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6718A - 증기 터빈 발전 설비 및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운전 방법 - Google Patents

증기 터빈 발전 설비 및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운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6718A
KR20200096718A KR1020190163371A KR20190163371A KR20200096718A KR 20200096718 A KR20200096718 A KR 20200096718A KR 1020190163371 A KR1020190163371 A KR 1020190163371A KR 20190163371 A KR20190163371 A KR 20190163371A KR 20200096718 A KR20200096718 A KR 20200096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turbine
steam
pipe
valve
turb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3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6135B1 (ko
Inventor
유리카 나가이
아키미츠 세오
가즈야 사카키바라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96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6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08Cooling; Heating; Heat-insulation
    • F01D25/10Heating, e.g. warming-up before star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08Cooling; Heating; Heat-insulation
    • F01D25/12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7/00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 F01K7/16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the engines being only of turbine type
    • F01K7/22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the engines being only of turbine type the turbines having inter-stage steam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machines or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7/00Regulating or controlling by varying flow
    • F01D17/10Final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7/00Regulating or controlling by varying flow
    • F01D17/10Final actuators
    • F01D17/12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 F01D17/14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 F01D17/141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by means of shiftable members or valves obturating part of the flow path
    • F01D17/145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by means of shiftable members or valves obturating part of the flow path by means of valves, e.g. for steam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9/00Starting of machines or engines; Regulating, controlling, or safety means in connection therewi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1/00Plants characterised by the engines being structurally combined with boilers or condensers
    • F01K11/02Plants characterised by the engines being structurally combined with boilers or condensers the engines being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3/00General layout or general methods of operation of complete plants
    • F01K13/02Controlling, e.g. stopping or star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7/00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 F01K7/16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the engines being only of turbin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D2220/31Application in turbines in steam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ntrol Of Turb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빈의 회전체와 정지체의 열팽창 차를 조기에 해소하여, 기동 시간을 단축함과 아울러, 효율의 저하를 억제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 및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운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증기 터빈 발전 설비는, 증기를 생성하는 보일러와, 보일러에서 생성된 증기가 유입되는 고압 터빈과, 고압 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가 유입되는 중압 터빈과, 중압 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가 유입되는 저압 터빈을 갖고, 고압 터빈 및 중압 터빈은, 이들을 연통하여 형성되는 히팅부를 갖고, 고압 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를 히팅부로 유입시키는 배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증기 터빈 발전 설비 및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운전 방법{STEAM TURBINE POWER GENERATION FACILITY AND METHOD OF OPERATING STEAM TURBINE POWER GENERATION FACILITY}
본 발명은, 증기 터빈 발전 설비 및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운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증기 터빈 발전 설비는, 증기 터빈의 회전체(로터)와 정지체(케이싱)의 열팽창 차에 의한 축 진동을 억제하면서 기동할 필요가 있고, 기동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회전체와 정지체의 열팽창 차를 조기에 해소할 필요가 있다.
본 기술분야의 배경기술로서,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5429호 공보(특허문헌 1)가 있다. 이 공보에는, 동익이 설치된 로터와, 이 로터를 외주로부터 둘러싸는 다이어프램과, 이 다이어프램 및 로터를 내포하고, 상반부와 하반부를 플랜지부에 있어서 체결하여 일체로 한 케이싱과, 이 케이싱과 로터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열에 의한 신축 차를 계측하는 변위 검출기와, 플랜지부에 설치되고, 플랜지부의 가열 냉각을 행하는 가열 냉각 장치와, 비정상 운전 시에 변위 검출기의 계측값이 설정값에 이를 때까지 가열 냉각 장치에 의해 플랜지부를 가열 냉각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요약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5429호 공보
특허문헌 1에는, 기동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플랜지부의 가열 냉각을 행하여, 회전체와 정지체의 열팽창 차를 해소하는 증기 터빈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는, 플랜지부(차실 플랜지)를 가열 냉각하기 위한 매체(증기)의 공급원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이 공급원으로부터 플랜지부(차실 플랜지)에, 가열 냉각용 매체(증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에너지의 증가가 필요하다. 플랜지부(차실 플랜지)를 가열 냉각할 때에는, 이 에너지의 증가에 의해, 증기 터빈이 설치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효율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증기 터빈의 회전체와 정지체의 열팽창 차를 조기에 해소하여, 기동 시간을 단축함과 아울러, 효율의 저하를 억제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 및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운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증기 터빈 발전 설비는, 증기를 생성하는 보일러와, 보일러에서 생성된 증기가 유입되는 고압 터빈과, 고압 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가 유입되는 중압 터빈과, 중압 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가 유입되는 저압 터빈을 갖고, 고압 터빈 및 중압 터빈은, 이들을 연통하여 형성되는 히팅부(후술)를 갖고, 고압 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를 히팅부로 유입시키는 배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운전 방법은, 고압 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를 중압 터빈으로 유입시키는 배관에 설치되는 제1 밸브와, 고압 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를 중압 터빈으로 유입시키는 배관으로부터 분기되고, 고압 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를 히팅부로 유입시키는 배관에 설치되는 제2 밸브와, 중압 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를 저압 터빈으로 유입시키는 배관에 설치되는 제3 밸브와, 중압 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를 저압 터빈으로 유입시키는 배관으로부터 분기되고, 중압 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를 히팅부로 유입시키는 배관에 설치되는 제4 밸브의 개폐를 조작하는 것이며, 제1 부하대에서의 운전에서는, 제1 밸브, 제3 밸브, 및 제4 밸브를 폐쇄 상태, 제2 밸브를 개방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증기 터빈의 회전체와 정지체의 열팽창 차를 조기에 해소하여, 기동 시간을 단축함과 아울러, 효율의 저하를 억제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 및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운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이외의 과제, 구성 및 효과는, 하기의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명백해진다.
