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259B1 - 드론 물품 수취함 - Google Patents

드론 물품 수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259B1
KR101964259B1 KR1020170102961A KR20170102961A KR101964259B1 KR 101964259 B1 KR101964259 B1 KR 101964259B1 KR 1020170102961 A KR1020170102961 A KR 1020170102961A KR 20170102961 A KR20170102961 A KR 20170102961A KR 101964259 B1 KR101964259 B1 KR 101964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article
support
unit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2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8247A (ko
Inventor
노형준
Original Assignee
노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형준 filed Critical 노형준
Priority to KR1020170102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259B1/ko
Publication of KR20190018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30Accessories, e.g. signalling devices, lamps, means for leaving me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64C2201/12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6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transporting passengers; for transporting goods other than weapons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고층 구조물에 설치되어 드론이 배송하는 물품을 안정적으로 수취하고,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한 드론 물품 수취함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론 물품 수취함은 난간에 결합되는 거치부, 상기 난간의 상부를 향해 복수의 층을 형성하며 서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지지유닛들을 포함하고, 양측은 상기 거치부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부,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 상에 결합되는 수취부 및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들은 배송할 물품을 이송하는 드론이 접근하면 상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난간의 외부를 향해 서로 다른 속도로 이동하여 각각의 일단 및 타단들이 서로 경사진 계단 형태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드론 물품 수취함{DRONE DELIVERY MAILBOX}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물품 수취함에 관한 것으로, 드론이 배송하는 물품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취할 수 있는 드론 물품 수취함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에는 드론과 통신기술 및 의 기술 수준이 높아지고 있어, 세계적으로 드론을 활용하여 물품을 배송하는 드론 배송 시스템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이에 대한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파트가 많은 한국의 특성상 드론이 서로 다른 층별의 아파트에 물품을 배달하기 위해서는 베란다 난간을 통해 물품을 배송해야 하지만, 비행 중 난간에 충돌할 수 있어 드론이 배송하는 물품을 수취하기 위한 전용 수취함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7210호는 드론 이착륙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50212호는 드론 배송품 무인 수취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드론 무인 수취 장치들은 난간에 고정된 상태로 외부에 노출되거나 드론이 난간에 인접하도록 접근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고층 구조물에 설치되어 드론이 배송하는 물품을 안정적으로 수취하고,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한 드론 물품 수취함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드론 물품 수취함은 난간에 결합되는 거치부, 상기 난간의 상부를 향해 복수의 층을 형성하며 서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지지유닛들을 포함하고, 양측은 상기 거치부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부,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 상에 결합되는 수취부 및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들은 배송할 물품을 이송하는 드론이 접근하면 상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난간의 외부를 향해 서로 다른 속도로 이동하여 각각의 일단 및 타단들이 서로 경사진 계단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난간 안쪽에 위치한 일단 양측이 상기 거치부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단을 축으로 타단이 상부로 회전한 후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난간의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일단은 상기 거치부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구동부가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난간 외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일단 및 타단에 위치한 기어들을 축으로 회전하고, 상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 체인기어가 형성되는 제1 지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체인기어의 상부 체인과 결합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체인기어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프레임의 양끝단에 위치한 기어들을 축으로 회전하고, 하부 체인은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 체인기어가 형성되는 제2 지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체인기어의 상부 체인과 결합되며, 상기 수취부와 결합되는 제3 프레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각각이 상기 난간의 안쪽을 향해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지지유닛의 양측에 각각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및 제2 거치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거치유닛들과 상기 난간의 안쪽 또는 외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론 물품 수취함은 고층 구조물에 설치되어 물품을 배송하는 드론이 고층 구조물에 인접하면 자동으로 난간의 외부로 연장되어 물품의 안정적인 수취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드론 물품 수취함은 물품의 배송예정이 없는 경우에는 난간 안쪽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여 난간 안쪽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드론 물품 수취함은 삼각형 형태의 거치부를 통해 안정적으로 난간에 결합되고, 측면의 커버들이 상부를 향해 확장되도록 경사면을 형성하여 배송되는 물품의 안정적인 착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물품 수취함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드론 물품 수취함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드론 물품 수취함의 배면도.
