM)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605(48.1㎎, 약 100% 수율)를 수득하였다. ESI: m/z: C30H51N4O8S [M+H]+에 대한 계산치: 627.33, 실측치 627.33.
실시예 224. 화합물 608의 합성
Figure pct00330
화합물 605(48.1㎎, 0.077m㏖), DCC(17.4㎎, 0.085m㏖) 및 펜타플루오로페놀(21.2㎎, 0.115m㏖)을 에틸 아세테이트(10㎖)에 용해시키고, 반응물을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고, 이어서 건조물로 농축시켜 화합물 606을 제공하였고, 이것을 4㎖의 DMA에 용해시키고, 3㎖의 DMA 중의 화합물 607(20.7㎎, 0.1m㏖)의 용액 및 DIPEA(26.8㎕, 0.154m㏖)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1㎖의 아세토나이트릴로 희석시키고, MeCN/H2O의 구배로 역상 HPLC로 정제시켜 화합물 608(63㎎, 약 100% 수율)을 수득하였다. ESI: m/z: C42H66N5O9S [M+H]+에 대한 계산치: 816.45, 실측치 816.45.
실시예 225. 화합물 609의 합성
Figure pct00331
이전 단계로부터의 화합물 608을 DCM(1㎖)에 용해시키고, TFA(1㎖)로 r.t.에서 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반응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EtOH(20㎖)에 용해시켰다. 화합물 125(30.8㎎, 0.11m㏖) 및 0.1M NaH2PO4(4㎖)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MeOH/DCM)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609(28.5㎎, 42% 수율)를 수득하였다. ESI m/z: C45H65N6O10S [M+H]+에 대한 계산치: 881.44, 실측치 881.44.
실시예 226. 화합물 612의 합성
Figure pct00332
DCM(1㎖) 중의 화합물 608(63㎎, 0.077m㏖)의 용액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TFA(1㎖)로 처리하고, 이어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DMA(4㎖)에 용해시켰다. 화합물 611(65.8㎎, 0.11m㏖) 및 DIPEA(27㎕, 0.154m㏖)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MeCN/H2O의 구배로 역상 HPLC로 정제시켜 화합물 612(14㎎, 16% 수율)를 수득하였다. ESI: m/z: C55H84N7O16S [M+H]+에 대한 계산치: 1130.56, 실측치 1130.57.
실시예 227. 화합물 614의 합성
Figure pct00333
DMF(50㎖) 중의 화합물 436(3.0g, 4.00m㏖)의 용액에 HATU(2.3g, 6m㏖) 및 TEA(1.7㎖, 12m㏖)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20분 동안 교반하고, r.t.까지 가온시키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DMF(10㎖) 중의 (4-아미노페닐)메탄올(0.99g, 8m㏖)의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r.t.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150㎖의 물을 함유하는 분별 깔때기에 붓고, 50㎖의 EtOAc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수집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MeOH/DCM)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614(3.9g, 약 100% 수율)를 수득하였다. ESI: m/z: C42H68N3O15 [M+H]+에 대한 계산치: 854.46, 실측치 854.46.
실시예 228. 화합물 615의 합성
Figure pct00334
수소화 병 내에서 MeOH(20㎖) 중의 화합물 614(1.9g, 2.22m㏖)의 용액에 Pd/C(0.19g, 10 wt%)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0분 동안 진탕하고, 셀라이트(여과 보조제)로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농축시키고, 이어서 EtOH(100㎖)에 용해시켰다. 화합물 125(0.61g, 2.20m㏖) 및 0.1M NaH2PO4(20㎖)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MeOH로 희석시키고, MeCN/H2O의 구배로 역상 HPLC로 정제시켜 화합물 615(0.30g, 19% 수율)를 수득하였다. ESI: m/z: C42H69N4O16 [M+H]+에 대한 계산치: 885.46, 실측치 885.44.
실시예 229. 화합물 616의 합성
Figure pct00335
0℃에서 DMF(50㎖) 중의 화합물 615(0.12g, 0.14m㏖)의 용액에 SOCl2(11㎕, 0.154m㏖)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시간 동안 0℃에서 교반하고, 이어서 건조물로 농축시켜 조 생성물 화합물 616(0.13g, 0.14m㏖)을 제공하였다. ESI: m/z: C42H68ClN4O15 [M+H]+에 대한 계산치: 903.43, 실측치 903.44.
실시예 230. 화합물 618의 합성
Figure pct00336
DMF(10㎖) 중의 화합물 616(0.13g, 0.14m㏖) 및 화합물 617(0.06g, 0.07m㏖)의 용액에 TBAI(16㎎, 0.042m㏖) 및 DIPEA(64㎕, 0.35m㏖)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r.t.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MeCN/H2O의 구배로 역상 HPLC로 정제시켜 화합물 618(10㎎, 8.9% 수율0)을 수득하였다. ESI: m/z: C79H125N9O23S [M+H]+에 대한 계산치: 1599.85, 실측치 1599.82.
실시예 231. 화합물 620의 합성
Figure pct00337
DMF(18㎖) 중의 tert-부틸 4-아미노부탄오에이트(1.03g, 6.12m㏖) 및 화합물 436(4.16g, 5.56m㏖)의 혼합물을 0℃까지 냉각시키고, HATU(2.32g, 6.12m㏖) 및 TEA(1.2㎖, 8.34m㏖)를 순서대로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5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물(300㎖)로 희석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3×250㎖). EtOAc 용액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키고,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32:1 DCM/MeOH)로 정제시켜 화합물 620(5.98g)을 제공하였다. C43H75N3O16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890.51, 실측치 891.09.
실시예 232. 화합물 621의 합성
Figure pct00338
수소화 병 내에서 MeOH(50㎖) 중의 화합물 620(1.0g, 1.13m㏖)의 용액에 Pd/C(10 wt%, 0.10g)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시간 동안 진탕하고, 셀라이트(여과 보조제)로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농축시켜 화합물 621(1.0g, 1.32m㏖, 수율>100%)을 수득하였다. ESI: m/z: C35H70N3O14 [M+H]+에 대한 계산치: 756.48, 실측치 756.47.
실시예 233. 화합물 622의 합성
Figure pct00339
실온에서 95% EtOH(50㎖) 중의 화합물 621(0.93g, 1.23m㏖, 1.0 eq) 및 화합물 125(0.95g, 1.84m㏖, 1.5 eq)의 용액에 NaH2PO4 용액(0.1M, pH 5.0, 10㎖)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키고, 물(50㎖)로 희석시키고, DCM(80㎖×3)으로 추출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키고,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 = 25:1)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을 밝은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0.90g, 80%). ESI m/z: C43H77N4O17 [M+H]+에 대한 계산치: 921.5, 실측치: 921.5.
실시예 234. 화합물 623의 합성
Figure pct00340
화합물 622(0.90g, 0.98m㏖)를 HCOOH(50㎖)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톨루엔과 2회 공동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진공 펌프에 넣고, 화합물 623(0.85g, 0.98m㏖, 조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ESI: m/z: C39H69N4O17 [M+H]+에 대한 계산치: 865.46, 실측치 865.44.
실시예 235. 화합물 624의 합성
Figure pct00341
0℃에서 DMF(3㎖) 중의 화합물 392(92.9㎎, 0.236m㏖) 및 화합물 623(510㎎, 0.59m㏖)의 용액에 HATU(179㎎, 0.472m㏖) 및 트라이에틸아민(82㎕, 0.59m㏖)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다이클로로메탄(50㎖)으로 희석시키고, 1N HCl(5㎖), 물(5㎖)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시켜 표제 생성물(295㎎, 60% 수율)을 수득하였다. C99H168N11O36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2087.16, 실측치 2087.14.
실시예 236. 화합물 625의 합성
Figure pct00342
DCM(3㎖) 중의 화합물 624(100㎎, 0.047m㏖)의 용액에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3㎖)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DMF(3㎖)에 용해시키고, 이것에 화합물 41a(49.7㎎, 0.071m㏖) 및 DIPEA(12㎕, 0.071m㏖)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정제용-HPLC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57㎎, 50% 수율)을 수득하였다. C115H192N11O39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2439.31, 실측치 2439.30.
실시예 237. 화합물 627의 합성
Figure pct00343
DMF(30㎖) 중의 운데칸다이산(1.73g, 8m㏖)의 용액에 K2CO3(1.1g, 8m㏖) 및 BnBr(1.36g, 8m㏖)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키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627(1.1g, 45% 수율)을 수득하였다. ESI m/z: C18H27O4 [M+H]+에 대한 계산치: 307.18, 실측치 307.15.
실시예 238. 화합물 628의 합성
Figure pct00344
DCM(5㎖) 중의 화합물 300(2.00g, 4.84m㏖)의 용액에 HCO2H(5㎖)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건조물로 농축시키고, DCM으로 2회 공동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펌프에 넣어, 화합물 628(1.72g, 약 100% 수율)을 제공하였다. C21H27NO4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358.19, 실측치 358.19.
실시예 239. 화합물 629의 합성
Figure pct00345
0℃에서 DCM(30㎖) 중의 화합물 301(1.12g, 4.83m㏖) 및 화합물 628(1.72g, 4.83m㏖)의 용액에 HATU(1.83g, 4.83m㏖) 및 TEA(0.68㎖, 4.83m㏖)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50㎖ DCM으로 희석시키고, 50㎖의 물을 함유하는 첨가 깔때기에 부었다. 유기상을 분리시키고, 염수(50㎖)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MeOH/DCM)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629(2.21g, 80% 수율)를 수득하였다. C32H48N2O7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573.35, 실측치 573.35.
실시예 240. 화합물 630의 합성
Figure pct00346
수소화 병 내에서 MeOH(20㎖) 중의 화합물 629(2.21g, 3.86m㏖)의 용액에 Pd/C(10 wt%, 0.2g)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atm H2 하에서 밤새 교반하고, 셀라이트(여과 보조제)로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농축시켜 화합물 630(1.5g, 약 100% 수율)을 수득하였다. C18H36N2O7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393.25, 실측치 393.25
실시예 241. 화합물 631의 합성
Figure pct00347
0℃에서 DCM(50㎖) 중의 화합물 630(1.50g, 3.86m㏖) 및 화합물 627(1.10g, 3.6m㏖)의 용액에 HATU(1.48g, 3.9m㏖) 및 TEA(0.55㎖, 3.9m㏖)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50㎖ DCM으로 희석시키고, 50㎖의 물을 함유하는 첨가 깔때기에 부었다. 유기상을 분리시키고, 염수(50㎖)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MeOH/DCM)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631(1.50g, 61% 수율)을 수득하였다. C36H61N2O10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681.42, 실측치 681.42.
실시예 242. 화합물 632의 합성
Figure pct00348
DCM(1㎖) 중의 화합물 631(1.50g, 2.2m㏖)의 용액에 TFA(3㎖)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건조물로 농축시키고, DCM과 2회 공동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펌프에 넣어 화합물 632(0.09g, 2.2m㏖, 조 생성물)를 제공하였다. ESI m/z: C32H53N2O10 [M+H]+에 대한 계산치: 625.36, 실측치 625.35.
실시예 243. 화합물 633의 합성
Figure pct00349
0℃에서 DCM(50㎖) 중의 화합물 632(1.50g, 2.20m㏖) 및 Z-Lys-OH(0.62g, 2.20m㏖)의 용액에 HATU(0.84g, 2.20m㏖) 및 TEA(0.31㎖, 2.20m㏖)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50㎖ DCM으로 희석시키고, 100㎖의 물을 함유하는 첨가 깔때기에 부었다. 유기상을 분리시키고, 염수(100㎖)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MeOH/DCM)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633(1.00g, 53% 수율)을 수득하였다. C46H71N4O13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887.49, 실측치 887.50.
실시예 244. 화합물 634의 합성
Figure pct00350
DMF(5㎖) 중의 화합물 633(0.50g, 0.56m㏖)의 용액에 HATU(0.21g, 0.56m㏖)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DMF(5㎖) 중의 화합물 438(0.27g, 0.56m㏖)의 용액 및 TEA(85㎕, 0.6m㏖)를 0℃에서 순서대로 첨가하고, 반응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의 물을 함유하는 첨가 깔때기에 붓고, 50㎖의 EtOAc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100㎖의 염수로 1회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MeOH/DCM)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634(0.40g, 55% 수율)를 수득하였다. ESI m/z: C71H110N7O18 [M+H]+에 대한 계산치: 1348.78, 실측치 1348.78.
실시예 245. 화합물 635의 합성
Figure pct00351
수소화 병 내에서 MeOH(20㎖) 중의 화합물 634(0.40g, 0.30m㏖)의 용액에 Pd/C(10 wt%, 0.2g)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atm H2 하에서 밤새 교반하고, 셀라이트(여과 보조제)로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농축시키고, EtOH(20㎖)에 다시 용해시켰다. 화합물 125(88.5㎎, 0.30m㏖) 및 0.1M NaH2PO4(4㎖)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MeOH/DCM)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635(0.10g, 26% 수율)를 수득하였다. ESI m/z: C64H106N9O19 [M+H]+에 대한 계산치: 1304.75, 실측치 1304.75.
실시예 246. 화합물 636의 합성
Figure pct00352
DCM(1㎖) 중의 화합물 635(0.10g, 0.077m㏖)의 용액에 TFA(3㎖)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건조물로 농축시키고, DCM과 2회 공동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DMA(4㎖)에 용해시켰다. 화합물 41a(65.8㎎, 0.11m㏖) 및 DIPEA(26㎕, 0.15m㏖)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2㎖ MeCN으로 희석시키고, MeCN/H2O의 구배로 역상 HPLC로 정제시켜 화합물 636(20㎎, 15% 수율)을 수득하였다. ESI m/z: C80H130N13O22S [M+H]+에 대한 계산치: 1656.90, 실측치 1656.91.
실시예 247. 화합물 638의 합성
Figure pct00353
DMF(5㎖) 중의 화합물 633(0.50g, 0.56m㏖)의 용액에 HATU(0.21g, 0.56m㏖)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DMF(5㎖) 중의 화합물 110(0.22g, 0.56m㏖)의 용액 및 TEA(85㎕, 0.60m㏖)를 0℃에서 첨가하였다.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100㎖의 물을 함유하는 첨가 깔때기에 붓고, 50㎖의 EtOAc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분리시키고 100㎖의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MeOH/DCM)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638(0.20g, 26% 수율)을 수득하였다. ESI m/z: C67H103N6O17 [M+H]+에 대한 계산치: 1263.73, 실측치 1263.73.
실시예 248. 화합물 639의 합성
Figure pct00354
수소화 병 내에서 MeOH(20㎖) 중의 화합물 638(0.20g, 0.16m㏖)의 용액에 Pd/C(10 wt%, 0.2g)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atm H2 하에서 밤새 교반하고, 셀라이트(여과 보조제)로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농축시키고, 이어서 EtOH(20㎖)에 용해시켰다. 화합물 125(47.2㎎, 0.30m㏖) 및 0.1M NaH2PO4(4㎖)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MeOH/DCM)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639(75㎎, 40% 수율)를 수득하였다. ESI m/z: C60H98N7O18 [M+H]+에 대한 계산치: 1204.69, 실측치 1204.68.
실시예 249. 화합물 640의 합성
Figure pct00355
DCM(1㎖) 중의 화합물 639(75㎎, 0.06m㏖)의 용액에 TFA(3㎖)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건조물로 농축시키고, DCM과 2회 공동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DMA(2㎖)에 용해시켰다. 화합물 41a(41㎎, 0.06m㏖) 및 DIPEA(26㎕, 0.15m㏖)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2㎖ MeCN으로 희석시키고, MeCN/H2O의 구배로 역상 HPLC로 정제시켜 화합물 640(34㎎, 37% 수율)을 수득하였다. ESI m/z: C76H122N11O21S [M+H]+에 대한 계산치: 1556.85, 실측치 1556.85.
실시예 250. 화합물 642의 합성
Figure pct00356
THF(200㎖) 중의 다이에틸렌 글리콜(20g, 0.188㏖)의 용액에 Na(0.43g, 0.018㏖)를 첨가하였다. r.t.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tert-부틸 아크릴레이트(48g, 0.376㏖)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2일 동안 교반하고. 반응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34g, 50% 수율)을 수득하였다. C18H35O7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363.23, 실측치 363.23.
실시예 251. 화합물 643의 합성
Figure pct00357
화합물 642(34g, 0.093㏖)를 실온에서 폼산(100㎖)에 용해시키고,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C10H19O7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251.11, 실측치 251.11.
실시예 252. 화합물 644의 합성
Figure pct00358
0℃에서 DMF(10㎖) 중의 아민 630(1.50g, 3.82m㏖) 및 이산 643(1.90g, 7.64m㏖)의 용액에 HATU(1.45g, 3.82m㏖) 및 DIPEA(0.66㎖, 3.82m㏖)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DCM(80㎖)으로 희석시키고, 물(10㎖)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시켜 무색 액체(1.75g, 75% 수율)를 수득하였다. C28H53N2O13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625.35, 실측치 625.35.
실시예 253. 화합물 645의 합성
Figure pct00359
0℃에서 DCM(20㎖) 중의 화합물 644(1.75g, 2.8m㏖)의 용액에 EDCI(1.07g, 5.6m㏖) 및 NHS(0.64g, 5.6m㏖)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까지 가온시키고,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DCM(80㎖)으로 희석시키고, 물(10㎖)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2.00g, 약 100% 수율)을 수득하였다. C32H56N3O15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722.36, 실측치 722.36.
실시예 254. 화합물 646의 합성
Figure pct00360
물(10㎖) 중의 N-α-Cbz-L-라이신(1.17g, 4.2m㏖)의 용액에 중탄산나트륨(0.47g, 5.6m㏖)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까지 냉각시키고, 1,4-다이옥산(10㎖)에 용해시킨 화합물 645(2.00g, 2.8m㏖)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1N HCl을 첨가하여 pH 3까지 산성화시키고, DCM(50㎖×3)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물(20㎖)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농축시켜 표제 생성물(2.3g, 92% 수율)을 수득하였다. C42H71N4O16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887.48, 실측치 887.48.
실시예 255. 화합물 647의 합성
Figure pct00361
0℃에서 다이클로로메탄(30㎖) 중의 아민 438(1.87g, 3.9m㏖) 및 산 646(2.3g, 2.59m㏖)의 용액에 HATU(0.98g, 2.59m㏖) 및 DIPEA(450㎕, 2.59m㏖)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2.4g, 70% 수율)을 수득하였다. C67H110N7O21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1348.77, 실측치 1348.77.
실시예 256. 화합물 648의 합성
Figure pct00362
수소화 병 내에서 MeOH(20㎖) 중의 화합물 647(2.4g, 1.78m㏖)의 용액에 Pd/C(10 wt%, 0.2g)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atm H2 하에서 밤새 교반하고, 셀라이트(여과 보조제)로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농축시키고, EtOH(20㎖)에 다시 용해시켰다. 화합물 125(0.79g, 2.67m㏖) 및 0.1M NaH2PO4(10㎖)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MeOH/DCM)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648(1.52g, 62% 수율)을 수득하였다. ESI m/z: C67H111N8O22 [M+H]+에 대한 계산치: 1379.77, 실측치 1379.75.
실시예 257. 화합물 649의 합성
Figure pct00363
다이클로로메탄(2㎖) 중의 화합물 648(51㎎, 0.037m㏖)의 용액에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2㎖)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키고, DMF(1.0㎖)에 다시 용해시켰다. 0℃에서 DMF(1.0㎖) 중의 화합물 41a(38.4㎎, 0.055m㏖)의 용액, 그 다음 DIPEA(13㎕, 0.074m㏖)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정제용-HPLC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649(36.5㎎, 60% 수율)를 수득하였다. C79H127N12O25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1675.86, 실측치 1675.86.
실시예 258. 화합물 651의 합성
Figure pct00364
DCM(100㎖) 중의 N-프탈로일글리신(10.0g, 48.7m㏖)의 용액에 옥살릴 클로라이드(6.3㎖, 73.1m㏖)를 r.t.에서 첨가하고, 그 다음 한 방울의 DMF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켜 화합물 651(10.8g)을 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실시예 259. 화합물 652의 합성
Figure pct00365
0℃에서 DCM(200㎖) 중의 Boc-하이드라진(7.08.g, 53.5m㏖)의 용액에 Et3N(13.5㎖, 97.4m㏖)을 첨가하고, 이어서 화합물 651(10.8g, 48.7m㏖)을 첨가하였다. 그 후 반응물을 r.t.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빙수(100㎖)에 붓고, DCM(3×100㎖)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물(100㎖) 및 염수(100㎖)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농축시켜 백색 고체(15.5g, 100% 수율)를 제공하였다. C15H18N3O5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320.12, 실측치: 320.12.
실시예 260. 화합물 653의 합성
Figure pct00366
화합물 652(15.5g, 48.7m㏖)를 DCM(150㎖)에 용해시키고, TFA(50㎖)로 r.t.에서 1시간 동안 처리하고, 이어서 농축시켜 백색 고체(10.6g, 100% 수율)를 제공하였다. C10H10N3O3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220.06, 실측치: 220.06.
실시예 261. 화합물 654의 합성
Figure pct00367
0℃에서 DCM(200㎖) 중의 화합물 653(10.6g, 48.7m㏖)의 용액에 Et3N(13.5㎖, 97.4m㏖) 및 화합물 651(10.8g, 48.7m㏖)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밤새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여과로 수집하고, 물(100㎖)에 현탁시키고,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다시 여과시키고, 백색 고체(15.7g, 80% 수율)를 제공하였다. C20H15N4O6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407.09, 실측치: 407.09.
실시예 262. 화합물 655의 합성
Figure pct00368
0℃에서 NaH(0.5g, 12.3m㏖)를 DMF(40㎖) 중의 화합물 654(2.0g, 4.92m㏖)의 용액에 나누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tert-부틸 브로모아세테이트(2.0g, 10.3m㏖)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밤새 교반하고, 그 후 빙수(100㎖)에 붓고, DCM(3×50㎖)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물(50㎖), 염수(50㎖)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시켜 백색 고체를 제공하였다(1.5g, 50% 수율). C32H35N4O10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635.23, 실측치: 635.23.
실시예 263. 화합물 656의 합성
Figure pct00369
에탄올(30㎖) 중의 화합물 655(1.5g, 2.36m㏖) 및 하이드라진(442㎎, 7.08m㏖)의 혼합물을 1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이어서 r.t.까지 냉각시키고, 여과시켰다. 여과액을 농축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20㎖)로 취하고, 다시 여과시켰다. 여과액을 농축시켜 백색 고체(750㎎, 85% 수율)를 제공하였다. C16H31N4O6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375.22, 실측치: 375.22.
실시예 264. 화합물 657의 합성
Figure pct00370
THF(2㎖) 중의 화합물 656(750㎎, 2m㏖)의 용액을 포화 NaHCO3 수성 용액(30㎖)에 첨가하고, 이어서 0℃까지 냉각시키고, 이어서 화합물 409(622㎎, 4m㏖)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백색 고체를 여과로 수집하였다(854㎎, 80% 수율). C24H31N4O10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535.20, 실측치: 535.20.
실시예 265. 화합물 658의 합성
Figure pct00371
화합물 657(854㎎, 1.6m㏖)을 DCM(3㎖)에 용해시키고, r.t.에서 2시간 동안 TFA(3㎖)로 처리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농축시켜 화합물 658(675㎎, 100% 수율)을 제공하였다. C16H15N4O10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423.07, 실측치: 423.07.
실시예 266. 화합물 659의 합성
Figure pct00372
0℃에서 DMF(5㎖) 중의 화합물 658(200㎎, 0.47m㏖)의 용액에 tert-부틸 4-아미노부탄오에이트(158㎎, 0.99m㏖) 및 EDC(189.7㎎, 0.99m㏖)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밤새 교반하고, 빙수에 붓고, DCM(3×10㎖)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1N HCl(5㎖), 물(5㎖), 염수(5㎖)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농축시켜 백색 고체(330㎎, 100% 수율)를 제공하였다.
실시예 267. 화합물 660의 합성
Figure pct00373
