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9617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9617A
KR20200089617A KR1020200004156A KR20200004156A KR20200089617A KR 20200089617 A KR20200089617 A KR 20200089617A KR 1020200004156 A KR1020200004156 A KR 1020200004156A KR 20200004156 A KR20200004156 A KR 20200004156A KR 20200089617 A KR20200089617 A KR 20200089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atch
openable
image form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키요시 후루타
료스케 타카하시
마사키 이와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9005954A external-priority patent/JP725856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9040681A external-priority patent/JP7289673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89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6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5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4Reconditioning of the developer unit,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unit, e.g. resealing of the unit before refilling with ton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는, 장치본체와, 피계합부가 마련되고 장착부를 덮기 위한 개폐가능 부재와, 상기 장치본체에 마련되어 닫힘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개폐가능 부재의 상기 피계합부와 계합하고, 상기 장치본체에 대한 상기 개폐가능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계합부재와, 상기 계합부재의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상기 계합부재를 상기 피계합부와 계합 한 상태로 잠그는 잠금부와, 상기 잠금부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전동 구동부와, 장착되어 있는 상기 소모품이 교환되어야 할 교환 상태가 되었는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로부터 상기 소모품이 교환 상태가 되었다고 판정하는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전동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잠금부의 잠금을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을 위한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등의 소모품을 탈착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프린터, 잉크젯 프린터, 복사기 등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카트리지를 다 사용하였을 경우, 사용자 또는 서비스맨은 그 현상제 카트리지를 신품의 현상제 카트리지와 교환하게 된다.
이러한 교환 작업에서는, 장치 본체의 개폐가능 커버를 열고, 장치 본체 내부로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여, 현상제 카트리지를 교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미국 특허6768877호).
이러한 현상제 카트리지의 교환에 있어서는, 현상제 카트리지의 현상제가 완전히 소비되기 전에 사용자가 잘못해서 개폐가능 커버를 열어, 아직 사용할 수 있는 현상제 카트리지를 교환해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아직 사용할 수 있는 현상제 카트리지를 조기에 교환해버리는 것은, 사용자에 있어서 쓸데없는 비용이 들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아직 사용가능한 현상제 카트리지 등의 소모품의 조기교환을 방지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장치본체와, 피계합부가 마련되고, 화상형성을 위한 소모품이 장착되는 장착부를 덮도록 구성된 개폐가능 부재와, 상기 장치본체에 마련되어, 닫힘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개폐가능 부재의 상기 피계합부와 계합하고, 상기 장치본체에 대한 상기 개폐가능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계합부재와, 상기 계합부재의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상기 계합부재를 상기 피계합부와 계합 한 상태로 잠그도록 구성된 잠금부와, 상기 잠금부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전동 구동부와, 장착되어 있는 상기 소모품이 교환되어야 할 교환 상태가 되었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로부터 상기 소모품이 교환 상태가 되었다고 판정하는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전동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잠금부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의 기술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의 모식적 정면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개폐가능 커버 홀딩 기구의 주요부 사시도다.
도 4의 (a) 및 (b)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개폐가능 커버를 닫힘 상태(closed state)에서 잠그는 잠금 기구(locking mechanism)의 구동부의 단면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개폐가능 커버를 닫힘 상태에서 잠그는 잠금 기구의 잠금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개폐가능 커버를 닫힘 상태에서 잠그는 잠금 기구의 잠금 해제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의 (a) 내지 (d)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개폐가능 커버가 열림 조작된 것을 검지하는 조작 검지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 블럭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도 8의 제어 회로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도 8의 제어 회로의 순서도이다.
도 11의 (a) 및 (b)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개폐가능 커버를 닫힘 상태에서 잠그는 잠금 기구를 수동으로 해제(제거)하는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13의 (a) 및 (b)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개폐가능 커버를 닫힘 상태에서 잠그는 잠금 기구가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2의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4의 (a) 및 (b)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개폐가능 커버를 닫힘 상태에서 잠그는 잠금 기구의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도 12의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도 13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도 13의 주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의 (a) 및 (b)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개폐가능 커버를 닫힘 상태에서 잠그는 잠금 기구가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2의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8의 (a) 및 (b)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개폐가능 커버를 닫힘 상태에서 잠그는 잠금 기구의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도 12의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9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도 17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21의 (a) 및 (b)는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2의 (a) 및 (b)는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3의 (a) 및 (b)는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래치 부재의 주위 확대 사시도이다.
도 24의 (a)는 제4 실시형태에 따른 규제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4의 (b)는 규제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의 (a)는 제4 실시형태에 따른 규제 유닛의 정면도이고, 도 25의 (b)는 규제 유닛의 상면도이다.
도 26의 (a) 및 (b)는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톱퍼 부재가 규제 위치에 위치하고, 버튼이 가압되었을 때의 규제 유닛의 모식도인데, (a)는 정면도이고, (b)는 상면도이다.
도 27은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톱퍼 부재가 규제 위치에 위치하고, 버튼이 가압되었을 때의 규제 유닛과 래치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8의 (a) 및 (b)는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톱퍼 부재가 해제 위치에 위치하고, 버튼이 가압되었을 때의 규제 유닛의 모식도인데, (a)는 정면도이고, (b)는 상면도이다.
도 29는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톱퍼 부재가 해제 위치에 위치하고, 버튼이 가압되었을 때의 규제 유닛과 래치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1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카트리지 교환 시퀀스의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발명이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는 예시이며,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발명이 적용되는 장치의 구성이나 기능, 재질, 형상, 그 상대배치 등의 각종 조건은 적당히 수정 또는 변경가능하며,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형성장치로서 전자사진화상형성 프로세스에 의한 컬러 레이저프린터를 예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전자사진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잉크젯 방식 등의 다른 방식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이여도 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로서의 컬러 레이저프린터의 모식적 정면 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프린터(1100)에는, 전자사진방식에 의해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1100A)가 설치되어 있다. 이 화상형성부(1100A)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에 4색의 토너상을 각각 형성하는 4개의 감광 드럼(1101Y, 1101M, 1101C, 1101K)을 포함한다. 또한, 화상형성부(1100A)는, 이들 4개의 감광 드럼(1101Y, 1101M, 1101C, 1101K)과 접촉하여, 감광 드럼(1101Y, 1101M, 1101C, 1101K)에 형성된 토너상이 1차 전사되는 무한 중간전사 벨트(1102)를 포함한다.
화상형성부(1100A)는, 감광 드럼(1101Y, 1101M, 1101C, 1101K)에 대하여 중간전사 벨트(1102)의 내주측에서 중간전사 벨트(1102)과의 사이에 닙을 형성하는 1차 전사 롤러(1106Y, 1106M, 1106C, 1106K)를 더 포함한다. 이 1차 전사 롤러(1106Y, 1106M, 1106C, 1106K)는, 감광 드럼(1101Y, 1101M, 1101C, 1101K)과 중간전사 벨트(1102)와의 사이에 전위차를 생기게 하여 중간전사 벨트(1102)로 토너상을 1차 전사시킨다. 또한, 화상형성부(1100A)는, 중간전사 벨트(1102)와의 사이에 닙을 형성하고, 중간전사 벨트(1102)에 전사된 화상을 프린트 용지 등의 시트(1114)에 2차 전사하는 2차 전사 롤러(1105)를 포함한다.
화상형성부(1100A)에서 화상형성동작이 개시되면, 레이저 스캐너(1103)에 의해 화상신호에 따른 빛이 감광 드럼(1101Y, 1101M, 1101C, 1101K)에 조사되어, 감광 드럼(1101Y, 1101M, 1101C, 1101K)위에 잠상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이 잠상을, 현상 롤러를 가지는 현상 카트리지(현상제 카트리지)(1104Y, 1104M, 1104C, 1104K)에 수납된 토너로 현상함으로써, 감광 드럼(1101Y, 1101M, 1101C, 1101K) 위에 토너 화상(가시상)이 형성된다.
감광 드럼(1101Y, 1101M, 1101C, 1101K) 위에 형성된 토너 화상은, 다음으로 중간전사 벨트(1102)로 1차 전사되며, 중간전사 벨트(1102)로 1차 전사된 토너 화상은 중간전사 벨트(1102)에 의해 2차 전사부로 반송된다.
이상의 토너 화상형성동작과 병행하여, 시트 수납부(1107)로부터 픽업 롤러(1108)에 의해 시트(1114)가 1장씩 반송된다. 그리고, 이 시트(1114)는, 공급 롤러(1109) 및 시트(1114)의 경사행(oblique movement) 보정을 행하는 레지스트 롤러(1110)에 의해 중간전사 벨트(1102)와 2차 전사 롤러(1105)의 닙에 의해 형성되는 2차 전사부로 반송된다.
여기에서, 시트(1114)는, 중간전사 벨트(1102) 위에 형성된 토너 화상에 대하여 시트(1114)의 시트 반송 방향의 위치를 맞출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레지스트 롤러(1110) 및 공급 롤러(1109)에 의해 시트(1114)의 반송 속도제어를 행하고, 중간전사 벨트(1102)위로 형성된 토너 화상에 대한 시트(1114)의 반송 동작의 타이밍 맞춤이 행해진다. 그리고, 2차 전사부에서 2차 전사 롤러(1105)에 바이어스를 인가함으로써 토너 화상이 중간전사 벨트(1102)로부터 시트(1114)로 전사된다.
토너 화상이 전사된 시트(1114)는, 정착부(1111)에 반송되어, 정착부(1111)에서 가열 및 가압됨으로써 토너 화상이 시트(1114)에 정착되며, 배출 롤러(1112)에 의해 프린터(1100)의 상부 배출부(1113)로 배출된다.
감광 드럼(1101Y, 1101M, 1101C, 1101K) 또는 현상 카트리지(1104Y, 1104M, 1104C, 1104K)는 소모품이기 때문에, 교환이 필요할 때에 교환할 수 있도록, 프린터(1100)의 장착부에 대하여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현상 카트리지(1104Y, 1104M, 1104C, 1104K)에는, 공지의 토너 잔량 검지 센서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 각각의 현상 카트리지내의 토너 잔량이 모니터링된다.
도 2는, 감광 드럼(1101Y, 1101M, 1101C, 1101K) 및 현상 카트리지(1104Y, 1104M, 1104C, 1104K)를 교환하기 위한 프린터(1100)의 개폐가능 커버(11)를 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 있어서, 감광 드럼(1101Y, 1101M, 1101C, 1101K) 및 현상 카트리지(1104Y, 1101M, 1101C, 1101K)는, 그들의 장착부를 덮는 개폐가능 커버(11)를 여는 것에 의해, 각각 개폐가능 커버(11)가 열려지는 방향으로 탈착이 가능해진다.
개폐가능 커버(11)가 닫힌 상태에서는, 프린터(1100)의 본체에 설치된 홀딩부로서의 래치부(14b, 14c)가 각각 개폐가능 커버(11)의 래치 계지(係止)부(11a, 11b)를 계지(係止)함으로써, 개폐가능 커버(11)는 닫힘 상태로 유지된다.
