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1454A - 승강 가능한 차량 측면창을 위한 유지 부재 - Google Patents
승강 가능한 차량 측면창을 위한 유지 부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91454A KR20200091454A KR1020207019548A KR20207019548A KR20200091454A KR 20200091454 A KR20200091454 A KR 20200091454A KR 1020207019548 A KR1020207019548 A KR 1020207019548A KR 20207019548 A KR20207019548 A KR 20207019548A KR 20200091454 A KR20200091454 A KR 2020009145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ction
- side window
- retaining member
- adhesive
-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5357 fla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092 metal group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336 safety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302 Nylon 6,6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037 poly(vinyl butyra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254 polymer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361 soda-lime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NIXOWILDQLNWCW-UHFFFAOYSA-M Acrylate Chemical compound [O-]C(=O)C=C NIXOWILDQLNWC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31 Hot gl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088 Schulam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58 Techny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096 Techny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097 Ultr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57 Zyt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102 Zyte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26 adhesive bo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66 destr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32 epoxy adhesiv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38 ethylene 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40 laminated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1 m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14 plastic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6 thermosoftening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4—Mounting of windows
- B60J1/006—Mounting of windows characterised by fixation means such as clips, adhesive, et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doors, windows, openable roofs, lids, bonnets, or weather strips or seal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1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65—Details, e.g. sliding or rolling guid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38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E05F11/385—Fixing of window glass to the carrier of the operating mechanism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Carri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2—Toolless
- E05Y2600/526—Gluing or cement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2—Toolless
- E05Y2600/53—Snapp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측면창(I)을 위한 유지 부재(1)에 관한 것으로서,
- 제 1 고정 섹션(3.1) 및 측면창(I)의 제 1 표면(Ia)에 고정하기 위해 그것에 연결된 제 1 접촉 섹션(2.1),
- 제 2 고정 섹션(3.2) 및 측면창(I)의 제 2 표면(Ib)에 고정하기 위해 그것에 연결된 제 2 접촉 섹션(2.2)을 포함하고,
제 1 고정 섹션(3.1)과 제 2 고정 섹션(3.2)은 힌지 섹션(4)를 통해 접촉 섹션들(2.1, 2.2)의 반대편에 서로 연결되어, 제 1 접촉 섹션(2.1)을 함께 갖는 제 1 고정 섹션(3.1) 및 제 2 접촉 섹션(2.2)을 함께 갖는 제 2 고정 섹션(3.2)이 서로에 대해 피봇(pivoted)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유지 부재(1)가 개방 및 폐쇄될 수 있고,
폐쇄 상태에서,
- 고정 섹션들(3.1, 3.2)은 서로 표면 접촉하고 및 함께 차량에 고정하기에 적합하며,
- 접촉 섹션들(2.1 2.2)은 측면창(I)의 두 대향 표면들(Ia, Ib)에 고정하는 데 적합한, 유지 부재(1).
- 제 1 고정 섹션(3.1) 및 측면창(I)의 제 1 표면(Ia)에 고정하기 위해 그것에 연결된 제 1 접촉 섹션(2.1),
- 제 2 고정 섹션(3.2) 및 측면창(I)의 제 2 표면(Ib)에 고정하기 위해 그것에 연결된 제 2 접촉 섹션(2.2)을 포함하고,
제 1 고정 섹션(3.1)과 제 2 고정 섹션(3.2)은 힌지 섹션(4)를 통해 접촉 섹션들(2.1, 2.2)의 반대편에 서로 연결되어, 제 1 접촉 섹션(2.1)을 함께 갖는 제 1 고정 섹션(3.1) 및 제 2 접촉 섹션(2.2)을 함께 갖는 제 2 고정 섹션(3.2)이 서로에 대해 피봇(pivoted)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유지 부재(1)가 개방 및 폐쇄될 수 있고,
폐쇄 상태에서,
- 고정 섹션들(3.1, 3.2)은 서로 표면 접촉하고 및 함께 차량에 고정하기에 적합하며,
- 접촉 섹션들(2.1 2.2)은 측면창(I)의 두 대향 표면들(Ia, Ib)에 고정하는 데 적합한, 유지 부재(1).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측면창(side window)을 위한 유지 부재(retaining element), 이를 구비한 측면창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통상 개방 가능한 측면창이 있다. 이러한 측면창에는 실질적으로 수직 변위(즉, 상승 및 하강)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측면 판유리가 마련되는데, 이것에 의해 측면창이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다. 이것은 창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차체 내부의 메커니즘에 연결된다.
측면창을 승강 메커니즘에 연결하기 위해, 측면창에는 그 하부 에지(edge) 영역에 하나 또는 복수의 홀(hole)이 마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나 또는 복수의 유지 부재가 또한 하부 에지 영역의 측면창에 부착될 수 있고, 특히 접착될 수 있다. 이러한 유지 부재는 기존에는 측면창의 두 표면들에 접착되는 2개의 접촉 섹션(contact section)들을 구비하며, 공통 고정 섹션(securing section)이 각각 단차를 통해 접촉 섹션들에 연결되는, 실질적으로 Y형 단면을 갖는다. 고정 섹션은 측면창의 하부 에지에 연결되며 승강 메커니즘에 연결하기 위한 홀이 있다. 이러한 Y형 유지 부재는, 예를 들어 EP1936088A1, EP1936087A1, EP1935557A1, EP1935558A1, EP1745190A1, EP1299611A2, 및 DE4340363A1에 개시된다.
DE1192551B는 실질적으로 Y 자형 유지 부재를 개시하는데, 여기서 고정 섹션은 말하자면, 2 개의 부분으로 분할되며, 이들 각각은 접촉 섹션에 연결되고 연결 섹션을 통해 서로 대향하는 접촉 섹션에 연결된다.
이 구성은 판유리 표면에 대한 접촉 섹션을 누르는 특정 스프링 섹션을 생성한다. 그러나 그렇지 않으면, 유지 부재는 본질적으로 강성이다. JPS57187482A에서도 유사한 유지 부재가 알려져 있다.
DE20101057U1은 두 파트 유지 부재를 개시하며, 여기서 두 파트는 힌지 형 연결을 생성하는 판유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단부에 서로 삽입된다. 유지 부재는 한 파트의 접촉 섹션이 판유리의 하단 에지 근처의 홀을 통해 안내되고 다른 파트의 오목부에 맞물리는 핀형(pin-like) 돌출부를 갖는 판유리에 클램핑함으로써 고정된다.
전형적으로, 종래 기술의 Y 형 유지 부재는 측면창의 하부 에지에 배치된다. 이는 접착제가 유지 부재의 개방된 틈새에 도입된 후 제 1 종래 기술 설계에서 수행되며, 이때 유지 부재는 일반적으로 클램핑 방식으로 판유리 위로 밀린다. 결과적으로, 과잉 접착제는 판유리의 하부 에지와 유지 부재 사이에서 제어되지 않고 부풀어 오른다. 제 2 종래 기술에서, 유지 부재가 측면창 상에 위치된 후에 접착제가 도입된다. 접착제는 특히 접촉 섹션의 충전 개구부를 통해 주입된다. 접촉 섹션과 판유리 표면 사이의 중간 공간으로부터 접착제가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이 중간 공간을 접촉 섹션의 측면 에지에 대항하는 밀봉 장치로 밀봉할 필요가 있다. 접착제는 전체 중간 공간이 채워지고 경화될 때까지 주입된다. 밀봉 요소의 사용은 유지 부재의 부착을 복잡하게 만든다.
