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6139A -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6139A
KR20200096139A KR1020200009599A KR20200009599A KR20200096139A KR 20200096139 A KR20200096139 A KR 20200096139A KR 1020200009599 A KR1020200009599 A KR 1020200009599A KR 20200009599 A KR20200009599 A KR 20200009599A KR 20200096139 A KR20200096139 A KR 20200096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hangover
relieving
hydroxy
hydro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환
김대현
김성현
신보섭
Original Assignee
경방신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방신약(주) filed Critical 경방신약(주)
Priority to JP2020011991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0124191A/ja
Priority to CN202010078461.6A priority patent/CN111514197A/zh
Publication of KR20200096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61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2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1/4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carbohydrates used, e.g.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2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1/48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0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06Fruct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08Galact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1Glucose, Dextr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42Vitamin B1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nfectioner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숙취 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연 및 한방 물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음용 또는 섭취 후 2시간 이내에 알코올 대부분을 분해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종래 숙취 해소용 제품에 비해 현저히 탁월한 효능을 지닌 것이다.

Description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mposition for relieving hangov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방 물질 추출물 및 아연을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1980년대 이후 사회적 혼란과 경제 불안정성으로 인해 국내 주류 판매량이 증가하여, 1996년에는 성인 1인당 1일 평균 음주량은 맥주 6병으로 알려졌다. 이는 국민 건강 측면에서 우려할만한 수준으로, 음주 문화에서 잦은 과음으로 인한 숙취 제거용 약물 또는 음료에 대한 관심이 높다.
주류에 포함된 알코올 성분이 체내에 다량 유입시 대사 체계 균형의 붕괴로 인해, 생체 항상성의 유지가 어렵다. 특히,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간의 경우 장기적으로 지방간, 간경변증 등의 기능 장애가 발생하며, 단기적인 증상으로는 갈증, 정신 권태, 피로감, 기억력 상실, 소화불량, 구토, 설사, 비타민 결핍 현상 등의 숙취(hangover)로 고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정상적인 일상 활동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무기력한 활동으로 인해 본인은 물론 타인에게 심각한 영향을 끼치는 부작용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숙취 해소를 위해, 다양한 제형의 숙취 해소용 제품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일에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1-0019767호는 숙취 해소용 천연 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갈화, 갈근, 감초, 백출, 진피, 택사, 구기자 및 생강을 이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으며, 등록특허공보 제1534550호는 황칠나무를 포함하는 숙취 해소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황칠나무의 유효성분 함량이 증가한 분말을 물, 술 또는 액상의 음료에 용해시켜 음료로 활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숙취 해소를 위해 다양한 방법을 통한 제품들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으나, 소량으로도 현저히 탁월한 숙취 해소 효과를 나타내는 제품의 개발은 미미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1976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534550호.
본 발명은 지구자, 갈근, 갈화, 감초, 단삼, 영지 추출물과 아연, 비타민 B1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숙취 해소 효과가 현저히 상승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을 제조된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복용이 용이한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지구자, 갈근, 갈화 및 감초를 포함하는 제 1 혼합물을 용매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 상기 추출물의 건조 분말, 산화아연(zinc oxide) 및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당 화합물, 이의 유도체 또는 그 염의 제 2 혼합물을 용해하여 아연-당 복합체 용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R1 내지 R5 및 R7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7)알킬이고;
상기 R6은 수소, 히드록시, 히드록시(C1-C7)알킬 또는 (C1-C7)알콕시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혼합물은 상기 지구자 100 중량부에 대해 갈근 1 내지 50 중량부, 갈화 1 내지 50 중량부 및 감초 1 내지 10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매 추출 시의 용매는 물 또는 (C1-C4) 탄소수의 저가알코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매 추출 시, 70 내지 200 ℃에서 1 내지 20 시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혼합물은 상기 건조 분말 1 중량부에 대해 산화아연 100 내지 500 중량부 및 상기 당 화합물 10 내지 100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R1 내지 R5 및 R7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3)알킬이고; 상기 R6은 수소, 히드록시, 히드록시(C1-C3)알킬 또는 (C1-C3)알콕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R1 내지 R5 및 R7 내지 R10은 수소이고, 상기 R6은 수소, 히드록시 또는 -(CH)2-OH;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은 포도당, 과당 또는 갈락토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혼합물은 단삼, 영지 또는 그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혼합물은 비타민 B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혼합물 및 비타민 B1은 각각 살균 후 혼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당 화합물, 이의 유도체 또는 그 염; 산화 아연(zinc oxide); 및 지구자, 갈근, 갈화 및 감초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화학식 2]
Figure pat00004
상기 R1 내지 R5 및 R7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7)알킬이고;
상기 R6은 수소, 히드록시, 히드록시(C1-C7)알킬 또는 (C1-C7)알콕시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상기 R1 내지 R5 및 R7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3)알킬이고; 상기 R6은 수소, 히드록시, 히드록시(C1-C3)알킬 또는 (C1-C3)알콕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R1 내지 R5 및 R7 내지 R10은 수소이고, 상기 R6은 수소, 히드록시 또는 -(CH)2-OH;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는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 초컬릿은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품 또는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화장품은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음용 또는 섭취 후 2시간 이내에 알코올 대부분을 분해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종래 숙취 해소용 제품에 비해 현저히 탁월한 효능을 지닌 것이다.
