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4536A -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4536A
KR20200094536A KR1020190012138A KR20190012138A KR20200094536A KR 20200094536 A KR20200094536 A KR 20200094536A KR 1020190012138 A KR1020190012138 A KR 1020190012138A KR 20190012138 A KR20190012138 A KR 20190012138A KR 20200094536 A KR20200094536 A KR 20200094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e electrode
cross
sectional shape
electric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평안
김보현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2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4536A/ko
Publication of KR20200094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45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23H7/08Wire electrodes
    • B23H7/10Supporting, winding or electrical connection of wire-electrode
    • B23H7/105Wire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23H7/08Wire electrodes
    • B23H7/10Supporting, winding or electrical connection of wire-electrode
    • B23H7/104Wire tension contro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는 와이어 전극을 이용하여 가공 대상물을 방전 가공하는 방전 가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전극을 공급하는 와이어 공급부, 회전 가능한 한 쌍의 롤러로 구현되며, 상기 와이어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와이어 전극이 상기 롤러 사이를 통과함에 따라 상기 와이어 전극의 단면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는 와이어 성형부, 및 상기 와이어 성형부에 의해 단면 형상이 변형된 상기 와이어 전극을 가이드하는 와이어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WIRE ELECTRIC DISCHARGE DEVICE}
본 발명은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의 단면 형상을 다양하게 성형시킬 수 있는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 방전 가공이란 가느다란 와이어를 전극으로 이용하여 와이어가 늘어짐이 없는 상태로 감아가면서 공작물과 와이어 사이를 방전시켜 가공하는 방법이다.
즉, 공구(전극)와 재료(전극)에 전원을 인가한 상태에서 두 전극이 충분히 가까워지면 스파크가 발생하며 재료의 일부가 제거됨으로써 가공이 수행된다.
와이어 방전 가공은 전기를 이용한 가공 방법으로서, 전도성 재료에 대한 가공이 가능하며 재료의 단단함에 관계없이 가공 가능하다. 또한, 새로운 와이어가 지속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공구 전극이 소모되는 문제가 없다.
그러나, 기존의 와이어 방전 가공 기술은 원형의 상용 와이어 전극을 이용하는 것으로, 와이어의 단면이 원형이기 때문에 재료의 모서리를 날카롭게 가공하기 어렵고 형상 정밀도의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재료의 다양한 가공 형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방전 가공에 사용되는 와이어의 형상을 변형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12705호(발명의 명칭: 와이어 방전 가공기 및 와이어 방전 가공 방법, 공개일자: 2018년 2월 6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순한 구조를 가지는 한 쌍의 롤러를 이용하여 와이어 전극의 단면 형상을 변형시킴으로써 가공 대상물의 정교한 가공을 수행하기 위한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는 와이어 전극을 이용하여 가공 대상물을 방전 가공하는 방전 가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전극을 공급하는 와이어 공급부, 회전 가능한 한 쌍의 롤러로 구현되며, 상기 와이어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와이어 전극이 상기 롤러 사이를 통과함에 따라 상기 와이어 전극의 단면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는 와이어 성형부, 및 상기 와이어 성형부에 의해 단면 형상이 변형된 상기 와이어 전극을 가이드하는 와이어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는 상기 와이어 전극 및 상기 가공 대상물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압 인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와이어 성형부에는 둘레면을 따라 소정 크기로 요입 형성되는 제1 요홈이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 전극이 상기 제1 요홈을 통과하되, 상기 제1 요홈이 가지는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상기 와이어 전극의 단면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요홈은 상기 한 쌍의 롤러가 맞닿는 접촉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롤러의 접촉에 따라 상기 제1 요홈이 가지는 단면 형상은 다각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에는 둘레면을 따라 소정 크기로 요입 형성되는 제2 요홈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요홈이 가지는 단면 형상은 상기 와이어 전극의 변형된 단면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는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 되는 상기 와이어 전극의 주행 방향을 향해 수직 이동 또는 수평 이동하는 회전 지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전 지그의 일측에는 상기 가공 대상물이 결합되며, 상기 회전 지그가 이동함에 따라, 단면 형상이 변형된 상기 와이어 전극 및 상기 가공 대상물이 접촉함으로써 방전 가공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는 상기 와이어 전극의 장력값을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장력값이 기설정된 값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장력 제어부, 및 상기 와이어 전극의 단선 여부를 검출하는 단락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순한 구조를 가지는 한 쌍의 롤러를 이용하여 와이어 전극의 단면 형상을 변형시킴으로써 가공 대상물에 대하여 목적에 맞는 정교하고 다양한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와이어 성형부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전극을 사용한 경우에 가공 대상물이 방전 가공되는 다양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다.