부착된 유지 부재의 방향은 본질적으로 에지 영역에서 판유리의 곡률에 의존하며, 이는 부분적으로 특정 생산 관련된 변화에 종속된다. 판유리의 하부 에지로부터 레버 형(lever-like)으로 연장되는 고정 섹션의 결과로서, 승강 메커니즘으로의 연결 위치도 변할 수 있으며 때때로 의도된 위치로부터 크게 벗어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품 조립이 불가능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차량 측면창을 위한 개선된 유지 부재 및 전술한 단점을 극복하는 개선된 부착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개선된 유지 부재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유지 부재는 가능한 한 빠르고 쉽게 부착될 수 있어야 하고 (특히, 밀봉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위치 결정의 높은 유연성을 가능하게 하고, 측면창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유지 부재에 의한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는 종속항으로부터 명백하다.
차량의 측면창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지 부재는 측면창의 제 1 표면에 고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제 1 고정 섹션 및 이에 견고하게 연결된 제 1 접촉 섹션을 포함한다. 유지 부재는 또한 제 1 표면에 대향하는 측면창의 제 2 표면에 고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제 2 고정 섹션 및 이에 견고하게 연결된 제 2 접촉 섹션을 포함한다. 2 개의 고정 섹션은 힌지 섹션을 통해 다른 하나에 연결되며, 각각의 경우에 2 개의 고정 섹션의 에지에 고정되며, 관련 접촉 섹션으로부터 멀어진다. 다시 말해, 제 1 고정 섹션과 제 2 고정 섹션은 힌지 섹션을 통해 접촉 섹션의 반대편에 서로 연결된다.
힌지 섹션은 구부러질 수 있고, 제 1 고정 섹션 및 제 1 접촉 섹션으로 구성된 유지 부재의 일부가 제 2 고정 섹션 및 제 2 접촉 섹션으로 구성된 유지 부재의 다른 부분에 대해 피봇( pivot)될 수 있게 한다. 제 1 접촉 섹션과 함께 하는 제 1 고정 섹션과 제 2 접촉 섹션과 함께 하는 제 2 고정 섹션이 서로에 대해 피봇될 수 있다는 사실 때문에, 유지 부재가 개폐될 수 있다. 폐쇄 상태에서, 고정 섹션은 서로 표면 접촉하고 함께 차량에 고정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두 개의 개별 고정 섹션은 유지 부재가 차체 내의 승강 메커니즘에 연결될 수 있는 공통 고정 섹션을 형성한다. 두 개의 접촉 섹션은 폐쇄 상태에서 측면창의 두 개의 대향 표면에 고정하기에 적합하고 이를 위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폐쇄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유지 부재는 이렇게 종래 기술의 유지 부재로부터 본질적으로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대략 Y 자형 단면을 갖는다. 그러나, 이와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지 부재는 전체적으로 강성(rigid) 구성 요소는 아니지만 조립 전에 별도로 개방되거나 접힐 수 있다. 개방 상태에서, 예를 들어, 측면창에 접착되도록 의도된 접촉 섹션의 표면에는 접착제의 일부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의 후속 주입은 불필요하다. 유지 부재는 측면창의 하부 에지 주위에서 그것을 닫음으로써 측면창에 부착된다. 접착제 부분의 적절한 치수 및 위치 설정에 의해, 접촉 섹션과 판유리 표면 사이의 중간 공간으로부터 접착제가 빠져 나가지 않아서 중간 공간의 밀봉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유형의 조립은 유지 부재의 방향 설정 측면에서 높은 유연성을 보장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유지 부재는 공통 고정 섹션의 상대 위치가 원하는 이상적인 위치에 대응하도록 폐쇄 전에 자동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반면, 판유리의 곡률 편차는 적절하게 두꺼운 접착제 부분에 의해 보상된다. 이들은 본 발명의 주요 장점들이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지 부재는 종래 기술의 유지 부재로부터 출발하여, 하부 에지 영역에 있는 측면창의 대향 주된 표면들(primary surfaces)에 고정하기 위한 두 개의 대향 접촉 섹션들과 두 접촉 섹션에 연결(전형적인 단차 섹션을 통해)되는 고정 섹션들을 포함하는, 차량의 측면창을 위한 유지 부재로서 설명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Y 형 유지 부재와 달리, 고정 섹션은 단단하지 않지만, 길이 방향으로 두 개로 분할되며, 고정 섹션의 각 부분은 단 하나의 접촉 섹션에 연결된다. 고정 섹션의 두 부분은 힌지 섹션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힌지 섹션은 각각의 경우에 관련 접촉 섹션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두 개의 고정 하부 섹션(subsections)의 에지에 고정된다. 각각의 접촉 섹션을 갖는 두 개의 고정 서브 섹션은 회전축으로서의 힌지 섹션 주위에서 접혀질 수 있고, 그 결과 유지 부재가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유지 부재의 개방 및 폐쇄 상태는 외력의 작용없이 안정적이다.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또는 그 반대로의 전이에는 외부 힘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내부 스프링 힘의 결과로 외력의 작용없이 원래 상태로 복귀하는 탄성 유지 부재를 구부리는 것은 본 발명의 맥락에서 개방 상태가 아니며 본 발명의 경우와 같이 접착제의 편리한 적용을 가능하게 하지 않는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지 부재는 접촉 섹션이 하나의 평면에 배열되는 개방 상태로, 비파괴적으로, 될 수 있다. 따라서, 유지 부재는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해 위로 향한 접촉면을 갖는 지지대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고정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경우에 홀 (장착 홀)을 가지며, 여기서 제 1 고정 섹션의 홀(hole)과 제 2 고정 섹션의 홀은 관통부가 유지 부재를 통해 연장되도록 유지 부재의 폐쇄 상태에서 일치한다. 서로 대향하여 안착된 두 개의 고정 섹션에 의해 형성된 공통 고정 섹션을 통하는 이 관통부는 유지 부재를 차량, 특히 측면창의 승강 메커니즘에 고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상적으로는, 폐쇄 상태에서 두 홀은 동심원적으로 일치한다.
고정 섹션의 홀 및 폐쇄 상태에서 유지 부재를 통해 결과되는 관통부는 일반적 본질적으로 원형이며, 대부분의 종래 기술의 고정 시스템이 그렇게 설계된다. 홀들이 동심으로 일치할 때, 관통부의 크기는 양쪽 홀이 동일한 크기인 경우 홀의 크기에 해당하거나 두 홀이 다른 크기인 경우 작은 구멍의 크기에 해당한다. 그러나, 개별 경우의 요구 사항에 따라, 홀 및 관통부는 다른 형태, 예를 들어 타원형 또는 심지어 불규칙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관통부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20 mm2, 특히 20 mm2 내지 2000 mm2, 바람직하게는 80 mm2 내지 700 mm2이다. 관통부는 이상적으로 대략 원형이며, 직경이 5 mm 내지 50 mm, 바람직하게는 10 mm 내지 30 mm이다.
폐쇄 상태에서, 두 개의 고정 섹션은 예를 들어 접착제 층에 의해 서로 접착될 때 서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접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고정 섹션은 서로 직접 접촉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두 개의 고정 섹션은 함께 로킹(locked)된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유지 부재의 안정성 및 위치 정확도가 더욱 증가된다. 이를 위해, 제 2 고정 섹션에는 제 1 고정 섹션 상에 배치된 안내 또는 래칭 부재, 예를 들어 맨드릴(mandrel)또는 래칭 후크(latching hook)가 삽입되는 홀이 제공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고정 섹션에 장착되는 홀은 또한 래칭을 위해 사용된다. 이 경우에, 제 1 고정 섹션의 홀은 하나 이상의 안내 부재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둘러싸이고, 이는 유지 부재의 폐쇄 상태에서 제 2 고정 섹션의 홀에 삽입되거나 또는 제 2 고정 섹션의 홀을 통해 안내된다.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는 바람직하게 맨드릴 또는 래칭 후크로서 구현된다. 가이드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제 2 고정 섹션의 홀의 원주 측면 에지에 대항하여 놓여 있어서 서로에 대하여 고정 섹션의 측면 변위를 방지한다. 래칭 후크를 갖는 실시예에서, 유지 부재는 폐쇄 상태에서 추가로 안정화된다.
