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8112A - 승강 기능을 구비한 드론 택배함 - Google Patents

승강 기능을 구비한 드론 택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8112A
KR20200088112A KR1020190004696A KR20190004696A KR20200088112A KR 20200088112 A KR20200088112 A KR 20200088112A KR 1020190004696 A KR1020190004696 A KR 1020190004696A KR 20190004696 A KR20190004696 A KR 20190004696A KR 20200088112 A KR20200088112 A KR 20200088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delivery
roof
drone delivery
cou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두
Original Assignee
김관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관두 filed Critical 김관두
Priority to KR1020190004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8112A/ko
Publication of KR20200088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1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30Accessories, e.g. signalling devices, lamps, means for leaving me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30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al power
    • B64U50/34In-flight charging
    • B64C2201/066
    • B64C2201/12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6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transporting passengers; for transporting goods other than weap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50On board measures aiming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 Y02T50/5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으로 택배 등 배송물건을 옮기기 위하여 드론으로부터 물품을 무인 수령하기 위한 드론 택배함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부에 구비되는 제 1 이착륙장, 복수 개의 단이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지붕,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물품 보관칸, 상기 지붕 안쪽으로 구비되는 열선, 및 상기 열선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태양광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지붕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단은, 상부 중앙에서부터 좌우방향으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지붕은, 상기 제 1 이착륙장 좌우방향으로 바람차단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택배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승강 기능을 구비한 드론 택배함{PACKAGE STORAGE SYSTEM FOR DRONE WITH ELEVATOR}
본 발명은 승강 기능을 구비한 드론 택배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부에 개폐가능한 지붕을 통하여 배달 드론을 수용하여 택배를 무인으로 수령할 수 있는 드론 택배함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드론(무인비행체)이 상용화되면서 카메라 촬영 등 다양한 분야에서 드론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드론은 전자상거래가 보편화됨에 따라 물품 배송에 활용되어 관련 업계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중량이 상당하거나 부피가 큰 물품의 경우에는 종래의 운송수단을 활용하는 것이 불가피하지만, 소형이면서 부피가 작은 물품의 경우에는 굳이 종래의 운송장비와 인력을 활용하는 대신 드론을 이용함으로써 업무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근래 물품 배송 수단으로 드론을 사용할 때에는 물품을 배송 받는 수취인이 드론의 배송 물품을 직접 전달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수취인 부재 시 드론이 물품을 수취인 거소 근처에 그냥 두고 가도록 할 수는 없는 노릇이기 때문이다. 아파트와 같은 공동건물은 그 구조 상 배송 물품을 전달하기 어려우며, 담장이 없는 일반 주택가에는 분실 도난의 우려가 크다. 또한 물품을 두고 가더라도 비가 오거나 하면 물품이 비에 젖어 훼손될 우려가 매우 높다.
한편 최근 인력으로 물품을 배송할 때 수취인이 없는 경우 무인 택배함을 설치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무인 택배함도 사람이 물품을 배송하는 것을 전제로 개발된 것이기 때문에 드론 택배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기존의 무인 택배함을 그대로 이용하여 무인 비행체인 드론으로 물품을 배송할 경우, 무인 방식으로 운영되는 특성상 도난사고의 발생이 우려되고, 배송함의 설치면적과 개구부 개방 단면적 등 각종 설계환경에 따른 다양한 배송함 구조가 요구되는 점 그리고 배송함 상공에서 투하되는 물품이 파손되어 손해배상문제를 불러일으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드론 택배가 보편화됨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위와 같은 다양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드론이 이용할 수 있는 무인 택배함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드론이 물품을 무인으로 수취하는데 있어서 문제가 될 수 있는 사항들을 제거시킨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부에 구비되는 제 1 이착륙장; 복수 개의 단이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지붕;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물품 보관칸; 상기 지붕 안쪽으로 구비되는 열선; 및 상기 열선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태양광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지붕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단은, 상부 중앙에서부터 좌우방향으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지붕은, 상기 제 1 이착륙장 좌우방향으로 바람차단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택배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보관함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드론을 통하여 사람이 없이도 물품을 수령하고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드론 상호간의 택배물 중계나 택배 차량으로의 중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승강기능을 통하여 많은 양의 택배 물량에도 원활하게 보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 택배함(10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 택배함(100)의 지붕(110)이 열린 상태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지붕(110)을 통하여 드론을 수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 택배함(100)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 1 이착륙장(201)의 하부에 구비되는 다굴절 로봇암(501)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택배물 승강이동 및 보관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승강 가이드(602)에서 보관함으로 승강기 바닥(304)이 이동되는 개념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승강 가이드(602)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홈(610) 중에서 택배물(901)의 높이에 따라 보관 홈을 지정하기 위한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수취를 위한 제 2 이착륙장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택배 보관함(100)의 사시도 및 내부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기존 드론으로 배송되는 택배물의 수취는 지층, 옥상, 중층의 바닥에 놓거나, 줄에 매달아 내리거나, 낙하산 투하, 수취장치에 투하하는 1차적 방법을 사용했다. 날씨나 반려동물, 도난에 취약하고 도착 시간에 사람이 있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최근 개발되어 사용되는 수취함의 대부분은 다수의 택배물이 함내로 불규칙하게 쌓여 택배물 간의 충격으로 파손의 가능성이 있다. 더구나 음식물 배달은 오염 우려로 불가한 실정이다.
