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0387A - 스티치 라인을 포함하는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한 장식 부재 - Google Patents

스티치 라인을 포함하는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한 장식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0387A
KR20200090387A KR1020190007349A KR20190007349A KR20200090387A KR 20200090387 A KR20200090387 A KR 20200090387A KR 1020190007349 A KR1020190007349 A KR 1020190007349A KR 20190007349 A KR20190007349 A KR 20190007349A KR 20200090387 A KR20200090387 A KR 20200090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tch
base member
hole
thread
decorati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7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5317B1 (ko
Inventor
김정태
Original Assignee
김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태 filed Critical 김정태
Priority to KR1020190007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317B1/ko
Publication of KR20200090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05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compris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4Modelling plastic materials, e.g. c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실에 의하여 형성된 스티치 라인을 포함하는 장식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실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스티치 홀을 기초 부재에 미리 형성하는 스티치 홀 형성 단계; 상기 기초 부재에 형성된 스티치 홀에 상기 실을 통과시켜 스티치 라인을 형성하는 스티치 라인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우 얇은 스킨 부재를 형성한 후 실과 재봉틀을 사용하여 스티치 홀과 스티치 라인을 동시에 형성하는 종래의 스티치공법과는 달리, 스티치 홀을 먼저 형성하므로, 재봉틀을 사용하여 직접 스티치 홀을 형성할 수 없을 정도로 상기 기초 부재가 매우 두껍거나 복잡한 형상을 가진 경우에도 상기 스티치 라인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티치 라인을 포함하는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한 장식 부재 {Method For Manufacturing Decorative Member Containing Stitch Line And Decoration Member Thereby}
본 발명은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재봉틀을 사용하여 직접 스티치 홀을 형성할 수 없을 정도로 기초 부재가 매우 두껍거나 복잡한 형상을 가진 경우에도 스티치 라인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내부에는 운전자와 탑승자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편의장치가 설치되는데, 그 예로 각종 물품을 넣어 보관할 수 있는 콘솔박스(console box),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암레스트(armrest), 캔이나 병, 컵 등의 음료 용기를 보관할 수 있는 컵 홀더(cup holder), 도어 트림(door trim), 대시 보드(dashboard)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암레스트 등 장식 부재의 장식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thread)에 의하여 형성되는 스티치 라인(Stitch Line)을 포함하는 암레스트 등을 제조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제조 방법은, PVC 등을 재질로 하는 원자재를 사용하여 매우 얇은 스킨 부재를 제조한 후, 상기 스킨 부재에 스티치(Stitch) 형성하기 위한 공정을 포함한다. 여기에 사용되는 스티치 형성 방법으로는, 실제의 실과 재봉틀을 사용하여 진짜 스티치 라인을 스킨 부재에 형성하는 스티치공법과, 사출 등의 방법으로 가짜 스티치 라인을 스킨 부재에 형성하는 페이크(fake)공법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페이크(fake)공법은, 스티치 라인의 사실감이 떨어지고 스티치 라인의 색상 표현에도 한계가 있어, 고급 차량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페이크(fake)공법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진짜 실과 재봉틀을 사용하여 사실적인 스티치 라인(real stitch line)을 형성하는 스티치공법이 고급 차량에는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티치공법은, 매우 얇은 스킨 부재를 형성한 후 실과 재봉틀을 사용하여 스티치 라인을 형성하므로, 상기 스킨 부재가 비교적 두꺼울 경우에는 적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스티치공법은, 스티치가 형성된 스킨 부재를 화학 접착제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감싸는 공정을 필수적으로 포함하게 됨으로써, 작업자에게 호흡계 질병 및 근골격계 질병을 자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스티치가 들어가 있는 부분을 재단한 후 재단한 부위를 봉재로 접합하는 공정도 포함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제조 시간 및 제조 원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재봉틀을 사용하여 직접 스티치 홀을 형성할 수 없을 정도로 기초 부재가 매우 두껍거나 복잡한 형상을 가진 경우에도 스티치 라인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개선된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장식 부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은, 실에 의하여 형성된 스티치 라인을 포함하는 장식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실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스티치 홀을 기초 부재에 미리 형성하는 스티치 홀 형성 단계; 상기 기초 부재에 형성된 스티치 홀에 상기 실을 통과시켜 스티치 라인을 형성하는 스티치 라인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티치 홀 형성 단계는, 상기 스티치 홀을 형성할 수 있도록 금형을 마련하는 금형 마련 단계; 상기 금형을 사용하여 상기 스티치 홀이 형성된 기초 부재를 사출 성형하는 사출 성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티치 홀 형성 단계는, 상기 장식 부재의 기초가 되는 기초 부재를 마련하는 기초 부재 마련 단계; 