도 1은 실시예 1에 기재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실시예 2에 기재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실시예 3에 기재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실시예 4에 기재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이 중복되는 경우는,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실시예 1]
도 1은, 실시예 1에 기재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에 기재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는, 증기를 생성하는 보일러(20), 보일러(20)에서 생성된 증기가 유입되는 고압 터빈(HP)(30), 고압 터빈(30)에서 일을 한 증기(재열 증기)가 유입되는 중압 터빈(IP)(40), 중압 터빈(40)에서 일을 한 증기가 유입되는 제1 저압 터빈(LP1)(60), 고압 터빈(30), 중압 터빈(40), 및/또는 제1 저압 터빈(60)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GEN)(50), 제1 저압 터빈(60)에 의해 일을 한 증기를 복수하는 제1 복수기(80)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고압 터빈(30), 중압 터빈(40), 발전기(50), 제1 저압 터빈(60)이, 이 순서로 연결되어 있지만, 고압 터빈(30), 중압 터빈(40), 제1 저압 터빈(60), 발전기(50)의 순서로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고압 터빈(30), 중압 터빈(40), 제1 저압 터빈(60)은, 증기 터빈이다.
그리고 고압 터빈(30) 및 중압 터빈(40)의 회전축 근방(차실 플랜지)에는, 차실 플랜지 히팅부(차실 플랜지 히팅부 가열용 증기관)(이하 「히팅부」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700)가 형성된다. 이 히팅부(700)는, 고압 터빈(30) 및 중압 터빈(40)을 연통하여 형성된다. 이 히팅부(700)에는, 증기가 유입되어, 고압 터빈(30)의 회전체(로터)와 정지체(케이싱)의 열팽창 차, 및 중압 터빈(40)의 회전체(로터)와 정지체(케이싱)의 열팽창 차를 해소한다. 이에 의해,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기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기재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는, 보일러(20)에서 생성된 증기를 고압 터빈(30)의 전단측으로 유입시키는 배관(800)(주 증기 유입관), 고압 터빈(30)에서 일을 한 증기(재열 증기)를 중압 터빈(40)의 전단측으로 유입(고압 터빈(30)의 후단측으로부터 유출)시키는 배관(900)(중압 터빈 증기 유입관), 중압 터빈(40)에서 일을 한 증기를 제1 저압 터빈(60)의 전단측으로 유입(저압 터빈(40)의 후단측으로부터 유출)시키는 배관(500)(저압 터빈 증기 유입관)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고압 터빈(30)에서 일을 한 증기를, 보일러(20)에서 재열하고, 중압 터빈(40)에, 재열 증기로서 유입시킨다. 즉, 배관(900)은, 고압 터빈(30), 보일러(20), 중압 터빈(40)을 연결한다.
또한, 배관(900)으로부터 분기되어, 고압 터빈(30)에서 일을 한 증기(재열 증기)를 히팅부(차실 플랜지)(700)로 유입시키는 배관(200)(차실 플랜지 히팅부 가열용 증기 유입관), 히팅부(700)에서 일을 한 증기를 제1 복수기(80)로 유입시키는 배관(300)(차실 플랜지 히팅부 가열용 증기 복수관), 배관(500)으로부터 분기되어, 중압 터빈(40)에서 일을 한 증기를, 히팅부(차실 플랜지)(700)로 유입시키는 배관(400)(제2 차실 플랜지 히팅부 가열용 증기 유입관)을 갖는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고압 터빈(30)에서 일을 한 증기를 히팅부(차실 플랜지)(700)로 유입시키는 배관(200)을 갖고, 배관(200)은, 고압 터빈(30)에서 일을 한 증기를 중압 터빈(40)으로 유입시키는 배관(900)으로부터 분기되는 배관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중압 터빈(40)에서 일을 한 증기를 히팅부(차실 플랜지)(700)로 유입시키는 배관(400)을 갖고, 배관(400)은 중압 터빈(40)에서 일을 한 증기를 제1 저압 터빈(60)으로 유입시키는 배관(500)으로부터 분기되는 배관이다.
또한, 중압 터빈(40)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중압 터빈(40)에서 일을 한 증기를, 중압 터빈(40)의 후단측으로부터, 제1 저압 터빈(60)을 바이패스시켜, 제1 복수기(80)로 유입시키는 배관(600)(제1 복수기 증기 유입관)을 갖는다.
배관(200)(차실 플랜지 히팅부 가열용 증기 유입관)을 유통하는 증기는, 히팅부(700)를 가열(차실 플랜지 히팅)하기 위한 증기(차실 플랜지 히팅부 가열용 증기)이며, 중압 터빈(40)의 후단측 히팅부(700)로부터 유입되고, 고압 터빈(30)의 전단측 히팅부(700)로부터 유출된다.
즉, 고압 터빈(30)에서 일을 한 증기를 히팅부(차실 플랜지)(700)로 유입시키는 배관(200)은, 중압 터빈(40)의 후단측 히팅부(차실 플랜지)(700)에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배관(400)(제2 차실 플랜지 히팅부 가열용 증기 유입관)을 유통하는 증기는, 히팅부(700)를 가열(차실 플랜지 히팅)하기 위한 증기(차실 플랜지 히팅부 가열용 증기)이며, 중압 터빈(40)의 후단측 히팅부(700)로부터 유입되고, 고압 터빈(30)의 전단측 히팅부(700)로부터 유출된다.
즉, 중압 터빈(40)에서 일을 한 증기를 히팅부(차실 플랜지)(700)로 유입시키는 배관(400)은, 중압 터빈(40)의 후단측 히팅부(차실 플랜지)(70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배관(200)이나 배관(400)을 설치함으로써, 즉, 배관(200)이나 배관(400)을 유통하는 증기에 의해, 고압 터빈(30)의 회전체와 정지체의 열팽창 차, 및 중압 터빈(40)의 회전체와 정지체의 열팽창 차를 해소하여,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기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증기 터빈 발전 설비에서 생성된 증기를 사용함으로써, 즉, 이 증기 터빈 발전 설비로서, 증기를 공급(생성)하기 위한 다른 공급원을 설치하는 일 없이, 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너지의 증가가 필요 없으므로,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기재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는, 배관(800)에, 고압 터빈(30)으로 유입되는 증기의 증기량을 조정하는 밸브 M(주 증기 스톱 밸브(MSV)(1) 및 주 증기량 조정 밸브(MCV)(2)), 배관(900)의 분기 후에, 중압 터빈(40)으로 유입되는 증기의 증기량을 조정하는 밸브 A(제1 밸브)(중압 터빈 유입 증기 스톱 밸브(ASV)(3) 및 중압 터빈 유입 증기량 조정 밸브(ACV)(4))(배관(900)이 분기된 후의 중압 터빈(40)을 향하는 배관에 설치), 배관(500)의 분기 후에, 제1 저압 터빈(60)으로 유입되는 증기의 증기량을 조정하는 밸브 E(제3 밸브)(저압 터빈 유입 증기 스톱 밸브(ESV)(10) 및 저압 터빈 유입 증기량 조정 밸브(ECV)(11))(배관(500)이 분기된 후의 제1 저압 터빈(60)을 향하는 배관에 설치)를 갖는다.