승강기능이 있는 보관칸을 가짐으로서 수취 순간에 무인수취가 가능하며, 배송 예약이 가능하다. 다수의 보관칸은 택배물의 겹침을 방지하여 파손이나 오염을 방지한다.
냉장, 냉동 및 보온기능이 구비된 보관칸은 다양한 음식물과 야채를 보관할 수 있다. 장보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관칸의 택배물은 드론에서 드론으로 중계 역시 가능하므로 배터리 수명에 한계가 있는 택배 드론기의 배달영역을 무한 확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택배드론과 택배차량, 택배차량간의 택배물 중계도 가능하여 다양한 지역에 효율적인 배달이 가능하다.
그리고 택배함의 상층부와 측면부를 동시에 이용함으로서 수취배송의 확률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상층부의 지붕 시설을 제거하고 내부 층과 저장칸을 소규모로 축소하면 고층건물의 중층부에 설치가 가능하여 배달장소와 배달물품을 극적으로 확대하는 효과가 있다.
보관칸이 많은 택배함은 공공장소용으로 사용 가능하여 광장이나 역(정류장)에 설치하여 편리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지붕이 제거된 소규모 택배함은 개인이나 가정용으로 사용 가능하다.
상층부의 지붕은 이착륙장과 택배물 접수, 승강장치, 충전장치를 보호하며 악천후 시에 드론의 대피장소로 활용할 수도 있다.
지붕 재질 외부의 태양광 패널과 택배함 외부의 태양광 패널은 친환경 전력공급과 건물과 떨어진 지역에 전선연결 없이 사용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오지에도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그리고,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드론의 충전, 배터리 교환 기능은 드론의 장거리 배달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택배물 도착 신호등과 신호음은 청각과 시각 능력이 약한 자에게 효과적이다.
음성정보입력(음성인식) 시스템은 타이핑이 익숙지 않거나 시력이 약한 자 문자해독이 어려운 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 택배함(10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 택배함(100)의 지붕(110)이 열린 상태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지붕(110)을 통하여 드론을 수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 택배함(100)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기술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한 효과가 있다.
먼저 도 4의 블록도를 참조하면, 상기 드론 택배함(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50), 메모리(170), 제어부(180), 동력부(199)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드론 택배함(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드론 택배함(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동력부(199)는 제어부(180)의 제어 아래, 본 드론 택배함(100)에 필요한 다양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술할 승강기 바닥(304)의 상하 이송을 위한 벨트의 동력이라던지, 승강 가이드(602)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예를 들면 모터 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드론 택배함(100)와 드론(302)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드론 택배함(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122)를 활용하여, 자판이 서투른 자나 노인, 환자, 맹인들을 위한 음성정보입력 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사용자는 마이크(122)를 통하여 음성으로 명령을 입력하면, 그 명령에 대응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드론 택배함(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드론 택배함(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광 출력부(154) 및 음향 출력부(152)는, 택배물의 도착을 알리는 신호등과 신호음향기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메모리(170)는 드론 택배함(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드론 택배함(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드론 택배함(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4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드론 택배함(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드론 택배함(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특히, 전원공급부(190)는 상술한 태양광 패널(220, 220')을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드론 택배함(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론 택배함(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드론 택배함(100)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 택배함(100)은 상부에 개폐 가능한 지붕(1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폐 가능한 지붕(100)은, 평상시에는 닫혀 있다가 택배를 배송하기 위하여 드론이 근처에 오게 되면 도 2에서와 같이 열려서 드론을 수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지붕(110)은, 복수 개의 단이 개폐되는 형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지붕(110)을 구성하는 각 단은, 단면이 부채꼴인 기둥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은 부채꼴 중심을 축으로 회동결합되어 접혔다가 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부채꼴 기둥형상의 각 단이 접혔다가 펴지는 방식으로 지붕이 개폐될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이 열렸을 때 좌우로 접혀진 지붕(110)의 각 단이 바람막이 역할을 할 수 있어서, 강풍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드론이 물품을 배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지붕(110)이 열리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론 택배함(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 1 이착륙장(201)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을 것이다.
