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9162A - 현수 장치용 연결구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현수 장치용 연결구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9162A
KR20200089162A KR1020190005889A KR20190005889A KR20200089162A KR 20200089162 A KR20200089162 A KR 20200089162A KR 1020190005889 A KR1020190005889 A KR 1020190005889A KR 20190005889 A KR20190005889 A KR 20190005889A KR 20200089162 A KR20200089162 A KR 20200089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insertion groove
sleeve
support frame
low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3859B1 (ko
Inventor
박두진
정부환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정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정부환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05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859B1/ko
Publication of KR20200089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rope- or cable-making machines; Auxiliary apparatus associated with such machines
    • D07B7/16Auxiliary apparatus
    • D07B7/167Auxiliary apparatus for joining rope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9/00Binding or sealing ends, e.g. to prevent unravelling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7/00Rope or cable making machines
    • D07B2207/40Machine component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501/00Application field
    • D07B2501/20Application field related to ropes or ca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정상 보행 운동이 가능하도록 도와주는 현수 장치에 사용되는 현수 장치용 연결구를 제조하는 현수 장치용 연결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 가장자리에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부에는 슬리브가 안착되도록 하측으로 오목한 반원 형상의 제1 삽입홈 내지 제3 삽입홈이 형성되는 하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하부에는 상기 제1 삽입홈 내지 제3 삽입홈에 대응되도록 상측으로 오목한 반원 형상의 제1 밀착홈 내지 제3 밀착홈이 형성되는 상부 금형과, 상기 상부 금형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하부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공에 수용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 부재에 설치되며 펌프에 의해 상기 상부 금형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부재를 포함하는 가압부 및 상기 하부 금형의 제1 삽입홈 내지 제3 삽입홈의 양끝단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현수 장치용 연결구 제조 장치{Equipment of manufacturing Connector for suspension safety}
본 발명은 현수 장치용 연결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정상 보행 운동이 가능하도록 도와주는 현수 장치에 사용되는 현수 장치용 연결구를 제조하는 현수 장치용 연결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 보조장치는 각종 질환이나 사고 등으로 인하여 스스로 걷지 못하는 환자들이 재활치료를 위한 보행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구 또는 장치를 말한다.
두발로 보행을 하는 사람의 경우, 정상 보행 과정에 상하로 높낮이가 달라지며, 좌우로도 일정한 변위폭을 가지면서 이동하게 된다.
특히, 장애인의 경우 양측 다리 길이의 차이로 인하여 보행시 상하 높낮이 변화가 더 많기 때문에 보행 충격이 더 크고 불편하여 이를 고려한 보행 보조장치의 필요성이 더욱 절실하다.
보행 운동의 최종 목표는 정상보행을 하지 못하는 사람이 최대한 정상 보행에 가깝게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따라서, 보행시 좌우와 상하로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과 동시에, 신체를 정상 보행 상태로 원복시킬 수 있도록 하여야 정상적인 보행 운동을 할 수가 있다.
즉, 현수(suspending) 기능이 있는 보행 보조장치들은 이용자들이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 운동을 할 때에 상부에서 튼튼하게 잡아주어서 안전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좌우와 상하로 소정의 탄성력을 줄 수 있도록 하여야 정상 보행에 근접하는 보행 운동이 가능하다.
최근에는 천정에 레일을 설치하거나, 고정된 기둥을 설치하여 로프나 쇠사슬로 연결되는 현수 기능이 있는 안전장치를 구비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현수 장치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현수 장치의 연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가 매듭지는 슬리브는 타원형의 원통으로 제작되며, 로프의 일부가 내부에 수용되어 양방향에 고리 형상을 이루었다.