도 6a는 종래의 와이어 전극을 사용한 경우에 가공 대상물이 방전 가공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전극을 사용한 경우에 가공 대상물이 방전 가공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와이어 성형부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는 소정의 가공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하며 와이어 전극을 이용하여 가공 대상물을 방전 가공하는 WEDG(wire electric discharge grinding)이 적용된 방전 가공 장치이다.
즉, 본 발명의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는 와이어 전극과 가공 대상물 사이에 발생되는 방전에 의해 가공 대상물의 방전 가공을 실시하는 공작 기계에 해당한다.
상기 와이어 전극의 재질은 텅스텐계, 구리 합금계, 황동계 등을 포함하는 금속재료일 수 있고, 상기 가공 대상물의 재질은 철계 재료 또는 초경 재료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1)는 와이어 공급부(100), 와이어 성형부(200), 와이어 가이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공급부(100)는 상기 와이어 전극(10)을 공급하는 부재로서 상기 와이어 전극(10)이 권취될 수 있는 롤러 또는 릴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 성형부(200)는 회전 가능한 한 쌍의 롤러로 구현되며, 상기 와이어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된 와이어 전극(10)이 롤러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롤러는 둘레의 일부가 접촉된 상태에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 공급부(100)로부터 송출된 와이어 전극(10)은 회전하는 롤러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성형부(200)는 상기 와이어 전극(10)이 상기 롤러 사이를 통과함에 따라 상기 와이어 전극(10)의 단면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와이어 성형부(200)에는 둘레면을 따라 소정 크기로 요입 형성되는 제1 요홈(2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요홈(210)은 상기 와이어 성형부(200)에 해당하는 한 쌍의 롤러 외측면을 따라 패여질 수 있으며, 롤러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요홈(210)은 상기 한 쌍의 롤러가 맞닿는 접촉면(P)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각 롤러에 구비된 상기 제1 요홈(210)이 하나의 개구된 통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각 롤러의 접촉에 따라 상기 제1 요홈(210)이 가지는 단면 형상은 다각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단면 형상은 사각 형상, 삼각 형상, 육각 형상, 마름모 형상, 스타 형상 및 다이아몬드 형상을 포함하는 다각 형상, 하트 형상 및 물방울 형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된 와이어 전극(10)은 전술한 구조를 가지는 상기 제1 요홈(210)을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요홈(210)이 가지는 홈의 단면 형상에 의해 상기 와이어 전극(10)의 단면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종래의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와이어 전극(10)이 다각 형상을 가지는 와이어 성형부(200) 즉, 한 쌍의 회전 롤러 사이에 구비된 제1 요홈(210)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와이어 전극(10)의 단면 형상은 홈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다.
일 실시예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와이어 전극이 사각 단면 형상을 가지는 와이어 성형부(200)의 제1 요홈(210)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와이어 전극(10)의 단면 형상은 사각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와이어 전극이 육각 단면 형상을 가지는 와이어 성형부(200)의 제1 요홈(210)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와이어 전극(10)의 단면 형상은 육각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와이어 전극이 삼각 단면 형상을 가지는 와이어 성형부(200)의 제1 요홈(210)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와이어 전극(10)의 단면 형상은 삼각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1 요홈(210)의 너비 또는 높이는 상기 와이어 전극(1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 전극(10)은 상기 제1 요홈(210)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와이어 성형부(200)는 와이어 공급부(10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와이어 공급부(100)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300)는 상기 와이어 성형부(200)에 의해 단면 형상이 변형된 상기 와이어 전극(10)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300)는 롤러 또는 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 전극(10)을 소정의 장력으로 끌어당길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300)는 둘레면을 따라 소정 크기로 요입 형성되는 제2 요홈(310)이 구비될 수 있다.