드론(302)을 통하여 택배물을 배송하는 시나리오는 아래와 같다.
택배사의 드론(302)이 택배물을 가지고 드론 택배함(100) 근거리에 도착한다. 드론 택배함(100)과 교신(이하에서 상세하게 후술할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을 통하여 확인 후 착륙를 시도한다. 드론 택배함(100) 상부의 다단계 지붕(110)이 열린다. 지붕(110)의 최종 개방상태는 제 1 이착륙장(201) 바닥보다 높은 상태로 바람막이 역할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악천후 드론대피나 방전된 드론의 충전 장소로 활용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지붕(110)의 내부는 열선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열선에 의해 혹한기 폭설이나 결빙을 대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이착륙장 바닥(301)은 외부로 경사를 유지하여 물빠짐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제 1 이착륙장(301) 바닥에 접촉식, 비접촉식 충전을 위한 충전기(303)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이착륙장(301)에는 승강기의 출입구(202)가 형성된다. 드론(302)이 근접하게 되면, 제어부(180, 이하 도 4에서 후술)는 승강기의 출입구(202)가 열리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승강기 바닥(304)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드론(302)이 가지고 온 택배물이 상기 승강기 바닥(304)에 안치되어 내부로 이동되어 보관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러한 승강기 바닥(304)은, 바닥면에 자석 성분 등을 통하여, 택배물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안한다. 특히, 택배물 자체가 금속이던 아니던 고정될 수 있도록, 택배물에는 자성을 가진 테이프에 의해서 포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승강기 바닥(304)은,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하겠지만, 몸체(111)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되어 적절한 보관함 위치에 택배물을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 택배함(100)은, 몸체(111) 옆면에 태양광 패널(220)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지붕(110)의 외면에 태양광 패널(220')을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몸체(111)의 옆면에 구비되는 태양광 패널(220)은, 태양의 위치에 따라서 최적의 각도로 바뀔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태양광 패널(220, 220')은, 드론 택배함(120)의 다양한 구성들에게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상부의 제 1 이착륙장(201)과 지붕(110)을 제거하고, 층과 칸을 줄여 고층 건물의 중층부에 사용하도록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드론 택배함(120)은 몸체(111) 일면에 음향 출력부(152), 터치스크린(151) 및 물품 토출부(12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151)은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해주는 정보 입력창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정보 입력창인 터치스크린(151) 주변에는 물품 토출부(123)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 1 이착륙장(201)의 하부에 구비되는 다굴절 로봇암(501)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드론 택배함(100)은, 충전 장치(502)와 함께 복수 개의 여분 배터리(503)를 구비할 수 있다. 드론(302)이 제 1 이착륙장(201)이나 제 2 이착륙장(201', 이하에서 후술)에 안착하면, 배터리 교체 필요성을 판단한다. 만약 드론(302)의 전력 잔여량이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로봇암(501)은 여분 배터리(503)를 드론(302)의 배터리와 교체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교체된 배터리는 충전 장치(502)에 삽입되어 재사용을 위하여 충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자동으로 드론(302)의 배터리를 교체할 경우, 먼거리를 이동해야 하는 드론(302)이 잠시 배터리를 교체했다가 가는 중계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승강 장치의 택배물 이동 및 보관 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택배물 승강이동 및 보관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에 따르면, 상기 승강기 바닥(304)은 승강 가이드(602)를 따라 위아래로 승강이송 될 수 있다. 승강이송은, 승강 가이드(602)에 구비되는 벨트(603)에 의해서 동력을 제공 받아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승강 가이드(602)의 주변에는 복수 개의 보관함(601-1 내지 601-4)가 구비될 수 있다. 각 보관함(601-1 내지 601-4)은 승강기 바닥(304)이 고정될 수 있는 홈(610)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홈(610)은 상기 보관함(601-1 내지 601-4)의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보관하고자 하는 보관함의 위치에 맞도록 승강기 바닥(304)을 승강 이동 시킨 후, 해당 승강기 바닥(304)을 홈(610)에 체결시키는 방식으로 보관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관함(601-1 내지 601-4)은, 일면이 개방된 사각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개방된 일면을 통하여 상기 승강기 바닥(304)과 택배물을 수용할 수 있을 것이다.
