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9545B1 - 와이어 자동 결선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자동 결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545B1
KR101439545B1 KR1020070137020A KR20070137020A KR101439545B1 KR 101439545 B1 KR101439545 B1 KR 101439545B1 KR 1020070137020 A KR1020070137020 A KR 1020070137020A KR 20070137020 A KR20070137020 A KR 20070137020A KR 101439545 B1 KR101439545 B1 KR 101439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wire
cutting
uni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9377A (ko
Inventor
이진식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7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9545B1/ko
Publication of KR20090069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9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23H7/08Wire electrodes
    • B23H7/10Supporting, winding or electrical connection of wire-electrode
    • B23H7/104Wire tens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11/00Auxiliary apparatus or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11/006Electrical contacts or 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자동 결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 자동 결선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부(10), 바디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바디부(10)의 일측에 마련되어 와이어(W)의 이동을 안내하되, 내부로 냉각유체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파이프(15), 바디부(10)의 상부 영역에 마련되어 공급된 와이어(W)를 파지 및 승하강 이동시키는 상부 롤러부(20), 바디부(10)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어 상부 롤러부(20) 측에서 제공된 와이어(W)를 파지하는 하부 롤러부(30), 하부 롤러부(30)의 상부에 마련되며 하부 롤러부(30)에 의해 파지된 와이어(W)를 선택적으로 인가된 전기에 의해 절단시키는 커팅부(60) 및 상부 롤러부(20), 하부 롤러부(30) 및 커팅부(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한다.
와이어, 결선, 연결, 버어(burr), 자동, 결선장치, 방전, 방전가공

Description

와이어 자동 결선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wire automatically}
본 발명은, 와이어 자동 결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단면에 버어(burr)가 발생되지 않아 와이어의 결손 시 버어로 인한 걸림 현상이 야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자동 결선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열처리에 의해 와이어가 곧게 펴지도록 하면서 결선 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 또한 가공액을 배수하지 않더라도 수중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공액 배수 및 보충에 따른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와이어 자동 결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전가공(electric discharge machining)이라 함은, 두 전극 사이에 방전을 일으킬 때 생기는 물리적, 기계적, 전기적 작용을 이용해서 가공하는 방법을 가리킨다.
방전의 종류에 따라 스파크가공, 아크가공, 코로나가공으로, 피가공물의 재질에 따라 금속가공, 비금속가공으로, 그리고 작업의 종류에 따라 구멍파기, 절단, 연삭 및 와이어 절단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금속재질에 대한 구멍파기, 특수모양의 가공에는 스파크가공이, 금속절단에는 아크가공이, 비금속재의 구멍 뚫기 등에는 코로나가공이 이용된다.
방전가공은 재료의 강도에 무관할 뿐만 아니라 평면, 입체 등의 복잡한 형상의 가공이 용이하고, 표면가공일 경우 길이 0.1~0.2㎛까지 가능하며, 열에 의한 표면 변질이 적다는 등 여타의 가공법으로는 얻을 수 없는 이점이 있어 특수가공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전가공을 이용한 공작기계를 방전가공기라 한다.
한편,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방전가공기에 의한 작업 중에 하나로서 와이어의 절단 및 결선 작업이 있다.
와이어 결선 작업이란 와이어를 상호 연결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우선적으로는 소손이 발생된 와이어를 열처리하고 곧게 펴서 절단하는 작업이 선행된다.
이는 산업 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다.