단면 형상이 변형된 상기 와이어 전극(10)은 상기 제2 요홈(310)을 따라 가이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요홈(310)이 가지는 단면 형상은 상기 와이어 전극(10)의 변형된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 상기 와이어 전극(10)이 상기 와이어 성형부(200)에 의해 사각 단면 형상으로 변형된 경우, 상기 제2 요홈(310)의 단면 형상은 도 2a에 도시된 상기 제1 요홈(210)의 사각 단면 형상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와이어 전극(10)이 상기 와이어 성형부(200)에 의해 육각 단면 형상으로 변형된 경우, 상기 제2 요홈(310)의 단면 형상은 도 2b에 도시된 상기 제1 요홈(210)의 육각 단면 형상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와이어 전극(10)이 상기 와이어 성형부(200)에 의해 삼각 단면 형상으로 변형된 경우, 상기 제2 요홈(310)의 단면 형상은 도 2c에 도시된 상기 제1 요홈(210)의 삼각 단면 형상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전극을 사용한 경우에 가공 대상물이 방전 가공되는 다양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는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300)에 의해 가이드 되는 상기 와이어 전극(10)의 주행 방향(W)을 향해 수직 이동 또는 수평 이동하는 회전 지그(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지그(500)는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30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300)와 별도로 연결된 스틱 형태의 이동 바아(미도시)에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지그(500)는 자체 회전하면서 도면을 기준으로 상하 이동하거나 좌우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지그(500)의 일측에는 상기 가공 대상물(20)이 결합될 수 있으며, 도면을 기준으로 지그(5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회전 지그(500)가 상기 와이어 전극(10)의 주행 방향을 향해 수직 이동 또는 수평 이동함에 따라, 단면 형상이 변형된 상기 와이어 전극(10) 및 상기 지그(500)의 일측에 결합된 상기 가공 대상물(20)이 접촉함으로써 방전 가공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와이어 성형부(200)에 의해 단면 형상이 변형된 상기 와이어 전극(10)이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300)의 상기 제2 요홈(310)을 따라 가이드 될 때, 상기 와이어 전극(10)과 상기 가공 대상물(20)이 맞닿으면서 방전 가공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 전극(10) 및 상기 가공 대상물(20)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압 인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압 인가부(400)는 상기 와이어 전극(10)과 상기 가공 대상물(20) 사이에 형성되는 극간에 전압을 인가하여 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방전 가공을 위해 상기 와이어 전극(10) 및 상기 가공 대상물(20)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구성은 일반적인 구성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구조에 의해, 상기 회전 지그(500)와 결합된 상기 가공 대상물(20)의 모서리 부분이 다양한 형상으로 정밀 가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성형부(200)에 의해 사각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변형된 상기 와이어 전극(10)과 상기 가공 대상물(20)이 접촉하는 경우, 상기 가공 대상물(20)의 모서리 부분은 사각 형상으로 정밀 가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성형부(200)에 의해 육각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변형된 상기 와이어 전극(10)과 상기 가공 대상물(20)이 접촉하는 경우, 상기 가공 대상물(20)의 모서리 부분은 육각 형상으로 정밀 가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종래의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와이어 전극(10)이 상기 와이어 성형부(200)에 의해 원의 곡률을 달리하여 변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원형 단면 형상과 곡률이 다른 형상을 가지도록 변형된 상기 와이어 전극(10)과 상기 가공 대상물(20)이 접촉하여 상기 가공 대상물(20)의 모서리 부분은 곡률이 다른 원 형상으로 정밀 가공될 수 있다.
참고로, 도 4a, 도 4b, 도 4d는 상기 회전 지그(500)가 상기 와이어 전극(10)의 주행 방향을 향해 수직 이동하는 경우이고, 도 4c는 상기 회전 지그(500)가 상기 와이어 전극(10)의 주행 방향을 향해 수평 이동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와이어 공급부(100), 상기 와이어 성형부(200),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300) 및 상기 전압 인가부(400) 등의 구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상기 와이어 전극(10)과 상기 가공 대상물(20) 간의 방전 가공이 제대로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제어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600)는 장력 제어부 및 단락 제어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력 제어부는 상기 와이어 전극(10)의 장력값을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장력값이 기설정된 값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전극(10)은 느슨해지지 않도록 소정 임계치의 장력값을 가지며 팽팽한 상태를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기 장력 제어부는 상기 와이어 전극(10)의 장력값을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락 제어부는 상기 와이어 전극(10)의 단선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단락 제어부는 상기 단선 여부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고, 도 6a는 종래의 와이어 전극을 사용한 경우에 가공 대상물이 방전 가공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전극을 사용한 경우에 가공 대상물이 방전 가공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1)는 와이어 공급부(100), 와이어 성형부(200), 와이어 가이드부(300), 전압 인가부(400) 및 제어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공급부(100), 와이어 성형부(200), 전압 인가부(400) 및 제어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공급부(100), 와이어 성형부(200), 전압 인가부(400) 및 제어부와 기능이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와이어 가이드부(300) 및 가공 대상물(20)에 대한 가공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300)는 상기 와이어 성형부(200)에 의해 단면 형상이 변형된 상기 와이어 전극(10)의 