화합물 659(330㎎, 0.47m㏖)를 DCM(3㎖)에 용해시키고, r.t.에서 2시간 동안 TFA(3㎖)로 처리하였다. 반응물을 농축시키고, DMF(5㎖)에 다시 용해시키고, 0℃까지 냉각시키고, NHS(113㎎, 0.98m㏖) 및 EDC(189㎎, 0.98m㏖)를 순서대로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밤새 교반하고, 빙수에 붓고, DCM(3×20㎖)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물(5㎖), 염수(5㎖)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농축시켜 백색 고체(369㎎, 100% 수율)를 제공하였다. C32H35N8O16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787.21, 실측치: 787.21.
실시예 268. 화합물 663의 합성
Figure pct00374
화합물 633(200㎎, 0.225m㏖)을 DMF(5㎖)에 용해시키고, 0℃까지 냉각시키고, tert-부틸 4-아미노부탄오에이트(71.8㎎, 0.45m㏖) 및 EDC(86.2㎎, 0.45m㏖)를 순서대로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밤새 교반하고, 빙수에 붓고, DCM(3×10㎖)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물(5㎖), 염수(5㎖)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농축시켜 화합물 663(231㎎, 100% 수율)을 제공하였다. C54H86N5O14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1028.61, 실측치: 1028.61.
실시예 269. 화합물 664의 합성
Figure pct00375
화합물 663(231㎎, 0.225m㏖)을 DCM(3㎖)에 용해시키고, r.t.에서 1시간 동안 TFA(3㎖)로 처리하였다. 반응물을 농축시키고, DMF(5㎖)에 다시 용해시키고, 0℃까지 냉각시키고, 화합물 110(44㎎, 0.112m㏖), HATU(85.5㎎, 0.225m㏖) 및 DIPEA(39㎕, 0.225m㏖)를 순서대로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밤새 교반하고, 빙수에 붓고, DCM(3×10㎖)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1N HCl(5㎖), 물(5㎖), 염수(5㎖)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0-5% MeOH/DCM)로 정제시켜 백색 발포체(206㎎, 80% 수율)를 제공하였다. C121H185N12O31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2302.32, 실측치: 2302.34.
실시예 270. 화합물 665의 합성
Figure pct00376
화합물 664(206㎎, 0.089m㏖)를 MeOH(5㎖)에 용해시키고, Pd/C(10 wt%, 20㎎)를 혼합하고, 1atm H2 압력 하에서 밤새 수소화시켰다. 이어서 혼합물을 셀라이트(여과 보조제)로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농축시켜 화합물 665(165㎎, 100% 수율)를 수득하였다. C91H161N12O27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1854.15, 실측치 1854.15.
실시예 271. 화합물 666의 합성
Figure pct00377
0℃에서 에탄올(10㎖) 중의 화합물 665(165㎎, 0.089m㏖)의 용액에 화합물 660(140㎎, 0.178m㏖) 및 포스페이트 완충액(0.5M, pH 7.5, 3㎖)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0-5% MeOH/DCM)로 정제시켜 화합물 666(128㎎, 61% 수율)을 제공하였다. C115H185N18O37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2410.31, 실측치: 2410.31.
실시예 272. 화합물 667의 합성
Figure pct00378
화합물 666(128㎎, 0.053m㏖)을 DCM(3㎖)에 용해시키고, r.t.에서 2시간 동안 TFA (3㎖)로 처리하였다. 반응물을 농축시키고, DCM와 3회 공동 증발시켜 화합물 667(120㎎, 100% 수율)을 제공하였다. C106H169N18O35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2254.19, 실측치: 2254.19.
실시예 273. 화합물 668의 합성
Figure pct00379
화합물 667(120㎎, 0.053m㏖) 및 화합물 41a(36.6㎎, 0.053m㏖)를 DMA(5㎖)에 용해시키고, 0℃까지 냉각시켰다. DIPEA(18㎕, 0.106m㏖)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r.t.까지 가온시키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킨 후, 잔류물을 정제용-HPLC(C18, 10-90% 아세토나이트릴/물)로 정제시켜 화합물 668(73㎎, 50% 수율)을 제공하였다. C131H209N22O40S [M+H]+에 대한 ESI m/z 계산치: 2762.46, 실측치: 2762.46.
실시예 274. 화합물 670의 합성
Figure pct00380
빙욕에서 NaHCO3(20㎖)의 포화 용액 중의 화합물 621(1g, 1.32m㏖)의 용액에 화합물 409(0.4g, 2.64m㏖)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3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100㎖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첨가 깔때기에 붓고, 유기상을 분리하고, 50㎖의 물 및 50㎖의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농축시켜 화합물 670(0.8g, 수율 72%)을 제공하였다. ESI: m/z: C39H70N3O16 [M+H]+에 대한 계산치: 836.47, 실측치 836.47.
실시예 275. 화합물 671의 합성
Figure pct00381
화합물 670(0.9g, 0.98m㏖)을 HCOOH(50㎖)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톨루엔과 2회 공동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진공 펌프에 넣어 오일을 제공하였다. 물질 절반을 DMF(10㎖)에 용해시키고, 화합물 110(0.35g, 0.48m㏖), HATU(0.36g, 0.96m㏖) 및 TEA(0.15㎖, 1.44m㏖)를 0℃에서 첨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100㎖의 물을 함유하는 첨가 깔때기에 붓고, 50㎖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MeOH/DCM)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671(21㎎, 2%)을 수득하였다. ESI: m/z: C91H153N8O35 [M+H]+에 대한 계산치: 1919.04, 실측치 1919.04.
실시예 276. 화합물 672의 합성
Figure pct00382
DCM(0.5㎖) 중의 화합물 671(21㎎, 0.01m㏖)의 용액에 TFA(1㎖)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키고, DCM과 2회 공동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진공 펌프에 2시간 동안 넣고, 이어서 DMA(2㎖)에 용해시켰다. 화합물 41a(6.9㎎, 0.01m㏖), 그 다음 DIPEA(17㎕, 0.1m㏖)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MeCN/H2O의 구배로 역상 HPLC로 정제시켜 화합물 672(10㎎, 44% 수율)를 수득하였다. ESI: m/z: C107H177N12O38S [M+H]+에 대한 계산치: 2271.20, 실측치 2271.20.
실시예 277. 화합물 675의 합성
Figure pct00383
메탄올(30㎖) 중의 화합물 621(5.98g, 6.73m㏖) 및 Pd/C(10 wt%, 0.6g)의 혼합물을 1atm H2 압력 하에서 밤새 수소화시키고, 이어서 셀라이트(여과 보조제)로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농축시키고, THF(60㎖)에 다시 용해시키고, 화합물 674(1.01g, 2.42m㏖) 및 HOBt(817㎎, 6.05m㏖)를 0℃에서 첨가하였다. DCC(1.25g, 6.05m㏖) 및 DIPEA(2.1㎖, 12.10m㏖)를 순서대로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EtOAc(400㎖)로 희석시키고, 1N HCl, 포화 중탄산나트륨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키고,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24:1 DCM/MeOH)로 정제시켜 화합물 675(5.65g, 49% 수율)를 제공하였다. C90H154N8O34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1892.06, 실측치 1892.83.
실시예 278. 화합물 676의 합성
Figure pct00384
메탄올(50㎖) 중의 화합물 675(3.71g, 1.96m㏖) 및 Pd/C(10 wt%, 0.40g)의 혼합물을 1atm H2 압력 하에서 밤새 수소화시키고, 이어서 셀라이트(여과 보조제)로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농축시켜 화합물 676(4.57g, 51% 수율)을 수득하였다. C74H142N8O30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1623.98, 실측치 1624.42.
실시예 279. 화합물 677의 합성
Figure pct00385
EtOH(10㎖) 중의 화합물 676(315㎎, 0.194m㏖)의 용액에 Na2HPO4 수성 용액(0.5M, 2.5㎖) 및 화합물 125(136㎎, 0.485m㏖)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일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3:2 H2O/MeCN)로 정제시켜 오일(50㎎, 13% 수율)을 제공하였고, 이것을 다이클로로메탄(5㎖)에 용해시키고, TFA(5㎖)로 r.t.에서 밤새 처리하고, 이어서 농축시켜 화합물 677(47㎎, 98% 수율)을 수득하였다. C82H140N10O36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1841.94, 실측치 1841.88.
실시예 280. 화합물 678의 합성
Figure pct00386
DMF(6㎖) 중의 677(154㎎, 0.0837m㏖) 및 화합물 110(33㎎, 0.0837m㏖)의 혼합물을 0℃까지 냉각시키고, HATU(64㎎, 0.167m㏖) 및 TEA(46㎕, 0.335m㏖)를 순서대로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물(100㎖)로 희석시키고, EtOAc(3×100㎖)로 추출하였다. EtOAc 용액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키고,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6:1 DCM/MeOH)로 정제시켜 화합물 678(98㎎, 53% 수율)을 제공하였다. C103H170N12O39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2200.17, 실측치 2200.15.
실시예 281. 화합물 679의 합성
Figure pct00387
다이클로로메탄(3㎖) 중의 화합물 678(98㎎, 0.045m㏖)의 용액에 TFA(6㎖)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키고, DMA(1㎖)에 다시 용해시키고, 화합물 41a(31㎎, 0.045m㏖) 및 DIPEA(12㎕, 0.068m㏖)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9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키고, 역상 HPLC(C18 칼럼, 10-100% 아세토나이트릴/물)로 정제시켜 화합물 679(33.6㎎, 30% 수율)을 수득하였다. C119H194N16O42S [M+H]+에 대한 MS ESI m/z 계산치 1276.66, 실측치 1276.65.
실시예 282. 화합물 681의 합성
Figure pct00388
0℃에서 DCM(15㎖) 중의 화합물 301(1.0g, 4.3m㏖) 및 화합물 643(1.6g, 6.4m㏖)의 용액에 HATU(1.83g, 4.83m㏖) 및 TEA(0.68㎖, 4.83m㏖)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9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키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MeOH/DCM)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681(2.0g, >100% 수율, 실리카겔 함유)을 수득하였다. ESI m/z C21H40NO10 [M+H]+: 466.26, 실측치 466.23.
실시예 283. 화합물 682의 합성
Figure pct00389
DMF(30㎖) 중의 화합물 681(2.0g, 4.3m㏖)의 용액에 K2CO3(1.2g, 8.6m㏖) 및 BnBr(1.47g, 8.6m㏖)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100㎖의 물을 함유하는 첨가 깔때기에 붓고, EtOAc로 추출하였다(3×50㎖). 유기상을 합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키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MeOH/DCM)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682(1.0g, 42% 수율)를 수득하였다. ESI: m/z: C28H46NO10 [M+H]+에 대한 계산치: 556.30, 실측치 556.30.
실시예 284. 화합물 683의 합성
Figure pct00390
DCM(1㎖) 중의 화합물 682(1.0g, 1.8m㏖)의 용액에 TFA(3㎖)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건조물로 농축시키고, DCM과 2회 공동 증발시키고, DCM(50㎖)에 용해시켰다. Z-Lys-OH(0.5g, 1.8m㏖), HATU(1.83g, 4.83m㏖) 및 TEA(0.68㎖, 4.83m㏖)를 0℃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100㎖의 물을 함유하는 첨가 깔때기에 붓고, 50㎖의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하고, 100㎖의 염수로 1회 세척하고, 이어서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MeOH/DCM)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683(1.0g, 71% 수율)을 수득하였다. ESI m/z C38H56N3O13 [M+H]+:762.37, 실측치 762.37.
실시예 285. 화합물 684의 합성
Figure pct00391
DMF(10㎖) 중의 화합물 683(1.0g, 1.3m㏖)의 용액에 HATU(0.60g, 1.56m㏖)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0℃에서 DMF(10 ㎖) 및 TEA(0.28 ㎖, 2 m㏖) 중의 화합물 438(0.51g, 1.3m㏖)의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100㎖의 물을 함유하는 첨가 깔때기에 붓고, EtOAc(50㎖)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상 합하고, 100㎖의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MeOH/DCM)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684(1.20g, 73% 수율)를 수득하였다. ESI: m/z: C63H95N6O18 [M+H]+에 대한 계산치: 1223.66, 실측치 1223.66.
실시예 286. 화합물 685의 합성
Figure pct00392
수소화 병 내에서 MeOH(20㎖) 중의 화합물 684(1.20g, 0.98m㏖)의 용액에 Pd/C(0.1g, 10 wt%, 50% 습식)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진탕하고, 셀라이트(여과 보조제)로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농축시키고, 이어서 EtOH(50㎖)에 용해시켰다. 화합물 125(0.32g, 1.16m㏖) 및 0.1M NaH2PO4(10㎖)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농축 후,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MeOH/DCM)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685(0.57g, 50% 수율)를 수득하였다. ESI: m/z: 에 대한 계산치 C56H90N7O19 [M+H]+: 1164.62, 실측치 1164.62.
실시예 287. 화합물 686의 합성
Figure pct00393
DCM(1㎖) 중의 화합물 685(0.10g, 0.086m㏖)의 용액에 TFA(3㎖)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건조물로 농축시키고, DCM과 2회 공동 증발시키고, 이어서 DMA(2㎖)에 용해시키고, 화합물 41a(59㎎, 0.086m㏖) 및 DIPEA(26㎕, 0.15m㏖)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농축시키고, 2㎖ 아세토나이트릴에 용해시키고, MeCN/H2O의 구배로 역상 HPLC로 정제시켜 화합물 686(34㎎, 26% 수율)을 수득하였다. ESI: m/z: C72H114N11O22S [M+H]+에 대한 계산치: 1516.78, 실측치 1516.78.
실시예 288. 화합물 688의 합성
Figure pct00394
DMF(10㎖) 중의 Boc-Glu(OtBu)-OH(0.50g, 1.65m㏖)의 용액에 HATU(0.69g, 1.82m㏖) 및 TEA(0.26㎖, 1.82m㏖)를 첨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한 후, DMF(10㎖) 중의 11-아미노운데칸산(0.33g, 1.65m㏖)의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r.t.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200㎖의 1N HCl을 함유하는 첨가 깔때기에 붓고, DCM(3×50㎖)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100㎖의 염수로 1회 세척하고, 이어서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MeOH/DCM)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688(1.0g, >100% 수율)을 수득하였다. ESI: m/z: C25H47N2O7 [M+H]+에 대한 계산치: 487.33, 실측치 487.34.
실시예 289. 화합물 689의 합성
Figure pct00395
DCM(1㎖) 중의 화합물 688(1.0g)의 용액에 TFA(3㎖)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건조물로 농축시키고, DCM으로 2회 건조시켰다. 마지막으로, 진공 펌프에 넣어 화합물 689(0.68g, 2.06m㏖)를 제공하였다. ESI: m/z: C16H31N2O5 [M+H]+에 대한 계산치: 331.22, 실측치 331.22.
실시예 290. 화합물 690의 합성
Figure pct00396
EtOAc(6㎖) 중의 화합물 685(0.10g, 0.086m㏖)의 용액에 펜타플루오로페놀(18.4㎎, 0.1m㏖) 및 EDC(19.1㎎, 0.1m㏖)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100㎖의 물을 함유하는 첨가 깔때기에 붓고, 50㎖의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수집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5㎖ DMF에 다시 용해시키고, DMF(5㎖) 중의 화합물 125(43㎎, 0.13m㏖)의 용액 및 DIPEA(35㎕, 0.222m㏖)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r.t.에서 9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100㎖의 1N HCl을 함유하는 첨가 깔때기에 붓고, DCM(2×50㎖)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100㎖의 염수로 1회 세척하고, 이어서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MeOH/DCM)로 정제시켜 표제 화합물 690(0.11g, 87% 수율)을 수득하였다. ESI: m/z: C72H118N9O23 [M+H]+에 대한 계산치: 1476.83, 실측치 1476.84.
실시예 291. 화합물 691의 합성
Figure pct00397
DCM(1㎖) 중의 화합물 691(0.11g, 0.074m㏖)의 용액에 TFA(3㎖)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건조물로 농축시키고, DCM과 2회 공동 증발시키고, 이어서 DMA(6㎖)에 용해시켰다. 화합물 41a(100㎎, 0.148m㏖) 및 DIPEA(35㎕, 0.222m㏖)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2㎖ 아세토나이트릴에 용해시키고, MeCN/H2O의 구배로 역상 HPLC로 정제시켜 화합물 691(28.6㎎, 21% 수율)을 수득하였다. ESI: m/z: C88H142N13O26S [M+H]+에 대한 계산치: 1828.98, 실측치 1828.98.
실시예 292. 접합체 133, 339, 382, 396, 414, 444, 455, 467, 474, 480, 486, 493, 500, 522, 530, 534, 546, 550, 556, 560, 564, 574, 584, 593, 601, 613, 619, 626, 637, 641, 650, 669, 673, 680, 687, 692, E1, E2, E3, E4, E5, E6 E7의 일반적인 제조 방법.
pH 6.0 내지 8.0에서 2.0㎖의 10㎎/㎖ 허셉틴의 혼합물에, 100mM NaH2PO4, pH 6.5 내지 8.5 완충액의 0.70 내지 2.0㎖의 PBS 완충액, TCEP(14 내지 35㎕, 물 중의 20mM) 및 독립적으로 화합물 132, 337과 338의 혼합물, 381, 395, 413, 443, 454, 466, 473, 479, 485, 492, 499, 521, 529, 533, 545, 549, 554, 559, 563, 573, 583, 592, 600, 612, 618, 625, 636, 640, 649, 668, 672, 679, 686, 691, 또는 E1, E2, E3, E4, E5, E6 E7의 말레이미드 전구체(14 내지 28㎕, DMA 중의 20mM)를 첨가하고, 그 다음 4-(아지도메틸)벤조산(14 내지 50㎕, pH 7.5, PBS 완충액 중의 20mM)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RT에서 4 내지 18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키고, 이어서 DHAA(135㎕, 50mM)를 첨가하였다. RT에서 밤새 연속 인큐베이션시킨 후, 혼합물을 100mM NaH2PO4, 50mM NaCl pH 6.0~7.5 완충액으로 용리시키는 G-25 칼럼 상에서 정제시켜 13.4 내지 15.8㎖의 NaH2PO4, 완충액 중의 12.2 내지 18.6㎎의 접합체 화합물 133, 339, 382, 396, 414, 444, 455, 467, 474, 480, 486, 493, 500, 522, 530, 534, 546, 550, 556, 560, 564, 574, 584, 593, 601, 613, 619, 626, 637, 641, 650, 669, 673, 680, 687, 692, E1, E2, E3, E4, E5, E6 E7 (60%~93% 수율)을 수득하였다. 약물/항체 비(drug/antibody ratio: DAR)는 접합체에 대해서 3.4 내지 4.1이었는데, 여기서 DAR은 UPLC-QTOF 질량 스펙트럼을 통해서 결정되었다. 그것은 SEC HPLC(토쉬 바이오사이언스사(Tosoh Bioscience), Tskgel G3000SW, 7.8㎜ ID×30㎝, 0.5㎖/분, 100분)에 의해서 94 내지 99% 단량체라고 분석되었고, SDS-PAGE 젤에 의해서 단일 밴드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293. T-DM1과 비교한, 접합체 133, 339, 382, 396, 414, 444, 455, 467, 474, 480, 486, 493, 500, 522, 530, 534, 546, 550, 556, 560, 564, 574, 584, 593, 601, 613, 619, 626, 637, 641, 650, 669, 673, 680, 687, 692, E1, E2, E3, E4, E5, E6 E7의 시험관내 세포독성 평가:
세포 독성도 검정에 사용된 세포주는 인간 위 암종 세포주인 NCI-N87이었다: 세포를 10% FBS가 함유된 RPMI-1640에서 성장시켰다. 검정을 실행하기 위해, 세포(180㎕, 6000개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첨가하고, 5% CO2와 함께 37℃에서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그 다음, 적절한 세포 배양 배지(총 부피, 0.2㎖)에서 다양한 농도의 시험 화합물(20㎕)로 세포를 처리하였다. 대조군 웰은 세포와 배지를 함유하지만, 시험 화합물이 결핍되었다. 플레이트를 5% CO2와 함께 37℃에서 120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이어서, MTT(5mg/㎖)를 웰(20㎕)에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1.5시간 동안 37℃에서 인큐베이션시켰다. 배지를 조심스럽게 제거하고, DMSO(180㎕)를 이후에 첨가하였다. 15분 동안 진탕한 후, 620㎚의 표준 필터를 사용하여 490㎚ 및 570㎚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저해%는 하기 식에 따라 계산되었다: 저해% = [1-(검정-블랭크)/(대조군-블랭크)]×100. 결과를 표 1에 열거한다.
Figure pct00398
Figure pct00399
Figure pct00400
Figure pct00401
Figure pct00402
Figure pct00403
Figure pct00404
Figure pct00405
실시예 294. 생체내 항종양 활성도(NCI-N87 이종이식 종양을 갖는 BALB/c 누드 마우스).
T-DM1과 함께 접합체 474, 486, 493, 601, 626, 637, 641, 669, 673, 680, 692의 생체내 효능을 인간 위 암종 N-87 세포주 종양 이종 이식 모델로 평가하였다. 5주령 암컷 BALB/c 누드 마우스(78마리 동물)에게 무 혈청 배지 0.1㎖의 N-87 암종 세포(5×106개 세포/마우스)를 우측 어깨 아래 면적에 피하 주사하였다. 종양은 8일 동안 140㎣의 평균 크기로 자랐다. 이어서 동물을 무작위로 13개 군으로 나누었다(군당 6마리의 동물). 제1 군의 마우스를 대조군으로 제공하고, 인산염 완충 염수(PBS) 비히클로 처리하였다. 12개의 군을 정맥 내 투여된 6㎎/㎏의 용량으로 각각 접합체 474, 486, 493, 601, 626, 637, 641, 669, 673, 680, 692 및 T-DM1로 처리하였다. 종양의 3차원 치수를 3 또는 4일마다(주 2회) 측정하고, 종양 부피를 수학식 종양 부피 = 1/2(길이×폭×높이)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동물의 중량을 또한 동시에 측정하였다. 다음의 기준 중 임의의 하나가 충족될 때 마우스를 희생시켰다: (1) 전처리 중량에서 20% 초과의 체중 감소, (2) 종양 체적 1500㎣ 초과, (3) 병에 걸려 음식물 및 물에 도달하지 못함, 또는 (4) 피부 괴사. 종양이 발견되지 않으면 마우스는 종양이 없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결과를 도 63에 도시하였다. 모든 12개의 접합체는 동물 체중 감소를 유발하지 않았다. 여기서 시험된 7개의 접합체(673, 637, 650, 692, 474, 493 486)는 T-DM1보다 더 양호한 항종양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화합물 474, 493 486의 군의 6/6의 모든 동물은 16일에서 28일까지 종양이 거의 측정 가능하지 않았다. 이에 반해서, 6㎎/㎏ 용량의 T-DM1은 종양을 제거할 수 없었고, 그것은 단지 26일 동안 종양 성장을 저해하였다. 또한 601, 669, 680, 673, 637, 650 692는 6㎎/㎏의 용량에서 종양을 완전히 근절시키지 않았다. 6㎎/㎏에서의 종양 성장의 저해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406
실시예 295. 마우스 혈청에서 모노-링키지를 갖는 보통 접합체(화합물 133) 및 T-DM1와 비교한, 측쇄-링키지를 갖는 접합체의 안정성 연구.
6 내지 7주령의 60마리의 암컷 ICR 마우스를 4개의 군으로 분리하였다. 각각의 군은 4개의 ADC 중 하나의 PK 연구를 위해서 15마리의 마우스를 포함하였다. 이러한 15마리의 마우스를 3개의 군(n=5)으로 추가로 무작위로 나누었다. 각각의 마우스에게 각각 접합체 T-DM1, 133, 680 및 692를 래트당 10㎎/㎏의 용량으로 i.v. 볼러스로 제공하였다. 혈액 수집은 설치류 혈액 수집에 대한 NCI 가이드라인을 따랐다. 기본적으로, 24시간의 기간 동안 2회 초과의 채혈을 회피하기 위해서 각각의 군의 마우스를 채혈을 위해서 교대시켰다. 투여 후 0(투여 전), 0.083, 0.25, 0.5, 1, 4, 8, 24, 48, 96, 168, 312 및 504시간에 70㎕ 모세관으로 안구뒤 혈동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였다. 특정 ELISA 기술에 의해서 혈장 샘플을 총 항체 및 약물-접합된 항체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간략하면, 마우스 혈청 중에서 접합된 항체 또는 전체 항체 농도를 하기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96웰 ELISA 플레이트를 각각 밤새 4℃에서 항-DM1 항체, 항-튜불리신 항체 또는 항-Her-2 Fab 항체(10mM PBS, pH 7.2 중의 1ug/㎖)로 코팅시켰다. 이어서 플레이트를 세척 완충액 PBS-T(PBS/0.02% Tween20)으로 3회 세척하고, 이어서 1시간 동안 37℃에서 희석 완충액 1%(w/v) BSA/PBS-T로 차단시켰다. 차단 완충액을 제거한 후, 각각 3회 반복물의 표준품 또는 마우스 혈청 샘플을 1% BSA/PBS-T 완충액으로 희석시키고, 37℃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키고, 이어서 AP-접합된 당나귀 항-인간 항체를 30분 동안 37℃에서 첨가하였고, 그 후 플레이트를 세척하였다. 플레이트를 다시 세척하고, 그 다음 색상 현상을 위해서 pNPP 기질을 첨가하고, 이어서, 색상 현상 반응을 1㏖/ℓ 수산화나트륨으로 반응정지시킨 후 405㎚ 파장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 상에서 판독하였다. 접합된 항체 또는 전체 항체의 농도를 표준 곡선의 4-파라미터 곡선 피팅으로부터 획득하였다.
도 64에 나타낸 결과인, 4종의 ADC를 투여한 후 전체 항체 및 약물-접합된 항체의 PK 거동은 전형적인 2상 청소율 곡선을 나타내었다. 혈장과 말초 조직 간의 등가는 투여 8시간 후에 도달하였다. 제거 상은 투여 24시간 후에 나타났고, 마지막 샘플링 시점까지 계속되었다. 요약하면, 이러한 3종의 ADC에 대한 접합체 노출값(Auc마지막)은 각각 T-DM1, 133, 680 및 692에 대해서 14981, 14857, 17212 및 17638hr·ug/㎏이었다. 모든 이러한 3종의 접합체에 대한 분포 부피는 총 혈액 부피의 2배이다. 접합체의 청소율(CL)은 0.59, 0.59, 0.48 및 0.45㎖/hr/㎏인데, 이것은 전체 항체에 대한 것의 거의 절반이다. 692 및 680, 이의 접합체 및 전체 항체 둘 모두의 청소율은 T-DM1 및 보통 접합체 133보다 더 작은데, 이것은 분지형-링키지를 갖는 접합체가 마우스 혈청에서 보통의 모노-연결된 접합체보다 더 안정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296. 보통 링키지를 갖는 보통 접합체(화합물 133 및 T-DM1)와 비교한 분지형-링키지를 갖는 접합체의 간 독성 연구.
6 내지 7주령의 84마리의 암컷 ICR 마우스를 14개의 군으로 분리하였다. 각각의 군은 간 독성 연구를 위해서 6마리를 포함하였다. 제1 군의 마우스는 대조군으로서 제공되었고, 인산염 완충 염수(PBS) 비히클로 처리되었다. 13개의 군을 각각 정맥내로 투여되는 200㎎/㎏의 용량의 접합체 133, 474, 486, 493, 601, 626, 637, 641, 669, 673, 680, 692 및 T-DM1로 처리하였다. 혈액 수집은 설치류 혈액 수집에 대한 NCI 가이드라인(NCI's Guidelines for Rodent Blood Collection)을 따랐다. 기본적으로, 혈액 샘플을 마우스의 안구-부비강 뒤(retro-orbital sinuses)를 통해서 수집하고, 원심분리시켜 투여 5일 및 12일 후에 혈청을 획득하였다. 아스파테이트 아미노트랜스퍼라제(AST),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제(ALT) 및 알칼린 포스파타제(ALP)의 수준을 시판 키트(각각 기질로서 아스파테이트 및 알라닌을 사용함)와 함께 PUS-2018 반자동 생화학 분석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제조사의 권고사항에 따라서 하기 반응성 동역학에 따라서 기준값을 설정하였다. 평균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407
간 독성은, 150㎎/㎏의 훨씬 더 높은 용량에서, 측쇄 링커를 갖는 접합체(474, 486, 493, 601, 626, 637, 641, 669, 673, 680692)가 T-DM1 및 보통 모노-연결된 접합체 133 둘 다보다 훨씬 덜 독성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접합체 474, 486, 493, 637, 641, 669, 673, 680692는 T-DM1보다 더 양호한 생체내 활성을 갖기 때문에, 접합체 474, 486, 493, 637, 641, 669, 673, 680692에 대한 전체 치료 윈도우는 T-DM1보다 훨씬 더 넓을 것이다.