도 4는 도 1의 드론 물품 수취함의 구동을 나타내는 측면도들.
도 5는 도 1의 드론 물품 수취함의 다른 상태의 구동의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 물품 수취함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론 물품 수취함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물품 수취함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론 물품 수취함(100)은 거치부(200), 지지부(400), 구동부(600) 및 수취부(700)를 포함한다.
드론 물품 수취함(100)은 아파트를 포함하는 고층 구조물의 난간(12)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향후 적용될 드론 배송 시스템에 대응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배송 물품(14)을 수취할 수 있다.
거치부(200)는 난간(12)의 상단에 결합되고, 드론 물품 수취함(1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난간(12)의 안쪽에 삼각 지지대 형태로 형성되어 드론 물품 수취함(100)에 착지하는 물품(14)의 중량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지지부(400)는 제1 지지유닛(420), 제2 지지유닛(440) 및 제3 지지유닛(460)을 포함한다.
지지부(400)는 거치부(200)의 상부를 향해 복수의 층을 형성하고 서로 슬라이딩 결합하는 제1 내지 제3 지지유닛(420, 440, 460)들로 형성되며, 설치 환경에 따라 상기 지지유닛들의 개수는 조정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지지유닛(420, 440, 460)들은 배송할 물품(14)을 이송하는 드론(10)이 접근하면 상호간 통신을 통해 구동부(600)의 동력을 전달받아 난간(12)의 외부를 향해 각각이 서로 다른 속도로 이동하여 각각의 난간(12) 안쪽 방향인 후방에 위치한 일단 및 난간(12) 외부 방향인 전방에 위치한 타단들이 서로 경사진 계단 형태로 형성되면서 난간(12)의 외부를 향해 연장된다.
지지부(400)는 후방에 위치한 일단 양측이 난간(1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거치부(200)의 일축을 기준으로 거치부(200)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지지부(400)의 일단을 축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타단이 상부로 회전하여 후방에 하부에 위치한 바닥과 지지부(400)가 수직을 이루는 상태에서 지지부(400)가 상기 바닥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슬라이딩 이동하면 지지부(400)는 난간(12) 안쪽에 배치되어 난간(12) 안쪽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구동부(600)는 지지부(400)의 일측에 결합되어 구동을 통해 제1 지지유닛(420)에 동력을 전달하고, 제1 지지유닛(420)은 설치된 체인기어의 구동을 통해 제2 지지유닛(440)을 전방을 향해 이동시키며, 제2 지지유닛(440) 역시 자체 체인기어를 통해 제3 지지유닛(460)을 전방을 향해 이동시킨다.
수취부(700)는 내부공간의 상부가 개방되고, 측면이 분리 또는 접철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측면의 형태는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에서 착지하는 물품(14)의 안정적인 수취가 가능하다.
따라서, 드론 물품 수취함(100)은 드론(10)과 상호 통신을 통해 드론(10)이 난간(12)을 향해 접근하면, 구동부(600)를 구동시켜 제1 내지 제3 지지유닛(420, 440, 460)들이 난간(12)의 외부를 향해 연장시키고, 드론(10)은 난간(12)과 안전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물품(14)을 수취부(700)에 착지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드론 물품 수취함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드론 물품 수취함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2 및 3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거치유닛(220)은 제1 받침대(222), 제1 결합유닛(224), 제1 지지대(226) 및 제1 회전축(228)을 포함하고, 제2 거치유닛(240)은 제2 받침대(242), 제2 결합유닛(244), 제2 지지대(246) 및 제2 회전축(248)을 포함한다.
