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2862A - Cnc더블 주축 전동장치 - Google Patents

Cnc더블 주축 전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2862A
KR20200092862A KR1020190172605A KR20190172605A KR20200092862A KR 20200092862 A KR20200092862 A KR 20200092862A KR 1020190172605 A KR1020190172605 A KR 1020190172605A KR 20190172605 A KR20190172605 A KR 20190172605A KR 20200092862 A KR20200092862 A KR 20200092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blocks
linear guide
guide rail
blocks
slid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2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첸 펭-티엔
Original Assignee
바이쳉 이노베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쳉 이노베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엘티디. filed Critical 바이쳉 이노베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00092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8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9/00Metal-working machines incorporating a plurality of sub-assemblies, each capable of performing a metal-working operation
    • B23Q39/02Metal-working machines incorporating a plurality of sub-assemblies, each capable of performing a metal-working operation the sub-assemblies being capable of being brought to act at a single operating station
    • B23Q39/021Metal-working machines incorporating a plurality of sub-assemblies, each capable of performing a metal-working operation the sub-assemblies being capable of being brought to act at a single operating station with a plurality of toolheads per workholder, whereby the toolhead is a main spindle, a multispindle, a revolver or the like
    • B23Q39/022Metal-working machines incorporating a plurality of sub-assemblies, each capable of performing a metal-working operation the sub-assemblies being capable of being brought to act at a single operating station with a plurality of toolheads per workholder, whereby the toolhead is a main spindle, a multispindle, a revolver or the like with same working direction of toolheads on same workholder
    • B23Q39/023Metal-working machines incorporating a plurality of sub-assemblies, each capable of performing a metal-working operation the sub-assemblies being capable of being brought to act at a single operating station with a plurality of toolheads per workholder, whereby the toolhead is a main spindle, a multispindle, a revolver or the like with same working direction of toolheads on same workholder simultaneous working of tool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1/00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 B23C1/08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with a plurality of vertical working-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1Frames, beds, pillars or like members; Arrangement of ways
    • B23Q1/015Frames, beds,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1Frames, beds, pillars or like members; Arrangement of ways
    • B23Q1/017Arrangements of 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34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 B23Q5/38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feeding continuously
    • B23Q5/40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feeding continuously by feed shaft, e.g. lead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9/00Metal-working machines incorporating a plurality of sub-assemblies, each capable of performing a metal-working operation
    • B23Q2039/006Machines with multi-spi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NC더블 주축 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CNC더블 주축 가공기에 사용이 적합하고, 더욱 자세하게는 CNC더블 주축 전동장치는 동력유닛, 선형 가이드레일 유닛, 슬라이드받침 유닛을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선형 가이드레일 유닛은 복수 개의 선형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있고, 해당 슬라이드받침 유닛은 해당 복수 개의 가이드레일 상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설치되는 제1슬라이드받침 모듈 및 제2슬라이드받침 모듈을 포함하고 있고, 해당 제1슬라이드받침 모듈은 복수 개의 제1좌측 슬라이드 블록 및 복수 개의 제1우측 슬라이드 블록을 포함하고 있고, 해당 제2슬라이드받침 모듈은 복수 개의 제2우측 슬라이드 블록 및 복수 개의 제2좌측 슬라이드 블록을 포함하고 있고, 해당 제1좌측 슬라이드 블록, 해당 제2좌측 슬라이드 블록들의 설치 위치는 각각 해당 제1우측 슬라이드 블록, 제2우측 슬라이드 블록들의 설치 위치와 서로 대칭을 이루는 위치에 설치가 되며, 해당 제1좌측 슬라이드 블록들의 간격 거리, 해당 제2좌측 슬라이드 블록들의 간격 거리는 각각 해당 제1우측 슬라이드 블록들의 간격 거리, 해당 제2우측 슬라이드 블록의 간격 거리와 서로 동일하게 되고, 이러한 구조를 통해 각 응력 전달지점의 위치가 서로 대칭을 이룰 수 있게 되어 전체적 강성 강화, 힘을 받을 때의 변형 비틀림 정도 감소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가공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CNC더블 주축 전동장치{CNC DUAL-SPINDLE TRANSMISSION DEVICE}
본 발명은 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CNC더블 주축 전동장치에 관한 내용이다.