Claims (23)

  1. 하기 화학식 (I)의 측쇄-링키징된 접합체 화합물(side chain-linkaged conjugate compound):
    Figure pct00408

    식 중,
    "
    Figure pct00409
    "는 단일 결합을 나타내고; n은 1 내지 30이며;
    T는 항체, 단일 쇄 항체, 표적 세포에 결합하는 항체 단편, 단클론성 항체, 단일 쇄 단클론성 항체, 표적 세포에 결합하는 단클론성 항체 단편, 키메라 항체, 표적 세포에 결합하는 키메라 항체 단편, 도메인 항체, 표적 세포에 결합하는 도메인 항체 단편, 항체를 모방하는 어드넥틴(adnectin), DARPin, 림포카인, 호르몬, 비타민, 성장 인자, 집락 자극 인자, 영양분-수송 분자(트랜스페린), 및/또는 알부민, 중합체, 덴드리머, 리포솜, 나노입자, 소낭(vesicle), 또는 (바이러스성) 캡시드 상에 부착된 세포-결합 펩타이드, 단백질 또는 소분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세포-결합제(cell-binding agent)/세포-결합 분자이고;
    L1 및 L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O, NH, N, S, P, NNH, NHNH, N(R3), N(R3)N(R3'), CH, CO, C(O)NH, C(O)O, NHC(O)NH, NHC(O)O, 화학식 (OCH2CH2)pOR3 또는 (OCH2CH-(CH3))pOR3 또는 NH(CH2CH2O)pR3 또는 NH(CH2CH(CH3)O)pR3 또는 N[(CH2CH2O)pR3]-[(CH2CH2O)p'R3'] 또는 (OCH2CH2)pCOOR3 또는 CH2CH2(OCH2CH2)pCOOR3의 폴리에틸렌옥시 단위(식 중, p 및 p'는 독립적으로 0 내지 약 1000으로부터 선택된 정수임) 또는 이들의 조합물; C1-C8 알킬; C2-C8의 헤테로알킬, 알킬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3-C8의 아릴, Ar-알킬, 복소환식, 탄소환식,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알킬사이클로알킬, 알킬카보닐, 헤테로아릴; 또는 (Aa)r(r은 1 내지 12이고(1 내지 12개의 아미노산 단위), 이것은 자연 또는 비자연 아미노산, 또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서열의 다이펩타이드, 트라이펩타이드, 테트라펩타이드, 펜타펩타이드, 헥사펩타이드, 헵타펩타이드, 옥타펩타이드, 노나펩타이드, 데카펩타이드, 운데카펩타이드 또는 도데카펩타이드 단위로 구성됨)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W는 C1-C18, 일반적으로 자기-희생 스페이서(self-immolative spacer), 펩타이드 단위, 하이드라존, 다이설파이드, 티오에터, 에스터 또는 아마이드 결합을 갖는 스트레처 단위(stretcher unit)이고; w는 1 또는 2 또는 3이며;
    V1 및 V2는 독립적으로 스페이서 단위이고, O, NH, S, C1-C8 알킬, C2-C8 헤테로알킬, 알켄일 또는 알킨일, C3-C8 아릴, 복소환식, 탄소환식, 사이클로알킬, 알킬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아르알킬, 헤테로알킬사이클로알킬 또는 알킬카보닐 또는 (Aa)r(r은 1 내지 12이고(1 내지 12개 아미노산 단위), 이것은 자연 또는 비자연 아미노산, 또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서열의 다이펩타이드, 트라이펩타이드, 테트라펩타이드, 펜타펩타이드, 헥사펩타이드, 헵타펩타이드, 옥타펩타이드, 노나펩타이드, 데카펩타이드, 운데카펩타이드 또는 도데카펩타이드 단위로 구성됨); 또는 (CH2CH2O)p(p는 0 내지 1000임)로부터 선택되며; v1 및 v2는 독립적으로 0, 1 또는 2이지만, v1 및 v2는 동시에 0은 아니고; v1 또는 v2가 0인 경우, 그것은 측쇄 Q1 또는 Q2 단편 중 하나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고;
    Q1 및 Q2는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 (I-q1)로 표현되며:
    Figure pct00410

    식 중
    Figure pct00411
    는 L1 또는 L2에 연결된 부위이고; G1 및 G2는 독립적으로 OC(O), NHC(O), C(O), CH2, NH, OC(O)NH, NHC(O)NH, O, S, B, P(O)(OH), NHP(O)(OH), NHP(O)(OH)NH, CH2P(O)(OH)NH, OP(O)(OH)O, CH2P(O)(OH)O, NHS(O)2, NHS(O)2NH, CH2S(O)2NH, OS(O)2O, CH2S(O)2O, Ar, ArCH2, ArO, ArNH, ArS, ArNR1 또는 (Aa)q1이며; G3은 OH, SH, OR1, SR1, OC(O)R1, NHC(O)R1, C(O)R1, CH3, NH2, NR1, +NH(R1), +N(R1)(R2), C(O)OH, C(O)NH2, NHC(O)NH2, BH2, BR1R2, P(O)(OH)2, NHP(O)(OH)2, NHP(O)(NH2)2, S(O)2(OH), (CH2)q1C(O)OH, (CH2)q1P(O)(OH)2, C(O)(CH2)q1C(O)OH, OC(O)(CH2)q1C(O)OH, NHC(O)(CH2)q1C(O)OH, CO(CH2)q1P(O)(OH)2, NHC(O)O(CH2)q1C(O)OH, OC(O)NH(CH2)q1C(O)OH, NHCO(CH2)q1P(O)(OH)2, NHC(O)(NH)(CH2)q1C(O)OH, CONH(CH2)q1P(O)(OH)2, NHS(O)2(CH2)q1C(O)OH, CO(CH2)q1S(O)2(OH), NHS(O)2NH(CH2)q1C(O)OH, OS(O)2NH(CH2)q1C(O)OH, NHCO(CH2)q1S(O)2(OH), NHP(O)(OH)(NH)(CH2)q1C(O)OH, CONH(CH2)q1S(O)(OH), OP(O)(OH)2, (CH2)q1P(O)(NH)2, NHS(O)2(OH), NHS(O)2NH2, CH2S(O)2NH2, OS(O)2OH, OS(O)2OR1, CH2S(O)2OR1, Ar, ArR1, ArOH, ArNH2, ArSH, ArNHR1 또는 (Aa)q1이고; (Aa)q1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서열의 자연 또는 비자연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펩타이드이며; X1 및 X2는 독립적으로 O, CH2, S, S(O), NHNH, NH, N(R1), +NH(R1), +N(R1)(R2), C(O), OC(O), OC(O)O, OC(O)NH, NHC(O)NH이고;
    Y2는 O, NH, NR1, CH2, S, NHNH, Ar이며; p1, p2 및 p3은 독립적으로 0 내지 100이지만, 동시에 0은 아니고; q1 및 q2는 독립적으로 0 내지 24이고;
    R1, R2, R3 및 R3'는 독립적으로 H, C1~C8 알킬; C2~C8 헤테로알킬 또는 복소환식; C3~C8 아릴, Ar-알킬, 사이클로알킬, 알킬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알킬사이클로알킬, 탄소환식 또는 알킬카보닐이며;
    바람직하게는 Q1 및 Q2는 독립적으로 C2-C100 폴리카복실산; C2-C100 폴리알킬아민; C6-C100 올리고당 또는 다당류; 4차 암모늄 양이온 및 설포네이트 음이온으로 이루어진 C6-C100 쯔비터이온성 베타인 또는 쯔비터이온성 폴리(설포베타인)(PSB); 폴리(락트산/글리콜산)(PLGA), 폴리(아크릴레이트), 키토산, N-(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아마이드의 공중합체, 폴리[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포스포릴콜린](PMPC), 폴리-L-글루탐산, 폴리(락티드-코-글리콜리드)(PLG), 폴리(락티드-코-글리콜리드),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PG), 폴리(락티드-코-글리콜리드), 폴리(에틸렌 글리콜)-변형된 펩타이드, 폴리(에틸렌 글리콜)-함유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 폴리(에틸렌 글리콜)-변형된 지질, 폴리(에틸렌 글리콜)-변형된 알킬카복실산, 폴리(에틸렌 글리콜)-변형된 알킬아민, 폴리(락티드-코-글리콜리드, 히알루론산(HA)(글리코사미노글리칸), 헤파린/헤파란 설페이트(HSGAG),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더마탄 설페이트(CSGAG), 폴리(에틸렌 글리콜)-변형된 알킬설페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변형된 알킬포스페이트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변형된 알킬 4차 암모늄으로 구성된 C6-C100 생분해성 중합체이고;
    대안적으로, W, Q1, Q2, L1, L2, V1 또는 V2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은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수 있지만, Q1 및 Q2는 동시에 부재하는 것은 아니며;
    D는 하기 화학식 (II)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또는 수화된 염; 또는 다형성 결정 구조; 또는 광학 이성질체, 라세미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또는 거울상이성질체를 갖는 튜불리신(tubulysin) 유사체이고:
    Figure pct00412

