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9248A -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9248A
KR20200089248A KR1020200083552A KR20200083552A KR20200089248A KR 20200089248 A KR20200089248 A KR 20200089248A KR 1020200083552 A KR1020200083552 A KR 1020200083552A KR 20200083552 A KR20200083552 A KR 20200083552A KR 20200089248 A KR20200089248 A KR 20200089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rastructure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5429B1 (ko
Inventor
이창성
이세호
Original Assignee
팅크웨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4779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34583B1/ko
Application filed by 팅크웨어(주) filed Critical 팅크웨어(주)
Priority to KR1020200083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429B1/ko
Publication of KR20200089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248A/ko
Priority to KR1020210063559A priority patent/KR1023141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or light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2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Abstract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메모리, 통신부, 외부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 및 차량의 주행 중 도로 주변에 구비된 인프라에 접근 시 고유 ID를 통신부를 통해 인프라에 전송하고, 인프라로부터 차량의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의 고유 ID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외부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의 외부에 존재하는 타 차량과 관련된 위험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위험 정보를 생성하고 수신된 타 차량의 고유 ID를 이용하여 생성된 위험 정보를 타 차량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Image-processing Apparatus for Car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에서 영상인식을 통하여 사고 위험상황을 인지하고 운전자 및 상대 차량에게 경고하여 상호 회피 가능하도록 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많은 자동차 소유주들은 교통사고의 원인 규명이 용이하고, 교통사고로 인한 당사자간의 분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차량용 블랙박스를 장착하는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세계 각 국가들은 이러한 이점들에 따라 차량용 블랙박스 의무 장착을 권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상용화된 블랙박스는 영상인식을 통하여 장애물 감지, 차선이탈 경고 등의 위험 상황의 알림 기능을 제공한다. 하지만 차선이탈감지는 접근하는 상대방 차량과의 사고를 막을 수 없고 장애물감지는 진행방향의 위험을 현재차량의 운전자에게만 경고하여 피동적인 회피만 가능하다. 운전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림으로써 자기 차량에 대한 방어 운전을 할 수 있지만, 상대방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해서는 판단할 수 없어 교통사고의 위험은 존재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차량용 블랙박스에서 영상인식을 통하여 사고 위험상황을 인지하고 운전자 및 상대 차량에게 경고하여 상호 회피 가능하도록 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는, 차량에 장착 가능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통신부; 외부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외부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차량의 외부에 존재하는 특정 객체와 관련된 위험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특정 객체로 위험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은, 차량에 장착 가능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외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외부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차량의 외부에 존재하는 특정 객체와 관련된 위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위험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에 구비된 통신부를 통해 상기 특정 객체로 위험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고 위험을 인지하여 운전자와 상대차량이 동시에 경고를 받게 되므로 상호 회피 가능해 사고 발생 가능성을 보다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고 발생시 근거리 통신을 통해 주변에 경고하여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처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인식이 적용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인프라 기반 경고 방식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대차 통신 기반 경고 방식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로 호칭되기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는 카메라 모듈(101), 마이크(102), 신호처리부(103), 저장부(104), 통신부(105), 전원부(106), 제어부(107), 충격감지부(108), 위치정보모듈(109), 디스플레이(110), 음향출력모듈(111), 외부표시장치(112), 인터페이스(113) 및 입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1)은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측면, 내부의 영상을 촬영하여 신호처리부(103)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촬영된 영상은, 상기 신호처리부(103)에서 압축 과정을 거친 후 저장부(104)에 저장되거나 압축 과정 없이 바로 저장부(104)에 저장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1)은 시스템의 구성에 따라 1개의 카메라로 구성되어 전방만을 촬영하거나, 복수의 카메라로 구성된 경우 전방, 후방, 측면, 차량 내부 등의 사용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방법으로 카메라의 녹화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마이크(102)는 차량의 외부 또는 내부의 음성이나 소리를 녹음하여 신호처리부(103)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녹음된 음성이나 소리는 신호처리부(103)로 전송되어 압축 과정을 거친 후 저장부(104)에 저장되거나 압축 과정 없이 바로 저장부(104)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녹음된 음성이나 소리는 외부 충격에 의한 소리나 차량 내/외부의 상황과 관련된 것으로서 영상과 함께 당시의 상황을 인식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신호처리부(103)는 카메라 모듈(101)로부터 촬영된 영상데이터의 용량을 줄이기 위해 압축한다. 영상 데이터는 각 프레임들이 시간을 축으로 여러 장 모여 있는 형태를 지닌다. 즉, 주어진 시간 동안 연속으로 촬영된 사진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영상의 용량은 압축을 하지 않은 경우 매우 크고, 이를 메모리에 그대로 저장하는 경우 매우 비효율적이므로, 디지털 변환된 영상에 대해 반드시 압축을 해야 한다. 동영상 압축에는 프레임 간의 상관관계, 공간적인 상관관계 및 저주파 성분에 민감한 시각의 특성을 이용한 방법 등이 사용된다. 원본 데이터는 압축으로 인해 손실되기 때문에, 차량의 교통사고 상황을 식별할 수 있을 만큼 적절한 비율로 압축되어야 한다. 동영상의 압축 방식으로는 H.264, MPEG4, H.263, H.265/HEVC 등의 다양한 비디오 코덱 중 하나가 사용될 수 있고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에서 지원하는 방식으로 영상데이터가 압축된다.