일반적으로, 접촉 섹션과 고정 섹션는 동일한 재료 두께를 갖는다. 이 경우, 설치된 상태에서, 접촉 섹션은 측면창에 의해 다른 것으로부터 이격되고 고정 섹션은 서로 접촉하기 때문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 섹션은 관련 접촉 섹션에 대해 오프셋(offset)되어야 한다. 오프셋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섹션과 이와 관련된 고정 섹션이 서로 연결되는 단차 섹션에 의해 생성된다. 오프셋을 생성하기 위해, 단차 섹션과 접촉 섹션 사이의 각도와 단차 섹션과 고정 섹션 사이의 각도는 0°보다 크고 180°보다 작으며, 전형적으로 45°이상이고 180°미만이다.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두 개의 접촉 섹션들은 각각의 경우에 단차 섹션을 통해 각각의 관련 고정 섹션에 연결되며, 여기서 상기 단차 섹션들은 접촉 섹션들이 고정 섹션들에 대해 오프셋되도록 한다. 특히, 두 개의 단차 섹션들은 동일한 기하학적 형상(geometry), 특히 인접한 섹션들에 대한 길이 및 각도를 갖는다. 유지 부재의 제 1 하위 부재 (제 1 고정 섹션, 제 1 단차 섹션 및 제 1 접촉 섹션)와 유지 부재의 제 2 하위 부재 (제 2 고정 섹션, 제 2 단차 섹션 및 제 2 접촉 섹션)는 서로 대칭을 이루고 있다. 이는 설치된 위치에서 고정 섹션들이 접촉 섹션들 사이의 중앙에 배치되고 측면창의 평면 내에 위치하는데, 이는 무게 중심의 위치 및 차체에 필요한 공간 측면에서 유리하다.
유지 부재는 금속, 금속 합금, 또는 플라스틱, 특히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강철, 스테인리스 강, 또는 유리 섬유, 유리 비드(beads) 또는 유사한 보강재 및 이것과 추가의 플라스틱과의 혼합물(blends)를 갖거나 갖지 않는,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열가소성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PA),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이다. 유지 부재는 알루미늄, PET, 또는 폴리아미드 66으로 제조되는 것이 가장 특히 바람직하다. 적합한 재료는, 예를 들어 Technyl, Zytel, Ultramid, Schulamid, Ultradur, Arnite, Duranex, Crastin, Bergadur, Pocan, 또는 Grivor라는 상표명으로 입수 가능하다. 언급된 재료의 조합,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접촉 및 고정 섹션,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힌지 부재를 통해 서로 연결되거나 그 반대로도 가능하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전체 유지 부재는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유지 부재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경우,이 플라스틱은 바람직하게는 유리 섬유 강화 또는 탄소 섬유 강화된 것이다. 유지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one piece) 구현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개별 하위 부재들이 예를 들어 접착, 클램핑, 스크류, 리벳팅, 납땜 또는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된 멀티파트(multipart) 설계가 또한 가능하다. 프레임이 없는 측면창의 경우,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제조된 유지 부재는 안정성이 더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프레임을 포함한 측면창의 경우,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유지 부재는 무게가 더 가볍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여기서, 금속 유지 부재와 비교하여 플라스틱 유지 부재의 낮은 안정성은,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 프레임의 안정화 효과(stabilizing effect)에 의해 보상된다.
접촉 섹션 및 고정 섹션은 플레이트 형상이며, 통상, 본질적으로 직사각형이지만, 다른 형상도 고려될 수 있다. 고정 섹션 및 접촉 섹션, 그리고 선택적으로 단차 섹션의 재료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mm 내지 10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2 mm 내지 5 mm, 예를 들어 3.5 mm이다. 이것은 과도한 공간 및 재료를 요구하지 않으면서 우수한 안정성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섹션들, 고정 섹션들 및 선택적으로 단차 섹션들은 동일한 재료 두께를 갖는다.
접촉 섹션들, 고정 섹션들 및 선택적으로 단차 섹션들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1 cm 내지 100 cm, 특히 바람직하게는 2 cm 내지 15 cm, 예를 들어 10 cm이다. 이것은 양호한 안정성을 제공한다. 특히, 접촉 섹션들은 측면창에 연결하기에 충분히 큰 접착면을 제공한다.
접촉 섹션들의 길이(또는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1 cm 내지 6 cm, 특히 바람직하게는 2 cm 내지 4 cm, 예를 들어 3 cm이다. 이것은 양호한 안정성을 제공한다. 특히, 접촉 섹션들은 측면창에 연결하기에 충분히 큰 접착면을 제공한다. 접촉 섹션들의 면적은 바람직하게는 5 cm2 내지 500 cm2,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cm2 내지 50 cm2, 예를 들어 30 cm2이다.
고정 섹션들의 길이(또는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2 cm 내지 15 cm, 특히 바람직하게는 4 cm 내지 10 cm, 예를 들어 8 cm이다. 이 범위에서, 고정 섹션들은 측면창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종래의 메커니즘에 연결하기에 특히 유리하다. 단차 섹션들의 길이는, 예를 들어 2 mm 내지 10 mm이다.
힌지 섹션의 재료 두께는 필요한 유연성을 보장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다른 섹션들의 재료 두께보다 상당히 낮다. 힌지 섹션의 재료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 mm 내지 2.5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mm 내지 1 mm,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mm 내지 0.5 mm, 예를 들어 0.25 mm이다. 힌지 섹션의 길이는 예를 들어 5 mm 내지 15 mm이다. 접는 동안 충분한 안정성 및 위치 결정 정확도를 달성하기 위해 힌지 섹션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고정 섹션 폭의 적어도 60 %,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 에 해당한다.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힌지 섹션의 폭은 고정 섹션들의 폭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폭"은 설치된 위치에서 측면창의 하부 에지를 따른 치수를 지칭한다. "길이"(또는 높이)는 이것에 수직인 치수를 의미하는데, 설치된 위치에서 측면창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측면창에 대한 접촉 섹션의 접촉 영역은 접촉 섹션의 길이 및 폭의 곱이다. 재료 두께는 설치된 위치에서 측면창의 평면에 수직인 치수이다.
고정 섹션들 및 접촉 섹션들은 평면일 수 있다.측면창의 곡률은 접착제 층에 의해 보상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접촉 섹션들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고정 섹션들은 서로 상보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고, 따라서 예를 들어 측면창의 곡률에 적응되어 그것을 재현하고, 고정 섹션의 경우, 그것을 지속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유지 부재를 갖는 측면창을 포함한다. 측면창은 차량 내부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차량 측면창으로서 의도된다. 측면창에는 상부 에지, 하부 에지, 전면 에지 및 후면 에지가 있다. 측면창은 또한 제 1 표면 (주 표면) 및 제 1 표면에 대향하는 제 2 표면 (주 표면)을 가지며, 그 사이에서 상기 에지들이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유지 부재는 하부 에지 영역의 측면창에 부착된다. 이는 유지 부재가 하부 에지의 영역 및 그에 인접한 측면창의 표면들의 영역들을 커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지 부재의 제 1 접촉 섹션은 측면창의 제 1 표면에 접착식으로 고정되고, 제 2 접촉 섹션은 접착제에 의해 만들어진 접착제 연결부와 함께 측면창의 제 2 표면에 접착식으로 고정된다. 전형적으로, 측면창의 하부 에지에는 두 개의 유지 부재가 제공된다.
유지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접착제에 의해서만 측면창에 접착식으로 고정된다. 측면창에는 특히 유지 부재의 돌출부 또는 핀이 클램핑 연결을 위해 안내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홀 또는 보어(bore)가 제공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접촉 표면은 그러한 돌출부 또는 핀을 위한 국부 돌출부, 핀 또는 리셉터클 (receptacles)이 없는 평면 또는 곡면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에지"는 설치 위치에서 위쪽으로 향하는 측면창의 측면 에지를 지칭한다. "하부 에지"는 설치 위치에서 지면을 향해 아래쪽으로 향하는 측면 에지를 지칭한다. "전면 에지"는 운전 방향으로 앞쪽으로 향하는 측면 에지를 지칭한다. "후면 에지"는 운전 방향으로 뒷쪽으로 향하는 측면 에지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측면창은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특히 승용차의, 개방 가능한, 특히 승강 가능한 측면창이다. 이것은 측면창의 차체 내로의 실질적인 수직변위에 의해 열리고 다시 닫힐 수 있는, 측면창을 위한 판유리를 의미한다.