상기 기초 부재에 상기 스티치 홀을 천공하는 스티치 홀 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스티치 홀이 형성된 기초 부재에 도장, 도금, 물리적 전처리, 화학적 전처리 등 다양한 표면 처리 공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표면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기초 부재는, 플라스틱 사출물, 플라스틱 판재, 원목 판재, 원목 베니어 합판, 목재 합판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티치 홀 형성 단계에서는, 상기 스티치 라인을 따라 연장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실이 수용될 수 있는 홈부가 상기 기초 부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목적을 위한 장식 부재는,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장식 부재로서, 실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스티치 홀을 구비하는 기초 부재; 상기 스티치 홀을 관통하여 다양한 패턴의 스티치 라인을 형성하는 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에 의하여 형성된 스티치 라인을 포함하는 장식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실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스티치 홀을 기초 부재에 미리 형성하는 스티치 홀 형성 단계; 상기 기초 부재에 형성된 스티치 홀에 상기 실을 통과시켜 스티치 라인을 형성하는 스티치 라인 형성 단계;를 포함하므로, 매우 얇은 스킨 부재를 형성한 후 실과 재봉틀을 사용하여 스티치 홀과 스티치 라인을 동시에 형성하는 종래의 스티치공법과는 달리, 스티치 홀을 먼저 형성하므로 재봉틀을 사용하여 직접 스티치 홀을 형성할 수 없을 정도로 상기 기초 부재가 매우 두껍거나 복잡한 형상을 가진 경우에도 상기 스티치 라인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티치 홀 형성 단계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티치 홀 형성 단계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초 부재에 스티치 홀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초 부재의 스티치 홀에 실이 관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는 다양한 패턴의 스티치 라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티치 홀 형성 단계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티치 홀 형성 단계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30)에 의하여 형성된 스티치 라인(L)을 포함하는 장식 부재(100)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스티치 홀 형성 단계(S100)와 표면 처리 단계(S200)와 스티치 라인 형성 단계(S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티치 홀 형성 단계(S100)는, 상기 장식 부재(100)의 기초가 되는 기초 부재(10)에 실(30)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스티치 홀(20)을 미리 형성하는 단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금형 마련 단계(S101)와 사출 성형 단계(S102)를 포함한다.
상기 기초 부재(10)는, 플라스틱 사출물, 플라스틱 판재, 원목 판재, 원목 베니어 합판, 목재 합판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목 베니어 합판은 두께 0.2 내지 3mm가 적절하며, 상기 원목 판재는 두께 3 내지 30mm가 적절하며, 상기 플라스틱 사출물은 두께 0.5 내지 10mm가 적절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초 부재(10)가 다양한 두께와 복잡한 형상을 가진 플라스틱 사출물을 포함한다. 즉 상기 기초 부재(10)는 단순한 평판 형상 뿐만 아니라 복잡한 곡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금형 마련 단계(S101)는, 상기 기초 부재(10)에 상기 스티치 홀(20)을 형성할 수 있도록 금형을 마련하는 단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금형이 사출 성형을 위한 사출 금형이다.
상기 사출 금형은, 상기 기초 부재(1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스티치 홀(20)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핀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사출 성형 단계(S102)는, 상기 금형 마련 단계(S101)에서 마련된 사출 금형을 사용하여 상기 기초 부재(10)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이다.
상기 사출 성형 단계(S102)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티치 홀(20)이 상기 기초 부재(10)와 동시에 함께 형성된다.
이때, 기초 부재(10)의 상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11)가 형성된다.
상기 홈부(11)는, 상기 스티치 라인(L)을 따라 길게 연장된 상태로 형성되는 홈부로서, 상기 실(30)이 수용될 수 있도록 반원형 내지 원호형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상태로 형성된다. (스티치 홀 형성 단계; S100)
이렇게 상기 홈부(11) 및 스티치 홀(20)을 포함하는 기초 부재(10)를 마련한 후, 상기 기초 부재(10)에 다양한 표면 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표면 처리 단계(S200)가 수행된다.
상기 표면 처리 공정은, 상기 스티치 홀(20)이 형성된 기초 부재(10)에 도장, 도금, 물리적 전처리, 화학적 전처리 등 다양한 표면 처리 공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티치 홀(20)이 형성된 기초 부재(10)에 미리 정한 색상과 무늬를 형성시키는 도장 공정이 수행된다. (표면 처리 단계; S200)
상기 스티치 홀(20)이 형성된 기초 부재(10)를 표면 처리한 이후에, 상기 스티치 라인 형성 단계(S300)이 수행된다. 상기 스티치 라인 형성 단계(S300)은 상기 스티치 홀(20)에 상기 실(30)을 통과시켜 다양한 패턴의 스티치 라인(L)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실(30)은 다양한 굵기와 색상 및 질감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스티치 라인(L)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티치 홀(20)에 상기 실(30)을 통과시키는 공정은, 수동 또는 자동 재봉틀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훅바늘 또는 귀바늘을 사용하여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재봉틀을 사용하여 상기 스티치 홀(20)에 상기 실(30)을 통과시키고 있으며, 그 결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치 라인(L)이 형성된 장식 부재(100)가 완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부(11)에 안정적으로 수용된다.
