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1519A -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1519A
KR20200091519A KR1020190008024A KR20190008024A KR20200091519A KR 20200091519 A KR20200091519 A KR 20200091519A KR 1020190008024 A KR1020190008024 A KR 1020190008024A KR 20190008024 A KR20190008024 A KR 20190008024A KR 20200091519 A KR20200091519 A KR 20200091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harging
battery
motor
tor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진철
이진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8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1519A/ko
Priority to US16/543,898 priority patent/US11794745B2/en
Publication of KR20200091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519A/ko
Priority to US18/368,933 priority patent/US2024000192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5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volving identification of vehicles or their battery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09Braking
    • B60W30/18127Regenerative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60L15/2009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for braking
    • B60L15/2018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for braking for braking on a slo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60L15/2045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for optimising the use of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3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 response to network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60L58/13Maintaining the SoC within a determined r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7/00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 B60L7/10Dynamic electric regenerative brak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42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electric machines
    • B60L2240/421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42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electric machines
    • B60L2240/423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60Navigation input
    • B60L2240/64Road conditions
    • B60L2240/642Slope of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70Interactions with external data bases, e.g. traffic centres
    • B60L2240/72Charging station selection relying on external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6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i.e. power aggregation of EV or HEV, vehicle to grid arrangements [V2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은 배터리;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차륜을 회전시키는 모터;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 및 사용자용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배터리의 충전량이 일정 충전량 이하이면 충전 서비스의 요청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고, 어느 하나의 타 차량을 통해 충전 서비스의 이용 시에 모터에서 발생된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본 발명은 충전 제약에 의해 발생하는 충전의 불편함을 줄이기 위한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차륜을 구동시켜 도로를 주행하는 기계로, 차량에는 탑승자 보호, 운행 보조 및 승차감의 향상을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탑재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은 휘발유, 경유와 같은 석유연료를 연소시켜 기계적인 동력을 발생시키고 이 기계적인 동력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내연기관 차량(일반 엔진 차량)과, 연비 및 유해 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주행하는 친환경 차량을 포함한다.
여기서 친환경 차량은 충전 가능한 전원부인 배터리와 모터를 포함하고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로 모터를 회전시키고 모터의 회전을 이용하여 차륜을 구동시키는 전기 차량과, 엔진, 배터리 및 모터를 포함하고 엔진의 기계적인 동력과 모터의 전기적인 동력을 제어하여 주행하는 하이브리드 차량과, 수소 연료 전지 차량을 포함한다.
친환경 차량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충전소 인프라의 구축이 필수적이지만, 이러한 충전소 인프라의 구축은 친환경 차량의 개발 속도만큼 확보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친환경 차량은 배터리를 충전할 때에, 배터리의 충전 시간 동안 주행하지 못하는 때문에 도착지에서의 도착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었다.
일 측면은 견인 모드 및 충전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고, 충전 모드를 수행할 때 회생 제동을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고, 견인 모드를 수행할 때 충전 모드를 수행하는 타 차량에게 충전 정보 및 제동 정보를 전송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은 충전 모드를 수행할 때 충전 우선 모드 또는 효율 우선 모드의 선택 정보를 타 차량에게 전송하고 충전 상태 정보를 타 차량에게 전송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은 충전 모드 수행 시 타 차량과 통신이 불가능하면 미리 설정된 회생 토크로 충전을 수행하고,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회생 토크를 조절하며 충전을 수행하며, 충전 정보를 타 차량의 사용자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배터리;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차륜을 회전시키는 모터;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 및 사용자용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배터리의 충전량이 일정 충전량 이하이면 충전 서비스의 요청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고, 어느 하나의 타 차량을 통해 충전 서비스의 이용 시에 모터에서 발생된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충전 서비스의 이용 시,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충전량 이하이면 충전 우선 모드의 수행을 제어하고,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충전량을 초과하면 효율 우선 모드의 수행을 제어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충전 우선 모드의 수행 시에, 미리 설정된 최대 회생 토크를 확인하고 확인된 최대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도로의 경사도를 검출하는 경사도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검출된 도로의 경사도에 기초하여 확인된 최대 회생 토크를 조절하고 조절된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효율 우선 모드의 수행 시에, 모터의 회전 속도를 기준 회전 속도로 유지시키고, 기준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회생 토크를 확인하고 확인된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차량의 주행 속도, 모터의 출력 및 모터의 토크에 대응하는 효율을 룩 업 테이블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효율 우선 모드의 수행 시에, 저장부에 저장된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도로의 경사도를 검출하는 경사도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검출된 도로의 경사도에 기초하여 확인된 회생 토크를 조절하고 조절된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어느 하나의 타 차량에 연결된 체결 부재가 결합되는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충전 서비스의 이용 시, 시동이 온되도록 제어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타 차량으로부터 제동력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동력의 정보에서 추가 제동력을 확인하고 확인된 추가 제동력에 기초하여 모터의 회생 제동을 제어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타 차량으로부터 회생 가능 토크가 수신되면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모터의 회생 토크를 확인하고 확인된 모터의 회생 토크와 수신된 회생 가능 토크 중 더 작은 토크의 정보를 어느 하나의 타 차량에게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타 차량으로부터 충전 서비스의 제공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견인 모드를 수행하고, 주행에 필요한 필요 토크를 확인하고, 타 차량으로부터 모터의 회생 토크가 수신되면 수신된 모터의 회생 토크와 필요 토크에 기초하여 주행 토크를 획득하고 획득된 주행 토크에 기초하여 모터의 구동을 제어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타 차량으로부터 충전 서비스의 제공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회생 가능한 회생 가능 토크를 타 차량에게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충전 서비스의 이용 중, 배터리의 충전량이 기준 충전량이면 충전 완료라고 판단하여 어느 하나의 타 차량에게 충전 완료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통신부는 사용자용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고, 제어부는 충전 서비스의 이용 중, 어느 하나의 차량과 통신 불가능하면 배터리의 충전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배터리의 충전량이 기준 충전량이면 충전 완료라고 판단하여 사용자용 단말기에 충전 완료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고, 사용자용 단말기는, 어느 하나의 차량에 위치한 단말기인 것을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배터리;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차륜을 회전시키는 모터; 타 차량에 연결된 체결 부재가 결합되는 결합 부재; 충전 서비스의 이용 시, 시동 온을 제어하고, 모터 발생된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제어하되 기준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사용자용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충전 서비스의 이용 중, 타 차량과 통신이 불가능하면 배터리의 충전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배터리의 충전량이 기준 충전량이면 충전 완료라고 판단하여 사용자용 단말기에 충전 완료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고, 사용자용 단말기는, 어느 하나의 차량에 위치한 단말기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도로의 경사도를 검출하는 경사도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검출된 도로의 경사도에 기초하여 기준 회생 토크를 조절하고 조절된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은, 배터리와 모터를 가지는 차량에 있어서, 배터리의 충전량이 일정 충전량 이하이면 충전 서비스의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타 차량에 의해 타력으로 이동 시에 모터에서 발생된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한다.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은,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충전량 이하이면 충전 우선 모드를 수행하고, 충전 우선 모드의 수행 시에, 미리 설정된 최대 회생 토크를 확인하고 확인된 최대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고,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충전량을 초과하면 효율 우선 모드를 수행하고, 효율 우선 모드의 수행 시에, 모터의 회전 속도를 기준 회전 속도로 유지시키고, 기준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회생 토크를 확인하고 확인된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은, 도로의 경사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도로의 경사도에 기초하여 모터의 회생 토크를 조절하고, 조절된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차량의 제어방법은 타 차량으로부터 충전 서비스의 제공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견인 모드를 수행하고, 주행에 필요한 필요 토크를 확인하고, 타 차량으로부터 모터의 회생 토크가 수신되면 수신된 모터의 회생 토크와 필요 토크에 기초하여 주행 토크를 획득하고, 획득된 주행 토크에 기초하여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충전과 주행을 동시에 할 수 없는 상황에 있는 차량을 견인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주행하도록 할 수 있고, 견인 시 회생 제동에 의해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조사의 견인 서비스를 통해 제조사의 이미지를 향상시킬 수 있고, 친환경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견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에게 서비스 이용 비용을 지불함으로써 견인 서비스의 이용이 확대되도록 할 수 있고, 친환경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친환경 차량의 불편함을 해소함에 따라 친환경 차량의 판매량 및 이용량을 높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차량에 의해 발생되는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로의 경사도에 기초하여 회생 토크를 조절하고 견인 모드의 차량으로부터 제동 정보를 수신하여 제동을 수행함으로써 견인 시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배터리의 충전 완료 시에 사용자용 단말기를 통해 충전 완료 정보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회생 중지로 인한 운전성 급변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친환경 차량의 품질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리성 및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통신 예시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표시부의 표시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충전 서비스의 예시도이다.