조작부(12)는 개폐가능 커버(11)의 래치 계지부(11a, 11b)의 계지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부로서, 개폐가능 커버(11)를 열 때에 앞으로 당기는 레버이다. 조작부(12)가 앞으로 당겨지면, 래치부(14b, 14c)가 연동하여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개폐가능 커버(11)의 래치 계지부(11a, 11b)의 계지를 해제하고, 개폐가능 커버(11)가 열림 상태가 된다.
조작 패널(114)은, 각종 표시나 조작 입력을 행하는 프린터(1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3의 (a) 및 (b)는, 도 2의 조작부(12)를 조작했을 때에 래치부(14b, 14c)가 개폐가능 커버(11)의 래치 계지부(11a, 11b)의 계지를 해제하기 위한 기구를 나타낸다. 도 3의 (a)는 래치부(14b, 14c)가 개폐가능 커버(11)의 래치 계지부(11a, 11b)를 계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래치부(14b, 14c)가 개폐가능 커버(11)의 래치 계지부(11a, 11b)의 계지를 해제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의 (a) 및 (b)에 있어서, 래치(14)는, 래치축(14a), 래치부(14b), 래치부(14c)에 의해 구성되며, 이들은 일체로 움직인다. 래치 스프링(15)은, 래치부(14b), 래치부(14c)가 개폐가능 커버(11)의 래치 계지부(11a, 11b)를 계지하는 화살표 R의 방향으로 래치(14)를 가압하고 있다.
도 3의 (a)에 나타낸 래치(14)가 개폐가능 커버(11)의 래치 계지부(11a, 11b)를 계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12)의 손잡이부(12a)가 화살표 D의 방향으로 당겨지면, 조작부(12)는 조작 회동축(12b)의 주위로 화살표 D의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에 의해, 조작부 선단(12c)이 도 3의 (a)에 도시되어 있는 이동부를 구성하는 연결 부재(16)의 제1 아암(16b)을 누름으로써 연결 부재(16)를 회동축(140)의 주위로 화살표 E의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회동에 의해 연결 부재(16)의 제2 아암(16c)이 래치(14)의 피가압부(14d)를 래치 스프링(15)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화살표 L의 방향으로 민다. 연결 부재(16)가 화살표 E의 방향으로 소정 위치까지 회동이동하면, 래치(14)는, 래치부(14b, 14c)가 개폐가능 커버(11)의 래치 계지부(11a, 11b)의 계지를 해제하는 계지 해제 위치까지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에 의해 개폐가능 커버(11)가 화살표 F의 방향으로 열리게 된다.
도 4의 (a) 및 (b)는 래치부(14b, 14c)에 의한 개폐가능 커버(11)의 래치 계지부(11a, 11b)의 계지를 해제 불능으로 하여 개폐가능 커버(11)를 닫힘 상태로 잠그는 잠금 기구의 구동부를 설명하는 것이다. 도 4의 (a)는 잠금 기구의 구동부의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잠금 기구의 구동부의 잠금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의 (a) 및 (b)에 있어서, 잠금부 및 규제부를 구성하는 잠금 레버(17)는, 회동축(141) 주위로 회동가능하게 보유지지되어, 일단이 가압부재로서의 잠금 스프링(18)에 의해 화살표 G의 방향으로 당겨져서 화살표 H의 방향으로 회동한다. 한편, 잠금 레버(17)의 타단이 전동 구동부를 구성하는 솔레노이드(111)에 의해 화살표 J의 방향으로 당겨져서 화살표 K의 방향으로 회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잠금 스프링(18)의 가압력과 솔레노이드(111)의 흡인력의 강약 밸런스에 의해 잠금 위치 및 잠금 해제 위치의 위치 제어가 행해져, 이들에 의해 잠금 기구가 구성된다.
솔레노이드(111)에 의한 잠금 레버(17)의 화살표 J의 방향의 당김은, 자력에 의해 솔레노이드(111)로 당겨지는 플런저(111a)가 스프링 핀(111b)를 통해서 잠금 레버(17)을 당김으로써 행하여 진다.
도 4의 (a)에 나타낸 잠금 상태에서는, 잠금 스프링(18)의 가압력과 솔레노이드(111)의 자력에 의한 흡인력의 힘의 관계가 「잠금 스프링(18)의 가압력 > 솔레노이드(111)의 흡인력」인 관계에 있다. 이에 의해, 잠금 레버(17)는 화살표 G의 방향으로 당겨져, 화살표 H의 방향으로 회동하며, 회전 스톱퍼(116)에 맞부딪친 위치에서 잠금 위치가 결정된다.
도 4의 (b)에 나타낸 잠금 해제 상태에서는, 솔레노이드(111)에 흡인 지령이 입력되어 자력이 강화되면, 잠금 스프링(18)의 가압력과 솔레노이드(111)의 자력에 의한 흡인력의 힘의 관계가 「잠금 스프링(18)의 가압력 < 솔레노이드(111)의 흡인력」이 된다. 이에 의해, 플런저(111a)가 화살표 J의 방향으로 밀어 내려지고, 잠금 레버(17)가 플런저(111a)로 당겨져 화살표 K의 방향으로 회동하고,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한다.
도 5의 (a) 및 (b)는 개폐가능 커버(11)를 닫힘 상태로 잠그는 잠금 기구의 잠금 동작을 도시하는 것이다. 도 5의 (a)는 조작부(12)에 의해 개폐가능 커버(11)가 열림 조작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의 (b)는 조작부(12)에 의해 개폐가능 커버(11)가 열림 조작이 행해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잠금 기구가 잠금 상태에 있고,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폐가능 커버(11)를 열기 위해서 조작부(12)가 조작될 경우, 조작부(12)의 조작에 연동해서 연결 부재(16)가 화살표 E의 방향으로 회동하여 도 5의 (a)의 위치에서 도 5의 (b)의 위치로 이동한다.
도 5의 (b)의 상태에서는, 상술한 것 같이 잠금 레버(17)가 잠금 스프링(18)에 의해 화살표 H의 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잠금 레버(17)가 연결 부재(16)의 맞닿음면(16a)에 맞부딪치고, 연결 부재(16)의 회동이동이 규제된다. 도 5의 (b)의 상태는, 연결 부재(16)의 제2 아암(16c)이 래치(14)의 피가압부(14d)를 누르기 전의 위치이기 때문에, 래치(14)는 래치부(14b, 14c)가 개폐가능 커버(11)의 래치 계지부(11a, 11b)의 계지를 해제하는 계지 해제 위치까지 슬라이드 이동할 수 없다. 즉, 개폐가능 커버(11)의 계지가 해제 불능이 되기 때문에 개폐가능 커버(11)는 개방되지 않는다.
도 6의 (a) 및 (b)는 개폐가능 커버(11)를 닫힘 상태로 잠그는 잠금 기구의 잠금 해제 동작을 도시하는 것이다. 도 6의 (a)는 조작부(12)에 의해 개폐가능 커버(11)가 열림 조작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의 (b)는 조작부(12)에 의해 개폐가능 커버(11)가 열림 조작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잠금 기구가 잠금 해제 상태에 있고,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폐가능 커버(11)를 열기 위해서 조작부(12)가 조작된 경우, 조작부(12)의 조작에 연동해서 연결 부재(16)가 화살표 E의 방향으로 회동하여 도 6의 (a)의 위치로부터 도 6의 (b)의 위치로 이동한다.
도 6의 (b)의 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 레버(17)가 솔레노이드(111)의 흡인력에 의해 화살표 K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연결 부재(16)의 맞닿음면(16a)에 맞부딪치는 규제 위치로부터 퇴피하여 연결 부재(16)의 회동은 규제되지 않는다. 따라서, 연결 부재(16)의 제2 아암(16c)이 래치(14)의 피가압부(14d)를 밀 수 있어서, 래치(14)는 계지 해제 위치까지 화살표 L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래치부(14b, 14c)가 개폐가능 커버(11)의 래치 계지부(11a, 11b)의 계지를 해제할 수 있다. 즉, 개폐가능 커버(11)의 계지가 해제 가능하기 때문에 개폐가능 커버(11)는 개방된다.
도 7의 (a) 내지 (d)는 사용자가 조작부(12)를 조작한 것을 검지하는 조작 검지 기구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7의 (a)는 잠금 기구를 포함하는 조작 검지 기구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의 (b), (c), (d)는, 조작 검지 기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의 (a) 내지 (d)에 있어서, 조작부(12)가 조작된 것을 검지하는 조작 검지 스위치(19)를 누르는 스위치 레버(110)는, 잠금 레버(17)과 같은 축인 회동축(141) 주위로 회동가능하게 보유지지되어, 연결 부재(16)의 제3 아암(16d)과 계합면(110a)에서 계합한다.
조작부(12)가 조작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도 7의 (b)에 도시되어 있듯이 스위치 레버(110)는 조작 검지 스위치(19)를 밀지 않고 있다.
개폐가능 커버(11)가 닫힘 상태에서 잠금된 잠금 상태에서 조작부(12)가 조작되어, 도 5의 (b)에 상당하는 상태가 되었을 때의 스위치 레버(110)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 도 7의 (c)의 상태이다. 회동된 연결 부재(16)의 제3 아암(16d)에 의해 스위치 레버(110)의 계합면(110a)이 밀림으로써, 조작 검지 스위치(19)가 스위치 레버(110)에 의해 밀린다. 조작 검지 스위치(19)가 온(ON) 위치까지 밀리면, 그 신호가 후술하는 제어 회로에 보내져, 조작부(12)가 조작된 것이 검지된다.
개폐가능 커버(11)의 닫힘 상태의 잠금이 해제된 잠금 해제 상태에서 조작부(12)가 조작되어, 도 6의 (b)에 상당하는 상태가 되었을 때의 스위치 레버(110)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 도 7의 (d)의 상태이다. 연결 부재(16)의 회동위치가 도 7의 (c)의 상태로부터 더욱 진행한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3 아암(16d)의 스위치 레버(110)와의 계합위치는 계합면(110a)으로부터 계합면(110b)으로 이동한다. 계합면(110b)은, 회동축(140)과 동심인 원호형상을 가지고 제3 아암(16d)과 접해 있기 때문에, 연결 부재(16)의 회전량이 진행해도 스위치 레버(110)가 조작 검지 스위치(19)를 미는 양은 일정하게 된다.
이렇게 스위치 레버(110)는, 잠금 기구가 개폐가능 커버(11)를 닫힘 상태로 잠그는 잠금 상태인지 및 잠금 해제 상태인지에 상관없이, 조작부(12)가 조작되면 조작부(12)가 조작된 것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솔레노이드(111)는, 도 5∼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가능 커버(11)를 닫힘 상태로 잠그는 잠금 기구의 잠금 및 잠금 해제의 제어를 행할 때, 플런저(111a)를 동작시키기 위해서 전류를 인가하고, 자계를 발생시킴으로써 제어된다. 그러나, 이 자계의 발생이 페이스메이커를 사용하고 있는 환자가 프린터(1100)의 근처에 있었을 경우, 오동작 등의 염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할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솔레노이드(111)는, 도 7의 (a)에 나타내지는 솔레노이드 보유지지 금속판(112)에 의해 플런저(111a)의 동작 영역을 포함해, 투영 단면이 완전히 덮어지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자기방사는 차폐된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 블럭도이다.