통상, 이러한 창은 하부 에지의 영역에 장착되는 복수의, 특히 두 개의 유지 부재들을 갖는데, 이것들은 창의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에서 차체에 숨겨져 있다. 각각의 유지 부재는, 특히 관통부에 상승 메카니즘의 고정 섹션, 예를 들어, 고정핀을 삽입함으로써 판유리를 고정하도록, 특히 차체, 통상 차량 문에 배치된 상승 메카니즘에 연결하도록 마련된 관통부를 갖는다. 측면창은 프레임이 없거나(frameless) 프레임이 있을 수 있다(framed). 프레임이 있는 측면창은 창 개구부 주위에 완전한 차체 프레임을 가져서, 닫힌 상태에서 측면창의 모든 측면 에지들이 차체 내에서 겹쳐진다. 올려졌을 때, 측면창은 소위, 바디 프레임 내로 안내된다. 프레임이 없는 측면창의 경우, 이러한 바디 프레임이 없다. 대신, 측면창의 상단 에지, 전면 에지 및 후면 에지가 닫힌 상태에서 노출된다.
제 1 접촉 섹션은 제 1 접착제 층을 통해 측면창의 제 1 표면에 고정되고, 제 2 접촉 섹션은 제 2 접착제 층을 통해 측면창의 제 2 표면에 고정된다. 각 접착제 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5 mm 내지 5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1 mm 내지 4 mm이다. 종래 기술의 유지 부재는 통상 두께가 각각 약 1 mm인 접착제 층들을 통해 측면창에 고정된다. 유리한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2 mm 내지 4 mm의 두께를 갖는, 더 두꺼운 접착제 층들이 사용된다. 이는 측면창의 에지 곡률의 변화가 더 두꺼운 접착제 층에 의해 더 잘 보상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유지 부재의 정확한 방향은 측면창의 에지 곡률에 관계없이 고정 섹션이 원하는 위치에 보다 정확하게 배열될 수 있도록 보다 자유롭게 선택될 수있다. 상승 메커니즘에 고정하기 위한 관통부의 위치의 관점에서, 일련의 제조 공정 내에서 변동이 감소될 수 있다. 접착제 층들의 두께는 폐쇄 상태에서 접촉 섹션의 이격 거리 (일반적으로 단차 섹션의 설계에 의해 결정됨) 및 측면창의 두께에 의해 결정되며, 따라서 특정 유형의 측면창에 대한 유지 부재를 설계 중에 고려되어야 한다 .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고탄성(high-modulus) 접착제이다. 접착제의 탄성 계수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MPa,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0 MPa, 특히 적어도 300 MPa,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400 MPa 내지 600 MPa이다. 이것은 측면창과 유지 부재의 연결에 특별한 안정성을 보장한다. 이러한 장점은, 예를 들어 바람에 의해 발생된 후면 에지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측면창과 유지 부재 사이의 연결부가 특히 응력을 받는, 프레임이 없는 측면창의 경우에 특히 중요하다. 적절한 고탄성 접착제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폭시 접착제이다.
유리한 일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신속 경화성(fast curing) 접착제로, 추가적인 안정화 조치없이 직접 탈형(demolding)이 가능하다. 두 성분을 혼합하여 신속하게 경화시킬 수 있다. 다른 방법은, 예를 들어 열 또는 빛에 의해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도입함으로써 경화된다. 두 성분 접착제의 소위 "개방 시간(open time)"은 0.5 분 내지 10 분, 바람직하게는 1 분 내지 5 분이다. 충분한 내부 강도를 가질 때까지의 접착제의 경화 시간(curing time) 또는 응고 시간(setting time)은 10 분 미만, 바람직하게는 1 분 내지 5 분이다. 이것은 측면창에 대한 유지 부재의 위치가 신속하게 고정되어 유지 부재가 부착된 이후의 안정화 수단이 생략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접착제는 완속 경화성(slow curing) 접착제일 수도 있다.
측면창은, 차량 윈도우에 대해 통상 그러하듯이, 내측면이 오목하고 외측면이 볼록하게 만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면"은 설치된 위치에서 외부 환경을 향하는 표면을 지칭한다. "내부면"은 설치 위치에서 내부를 향하는 표면을 지칭한다.
일 실시예에서, 측면창은 단일 판유리 안전 유리(ESG)이다. 이 경우, 측면창은 열적 또는 화학적으로 강화(템퍼링)된 단일 유리판으로 제조된다. 유리판의 두께는 2 mm 내지 5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측면창은 적층 판유리(VSG: 적층 안전 유리)이다. 적층 판유리는 열가소성 중간층을 통해 서로 결합된 제 1 유리판 및 제 2 유리판을 포함한다. 판유리는 외부 판유리 및 내부 판유리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내부 판유리는 설치된 위치에서 내부를 향하고 외부 판유리는 설치된 위치에서 외부 환경을 향한다. 유지 부재가 접착되는 측면창의 노출된 표면들은, 중간층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개별 판유리들의 표면들, 즉 외부 판유리의 외부면 및 내부 판유리의 내부면이다. 외부 판유리 및 내부 판유리는 바람직하게는 1 mm 내지 5 mm의 두께를 가지며, 2개의 판유리의 두께는 동일하거나(대칭 판유리) 또는 상이할 수도 (비대칭 판유리) 있다. 중간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3 mm 내지 2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mm 내지 1 mm이다. 중간층은 통상 중합체 필름으로 제조되고,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부티랄(PVB),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또는 폴리우레탄(PU)으로 제조되거나, 이것들을 기반으로 한다. 차량에서의 열적 편안함을 개선하기 위해, 중간층은 통상 적어도 3개의 겹들(plies)을 포함하는 소음 저감 중합체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중간 겹은 예를 들어, 상이한 가소제 함량의 결과로, 이것을 둘러싼 외부 겹들보다 높은 가소성(plasticity) 또는 탄성(elasticity)을 갖는다.
유리판 또는 유리판들은, 창 판유리에 일반적으로 그러하듯이 소다 석회 유리(soda lime glass)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판은 투명하고 무색일 수 있지만, 착색되거나(tinted), 뿌옇거나(cloudy), 채색(colored)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체 내에 배치된 개방 가능한 측면창을 위한 상승 메커니즘을 갖는 차량 및 본 발명에 따른 측면창을 포함하며, 상승 메커니즘은 바람직하게는 고정 섹션들을 통과하는 관통부의 홀더(holder)를 통해, 유지 부재의 고정 섹션들에 부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유지 부재를 갖는 측면창을 제조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제 1 표면, 이에 대향하는 제 2 표면, 및 하부 에지를 갖는 측면창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유지 부재가 마련된다. 유지 부재의 개방된 상태, 즉 펼쳐진 상태에서 접촉 섹션에 접착제가 도포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접착제는 측면창에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고 유지 부재의 폐쇄 상태에서 서로 대면하는 접촉 섹션의 접착 표면에 도포된다. 이어서, 유지 부재는 측면창의 하부 에지의 영역 주위에서 폐쇄, 즉 접힌다. 이는 유지 부재가 폐쇄되어 측면창의 제 1 표면의 영역, 측면창의 제 2 표면의 영역 및 상기 표면들의 영역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하부 에지의 영역이 접촉 섹션들 사이에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접촉 섹션은 제 1 표면에 연결되고 제 2 접촉 섹션들은 접착제를 통해 측면창의 제 2 표면에 연결된다.