도 6a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차속에 대응하는 모터의 출력 및 토크 파워의 그래프이다.
도 6b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모터의 속도 및 토크에 대응하는 제동 효율 표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과 통신 가능한 타 차량과 충전 서비스 이용 시 충전 모드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8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과 통신 불가능한 타 차량과의 충전 서비스 이용 시 충전 모드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과 통신 가능한 타 차량과 충전 서비스 이용 시 견인 모드의 제어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 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 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장치'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 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장치'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장치'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 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통신 예시도이다.
도 1은 자 차량(1)과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2) 사이의 통신과, 차량(1)과 서버(3) 및 인프라(4) 사이의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차량(1)은 안테나(101)를 통하여 전자기파를 외부로 방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안테나(101)는, 차량(1)에 마련된 제어부(150)에서 전달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전자기파를 방출할 수 있다.
타 차량(2)은 차량(1)의 안테나(101)를 통해 방출된 전자기파를 안테나(201)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타 차량(2)은 안테나(201)를 통해 자 차량(1)에서 방출된 전자기파를 수신하고, 수신한 전자기파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며, 변환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차량(2)의 제어에 이용할 수 있다.
타 차량(2)은 안테나(201)를 통해 타 차량(2)의 제어부(미도시)에서 전달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고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전자기파를 방출할 수 있다.
이때 차량(1)은 안테나(101) 통해 타 차량에서 방출된 전자기파를 수신하고, 수신한 전자기파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차량(1)의 안테나(101)의 구동 모듈은 수신된 전자기파를 복조시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제어부(120)에 전달한다. 이때 차량(1)의 제어부(150)는 변환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차량(1)의 제어에 이용한다.
차량(1)은 타 차량 과의 통신(V2V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은 서버(3)와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서버(3)는 자 차량(1), 타 차량(2)을 관리하는 서비스 센터, 제조사, 정비 센서, 충전 관리 센터 등에 마련된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서버(3)는 자 차량(1) 및 타 차량(2)과 연계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즉, 앱) 서버일 수 있다.
차량(1)은 도로의 인프라(4)를 통해 서버(3)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1)은 도로의 인프라(4)에서 방출된 전자기파를 수신하거나, 또는 도로의 인프라(4)로 전자기파를 방출할 수 있다.
인프라(4)는 차량(1)의 안테나(101)에서 방출된 전자기파를 안테나(401)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전자기파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1)에서 제공한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인프라(4)의 컨트롤러(미도시)는, 별도의 케이블을 통하여 외부의 서버(3) 등으로 전기적 신호,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생성한 제어 신호나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획득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인프라(4)의 컨트롤러는 서버(3)로부터 전기적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제어 신호나 정보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어신호나 정보를 전자기파로 변환하며 변환된 전자기파를 안테나(401)를 통해 방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인프라(4)의 주변에 위치한 차량은 인프라(4)에서 방출된 전자기파를 수신할 수 있다.
인프라(4)는 서버(3)의 제어명령에 따라 어느 하나의 차량만이 수신할 수 있는 전자기파를 방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차량(1)의 안테나(101)는 인프라(4)의 안테나(401)에서 전달되는 전자기파를 수신할 수 있으며, 차량(1)의 제어부(150)는 수신된 전자기파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차량(1)의 각종 부품, 일례로 차량의 표시부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차량(1)의 표시부를 제어함으로써 표시부를 통해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1)과 인프라(4, 즉 구조물) 간 통신(V2I communication)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는 배터리와 모터를 가지는 전기 차량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은 배터리(110), 전력 변환부(120), 모니터링부(130), 단말기(140), 제어부(150), 저장부(151), 통신부(160), 모터 및 경사도 검출부(190(를 포함한다.
배터리(110)는 모터(170)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고, 단말기, 오디오 장치, 램프, 구동 모터, 그 외 전자장치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전자 장치들에 구동 전력을 공급한다.
배터리(110)는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배터리일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는 차량에 하나 또는 두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는, 모터(170) 등을 포함한 파워 트레인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제1배터리와, 편의 장치 및 부가 장치 등과 같은 전자 장치들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제2배터리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배터리의 출력 전압은 제2배터리의 출력 전압과 동일할 수도 있고 제2배터리의 출력 전압보다 높을 수도 있다.
제1배터리는 회생 제동 시 발전 기능을 수행하는 모터(170)에서 생산된 전력에 의해 충전될 수 있고, 제2배터리는 제1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아울러 제2배터리 또한 모터(170)에서 생산된 전력에 의해 충전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는 제1배터리(이하, 배터리로 기재함)를 충전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전력 변환부(120)는 외부에서 공급된 전력을 배터리(110)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력을 배터리(110)에 공급한다. 여기서 외부에서 공급된 전력은 충전소의 전력, 상용 전원의 전력일 수 있다.
전력 변환부(120)는 모터의 회전에 의해 모터에서 발생된 전력을 배터리(110)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으로 변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전력변환부(120)는 부스터, 적어도 하나의 컨버터 및 인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부스터는 외부의 교류 전원(AC)이 수신되면 수신된 교류 전원을 정류하고 정류된 직류 전력을 배터리(110)의 충전에 적절한 직류 전력으로 승압하며 승압된 직류 전력을 배터리(110)에 공급하여 배터리(110)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외부의 교류 전원은 충전소의 교류 전원일 수 있다.
컨버터는 모터(170)의 출력 증대 및 효율을 위해 배터리(110)의 직류 전력을 승압한다. 이러한 컨버터는 배터리(110)에 충전된 직류 전력을 일정 크기 이상의 직류 전력으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승압부을 이용하여 대략 220V의 AC전압을 72V의 DC전압으로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경우, 컨버터는 배터리(110)에서 출력된 대략 72V의 DC전압을 300V의 DC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러한 컨버터는 배터리의 출력, 모터의 구동 전력 및 인버터의 능력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제2배터리가 마련된 경우, 전력 변환부는 제1배터리의 직류 전력을 제2배터리의 충전에 적절한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직류 전력을 제2배터리에 공급하여 제2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하는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2 배터리(111, 112)의 출력 전압이 동일할 경우, 제2배터리의 충전 전력을 변환하기 위한 컨버터는 생략 가능하다.