도 1은 시간별 호기 중 알코올 농도에 관한 결과이다.
도 2는 초기 농도에 대한 호기중 잔존율에 관한 결과이다.
도 3은 숙취 해소용 조성물에 따른 회복율(%) 및 0% 도달 인원의 분율에 관한 결과이다.
이하 첨부한 표 또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이 기재되어 있을 경우, 이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상기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 없이 사용된 단위는 중량을 기준으로 하며, 일 예로 % 또는 비의 단위는 중량% 또는 중량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포함한다”는 표현은 “구비한다”, “함유한다”, “가진다” 또는 “특징으로 한다” 등의 표현과 등가의 의미를 가지는 개방형 기재이며, 추가로 열거되어 있지 않은 요소, 재료 또는 공정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실질적으로…로 구성된다”는 표현은 특정된 요소, 재료 또는 공정과 함께 열거되어 있지 않은 다른 요소, 재료 또는 공정이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기본적이고 신규한 기술적 사상에 허용할 수 없을 만큼의 현저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양으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구성된다”는 표현은 기재된 요소, 재료 또는 공정만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성분", "조성물", "화합물의 조성물", "화합물", "약물", "약학적 활성제", "활성제", "치유" "치료법" "치료" 또는 "약제"는 대상체(인간 또는 동물)에 투여될 때 국소 및/또는 전신 작용에 의해 원하는 약학적 및/또는 생리학적 효과를 유도하는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 또는 물질의 조성물을 의미하기 위해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 또는 "치료법"(뿐만 아니라 그의 상이한 형태)는 예방적 (예: 예방적 치료), 치유적 또는 경감성 치료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하는"은 상태, 질환 또는 장애의 적어도 하나의 유해 또는 부정적 효과 또는 증상을 경감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샘플” 또는 “시료”는 분석을 위한 대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명세서에 걸쳐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라는 용어는 중수소; 할로겐기; 시아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히드록시기; 카보닐기; 에스테르기; 이미드기; 아미노기; 포스핀옥사이드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알킬티옥시기; 아릴티옥시기; 알킬술폭시기; 아릴술폭시기; 실릴기; 붕소기; 알킬기; 사이클로알킬기; 알케닐기; 아릴기; 아르알킬기; 아르알케닐기; 알킬아릴기; 알킬아민기; 아랄킬아민기; 헤테로아릴아민기; 아릴아민기; 아릴포스핀기; 또는 N, O 및 S 원자 중 1개 이상을 포함하는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되거나, 상기 예시된 치환기 중 2 이상의 치환기가 연결된 치환 또는 비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2 이상의 치환기가 연결된 치환기"는 바이페닐기일 수 있다. 즉, 바이페닐기는 아릴기일 수도 있고, 2개의 페닐기가 연결된 치환기로 해석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어 「알킬」은 탄소 및 수소 원자만으로 구성된 1가의 직쇄 또는 분쇄 포화 탄화수소 라디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알킬 라디칼의 예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t-부틸, 펜틸, 헥실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어 「알콕시」는 산소와 알킬이 결합된 1가의 -O-알킬 라디칼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기서 ‘알킬’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이러한 알콕시 원자단의 예는 메톡시, 에톡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이소부톡시, t-부톡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어 「아릴」는 하나의 수소 제거에 의해서 방향족 탄화수소로부터 유도된 유기 라디칼로, 각 고리에 적절하게는 4 내지 7개, 바람직하게는 5 또는 6개의 고리원자를 포함하는 단일 또는 융합고리계를 포함하며, 다수개의 아릴이 단일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까지 포함한다. 