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6587A -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6587A
KR20200096587A KR1020207019220A KR20207019220A KR20200096587A KR 20200096587 A KR20200096587 A KR 20200096587A KR 1020207019220 A KR1020207019220 A KR 1020207019220A KR 20207019220 A KR20207019220 A KR 20207019220A KR 20200096587 A KR20200096587 A KR 20200096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mune
cells
primary cilia
sample
related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9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1964B1 (ko
Inventor
마나미 도리야마
후미타카 후지타
후미히로 오카다
겐 이시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고쿠리츠 켄큐 카이하츠 호진 이야쿠 키반 켄코 에이요 켄큐쇼
오사카 유니버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고쿠리츠 켄큐 카이하츠 호진 이야쿠 키반 켄코 에이요 켄큐쇼, 오사카 유니버시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Publication of KR20200096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6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3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solid biological material, e.g. tissue samples, cell cul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01N33/56966Animal cells
    • G01N33/56972White bloo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 A61K31/573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substituted in position 21, e.g. cortisone, dexamethasone, prednisone or aldoste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76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involving cell organelles, e.g. Golgi complex, endoplasmic reticulu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01N33/56966Animal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24Immunology or allergic disor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2Predicting or monitoring the response to treatment, e.g. for selection of therapy based on assay results in personalised medicine; Pro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physic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역 관련 질환의 객관적인 지표를 신속히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피험 검체와 정상 검체 사이에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의 차이를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로서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
본 발명은,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면역 관련 질환의 검사, 면역 관련 질환의 진단의 보조, 면역 관련 질환의 치료약의 개발, 면역 관련 질환을 억제하기 위한 의약부외품 또는 화장료 성분의 개발 등에 유용한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를 이용하는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 및 당해 면역 관련 질환의 진단의 보조 방법, 이들에 이용하는 면역 관련 질환의 검사 키트, 상기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를 이용하는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억제 효과의 평가 방법 및 피험 시료의 평가 방법, 면역 기능 제어제 그리고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 제거제에 관한 것이다.
일차섬모는, 주로, 인간 망막색소상피세포 등의 비면역세포의 표면에 존재하는 비운동성의 세포 기관이다. 인간 망막색소상피세포의 일차섬모의 이상은, 망막 변성을 일으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한편, 면역세포에서는, 배양주화(培養株化) T 세포 및 배양주화 B 세포를 혈청 기아 상태로 유지했을 때에, 일차섬모의 형성이 유도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초대 면역세포와 일차섬모의 기능과의 관련성이 구체적으로 기재된 문헌을 현시점에서는 발견하고 있지 않다.
수잔나 엘 프로서(Suzanna L. Prosser) 등, 「센트린2는 일차섬모 형성에 있어서의 CP110 제거를 제어한다(Centrin2 regulates CP110 removal in primary cilium formation)」, 더 저널 오브 셀 바이올로지(The Journal of cell Biology), 제 208 권, 제 6 호, p. 693-701, 2015년 3월 9일 발행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의 객관적인 지표를 신속히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는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 의사에 의한 면역 관련 질환의 이환(罹患)의 유무 또는 예후의 진단이 신속히 객관적으로 행해지도록 당해 진단을 보조할 수 있는 면역 관련 질환의 진단의 보조 방법, 면역 관련 질환을 신속히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는 면역 관련 질환의 검사 키트, 면역 관련 질환의 치료를 받은 피험체 또는 면역 관련 질환 억제제가 투여된 피험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억제 효과를 신속히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억제 효과의 평가 방법, 피험 시료가 면역 기능 제어 작용을 갖는지 여부를 간편한 조작으로 객관적으로 적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피험 시료의 평가 방법, 면역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면역 기능 제어제 및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를 제거할 수 있는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 제거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1) 피험체로부터 채취된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를 관찰하여, 당해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와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를 비교해,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와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의 차이를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
(2) 피험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진단을 보조하는 방법으로서, 피험체로부터 채취된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를 관찰하여, 당해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와 비교 대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를 비교하고, 얻어진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 피험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의 이환 유무의 진단의 보조 정보 또는 피험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의 예후 진단의 보조 정보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험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진단의 보조 방법,
(3) 피험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을 검사하기 위한 키트로서,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에 대한 특이적 결합 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관련 질환의 검사 키트,
(4) 면역 관련 질환에 이환한 피험체에 실시된 치료 또는 당해 피험체에 투여된 면역 관련 질환 억제제에 의한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억제 효과를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피험체로부터 채취된 치료 전후 또는 면역 관련 질환 억제제 투여 전후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를 관찰하여, 치료 전후 또는 면역 관련 질환 억제제 투여 전후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를 비교해, 치료 전후 또는 면역 관련 질환 억제제 투여 전후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변화를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억제 효과의 지표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억제 효과의 평가 방법,
(5) 피험 시료가 면역 기능 제어 작용을 갖는 물질인지 여부를 평가하는 피험 시료의 평가 방법으로서, (A)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를 함유하는 세포군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를 관찰하는 스텝,
(B)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를 함유하는 세포군과 피험 시료를 접촉시켜, 당해 피험 시료에 접촉시킨 세포군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를 관찰하는 스텝, 및
(C) 스텝 (A)에서 관찰된 세포군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와, 스텝 (B)에서 관찰된 세포군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의 차이에 의거하여, 피험 시료가 면역 기능 제어 작용을 갖는 물질인지 여부를 평가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험 시료의 평가 방법,
(6) 면역 기능을 억제하기 위한 면역 기능 제어제로서,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로부터 일차섬모를 제거하는 작용을 갖는 일차섬모 제거 작용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기능 제어제, 및
(7)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로부터 일차섬모를 제거하기 위한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 제거제로서, 스테로이드제 및 생리 활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 제거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의 객관적인 지표를 신속히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는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 의사에 의한 면역 관련 질환의 이환의 유무 또는 예후의 진단이 신속히 객관적으로 행해지도록 당해 진단을 보조할 수 있는 면역 관련 질환의 진단의 보조 방법, 면역 관련 질환을 신속히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는 면역 관련 질환의 검사 키트, 면역 관련 질환의 치료를 받은 피험체 또는 면역 관련 질환 억제제가 투여된 피험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억제 효과를 신속히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억제 효과의 평가 방법, 피험 시료가 면역 기능 제어 작용을 갖는지 여부를 간편한 조작으로 객관적으로 적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피험 시료의 평가 방법, 면역 기능을 억제할 수 있는 면역 기능 제어제 및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를 제거할 수 있는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 제거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의 (A)는 실시예 1에 있어서, 랑게르한스 세포 마커에 의한 인간 건상(健常, 건강하고 정상인) 피부 조직의 염색상(像)의 도면 대용 사진, (B)는 일차섬모 마커에 의한 인간 건상 피부 조직의 염색상의 도면 대용 사진, (C)는 세포핵 염색제에 의한 인간 건상 피부 조직의 염색상의 도면 대용 사진, (D)는 (A)에 나타나는 염색상과 (B)에 나타나는 염색상과 (C)에 나타나는 염색상의 중첩 화상의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2의 (A)는 실시예 2에 있어서, 일차섬모 마커에 의한 아토피성 피부염 병소 조직의 염색상의 도면 대용 사진, (B)는 랑게르한스 세포 마커에 의한 아토피성 피부염 병소 조직의 염색상의 도면 대용 사진, (C)는 세포핵 염색제에 의한 아토피성 피부염 병소 조직의 염색상의 도면 대용 사진, (D)는 (A)에 나타나는 염색상과 (B)에 나타나는 염색상과 (C)에 나타나는 염색상의 중첩 화상의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3의 (A)는 실시예 2에 있어서, 일차섬모 마커에 의한 아토피성 피부염 병소 조직 중의 랑게르한스 세포의 염색상의 도면 대용 사진, (B)는 랑게르한스 세포 마커에 의한 아토피성 피부염 병소 조직 중의 랑게르한스 세포의 염색상의 도면 대용 사진, (C)는 미분간섭 관찰법에 의해 촬영된 아토피성 피부염 병소 조직의 촬영상의 도면 대용 사진, (D)는 (A)에 나타나는 염색상과 (B)에 나타나는 염색상과 (C)에 나타나는 촬영상의 중첩 화상의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3에 있어서, 조직의 종류와 일차섬모를 갖는 랑게르한스 세포의 수와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3에 있어서, 조직의 종류와 일차섬모를 갖는 케라티노사이트의 수와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의 (A)는 실시예 4에 있어서, 배양 개시 시로부터 1일간 경과 후의 미성숙 수상세포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진, (B)는 배양 개시 시로부터 3일간 경과 후의 미성숙 수상세포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진, (C)는 배양 개시 시로부터 7일간 경과 후의 미성숙 수상세포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7은 실시예 4에 있어서, 미성숙 수상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의 경시적(經時的)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의 (A)는 실시예 5에 있어서, 미배양의 세포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진, (B)는 배양 개시 시로부터 1일간 경과 후의 성숙 수상세포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진, (C)는 배양 개시 시로부터 3일간 경과 후의 성숙 수상세포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진, (D)는 배양 개시 시로부터 7일간 경과 후의 성숙 수상세포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9는 실시예 5에 있어서, 성숙 수상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의 경시적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의 (A)는 실시예 6에 있어서, 대조 배지 중에서의 배양 후에 당해 배지 중에서 부유하고 있는 부유세포의 형태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진, (B)는 대조 배지 중에서의 배양 후의 배양 용기에 접착하고 있는 세포의 형태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진, (C)는 히드로코르티손 함유 배지 중에서의 배양 후에 당해 배지 중에서 부유하고 있는 부유세포의 형태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진, (D)는 히드로코르티손 함유 배지 중에서의 배양 후의 배양 용기에 접착하고 있는 세포의 형태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진, (E)는 덱사메타손 함유 배지 중에서의 배양 후에 당해 배지 중에서 부유하고 있는 부유세포의 형태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진, (F)는 덱사메타손 함유 배지 중에서의 배양 후의 배양 용기에 접착하고 있는 세포의 형태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11은 실시예 7에 있어서, 시료의 종류와 면역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실시예 9에 있어서, 조직의 종류와 세포 집단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랑게르한스 세포의 함유율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실시예 9에 있어서, 조직의 종류와 세포 집단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케라티노사이트의 함유율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피험체로부터 채취된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를 관찰하여, 당해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와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를 비교해,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와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의 차이를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에 의하면,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를 관찰하여,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와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를 비교한다는 조작이 채택되어 있으므로,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의 객관적인 지표를 신속히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면역 관련 질환」이란, 증상의 발현에 면역계의 기능이 관여하는 질환을 말한다. 