그런데,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단순하게 커터(cutter)만을 이용하여 와이어를 절단하고 있기 때문에 와이어의 절단면에 버어(burr)가 발생되어 와이어의 결손 시 버어로 인한 걸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소위, 제트수류를 이용하여 와이어를 가이드하면서 결선하고 있기 때문에 가공액을 배수하지 않고서는 절단 및 연결 작업을 진행할 수 없다. 따라서 가공액 배수 및 보충에 따른 결선 시간이 증가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절단면에 버어(burr)가 발생되지 않아 와이어의 결손 시 버어로 인한 걸림 현상이 야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자동 결선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열처리에 의해 와이어가 곧게 펴지도록 하면서 결선 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 또한 가공액을 배수하지 않더라도 수중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공액 배수 및 보충에 따른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와이어 자동 결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자동 결선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부(10); 상기 바디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부(10)의 일측에 마련되어 와이어(W)의 이동을 안내하되, 내부로 냉각유체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파이프(15); 상기 바디부(10)의 상부 영역에 마련되어 공급된 와이어(W)를 파지 및 승하강 이동시키는 상부 롤러부(20); 상기 바디부(10)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 롤러부(20) 측에서 제공된 와이어(W)를 파지하는 하부 롤러부(30); 상기 하부 롤러부(30)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하부 롤러부(30)에 의해 파지된 와이어(W)를 선택적으로 인가된 전기에 의해 절단시키는 커팅부(50); 및 상기 상부 롤러부(20), 상기 하부 롤러부(30) 및 상기 커팅부(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롤러부(30)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와이어(W)가 상기 하부 롤러부(30) 영역으로 도달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와이어 감지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와이어 감지부(40)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와이어(W)의 하부 영역이 상기 하부 롤러부(30)에 파지된 경우, 상기 상부 롤러부(20)의 승하강 동작, 상기 파이프(15) 내부로의 냉각유체 공급, 상기 커팅부(50)로의 전기 인가 제어를 유기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롤러부(20)는, 구동롤러(21); 상기 구동롤러(21)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롤러(21)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롤러회전부(23); 상기 구동롤러(21)와의 사이에서 와이어(W)가 파지되도록 상기 구동롤러(21)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제1 파지롤러(25); 및 상기 구동롤러(21)에 대해 상기 제1 파지롤러(25)를 접근 및 이격시키는 제1 롤러이동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회전부(23)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23a); 상기 구동모터(23a)의 모터축에 결합되는 구동풀리(23b); 상기 구동롤러(21)의 롤러축에 결합되는 피동풀리(23c); 및 상기 구동 및 피동풀리(23b,23c)를 상호 연결하는 타이밍 벨트(23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롤러이동부(27)는, 상기 제1 파지롤러(25)가 결합된 롤러베이스(25a); 상기 롤러베이스(25a)의 이동을 안내하는 엘엠(LM) 가이드(25b); 및 상기 제1 파지롤러(25)의 이동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실린더(27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롤러부(30)는, 통전롤러(31); 상기 통전롤러(31)와의 사이에서 와이어(W)가 파지되도록 상기 통전롤러(31)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제2 파지롤러(32); 및 상기 통전롤러(31)에 대해 상기 제2 파지롤러(32)를 접근 및 이격시키는 제2 롤러이동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롤러이동부(33)는, 상기 제2 파지롤러(32)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 실린더(33a); 상기 제2 실린더(33a)의 로드(33b)에 결합되어 상기 로드(33b)에 의해 회전 가능한 롤러 레버(33c); 및 상기 롤러 레버(33c)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 가능한 편심 샤프트(33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팅부(50)는, 와이어(W)에 대한 커팅(cutting) 작업이 진행되는 커팅 베이스(51); 상기 제어부(60)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공급봉(52); 및 상기 전원공급봉(52)에 와이어(W)가 접촉 가능하도록 와이어(W)를 상기 전원공급봉(52) 측으로 접근 및 이격시키는 제3 실린더(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팅부(50)는, 상기 전원공급봉(52)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전원공급봉(52)의 일측에 마련되는 와이어 밀림 방지블록(54); 및 상기 전원공급봉(52)의 타측에 마련되는 절연블록(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단면에 버어(burr)가 발생되지 않아 와이어의 결손 시 버어로 인한 걸림 현상이 야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자동 결선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열처리에 의해 와이어가 곧게 펴지도록 하면서 결선 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 또한 가공액을 배수하지 않더라도 수중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공액 배수 및 보충에 따른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자동 결선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각각 도 1의 정면도, 배면도,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상부 롤러부 영역의 확대도이며, 도 8은 도 2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커팅부 영역의 확대도이며, 도 10은 도 2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2의 D-D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하부 롤러부 영역의 배면 확대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E-E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자동 결선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자동 결선장치는 방전가공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방전가공에 대한 개략적인 원리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 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방전가공기 외의 다른 공작기계에 본 발명의 사상을 적용할 수도 있다.