본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측면창에 연결되는 접촉 섹션들의 접착 표면들의 중심 영역에만 적용된다. 접착제는 접촉 섹션들의 측면 에지들로부터 적어도 2 mm, 바람직하게는 2 mm 내지 10 mm의 거리를 갖는다. 따라서, 접착 표면의 원주 에지 영역에는 접착제가 없다. 유지 부재가 측면창에 부착될 때, 접착제는 접촉 압력의 결과로서 접착 표면에 분포된다. 접착제 양의 적절한 치수로, 접착제는 각각의 접촉 섹션과 관련 판유리 표면 사이의 중간 공간으로부터 빠져나가지 않거나 단지 약간 빠져 나간다. 이 경우, 접착제의 이탈을 막기 위해 상기 중간 공간을 밀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접촉 섹션 주위에 밀봉 부재를 일시적으로 적용하는 것과 같은 중간 공간을 밀봉하기 위한 조치가 바람직하지 않다. 적절한 양의 접착제는 판유리 표면과 접촉 섹션 사이의 의도된 거리 및 접착 표면의 크기에 의존하며, 간단한 계산 또는 예비 시험에 의해 당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종래의 강성 부재와 비교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접을 수 있는 유지 부재의 특별한 이점은 접착제 표면이 개방 상태에서 접근 가능하고 접착제는 이후에 밀봉 부재의 도움으로 주입되는 대신 그 위에 구체적으로 분포될 수 있다.
본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측면창은 예를 들어 판유리 상의 기준점들에 의해 정해진 특정 위치에서 툴(tool) 내에 배치되고 고정된다. 유지 부재는 개방 상태에서, 예를 들어 조립 보조기(assembly aid) 또는 로봇에 의해 원하는 위치로 오고 접촉 섹션이 측면창의 표면에 연결되도록 함께 접힌다. 유지 부재의 위치는 완전히 조립된 유지 부재의 고정 섹션들이 판유리에 대해 원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일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신속 경화성(fast curing) 접착제이다. 결과적으로, 측면창에 대한 유지 부재의 위치가 충분히 신속하게 고정되어, 접착제가 경화되는 동안 일시적인 위치 안정화에 대한 조치가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고 가속화된다.
대안적인 일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완속 경화(slow curing) 접착제이다. 접착제의 완전한 경화 전에 유지 부재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해 임시 위치 안정화를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는 유리하게는 실제 접착제가 없는 접착 표면의 에지 영역에, 예를 들어 접착 표면의 모서리의 지점에 적용되는 제 2 접착제, 예를 들어 핫멜트(hotmelt) 접착제에 의해 달성될 수있다. 신속 경화 접착제는 유지 부재의 위치를 확보하면서 실제 접착제는 경화한다. 측면창과 유지 부재 사이의 연결은 일반적으로 유지 부재에 작용하는 중력보다 경화 동안 더 큰 힘을 받지 않기 때문에, 제 2 접착제의 접착력에 대한 요구는 비교적 낮다.
유지 부재 자체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생성된다.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유지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며;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제조된 유지 부재는 예를 들어 압출(extrusion), 밀링(milling), 펀칭( punching), 압연(rolling) 및/또는 용접에 의해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 바람직하게는 승용차의 개방 가능한 측면창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측면창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며, 유지 부재는 차체의 상승 메커니즘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도면들 및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은 대략적으로 표현되었고 축척에는 맞지 않다. 도면들은 결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두 개의 일반적인 유지 부재를 갖는 측면창의 평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의 유지 부재 단면도이고,
도 3은 개방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유지 부재의 일 실시예의 투시도이고,
도 4는 폐쇄 및 측면창에 부착되는 동안의 도 3의 유지 부재이고,
도 5는 측면창에 부착된 도3의 유지 부재이고,
도 6은 개장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유지 부재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7은 폐쇄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유지 부재의 두 가지 실시예들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1은 두 개의 일반적인 유지 부재를 갖는 측면창의 평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의 유지 부재 단면도이고,
도 3은 개방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유지 부재의 일 실시예의 투시도이고,
도 4는 폐쇄 및 측면창에 부착되는 동안의 도 3의 유지 부재이고,
도 5는 측면창에 부착된 도3의 유지 부재이고,
도 6은 개장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유지 부재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7은 폐쇄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유지 부재의 두 가지 실시예들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1은 승용차의 앞부분 측면창을 위한 개방 가능한 측면창으로 의도된 일반적인 측면창(I)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차량 문 안의 상승 메커니즘에 연결되도록 의도된 두 개의 유지 부재들(1)이 측면창의 하부 에지(U)의 영역에 부착된다. 이를 위해, 유지 부재들(1)은 상승 메커니즘이 고정될 수 있는 관통부들(8)을 갖는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유지 부재(1')을 갖는 측면창(I)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유지 부재(1')는 본질적으로 Y 자형 단면을 갖는다. 유지 부재(1')는 서로 마주 보며 측면창(I)의 하부 에지(U) 영역에서 두 표면들(Ia, Ib)에 접착되는 두 개의 접촉 섹션들(2.1', 2.2')을 포함한다. 유지 부재(1')는 따라서 하부 에지(U)의 영역 및 이에 인접한 표면들(Ia, Ib)의 영역을 둘러싼다. 측면창(I) 아래에 위치하고 하부 에지(U)를 향한 고정 섹션(3')은 접촉 섹션들(2.1', 2.2')에 연결된다. 고정 섹션(3')은 상승 메커니즘에 연결하기 위한 관통부(8')를 갖는다.
대조적으로, 도 3은 개방 또는 펼쳐진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힌지(hinged)식 유지 부재(1)를 도시한다. 유지 부재(1)는 제 1 접촉 섹션(2.1)을 가지며, 여기에 제 1 고정 섹션(3.1)은 제 1 단차 섹션(5.1)을 통해 연결된다. 제 1 접촉 섹션(2.1), 제 1 단차 섹션(5.1) 및 제 1 고정 섹션(3.1)는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다. 유지 부재(1)는 또한 제 2 접촉 섹션(2.2)을 가지며, 여기에 제 2 고정 섹션(3.2)이 제 2 단차 섹션(5.2)을 통해 연결된다. 단차 섹션들(5.1, 5.2)은 각각의 관련 접촉 섹션들( 2.1, 2.2)와 고정 섹션들(3.1, 3.2)사이의 측면 오프셋을 야기하여 접촉 섹션과 고정 섹션이 동일한 평면에 있지 않도록 한다. 제 1 접촉 섹션 (2.1), 제 1 단차 섹션(5.1) 및 제 1 고정 섹션(3.1)으로 구성되는 유지 부재(1)의 제 1 강성 부분과, 제 2 접촉 섹션(2.2), 제 2 단차 섹션(5.2)과 제 2 고정 섹션(3.2)로 구성된 유지 부재(1)의 제 2 강성 부분은 서로 거울 대칭이다. 원칙적으로, 이들은 고정 섹션이 길이 방향으로 두 개로 분할된 경우 종래 기술의 유지 부재에 기인한다. 접촉 섹션들(2.1, 2.2)를 갖는 각각의 관련된 단차 섹션들(5.1, 5.2)로 부터 멀어지는 두 개의 고정 섹션들(3.1, 3.2)의 측면 에지들은 힌지 섹션(4)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힌지 섹션(4)은 구부러질 수 있고 유지 부재(1)의 두 개의 부분이 서로에 대해 피봇(pivoted)될 수 있게 하고, 그 결과 유지 부재(1)는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다.
유지 부재(1)는 유리 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66으로 일체로 제조된다. 접촉 섹션들(2.1, 2.2), 고정 섹션들(3.1, 3.2) 및 단차 섹션들(5.1, 5.2)는 3 mm의 두께(D) (재료 두께)를 갖는다. 대조적으로, 힌지 섹션(4)은 0.25mm의 두께(D)로 상당히 더 얇다. 상이한 재료 두께로 인해, 힌지 섹션(4)은 구부러질 수 있는 반면, 나머지 유지 부재(1)는 강성이다.