또한 신호처리부(103)는 마이크(102)로부터 녹음된 데이터를 압축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03)는 녹화된 영상과 음성 데이터를 압축할 뿐만 아니라 암호화를 하여 데이터의 접근을 제한할 수도 있다.
저장부(104)는 녹화된 영상과 음성데이터를 저장 주기에 의해 저장 주기 단위로 영상과 음성 데이터를 하나의 파일 또는 두 개의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주기가 30초이면 처음 30초 동안 녹화된 영상과 음성을 압축하여 동영상 파일 형태로 저장하고 반복적으로 30초 동안의 녹화 영상과 음성을 압축하여 저장한다.
저장부(104)는 녹화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데이터를 저장 영역을 나누어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 중 녹화된 데이터와 주차 중 녹화된 데이터를 폴더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고, 상시 녹화된 데이터와 이벤트에 의해 녹화된 데이터를 폴더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04)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내부에 구성되거나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에 구비된 포트를 통해 착탈식으로 구성되거나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외부에 존재할 수 있다. 저장부(104)가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내부에 구성된 경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나 플래쉬 메모리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저장부(104)가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에 착탈식으로 구성된 경우, SD카드, Micro SD카드, USB메모리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저장부(105)가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외부에 구성된 경우 통신부(105)를 통해 다른 기기 또는 서버에 있는 저장공간에 존재할 수 있다.
통신부(105)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가 서버나 다른 차량 또는 다른 기기와 녹화된 영상이나 음성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연결을 구성해 준다. 또한 통신부(105)는 차량 정보나 주변 정보를 서버나 다른 차량 또는 다른 기기 간에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부(105)는 WIFI, Bluetooth, 3G, LTE, WIMAX, WIGI 등의 무선 네트워크나 EtherNet, MODEM 등의 유선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 있다.
전원부(106)는 외부의 전원을 입력 받거나 자체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가 구동될 수 있는 전원을 공급한다. 차량이 시동 상태이면 차량의 전원이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에 공급되어 충전지를 충전시키고,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는 충전지의 전원이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에 공급된다.
제어부(107)는 통상적으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07)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은 제어부(107) 내부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07)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07)는 차량의 주행 여부나 충격감지부(108)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동작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07)는 차량이 주행 중일 때는 상시 녹화 기능을 수행하거나 충격감지부(108)에 감지된 충격 이벤트에 의해서 이벤트 녹화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07)는 차량이 주차 중일 때는 충격감지부(108)에 감지된 충격 이벤트나 카메라 모듈(101)에 녹화되는 물체의 움직임을 판단하여 주차 녹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충격감지부(108)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거나 가속도의 변화량이 일정 이상일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켜 제어부(107)로 전송한다. 충격감지부(108)는 충격이나 가속도를 감지하기 위해 가속도센서, 지자계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09)은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위치정보 모듈(109)은 차량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는 카메라모듈(101)에 의해 녹화되는 영상과 음성을 실시간 또는 나중에 확인할 수 있고 제어부(107)에서의 녹화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화면에 표시할 수 있고 터치 입력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쉽게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고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부(11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11)은 통신부(105)에서 수신되거나 저장부(104)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11)은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11)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출력 모듈(111)은, 이어폰잭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이어폰잭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출력되는 음향을 들을 수 있다.