타이완 증서번호 제 M562176호 특허 내용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더블 헤드 전동 공구는 더블 주축이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슬라이드 받침을 통해 해당 슬라이드 받침들이 각각 해당 주축들을 이끌면서 두 개의 작업물에 대해 가공을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두 배의 가공 효과를 얻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체적을 줄이기 위하여 두 개의 슬라이드 받침이 갖추고 있는 슬라이드 블록의 설계를 서로 교차되는 방식으로 설치를 하였고, 이를 통해 해당 슬라이드 받침이 3줄의 선형 가이드 상에 설치될 수 있었다.
또한 타이완 증서번호 제 I586463호 특허 내용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CNC더블 주축 가공기에 사용하는 CNC더블 주축 전동장치는 체적을 한 단계 더 줄이기 위하여 2줄의 선형 가이드레일(11) 상에 설치된 2개의 슬라이드 받침(12)이 갖추고 있는 슬라이드 블록(121)을 서로 다른 간격 거리로 교차시키는 방식으로 해당 슬라이드 받침(12)이 서로 교차 관통하는 형태를 완성하였는데, 여기서 해당 교차 관통하는 형태를 사용하기 위하여 서로 대칭이 되지 않는 복잡한 기하학적 형상이 형성되었다.
상기 두 종류의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해당 슬라이드 블록의 설치위치와 해당 슬라이드 받침의 형상이 모두 대칭을 이루지 않기 때문에 해당 CNC더블 주축 전동장치의 전체적 강성이 뛰어나질 못하며, 더 나아가 힘을 받을 때의 변형 비틀림 정도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가공 정밀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또한 응용 상 다른 요구가 있어 해당 슬라이드 블록의 간격 거리를 새롭게 조정을 해야 할 경우, 예를 들면 도1 내에서 내측에 위치한 해당 슬라이드 블록(121)의 간격 거리를 넓게 조정을 해야할 때 상측의 블라이드 블록이 제한된 높이를 초과하여 체적이 과도하게 커지지 않는지에 대해 고려를 해야 하고 또한 대응되는 슬라이드받침의 형상이 서로 부합되는지도 고려를 해야하기 때문에 기구 설계 상에 상당한 어려움과 복잡함이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높은 강성과 높은 정밀도를 갖춘 CNC더블 주축 전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인 CNC더블 주축 전동장치는 기반, 작업대, 제1주축 및 제2주축을 갖춘 CNC더블 주축 가공기에 응용하기에 적합하며, 동력유닛, 선형 가이드레일 유닛, 슬라이드받침 유닛을 갖추고 있다.
해당 동력유닛은 해당 기반에 설치된다.
해당 선형 가이드레일 유닛은 상하로 뻗어 나온 형태로 해당 기반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선형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있다.
해당 슬라이드받침 유닛은 해당 선형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설치되어 해당 동력유닛의 구동을 받으며 해당 작업대에 대응하여 상하 슬라이드 이동을 하는 제1슬라이드받침 모듈 및 제2슬라이드받침 모듈을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제1슬라이드받침 모듈은 해당 제1추축이 설치될 수 있게 해주고, 그중 하나의 선형 가이드레일 상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1좌측 슬라이드 블록과 그중 하나의 선형 가이드레일 우측의 가이드레일 상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1우측 슬라이드 블록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해당 제2슬라이드받침 모듈은 해당 제2주축이 설치될 수 있게 해주고, 그중 다른 하나의 선형 가이드레일 상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2우측 슬라이드 블록과 그중 하나의 선형 가이드레일 좌측의 가이드레일 상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2좌측 슬라이드 블록을 포함하고 있다. 해당 제1좌측 슬라이드 블록들의 설치 위치는 실질적으로 각각 해당 제1우측 슬라이드 블록의 설치 위치와 대칭을 이루며, 해당 제2좌측 슬라이드 블록들의 실치 위치는 실질적으로 각각 해당 제2우측 슬라이드 블록들의 설치 위치와 대칭을 이룬다. 해당 제1좌측 슬라이드 블록의 간격 거리는 실질적으로 대칭을 이루고 있는 해당 제1우측 슬라이드 블록의 간격 거리와 서로 동일하고, 해당 제2좌측 슬라이드 블록의 간격 거리는 실질적으로 대칭을 이루고 있는 해당 제2우측 슬라이드 블록의 간격 거리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해당 제 제1좌측 슬라이드 블록들, 해당 제2좌측 슬라이드 블록들의 설치 위치가 각각 해당 제1우측 슬라이드 블록들, 해당 제2우측 슬라이드 블록들의 설치 위치와 서로 대칭을 이루고 있고, 또한 해당 제1좌측 슬라이드 블록들의 간격 거리, 해당 제2좌측 슬라이드 블록의 간격 거리가 대칭을 이루고 있는 해당 제1우측 슬라이드 블록들, 해당 제2우측 슬라이드 블록들의 간격 거리와 서로 동일하기 때문에 각 응력 전달지점의 위치가 서로 대칭을 이룰 수 있게 되어 전체적 강성 강화, 힘을 받을 때의 변형 비틀림 정도 감소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가공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1은 종래의 CNC더블 주축 전동장치의 불완전한 후방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인 CNC더블 주축 전동장치의 첫 번째 실시예의 입체도이다.