유지 부재(1)의 폭(B)은 예를 들어 80 mm이다. 접촉 섹션들(2.1, 2.2)의 길이(L)은 예를 들어 30 mm이다. 고정 섹션들(3.1, 3.2)의 길이(L)는 예를 들어 50 mm이다.
각 고정 섹션들(3.1, 3.2)은 홀들(7.1, 7.2)을 갖고 있다. 상기 홀들(7.1, 7.2)은 원형이며 중심은 각 고정 섹션들(3.1, 3.2)에서 같은 지점에 배치된다. 따라서, 유지 부재(1)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홀들(7.1, 7.2)은 동심적으로 일치하여, 상승 메커니즘을 확보하기 위해 유지 부재를 통한 관통부를 생성한다.
제 1 고정 섹션(3.1)의 홀(7.1)은 직경이 10 mm이고 가이드 부재(6)에 의해 둘러 싸인다. 제 2 고정 섹션(3.2)의 홀(7.2)은 직경이 10.4 mm로 다소 더 크다. 유지 부재(1)가 함께 접힐 때, 가이드 부재(6)는 홀(7.2) 내로 삽입되고, 그 결과 두 고정 섹션들(3.1, 3.2)은 서로 래치(latched)된다.
접착제의 층(9)은 각각의 경우에 접촉 섹션들(2.1, 2.2)의 접착 표면에 도포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제는 400 MPa의 탄성률, 80 %의 파단 신장률, 15 MPa의 인장 강도 및 6 분의 가용 시간을 갖는 DOW Betaforce 9050S이다. 결합 전의 접착층들의 두께는 예를 들어 4 mm이다. 접착제 (9)는 각각의 경우에 접착제 표면의 중심 영역에만 도포되어 접착제 표면의 5 mm 폭 주변의 에지 영역에 아무 것도 없다 (자유롭다, free). 접착제는 이 자유 영역에 걸쳐 분산되어 측면창과 접촉 섹션들(2.1, 2.2) 사이의 중간 공간으로부터 빠져 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유지 부재(1)가 측면창(I)에 어떻게 장착되는지를 도시한다. 개방 상태에서 접착제(9)가 제공된 유지 요소(1)는 측면창(I)의 하부 에지(U) 주위에 함께 접혀진다. 즉 폐쇄된다. 측면창(I)는 예를 들어 3.85 mm 두께의 소다 석회 유리로 제조된 단일 판유리 안전 유리(ESG)로서 구현된다.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측면창(I)은 도면에서 평평하게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승용차 창문과 마찬가지로 곡률이 있다.
도 5는 측면창(I) 상에 완전히 조립된 도 3 및 4의 유지 부재(1)를 도시한다. 접촉 섹션들(2.1, 2.2)은 접착제(9)를 통해 측면창(I)의 표면들(la, lb)에 접착된다. 가이드 부재(6)는 홀(7.2) 내에 배치되고 2 개의 고정 섹션들(3.1, 3.2)을 서로 래치한다.
도면에서, 화살표는 본 발명의 맥락에서 폭(B) 및 길이(L)의 치수를 나타낸다.
도 6은 제 1 접촉 섹션(2.1), 제 1 단차 섹션(5.1), 제 1 고정 섹션(3.1), 힌지 섹션(4), 제 2 접촉 섹션(2.2), 제 2 단차 섹션(5.2) 및 제 2 고정 섹션(3.2)과 개방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유지 부재(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맥락에서 두께(D) (재료 두께)의 치수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상이한 가이드 부재(6)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유지 부재(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6a의 유지 부재(1)의 경우, 가이드 부재(6)는 대향 고정 섹션(3.2)의 홀(7.2) 내로 연장되는 맨드릴(mandrel)로서 설계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맨드릴은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폭 또는 테이퍼링(tapering)을 가지며, 상보적인 홀로의 삽입에 적합하지만 홀로부터의 릴리스를 능동적으로 방지하는 부재를 갖지 않는 높이이다. 대조적으로, 도 6b의 유지 부재(1)의 경우, 가이드 부재(6)는 래칭 후크(latching hook)로서 구현된다. 홀에서 릴리스를 방지하는, 끝에 바브(barb)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드릴 또는 래칭 후크로 설계된 가이드 부재(6)는 제 1 고정 섹션(3.1)의 홀(7.1)을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그러나, 대안으로, 복수의 맨드릴 또는 래칭 후크가 홀 (7.1) 주위에 분포될 수 있다.
도 8은 유지 부재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창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1: 차량의 측면창을 위한 유지 부재
2.1: 유지 부재(1)의 제 1 접촉 섹션
2.2: 유지 부재(1)의 제 2 접촉 섹션
3.1: 유지 부재(1)의 제 1 고정 섹션
3.2: 유지 부재(1)의 제 2 고정 섹션
4: 유지 부재(1)의 힌지 섹션
5.1: 유지 부재(1)의 제 1 단차 섹션
5.2: 유지 부재(1)의 제 2 단차 섹션
6: 가이드 부재
7.1: 제 1 고정 섹션(3.1)의 홀
7.2: 제 2 고정 섹션(3.2)의 홀
8: 고정 섹션들(3.1, 3.2)을 통과하는 관통부
9: 접착제
I: 차량의 측면창
Ia: 측면창(I)의 제 1 표면
Ib: 측면창(I)의 제 2 표면
O: 측면창(I)의 상부 에지
U: 측면창(I)의 하부 에지
V: 측면창(I)의 전면 에지
H: 측면창(I)의 후면 에지
1': 선행 기술에 따른 유지 부재
2.1': 유지 부재(1')의 제1 접촉 섹션
2.2': 유지 부재(1')의 제 2 접촉 섹션
3': 유지 부재(1')의 고정 섹션
8': 고정 섹션(3')을 통과하는 관통부
L: 길이 / 높이
B: 폭
D: 두께 / 재료 두께
2.1: 유지 부재(1)의 제 1 접촉 섹션
2.2: 유지 부재(1)의 제 2 접촉 섹션
3.1: 유지 부재(1)의 제 1 고정 섹션
3.2: 유지 부재(1)의 제 2 고정 섹션
4: 유지 부재(1)의 힌지 섹션
5.1: 유지 부재(1)의 제 1 단차 섹션
5.2: 유지 부재(1)의 제 2 단차 섹션
6: 가이드 부재
7.1: 제 1 고정 섹션(3.1)의 홀
7.2: 제 2 고정 섹션(3.2)의 홀
8: 고정 섹션들(3.1, 3.2)을 통과하는 관통부
9: 접착제
I: 차량의 측면창
Ia: 측면창(I)의 제 1 표면
Ib: 측면창(I)의 제 2 표면
O: 측면창(I)의 상부 에지
U: 측면창(I)의 하부 에지
V: 측면창(I)의 전면 에지
H: 측면창(I)의 후면 에지
1': 선행 기술에 따른 유지 부재
2.1': 유지 부재(1')의 제1 접촉 섹션
2.2': 유지 부재(1')의 제 2 접촉 섹션
3': 유지 부재(1')의 고정 섹션
8': 고정 섹션(3')을 통과하는 관통부
L: 길이 / 높이
B: 폭
D: 두께 / 재료 두께
Claims (15)
- 차량의 측면창(I)을 위한 유지 부재(1)로서,
- 제 1 고정 섹션(3.1) 및 그것에 연결되어 측면창(I)의 제 1 표면(Ia)에 고정하기 위한 제 1 접촉 섹션(2.1),
- 제 2 고정 섹션(3.2) 및 그것에 연결되어 측면창(I)의 제 2 표면(Ib)에 고정하기 위한 제 2 접촉 섹션(2.2)을 포함하고,
제 1 고정 섹션(3.1)과 제 2 고정 섹션(3.2)은 힌지 섹션(4)를 통해 접촉 섹션들(2.1, 2.2)의 반대편에 서로 연결되어, 제 1 접촉 섹션(2.1)을 함께 갖는 제 1 고정 섹션(3.1) 및 제 2 접촉 섹션(2.2)을 함께 갖는 제 2 고정 섹션(3.2)이 서로에 대해 피봇(pivoted)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유지 부재(1)가 개방 및 폐쇄될 수 있고,
폐쇄 상태에서,
- 고정 섹션들(3.1, 3.2)은 서로 표면 접촉하고 및 함께 차량에 고정하기에 적합하며,
- 접촉 섹션들(2.1 2.2)은 측면창(I)의 두 대향 표면들(Ia, Ib)에 고정하는 데 적합한, 유지 부재(1). - 제1항에 있어서,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는 외부 힘의 작용없이 그 자체로 안정적인, 유지 부재(1).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지 부재를 개방하고 폐쇄하는데 필요한 유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일체로 형성되며, 힌지 섹션(4)은 고정 섹션들(3.1, 3.2) 및 접촉 섹션들(2.1 2.2)은 보다 적은 재료 두께를 갖는, 유지 부재(1).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섹션들(3.1, 3.2)은 각각 홀(7.1, 7.2)을 가지며, 상기 홀들(7.1, 7.2)은 유지 부재(1)의 폐쇄 상태에서 서로 중첩되어 차량에 고정하기 위한 관통부(8)는 유지 부재(1)를 통해 연장되는, 유지 부재(1). - 제4항에 있어서,
제 1 고정 섹션(3.1)의 홀(7.1)은 맨드릴(mandrel) 또는 래칭 후크(latching hook)로써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6)에 의해 둘러싸이고, 유지 부재(1)의 폐쇄 상태에서 제 2 고정 섹션(3.2)의 홀(7.2)에 삽입되는, 유지 부재(1).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접촉 섹션(2.1)은 제 1 단차 섹션(5.1)을 통해 제 1 고정 섹션(3.1)에 연결되고, 제 2 접촉 섹션(2.2)은 제 2 단차 섹션(5.2)을 통해 제 2 고정 섹션(3.2)에 연결되고, 상기 단차 섹션들(5.1, 5.2)은 동일한 기하학적 형상 (geometry)을 갖는, 유지 부재(1).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힌지 섹션(4)은 0.1 mm 내지 1 mm, 바람직하게는 0.2 mm 내지 0.5 mm의 재료 두께를 갖는, 유지 부재(1). - 제 1 표면(Ia), 이에 반대되는 제 2 표면(Ib) 및 하부 에지(U)를 가지며, 하부 에지(U)의 영역에 부착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유지 부재(1)를 가지며, 여기서, 접착제(9)에 의해, 제 1 접촉 섹션(2.1)은 제 1 표면(Ia)에 고정되고 제 2 접촉 섹션(2.2)은 제 1 표면(Ib)에 고정되는, 차량용 측면창.