외부표시장치(112)는 LED나 라이트 등의 발광소자로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동작상태를 알리거나 버튼이나 터치 등의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빛을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13)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113)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부(12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처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 처리 시스템은, A 차량에 장착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 이하 "A차량 블랙박스"로 호칭함)와, B 차량에 장착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200, 이하 "B차량 블랙박스"로 호칭함)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차량 블랙박스와 B차량 블랙박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차량 블랙박스(100)는 카메라모듈(101), 저장부(104), 통신부(105), 제어부(107) 및 경고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B차량 블랙박스(200)는 카메라모듈(201), 저장부(204), 통신부(205), 제어부(207) 및 경고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모듈(101, 201)은 CCD 또는 CMOS와 같은 촬상 소자를 통해 입력된 빛을 영상으로 변환하여 제어부(107, 207)로 출력하며, 제어부(107, 207)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영상데이터 내의 객체를 분석하여 위험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A차량 블랙박스(100)의 제어부(107)는, 위험신호가 생성되면 경고부(150)를 통해 운전자에게 경고신호를 알려주기도 하지만 통신부(105)를 통해 상대 차량으로 위험신호를 전송하여 상대 차량(예를 들어, B차량)의 블랙박스(200)를 통해 상대 운전자에게도 경고 신호를 제공하게 된다.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방법으로는 블랙박스의 외부표시장치를 이용하거나 음성 출력을 통해 알려줄 수 있다.
<도3> 영상분석 + 상대차량에게 위험신호 송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 및 차량용 영상 처리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 및 차량용 영상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A차량 블랙박스(100)의 제어부(107)는,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고[S100],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상대차량이 접근하는 경우 위험신호를 생성하고[S210], 상대차량이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대차량과 통신하여 사고위험을 고지할 수 있다[S220].
제어부(107)는, S100 단계에서 A차량 블랙박스(100)는 카메라모듈(101)을 통해 영상을 촬영하고, S110단계에서 상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위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위험신호를 생성하는 것은 A차량 블랙박스(100)가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상대객체(예를 들어, 상대차량)를 인식하고 상대객체와의 거리 및 방향 등을 통해 위험신호 생성을 판단할 수 있다.
S120 단계에서, A차량 블랙박스(100)는 위험신호를 상대차량과 통신하여 사고위험을 고지한다. 상대차량에게 위험을 고지하는 통신 방식으로는 근거리 통신, 인프라기반 경고통신, 차대차 통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A차량의 주변에 여러 대의 차량이 존재할 경우 여러 대의 차량 중에서 위험 요소를 제공하는 상대 차량에게만 경고를 하기 위해서는 상대방 차량의 통신부와 연결하는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차량 블랙박스(100)는, 자기 차량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블랙박스(100)의 영상에 나타나는 상대방 차량의 위치를 분석하고 위치 정보와 함께 연결 요청 신호를 주변 차량에게 송신하여 해당 위치에서 주행하고 있는 상대방의 차량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A차량 블랙박스(100)는, 상대방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차량번호 정보와 함께 연결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상대방 차량이 수신하고 연결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상대차량과의 거리에 따른 위험신호 생성>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 및 차량용 영상 처리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 및 차량용 영상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정보 제공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정보 제공 방법의 S110 단계에서 위험신호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해당한다.
도 4를 참조하면, A차량 블랙박스(100)의 제어부(107)는, 좌우차선 및 전방도로 수평선을 인식하고[S200], 차선 및 수평선 가려짐으로 상대차량을 인식하고[S210], 상대차량과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S220].
A차량 블랙박스(100)의 제어부(107)는, 상대차량과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내인지를 판단하여[S230], 일정거리 이내인 경우 상대 차량의 접근방향을 판단하고[S240], 상대차량이 일정 방향으로 접근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50].
A차량 블랙박스(100)의 제어부(107)는, S250 단계의 판단 결과 상대차량이 일정 방향으로 접근 중인 경우 상대차량이 사고발생 위험 거리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S260], 위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270].
<영상인식 알고리즘>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인식이 적용되는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와 같이, A차량 블랙박스(100)의 영상에서 주행 중인 자기 차량의 좌우측 차선과 전방 도로의 수평선을 감지하고 물체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외부의 객체가 자기 차량에 접근할 경우 객체로 인한 차선 또는 수평선이 가려지는 현상이 나타나므로 객체를 감지하고 추적할 수 있다.
객체가 자기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진입하거나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할 경우 상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를 발생할 수 있다.