와이어 자동 결선장치는 와이어 공급장치와 와이어 배출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와이어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와이어(W)를 와이어 배출장치까지 자동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는 와이어 자동 결선장치는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와, 바디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바디부(10)의 일측에 마련되어 와이어(W)의 이동을 안내하는 파이프(15)와, 바디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바디부(10)의 상부 영역에 마련되어 공급된 와이어(W)를 파지 및 승하강 이동시키는 상부 롤러부(20)와, 바디부(10)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어 상부 롤러부(20) 측에서 제공된 와이어(W)를 파지하는 하부 롤러부(30)와, 와이어(W)가 하부 롤러부(30) 영역으로 도달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와이어 감지부(40)와, 하부 롤러부(30)의 상부에 마련되며 하부 롤러부(30)에 의해 파지된 와이어(W)에 전기를 인가하여 와이어(W)를 절단시키는 커팅부(50)와, 상부 롤러부(20), 하부 롤러부(30) 및 커팅부(50)의 동작을 유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한다.
바디부(10)는,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파이프(15), 상부 롤러부(20), 하부 롤러부(30) 및 커팅부(50)가 결합되는 장소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바디부(10)는 일정한 부피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제작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형상 및 모양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파이프(15)는, 와이어(W)의 이동을 안내하는 부분으로서, 상부 롤러부(20) 및 하부 롤러부(30) 사이에 마련된다.
파이프(15)는 파이프지지 브래킷(15b)에 의해 해당 위치에 지지될 수 있다.
파이프(15)의 내부에는 작업 시 제어부(60)에 의해 차가운 냉각유체가 제공된다. 냉각유체로 본 실시예에서는 냉각공기를 사용하고 있지만, 냉각된 액체를 사용하여도 좋다.
상부 롤러부(2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롤러(21)와, 구동롤러(21)에 결합되어 구동롤러(21)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롤러회전부(23)와, 구동롤러(21)와의 사이에서 와이어(W)가 파지되도록 구동롤러(21)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제1 파지롤러(25)와, 구동롤러(21)에 대해 제1 파지롤러(25)를 접근 및 이격시키는 제1 롤러이동부(27)를 구비한다.
참고로, 구동롤러(21)와 제1 파지롤러(25)의 주변에는 이들 롤러(21,25)들의 원활한 회전을 위한 베어링(bearing)이 개재되는데, 베어링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참조부호를 생략하기로 한다.
롤러회전부(23)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23a)와, 구동모터(23a)의 모터축(미도시)에 결합되는 구동풀리(23b)와, 구동롤러(21)의 롤러축(미도시)에 결합되는 피동풀리(23c)와, 구동 및 피동풀리(23b,23c)를 상호 연결하는 타이밍 벨트(23d)를 구비한다.
여기서, 구동모터(23a)는 그 모터축이 정역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 속도 제어가 가능한 모터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모터로서 서보 모터나 스테핑 모터 등의 적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들 모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구동모터(23a)에 전원이 인가되어 예컨대 구동모터(23a)의 모터축이 정 방향으로 회전되면, 구동풀리(23b), 타이밍 벨트(23d) 및 피동풀리(23c)의 연결 메커니즘에 의해 구동롤러(21)는 정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반대로, 구동모터(23a)의 모터축이 역 방향으로 회전되면, 구동풀리(23b), 타이밍 벨트(23d) 및 피동풀리(23c)의 연결 메커니즘에 의해 구동롤러(21)는 역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 롤러이동부(27)는, 제1 파지롤러(25)가 결합된 롤러베이스(25a)와, 롤러베이스(25a)의 이동을 안내하는 엘엠(LM) 가이드(25b)와, 제1 파지롤러(25)의 이동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실린더(27c)를 구비한다.