이러한 종래의 현수 장치의 연결구는 로프와 슬리브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여 로프의 내주면과 슬리브의 내부면이 밀착되지 않는 부위 때문에 로프가 슬리브에서 이탈되어 현수 장치를 이용하는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는 체중을 지지하지 못하여 넘어져서 부상을 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로프와 슬리브 사이에 간격을 줄이고자 로프를 내부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슬리브를 강하게 압력하여 연결구를 제작하게 되면, 슬리브의 강한 압력에 의해 로프가 끊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로프와 슬리브로 이루어지는 현수 장치용 연결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규한 현수 장치용 연결구를 개발하였으며, 도 1에 도시된 현수 장치용 연결구는 슬리브의 내부에 로프가 일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꼬인 상태를 가지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41980호 ‘탄성력을 제공하는 보행보조장치’(등록일자 : 2017.05.25.)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정한 형태를 가지는 슬리프의 내부에 로프를 삽입한 체로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 금형과 상부 금형 내부에 슬리브를 삽입하여 신속하게 현수 장치용 연결구를 제작할 수 있는 현수 장치용 연결구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수 장치용 연결구 제조 장치는 상부 가장자리에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부에는 슬리브가 안착되도록 하측으로 오목한 반원 형상의 제1 삽입홈 내지 제3 삽입홈이 형성되는 하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하부에는 상기 제1 삽입홈 내지 제3 삽입홈에 대응되도록 상측으로 오목한 반원 형상의 제1 밀착홈 내지 제3 밀착홈이 형성되는 상부 금형과, 상기 상부 금형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하부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공에 수용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 부재에 설치되며 펌프에 의해 상기 상부 금형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부재를 포함하는 가압부 및 상기 하부 금형의 제1 삽입홈 내지 제3 삽입홈의 양끝단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판 프레임과, 하판 프레임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상향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받침바와, 상기 복수 개의 받침바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 부재가 고정되는 상판 프레임을 포함하는 위치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수 장치용 연결구 제조 장치는 하부 금형과 상부 금형에 각각 제1 삽입홈 내지 제3 삽입홈과 제1 밀착홈 내지 제3 밀착홈이 형성되어 하부 금형과 상부 금형 사이에 투입된 슬리브를 투입함과 동시에 로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슬리브를 가압하여 별도의 접착제 없이 로프와 슬리브를 고정되는 현수 장치용 연결구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지지 프레임의 가이드공에 삽입된체로 이동되는 가이드바를 통해 하부 금형의 상부에서 이동되는 상부 금형이 정위치에서 정확하게 상하 왕복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실린더 부재의 일부를 상부 금형의 상부에 고정시키도록 상판 프레임이 마련되고, 지지 프레임의 하부에 하판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판 프레임과 하판 프레임이 받침바를 통해 고정됨으로, 실린더 부재의 상하 왕복되는 동작이 정확하게 수직으로 왕복될 수 있도록 하여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현수 장치용 연결구 제조 장치를 통해 제작된 현수 장치용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현수 장치용 연결구 제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현수 장치용 연결구 제조 장치 내부에 슬리브가 투입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부 금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현수 장치용 연결구 제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수 장치용 연결구 제조 장치(1000)는 지지 프레임(100), 하부 금형(200), 상부 금형(300), 가압부(400), 돌출편(500) 및 위치 결정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지지 프레임(100)은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 가장자리에는 일정 간격으로 가이드공(110)이 함몰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프레임(100)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공(110)은 상기 지지 프레임(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금형(200)은 상기 지지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공(110)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100)보다 작은 크기로 제작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부 금형(200)의 상부에는 하측으로 오목한 반원 형상의 제1 삽입홈 내지 제3 삽입홈(210, 220, 230)이 형성되는데, 이는 통상의 로프 부재(10)의 단면이 원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로프 부재(10)의 일부 외주면(하부)에 대응되는 원주를 갖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 금형(300)은 상기 하부 금형(200)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하부에는 상기 제1 삽입홈 내지 제3 삽입홈(210, 220, 230)에 대응되도록 상측으로 오목한 반원 형상의 제1 밀착홈 내지 제3 밀착홈(310, 320, 3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금형(300)이 하부 금형(200)에서 정확하게 수직으로 이동되도록 제1 삽입홈 내지 제3 삽입홈(210, 220, 230)의 상부에는 상부 금형(300)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부 금형(200)과 상부 금형(300)이 밀착되면서 제1 삽입홈 내지 제3 삽입홈(210, 220, 230)과 제1 밀착홈 내지 제3 밀착홈(310, 320, 330)이 각각 원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때, 도 3을 참조하여 삽입홈 및 밀착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을 기준으로 제1 삽입홈 내지 제3 삽입홈(210, 220, 230)과 제1 밀착홈 내지 제3 밀착홈(310, 320, 330)을 좌측에서부터 우측으로 배치되며, 제2 삽입홈(220)과 제2 밀착홈(320)은 각각 하부 금형(200)과 상부 금형(300)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금형(200)에서는 제1 삽입홈 내지 제3 삽입홈(210, 220, 230) 사이에 내향 돌출 형성되는 제1 돌기(201)가 형성되고, 상부 금형(300)에서는 제1 밀착홈 내지 제3 밀착홈(310, 320, 330) 사이에 내향 돌출 형성되는 제2 돌기(301)가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삽입홈(220)의 양단에 형성된 제1 돌기(201)와 제2 밀착홈(320)의 양단에 형성된 제2 돌기(301)는 양측이 완곡지게 형성되어 제1 삽입홈 내지 제3 