    식 중,
    Figure pct00413
    는 독립적으로 W에 연결되는 링키지 부위이고;
    R1, R2,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H, C1~C8 알킬; C2~C8 헤테로알킬 또는 복소환식; C3~C8 아릴, Ar-알킬, 사이클로알킬, 알킬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알킬사이클로알킬, 탄소환식 또는 알킬카보닐이거나; 또는 R1R2, R1R3, R2 R3, R3 R4, R5 R6, R11 R12 또는 R13 R14는 3 내지 7원의 탄소환식, 사이클로알킬, 복소환식,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고리계를 형성하고; R1 및 R2는 이들이 독립적으로 또는 동시에 W에 연결된 경우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수 있고, Y1은 N 또는 CH이고;
    R5 , R6, R8, R10 및 R11은 독립적으로 H 또는 C1~C4 알킬 또는 헤테로알킬이며;
    R7은 독립적으로 H, R14, -R14C(=O)X1R15; 또는 -R14X1R15이고; X1은 O, S, S-S, NH, CH2 또는 NR14이며;
    R9는 H, OH, -O-, =O, -OR14, -OC(=O)R14, -OC(=O)NHR14-, -OC(=O) R14SSR15-, OP(=O)(OR14)-, -OC(=O)NR14R15, OP(=O)(OR14) 또는 OR14OP(=O)(OR15)로부터 선택되고;
    R11은 독립적으로 H, R14, -R14C(=O)R16, -R14X2R16, -R14C(=O)X2이되, X2는 -O-, -S-, -NH-, -N(R14)-, -O-R14-, -S-R14-, -S(=O)-R14- 또는 -NHR14이며;
    R12는 R15, -OH, -SH,-NH2, NH, NHNH2, -NH(R15), -OR15, - R15COR16, - R15COOR16, -R15C(O)NH2, -R15C(O)NHR17, -SR16, R15S(=O)R16, -R15P(=O)(OR17)2, -R15OP(=O)(OR17)2, -CH2OP(=O)(OR17)2, -R15SO2R17, -R15X2R16, -R15C(=O)X2이되, X2는 -O-, OH, SH, -S-, NH2, -NH-, -N(R15)-, -O-R15-, -S-R15-, -S(=O)-R15-, CH2 또는 -NHR15-이고;
    R13 및 R14는 독립적으로 H, O, S, NH, N(R15), NHNH, -OH, -SH, -NH2, NH, NHNH2, -NH(R15), -OR15, CO, -COX2, -COX2R16, R17, F, Cl, Br, I, SR16, NR16R17, N=NR16, N=R16, NO2, SOR16R17, SO2R16, SO3R16, OSO3R16, PR16R17, POR16R17, PO2R16R17, OP(O)(OR17)2, OCH2OP(O)(OR17)2, OC(O)R17, OC(O)OP(O)(OR17)2, PO(OR16)(OR17), OP(O)(OR17)OP(O)(OR17)2, OC(O)NHR17; -O-(C4-C12 글리코사이드), -N-(C4-C12 글리코사이드); C1~C8 알킬, 헤테로알킬; C2-C8의 알켄일, 알킨일, 헤테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3-C8의 아릴, Ar-알킬, 탄소환식,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알킬사이클로알킬, 알킬카보닐, 헤테로아릴 또는 2 내지 8개 탄소 원자의 에스터, 에터 또는 아마이드; 또는 1 내지 8개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펩타이드(NH(Aa)1~8 또는 CO(Aa)1~8(N-말단 또는 C-말단의 1 내지 8개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아미노산), 또는 화학식 (OCH2CH2)p 또는 (OCH2CH(CH3))p의 폴리에틸렌옥시 단위(식 중, p는 0 내지 약 1000의 정수임) 또는 이들 군의 조합물이고; X2는 O, S, S-S, NH, CH2, OH, SH, NH2, CHR14 또는 NR14이며;
    R15, R16 및 R17은 독립적으로 H, C1~C8 알킬, 헤테로알킬; C2-C8의 알켄일, 알킨일, 헤테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3-C8의 아릴, Ar-알킬, 탄소환식,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알킬사이클로알킬, 알킬카보닐, 헤테로아릴, 알킬카보닐 또는 Na+, K+, Cs+, Li+, Ca2+, Mg+, Zn2+, N+(R1)(R2)(R3)(R4), HN+(C2H5OH)3 염이고;
    Y1 및 Y2는 독립적으로 N 또는 CH이며; q는 0 또는 1이고; q가 0이고, Y3이 존재하지 않고, Y4, Y5, Y6 및 Y7이 독립적으로 CH, N, NH, O, S 또는 N(R1)인 경우, 따라서 Y2, Y4, Y5, Y6 및 Y7은 퓨란, 피롤, 티오펜, 티아졸, 옥사졸 및 이미다졸, 피라졸, 트라이아졸, 테트라졸, 티아다이아졸의 헤테로방향족 고리를 형성하고; q가 1이고, Y3, Y4, Y5, Y6 및 Y7이 독립적으로 CH 또는 N인 경우, 따라서 Y2, Y3, Y4, Y5, Y6 및 Y7은 벤젠, 피리딘, 피리다진, 피리미딘, 피라진, 트라이아진, 테트라진, 펜타진의 방향족 고리를 형성한다.
  2. 하기 화학식 (III)의 측쇄-링키징된 접합체 화합물:
    Figure pct00414

    식 중, D, W, w, L1, L2, Q1, Q2, V1, V2, v1, v2, n, T는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다.
  3. 세포-결합 분자 T와 쉽게 반응시켜 화학식 (I)의 접합체를 형성할 수 있는, 하기 화학식 (IV)의 측쇄-링키지 화합물:
    Figure pct00415

    식 중, D, W, w, L1, L2, Q1, Q2, V1, V2, v1, v2 및 n은 제1항과 동일하게 정의되고; Lv1은 세포-결합 분자 상의 티올, 아민, 카복실산, 셀레놀, 페놀 또는 하이드록시기와 반응할 수 있는 반응기이고, Lv1은 OH; F; Cl; Br; I; 나이트로페놀;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NHS); 페놀; 다이나이트로페놀; 펜타플루오로페놀; 테트라플루오로페놀; 다이플루오로페놀; 모노-플루오로페놀; 펜타클로로페놀; 트라이플레이트; 이미다졸; 다이클로로페놀; 테트라클로로페놀; 1-하이드록시벤조트라이아졸; 토실레이트; 메실레이트; 2-에틸-5-페닐아이속사졸륨-3'-설포네이트, 그 자체로부터 형성되거나 또는 다른 무수물과 함께 형성된 무수물, 예를 들어, 아세틸 무수물, 폼일 무수물; 또는 펩타이드 커플링 반응 또는 미츠노부 반응(Mitsunobu reaction)을 위한 축합 시약을 사용하여 생성된 중간체 분자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축합 시약은 EDC(N-(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다이이미드), DCC(다이사이클로헥실-카보다이이미드), N,N'-다이아이소프로필카보다이이미드(DIC), N-사이클로헥실-N'-(2-몰폴리노-에틸)카보다이이미드 메토-p-톨루엔설포네이트(CMC 또는 CME-CDI), 1,1'-카보닐다이이미다졸(CDI), TBTU(O-(벤조트라이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N,N,N',N'-테트라메틸-O-(1H-벤조-트라이아졸-1-일)-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BTU), (벤조트라이아졸-1-일옥시)트리스(다이메틸아미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BOP), (벤조트라이아졸-1-일옥시)트라이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yBOP), 다이에틸 사이아노포스포네이트(DEPC), 클로로-N,N,N',N'-테트라-메틸폼아미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비스(다이메틸아미노)메틸렌]-1H-1,2,3-트라이아졸로[4,5-b]피리디늄 3-옥사이드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ATU), 1-[(다이메틸아미노)-(몰폴리노)메틸렌]-1H-[1,2,3]트라이아졸로[4,5-b]피리딘-1-윰 3-옥사이드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DMA), 2-클로로-1,3-다이메틸-이미다졸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CIP), 클로로트라이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yCloP), 플루오로-N,N,N',N'-비스(테트라메틸렌)-폼아미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BTFFH), N,N,N',N'-테트라메틸-S-(1-옥사이도-2-피리딜)티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O-(2-옥소-1(2H)피리딜)-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TPTU), S-(1-옥사이도-2-피리딜)-N,N,N',N'-테트라메틸티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O-[(에톡시카보닐)-사이아노메틸렌아미노]-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OTU), (1-사이아노-2-에톡시-2-옥소에틸리덴아미노옥시) 다이메틸아미노-몰폴리노-카베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COMU), O-(벤조트라이아졸-1-일)-N,N,N',N'-비스(테트라메틸렌)-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BPyU), N-벤질-N'-사이클로헥실-카보다이이미드(중합체 결합되거나 결합되지 않음), 다이피롤리디노(N-석신이미딜-옥시)카베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SPyU), 클로로다이피롤리디노카베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yClU), 2-클로로-1,3-다이메틸이미다졸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CIB), (벤조트라이아졸-1-일옥시)다이피페리디노-카베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BPipU), O-(6-클로로벤조트라이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TCTU), 브로모트리스(다이메틸아미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BroP), 프로필포스폰산 무수물(PPACA, T3P®), 2-몰폴리노에틸 아이소사이아나이드(MEI), N,N,N',N'-테트라메틸-O-(N-석신이미딜)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STU), 2-브로모-1-에틸-피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BEP), O-[(에톡시카보닐)사이아노-메틸렌아미노]-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TOTU), 4-(4,6-다이메톡시-1,3,5-트라이아진-2-일)-4-메틸모폴리늄클로라이드(MMTM, DMTMM), N,N,N',N'-테트라메틸-O-(N-석신이미딜)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TSTU), O-(3,4-다이하이드로-4-옥소-1,2,3-벤조트라이아진-3-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TDBTU), 1,1'-(아조다이카보닐)-다이피페리딘(ADD), 다이-(4-클로로벤질)아조다이카복실레이트(DCAD), 다이-tert-부틸 아조다이카복실레이트(DBAD), 다이아이소프로필 아조다이카복실레이트(DIAD), 다이에틸 아조다이카복실레이트(DEAD)로부터 선택되고; Lv1은 산 자체에 의해서 형성되거나 또는 다른 C1~C8 산 무수물과 함께 형성된 무수물이고; Lv1은 바람직하게는
    Figure pct00416

    Figure pct00417

    로부터 선택되되; X1'는 F, Cl, Br, I 또는 Lv3이고; X2'는 O, NH, N(R1) 또는 CH2이며; R3은 독립적으로 H, 방향족, 헤테로방향족 또는 방향족기이고, 하나 또는 몇몇 H 원자는 독립적으로 -R1, -할로겐, -OR1, -SR1, -NR1R2, - NO2, -S(O)R1,-S(O)2R1 또는 -COOR1에 의해서 대체되며, Lv3은 F, Cl, Br, I, 나이트로페놀;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NHS); 페놀; 다이나이트로페놀; 펜타플루오로페놀; 테트라플루오로페놀; 다이플루오로페놀; 모노플루오로페놀; 펜타클로로페놀; 트라이플레이트; 이미다졸; 다이클로로페놀; 테트라클로로페놀; 1-하이드록시벤조트라이아졸; 토실레이트; 메실레이트; 2-에틸-5-페닐아이속사졸륨-3'-설포네이트, 그 자체로부터 형성되거나 또는 다른 무수물과 함께 형성된 무수물; 아세틸 무수물, 폼일 무수물; 또는 펩타이드 커플링 반응 또는 미츠노부 반응을 위한 축합 시약으로 생성된 중간체 분자로부터 선택된 이탈기이다.
  4. 세포-결합 분자 T와 쉽게 반응시켜 화학식 (III)의 접합체를 형성할 수 있는, 하기 화학식 (V)의 측쇄-링키지 화합물:
    Figure pct00418

    식 중, D, W, w, L1, L2, Q1, Q2, V1, V2, v1, v2 및 n은 화학식 (I)에서와 동일하게 정의되되; Lv1 및 Lv2는 독립적으로 제3항의 화학식 (IV)에서의 Lv1의 정의와 동일하고, Lv1 및 Lv2 둘 다는 화학식 (V)에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쇄 Q1 및 Q2는 하기 Iq-01 내지 Iq-35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측쇄-링키징된 접합체 화합물:
    Figure pct00419

    Figure pct00420

    식 중, R25 및 R25'는 H; HC(O), CH3C(O), CH3C(NH), C1-C18 알킬, C1-C18 알킬, 알킬-Y1-SO3H, C1-C18 알킬-Y1-PO3H2, C1-C18 알킬-Y1-CO2H, C1-C18 알킬-Y1-N+R1'R2'R3'R4', C1-C18 알킬-Y1-CONH2, C2-C18 알킬렌, C2-C18 에스터, C2-C18 에터, C2-C18 아민, C2-C18 알킬 카복실아마이드, C3-C18 아릴, C3-C18 환식 알킬, C3-C18 복소환식, 1 내지 24개의 아미노산; C2-C18 지질, C2-C18 지방산 또는 C2-C18 지방 암모늄 지질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X1 및 X2는 NH, N(R1'), O, CH2, S, C(O), S(O), S(O2), P(O)(OH), NHNH, CH=CH, Ar 또는 (Aa)q1(q1은 0 내지 24(0 내지 24개의 아미노산)이고, q1이 0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함)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X1, X2, X3, X4, Y1, Y2 및 Y3은 NH, N(R1'), O, C(O), CH2, S, S(O), NHNH, C(O), OC(O), OC(O)O, OC(O)NH, NHC(O)NH, Ar 또는 Ar 또는 (Aa)q1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X1, X2, X3, X4, Y1, Y2 및 Y3은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수 있고; p1, p2 및 p3은 독립적으로 0 내지 100이지만, 동시에 0은 아니며; q1, q2 및 q3은 독립적으로 0 내지 24이며; R1', R2', R3' 및 R4'는 H 및 C1-C6 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Aa는 자연 또는 비자연 아미노산이며; Ar 또는 (Aa)q1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서열의 펩타이드이고; q1이 0이라는 것은 (Aa)q1이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튜불리신 구조)는 하기 I-01 내지 I-75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또는 수화된 염; 또는 이들 화합물의 다형성 결정 구조; 이들의 광학 이성질체, 라세미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또는 거울상이성질체로부터 선택되는, 측쇄-링키징된 접합체 화합물:
    Figure pct00421

    Figure pct00422

    Figure pct00423

    Figure pct00424

    Figure pct00425

    Figure pct00426

    Figure pct00427

    Figure pct00428

    Figure pct00429

    Figure pct00430

    식 중, R20은 H; C1-C8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또는 헤테로알킬; C2-C8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켄일, 알킨일, 알킬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3-C8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아릴, Ar-알킬, 복소환식, 탄소환식,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알킬사이클로알킬, 알킬카보닐, 헤테로아릴; 카보네이트(-C(O)OR17), 카바메이트(-C(O)NR17R18); 또는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의 카복실레이트, 에스터, 에터 또는 아마이드; 또는 1 내지 8개의 아미노산; 또는 화학식 (OCH2CH2)p 또는 (OCH2CH(CH3))p의 폴리에틸렌옥시 단위이되, p는 0 내지 약 1000의 정수이거나; 또는 R20은 존재하지 않고, 산소는 케톤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형성하고; Z3 및 Z3은 독립적으로 H, OH, NH2, O, NH, COOH, COO, C(O),C(O), C(O)NH, C(O)NH2, R18, OCH2OP(O)(OR18)2, OC(O)OP(O)(OR18)2, OPO(OR18)2, NHPO(OR18)2, OP(O)(OR18)OP(O)(OR18)2, OC(O)R18, OC(O)NHR18, OSO2(OR18),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또는 헤테로알킬의 O-(C4-C12-글리코사이드); C2-C8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켄일, 알킨일, 알킬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3-C8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아릴, Ar-알킬, 복소환식, 탄소환식,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알킬사이클로알킬, 알킬카보닐, 헤테로아릴; 카보네이트(-C(O)OR17), 카바메이트(-C(O)NR17R18)이고; R17 및 R18는 독립적으로 H, C1-C8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또는 헤테로알킬; C2-C8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켄일, 알킨일, 알킬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3-C8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아릴, Ar-알킬, 복소환식, 탄소환식,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알킬사이클로알킬, 알킬카보닐, 헤테로아릴; 카보네이트(-C(O)OR17), 카바메이트(-C(O)NR17R18)이며; R19는 H, OH, NH2, OSO2(OR18), XCH2OP(O)(OR18)2, XPO(OR18)2, XC(O)OP(O)(OR18)2, XC(O)R18, XC(O)NHR18 , C1~C8 알킬 또는 카복실레이트; C2~C8 알켄일, 알킨일, 알킬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3~C8 아릴 또는 알킬카보닐; 또는 약제학적 염이며; X는 O, S, NH, NHNH 또는 CH2이고; R7은 상기와 동일하게 정의된다.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W, L1, L2, V1 및 V2는 하기 구조의 하나 이상의 링커 성분으로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 측쇄-링키징된 접합체 화합물:
    Figure pct00431

    Figure pct00432

    또는 1 내지 20개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L- 또는 D-, 자연 또는 비자연 펩타이드;
    Figure pct00433

    Figure pct00434

    (식 중,
    Figure pct00435
    는 링키지의 부위이고; X2, X3, X4, X5 또는 X6은 NH; NHNH; N(R3); N(R3)N(R3'); O; S; C1-C6의 알킬; C2-C6의 헤테로알킬, 알킬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3-C8의 아릴, Ar-알킬, 복소환식, 탄소환식,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알킬사이클로알킬, 알킬카보닐, 헤테로아릴; 또는 1 내지 8개의 아미노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3 및 R3'는 독립적으로 H; C1-C8의 알킬; C2-C8의 헤테로-알킬, 알킬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3-C8의 아릴, Ar-알킬, 복소환식, 탄소환식,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알킬사이클로알킬, 알킬카보닐, 헤테로아릴; 또는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의 에스터, 에터 또는 아마이드; 또는 화학식 (OCH2CH2)p 또는 (OCH2CH(CH3))p의 폴리에틸렌옥시 단위(식 중, p는 0 내지 약 1000의 정수임) 또는 이들의 조합물임).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W, L1, L2, V1 및 V2는 하기 (A) 내지 (C)로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 측쇄-링키징된 접합체 화합물:
    (A): 자기-희생 성분, 펩타이드 단위, 하이드라존 결합, 다이설파이드, 에스터, 옥심, 아마이드 또는 티오에터 결합(상기 자기-희생 단위는 파라-아미노벤질카바모일(PAB)기, 2-아미노이미다졸-5-메탄올 유도체, 복소환식 PAB 유사체, 베타-글루쿠로나이드 및 오쏘 또는 파라-아미노벤질아세탈과 전기적으로(electronically) 유사한 방향족 화합물; 또는 하기 구조 중 하나를 포함함):
    Figure pct00436