또한 제1, 2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상이할 경우, 제1배터리의 충전 전력을 변환하기 위한 컨버터 내의 스위치 소자의 펄스 폭 변조를 제어하여 제1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력을 제2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으로 변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버터(121)는 컨버터에서 전달받은 출력 전압에 대응하여 DC 전압을 AC전압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AC전압을 모터(170)에 인가한다. 즉 인버터(121)는 배터리(110)의 전력을 모터(170)의 구동 전력으로 변환한다.
인버터(121)는 차량의 회생 제동 시 모터(170)의 회생 에너지를 배터리(110)로 전달하여 배터리(110)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인버터(121)는 승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인버터는 양방향 DC/AC 인버터일 수 있다.
인버터(121)는 복수 개의 스위치 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캐패시터와 정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30)는 배터리(110)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충전 상태에 대한 충전 상태 정보를 제어부(150)에 전송하한다.
모니터링부(130)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검출부는 배터리(110)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를 포함하고, 배터리(110)의 출력단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및 배터리(110)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모니터링부(130)는 검출된 배터리의 전류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모니터링부(130)는 검출된 배터리의 전류와 전압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도 가능하다.
모니터링부(130)는 배터리의 각 셀들의 전류, 전압, 온도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를 모니터링하는 것도 가능하다.
모니터링부(130)는 모니터링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대한 충전 상태 정보를 제어부(150)에 출력하도록 한다.
여기서 배터리(110)의 충전 상태는 배터리의 충전량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30)는 배터리(110)의 전류에 대응하는 충전 레벨을 저장하고 배터리의 미리 설정된 레벨을 저장한다.
즉 모니터링부(130)는 검출된 전류에 대응하는 충전 레벨을 확인하고, 확인된 충전 레벨이 미리 설정된 레벨이면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트리거 신호를 제어부(150)에 전송한다. 여기서 트리거 신호는 배터리(110)의 충전의 필요성을 알리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모니터링부(130)는 배터리의 충전량에 대응하는 충전 레벨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모니터링부(130)는 미리 저장된 테이블로부터 배터리의 전류, 전압 및 온도에 대응하는 배터리의 충전량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저장된 테이블에는 배터리의 전류, 전압 및 온도의 상관 관계에 대응하는 배터리의 충전량이 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모니터링부(130)는 주기적으로 배터리(110)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대한 충전 상태 정보를 제어부(150)에 출력한다.
단말기(140)는 차량의 내부에 마련된 차량용 단말기로,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방송 기능(DMB 기능), 라디오 기능, 컨텐츠 재생 기능, 인터넷 검색 기능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영상을 표시한다.
단말기(140)는 대시 보드 상에 매립식 또는 거치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140)는 표시부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고, 입력부로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기(140)는 디스플레이 패널만을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에 터치 패널이 일체화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기(140)는 디스플레이 패널만으로 구현된 경우, 센터페시아에 마련된 입력부(미도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버튼을 선택받을 수 있다.
단말기(14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경우, 터치 패널을 통해 사용자의 동작 명령을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기(140)는 표시부(142)를 포함할 수 있고, 입력부(1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41)는 복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온 오프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입력부(141)는 라디오 기능,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맵 표시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DMB 기능, 컨텐츠 재생 기능, 인터넷 검색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41)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모드 선택 시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41)는 서버(3)와의 통신 온 명령 및 통신 오프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41)는 충전 서비스 모드의 온오프 명령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충전 서비스 모드는 디폴트된 모드로,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부(141)는 타 차량으로부터 충전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충전 필요의 요청 명령을 입력받고, 충전 서비스에 대한 요금 납부 정보를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부(141)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표시된 충전 서비스의 충전 필요 정보의 전송에 대한 승낙 명령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부(141)는 타 차량에게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견인 모드에 대한 승낙 명령 및 거절 명령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부(142)는 수행 중인 기능에 대한 동작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42)는 전화 통화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거나, 단말기(140)를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의 정보를 표시하거나, 음악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외부의 방송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142)는 내비게이션 모드 수행 시,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표시하고, 길 안내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142)는 서버(3)와의 통신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배터리(110)의 충전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배터리(110)의 충전 상태 정보는 배터리의 충전량과, 배터리의 충전량에 대응하는 충전 레벨을 포함할 수 있소, 충전 완료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완료 정보는, 목적지까지 이동 가능한 충전량에 대응하는 정보 및 만충에 대응하는 정보일 수 있다.
서버(3)와의 통신 상태 정보는 서버와의 통신 가능, 서버와의 통신 불가능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부(142)는 충전 서비스 이용 시 변경된 목적지를 표시하고, 변경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변경된 목적지는 충전 서비스를 이용하는 타 차량과 만나기 위한 장소일 수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42)는 충전 필요에 대한 충전 서비스의 이용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고,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서비스를 수행하는 다른 차량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다른 차량의 정보는 차량 번호, 차종, 색상 등일 수 있다.
표시부(142)는 충전 모드의 수행 중 제동 수행 정보, 경사도 정보 및 경사도 정보에 대응하는 회생 토크의 조절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부(142)는 차량에서 수행 중인 충전 우선 모드 또는 효율 우선 모드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부(142)는 충전 효율 모드의 수행 시 효율 입력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차량이 상용 교류 전원에 연결되면 부스터 내의 스위치 소자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여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하고, 주행 중 컨버터와 인버터를 제어하여 모터(170)가 구동되도록 한다.
제어부(150)는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가압되면 모터(170)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이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차량이 하이브리드 차량인 경우, 제어부(150)는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가압되면 엔진(미도시) 및 모터(17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차량이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50)는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가압된 상태에서 해제되면 모터(170)의 회전 속도가 감소되도록 한다.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제어부(150)는 브레이크 페달과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모두 가압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엔진과 모터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을 제어하되 차량의 주행에 사용하고 남은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도록 전력 변환부(120)를 제어함으로써 배터리(110)가 충전되도록 한다.
제어부(150)는 브레이크 페달이 가압되면 모터(170)에 작용하는 힘이 역방향으로 작용하도록 모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모터(170)가 발전기로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차량이 하이브리드 차량인 경우, 제어부(150)는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 정보가 수신되면 브레이크 페달을 가압하는 속도와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양에 기초하여 운전자가 요구하는 제동력을 획득하고 획득된 제동력의 범위 내에서 기준 회생 제동을 수행하고, 나머지의 제동력은 유압 브레이크 장치의 제어를 통해 보완하도록 유압 제동부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50)는 기준 제동력 이하의 제동력이 필요할 때는 모터(170)를 이용하여 감속하다가 기준 제동력 이상의 제동력이 필요할 때에는 유압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타력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모터의 회전 속도와 도로의 경사도에 기초하여 목표 회생 토크를 결정하고 목표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모터(17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모터(170)에 의해 회생 토크가 발생되면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회생 토크는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모터(170)의 토크로, 회생제동 시 회생 제동력에 대응한다.
즉 제어부(150)는 모터(170)를 이용하여 회생 제동력 발생 제어 시 모터(170)에 인가되는 전력을 차단하고, 인버터(121)의 구동을 제어하여 모터(170)의 토크의 방향이 역방향이 되도록 함으로써 모터(170)가 발전기로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모터(170)의 회전방향은 관성력에 의해 변경되지 않는다.