구체적인 예로 페닐, 나프틸, 비페닐, 인데닐(indenyl)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어 「헤테로아릴」은 방향족 고리 골격 원자로서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나머지 방향족 고리 골격 원자가 탄소인 아릴 그룹을 의미하는 것으로, 5 내지 6원 단환 헤테로아릴, 및 하나 이상의 벤젠환과 축합된 다환식 헤테로아릴이며, 부분적으로 포화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헤테로아릴은 하나 이상의 헤테로아릴이 단일결합으로 연결된 형태도 포함한다. 상기 헤테로아릴기의 예는 피롤, 인돌, 퀴놀린, 이소퀴놀린, 피리딘, 피리미딘, 옥사졸, 티아졸, 티아디아졸, 트리아졸, 이미다졸, 벤조이미다졸, 이소옥사졸, 벤조이소옥사졸, 티오펜, 벤조티오펜, 퓨란, 벤조퓨란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헤테로아릴은 고리 내 탄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결합 부위로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어 「아릴알킬」은 1, 2 또는 3 개의 고리를 갖는 방향족 탄소환이 치환되어 있는 알킬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벤질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어 「아릴옥시」는 산소와 아릴이 결합된 1가의 라디칼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기서 ‘아릴’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이러한 아릴옥시 라디칼의 예는 페녹시, 나프톡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어 「아릴알킬옥시」는 아릴알킬의 알킬과 산소가 결합된 1가의 라디칼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기서 ‘아릴알킬’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이러한 아릴알킬옥시 라디칼의 예는 벤질옥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지구자, 갈근, 갈화 및 감초를 포함하는 제 1 혼합물을 용매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 상기 추출물의 건조 분말, 산화아연(zinc oxide) 및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당 화합물, 이의 유도체 또는 그 염의 제 2 혼합물을 용해하여 아연-당 복합체 용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5
[화학식 2]
Figure pat00006
상기 R1 내지 R5 및 R7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7)알킬이고;
상기 R6은 수소, 히드록시, 히드록시(C1-C7)알킬 또는 (C1-C7)알콕시이다.
지구자(Hoveniae Semen Cum Fructus)는 갈매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수목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충천북도, 경상북도 등의 표고 400m 이하에서 자라며, 일본과 중국 대륙에도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열매꼭지에 서당, 포도당, 과당, 카탈라제, 페록시다제가 함유되어 있다. 총 당의 함량은 전체의 약 13 중량%이고 포도당과 서당은 거의 같은 양이 함유되어 있다.
갈근(Puerariae Radix)은 콩과인 칡의 주피를 제거한 뿌리 부분을 의미하며, 상기 뿌리에는 이소 풀라본 화합물인 다이드제인(4'-7-디히드록시 이소풀라본) C15H10O4, 다이드진(다이드제인-7-글리코시드) C2H20O9, 푸에라린(8-C-글루코 피라노실 다이드제인) C21H20O9, 푸에라린 크실로시드, 루데올린, 비오카닌 A C16H12O5 (녹는점 214~216℃) 등 및 농마 (10~14 중량%), 쿠마린 등을 함유하고 있다.
갈화(Puerariae Flos)는 콩과인 칡의 꽃봉오리 부분을 의미하며, 갈증의 해소, 숙취에 따른 구토의 완화, 식욕부진 완화 또는 장출혈의 개선 등에 사용되고 있다.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xher)는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식물로, 트리테르펜 (triterpenoid)계통의 스포닌(sponines)인 클리시리진(glycyrrhizin)과 글리시르헥틴산(glycyrrhetinic acid)을 비롯하여, 플라보노이드(flavonoids)인 리퀴리티게닌(liquiritigenin), 이소리퀴리티게닌(isoliquiritigenin), 리퀴리틴(liquiritin), 네오리퀴리틴(neoliquiritin) 등, 이소플라보노이드(isoflavonoid) 계통인 글리세스트론(glycestrone), 글리시롤(glycyrol), 이소클리시롤(isoglycyrol), 리코리딘(licoridin), 7-아세톡시-2-메틸-이소플라본(7-acetoxy-2-methyl isoflavone)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항염, 항궤양 효과, 소염 효과(antiphlogistic effect), 해열 작용(antipyretic effect), 항진통 효과(analgestic effect) 및 에스트로겐 활성화(estrogen activation) 등에 사용되고 있다.