    (식 중, (*) 원자는 또 다른 성분의 부착점이고; X1, Y1, Z2 및 Z3은 독립적으로 NH, O 또는 S이며; Z1은 독립적으로 H, NHR1, OR1, SR1, COX1R1이되, X1 및 R1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고; v는 0 또는 1이고; U1은 독립적으로 H, OH, C1~C6 알킬, (OCH2CH2)n, F, Cl, Br, I, OR5, SR5, NR5R5', N=NR5, N=R5, NR5R5', NO2, SOR5R5', SO2R5, SO3R5, OSO3R5, PR5R5', POR5R5', PO2R5R5', OPO(OR5)(OR5') 또는 OCH2PO(OR5(OR5')이되, R5 및 R5'는 H, C1~C8 알킬; C2~C8 알켄일, 알킨일, 헤테로알킬 또는 아미노산; C3~C8 아릴, 복소환식, 탄소환식,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아르알킬, 알킬카보닐 또는 글리코사이드; 또는 약제학적 양이온 염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됨);
    (B): 하기 구조 중 하나를 함유하는 비-자기-희생 링커 성분:
    Figure pct00437

    Figure pct00438

    (식 중, (*) 원자는 부착 부위이고, X1, Y1, U1, R5, R5'는 상기와 같이 정의되며; r은 0 내지 100이고; m 및 n은 독립적으로 0 내지 20임);
    (C): 하기 구조 중 하나를 갖는, 생리 조건 하에서 파괴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pH-불안정한, 산-불안정한, 염기-불안정한, 산화적으로 불안정한, 대사적으로 불안정한, 생화학적으로 불안정한 또는 효소-불안정한 결합을 포함하는 해방 가능한 성분:
    -(CR5R6)m(Aa)r(CR7R8)n(OCH2CH2)t-, -(CR5R6)m(CR7R8)n(Aa)r(OCH2CH2)t-, -(Aa)r-(CR5R6)m(CR7R8)n(OCH2CH2)t-, -(CR5R6)m(CR7R8)n(OCH2CH2)r(Aa)t-, -(CR5R6)m-(CR7=CR8)(CR9R10)n(Aa) t(OCH2CH2)r-, -(CR5R6)m(NR11CO)(Aa)t(CR9R10)n-(OCH2CH2)r-, -(CR5R6)m(Aa)t(NR11CO)(CR9R10)n(OCH2CH2)r-,-(CR5R6)m(OCO)(Aa)t(CR9R10)n-(OCH2CH2)r-, -(CR5R6)m(OCNR7)(Aa)t(CR9R10)n(OCH2CH2)r-, -(CR5R6)m(CO)(Aa)t-(CR9R10)n(OCH2CH2)r-, -(CR5R6)m(NR11CO)(Aa)t(CR9R10)n(OCH2CH2)r-, -(CR5R6)m-(OCO)(Aa)t(CR9R10)n-(OCH2CH2)r-, -(CR5R6)m(OCNR7)(Aa)t(CR9R10)n(OCH2CH2)r-, -(CR5R6)m(CO)(Aa)t(CR9R10)n-(OCH2CH2)r-, -(CR5R6)m-페닐-CO(Aa)t(CR7R8)n-, -(CR5R6)m-퓨릴-CO(Aa)t(CR7R8)n-, -(CR5R6)m-옥사졸릴-CO(Aa)t(CR7R8)n-, -(CR5R6)m-티아졸릴-CO(Aa)t(CCR7R8)n-, -(CR5R6)t-티엔일--CO(CR7R8)n-, -(CR5R6)t-이미다졸릴-코-(CR7R8)n-, -(CR5R6)t-몰폴리노-CO(Aa)t-(CR7R8)n-, -(CR5R6)t피페라지노-CO(Aa)t-(CR7R8)n-, -(CR5R6)t-N-메틸피페라진-CO(Aa)t-(CR7R8)n-, -(CR5R)m-(Aa)t페닐-, -(CR5R6)m-(Aa)t퓨릴-, -(CR5R6)m-옥사졸릴(Aa)t-, -(CR5R6)m-티아졸릴(Aa)t-, -(CR5R6)m-티엔일-(Aa)t-, -(CR5R6)m-이미다졸릴(Aa)t-, -(C R5R6)m-몰폴리노-(Aa)t-, -(CR5R6)m-피페라지노-(Aa)t-, -(CR5R6)m-N-메틸피페라지노-(Aa)t-, -K(CR5R6)m(Aa)r(CR7R8)n(OCH2CH2)t-, -K(CR5R6)m(CR7R8)n-(Aa)r(OCH2CH2)t-, -K(Aa)r-(CR5R6)m(CR7R8)n(OCH2CH2)t-, -K(CR5R6)m-(CR7R8)n(OCH2-CH2)r(Aa)t-, -K(CR5R6)m-(CR7=CR8)(CR9R10)n(Aa)t(OCH2CH2)r-, -K(CR5R6)m-(NR11CO-)(Aa)t(CR9R10)n(OCH2CH2)r-, -K(CR5R6)m(Aa)t(NR11CO)(CR9R10)n(OCH2CH2)r-, -K(CR5R6)m(OCO)(Aa)t(CR9R10)n-(OCH2CH2)r-, -K(CR5R6)m(OCNR7)(Aa)t(CR9R10)n-(OCH2CH2)r-, -K(CR5R6)m(CO)(Aa)t-(CR9R10)n(OCH2CH2)r-, -K(CR5R6)m(NR11CO)(Aa)t-(CR9R10)n(OCH2CH2)r-, -K(CR5R6)m-(OCO)(Aa)t(CR9R10)n(OCH2CH2)r-, -K(CR5R6)m-(OCNR7)(Aa)t(CR9R10)n(OCH2CH2)r-, -K-(CR5R6)m(CO)(Aa)t(CR9R10)n(OCH2CH2)r-, -K(CR5R6)m-페닐-CO(Aa)t(CR7R8)n-, -K-(CR5R6)m-퓨릴-CO(Aa)t-(CR7R8)n-, -K(CR5R6)m-옥사졸릴-CO(Aa)t-(CR7R8)n-, -K(CR5R6)m-티아졸릴-CO(Aa)t-(CR7R8)n-, -K(CR5R6)t-티엔일-CO(CR7R8)n-, -K(CR5R6)t이미다졸릴-코-(CR7R8)n-, -K(CR5R6)t-몰폴리노-코-(Aa)t(CR7R8)n-, -K(CR5R6)t-피페라지노-CO(Aa)t-(CR7R8)n-, -K(CR5R6)t-N-메틸피페라진-CO(Aa)t(CR7R8)n-, -K(CR5R)m-(Aa)t페닐, -K-(CR5R6)m-(Aa)t퓨릴-, -K(CR5R6)m-옥사졸릴(Aa)t-, -K(CR5R6)m-티아졸릴(Aa)t-, -K(CR5R6)m-티엔일-(Aa)t-, -K(CR5R6)m-이미다졸릴(Aa)t-, -K(CR5R6)m-몰폴리노(Aa)t-, -K(CR5R6)m-피페라지노-(Aa)t-, -K(CR5R6)m-N-메틸피페라지노(Aa)t-(식 중, m, Aa, m 및 n은 상기에 기재되어 있고; t 및 r은 독립적으로 0 내지 100이며; R3, R4, R5, R6, R7 및 R8는 H; 할라이드; C1~C8 알킬; C2~C8 아릴, 알켄일, 알킨일, 에터, 에스터, 아민 또는 아마이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되, 이들은 하나 이상의 할라이드, CN, NR1R2, CF3, OR1, 아릴, 헤테로사이클, S(O)R1, SO2R1, -CO2H, -SO3H, -OR1, -CO2R1, -CONR1, -PO2R1R2, -PO3H 또는 P(O)R1R2R3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치환되고; K는 NR1, -SS-, -C(=O)-, -C(=O)NH-, -C(=O)O-, -C=NH-O-, -C=N-NH-, -C(=O)NH-NH-, O, S, Se, B, Het(C3-C8을 갖는 복소환식 또는 헤테로방향족 고리) 또는 1 내지 20개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펩타이드임).
  9.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접합체 화합물은 하기 a-01 내지 a-100의 구조,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또는 수화된 염; 또는 이들 화합물의 다형성 결정 구조; 이들의 광학 이성질체, 라세미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또는 거울상이성질체를 갖는, 측쇄-링키징된 접합체 화합물:
    Figure pct00439

    Figure pct00440

    Figure pct00441

    Figure pct00442

    Figure pct00443

    Figure pct00444

    Figure pct00445

    Figure pct00446

    Figure pct00447

    Figure pct00448

    Figure pct00449

    Figure pct00450

    Figure pct00451

    Figure pct00452

    Figure pct00453

    Figure pct00454

    Figure pct00455

    Figure pct00456

    식 중, mAb는 항체 또는 세포-결합 분자이고; Z3 및 Z3은 독립적으로 H, OH, NH2, O, NH, COOH, COO, C(O), C(O), C(O)NH, C(O)NH2, R18, OCH2OP(O)(OR18)2, OC(O)OP(O)(OR18)2, OPO(OR18)2, NHPO(OR18)2, OP(O)(OR18)O-P(O)(OR18)2, OC(O)R18, OC(O)NHR18, OSO2(OR18),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또는 헤테로알킬의 O-(C4-C12-글리코사이드); C2-C8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켄일, 알킨일, 알킬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3-C8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아릴, Ar-알킬, 복소환식, 탄소환식,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알킬사이클로알킬, 알킬카보닐, 헤테로아릴; 카보네이트(-C(O)OR17), 카바메이트(-C(O)NR17R18)이거나;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약 88달톤 내지 약 20kDa의 분자량을 갖고; R17 및 R18는 독립적으로 H,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또는 헤테로알킬; C2-C8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켄일, 알킨일, 알킬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3-C8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아릴, Ar-알킬, 복소환식, 탄소환식,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알킬사이클로알킬, 알킬카보닐, 헤테로아릴; 카보네이트(-C(O)OR17), 카바메이트(-C(O)NR17R18)이며; R19는 H, OH, NH2, OSO2(OR18), XCH2OP(O)(OR18)2, XPO(OR18)2, XC(O)OP(O)(OR18)2, XC(O)R18, XC(O)NHR18, C1~C8 알킬 또는 카복실레이트; C2~C8 알켄일, 알킨일, 알킬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3~C8 아릴 또는 알킬카보닐; 또는 약제학적 염이며; X, X1, X2 및 X3은 독립적으로 O, S, NH, NHNH, 또는 CH2이고; q1, q2 및 q3은 0 내지 24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p, p1 및 p2는 독립적으로 1 내지 100이고; R1', R2', R3' 및 R4'는 H 및 C1-C6 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Aa는 자연 또는 비자연 아미노산이고; r은 0 내지 12이며; (Aa)r은 r이 2보다 큰 경우 동일하거나 상이한 서열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펩타이드이고; r이 0이라는 것은 (Aa)r가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하고; m 및 n은 독립적으로 1 내지 30이다.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II)의 측쇄-링키징된 접합체 화합물은 하기 b-01 내지 b-29의 구조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또는 수화된 염; 또는 이들 화합물의 다형성 결정 구조; 이들의 광학 이성질체, 라세미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또는 거울상이성질체를 갖는, 측쇄-링키징된 접합체 화합물:
    Figure pct00457

    Figure pct00458

    Figure pct00459

    Figure pct00460

    Figure pct00461

    Figure pct00462

    Figure pct00463

    Figure pct00464

    식 중, mAb, X1, X2, X3, p1, p2, p3, q1, q2, (Aa)r, M 및 n은 상기에 기재되어 있다.
  11. 제3항에 있어서, 화학식 (IV)의 화합물은 하기 구조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또는 수화된 염; 또는 이들 화합물의 다형성 결정 구조; 이들의 광학 이성질체, 라세미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또는 거울상이성질체를 갖는, 측쇄-링키징된 접합체 화합물:
    Figure pct00465

    Figure pct00466

    Figure pct00467

    Figure pct00468

    Figure pct00469

    Figure pct00470

    Figure pct00471

    Figure pct00472

    Figure pct00473

    Figure pct00474

    Figure pct00475

    Figure pct00476

    Figure pct00477

    Figure pct00478

    Figure pct00479

    Figure pct00480

    Figure pct00481

    식 중, X1, X2, X3, Z2, Z3, p, p1, p2, p3, q1, q2, Lv3, (Aa)r, R25, R25' 및 m은 상기에 기재되어 있다.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V)의 화합물은 하기 d-01 내지 d-26으로부터 선택된 구조를 갖는, 측쇄-링키지 화합물:
    Figure pct00482

    Figure pct00483

    Figure pct00484

    Figure pct00485

    Figure pct00486

    Figure pct00487

    식 중, X1, X2, X3, Z2, Z3, p, p1, p2, p3, q1, q2, Lv3, (Aa)r, R25, R25' 및 m은 상기에 기재되어 있다.
  13. 제1항, 제2항, 제9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결합제/세포 결합 분자는 하기 (A) 내지 (D)로부터 선택되는, 측쇄-링키징된 접합체 화합물:
    (A): 항체, 단백질, 프로바디, 나노바디, 비타민(엽산염 포함), 펩타이드, 중합체 마이셀, 리포솜, 지질단백질계 약물 담체, 나노입자 약물 담체, 덴드리머, 및 세포-결합 리간드로 코팅 또는 연결된 분자 또는 입자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
    (B): 항체-유사 단백질, 전장 항체(다클론성 항체, 단클론성 항체, 항체 이량체, 항체 다량체), 또는 다중특이적 항체(이중특이적 항체, 삼중특이적 항체 또는 사중특이적 항체로부터 선택됨); 단일 쇄 항체, 표적 세포에 결합하는 항체 단편, 단클론성 항체, 단일 쇄 단클론성 항체, 또는 표적 세포에 결합하는 단클론성 항체 단편, 키메라 항체, 표적 세포에 결합하는 키메라 항체 단편, 도메인 항체, 표적 세포에 결합하는 도메인 항체 단편, 리서페이스트(resurfaced) 항체, 리서페이스트 단일 쇄 항체, 또는 표적 세포에 결합하는 리서페이스트 항체 단편, 인간화된 항체 또는 리서페이스트 항체, 인간화된 단일 쇄 항체, 또는 표적 세포에 결합하는 인간화된 항체 단편, 항이디오타입(항-Id) 항체, CDR, 다이아바디, 트라이아바디, 테트라바디, 미니항체, 프로바디, 프로바디 단편, 작은 면역 단백질(small immune proteins: SIP), 림포카인, 호르몬, 비타민, 성장 인자, 집락 자극 인자, 영양분-수송 분자, 고분자량 단백질, 융합 단백질, 카이나제 저해제, 유전자-표적화제, 항체 또는 고분자량 단백질로 변형된 나노입자 또는 중합체;
    (C): 하기로부터 선택된 세포-결합 리간드 또는 수용체 효능제: 엽산염 유도체; 글루탐산 유레아 유도체; 소마토스타틴 및 이의 유사체(옥트레오타이드(산도스타틴) 및 란레오타이드(소마툴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방향족 설폰아마이드; 뇌하수체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라제 활성화 펩타이드(PACAP)(PAC1); 혈관활성 장 펩타이드(VIP/PACAP)(VPAC1, VPAC2); 멜라닌세포-자극 호르몬(α-MSH); 콜레시스토키닌(CCK)/가스트린 수용체 효능제; 봄베신(Pyr-Gln-Arg-Leu-Gly-Asn-Gln-Trp-Ala-Val-Gly-His-Leu-Met-NH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가스트린-방출 펩타이드(GRP); 뉴로텐신 수용체 리간드(NTR1, NTR2, NTR3); 물질 P(NK1 수용체) 리간드; 뉴로펩타이드 Y(Y1-Y6); RGD(Arg-Gly-Asp), NGR(Asn-Gly-Arg), 이량체 및 다량체 환식 RGD 펩타이드(cRGDfV로부터 선택됨), TAASGVRSMH 및 LTLRWVGLMS(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 NG2 수용체 리간드) 및 F3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호밍(Homing) 펩타이드; 세포 침투성 펩타이드(CPP); 부세렐린(Pyr-His-Trp-Ser-Tyr-D-Ser(OtBu)-Leu-Arg-Pro-NHEt), 고나도렐린(Pyr-His-Trp-Ser-Tyr-Gly-Leu-Arg-Pro-Gly-NH2), 고세렐린(Pyr-His-Trp-Ser-Tyr-D-Ser(OtBu)-Leu-Arg-Pro-AzGly-NH2), 히스트렐린(Pyr-His-Trp-Ser-Tyr-D-His(N-벤질)-Leu-Arg-Pro-NHEt), 류프롤라이드(Pyr-His-Trp-Ser-Tyr-D-Leu-Leu-Arg-Pro-NHEt), 나파렐린(Pyr-His-Trp-Ser-Tyr-2Nal-Leu-Arg-Pro-Gly-NH2), 트라이프토렐린(Pyr-His-Trp-Ser-Tyr-D-Trp-Leu-Arg-Pro-Gly-NH2), 나파렐린, 데슬로렐린, 아바렐릭스(Ac-D-2Nal-D-4-클로로Phe-D-3-(3-피리딜)Ala-Ser-(N-Me)Tyr-D-Asn-Leu-아이소프로필Lys-Pro-DAla-NH2), 세트로렐릭스(Ac-D-2Nal-D-4-클로로Phe-D-3-(3-피리딜)Ala-Ser-Tyr-D-Cit-Leu-Arg-Pro-D-Ala-NH2), 데가렐릭스(Ac-D-2Nal-D-4-클로로Phe-D-3-(3-피리딜)Ala-Ser-4-아미노Phe(L-하이드로오로틸)-D-4-아미노Phe(카바모일)-Leu-아이소프로필Lys-Pro-D-Ala-NH2), 및 가니렐릭스(Ac-D-2Nal-D-4-클로로Phe-D-3-(3-피리딜)Ala-Ser-Tyr-D-(N9, N10-다이에틸)-호모Arg-Leu-(N9, N10-다이에틸)-호모Arg-Pro-D-Ala-NH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황체 형성 호르몬 방출 호르몬(LHRH) 효능제 및 길항제, 및 성선 자극 호르몬 방출 호르몬(GnRH) 효능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타이드 호르몬(난포 자극 호르몬(FSH) 및 황체형성 호르몬(LH)뿐만 아니라 테스토르테론 생산을 표적으로 함으로써 작용함); 톨-유사 수용체(TLR) 리간드, C형 렉틴 및 노드유사(Nodlike) 수용체(NLR) 리간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패턴 인식 수용체(PRR); 칼시토닌 수용체 효능제; 인테그린 수용체 및 이의 수용체 아형(αVβ1, αVβ3, αVβ5, αVβ6, α6β4, α7β1, αLβ2, αIIbβ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효능제(GRGDSPK, 사이클로(RGDfV)(L1) 및 이의 유도체[사이클로(-N(Me)R-GDfV), 사이클로(R-Sar-DfV), 사이클로(RG-N(Me)D-fV), 사이클로(RGD-N(Me)f-V), 사이클로(RGDf-N(Me)V-)(실렌지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나노바디(VHH(카멜리드 Ig)의 유도체); 도메인 항체(dAb, VH 또는 VL 도메인의 유도체); 이중특이적 T 세포 인게이저(Bispecific T cell Engager: BiTE, 이중특이적 다이아바디); 이중 친화성 재표적화(Dual Affinity ReTargeting: DART, 이중특이적 다이아바디); 4가 탠덤 항체(TandAb, 이량체화된 이중특이적 다이아바디); 안티칼린(리포칼린의 유도체); 어드넥틴(제10 FN3(피브리노넥틴)); 설계된 안키린 반복 단백질(Designed Ankyrin Repeat Protein: DARPin); 아비머; EGF 수용체 또는 VEGF 수용체 효능제;
    (D): 하기로부터 선택된 세포-결합 분자/리간드 또는 세포 수용체 효능제의 소분자: 하기 구조로 도시된 LB01(엽산염 접합체), LB02(PMSA 리간드 접합체), LB03(PMSA 리간드 접합체), LB04(PMSA 리간드 접합체), LB05(소마토스타틴 접합체), LB06(소마토스타틴 접합체), LB07(옥트레오타이드, 소마토스타틴 유사체 접합체), LB08(란레오타이드, 소마토스타틴 유사체 접합체), LB09(바프레오타이드(Sanvar), 소마토스타틴 유사체 접합체), LB10(CAIX 리간드 접합체), LB11(CAIX 리간드 접합체), LB12(가스트린 방출 펩타이드 수용체(GRPr), MBA 접합체), LB13(황체형성 호르몬-방출 호르몬(LH-RH) 리간드 및 GnRH 접합체), LB14(황체형성 호르몬-방출 호르몬(LH-RH) 및 GnRH 리간드 접합체), LB15(GnRH 길항제, 아바렐릭스 접합체), LB16(코발라민, 비타민 B12 유사체 접합체), LB17(코발라민, 비타민 B12 유사체 접합체), LB18(αvβ3 인테그린 수용체의 경우, 환식 RGD 펜타펩타이드 접합체), LB19(VEGF 수용체의 경우 이종-2가 펩타이드 리간드 접합체), LB20(뉴로메딘 B 접합체), LB21(G-단백질 커플드 수용체의 경우 봄베신 접합체), LB22(톨-유사 수용체의 경우 TLR2 접합체), LB23(안드로겐 수용체의 경우), LB24(αv 인테그린 수용체의 경우 실렌지타이드/사이클로(-RGDfV-) 접합체), LB23(플루드로코티손 접합체), LB25(리파부틴 유사체 접합체), LB26(리파부틴 유사체 접합체), LB27(리파부틴 유사체 접합체), LB28(플루드로코티손 접합체), LB29(덱사메타손 접합체), LB30(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접합체), LB31(베클로메타손 다이-프로피오네이트 접합체), LB32(트라이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 접합체), LB33(프레드니손 접합체), LB34(프레드니솔론 접합체), LB35(메틸프레드니솔론 접합체), LB36(베타메타손 접합체), LB37(이리노테칸 유사체 접합체), LB38(크리조티닙 유사체 접합체), LB39(보르테조밉 유사체 접합체), LB40(카필조밉 유사체 접합체), LB41(카필조밉 유사체 접합체), LB42 (류프롤라이드 유사체 접합체), LB43(트립토렐린 유사체 접합체), LB44(클린다마이신 접합체), LB45(리라글루타이드 유사체 접합체), LB46(세마글루타이드 유사체 접합체), LB47(레타파물린 유사체 접합체), LB48(인디불린 유사체 접합체), LB49(빈블라스틴 유사체 접합체), LB50(릭시세나타이드 유사체 접합체), LB51(오시머티닙 유사체 접합체) LB52(뉴클레오사이드 유사체 접합체), LB53(에를로티닙 유사체 접합체) 및 LB54(라파티닙 유사체 접합체):
    Figure pct00488