삽입홈(210, 220, 230)과 제1 밀착홈 내지 제3 밀착홈(310, 320, 330)의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제2 삽입홈(220) 양단에 형성된 제1 돌기(201)와 제2 밀착홈(320)의 양단에 형성된 제2 돌기(301)는 각각 하부 금형(200)와 상부 금형(300) 사이에 투입되는 원형상의 슬리브(20)를 상하부에서 각각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돌기(201) 및 제2 돌기(301)에 의해 원형상의 슬리브(20)가 하부 금형(200)과 상부 금형(300) 사이에 고정되게 되므로, 원형상의 슬리브(20)가 이동되지 않으므로 정확한 위치에서 가압하여 3중 로프가 투입되는 3개의 원통이 연통되는 형상의 슬리브(20)로 변형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가압부(400)는 상기 상부 금형(30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금형(300)을 상하로 이동시키게 되며, 실린더 부재 또는 공압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압부(400)는 상부 금형(3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410)와, 가이드 부재(410)의 하부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가이드공(110)에 수용되는 가이드바(420)와, 사이드 부재(410)에 설치되며 펌프(430)에 의해 상부 금형(30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부재(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410)는 상부 금형(300)의 상부와 실린더 부재(440)의 하부 사이에 설치되며,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실린더 부재(440)의 상하 왕복 동작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 부재(410)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가이드바(420)가 하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1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가이드공(110)에 대응되어 삽입 및 인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펌프(430)는 실린더 부재(440)와 연결되어 실린더 부재(440)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압력을 제공하여, 상부 금형(300)이 상하로 이동되어 하부 금형(200)과 상부 금형(300) 사이에 투입된 슬리브(20)를 가압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돌출편(5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금형(200)의 제1 삽입홈 내지 제3 삽입홈(210, 220, 230)의 양 끝단에 돌출 형성되어 하부 금형(200)에 놓여지는 슬리브(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부 금형(200)의 폭은 상기 슬리브(20)의 폭의 길이와 동일하게 제작되며, 슬리브(20)는 하부 금형(200)에 투입되면서 일정한 방향을 가지게 된다.
즉, 슬리브(20)의 개방된 측면이 하부 금형(200)의 개방된 측면에 형성된 돌출편(500) 방향에 위치하게 되며, 돌출편(500)의 내면은 슬리브(20)의 두께면에 밀착되면서 슬리브(20)가 정확한 방향을 가지도록 하부 금형(200)에 투입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위치 결정부(600)는 상기 실린더 부재(440)가 정확하게 수직으로 이동되도록 실린더 부재(440)의 일부를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하판 프레임(610), 복수 개의 받침바(620) 및 상판 프레임(6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하판 프레임(610)은 상기 지지 프레임(1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100), 하부 금형(200), 상부 금형(300), 가압부(400) 및 돌출편(500)이 올려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판 프레임(610)이 상기 지지 프레임(100)과 고정되고, 상기 하판 프레임(610)의 가장자리에는 상측으로 세워지는 복수 개의 받침바(62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 프레임(630)은 상기 복수 개의 받침바(620)의 상부를 연결하되, 상기 실린더 부재(440)의 일부가 고정된다.
상기 실린더 부재(440)는 일부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되고, 다른 일부는 하우징으로 구성되며, 이때, 실린더 부재(440)의 하우징이 상판 프레임(630)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 부재(440)의 하우징이 고정되어 실린더 부재(440)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펌프(430)의 작동에 의해 실린더 부재(440)의 실린더가 상하 이동되면서 상부 금형(300)을 이동시켜 하부 금형(200)과 상부 금형(300) 사이에 투입된 슬리브(20)를 가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슬리브(20)가 가압되는 과정에서 슬리브(20)의 내부에 로프(1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으로 꼬인 상태에서 수용되고, 제1 삽입홈 내지 제3 삽입홈(210, 220, 230)의 양끝단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편(500)에 의해 로프(10)의 인입이 제한받을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돌출편(500)은 슬리브(20)의 두께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슬리브(20)의 두께면에 접촉되어 슬리브(20)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현수 장치용 연결구 제조 장치
1 : 현수 장치용 연결구 10 : 로프 부재
20 : 슬리브 100 : 지지 프레임
110 : 가이드공 200 : 하부 금형
210 : 제1 삽입홈 220 : 제2 삽입홈
230 : 제3 삽입홈 300 : 상부 금형
310 : 제1 밀착홈 320 : 제2 밀착홈
330 : 제3 밀착홈 400 : 가압부
410 : 가이드 부재 420 : 가이드바
430 : 실린더 부재 500 : 돌출편
600 : 위치 결정부 610 : 하판 프레임
620 : 받침바 630 : 상판 프레임

Claims (2)

  1. 상부 가장자리에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부에는 슬리브가 안착되도록 하측으로 오목한 반원 형상의 제1 삽입홈 내지 제3 삽입홈이 형성되는 하부 금형;
    상기 하부 금형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하부에는 상기 제1 삽입홈 내지 제3 삽입홈에 대응되도록 상측으로 오목한 반원 형상의 제1 밀착홈 내지 제3 밀착홈이 형성되는 상부 금형;
    상기 상부 금형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하부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공에 수용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 부재에 설치되며 펌프에 의해 상기 상부 금형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부재를 포함하는 가압부; 및
    상기 하부 금형의 제1 삽입홈 내지 제3 삽입홈의 양끝단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장치용 연결구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판 프레임과, 하판 프레임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상향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받침바와, 상기 복수 개의 받침바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 부재가 고정되는 상판 프레임을 포함하는 위치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장치용 연결구 제조 장치.