단삼(Salviae Miltiorrhizea Radix)은 꿀풀과의 뿌리를 지칭하는 것으로 주요 성분은 디터페노이드(diterpenoid)로서 탄시논(tanshinone) I, II, IIA, IV, 올레일 네오크립토탄시논(oleoyl neocryptotanshinone), 올레일 단센신쿤(oleoyl danshenxinkun), 네오크립토탄시논(neocryptotanshinone), 디히드로탄시논(dihydrotanshinone) I, 단센신쿤(danshenxinkun) A, B, 네오크립토탄시논(neocryptotanshinone) II, 6,-12-디히드록시아비에타-5,8,11,13-테라엔-7-온(6, 12-dihydroxyabieta-5,8,11,13-teraen-7-one)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페놀 화합물(Phenolic compound)로서 로스마린 산(rosmarinic acid), 리토스펌 산(lithospermic acid) A, B, 살비아놀 산(salvianolic acid) A, B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알카로이드(Alkaloid)로서 살비아밀트아미드(salviamiltamide), 3-(3',4'-디히드록시페닐)-(2R)-락트아미드(3-(3',4'-dihydroxyphenyl)-(2R)-lactamide) 등을 함유하고 있다. 단삼의 작용으로는 혈관 확장, 심장 질환의 개선 및 치료, 간세포 보호, 뇌세포 보호, 항암 등에 유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영지 (Ganoderma lucidum Leyss. ex Fr. Karsten)는 잔나비걸상과(Polyporaceae) 및 동속 근연종의 자실체로, 주요 성분은 트리터펜(triterpene)으로서, 가노데른 산(ganoderic acid) A~T, 가노데른 산 β, 가노데리올(ganoderiol) F, 가노데마논디올(ganodermanondiol), 루시덴 산(lucidenic acid) A~P, 루시알데히드(lucialdehyde) A~S, 메틸 루시데네이트(methyl lucidenate) F, 루시데노락톤(lucidenolactone), 메틸 가노데레이트(methyl ganoderate) E, F, 메틸 루시데네이트(methyl lucidenate) P, Q, L, 26-히드록시-5α-라노스타-7,9(11)(26-hydroxy-5α-lanosta-7,9(11)), 24-트리엔-3,22-디온(24-triene-3,22-dione)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로서 GL-1, 가노데란(ganoderan) B, C 등,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으로 GLIS 등을 함유하고 있다. 영지의 작용으로는 항종양, 혈중 LDL 콜레스테롤 수치 하강을 비롯하여, 가노데린 산 유도체들의 콜레스테롤 합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다당류 성분은 간조직의 손상으로부터 간손상을 보호하고, 간 섬유화를 억제하는 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연 (Zinc)은 원자번호가 30인 원소로, 인체 내에서 세포를 구성하고 생리적인 기능을 다루는 대표적인 무기물 중 하나이다. 아연은 세포의 신진대사에 관련된 300개 이상의 효소를 구성하는 중요한 성분이다 (Cherasse Y, Urade Y (2017).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18 (11): 2334). 아연은 인슐린 합성과 분비량을 조절하여 당뇨병을 예방하며 세포의 합성을 촉진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여 성장을 촉진한다. 아연은 면역력 증진으로 T림프구, 대식세포, 백혈구 등 각종 면역세포의 생성과 활성에 관여하며, 설사, 여드름과 습진 같은 피부질환 등에 쓰인다. 아연 결핍 시에는 만성 간 질환, 만성 신장 질환, 겸상 적혈구병, 당뇨병, 악성 종양 및 기타 만성 질환과 관련될 수 있다(Prasad. A.S. (2003). British Medical Journal. 326 (7386): 409-10). 식약처에서 권장하는 아연 1일 권장량은 10-20mg이고, WHO에서는 남성 30-60mg, 여성 30-45mg으로 정하고 있다.