도3은 제1실시예의 불완전한 입체도이다.
도4는 제1실시예의 슬라이드 받침 유닛 및 선형 가이드레일 유닛의 불완전한 분해도이다.
도5는 제1실시예의 슬라이드받침 유닛 및 선형 가이드레일 유닛의 불완전한 조합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인 CNC더블 주축 전동장치의 제2실시예의 입체도이다.
도7은 제2실시예의 불완전한 입체도이다.
도8은 제2실시예의 슬라이드받침 유닛 및 선형 가이드레일 유닛의 불완전한 분해도이다.
도9는 제2실시예의 슬라이드받침 유닛과 선형 가이드레일 유닛의 불완전한 조합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효과 및 구조적 특징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와 도면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와 도3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본 발명인 CNC더블 주축 전동장치의 제1실시예는 기반(91), 작업대(92), 제1주축(93), 제2주축(94)을 갖추고 있는 CNC더블 주축 가공기(9)에 응용하여 사용이 적합하며, 동력유닛(2), 선형 가이드레일 유닛(3), 슬라이드받침 유닛(4)을 갖추고 있다.
해당 동력유닛(2)은 기반(91)에 설치되고, 좌우 방향을 따라 배열 설치되는 두 개의 모터(21), 해당 모터(21)에 의해 구동을 받으며 회전되는 두 개의 나사(22), 상하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해당 나사(22)에 설치되는 두 개의 너트받침(23)을 포함하고 있다. 그 중 본 발명 내에서 사용되는 방향 용어는 모두 도2 및 도6 내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해당 선형 가이드레일 유닛(3)은 상하로 뻗어 나온 형태로 해당 기반(91)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선형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있고, 이하 내용에서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를 각각 제1선형 가이드레일(31)과 제2선형 가이드레일(32)이라고 칭한다.
해당 슬라이드받침 유닛(4)은 해당 제1선형 가이드레일(31)과 해당 제2선형 가이드레일(32)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설치되는 제1슬라이드받침 모듈(41) 및 제2슬라이드받침 모듈(42)을 포함하고 있고, 해당 제1슬라이드받침 모듈(41) 및 제2슬라이드받침 모듈(42)은 각각 해당 너트받침(23)들에 설치되고, 해당 모터(21)의 구동력으로 각기 대응되는 나사(22)를 구동시키고, 이를 통해 해다 작업대(92) 상에서 해당 제1선형 가이드레일(31)과 제2선형 가이드레일(32)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도2, 도4 및 도5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해당 제1슬라이드받침 모듈(41)은 해당 제1주축(93)이 설치되도록 제공되며, 또한 실질적으로 수평선을 따라 뻗어나와 상하 방향 간격을 따라 설치되는 두 개의 제1 가로 프레임(411), 해당 제1 가로 프레임들(411) 좌측에 설치되는 제1연결 프레임(412), 해당 제1 가로 프레임들(411)과 해당 제1연결 프레임(412)과 서로 함께 사용되어 경계를 정하게 되는 제1크로스홈(413), 좌측의 제1선형 가이드레일(31)에 설치되는 두 개의 제1좌측 슬라이드 블록(414), 해당 제1선형 가이드레일(31)의 우측의 제2선형 가이드레일(32)에 설치되는 두 개의 제1우측 슬라이드 블록(415)을 갖추고 있다. 해당 제1 가로 프레임들(411)의 좌측은 각각 해당 제1좌측 슬라이드 블록들(414)이 설치되도록 제공되며, 그 우측은 각각 해당 제1우측 슬라이드 블록(415)들이 설치되도록 제공된다.