또한, 배관(200)에, 히팅부(700)로 유입되는 증기(차실 플랜지 히팅부 가열용 증기)의 증기량을 조정하는 밸브 B(제2 밸브)(제1 차실 플랜지 유입 증기 스톱 밸브(BSV)(5) 및 제1 차실 플랜지 유입 증기량 조정 밸브(BCV)(6))(배관(900)이 분기된 후의 히팅부(700)를 향하는 배관(200)에 설치), 배관(400)에, 히팅부(700)로 유입되는 증기(차실 플랜지 히팅부 가열용 증기)의 증기량을 조정하는 밸브 C(제4 밸브)(제2 차실 플랜지 유입 증기 스톱 밸브(CSV)(7) 및 제2 차실 플랜지 유입 증기량 조정 밸브(CCV)(8))(배관(500)이 분기된 후의 히팅부(700)를 향하는 배관(400)에 설치), 배관(600)에, 제1 복수기(80)로 유입되는 증기의 유통을 ON/OFF 하는 밸브 D(중압 터빈 유출 증기(진공) 스톱 밸브(DSV)(9))를 갖는다.
즉, 제1 밸브(밸브 A)는, 고압 터빈(30)에서 일을 한 증기를 중압 터빈(40)으로 유입시키는 배관(900)(분기 후)에, 제2 밸브(밸브 B)는, 고압 터빈(30)에서 일을 한 증기를 중압 터빈(40)으로 유입시키는 배관(900)으로부터 분기되고, 고압 터빈(30)에서 일을 한 증기를 히팅부(700)로 유입시키는 배관(200)에, 제3 밸브(밸브 E)는 중압 터빈(40)에서 일을 한 증기를 제1 저압 터빈(60)으로 유입시키는 배관(500)(분기 후)에, 제4 밸브(밸브 C)는, 중압 터빈(40)에서 일을 한 증기를 제1 저압 터빈(60)으로 유입시키는 배관(500)으로부터 분기되고, 중압 터빈(40)에서 일을 한 증기를 히팅부(700)로 유입시키는 배관(400)에, 각각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기재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운전 방법은, 이하와 같으며, 밸브의 개폐를 조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것이다.
저부하대(제1 부하대)에서의 운전에서는, 밸브 A, 밸브 C, 밸브 E는 폐쇄 상태, 밸브 B, 밸브 D, 밸브 M은 개방 상태로 한다.
보일러(20)로부터 고압 터빈(30)으로 증기가 유입(밸브 M이 개방)되고, 고압 터빈(30)의 구동에 의해, 발전기(50)는 구동된다.
고압 터빈(30)에서 일을 한 증기는, 보일러(20)에서 재열되고, 배관(200)을 유통(밸브 A가 폐쇄, 밸브 B가 개방)하여, 히팅부(700)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 증기는, 고압 터빈(30) 및 중압 터빈(40)의 차실 플랜지에 있어서, 히팅부(700)의 차실 플랜지 히팅부 가열용 증기에 사용된다. 그 후, 저온도가 된 차실 플랜지 히팅에 사용된 증기는, 배관(300)을 유통하여, 제1 복수기(80)로 유입되어, 복수된다.
저중부하대(제1 부하대보다 부하가 큰 제2 부하대)에서의 운전에서는, 밸브 M은 개방 상태, 밸브 A, 밸브 C는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행하고, 밸브 B, 밸브 D는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이행하고, 밸브 E는 폐쇄 상태로 한다.
보일러(20)로부터 고압 터빈(30)으로 증기가 유입(밸브 M이 개방)되고, 고압 터빈(30)에서 일을 한 증기는, 보일러(20)에서 재열되어, 배관(900)을 유통(밸브 A가 개방, 밸브 B가 폐쇄)하여, 중압 터빈(40)으로 유입되고, 고압 터빈(30) 및 중압 터빈(40)의 구동에 의해, 발전기(50)는 구동한다.
중압 터빈(40)에서 일을 한 증기는, 배관(400)을 유통(밸브 C가 개방, 밸브 E가 폐쇄)하여, 히팅부(700)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 증기는, 고압 터빈(30) 및 중압 터빈(40)의 차실 플랜지에 있어서, 히팅부(700)의 차실 플랜지 히팅부 가열용 증기에 사용된다. 그 후, 저온도가 된 차실 플랜지 히팅에 사용된 증기는, 배관(300)을 유통하여, 제1 복수기(80)로 유입되어, 복수된다.
중부하대(제2 부하대보다 부하가 큰 제3 부하대)에서의 운전에서는, 밸브 A, 밸브 M은 개방 상태, 밸브 C는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이행하고, 밸브 E는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행하고, 밸브 B, 밸브 D는 폐쇄 상태로 한다.
보일러(20)로부터 고압 터빈(30)으로 증기가 유입(밸브 M이 개방)되고, 고압 터빈(30)에서 일을 한 증기는, 보일러(20)에서 재열되고, 배관(900)을 유통(밸브 A가 개방, 밸브 B가 폐쇄)하여, 중압 터빈(40)으로 유입되고, 중압 터빈(40)에서 일을 한 증기는, 배관(500)을 유통(밸브 C가 폐쇄, 밸브 E가 개방)하여, 제1 저압 터빈(60)으로 유입되고, 고압 터빈(30), 중압 터빈(40) 및 제1 저압 터빈(60)의 구동에 의해, 발전기(50)는 구동한다. 그리고 제1 저압 터빈(60)에서 일을 한 증기는, 제1 복수기(80)로 유입되어, 복수된다.