비타민 B1(티아민, thiamin)은 수용성 비타민으로 화학식 C12H17N4OS를 갖는 무색의 유기 황 화합물로, 중앙에 위치한 탄소에 질소가 함유된 육각형의 환(pyrimidine)과 황이 함유된 오각형의 환(thiazole)이 메틸렌 다리(methylene bridge)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대부분의 조직에서 비타민 B1은 80%가 조효소 형태인 티아민 피로포스페이트(thiamin pyrophosphate, TPP)로 전환되어 조효소로 작용하며, 탄수화물 대사를 비롯한 에너지 대사에 참여한다. 뇌와 같은 신경조직에서는 티아민 트리포스페이트(thiamin triphosphate, TTP)로 전환된다. 상기 TPP는 DNA와 RNA의 합성에 필요한 5탄당 인산 경로에 관여하는 효소의 조효소로 작용함으로써 핵산 합성에 관여한다.
모든 세포는 에너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인체에 필수 영양소인 비타민 B₁결핍은 신체 모든 기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결핍으로 생기는 질환으로는 각기병 , 베르니케-코르사코프 증후군, 시신경 병증, 레이 질병 등이 알려져 있다(McCandless, David (2010). Thiamine Deficiency and Associate Clinical Disorders. New York, NY: Humana Press. pp. 157-159).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과에 의하면, 상기 한방 물질의 추출물 또는 아연 성분 등을 개별적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상기 성분을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비율로 제조하여 혼합한 후 숙취 해소 효과를 평가하였을 때, 현저히 빠른 시간 내에 알코올 성분의 분해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상기 한방 물질의 추출물 및 아연 성분 등을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혼합하여 제조하였을 때, 원인은 알 수 없으나, 알코올 성분의 분해에 있어 상승효과가 발생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의 상기 당 화합물의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바람직하게는 염산염, 황산염, 인산염, 브롬화수소산염, 요오드화수소산염, 질산염, 피로황산염, 메타인산염 등의 무기산에 의해 형성된 부가염, 시트르산염, 옥살산염, 벤조산염, 아세트산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프로피온산염, 숙신산염, 푸마르산염, 락트산염, 말레산염, 타르타르산염, 글루타르산염, 메탄설폰산염, 톨루엔설폰산염, 설폰산염 등의 유기산에 의해 형성된 부가염 또는 리튬염, 나트륨염, 칼륨염, 마그네슘염, 칼슘염 등의 금속염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혼합물은 상기 지구자 100 중량부에 대해 갈근 1 내지 50 중량부, 갈화 1 내지 50 중량부 및 감초 1 내지 10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으며, 좋게는 상기 지구자 100 중량부에 대해 갈근 5 내지 40 중량부, 갈화 5 내지 40 중량부 및 감초 1 내지 8 중량부, 더욱 좋게는 지구자 100 중량부에 대해 갈근 10 내지 35 중량부, 갈화 10 내지 35 중량부 및 감초 1 내지 6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알코올의 분해 속도가 현저히 증가하는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매 추출 시의 용매는 물 또는 (C1-C4) 탄소수의 저가알코올일 수 있으며, 좋게는 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물 또는 정제수를 사용하는 경우, 추출시 각 한방 성분의 유효 성분에 대한 손실이 적으며, 추가적인 알코올 성분이 조성물에 포함되지 않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매 추출 시, 추출 온도 및 시간은 각각 일예로, 70 내지 200 ℃에서 1 내지 20 시간, 좋게는 80 내지 170 ℃에서 2 내지 15 시간, 더욱 좋게는 90 내지 140 ℃에서 3 내지 10 시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함량이 증가하게 되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혼합물은 상기 건조 분말 1 중량부에 대해 산화아연 100 내지 500 중량부 및 상기 당 화합물 10 내지 100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으며, 좋게는 상기 건조 분말 1 중량부에 대해 산화아연 150 내지 450 중량부 및 상기 당 화합물 20 내지 85 중량부, 더욱 좋게는 상기 건조 분말 1 중량부에 대해 산화아연 200 내지 400 중량부 및 상기 당 화합물 30 내지 70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알코올의 분해 속도가 현저히 증가하는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R1 내지 R5 및 R7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3)알킬이고; 상기 R6은 수소, 히드록시, 히드록시(C1-C3)알킬 또는 (C1-C3)알콕시;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알코올의 분해 속도가 현저히 증가하는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R1 내지 R5 및 R7 내지 R10은 수소이고, 상기 R6은 수소, 히드록시 또는 -(CH)2-OH;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알코올의 분해 속도가 현저히 증가하는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은 포도당, 과당 또는 갈락토스일 수 있으며, 상기 화합물의 일예로 하기와 같은 화학식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Figure pat00007
(D-Glucose)
Figure pat00008
(D-Fructose)
Figure pat00009
(D-Galactose)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알코올의 분해 속도가 현저히 증가하는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혼합물은 단삼, 영지 또는 그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삼 또는 영지는 상기 지구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단삼 1 내지 50 중량부 및 영지 1 내지 10 중량부의 비율로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좋게는 상기 지구자 100 중량부에 대해 단삼 5 내지 40 중량부 및 영지 1 내지 8 중량부, 더욱 좋게는 지구자 100 중량부에 대해 단삼 10 내지 30 중량부 및 영지 1 내지 6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알코올의 분해 속도가 현저히 증가하는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혼합물은 비타민 B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타민 B1은 상기 건조 분말 1 중량비에 대해 1 내지 100 중량부의 