도 8에 있어서, 제어부로서의 제어 회로(1201)는 회로 전체를 제어하는 CPU로 구성되며, 조작 검지 회로(1202)는 조작부(12)가 조작되어서 조작 검지 스위치(19)가 ON 된 것을 검지한다. 닫힘 검지부로서의 개폐가능 커버 닫힘 검지 회로 (1203)는 개폐가능 커버(11)가 닫혀진 것을 검지하며, 표시 구동 회로(1204)는 도 2의 조작 패널(114)을 구동하기 위해 제공된다. 회로는, 토너 잔량 검지 센서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1104Y, 1104M, 1104C, 1104K)의 토너 잔량을 검지하는 판정부로서의 토너 잔량 검지 회로(1205)를 더 포함하며, 솔레노이드(111)의 구동 회로(1206)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개폐가능 커버(11)의 잠금 기구의 동작을 도 9에 나타내는, 도 8의 제어 회로(1201)의 순서도를 따라서 설명한다.
스텝 S01에서, 토너 잔량 검지 회로(1205)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1104Y, 1104M, 1104C, 1104K)의 토너 잔량이 소정량 이하까지 줄어든 것이 검지되면, 제어 회로(1201)는 그 신호를 받아서 스텝 S02로 진행한다. 즉, 제어 회로(1201)는, 토너 잔량 검지 회로(1205)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가 교환해야 할 상태가 되었다고 판정되면, 그 신호를 받아서 스텝 S02로 진행한다.
스텝 S02에서는, 현상 카트리지가 교환해야 할 상태가 되었다고 판정된 신호를 받으면, 제어 회로(1201)는, 솔레노이드 구동 회로(1206)에 솔레노이드(111)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보낸다. 이에 의해, 솔레노이드 구동 회로(1206)는, 솔레노이드(111)를 구동하여 잠금 레버(17)를 당겨, 개폐가능 커버(11)를 닫힘 상태로 유지하는 계지 유지를 해제 가능하게 한다.
그 후, 스텝 S03에서, 현상 카트리지가 신품으로 교환되어서, 개폐가능 커버(11)가 닫혀진 것이 개폐가능 커버 닫힘 검지 회로(1203)에 의해 검지된다. 스텝 S04에서, 토너 잔량 검지 회로(1205)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1104Y, 1104M, 1104C, 1104K)의 토너 잔량이 소정량 이하가 되지 않은 것이 검지되면, 스텝 S05에서, 솔레노이드 구동 회로(1206)에 의한 솔레노이드(111)의 구동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잠금 레버(17)가 잠금 스프링(18)에 의해 당겨져서 개폐가능 커버(11)의 닫힘 상태의 계지 유지를 해제 불능으로 한다.
한편, 스텝S01에서, 토너 잔량 검지 회로(1205)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1104Y, 1104M, 1104C, 1104K)의 토너 잔량이 소정량 이하까지 줄어들어 있지 않고, 현상 카트리지가 아직 교환해야 할 상태가 되지 않고 있다고 판정되면, 스텝 S06으로 진행한다. 스텝 S06에서는, 솔레노이드(111)의 구동은 행하여지지 않고, 개폐가능 커버(11)를 닫힘 상태로 하고 있는 계지 유지가 해제 가능하게 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개폐가능 커버(11)를 열 수 없기 때문에 현상 카트리지의 교환은 행하여지지 않고, 아직 사용가능한 현상제 카트리지를 빠른 시기에 교환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개폐가능 커버(11)를 열려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12)가 조작되었을 때의 조작 패널(114)의 표시 동작을 도 10에 나타내는, 도 8의 제어 회로(1201)의 순서도에 따라 설명한다.
스텝 S11에서, 개폐가능 커버(11)를 열려고 사용자가 조작부(12)를 조작한 것이 조작 검지 스위치(19)의 ON에 의해 조작 검지 회로(1202)에서 검지되면, 스텝 S12로 진행한다. 스텝 S12에서는, 토너 잔량 검지 회로(1205)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1104Y, 1104M, 1104C, 1104K)의 토너 잔량이 소정량 이하까지 줄어든 것인지 아닌지를 검지한다.
토너 잔량 검지 회로(1205)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1104Y, 1104M, 1104C, 1104K)의 토너 잔량이 소정량 이하까지 줄어든 것이 검지 되어, 현상 카트리지가 교환해야 할 상태가 되었다고 판정되면 스텝 S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3에서는, 현상 카트리지가 교환해야 할 상태가 되었다고 판정된 것에 응하여 표시 구동 회로(1204)에 의해 조작 패널(114)에 현상 카트리지가 교환해야 할 상태로 된 것에 대응하는 표시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개폐가능 커버(11)의 닫힘 상태의 잠금이 해제가능해서 현상 카트리지를 교환할 수 있는 것 및 교환에 필요한 지시나 교환 방법의 안내를 조작 패널(114)에 의해 시각적 또는 음성에 의해 행한다.
한편, 스텝 S12에서, 토너 잔량 검지 회로(1205)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1104Y, 1104M, 1104C, 1104K)의 토너 잔량이 소정량 이하까지 줄어들어 있지 않고, 현상 카트리지가 아직 교환해야 할 상태가 되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스텝 S14로 진행한다.
스텝 S14에서는, 현상 카트리지가 아직 교환해야 할 상태가 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것에 응하여 표시 구동 회로(1204)에 의해 조작 패널(114)에 현상 카트리지가 교환해야 할 상태가 되지 않은 것에 따른 표시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현상 카트리지가 아직 사용할 수 있으므로 교환의 타이밍이 아니고, 개폐가능 커버(11)의 닫힘 상태의 잠금이 해제 불능이라는 안내를 조작 패널(114)에 의해 시각적 또는 음성에 의해 행한다.
또한, 이 조작 패널에서 행하여지는 개폐가능 커버(11)의 닫힘 상태의 유지가 해제 가능한지 아닌지에 대응한 표시는, 상기 이외의 표시이여도 된다.
도 11의 (a) 및 (b)는 솔레노이드(111)를 구동하는 전기부품이 고장나서, 개폐가능 커버(11)를 닫힘 상태로 잠그는 잠금 기구를 해제할 수 없을 경우에 긴급으로 수동 잠금 해제를 행하는 구성을 도시하는 것이다. 도 11의 (a)는 프린터(1100)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11의 (b)는 프린터(1100)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11의 (b)에 있어서, 개폐가능 커버(11)를 잠그는 잠금 기구가 잠금 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16)의 회동영역은 잠금 레버(17)에 의해 규제되어, 개폐가능 커버(11)의 계지 유지를 해제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전기부품이 고장나서 솔레노이드(111)에 의해 잠금 레버(17)의 연결 부재(16)의 회동영역의 규제를 해제할 수 없게 되면 개폐가능 커버(11)를 열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래치(14)의 동작 자체는 구속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공구(131)에 의해 래치(14)에 설치된 래치 해제부(115)를 화살표 L 방향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래치(14)를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개폐가능 커버(11)의 계지 유지를 해제하고, 개폐가능 커버(11)를 여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때,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1100)에 있어서의 개폐가능 커버(11)의 상부 틈으로 공구(131)를 집어 넣고, 래치 해제부(115)를 화살표 L의 방향으로 미는 것에 의해 개폐가능 커버(11)의 계지 유지의 해제를 행한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기본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것들을 원용하는 것으로서 중복하는 부분은 생략한다. 또, 제1 실시형태와 동일기능을 가지는 구성에는 동일부호를 붙임과 동시에 적당히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감광 드럼(1101Y, 1101M, 1101C, 1101K) 또는 현상 카트리지(1104Y, 1104M, 1104C, 1104K)를 교환하기 위한 프린터(1100)의 개폐가능 커버(11)를 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의 (a) 및 (b)는 도 12의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3의 (a)는 개폐가능 커버(11)를 닫힘 상태에서 잠그는 잠금 기구가 해제된 잠금 해제 상태에 있어서의 개폐가능 커버(11)가 열림 조작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3의 (b)는 잠금 해제 상태에 있어서의 개폐가능 커버(11)가 열림 조작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2 및 도 13의 (b)에 있어서, 개폐가능 커버(11)의 래치 계지부(11a, 11b)의 계지를 해제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로서의 커버 버튼(132)은, 사용자에 의해 화살표 M의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개폐가능 커버(11)를 열림 상태로 하는데 사용된다.
도 13의 (a) 및 (b)에 있어서, 개폐가능 커버(11)의 래치 계지부(11a, 11b)의 계지 및 계지 해제 기구는, 제2 이동부를 구성하는 제1 링크(120)와, 제1 이동부를 구성하는 제2 링크(121)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링크(120)와 제2 링크(121)와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 부재로서의 링크 스프링(122)과, 래치(14)와, 래치 홀더(123)와, 래치(14)와 래치 홀더(123)와의 사이에 설치된 래치 스프링(15)을 포함한다.
제1 링크(120)와, 제2 링크(121)와, 래치(14)는, 래치 홀더(123)상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져 있다. 래치(14)는, 당접부(14e)가 래치 스프링(15)의 가압력에 의해 래치 홀더(123)의 맞닿음부(123a)에 맞부딪침으로써 위치가 결정된다. 제2 링크(121)와 제1 링크(120)는, 래치(14)의 위치가 결정됨으로써 위치가 결정된다.
도 15는, 제1 링크(120)와, 제2 링크(121)와, 래치(14)와, 래치 홀더(123)를 추출한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에 있어서, 래치(14)는, 래치 홀더(123)에 설치된 보스(123j, 123k)에 래치(14)에 설치된 구멍부(14g, 14h)가 감합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링크(121)는, 래치 홀더(123)에 설치된 구멍부(123b, 123c)에 제2 링크(121)에 설치된 보스(121b, 121c)가 감합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링크(121)는, 래치 스프링(15)의 가압력에 의해 래치(14)의 가압부(14f)에 의해 제2 링크(121)의 맞닿음부(121a)가 가압되어서, 래치부(14b, 14c)가 래치 계지부(11a, 11b)를 계지하는 상태의 위치로 이동하는 구성이 되고 있다.
제1 링크(120)는, 래치 홀더(123)에 설치된 보스(123d)에 제1 링크(120)에 설치된 미도시의 홈부가 감합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16은 제1 링크(120)와 제2 링크(121)를 추출한 주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120)는, 제1 링크(120)와 제2 링크(121)와의 사이에 설치된 링크 스프링(122)에 의해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며, 제1 링크(120)의 훅부(120a)가 제2 링크(121)의 구멍부의 맞닿음면부(121d)와 맞부딪친다.