- 제8항에 있어서,
접착제(9)의 두께는 0.5 mm 내지 5 mm, 바람직하게는 1 mm 내지 4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2 mm 내지 4 mm인, 측면창. -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접착제(9)는 적어도 20 MPa,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0 MPa,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400 MPa 내지 600 MPa의 탄성 계수를 갖는, 측면창. - 차량용 유지 부재를 갖는 측면창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지 부재(1) 그리고 제 1 표면(Ia), 이에 반대되는 제 2 표면(Ib) 및 하부 에지(U)를 갖는 측면창(I)이 제공되고 ,
(b) 접착제(9)가 개방 상태에서 유지 부재(1)의 접촉 섹션들(2.1, 2.2)에 도포되고,
(c) 유지 부재(1)는 측면창(I)의 하부 에지(U)의 영역 주위에서 폐쇄되며, 여기서 제 1 접촉 섹션(2.1)은 제 1 표면(Ia)에 연결되고 제 2 접촉 섹션은 접착제(9)를 통해 제 2 표면(Ib)에 연결되는,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접착제(9)는 측면창(I)에 연결되는 접촉 섹션들(2.1, 2.2)의 표면들의 중심 영역에만 도포되고 접촉 섹션들(2.1, 2.2)의 측면 에지들로 부터 적어도 2 mm, 바람직하게는 2 mm 내지 10 mm의 거리를 갖는,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접착제(9)와 접촉 섹션들(2.1, 2.2)의 측면 에지들 사이에 제 2 접착제가 도포되며. 제 2 접착제는 접착제(9)가 경화될 때까지 측면창(I) 상의 유지 부재(1)의 일시적인 안정화에 적합한, 방법. -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접착제(9)는 10 분 미만, 바람직하게는 1 분 내지 5 분의 경화 시간을 가지며, 접착제(9)의 경화 동안 일시적인 위치 안정화에 대한 조치는 취하지 않는, 방법. -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측면창을 자동차, 바람직하게는 승용차의 개방 가능한 측면창으로서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7206572 | 2017-12-12 | ||
EP17206572.4 | 2017-12-12 | ||
PCT/EP2018/079560 WO2019115078A1 (de) | 2017-12-12 | 2018-10-29 | Halteelement für eine heb- und senkbare fahrzeug-seitenscheib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1454A true KR20200091454A (ko) | 2020-07-30 |
KR102457441B1 KR102457441B1 (ko) | 2022-10-21 |
Family
ID=60673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19548A KR102457441B1 (ko) | 2017-12-12 | 2018-10-29 | 승강 가능한 차량 측면창을 위한 유지 부재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US (1) | US11261641B2 (ko) |
EP (1) | EP3724435A1 (ko) |
JP (1) | JP7084999B2 (ko) |
KR (1) | KR102457441B1 (ko) |
CN (1) | CN110168182B (ko) |
BR (1) | BR112020010807A2 (ko) |
MA (1) | MA51122A (ko) |
MX (1) | MX2020006143A (ko) |
RU (1) | RU2752310C1 (ko) |
WO (1) | WO201911507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MX2020006139A (es) * | 2017-12-12 | 2020-08-13 | Saint Gobain | Ventana lateral de vehiculo que tiene un elemento de retencion unido sobre un lado. |
JP7402416B2 (ja) * | 2020-03-23 | 2023-12-21 | Agc株式会社 | ホルダ付きウインドウガラス |
EP4192701A1 (en) * | 2020-08-07 | 2023-06-14 | AGC Glass Europe | Vehicle window comprising a window holde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192551B (de) * | 1958-05-21 | 1965-05-06 | Daimler Benz Ag | Scheibenhalter eines rahmenlosen Fahrzeug-Schiebefensters |
KR20010015052A (ko) * | 1999-07-28 | 2001-02-26 |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자동차용 윈도 글라스 홀더 |
JP2007015585A (ja) * | 2005-07-08 | 2007-01-25 | Shiroki Corp | ガラスホルダー |
Family Cites Families (3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653157A (en) * | 1967-06-22 | 1972-04-04 | Ralph T Casebolt | Sliding glass door assembly |
JPS57187482A (en) * | 1981-05-09 | 1982-11-18 | Hori Glass Co Ltd | Holder of window glass for automobile |
JPS59169323U (ja) * | 1983-04-28 | 1984-11-13 | 日本板硝子株式会社 | 板ガラスと他部材との接合体 |
SU1119865A1 (ru) * | 1983-06-29 | 1984-10-23 | Специализирован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По Специальным Гусеничным Тракторам 2 Тс.Тяги | Дверь кабины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
FR2551129B1 (fr) * | 1983-08-25 | 1985-11-22 | Technistan Gie | Joint pour glaces de vehicules |
US4866895A (en) * | 1989-03-06 | 1989-09-19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Glass to sash channel attachment |
US4987699A (en) * | 1989-08-24 | 1991-01-29 | Gold Peter N | Mounting for an automotive window panel |
DE4340363A1 (de) | 1993-11-26 | 1995-06-01 | Griwe Innovative Umformtechnik | Verfahren für die Montage einer Kraftfahrzeug-Seitenscheibe |
US5363595A (en) * | 1993-12-28 | 1994-11-15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Arrangement of a vehicle door with extendable window |
JP3273690B2 (ja) * | 1994-03-24 | 2002-04-08 | 株式会社ニフコ | ガラスホルダー |
DE4433052A1 (de) * | 1994-09-16 | 1996-03-21 | Brose Fahrzeugteile | 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r Fensterscheibe mit einem Fensterheber |
JP3355863B2 (ja) * | 1995-04-20 | 2002-12-09 | 株式会社ニフコ | ガラスホルダー及び該ガラスホルダーを用いた窓ガラスの取付方法 |
JPH09175173A (ja) | 1995-12-22 | 1997-07-08 | Aoyama Seisakusho:Kk | 自動車の窓ガラスホルダー |
US5966872A (en) * | 1997-08-08 | 1999-10-19 | Chrysler Corporation | Vehicle door glass liftplate assembly with frangible sleeve |
US6349504B1 (en) * | 1999-10-18 | 2002-02-26 | Elco Textron, Inc. | Window lift bracket |
BE1013572A4 (fr) | 2000-06-23 | 2002-04-02 | Glaverbel | Vitrage mobile pre-ajuste en position. |
US6425207B1 (en) * | 2000-12-20 | 2002-07-30 | Muncy Corporation | Window regulator with window panel clamp unit |