비율로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좋게는 10 내지 80 중량부, 더욱 좋게는 20 내지 60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알코올의 분해 속도가 현저히 증가하는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혼합물 및 비타민 B1은 각각 살균 후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살균은 일예로 70 내지 150 ℃에서 0.1 내지 10분, 좋게는 75 내지 130 ℃에서 0.1 내지 5분, 더욱 좋게는 80 내지 100 ℃에서 0.1 내지 2분 수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범위에서, 제 2 혼합물 및 비타민 B1 성분의 변형 또는 손실을 최소화하고,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알코올의 분해 속도가 현저히 증가하는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당 화합물, 이의 유도체 또는 그 염; 산화 아연(zinc oxide); 및 지구자, 감초, 갈화 및 갈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10
[화학식 2]
Figure pat00011
상기 R1 내지 R5 및 R7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7)알킬이고;
상기 R6은 수소, 히드록시, 히드록시(C1-C7)알킬 또는 (C1-C7)알콕시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상기 R1 내지 R5 및 R7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3)알킬이고; 상기 R6은 수소, 히드록시, 히드록시(C1-C3)알킬 또는 (C1-C3)알콕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상기 R1 내지 R5 및 R7 내지 R10은 수소이고, 상기 R6은 수소, 히드록시 또는 -(CH)2-OH;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R1과 R6, R7과 R11은 경우에 따라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또는 약학적 조성물, 화장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는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 초컬릿은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건강기능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첨가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추가로,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건강보조식품, 과자류(예, 스넥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음료(예, 과실,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된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물,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을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상술된 바와 같이 다양한 제형을 갖을 수 있으며, 특히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및 음료 등에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의약품 또는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함유한다.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에 통상의 무독성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부형제 등을 첨가하여 약제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인 제제,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엘릭서제(elixirs) 등의 경구투여용 제제 또는 정맥내, 피하, 설하, 근육내 투약용 멸균성 수성 또는 오일상 용제의 비경구투여용 제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또는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부형제로는 감미제, 결합제, 용해제, 용해보조제, 습윤제, 유화제, 등장화제, 흡착제, 붕해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활탁제, 충진제, 방향제 등이 있으며, 이러한 부형제의 비율 및 성질은 선택된 정제의 용해도 및 화학적 특성, 선택된 투여경로 및 표준 약제 실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부형제의 예로는 락토스, 덱스트로스, 슈크로스,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오스, 글라이신, 실리카, 탈크, 스테아린산, 스테린, 마그네슘 스테아린산염, 마그네슘 알루미늄 규산염, 녹말, 젤라틴, 트라가칸트 고무, 알지닌산, 소디움 알진산염, 메틸셀룰로오스, 소디움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아가, 물, 에탄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오렌지 엣센스, 딸기 엣센스, 바닐라 향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형화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정맥 내 투여, 복강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피하 투여 또는 국부 투여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이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서 혼합되어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되고, 이러한 용액 또는 현탁액이 앰플 또는 바이알의 단위 투여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멸균되거나,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보조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제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의 사람을 포함하는 포유류에 대한 투여용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병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루에 0.001 내지 500 ㎎/㎏(체중),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 ㎎/㎏(체중)의 유효량으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약학적 조성물은 1 일 1 회 또는 2 회 이상 분할되어 경구 또는 비경구적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질병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품은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장품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다.