면역 관련 질환으로는, 예를 들면, 종양, 면역 부전 질환, 감염증, 자기면역 질환, 장기 이식에 수반하는 거절반응, 알레르기성 질환, 염증성 질환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종양으로는, 예를 들면, 설암, 잇몸암, 악성 림프종, 멜라노마(악성 흑색종), 상악암, 비암, 비강암, 후두암, 인두암, 신경교종〔예를 들면, 글리오블라스토마(교아종), 별세포종 등〕, 수막종, 신경아세포종, 갑상유두선암, 갑상선 여포암, 갑상선 수양암, 원발성 폐암, 편평상피암, 선암, 폐포상피암, 대세포성 미분화암, 소세포성 미분화암, 카르시노이드, 고환 종양, 전립선암, 유암(예를 들면, 유두선암, 면포암, 점액암, 수양암, 소엽암, 경암 육종, 전이 종양 등), 유방 파제트병, 유방 육종, 골종양, 갑상선암, 간암, 급성 골수성 백혈병, 급성전 골수성 백혈병, 급성 골수성 단구 백혈병, 급성 단구성 백혈병, 급성 림프성 백혈병, 급성 미분화성 백혈병, 만성 골수성 백혈병, 만성 림프성 백혈병, 성인형 T 세포 백혈병, 악성 림프종(예를 들면, 림프 육종, 세망육종, 호지킨병 등), 다발성 골수종, 원발성 마크로글로불린혈증, 소아성 백혈병, 식도암, 위암, 위·대장 평활근육종, 위·장 악성 림프종, 췌·담낭암, 십이지장암, 대장암, 원발성 간암(예를 들면, 간 세포암, 담관 세포암 등), 간아종, 자궁 상피내암, 자궁경부 편평상피암, 자궁선암, 자궁선 편평상피암, 자궁체부 선류암, 자궁 육종, 자궁암 육종, 자궁 파괴성 기태, 자궁 악성 융모상피종, 자궁 악성 흑색종, 난소암, 중배엽성 혼합 종양, 신암(腎癌), 신세포암, 신우이행상피암, 요관이행상피암, 방광유두암, 방광이행상피암, 요도 편평상피암, 요도선암, 윌름스 종양, 횡문근 육종, 섬유 육종, 골육종, 연골 육종, 활액막 육종, 점액 육종, 지방 육종, 유잉 육종, 피부 편평상피암, 피부 기저세포암, 피부 보웬병, 피부 파제트병, 피부 악성 흑색종, 악성 중피암, 전이성 선암, 전이성 편평상피암, 전이성 육종, 중피종(예를 들면, 흉막 중피종, 복막 중피종, 심막 중피종 등)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면역 부전 질환으로는, 예를 들면, 후천성 면역부전 증후군(AIDS), 중증 질환(예를 들면, 암, 재생 불량성 빈혈, 백혈병, 골수 섬유증, 신부전, 당뇨병, 간 질환, 비(脾)질환 등)에 수반하는 중증 복합 면역 부전증(SCID), 분류 불능형 면역 부전증, 원발성 면역부전 증후군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감염증으로는, 예를 들면, 바이러스 감염증, 병원성 원생동물 감염증, 세균 감염증, 진균 감염증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이러스 감염증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는, 예를 들면, A형 간염 바이러스, B형 간염 바이러스, C형 간염 바이러스, E형 간염 바이러스 등의 인간 간염 바이러스; HIV1, HIV2 등의 인간 면역 부전 바이러스; HTLV1, HTLV2 등의 인간 T 세포 백혈병 바이러스;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1형,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2형 등의 헤르페스 바이러스;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사이토메갈로 바이러스; 수두-대상 포진 바이러스; 인간 헤르페스 바이러스 6 등의 인간 헤르페스 바이러스; 폴리오 바이러스; 홍역 바이러스; 풍진 바이러스; 일본 뇌염 바이러스; 멈프스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데노 바이러스, 엔테로 바이러스, 라이노 바이러스 등의 감기 증후군의 원인 바이러스; 코로나 바이러스 등의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ARS)의 원인 바이러스; 에볼라 바이러스; 서나일 바이러스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병원성 원생동물 감염증을 일으키는 병원성 원생동물로는, 예를 들면, 트리파노소마, 말라리아, 톡소플라즈마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세균 감염증을 일으키는 세균으로는, 예를 들면, 마이코박테리움, 살모넬라, 리스테리아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진균 감염증을 일으키는 진균으로는, 예를 들면, 칸디다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기면역 질환으로는, 예를 들면, 관절염, 자기면역성 간염, 자기면역성 사구체신염, 자기면역성 췌도염, 자기면역성 정소염, 자기면역성 난소염, 궤양성 대장염, 쉐그렌 증후군, 크론병, 베체트병, 베게너 육아종증, 과민성 혈관염, 결절성 동맥주위염, 하시모토병, 점액수종, 바세도우병, 애디슨병, 자기면역성 용혈성 빈혈, 돌발성 혈소판 감소증, 악성 빈혈, 중증근무력증, 탈수(脫髓) 질환, 대동맥 염증군, 건선, 천포창, 유천포창, 교원병(예를 들면, 전신성 에리테마토데스, 만성 관절 류머티즘, 범발성 강피증, 전신성 진행성 경화증, 피부근염, 결절성 다발성 동맥염, 류머티즘 열 등), 길랭·바레 증후군, 다선성 자기면역 증후군 Ⅱ형,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심상성 백반, 1형 당뇨병, 자기면역성 혈전증(예를 들면, 자기면역성의 동맥 혈전증, 자기면역성의 정맥 혈전증 등), 습관성 유산, 혈소판 감소증, 항인지질 항체 증후군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장기 이식에 수반하는 거절반응으로서, 예를 들면, 신 이식, 간 이식, 심 이식, 폐 이식 등에 수반하는 거절반응; 골수 이식에 있어서의 거절반응; 이식편대숙주병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알레르기성 질환으로는, 예를 들면, 천식, 기관지 천식, 아토피성 피부염, 심마진,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위장염, 아나필락시스쇼크, 음식 알레르기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염증성 질환으로서, 예를 들면, 습진, 여드름, 접촉성 피부염 등의 피부염; 대장염; 고안(高安) 동맥염, 거세포 동맥염(측두 동맥염), 결절성 다발 동맥염, 베게너 육아종증, 척·스트라우스 증후군(알레르기성 육아종성 혈관염), 알레르기성 피부 혈관염, 헤노흐·쇤라인 자반병, 과민성 혈관염, 혈관염 증후군, 폐색성 혈전성 혈관염(버거병), 결절성 혈관염 등의 혈관염; 류머티스 관절염, 만성 관절 류머티즘, 변형성 관절염, 결핵성 관절염, 화농성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슬내장(膝內障), 특발성 골괴사증, 골관절염 등의 관절염; 바이러스성 간염, 자기면역성 간염 등의 간염; 급성 사구체신염, 만성 신염, 급속 진행성 신염 증후군, 용련균 감염 후 급성 사구체신염, 막성 증식성 사구체신염, 굿파스쳐(Goodpasture) 증후군, 메산지움 증식성 사구체신염(IgA 신증), 간질성 신염 등의 신염; 급성 감염성 위염, 만성 위염 등의 위염; 췌염, 장염, 후두염, 신경염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에 있어서, 항원 제시 기능을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를 이용하는 경우, 이들 면역 관련 질환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알레르기성 질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토피성 피부염 및 천식의 각 지표의 검출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에 있어서, 피부에 존재하는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를 이용하는 경우, 면역 관련 질환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피부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토피성 피부염, 건선, 습진 및 여드름의 각 지표의 검출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면역 관련 세포에는, 면역 반응을 주로 담당하는 면역세포와, 주된 기능은 면역 반응은 아니지만, 면역 반응에 간접적으로 관여하는 기능, 예를 들면, 면역세포의 활성화 등의 기능을 보유하는 세포(이하, 「면역 기능 보유 세포」라고 한다)가 포함된다. 면역세포로는, 예를 들면, 랑게르한스 세포, 진피 수상세포 등의 피부 수상세포; T 세포, NK 세포, B 세포 등의 림프구계의 면역세포; 통상형(通常型) 수상세포, 형질세포양 수상세포 등의 단구계 수상세포 등의 단구계의 면역세포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면역 기능 보유 세포로는, 예를 들면, 케라티노사이트, 섬유아세포, 상피세포 등의 피부의 조직을 구성하고, 면역 반응에 간접적으로 관여하는 기능을 보유하는 세포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용되는 면역 관련 세포는,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의 용도 등에 따라 다르므로 일률적으로는 결정할 수 없는 점에서,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의 용도 등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의 용도가, 병원체, 화학물질, 바이러스 등의 세포 외의 이물에 의해 야기되는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인 경우, 이들 면역 관련 세포 중에서는, 이물을 인식하여 면역 반응을 개시하는 세포가 바람직하고, 수상세포가 보다 바람직하며, 피부 수상세포 및 단구계 수상세포가 더욱 바람직하고, 단구계 수상세포가 더욱더 바람직하다. 면역 관련 세포는,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를 적확하게 조기에 검출하는 관점에서, 초대 면역 관련 세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란, 면역 관련 세포의 표면에 존재하는 면역 관련 세포 유래의 일차섬모를 말한다.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는, 1세포당 1개 이하의 일차섬모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에서는, 우선, 피험체로부터 채취된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를 관찰한다.
일차섬모의 관찰 항목으로는, 예를 들면,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 면역 관련 세포 1개당 일차섬모의 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굵기, 이들 항목의 조합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를 관찰할 때에 이용되는 관찰 항목은, 면역 관련 질환의 종류,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의 용도 등에 따라 적절한 항목이 다르므로 일률적으로는 결정할 수 없는 점에서, 면역 관련 질환의 종류,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의 용도 등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을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가 증가하는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에 이용하는 경우,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를 관찰 항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는, 세포 1개당 1개 이하의 일차섬모를 갖고 있다. 따라서, 면역 관련 세포 1개당 일차섬모의 수가 증가하는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를 검출하는 경우, 면역 관련 세포 1개당 일차섬모의 수를 관찰 항목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을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가 변화하는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에 이용하는 경우,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길이를 관찰 항목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험체로는, 예를 들면, 면역 관련 질환에 이환한 환자 또는 환축(患畜), 면역 관련 질환에 이환하고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환자 또는 환축, 건상자(健常者), 건상 비(非)인간 동물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피험 검체는, 피험체로부터 채취된 피험 대상의 검체이다. 검체로는, 예를 들면, 혈액, 피부 조직, 모유두(毛乳頭) 세포를 포함하는 모발 조직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항목은, 예를 들면, 피험 검체 함유 시료와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에 대한 특이적 결합 물질(이하,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이라고 한다)을 접촉시켜,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에 결합한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을 검출하는 것 등에 의해 관찰할 수 있다.
피험 검체 함유 시료로는, 예를 들면, 고정액에 의해 피험 검체를 고정함으로써 얻어진 고정 시료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액으로는, 예를 들면, 아세톤, 메탄올, 아세톤과 메탄올의 혼합 용액, 포름알데히드 수용액, 포름알데히드의 인산 완충액 용액, 파라포름알데히드 수용액, 파라포름알데히드의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 용액, 파라포름알데히드의 인산 완충액 용액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 시료는, 세정액으로 세정되어 있어도 되고, 세정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세정액으로는, 예를 들면,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이 모노클로날 항체, 폴리클로날 항체 또는 항체 단편(斷片)인 경우, 고정 시료는,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항목을 적확하게 관찰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블로킹제에 의해 블로킹 처리가 실시된 시료이다. 블로킹제로는, 예를 들면, 알부민을 함유하는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 알부민을 함유하는 인산 완충액, 알부민과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 용액 등의 블로킹제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로는, 예를 들면,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마커에 대한 특이적 결합 물질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마커로는, 예를 들면, ADP 리보실화 인자양 단백질(Arl13B), 아세틸화 튜불린, 아데닐산 시클라제Ⅲ, 네프로시스틴3(NPHP3), 편모내 수송단백질(IFT88), 소마토스타틴 수용체3(sstr3), 폴리시스틴-1(TRPC1), 일과성 수용체 전위 바닐로이드4(TRPV4), 혈소판유래 성장인자 수용체α(PDGFRα), 스무든드(Smo)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마커에 대한 특이적 결합 물질로는, 예를 들면, 모노클로날 항체, 폴리클로날 항체 등의 항체; Fab 프래그먼트, F(ab')2 프래그먼트, 단쇄 항체 등의 항체 단편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노클로날 항체는, 예를 들면,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마커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를 산생하는 하이브리도마를 배양하여 배양상청을 얻고, 필요에 따라 배양상청을 정제하는 것 등에 의해 얻어진다. 하이브리도마는, 예를 들면,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마커를 동물의 정맥내, 피하 또는 복강내에 투여해 당해 동물을 면역하여 항체산생세포를 얻고, 이 항체산생세포와 미엘로마세포를 세포 융합시켜, 얻어진 융합 세포를 HAT 배지에서 배양하는 것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폴리클로날 항체는, 예를 들면,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마커를 동물의 정맥내, 피하 또는 복강내에 투여해 당해 동물을 면역하여 항혈청을 얻고, 필요에 따라 항혈청을 정제하는 것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Fab 프래그먼트는, 예를 들면,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마커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를 파파인으로 소화하고, 필요에 따라 파파인 소화물을 정제하는 것 등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F(ab')2 프래그먼트는, 예를 들면,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마커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를 펩신으로 소화하고, 필요에 따라 펩신 소화물을 정제하는 것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단쇄 항체는,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마커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의 경쇄(輕鎖)의 가변 영역을 코드하는 핵산과 링커를 코드하는 핵산과 당해 항체의 중쇄의 가변 영역을 코드하는 핵산이 연결된 핵산 구축물을 함유하는 단쇄 항체 발현용 파지미드 벡터를 숙주세포에 도입하여, 당해 숙주세포내에서 핵산 구축물에 코드되는 폴리펩티드를 발현시키고, 필요에 따라 폴리펩티드를 정제하는 것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마커에 대한 특이적 결합 물질의 구체예로는, 항Arl13B 항체, 항아세틸화 튜불린 항체 등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에 대한 항체;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에 대한 항체 단편;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에 대한 압타머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 중에서는,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를 적확하게 검출하는 관점에서,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에 대한 항체가 바람직하고, 항Arl13B 항체 및 항아세틸화 튜불린 항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은, 피험 검체 함유 시료와 당해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의 접촉 시에, 형광, 색 등의 검출 가능한 시그널을 생성하는 표지(標識) 물질과 복합화시켜 이용되거나,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표지 특이적 결합 물질과 병용된다.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에 복합화시키는 표지 물질로는, 예를 들면, 플루오레세인이소티오시아네이트, 2-(3-이미니오-4,5-디술포나토-6-아미노-3H-크산텐-9-일)-5-[[5-(2,5-디옥소-3-피롤린-1-일)펜틸]카르바모일]안식향산〔예를 들면, 인비트로젠(Invitrogen)사 제조, 상품명: Alexa Fluor 488 등〕, 6-(2-카르복실라토-4-카르복시페닐)-1,2,10,11-테트라히드로-1,2,2,10,10,11-헥사메틸-4,8-비스(술포메틸)-1,11-디아자-13-옥소니아펜타센〔예를 들면, 인비트로젠사 제조, 상품명: Alexa Fluor 594 등〕 등의 형광 물질; 페록시다아제, 알칼리포스파타아제 등의 효소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표지 물질 중에서는,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를 고감도로 적확하게 검출하는 관점에서, 형광 물질이 바람직하다.
표지 특이적 결합 물질은, 통상,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에 결합한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특이적 결합 물질(이하, 「제 2 특이적 결합 물질」이라고 한다)과 표지 물질의 복합체이다. 제 2 특이적 결합 물질은,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의 종류 등에 따라 다르므로 일률적으로는 결정할 수 없는 점에서,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의 종류 등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지 특이적 결합 물질에 이용되는 표지 물질은,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에 복합화시키는 표지 물질과 마찬가지이다.
피험 검체 함유 시료와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을 접촉시키는 방법은,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의 종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에 결합한 특이적 결합 물질의 검출 수단의 종류, 피험 검체의 종류 등에 따라 다르므로 일률적으로는 결정할 수 없는 점에서,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의 종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에 결합한 특이적 결합 물질의 검출 수단의 종류, 피험 검체의 종류 등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험 검체 함유 시료와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의 접촉은, 조작이 용이한 점에서, 통상, 액상(液相) 중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상은,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의 종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에 결합한 특이적 결합 물질의 검출 수단의 종류 등에 따라 다르므로 일률적으로는 결정할 수 없는 점에서,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의 종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에 결합한 특이적 결합 물질의 검출 수단의 종류 등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험 검체 함유 시료와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을 접촉시킬 때에, 피험 검체 함유 시료와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의 혼합비 및 접촉 시간은, 피험 검체의 종류,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의 종류 등에 따라 다르므로 일률적으로는 결정할 수 없는 점에서, 피험 검체의 종류,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항목을 적확하게 관찰하는 관점에서,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의 접촉 후의 피험 검체 함유 시료를 적절한 세정액으로 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정액으로는, 예를 들면,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 인산 완충액, 계면활성제 함유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 용액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에 결합한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의 검출은, 피험 검체 함유 시료와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의 접촉 시에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을 표지 물질과 복합화시켜 이용하는 경우,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에 결합한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과 복합화한 표지 물질에서 유래하는 시그널을 검출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 피험 검체 함유 시료와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의 접촉 시에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을 표지 특이적 결합 물질과 병용하는 경우,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에 결합한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의 검출은,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과 병용되는 표지 특이적 결합 물질의 표지 물질에서 유래하는 시그널을 검출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항목으로서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를 이용하는 경우,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는, 예를 들면, 표지 물질에서 유래하는 시그널이 검출된 면역 관련 세포의 수를 계수하는 것 등에 의해 조사할 수 있다.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항목으로서 면역 관련 세포 1개당 일차섬모의 수를 이용하는 경우, 면역 관련 세포 1개당 일차섬모의 수는, 예를 들면, 면역 관련 세포 1개당 표지 물질에서 유래하는 시그널이 검출된 일차섬모의 수를 계수하는 것 등에 의해 조사할 수 있다.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항목으로서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를 이용하는 경우,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는, 예를 들면, 표지 물질에서 유래하는 시그널을 화상화하고, 얻어진 화상에 있어서의 시그널이 발생하고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 단부(端部)에서부터 타단부까지의 길이를 측정하는 것 등에 의해 조사할 수 있다.
