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2149A -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 - Google Patents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2149A
KR20220032149A KR1020200113568A KR20200113568A KR20220032149A KR 20220032149 A KR20220032149 A KR 20220032149A KR 1020200113568 A KR1020200113568 A KR 1020200113568A KR 20200113568 A KR20200113568 A KR 20200113568A KR 20220032149 A KR20220032149 A KR 20220032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unit
drone
storage
deli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6848B1 (ko
Inventor
박상현
Original Assignee
박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현 filed Critical 박상현
Priority to KR1020200113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848B1/ko
Publication of KR20220032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30Accessories, e.g. signalling devices, lamps, means for leaving me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40Mobile PV generator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22Weight
    • A47G2200/226Weight sensor
    • B64C2201/12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6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transporting passengers; for transporting goods other than weap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물의 난간 외측에 배치되며, 내부에 드론에 의해 배송된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보관부, 상기 보관부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덮개부, 상기 보관부에 결합되고, 상기 난간에 장착되되, 상기 수납공간에 보관된 물품을 건물 내측으로 언로드(unload) 하기 위해 상기 보관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 및 상기 회전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 {PACKAGE STORAGE FOR DRONE PACKAGE DELIVERY}
본 발명은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외벽 난간에 설치되어, 드론 택배를 안전하게 수령 및 보관하고, 세대 내로 택배 물품을 자동으로 언로드 할 수 있는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상거래 산업 등의 급성장으로 택배 산업은 도시 물류 측면에서 상당한 교통체증을 유발하고 있다. 즉, 도시면적은 18% 수준인데, 인구의 90% 이상이 도시에 거주하고 있고, 전체 물동량의 30% 이상이 도시권 내에서 움직이며, 이로 인해 화물 운송차량이 전체 교통량의 1/3을 차지하고 있다. 향후 택배 산업이 더욱 활성화되면 도시 내 물동량이 더욱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시 내 교통 체증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증가하는 물동량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기존 트럭으로 배송하는 방법 이외에 다른 운송방법이 요구되며, 그 중 하나로 드론을 이용한 배송방안이 대두되고 있다.
드론은 4차 산업의 핵심인 인공지능, 빅데이터, 센서, 5G 등이 접목된 융복합 기술의 집약체로 무인기의 별칭으로 통용되고 있으며, 기존 군수용에서 벗어나 ICT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응용 분야가 물류, 건설·교통, 에너지, 농·임업 등으로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또한, 물류 부문에서는 지형의 제약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장점과 구매자들의 성향이 대량의 물품이 아닌 소량의 물품 구매를 선호하고 있고 빠른 배송이라는 경쟁으로 인해 드론 택배 배송이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세계 각국은 다양한 형태의 드론 배송 서비스를 시험하거나 실시 중이며, 물류기업을 중심으로 물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소형, 저 중량의 물품을 빠르게 배송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제약 사항들이 점차 극복됨에 따라 드론 택배 배송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른 물품 수령 문제 해소가 시급하다.
선행문헌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08411호에는 무인택배 보관함이 개시된다.
상기 선행문헌에는 실내 공간의 벽면 또는 창문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납실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납실과 상기 실내 공간을 연통시키는 내부 도어, 및 상기 케이스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납실과 실외 공간을 연통시키는 외부 도어를 포함함으로써, 집안 내부에서도 택배물을 손쉽게 수령할 수 있는 무인택배 보관함이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무인택배 보관함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내력벽의 파손 및 철거 등을 수반할 수 있어 공동주택 건축물의 구조 안전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으며, 설치시 지방자치단체의 허가나 공동주택 주민의 동의를 얻어야 설치 시공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관통되는 공동주택 구조물과 본 장치가 접하는 부위가 취약하여 단열, 방음, 누수에 문제 발생 가능성이 크며, 설치가 복잡하고 어렵다. 나아가, 설치 및 유지보수시 외부 작업이 필수적으로 수반되므로, 고가의 비용 소요 및 안전상의 문제 발생 우려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08411호 (2020.01.28)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외벽 난간에 설치되어, 드론 택배를 안전하게 수령 및 보관하고, 세대 내로 택배 물품을 자동으로 언로드 할 수 있는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건물의 난간 외측에 배치되며, 내부에 드론에 의해 배송된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보관부, 상기 보관부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덮개부, 상기 보관부에 결합되고, 상기 난간에 장착되되, 상기 수납공간에 보관된 물품을 건물 내측으로 언로드(unload) 하기 위해 상기 보관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 및 상기 회전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 또는 덮개부에 구비되어, 드론 또는 사용자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에 적재된 물품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 및 상기 보관부에 적재된 물품의 적재 높이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난간 외측 방향으로 개폐되는 제1 덮개, 난간 내측 방향으로 개폐되는 제2 덮개, 난간에 평행한 일측 방향으로 개폐되는 제3 덮개 및 난간에 평행한 타측 방향으로 개폐되는 제4 덮개를 포함하고, 열림 시 제1 덮개, 제2 덮개, 제3 덮개 및 제4 덮개 순서 또는 제1 덮개, 제2 덮개, 제4 덮개 및 제3 덮개 순서로 작동하고, 닫힘 시 그 역순으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태양광 패널 및 상기 태양광 패널로부터 생성된 전력을 저장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부를 구비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드론과의 