제1 받침대(222) 및 제2 받침대(242)들 각각은 지지부(400)를 사이에 두고 난간(12)의 일측 및 타측 각각의 상단에 일단이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난간(12)의 안쪽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1 및 제2 결합유닛(224, 244)들 각각은 제1 및 제2 받침대(222, 242)들 각각의 하부에 위치하는 난간(12) 하부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및 제2 지지대(226, 246)들 각각은 제1 및 제2 결합유닛(224, 244)들 각각에서 난간(12) 안쪽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제1 및 제2 받침대(222, 242)들 각각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 및 제2 회전축(228, 248)들 각각의 일단은 제1 및 제2 받침대(222, 242)들 각각의 일단과 결합되고, 타단은 지지부(400)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제1 지지유닛(420)의 양측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한편, 제2 회전축(248)은 구동부(600)의 일부를 관통하여 제1 지지유닛(42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구동부(600)는 지지부(400)와 결합된 상태로 제1 및 제2 회전축(228, 248)들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유닛(420)의 양측면은 제1 및 제2 회전축(228, 248)들 각각의 타단과 난간(12)의 안쪽 또는 외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 지지유닛(420)은 제1 프레임(422) 및 제1 체인기어(424)를 포함한다.
제1 프레임(422)은 후방에 일단이 배치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일단은 거치부(200)의 제1 및 제2 회전축(228, 248)들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 프레임(422)의 중앙에는 제1 체인기어(424)가 배치되는 공간이 제1 프레임(4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제1 체인기어(424)의 양끝단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 체인기어(424)는 제1 프레임(422)의 중앙에 배치되고, 난간(12) 안쪽에 위치하고 제1 체인기어(424)의 일단에 위치한 기어는 구동부(600)와 연결되어 구동부(600)의 동력을 통해 회전한다.
제2 지지유닛(440)은 제2 프레임(442) 및 제2 체인기어(444)를 포함한다.
제2 프레임(442)은 후방에 일단이 배치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일단 하부는 제1 체인기어(424)의 상단 체인과 결합되어, 구동부(600)의 구동으로 제1 체인기어(424)의 체인이 정회전하면, 제2 프레임(442)은 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한다.
제2 체인기어(444)는 제1 체인기어(424)와 동일한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일단 및 타단 각각의 기어들이 제2 프레임(442)의 일단 및 타단 각각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제2 체인기어(444)의 체인은 제2 체인기어(444)의 일단 및 타단 각각에 배치되는 기어들을 둘러싸고, 제2 체인기어(444)의 일단 하부에 위치한 체인의 일부는 제1 프레임(422)의 상부와 결합되어, 제2 프레임(442)이 전방을 향해 이동하면, 제2 체인기어(444)의 상부에 위치한 체인은 전방을 향해 이동한다.
따라서, 구동부(600)의 동력을 전달받아 제1 체인기어(424)의 체인이 정회전하면, 제2 지지유닛(440)은 전방을 향해 이동하고, 제2 지지유닛(440)에 형성되는 제2 체인기어(444)의 상단의 체인은 전방을 향해 이동하는 정회전 구동을 한다.
제3 지지유닛(460)은 제3 프레임(462)을 포함한다.
제3 프레임(462)은 제2 지지유닛(440)의 상부에 배치되고, 일단은 난간(12)의 안쪽에서 제2 프레임(442)의 일단 상부에 위치하며, 타단은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제2 프레임(442)의 타단 상부에 위치한다.
제3 프레임(462)의 일단은 고정유닛을 통해 제2 체인기어(444)의 상단 체인과 구속 결합되고, 제2 체인기어(444)가 정회전을 하는 경우, 제3 프레임(462)은 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한다.
따라서, 구동부(600)의 동력을 통해 제1 체인기어(424)가 정회전하면, 제2 지지유닛(440)은 전방을 향해 이동하고, 제3 지지유닛(460)은 제2 지지유닛(440)과 결합된 상태에서 제2 체인기어(444)의 이동으로 전방을 향해 이동하므로, 제2 지지유닛(44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속도로 이동한다.
반대로 제2 및 제2 지지유닛(440, 460)들이 전방을 향해 이동한 상태에서, 구동부(600)의 동력을 통해 제1 체인기어(424)가 역회전하면, 제2 지지유닛(440)의 일단은 후방을 향해 이동하고, 제3 지지유닛(460)은 제2 지지유닛(440)의 이동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후방을 향해 이동한다.