해당 제2슬라이드받침 모듈(42)은 해당 제2주축(94)이 설치되도록 제공되며, 또한 실질적으로 수평선을 따라 뻗어나와 상하 방향 간격을 따라 설치되는 두 개의 제2 가로 프레임(421), 해당 제2 가로 프레임들(421) 우측에 설치되는 제2연결 프레임(422), 해당 제2 가로 프레임들(421)과 해당 제2연결 프레임(422)과 서로 함께 사용되어 경계를 정하게 되고, 그중 하나의 제1가로 프레임(411)이 관통 설치되는 제2크로스홈(423), 해당 제2선형 가이드레일(32)에 설치되는 두 개의 제2우측 슬라이드 블록(424),해당 제2선형 가이드레일(32) 좌측의 제1선형 가이드레일(31)에 설치되는 두 개의 제2좌측 슬라이드 블록(425)을 갖추고 있다. 해당 제2 가로 프레임들(421)의 좌측은 각각 해당 제2좌측 슬라이드 블록들(425)이 설치되도록 제공되며, 그 우측은 각각 해당 제2우측 슬라이드 블록(424)이 설치되도록 제공된다. 그중 하나의 제2 가로 프레임(421)은 해당 제1크로스홈(413)에 관통 설치된다.
그중 해당 제1슬라이드받침 모듈(41)은 두 개의 제1좌측 슬라이드 블록(414) 및 두 개의 제1우측 슬라이드 블록(415)을 갖추고 있으며, 해당 제2슬라이드받침 모듈(42)은 두 개의 제2우측 슬라이드 블록(424) 및 두 개의 제2좌측 슬라이드 블록(425)을 갖추고 있는데, 여기서 그 수량은 실제 필요에 따라 변할 수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신청 범위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서로의 위치가 대칭을 이루는 원칙에만 부합되면 된다.
그중 해당 제1 가로 프레임들(411)과 해당 제2 가로 프레임들(421)은 해당 제1선형 가이드레일(31)과 해당 제2선형 가이드레일(32)의 뻗어 나온 방향을 따라 교차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해당 제1 가로 프레임들(411) 및 해당 제1연결 프레임들(412)과 해당 제2 가로 프레임들(421) 및 해당 제2 연결 프레임들(422)의 설치 위치는 좌우 대칭이 되며, 그 형상 역시 대체적으로 좌우 대칭을 보이게 된다.
그중 해당 제1좌측 슬라이드 블록들(414)의 설치 위치는 실질적으로 각각 해당 제1우측 슬라이드 블록들(415)의 설치 위치와 대칭을 이루고, 해당 제2좌측 슬라이드 블록들(425)의 설치 위치는 실질적으로 각각 해당 제2우측 슬라이드 블록들(424)의 설치 위치와 대칭을 이루게 되고, 해당 제1좌측 슬라이드 블록들(414)의 간격 거리는 실질적으로 대칭을 이루는 해당 제1우측 슬라이드 블록들(415) 사이의 간격 거리와 동일하게 되며, 해당 제2좌측 슬라이드 블록들(425)의 간격 거리는 실질적으로 대칭을 이루는 해당 제2우측 슬라이드 블록들(424)의 간격 거리와 동일하게 된다. 해당 제1좌측 슬라이드 블록들(414)의 설치 높이는 실질적으로 각각 해당 제1우측 슬라이드 블록들(415)의 설치 높이와 동일하며, 해당 제2좌측 슬라이드 블록들(425)의 설치 높이는 실질적으로 각각 해당 제2우측 슬라이드 블록들(424)의 설치 높이와 동일하다. 해당 선형 가이드레일이 뻗어 나온 방향 상에서, 해당 제1좌측 슬라이드 블록들(414)과 해당 제2좌측 슬라이드 블록들(425)은 서로 교차되어 설치되고, 해당 제1우측 슬라이드 블록들(415)과 해당 제2우측 슬라이드 블록들(424)은 서로 교차되어 설치된다.