또한, 이 중부하대에서의 운전에서는, 고압 터빈(30) 및 중압 터빈(40)의 차실 플랜지의 히팅부(700)에는, 차실 플랜지 히팅부 가열용 증기는 유통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터빈의 회전체와 정지체의 (히팅부(700)에 있어서의) 열팽창 차를 해소하여,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기동 시간을 단축함과 아울러,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효율 저하를 억제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 및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운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2는, 실시예 2에 기재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에 기재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는, 증기를 생성하는 보일러(20), 보일러(20)에서 생성된 증기가 유입되는 고압 터빈(HP)(30), 고압 터빈(30)에서 일을 한 증기가 유입되는 중압 터빈(IP)(40), 중압 터빈(40)에서 일을 한 증기가 유입되는 제1 저압 터빈(LP1)(60), 고압 터빈(30), 중압 터빈(40), 및/또는 제1 저압 터빈(60)에 의해 구동하는 발전기(GEN)(50), 제1 저압 터빈(60)에서 일을 한 증기를 복수하는 제1 복수기(80)를 갖는다.
본 실시예는, 고압 터빈(30)에서 일을 한 증기를, 보일러(20)에서 재열하지 않고, 중압 터빈(40)으로 직접 유입시키는 점에서, 실시예 1과 상이하다. 즉, 배관(900)은, 고압 터빈(30)과 중압 터빈(40)을 연결한다.
또한, 다른 배관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밸브의 설치 위치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기재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운전 방법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기재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 및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운전 방법도, 실시예 1에 기재하는 증기 터빈 설비 및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운전 방법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갖는다.
[실시예 3]
도 3은, 실시예 3에 기재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에 기재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는, 증기를 생성하는 보일러(20), 보일러(20)에서 생성된 증기가 유입되는 고압 터빈(HP)(30), 고압 터빈(30)에서 일을 한 증기(재열 증기)가 유입되는 중압 터빈(IP)(40), 중압 터빈(40)에서 일을 한 증기가 유입되는 제1 저압 터빈(LP1)(60), 중압 터빈(40)에서 일을 한 증기가 유입되는 제2 저압 터빈(LP2)(70), 고압 터빈(30), 중압 터빈(40), 제1 저압 터빈(60), 및/또는 제2 저압 터빈(LP2)(70)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GEN)(50), 제1 저압 터빈(60)에서 일을 한 증기를 복수하는 제1 복수기(80), 제2 저압 터빈(70)에서 일을 한 증기를 복수하는 제2 복수기(90)를 갖는다.
또한, 제1 저압 터빈(60)과 제2 저압 터빈(70) 사이에는 클러치(100)가 설치된다. 클러치(100)에 의해, 제1 저압 터빈(60)과 제2 저압 터빈(70)의 접속 상태를 연결 및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고압 터빈(30), 중압 터빈(40), 발전기(50), 제1 저압 터빈(60), 제2 저압 터빈(70)이, 이 순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고압 터빈(30), 중압 터빈(40), 제1 저압 터빈(60), 제2 저압 터빈(70)은 증기 터빈이다.
그리고 고압 터빈(30) 및 중압 터빈(40)의 회전축 근방(차실 플랜지)에는, 차실 플랜지 히팅부(차실 플랜지 히팅부 가열용 증기관)(이하 「히팅부」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700)가 형성된다. 이 히팅부(700)는, 고압 터빈(30) 및 중압 터빈(40)을 연통하여 형성된다. 이 히팅부(700)에는, 증기가 유입되어, 고압 터빈(30)의 회전체(로터)와 정지체(케이싱)의 열팽창 차, 및 중압 터빈(40)의 회전체(로터)와 정지체(케이싱)의 열팽창 차를 해소한다. 이에 의해,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기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기재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는, 보일러(20)에서 생성된 증기를 고압 터빈(30)의 전단측으로 유입시키는 배관(800)(주 증기 유입관), 고압 터빈(30)에서 일을 한 증기(재열 증기)를 중압 터빈(40)의 전단측으로 유입(고압 터빈(30)의 후단측으로부터 유출)시키는 배관(900)(중압 터빈 증기 유입관), 중압 터빈(40)에서 일을 한 증기를 제1 저압 터빈(60)의 전단측 및/또는 제2 저압 터빈(70)의 전단측으로 유입(저압 터빈(40)의 후단측으로부터 유출)시키는 배관(저압 터빈 증기 유입관)(500)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고압 터빈(30)에서 일을 한 증기를, 보일러(20)에서 재열하여, 중압 터빈(40)에, 재열 증기로서 유입시킨다. 즉, 배관(900)은, 고압 터빈(30), 보일러(20), 중압 터빈(40)을 연결한다.
또한, 배관(900)으로부터 분기되어, 고압 터빈(30)에서 일을 한 증기(재열 증기)를 히팅부(차실 플랜지)(700)로 유입시키는 배관(200)(차실 플랜지 히팅부 가열용 증기 유입관), 히팅부(700)에서 일을 한 증기를 제1 복수기(80)로 유입시키는 배관(300)(차실 플랜지 히팅부 가열용 증기 복수관), 배관(500)으로부터 분기되어, 중압 터빈(40)에서 일을 한 증기를, 히팅부(차실 플랜지)(700)로 유입시키는 배관(400)(제2 차실 플랜지 히팅부 가열용 증기 유입관)을 갖는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고압 터빈(30)에서 일을 한 증기를 히팅부(차실 플랜지)(700)로 유입시키는 배관(200)을 갖고, 배관(200)은, 고압 터빈(30)에서 일을 한 증기를 중압 터빈(40)으로 유입시키는 배관(900)으로부터 분기되는 배관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중압 터빈(40)에서 일을 한 증기를 히팅부(차실 플랜지)(700)로 유입시키는 배관(400)을 갖고, 배관(400)은, 중압 터빈(40)에서 일을 한 증기를 제1 저압 터빈(60) 및/또는 제2 저압 터빈(70)으로 유입시키는 배관(500)으로부터 분기되는 배관이다.
또한, 중압 터빈(40)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중압 터빈(40)에서 일을 한 증기를, 중압 터빈(40)의 후단측으로부터, 제1 저압 터빈(60)을 바이패스시켜, 제1 복수기(80)로 유입시키는 배관(600)(제1 복수기 유입관)을 갖는다.
배관(200)(차실 플랜지 히팅부 가열용 증기 유입관)을 유통하는 증기는, 히팅부(700)를 가열(차실 플랜지 히팅)하기 위한 증기(차실 플랜지 히팅부 가열용 증기)이며, 중압 터빈(40)의 후단측 히팅부(700)로부터 유입되고, 고압 터빈(30)의 전단측 히팅부(700)로부터 유출된다.