DE20101057U1 (de) * | 2001-01-19 | 2001-05-03 | Kiekert AG, 42579 Heiligenhaus | Einstellbarer Mitnehmer zum Anbinden einer Fensterscheibe an eine Fensterhebeeinrichtung einer Fahrzeugtür |
JP3962000B2 (ja) | 2003-09-22 | 2007-08-22 | マツダ株式会社 | ガラス固定グロメット |
FR2868386B1 (fr) | 2004-03-30 | 2006-05-19 | Saint Gobain | Procede d'assemblage avec precision d'un element rapporte sur un vitrage |
US20060048452A1 (en) * | 2004-09-03 | 2006-03-09 | Sweeney John A | Flexible mounting bracket for vehicle window panel |
JP2007146458A (ja) | 2005-11-28 | 2007-06-14 | Hori Glass Kk | 自動車用ドアガラスとガラスホルダーとの接着構造 |
JP4529922B2 (ja) * | 2006-03-09 | 2010-08-25 | 株式会社ファルテック | 車両用窓組立体の製造方法および窓ガラスホルダー |
JP5004329B2 (ja) * | 2006-10-30 | 2012-08-22 | 株式会社ニフコ | ガラスホルダー |
EP1936088A1 (en) | 2006-12-19 | 2008-06-25 | Pilkington Italia S.p.A. | Frameless window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
EP1935557B1 (en) | 2006-12-19 | 2017-04-26 | Pilkington Italia S.p.A. |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rameless windows |
EP1935558A1 (en) | 2006-12-19 | 2008-06-25 | Pilkington Italia S.p.A. | System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frameless windows |
EP1936087B1 (en) * | 2006-12-19 | 2015-11-04 | Pilkington Italia S.p.A. | Frameless window for passenger vehicle |
RU120924U1 (ru) * | 2012-03-27 | 2012-10-10 |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ВТОВАЗ" | Стеклоподъемник для двер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
CN202718515U (zh) * | 2012-08-09 | 2013-02-06 | 上海通用汽车有限公司 | 一种摇窗机的玻璃卡子 |
JP6187818B2 (ja) * | 2013-12-02 | 2017-08-30 | 堀硝子株式会社 | 自動車用窓ガラスに対する被着体の接着方法 |
JP5931954B2 (ja) * | 2014-05-09 | 2016-06-08 | 株式会社三▲しゅう▼プレシジョン | 硬化促進型自動車用被着体及びその接着方法 |
JP6493078B2 (ja) | 2015-08-07 | 2019-04-03 | Agc株式会社 | 車両窓用部品 |
US9822571B2 (en) * | 2016-02-19 | 2017-11-21 | Hi-Lex Controls Inc. | Window clamp and assembly for window regulator |
FR3058096B1 (fr) * | 2016-10-28 | 2018-12-07 | Saint-Gobain Glass France | Vitrage feuillete coulissant a debord interieur |
JP7147484B2 (ja) * | 2017-12-08 | 2022-10-05 | Agc株式会社 | ホルダ付きウインドウ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
DE102018200925A1 (de) * | 2018-01-22 | 2019-07-25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 Mitnehmer mit schwenkbarem Klemmteil und Montageverfahren |
-
2018
- 2018-10-29 WO PCT/EP2018/079560 patent/WO2019115078A1/de unknown
- 2018-10-29 MX MX2020006143A patent/MX2020006143A/es unknown
- 2018-10-29 KR KR1020207019548A patent/KR10245744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10-29 EP EP18795543.0A patent/EP3724435A1/de active Pending
- 2018-10-29 JP JP2020531998A patent/JP7084999B2/ja active Active
- 2018-10-29 MA MA051122A patent/MA51122A/fr unknown
- 2018-10-29 US US16/772,336 patent/US11261641B2/en active Active
- 2018-10-29 BR BR112020010807-3A patent/BR112020010807A2/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8-10-29 CN CN201880003339.3A patent/CN110168182B/zh active Active
- 2018-10-29 RU RU2020122921A patent/RU2752310C1/ru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192551B (de) * | 1958-05-21 | 1965-05-06 | Daimler Benz Ag | Scheibenhalter eines rahmenlosen Fahrzeug-Schiebefensters |
KR20010015052A (ko) * | 1999-07-28 | 2001-02-26 |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자동차용 윈도 글라스 홀더 |
JP2007015585A (ja) * | 2005-07-08 | 2007-01-25 | Shiroki Corp | ガラスホルダ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0168182A (zh) | 2019-08-23 |
EP3724435A1 (de) | 2020-10-21 |
MA51122A (fr) | 2021-03-24 |
KR102457441B1 (ko) | 2022-10-21 |
RU2752310C1 (ru) | 2021-07-26 |
US20210079708A1 (en) | 2021-03-18 |
MX2020006143A (es) | 2020-08-13 |
JP2021505800A (ja) | 2021-02-18 |
BR112020010807A2 (pt) | 2020-11-10 |
JP7084999B2 (ja) | 2022-06-15 |
US11261641B2 (en) | 2022-03-01 |
WO2019115078A1 (de) | 2019-06-20 |
CN110168182B (zh) | 2022-04-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952819B2 (en) | Vehicle side window having a retaining element attached on one side | |
KR102457441B1 (ko) | 승강 가능한 차량 측면창을 위한 유지 부재 | |
US11274485B2 (en) | Retaining element for a vehicle side window that can be raised and lowered | |
US8065837B2 (en) | Automotive door | |
US4894972A (en) | Window assembly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 |
US20100045075A1 (en) | Fixed transparent module roof for a motor vehicle | |
CN102991314B (zh) | 用于装配平齐玻璃总成的方法 | |
JPH01209116A (ja) | モールまたはホルダー付板状体の製造方法 | |
US6764638B1 (en) | Process for manufacturing a molding plastic window for an automotive vehicle and window produced thereby | |
RU2724934C1 (ru) | Многослойное боковое стекл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бокового окна и применение бокового стекла в качестве бокового стекл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 |
JP4551689B2 (ja) | 車両用ドア | |
US20230304348A1 (en) | Vehicle window comprising a window holder | |
JPH0422989Y2 (ko) | ||
JP5796734B2 (ja) | バックドア用アウターパネル | |
CN114258353A (zh) | 带薄型玻窗板支架的玻璃窗及其制造方法 | |
JP2017007483A (ja) | ガラス板モジュール | |
JPH0714689B2 (ja) | 窓部材およびその製造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