승강 가이드(602)의 주변에 배치되는 상기 보관함(601-1 내지 601-4)은, 개방된 면이 승강 가이드(602)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 가이드(602)가 회전하여 복수 개의 보관함(601-1 내지 601-4) 중 원하는 보관함에 택배물을 보관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보관함(601)은 음식물 보관을 위해 냉장, 냉동, 보온 기능의 칸을 가진다. 보관함(601)을 형성하는 각 칸의 크기는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 2 보관함(601-2)에 보관하기 위하여 승강 가이드(60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 2 보관함(601-2)의 개방된 면과 상기 승강 가이드(602)가 맞닿을 수 있도록, 승강 가이드(602)가 시계 방향(701)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8에서와 같이, 제어부(180)는 승강기 바닥(304)을 원하는 방향(801)으로 승강이동 시킬 수 있다.
원하는 높이에 승강이동된 승강기 바닥(304)이 보관함(601)으로 이동되는 방법에 대해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승강 가이드(602)에서 보관함으로 승강기 바닥(304)이 이동되는 개념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에 따르면, 승강기 바닥(304)이 보관함으로 이동되는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에 따르면, 보관함(601)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홈(610) 중에서 원하는 위치에 상기 승강기 바닥(304)이 끼워지는 형태로 보관될 수 있을 것이다. 승강기 바닥(304)이 끼워지게 되면, 승강기 바닥(304) 위에 안치되어 있는 택배물(901) 역시 보관함(601)으로 이동되어 보관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제어부(180)는, 택배물(901)의 높이에 맞게 상기 복수 개의 홈(610) 중 적합한 홈(610)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선택 방법에 대해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승강 가이드(602)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홈(610) 중에서 택배물(901)의 높이에 따라 보관 홈을 지정하기 위한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 1 택배물(901-1)이 제 1 승강기 바닥(304-1)에 안치되어 있으며, 제 1 승강기 바닥(304-1)은 위에서부터 5번째 홈에 끼워져 있다. 이 상태에서 소정 높이(1201)의 제 2 택배물(901-2)을 보관하고자 한다.
제어부(180)는 센싱부를 통하여 보관하고자 하는 제 2 택배물(901-2)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높이에 따라서, 승강 가이드(602)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홈(610) 중에서 적합한 위치의 홈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적합한 위치란, 상기 제 1 승강기 바닥(304-1)이 끼워진 홈의 위치와 제 2 택배물(901-2)의 높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홈일 수 있다. 즉, 제 2 택배물(901-2)을 보관할 수 있는 가장 최적 위치의 홈을 의미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홈의 위치가 결정되면, 도 12에서와 같이 해당 위치에 제 2 택배물(901-2)을 안착한 제 2 승강기 바닥(304-2)을 결정된 홈의 위치에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제 2 택배물(901-2)의 높이를 고려하여, 보관되는 홈을 결정할 경우 동일한 보관 장소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많은 양의 택배물을 보관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다단계 슬라이딩 되어 택배물을 수취할 수 있는 서랍형 수취 방식을 더 구비하도록 제안한다. 이러한 수취 방식에 대해서, 이하 도 13 및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수취를 위한 제 2 이착륙장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제 2 이착륙장(201')은 보관함(601)의 측면에서부터 슬라이딩 인출되는 서랍(1301)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서랍형 수취배송 형태의 제 2 이착륙장(201')은 삼면이상 바람막이 벽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바람막이 벽은 접었다 펴는 방식도 가능할 것이다. 서랍형 수취배송 형태의 제 2 이착륙장(201')은 택배물을 받기 위한 리프트(1401) 설치가 가능하며 제 2 이착륙장(201')의 바닥은 충격완화를 위한 패드를 구비할 수 있다. 측면 슬라이딩 서랍형 수취배송부는 상부의 이착륙장 비상상황으로 활용이 어렵거나 택배물량이 많을 때 동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서랍형 다단계 장치는 유압식, 레일식, 체인식 등 방법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으로, 정보입력창과 승강공간의 측면이나 배면(후면)으로 직선의 보관칸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택배 보관함(100)의 사시도 및 내부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에 따르면, 택배 보관함(100)은 측면이나 배면(후면)으로 직선의 보관함(601)이 구비된다.