    Figure pct00489

    Figure pct00490

    Figure pct00491

    Figure pct00492

    Figure pct00493

    Figure pct00494

    Figure pct00495

    Figure pct00496

    Figure pct00497

    Figure pct00498

    (식 중, "
    Figure pct00499
    "는 본 특허의 측쇄 링커를 연결하는 부위이고; X4 및 Y1은 독립적으로 O, NH, NHNH, NR1, S, C(O)O, C(O)NH, OC(O)NH, OC(O)O, NHC(O)NH, NHC(O)S, OC(O)N(R1), N(R1)C(O)N(R1), CH2, C(O)NHNHC(O) 및 C(O)NR1이며; X1은 H, CH2, OH, O, C(O), C(O)NH, C(O)N(R1), R1, NHR1, NR1, C(O)R1 또는 C(O)O이고; X5는 H, CH3, F 또는 Cl이며; M1 및 M2는 독립적으로 H, Na, K, Ca, Mg, NH4, N(R1R2R3 R4)이고; R1, R2, R3 및 R4는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음)
  14. 제1항, 제2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결합 분자, T는, 화학식 (I) 및 (III)의 V1 및/또는 V2에 연결되는 경우, 또는 T가 화학식 (I) 및 (III)의 L1 및/또는 L2에 직접 연결되어, V1 및/또는 V2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하기 링키지 구조 중 하나를 갖는, 측쇄-링키징된 접합체 화합물:
    Figure pct00500