그중 각각의 제1좌측 슬라이드 블록(414)과 서로 인접한 제2좌측 슬라이드 블록(425) 사이, 각각의 제1우측 슬라이드 블록(415)과 서로 인접한 제2우측 슬라이드 블록(424) 사이에는 모두 보정 틈새(43)를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을 실제로 응용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해당 제1주축(93)과 해당 제2주축(94)은 각각 해당 모터(21)의 구동력을 받아 동시에 상하로 승강하며 동시에 해당 작업대(92) 상의 두 개의 작업물(도면에는 미표시)에 대해 가공을 진행하고, 그 결과 두 배의 가공 효율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일 대형 작업물에 대해 가공을 진행할 경우에는 해당 제1주축(93)과 해당 제2주축(94)을 제어하여 그중 하나를 해당 보정 틈새(43)의 거리만큼 상승시키고, 이를 통해 다른 하나의 주축만이 대형 작업물에 대해 가공 처리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해당 제1주축(93)과 해당 제2주축(94)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설명을 통해 본 발명 실시예의 장점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해당 제1좌측 슬라이드 블록들(414), 해당 제2좌측 슬라이드 블록들(425)의 설치 위치가 각각 해당 제1우측 슬라이드 블록들(415), 해당 제2우측 슬라이드 블록들(424)의 설치 위치와 대칭을 이루게 되고, 또한 해당 제1좌측 슬라이드 블록들(414)의 간격 거리, 해당 제2좌측 슬라이드 블록들(425)의 간격 거리가 해당 제1우측 슬라이드 블록들(415), 해당 제2우측 슬라이드 블록들(424)의 간격거리와 서로 동일하게 대칭을 이루게 되기 때문에,해당 제1슬라이드받침 모듈(41)과 해당 선형 가이드레일 유닛(3) 사이, 해당 제2슬라이드받침 모듈(42)과 해당 선형 가이드레일 유닛(3) 사이의 접촉 구조가 모두 좌우 대칭을 이룰 수 있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각 응력 전달점의 위치 대칭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 강성을 강화시킬 수 있고, 힘을 받을 때의 변형 비틀림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가공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무게에 따라 절삭 강도(절삭 강성)을 조정하기 위하여 해당 슬라이드 블록(414, 415, 424, 425)의 간격 거리를 새로 조절해야 하는 등의 새로운 수요 조건이 발생했을 때,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본 발명은 대칭 설계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서로 대응되는 슬라이드 블록(414, 415, 424, 425)의 위치를 직접 조정하고 되며, 이에 대해 별도의 기하학적 대칭 구조를 고려하여 변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설계 변경의 어려움과 복잡성이 대폭 하락할 수 있게 된다.
2. 해당 제1 가로 프레임들(411) 및 해당 제1연결 프레임들(412)과 해당 제2 가로 프레임들(421) 및 해당 제2 연결 프레임(422)의 설치 위치가 좌우 대칭을 이루기 때문에 전체 구조의 응력 전달 경로의 대칭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 강성을 강화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가공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해당 제1슬라이드받침 모듈(41), 해당 제2슬라이드받침 모듈(42)은 기본적으로 더블 U자의 설계로 구성되며, 그 결과 해당 슬라이드 블록의 간격 거리를 조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 그중 하나의 U자형 간격 거리만을 넓히면 되고, 다른 하나의 U자형 간격 거리 혹은 형상의 제한을 받지 않게 되며, 또한 대칭성에 영향을 미치며 좌우측 토크가 불일치하는 문제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설계 변경 작업이 매우 직관적이기 때문에 설계 변경의 어려움과 복잡성이 대폭 하락할 수 있게 된다.