즉, 고압 터빈(30)에서 일을 한 증기를 히팅부(차실 플랜지)(700)로 유입시키는 배관(200)은, 중압 터빈(40)의 후단측 히팅부(차실 플랜지)(700)에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배관(400)(제2 차실 플랜지 히팅부 가열용 증기 유입관)을 유통하는 증기는, 히팅부(700)를 가열(차실 플랜지 히팅)하기 위한 증기(차실 플랜지 히팅부 가열용 증기)이며, 중압 터빈(40)의 후단측 히팅부(700)로부터 유입되고, 고압 터빈(30)의 전단측 히팅부(700)로부터 유출된다.
즉, 중압 터빈(40)에서 일을 한 증기를 히팅부(차실 플랜지)(700)로 유입시키는 배관(400)은, 중압 터빈(40)의 후단측 히팅부(차실 플랜지)(70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배관(200)이나 배관(400)을 설치함으로써, 즉, 배관(200)이나 배관(400)을 유통하는 증기에 의해, 고압 터빈(30)의 회전체와 정지체의 열팽창 차, 및 중압 터빈(40)의 회전체와 정지체의 열팽창 차를 해소하여,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기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증기 터빈 발전 설비에서 생성된 증기를 사용함으로써, 즉, 이 증기 터빈 발전 설비로서, 증기를 공급(생성)하기 위한 다른 공급원을 설치하는 일 없이, 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너지 증가가 필요 없으므로,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기재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는, 배관(800)에, 고압 터빈(30)으로 유입되는 증기의 증기량을 조정하는 밸브 M(주 증기 스톱 밸브(MSV)(1) 및 주 증기량 조정 밸브(MCV)(2)), 배관(900)의 분기 후에, 중압 터빈(40)으로 유입되는 증기의 증기량을 조정하는 밸브 A(제1 밸브)(중압 터빈 유입 증기 스톱 밸브(ASV)(3) 및 중압 터빈 유입 증기량 조정 밸브(ACV)(4))(배관(900)이 분기된 후의 중압 터빈(40)을 향하는 배관에 설치), 배관(500)의 분기 후에, 제1 저압 터빈(60)으로 유입되는 증기의 증기량을 조정하는 밸브 E(제3 밸브)(저압 터빈 유입 증기 스톱 밸브(ESV)(10) 및 저압 터빈 유입 증기량 조정 밸브(ECV)(11))(배관(500)이 분기된 후의 제1 저압 터빈(60)을 향하는 배관에 설치), 제2 저압 터빈(70)으로 유입되는 증기의 증기량을 조정하는 밸브 F(제2 저압 터빈 유입 증기(크로스오버) 스톱 밸브(FSV)(12) 및 제2 저압 터빈 유입 증기량(크로스오버) 조정 밸브(FCV)(13))를 갖는다.
또한, 밸브 F는, 제2 저압 터빈(70)으로 유입되는 증기의 증기량을 조정하는 것이며, 특히 제1 저압 터빈(60)으로 유입되는 증기가 적은 경우에, 제1 저압 터빈(60)과 제2 저압 터빈(70) 사이에 있어서의 증기의 분배를 정지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제1 저압 터빈(60)으로 유입되는 증기가 적은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관(200)에, 히팅부(700)로 유입되는 증기(차실 플랜지 히팅부 가열용 증기)의 증기량을 조정하는 밸브 B(제2 밸브)(제1 차실 플랜지 유입 증기 스톱 밸브(BSV)(5) 및 제1 차실 플랜지 유입 증기량 조정 밸브(BCV)(6))(배관(900)이 분기된 후의 히팅부(700)를 향하는 배관(200)에 설치), 배관(400)에, 히팅부(700)로 유입되는 증기(차실 플랜지 히팅부 가열용 증기)의 증기량을 조정하는 밸브 C(제4 밸브)(제2 차실 플랜지 유입 증기 스톱 밸브(CSV)(7) 및 제2 차실 플랜지 유입 증기량 조정 밸브(CCV)(8))(배관(500)이 분기된 후의 히팅부(700)를 향하는 배관(400)에 설치), 배관(600)에, 제1 복수기(80)로 유입되는 증기의 유통을 ON/OFF하는 밸브 D(증기 스톱 밸브(DSV)(9))를 갖는다.
즉, 제1 밸브(밸브 A)는, 고압 터빈(30)에서 일을 한 증기를 중압 터빈(40)으로 유입시키는 배관(900)(분기 후)에, 제2 밸브(밸브 B)는, 고압 터빈(30)에서 일을 한 증기를 중압 터빈(40)으로 유입시키는 배관(900)으로부터 분기되고, 고압 터빈(30)에서 일을 한 증기를 히팅부(700)로 유입시키는 배관(200)에, 제3 밸브(밸브 E)는 중압 터빈(40)에서 일을 한 증기를 제1 저압 터빈(60) 및/또는 제2 저압 터빈(70)으로 유입시키는 배관(500)(분기 후)에, 제4 밸브(밸브 C)는, 중압 터빈(40)에서 일을 한 증기를 제1 저압 터빈(60) 및/또는 제2 저압 터빈(70)으로 유입시키는 배관(500)으로부터 분기되고, 중압 터빈(40)에서 일을 한 증기를 히팅부(700)로 유입시키는 배관(400)에, 각각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기재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운전 방법은, 이하와 같으며, 밸브의 개폐를 조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것이다.
저부하대(제1 부하대)에서의 운전에서는, 밸브 A, 밸브 C, 밸브 E는 폐쇄 상태, 밸브 B, 밸브 D, 밸브 F, 밸브 M은 개방 상태로 한다.
보일러(20)로부터 고압 터빈(30)으로 증기가 유입(밸브 M이 개방)되고, 고압 터빈(30)의 구동에 의해, 발전기(50)는 구동된다.
고압 터빈(30)에서 일을 한 증기는, 보일러(20)에서 재열되고, 배관(200)을 유통(밸브 A가 폐쇄, 밸브 B가 개방)하여, 히팅부(700)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 증기는, 고압 터빈(30) 및 중압 터빈(40)의 차실 플랜지에 있어서, 히팅부(700)의 차실 플랜지 히팅부 가열용 증기에 사용된다. 그 후, 저온도가 된 차실 플랜지 히팅에 사용된 증기는, 배관(300)을 유통하여, 제1 복수기(80)로 유입되어, 복수된다.