통신이 연결되면, 상기 드론으로부터 택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덮개부를 개방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보관부 내 물품의 무게 또는 물품의 적재 높이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보관부 내 수용 기준 초과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용 기준을 초과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회전 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보관부 내 물품을 건물 내측으로 언로드(unload)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동주택의 벽면이나 창호 유리창을 뚫거나 훼손하지 않고 기존 설치되어 있는 베란다 난간에 손쉽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수취인이 부재 중인 경우에도 드론과의 교신을 통해 택배물을 인식하고 자동으로 접수 및 보관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 내 이미 보관된 택배물이 많아서 추가적인 택배물을 접수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또는 부재중인 수취인이 사용자 단말기로 택배물을 세대 내로 옮기는 것을 지시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세대 내로 택배물을 언로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가 개방된 상태의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가 개방된 상태의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수동 언로드 시 물품 보관장치의 작동을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은 자동 언로드 시 물품 보관장치의 작동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가 개방된 상태의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가 개방된 상태의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1000)는 후술할 바와 같이 드론(10)과의 사이 또는 사용자 단말기(20)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1000)는 드론(10)을 이용한 택배 서비스와 같은 화물 운송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수행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서, 일반 단독 주택이나,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 사무실, 빌딩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10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 주택의 베란다 난간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공동 주택의 벽면이나 창호 유리창을 뚫지 않아도 기존 설치되어 있는 베란다 난간에 설치하면 되기 때문에 설치 과정이 간단하고 안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1000)는 보관부(100), 덮개부(200), 회전 구동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1000)는 건물의 난간 외측에 배치되며, 내부에 드론에 의해 배송된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공간(110)을 형성하는 보관부(100), 상기 보관부(100)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덮개부(200), 상기 보관부(100)에 결합되고, 상기 난간에 장착되되, 상기 수납공간(110)에 보관된 물품을 건물 내측으로 언로드(unload) 하기 위해 상기 보관부(100)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300) 및 상기 회전 구동부(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보관부(100)는 건물의 난간 외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택배 물품을 보관하는 수납공간(110)이 형성된다. 보관부(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부에 택배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관부(100)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보관부(100)의 난간측 벽면은 중공이 형성되도록 이중 벽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난간측 벽면에 수직인 각각의 벽면도 중공이 형성되도록 이중 벽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공에는 통신부(500), 센서부(600) 등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1000)를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보관부(100)의 바닥면은 중공이 형성되도록 이중 바닥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바닥면의 상부에는 택배 물품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완충 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완충 패드는 고무 등의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구비되어, 택배 물품이 드론으로부터 낙하될 때 충격을 받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의 중공에는 후술하는 무게감지센서(610) 등의 구성 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보관부(100)의 바닥면은 상하 이동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닥면의 중공에는 시저스 리프트 방식 또는 4주식 리프트 방식의 상하 이동 장치가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바닥면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택배 물품은 충격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접수될 수 있다. 또한, 보관부(100)의 바닥면은 보관부(100)의 상단까지 올려진 상태에서 택배 물품을 접수하고, 하강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드론의 호버링 기술이 정밀하지 않은 경우에도 건물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보관부(100)의 상단에는 덮개부(200)가 결합되는 외곽 테두리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외곽 테두리부(120)는 후술하는 회전 구동부(300)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보관부(100)의 상단 테두리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곽 테두리부(120)는 회전 구동부(300)가 장착될 수 있는 사각의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관부(100)의 상단 테두리와 일정 거리를 두고 둘레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덮개부(200)는 상기 보관부(100)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보관부(100)의 기밀성 및 보관 안전성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덮개부(200)는 난간 외측 방향으로 개폐되는 제1 덮개(210), 난간 내측 방향으로 개폐되는 제2 덮개(220), 난간에 평행한 일측 방향으로 개폐되는 제3 덮개(230) 및 난간에 평행한 타측 방향으로 개폐되는 제4 덮개(240)를 포함한다. 제1 덮개(210), 제2 덮개(220), 제3 덮개(230) 및 제4 덮개(240)는 상기 보관부(100)의 상부 개방면 상에 서로 포개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각각의 덮개(210, 220, 230, 240)와 보관부(100)의 연결 부분에는 도어 구동부(211, 212, 213, 21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구동부(211, 212, 213, 214)는 후술하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각각의 상기 덮개(210, 220, 230, 240)를 개폐하도록 작동한다.