    Figure pct00501

    (식 중, R20 및 R21은 독립적으로 C1~C8 알킬; C2~C8 헤테로알킬 또는 복소환식; C3~C8 아릴, Ar-알킬, 사이클로알킬, 알킬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알킬사이클로알킬, 탄소환식 또는 알킬카보닐; 또는 (CH2CH2O)p의 화학식을 갖는 C2-C100 폴리에틸렌 글리콜임).
  15. 제1항, 제2항, 제9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결합제/세포 결합 분자는 종양 세포, 바이러스 감염 세포, 미생물 감염 세포, 기생충 감염 세포, 자가면역 질환 세포, 활성화된 종양 세포, 골수 세포, 활성화된 T-세포, 영향을 미치는(affecting) B 세포, 또는 멜라닌세포 또는 하기 항원 또는 수용체 중 임의의 하나를 발현하는 임의의 세포: CD1, CD1a, CD1b, CD1c, CD1d, CD1e, CD2, CD3, CD3d, CD3e, CD3g, CD4, CD5, CD6, CD7, CD8, CD8a, CD8b, CD9, CD10, CD11a, CD11b, CD11c, CD11d, CD12w, CD14, CD15, CD16, CD16a, CD16b, CDw17, CD18, CD19, CD20, CD21, CD22, CD23, CD24, CD25, CD26, CD27, CD28, CD29, CD30, CD31, CD32, CD32a, CD32b, CD33, CD34, CD35, CD36, CD37, CD38, CD39, CD40, CD41, CD42, CD42a, CD42b, CD42c, CD42d, CD43, CD44, CD45, CD46, CD47, CD48, CD49b, CD49c, CD49c, CD49d, CD49f, CD50, CD51, CD52, CD53, CD54, CD55, CD56, CD57, CD58, CD59, CD60, CD60a, CD60b, CD60c, CD61, CD62E, CD62L, CD62P, CD63, CD64, CD65, CD65s, CD66, CD66a, CD66b, CD66c, CD66d, CD66e, CD66f, CD67, CD68, CD69, CD70, CD71, CD72, CD73, CD74, CD75, CD75s, CD76, CD77, CD78, CD79, CD79a, CD79b, CD80, CD81, CD82, CD83, CD84, CD85, CD85a, CD85b, CD85c, CD85d, CD85e, CD85f, CD85g, CD85g, CD85i, CD85j, CD85k, CD85m, CD86, CD87, CD88, CD89, CD90, CD91, CD92, CD93, CD94, CD95, CD96, CD97, CD98, CD99, CD100, CD101, CD102, CD103, CD104, CD105, CD106, CD107, CD107a, CD107b, CD108, CD109, CD110, CD111, CD112, CD113, CD114, CD115, CD116, CD117, CD118, CD119, CD120, CD120a, CD120b, CD121, CD121a, CD121b, CD122, CD123, CD123a, CD124, CD125, CD126, CD127, CD128, CD129, CD130, CD131, CD132, CD133, CD134, CD135, CD136, CD137, CD138, CD139, CD140, CD140a, CD140b, CD141, CD142, CD143, CD144, CD145, CDw145, CD146, CD147, CD148, CD149, CD150, CD151, CD152, CD153, CD154, CD155, CD156, CD156a, CD156b, CD156c, CD156d, CD157, CD158, CD158a, CD158b1, CD158b2, CD158c, CD158d, CD158e1, CD158e2, CD158f2, CD158g, CD158h, CD158i, CD158j, CD158k, CD159, CD159a, CD159b, CD159c, CD160, CD161, CD162, CD163, CD164, CD165, CD166, CD167, CD167a, CD167b, CD168, CD169, CD170, CD171, CD172, CD172a, CD172b, CD172g, CD173, CD174, CD175, CD175s, CD176, CD177, CD178, CD179, CD179a, CD179b, CD180, CD181, CD182, CD183, CD184, CD185, CD186, CDw186, CD187, CD188, CD189, CD190, CD191, CD192, CD193, CD194, CD195, CD196, CD197, CD198, CD199, CDw198, CDw199, CD200, CD201, CD202, CD202(a, b), CD203, CD203c, CD204, CD205, CD206, CD207, CD208, CD209, CD210, CDw210a, CDw210b, CD211, CD212, CD213, CD213a1, CD213a2, CD214, CD215, CD216, CD217, CD218, CD218a, CD218, CD21b9, CD220, CD221, CD222, CD223, CD224, CD225, CD226, CD227, CD228, CD229, CD230, CD231, CD232, CD233, CD234, CD235, CD235a, CD235b, CD236, CD237, CD238, CD239, CD240, CD240ce, CD240d, CD241, CD242, CD243, CD244, CD245, CD246, CD247, CD248, CD249, CD250, CD251, CD252, CD253, CD254, CD255, CD256, CD257, CD258, CD259, CD260, CD261, CD262, CD263, CD264, CD265, CD266, CD267, CD268, CD269, CD270, CD271, CD272, CD273, CD274, CD275, CD276, CD277, CD278, CD279, CD281, CD282, CD283, CD284, CD285, CD286, CD287, CD288, CD289, CD290, CD291, CD292, CD293, CD294, CD295, CD296, CD297, CD298, CD299, CD300, CD300a, CD300b, CD300c, CD301, CD302, CD303, CD304, CD305, CD306, CD307, CD307a, CD307b, CD307c, CD307d, CD307e, CD307f, CD308, CD309, CD310, CD311, CD312, CD313, CD314, CD315, CD316, CD317, CD318, CD319, CD320, CD321, CD322, CD323, CD324, CD325, CD326, CD327, CD328, CD329, CD330, CD331, CD332, CD333, CD334, CD335, CD336, CD337, CD338, CD339, CD340, CD341, CD342, CD343, CD344, CD345, CD346, CD347, CD348, CD349, CD350, CD351, CD352, CD353, CD354, CD355, CD356, CD357, CD358, CD359, CD360, CD361, CD362, CD363, CD364, CD365, CD366, CD367, CD368, CD369, CD370, CD371, CD372, CD373, CD374, CD375, CD376, CD377, CD378, CD379, CD381, CD382, CD383, CD384, CD385, CD386, CD387, CD388, CD389, CRIPTO, CRIPTO, CR, CR1, CRGF, CRIPTO, CXCR5, LY64, TDGF1, 4-1BB, APO2, ASLG659, BMPR1B, 4-1BB, 5AC, 5T4(영양아층 당단백질, TPBG, 5T4, Wnt-활성화 저해인자 1 또는 WAIF1), 선암 항원, AGS-5, AGS-22M6, 액티빈 수용체-유사 카이나제 1, AFP, AKAP-4, ALK, 알파 인테그린, 알파 v 베타6, 아미노-펩티다제 N, 아밀로이드 베타, 안드로겐 수용체, 안지오포이에틴 2, 안지오포이에틴 3, 아넥신 A1, 탄저균 독소 예방 항원, 항-트랜스페린 수용체, AOC3(VAP-1), B7-H3, 바실루스 안트라시스 안트랙스(Bacillus anthracis anthrax), BAFF(B-세포 활성화 인자), BCMA, B-림프종 세포, 브크라블(bcrabl), 봄베신(Bombesin), BORIS, C5, C242 항원, CA125(탄수화물 항원 125, MUC16), CA-IX(또는 CAIX, 탄산 탈수효소 9), CALLA, CanAg, 카니스 루프스 파밀리아스(Canis lupus familiaris) IL31, 탄산 탈수효소 IX, 심장 마이오신, CCL11(C-C 모티프 케모카인 11), CCR4(C-C 케모카인 수용체 타입 4), CCR5, CD3E(엡실론), CEA(암배아 항원), CEACAM3, CEACAM5(암배아 항원), CFD(인자 D), Ch4D5, 콜레시스토키닌 2(CCK2R), CLDN18(클라우딘-18), 클럼핑(Clumping) 인자 A, cMet, CRIPTO, FCSF1R(집락 자극 인자 1 수용체), CSF2(집락 자극 인자 2, 과립구 대식세포 집락 자극 인자(GM-CSF)), CSP4, CTLA4(세포독성 T-림프구 연관 단백질 4), CTAA16.88 종양 항원, CXCR4, C-X-C 케모카인 수용체 타입 4, 환식 ADP 리보스 가수분해효소, 사이클린(Cyclin) B1, CYP1B1,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당단백질 B, 다비가트란(Dabigatran), DLL3(델타-유사-리간드 3), DLL4(델타-유사-리간드 4), DPP4(다이펩티딜-펩티다제 4), DR5(사멸 수용체 5), 이. 콜라이 시가(shiga) 독소 타입-1, 이. 콜라이 시가 독소 타입-2, ED-B, EGFL7(EGF-유사 도메인-함유 단백질 7), EGFR, EGFRII, EGFRvIII, 엔도글린, 엔도텔린 B 수용체, 엔도톡신, EpCAM(상피 세포 접착 분자), EphA2, 에피시알린, ERBB2(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 2), ERBB3, ERG(TMPRSS2 ETS 융합 유전자), 에쉐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ETV6-AML, FAP(섬유모세포 활성화 단백질 알파), FCGR1, 알파-페토프로테인, 피브린 II, 베타 쇄, 피브리노넥틴 엑스트라 도메인-B, FOLR(엽산염 수용체), 엽산염 수용체 알파, 엽산염 가수분해효소, 호흡기 융합 바이러스의 포스-관련(Fos-related) 항원 1F 단백질, 프리즐드(Frizzled) 수용체, 푸코실 GM1, GD2 강글리오사이드, G-28(세포 표면 항원 글리볼리피드), GD3 이디오타입, GloboH, 글리피칸 3, N-글리콜릴뉴라민산, GM3, GMCSF 수용체 α-쇄, 성장 분화 인자 8, GP100, GPNMB(막관통 당단백질 NMB), GUCY2C(구아닐레이트 고리화효소 2C, 구아닐릴 고리화효소 C(GC-C), 장내 구아닐레이트 고리화효소, 구아닐레이트 고리화효소-C 수용체, 열-안정성 엔테로톡신 수용체(hSTAR)), 열 충격 단백질, 헤마글루티닌, B형 간염 표면 항원, B형 간염 바이러스, HER1(인간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 1), HER2, HER2/neu, HER3(ERBB-3), IgG4, HGF/SF(간세포 성장 인자/산란 인자), HHGFR, HIV-1, 히스톤 복합체, HLA-DR(인간 백혈구 항원), HLA-DR10, HLA-DRB, HMWMAA, 인간 융모성 성선 자극 호르몬, HNGF, 인간 산란 인자 수용체 카이나제, HPV E6/E7, Hsp90, hTERT, ICAM-1(세포간 접착 분자 1), 이디오타입, IGF1R(IGF-1, 인슐린-유사 성장 인자 1 수용체), IGHE, IFN-γ, 인플루엔자 헤마글루티닌, IgE, IgE Fc 영역, IGHE, 인터류킨(IL-1, IL-2, IL-3, IL-4, IL-5, IL-6, IL-6R, IL-7, IL-8, IL-9, IL-10, IL-11, IL-12, IL-13, IL-15, IL-17, IL-17A, IL-18, IL-19, IL-20, IL-21, IL-22, IL-23, IL-27, 또는 IL-28 포함), IL31RA, ILGF2(인슐린-유사 성장 인자 2), 인테그린(α4, αIIbβ3, αvβ3, α4β7, α5β1, α6β4, α7β7, αllβ3, α5β5, αvβ5), 인터페론 감마-유도된 단백질, ITGA2, ITGB2, KIR2D, 카파 Ig, LCK, Le, 레구마인, 루이스-Y 항원, LFA-1(림프구 기능-연관 항원 1, CD11a), LHRH, LINGO-1, 리포테이코산, LIV1A, LMP2, LTA, MAD-CT-1, MAD-CT-2, MAGE-1, MAGE-2, MAGE-3, MAGE A1, MAGE A3, MAGE 4, MART1, MCP-1, MIF(대식세포 이동 저해 인자, 또는 글리코실화-저해 인자(GIF)), MS4A1(막-스패닝 4-도메인 서브패밀리 A 구성원 1), MSLN(메소텔린), MUC1(뮤신 1, 세포 표면 연관된(MUC1) 또는 다형성 상피 뮤신(PEM)), MUC1-KLH, MUC16(CA125), MCP1(단핵구 화학주성 단백질 1), MelanA/MART1,ML-IAP, MPG, MS4A1(막-스패닝 4-도메인 서브패밀리 A), MYCN, 미엘린-연관 당단백질, 미오스타틴, NA17, NARP-1, NCA-90(과립구 항원), 넥틴-4(ASG-22ME), NGF, 신경 세포자멸-조절 프로테이나제 1, NOGO-A, 노치 수용체, 뉴클레오린, Neu 종양유전자 산물, NY-BR-1, NY-ESO-1, OX-40, OxLDL(산화된 저밀도 지질단백질), OY-TES1, P21, p53 비돌연변이체, P97, Page4, PAP, 항-(N-글리콜릴뉴라민산)의 파라토프, PAX3, PAX5, PCSK9, PDCD1(PD-1, 세포 예정사 단백질 1), PDGF-Rα(알파형 혈소판-유래 성장 인자 수용체), PDGFR-β, PDL-1, PLAC1, PLAP-유사 고환 알칼리 포스파타제, 혈소판-유래 성장 인자 수용체 베타, 포스페이트-나트륨 공동 수용체, PMEL 17, 폴리시알산, 프로테이나제 3(PR1), 전립선 암종, PS(포스파티딜세린), 전립선 암종 세포, 슈도모나스 녹농균, PSMA, PSA, PSCA, 광견병 바이러스 당단백질, RHD(Rh 폴리펩타이드 1(RhPI)), 레서스(Rhesus) 인자, RANKL, RhoC, Ras 돌연변이체, RGS5, ROBO4, 호흡기 융합 바이러스, RON, ROR1, 육종 전위 파단점(Sarcoma translocation breakpoint), SART3, 스클레로스틴, SLAMF7(SLAM 패밀리 구성원 7), 셀렉틴 P, SDC1(신데칸 1), sLe(a), 소마토메딘 C, SIP(스핑고신-1-포스페이트), 소마토스타틴, 정자 단백질 17, SSX2, STEAP1(전립선의 6-막관통 상피 항원 1), STEAP2, STn, TAG-72(종양 연관 당단백질 72), 서바이빈, T-세포 수용체, T 세포 막관통 단백질, TEM1(종양 내피 마커 1), TENB2, 테나신 C(TN-C), TGF-α, TGF-β(형질전환 성장 인자 베타), TGF-β1, TGF-β2(형질전환 성장 인자-베타 2), 타이(Tie)(CD202b), 타이2, TIM-1(CDX-014), Tn, TNF, TNF-α, TNFRSF8, TNFRSF10B (종양 괴사 인자 수용체 슈퍼패밀리 구성원 10B), TNFRSF-13B(종양 괴사 인자 수용체 슈퍼패밀리 구성원 13B), TPBG(영양아층 당단백질), TRAIL-R1(종양 괴사 세포사멸 유도 리간드 수용체 1), TRAILR2(사멸 수용체 5(DR5)), 종양-연관 칼슘 신호 변환기 2, MUC1의 종양 특이적 글리코실화, TWEAK 수용체, TYRP1(당단백질 75), TRP-2, 타이로시나제, VCAM-1, VEGF, VEGF-A, VEGF-2, VEGFR-1, VEGFR2, 또는 비멘틴, WT1, XAGE 1; 또는 임의의 인슐린 성장 인자 수용체 또는 임의의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에 대해 표적화할 수 있는, 측쇄-링키징된 접합체 화합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종양 세포는 림프종 세포, 골수종 세포, 신장 세포, 유방암 세포, 전립선암 세포, 난소암 세포, 결장직장암 세포, 위암 세포, 편평세포암 세포, 소세포 폐암 세포, 비소세포 폐암 세포, 고환암 세포, 악성 세포, 또는 조절되지 않는 신속한 속도로 성장 및 분화되어 암을 유발하는 임의의 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측쇄-링키징된 접합체 화합물.
  17. 암 또는 자가면역 질환 또는 감염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치료적 유효량의 제1항, 제2항, 제9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접합체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 또는 이들 접합체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액체 제형 또는 제형화된 동결건조된 고체의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0.01% 내지 99%의 제1항, 제2항, 제9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1종 이상의 접합체; 0.0% 내지 20.0%의 1종 이상의 폴리올; 0.0% 내지 2.0%의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0.0% 내지 5.0%의 1종 이상의 보존제; 0.0% 내지 30%의 1종 이상의 아미노산; 0.0% 내지 5.0%의 1종 이상의 항산화제; 0.0% 내지 0.3%의 1종 이상의 금속 킬레이팅제; 0.0% 내지 30.0%의, 제형의 pH를 pH 4.5 내지 7.5로 조정하기 위한 1종 이상의 완충액 염; 및 0.0% 내지 30.0%의, 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해서 재구성되는 경우 삼투압을 약 250 내지 350mOsm로 조정하기 위한 1종 이상의 등장제를 포함하되;
    상기 폴리올은 프룩토스, 만노스, 말토스, 락토스, 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리보스, 람노스, 갈락토스, 글루코스, 수크로스, 트레할로스, 소보스, 멜레지토스, 리피토스,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트리톨, 말티톨, 락티톨, 에리트리톨, 트레이톨, 솔비톨, 글리세롤 또는 L-글루코네이트 및 이들의 금속염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5,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솔베이트 81 또는 폴리솔베이트 85, 폴록사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또는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트리톤;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SDS); 소듐 라우렐 설페이트; 소듐 옥틸 글리코사이드; 라우릴-, 미리스틸-, 리놀레일-, 또는 스테아릴-설포베타인; 라우릴-, 미리스틸-, 리놀레일- 또는 스테아릴-사코신; 리놀레일-, 미리스틸-, 또는 세틸-베타인; 라우로아미도프로필-, 코카미도프로필-, 리놀레아미도프로필-, 미리스트아미도프로필-, 팔미도프로필-, 또는 아이소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베타인(라우로아미도프로필); 미리스트아미도프로필-, 팔미도프로필-, 또는 아이소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다이메틸아민; 소듐 메틸 코코일-, 또는 다이소듐 메틸 올레일-타우레이트; 도데실 베타인, 도데실 다이메틸아민 옥사이드,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및 코코 암포 글리시네이트; 또는 아이소스테아릴 에틸이미도늄 에토설페이트; 폴리에틸 글리콜, 폴리프로필 글리콜, 및 에틸렌과 프로필렌 글리콜의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보존제는 벤질 알코올, 옥타데실다이메틸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 헥사메토늄 클로라이드,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벤즈에토늄 클로라이드, 페놀, 부틸 및 벤질 알코올, 알킬 파라벤, 예컨대, 메틸 또는 프로필 파라벤, 카테콜, 레소르시놀, 사이클로헥산올, 3-펜탄올, 또는 m-크레졸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아미노산은 아르기닌, 시스테인, 글리신, 라이신, 히스티딘, 오르니틴, 아이소류신, 류신, 알라닌, 글리신, 글루탐산 또는 아스파트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항산화제는 아스코르브산, 글루타티온, 시스틴 또는 메티오닌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킬레이팅제는 EDTA 또는 EGTA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완충제 염은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 글루콘산, 탄산, 타타르산, 석신산, 아세트산 또는 프탈산의 나트륨, 칼륨, 암모늄 또는 트라이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염; Tris 또는 트로메타민 염산염, 인산염 또는 황산염; 음이온성 아세테이트, 클로라이드, 포스페이트, 설페이트 또는 석시네이트염을 갖는 아르기닌, 글리신, 글리실글리신 또는 히스티딘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등장제는 만니톨, 솔비톨 또는 아세트산나트륨, 염화칼륨,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시트르산삼나트륨 또는 염화나트륨으로부터 선택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액체 또는 동결건조된 고체의 형태로, 바이알, 병, 사전 충전 주사기 또는 사전 충전 자동 주입 주사기에 보유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20. 시험관내, 생체내 또는 생체외 세포 사멸 활성도를 갖는, 제1항, 제2항, 제9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접합체 또는 제17항 또는 제18항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형태.
  21.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암 또는 자가면역 질환 또는 감염성 질환의 상승작용적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해서 화학치료제, 방사선 요법, 면역치료제, 자가면역 장애 치료제, 항감염제 또는 다른 접합체와 동시에 투여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 치료제는 하기로부터 선택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1) a) 알킬화제: 질소 머스타드: 클로람부실, 클로르나파진,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 다카바진, 에스트라무스틴, 이포스파마이드, 메클로레타민, 메클로레타민 옥사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만노머스틴, 미토브로니톨, 멜팔란, 미토락톨, 피포브로만, 노벰비친, 페네스테린, 프레드니무스틴, 티오테파, 트로포스파마이드, 우라실 머스타드; CC-1065 및 아데젤레신, 카젤레신 및 비젤레신 또는 이의 합성 유사체; 듀오카마이신 이의 합성 유사체, KW-2189, CBI-TMI 또는 CBI 이량체; 벤조다이아제핀 이량체 또는 피롤로벤조다이아제핀(PBD) 이량체, 또는 토마이마이신 이량체, 인돌리노벤조다이아제핀 이량체, 이미다조벤조티아다이아제핀 이량체 또는 옥사졸리디노벤조다이아제핀의 이량체; 나이트로소유레아: 카무스틴, 로무스틴, 클로로조토신, 포테무스틴, 니무스틴, 라니무스틴 포함; 알킬설포네이트: 부설판, 트레오설판, 임프로설판 및 피포설판 포함; 트라이아젠 또는 다카바진; 백금 함유 화합물: 카보플라틴, 시스플라틴 및 옥살리플라틴 포함; 아지리딘, 벤조도파, 카보쿠온, 메투레도파, 또는 우레도파; 알트레타민, 트라이에틸렌멜라민, 트라이에틸렌포스포아마이드, 트라이에틸렌티오포스포아마이드 및 트리메틸올로멜라민을 비롯한 에틸렌이민 및 메틸라멜라민으로부터 선택됨;
    b) 식물 알칼로이드: 빈카 알칼로이드: 빈크리스틴, 빈블라스틴, 빈데신, 비노렐빈 및 나벨빈을 포함함; 탁소이드(Taxoid): 파클리탁셀, 도세탁솔 및 이들의 유사체, DM1, DM2, DM3, DM4, DM5, DM6, DM7, 메이탄신 및 안사미토신 및 이들의 유사체를 포함하는 메이탄시노이드, 크립토파이신(크립토파이신 1 및 크립토파이신 8의 군을 포함함)을 포함함; 에포틸론, 엘레우테로빈, 디스코더몰리드, 브리오스타틴, 돌로스타틴, 오리스타틴, 튜불리신, 세팔로스타틴; 판크라티스타틴; 사르코딕틴; 스폰지스타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c) DNA 토포이소머라제 저해제: 에피포도필린스: 9-아미노캄프토테신, 캄프토테신, 크리나톨, 다우노마이신, 에토포사이드, 에토포사이드 포스페이트, 이리노테칸, 미토산트론, 노반트론, 레티노산(또는 레티놀), 테니포사이드, 토포테칸, 9-나이트로캄토테신 또는 RFS 2000을 포함함; 미토마이신 및 이들의 유사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d) 항대사제: {[항-엽산염: (DHFR 저해제: 메토트렉세이트, 트라이메트렉세이트, 데노프테린, 프테로프테린, 아미노프테린(4-아미노프테르 산) 또는 엽산 유사체 포함); IMP 탈수소효소 저해제: (마이코페놀산, 티아조퓨린, 리바비린, EICAR 포함); 리보뉴클레오타이드 환원효소 저해제: (하이드록시유레아, 데페록사민 포함)]; [피리미딘 유사체: 우라실 유사체: (안시타빈, 아자시티딘, 6-아자우리딘, 카페시타빈, 카모퍼, 시타라빈, 다이데옥시 우리딘, 독시플루리딘, 에노시타빈, 5-플루오로우라실, 플록스우리딘, 래티트렉세드 포함); 사이토신 유사체: (시타라빈, 사이토신 아라비노사이드, 플루다라빈 포함); 퓨린 유사체: (아자티오프린, 플루다라빈, 메르캅토퓨린, 티아민프린, 티오구아닌 포함)]; 엽산 보충제, 프롤린 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e) 호르몬 요법: 수용체 길항제: [항-에스트로겐: (메제스트롤, 랄록시펜, 타목시펜 포함); LHRH 효능제: (고스크르클린(goscrclin),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 포함); 항-안드로겐: (비칼루타마이드, 플루타마이드, 칼루스테론, 드로모스타놀론 프로피오네이트, 에피티오스타놀, 고세렐린, 류프롤라이드, 메피티오스탄, 닐루타마이드, 테스토락톤, 트릴로스탄 및 기타 안드로겐 저해제 포함)]; 레티노이드/델토이드: [비타민 D3 유사체: (CB 1093, EB 1089, KH 1060, 콜레칼시페롤, 에르고칼시페롤 포함); 광역학 요법: (베르트포르핀, 프탈로시아닌, 광민감제 Pc4, 데메톡시하이포크렐린 A 포함); 사이토카인: (인터페론-알파, 인터페론-감마, 종양 괴사 인자(TNF), TNF 도메인을 함유하는 인간 단백질 포함)]로부터 선택됨;
    f) 카이나제 저해제: BIBW 2992(항-EGFR/Erb2), 이마티닙, 제피티닙, 페갑타닙, 소라페닙, 다사티닙, 수니티닙, 에를로티닙, 닐로티닙, 라파티닙, 액시티닙, 파조파닙, 반데타닙, E7080(항-VEGFR2), 무브리티닙, 포나티닙, 바페티닙, 보수티닙,카보잔티닙, 비스모데집, 이니파립, 룩솔리티닙, CYT387, 악시티닙, 티보자닙, 소라페닙, 베바시주맙, 세툭시맙, 트라스투주맙, 라니비주맙, 파니투무맙, 이스피네십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g) 폴리(ADP-리보스) 중합효소(PARP) 저해제: 올라파립, 니라파립, 이니파립, 탈라조파립, 벨리파립, CEP 9722(세팔론사(Cephalon)), E7016(에이자이사(Eisai)), BGB-290(베이젠사(BeiGene)) 또는 3-아미노벤즈아미드의 군으로부터 선택됨;
    h) 항생제: 에네다이인 항생제(칼리케아미신, 칼리케아미신 γ1, δ1, α1 또는 β1; 다이네미신 A 및 데옥시다이네미신을 비롯한 다이네미신; 에스페라미신, 케다르시딘, C-1027, 마두로펩틴 또는 네오카르지노스타틴 발색단 및 관련 크로모프로테인 에네다이인 항생제 발색단의 군으로부터 선택됨), 아클라시노마이신, 액티노마이신, 오트라마이신, 아자세린, 블레오마이신, 칵티노마이신, 카라비신, 카미노마이신, 카르지노필린; 크로모마이신, 닥티노마이신, 다우노루비신, 데토루비신, 6-다이아조-5-옥소-L-노르류신, 독소루비신, 모폴리노-독소루비신, 사이아노모폴리노-독소루비신, 2-피롤리노-독소루비신 및 데옥시독소루비신, 에피루비신, 에리불린, 에소루비신, 이다루비신, 마르셀로마이신, 니토마이신, 마이코페놀산, 노갈라마이신, 올리보마이신, 페플로마이신, 폿퍼로마이신, 푸로마이신, 쿠엘라마이신, 로도루비신, 스트렙토니그린, 스트렙토조신, 투버시딘, 우베니멕스, 지노스타틴, 조루비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i) 폴리케타이드(아세토게닌), 불라타신 및 불라타시논, 겜시타빈, 에폭소미신 및 카필조밉, 보르테조밉, 탈리도마이드, 레날리도마이드, 포말리도마이드, 토세도스타트, 지브레스타트, PLX4032, STA-9090, 스티무박스, 알로벡틴-7, 엑세게바(Xegeva), 프로벤지, 에르보이(Yervoy), 단백지질화(Isoprenylation) 저해제 및 로바스타틴, 도파민성 신경독 및 1-메틸-4-페닐피리디늄 이온, 세포 사이클 저해제(스타우로스포린 포함), 악티노마이신(악티노마이신 D, 닥티노마이신 포함), 아마니틴, 블레오마이신(블레오마이신 A2, 블레오마이신 B2, 페플로마이신 포함), 안트라사이클린(다우노루비신, 독소루비신(아드리아마이신), 이다루비신, 에피루비신, 피라루비신, 조루비신, 엠톡산트론, MDR 저해제 또는 베라파밀, Ca2+ ATPase 저해제 또는 탑시가르긴,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저해제(보리노스타트, 로미뎁신, 파노비노스타트, 발프로산, 모세티노스타트(MGCD0103), 벨리노스타트, PCT-24781, 엔티노스타트, SB939, 레스미노스타트, 지비노스타트, AR-42, CUDC-101, 설포라판, 트리초스타틴 A 포함); 탑시가르긴, 셀레콕시브, 글리타존,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다이설피람, 살리노스포라마이드 A; 아미노글루트티미드, 미토탄, 트릴로스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항-아드레날; 아세글라톤; 알도포스파마이드 글리코사이드; 아미노레불린산; 암사크린; 아라비노사이드, 베스트라부실; 비산트렌; 에다트락세이트; 데포파민; 데메콜신; 디아지쿠온; 에플로니틴(DFMO), 엘포미틴; 엘립티늄 아세테이트, 에토글루시드; 갈륨 나이트레이트, 가사이토신, 하이드록시유레아; 이반드로네이트, 렌티난; 로니다민; 미토구아존; 미톡산트론; 모피다몰; 니트라크린; 펜토스타틴; 페나멧; 피라루비신; 포도필린산; 2-에틸하이드라자이드; 프로카바진; PSK®; 라족산; 리족신; 시조피란; 스피로게르마늄; 테누아존산; 트라이아지쿠온; 2,2',2"-트라이클로로트라이에틸아민; 트리초테센(T-2 톡신, 버루카린 A, 로리딘 A 및 안구이딘의 군 포함); 우레탄, siRNA, 안티센스 약물;
    (2) 항-자가면역 질환제: 사이클로스포린, 사이클로스포린 A, 아미노카프로 산, 아자티오프린, 브로모크립틴, 클로람부실, 클로로퀸,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 코르티코스테로이드(암시노나이드, 베타메타손, 부데소나이드, 하이드로코르티손, 플루니솔리드,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플루코톨론 다나졸, 덱사메타손, 트라이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 베클로메타손 다이프로피오네이트로 이루어진 군 포함), DHEA, 에나너셉트, 하이드록시클로로퀸, 인플릭시맙, 메록시캄, 메토트렉세이트, 모페틸, 마이코페닐레이트, 프레드니손, 시롤리무스, 타크롤리무스;
    (3) 하기 a) 내지 u)를 포함하는 항-감염성 질환제:
    a) 아미노글리코사이드: 아미카신, 아스트로미신, 젠타미신(네틸미신, 시소미신, 이세파미신), 하이그로마이신 B, 카나마이신(아미카신, 아르베카신, 베카나마이신, 디베카신, 토브라마이신), 네오마이신(프라마이세틴, 파로모마이신, 리보스타마이신), 네틸미신, 스펙티노마이신, 스트렙토마이신, 토브라마이신, 베르다미신;
    b) 암페니콜: 아지다페니콜, 클로람페니콜, 플로페니콜, 티암페니콜;
    c) 안사마이신: 젤다나마이신, 헤르비마이신;
    d) 카바페넴: 비아페넴, 도리페넴, 에르타페넴, 이미페넴, 실라스타틴, 메로페넴, 파니페넴;
    e) 세펨: 카바세펨(로라카르베프), 세파세트릴, 세파클로, 세프라딘, 세파드록실, 세팔로늄, 세팔로리딘, 세팔로틴 또는 세팔로씬, 세팔렉신, 세팔로글리신, 세파만돌, 세파피린, 세파트리진, 세파자플루, 세파제돈, 세파졸린, 세프부페라존, 세프카펜, 세프달록심, 세페핌, 세프미녹스, 세폭시틴, 세프프로질, 세프록사딘, 세프테졸, 세푸록심, 세픽심, 세프디니어, 세프디토렌, 세페핌, 세페타메트, 세프메녹심, 세포디짐, 세포니시드, 세포페라존, 세포라나이드, 세포탁심, 세포티암, 세포조프란, 세팔렉신, 세프피미졸, 세프피라마이드, 세프피롬, 세프포독심, 세프프로질, 세프퀴놈, 세프술로딘, 세프타지딤, 세프테람, 세프티부텐, 세프티올렌, 세프티족심, 세프토비프롤, 세프트리악손, 세푸록심, 세푸조남, 세파마이신(세폭시틴, 세폭테탄, 세프메타졸 포함), 옥사세펨(플로목세프, 라타목세프);
    f) 글리코펩타이드: 블레오마이신, 반코마이신(오리타반신, 텔라반신 포함), 테이코플라닌(달바반신), 라모플라닌;
    g) 글리실사이클린: 티게사이클린;
    h) β-락타마제 저해제: 페남(설박탐, 타조박탐), 클라밤(클라불란 산)
    i) 린코사마이드: 클린다마이신, 린코마이신;
    j) 리포펩타이드: 답토마이신, A54145, 칼슘-의존 항체(CDA);
    k) 마크롤리드: 아지트로마이신, 세트로마이신, 클라리트로마이신, 디리스트로마이신, 에리트로마이신, 플루리트로마이신, 요사마이신, 케톨리드(텔리트로마이신, 세트로마이신), 미데카마이신, 미오카마이신, 올레안도마이신, 리파마이신(리팜피신, 리팜핀, 리파부틴, 리파펩틴), 로키타마이신, 록시트로마이신, 스펙티노마이신, 스피라마이신, 타크롤리무스(FK506), 트롤레안도마이신, 텔리트로마이신;
    l) 모노박탐: 아즈트레오남, 티게모남;
    m) 옥사졸리디논: 리네졸리드;
    n) 페니실린: 아목시실린, 암피실린, 피밤피실린, 헤타실린, 바캄피실린, 메탐피실린, 탈람피실린, 아지도실린, 아즐로실린, 벤질페니실린, 벤자틴 벤질페니실린, 벤자틴 페녹시메틸페니실린, 클로메토실린, 프로카인 벤질페니실린, 카르베니실린(카린다실린), 클록사실린, 디클록사실린, 에피실린, 플루클록사실린, 메실리남(피브메실리남), 메즐로실린, 메티실린, 나프실린, 옥사실린, 페나메실린, 페니실린, 페네티실린, 페녹시메틸페니실린, 피페라실린, 프로피실린, 설베니실린, 테모실린, 티카르실린;
    o) 폴리펩타이드: 바시트라신, 콜리스틴, 폴리믹신 B;
    p) 퀴놀론: 알라트로플록사신, 발로플록사신,시프로플록사신, 클리나플록사신, 다노플록사신, 디플록사신, 에녹사신, 엔로플록사신, 플로신, 가레녹사신, 가티플록사신, 제미플록사신, 그레파플록사신, 카노 트로바플록사신, 레보플록사신, 로메플록사신, 마보플록사신, 목시플록사신, 나디플록사신, 노르플록사신, 오르비플록사신, 오플록사신, 페플록사신, 트로바플록사신, 그레파플록사신, 시타플록사신, 스파플록사신, 테마플록사신, 토수폴록사신, 트로바플록사신;
    q) 스트렙토그라민: 프리스티나마이신, 퀴누프리스틴/달포프리스틴;
    r) 설폰아마이드: 마페나이드, 프론토실, 설파세타마이드, 설파메티졸, 설파닐이미드, 설파살라진, 설프아이속사졸, 트라이메토프림, 트라이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코-트리목사졸);
    s) 스테로이드 항균제: 푸시드산으로부터 선택됨;
    t) 테트라사이클린: 독시사이클린, 클로르테트라사이클린, 클로모사이클린, 데메클로사이클린, 라임사이클린, 메클로사이클린, 메타사이클린, 미노사이클린, 옥시테트라사이클린, 페니메피사이클린, 롤리테트라사이클린, 테트라사이클린, 글리실사이클린(티게사이클린 포함);
    u) 기타 항생제: 안노나신, 아스페나민, 박토프레놀 저해제(바시트라신), DADAL/AR 저해제(사이클로세린), 딕티오스타틴, 디스코더몰리드, 엘레우테로빈, 에포틸론, 에탐부톨, 에토포사이드, 파로페넴, 푸시드산, 푸라졸리돈, 이소니아자이드, 라울리말리드, 메트로니다졸, 무피로신, 마이코락톤, NAM 합성 저해제(포스포마이신), 나이트로푸란토인, 파클리탁셀, 플래텐시마이신, 피라진아마이드, 퀴누프리스틴/달포프리스틴, 리팜피신(리팜핀), 타조박탐 티니다졸, 우바리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4) 하기 a) 내지 h)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성 약물:
    a) 유입/융합 저해제: 아프라비록, 마라비록, 비크리비록, gp41(엔푸비어타이드), PRO 140, CD4(이발리주납);
    b) 인테그라제 저해제: 랄테그라비어, 엘비테그라비어, 글로보이드난 A;
    c) 성숙 저해제: 베비리마트, 비베콘;
    d) 뉴라미니다제 저해제: 오셀타미비어, 자나미비어, 페라미비어;
    e) 뉴클레오사이드 및 뉴클레오타이드: 아바카비어, 아시클로비어, 아데포비어, 암독소비어, 아프리시타빈, 브리부딘, 시도포비어, 클레부딘, 덱셀부시타빈, 디다노신(ddI), 엘부시타빈, 엠트리시타빈(FTC), 엔테카비어, 팜사이클로비어, 플루오로우라실(5-FU), 3'-플루오로-치환된 2',3'-다이데옥시뉴클레오사이드 유사체(3'-플루오로-2',3'-다이데옥시티미딘(FLT) 및 3'-플루오로-2',3'-다이데옥시구아노신(FLG)로 이루어진 군 포함), 포미비르센, 간시클로비어, 이독스우리딘, 라미부딘(3TC), 1-뉴클레오사이드(β-1-티미딘 및 β-1,2'-데옥시사이티딘으로 이루어진 군 포함), 펜시클로비어, 라시비어, 리바비린, 스탬피딘, 스타부딘(d4T), 타리바비린(비라미딘), 텔비부딘, 테노포비어, 트리플루리딘, 발라시클로비어, 발간시클로비어, 잘시타빈(ddC), 지도부딘(AZT);
    f) 비-뉴클레오사이드: 아만타딘, 아테비리딘, 캡라비린, 다이아릴피리미딘(에트라비린, 릴피비린), 델라비르딘, 도코사놀, 에미비린, 에파비렌즈, 포스카르넷(포스포노폼산), 이미퀴모드, 인터페론 알파, 로비라이드, 로데노신, 메티사존, 네비라핀, NOV-205, 페그인터페론 알파, 포도필로톡신, 리팜피신, 리만타딘, 레시퀴모드(R-848), 트로만타딘;
    g) 프로테아제 저해제: 암프레나비어, 아타자나비어, 보세프레비어, 다루나비어, 포삼프레나비어, 인디나비어, 로피나비어, 넬피나비어, 플레코나릴, 리토나비어, 사퀴나비어, 텔라프레비어(VX-950), 팁라나비어;
    h) 기타 유형의 항-바이러스 약물: 아브자임, 아르비돌, 칼라놀라이드 a, 세라게닌, 사이아노비린-n, 다이아릴피리미딘,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 포스카르넷, 그리피쓰신, 타리바비린(비라미딘), 하이드록시유레아, KP-1461, 밀테포신, 플레코나릴, 포트만테우(portmanteau) 저해제, 리바비린, 셀리시클립.
    (5) 상기 약물 중 임의의 것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산, 유도체, 수화물 또는 수화된 염; 또는 결정 구조; 또는 광학 이성질체, 라세미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또는 거울상이성질체
  23. 제20항에 있어서, 상승작용제는 아바타셉트, 아베마시클립, 아비라테론 아세테이트, 아브락산, 아세트아미노펜/하이드로코돈, 아칼라브루티닙, 아두카누맙, 아달리무맙, ADXS31-142, ADXS-HER2, 아파티닙 다이말레에이트, 알데스류킨, 알렉티닙, 알렘투주맙, 알리트레티노인, 아도트라스투주맙 엠탄신, 암페타민/덱스트로암페타민, 아나스트로졸, 아리피프라졸, 안트라사이클린, 아리피프라졸, 아타자나비어, 아테졸리주맙, 아토바스타틴, 아벨루맙, 악시캅타젠 실로루셀(Axicabtagene ciloleucel), 악시티닙, 벨리노스타트, BCG(생), 베바시주맙, 벡사로텐, 블리나투모맙, 보르테조밉, 보수티닙, 브렌툭시맙 베도틴, 브리가티닙, 부데소나이드, 부데소나이드/포르모테롤, 부프레노핀, 카바지탁셀, 카보잔티닙, 캡마티닙, 카페시타빈, 카필조밉, 키메라 항원 수용체-조작 T(CAR-T) 세포, 셀레콕시브, 세리티닙, 세툭시맙, 시다마이드, 사이클로스포린, 시나칼세트, 크리조티닙, 코비메티닙, 코센틱스(Cosentyx), 크리조티닙, CTL019, 다비가트란, 다브라페닙, 다카바진, 다클리주맙, 다코모티닙, 댑토마이신, 다라투무맙, 다르베포에틴 알파, 다루나비어, 다사티닙, 데니류킨 디프티톡스, 데노수맙, 데파코테, 덱슬란소프라졸, 덱스메틸페니데이트, 덱사메타손, 디그니캡 쿨링 시스템, 디누툭시맙, 독시사이클린, 둘록세틴, 두벨리십, 두발루맙, 엘로투주맙, 엠트리시빈/릴피비린/테노포비어 디소프록실 퓨마레이트, 엠트리시트빈/테노포비어/에파비렌즈, 엔옥사파린, 엔사티닙, 엔자루타마이드, 에포에틴 알파, 에를로티닙, 에소메프라졸, 에스조피클론, 에타너셉트, 에베롤리무스, 엑세메스탄, 에버롤리무스, 엑세나타이드 ER, 에제티미베, 에제티미베/심바스타틴, 페노피브레이트, 필그라스팀, 핀골리모드,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플루티카손/살메테롤, 풀베스트란트, 가지바, 게피티닙, 글라티라머, 고세렐린 아세테이트, 이코티닙, 이마티닙, 이브리투모맙 티욱세탄, 이브루티닙, 이델라리십, 이포스파마이드, 인플릭시맙, 이미퀴모드, ImmuCyst, 이뮤노 BCG, 이니파립, 인슐린 아스파르트, 인슐린 데테미어, 인슐린 글라르긴, 인슐린 리스프로, 인터페론 알파, 인터페론 알파-1b, 인터페론 알파-2a, 인터페론 알파-2b, 인터페론 베타, 인터페론 베타 1a, 인터페론 베타 1b, 인터페론 감마-1a, 라파티닙, 이필리무맙, 이프라트로피움 브로마이드/살부타몰, 익사조밉, 카누마, 란레오타이드 아세테이트, 레날리도마이드, 레날리오마이드, 렌바티닙 메실레이트, 레트로졸, 레보티록신, 레보티록신, 리도카인, 리네졸리드, 리라글루타이드, 리스덱삼페타민, LN-144, 로라티닙, 메만틴, 메틸페니데이트, 메토프롤롤, 메킨니스트, 머리시타빈/릴피비린/테노포비어, 모달피닐, 모메타손, 미시댁(Mycidac)-C, 네시투무맙, 네라티닙, 닐로티닙, 니라파립, 니볼루맙, 오파투무맙, 오비누투주맙, 올라파립, 올메사탄, 올메사탄/하이드로클로로티아자이드, 오말리주맙, 오메가-3 지방산 에틸 에스터, 온코린, 오셀타미비어, 오시머티닙, 옥시코돈, 팔보시클립, 팔리비주맙, 파니투무맙 파노비노스타트, 파조파닙, 펨브롤리주맙, PD-1 항체, PD-L1 항체, 페메트렉세드, 페투주맙, 뉴모코칼 접합체 백신(Pneumococcal conjugate vaccine), 포말리도마이드, 프레가발린, 프로스카박스, 프로프라놀올, 퀘티아핀, 라베프라졸, 라듐 223 클로라이드, 랄록시펜, 랄테그라비어, 라무시루맙, 라니비주맙, 레고라페닙, 리보시클립, 리툭시맙, 리바옥사반, 로미뎁신, 로수바스타틴, 룩소리티닙 포스페이트, 살부타몰, 사볼리티닙, 세마글루타이드, 세베라머, 실데나필, 실툭시맙, 시풀류셀-T, 시타글립틴, 시타글립틴/메트포민, 솔리페나신, 솔라네주맙, 소니데깁, 소라페닙, 수니티닙, 타크롤리무스, 타크리무스, 타달라필, 타목시펜, 타핀라르, 탈리모진 라헤르파렙벡(Talimogene laherparepvec), 탈라조파립, 텔라프레비어, 탈라조파립, 테모졸로마이드, 템시롤리무스, 테노포비어/엠트리시타빈, 테노포비어 다이아이소프록실 퓨마레이트, 테스토스테론 젤, 탈리도마이드, TICE BCG, 티오트로피움 브로마이드, 티사겐레클류셀(Tisagenlecleucel), 토레미펜, 트라메티닙, 트라스투주맙, 트라벡테딘(엑테이나시딘(ecteinascidin) 743), 트라메티닙, 트레멜리무맙, 트라이플루리딘/티피라실, 트레티노인, Uro-BCG, 우스테키누맙, 발사탄, 벨리파립, 반데타닙, 베무라페닙, 베네토클락스, 보리노스타트, 지브-아플리베르셉트, 조스타박스 및 이들의 유사체, 유도체,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 또는 이들의 조합물 중 하나 또는 몇몇으로부터 선택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207019406A 2017-12-31 2017-12-31 분지형 링커를 갖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접합체 KR102603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17364A KR102641565B1 (ko) 2017-12-31 2017-12-31 분지형 링커를 갖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접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120454 WO2019127607A1 (en) 2017-12-31 2017-12-31 A conjugate of a tubulysin analog with branched linker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7364A Division KR102641565B1 (ko) 2017-12-31 2017-12-31 분지형 링커를 갖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접합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295A true KR20200097295A (ko) 2020-08-18
KR102603344B1 KR102603344B1 (ko) 2023-11-16