시그널의 검출 수단으로는, 예를 들면, 형광 현미경, 공초점(共焦点) 레이저 현미경 등의 광학 현미경; 형광 이미징 애널라이저 등의 화상 해석장치; 형광 플로우 사이토미터, 이미징 플로우 사이토미터 등의 플로우 사이토메트리 장치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면역 관련 세포의 종류를 동정(同定)할 수 있다. 면역세포의 종류를 동정하는 경우, 면역세포의 종류를 동정하기 위한 동정 시약을 이용할 수 있다. 면역세포의 종류의 동정 시약으로는, 예를 들면, 면역세포의 종류에 따른 마커에 대한 항체, 구체적으로는, 항CD1a 항체, 항CD14 항체, 항CD3 항체, 항CD20 항체, 항CD4 항체, 항CD8 항체, 항CD56 항체, 항랑게린 항체, 항CD205 항체, 항CD11C 항체, 항CD123 항체, 항HLA-DR 항체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면역세포의 종류에 따른 마커로는, 예를 들면, 랑게린(CD207), CD1a, CD205 등의 랑게르한스 세포 마커, CD11c, CD123, HLA-DR 등의 단구계 수상세포 마커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면역 기능 보유 세포의 종류를 동정하는 경우, 면역 기능 보유 세포의 종류를 동정하기 위한 동정 시약을 이용할 수 있다. 면역 기능 보유 세포의 종류의 동정 시약으로는, 예를 들면, 면역 기능 보유 세포의 종류에 따른 마커에 대한 항체, 구체적으로는, 항케라틴 1 항체, 항케라틴 10 항체, 항인볼루크린 항체, 항α평활근 액틴 항체, 항비멘틴 항체, 항사이토케라틴 항체, 항E-카드헤린 항체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면역 기능 보유 세포의 종류에 따른 마커로는, 예를 들면, 케라틴 1, 케라틴 10, 인볼루크린 등의 케라티노사이트마커; α평활근 액틴 항체, 비멘틴 등의 섬유아세포 마커, 사이토케라틴, E-카드헤린 등의 상피세포 마커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와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를 비교하여,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와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의 차이를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로서 검출한다.
정상 검체로는, 예를 들면, 건상자 또는 건상 비인간 동물로부터 채취된 검체, 피험체의 비병변부로부터 채취된 검체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피험 검체로서 피험체로부터 채취된 혈액을 이용하는 경우, 이들 정상 검체 중에서는,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를 적확하게 검출하는 관점에서, 건상자 또는 건상 비인간 동물로부터 채취된 혈액이 바람직하다. 피험 검체로서 피험체로부터 채취된 피부 조직을 이용하는 경우, 정상 검체는, 건상자 또는 건상 비인간 동물로부터 채취된 피부 조직이어도 되고, 피험체의 비병변부로부터 채취된 피부 조직이어도 된다. 피험체로서 피험체로부터 채취된 모발 조직을 이용하는 경우, 정상 검체는, 건상자 또는 건상 비인간 동물로부터 채취된 모발 조직이어도 되고, 피험체의 비병변부로부터 채취된 모발 조직이어도 된다.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로는, 예를 들면, 피험 검체가 채취된 피험체와 동일한 피험체로부터 채취된 당해 피험 검체와 동일 종류의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 건상자 또는 건상 비인간 동물로부터 채취된 피험 검체와 동일 종류의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는,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과 마찬가지로 관찰하여 얻어진 관찰 결과여도 되고, 정상 검체에 관한 기존의 관찰 결과의 축적 데이터여도 된다. 또,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에 이용되는 관찰 항목은,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와 동일한 관찰 항목이다.
피험 검체와 정상 검체의 사이에서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를 비교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피험 검체와 정상 검체의 사이에서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를 비교하는 방법, 피험 검체와 정상 검체의 사이에서 면역 관련 세포 1개당 일차섬모의 수를 비교하는 방법, 피험 검체와 정상 검체의 사이에서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를 비교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피험 검체와 정상 검체의 사이에서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를 비교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 및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를 그대로 이용하여 비교하는 방법,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에 의거하여 산출된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과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에 의거하여 산출된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을 이용하여 비교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상 검체가 건상자 또는 건상 비인간 동물로부터 채취된 검체인 경우,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로서, 복수의 건상자 또는 복수의 건상 비인간 동물로부터 채취된 각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로부터 산출된 평균치를 이용해도 된다.
피험 검체 또는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은, 식 (I)에 의거하여 산출할 수 있다.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검체에 있어서의 전(全)면역 관련 세포 수]〕×100      (I)
(식 중, 「검체」는 피험 검체 또는 정상 검체를 나타낸다)
피험 검체와 정상 검체의 사이에서 면역 관련 세포 1개당 일차섬모의 수를 비교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 1개당 일차섬모의 수 및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 1개당 일차섬모의 수를 그대로 이용하여 비교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상 검체가 건상자 또는 건상 비인간 동물로부터 채취된 검체인 경우,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 1개당 일차섬모의 수로서, 복수의 건상자 또는 복수의 건상 비인간 동물로부터 채취된 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 1개당 일차섬모의 수로부터 산출된 평균치를 이용해도 된다.
피험 검체와 정상 검체의 사이에서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를 비교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 및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를 그대로 이용하여 비교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상 검체가 건상자 또는 건상 비인간 동물로부터 채취된 검체인 경우,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로서, 복수의 건상자 또는 복수의 건상 비인간 동물로부터 채취된 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로부터 산출된 평균치를 이용해도 된다.
면역 관련 세포가 혈액에 존재하는 면역 관련 세포인 경우, 피험체에 대한 침습도를 저감하는 동시에, 다종류이고 다수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를 동시에 관찰하는 관점에서, 피험 검체로서 혈액을 이용하고, 당해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을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과 비교하여,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과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의 차이를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면역 관련 세포가 표피에 존재하는 면역 관련 세포인 경우,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을 신속히 정확하게 행하는 관점에서, 피험 검체로서 표피 조직을 이용하고, 당해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를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와 비교하여,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와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의 차이를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험 검체와 정상 검체의 사이에 이하의 차이 A∼C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차이가 있는 경우, 당해 차이는,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로서 이용된다.
<차이 A>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와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 사이의 차이
<차이 B>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 1개당 일차섬모의 수와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 1개당 일차섬모의 수 사이의 차이
<차이 C>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와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 사이의 차이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은,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의 이상 증가,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의 이상 증가,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의 이상 신장 등을 기인으로 하는 면역 관련 질환(이하, 「면역 관련 질환 A」라고 한다)에 적용할 수 있다. 면역 관련 질환 A의 지표로는, 예를 들면, 이하의 지표 A, 지표 B, 지표 C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지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병용해도 된다.
<지표 A>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가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에 비해 유의(有意)하게 많은 것
<지표 B>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이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
<지표 C>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가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에 비해 유의하게 긴 것
또,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은,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의 이상 감소,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의 이상 감소 등을 기인으로 하는 면역 관련 질환(이하, 「면역 관련 질환 B」라고 한다)에 적용할 수 있다. 면역 관련 질환 B의 지표로는, 이하의 지표 D, 지표 E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지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병용해도 된다.
<지표 D>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가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에 비해 유의하게 적은 것
<지표 E>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이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
면역 관련 질환 A로는, 예를 들면, 알레르기성 천식, 아토피성 피부염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면역 관련 질환 B로는, 예를 들면, 글리오블라스토마(교아종), 신세포암, 멜라노마(악성 흑색종)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에 의하면,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의 객관적인 지표를 신속히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은, 면역 관련 질환 억제제 또는 치료약의 개발, 검사 기관, 의료 기관의 검사부 등에서의 면역 관련 질환의 검사, 의료 기관에서의 의사에 의한 면역 관련 질환의 이환의 유무 또는 면역 관련 질환의 예후의 진단 등에 이용되는 것이 기대되는 것이다.
2. 면역 관련 질환의 진단의 보조 방법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진단의 보조 방법은, 피험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진단을 보조하는 방법으로서, 피험체로부터 채취된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를 관찰하여, 당해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와 비교 대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를 비교하고, 얻어진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 피험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의 이환 유무의 진단의 보조 정보 또는 피험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의 예후 진단의 보조 정보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진단의 보조 방법에 의하면,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와 비교 대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를 비교하고, 얻어진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 피험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의 이환 유무의 진단의 보조 정보 또는 피험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의 예후 진단의 보조 정보를 얻는다는 조작이 채택되어 있으므로, 피험체가 면역 관련 질환에 이환하고 있는 것 또는 피험자가 면역 관련 질환에 이환하고 있지 않은 것의 진단, 또는 피험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의 예후가 양호한 것 또는 피험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의 예후가 불량인 것의 진단을 내리기 위한 객관적인 판단 재료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진단의 보조 방법에 의하면, 의사에 의한 면역 관련 질환의 이환 유무의 진단 또는 면역 관련 질환의 예후의 진단이 신속히 객관적으로 행해지도록 당해 진단을 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진단의 보조 방법을 면역 관련 질환의 이환 유무의 진단의 보조에 이용하는 경우, 피험체로는, 예를 들면, 면역 관련 질환에 이환하고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환자 또는 환축, 건상자, 건상 비인간 동물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진단의 보조 방법을 면역 관련 질환의 예후 진단의 보조에 이용하는 경우, 피험체로는, 예를 들면, 면역 관련 질환에 이환한 치료 전후의 환자 또는 환축, 건상자, 건상 비인간 동물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피험 검체는, 상기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에 이용되는 피험 검체와 마찬가지이다.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은, 상기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에서 행해지는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과 마찬가지의 조작에 의해 행할 수 있다. 피험 검체와 비교 대상 검체 사이에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의 비교는, 상기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에 있어서, 정상 검체를 이용하는 대신에 비교 대상 검체를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에서 행해지는 피험 검체와 정상 검체 사이에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의 비교와 마찬가지의 조작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를 관찰할 때에 이용되는 관찰 항목은, 상기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에 있어서의 관찰 항목과 마찬가지이다.
피험 검체와 비교 대상 검체의 사이에 이하의 차이 a∼c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차이가 있는 경우, 당해 차이에 의거하여, 피험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의 이환의 유무 또는 피험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의 예후를 의사가 진단하기 위한 판단 재료로 이용되는 진단의 보조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차이 a>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와 비교 대상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 사이의 차이
<차이 b>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 1개당 일차섬모의 수와 비교 대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 1개당 일차섬모의 수 사이의 차이
<차이 c>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와 비교 대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 사이의 차이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진단의 보조 방법을 면역 관련 질환의 이환 유무의 진단의 보조에 이용하는 경우, 비교 대상 검체로서, 정상 검체가 이용된다. 정상 검체는, 상기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에 이용되는 정상 검체와 마찬가지이다. 또,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진단의 보조 방법을 면역 관련 질환의 예후 진단의 보조에 이용하는 경우, 비교 대상 검체로서, 미치료의 피험체로부터 채취된 상기 피험 검체와 동일 종류의 검체(이하, 「미치료 검체」라고 한다)가 이용된다.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진단의 보조 방법을 상기 면역 관련 질환 A의 이환 유무의 진단의 보조에 이용하는 경우, 이하의 비교 결과 A, 비교 결과 B 및 비교 결과 C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비교 결과로부터, 피험체가 당해 면역 관련 질환에 이환하고 있다고 의사가 진단하기 위한 판단 재료로 이용되는 진단의 보조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비교 결과 A>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가, 비교 대상 검체로서의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에 비해 유의하게 많은 것을 나타내는 비교 결과
<비교 결과 B>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이, 비교 대상 검체로서의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을 나타내는 비교 결과
<비교 결과 C>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가, 비교 대상 검체로서의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에 비해 유의하게 긴 것을 나타내는 비교 결과
또,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진단의 보조 방법을 상기 면역 관련 질환 B의 이환 유무의 진단의 보조에 이용하는 경우, 이하의 비교 결과 D 및 비교 결과 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비교 결과로부터, 피험체가 당해 면역 관련 질환에 이환하고 있다고 의사가 진단하기 위한 판단 재료로 이용되는 진단의 보조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비교 결과 D>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가, 비교 대상 검체로서의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에 비해 유의하게 적은 것을 나타내는 비교 결과
<비교 결과 E>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이, 비교 대상 검체로서의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을 나타내는 비교 결과
한편, 피험 검체와, 비교 대상 검체로서의 정상 검체와의 사이에 차이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비교 결과가 얻어진 경우, 당해 비교 결과로부터 피험체가 면역 관련 질환에 이환하고 있지 않다고 의사가 진단하기 위한 판단 재료로 이용되는 진단의 보조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진단의 보조 방법을 피험체에 있어서의 상기 면역 관련 질환 A의 예후 진단의 보조에 이용하는 경우, 이하의 비교 결과 a-1, 비교 결과 b-1 및 비교 결과 c-1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비교 결과로부터, 피험체에 있어서, 상기 면역 관련 질환 A의 예후가 양호하다고 의사가 진단하기 위한 판단 재료로 이용되는 진단의 보조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 이하의 비교 결과 a-2, 비교 결과 b-2 및 비교 결과 c-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비교 결과로부터, 피험체에 있어서, 상기 면역 관련 질환 A의 예후가 불량이라고 의사가 진단하기 위한 판단 재료로 이용되는 진단의 보조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예후 양호인 진단의 보조 정보)
<비교 결과 a-1>
치료 후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가, 비교 대상 검체로서의 미치료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보다도 유의하게 적은 것을 나타내는 비교 결과
<비교 결과 b-1>
치료 후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이, 비교 대상 검체로서의 미치료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보다도 유의하게 낮은 것을 나타내는 비교 결과
<비교 결과 c-1>
치료 후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가, 비교 대상 검체로서의 미치료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보다도 유의하게 짧은 것을 나타내는 비교 결과
(예후 불량인 진단의 보조 정보)
<비교 결과 a-2>
치료 후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가, 비교 대상 검체로서의 미치료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와 동일하거나, 미치료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보다도 많은 것을 나타내는 비교 결과
<비교 결과 b-2>
치료 후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이, 비교 대상 검체로서의 미치료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과 동일하거나, 미치료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보다도 높은 것을 나타내는 비교 결과
<비교 결과 c-2>
치료 후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가, 비교 대상 검체로서의 미치료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미치료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보다도 긴 것을 나타내는 비교 결과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진단의 보조 방법을 피험체에 있어서의 상기 면역 관련 질환 B의 예후의 진단에 이용하는 경우, 이하의 비교 결과 e-1 및 비교 결과 f-1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비교 결과로부터, 피험체에 있어서, 상기 면역 관련 질환 B의 예후가 양호하다고 의사가 진단하기 위한 판단 재료로 이용되는 진단의 보조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 이하의 비교 결과 e-2 및 비교 결과 f-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비교 결과로부터, 피험체에 있어서, 상기 면역 관련 질환 B의 예후가 불량이라고 의사가 진단하기 위한 판단 재료로 이용되는 진단의 보조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예후 양호인 진단의 보조 정보)
<비교 결과 e-1>
치료 후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가, 비교 대상 검체로서의 미치료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보다도 유의하게 많은 것을 나타내는 비교 결과
<비교 결과 f-1>
치료 후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이, 비교 대상 검체로서의 미치료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보다도 유의하게 높은 것을 나타내는 비교 결과
(예후 불량인 진단의 보조 정보)
<비교 결과 e-2>
치료 후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가, 미치료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와 동일하거나, 미치료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보다도 적은 것을 나타내는 비교 결과
<비교 결과 f-2>
치료 후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이, 미치료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과 동일하거나, 미치료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보다도 낮은 것을 나타내는 비교 결과
또한,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진단의 보조 방법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면역 관련 세포의 종류를 동정할 수 있다. 면역 관련 세포의 종류를 동정하는 경우, 면역 관련 세포의 종류를 동정하기 위한 동정 시약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진단의 보조 방법에 이용되는 동정 시약은, 상기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에 이용되는 동정 시약과 마찬가지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진단의 보조 방법에 의하면, 피험체가 면역 관련 질환에 이환하고 있는 것 또는 피험체가 면역 관련 질환에 이환하고 있지 않은 것의 진단을 내리기 위한 객관적인 판단 재료가 얻어지므로, 의사에 의한 피험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의 이환 유무의 진단이 신속히 객관적으로 행해지도록 당해 진단을 보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진단의 보조 방법에 의하면, 피험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의 예후가 양호한 것 또는 피험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의 예후가 불량인 것의 진단을 내리기 위한 객관적인 판단 재료가 얻어지므로, 의사에 의한 피험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의 예후의 진단이 신속히 객관적으로 행해지도록 당해 진단을 보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진단의 보조 방법은, 검사 기관, 의료 기관의 검사부 등에서의 면역 관련 질환의 검사, 의료 기관에서의 의사에 의한 면역 관련 질환의 이환의 유무 또는 면역 관련 질환의 예후의 진단 등에 이용되는 것이 기대되는 것이다.