구동부(600)는 제1 모터(620), 제2 모터(640), 제3 체인기어(660) 및 가이드(680)를 포함한다.
제1 모터(620)는 제1 프레임(422)의 일단 일측에 배치되고 구동축이 제1 체인기어(424)의 일단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제3 체인기어(660)의 일단에 위치한 기어와 구속 결합된다.
제2 모터(640)는 제1 모터(620)와 소정의 거리를 사이에 두고 난간(12)의 상단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중앙의 구동축은 제3 체인기어(660)의 타단에 위치한 기어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제1 체인기어(424)의 타단에 위치한 기어와 구속 결합된다.
제3 체인기어(660)의 일단에 위치한 기어는 제1 프레임(422)을 사이에 두고 제1 체인기어(424)의 일단과 구속 결합되며, 제1 및 제2 모터(620, 640)들이 정회전하면, 제3 체인기어(660)는 제1 및 제2 모터(620, 640)들 각각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정회전한다.
제1 및 제2 모터(620, 640)들 각각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3 체인기어(660)의 동력의 크기는 제1 모터(620)만 구동시킬 경우의 동력보다 상대적으로 높다.
제1 체인기어(424)의 일단에 위치한 기어는 제3 체인기어(660)의 동력을 전달받아 정회전하고, 제2 및 제3 지지유닛(440, 460)들은 난간(12)의 외부를 향해 서로 다른 속도로 이동한다.
가이드(680)의 일단은 후방에서 제1 및 제2 모터(620, 640)들과 제3 체인기어(660) 사이에 형성되고, 타단은 난간(12)을 지나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가이드(680)의 측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단에서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가이드(680)의 양측 공간을 연결하는 홈이 형성된다.
제2 회전축(248)의 타단은 가이드(680)의 홈을 관통하여 제1 프레임(422)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지지유닛(420)이 제1 회전축(228) 및 제2 회전축(248)의 사이에서 후방이나 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는 구동을 하는 경우, 가이드(680)는 제1 지지유닛(42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한다.
수취부(700)는 바닥커버(720) 및 측면커버(740)를 포함한다.
바닥커버(720)는 제3 프레임(462)의 상부에 결합되고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드론(10)을 통해 배송되는 물품(14)이 착지하는 경우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탄성이 있는 고분자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측면커버(740)는 바닥커버(720)의 전방, 양측면 및 배면 상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일단은 바닥커버(720)의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확장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드론 물품 수취함(100)은 드론(10)이 비행 중 물품(14)을 착지시킬 수 있는 공간이 증가하므로, 통신 또는 비행 오류가 발생하고 착지지점의 미세한 오차가 발생하여 측면커버(730)를 향해 물품(14)이 착지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물품(14)을 수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도 1의 드론 물품 수취함의 구동을 나타내는 측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1의 드론 물품 수취함의 다른 상태의 구동의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4 및 5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론 물품 수취함(100)은 드론(10)이 난간(12)에 인접한 위치까지 도달하면, 제1 및 제2 모터(620, 640)들이 구동하고, 제1 체인기어(424)은 정회전을 하여 상단 체인이 전방을 향해 이동한다.
제2 지지유닛(440)은 제1 체인기어(424)의 체인과 결합된 상태에서 전방을 향해 이동하고, 제2 지지유닛(440)의 제2 체인기어(444)는 제1 지지유닛(420)과 결합된 상태로 정회전을 하여 상단 체인이 전방을 향해 이동한다.
제3 지지유닛(460)은 제2 체인기어(444)의 상단 체인과 결합된 상태에서 제2 체인기어(444)의 정회전으로 전방을 향해 이동하고, 제3 지지유닛(460)의 이동속도는 제2 지지유닛(440)의 이동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높다.
반대로, 제1 및 제2 모터(620, 640)들을 통해 제1 체인기어(424)가 역회전하면, 제2 지지유닛(440)은 후방을 향해 이동하고, 제2 체인기어(444)는 역회전을 하며 제3 지지유닛(460)을 원위치로 이동시킨다.