이때, 덮개부(200)는 열림 시 제1 덮개(210), 제2 덮개(220), 제3 덮개(230) 및 제4 덮개(240) 순서 또는 제1 덮개(210), 제2 덮개(220), 제4 덮개(240) 및 제3 덮개(230) 순서로 작동하고, 닫힘 시 그 역순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덮개부(200)는 상기 보관부(100)가 후술하는 회전 구동부(300)에 의해 난간 내측으로 회전되어 언로드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순서로 개방됨에 따라 택배 물품을 보다 안전하게 언로드 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덮개(210)와 제2 덮개(220)가 먼저 개방된 다음, 상기 제3 덮개(230)와 제4 덮개(240)는 좌우 양측에서 집게 방식으로 택배 물품을 잡아주면서 순차적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택배 물품은 보관부(100)의 수납공간(110)으로부터 난간 내측 실내바닥으로 충격 없이 안전하게 안착될 수 있다.
회전 구동부(300)는 상기 보관부(100)에 결합되고, 상기 난간에 장착되되, 상기 수납공간(110)에 보관된 물품을 건물 내측으로 언로드(unload) 하기 위해 상기 보관부(10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회전 구동부(300)는 상기 보관부(100)의 난간측 벽면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난간의 가로봉에 견고히 장착되어,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난간 외측에 위치하는 보관부(100)를 난간 내측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회전 구동부(300)는 택배 물품의 하차가 완료되면, 난간 내측에 위치하는 보관부(100)를 난간 외측으로 원위치 시킨다.
이로써, 사용자는 난간 외측에 위치하는 보관부(100)에서 직접 택배 물품을 수취하지 않더라도, 건물 내에서 택배 물품을 수령할 수 있게 되어, 택배 물품 수취 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안전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400)는 상기 도어 구동부(211, 212, 213, 214), 상기 회전 구동부(300) 및 후술하는 통신부(50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400)는 상기 통신부(500)를 통해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1000)와 드론(10)의 통신이 연결되면, 상기 드론(10)으로부터 택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덮개부(200)를 개방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상기 통신부(500)를 통해 택배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로 즉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이로써 수취인은 택배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400)는 후술하는 센서부(600)로부터 상기 보관부(100) 내 물품의 무게 또는 물품의 적재 높이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보관부(100) 내 수용 기준 초과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용 기준을 초과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회전 구동부(300)를 작동시켜 상기 보관부(100) 내 물품을 건물 내측으로 언로드(unload) 하도록 제어한다. 즉, 수취인이 부재중인 경우라도,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1000)는 드론(10)으로부터 택배 물품을 접수 및 건물 내로 자동 언로드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어부(400)는 수취인의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전달받은 택배 수령 명령에 따라 택배 물품을 건물 내로 언로드 하도록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1000)는 통신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500)는 상기 드론(10) 또는 사용자 단말기(20)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즉, 통신부(500)는 상기 보관부(100) 또는 덮개부(200)에 구비되어, 드론(10) 또는 사용자 단말기(2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500)는 상기 드론(10)과 무선 통신하여 상기 드론(10)의 현재위치 또는 택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와 무선 통신하여 상기 드론(10)의 현재위치 또는 택배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500)는 상기 드론(10) 또는 사용자 단말기(2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적외선 통신, RFID, NFC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500)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드론(10)과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10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1000)는 센서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600)는 상기 보관부(100)에 적재된 물품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610) 및 상기 보관부(100)에 적재된 물품의 적재 높이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62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무게감지센서(610)는 상기 보관부(100)의 바닥 하단면에 매립 설치되어, 상기 보관부(100)에 택배 물품이 수용되면 자동으로 택배 물품의 무게를 감지한다. 상기 무게감지센서(610)는 택배 물품의 무게를 감지하여 택배 물품의 배송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무게감지센서(610)에는 상기 제어부(400)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에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전기적인 도구가 구비될 수 있다.