제어부(150)는 모니터링부(130)로부터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대한 충전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충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한지 판단하고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충전 필요 정보를 서버(3) 및 타 차량(2)에 전송한다. 여기서 배터리의 충전 상태(State Of Change, SOC) 정보는 배터리의 충전량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배터리의 충전량이 일정 충전량 이하이면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충전량은, 방전 한계에 대응하는 충전량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모니터링부(130)로부터 트리거 신호가 수신되면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모니터링부(130)로부터 트리거 신호가 수신되면 충전 필요 정보를 서버(3) 및 타 차량에 자동으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타 차량은 자 차량과 인접한 위치에서 주행하고 있는 차량으로, 자 차량과 통신 가능한 차량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충전 필요 정보를 출력하도록 표시부(142)를 제어하고, 입력부(141)를 통해 충전 필요 정보의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충전 필요 정보를 서버(3) 및 타 차량(2)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자 차량(1)의 충전 필요 정보에 대응하는 타 차량의 충전 서비스 제공 정보가 수신되면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타 차량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42)를 제어하고, 다른 차량과 만나기 위한 목적지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42)를 제어하며, 현재 위치 정보와 목적지의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부터 변경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경로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42)를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타 차량으로부터 충전 서비스를 제공받을 때 충전 모드를 수행하고, 타 차량에게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때 견인 모드를 수행한다.
제어부(150)는 자 차량(1)에게 충전 서비스를 요청하는 정보가 수신되면 충전 서비스 제공의 승낙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입력부(141)를 통해 승인 정보가 입력되면 서버 또는 타 차량에게 승인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고 입력부(141)를 통해 거절 정보가 입력되면 서버 또는 타 차량에게 거절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41)를 통해 승인 정보가 입력되면 충전 서비스를 요청한 타 차량의 정보를 표시부(142)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다른 차량과 만나기 위한 목적지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42)를 제어하며, 현재 위치 정보와 목적지의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부터 변경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경로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42)를 제어한다.
(1) 차량이 충전 모드를 수행할 경우, 제어부(15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은 충전 모드를 수행할 때, 타 차량(2)에 의해 견인될 수 있다.
자 차량(1)과 타 차량(2)은 각각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충전 서비스 이용 시, 두 차량의 결합 부재에 체결된 체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주행할 수 있다.
자 차량은 충전 모드 시에 시동이 온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타 차량(2)은 자 차량(1)의 충전 필요 정보의 전송에 대응하여 충전 서비스의 제공 요청을 승인한 차량으로, 견인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타 차량(2)은 내연기관 차량일 수도 있고, 친환경 차량일 수도 있다.
타 차량(2)은 통신이 가능한 차량일 수도 있고, 통신이 불가능한 차량일 수도 있다.
자 차량(1)이 타 차량에 의해 견인될 때, 자 차량의 차륜(101)은 회전할 수 있으며, 이때 회생 토크가 발생될 수 있고 회생 토크에 의해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 차량(2)이 통신이 불가능한 차량일 경우, 타 차량(2)은 단말기(5)를 통해 충전 서비스의 요청에 응답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차량(1)은 타 차량(2)의 소유자의 사용자용 단말기(5)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1.1) 우선 차량(1)과 타 차량(2) 간의 통신이 가능할 때, 차량(1)의 제어부(15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1)의 제어부(150)는 충전 모드의 진입 전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충전 상태에 대응하는 충전량을 확인하며 확인된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충전량 이하이면 충전 우선 모드의 정보를 타 차량(2)에 전송하고, 충전 우선 모드의 수행을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확인된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충전량을 초과하면 효율 우선 모드의 정보를 타 차량(2)에 전송하고 효율 우선 모드의 수행을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충전 우선 모드의 수행 시, 저장부(151)에 저장된 룩 업 테이블로부터 최대 회생 토크를 확인하고 확인된 최대 회생 토크를 자 차량의 회생 토크로 타 차량(2)에 전송한다.
제어부(150)는 효율 우선 모드의 수행 시, 속도 검출부(미도시)에서 검출된 차량의 주행 속도에 대응하는 모터의 회전 속도를 확인하고 확인된 모터의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회생 토크를 확인하며 확인된 회생 토크를 타 차량(2)에 전송한다.
제어부(150)는 효율 우선 모드의 수행 시, 모터(170)에 마련된 회전 속도 검출부(미도시)에 의해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모터의 회전 속도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효율 우선 모드의 수행 시, 표시부(142)를 통해 충전 효율의 입력 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충전 효율을 상 버튼과, 충전 효율 하 버튼을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고, 충전 효율에 대한 수치의 입력안내 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41)를 통해 상버튼이 입력되면 입력된 충전 효율이 기준 효율 이상이라고 판단하여 모터의 토크를 제어하고, 입력부(141)를 통해 상버튼이 입력되면 입력된 충전 효율이 기준 효율 미만이라고 판단하여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41)를 통해 충전 효율이 입력되면 입력된 충전 효율이 기준 효율 이상인지 확인하고 확인 충전 효율이 기준 효율 이상이면 모터의 토크를 제어하고, 확인된 충전 효율이 기준 효율 미만이면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모터의 토크 제어 시, 제어될 토크를 회생 토크로 타 차량(2)에 전송한다.
제어부(150)는 모터의 회전 속도 제어 시, 모터의 회전 속도와 입력된 효율에 대응하는 토크를 확인하고 확인된 토크를 회생 토크로 타 차량(2)에 전송한다.
제어부(150)는 효율 우선 모드의 수행 시, 타 차량로부터 전송된 회생 가능 토크 및 모터(170)의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회생 토크를 확인하고, 확인된 타 차량의 회생 가능 토크 및 모터의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회생 토크 중 더 작은 회생 토크를 확인하고 확인된 회생 토크에 대응하는 정보를 타 차량(2)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충전 우선 모드의 수행 시, 타 차량으로부터 전송된 회생 가능 토크 및 자 차량의 최대 회생 토크를 확인하고, 확인된 타 차량의 회생 가능 토크 및 모터의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회생 토크 중 더 작은 회생 토크를 확인하고 확인된 회생 토크에 대응하는 정보를 타 차량(2)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타 차량으로부터 전송된 회생 가능 토크는, 타 차량에 저장된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확인된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경사도 검출부(190)에 의해 검출된 도로의 경사도에 기초하여 확인된 회생 토크를 조절하고 조절된 회생 토크를 타 차량에 전송한다.
제어부(150)는 경사도 검출부(190)에 의해 검출된 도로의 경사도와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확인된 회생 토크를 조절하고 조절된 회생 토크를 타 차량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충전 모드의 수행 중 경사도 검출부(190)에 의해 검출된 도로의 경사도와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확인된 회생 토크를 조절하고 조절된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전력 변환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타 차량으로부터 도로의 경사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충전 우선 모드의 수행 중 충전된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충전량을 초과하면 충전 효율 모드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타 차량으로부터 추가 제동력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로 필요한 제동력을 확인하고 확인된 추가 제동력이 발생되도록 모터(170)의 회생 제동 및 유압 제동부(180)의 유압 제동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다.