제1 링크(120)와 제2 링크(121)와의 사이에 설치된 링크 스프링(122)과 래치 스프링(15)과는 「링크 스프링(122)의 가압력 > 래치 스프링(15)의 가압력」인 힘의 관계가 된다. 이 때문에, 커버 버튼(132)을 눌렀을 때는, 커버 버튼(132)과 계합한 제1 링크(120)가 이동하고, 링크 스프링(122)의 가압력에 의해 제2 링크(121)가 이동하고, 래치(14)도 이동한다. 즉, 링크 스프링(122)은, 커버 버튼(132)이 눌러질 때에는, 제1 링크(120)의 동작을 제2 링크(121)에 전달하고, 커버 버튼(132)이 눌려지지 않고 있을 때에는, 제1 링크(120)를 제2 링크(121)에 맞닿게 한다.
다음으로, 개폐가능 커버(11)의 래치 계지부(11a, 11b)의 계지 유지 해제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의 (b)에 있어서, 사용자가 커버 버튼(132)을 화살표 M의 방향으로 밀어 내리면, 도 13의 (b)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커버 버튼(132)과 계합하는 제1 링크(120)가 화살표 L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그러면, 제1 링크(120)와 제2 링크(121)와의 사이에 설치된 링크 스프링(122)의 가압력에 의해 제2 링크(121)가 화살표 L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제2 링크(121)와 계합하는 래치(14)가 화살표 L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제2 링크(121)가 소정 위치까지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래치(14)의 래치부(14b, 14c)가 개폐가능 커버(11)의 래치 계지부(11a, 11b)의 계지를 해제하여 개폐가능 커버(11)가 개방된다.
다음으로, 개폐가능 커버의 래치 계지부(11a, 11b)의 계지 유지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래치(14)가 설치된 래치 홀더(123)와 래치(14)와의 사이에 설치된 래치 스프링(15)의 가압력에 의해, 래치(14)와 제1 링크(120)와 제2 링크(121)가, 커버 버튼(132)의 눌렀을 때와는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래치부(14b, 14c)가 개폐가능 커버(11)의 래치 계지부(11a, 11b)를 계지함으로써, 개폐가능 커버(11)가 닫힘 상태에서 계지 유지된다. 또한, 래치(14)의 당접부(14e)가, 래치 스프링(15)의 가압력에 의해 래치 홀더(123)의 맞닿음부(123a)에 맞부딪침으로써 래치(14)의 위치가 결정되고, 래치 계지부(11a, 11b)에 대한 래치부(14b, 14c)의 걸림량이 확보된다.
다음으로, 래치부(14b, 14c)에 의한 개폐가능 커버(11)의 래치 계지부(11a, 11b)의 계지 유지를 해제 불능으로 하여 개폐가능 커버(11)를 닫힘 상태로 잠근 잠금 상태와 잠금 해제 상태의 변경을 행하는 잠금 기구에 대해서, 도 13과 도 1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4의 (a) 및 (b)는 도 12의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로서, 도 14의 (a)는 개폐가능 커버(11)를 닫힘 상태에서 잠그는 잠금 기구의 잠금 상태에 있어서의 개폐가능 커버(11)가 개방 조작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4의 (b)는 잠금 상태에 있어서의 개폐가능 커버(11)가 개방 조작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잠금 기구는, 솔레노이드(111)와, 래치 홀더(123)에 설치되며 솔레노이드(111)를 보유지지하는 솔레노이드 보유지지 금속판(112)을 포함한다. 또한, 솔레노이드(111)의 플런저(111a)의 동작에 의해 솔레노이드 보유지지 금속판(112)에 설치된 축(112a)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잠금 레버(17a)와, 잠금 레버(17a)를 가압 하는 가압 부재로서의 잠금 스프링(18a)을 포함한다. 또한, 잠금 기구는, 잠금 레버(17a)의 회동에 의해 이동하는, 래치 홀더(12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잠금부 및 규제부를 구성하는 잠금 부재(17b)를 포함한다.
잠금 기구의 잠금과 잠금 해제의 전환은, 잠금 스프링(18a)의 가압력과 솔레노이드(111)의 흡인력과의 힘의 관계에 의해, 잠금 레버(17a)가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로 회동하여, 잠금 레버(17a)에 당접하는 잠금 부재(17b)가 연동하여 이동함으로써 행하여 진다. 도 13의 (a) 및 (b)는, 잠금 기구가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14의 (a) 및 (b)는, 잠금 기구가 잠금 위치에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잠금 기구가 잠금 상태인 때에는 「잠금 스프링(18a)의 가압력 > 솔레노이드(111)의 흡인력」인 힘의 관계가 되고, 도 14의 (a)의 잠금 위치로 플런저(111a), 잠금 레버(17a), 잠금 부재(17b)가 각각 화살표 S, 화살표 T, 화살표 U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기구가 잠금 상태인 때에 사용자가 커버 버튼(132)을 화살표 M의 방향으로 밀어 내리면, 커버 버튼(132)과 계합하는 제1 링크(120)는, 링크 스프링(122)의 가압력에 저항하면서 래치 홀더(123) 위를 이동한다. 한편, 잠금 부재(17b)가 제2 링크(121)와 래치 홀더(123)와의 사이에서 제2 링크(121)의 이동을 규제하기 때문에, 제2 링크(121)는 이동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제2 링크(121)와 계합하여 이동하는 래치(14)도 이동할 수 없고, 커버 버튼(132)을 눌러도 개폐가능 커버(11)의 래치 계지부(11a, 11b)의 계지가 해제 불능이 되어 개폐가능 커버(11)는 개방되지 않는다.
한편, 잠금 해제 상태인 때에는, 「잠금 스프링(18a)의 가압력 < 솔레노이드(111)의 흡인력」인 힘의 관계가 되고, 도 13의 (a)의 잠금 해제 위치로 플런저(111a), 잠금 레버(17a), 잠금 부재(17b)가 각각 화살표 J, 화살표 N, 화살표 P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기구가 잠금 해제 상태인 때에 사용자가 커버 버튼(132)을 화살표 M의 방향으로 밀어 내리면, 잠금 부재(17b)가 제2 링크(121)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위치로부터 퇴피한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2 링크(121)의 이동은 규제되지 않는다. 따라서, 래치(14)의 래치부(14b, 14c)가 개폐가능 커버(11)의 래치 계지부(11a, 11b)의 계지를 해제하는 위치까지 이동해서 개폐가능 커버(11)의 계지가 해제 가능해지고, 개폐가능 커버(11)가 개방된다.
다음으로,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커버 버튼(132)을 조작한 것을 검지하는 조작부 검지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작부 검지 기구는, 커버 버튼(132)과, 제1 링크(120)와, 회동축(141a) 주위로 회동가능하도록 보유지지되는 스위치 레버(110c)와, 래치 홀더(123)에 설치된 조작 검지 스위치(19)에 의해 구성된다. 조작 검지 스위치(19)는, 커버 버튼(132)이 조작된 것을 검지하는 센서이며, ON위치까지 밀리면, 사용자가 커버 버튼(132)을 조작한 것을 검지한다.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기구가 잠금 해제 상태인 때에 사용자가 커버 버튼(132)을 화살표 M의 방향으로 누르면, 제1 링크(120)가 화살표 L의 방향으로 이동해서 제1 링크(120)와 스위치 레버(110c)가 계합한다. 이에 의해, 스위치 레버(110c)가 화살표 Q의 방향으로 회동하여 조작 검지 스위치(19)를 가압하고, 사용자가 커버 버튼(132)을 조작한 것을 검지한다.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기구가 잠금 상태인 때에 사용자가 커버 버튼(132)을 화살표 M의 방향으로 눌렀을 때도 제1 링크(120)는 이동가능하다. 따라서, 제1 링크(120)와 계합하는 스위치 레버(110c)가 화살표 Q의 방향으로 회동해서 조작 검지 스위치(19)를 가압하고, 사용자가 커버 버튼(132)을 조작한 것을 검지한다.
즉, 도 13의 (b) 및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기구가 잠금 상태인지, 잠금 해제 상태인지에 관계없이, 커버 버튼(132)이 조작된 것을 조작 검지 스위치(19)에 의해 검지 가능하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커버 버튼(132)에 의해 제1 링크(120)가 이동하고, 제1 링크(120)에 의해 스위치 레버(110c)를 회동시켜 조작 검지 스위치(19)를 가압하도록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커버 버튼(132)과 연동해서 조작 검지 스위치(19)가 가압되면 되며, 커버 버튼(132)이 조작 검지 스위치(19)를 직접 가압하도록 해도 된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은 그것들을 원용함으로써 중복하는 부분은 생략한다. 또, 제1, 제2 실시형태와 동일 기능을 가지는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임과 동시에 적당히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의 (a) 및 (b)는 도 12의 A-A를 따라 자른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7의 (a)는 개폐가능 커버(11)를 닫힘 상태에서 잠그는 잠금 기구가 해제된 잠금 해제 상태에 있어서 개폐가능 커버(11)가 개방 조작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7의 (b)는 잠금 해제 상태에 있어서 개폐가능 커버(11)가 개방 조작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의 (a) 및 (b)에 있어서, 개폐가능 커버(11)의 래치 계지부(11a, 11b)의 계지 및 계지 해제 기구는, 제1 링크(120)와, 제2 링크(121)와, 래치(14)와, 래치 홀더(123)와, 래치(14)와 래치 홀더(123)와의 사이에 설치된 래치 스프링(15)과, 제1 링크(120)와 래치 홀더(123)의 사이에 설치된 링크 스프링(122a)을 포함한다.
제1 링크(120) 및 제2 링크(121)와 래치(14)는, 래치 홀더(123)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래치(14)는, 당접부(14e)가 래치 스프링(15)의 가압력에 의해 래치 홀더(123)의 맞닿음부(123a)에 맞부딪침으로써 위치가 결정된다. 제2 링크(121)와 제1 링크(120)는, 래치(14)의 위치가 결정됨으로 위치가 결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9는 제1 링크(120)와, 제2 링크(121)와, 링크 스프링(122a)과, 래치(14)와, 래치 홀더(123)를 추출한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에 있어서, 래치(14)는, 래치 홀더(123)에 설치된 보스(123j, 123k)에 래치(14)에 설치된 구멍부(14g, 14h)가 감합하여,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2 링크(121)는, 래치 홀더(123)의 한 쌍의 ?quot;음부에 각각 설치된 역 L자 형상의 구멍부(123e, 123f)에 각각 감합하는 보스(121b, 121c)를 가지고,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제2 링크(121)는, 래치 스프링(15)의 가압력에 의해 래치(14)의 가압부(14f)에 의해 제2 링크(121)의 맞닿음부(121a)가 가압되어서, 래치부(14b, 14c)가 래치 계지부(11a, 11b)를 계지하는 상태의 위치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1 링크(120)는, 래치 홀더(123)에 설치된 보스(123g, 123h)에 제1링크(120)에 설치된 미도시의 홈부가 감합하여,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 링크(120)는, 제1 링크(120)와 래치 홀더(123)의 사이에 설치된 링크 스프링(122a)에 의해 도 19의 우방향으로 가압되며, 제1 링크(120)의 홈부에 래치 홀더(123)의 보스(123g)가 당접하여 위치 결정이 된다. 또, 제1 링크(120)는, 커버 버튼(132)이 눌러질 때에 링크 스프링(122a)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도 19의 좌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링크(121)의 맞닿음부(121e)를 가압하는 가압부(120b)를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개폐가능 커버(11)의 래치 계지부(11a, 11b)의 계지 유지 해제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7의 (b)에 있어서, 사용자가 커버 버튼(132)을 화살표 M의 방향으로 밀어 내리면,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버튼(132)과 계합하는 제1 링크(120)와, 제1 링크(120)에 의해 가압되는 제2 링크(121)가 화살표 L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제2 링크(121)와 계합하는 래치(14)가 화살표 L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제2 링크(121)가 소정 위치까지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래치(14)의 래치부(14b, 14c)가 개폐가능 커버(11)의 래치 계지부(11a, 11b)의 계지를 해제하여 개폐가능 커버(11)가 개방된다.