3. 면역 관련 질환의 검사 키트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검사 키트는, 피험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을 검사하기 위한 키트로서,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검사 키트에 의하면,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피험체로부터 채취된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유무를 신속히 용이하게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검사 키트에 의하면, 면역 관련 질환을 신속히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검사 키트에 이용되는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은, 상기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에 이용되는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과 마찬가지이다.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은, 표지 물질과 복합화되어 있어도 되고, 표지 물질과 복합화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과 복합화되는 표지 물질은, 상기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에 이용되는 표지 물질과 마찬가지이다.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이 표지 물질과 복합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검사 키트는,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표지 특이적 결합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표지 특이적 결합 물질은, 상기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에 이용되는 표지 특이적 결합 물질과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검사 키트는, 면역 관련 세포의 종류를 동정하기 위한 동정 시약; 고정액, 세정액, 블로킹제 등의 검사에 이용되는 시료의 조제용 시약; 결합 반응용 완충액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동정 시약은, 상기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에 이용되는 동정 시약과 마찬가지이다. 고정액, 세정액 및 블로킹제는, 상기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에 이용되는 고정액, 세정액 및 블로킹제와 마찬가지이다. 결합 반응용 완충액은,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의 종류,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의 검출에 이용되는 표지 물질 또는 표지 특이적 결합 물질의 종류 등에 따라 다르므로 일률적으로는 결정할 수 없는 점에서,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의 종류 등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은, 글리세롤, 에틸렌글리콜, 소혈청알부민, 2-메르캅토에탄올, 디티오트레이톨, 에틸렌디아민사초산(四酢酸) 등의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보존용 완충액이 들어간 용기 중에 봉입되어 있어도 되고, 동결 건조된 상태로 용기에 봉입되어 있어도 된다. 보존용 완충액으로는,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의 pH 안정성에 따른 pH를 갖는 완충액을 들 수 있다. 고정액, 세정액 및 블로킹제는, 통상, 각각,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이 들어간 용기와는 다른 용기에 봉입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검사 키트는, 제 1 특이적 결합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면역 관련 질환을 신속히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의 검사 키트는, 면역 관련 질환 억제제 또는 치료약의 개발, 검사 기관, 의료 기관의 검사부 등에서의 면역 관련 질환의 검사, 의료 기관에서의 의사에 의한 면역 관련 질환의 진단 등에 이용되는 것이 기대되는 것이다.
4.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억제 효과의 평가 방법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억제 효과의 평가 방법은, 면역 관련 질환에 이환한 피험체에 실시된 치료 또는 당해 피험체에 투여된 면역 관련 질환 억제제에 의한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억제 효과를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피험체로부터 채취된 치료 전후 또는 면역 관련 질환 억제제 투여 전후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를 관찰하여, 치료 전후 또는 면역 관련 질환 억제제 투여 전후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를 비교해, 치료 전후 또는 면역 관련 질환 억제제 투여 전후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변화를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억제 효과의 지표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억제 효과의 평가 방법에 의하면, 치료 전후 또는 면역 관련 질환 억제제 투여 전후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변화가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억제 효과의 지표로서 이용되고 있으므로, 면역 관련 질환의 치료를 받은 피험체 또는 면역 관련 질환 억제제가 투여된 피험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억제 효과를 신속히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치료로는, 예를 들면, 스테로이드제 등의 면역 관련 질환의 치료약을 이용하는 약물 요법; 음식 요법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면역 관련 질환 억제제」란, 의약부외품 및 화장료 성분을 말한다.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를 관찰할 때에 이용되는 관찰 항목은, 상기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에 있어서의 관찰 항목과 마찬가지이다. 피험체는, 상기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에 이용되는 피험체와 마찬가지이다. 피험 검체는, 치료 전후의 피험 검체 또는 면역 관련 질환 억제제의 투여 전후의 피험 검체인 것을 제외하고, 상기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에 이용되는 피험 검체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면역 관련 질환 억제제의 투여 전의 피험 검체를 「투여 전 검체」, 면역 관련 질환 억제제의 투여 후의 피험 검체를 「투여 후 검체」라고 한다.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및 치료 전후 또는 면역 관련 질환 억제제 투여 전후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의 비교는, 상기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에 있어서의 피험 검체와 정상 검체 사이에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의 비교와 마찬가지의 조작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치료 전후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변화는, 당해 치료에 의한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억제 효과의 지표로서 이용된다.
면역 관련 질환이 상기 면역 관련 질환 A인 경우, 이하의 「효과 있음의 평가 기준」 및 「효과 없음의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당해 치료에 의한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억제 효과의 유무가 평가된다. 「효과 있음의 평가 기준」의 A-1∼A-3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병용해도 된다. 「효과 없음의 평가 기준」의 B-1∼B-3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병용해도 된다.
<효과 있음의 평가 기준>
A-1: 치료 후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가, 미치료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보다도 유의하게 적은 것
A-2: 치료 후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이, 미치료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보다도 유의하게 낮은 것
A-3: 치료 후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가, 미치료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보다도 유의하게 짧은 것
<효과 없음의 평가 기준>
B-1: 치료 후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가, 미치료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와 동일하거나, 미치료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보다도 유의하게 많은 것
B-2: 치료 후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이, 미치료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과 동일하거나, 미치료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보다도 유의하게 높은 것
B-3: 치료 후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가, 미치료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미치료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보다도 유의하게 긴 것
면역 관련 질환이 상기 면역 관련 질환 B인 경우, 이하의 「효과 있음의 평가 기준」 및 「효과 없음의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당해 치료에 의한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억제 효과의 유무가 평가된다. 「효과 있음의 평가 기준」의 C-1 및 C-2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병용해도 된다. 「효과 없음의 평가 기준」의 D-1 및 D-2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병용해도 된다.
<효과 있음의 평가 기준>
C-1: 치료 후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가, 미치료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보다도 유의하게 많은 것
C-2: 치료 후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이, 미치료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보다도 유의하게 높은 것
<효과 없음의 평가 기준>
D-1: 치료 후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가, 미치료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와 동일하거나, 미치료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보다도 유의하게 적은 것
D-2: 치료 후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이, 미치료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과 동일하거나, 미치료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보다도 유의하게 낮은 것
면역 관련 질환 억제제의 투여 전후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변화는, 당해 면역 관련 질환 억제제에 의한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억제 효과의 지표로서 이용된다.
면역 관련 질환이 상기 면역 관련 질환 A인 경우, 이하의 「효과 있음의 평가 기준」 및 「효과 없음의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당해 면역 관련 질환 억제제에 의한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억제 효과의 유무가 평가된다. 「효과 있음의 평가 기준」의 a-1∼a-3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병용해도 된다. 「효과 없음의 평가 기준」의 b-1∼b-3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병용해도 된다.
<효과 있음의 평가 기준>
a-1: 투여 후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가, 미투여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보다도 유의하게 적은 것
a-2: 투여 후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이, 미투여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보다도 유의하게 낮은 것
a-3: 투여 후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가, 미투여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보다도 유의하게 짧은 것
<효과 없음의 평가 기준>
b-1: 투여 후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가, 미투여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와 동일하거나, 미투여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보다도 유의하게 많은 것
b-2: 투여 후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이, 미투여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과 동일하거나, 미투여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보다도 유의하게 높은 것
b-3: 투여 후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가, 미투여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미투여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보다도 유의하게 긴 것
면역 관련 질환이 상기 면역 관련 질환 B인 경우, 이하의 「효과 있음의 평가 기준」 및 이하의 「효과 없음의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당해 면역 관련 질환 억제제에 의한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억제 효과의 유무가 평가된다. 「효과 있음의 평가 기준」의 c-1 및 c-2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병용해도 된다. 「효과 없음의 평가 기준」의 d-1 및 d-2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병용해도 된다.
<효과 있음의 평가 기준>
c-1: 투여 후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가 미투여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보다도 유의하게 많은 것
c-2: 투여 후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이 미투여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보다도 유의하게 높은 것
<효과 없음의 평가 기준>
d-1: 투여 후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가 미투여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와 동일하거나, 미투여 검체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보다도 유의하게 적은 것
d-2: 투여 후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이 미투여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과 동일하거나, 미투여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보다도 유의하게 낮은 것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억제 효과의 평가 방법에 의하면, 치료 전후 또는 면역 관련 질환 억제제 투여 전후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변화가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억제 효과의 지표로서 이용되고 있으므로, 면역 관련 질환의 치료를 받은 피험체 또는 면역 관련 질환 억제제가 투여된 피험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억제 효과를 신속히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억제 효과의 평가 방법은, 의사에 의한 면역 관련 질환의 치료 계획의 작성, 면역 관련 질환의 치료 방법의 개발, 면역 관련 질환의 치료약의 개발, 면역 관련 질환을 억제하기 위한 의약부외품 또는 화장료 성분의 개발 등에 이용되는 것이 기대되는 것이다.
5. 피험 시료의 평가 방법
본 발명의 피험 시료의 평가 방법은, 피험 시료가 면역 기능 제어 작용을 갖는 물질인지 여부를 평가하는 피험 시료의 평가 방법으로서, (A)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를 함유하는 세포군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를 관찰하는 스텝,
(B)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를 함유하는 세포군과 피험 시료를 접촉시켜, 당해 피험 시료에 접촉시킨 세포군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를 관찰하는 스텝, 및
(C) 스텝 (A)에서 관찰된 세포군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와, 스텝 (B)에서 관찰된 세포군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의 차이에 의거하여, 피험 시료가 면역 기능 제어 작용을 갖는 물질인지 여부를 평가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피험 시료의 평가 방법에 의하면, 스텝 (A)에서 관찰된 세포군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와, 스텝 (B)에서 관찰된 세포군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의 차이에 의거하여, 피험 시료가 면역 기능 제어 작용을 갖는 물질인지 여부를 평가한다는 조작이 채택되어 있으므로, 피험 시료가 면역 기능 제어 작용을 갖는지 여부를 간편한 조작으로 객관적으로 적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면역 기능 제어 작용」에는, 면역 기능을 증가시키는 면역 기능 촉진 작용 및 면역 기능을 감소시키는 면역 기능 억제 작용이 포함된다.
스텝 (A) 및 (B)를 행하는 순서는, 임의이며, 스텝 (A)를 행한 후에 스텝 (B)를 행하는 순서여도 되고, 스텝 (B)를 행한 후에 스텝 (A)를 행하는 순서여도 된다. 또, 스텝 (A) 및 (B)는, 동시에 행해져도 된다.
피험 시료는, 면역 기능 제어 작용을 갖는지 여부의 평가 대상의 시료이다. 피험 시료로는, 예를 들면, 면역 기능 촉진 작용을 갖는 것이 기대되는 물질, 면역 기능 억제 작용을 갖는 것이 기대되는 물질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피험 시료의 구체예로는, 무기 화합물, 유기 화합물, 식물 추출물, 미생물 추출물, 배양상청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피험 시료는, 그대로의 상태로 이용해도 되고, 용매에 용해시켜 이용해도 된다. 피험 시료를 용해시키는 용매로는, 예를 들면, 생리식염수,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 물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텝 (A)에서는,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를 함유하는 세포군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를 관찰한다. 세포군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은,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를 함유하는 세포군을 피험 시료의 비(非)존재하의 배지 중에서 배양한 후에 행할 수 있다.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는, 상기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에 이용되는 면역 관련 세포와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피험 시료의 평가 방법에 이용되는 면역 관련 세포는, 본 발명의 피험 시료의 평가 방법의 용도 등에 따라 다르므로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 없는 점에서, 본 발명의 피험 시료의 평가 방법의 용도 등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배양에 이용되는 배지 및 배지 조건은,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종류 등에 따라 다르므로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 없는 점에서,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종류 등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포군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은, 상기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에서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과 마찬가지의 조작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 관찰 항목은, 상기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에 있어서의 관찰 항목과 마찬가지이다.