차량(1)의 제어부(150)는 충전 모드의 수행 중 충전된 배터리의 충전량과 기준 충전량을 비교하고 충전된 배터리의 충전량이 기준 충전량이라고 판단되면 충전 완료라고 판단하고 충전 완료에 대한 정보를 타 차량(2)에게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기준 충전량은, 배터리의 충전 가능한 최대 충전량으로, 배터리가 만충되었을 때의 충전량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충전 모드의 수행 중 충전된 배터리의 충전량과 목적지까지 이동 시에 필요한 충전량을 확인하고, 충전된 배터리의 충전량과 필요한 충전량을 비교하여 충전된 배터리의 충전량이 필요한 충전량 이상이면 충전 완료라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1.2) 차량(1)과 타 차량(2) 간의 통신이 불가능할 때, 차량(1)의 제어부(15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150)는 타 차량과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충전 모드의 수행 중 기준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전력 변환부(1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타 차량과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충전 모드의 수행 중 경사도 검출부(190)에 의해 검출된 도로의 경사도와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기준 회생 토크를 조절하고 조절된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전력 변환부(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도로의 경사도가 제1기준 경사도 이상이면 기준 회생 토크를 감소시키되 도로의 경사도에 대응하는 값만큼 감소시키고, 도로의 경사도가 제2기준 경사도 미만이면 기준 회생 토크를 증가시키되 도로의 경사도에 대응하는 값만큼 증가시킨다.
여기서 제1기준 경사도는 오르막 길을 판단하기 위한 경사도이고, 제2경사도는 내리막 길을 판단하기 위한 경사도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타 차량과 통신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타 차량의 소유자의 단말기(5)와 통신을 제어하고 타 차량에 위치한 단말기(5)에 기준 회생 토크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타 차량에 위치한 단말기(5)으로부터 타 차량에서 회생 가능한 회생 토크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타 차량과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충전 모드의 수행 중 충전된 배터리의 충전량과 기준 충전량을 비교하고 충전된 배터리의 충전량이 기준 충전량이라고 판단되면 충전 완료라고 판단하고 충전 완료에 대한 정보를 타 차량(2)에 위치한 단말기(5)에게 전송한다.
(2) 차량(1)이 견인 모드를 수행할 경우, 제어부(15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1)은 견인 모드를 수행할 때, 타 차량(2)을 끌 수 있다.
여기서 타 차량(2)은 자 차량(1)의 충전 필요 정보의 전송에 대응하여 충전 서비스를 요청한 차량으로, 충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타 차량(2)은 친환경 차량일 수 있다.
자 차량(1)과 타 차량(2)은 충전 서비스 이용 시, 체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견인 모드의 수행 시에 타 차량으로부터 회생 토크가 수신되면 수신된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주행 토크를 획득하고 획득된 주행 토크에 기초하여 모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주행 토크는, 자 차량의 주행에 필요한 토크와 타 차량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회생 토크를 합산한 토크일 수 있다.
자 차량의 주행에 필요한 토크는, 액셀러레이터 페달에 의해 인가된 압력 및 차량의 주행 속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브레이크 페달에 의해 인가된 압력 및 차량의 주행 속도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하이브리드 차량인 경우, 제어부(150)는 견인 모드의 수행 시에 타 차량으로부터 회생 토크가 수신되면 수신된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주행 토크를 획득하고 획득된 주행 토크에 기초하여 모터 및 엔진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내연 기관 차량인 경우, 제어부(150)는 견인 모드의 수행 시에 타 차량으로부터 회생 토크가 수신되면 수신된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주행 토크를 획득하고 획득된 주행 토크에 기초하여 엔진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50)는 브레이크 페달이 가압되면 모터 및 유압 제동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제동을 수행한다.
제어부(150)는 제동 수행 시, 브레이크 페달을 통해 인가된 압력에 기초하여 운전자가 요구하는 제동력을 획득하고 획득된 요구 제동력 중 자 차량에서 발생 가능한 제동력을 확인하며, 획득된 요구 제동력과 발생 가능한 제동력을 비교하고, 획득된 요구 제동력이 발생 가능한 제동력보다 크면 획득된 요구 제동력과 발생 가능한 제동력의 차이에 해당하는 추가 제동력을 타 차량(2)에게 전송한다.
여기서 자 차량에서 발생 가능한 제동력은 모터의 회생 제동에 의한 제동력과 유압 제동부의 제동력을 합산한 제동력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자 차량의 주행 토크를 타 차량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타 차량과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회생 가능한 회생 토크를 타 차량에게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타 차량과 통신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미리 저장된 기준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주행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타 차량으로부터 충전 완료 정보가 수신되면 충전 서비스를 종료한다.
제어부(150)는 타 차량과 통신이 불가능할 때, 입력부를 통해 충전 완료 정보가 수신되면 충전 서비스를 종료한다.
제어부(150)는 충전 서비스가 완료되면 충전 서비스의 수행 시간을 확인하고 확인된 수행 시간에 기초하여 서비스 비용을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고, 충전 서비스 동안 이동한 거리를 확인하고 확인된 거리에 기초하여 서비스 비용을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부(151)는 배터리의 충전의 필요성을 판단하기 위한 일정 충전량을 저장하고, 충전 우선 모드와 충전 효율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충전량을 저장한다.
저장부(151)는 배터리의 충전의 완료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충전량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부(151)는 미리 설정된 회생 토크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부(151)는 모터의 회전속도, 모터의 출력 및 모터의 토크 파워의 상관 관계에 대응하는 효율을 가지를 룩업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도 6a는 차속에 대응하는 모터의 출력(a)과 모터의 토크 파워(b)의 그래프이고, 도 6b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모터의 속도 및 토크에 대응하는 회생 제동의 효율 표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 속도(즉, 차속) 중 일정 차속 이하까지는 모터의 최대 토크가 일정하고, 일정 차속을 초과하는 지점부터는 모터의 최대 출력이 유지되면서 모터의 토크는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주행속도는 모터의 회전 속도에 대응할 수 있다.
아울러 모터의 토크 파워와 모터의 출력이 만나는 어느 한 점에서 효율이 최대임을 알 수 있다.
즉 모터의 출력이 상승하다가 유지되는 지점과 모터의 토크 파워가 감소하는 지점의 영역(c )에서 회생 제동의 효율이 최적점임일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의 속도가 빠를수록 회생 효율이 낮아지고, 모터의 토크 파워도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테이블과 같은, 즉 차속과, 모터의 출력과, 모터의 토크 파워의 상관 관계에 대응하는 회생 제동의 효율이 룩 업 테이블로 차량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저장부(151)는 차량의 식별 정보 및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부(151)는 사용자용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부(151)는 제어부(150)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저장부(151)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통신부(160)는 서버(3), 타 차량(2) 및 인프라(4)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160)는 제어부(150)의 제어 신호를 서버(3), 타 차량 및 인프라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고 서버(3), 인프라 및 타 차량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전송된 각종 정보를 제어부(150)에 전송한다.
통신부(160)는 사용자용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부(160)는 GPS 수신기(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차량의 현재 위치의 정보를 제어부(150)에 전송한다.
통신부(160)는 제어부(150)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직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 통신 모듈,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170)는 주행 시 배터리(110)의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회전력을 차륜에 전달하여 차륜이 구동되도록 한다.
모터(170)는 차량이 타력에 의해 주행할 때, 즉 견인 모드를 수행하는 차량에 의해 주행할 때, 발전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모터(170)는 차륜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며, 역방향의 토크가 발생되고 이때 발생된 역방향의 토크에 의해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유압 제동부(180)는 차량의 제동 장치로서, 제어부(15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유압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유압을 이용하여 차륜에 제동력을 인가하는 유압 브레이크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사도 검출부(190)는 도로의 경사도를 검출한다.
이러한 경사도 검출부(190)는 가속도 센서일 수도 있고, 자이로 센서, 각속도 센서, 중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과 통신하는 서버(3)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서버(3)는 인프라(4)를 통해 충전 서비스를 이용하는 복수 대의 차량과 통신을 수행한다.
