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4615A - 줄자용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줄자용 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4615A
KR20200094615A KR1020190128965A KR20190128965A KR20200094615A KR 20200094615 A KR20200094615 A KR 20200094615A KR 1020190128965 A KR1020190128965 A KR 1020190128965A KR 20190128965 A KR20190128965 A KR 20190128965A KR 20200094615 A KR20200094615 A KR 20200094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curvature
width direction
tape measur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8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상 호 최
Original Assignee
상 호 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 호 최 filed Critical 상 호 최
Priority to PCT/KR2020/00070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159114A1/ko
Publication of KR20200094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46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03Measuring tape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characterised by layout or indici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2003/1058Manufacturing or assembling metho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ape Mea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꺽임 유도용 홈부로 인하여 블레이드의 자중에 의하여 블레이드가 폭방향으로 꺽이도록 유도하여 블레이드의 직립 가능 길이를 늘리거나 혹은 블레이드가 보빈에 감길 때 꺽임 유도용 홈부로 인하여 블레이드가 보다 쉽게 평평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줄자용 블레이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줄자용 블레이드{Blade for tape measure}
본 발명은, 일단이 줄자의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으며 타단이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보빈에 권취되기 위한 줄자의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줄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6) 내부에 스프링(8)과 연동하여 회전 가능한 보빈(3)이 구비되고, 일단이 하우징(6) 외부로 인출 가능하며 타단이 보빈(3)에 권취되는 블레이드(1)를 구비한다.
또한 사용자는 길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블레이드(1)의 일단을 외부로 인출하며, 길이 측정 작업을 완료하면 스프링(8)에 의하여 블레이드(1)가 보빈(3)에 감기면서 하우징(6) 내부로 복귀한다.
한편 종래의 일반적인 블레이드(1)의 단면 구조는 도 2와 같다.
통상의 블레이드(1)는 도 2와 같이 볼록한 하면과 오목한 상면을 가지면서 휘어진 형태(concave-convex curvature)의 횡단면 구조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띠 형태이다.
이와 같이 휘어진 횡단면 구조는 블레이드(1)를 인출하였을 때 블레이드 자체의 무게에 의하여 블레이드(1)가 길이방향으로 꺽여지는 것을 방지하며 아울러 블레이드(1)가 보빈(3)에 감길 때는 평평하게 펴지면서 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줄자에 있어서, 블레이드가 길이방향으로 꺽여지지 않으면서 인출될 수 있는 길이, 즉 직립 가능 길이(standout length)는 매우 중요하다. 직립 가능 길이가 길면 길수록 사용자의 길이 측정 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한편 직립 가능 길이를 연장하기 위하여 도 3과 같은 횡단면 구조의 블레이드가 제안되기도 한다.
도 3은 제1곡률반경(R1)을 가진 폭방향 중앙의 제1곡률부(1a)와, 제1곡률반경보다 긴 제2곡률반경(R2)을 가지며 제1곡률부(1a)의 폭방향 양측에 형성된 제2곡률부(1b)를 가진 블레이드(1)의 단면도이다.
도 3의 종래 기술은 미국 특허 등록 US 6,324,769 "RULE ASSEMBLY WITH INCREASED BLADE STANDOUT"(2001. 12. 4. 등록)에 제시된 것이다.
도 3과 같은 횡단면 구조는 블레이드의 직립 가능 길이를 늘린다는 장점이 있지만, 블레이드가 보빈에 감길 때 매우 강한 강성을 가진 제1곡률부(1a)로 인하여 블레이드가 평평하게 펴지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블레이드가 보빈에 감길 때 평평하게 펴지지 않는다면 줄자의 하우징이 대형화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미국 특허 등록 US 6,324,769 "RULE ASSEMBLY WITH INCREASED BLADE STANDOUT"(2001. 12. 4.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블레이드의 직립 가능 길이를 늘리거나 블레이드가 보빈에 감길 때 블레이드가 보다 쉽게 평평하게 펴질 수 있는 구조의 줄자용 블레이드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띠 형태의 줄자용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상면 또는 하면에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꺽임 유도용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꺽임 유도용 홈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폭방향 일측 및 폭방향 타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제1곡률반경을 가진 폭방향 중앙의 제1곡률부와 상기 제1곡률반경보다 긴 제2곡률반경을 가지면서 상기 제1곡률부의 폭방향 양측에 형성된 제2곡률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꺽임 유도용 홈부는 상기 제1곡률부와 상기 제2곡률부의 경계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제1곡률반경을 가진 폭방향 중앙의 제1곡률부와 상기 제1곡률반경보다 긴 제2곡률반경을 가지면서 상기 제1곡률부의 폭방향 양측에 형성된 제2곡률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꺽임 유도용 홈부는 상기 제1곡률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꺽임 유도용 홈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방향 전체 또는 길이방향 일부에 형성되되, 상기 꺽임 유도용 홈부의 길이는 적어도 2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꺽임 유도용 홈부로 인하여 블레이드의 자체 하중에 의하여 블레이드가 폭방향으로 꺽이도록 유도하여 블레이드의 직립 가능 길이를 늘리거나 혹은 블레이드가 보빈에 감길 때 꺽임 유도용 홈부로 인하여 블레이드가 보다 쉽게 평평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줄자용 블레이드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의 줄자의 개념도,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줄자용 블레이드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블레이드의 횡단면도,
도 5는 도 4의 부분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4의 변형된 형태,
도 8은 도 7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에 의한 블레이드의 횡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는 본 발명에 의한 제3실시예에 의한 블레이드의 횡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제4실시예에 의한 블레이드의 횡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블레이드의 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블레이드(100)의 하면에 복수의 꺽임 유도용 홈부(101)가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블레이드(100)의 상면에 꺽임 유도용 홈부가 형성될 수도 있지만, 블레이드(100)의 상면에는 눈금이 인쇄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블레이드(100)의 하면에 복수의 꺽임 유도용 홈부(10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레이드(100)는 하나의 곡률반경(R1)을 가진 하나의 곡률부를 구비하고 있다.