다음으로, 개폐가능 커버(11)의 래치 계지부(11a, 11b)의 계지 유지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래치(14)가 설치된 래치 홀더(123)와 래치(14)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래치 스프링(15)의 가압력에 의해, 래치(14)와 제1 링크(120)와 제2 링크(121)가, 커버 버튼(132)의 누름시와는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래치부(14b, 14c)가 개폐가능 커버(11)의 래치 계지부(11a, 11b)를 계지하여 개폐가능 커버(11)가 닫힘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래치(14)의 당접부(14e)가, 래치 스프링(15)의 가압력에 의해 래치 홀더(123)의 맞닿음부(123a)에 맞부딪침으로써 래치(14)의 위치가 결정되고, 래치 계지부(11a, 11b)에 대한 래치부(14b, 14c)의 걸림량이 확보된다.
다음으로, 래치부(14b, 14c)에 의한 개폐가능 커버(11)의 래치 계지부(11a, 11b)의 계지를 해제 불능하게 하여 개폐가능 커버(11)를 닫힘 상태로 잠그는 잠금 상태와 잠금 해제 상태의 변경을 행하는 잠금 기구에 대해서, 도 17과 도 1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8의 (a) 및 (b)는 도 12의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로서, 도 18의 (a)는 개폐가능 커버(11)를 닫힘 상태에서 잠그는 잠금 기구의 잠금 상태에 있어서 개폐가능 커버(11)가 개방 조작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8의 (b)는 잠금 상태 있어서 개폐가능 커버(11)가 개방 조작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잠금 기구는,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로 제어되는 솔레노이드(111)와, 래치 홀더(123)에 설치된 솔레노이드(111)를 보유지지하는 솔레노이드 보유지지 금속판(112)을 포함한다. 또한, 잠금 기구는, 솔레노이드(111)의 플런저(111a)의 동작에 의해 솔레노이드 보유지지 금속판(112)에 설치된 축(112a)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잠금 레버(17a)와, 잠금 레버(17a)를 가압하는 잠금 스프링(18a)을 포함한다. 잠금 기구는, 잠금 레버(17a)의 회동에 의해 이동하는, 래치 홀더(12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잠금부 및 규제부를 구성하는 링크 이동 부재 (17c)를 더 포함한다.
잠금 기구의 잠금과 잠금 해제의 전환은, 잠금 스프링(18a)의 가압력과 솔레노이드(111)의 흡인력과의 힘의 관계에 의해, 잠금 레버(17a)가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로 회동하여 잠금 레버(17a)에 당접하는 링크 이동 부재 (17c)가 연동해서 이동함으로써 행하여진다. 도 17의 (a) 및 (b)는, 잠금 기구가 잠금 해제 위치에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8의 (a) 및 (b)는, 잠금 기구가 잠금 위치에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잠금 기구가 잠금 상태에 있는 때는, 「잠금 스프링(18)의 가압력 > 솔레노이드(111)의 흡인력」인 힘의 관계가 된다. 이에 의해, 도 18의 (a)에 나타내지는 잠금 위치에 플런저(111a), 잠금 레버(17a), 링크 이동 부재 (17c), 제2 링크(121)가 각각 화살표 S, 화살표 T, 화살표 U, 화살표 U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기구가 잠금 상태에 있는 때에 사용자가 커버 버튼(132)을 화살표 M의 방향으로 밀어 내리면, 커버 버튼(132)과 계합하는 제1 링크(120)는, 링크 스프링(122a)의 가압력에 저항하면서 래치 홀더(123)위를 이동한다. 잠금 기구가 잠금 상태에 있는 때는 링크 이동 부재 (17c)가 제2 링크(121)를 화살표 U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제1 링크(120)의 가압부(120b)가 제2 링크(121)의 맞닿음부(121d)를 가압 할 수 없고, 제1 링크(120)와 제2 링크(121)는 연동해서 이동할 수 없어진다. 따라서, 커버 버튼(132)을 눌러도 개폐가능 커버(11)의 래치 계지부(11a, 11b)의 계지가 해제 불능이 되어 개폐가능 커버(11)는 개방되지 않는다.
한편, 잠금 기구가 잠금 해제 상태에 있는 때는, 「잠금 스프링(18)의 가압력 <솔레노이드(111)의 흡인력」인 힘의 관계가 된다. 이에 의해, 플런저(111a), 잠금 레버(17a), 링크 이동 부재 (17c), 제2 링크(121)가 각각 화살표 J, 화살표N, 화살표 P, 화살표 P의 방향으로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한다.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기구가 잠금 해제 상태인 때에 사용자가 커버 버튼(132)을 화살표 M의 방향으로 밀어 내린다. 그러면, 링크 이동 부재 (17c)가 제2 링크(121)를 이동시키지 않는 퇴피 위치로 이동하여 있기 때문에, 제1 링크(120)의 가압부(120b)가 제2 링크(121)의 맞닿음부(121d)를 가압하고, 제1 링크(120)와 제2 링크(121)가 연동해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제2 링크(121)와 계합하여 이동하는 래치(14)의 래치부(14b, 14c)가 개폐가능 커버(11)의 래치 계지부(11a, 11b)의 계지를 해제하는 위치까지 이동해서 개폐가능 커버(11)의 계지가 해제 가능해지고, 개폐가능 커버(11)가 개방된다.
다음으로, 도 17과 도 18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커버 버튼(132)을 조작한 것을 검지하는 조작부 검지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작부 검지 기구는, 커버 버튼(132)과, 제1 링크(120)와, 회동축(141a)에 회동가능하도록 보유지지되는 스위치 레버(110c)와, 래치 홀더(123)에 설치된 조작 검지 스위치(19)에 의해 구성된다. 조작 검지 스위치(19)는, 커버 버튼(132)이 조작된 것을 검지하는 센서이며, ON위치까지 밀리면, 사용자가 커버 버튼(132)을 조작한 것을 검지한다.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기구가 잠금 해제 상태인 때에 사용자가 커버 버튼(132)을 화살표 M의 방향으로 밀어 내리면, 제1 링크(120)가 화살표 L의 방향으로 이동해서 제1 링크(120)와 스위치 레버(110c)가 계합한다. 이에 의해, 스위치 레버(110c)가 화살표 Q의 방향으로 회동함으로 조작 검지 스위치(19)를 가압하고, 사용자가 커버 버튼(132)을 조작한 것을 검지한다.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기구가 잠금 상태인 때에 사용자가 커버 버튼(132)을 화살표 M의 방향으로 밀어 내렸을 경우에도, 제1 링크(120)는 이동가능해서, 스위치 레버(110c)와 계합한다. 따라서, 스위치 레버(110c)가 화살표Q의 방향으로 회동하여 조작 검지 스위치(19)를 가압하고, 사용자가 커버 버튼(132)을 조작한 것을 검지한다.
〔제4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4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이 비상시에 수동으로 개폐가능 커버의 잠금을 해제하고, 개폐가능 커버를 열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제1 실시형태에서는, 공구를 사용해서 개폐가능 커버의 잠금을 해제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수동으로 개폐가능 커버의 잠금을 해제하고, 개폐가능 커버를 열 수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하, 먼저 본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체 구성을 화상형성시의 동작과 함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 A는, 옐로우 Y, 진홍색 M, 시안 C, 블랙 K의 4색의 토너를 중간전사 벨트에 전사한 후, 시트에 화상을 전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중간전사 탠덤(tandem)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이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각 색의 토너를 사용하는 부재에는 첨자로서 Y, M, C, K를 붙이지만, 각 부재의 구성이나 동작은 사용하는 토너의 색이 다른 것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같기 때문에, 구별이 필요할 경우 이외에는 첨자를 적당히 생략한다.
도 20은, 화상형성장치 A의 단면 모식도이다. 화상형성장치 A는, 시트 S에 전사하는 토너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화상형성부를 향해서 시트를 급송하는 시트 급송부와, 시트에 토너상을 정착시키는 정착부를 갖춘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형성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57)(257Y, 257M, 257C, 257K), 중간전사 유닛(259), 레이저 스캐너 유닛(2103)을 갖춘다. 중간전사 유닛(259)는, 1차전사 롤러(254)(254Y, 254M, 254C, 254K), 중간전사 벨트(2102), 구동 롤러(255), 2차전사 롤러(2105), 2차전사 대향 롤러(256) 등을 갖춘다.
각각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57)에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의 각 색의 토너가 각각 수용되고 있고,또한 수용된 토너의 양을 검출하는 토너 센서(23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257)는, 감광 드럼(251) (251Y, 251M, 251C, 251K), 대전 롤러(252) (252Y, 252M, 252C, 252K), 현상 롤러(253) (253Y, 253M, 253C, 253K)를 각각 포함한다.
다음으로, 화상형성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30에 나타내는 제어부(230)가 화상형성 처리 신호를 수신하면, 시트 카세트(2107)에 적재 수납된 시트 S가 급송 롤러(2108), 반송 롤러(2109)에 의해 레지스트 롤러(2110)로 반송된다. 레지스트 롤러(2110)는, 시트 S의 사행을 보정하고, 시트 S를 2차전사 롤러(2105)와 2차전사 대향 롤러(256)로 형성되는 2차전사부로 반송한다.
한편, 화상형성부에 대해서는, 먼저 대전 롤러(252)에 바이어스가 인가됨으로, 대전 롤러(252)에 접촉하는 감광 드럼(251)의 표면이 함께 대전된다. 그 후, 외부기기 등으로부터 전송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레이저 스캐너 유닛(2103)이 감광 드럼(251)의 표면에 레이저 광을 조사한다. 이에 의해 감광 드럼(251)표면에 화상 데이터에 대응한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그 후, 현상 롤러(253)에 바이어스가 인가됨으로써, 감광 드럼(25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각 색의 토너가 각각 부착되어진다. 이에 의해 감광 드럼(251)의 표면에 토너상이 형성된다. 이렇게 감광 드럼(251)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상은, 감광 드럼(251)의 회전에 따라, 감광 드럼(251)과 1차전사 롤러(254)에 의해 형성되는 1차 전사부로 보내진다.