제1 내지 제3 지지유닛(420, 440, 460)들 각각의 일단 및 타단들이 서로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지지부(400)가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면 지지부(400)의 후방이 제1 및 제2 회전축(228, 248)들을 축으로 하부를 향해 이동하고, 지지부(400)의 저면은 난간(12)의 안쪽면과 평행을 이루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 회전축(228, 248)들 각각의 위치는 난간(12)의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후방을 향해 배치되어 지지부(400)가 제1 및 제2 회전축(228, 248)들 각각을 축으로 회전하는 경우 지지부(400)의 저면이 난간(12)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드론 물품 수취함(100)은 드론(10)이 난간(12)에 접근하여 물품(14)을 배송하는 경우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자동으로 물품(14)을 안정적으로 수취하고, 배송되어 도착 예정인 물품(14)이 없는 경우 난간(12)의 후방에 밀착 수납되어 난간(12) 후방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 물품 수취함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론 물품 수취함(120)은 거치부(25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5들의 드론 물품 수취함(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론 물품 수취함(120)은 거치부(250)를 포함한다.
드론 물품 수취함(120)은 난간(12)의 안쪽 바닥에 설치되고, 난간(12)의 기둥들 일부를 탈착하여 난간(12)의 안쪽과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공간을 형성한 후에 지지부(400) 및 수취부(700)가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드론(10)이 배송하는 물품(14)을 수취할 수 있다.
거치부(250)는 난간(12) 안쪽의 베란다 바닥에 밀착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지지부(400)의 하단 양측에 결합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부(400) 및 수취부(700)를 지지한다.
드론(10)의 배송예정이 없거나 드론(10)의 접근이 없는 경우, 지지부(400) 및 수취부(700) 각각은 난간(12)의 안쪽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여 난간(12)의 안쪽에 배치된다.
드론(10)이 배송할 물품(14)과 함께 난간(12)으로 접근하면, 지지부(400)의 일부는 구동부(600)의 구동에 의해 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고, 수취부(700)는 지지부(400)의 이동으로 난간(12)을 지나 전방으로 이동한다.
수취부(700)의 상단에 물품(14)이 착지하면, 수취부(700)는 지지부(400)의 슬라이딩 이동으로 후방을 향해 이동하고, 수취부(700)는 난간(12)의 안쪽에 배치되어 사용자는 물품(14)을 편리하게 배송받을 수 있다.
한편, 드론 물품 수취함(120)의 전방에 형성되는 난간(12)의 기둥들 사이의 공간은 드론(10)이 배송을 위해 접근하는 경우 난간(1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개방하는 도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400) 및 수취부(700)가 물품(14)의 수취를 위해 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한 경우, 거치부(250)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해 난간(12)에 와이어가 권취된 와이어릴의 와이어가 전방에 슬라이딩 이동하는 지지부(400)의 일부 및 수취부(700)와 결합하여 지지부(400) 및 수취부(700)를 당기며 지지부(400) 및 수취부(7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드론 물품 수취함 200, 250: 거치부
400: 지지부 600: 구동부
700: 수취부

Claims (7)

  1. 난간의 안쪽에 서로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제1 및 제2 거치유닛들을 포함하는 거치부;
    상기 제1 및 제2 거치유닛들의 사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 거치유닛들과 제1 및 제2 회전축들 각각을 통해 회전 및 전후방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지지유닛, 상기 제1 지지유닛의 상부에 차례대로 복수의 층을 형성하며 서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 및 제3 지지유닛들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에 플레이트 형태로 결합되는 바닥커버 및 일단은 상기 바닥커버의 전방, 양측면 및 배면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 외측을 향해 확장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측면커버들을 포함하는 수취부; 및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지지유닛들은 배송할 물품을 이송하는 드론이 접근하면 상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난간의 외부를 향해 서로 다른 속도로 이동하여 각각의 일단 및 타단들이 서로 경사진 계단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물품을 수취하며,