제1 실린더(27c)는 공압 실린더일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므로 공압 실린더 대신에 유압 실린더라든지 혹은 유공압 복합실린더를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제1 실린더(27c)는 제1 파지롤러(25)를 구동롤러(21) 측으로 접근 및 이격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부분이므로, 제1 실린더(27c) 대신에 모터와 볼스크루 조합 메커니즘을 적용하여도 좋다.
이에, 제1 실린더(27c)가 동작되어 제1 실린더(27c)의 로드가 전진되면 롤러베이스(25a)가 엘엠(LM) 가이드(25b)를 통해 구동롤러(21) 측으로 접근됨으로써 와이어(W)는 구동롤러(21)와 제1 파지롤러(25)에 의해 파지될 수 있고, 반대로 제1 실린더(27c)의 로드가 후진되면 와이어(W)의 파지 상태는 해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하부 롤러부(30)는, 통전롤러(31)와, 통전롤러(31)와의 사이에서 와이어(W)가 파지되도록 통전롤러(31)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제2 파지롤러(32)와, 통전롤러(31)에 대해 제2 파지롤러(32)를 접근 및 이격시키는 제2 롤러이동부(33)를 구비한다.
통전롤러(3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전롤러 샤프트(31a)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제2 롤러이동부(33)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파지롤러(32)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 실린더(33a)와, 제2 실린더(33a)의 로드(33b)에 결합되어 로드(33b)에 의해 회전 가능한 롤러 레버(33c)와, 롤러 레버(33c)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 가능한 편심 샤프트(33d)를 구비한다.
편심 샤프트(33d)는 로킹 너트(34)에 의해 해당 위치에 결합되며, 일측의 하부에는 편심 샤프트(33d)의 탄성 지지를 위한 스프링(35)이 마련된다.
그리고 편심 샤프트(33d)와 바디부(10) 사이에는 편심 샤프트(33d)의 원활한 동작을 위한 베어링(bearing, 미도시)이 마련된다.
이에, 제2 실린더(33a)에 의해 로드(33b)가 후진되면 로드(33b)에 연결된 롤러 레버(33c)의 회전에 따라 편심 샤프트(33d)가 회전을 하게 됨으로써 제2 파지롤러(32)는 통전롤러(31) 측으로 접근되고, 따라서 와이어(W)는 제2 파지롤러(32)와 통전롤러(31) 사이에서 강하게 파지될 수 있게 된다.
커팅부(5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W)에 대한 커팅(cutting, 절단) 작업이 진행되는 커팅 베이스(51)와, 제어부(60)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공급봉(52)과, 전원공급봉(52)에 와이어(W)가 접촉 가능하도록 와이어(W)를 전원공급봉(52) 측으로 접근 및 이격시키는 제3 실린더(53)를 구비한다.
전원공급봉(52)을 사이에 두고, 전원공급봉(52)의 일측에는 와이어 밀림 방지블록(54)이 마련되고, 타측에는 절연블록(55)이 더 마련된다.
전원공급봉(52)은 제어부(60)에 의해 플러스(+) 전원이 인가되는 부분으로서, 통전롤러(31)와 더불어 실질적으로 와이어(W)를 절단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와이어 자동 결선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와이어(W)가 상부 롤러부(20)의 상부에 있는 파이프(15a, 도 1 참조) 내로 삽입되어 상부 롤러부(20) 측으로 진입되면,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제1 실린더(27c)의 로드가 전진되어 제1 파지롤러(25)가 구동롤러(21) 측으로 접근됨에 따라 제1 파지롤러(25)와 구동롤러(21)에 의해 와이어(W)가 파지된다.