1차 전사부에 보내진 각 색의 토너상은, 1차전사 롤러(254)에 토너의 대전 극성과 반대극성의 바이어스가 인가됨으로써, 중간전사 벨트(2102)에 각각 전사된다. 이에 의해 중간전사 벨트(2102) 위에 각 색의 토너상이 순차적으로 서로 겹쳐져 풀 컬러의 토너상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토너상은, 중간전사 벨트(2102)의 회전에 의해 2차 전사부로 보내진다. 그리고 2차 전사부에서, 2차 전사 롤러(2105)에 바이어스가 인가됨으로, 중간전사 벨트(2102) 위의 토너상이 시트 S에 전사된다.
그 후, 토너상이 전사된 시트 S는, 정착장치(2111)로 보내진다. 그리고 정착장치(2111)에 의해 가열, 가압 처리가 행해져 토너상이 시트 S에 정착된다. 그 후, 시트 S는, 배출 롤러(2112)에 의해 배출부(2113)로 배출된다.
<개폐가능 도어>
다음으로, 개폐가능 도어(2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1, 도 22는, 화상형성장치 A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21의 (a)는, 개폐가능 도어(21)와 커버 부재(2222)가 닫힘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1의 (b)는, 개폐가능 도어(21)가 닫힘 위치에 위치하고, 커버 부재(2222)가 열림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2의 (a)는, 커버 부재(2222)가 열림 위치에 위치하고, 개폐가능 도어(21)가 열림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2의 (b)는, 도 22 (a)의 상태로부터 카트리지 트레이(258)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1,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 A에는, 각종의 정보를 표시가능한 조작 패널(214)(표시부)이 설치되어 있다. 또 조작 패널(214)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가능하게 구성되고 있어, 사용자는 조작 패널(214)을 조작함으로써, 화상형성 매수나 시트 S의 설정 등의 화상형성에 관한 각종의 설정을 할 수 있다.
또 화상형성장치 A에는, 장치본체(2100)에 대하여 개폐가능한 개폐가능 도어(21)가 설치되어 있다. 개폐가능 도어(21)는, 장치본체(210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회동에 의해 장치본체(2100)에 대하여 열린 열림 위치와, 장치본체(2100)에 대하여 닫힌 닫힘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한다. 즉, 개폐가능 도어(21)는, 장치본체(2100)의 개구를 덮는 닫힘 위치와, 장치본체(2100)의 개구를 노출시키는 열림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개폐가능 도어(21)에는, 두 개의 계합 갈고리(21a)(피계합부)가 설치되어 있다.
개폐가능 도어(21)가 열림 위치에 위치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257)를 보유지지하는 카트리지 트레이(258)가 장치본체(2100)의 개구로부터 노출된다. 사용자나 서비스 맨은, 카트리지 트레이(258)를 장치본체(2100)의 개구로부터 직선적으로 끌어 냄으로써, 장치본체(2100)에 대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257)를 탈착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트레이(258)를 장치본체(2100)에 수용함으로써, 카트리지 트레이(258)에 장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257)가 장치본체(2100)에 대하여 장착된다. 이렇게 프로세스 카트리지(257)는, 화상형성장치 A의 장치본체(2100)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 A에는, 개폐가능 도어(21)에 대하여 개폐가능한 커버 부재(2222)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 부재(2222)는, 개폐가능 도어(21)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 회동에 의해 개폐가능 도어(21)에 대하여 열린 열림 위치와, 개폐가능 도어(21)에 대하여 닫힌 닫힘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한다. 커버 부재(2222)가 열리면, 미도시의 공구를 집어넣기 위한 구멍인 삽입구(21c)가 노출된다. 즉, 커버 부재(2222)는, 삽입구(21c)를 덮는 닫힘 위치와, 삽입구(21c)를 노출시키는 열림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삽입구(21c)의 구체적인 용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커버 부재(2222)를, 예를 들면 수동으로 시트 S를 적재하기 위한 급지 트레이 등으로 해도 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 A는, 닫힘 위치에 위치하는 개폐가능 도어(21)를 장치본체(2100)에 대하여 잠그기 위한 래치 부재(24)(계합부재)를 갖춘다. 래치 부재(24)는, 두개의 래치(24a)를 갖춘다. 도 23은, 래치 부재(24)의 주위 확대 사시도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부재(24)는, 래치 스프링(25)에 의해 화살표 K1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고, 이에 의해 래치 부재(24)와 버튼(22)이 접촉하고 있다. 한편, 버튼(22)(가압부재)은, 장치본체(2100)의 외장 커버(2201)로부터 노출되어 설치되어 있어, 장치본체(2100)의 외부로부터 가압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2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가능 도어(21)를 천천히 닫게 되면, 래치 부재(24)의 래치(24a)의 사면부(24b)와, 개폐가능 도어(21)의 계합 갈고리(21a)의 사면부(21b)가 접촉한다. 이어서, 개폐가능 도어(21)를 더욱 닫게 되면, 계합 갈고리(21a)의 사면부(21b)가 래치 부재(24)를 화살표 K2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래치(24a)의 사면부(24b)를 따라 이동한다. 그 후, 개폐가능 도어(21)를 최후까지 닫으면, 계합 갈고리(21a)의 사면부(21b)와 래치(24a)의 사면부(24b)가 비접촉이 되고, 래치 스프링(25)의 가압력에 의해 래치 부재(24)가 화살표 K1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래치(24a)와 계합 갈고리(21a)가 계합하고, 개폐가능 도어(21)가 장치본체(2100)에 대하여 잠금 된다.
또한, 도 2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나 서비스 맨에 의해 버튼(22)이 화살표 K2 방향으로 가압되면, 버튼(22)과 접촉하는 래치 부재(24)는, 래치 스프링(25)의 화살표 K1 방향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버튼(22)과 함께 화살표 K2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래치(24a)와 계합 갈고리(21a)와의 계합이 해제되어, 개폐가능 도어(21)의 장치본체(2100)에 대한 잠금이 해제된다. 이렇게 잠금이 해제된 상태로, 사용자나 서비스 맨은 개폐가능 도어(21)를 수동으로 열 수 있다.
<규제 유닛>
다음으로, 버튼(22)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유닛(2200)(규제부)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4의 (a)는, 규제 유닛(2200)의 사시도이다. 도 24의 (b)는, 규제 유닛(22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의 (a)는, 규제 유닛(2200)의 정면도이다. 도 25의 (b)는, 규제 유닛(2200)의 상면도이다.
도 24,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제 유닛(2200)은, 홀더(2210), 슬라이드 부재(2211), 스톱퍼 부재(27), 솔레노이드(211), 검출 아암(2212), 버튼 센서(29)를 구비한다.
슬라이드 부재(2211)는, 홀더(2210)에 대하여 화살표 K1, K2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있고, 슬라이드 스프링(2214)에 의해 화살표 K1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2211)가 가지는 버튼 당접부(2211a)는, 버튼(22)에 닿아 있다.
스톱퍼 부재(27)(규제 부재)는, 스톱퍼 축(27a)이 홀더(2210)의 지지 구멍(2210a)에 계합함으로써, 스톱퍼 축(27a)을 중심으로 화살표 R1, R2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있고, 스톱퍼 스프링(28)의 가압력에 의해 화살표 R1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여기서 스톱퍼 부재(27)가 화살표 R1방향으로 요동하여, 슬라이드 부재(2211)의 스톱퍼 당접부(2211b)와 대향하는 위치(도 24에 나타내는 위치)를 규제 위치라고 칭한다. 스톱퍼 부재(27)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규제 위치에서 버튼(22)의 이동을 규제한다. 스톱퍼 부재(27)가 규제 위치에 위치하고, 버튼(22)이 가압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부재(2211)의 스톱퍼 당접부(2211b)와 스톱퍼 부재(27)의 사이에는 거리P가 있다.
솔레노이드(211)는, 홀더(2210)에 대하여, 나사(2217)에 의해 고정되고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211)의 플런저(211a)에는 연결 축(211b)이 설치되어 있어, 연결 축(211b)이 스톱퍼 부재(27)의 홈(27b)에 계합함으로써, 솔레노이드(211)와 스톱퍼 부재(27)가 연결되고 있다. 솔레노이드(211)에 전류가 공급되면, 자력이 발생해서 플런저(211a)가 화살표 K3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플런저(211a)에 연결된 스톱퍼 부재(27)가, 스톱퍼 스프링(28)의 화살표 R1방향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규제 위치부터 화살표 R2방향으로 요동한다. 이렇게 스톱퍼 부재(27)가 규제 위치부터 R2 방향으로 요동한 위치(도 28에 나타내는 위치)를 해제 위치라고 칭한다.
여기서 솔레노이드(211)의 영구자석(미도시)의 흡인력은, 스톱퍼 스프링(28)의 가압력보다도 강하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211)에의 전류의 공급 정지 후에도, 스톱퍼 부재(27)는 해제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스톱퍼 부재(27)가 해제 위치에 위치할 때, 플런저(211a)가 화살표 K3방향으로 이동할 때와는 반대 방향의 전류가 솔레노이드(211)에 공급되면, 자력과 스톱퍼 스프링(28)의 가압력에 의해 플런저(211a)가 화살표 K4방향으로 요동한다. 이에 의해 스톱퍼 부재(27)가 해제 위치부터 규제 위치로 이동한다. 즉, 규제 유닛(2200)의 일부인 스톱퍼 부재(27)는, 솔레노이드(211)(구동원)에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규제 위치와 해제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스톱퍼 부재(27)가 규제 위치와 해제 위치의 어느 쪽 위치에 위치하는지는, 스톱퍼 센서(234)(도 30)에 의해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버튼 센서(29)는, 지지 구멍(29b)에 홀더(2210)의 센서 축(2210c)가 계합함으로써, 홀더(2210)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또한, 버튼 센서(29)는, 화살표 R3, R4방향으로 요동가능한 플러그(29a)를 갖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버튼(22)이 가압되면, 플러그(29a)가 화살표 R3방향으로 요동하고, 버튼(22)이 가압된 것이 검출된다.
검출 아암(2212)은, 홀더(2210)의 아암 축(2210b)에 대하여, 화살표 R5, R6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지지 되고 있고, 아암 스프링(2215)에 의해 화살표 R5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에 의해 검출 아암(2212)은, 슬라이드 부재(2211)의 아암 지지부(2211c)에 당접하고 있다. 한편, 슬라이드 스프링(2214)의 가압력은, 아암 스프링(2215)의 가압력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부재(2211)는, 아암 스프링(2215)의 가압력에 의해 화살표 K2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고, 슬라이드 스프링(2214)의 가압력에 의해 화살표 K1방향으로 이동하여, 버튼(22)에 닿아 있다.