도 16의 내부 사시도를 살펴보면, 복수 개의 보관칸(1701)이 구비되어 있으며, 승강 가이드(602)는 복수 개의 보관칸(1701)에 물건을 보관할 수 있도록 승강이동 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 가이드(602)는 도 17에서와 같이 좌우 방향(1702)으로도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 후, 도 18에서와 같이 승강 가이드(602)를 따라 상하 방향(1801)으로 승강이동 되어 원하는 높이에 택배물을 보관할 수 있을 것이다.
원하는 위치로 좌우 및 상하 이동된 이후에 택배물이 보관되는 방식은, 상기 도 13 및 도 14에서 설명한 방식과 동일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지붕(110) 및 제 1 이착륙장(201)은 그 부피가 많이 나갈 수 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지붕(110) 및 제 1 이착륙장(201)를 제거하여, 고층 건물이나 중층, 그리고 가정용 이용에 적합하도록 변경 가능하다. 이때, 물품 보관함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칸 역시, 위아래로 그 크기를 줄여 실내에서 사용하기 적합하도록 변경 가능할 것이다.
즉, 이와 같은 경우, 서랍형 이착륙장인 제 2 이착륙장(201')과 승강 가이드를 적극 활용하여, 소량, 작은 부피의 보관칸만을 가지는 중소형 장치로 축소하여 운영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드론 택배함의 실시예를 설시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13)

  1. 상부에 구비되는 제 1 이착륙장;
    복수 개의 단이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지붕;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물품 보관칸;
    상기 지붕 안쪽으로 구비되는 열선; 및
    상기 열선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태양광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지붕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단은, 상부 중앙에서부터 좌우방향으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지붕은, 상기 제 1 이착륙장 좌우방향으로 바람차단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택배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착륙장은,
    드론을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무선충전부를 구비하며,
    중앙에서 측면으로 물빠짐경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택배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착륙장은,
    상기 드론에 의해서 배송된 물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물품 받침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물품 받침판은, 상기 드론 택배함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택배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륙한 드론에 교체할 수 있는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충전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택배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충전칸에 구비되는 배터리와 상기 드론에 장착되어 있는 배터리를 교체시키기 위한 로봇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택배함.
  6. 제 1 항에 있어서,
    측면에 구비되고, 다단계 슬라이딩 개폐되는 서랍형태의 제 2 이착륙장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물품 수납부는,
    상하 방향으로의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드론 이착륙 패널;
    상기 드론 이착륙 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탄성물질로 구성되는 충격감소 패드;
    상기 드론 이착륙 패널의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의 바람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택배함.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보관칸은,
    복수 개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다층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칸으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 개의 칸 중 일부는 냉장, 냉동 및 보온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택배함.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칸은,
    드론과 드론 간에, 드론과 차량간에 물품을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택배함.
  9.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음성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음성 정보 입출력 장치;
    상기 음성 정보 입출력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을 식별하기 위한 음성 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택배함.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보관칸에 물품이 보관되면, 사용자에게 물품 보관 사실을 알리기 위한 도착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택배함.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착 알림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광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광출력 또는 상기 사용자에게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음향출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택배함.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패널은,
    인근 외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택배함.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패널은,
    계절에 따라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택배함.