이어 구동모터(23a)에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모터(23a)의 모터축이 정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구동풀리(23b), 타이밍 벨트(23d) 및 피동풀리(23c)의 연결 메커니즘에 의해 구동롤러(21)는 정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처럼 구동모터(23a)가 정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와이어(W)는 구동모 터(23a)의 회전에 기인하여 파이프(15)를 통해 하부 롤러부(30) 측으로 도달된다.
와이어(W)가 하부 롤러부(30)에 도달되면 와이어 감지부(40)가 이를 감지하고 이의 정보를 제어부(60)로 보낸다.
제어부(60)는 와이어 감지부(40)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실린더(33a)의 로드(33b)를 후진시킨다.
제2 실린더(33a)에 의해 로드(33b)가 후진되면 로드(33b)에 연결된 롤러 레버(33c)의 회전에 따라 편심 샤프트(33d)가 회전을 하게 됨으로써 제2 파지롤러(32)는 통전롤러(31) 측으로 접근되고, 따라서 와이어(W)는 제2 파지롤러(32)와 통전롤러(31) 사이에서 강하게 파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W)가 제2 파지롤러(32)와 통전롤러(31)에 의해 파지되면, 제어부(60)가 제1 실린더(27c)에 형성된 공압을 저압으로 절환시키고, 이어 구동모터(23a)의 모터축이 역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한다.
구동모터(23a)의 모터축이 역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와이어(W)는 상부 롤러부(20) 측을 향해 실질적으로 매우 느리게 잡아당겨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60)는 구동롤러(21)에 플러스(+) 전원이, 그리고 통전롤러(31)에 마이너스(-)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전원 공급이 진행되면 와이어(W)에 열이 발생하면서 와이어(W)가 열처리되기 시작한다.
이 때, 파이프(15) 내로 차가운 냉각유체, 즉 냉각공기를 흘려보내면서 동시에 구동롤러(21) 및 통전롤러(31)에 인가된 전원을 차단하면, 와이어(W)는 팽팽하 게 당겨진 상태이므로 곧게 펴지게 된다.
참고로,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소위, 제트수류를 이용하여 와이어(W)를 가이드하면서 결선하였기 때문에 가공액을 배수하지 않고서는 절단 및 연결 작업을 진행할 수 없었다.
따라서 종래기술은 가공액 배수 및 보충에 따른 시간을 확보해야만 하므로 결선 시간이 증가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W)에 전류를 흘려 와이어(W)가 곧게 펴지도록 열처리하고 있는 바, 종래와 같이 굳이 가공액을 배수하지 않더라도 작업이 가능해진다. 즉, 수중에서도 연결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와이어(W)가 곧게 펴지면 제3 실린더(53)의 로드가 전진하게 되어 전원공급봉(52)에 와이어(W)가 접촉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60)는 전원공급봉(52)에 플러스(+) 전원이, 그리고 통전롤러(31)에 마이너스(-) 전원이 인가되도록 제어하면서, 동시에 구동모터(23a)가 역 방향으로 회전하여 와이어(W)가 상부 롤러부(20) 측으로 당겨지도록 제어하게 되고, 이러한 동작에 의해 비로소 와이어(W)는 전원공급봉(52)과 통전롤러(31) 사이에서 절단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종래기술에서는 단순하게 커터(cutter)만을 이용하여 와이어(W)를 절단하였기 때문에 와이어(W)의 절단면에 버어(burr)가 발생되어 와이어(W)의 결손 시 버어로 인한 걸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W)에 전기를 공급하여 와이어(W)를 녹여서 절단하도록 함으로써 버어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특히, 전기를 공급하여 와이어(W)를 녹여서 절단함으로 절단면을 뾰족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와이어(W) 연결 시 걸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와이어(W)의 절단이 완료되면 제어부(60)는 제1 실린더(27c)에 공압이 고압으로 절환되도록, 그리고 구동모터(23a)의 모터축이 다시 정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새로운 작업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절단면에 버어(burr)가 발생되지 않아 와이어(W)의 결손 시 버어로 인한 걸림 현상이 야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자동 결선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열처리에 의해 와이어(W)가 곧게 펴지도록 하면서 결선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가공액을 배수하지 않더라도 수중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공액 배수 및 보충에 따른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자동 결선장치는, 방전가공기와 같은 다양한 공작기계에 적용이 가능하고, 특히, 절단면에 버어(burr)가 발생되지 않아 와이어의 결손 시 버어로 인한 걸림 현상이 야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자동 결선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열처리에 의해 와이어가 곧게 펴지도록 하면서 결선 작업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수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가공액을 배수하지 않더라도 수중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공액 배수 및 보충에 