<규제 유닛에 의한 규제 동작>
다음으로, 규제 유닛(2200)에 의한 버튼(22)의 이동 규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6의 (a) 및 (b)는, 스톱퍼 부재(27)가 규제 위치에 위치하고, 버튼(22)이 가압되었을 때의 규제 유닛(2200)의 정면도(도 26의 (a))와 상면도(도 26의(b))이다. 도 27은, 스톱퍼 부재(27)가 규제 위치에 위치하고, 버튼(22)이 가압되었을 때의 규제 유닛(2200)과 래치 부재(24)의 사시도이다.
도 2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22)이 화살표 K2방향으로 가압되면, 버튼(22)과 당접하는 버튼 당접부(2211a)에 가압력이 전해지고, 슬라이드 부재(2211)가 버튼(22)과 함께 화살표 K2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버튼(22)에는 래치 부재(24)도 당접하고 있기 때문에(도 27), 버튼(22)이 화살표 K2방향으로 이동하면, 버튼(22)과 함께 래치 부재(24)도 화살표 K2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스톱퍼 부재(27)가 규제 위치에 위치할 경우, 슬라이드 부재(2211)가 화살표 K2방향으로 거리P(도 24)만큼 이동하면, 슬라이드 부재(2211)의 스톱퍼 당접부(2211b)가 스톱퍼 부재(27)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2211)의 화살표 K2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버튼(22)과 래치 부재(24)의 화살표 K2방향의 이동도 규제된다. 즉, 스톱퍼 부재(27)는, 버튼(22)이 가압되었을 때에, 슬라이드 부재(2211)가 통과하는 영역에 진입하여, 슬라이드 부재(2211)의 이동을 규제한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제 위치에 위치하는 스톱퍼 부재(27)와 슬라이드 부재(2211)의 스톱퍼 당접부(2211b)가 접촉했을 때, 래치 부재(24)의 래치(24a)와 장치본체(2100)의 계합 갈고리(21a)는 계합한 상태로 되어 있다. 즉, 규제 유닛(2200)은, 스톱퍼 부재(27)가 규제 위치에 위치할 때, 스톱퍼 부재(27)가 슬라이드 부재(2211)를 통해서 버튼(22)과 접촉함으로써, 버튼(22)의 화살표 K2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래치(24a)와 계합 갈고리(21a)와의 계합이 해제되는 것을 규제한다. 따라서, 스톱퍼 부재(27)가 규제 위치에 위치할 경우, 버튼(22)이 가압되어도 개폐가능 도어(21)의 잠금을 해제할 수 없고, 개폐가능 도어(21)를 열 수 없게 되어 있다.
또한, 도 2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22)이 가압되어, 슬라이드 부재(2211)의 아암 지지부(2211c)가 화살표 K2방향으로 이동하면, 아암 지지부(2211c)가 검출 아암(2212)으로부터 이격하고, 검출 아암(2212)이 아암 스프링(2215)의 가압력에 의해 화살표 R5방향으로 요동한다. 이에 의해 검출 아암(2212)이 버튼 센서(29)의 플러그(29a)를 가압하고, 플러그(29a)가 화살표 R3방향으로 요동하여, 버튼 센서(29)에 의해 버튼(22)이 가압된 것이 검출된다.
도 28의 (a) 및 (b)는, 스톱퍼 부재(27)가 해제 위치에 위치하고, 버튼(22)이 가압되었을 때의 규제 유닛(2200)의 정면도(도 28의 (a))과 상면도(도 28의 (b))이다. 도 29는, 스톱퍼 부재(27)가 해제 위치에 위치하고, 버튼(22)이 가압되었을 때의 규제 유닛(2200)과 래치 부재(24)의 사시도다.
도 2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22)이 화살표 K2방향으로 가압되면, 버튼(22)과 당접하는 슬라이드 부재(2211)의 버튼 당접부(2211a)에 가압력이 전해지고, 슬라이드 부재(2211)가 버튼(22)과 함께 화살표 K2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버튼(22)에는 래치 부재(24)도 당접하고 있기 때문에(도 29), 버튼(22)이 화살표 K2방향으로 이동하면, 버튼(22)과 함께 래치 부재(24)도 화살표 K2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스톱퍼 부재(27)가 해제 위치에 위치할 경우, 규제 위치에 위치할 경우와는 달리, 슬라이드 부재(2211)가 스톱퍼 부재(27)에 접촉해서 이동이 규제되지 않는다. 따라서, 슬라이드 부재(2211)는, 슬라이드 부재(2211)의 이동에 따라 화살표 K6방향으로 요동하는 검출 아암(2212)이 홀더(2210)의 아암 맞닿음부(2210d)에 당접할 때까지, 화살표 K2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스톱퍼 부재(27)가 해제 위치에 위치할 경우, 규제 위치에 위치할 경우보다도, 슬라이드 부재(2211)는 화살표 K2방향으로 더 긴 거리를 이동한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 아암(2212)이 홀더(2210)의 아암 맞닿음부(2210d)에 당접하고, 슬라이드 부재(2211)의 화살표 K2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었을 때, 래치 부재(24)의 래치(24a)와 장치본체(2100)의 계합 갈고리(21a)와의 계합은 해제된 상태가 되어 있다. 즉, 규제 유닛(2200)은, 스톱퍼 부재(27)가 해제 위치에 위치할 때, 래치(24a)와 계합 갈고리(21a)와의 계합이 해제되는 위치까지, 버튼(22)의 화살표 K2방향의 이동을 허용한다. 따라서, 스톱퍼 부재(27)가 해제 위치에 위치할 경우, 버튼(22)이 가압되면 개폐가능 도어(21)의 잠금이 해제되어, 개폐가능 도어(21)를 열 수 있게 된다. 즉, 규제 유닛(2200)은, 버튼(22)에 접촉해서 버튼(22)의 이동을 규제한 상태와, 버튼(22)과 접촉하지 않도록 해서 래치 부재(24)가 버튼(22)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허용한 상태를 취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22)이 가압되어, 슬라이드 부재(2211)의 아암 지지부(2211c)가 화살표 K2방향으로 이동하면, 아암 지지부(2211c)가 검출 아암(2212)로부터 분리되어, 검출 아암(2212)이 아암 스프링(2215)의 가압력에 의해 화살표 R5방향으로 요동한다. 이에 의해 검출 아암(2212)이 버튼 센서(29)의 플러그(29a)를 가압하고, 플러그(29a)가 화살표 R3방향으로 요동하고, 버튼 센서(29)에 의해 버튼(22)이 가압된 것이 검출된다.
<제어부>
다음으로, 화상형성장치 A의 시스템 구성 가운데, 특히 개폐가능 도어(21) 및 규제 유닛(2200)에 관한 부분의 시스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0은, 화상형성장치 A의 시스템 구성의 일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 A는, CPU(231), ROM(232), RAM(233)을 가지는 제어부(230)를 갖춘다. ROM(232)은, 제어프로그램이나 테이블 등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CPU(231)는, ROM(232)에 저장된 제어프로그램이나 정보에 근거해서 각종의 연산 처리를 한다. RAM(233)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즉, 제어부(230)는, CPU(231)가, ROM(232)에 저장된 제어프로그램에 근거해서 RAM(233)을 작업 영역에 사용하면서 화상형성장치 A의 각 디바이스를 제어한다. 그리고, 각 디바이스의 제어를 통해서 감광 드럼(251)위의 토너상의 형성 등, 상술한 화상형성동작을 실행한다.
제어부(230)에는, 조작 패널(214)이 접속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조작 패널(214)을 조작함으로써, 화상형성에 관한 각종의 설정이나, 화상형성 잡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 제어부(230)는, 조작 패널(214)로부터 신호를 받아, 화상형성장치 A의 각종 디바이스를 동작시킨다.
또한, 제어부(230)에는, 솔레노이드(211)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236)이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230)는, 전원(236)의 제어를 통해서 솔레노이드(211)를 제어하고, 스톱퍼 부재(27)를 규제 위치와 해제 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제어부(230)에는, 토너 센서(235)(토너 검출 수단), 버튼 센서(29)(검출 수단), 스톱퍼 센서(234)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230)는, 이들 센서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카트리지 교환 시퀀스를 실행한다.
<카트리지 교환 시퀀스>
다음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257)를 교환할 때의 시퀀스인 카트리지 교환 시퀀스에 대해서, 도 31에 나타내는 순서도를 이용해 설명한다. 한편, 이 시퀀스는, 화상형성장치 A에 의해 화상이 형성될 때마다 실행된다.
카트리지 교환 시퀀스가 개시되면, 먼저 스톱퍼 센서(234)는, 스톱퍼 부재(27)가 규제 위치와 해제 위치 중 어느 쪽의 위치에 위치하는지를 검출한다(S31). 다음으로, 스톱퍼 부재(27)가 규제 위치와 해제 위치 중 어느 위치에 있을 경우라도, 토너 센서(235)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57)의 내부 토너량을 검출한다 (S32, S33, S36).
다음으로, 제어부(230)는, 스톱퍼 부재(27)가 규제 위치에 위치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257)의 내부 토너량이 소정량 미만인 경우, 전원(236)으로부터 솔레노이드(211)에 전류를 공급하고, 스톱퍼 부재(27)를 규제 위치부터 퇴피(해제) 위치로 이동시킨다 (S34, S35). 한편, 프로세스 카트리지(257)의 내부 토너량이 소정량 이상의 경우, 전원(236)으로부터 솔레노이드(211)에 전류를 공급하지 않고, 스톱퍼 부재(27)를 규제 위치에 그대로 위치시킨다(S34).
또한, 제어부(230)는, 스톱퍼 부재(27)가 퇴피(해제) 위치에 위치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257)의 내부 토너량이 소정량 이상인 경우, 전원(236)으로부터 솔레노이드(211)에 전류를 공급하고, 스톱퍼 부재(27)를 퇴피(해제) 위치부터 규제 위치로 이동시킨다 (S37, S38). 한편, 프로세스 카트리지(257)의 내부 토너량이 소정량 미만의 경우, 전원(236)으로부터 솔레노이드(211)에 전류를 공급하지 않고, 스톱퍼 부재(27)를 해제 위치에 그대로 위치시킨다(S37). 즉, 제어부(230)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57)의 내부 토너량이 소정량 이상의 경우에 스톱퍼 부재(27)를 규제 위치에 위치시키고, 소정량 미만의 경우에 스톱퍼 부재(27)를 퇴피(해제) 위치에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버튼(22)이 가압된 것을 버튼 센서(29)가 검출하면, 토너 센서(235)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57)의 내부 토너량을 검출한다 (S39, S40). 그 후, 제어부(230)는, 모든 프로세스 카트리지(257)의 내부 토너량 소정량 이상인 경우, 프로세스 카트리지(257)의 교환 타이밍이 아니라는 내용을 조작 패널(214)에 표시시키고, 카트리지 교환 시퀀스를 종료한다 (S41, S43). 또한, 토너량이 소정량 미만인 프로세스 카트리지(257)가 적어도 1개 있을 경우, 교환이 필요한 프로세스 카트리지(257)를 조작 패널(214)에 표시시켜, 카트리지 교환 시퀀스를 종료한다 (S41, S42). 한편, 조작 패널(214)에의 표시에 더해서, 교환이 필요한 프로세스 카트리지(257)를 음성에 의해 알려도 된다.