스텝 (B)에서는,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를 함유하는 세포군과 피험 시료를 접촉시켜, 당해 피험 시료에 접촉시킨 세포군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를 관찰한다. 세포군과 피험 시료의 접촉은, 예를 들면,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를 피험 시료의 존재하의 배지 중에서 배양하는 것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스텝 (B)에 이용되는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는, 스텝 (A)에서 이용되는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와 동일 공급원의 피부 조직으로부터 얻어지는 동일 종류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이다. 스텝 (A)를 행한 후에 스텝 (B)를 행하는 경우, 스텝 (B)에 이용되는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는, 스텝 (A)에서 이용되는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여도 되고, 다른 세포여도 된다.
스텝 (B)에서 이용되는 배지는, 스텝 (A)에서 이용되는 배지와 동일 종류의 배지이다. 피험 시료의 존재하에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배양 조건은, 예를 들면, 스텝 (A)에서 이용되는 배지와 동일 종류의 배지에 피험 시료를 첨가하여 얻어진 피험 시료 함유 배지를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스텝 (A)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배양 조건과 마찬가지이다. 피험 시료 함유 배지에 있어서의 피험 시료의 농도는,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종류, 본 발명의 피험 시료의 평가 방법의 용도 등에 따라 다르므로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 없는 점에서,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종류, 본 발명의 피험 시료의 평가 방법의 용도 등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텝 (C)에서는, 스텝 (A)에서 관찰된 세포군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와, 스텝 (B)에서 관찰된 세포군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의 차이에 의거하여, 피험 시료가 면역 기능 제어 작용을 갖는 물질인지 여부를 평가한다.
스텝 (A)에서 측정된 관찰 결과와 스텝 (B)에서 측정된 관찰 결과의 차이로는, 피험 시료의 유무에 의한 세포군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의 상이, 피험 시료의 유무에 의한 세포군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의 상이, 피험 시료의 유무에 의한 세포군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의 상이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텝 (A)에서 측정된 관찰 결과와 스텝 (B)에서 측정된 관찰 결과의 차이는, 상기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에 있어서의 피험 검체와 정상 검체 사이에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의 비교와 마찬가지의 조작에 의해 조사할 수 있다.
피험 시료가 면역 기능 제어 작용을 갖는 것의 지표로는, 예를 들면, 이하의 지표 a∼지표 d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지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병용해도 된다.
<지표 a>
스텝 (B)에서 측정된 세포군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와, 스텝 (A)에서 측정된 세포군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와의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
<지표 b>
스텝 (B)에서 측정된 세포군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로부터 산출된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과 스텝 (A)에서 측정된 세포군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로부터 산출된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과의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
<지표 c>
스텝 (B)에서 측정된 세포군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 1개당 일차섬모의 수와, 스텝 (A)에서 측정된 세포군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 1개당 일차섬모의 수와의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
<지표 d>
스텝 (B)에서 측정된 세포군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와, 스텝 (A)에서 측정된 세포군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와의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
면역 관련 세포가 말초혈 단핵세포 또는 수상세포인 경우, 이하의 지표 a-1∼지표 c-1에 의거하여, 피험 시료는, 상기 면역 관련 질환 A의 발증 부위에 있어서, 면역 기능 억제 작용을 나타낸다고 평가된다.
<지표 a-1>
스텝 (B)에서 측정된 세포군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가, 스텝 (A)에서 측정된 세포군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에 비해 유의하게 적은 것
<지표 b-1>
스텝 (B)에서 측정된 세포군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로부터 산출된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이, 스텝 (A)에서 측정된 세포군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로부터 산출된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
<지표 c-1>
스텝 (B)에서 측정된 세포군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가, 스텝 (A)에서 측정된 세포군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길이보다도 유의하게 짧은 것
면역 관련 세포가 상기 면역 관련 질환 B의 조직 유래의 섬유아세포 또는 상피세포인 경우, 이하의 지표 a-2 및 지표 b-2에 의거하여, 피험 시료는, 상기 면역 관련 질환 B의 발증 부위에 있어서, 면역 기능 억제 작용을 나타낸다고 평가된다.
<지표 a-2>
스텝 (B)에서 측정된 세포군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가, 스텝 (A)에서 측정된 세포군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에 비해 유의하게 많은 것
<지표 b-2>
스텝 (B)에서 측정된 세포군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로부터 산출된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이, 스텝 (A)에서 측정된 세포군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의 수로부터 산출된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험 시료의 평가 방법에 의하면, 피험 시료가 면역 기능 제어 작용을 갖는지 여부를 간편한 조작으로 객관적으로 적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점에서, 면역 기능 제어 물질의 스크리닝, 면역 기능 제어 물질의 유효성의 평가, 면역 관련 질환의 치료약의 개발, 면역 관련 질환을 억제하기 위한 의약부외품 또는 화장료 성분의 개발 등에 이용되는 것이 기대되는 것이다.
6. 면역 기능 제어제
본 발명의 면역 기능 제어제는, 면역 기능을 억제하기 위한 면역 기능 제어제로서,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로부터 일차섬모를 제거하는 작용을 갖는 일차섬모 제거 작용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면역 기능 제어제는, 일차섬모 제거 작용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므로, 면역 기능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면역 기능 제어제」의 개념에는, 면역 기능 억제 작용을 갖는 면역 기능 억제제 및 면역 기능 촉진 작용을 갖는 면역 기능 촉진제가 포함된다.
일차섬모 제거 작용 물질은, 상기 피험 시료의 평가 방법에 있어서의 스텝 (A) 및 스텝 (B)를 행하여, 스텝 (B)에서 관찰된 세포군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가 스텝 (A)에서 관찰된 세포군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에 비해 적은 것을 지표로서 얻을 수 있다. 일차섬모 제거 작용 물질로는, 예를 들면, 스테로이드제, 생리 활성 물질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테로이드제로는, 예를 들면, 코르티손, 초산(酢酸) 코르티손 등의 코르티손계 스테로이드제; 히드로코르티손, 인산 히드로코르티손나트륨, 호박산 히드로코르티손나트륨, 초산 히드로코르티손, 낙산(酪酸) 히드로코르티손, 낙산 프로피온산 히드로코르티손 등의 히드로코르티손계 스테로이드제; 덱사메타손, 프로피온산 덱사메타손, 길초산(吉草酸) 덱사메타손, 초산 덱사메타손, 인산 덱사메타손나트륨, 팔미틴산 덱사메타손 등의 덱사메타손계 스테로이드제; 베타메타손, 디프로피온산 베타메타손, 낙산 프로피온산 베타메타손, 길초산 베타메타손 등의 베타메타손계 스테로이드제; 프레드니솔론, 초산 프레드니솔론, 호박산 프레드니솔론나트륨, 부틸초산 프레드니솔론, 인산 프레드니솔론나트륨 등의 프레드니솔론계 스테로이드제; 메틸프레드니솔론, 초산 메틸프레드니솔론, 호박산 메틸프레드니솔론나트륨, 메틸프레드니솔론나트륨숙시네이트 등의 메틸프레드니솔론계 스테로이드제; 트리암시놀론, 초산 트리암시놀론, 트리암시놀론아세토니드 등의 트리암시놀론계 스테로이드제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생리 활성 물질로는, 예를 들면, 종양괴사인자 α(TNFα), 프로스타글란딘 E2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차섬모 제거 작용 물질은, 용매화물을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용매화물로는, 예를 들면 수화물, 에탄올 부가물, 디메틸술폭시드 부가물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면역 기능 제어제에 있어서의 일차섬모 제거 작용 물질의 함유율은, 본 발명의 면역 기능 제어제의 용도, 당해 물질의 종류 등에 따라 다르므로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 없는 점에서, 본 발명의 면역 기능 제어제의 용도, 당해 물질의 종류 등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면역 기능 제어제에 있어서의 일차섬모 제거 작용 물질의 함유율은, 정상 세포에의 부하를 저감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면역 기능 제어제에 있어서의 일차섬모 제거 작용 물질의 함유율의 하한치는,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로부터 일차섬모를 제거하는 작용을 나타내는 범위이면 된다. 본 발명의 면역 기능 제어제에 있어서의 일차섬모 제거 작용 물질의 함유율의 하한치는, 통상, 바람직하게는 0.0000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 질량% 이상이다.
본 발명의 면역 기능 제어제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결합제, 안정화제, 부형제, 용해 보조제, 등장제, 완충액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면역 기능 제어제는, 일차섬모의 이상 증가에 의한 과잉한 면역 기능의 발현에 기인하는 면역 관련 질환에 이환한 피험체에 대하여 면역 기능 억제 작용을 갖는 면역 기능 억제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일차섬모의 이상 증가에 의한 과잉한 면역 기능의 발현에 기인하는 면역 관련 질환으로는, 예를 들면, 고(高)IgE 증후군, 만성 육아종증, 관절염, 자기면역성 간염, 자기면역성 사구체신염, 자기면역성 췌도염, 자기면역성 정소염, 자기면역성 난소염, 궤양성 대장염, 쉐그렌 증후군, 크론병, 베체트병, 베게너 육아종증, 과민성 혈관염, 결절성 동맥주위염, 하시모토병, 점액수종, 바세도우병, 애디슨병, 자기면역성 용혈성 빈혈, 돌발성 혈소판 감소증, 악성 빈혈, 중증근무력증, 탈수 질환, 대동맥 염증군, 건선, 천포창, 유천포창, 교원병(예를 들면, 전신성 에리테마토데스, 만성 관절 류머티즘, 범발성 강피증, 전신성 진행성 경화증, 피부근염, 결절성 다발성 동맥염, 류머티즘 열 등), 길랭·바레 증후군, 다선성 자기면역 증후군 Ⅱ형,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심상성 백반, 1형 당뇨병, 자기면역성 혈전증(예를 들면, 자기면역성의 동맥 혈전증, 자기면역성의 정맥 혈전증 등), 습관성 유산, 혈소판 감소증, 항인지질 항체 증후군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면역 기능 제어제는, 일차섬모 제거 작용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므로, 면역 기능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면역 기능 제어제는, 면역 관련 질환의 치료약, 당해 면역 관련 질환을 억제하기 위한 의약부외품 또는 화장료 성분 등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것이 기대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면역 기능 제어제가 면역 기능 촉진제인 경우, 당해 면역 기능 제어제는, 일차섬모의 이상 증가에 의한 면역 기능의 저하에 기인하는 면역 관련 질환의 치료약, 당해 면역 관련 질환을 억제하기 위한 의약부외품 또는 화장료 성분 등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것이 기대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면역 기능 제어제가 면역 기능 억제제인 경우, 당해 면역 기능 제어제는, 일차섬모의 이상 증가에 의한 과잉한 면역 기능의 발현에 기인하는 면역 관련 질환의 치료약, 당해 면역 관련 질환을 억제하기 위한 의약부외품 또는 화장료 성분 등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것이 기대되는 것이다.
7.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 제거제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 제거제는,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로부터 일차섬모를 제거하기 위한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 제거제로서, 스테로이드제 및 생리 활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 제거제는, 스테로이드제 및 생리 활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므로,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 제거제에 이용되는 스테로이드제 및 생리 활성 물질은, 상기 면역 기능 제어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이용되는 스테로이드제 및 생리 활성 물질과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 제거제에 있어서의 유효 성분의 함유율은,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 제거제의 용도, 유효 성분의 종류 등에 따라 다르므로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 없는 점에서,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 제거제의 용도, 유효 성분의 종류 등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 제거제에 있어서의 유효 성분의 함유율은, 정상 세포에의 부하를 저감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하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 제거제는,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기능 이상에 기인하는 면역 관련 질환을 억제하기 위한 의약부외품 또는 화장료 성분 등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것이 기대되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 있어서, 각 약어의 의미는, 이하와 같다.
<약어의 설명>
DMSO: 디메틸술폭시드
EDTA: 에틸렌디아민사초산
FBS: 소태아혈청
PBS: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
PFA: 파라포름알데히드
TNF: 종양괴사인자
IL-4: 인터루킨-4
GM-CSF: 과립구단구 콜로니자극인자
실시예 1
인간 건상 피부 조직〔국립대학법인 오사카대학 의학연구과로부터 입수〕으로부터 피부편을 얻었다. 얻어진 피부편을 동결 조직 절편 제작용 포매제(包埋劑)〔사쿠라 파인텍 재팬(주) 제조, 상품명: 티슈 텍 O.C.T 컴파운드〕에 포매시켰다. 포매 후의 피부편을 액체 질소로 냉각된 이소펜탄 중에서 동결시켜, 동결 피부편을 얻었다. 다음으로, 크라이오 마이크로톰을 이용해, 동결 피부편을 절삭하여 절편(두께: 10㎛)을 얻었다. 얻어진 절편을 4 v/v% PFA 함유 PBS 용액에 침지시켜, 실온에서 10분간 고정했다. 고정 후의 절편을 블로킹·투과 처리제〔0.1 v/v% 폴리에틸렌글리콜 tert-옥틸페닐 에테르(TritonX-100)와 10 v/v% FBS 함유 PBS 용액〕 중에서 인큐베이션함으로써 블로킹 처리 및 투과 처리를 행하여, 시료를 얻었다.
얻어진 시료를 항튜불린 항체〔시그마-알드리치(Sigma-Aldrich)사 제조, 상품명: MONOCLONAL ANTI-ACETYLATED TUBULIN CLONE 6-11B-1, 품번: T6793〕 및 항랑게린 항체〔압캠(Abcam)사 제조, 상품명: Anti-Langerin[EPR15863] 항체, 카탈로그 넘버: ab192027〕와 4℃에서 16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의 시료를 세정액 A〔0.1 w/w%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Tween-20) 함유 PBS 용액〕로 세정했다.
또한, 항랑게린 항체는 랑게르한스 세포 마커에 대한 항체이고, 항튜불린 항체는 일차섬모 마커에 대한 항체이다.