    상기 물품의 수취 후 상기 제1 내지 제3 지지유닛들 각각은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여 각각의 일단 및 타단들이 서로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지지유닛들이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을 축으로 후방이 하부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난간의 안쪽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물품 수취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102961A 2017-08-14 2017-08-14 드론 물품 수취함 KR101964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961A KR101964259B1 (ko) 2017-08-14 2017-08-14 드론 물품 수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961A KR101964259B1 (ko) 2017-08-14 2017-08-14 드론 물품 수취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247A KR20190018247A (ko) 2019-02-22
KR101964259B1 true KR101964259B1 (ko) 2019-04-01

Family

ID=65584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961A KR101964259B1 (ko) 2017-08-14 2017-08-14 드론 물품 수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2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2149A (ko) * 2020-09-07 2022-03-15 박상현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23762B (zh) * 2019-03-28 2020-07-28 大连民族大学 一种可缓冲的楼顶空投货物的接收方法
WO2021076776A1 (en) * 2019-10-15 2021-04-22 Axon Enterprise, Inc. A drone pod for receiving, storing, and presenting a drone
CN114809727A (zh) * 2022-04-06 2022-07-29 武汉永驰新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可起降移动飞行器的高层建筑
JP7265300B1 (ja) * 2022-12-12 2023-04-26 Tompla株式会社 輸送用ポー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19367A (zh) * 2015-07-08 2015-11-04 何春旺 飞行器用停靠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646208B1 (ko) 2016-01-08 2016-08-23 황순범 드론용 플렛폼
WO2017075907A1 (en) * 2015-11-03 2017-05-11 Deka Technology Co., Limited An extendable and retractable parcel receiving apparatus for delivery dron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19367A (zh) * 2015-07-08 2015-11-04 何春旺 飞行器用停靠装置及其控制方法
WO2017075907A1 (en) * 2015-11-03 2017-05-11 Deka Technology Co., Limited An extendable and retractable parcel receiving apparatus for delivery drones.
KR101646208B1 (ko) 2016-01-08 2016-08-23 황순범 드론용 플렛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2149A (ko) * 2020-09-07 2022-03-15 박상현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
KR102426848B1 (ko) * 2020-09-07 2022-08-01 박상현 드론 택배용 물품보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247A (ko) 2019-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4259B1 (ko) 드론 물품 수취함
CN108765724A (zh) 用于货柜的接货机构及包含其的货柜
US8931834B2 (en) Armrest assembly with deployable bed extension
KR101995338B1 (ko) 역추진 균형 기능을 갖는 드론
CN109064644A (zh) 用于货柜的接货机构及包含其的货柜
KR102019634B1 (ko) 유리닦이와 물류배송을 겸용한 드론
US10696316B1 (en) Stair-climbing stroller
CN105338862A (zh) 餐厅系统和用于运行餐厅系统的方法
CN105931387A (zh) 自提机
CN111661668A (zh) 无人配送系统
CN109850456A (zh) 楼宇环境新型文件配送系统
KR102089441B1 (ko) 드론의 도킹구조
US11148597B2 (en) Rail vehicle, method for producing a rail vehicle, and use of a scissor mechanism in a boarding arrangement
CN106960514A (zh) 自助式鞋子试穿售卖机
CN214084821U (zh) 一种多仓无人机机场
CN110775278B (zh) 一种用于末端空运网络的小型物流无人机
CN208367795U (zh) 用于货柜的接货机构及包含其的货柜
CN105913565B (zh) 一种自动售货机的取货装置
CN101707923A (zh) 特别用于航空器货舱中行李的物品移动装置
CN215554252U (zh) 一种微型无人机用停机装置
CN208367797U (zh) 用于货柜的接货机构及包含其的货柜
CN204096644U (zh) 发盒机
WO2007125188A1 (fr) Dispositif de propulsion et de securite ascenseur
CN203127576U (zh) 自动存取设备
US3396820A (en) Food conveying apparatus for aircra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