서버(3)는 충전 서비스를 이용하는 복수 대의 차량의 운전자가 소지한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서버(3)는 어느 하나의 차량으로부터 충전 필요 정보(즉 충전 모드 정보)가 수신될 때, 어느 하나의 차량의 정보, 목적지 정보,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차량에게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다른 차량(즉 견인 모드를 수행할 차량)을 검색한다.
서버(3)는 충전 서비스를 이용할 두 차량이 만날 수 있는 접견지를 검색하고 검색된 접견지를 목적지 정보로 두 차량에게 전송하며, 또한 두 차량에게 서로의 차량 정보를 전송한다.
서버(3)는 충전 서비스 이용에 대한 서비스 비용을 두 차량에게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서버는 각 차량의 차량용 단말기에 비용 정보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고, 각 차량의 운전자의 단말기에 비용 정보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서버(3)는 충전 서비스 이용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충전 서비스를 이용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소지한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서버(3)는 충전 서비스를 이용하는 차량의 정보를 저장한다. 차량의 정보는 차종, 번호판, 색상 및 소유자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된 차량의 정보는, 충전 서비스의 이용을 신청한 차량 소유자에 의해 등록된 정보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서버는, 복수 대의 차량을 관리하는 서비스 센터, 제조사, 정비 센서, 충전 관리 센터나, 복수 대의 차량과 연계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비스 사에 마련된 서버일 수 있다.
아울러 서버는 복수 대의 차량과 연계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즉, 앱)이 설치된 사용자용 단말기를 통해 서버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말기(5)는 통신 및 이동이 가능한 사용자용 단말기로, 충전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저장 및 실행이 가능한 기기일 수 있다.
사용자용 단말기(5)는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이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과 통신 가능한 타 차량과 충전 서비스 이용 시 충전 모드의 제어 순서도이다.
차량(1)은 모니터링부(130)에서 모니터링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대한 충전 상태 정보를 확인(601)하고 확인된 충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한지 판단(602)한다.
차량(1)은 충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량을 인식하고 인식된 충전량과 일정 충전량을 비교하여 인식된 충전량이 일정 충전량 이하라고 판단되면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차량은 배터리(110)의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충전 필요 정보를 차량용 단말기(140)를 통해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차량(1)은 차량용 단말기(140)를 통해 사용자에게 충전 서비스를 이용할 것인지를 질의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1)은 차량용 단말기(140)를 충전 서비스에 대한 이용 명령이 입력되면 차량(1)의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타 차량을 검색한다.
차량은 일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타 차량을 검색할 때, 목적지가 동일하거나 특정 지점까지 경로가 동일한 타 차량을 검색할 수 있다.
차량(1)은 검색된 어느 하나의 타 차량에게 충전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즉 차량(1)은 충전 필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차량(1)은 어느 하나의 차량으로부터 충전 서비스의 승인 정보가 수신되면 타 차량과 만나기 위한 접견지를 선택하고 현재 위치 정보와 변경된 접견지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부터 접견지까지 새로운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경로로 길을 안내한다.
여기서 접견지의 정보는 타 차량으로부터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고,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며 타 차량에게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1)은 타 차량과 만나면, 타 차량에게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차량(1)은 타 차량과 기계적으로 연결될 때,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즉 통신 선을 통해서도 연결될 수 있다.
차량(1)은 타 차량의 주행에 의해 견인될 때 회생 제동을 수행하고 회생 제동에 의해 발생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차량은 타 차량과 기계적으로 연결되면 충전 모드를 수행한다.
차량은 충전 모드로 진입하기 전의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충전량 이하인지 판단(603)한다.
다음 차량(1)은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충전량을 초과한다고 판단되면 효율 우선 모드를 수행(604)하고, 충전 효율 모드의 정보를 타 차량에게 전송한다.
여기서 효율 우선 모드의 정보를 타 차량에게 전송하는 것은, 차량의 모터의 회전 속도가 기준 회전 속도에 도달하면, 기준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회생 토크를 확인하고 확인된 회생 토크를 타 차량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기준 회전 속도는, 차량의 주행 속도에 대응하는 속도일 수도 있고, 기준 효율에 대응하는 회전 속도일 수 있다(도 6a에서 C에 대응하는 속도일 수 있음).
차량은 기준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차량은 모터의 회전 속도가 기준 회전 속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면 차량은 충전 모드 진입 시,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충전량 이하라고 판단되면 충전 우선 모드를 수행(605)하고, 충전 우선 모드의 정보를 타 차량에게 전송(604)한다.
여기서 충전 우선 모드의 정보를 타 차량에게 전송하는 것은, 최대 회생 토크를 확인하고 확인된 최대 회생 토크를 타 차량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차량은 최대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회생 제동을 수행(606)함으로써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타 차량은 수신된 최대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주행 토크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타 차량은 타 차량에서 출력 가능한 회생 가능 토크를 확인하고 확인된 회생 가능 토크와 수신된 최대 회생 토크를 비교하고, 타 차량의 회생 가능 토크와 최대 회생 토크 중 더 작은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주행 토크를 획득할 수 있다.
아울러 차량은 타 차량에서 출력 가능한 회생 가능 토크를 수신하고 수신된 타 차량의 회생 가능 토크와 최대 회생 토크를 비교하고 타 차량의 회생 가능 토크와 최대 회생 토크 중 더 작은 회생 토크를 타 차량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타 차량은 수신된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주행 토크를 획득할 수 있다.
차량은 확인된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회생 제동을 수행(606)함으로써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타 차량은 수신된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주행 토크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타 차량은 타 차량에서 출력 가능한 회생 가능 토크를 확인하고 확인된 회생 가능 토크와 수신된 회생 토크를 비교하고, 타 차량의 회생 가능 토크와 수신된 회생 토크 중 더 작은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주행 토크를 획득할 수 있다.
아울러 차량은 타 차량에서 출력 가능한 회생 가능 토크를 수신하고 수신된 타 차량의 회생 가능 토크와 확인된 회생 토크를 비교하고 타 차량의 회생 가능 토크와 확인된 회생 토크 중 더 작은 회생 토크를 타 차량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타 차량은 수신된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주행 토크를 획득할 수 있다.
차량은 타 차량(2)으로부터 제동 정보가 수신(607)되면 수신된 제동 정보에 대응하는 추가 제동력을 확인하고 확인된 추가 제동력이 발생되도록 모터(170)의 회생 제동 및 유압 제동부(180)의 유압 제동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제동을 수행(608)한다.
다음 차량은 제동이 완료되었는지 판단(607)하고 제동이 완료되었다고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회생 제동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동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모터(170)의 회생 제동 및 유압 제동부(180)의 유압 제동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발생된 제동력이 추가 제동력과 동일한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동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타 차량으로부터 제동 종료 정보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차량은 경사도 검출부(190)에 의해 검출된 도로의 경사도를 확인(610)하고 확인된 경사도에 기초하여 회생 토크를 조절(611)한다.
예를 들어, 차량은 도로의 경사도가 제1기준 경사도 이상이면 회생 토크를 감소시키되 도로의 경사도에 대응하는 값만큼 감소시킴으로써 동력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차량은 도로의 경사도가 제2기준 경사도 미만이면 기준 회생 토크를 증가시키되 도로의 경사도에 대응하는 값만큼 증가시킴으로써 안전 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1기준 경사도는 오르막 길을 판단하기 위한 경사도이고, 제2경사도는 내리막 길을 판단하기 위한 경사도일 수 있다.