Family

ID=670649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9406A KR102603344B1 (ko) 2017-12-31 2017-12-31 분지형 링커를 갖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접합체
KR1020237017364A KR102641565B1 (ko) 2017-12-31 2017-12-31 분지형 링커를 갖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접합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7364A KR102641565B1 (ko) 2017-12-31 2017-12-31 분지형 링커를 갖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접합체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4) US20200276261A1 (ko)
EP (1) EP3621652A4 (ko)
JP (2) JP7262817B2 (ko)
KR (2) KR102603344B1 (ko)
CN (1) CN111093707A (ko)
AU (2) AU2017445144A1 (ko)
BR (1) BR112020010405A2 (ko)
CA (1) CA3085634C (ko)
CL (1) CL2020001600A1 (ko)
EA (1) EA202091217A1 (ko)
IL (1) IL275274A (ko)
MX (1) MX2020006192A (ko)
NZ (1) NZ764814A (ko)
PH (1) PH12020550657A1 (ko)
SG (1) SG11202004801WA (ko)
WO (1) WO2019127607A1 (ko)
ZA (1) ZA2020032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3281B2 (en) 2012-07-12 2024-01-16 Hangzhou Dac Biotech Co., Ltd. Conjugates of cell binding molecules with cytotoxic agents
HUE048574T2 (hu) 2012-07-12 2020-08-28 Hangzhou Dac Biotech Co Ltd Sejthez kötõdõ molekulák citotoxikus szerekkel képzett konjugátumai
US10093731B2 (en) 2017-02-24 2018-10-09 Kindred Biosciences, Inc. Anti-IL31 antibodies for veterinary use
EP3986476A4 (en) * 2019-06-24 2023-11-15 Hangzhou Dac Biotech Co., Ltd. FORMULATION OF A CONJUGATE OF A TUBULYSIN ANALOG TO A CELL BINDING MOLECULE
US20230115871A1 (en) * 2019-06-24 2023-04-13 Hangzhou Dac Biotech Co., Ltd A conjugate of a cytotoxic agent to a cell binding molecule with branched linkers
KR20220029725A (ko) * 2019-06-29 2022-03-08 항저우 디에이씨 바이오테크 씨오, 엘티디 세포-결합 분자-튜불리신 유도체 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2569368A (zh) * 2019-08-07 2021-03-30 烟台迈百瑞国际生物医药股份有限公司 一种抗体药物偶联物及其应用
CA3108168A1 (en) * 2020-02-05 2021-08-05 Yue Zhang Conjugates of cell-binding molecules with cytotoxic agents
US11045546B1 (en) 2020-03-30 2021-06-29 Cytodyn Inc. Methods of treating coronavirus infection
GB202011993D0 (en) 2020-07-31 2020-09-16 Adc Therapeutics Sa ANTI-IL 13Ra2 antibodies
CN112138170B (zh) * 2020-09-28 2022-05-20 广东药科大学 一种预防顺铂药源性聋的缀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755173B (zh) * 2020-12-31 2022-01-07 深圳市科达顺生物技术有限公司 用于治疗三阴性乳腺癌的Ii-Key/HER2杂交多肽药物及其制备方法
CN112961060B (zh) * 2021-02-09 2022-03-25 武汉大学 同位素标记的n,n-二甲基乙二胺及其制备方法和短链脂肪酸的分析方法
CN115197297B (zh) 2021-04-14 2023-08-01 启德医药科技(苏州)有限公司 连接子、缀合物及其应用
WO2022266354A1 (en) * 2021-06-16 2022-12-22 Fusion Pharmaceuticals Inc. Combination comprising a neurotensin receptor binding compound and napoli
WO2022078524A2 (en) * 2021-11-03 2022-04-21 Hangzhou Dac Biotech Co., Ltd. Specific conjugation of an antibody
WO2023209625A1 (en) * 2022-04-28 2023-11-02 Scirosbio (Fz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cancer
WO2023244803A1 (en) * 2022-06-17 2023-12-2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tobacco mild green mosaic virus (tmgmv)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1078A2 (en) * 2015-06-15 2015-10-08 Suzhou M-Conj Biotech Co., Ltd Hydrophilic linkers for conjugation
WO2016059622A2 (en) * 2016-02-04 2016-04-21 Suzhou M-Conj Biotech Co., Ltd. Specific conjugation linkers, specific immunoconjugates thereof, methods of making and uses such conjugate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21769B1 (de) * 2002-07-09 2015-09-09 Dömling, Alexander Tubulysinkonjugate
NZ599239A (en) * 2007-03-14 2013-10-25 Endocyte Inc Binding ligand linked drug delivery conjugates of tubulysins
JP6133431B2 (ja) * 2012-11-24 2017-05-24 ハンジョウ ディーエーシー バイオテック シーオー.,エルティディ.Hangzhou Dac Biotech Co.,Ltd. 親水性連結体及び薬物分子と細胞結合分子との共役反応における親水性連結体の使用
US10464955B2 (en) 2014-02-28 2019-11-05 Hangzhou Dac Biotech Co., Ltd. Charged linkers and their uses for conjugation
KR20160142392A (ko) * 2014-04-11 2016-12-12 메디뮨 엘엘씨 튜부리신 유도체
CN110279872A (zh) * 2014-11-11 2019-09-27 杭州多禧生物科技有限公司 细胞毒素分子同细胞结合受体分子的共轭体
WO2015155753A2 (en) * 2015-08-10 2015-10-15 Suzhou M-Conj Biotech Co., Ltd Novel linkers and their uses in specific conjugation of drugs to a biological molecule
BR112018071465A2 (pt) 2016-04-20 2019-02-05 Hangzhou Dac Biotech Co Ltd derivados de toxinas de amanita e sua conjugação a uma molécula de ligação celular
KR20220147720A (ko) * 2016-11-14 2022-11-03 항저우 디에이씨 바이오테크 씨오, 엘티디 결합 링커, 그러한 결합 링커를 함유하는 세포 결합 분자-약물 결합체, 링커를 갖는 그러한 결합체의 제조 및 사용
KR20210122319A (ko) * 2017-04-06 2021-10-08 항저우 디에이씨 바이오테크 씨오, 엘티디 비스-링키지를 사용한 세포독성 약물의 접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1078A2 (en) * 2015-06-15 2015-10-08 Suzhou M-Conj Biotech Co., Ltd Hydrophilic linkers for conjugation
WO2016059622A2 (en) * 2016-02-04 2016-04-21 Suzhou M-Conj Biotech Co., Ltd. Specific conjugation linkers, specific immunoconjugates thereof, methods of making and uses such conjugate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202091217A1 (ru) 2020-09-18
MX2020006192A (es) 2020-08-20
CN111093707A (zh) 2020-05-01
SG11202004801WA (en) 2020-06-29
US20230165930A1 (en) 2023-06-01
KR102641565B1 (ko) 2024-02-27
US20230165931A1 (en) 2023-06-01
JP2023093531A (ja) 2023-07-04
IL275274A (en) 2020-07-30
PH12020550657A1 (en) 2021-04-19
KR102603344B1 (ko) 2023-11-16
NZ764814A (en) 2024-02-23
EP3621652A1 (en) 2020-03-18
CA3085634C (en) 2023-11-14
ZA202003211B (en) 2024-04-24
WO2019127607A1 (en) 2019-07-04
AU2022205269A1 (en) 2022-08-11
KR20230075530A (ko) 2023-05-31
JP7262817B2 (ja) 2023-04-24
AU2017445144A1 (en) 2020-06-18
CA3085634A1 (en) 2019-07-04
US20230149502A1 (en) 2023-05-18
CL2020001600A1 (es) 2021-03-19
JP2021507928A (ja) 2021-02-25
EP3621652A4 (en) 2021-01-13
BR112020010405A2 (pt) 2020-11-24
US20200276261A1 (en) 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1565B1 (ko) 분지형 링커를 갖는 튜불리신 유사체의 접합체
US20230001001A1 (en) Conjugation of a cytotoxic drug with bis-linkage
AU2019426942B2 (en) A conjugate of an amanita toxin with branched linkers
KR20220024914A (ko) 분지형 링커를 사용한 세포독성제 대 세포 결합 분자의 접합체
KR20210030394A (ko) 가교-결합된 피롤로벤조다이아제핀 이량체(pbd) 유도체 및 이의 접합체
KR20210076056A (ko) 2,3-다이아미노석신일기를 함유하는 접합 링커
KR20220024915A (ko) 튜불리신 유사체 대 세포-결합 분자의 접합체의 제형
NZ795845A (en) A conjugate of a tubulysin analog with branched linkers
EA044827B1 (ru) Конъюгирование цитотоксических лекарственных средств посредством бис-связыва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