저중부하대(제1 부하대보다 부하가 큰 제2 부하대)에서의 운전에서는, 밸브 M은 개방 상태, 밸브 A, 밸브 C는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행하고, 밸브 B, 밸브 D는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이행하고, 밸브 E, 밸브 F는 폐쇄 상태로 한다.
보일러(20)로부터 고압 터빈(30)으로 증기가 유입(밸브 M이 개방)되어, 고압 터빈(30)에서 일을 한 증기는, 보일러(20)에서 재열되고, 배관(900)을 유통(밸브 A가 개방, 밸브 B가 폐쇄)하여, 중압 터빈(40)으로 유입되고, 고압 터빈(30) 및 중압 터빈(40)의 구동에 의해, 발전기(50)는 구동된다.
중압 터빈(40)에서 일을 한 증기는, 배관(400)을 유통(밸브 C가 개방, 밸브 E가 폐쇄)하여, 히팅부(700)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 증기는, 고압 터빈(30) 및 중압 터빈(40)의 차실 플랜지에 있어서, 히팅부(700)의 차실 플랜지 히팅부 가열용 증기에 사용된다. 그 후, 저온도가 된 차실 플랜지 히팅에 사용된 증기는, 배관(300)을 유통하여, 제1 복수기(80)로 유입되어, 복수된다.
중부하대(제2 부하대보다 부하가 큰 제3 부하대)에서의 운전에서는, 밸브 A, 밸브 M은 개방 상태, 밸브 C는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이행하고, 밸브 E는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행하고, 밸브 B, 밸브 D, 밸브 F는 폐쇄 상태로 한다.
보일러(20)로부터 고압 터빈(30)으로 증기가 유입(밸브 M이 개방)되어, 고압 터빈(30)에서 일을 한 증기는, 보일러(20)에서 재열되고, 배관(900)을 유통(밸브 A가 개방, 밸브 B가 폐쇄)하여, 중압 터빈(40)으로 유입되고, 중압 터빈(40)에서 일을 한 증기는, 배관(500)을 유통(밸브 C가 폐쇄, 밸브 E가 개방, 밸브 F가 폐쇄)하여, 제1 저압 터빈(60)으로 유입되고, 고압 터빈(30), 중압 터빈(40) 및 제1 저압 터빈(60)의 구동에 의해, 발전기(50)는 구동된다. 그리고 제1 저압 터빈(60)에서 일을 한 증기는, 제1 복수기(80)로 유입되어, 복수된다.
또한, 이 중부하대에서의 운전에서는, 고압 터빈(30) 및 중압 터빈(40)의 차실 플랜지의 히팅부(700)에는, 차실 플랜지 히팅부 가열용 증기는 유통하지 않는다.
고부하대(제3 부하대보다 부하가 큰 제4 부하대)에서의 운전에서는, 밸브 A, 밸브 E, 밸브 M은 개방 상태, 밸브 F는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행하고, 밸브 B, 밸브 C, 밸브 D는 폐쇄 상태로 한다.
보일러(20)로부터 고압 터빈(30)으로 증기가 유입(밸브 M이 개방)되어, 고압 터빈(30)에서 일을 한 증기는, 보일러(20)에서 재열되어, 배관(900)을 유통(밸브 A가 개방, 밸브 B가 폐쇄)하여, 중압 터빈(40)으로 유입되고, 중압 터빈(40)에서 일을 한 증기는, 배관(500)을 유통(밸브 C가 폐쇄, 밸브 E가 개방, 밸브 F가 개방)하여, 제1 저압 터빈(60), 제2 저압 터빈(70)으로 유입되고, 고압 터빈(30), 중압 터빈(40), 제1 저압 터빈(60) 및 제2 저압 터빈(70)에 의해, 발전기(50)는 구동된다. 그리고 제1 저압 터빈(60)에서 일을 한 증기는, 제1 복수기(80)로, 및 제2 저압 터빈(70)에서 일을 한 증기는, 제2 복수기(90)로 유입되어, 복수된다.
또한, 이때, 제1 저압 터빈(60)과 제2 저압 터빈(70) 사이에 설치되는 클러치(100)에 의해, 제1 저압 터빈(60)과 제2 저압 터빈(70)의 접속 상태는 연결 상태이다.
또한, 이 고부하대에서의 운전에서도, 고압 터빈(30) 및 중압 터빈(40)의 차실 플랜지의 히팅부(700)에는, 차실 플랜지 히팅부 가열용 증기는 유통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배관(500)은, 중압 터빈(40)에서 일을 한 증기를 제1 저압 터빈(60)의 전단측 및/또는 제2 저압 터빈(70)의 전단측으로 유입시키는 크로스오버(XO)관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터빈의 회전체와 정지체의 (히팅부(700)에 있어서의) 열팽창 차를 해소하여,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기동 시간을 단축함과 아울러,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효율 저하를 억제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 및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운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4는, 실시예 4에 기재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에 기재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는, 증기를 생성하는 보일러(20), 보일러(20)에서 생성된 증기가 유입되는 고압 터빈(HP)(30), 고압 터빈(30)에서 일을 한 증기가 유입되는 중압 터빈(IP)(40), 중압 터빈(40)에서 일을 한 증기가 유입되는 제1 저압 터빈(LP1)(60), 중압 터빈(40)에서 일을 한 증기가 유입되는 제2 저압 터빈(LP2)(70), 고압 터빈(30), 중압 터빈(40), 제1 저압 터빈(60), 및/또는 제2 저압 터빈(70)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GEN)(50), 제1 저압 터빈(60)에서 일을 한 증기를 복수하는 제1 복수기(80), 제2 저압 터빈(70)에서 일을 한 증기를 복수하는 제2 복수기(90)를 갖는다.
본 실시예는, 고압 터빈(30)에서 일을 한 증기를, 보일러(20)에서 재열하지 않고, 중압 터빈(40)으로 직접 유입시키는 점에서, 실시예 3과 상이하다. 즉, 배관(900)은, 고압 터빈(30)과 중압 터빈(40)을 연결한다.
또한, 다른 배관은, 실시예 3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밸브의 설치 위치도, 실시예 3과 마찬가지이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기재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운전 방법도, 실시예 3과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기재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 및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운전 방법도, 실시예 3에 기재하는 증기 터빈 설비 및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운전 방법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갖는다.