KR1020190005889A 2019-01-16 2019-01-16 현수 장치용 연결구 제조 장치 KR102173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889A KR102173859B1 (ko) 2019-01-16 2019-01-16 현수 장치용 연결구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889A KR102173859B1 (ko) 2019-01-16 2019-01-16 현수 장치용 연결구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162A true KR20200089162A (ko) 2020-07-24
KR102173859B1 KR102173859B1 (ko) 2020-11-04

Family

ID=71892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889A KR102173859B1 (ko) 2019-01-16 2019-01-16 현수 장치용 연결구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85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1788A (ja) * 1990-03-28 1993-12-14 Amp Inc ワイヤ圧着装置
JP2000199188A (ja) * 1998-12-31 2000-07-18 Bridgestone Corp スチ―ルコ―ド溶接部の加工方法及び加工装置
JP2013087380A (ja) * 2011-10-17 2013-05-13 Senyo Kk 繊維ロープ用締結具
JP2014058761A (ja) * 2012-09-19 2014-04-03 Senyo Kk 繊維ロープ締結具、及びアイ付繊維ロープ
KR20140124520A (ko) * 2013-04-17 2014-10-27 대광기업 주식회사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
KR20150101688A (ko) * 2014-02-27 2015-09-04 (주)고려기업 와이어로프 보호콘 사출성형장치
KR20150124845A (ko) * 2014-04-29 2015-11-06 이정문 포장용 끈의 금속팁 체결장치
KR101741980B1 (ko) 2015-03-04 2017-05-31 정부환 탄성력을 제공하는 보행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1788A (ja) * 1990-03-28 1993-12-14 Amp Inc ワイヤ圧着装置
JP2000199188A (ja) * 1998-12-31 2000-07-18 Bridgestone Corp スチ―ルコ―ド溶接部の加工方法及び加工装置
JP2013087380A (ja) * 2011-10-17 2013-05-13 Senyo Kk 繊維ロープ用締結具
JP2014058761A (ja) * 2012-09-19 2014-04-03 Senyo Kk 繊維ロープ締結具、及びアイ付繊維ロープ
KR20140124520A (ko) * 2013-04-17 2014-10-27 대광기업 주식회사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
KR20150101688A (ko) * 2014-02-27 2015-09-04 (주)고려기업 와이어로프 보호콘 사출성형장치
KR20150124845A (ko) * 2014-04-29 2015-11-06 이정문 포장용 끈의 금속팁 체결장치
KR101741980B1 (ko) 2015-03-04 2017-05-31 정부환 탄성력을 제공하는 보행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3859B1 (ko) 202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10868A1 (en) Footwear having cushioning device
WO2016153301A1 (ko) 미드솔 성형장치 및 그 성형장치에 의하여 제작된 미드솔
CN107582329B (zh) 一种腿部康复装置
KR102193985B1 (ko) 보행보조용 재활장치
KR20200089162A (ko) 현수 장치용 연결구 제조 장치
KR20160145379A (ko) 보행 재활 훈련용 발목 관절 각도 변화 유도 장치
TW201404430A (zh) 訓練裝置
CN109621345A (zh) 一种舞蹈训练用韧带拉伸装置
KR101313316B1 (ko) 트위스트 운동기구
KR101619485B1 (ko) 계단 탄력 발판
KR20200030250A (ko) 현수 장치용 연결구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490882B1 (ko) 점핑보드
KR101578447B1 (ko) 하체 운동기구
KR101497819B1 (ko) 발지압용 쿠션부재
KR101815740B1 (ko) 휜다리 교정 장치
KR102225072B1 (ko) 기계식 현수 장치용 연결구
CN217661291U (zh) 一种高血压病人用新型护理保健装置
JP3218461U (ja) 歩行訓練装置
KR200292252Y1 (ko) 발 스트레칭기
KR20130122590A (ko) 운동기구
CN214072038U (zh) 一种防踩脚的舞鞋
KR200246836Y1 (ko) 안마장치
KR200236197Y1 (ko) 인체신장기
KR102256925B1 (ko) 운동 능력 향상 및 혈관성 질환의 개선을 위한 기능성 밴드
CN210903558U (zh) 一种骨科护理用的脚踝固定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