상하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 전극(10)은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300)의 제2 요홈(310)을 따라 이동하면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지그(500) 대신에 상기 와이어 전극(10)이 이동하면서 상기 가공 대상물(20)에 대한 방전 가공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300) 사이에서 이동하는 상기 와이어 전극(10)이 상기 가공 대상물(20)과 맞닿으며 관통함에 따라 방전 가공이 실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가공 대상물(2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지며 방전 가공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에는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와이어 전극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상기 가공 대상물(20)의 절단 부위가 둥글게만 표현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성형부(200)에 의해 상기 와이어 전극(10)이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가공 대상물(20)의 절단 부위가 날카롭거나 이외의 다양한 형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가공 대상물(2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가공 대상물(20)의 일부를 지지하는 받침대 또는 테이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외에 다양한 고정수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
10 : 와이어 전극
20 : 가공 대상물
100 : 와이어 공급부
200 : 와이어 성형부
210 : 제1 요홈
300 : 와이어 가이드부
310 : 제2 요홈
400 : 전압 인가부
500 : 회전 지그
600 : 제어부
P : 접촉면
W : 와이어 전극의 주행 방향

Claims (9)

  1. 와이어 전극을 이용하여 가공 대상물을 방전 가공하는 방전 가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전극을 공급하는 와이어 공급부;
    회전 가능한 한 쌍의 롤러로 구현되며, 상기 와이어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와이어 전극이 상기 롤러 사이를 통과함에 따라 상기 와이어 전극의 단면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는 와이어 성형부; 및
    상기 와이어 성형부에 의해 단면 형상이 변형된 상기 와이어 전극을 가이드하는 와이어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전극 및 상기 가공 대상물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압 인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성형부에는 둘레면을 따라 소정 크기로 요입 형성되는 제1 요홈이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 전극이 상기 제1 요홈을 통과하되, 상기 제1 요홈이 가지는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상기 와이어 전극의 단면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홈은 상기 한 쌍의 롤러가 맞닿는 접촉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접촉에 따라 상기 제1 요홈이 가지는 단면 형상은 다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에는 둘레면을 따라 소정 크기로 요입 형성되는 제2 요홈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요홈이 가지는 단면 형상은 상기 와이어 전극의 변형된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 되는 상기 와이어 전극의 주행 방향을 향해 수직 이동 또는 수평 이동하는 회전 지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그의 일측에는 상기 가공 대상물이 결합되며,
    상기 회전 지그가 이동함에 따라, 단면 형상이 변형된 상기 와이어 전극 및 상기 가공 대상물이 접촉함으로써 방전 가공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전극의 장력값을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장력값이 기설정된 값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장력 제어부; 및
    상기 와이어 전극의 단선 여부를 검출하는 단락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
KR1020190012138A 2019-01-30 2019-01-30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 KR202000945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138A KR20200094536A (ko) 2019-01-30 2019-01-30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138A KR20200094536A (ko) 2019-01-30 2019-01-30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4536A true KR20200094536A (ko) 2020-08-07

Family

ID=72049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138A KR20200094536A (ko) 2019-01-30 2019-01-30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453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260151A (ja) ワイヤ放電加工装置及び放電加工方法
US6847002B1 (en) Microelectrode machining device
KR20200094536A (ko)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
KR20070104676A (ko) 전해가공 방법 및 시스템
JPH0592320A (ja) ワイヤ放電加工装置
US10960479B2 (en) Wire guide device of wire electrical discharge machine and wire electrical discharge machine
JPH0125654B2 (ko)
JP2010105051A (ja) 形彫放電加工方法および形彫放電加工装置
CN206912416U (zh) 一种应用于电火花加工的设备
JPS6034219A (ja) 通電加工装置
KR102224168B1 (ko) 와이어커팅기용 가이드 및 이를 이용한 피가공물 가공방법
JP6558542B2 (ja) 放電加工方法
JP6558538B2 (ja) ワイヤーの接続方法
JP3873460B2 (ja) ワイヤ放電加工装置
JPH0985538A (ja) 放電加工装置及び放電加工方法
JPH0457449B2 (ko)
JPH0248121A (ja) ワイヤ放電加工機の通電装置
KR101439545B1 (ko) 와이어 자동 결선장치
JPS63306829A (ja)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装置
KR101202374B1 (ko) 테이프 방전가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테이프 방전가공 방법
JPH0819920A (ja) ワイヤ放電加工装置
JPH01121125A (ja) ワイヤカツト放電加工装置
JPS6357124A (ja) 複合放電加工装置
JP2016172288A (ja) マルチワイヤ放電加工装置
RU2569683C2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профиля щеток электрических машин постоянного то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