무게감지센서(610)는 보관부(100) 내 택배 물품이 수용 가능한 무게 이상으로 적재되어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해당 신호를 제어부(400) 또는 사용자 단말기(20)로 보낼 수 있다.
위치감지센서(620)는 상기 보관부(100)에 적재된 물품의 적재높이를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위치감지센서(620)는 보관부(100)의 내부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보관부(100)에 택배 물품이 수용되면 자동으로 택배 물품의 적재 높이를 측정한다. 상기 위치감지센서(620)에는 상기 제어부(400)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에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전기적인 도구가 구비될 수 있다.
위치감지센서(620)는 상기 보관부(100)의 측면의 일정 높이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보관부(100)에 수용된 택배 물품의 적재높이가 기 설정된 일정 높이 이상인지를 감지하여 해당 신호를 제어부(400) 또는 사용자 단말기(20)로 보낼 수 있다.
위치감지센서(620)는 초음파, 적외선, 레이저 또는 그 외 위치 감지가 가능한 센서들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1000)는 전원 공급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700)는 제어부(40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10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700)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원 공급부(700)는 태양광 패널 및 태양광 패널로부터 생성된 전력을 저장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태양광 패널은 상기 덮개부(20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태양광 패널은 상기 덮개부(200)의 제1 덮개(21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태양광 패널이 설치된 제1 덮개(210)는 태양 일사 각도에 맞추어 그 덮개의 각도가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1000)는 특정 시기에만 전력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그 외 시간 동안에는 대기 전력만을 소모하게 된다. 따라서, 태양광 패널을 전원 공급부(700)로 이용함으로써 전기를 소요하는 각 구성요소들을 보다 경제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원 공급부(700)는 태양광 패널과 배터리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1000)는 하부 지지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지지부(800)는 상기 보관부(100)의 하부에서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체로서, 일측이 건물 벽체 또는 난간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지지부(800)는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지지봉이 연결된 망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보관부(100)의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무엇이든 적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수동 언로드 시 물품 보관장치의 작동을 나타내고, 도 7 및 도 8은 자동 언로드 시 물품 보관장치의 작동을 나타낸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수동 언로드 시,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1000)는 회전 구동부(300)에 의해 대략 90도 정도 회전될 수 있고, 수취인은 덮개부(200)를 개방하여 보관부(100) 내 택배 물품을 수령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언로드 시,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1000)는 회전 구동부(300)에 의해 대략 180도 정도 회전될 수 있고, 덮개부(200)가 자동 개방되어 보관부(100) 내 택배 물품을 건물 내부로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덮개(210)와 제2 덮개(220)가 먼저 개방된 다음, 상기 제3 덮개(230)와 제4 덮개(240)는 좌우 양측에서 집게 방식으로 택배 물품을 잡아주면서 순차적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택배 물품은 보관부(100)의 수납공간(110)으로부터 난간 내측 실내바닥으로 충격 없이 안전하게 안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
100 보관부
110 수납공간
120 외곽 테두리부
200 덮개부
210 제1 덮개
220 제2 덮개
230 제3 덮개
240 제4 덮개
300 회전 구동부
400 제어부
500 통신부
600 센서부
610 무게감지센서
620 위치감지센서
700 전원 공급부
800 하부 지지부
10 드론
20 사용자 단말기

Claims (7)

  1. 건물의 난간 외측에 배치되며, 내부에 드론에 의해 배송된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보관부;
    상기 보관부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덮개부;
    상기 보관부에 결합되고, 상기 난간에 장착되되, 상기 수납공간에 보관된 물품을 건물 내측으로 언로드(unload) 하기 위해 상기 보관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 및
    상기 회전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 또는 덮개부에 구비되어, 드론 또는 사용자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에 적재된 물품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 및 상기 보관부에 적재된 물품의 적재 높이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난간 외측 방향으로 개폐되는 제1 덮개, 난간 내측 방향으로 개폐되는 제2 덮개, 난간에 평행한 일측 방향으로 개폐되는 제3 덮개 및 난간에 평행한 타측 방향으로 개폐되는 제4 덮개를 포함하고,