세정 후의 시료를, 형광 색소 표지 항마우스 IgG 항체〔압캠사 제조, 상품명: Goat Anti-Mouse IgG H&L(형광 색소: Alexa Fluor(등록상표) 594), 카탈로그 넘버: ab150116〕, 형광 색소 표지 항토끼 IgG 항체〔압캠사 제조, 상품명: Goat Anti-Rabbit IgG H&L(형광 색소: Alexa Fluor(등록상표) 488), 카탈로그 넘버: ab150077〕 및 세포핵 염색제〔2'-(4-에톡시페닐)-5-(4-메틸-1-피페라지닐)-2,5'-비-1H-벤즈이미다졸삼염산염(Hoechst33342)〕와 실온(25℃)에서 3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시료를 염색했다. 염색 후의 시료를 세정액 A로 세정했다.
세정 후의 시료를 퇴색(褪色) 방지용 봉입제〔써모 피셔 사이언티픽(Thermo Fisher Scientific)(주) 제조, 상품명: ProLong(등록상표) Gold 퇴색 방지용 봉입제, 품번: P36934〕로 봉입하여, 관찰용 시료를 얻었다. 얻어진 관찰용 시료 및 공초점 현미경〔올림푸스(주) 제조, 품번: FV1200〕을 이용하여 관찰용 시료에 포함되는 랑게르한스 세포 마커, 일차섬모 마커 및 세포핵 염색제를 검출함으로써 시료를 관찰했다.
실시예 1에 있어서, 랑게르한스 세포 마커에 의한 인간 건상 피부 조직의 염색상을 도 1(A), 일차섬모 마커에 의한 인간 건상 피부 조직의 염색상을 도 1(B), 세포핵 염색제에 의한 인간 건상 피부 조직의 염색상을 도 1(C), 도 1(A)에 나타나는 염색상과 도 1(B)에 나타나는 염색상과 도 1(C)에 나타나는 염색상의 중첩 화상을 도 1(D)에 나타낸다. 도면 중, 스케일 바는 10㎛를 나타낸다.
도 1(A)∼(D)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피부 조직 중의 랑게르한스 세포 마커가 염색된 부분에 일차섬모 마커가 검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인간 건상 피부 조직에 포함되는 건상 랑게르한스 세포는, 일차섬모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파라핀용 마이크로톰을 이용해, 고정·파라핀 포매 완료 아토피성 피부염 피부 조직〔아스테란드 바이오사이언스(Asterand Bioscience)사 제조, Patient ID: 95253〕을 절삭하여, 절편(두께: 7㎛)을 얻었다. 얻어진 절편을 크실렌에 5분간 침지시킴으로써 탈(脫)파라핀 처리를 행하였다. 에탄올, 95 체적% 에탄올 수용액 및 정제수를 이 순서대로 이용하여, 탈파라핀 처리 후의 절편을 세정함으로써 절편의 수화(水和)를 단계적으로 행하였다. 수화 후의 절편을 1mM EDTA 수용액 중에서 15분간 자비(煮沸)시킴으로써 항원 부활화(賦活化) 처리를 행하였다. 얻어진 절편을 블로킹·투과 처리제 중에서 인큐베이션함으로써 블로킹 처리 및 투과 처리를 행하여, 시료를 얻었다.
얻어진 시료를 항튜불린 항체〔시그마-알드리치사 제조, 상품명: MONOCLONAL ANTI-ACETYLATED TUBULIN CLONE 6-11B-1, 품번: T6793〕 및 항랑게린 항체〔압캠사 제조, 상품명: Anti-Langerin[EPR15863] 항체, 카탈로그 넘버: ab192027〕와 4℃에서 16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의 시료를 세정액 A〔0.1 w/w%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Tween-20) 함유 PBS 용액〕로 세정했다.
세정 후의 시료를 형광 색소 표지 항마우스 IgG 항체〔압캠사 제조, 상품명: Goat Anti-Mouse IgG H&L(형광 색소: Alexa Fluor(등록상표) 488), 카탈로그 넘버: ab150113〕 및 형광 색소 표지 항토끼 IgG 항체〔압캠사 제조, 상품명: Goat Anti-Rabbit IgG H&L(형광 색소: Alexa Fluor(등록상표) 594), 카탈로그 넘버: ab150080〕와 실온(25℃)에서 3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시료를 염색했다. 염색 후의 시료를 세정액 A로 세정했다.
세정 후의 시료를 퇴색 방지용 봉입제〔써모 피셔 사이언티픽(주) 제조, 상품명: ProLong(등록상표) Gold 퇴색 방지용 봉입제, 품번: P36934〕로 봉입하여, 관찰용 시료를 얻었다. 얻어진 관찰용 시료 및 공초점 현미경〔올림푸스(주) 제조, 품번: FV1200〕을 이용하여 관찰용 시료에 포함되는 랑게르한스 세포 마커, 일차섬모 마커 및 세포핵 염색제를 검출함으로써 시료를 관찰했다.
실시예 2에 있어서, 일차섬모 마커에 의한 아토피성 피부염 병소 조직의 염색상을 도 2(A), 랑게르한스 세포 마커에 의한 아토피성 피부염 병소 조직의 염색상을 도 2(B), 세포핵 염색제에 의한 아토피성 피부염 병소 조직의 염색상을 도 2(C), 도 2(A)에 나타나는 염색상과 도 2(B)에 나타나는 염색상과 도 2(C)에 나타나는 염색상의 중첩 화상을 도 2(D)에 나타낸다. 도면 중, 1은 표피, 2는 진피, 흰색 화살표는 일차섬모 마커, 스케일 바는 20㎛를 나타낸다.
또, 실시예 2에 있어서, 일차섬모 마커에 의한 아토피성 피부염 병소 조직 중의 랑게르한스 세포의 염색상을 도 3(A), 랑게르한스 세포 마커에 의한 아토피성 피부염 병소 조직 중의 랑게르한스 세포의 염색상을 도 3(B), 미분간섭 관찰법에 의해 촬영된 아토피성 피부염 병소 조직 중의 랑게르한스 세포의 촬영상을 도 3(C), 도 3(A)에 나타나는 염색상과 도 3(B)에 나타나는 염색상과 도 3(C)에 나타나는 촬영상의 중첩 화상을 도 3(D)에 나타낸다. 도면 중, 흰색 화살표는 일차섬모 마커, 스케일 바는 5㎛를 나타낸다.
도 2(A)∼(D)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아토피성 피부염 병소 조직 중의 표피에 있어서의 랑게르한스 세포 마커가 염색된 부분에 일차섬모 마커가 검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도 3(A)∼(D)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랑게르한스 세포에 있어서, 일차섬모 마커가 검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결과로부터, 아토피성 피부염의 병소 조직에는, 일차섬모를 갖는 랑게르한스 세포가 다수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관찰 항목으로서 일차섬모를 갖는 랑게르한스 세포의 수를 이용하여,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인간 건상 피부 조직(정상 조직) 유래의 관찰용 시료 및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아토피성 피부염 병소 조직 유래의 관찰용 시료를 관찰함으로써, 정상 조직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랑게르한스 세포의 수 및 아토피성 피부염 병소 조직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랑게르한스 세포의 수를 구했다.
조직의 종류와 일차섬모를 갖는 랑게르한스 세포의 수와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낸다. 도 4는, 실시예 3에 있어서, 조직의 종류와 일차섬모를 갖는 랑게르한스 세포의 수와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아토피성 피부염 병소 조직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랑게르한스 세포의 수는, 정상 조직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랑게르한스 세포의 수에 비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아토피성 피부염 병소 조직에서는, 정상 조직에 비해 일차섬모를 갖는 랑게르한스 세포가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염색상으로부터, 아토피성 피부염 병소 조직의 랑게르한스 세포의 일차섬모는, 정상 조직의 랑게르한스 세포의 일차섬모에 비해 긴 것이 확인되었다.
또, 관찰 항목으로서 일차섬모를 갖는 케라티노사이트의 수를 이용하여,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정상 조직 유래의 관찰용 시료와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아토피성 피부염 병소 조직 유래의 관찰용 시료를 관찰함으로써, 정상 조직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케라티노사이트의 수 및 아토피성 피부염 병소 조직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케라티노사이트의 수를 구했다. 또한, 표피는, 세포핵의 염색상의 상이에 의해 진피와 구별될 수 있다. 또, 표피를 구성하는 세포의 95%가 케라티노사이트이다. 따라서, 표피의 항랑게린 항체 비양성 세포는, 케라티노사이트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관찰 시에, 표피의 항랑게린 항체 비양성 세포를 케라티노사이트로서 이용했다.
조직의 종류와 일차섬모를 갖는 케라티노사이트의 수와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낸다. 도 5는, 실시예 3에 있어서, 조직의 종류와 일차섬모를 갖는 케라티노사이트의 수와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아토피성 피부염 병소 조직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케라티노사이트의 수는, 정상 조직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케라티노사이트의 수에 비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아토피성 피부염의 병소 조직에서는, 정상 조직에 비해 일차섬모를 갖는 케라티노사이트가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염색상으로부터, 아토피성 피부염 병소 조직의 케라티노사이트의 일차섬모는, 정상 조직의 케라티노사이트의 일차섬모에 비해 긴 것이 확인되었다.
랑게르한스 세포는, 피부에 존재하는 면역세포이다. 또, 케라티노사이트는, 피부에 존재하는 면역 기능 보유 세포이다. 따라서,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세포 및/또는 면역 기능 보유 세포의 증가는, 아토피성 피부염에 관련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병소 조직 등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를 관찰하여, 당해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와 피부 조직 등의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와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의 차이를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로서 검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얻어진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 피험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의 이환 유무의 진단의 보조 정보 또는 피험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의 예후 진단의 보조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건상 자원봉사자로부터 채취된 말초혈 10mL 및 인간 림프구 분리용 매체〔GE 헬스케어사 제조, 상품명: Ficoll-Paque PLUS〕 15mL를 이용하여, 밀도 구배 원심법에 따라, 말초혈로부터 말초혈 단핵세포를 분리했다. 배지〔50ng/mL IL-4, 50ng/mL GM-CSF 및 10 v/v% FBS를 함유하는 RPMI1640 배지〕 중, 말초혈 단핵세포를 37℃에서 7일간 배양함으로써 말초혈 단핵세포를 수상세포로 분화시켰다.
경시적인 세포의 특성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배양 개시 시로부터 1일간, 3일간 및 7일간 경과 후의 각 세포를 회수하여, 곧바로 4 v/v% PFA 함유 PBS 용액으로 고정했다. 각 고정 세포를 블로킹·투과 처리제 중에서 인큐베이션함으로써 블로킹 및 투과 처리를 행하여, 배양 개시 시로부터 1일간 경과 후의 미성숙 수상세포를 함유하는 시료, 배양 개시 시로부터 3일간 경과 후의 미성숙 수상세포를 함유하는 시료 및 배양 개시 시로부터 7일간 경과 후의 미성숙 수상세포를 함유하는 시료를 얻었다.
얻어진 각 시료를 항튜불린 항체〔시그마-알드리치사 제조, 상품명: MONOCLONAL ANTI-ACETYLATED TUBULIN CLONE 6-11B-1, 품번: T6793〕 및 항페리센트린 항체〔베틸 라보라토리즈 인코퍼레이티드(Bethyl Laboratories, Inc.)사 제조, 상품명: Pericentrin/Kendrin Antibody, 품번: A301-348A-T〕와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의 각 시료를 세정액 A〔0.1 w/w%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함유 PBS 용액〕로 세정했다. 항페리센트린 항체는, 세포핵 마커에 대한 항체이다.
세정 후의 각 시료를 형광 색소 표지 항마우스 IgG 항체〔압캠사 제조, 상품명: Goat Anti-Mouse IgG H&L(형광 색소: Alexa Fluor(등록상표) 488, 카탈로그 넘버: ab150113)〕 및 형광 색소 표지 항토끼 IgG 항체〔압캠사 제조, 상품명: Goat Anti-Rabbit IgG H&L(형광 색소: Alexa Fluor(등록상표) 594, 카탈로그 넘버: ab150080)〕와 실온(25℃)에서 3시간 반응시킴으로써 각 시료를 염색했다. 염색 후의 각 시료를 세정액 A로 세정했다.
세정 후의 각 시료를 퇴색 방지용 봉입제〔써모 피셔 사이언티픽(주) 제조, 상품명: ProLong(등록상표) Gold 퇴색 방지용 봉입제, 품번: P36934〕로 봉입했다. 얻어진 각 시료 및 공초점 현미경〔올림푸스(주) 제조, 품번: FV1200〕을 이용하여 시료에 포함되는 세포핵 마커 및 일차섬모 마커를 검출함으로써 각 시료에 포함되는 미성숙 수상세포를 관찰했다.
실시예 4에 있어서, 배양 개시 시로부터 1일간 경과 후의 미성숙 수상세포를 관찰한 결과를 도 6(A), 배양 개시 시로부터 3일간 경과 후의 미성숙 수상세포를 관찰한 결과를 도 6(B), 배양 개시 시로부터 7일간 경과 후의 미성숙 수상세포를 관찰한 결과를 도 6(C)에 나타낸다. 도면 중, 흰색 화살표는 일차섬모 마커, 스케일 바는 5㎛를 나타낸다. 또, 백색 실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파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도이다.
다음으로, 각 시료에 포함되는 미성숙 수상세포를 관찰한 결과를 이용하여, 전(全)미성숙 수상세포 수 및 미성숙 수상세포의 일차섬모의 수를 구했다. 그 후, 식 (Ia)에 따라, 미성숙 수상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을 산출했다.
[미성숙 수상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 =[미성숙 수상세포의 일차섬모의 수]/[전미성숙 수상세포 수]×100 (Ia)
실시예 4에 있어서, 미성숙 수상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의 경시적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6(A)∼(C)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미성숙 수상세포는, 일차섬모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도 7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미성숙 수상세포에서는, 배양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미성숙 수상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건상 자원봉사자로부터 채취된 말초혈 10mL 및 인간 림프구 분리용 매체〔GE 헬스케어사 제조, 상품명: Ficoll-Paque PLUS〕 15mL를 이용하여, 밀도 구배 원심법에 따라, 말초혈로부터 말초혈 단핵세포를 분리했다. 분리 후의 말초혈 단핵세포의 일부를 분리 직후에 4 v/v% PFA 함유 PBS 용액으로 고정했다. 고정 세포를 블로킹·투과 처리제 중에서 인큐베이션함으로써 블로킹 및 투과 처리를 행하여, 미배양의 세포를 함유하는 시료를 얻었다.