꺽임 유도용 홈부(101)는 블레이드(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형성된다.
아울러 꺽임 유도용 홈부(101)는 복수개, 구체적으로는 2개가 마련되며, 블레이드(100)의 폭방향 일측 및 폭방향 타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꺽임 유도용 홈부(101)는, 일정한 폭으로 절단된 얇은 금속 판재를 압연 롤러를 통과하도록 하여 형성할 수 있다. 혹은 연마 또는 레이저 가공 등의 방법으로 꺽임 유도용 홈부(101)를 형성할 수도 있다.
금속 판재에 꺽임 유도용 홈부(101)를 형성한 후, 금속 판재에 열을 가한 다음 냉각 다이스를 통과하면서 볼록한 하면과 오목한 상면을 가지면서 휘어진 형태(concave-convex curvature)의 횡단면 구조가 형성되며, 이후 금속 판재의 상면에 눈금을 인쇄하면 본 블레이드(100)가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레이드 제조 방법은 종래에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도 4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줄자의 하우징에서 블레이드(100)가 길게 인출되면 블레이드(100) 자체의 하중에 의하여 도 6과 같이 꺽임 유도용 홈부(101)를 기준으로 블레이드(100)가 폭방향으로 꺽이게 되며 이에 의하여 블레이드(100)는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제1곡률반경(R1)을 가진 폭방향 중앙의 제1만곡부(110)와, 제1만곡보(110)의 폭방향 양측에서 꺽임 유도용 홈부(101)에 의하여 폭방향으로 꺽인 제2만곡부(130)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블레이드(100)는 블레이드의 자중으로 인하여 폭방향으로 꺽인 구조를 가지게 되며, 이와 같이 폭방향으로 꺽인 구조는 블레이드가 길이방향으로 꺽이는 것에 대하여 강한 저항력을 발휘하며, 이로 인하여 종래의 블레이드에 비하여 보다 긴 직립 가능 길이를 가지게 된다.
도 7은 도 4의 변형된 형태이며, 도 8은 도 7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서는 블레이드(100)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2개씩의 꺽임 유도용 홈부(101, 102)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7은 꺽임 유도용 홈부(101)가 꺽이면서 도 8과 같이 3개의 만곡부(110, 120, 130)를 가질 수 있다.
즉 블레이드(100)는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제1곡률반경(R1)을 가진 폭방향 중앙의 제1만곡부(110)와, 제1만곡부(110)의 폭방향 양측에서 꺽임 유도용 홈부(101)에 의하여 폭방향으로 꺽인 제2만곡부(120)와, 제2만곡부(120)의 폭방향 양측에서 꺽임 유도용 홈부(102)에 의하여 폭방향으로 꺽인 제3만곡부(130)를 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블레이드(100)에 형성되는 꺽임 유도용 홈부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꺽임 유도용 홈부는 오직 1개가 마련될 수도 있으며, 혹은 6개, 8개 등이 마련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에 의한 블레이드의 횡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블레이드(200)는, 제1곡률반경(R1)을 가진 폭방향 중앙의 제1곡률부(210)와, 제1곡률반경(R1)보다 긴 제2곡률반경(R2)을 가지면서 제1곡률부(210)의 폭방향 양측에 형성된 제2곡률부(220)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꺽임 유도용 홈부(201)는 제1곡률부(210)와 제2곡률부(220)의 경계를 따라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는 블레이드(200)가 인출되면 도 10과 같이 블레이드(200)의 자중으로 인하여 꺽임 유도용 홈부(101)에서 제2곡률부(220)가 제1곡률부(210)에 대하여 폭방향으로 꺽이게 되며, 이와 같이 폭방향으로 꺽인 구조는 블레이드가 길이방향으로 꺽이는 것에 대하여 강한 저항력을 발휘하며, 이로 인하여 종래의 블레이드에 비하여 보다 긴 직립 가능 길이를 가지게 된다.