이와 같이, 이들 실시예에서는, 터빈 차실의 플랜지부(히팅부)를, 증기(차실 플랜지 히팅부 가열용 증기)를 사용하여, 가열(차실 플랜지 히팅)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증기에, 고압 터빈 또는 중압 터빈으로부터 유출되는 증기를 사용함으로써,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기동 시간(저부하대 및 저중부하대의 시간)을 단축함과 아울러,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실시예에서는, 증기량에 따라서(부하대에 따라서) 효율이 좋은 증기 터빈의 조합을 실현함과 함께, 저부하대 또는 저중부하대에, 고압 터빈 또는 중압 터빈에서 일을 한 고온의 증기(잉여 증기)를, 유효하게, 차실 플랜지 히팅부 가열용 증기로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기동 시간을 단축함과 아울러,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즉, 증기 터빈의 기동 과정(저부하대 및 저중부하대)의 회전체와 정지체의 열팽창 차에 의한 축 진동이나 양자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대응이, 증기 터빈의 기동 시간을 지연시키고 있어, 기동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회전체와 정지체의 열팽창 차를 조기에 해소할 필요가 있었다. 이들 실시예에서는, 온도 상승의 시간적 변화가 회전체에 대해 완만한 정지체(특히, 차실 중 상대적으로 체적의 큰 차실 플랜지)를, 증기 터빈의 기동 과정에서 가열함으로써, 회전체와 정지체의 열팽창 차를 조기에 해소할 수 있어, 증기 터빈의 기동 시간의 지연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와 정지체의 열팽창 차를 해소하기 위해 사용하는 증기를, 외부로부터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클로즈된 하나의 증기 터빈 발전 설비로부터 공급함으로써, 차실 플랜지 히팅 중이라도, 그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실시예에서는, 저출력 운전(증기 터빈의 기동 과정)에 있어서는, 날개 길이가 긴 저압 터빈(제1 저압 터빈(60) 및/또는 제2 저압 터빈(70))으로 증기를 유입시키지 않으므로, 저압 터빈에 있어서는, 증기의 유입(유속이나 유량)에 의한 영향을 받는 일이 없다. 즉, 저압 터빈의 날개면에 있어서의 증기류의 박리 등에 의한 날개의 손실이 없어, 저압 터빈의 성능이 저하되는 일이 없다.
이들 실시예에 의하면, 안정된 전력 공급을 위해, 저부하로부터 고부하까지의 폭넓은 영역에, 밸브 조작을 대응시켜, 각각의 영역에 있어서, 각각의 증기 터빈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기동 시간을 단축하여, 효율 저하를 억제하고, 저부하대로부터 고부하대까지의 폭넓은 영역에 있어서, 각각의 증기 터빈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예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상세하게 설명한 것이며, 반드시 설명한 모든 구성을 갖추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느 실시예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실시예의 구성으로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어느 실시예의 구성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1: 주 증기 스톱 밸브
2: 주 증기량 조절 밸브
3: 중압 터빈 유입 증기 스톱 밸브
4: 중압 터빈 유입 증기량 조정 밸브
5: 차실 플랜지 유입 증기 스톱 밸브
6: 차실 플랜지 유입 증기량 조절 밸브
7: 차실 플랜지 유입 증기 스톱 밸브
8: 차실 플랜지 유입 증기량 조정 밸브
9: 중압 터빈 유출 증기 스톱 밸브
10: 저압 터빈 유입 증기 스톱 밸브
11: 저압 터빈 유입 증기량 조절 밸브
12: 제2 저압 터빈 유입 증기 스톱 밸브
13: 제2 저압 터빈 유입 증기량 조절 밸브
20: 보일러
30: 고압 터빈
40: 중압 터빈
50: 발전기
60: 제1 저압 터빈
70: 제2 저압 터빈
80: 제1 복수기
90: 제2 복수기
100: 클러치
700: 히팅부

Claims (11)

  1. 증기를 생성하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에서 생성된 증기가 유입되는 고압 터빈과, 상기 고압 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가 유입되는 중압 터빈과, 상기 중압 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가 유입되는 저압 터빈을 갖고,
    상기 고압 터빈 및 상기 중압 터빈은, 이들을 연통하여 형성되는 히팅부를 갖고,
    상기 고압 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를 상기 히팅부로 유입시키는 배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를 상기 히팅부로 유입시키는 배관은, 상기 중압 터빈의 후단측의 히팅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를 중압 터빈으로 유입시키는 배관을 갖고,
    상기 고압 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를 상기 히팅부로 유입시키는 배관은, 상기 고압 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를 중압 터빈으로 유입시키는 배관으로부터 분기되는 배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압 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를 상기 히팅부로 유입시키는 배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압 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를 상기 히팅부로 유입시키는 배관은, 상기 중압 터빈의 후단측의 히팅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압 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를 저압 터빈으로 유입시키는 배관을 갖고,
    상기 중압 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를 상기 히팅부로 유입시키는 배관은, 상기 중압 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를 저압 터빈으로 유입시키는 배관으로부터 분기되는 배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를 중압 터빈으로 유입시키는 배관, 및 상기 고압 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를 중압 터빈으로 유입시키는 배관으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고압 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를 상기 히팅부로 유입시키는 배관에는, 증기량을 조정하는 밸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압 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를 저압 터빈으로 유입시키는 배관, 및 상기 중압 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를 저압 터빈으로 유입시키는 배관으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중압 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를 상기 히팅부로 유입시키는 배관에는, 증기량을 조정하는 밸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
  9. 고압 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를 중압 터빈으로 유입시키는 배관에 설치되는 제1 밸브와, 상기 고압 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를 상기 중압 터빈으로 유입시키는 배관으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고압 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를 히팅부로 유입시키는 배관에 설치되는 제2 밸브와, 상기 중압 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를 저압 터빈으로 유입시키는 배관에 설치되는 제3 밸브와, 상기 중압 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를 상기 저압 터빈으로 유입시키는 배관으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중압 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를 상기 히팅부로 유입시키는 배관에 설치되는 제4 밸브의 개폐를 조작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운전 방법이며,
    제1 부하대에서의 운전에서는, 제1 밸브, 제3 밸브, 및 제4 밸브를 폐쇄 상태, 제2 밸브를 개방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운전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하대보다 부하가 큰 제2 부하대에서의 운전에서는, 제1 밸브 및 제4 밸브를 개방 상태, 제2 밸브 및 제3 밸브를 폐쇄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운전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하대보다 부하가 큰 제3 부하대에서의 운전에서는, 제1 밸브 및 제3 밸브를 개방 상태, 제2 밸브 및 제4 밸브를 폐쇄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운전 방법.