A차량 블랙박스(100)에서 자기 차량의 속도와 주변상황을 판단하여 자기차량의 급가속이나 핸들의 급조작에 의한 객체의 진입일 경우는 자기차량에게 경고를 보낼 수 있다.
A차량 블랙박스(100)에서 자기 차량의 속도와 주변상황을 판단하여 자기 차량이 다른 차량과 비슷한 속도로 안전한 주행을 하고 있고, 특정 차량이나 물체가 급가속이나 급감속, 핸들의 급조작으로 인하여 자기 차량으로 접근할 경우 상대방 차량이나 물체에 경고를 보낼 수 있다.
<인프라를 통한 주변차량정보 수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 및 차량용 영상 처리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 및 차량용 영상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A차량 블랙박스(100)의 제어부(107)는, 영상데이터를 수집하고[S300], 인프라에 고유ID로 접속하고[S310], 상기 인프라 측으로부터 주변차량정보를 수신하고[S320],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주변차량의 위험정보를 생성하고[S330], 상기 생성된 위험정보를 주변차량에 전송할 수 있다[S340].
상기 인프라는 주변의 CCTV나 동일제조사의 다른 블랙박스가 될 수 있다.
상기 인프라로부터 수신하는 주변차량의 정보는, 주변차량의 차량번호나 통신부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부의 주소나 ID 등이 될 수 있다.
주변 차량으로 위험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의 예를 들면, A차량 블랙박스(100)를 통하여 주변 차량으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주변 차량으로 위험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의 다른 예를 들면, A차량 블랙박스(100)에서 상기 인프라에 위험 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인프라에서 주변의 특정 차량에게 위험 정보를 전송하거나 브로드캐스팅을 통해 주변의 모든 차량에게 위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인프라 기반 경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인프라 기반 경고 방식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경고기능을 가진 장치가 있는 차량 간에는 무선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차간거리 및 접근방향을 송수신할 수 있다. 상대방 차량은 경고를 수신할 경우 접근방향과 거리를 상대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하여 위험을 회피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도 7과 같이 인프라 기반의 통신을 통해 상대방 차량에 경고를 전송할 수 있다.
상용화된 하이패스 단말기처럼 인프라가 통신하는 방법으로 단거리/저전력데이터 통신 기술인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주행 중에 블랙박스 장치는 인프라에 접속하여 자신의 고유ID를 통보한다. 도로 위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어 있는 인프라 측은 상기 고유ID를 수신하고 도로 위 차량들의 주행 순서를 판별하여 개별 차량에 전방 또는 후방, 측면의 주변차량 고유ID를 전달한다.
그리고 블랙박스는 주변 차량의 고유ID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한다. 블랙박스는 영상 분석을 통하여 사고위험 판단시 미리 받아 놓은 고유ID 중 해당 차량에 경고 데이터를 전달한다.
또한 블랙박스는 사고 발생시 인프라측에 사고통보를 하고 인프라 측은 후행차량들에게 사고 안내를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차대차 통신 기반 경고 통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대차 통신 기반 경고 방식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도 8과 같이 CAR2X 등의 차대차 통신을 통해 주행 중 주변차량들과 고유ID 및 현재의 차량의 위치를 교환할 수 있다.
블랙박스는 수신된 상대 차량 위치와 자신의 현재 위치를 비교하여 상대 차량의 위치를 판별하고 사고 위험이 발생할 경우 해당 위치의 고유ID의 차량으로 경보를 송신할 수 있다. 사고 위험의 발생 여부에 대한 판단은 차량의 진행 방향이나 거리에 의한 상대 차량의 접근으로 판단할 수 있다.