3. 각각의 제1좌측 슬라이드 블록(414)과 서로 인접한 제2좌측 슬라이드 블록(425) 사이, 각각의 제1우측 슬라이드 블록(415)과 서로 인접한 제2우측 슬라이드 블록(424) 사이에 모두 보정 틈새(43)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해당 제1주축(93)과 해당 제2주축(94)이 동시에 상승 혹은 하강하며 작업대(92) 상의 두 가지 작업물에 대해 가공을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둘 중에 하나만 단독으로 상승시켜서 단일 대형 작업물에 대해 가공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제1주축(93)과 해당 제2주축(94)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6 및 도7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해당 도면들은 본 발명인 CNC더블 주축 전동장치의 제2 실시예에 관한 것이며, 해당 제2실시예와 상기 제1실시예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해당 선형 가이드레일 유닛(3)은 상하로 뻗어 나온 형태로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해당 기반에 설치되는 3개의 선형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있다. 이하 내용에서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를 각각 제1선형 가이드레일(31), 제2선형 가이드레일(32), 제3선형 가이드레일(33)이라고 한다.
도6, 도8 및 도9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해당 제1좌측 슬라이드 블록들(414)은 좌측의 해당 제1선형 가이드레일(31)에 설치되고, 해당 제1우측 슬라이드 블록들(415)과 해당 제2좌측 슬라이드 블록들(425)은 중간의 해당 제3선형 가이드레일(33)에 설치되며, 해당 제2우측 슬라이드 블록들(424)은 우측의 해당 제2선형 가이드레일(32)에 설치된다.
그중 각각의 제1우측 슬라이드 블록(415)과 서로 인접한 제2좌측 슬라이드 블록(425) 사이에는 해당 보정 틈새(43)를 갖추고 있다.
그결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도 제1실시예와 동일한 목적과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되며, 중간에 추가 설치된 제3선형 가이드레일(33)을 통해 해당 선형 가이드레일 유닛(3)의 중량 부하 능력을 향상시키면서 전체적 작업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술된 내용을 종합해 보면 본 발명인 CNC더블 주축 전동장치는 확실히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알 수있다.
상술한 내용은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결코 이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신청범위 중에서 가한 어떠한 첨가나 수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상술된 내용을 종합해 보면, 본 발명인 CNC더블 주축 전동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구조를 통해 각 응력 전달지점의 위치가 서로 대칭을 이룰 수 있게 되어 전체적 강성 강화, 힘을 받을 때의 변형 비틀림 정도 감소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가공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2: 동력유닛 21: 모터
22:나사 23: 너트받침
3: 선형 가이드레일 유닛 31: 제1선형 가이드레일
32: 제2선형 가이드레일 33: 제3선형 가이드레일
4: 슬라이드받침 유닛 41: 제1슬라이드받침 모듈
411: 제1 가로 프레임 415: 제1우측 슬라이드 블록
42: 제2슬라이드받침 모듈 421: 제2 가로 프레임
422: 제2 연결 프레임 423: 제2 크로스홈
424: 제2우측 슬라이드 블록 425: 제2좌측 슬라이드 블록
43: 보정 틈새 9: CNC더블 주축 가공기
91: 기반 92: 작업대
412: 제1연결 프레임 413: 제1크로스홈
414: 제1좌측 슬라이드 블록 93: 제1주축
94: 제2주축

Claims (10)

  1. CNC더블 주축 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반, 작업대, 제1주축 및 제2주축을 갖추고 있는 CNC 더블 주축 가공기에 응용 사용이 적합하며,
    동력유닛, 선형 가이드레일 유닛, 슬라이드받침 유닛을 갖추고 있고,
    해당 동력유닛은 해당 기반에 설치되고,
    해당 선형 가이드레일 유닛은 상하로 뻗어 나온 형태로 해당 기반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선형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있고,