차량은 충전된 배터리의 충전량과 기준 충전량을 비교하고 배터리의 충전량이 기준 충전량 이상이라고 판단(612)되면 충전 완료를 수행하고 타 차량에게 충전 완료 정보를 전송(613)한다.
이를 통해 차량의 배터리의 만충전 시 급작스러운 회생 중지로 운전성 급변을 방지할 수 있다.
충전 완료를 수행하는 것은, 모터의 회생 제동을 종료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과 통신 불가능한 타 차량과의 충전 서비스 이용 시 충전 모드의 제어 순서도이다.
차량(1)은 모니터링부(130)에서 모니터링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대한 충전 상태 정보를 확인(621)하고 확인된 충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한지 판단(622)한다.
차량(1)은 충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량을 인식하고 인식된 충전량과 일정 충전량을 비교하여 인식된 충전량이 일정 충전량 이하라고 판단되면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차량은 주변의 차량에게 충전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은 타 차량에 위치한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충전서비스를 요청할 수도 있다.
차량(1)은 어느 하나의 차량으로부터 충전 서비스를 제공받을 때, 타 차량(2)에게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차량(1)은 타 차량의 주행에 의해 견인될 때 회생 제동을 수행하고 회생 제동에 의해 발생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배터리(110)를 충전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차량은 타 차량과 기계적으로 연결되면 충전 모드를 수행한다. 이때 타 차량은 견인 모드를 수행한다.
차량은 충전 모드로 진입하기 전의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충전량 이하인지 판단하고,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충전량 이하라고 판단되면 충전 우선 모드를 수행하고,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충전량을 초과한다고 판단되면 효율 우선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차량은 충전 우선 모드 수행 시에, 최대 회생 토크를 확인하고 확인된 최대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회생 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은 효율 우선 모드를 수행할 때 기준 회생 토크를 확인하고, 확인된 기준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회생 제동을 수행(623)함으로써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차량은 모터의 회전속도를 확인하고 확인된 모터의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회생 토크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차량은 경사도 검출부(190)에 의해 검출된 도로의 경사도를 확인(624)하고 확인된 경사도에 기초하여 회생 토크를 조절하고 조절된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회생 제동을 수행(625)한다.
예를 들어, 차량은 도로의 경사도가 제1기준 경사도 이상이면 회생 토크를 감소시키되 도로의 경사도에 대응하는 값만큼 감소시킴으로써 동력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차량은 도로의 경사도가 제2기준 경사도 미만이면 기준 회생 토크를 증가시키되 도로의 경사도에 대응하는 값만큼 증가시킴으로써 안전 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1기준 경사도는 오르막 길을 판단하기 위한 경사도이고, 제2경사도는 내리막 길을 판단하기 위한 경사도일 수 있다.
차량은 충전된 배터리의 충전량과 기준 충전량을 비교하고 배터리의 충전량이 기준 충전량 이상이라고 판단(626)되면 충전 완료를 수행하고 타 차량에 위치한 단말기(3)에 충전 완료 정보를 전송(627)한다.
이를 통해 차량의 배터리의 만충전 시 급작스러운 회생 중지로 운전성 급변을 방지할 수 있다.
충전 완료를 수행하는 것은, 모터의 회생 제동을 종료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자 차량이 통신 불가능할 경우, 자 차량의 소유주의 사용자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충전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자 차량의 소유주의 사용자용 단말기에 충전 완료 정보가 입력되면 사용자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타 차량 또는 타 차량에 위치한 단말기에 충전 완료 정보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과 통신 가능한 타 차량과 충전 서비스 이용 시 견인 모드의 제어 순서도이다.
차량(1)은 다른 차량(2)으로부터 충전 필요 정보가 수신되면 차량용 단말기(140)를 통해 충전 필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은 충전 서비스 제공을 승낙하는 승낙 명령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고 승낙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다른 차량에 거절 정보를 전송한다.
반면 차량(1)은 승낙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충전 공급에 대한 승낙 정보, 즉 충전 공급 정보를 다른 차량(2)에 전송한다.
다음 차량(1)은 다른 차량으로부터 접견지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접견지의 정보와 자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위치부터 접견지까지 새로운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경로에 기초하여 차량용 단말기(140)를 통해 길을 안내한다.
아울러 차량(1)은 다른 차량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다른 차량의 현재 위치와 자 차량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다른 차량과 만날 접견지를 선정하고, 접견지의 정보를 다른 차량에게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1)은 현재 위치가 접견지이면 길 안내를 종료하고, 충전 필요 정보를 전송한 차량의 정보를 차량용 단말기를 통해 표시한다.
차량(1)은 견인 모드를 수행할 때, 타 차량(2)을 끌 수 있다.
여기서 타 차량(2)은 자 차량(1)의 충전 필요 정보의 전송에 대응하여 충전 서비스를 요청한 차량으로, 충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타 차량(2)은 친환경 차량일 수 있다.
자 차량(1)과 타 차량(2)은 충전 서비스 이용 시, 체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차량(1)은 견인 모드의 수행 시에 타 차량으로부터 회생 토크가 수신(701)되면 수신된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주행 토크를 획득(702)하고 획득된 주행 토크에 기초하여 모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주행을 제어(703)한다.
여기서 주행 토크는, 자 차량의 주행에 필요한 토크와 타 차량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회생 토크를 합산한 토크일 수 있다.
자 차량의 주행에 필요한 토크는, 액셀러레이터 페달에 의해 인가된 압력 및 차량의 주행 속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브레이크 페달에 의해 인가된 압력 및 차량의 주행 속도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차량(1)은 타 차량에게 회생 가능 토크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회생 가능 토크는 미리 설정된 정보일 수 있다.
자 차량이 하이브리드 차량인 경우, 차량(1)은 견인 모드의 수행 시에 타 차량으로부터 회생 토크가 수신되면 수신된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주행 토크를 획득하고 획득된 주행 토크에 기초하여 모터 및 엔진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자 차량이 내연 기관 차량인 경우, 차량(1)은 견인 모드의 수행 시에 타 차량으로부터 회생 토크가 수신되면 수신된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주행 토크를 획득하고 획득된 주행 토크에 기초하여 엔진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차량은 브레이크 페달이 가압되면 제동이 필요하다고 판단(704)하고 브레이크 페달의 압력에 기초하여 운전자에 의해 요구되는 제동력을 획득(705)한다.
차량은 출력 가능한 모터의 회생 제동력 및 출력 가능한 유압 제동부의 유압 제동력을 합산하여 최대 제동력을 획득하고 획득된 최대 제동력과 요구 제동력을 비교한다.
차량은 요구 제동력이 최대 제동력보다 작으면 모터 및 유압 제동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제동을 수행(707)한다.
반면 요구 제동력이 최대 제동력 이하이면 요구 제동력과 최대 제동력의 차이에 대응하는 추가 제동력을 타 차량에 전송(708)한다.
차량은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이 해제되면 타 차량에게 제동 완료 정보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은 타 차량으로부터 충전 완료 정보가 수신되는지 판단(709)하고 타 차량으로부터 충전 완료 정보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충전 서비스를 종료(710)한다.