KR1020190163371A 2019-02-05 2019-12-10 증기 터빈 발전 설비 및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운전 방법 KR1022661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18598 2019-02-05
JP2019018598A JP7116692B2 (ja) 2019-02-05 2019-02-05 蒸気タービン発電設備および蒸気タービン発電設備の運転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6718A true KR20200096718A (ko) 2020-08-13
KR102266135B1 KR102266135B1 (ko) 2021-06-17

Family

ID=71615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3371A KR102266135B1 (ko) 2019-02-05 2019-12-10 증기 터빈 발전 설비 및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운전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87103B2 (ko)
JP (1) JP7116692B2 (ko)
KR (1) KR102266135B1 (ko)
CN (1) CN111520201B (ko)
DE (1) DE1020192195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91894B (zh) * 2022-04-27 2023-07-04 东方电气集团东方汽轮机有限公司 有限容积工质全运行段高负荷率的透平系统及运行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1532A (en) * 1985-04-12 1987-03-24 Hitachi, Ltd. Method of warming up a reheat turbine
JP2006017016A (ja) * 2004-06-30 2006-01-19 Toshiba Corp 蒸気タービンケーシングおよび蒸気タービン
JP2007113532A (ja) * 2005-10-21 2007-05-10 Sumitomo Heavy Ind Ltd 蒸気タービンにおける温度制御装置及び温度制御方法
JP2008025429A (ja) 2006-07-20 2008-02-07 Hitachi Ltd 蒸気タービン、シール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JP2010007614A (ja) * 2008-06-30 2010-01-14 Toshiba Corp 蒸気タービンロータ及び蒸気タービンロータの温度制御方法
JP2018066362A (ja) * 2016-10-21 2018-04-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蒸気タービン及び温度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8131A (en) * 1995-03-02 1996-03-12 General Electric Company Steam turbine with thermal stress reduction system
JP3784870B2 (ja) * 1995-11-22 2006-06-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ービン車室の変形量調整装置
EP2115274B1 (de) 2007-02-14 2010-04-28 ALSTOM Technology Lt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kraftwerksanlage
JP2010019190A (ja) * 2008-07-11 2010-01-28 Toshiba Corp 蒸気タービンおよび蒸気タービンの冷却方法
JP5388803B2 (ja) 2009-11-10 2014-01-15 株式会社東芝 蒸気タービン発電設備およびその運転方法
EP2554801A1 (en) * 2011-08-02 2013-02-06 Siemens Aktiengesellschaft A turbine system comprising a push rod arrangement between two housings
JP5734792B2 (ja) * 2011-08-30 2015-06-17 株式会社東芝 蒸気タービンプラントおよびその運転方法
EP2738360B1 (en) * 2012-12-03 2019-06-12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A warming arrangement for a steam turbine in a power plant
EP2937523A1 (en) * 2014-04-25 2015-10-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Steam turbine with means for warming the casi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1532A (en) * 1985-04-12 1987-03-24 Hitachi, Ltd. Method of warming up a reheat turbine
JP2006017016A (ja) * 2004-06-30 2006-01-19 Toshiba Corp 蒸気タービンケーシングおよび蒸気タービン
JP2007113532A (ja) * 2005-10-21 2007-05-10 Sumitomo Heavy Ind Ltd 蒸気タービンにおける温度制御装置及び温度制御方法
JP2008025429A (ja) 2006-07-20 2008-02-07 Hitachi Ltd 蒸気タービン、シール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JP2010007614A (ja) * 2008-06-30 2010-01-14 Toshiba Corp 蒸気タービンロータ及び蒸気タービンロータの温度制御方法
JP2018066362A (ja) * 2016-10-21 2018-04-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蒸気タービン及び温度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520201A (zh) 2020-08-11
JP7116692B2 (ja) 2022-08-10
JP2020125725A (ja) 2020-08-20
US11187103B2 (en) 2021-11-30
DE102019219579A1 (de) 2020-08-06
US20200248584A1 (en) 2020-08-06
CN111520201B (zh) 2022-05-17
KR102266135B1 (ko)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34792B2 (ja) 蒸気タービンプラントおよびその運転方法
RU2393357C2 (ru) Способ активн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я осевого давления в паровой турбине
WO2010041552A1 (ja) ガスタービン及びその運転方法
KR20110020946A (ko) 가스 터빈 설비
EP1138880B1 (en) Gas turbine and combined cycle plant
KR19980070604A (ko) 복합 사이클 발전 플랜트 및 그 냉각용 증기 공급방법
JPWO2018109810A1 (ja) タービン及びタービンシステム
US6698182B2 (en) Gas turbine combined plant
JP5254112B2 (ja) ガスタービン発電設備およびそのクリアランス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バックアップ空気の供給方法
JP5969110B2 (ja) 蒸気タービンシステムおよび蒸気タービンの始動法
KR20200096718A (ko) 증기 터빈 발전 설비 및 증기 터빈 발전 설비의 운전 방법
JP5694112B2 (ja) 一軸型複合サイクル発電プラント及びその運転方法
KR101138115B1 (ko) 발전 장치
JP2007046577A (ja) 再熱型蒸気タービンプラント
JP2003083003A (ja) ガスタービン及びガスタービン複合発電プラントの運転方法
KR20190007301A (ko) 스팀의 생성과 발전이 연계된 엔진 시스템
JP2915885B1 (ja) ガスタービン複合発電システム
JP5832080B2 (ja) 発電システムの制御装置、発電システム、及び発電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03106170A (ja) ガスタービンおよびガスタービン複合プラント、並びに冷却蒸気圧力調整方法
EP1666699B1 (en) Combined cycle power plant with gas and steam turbo groups
JP5959454B2 (ja) 蒸気タービンシステム
JP3165619B2 (ja) 一軸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に於ける蒸気タービンの熱応力低減運転方法
JP2014084824A (ja) ガスタービン運転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それを備えたガスタービン
JP4395275B2 (ja) コンバインドプラントの運転方法
JP2011001935A (ja) シール蒸気供給系統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