    해당 슬라이드받침 유닛은 해당 선형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설치되어 해당 동력유닛의 구동을 받으며 해당 작업대에 대응하여 상하 슬라이드 이동을 하는 제1슬라이드받침 모듈 및 제2슬라이드받침 모듈을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제1슬라이드받침 모듈은 해당 제1추축이 설치될 수 있게 해주고, 그중 하나의 선형 가이드레일 상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1좌측 슬라이드 블록과 그중 하나의 선형 가이드레일 우측의 가이드레일 상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1우측 슬라이드 블록을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해당 제2슬라이드받침 모듈은 해당 제2주축이 설치될 수 있게 해주고, 그중 다른 하나의 선형 가이드레일 상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2우측 슬라이드 블록과 그중 하나의 선형 가이드레일 좌측의 가이드레일 상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2좌측 슬라이드 블록을 포함하고 있고, 해당 제1좌측 슬라이드 블록들의 설치 위치는 실질적으로 각각 해당 제1우측 슬라이드 블록의 설치 위치와 대칭을 이루며, 해당 제2좌측 슬라이드 블록들의 실치 위치는 실질적으로 각각 해당 제2우측 슬라이드 블록들의 설치 위치와 대칭을 이루고, 해당 제1좌측 슬라이드 블록의 간격 거리는 실질적으로 대칭을 이루고 있는 해당 제1우측 슬라이드 블록의 간격 거리와 서로 동일하고, 해당 제2좌측 슬라이드 블록의 간격 거리는 실질적으로 대칭을 이루고 있는 해당 제2우측 슬라이드 블록의 간격 거리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C더블 주축 전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해당 선형 가이드레일이 뻗어 나온 방향 상에서, 해당 제1좌측 슬라이드 블록들과 해당 제2좌측 슬라이드 블록들은 서로 교차되어 설치되고, 해당 제1우측 슬라이드 블록들과 해당 제2우측 슬라이드 블록들은 서로 교차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C더블 주축 전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해당 제1좌측 슬라이드 블록들의 설치 높이는 실질적으로 각각 해당 제1우측 슬라이드 블록들의 설치 높이와 동일하며, 해당 제2좌측 슬라이드 블록들의 설치 높이는 실질적으로 각각 해당 제2우측 슬라이드 블록들의 설치 높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C더블 주축 전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해당 제1슬라이드받침 모듈은 실질적으로 수평선을 따라 뻗어나와 상하 방향 간격을 따라 설치되는 두 개의 제1 가로 프레임, 해당 제1가로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1연결 프레임을 갖추고 있고, 해당 제2슬라이드받침 모듈은 실질적으로 수평선을 따라 뻗어나와 상하 방향 간격을 따라 설치되는 두 개의 제2 가로 프레임, 해당 제2가로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2연결 프레임을 갖추고 있고, 해당 제1 가로 프레임들과 해당 제2 가로 프레임들은 해당 선형 가이드레일 방향을 따라 교차되며 설치되고, 해당 제1 가로 프레임들의 좌측은 해당 제1좌측 슬라이드 블록들이 설치되도록 제공되고, 그 우측은 해당 제1우측 슬라이드 블록들이 설치되도록 제공되며, 해당 제2 가로 프레임들의 좌측은 해당 제2좌측 슬라이드 블록들이 설치되도록 제공되며, 그 우측은 해당 제2우측 슬라이드 블록들이 설치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C더블 주축 전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해당 제1 가로 프레임들 및 해당 제1연결 프레임들과 해당 제2 가로 프레임들 및 해당 제2 연결 프레임들의 설치 위치는 서로 좌우 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C더블 주축 전동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해당 제1 가로 프레임들과 해당 제1연결 프레임이 서로 함께 사용되어 경계를 정하게 되고, 그중 하나의 제2가로 프레임이 관통 설치되는 제1크로스홈을 제공하게 되며, 해당 제2 가로 프레임들과 해당 제2연결 프레임이 서로 함께 사용되어 경계를 정하게 되고, 그중 하나의 제1가로 프레임이 관통 설치되는 제2크로스홈을 제공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C더블 주축 전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해당 선형 가이드레일 유닛은 좌우 방향 간격을 따라 설치되는 두 개의 선형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제1좌측 슬라이드 블록들과 해당 제2좌측 슬라이드 블록들은 좌측의 선형 가이드레일에 설치되고, 해당 제1우측 슬라이드 블록들과 해당 제2우측 슬라이드 블록들은 우측의 선형 가이드레일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C더블 주축 전동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해당 각각의 제1좌측 슬라이드 블록과 서로 인접된 제2좌측 슬라이드 블록 사이, 각각의 제1우측 슬라이드 블록과 서로 인접된 제2우측 슬라이드 블록 사이에는 모두 보정 틈새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C더블 주축 전동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해당 제1좌측 슬라이드 블록들은 좌측의 선형 가이드레일에 설치되고, 해당 제1우측 슬라이드 블록들과 해당 제2좌측 슬라이드 블록들은 중간의 선형 가이드레일에 설치되고, 해당 제2우측 슬라이드 블록들은 우측의 선형 가이드레일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C더블 주축 전동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우측 슬라이드 블록과 서로 인접된 제2좌측 슬라이드 블록 사이에는 보정 틈새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C더블 주축 전동장치.