이러한 충전 서비스의 종료 정보는 차량용 단말기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차량은 충전 서비스가 완료되면 충전 서비스의 수행 시간을 확인하고 확인된 수행 시간에 기초하여 서비스 비용을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고, 충전 서비스 동안 이동한 거리를 확인하고 확인된 거리에 기초하여 서비스 비용을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은 모니터링부를 통해 모니터링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요금을 획득하고 획득된 요금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를 통해 표시한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자 차량 2: 타 차량
110: 배터리부120: 전력 변환부
130: 모니터링부 140: 단말기
150: 제어부 160: 통신부

Claims (21)

  1. 배터리;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차륜을 회전시키는 모터;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 및 사용자용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이 일정 충전량 이하이면 충전 서비스의 요청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어느 하나의 타 차량을 통해 상기 충전 서비스의 이용 시에 상기 모터에서 발생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서비스의 이용 시,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충전량 이하이면 충전 우선 모드의 수행을 제어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충전량을 초과하면 효율 우선 모드의 수행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우선 모드의 수행 시에, 미리 설정된 최대 회생 토크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최대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4. 제 3 항에 있어서,
    도로의 경사도를 검출하는 경사도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도로의 경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확인된 최대 회생 토크를 조절하고 상기 조절된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효율 우선 모드의 수행 시에,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기준 회전 속도로 유지시키고, 상기 기준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회생 토크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 상기 모터의 출력 및 상기 모터의 토크에 대응하는 효율을 룩 업 테이블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효율 우선 모드의 수행 시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7. 제 1 항에 있어서,
    도로의 경사도를 검출하는 경사도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도로의 경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확인된 회생 토크를 조절하고 상기 조절된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타 차량에 연결된 체결 부재가 결합되는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서비스의 이용 시, 시동이 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타 차량으로부터 제동력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동력의 정보에서 추가 제동력을 확인하고 확인된 추가 제동력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회생 제동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타 차량으로부터 회생 가능 토크가 수신되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모터의 회생 토크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모터의 회생 토크와 상기 수신된 회생 가능 토크 중 더 작은 토크의 정보를 상기 어느 하나의 타 차량에게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타 차량으로부터 충전 서비스의 제공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견인 모드를 수행하고, 주행에 필요한 필요 토크를 확인하고, 상기 타 차량으로부터 모터의 회생 토크가 수신되면 수신된 모터의 회생 토크와 상기 필요 토크에 기초하여 주행 토크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주행 토크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 차량으로부터 충전 서비스의 제공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회생 가능한 회생 가능 토크를 상기 타 차량에게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서비스의 이용 중, 배터리의 충전량이 기준 충전량이면 충전 완료라고 판단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타 차량에게 충전 완료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사용자용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서비스의 이용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차량과 통신 불가능하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배터리의 충전량이 기준 충전량이면 충전 완료라고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용 단말기에 충전 완료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용 단말기는, 상기 어느 하나의 차량에 위치한 단말기인 것을 포함하는 차량.
  15. 배터리;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차륜을 회전시키는 모터;
    타 차량에 연결된 체결 부재가 결합되는 결합 부재;
    충전 서비스의 이용 시, 시동 온을 제어하고, 상기 모터 발생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제어하되 기준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16. 제 15 항에 있어서,
    사용자용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서비스의 이용 중, 상기 타 차량과 통신이 불가능하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배터리의 충전량이 기준 충전량이면 충전 완료라고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용 단말기에 충전 완료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용 단말기는, 상기 어느 하나의 차량에 위치한 단말기인 것을 포함하는 차량.
  17. 제 15 항에 있어서,
    도로의 경사도를 검출하는 경사도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도로의 경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회생 토크를 조절하고 상기 조절된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8. 배터리와 모터를 가지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이 일정 충전량 이하이면 충전 서비스의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타 차량에 의해 타력으로 이동 시에 상기 모터에서 발생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충전량 이하이면 충전 우선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충전 우선 모드의 수행 시에, 미리 설정된 최대 회생 토크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최대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충전량을 초과하면 효율 우선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효율 우선 모드의 수행 시에,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기준 회전 속도로 유지시키고, 상기 기준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회생 토크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은,
    도로의 경사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도로의 경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회생 토크를 조절하고,
    상기 조절된 회생 토크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타 차량으로부터 충전 서비스의 제공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견인 모드를 수행하고,
    주행에 필요한 필요 토크를 확인하고,
    상기 타 차량으로부터 모터의 회생 토크가 수신되면 수신된 모터의 회생 토크와 상기 필요 토크에 기초하여 주행 토크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주행 토크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KR1020190008024A 2019-01-22 2019-01-22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9151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024A KR20200091519A (ko) 2019-01-22 2019-01-22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16/543,898 US11794745B2 (en) 2019-01-22 2019-08-19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8/368,933 US20240001925A1 (en) 2019-01-22 2023-09-15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024A KR20200091519A (ko) 2019-01-22 2019-01-22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519A true KR20200091519A (ko) 2020-07-31

Family

ID=71609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024A KR20200091519A (ko) 2019-01-22 2019-01-22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11794745B2 (ko)
KR (1) KR2020009151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17926B (zh) * 2019-12-05 2021-02-01 宏碁股份有限公司 電動車之電池回充強度控制方法
JP7380272B2 (ja) * 2020-02-04 2023-11-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5838B2 (en) * 2007-10-31 2010-09-14 Chrysler Group Llc Us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 for jump assist of hybrid vehicles
US9379559B2 (en) * 2012-02-03 2016-06-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charging a vehicle using a dynamic power grid, and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power consumption in the vehicle
JP2015076929A (ja) * 2013-10-07 2015-04-20 ダイムラー・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Daimler AG 電気自動車の電力融通装置
BR112018009419B1 (pt) * 2015-11-09 2022-09-06 Nissan Motor Co., Ltd. Método de controle de força de frenagem/condução e dispositivo de controle de força de frenagem/condução
US20180251037A1 (en) * 2017-03-03 2018-09-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tractable jumper cable vehicle assembly
US10118605B2 (en) * 2017-03-13 2018-11-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 for a hybrid vehicle
JP2019162988A (ja) * 2018-03-20 2019-09-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及び車両制御方法
WO2020064918A1 (en) * 2018-09-26 2020-04-02 Robert Bosch Gmbh E-mobility system based on devices external to the vehicle and mounted on a rear ax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31045A1 (en) 2020-07-23
US11794745B2 (en) 2023-10-24
US20240001925A1 (en) 2024-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0999B1 (ko) 충전 관리 서버 및 충전 관리 서버의 제어 방법
JP5482280B2 (ja) 情報処理装置、電動移動体、及び放電管理方法
EP2676833A2 (en) Add-on communication apparatus attached to in-cable charging control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40001925A1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322921B1 (ko) 전기 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KR101736116B1 (ko) 차량, 차량 제어 시스템, 차량용 표시 장치, 단말 장치 및 차량의 제어 방법
US10730504B2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KR102629082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N104935038A (zh) 移动储能充电装置以及移动储能充电系统
JP7298306B2 (ja) 情報機器、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サーバおよび情報提供方法
US10272794B2 (en) Charging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and charging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2009298278A (ja) 特定領域走行対応型車両
US20170210239A1 (en) Electrical charging control device, charging method and charging system thereof
KR101491366B1 (ko) 차량용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820994B1 (ko)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77552A (ko) 전기 추진 장치의 충전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 및 이에 의한 충전 관리 방법
KR102603831B1 (ko) 차량, 차량과 통신하는 서버 및 차량의 제어 방법
KR101649639B1 (ko) 데이터 갱신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15740A (ko) 전기 자동차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전기 자동차의 충전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10012114A (ko) 자동차의 배터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200692B1 (ko) 차량, 그와 통신하는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152109A1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12786B1 (ko) 배터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08318045B (zh) 驾驶控制装置以及驾驶控制方法
US20230406152A1 (en) Battery management device, vehicle having the same, and server communicating with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