KR1020190004696A 2019-01-14 2019-01-14 승강 기능을 구비한 드론 택배함 KR202000881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696A KR20200088112A (ko) 2019-01-14 2019-01-14 승강 기능을 구비한 드론 택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696A KR20200088112A (ko) 2019-01-14 2019-01-14 승강 기능을 구비한 드론 택배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112A true KR20200088112A (ko) 2020-07-22

Family

ID=71892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696A KR20200088112A (ko) 2019-01-14 2019-01-14 승강 기능을 구비한 드론 택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8112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65645A (zh) * 2020-10-20 2021-01-26 春禾(深圳)自动化技术有限公司 无人机物流柜
KR102298655B1 (ko) * 2021-03-02 2021-09-07 주식회사 나라엘리베이터안전관리 무인 자동운송 수단의 출입 유도가 가능한 승강기
KR20220025521A (ko) * 2020-08-24 2022-03-03 구자균 드론 배송 스테이션
KR20220032149A (ko) * 2020-09-07 2022-03-15 박상현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
KR20220069658A (ko) * 2020-11-20 2022-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드론을 이용한 무인 물품 공급 시스템
IL296121B1 (en) * 2022-08-31 2023-04-01 Todoo Ltd A device for a shipping and transportation system
KR20230094275A (ko) 2021-12-21 2023-06-28 송태호 드론 택배함
KR102590298B1 (ko) * 2023-04-17 2023-10-17 (주)케이아이테크노 무인 드론용 전기충전 스테이션
US11986115B2 (en) 2020-06-07 2024-05-21 Valqari Holdings, Llc Security and guidance systems and methods for parcel-receiving devices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86115B2 (en) 2020-06-07 2024-05-21 Valqari Holdings, Llc Security and guidance systems and methods for parcel-receiving devices
KR20220025521A (ko) * 2020-08-24 2022-03-03 구자균 드론 배송 스테이션
KR20220032149A (ko) * 2020-09-07 2022-03-15 박상현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
CN112265645A (zh) * 2020-10-20 2021-01-26 春禾(深圳)自动化技术有限公司 无人机物流柜
KR20220069658A (ko) * 2020-11-20 2022-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드론을 이용한 무인 물품 공급 시스템
KR102298655B1 (ko) * 2021-03-02 2021-09-07 주식회사 나라엘리베이터안전관리 무인 자동운송 수단의 출입 유도가 가능한 승강기
KR20230094275A (ko) 2021-12-21 2023-06-28 송태호 드론 택배함
IL296121B1 (en) * 2022-08-31 2023-04-01 Todoo Ltd A device for a shipping and transportation system
WO2024047632A1 (en) * 2022-08-31 2024-03-07 Todoo Ltd. Apparatus for a dispatch and delivery system
KR102590298B1 (ko) * 2023-04-17 2023-10-17 (주)케이아이테크노 무인 드론용 전기충전 스테이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88112A (ko) 승강 기능을 구비한 드론 택배함
KR102320501B1 (ko) 드론을 이용한 물품 배송을 위한 무인 물품 보관함
US11749125B2 (en) Aerial vehicle delivery location
KR102426848B1 (ko)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
US11544663B2 (en) Package receiving station
CN108438245B (zh) 抽屉式无人机巢
CN106493084A (zh) 一种快递柜及具有该快递柜的快递运输存储系统
US11396383B2 (en) Unmanned package storage system for drone package delivery and system thereof
KR102080226B1 (ko) 드론 택배용 스마트 우편함
CN206382244U (zh) 一种快递柜及具有该快递柜的快递运输存储系统
US1104623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nomously altering shape and functionality of on-road vehicles
CN110949973A (zh) 一种基于地下空间的物流运送方法及系统
WO2019086612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safeguarding and maintaining a mobile robot
US1159984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nomously delivering consumer items in disposable packages
CN212220432U (zh) 一种自动物流装置
JP6924297B1 (ja) 発着装置、配送物供給方法、配送物供給システム
EP3757517B1 (en) Unmanned aerial vehicle delivery system
KR20240043737A (ko) 무인 패키지 배송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339395B1 (ko) 화물운송기능을 구비한 승강기, 이를 이용하는 화물운송 시스템 및 화물운송방법
US2023019214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nomously Delivering Packages Using A Plurality Of Package Containers
KR102624415B1 (ko) 무인 배송 시스템
WO2023233533A1 (ja) 荷物ステーション、および、運搬車両
CN217576706U (zh) 小区快递货品自动配送系统
CN106744189A (zh) 一种空中立体轨交系统
CN102747852A (zh) 智能立体车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