상기 화장품은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장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다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품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재료, 시약 및 장비]
- 지구자, 갈근 갈화, 단삼, 감초, 영지, 꿀, 설탕 등은 재래시장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 산화아연, 과당, 비타민 B1 등 시약 및 재료는 Sigma, Merck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 기타 측정기기는 대한민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
지구자 (3.5kg), 갈근 ( 0.8kg), 갈화 (0.7kg), 단삼 (0.5kg), 감초 (0.1kg), 영지 (0.1kg)을 세척한 후 정제수 150L를 가하여 100℃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하여 진공 농축기를 사용하여 감압 농축하여 12.6g의 분말 추출물을 얻었다.
그 후 상기 분말 4.2g에 산화아연 (1500g), 꿀 (100g), 설탕 (50g)과 과당 (200g)을 정제수 10L에 용해하여 100회 분을 얻었다.
상기 얻어진 혼합액을 필터하여 고온순간 살균기를 통과하여 95℃에서 30초간 살균하였다. 비타민 B1 (150g)은 별도로 필터하여 살균 처리하였다. 이것들를 용기에 충전한 후 밀봉하여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숙취 해소 평가
무작위로 선정한 건강한 20대 성인 남녀 18명을 대상으로 일반적으로 음용되는 알코올 농도 18%인 소주 180ml를 섭취하고 30분 후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120ml 섭취하게 하였다.
섭취 후 30분 경과 후부터 4시간 동안 호기 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였다.
공시험군은 음주 후 물, 120ml를 대조군은 CJ 컨디션® 1회량을 섭취하게 한 후 30분부터 4시간 동안 호기 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 및 도 2에 도시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용 음료는 음용 2 시간 후부터 알코올 성분이 거의 분해되어, 알코올 성분이 거의 측정되지 않을 정도로 숙취 현상이 완전히 회복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컨디션을 복용한 경우 대비, 본 발명의 조성물을 복용한 경우, 알코올 농도의 소실 속도가 2배 이상 빠르게 나타나, 숙취 해소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4시간 동안의 시험 종료 후 실험군에 대해 다음 날 오전 6시에 기상하도록 하여, 밤새 숙취 해소 여부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상기 섭취 후 4시간 경과시보다는 대부분의 실험군에서 일반적인 숙취 관련 증상인 두통, 졸림, 집중력저하, 기억장애, 식욕감퇴 등의 증상이 완화되어 숙취가 해소된 것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숙취가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현훈, 구역, 복통, 설사 및 신경과민 증상에 대해서는 공시험군 및 대조군 대비 현저히 우수한 회복 효과를 보여, 소화기 계통의 안정에 보다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새롭게 확인하였다.
[제형예 1] 음료 제형으로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80 mg, 비타민 E 9 mg, 비타민 C 9 mg, 구연산 0.6 g, 및 액상 올리고당 25 g을 혼합한 후, 정제수 300 mL을 첨가하여 각 병에 200 mL씩 되도록 충진한 후 130 ℃에서 3초 살균하여 숙취 해소용 음료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2] 초컬릿 제형으로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5 g, 설탕 34.5 g, 코코아 버터 34 g, 코코아 매스 15 g, 코코아 파우더 15 g, 레시틴 0.5 g, 바닐라향 0.5 g을 이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숙취 해소용 초컬릿을 제조하였다.