따른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자동 결선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와이어 자동 결선장치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와이어 자동 결선장치에 대한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와이어 자동 결선장치에 대한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와이어 자동 결선장치에 대한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상부 롤러부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2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커팅부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2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2의 D-D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하부 롤러부 영역의 배면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E-E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자동 결선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디부 20 : 상부 롤러부 30 : 하부 롤러부
40 : 와이어 감지부 50 : 커팅부 60 : 제어부

Claims (6)

  1.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부(10);
    상기 바디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부(10)의 일측에 마련되어 와이어(W)의 이동을 안내하되, 내부로 냉각유체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파이프(15);
    상기 바디부(10)의 상부 영역에 마련되어 공급된 와이어(W)를 파지 및 승하강 이동시키는 상부 롤러부(20);
    상기 바디부(10)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 롤러부(20) 측에서 제공된 와이어(W)를 파지하는 하부 롤러부(30);
    상기 하부 롤러부(30)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하부 롤러부(30)에 의해 파지된 와이어(W)를 선택적으로 인가된 전기에 의해 절단시키는 커팅부(50); 및
    상기 상부 롤러부(20), 상기 하부 롤러부(30) 및 상기 커팅부(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롤러부(30)는,
    통전롤러(31);
    상기 통전롤러(31)와의 사이에서 와이어(W)가 파지되도록 상기 통전롤러(31)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제2 파지롤러(32); 및
    상기 제2 파지롤러(32)를 구동시키기 위해 동력을 발생하는 제2 실린더(33a)와, 상기 제2 실린더(33a)에 결합된 로드(33b)와, 상기 로드(33b)에 의해 회전 가능한 롤러 레버(33c)와, 상기 롤러 레버(33c)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 가능한 편심 샤프트(33d), 그리고 상기 바디부(10)에 설치되어 상기 편심 샤프트(33d)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35)을 포함하며 상기 통전롤러(31)에 대해 상기 제2 파지롤러(32)를 접근 및 이격시키는 제2 롤러이동부(33)
    를 포함하는 와이어 자동 결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롤러부(30)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와이어(W)가 상기 하부 롤러부(30) 영역으로 도달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와이어 감지부(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와이어 감지부(40)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와이어(W)의 하부 영역이 상기 하부 롤러부(30)에 파지된 경우, 상기 상부 롤러부(20)의 승하강 동작, 상기 파이프(15) 내부로의 냉각유체 공급, 상기 커팅부(50)로의 전기 인가 제어를 유기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자동 결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롤러부(20)는,
    구동롤러(21);
    상기 구동롤러(21)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롤러(21)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롤러회전부(23);
    상기 구동롤러(21)와의 사이에서 와이어(W)가 파지되도록 상기 구동롤러(21)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제1 파지롤러(25); 및
    상기 구동롤러(21)에 대해 상기 제1 파지롤러(25)를 접근 및 이격시키는 제1 롤러이동부(27);
    를 포함하는 와이어 자동 결선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회전부(23)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23a);
    상기 구동모터(23a)의 모터축에 결합되는 구동풀리(23b);
    상기 구동롤러(21)의 롤러축에 결합되는 피동풀리(23c); 및
    상기 구동 및 피동풀리(23b,23c)를 상호 연결하는 타이밍 벨트(23d);
    를 포함하는 와이어 자동 결선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50)는,
    와이어(W)에 대한 커팅(cutting) 작업이 진행되는 커팅 베이스(51);
    상기 제어부(60)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공급봉(52); 및
    상기 전원공급봉(52)에 와이어(W)가 접촉 가능하도록 와이어(W)를 상기 전원공급봉(52) 측으로 접근 및 이격시키는 제3 실린더(53);
    를 포함하는 와이어 자동 결선장치.