또, 배지〔50ng/mL IL-4, 50ng/mL GM-CSF 및 10 v/v% FBS를 함유하는 RPMI1640 배지〕 중, 분리 후의 말초혈 단핵세포의 잔부를 37℃에서 7일간 배양함으로써 성숙 수상세포를 얻었다. 경시적인 세포의 특성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배양 개시 시로부터 1일간 경과 후, 3일간 경과 후 및 7일간 경과 후의 각 성숙 수상세포를 회수했다. 회수된 각 성숙 수상세포를 회수 직후에 4 v/v% PFA 함유 PBS 용액으로 고정했다. 각 고정 세포를 블로킹·투과 처리제 중에서 인큐베이션함으로써 블로킹 및 투과 처리를 행하여, 배양 개시 시로부터 1일간 경과 후의 성숙 수상세포를 함유하는 시료, 배양 개시 시로부터 3일간 경과 후의 성숙 수상세포를 함유하는 시료 및 배양 개시 시로부터 7일간 경과 후의 성숙 수상세포를 함유하는 시료를 얻었다.
얻어진 각 시료를 항튜불린 항체〔시그마-알드리치사 제조, 상품명: MONOCLONAL ANTI-ACETYLATED TUBULIN CLONE 6-11B-1, 품번: T6793〕 및 항페리센트린 항체〔베틸 라보라토리즈 인코퍼레이티드사 제조, 상품명: Pericentrin/Kendrin Antibody, 품번: A301-348A-T〕와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의 각 시료를 세정액 A〔0.1 w/w%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Tween-20) 함유 PBS 용액〕로 세정했다.
세정 후의 각 시료를 형광 색소 표지 항마우스 IgG 항체〔압캠사 제조, 상품명: Goat Anti-Mouse IgG H&L(형광 색소: Alexa Fluor(등록상표) 488, 카탈로그 넘버: ab150113)〕 및 형광 색소 표지 항토끼 IgG 항체〔압캠사 제조, 상품명: Goat Anti-Rabbit IgG H&L(형광 색소: Alexa Fluor(등록상표) 594, 카탈로그 넘버: ab150080)〕와 실온(25℃)에서 3시간 반응시킴으로써 각 시료를 염색했다. 염색 후의 각 시료를 세정액 A로 세정했다.
세정 후의 각 시료를 퇴색 방지용 봉입제〔써모 피셔 사이언티픽(주) 제조, 상품명: ProLong(등록상표) Gold 퇴색 방지용 봉입제, 품번: P36934〕로 봉입했다. 얻어진 각 시료 및 공초점 현미경〔올림푸스(주) 제조, 품번: FV1200〕을 이용하여 시료에 포함되는 세포핵 마커 및 일차섬모 마커를 검출함으로써 각 시료에 포함되는 성숙 수상세포를 관찰했다.
실시예 5에 있어서, 미배양의 세포를 관찰한 결과를 도 8(A), 배양 개시 시로부터 1일간 경과 후의 성숙 수상세포를 관찰한 결과를 도 8(B), 배양 개시 시로부터 3일간 경과 후의 성숙 수상세포를 관찰한 결과를 도 8(C), 배양 개시 시로부터 7일간 경과 후의 성숙 수상세포를 관찰한 결과를 도 8(D)에 나타낸다. 도면 중, 흰색 화살표는 일차섬모 마커, 스케일 바는 5㎛를 나타낸다. 또, 백색 실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파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A)∼(C)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미배양의 세포 및 배양 개시 시로부터 1일간 경과 시의 성숙 수상세포는, 일차섬모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시료에 포함되는 미배양의 세포 및 시료에 포함되는 각 성숙 수상세포를 관찰한 결과를 이용하여, 전성숙 수상세포 수 및 성숙 수상세포의 일차섬모의 수를 구했다. 그 후, 식 (Ib)에 따라 성숙 수상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을 산출했다.
[성숙 수상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 =〔[성숙 수상세포의 일차섬모의 수]/[전성숙 수상세포 수]〕×100  (Ib)
성숙 수상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의 경시적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도 9에 나타낸다. 도 9는, 실시예 5에 있어서, 성숙 수상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의 경시적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성숙 수상세포에서는, 배양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성숙 수상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의 결과로부터, 수상세포의 성숙에 수반하여, 일차섬모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면역세포의 일차섬모는, 면역세포의 증식에 관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천식 환자로부터 채취된 말초혈 10mL 및 인간 림프구 분리용 매체〔GE 헬스케어사 제조, 상품명: Ficoll-Paque PLUS〕 15mL를 이용하여, 밀도 구배 원심법에 따라, 말초혈로부터 말초혈 단핵세포를 분리했다. 배양 용기 내의 스테로이드제 함유 배지〔10μM 히드로코르티손 또는 10μM 덱사메타손과, 0.1 v/v% DMSO와, 10 v/v% FBS를 함유하는 RPMI1640 배지〕 또는 대조 배지〔0.1 v/v% DMSO와, 10 v/v% FBS를 함유하는 RPMI1640 배지〕 중, 분리 후의 말초혈 단핵세포의 일부를 37℃에서 24시간 배양했다. 얻어진 세포의 형태 및 상태를 위상차 도립 현미경〔라이카 마이크로시스템즈(Leica Microsystems)사 제조, 상품명: DM IL LED〕으로 관찰했다.
또, 상기에 있어서, 천식 환자로부터 채취된 말초혈을 이용하는 대신에 건상 자원봉사자로부터 채취된 말초혈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와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얻어진 세포의 형태 및 상태를 관찰했다.
실시예 6에 있어서, 대조 배지 중에서의 배양 후에 당해 배지 중에서 부유하고 있는 부유세포의 형태를 관찰한 결과를 도 10(A), 대조 배지 중에서의 배양 후의 배양 용기에 접착하고 있는 세포의 형태를 관찰한 결과를 도 10(B), 히드로코르티손 함유 배지 중에서의 배양 후에 당해 배지 중에서 부유하고 있는 부유세포의 형태를 관찰한 결과를 도 10(C), 히드로코르티손 함유 배지 중에서의 배양 후의 배양 용기에 접착하고 있는 세포의 형태를 관찰한 결과를 도 10(D), 덱사메타손 함유 배지 중에서의 배양 후에 당해 배지 중에서 부유하고 있는 부유세포의 형태를 관찰한 결과를 도 10(E), 덱사메타손 함유 배지 중에서의 배양 후의 배양 용기에 접착하고 있는 세포의 형태를 관찰한 결과를 도 10(F)에 나타낸다. 도면 중, 스케일 바는, 100㎛를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천식 환자로부터 채취된 말초혈로부터 얻어진 세포군에는, 부유세포〔도 10(A), 도 10(C) 및 도 10(E) 참조〕와는 다른 형태를 갖고, 배양 용기에 대한 높은 접착능을 갖는 접착성 세포〔도 10(B), 도 10(D) 및 도 10(F) 참조〕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건상 자원봉사자로부터 채취된 말초혈로부터 얻어진 세포군에는, 당해 접착성 세포와 마찬가지로 배양 용기에의 접착능을 갖고, 당해 접착성 세포와 마찬가지의 형태를 갖는 세포의 존재가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접착성 세포는, 천식에 특징적인 세포인 것을 알 수 있다.
또, 도 10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스테로이드제인 히드로코르티손 또는 덱사메타손과 함께 접착성 세포를 배양한 경우, 접착성 세포가 소멸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스테로이드제를 함유하지 않는 대조 배지에서 접착성 세포를 배양한 경우, 접착성 세포가 감소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
천식 환자로부터 채취된 말초혈 10mL 및 인간 림프구 분리용 매체〔GE 헬스케어사 제조, 상품명: Ficoll-Paque PLUS〕 15mL를 이용하여, 밀도 구배 원심법에 따라, 말초혈로부터 말초혈 단핵세포를 분리했다. 분리 후의 말초혈 단핵세포의 일부를 4 v/v% PFA 함유 PBS 용액으로 고정했다. 고정 세포를 블로킹·투과 처리제 중에서 인큐베이션함으로써 블로킹 및 투과 처리를 행하여, 미배양의 세포를 함유하는 시료를 얻었다.
스테로이드제 함유 배지〔10μM 히드로코르티손 또는 10μM 덱사메타손과, 0.1 v/v% DMSO와, 10 v/v% FBS를 함유하는 RPMI1640 배지〕 중, 분리 후의 말초혈 단핵세포의 일부를 37℃에서 24시간 배양하고, 각 배지 중에 부유하고 있는 부유세포를 회수했다. 회수된 각 세포를 회수 직후에 4 v/v% PFA 함유 PBS 용액으로 고정했다. 각 고정 세포를 블로킹·투과 처리제 중에서 인큐베이션함으로써 블로킹 및 투과 처리를 행하여, 배양 개시 시로부터 1일간 경과 후의 세포를 함유하는 시료, 배양 개시 시로부터 3일간 경과 후의 세포를 함유하는 시료 및 배양 개시 시로부터 7일간 경과 후의 세포를 함유하는 시료를 얻었다.
얻어진 각 시료를 항튜불린 항체〔시그마-알드리치사 제조, 상품명: MONOCLONAL ANTI-ACETYLATED TUBULIN CLONE 6-11B-1, 품번: T6793〕 및 항페리센트린 항체〔베틸 라보라토리즈 인코퍼레이티드사 제조, 상품명: Pericentrin/Kendrin Antibody A301-348A-T〕와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의 시료를 세정액 A〔0.1 w/w%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Tween-20) 함유 PBS 용액〕로 세정했다.
세정 후의 시료를 형광 색소 표지 항마우스 IgG 항체〔압캠사 제조, 상품명: Goat Anti-Mouse IgG H&L(형광 색소: Alexa Fluor(등록상표) 488), 카탈로그 넘버: ab150113〕 및 형광 색소 표지 항토끼 IgG 항체〔압캠사 제조, 상품명: Goat Anti-Rabbit IgG H&L(형광 색소: Alexa Fluor(등록상표) 594, 카탈로그 넘버: ab150080)〕와 실온(25℃)에서 1시간 반응시킴으로써 각 시료를 염색했다. 염색 후의 각 시료를 세정액 A로 세정했다.
세정 후의 각 시료를 퇴색 방지용 봉입제〔써모 피셔 사이언티픽(주) 제조, 상품명: ProLong(등록상표) Gold 퇴색 방지용 봉입제, 품번: P36934〕로 봉입했다. 얻어진 시료 및 공초점 현미경〔올림푸스(주) 제조, 품번: FV1200〕을 이용하여 시료에 포함되는 세포핵 마커 및 일차섬모 마커를 검출함으로써 각 시료에 포함되는 세포를 관찰했다.
다음으로, 각 시료에 포함되는 세포를 관찰한 결과를 이용하여, 전면역세포 수 및 면역세포의 일차섬모의 수를 구했다. 그 후, 식 (Ic)에 따라, 면역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을 산출했다.
[면역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 =〔[면역세포의 일차섬모의 수]/[전면역세포 수]〕×100   (Ic)
또, 상기에 있어서, 스테로이드제 함유 배지를 이용하는 대신에 대조 배지〔0.1 v/v% DMSO와, 10 v/v% FBS를 함유하는 RPMI1640 배지〕를 이용한 것, 대조 배지에서의 배양 후의 세포를 부유세포와 접착성 세포로 나누어 회수된 각 세포를 회수 직후에 4 v/v% PFA 함유 PBS 용액으로 고정하고, 각 고정 세포를 블로킹·투과 처리제 중에서 인큐베이션함으로써 블로킹 및 투과 처리를 행하여, 각 시료를 얻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와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면역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을 산출했다.
시료의 종류와 면역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를 도 11에 나타낸다. 도 11은, 실시예 7에 있어서, 시료의 종류와 면역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 중, 시료 번호 1은 대조 배지 중에서의 배양 후의 부유세포에 있어서의 면역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 시료 번호 2는 히드로코르티손 함유 배지 중에서의 배양 후의 부유세포에 있어서의 면역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 시료 번호 3은 덱사메타손 함유 배지 중에서의 배양 후의 부유세포에 있어서의 면역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 시료 번호 4는 대조 배지 중에서의 배양 후의 접착성 세포에 있어서의 면역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을 나타낸다.
도 11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히드로코르티손 함유 배지 중에서의 배양 후의 부유세포에 있어서의 면역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 및 덱사메타손 함유 배지 중에서의 배양 후의 부유세포에 있어서의 면역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은, 대조 배지 중에서의 배양 후의 부유세포에 있어서의 면역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또, 대조 배지 중에서의 배양 후의 접착성 세포는, 높은 면역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률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면역 관련 질환 억제제인 스테로이드제 투여 전의 천식 환자로부터 얻어진 말초혈에서 얻어진 세포군과, 당해 천식 환자에의 스테로이드제의 투여에 의해 증상이 관해했을 때의 말초혈로부터 얻어진 세포군을 대비했다. 그 결과, 스테로이드제 투여 전의 말초혈로부터 얻어진 세포군에는 일차섬모를 갖는 접착성 세포가 다수 포함되어 있었지만, 스테로이드제 투여 후의 말초혈로부터 얻어진 세포군에는 일차섬모를 갖는 접착성 세포를 포함하는 접착성 세포가 확인되지 않았다. 이들의 결과로부터, 면역세포의 일차섬모의 수와 면역 관련 질환이 상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면역세포의 일차섬모는, 면역 관련 질환에 관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피험체로부터 채취된 치료 전후 또는 면역 관련 질환 억제제 투여 전후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세포의 일차섬모의 수를 측정하고, 치료 전후 또는 면역 관련 질환 억제제 투여 전후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세포의 일차섬모의 수를 비교하여, 치료 전후 또는 면역 관련 질환 억제제 투여 전후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세포의 일차섬모의 수의 변화를 구함으로써,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억제 효과의 지표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
일차섬모를 갖는 케라티노사이트를 함유하는 세포군에 있어서의 케라티노사이트의 일차섬모의 수 A를 측정한다. 저분자 화합물, 고분자 화합물, 식물 추출물 등을 PBS 등의 용매에 용해시켜, 피험 시료를 얻는다. 다음으로, 당해 세포군과 저분자 화합물, 고분자 화합물, 식물 추출물 등의 피험 시료를 접촉시킨다. 접촉 후, 당해 피험 시료에 접촉시킨 세포군에 있어서의 케라티노사이트의 일차섬모의 수 B를 측정한다. 케라티노사이트의 일차섬모의 수 A와, 케라티노사이트의 일차섬모의 수 B의 차이를 구한다. 케라티노사이트의 일차섬모의 수 B가 케라티노사이트의 일차섬모의 수 A보다도 유의하게 많은 경우, 피험 시료가 면역 기능 촉진 작용을 갖는다고 평가할 수 있다. 케라티노사이트의 일차섬모의 수 B가 케라티노사이트의 일차섬모의 수 A보다도 유의하게 적은 경우, 피험 시료가 면역 기능 억제 작용을 갖는다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케라티노사이트 대신에 다른 면역 관련 세포를 이용한 경우에도, 케라티노사이트를 이용한 때와 마찬가지로 피험 시료가 갖는 면역 기능 촉진 작용 또는 면역 기능 억제 작용을 평가할 수 있다.