도 11는 본 발명에 의한 제3실시예에 의한 블레이드의 횡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블레이드(300)는, 제1곡률반경(R1)을 가진 폭방향 중앙의 제1곡률부(310)와, 제1곡률반경(R1)보다 긴 제2곡률반경(R2)을 가지면서 제1곡률부(310)의 폭방향 양측에 형성된 제2곡률부(320)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꺽임 유도용 홈부(301)은 제1곡률부(310)의 하면에 복수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는 블레이드(300)가 인출되면서 도 12와 같이 블레이드(200)의 자중으로 인하여 제1곡률부(310)가 복수의 꺽임 유도용 홈부(101)에서 폭방향으로 꺽이면서 제1곡률부(310)가 복수의 제1만곡부(311)로 변환되어 보다 긴 직립 가능 길이를 가지게 된다.
도 12의 구조는 블레이드의 자중에 의하여 발생할 수도 있지만, 도 12의 구조는 블레이드가 보빈에 감기면서 외력에 의하여 발생할 수도 있다.
즉 블레이드(300)가 보빈에 감길 때 외력에 의하여 블레이드(300)는 도 12와 같이 비교적 평탄한 구조로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300)가 감기는 보빈 및 하우징 등이 비교적 소형화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제4실시예에 의한 블레이드의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블레이드(400)는, 제1곡률반경(R1)을 가진 폭방향 중앙의 제1곡률부(410)와, 제1곡률반경(R1)보다 긴 제2곡률반경(R2)을 가지면서 제1곡률부(410)의 폭방향 양측에 형성된 제2곡률부(420)로 이루어진다.
제1곡률부(410)의 하면에 복수의 꺽임 유도용 홈부(401)가 형성된다.
또한 제1곡률부(210)와 제2곡률부(220)의 경계를 따라 꺽임 유도용 홈부(402)가 형성된다.
즉 제4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를 복합한 형태이다.
한편 상기 실시예들은 꺽임 유도용 홈부가 블레이드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꺽임 유도용 홈부는 블레이드의 길이방향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꺽임 유도용 홈부의 길이는 적어도 2m 이상이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꺽임 유도용 홈부의 길이는 2m 이상 4m 이하일 수 있다.
가령 5m 길이의 줄자에 있어서,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는 블레이드의 일단부터 대략 3m~4m 정도로 꺽임 유도용 홈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꺽임 유도용 홈부보다 다소 작은 길이의 직립 가능 길이를 구현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200, 300, 400 : 블레이드
101, 102, 201, 301, 401, 402 : 꺽임 유도용 홈부

Claims (5)

  1.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띠 형태의 줄자용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상면 또는 하면에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꺽임 유도용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용 블레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꺽임 유도용 홈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폭방향 일측 및 폭방향 타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용 블레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제1곡률반경을 가진 폭방향 중앙의 제1곡률부와 상기 제1곡률반경보다 긴 제2곡률반경을 가지면서 상기 제1곡률부의 폭방향 양측에 형성된 제2곡률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꺽임 유도용 홈부는 상기 제1곡률부와 상기 제2곡률부의 경계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용 블레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제1곡률반경을 가진 폭방향 중앙의 제1곡률부와 상기 제1곡률반경보다 긴 제2곡률반경을 가지면서 상기 제1곡률부의 폭방향 양측에 형성된 제2곡률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꺽임 유도용 홈부는 상기 제1곡률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용 블레이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꺽임 유도용 홈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방향 전체 또는 길이방향 일부에 형성되되, 상기 꺽임 유도용 홈부의 길이는 적어도 2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용 블레이드.
KR1020190128965A 2019-01-30 2019-10-17 줄자용 블레이드 KR202000946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0708 WO2020159114A1 (ko) 2019-01-30 2020-01-15 줄자용 블레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12935 2019-01-30
KR1020190012935 2019-0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4615A true KR20200094615A (ko) 2020-08-07

Family

ID=72049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8965A KR20200094615A (ko) 2019-01-30 2019-10-17 줄자용 블레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4615A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 특허 등록 US 6,324,769 "RULE ASSEMBLY WITH INCREASED BLADE STANDOUT"(2001. 12. 4. 등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94816A1 (en) Flexibly bended boot for optical fiber connector
JP6579729B2 (ja) コイル及びコイルの製造方法
WO2014100408A1 (en) Stud assembly
JP6640898B2 (ja) 電磁機器
KR20200094615A (ko) 줄자용 블레이드
JP2017132297A (ja) タイヤ
JP2017132386A (ja) タイヤ
JP5843585B2 (ja) 釣り竿
JP2016084044A (ja) 空気入りタイヤ
US2193158A (en) Ribbon spool
JP4542168B2 (ja) 綜絖及びその製造方法
US2226825A (en) Film reel
JP2015171730A (ja) 特に編み機またはメリヤス織機用の糸接触要素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糸接触要素
JP2009195986A (ja) 円筒軸
US9697939B2 (en) Superconductive coil device
CN210379237U (zh) 抗弯折的极耳及包括该极耳的极片结构
JP6080454B2 (ja) 伸縮ブーム
US20210012912A1 (en) Fast-neutron reactor fuel rod
JP2013054947A (ja) カバー
US877398A (en) Sheet-metal spool.
JP2016038003A (ja) サイレントチェーン
US896672A (en) Horn.
JP2019213335A (ja) プロテクタ
JP6413941B2 (ja) ケーブル
JP2018139496A (ja) コイル及びコイ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