    열림 시 제1 덮개, 제2 덮개, 제3 덮개 및 제4 덮개 순서 또는 제1 덮개, 제2 덮개, 제4 덮개 및 제3 덮개 순서로 작동하고, 닫힘 시 그 역순으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태양광 패널 및 상기 태양광 패널로부터 생성된 전력을 저장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부를 구비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드론과의 통신이 연결되면, 상기 드론으로부터 택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덮개부를 개방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보관부 내 물품의 무게 또는 물품의 적재 높이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보관부 내 수용 기준 초과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용 기준을 초과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회전 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보관부 내 물품을 건물 내측으로 언로드(unload)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
KR1020200113568A 2020-09-07 2020-09-07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 KR102426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568A KR102426848B1 (ko) 2020-09-07 2020-09-07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568A KR102426848B1 (ko) 2020-09-07 2020-09-07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149A true KR20220032149A (ko) 2022-03-15
KR102426848B1 KR102426848B1 (ko) 2022-08-01

Family

ID=80816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568A KR102426848B1 (ko) 2020-09-07 2020-09-07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8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65300B1 (ja) * 2022-12-12 2023-04-26 Tompla株式会社 輸送用ポート
KR20230158304A (ko) 2022-05-11 2023-11-20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 택배용 배송 물품 보관함
KR20240039437A (ko) 2022-09-19 2024-03-26 주식회사 보온 공동주택의 택배물품 이송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259B1 (ko) * 2017-08-14 2019-04-01 노형준 드론 물품 수취함
US20190367184A1 (en) * 2015-07-23 2019-12-05 Simon TREMBLAY Multifunctional motorized box and landing pad for automatic drone package delivery
KR20200008411A (ko) 2018-07-16 2020-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인택배 보관함
KR102080226B1 (ko) * 2018-11-21 2020-02-21 이해곤 드론 택배용 스마트 우편함
KR20200088112A (ko) * 2019-01-14 2020-07-22 김관두 승강 기능을 구비한 드론 택배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367184A1 (en) * 2015-07-23 2019-12-05 Simon TREMBLAY Multifunctional motorized box and landing pad for automatic drone package delivery
KR101964259B1 (ko) * 2017-08-14 2019-04-01 노형준 드론 물품 수취함
KR20200008411A (ko) 2018-07-16 2020-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인택배 보관함
KR102080226B1 (ko) * 2018-11-21 2020-02-21 이해곤 드론 택배용 스마트 우편함
KR20200088112A (ko) * 2019-01-14 2020-07-22 김관두 승강 기능을 구비한 드론 택배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8304A (ko) 2022-05-11 2023-11-20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 택배용 배송 물품 보관함
KR20240039437A (ko) 2022-09-19 2024-03-26 주식회사 보온 공동주택의 택배물품 이송장치
JP7265300B1 (ja) * 2022-12-12 2023-04-26 Tompla株式会社 輸送用ポ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6848B1 (ko) 2022-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6848B1 (ko)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
KR20200088112A (ko) 승강 기능을 구비한 드론 택배함
KR102320501B1 (ko) 드론을 이용한 물품 배송을 위한 무인 물품 보관함
US11544663B2 (en) Package receiving station
US10457421B2 (en) Drone docking station and delivery system
CA2564393C (en) Container monitoring system
US10501205B1 (en) Drone delivery interface
US20160101874A1 (en) Drone receiving systems and methods
KR102080226B1 (ko) 드론 택배용 스마트 우편함
US8049619B2 (en) Monitoring system and device
CA2744950A1 (en) Alternative power operation of loading docks and loading dock equipment
US20200324662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safeguarding and maintaining a mobile robot
WO2021117296A1 (ja) 屋根構造
KR20220095434A (ko) 드론용 택배함
CN212220432U (zh) 一种自动物流装置
US10543936B2 (en) Window unit for UAV delivery
US11762393B2 (en) Shipping system and control system for secure package delivery
JP7382914B2 (ja) 建物
CN210853916U (zh) 一种楼宇的智能快件派送系统
CN115092583A (zh) 一种小区快递货品自动配送系统
KR20150055170A (ko) 베란다를 이용한 공동주택 택배 시스템
KR102624415B1 (ko) 무인 배송 시스템
CN217576706U (zh) 小区快递货品自动配送系统
US20240117666A1 (en) Autonomous vehicle and vending system
CN112012614A (zh) 可用于物流无人机起降的推拉窗、控制方法、系统、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