실시예 9
관찰 항목으로서 일차섬모를 갖는 랑게르한스 세포의 수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얻어진 인간 건상 피부 조직(정상 조직) 유래의 관찰용 시료 및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얻어진 아토피성 피부염 병소 조직 유래의 관찰용 시료 각각에 포함되는 세포를 관찰하여, 일차섬모를 갖는 랑게르한스 세포의 수를 계수했다. 관찰된 세포 집단의 세포 수와 일차섬모를 갖는 랑게르한스 세포의 수를 이용하여, 식 (Ⅱ)에 따라 세포 집단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랑게르한스 세포의 함유율을 구했다.
[세포 집단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랑게르한스 세포의 함유율] =〔[일차섬모를 갖는 랑게르한스 세포의 수]/[세포 집단의 세포 수]〕×100                       (Ⅱ)
조직의 종류와 세포 집단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랑게르한스 세포의 함유율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를 도 12에 나타낸다. 도 12는, 실시예 9에 있어서, 조직의 종류와 세포 집단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랑게르한스 세포의 함유율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 중, 「일차섬모를 갖는 랑게르한스 세포의 함유율」은, 세포 집단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랑게르한스 세포의 함유율을 의미한다.
도 12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아토피성 피부염 병소 조직에서는, 정상 조직과 대비하여, 세포 집단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랑게르한스 세포의 함유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 관찰 항목으로서 일차섬모를 갖는 케라티노사이트의 수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얻어진 인간 건상 피부 조직(정상 조직) 유래의 관찰용 시료 및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얻어진 아토피성 피부염 병소 조직 유래의 관찰용 시료 각각에 포함되는 세포를 관찰하여, 일차섬모를 갖는 케라티노사이트의 수를 계수했다. 관찰된 세포 집단의 세포 수와 일차섬모를 갖는 케라티노사이트의 수를 이용하여, 식 (Ⅲ)에 따라 세포 집단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케라티노사이트의 함유율을 구했다.
[세포 집단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케라티노사이트의 함유율] =〔[일차섬모를 갖는 케라티노사이트의 수]/[세포 집단의 세포 수]〕×100                       (Ⅲ)
조직의 종류와 세포 집단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케라티노사이트 세포의 함유율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를 도 13에 나타낸다. 도 13은, 실시예 9에 있어서, 조직의 종류와 세포 집단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케라티노사이트의 함유율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 중, 「일차섬모를 갖는 케라티노사이트의 함유율」은, 세포 집단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케라티노사이트의 함유율을 의미한다.
도 13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아토피성 피부염 병소 조직에서는, 정상 조직과 대비하여, 세포 집단에 있어서의 일차섬모를 갖는 케라티노사이트의 함유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들의 결과로부터, 일차섬모를 갖는 랑게르한스 세포 및 일차섬모를 갖는 케라티노사이트의 증가는, 아토피성 피부염에 관련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와 면역 관련 질환이 상관하고 있는 점에서,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를 관찰함으로써,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면역 관련 질환의 이환 유무의 진단의 보조 또는 면역 관련 질환의 예후 진단의 보조, 면역 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 면역 관련 질환 억제제에 의한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억제 효과의 평가 그리고 피험 시료가 면역 기능 제어 작용을 갖는 물질인지 여부의 평가를 행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가 면역 관련 세포의 증식 및 면역 관련 질환에 관여하고 있는 점에서,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형성을 제어함으로써, 면역 기능의 제어를 행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면역 관련 질환의 검사, 면역 관련 질환의 이환 유무의 진단의 보조 또는 면역 관련 질환의 예후 진단의 보조, 면역 관련 질환의 치료약의 개발, 면역 관련 질환을 억제하기 위한 의약부외품 또는 화장료 성분의 개발 등에 이용되는 것이 기대되는 것이다.
1: 표피 2: 진피

Claims (7)

  1. 피험체로부터 채취된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를 관찰하여, 상기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와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를 비교해,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와 정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의 차이를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
  2. 피험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진단을 보조하는 방법으로서, 피험체로부터 채취된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를 관찰하여, 상기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와 비교 대상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를 비교하고, 얻어진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 피험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의 이환(罹患) 유무의 진단의 보조 정보 또는 피험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의 예후 진단의 보조 정보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험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의 진단의 보조 방법.
  3. 피험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질환을 검사하기 위한 키트로서,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에 대한 특이적 결합 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관련 질환의 검사 키트.
  4. 면역 관련 질환에 이환한 피험체에 실시된 치료 또는 상기 피험체에 투여된 면역 관련 질환 억제제에 의한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억제 효과를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피험체로부터 채취된 치료 전후 또는 면역 관련 질환 억제제 투여 전후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를 관찰하여, 치료 전후 또는 면역 관련 질환 억제제 투여 전후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를 비교해, 치료 전후 또는 면역 관련 질환 억제제 투여 전후의 피험 검체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변화를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억제 효과의 지표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억제 효과의 평가 방법.
  5. 피험 시료가 면역 기능 제어 작용을 갖는 물질인지 여부를 평가하는 피험 시료의 평가 방법으로서, (A)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를 함유하는 세포군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를 관찰하는 스텝,
    (B)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를 함유하는 세포군과 피험 시료를 접촉시켜, 상기 피험 시료에 접촉시킨 세포군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를 관찰하는 스텝, 및
    (C) 스텝 (A)에서 관찰된 세포군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와, 스텝 (B)에서 관찰된 세포군에 있어서의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의 관찰 결과의 차이에 의거하여, 피험 시료가 면역 기능 제어 작용을 갖는 물질인지 여부를 평가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험 시료의 평가 방법.
  6. 면역 기능을 억제하기 위한 면역 기능 제어제로서,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로부터 일차섬모를 제거하는 작용을 갖는 일차섬모 제거 작용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기능 제어제.
  7. 일차섬모를 갖는 면역 관련 세포로부터 일차섬모를 제거하기 위한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 제거제로서, 스테로이드제 및 생리 활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 제거제.
KR1020207019220A 2018-03-09 2019-03-08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 KR1023719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42851 2018-03-09
JPJP-P-2018-042851 2018-03-09
PCT/JP2019/009313 WO2019172419A1 (ja) 2018-03-09 2019-03-08 免疫関連疾患の指標の検出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6587A true KR20200096587A (ko) 2020-08-12
KR102371964B1 KR102371964B1 (ko) 2022-03-08

Family

ID=67847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9220A KR102371964B1 (ko) 2018-03-09 2019-03-08 면역 관련 질환의 지표의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003546A1 (ko)
EP (2) EP4130743A1 (ko)
JP (2) JP7008793B2 (ko)
KR (1) KR102371964B1 (ko)
CN (1) CN111527407B (ko)
WO (1) WO20191724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30743A1 (en) 2018-03-09 2023-02-08 Mandom Corporation Method for detecting indicator of immune-related disease
KR20240039002A (ko) 2021-09-21 2024-03-26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면역 관련 세포의 일차섬모 억제제 및 그 이용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0410A (zh) * 1995-02-10 1998-04-29 三菱化学株式会社 免疫性疾病的诊断方法
CA2232527C (en) * 1995-09-19 2008-09-02 Seikagaku Corporation Anti-inflammatory agent
KR100549904B1 (ko) * 1996-03-27 2006-05-16 더 유니버시티 오브 노쓰 캐롤라이나 엣 채플 힐 우리딘트리포스페이트및관련화합물을함유하는섬모운동장해치료용약학조성물
GB0116920D0 (en) 2001-07-11 2001-09-05 Sulzer Vascutek Ltd Delivery system
WO2004020617A1 (ja) * 2002-08-29 2004-03-11 Mandom Corporation フェノールオキシダーゼ様活性を有する培養物
CN1291231C (zh) * 2003-12-08 2006-12-20 胡军 活化淋巴细胞特异性的检测方法
US20090306045A1 (en) * 2005-12-22 2009-12-10 Ira Mellman Inhibition of Glycogen Synthase Kinase and Methods of Treating Autoimmune or Immune Inflammatory Disease
AU2006337085B2 (en) * 2005-12-27 2013-12-19 Curis, Inc. Methods of using hedgehog kinase antagonists to inhibit hedgehog signaling and to treat hedgehog mediated disorders
WO2008105881A2 (en) * 2006-04-14 2008-09-0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Determining orientation of cilia in connective tissue
WO2008150459A1 (en) * 2007-05-30 2008-12-11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A method for transducing cells with primary cilia
WO2011055550A1 (ja) * 2009-11-05 2011-05-12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自己免疫疾患又はアレルギー治療剤とそ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US20120164100A1 (en) 2010-11-02 2012-06-28 Ren-Ke Li Temperature sensitive hydrogel and block copolymers
CN103386138B (zh) * 2012-05-11 2016-01-27 中国科学院上海生命科学研究院 一种调节纤毛发育的microRNA及其应用
TW201420130A (zh) 2012-09-26 2014-06-01 Neochemir Inc 溶解有二氧化碳之液狀藥劑及其投藥方法
KR20140110683A (ko) * 2013-03-05 2014-09-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장질환 진단용 키트
MY178288A (en) * 2013-09-20 2020-10-07 Nat Inst Biomedical Innovation Health & Nutrition Complex containing oligonucleotide having immunopotentiating activity and use thereof
GB201400994D0 (en) 2014-01-21 2014-03-05 Ucl Business Plc Drug delivery system
EP4130743A1 (en) 2018-03-09 2023-02-08 Mandom Corporation Method for detecting indicator of immune-related disease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K.T.Wann et al., Cellular and Molecular Life Sciences, Vol. 69, 2012, pp. 2967-2977.* *
Kobayashi et al., "HADC2 promotes loss of primary cilia in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EMBO reports, Vol. 18, Issue. 2, 2017, pp. 334-343. *
Sugier et al.,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Vol. 141, No. 5, 2018, pp. 1659-1667.(온라인 공개 2017.09.18) *
T.Dalbay et al., Stem Cells, Vol. 33, No. 6, 2015, pp. 1952-1961. *
수잔나 엘 프로서(Suzanna L. Prosser) 등, 「센트린2는 일차섬모 형성에 있어서의 CP110 제거를 제어한다(Centrin2 regulates CP110 removal in primary cilium formation)」, 더 저널 오브 셀 바이올로지(The Journal of cell Biology), 제 208 권, 제 6 호, p. 693-701, 2015년 3월 9일 발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20692A (ja) 2022-02-01
WO2019172419A1 (ja) 2019-09-12
CN111527407A (zh) 2020-08-11
EP3764097A1 (en) 2021-01-13
US20210003546A1 (en) 2021-01-07
EP3764097A4 (en) 2022-04-27
JP7008793B2 (ja) 2022-01-25
JPWO2019172419A1 (ja) 2021-01-14
KR102371964B1 (ko) 2022-03-08
CN111527407B (zh) 2023-09-15
EP4130743A1 (en) 2023-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49042B1 (en) Pd-l1 antibodies and uses thereof
Jabs et al. The kidney as a second site of human C‐reactive protein formation in vivo
Ning et al. Mesenchymal stem cell marker Stro-1 is a 75kd endothelial antigen
Porcheray et al. Polyreactive antibodies developing amidst humoral rejection of human kidney grafts bind apoptotic cells and activate complement
Gao et al. Pretransplant IgG reactivity to apoptotic cells correlates with late kidney allograft loss
EP3254110B1 (en) Histochemical assay for evaluating expression of programmed death ligand 1 (pd-l1)
JP2022020692A (ja) 免疫機能制御剤
ES2394925T3 (es) Uso de N-miristoiltransferasa en tejido no tumoral para el diagnóstico de cáncer
Sundqvist Redistribution of Surface Antigens–a General Property of Animal Cells?
CN106706912A (zh) 诊断炎症相关肝癌的标志物及其应用
EP3276353B1 (en) Biomarker for diagnosis of extrahepatic bile duct carcinoma, intrahepatic bile duct carcinoma, or gallbladder carcinoma
Delgado et al. Positive B-cell only flow cytometric crossmatch: implications for renal transplantation
Singh et al. Caveolin-1 is upregulated in hepatic stellate cells but not sinusoidal endothelial cells after liver injury
Nishimaki et al. Studies on immune complexes in rheumatoid arthritis
JP5466822B2 (ja) 炎症過程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この治療のための医薬組成物
EP2738250B1 (en) Anti-beta1,6-N-acetylglucosaminyltransferase 5B antibody for detecting epithelial ovarian cancer and method for diagnosing epithelial ovarian cancer
Falay et al. Endothelial Progenitor Cells (EPC) count by multicolor flow cytometry in healthy individuals and Diabetes Mellitus (DM) patients
WO2014159920A1 (en) A device and method for the detection and diagnosis of aggressive and metastatic cancer and cancer stem cells employing podocalyxin and tra biomarkers
Poláková et al. Impact of blood processing on estimation of soluble HLA-G
JP2013044698A (ja) 細胞ストレス状態のバイオマーカー
JP2008151517A (ja) 腎障害の判定方法
Abo-Zeinah et al. Histopathological expression of Yes-associated protein in neonatal cholestasis
KR102180623B1 (ko) 암의 골전이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암의 골전이 진단방법
Pontes et al. Detection and localization of non-HLA-ABC antigenic sites relevant to kidney rejection on endothelial cells
JP7295683B2 (ja) 皮膚疾患の指標の検出方法、物質の評価方法、並びに、ロリクリン量及び/又はフィラグリン量の増加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