상기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식 부재(100)가 완성되는데, 상기 장식 부재(100)는, 실(30)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스티치 홀(20)을 구비하는 기초 부재(10); 상기 스티치 홀(20)을 관통하여 다양한 패턴의 스티치 라인(L)을 형성하는 실(30);을 포함하고 있다. (스티치 라인 형성 단계; S300)
상술한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은, 실(30)에 의하여 형성된 스티치 라인(L)을 포함하는 장식 부재(100)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실(30)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스티치 홀(20)을 기초 부재(10)에 미리 형성하는 스티치 홀 형성 단계(S100); 상기 기초 부재(10)에 형성된 스티치 홀(20)에 상기 실(30)을 통과시켜 스티치 라인(L)을 형성하는 스티치 라인 형성 단계(S300);를 포함하므로, 매우 얇은 스킨 부재를 형성한 후 실과 재봉틀을 사용하여 스티치 홀과 스티치 라인을 동시에 형성하는 종래의 스티치공법과는 달리, 스티치 홀을 먼저 형성하는 바 재봉틀을 사용하여 직접 스티치 홀(20)을 형성할 수 없을 정도로 상기 기초 부재(10)가 매우 두껍거나 복잡한 형상을 가진 경우에도 상기 스티치 라인(L)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은, 상기 스티치 라인 형성 단계(S300)을 최후 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완성된 상기 장식 부재(100)를 별도의 후가공이나 접착 공정 없이 바로 자동차에 장착함으로써 암레스트 등을 완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은, 상기 스티치 홀 형성 단계(S100)가, 상기 스티치 홀(20)을 형성할 수 있도록 금형을 마련하는 금형 마련 단계(S101); 상기 금형을 사용하여 상기 스티치 홀(20)이 형성된 기초 부재(10)를 사출 성형하는 사출 성형 단계(S102);를 포함하므로, 복잡한 형상을 가진 상기 기초 부재(10)와 상기 스티치 홀(20)을 한번의 공정으로 동시에 성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은, 상기 스티치 홀(20)이 형성된 기초 부재(10)에 도장, 도금, 물리적 전처리, 화학적 전처리 등 다양한 표면 처리 공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표면 처리 단계(S200);를 포함하므로, 상기 실(30)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도 상기 기초 부재(10)의 색상과 질감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은, 상기 기초 부재(10)가, 플라스틱 사출물, 플라스틱 판재, 원목 판재, 원목 베니어 합판, 목재 합판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므로, 상기 기초 부재(10)의 재질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질감과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은, 상기 스티치 홀 형성 단계(S100)에서, 상기 스티치 라인(L)을 따라 연장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실(30)이 수용될 수 있는 홈부(11)가 상기 기초 부재(10)에 형성되므로, 상기 실(30)이 미리 정한 상기 스티치 라인(L)을 이탈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기초 부재(10)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장식 부재(100)는, 실(30)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스티치 홀(20)을 구비하는 기초 부재(10); 상기 스티치 홀(20)을 관통하여 다양한 패턴의 스티치 라인(L)을 형성하는 실(30);을 포함하므로, 페이크(fake)공법에 의하여 가짜 스티치 라인을 스킨 부재에 형성하는 종래의 장식 부재와 달리, 사실적인 바느질의 질감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리얼 스티치"(real stitch)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장식 부재(100)는, 각종 물품을 넣어 보관할 수 있는 콘솔박스(console box),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암레스트(armrest), 캔이나 병, 컵 등의 음료 용기를 보관할 수 있는 컵 홀더(cup holder), 도어 트림(door trim), 대시 보드(dashboard) 등의 자동차 내장재나, 전자제품 케이스, 건축 내장재 등 다양한 분야의 장식 부재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티치 홀 형성 단계(S100)가, 금형 마련 단계(S101)와 사출 성형 단계(S102)를 포함하고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식 부재(100)의 기초가 되는 기초 부재(10)를 마련하는 기초 부재 마련 단계(S101a); 드릴과 같은 장비를 사용하여 상기 기초 부재(10)에 상기 스티치 홀(20)을 천공하는 스티치 홀 천공 단계(S102a);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렇게 상기 스티치 홀 천공 단계(S102a)를 사용하게 되면, 사출 성형을 할 수 없는 재질의 기초 부재(10)에 대해서도 미리 스티치 홀(20)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스티치 홀 천공 단계(S102a)를 수행한 후 상기 스티치 라인 형성 단계(S300)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기초 부재(10)를 미리 원하는 형상으로 만드는 프리포밍(preforming) 공정이 부가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장식 부재
10 : 기초 부재
11 : 홈부
20 : 스티치 홀
30 : 실
L : 스티치 라인

Claims (7)

  1. 실에 의하여 형성된 스티치 라인을 포함하는 장식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실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스티치 홀을 기초 부재에 미리 형성하는 스티치 홀 형성 단계;