KR1020070137020A 2007-12-26 2007-12-26 와이어 자동 결선장치 KR101439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020A KR101439545B1 (ko) 2007-12-26 2007-12-26 와이어 자동 결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020A KR101439545B1 (ko) 2007-12-26 2007-12-26 와이어 자동 결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377A KR20090069377A (ko) 2009-07-01
KR101439545B1 true KR101439545B1 (ko) 2014-09-15

Family

ID=41321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020A KR101439545B1 (ko) 2007-12-26 2007-12-26 와이어 자동 결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95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35152B (zh) * 2022-10-21 2023-10-27 苏州宝玛格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高精度数控线切割机床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0629A (ja) * 1992-01-27 1993-08-10 Brother Ind Ltd ワイヤ放電加工機におけるワイヤ電極の切断装置
JPH0615530A (ja) * 1992-07-03 1994-01-25 Brother Ind Ltd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機
JPH06304819A (ja) * 1993-04-21 1994-11-01 Fanuc Ltd ワイヤ放電加工機
JPH08197336A (ja) * 1994-11-21 1996-08-06 Seibu Electric & Mach Co Ltd ワイヤ放電加工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0629A (ja) * 1992-01-27 1993-08-10 Brother Ind Ltd ワイヤ放電加工機におけるワイヤ電極の切断装置
JPH0615530A (ja) * 1992-07-03 1994-01-25 Brother Ind Ltd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機
JPH06304819A (ja) * 1993-04-21 1994-11-01 Fanuc Ltd ワイヤ放電加工機
JPH08197336A (ja) * 1994-11-21 1996-08-06 Seibu Electric & Mach Co Ltd ワイヤ放電加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377A (ko)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4638B1 (ko) 작업물에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7552610B2 (en) Thread forming method, thread forming device, and thread forming tool
JP5951019B2 (ja) 放電加工用電極の交換判定装置および交換判定方法
JPS60172423A (ja) 放電孔明け加工装置
CN109623399B (zh) 一种弧形通孔钻孔设备
US20120138576A1 (en) Compound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pparatus and small-hole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module thereof
KR101439545B1 (ko) 와이어 자동 결선장치
US20030102287A1 (en) Tool, tool holder, and machine tool
JP2009233842A (ja) ワイヤ放電加工方法
JP4509509B2 (ja) 放電加工装置
CN206839354U (zh) 电火花成型加工进给转向装置
JP7372070B2 (ja) ワイヤ放電加工機および制御方法
CN108746903B (zh) 非贯穿式弯曲线切割加工装置和方法
JP2003236722A (ja) 放電ドリル及びねじ切り両用の細孔放電加工機
JP2020142355A (ja) 工作機械
JP2000343334A (ja) バリ取り装置
KR100466758B1 (ko) 작업궤도를 이용한 드레인홀 사상장치
JPS59224236A (ja) 工作機械における切削油等の供給装置
CN212191442U (zh) 一种工件表面加工用钨钢铣刀
CN111545787B (zh) 一种主缸活塞的加工设备及其控制方法
CN213104999U (zh) 用于数控车床的切割装置
JP2005238415A (ja) ドリル加工機能付き工作機械
JP2008012651A (ja) 放電加工方法および放電加工装置
JP2009214248A (ja) 放電加工機、放電加工機のジャンプ制御方法、放電加工方法及び放電加工プログラム。
KR100483767B1 (ko) 위치센서를 이용한 작업선 기억형 드레인홀 사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