<개폐가능 도어의 잠금을 수동으로 해제하는 방법>
화상형성장치 A에 있어서, 전기 시스템의 고장 등에 의해 솔레노이드(211)에 전류를 공급할 수 없을 경우, 개폐가능 도어(21)의 잠금을 전기적으로 해제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개폐가능 도어(21)의 잠금을 수동으로 해제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을 해제하는 해제자는, 개폐가능 도어(21)의 잠금을 수동으로 해제할 경우, 커버 부재(2222)를 닫힘 위치부터 열림 위치로 이동시키고, 삽입구(21c)를 노출시킨다. 여기서 삽입구(21c)는, 래치 부재(24)의 한쪽 래치(24a)에 액세스하기 위한 구멍이다. 해제자는, 삽입구(21c)에 미도시의 공구를 집어넣어서 래치(24a)에 액세스하고, 미도시의 공구를 조작해서 래치(24a)를 화살표 K2방향을 향해서 가압한다.
래치 부재(24)는, 버튼(22)이나 스톱퍼 부재(27)와 별도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독립해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조작에 의해 래치 부재(24) 전체가 화살표 K2방향으로 이동하고, 래치(24a)와 계합 갈고리(21a)와의 계합이 해제된다. 즉, 래치 부재(24)는, 장치본체(2100)의 외부로부터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어, 규제 유닛(2200)에 의해 버튼(22)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이여도, 래치 부재(24)의 래치(24a)와 계합 갈고리(21a)와의 계합이 해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해제자는, 전기 시스템의 고장 등에 의해 솔레노이드(211)에 전류를 공급할 수 없을 경우라도, 개폐가능 도어(21)의 잠금을 수동으로 해제할 수 있다.
이상의 각 실시 형태에 의하면, 토너 잔량 검지에 의해 장착된 카트리지가 아직 사용가능할 경우는 카트리지 장착부를 덮는 개폐가능 커버의 개방이 잠겨진다. 따라서, 카트리지의 교환을 할 수 없고, 아직 사용가능한 카트리지를 이른 시기에 교환해서 사용자에게 쓸데 없는 비용을 부담시켜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각 실시 형태에 의하면, 토너 잔량 검지에 의해 장착된 카트리지가 아직 사용 가능하고 개폐가능 커버가 닫힘 상태로 잠금되어 있을 경우에는, 개폐가능 커버를 열려고 하는 사용자에게 개폐가능 커버의 개방이 잠금되어 있는 것을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개폐가능 커버의 개방이 잠금되어 있는 것을 인식하지 못해 무리하게 개폐가능 커버를 열려고 하여 개폐가능 커버를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각 실시 형태에 의하면, 사용 완료된 카트리지가 교환되었을 경우는, 새롭게 장착된 신품 카트리지가 토너 잔량 검지에 의해 사용 완료될 때까지 다시 개폐가능 커버를 닫힘 상태로 자동적으로 잠근다. 따라서, 장착된 사용가능한 현상제 카트리지를 교환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개폐가능 커버의 닫힘 상태의 잠금을 해제하는 전동 구동부로서 솔레노이드를 채용하고 있지만, DC모터나 스테핑 모터 등의 다른 전동 구동장치라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토너 잔량의 판정은 토너 잔량 검지 센서에 의해 실제의 토너 잔량을 검지함으로써 행하는 예를 제시했다. 이에 대하여, 입력되는 인쇄 데이터의 농도 적산값이나 잠상의 닷(dot) 데이터의 적산 값으로부터 토너의 사용량을 예측해서 토너 잔량을 판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교환해야 할 상태가 된 사용완료의 현상 카트리지가 새로운 사용가능한 현상 카트리지로 교환된 것을 개폐가능 커버가 닫힌 후 토너 잔량 검지에 의해 판정하여, 다시 개폐가능 커버를 닫힘 상태로 잠금 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교환해야 할 상태가 된 사용이 끝난 현상 카트리지가 새로운 사용가능한 현상 카트리지로 교환된 것을 개폐가능 커버의 닫기를 검지함으로써, 토너 잔량 검지에 의한 판정없이, 개폐가능 커버를 다시 닫힘 상태로 잠그도록 하여도 된다. 그 경우, 그 후에 토너 잔량 검지에 의해 사용가능한 현상 카트리지로 교환된 것을 판정하고, 개폐가능 커버의 닫힘 상태의 잠금을 제어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잠금 기구가 잠금 해제 상태라도 개폐가능 커버는 계지 유지되게 되어 있지만, 잠금 기구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됨으로써 개폐가능 커버의 계지 유지가 해제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장착되는 현상제 카트리지로서 토너를 사용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예로서 나타냈지만, 잉크 등의 다른 현상제를 사용하는 화상형성장치라도 본발명은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교환해야 할 상태가 된 것을 판정하는 소모품으로서의 현상 카트리지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예로 설명했지만, 이외의 드럼 카트리지, 토너 카트리지에 대해서도 본발명은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타의 소모품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 A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잉크젯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개폐가능 도어(21)를 열어서 잉크카트리지를 탈착하는 구성에서도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여기에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청구항의 권리범위는 모든 변경 및 균등 구조와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은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화상형성장치로서,
    장치본체와,
    피계합부가 마련되고, 화상형성을 위한 소모품이 장착되는 장착부를 덮도록 구성된 개폐가능 부재와,
    상기 장치본체에 마련되어, 닫힘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개폐가능 부재의 상기 피계합부와 계합하고, 상기 장치본체에 대한 상기 개폐가능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계합부재와,
    상기 계합부재의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상기 계합부재를 상기 피계합부와 계합 한 상태로 잠그도록 구성된 잠금부와,
    상기 잠금부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전동 구동부와,
    장착되어 있는 상기 소모품이 교환되어야 할 교환 상태가 되었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로부터 상기 소모품이 교환 상태가 되었다고 판정하는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전동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잠금부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계합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계합부재와 상기 피계합부의 계합을 해제하는 해제 조작을 실행가능한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계합부재의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상기 개폐가능 부재가 상기 장착부를 덮는 위치로부터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부에 의해 상기 잠금부의 잠금이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동으로 상기 계합부재를 상기 피계합부와 계합하지 않는 상태로 하기 위해 상기 계합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는 해제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는, 상기 장치본체의 외부로부터 상기 계합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계합부재와 상기 피계합부와의 계합을 해제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는, 상기 장치본체의 외부로부터 상기 개폐가능 부재에 설치된 구멍을 통해서 상기 계합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가능 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구멍을 덮는 위치와, 상기 구멍을 노출시키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품은, 화상형성을 위한 현상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현상제 카트리지이며,
    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의 현상제 잔량이 소정량 이하라고 판정된 상태를 상기 교환 상태로 함으로써, 상기 계합부재와 상기 피계합부의 계합을 해제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의 현상제 잔량을 판정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재와 상기 피계합부간의 계합이 해제된 것인지 아닌지에 따른 표시를 행하도록 구성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장착되어 있는 상기 소모품이 교환 상태인지 아닌지와 상관없이, 상기 계합부재와 상기 피계합부간의 계합이 해제되었는지 아닌지에 따른 표시를 행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가능 부재가 닫혀진 것을 검지하도록 구성된 닫힘 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닫힘 검지부에 의한 상기 개폐가능 부재의 닫힘의 검지에 응답하여 상기 계합부재와 상기 피계합부의 계합을 행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가능 부재가 닫혀진 것을 검지하도록 구성된 닫힘 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닫힘 검지부에 의한 상기 개폐가능 부재의 닫힘의 검지 및 장착된 상기 소모품이 교환 상태가 아닌 것에 응답하여 상기 계합부재와 상기 피계합부의 계합을 행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계합부재와 상기 피계합부간의 계합이 해제된 후, 장착된 상기 소모품이 교환 상태가 아닌 것에 응답하여 상기 계합부재와 상기 피계합부의 계합을 행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부는, 플런저에 의해 상기 잠금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상기 계합부재를 상기 피계합부와 계합시킨 상기 잠금부를 이동시키는 화상형성장치.
KR1020200004156A 2019-01-17 2020-01-13 화상형성장치 KR202000896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05954A JP7258567B2 (ja) 2019-01-17 2019-01-17 画像形成装置
JPJP-P-2019-005954 2019-01-17
JP2019040681A JP7289673B2 (ja) 2019-03-06 2019-03-06 画像形成装置
JPJP-P-2019-040681 2019-03-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617A true KR20200089617A (ko) 2020-07-27

Family

ID=71609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156A KR20200089617A (ko) 2019-01-17 2020-01-13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99805B2 (ko)
KR (1) KR20200089617A (ko)
CN (2) CN116500879A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2825B2 (ja) * 2000-02-08 2003-11-05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380971B2 (ja) * 2002-08-29 2009-12-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768877B2 (en) 2002-11-27 2004-07-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s for limiting access to imaging device consumable components
JP5094098B2 (ja) * 2006-11-27 201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273167B2 (ja) * 2007-05-15 2009-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414386B2 (ja) * 2009-06-29 2014-02-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方法
JP4948582B2 (ja) * 2009-09-09 2012-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0003782A (ja) * 2018-06-21 2020-01-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443582A (zh) 2020-07-24
CN111443582B (zh) 2023-06-02
CN116500879A (zh) 2023-07-28
US20200233370A1 (en) 2020-07-23
US11199805B2 (en) 202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965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80286003A1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5016891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072542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toner containers
US2017031550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forming image using developer, method for regulating attachment/detachment of developer storage portion
JP2019045586A (ja) 画像形成装置
CN111103782B (zh) 对调节单元进行控制的图像形成装置
JP7258567B2 (ja) 画像形成装置
US10527999B2 (en) Cartridge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features to prevent erroneous cartridge unit locking
KR20200089617A (ko) 화상형성장치
JPH08152756A (ja) 画像形成装置の安全装置
JP4273167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125991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ユニット
US10564595B2 (en) Cartridge unit
JP7289673B2 (ja) 画像形成装置
WO2020116519A1 (ja) 画像形成装置
US1200116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member to restrict disengagement of a detachable cartridge
JP6982791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収納装置
JP2008286829A (ja)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1059186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unit detachably mounted on an apparatus body via a locking member
JP7497667B2 (ja) 画像形成装置
JP6332640B2 (ja) 開閉カバー付き装置
JPH048421Y2 (ko)
JP2024070220A (ja) 画像形成装置
JP2022040988A (ja) 画像形成装置、規制解除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