KR1020190172605A 2019-01-24 2019-12-23 Cnc더블 주축 전동장치 KR202000928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8102761 2019-01-24
TW108102761A TWI679073B (zh) 2019-01-24 2019-01-24 Cnc雙主軸傳動裝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862A true KR20200092862A (ko) 2020-08-04

Family

ID=69582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605A KR20200092862A (ko) 2019-01-24 2019-12-23 Cnc더블 주축 전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92862A (ko)
TW (1) TWI67907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92579A (zh) * 2021-01-03 2021-05-14 清华大学 一种用于双轨六滑块滚动导轨副的刚度设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399771U (en) * 2010-10-29 2011-03-11 Jian Xue Qin Y-axis aligned twin spindle C-model vertical machining center with dual Z-axis function
CN201889443U (zh) * 2010-11-05 2011-07-06 简雪赺 双z轴功能的x轴方向排列的双主轴c型立式综合加工机
TWM407120U (en) * 2011-01-27 2011-07-11 Jian Xue Qin Twin spindle C-model vertical machining center
DE102013006522B4 (de) * 2013-04-16 2018-04-26 Emag Holding Gmbh Doppelspindlige Werkzeugmaschine
TWM510805U (zh) * 2015-01-06 2015-10-21 Chen Peng Ren Cnc雙主軸傳動裝置
CN206464830U (zh) * 2017-02-07 2017-09-05 简雪赺 Cnc五轴多面双倍效率加工机
CN206717543U (zh) * 2017-05-17 2017-12-08 东莞市锋鑫数控机床有限公司 双轴复合数控机床
TWM562176U (zh) * 2018-03-15 2018-06-21 Agmachine Techno Co Ltd 雙機頭工具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92579A (zh) * 2021-01-03 2021-05-14 清华大学 一种用于双轨六滑块滚动导轨副的刚度设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27881A (zh) 2020-08-01
TWI679073B (zh) 2019-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196162U (zh) 单立柱立卧复合型多面加工中心
CN101314188A (zh) 双面床身铣床
CN105127842A (zh) 一种精密立式加工中心的控制系统
KR20200092862A (ko) Cnc더블 주축 전동장치
CN105817902A (zh) 一种新型立式加工操作中心
CN104070242A (zh) 一种龙门双滚刀对称式数控滚齿机
CN202087886U (zh) 电梯导轨滑板式龙门刨床
CN212634957U (zh) 一种双主轴龙门钻攻中心
CN113060932A (zh) 一种带有主轴间距自动调节机构的玻璃切割机
CN200967139Y (zh) 一种有四条导轨副装置的加工机床
CN218612804U (zh) 一种双龙门双工位驱动结构
CN102837045A (zh) 涡轮转子对称加工用双主轴铣削加工机床
CN202752832U (zh) 一种双柱立式加工中心机床
CN105149968A (zh) 一种高精度稳固型精密立式加工中心
CN212122368U (zh) 一种多导轨梁式龙门机床
CN204700550U (zh) 一种立式加工中心
CN217493363U (zh) 一种内嵌式不共面数控龙门钻铣床
CN209408068U (zh) 一种双工作台的立卧复合加工中心
CN111660116B (zh) Cnc双主轴传动装置
CN207723888U (zh) 一种加工折弯件的升降台铣床
CN105563122A (zh) 一种型材加工中心
CN114905283A (zh) 一种内嵌式不共面数控龙门钻铣床
CN212824263U (zh) 一种双驱动数控铣床
TWM585184U (zh) 具重心驅動的龍門動柱式工具機
CN204913290U (zh) 一种高精度稳固型精密立式加工中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