차량 간의 통신이 불가능할 경우 등화 및 소리를 통한 경고를 수행할 수 있다. 경고장치가 부착되지 않은 차량이나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에서는 사용자 차량의 헤드라이트, 블랙박스의 내장 플래쉬, 경적 등을 연동하여 상대 차주에게 직접 경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제공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200: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101: 카메라모듈
104: 저장부 105: 통신부
109: 위치정보모듈

Claims (12)

  1.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통신부;
    외부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 및
    차량의 주행 중 도로 주변에 구비된 인프라에 접근 시 고유 ID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인프라에 전송하고, 상기 인프라로부터 상기 차량의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의 고유 ID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차량의 외부에 존재하는 타 차량과 관련된 위험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위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된 타 차량의 고유 ID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위험 정보를 상기 타 차량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위험 정보를 상기 타 차량에 직접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위험 정보를 상기 인프라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인프라에 전송된 위험 정보는 상기 인프라에서 상기 타 차량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위험 정보를 상기 인프라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인프라에 전송된 위험 정보는 상기 인프라에서 상기 차량 주변의 차량에게 브로드캐스팅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정보는 상기 타 차량의 접근 방향, 상기 타 차량의 접근 속도 및 상기 타 차량과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사고 발생시 상기 인프라에 사고 통보를 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인프라에 전송된 사고 통보는 상기 차량의 후행 차량에게 사고 안내를 송신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7. 외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 중 도로 주변에 구비된 인프라에 접근 시 고유 ID를 상기 인프라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프라로부터 상기 차량의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타 차량의 고유 ID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차량의 외부에 존재하는 타 차량과 관련된 위험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위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된 타 차량의 고유 ID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위험 정보를 상기 타 차량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위험 정보를 상기 타 차량에 직접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위험 정보를 상기 인프라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인프라에 전송된 위험 정보는 상기 인프라에서 상기 타 차량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위험 정보를 상기 인프라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인프라에 전송된 위험 정보는 상기 인프라에서 상기 차량 주변의 차량에게 브로드캐스팅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정보는 상기 타 차량의 접근 방향, 상기 타 차량의 접근 속도 및 상기 타 차량과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사고 발생시 상기 인프라에 사고 통보를 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인프라에 전송된 사고 통보는 상기 차량의 후행 차량에게 사고 안내를 송신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KR1020200083552A 2013-04-29 2020-07-07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102255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552A KR102255429B1 (ko) 2013-04-29 2020-07-07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1020210063559A KR102314196B1 (ko) 2020-07-07 2021-05-17 도로 주변에 구비된 인프라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790A KR102134583B1 (ko) 2013-04-29 2013-04-29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1020200083552A KR102255429B1 (ko) 2013-04-29 2020-07-07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790A Division KR102134583B1 (ko) 2013-04-29 2013-04-29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559A Division KR102314196B1 (ko) 2020-07-07 2021-05-17 도로 주변에 구비된 인프라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248A true KR20200089248A (ko) 2020-07-24
KR102255429B1 KR102255429B1 (ko) 2021-05-24

Family

ID=718928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552A KR102255429B1 (ko) 2013-04-29 2020-07-07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1020210063559A KR102314196B1 (ko) 2020-07-07 2021-05-17 도로 주변에 구비된 인프라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559A KR102314196B1 (ko) 2020-07-07 2021-05-17 도로 주변에 구비된 인프라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554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647B1 (ko) 2023-08-02 2024-04-18 (주)엠알솔루텍 Cctv를 이용한 충전기 이용정보 안내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7449A2 (ko) * 2010-10-29 2012-05-0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카메라를 이용한 운전 부주의 경보 방법 및 장치
WO2012081915A1 (ko) * 2010-12-17 2012-06-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7449A2 (ko) * 2010-10-29 2012-05-0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카메라를 이용한 운전 부주의 경보 방법 및 장치
WO2012081915A1 (ko) * 2010-12-17 2012-06-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4196B1 (ko) 2021-10-20
KR20210058800A (ko) 2021-05-24
KR102255429B1 (ko) 202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4583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102011618B1 (ko) 자동 운전 지원 시스템, 자동 운전 감시 장치, 도로 관리 장치 및 자동 운전 정보 수집 장치
US9767675B2 (en) Mobile autonomous surveillance
KR102166277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운전 지원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
KR102162445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벤트 처리 방법
JP2010067262A (ja) インテリジェント走行支援システム
KR20140128832A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WO2015174017A1 (ja) 車載装置および走行画像保管システム
KR101748273B1 (ko) 차량 헤드 유닛, 사용자 단말, 및 차량의 비상상황 알림 방법
JP2008114649A (ja) クラクション制御装置
KR101998351B1 (ko) V2x 통신을 이용한 블랙박스 영상 자동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2111755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14196B1 (ko) 도로 주변에 구비된 인프라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20140128837A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102266716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129048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JP6473337B2 (ja) 車載装置、車載装置用プログラム及び速度警告システム
KR20140068312A (ko) 차량 블랙박스와 연동한 교통사고 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8045581A (ja) 車両運転支援装置
JP2021056873A (ja) 走行支援システム、走行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51515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102266315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JP2017091019A (ja) 車載通信装置および車車間通信システム
KR102337472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40128830A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