    상기 기초 부재에 형성된 스티치 홀에 상기 실을 통과시켜 스티치 라인을 형성하는 스티치 라인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치 홀 형성 단계는, 상기 스티치 홀을 형성할 수 있도록 금형을 마련하는 금형 마련 단계; 상기 금형을 사용하여 상기 스티치 홀이 형성된 기초 부재를 사출 성형하는 사출 성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치 홀 형성 단계는, 상기 장식 부재의 기초가 되는 기초 부재를 마련하는 기초 부재 마련 단계; 상기 기초 부재에 상기 스티치 홀을 천공하는 스티치 홀 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치 홀이 형성된 기초 부재에 도장, 도금, 물리적 전처리, 화학적 전처리 등 다양한 표면 처리 공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표면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부재는, 플라스틱 사출물, 플라스틱 판재, 원목 판재, 원목 베니어 합판, 목재 합판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치 홀 형성 단계에서는, 상기 스티치 라인을 따라 연장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실이 수용될 수 있는 홈부가 상기 기초 부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장식 부재로서,
    실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스티치 홀을 구비하는 기초 부재;
    상기 스티치 홀을 관통하여 다양한 패턴의 스티치 라인을 형성하는 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부재
KR1020190007349A 2019-01-21 2019-01-21 스티치 라인을 포함하는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한 장식 부재 KR102245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349A KR102245317B1 (ko) 2019-01-21 2019-01-21 스티치 라인을 포함하는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한 장식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349A KR102245317B1 (ko) 2019-01-21 2019-01-21 스티치 라인을 포함하는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한 장식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387A true KR20200090387A (ko) 2020-07-29
KR102245317B1 KR102245317B1 (ko) 2021-04-26

Family

ID=71893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349A KR102245317B1 (ko) 2019-01-21 2019-01-21 스티치 라인을 포함하는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한 장식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531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4074A (ja) * 1998-03-31 2000-11-14 Kiyoshi Mishima 生地への模様形成方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ミシン並びに針通過孔群形成装置
KR200480510Y1 (ko) * 2014-11-30 2016-06-03 최규환 장식용 판석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4074A (ja) * 1998-03-31 2000-11-14 Kiyoshi Mishima 生地への模様形成方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ミシン並びに針通過孔群形成装置
KR200480510Y1 (ko) * 2014-11-30 2016-06-03 최규환 장식용 판석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 Y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5317B1 (ko) 2021-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24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itching a three dimensional formed component and components formed from the method
KR101773138B1 (ko)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
US705256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decorative panel cover
CN103649396B (zh) 用于缝制车辆内装部件的方法以及由该方法形成的部件
EP319163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lind stitching a formed component and components formed from the method
US7922956B1 (en) Vehicular trim component and cover with simulated stitch and/or seam thereon
EP3107706B1 (de) Mehrschichtiger formkörper für fahrzeuginnenausstattungen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solcher formkörper
US20110171435A1 (en) Single side stitching for interior skins
US20210207302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mbroidery pattern or quilting pattern of cloth for interior panel of vehicle
US9352705B2 (en) Decorative panel and vehicle interior/exterior components
KR102245317B1 (ko) 스티치 라인을 포함하는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한 장식 부재
WO2016023966A1 (en) Method for forming a decorative seam
JP2015229244A (ja) 長尺体付き内装部品の真空成形型及びその真空成形方法
JP2017206139A (ja) 加飾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6398852B2 (ja) ステッチ加飾付き内装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002332B (zh) 用于缝制车辆内装部件的装置和方法
JP2020108943A (ja) 加飾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95456B1 (ko) 고립된 문자형상의 구현이 가능한 버튼 제조방법
JP2023153099A (ja) 三次元成形された構成要素を縫い合わせ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並びに方法により形成された構成要素
JP2004142347A (ja) 表面加飾品及び表面加飾方法
WO2017158652A1 (ja) 合成樹脂部品のステッチ加飾形成方法
GB2392131A (en) Method of manufacture of layered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