Claims (18)

  1. 지구자, 감초, 갈화 및 갈근을 포함하는 제 1 혼합물을 용매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
    상기 추출물의 건조 분말, 산화아연(zinc oxide) 및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당 화합물, 이의 유도체 또는 그 염의 제 2 혼합물을 용해하여 아연-당 복합체 용액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pat00012

    [화학식 2]
    Figure pat00013

    상기 R1 내지 R5 및 R7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7)알킬이고;
    상기 R6은 수소, 히드록시, 히드록시(C1-C7)알킬 또는 (C1-C7)알콕시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혼합물은 상기 지구자 100 중량부에 대해 갈근 1 내지 50 중량부, 갈화 1 내지 50 중량부 및 감초 1 내지 10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 추출 시의 용매는 물 또는 (C1-C4) 탄소수의 저가알코올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 추출 시, 70 내지 200 ℃에서 1 내지 20 시간 추출하는 것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혼합물은 상기 건조 분말 1 중량부에 대해 산화아연 100 내지 500 중량부 및 상기 당 화합물 10 내지 100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1 내지 R5 및 R7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3)알킬이고;
    상기 R6은 수소, 히드록시, 히드록시(C1-C3)알킬 또는 (C1-C3)알콕시;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1 내지 R5 및 R7 내지 R10은 수소이고,
    상기 R6은 수소, 히드록시 또는 -(CH)2-OH;인 숙취해소용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은 포도당, 과당 또는 갈락토스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혼합물은 단삼, 영지 또는 그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혼합물은 비타민 B1을 더 포함하는 것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혼합물 및 비타민 B1은 각각 살균 후 혼합되는 것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당 화합물, 이의 유도체 또는 그 염;
    산화 아연(zinc oxide); 및
    지구자, 감초, 갈화 및 갈근의 혼합 추출물;
    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14

    [화학식 2]
    Figure pat00015

    상기 R1 내지 R5 및 R7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7)알킬이고;
    상기 R6은 수소, 히드록시, 히드록시(C1-C7)알킬 또는 (C1-C7)알콕시이다.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R1 내지 R5 및 R7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3)알킬이고;
    상기 R6은 수소, 히드록시, 히드록시(C1-C3)알킬 또는 (C1-C3)알콕시;인 숙취해소용 조성물.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R1 내지 R5 및 R7 내지 R10은 수소이고,
    상기 R6은 수소, 히드록시 또는 -(CH)2-OH;인 숙취해소용 조성물.
  15. 제 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성 음료.
  16. 제 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성 초컬릿.
  17. 제 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의약품.
  18. 제 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KR1020200009599A 2019-02-01 2020-01-28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9613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11991A JP2020124191A (ja) 2019-02-01 2020-01-28 二日酔い解消用の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2010078461.6A CN111514197A (zh) 2019-02-01 2020-02-03 解酒组合物及其制备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952 2019-02-01
KR20190013952 2019-02-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6139A true KR20200096139A (ko) 2020-08-11

Family

ID=72048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599A KR20200096139A (ko) 2019-02-01 2020-01-28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0124191A (ko)
KR (1) KR2020009613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9767A (ko) 1999-08-30 2001-03-15 송병식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534550B1 (ko) 2013-11-15 2015-07-09 농업회사법인황칠다담주식회사 황칠나무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9767A (ko) 1999-08-30 2001-03-15 송병식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534550B1 (ko) 2013-11-15 2015-07-09 농업회사법인황칠다담주식회사 황칠나무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24191A (ja) 202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146B1 (ko)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US7371416B2 (en) Method for preparing processed ginseng to obtain increased amount of ginsenoside RG5
KR101007088B1 (ko) 생약 및 자생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산 산화 촉진용조성물
KR20160081205A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137136B1 (ko) 호박 가수분해 추출물, 구약감자 가수분해 추출물, 강황 추출물 및 카카오닙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651082B1 (ko) 갈근엑스 발효물을 함유한 간손상 보호용 조성물
KR20160099963A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EP3205346B1 (en) Composition for hair loss prevention or hair growth stimulation comprising scutellaria alpina extract
CN102186488A (zh) 含有齿裂黄鹌菜提取物,其级分或由其分离的化合物作为有效成分的肝功能改善用药物组合物及肝功能改善用健康功能食品组合物
KR102099147B1 (ko) 어수리 지하부 및 사상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47594A (ko) 하이드란제놀 또는 필로둘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장벽 강화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20210002378A (ko) 송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100527109B1 (ko) 부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통풍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795261B1 (ko) 구기자를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한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96139A (ko)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24313B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40080289A (ko) 산화적 뇌손상 및 뇌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2366B1 (ko) 아슈와간다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00008220A (ko) 버섯 및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암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CN111514197A (zh) 解酒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496864B1 (ko) 갯대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040004764A (ko) 간독성에 대한 보호 활성을 갖는 가시오가피 추출물 또는이로부터 부탄올로 분획한 분획층과 부탄올분획층에서분리한 시린진과시린가레시놀-디-오-베타-굴루코피라노사이드을 함유하는항산화작용과 간독성 보호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20150027890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갑상선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32060B1 (ko) 발아 흑미 및 발효 돼지감자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용 조성물
KR100831092B1 (ko) 노박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