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8027A - 혈류량개선및세포증식활성효능을갖는조성물 - Google Patents

혈류량개선및세포증식활성효능을갖는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8027A
KR20200088027A KR1020190004508A KR20190004508A KR20200088027A KR 20200088027 A KR20200088027 A KR 20200088027A KR 1020190004508 A KR1020190004508 A KR 1020190004508A KR 20190004508 A KR20190004508 A KR 20190004508A KR 20200088027 A KR20200088027 A KR 20200088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flow
cell proliferation
skin
cosmetic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우
Original Assignee
스타링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링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타링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4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8027A/ko
Publication of KR20200088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0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혈류량 개선 및 세포 증식활성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곽향, 복령,행인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혈류량 개선 및 세포 증식활성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의 곽향, 복령, 행인추출물은 천연 생약 물질로서 피부에 자극이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도포시 모세 혈관을 확장시켜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피부 혈류량 개선 효과 및 세포 증식 활성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혈류량개선및세포증식활성효능을갖는조성물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blood flow and cell proliferation activity}
본 발명은 천연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곽향, 복령 및 행인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에 자극이 없이 안전할 뿐만 아니라 피부 도포시 모세혈관이 확장되어 혈액순환이 원활해지는 피부 혈류량 개선 효과 및 세포 증식 활성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외관상 피부를 아름답게 만들어 주어 미를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미백, 주름개선, 피부보호 등 다양한 효능을 가진 원료들이 스크리닝 되어 화장품 제조 시에 첨가된다. 그 중에서도 피부 혈류량 개선의 효능은 피부의 원활한 혈류량 개선을 통해 칙칙하고 탄력 없는 피부를 싱싱하고 맑고 투명하도록 만들어 주어 외관상 돋보이는 건강한 피부를 만들어 준다.
그러나, 혈류량 개선 효능을 가진 물질은 극히 제한적이거나 물질의 종류도 많이 알려져 있지 않으며, 현재 사용되는 소수의 물질도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피부는 노화됨에 따라 각질화와 표피세포의 융합속도가 점차 느려지게 되며 표피세포층은 얇아지는 반면 각질층은 두꺼워지며, 진피층과의 경계선도 완만하게 된다. 진피에서는 섬유아세포가 노화되어 섬유질과 기질의 생성능력이 감소하게 되고, 피부세포는 나이가 들수록 세포내에 과산화물 수치가 급격히 증가하며, 각종 오염물질과 스트레스 등에 영향을 쉽게받게 된다.
또한, 피부 노화에 의해 세포 및 세포막의 구성성분은 과산화물질로 변하고 단백질 손상이 일어나 세포는 그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없게 되어 세포의 대사활성이 저하되고, 이러한 기능적, 구조적 손상으로 주름이 생기게 되고 이들로 인해 피부노화는 더욱 촉진된다. 이러한 피부 노화 메커니즘에 관여되는 단계를 막아주는 것이 피부 노화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에, 피부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는 물질을 찾는 노력은 과거부터 계속해서 진행되어 왔고, 세포 활성 증식 작용을 갖는 새로운 원료를 탐색하기 위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천연물질을 사용하여 피부에 자극이 없이 안전할 뿐만 아니라 피부 도포시 피부 혈류량을 개선시키고, 세포 증식 활성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홍옥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혈류량 개선 및 세포 활성 효능의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홍옥단은 천연 물질이기 때문에 화장료로서 피부에 대한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킨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도 1은 홍옥단의 인체에 대한 혈류량 개선 효능 측정 결과이다.
도 2는 홍옥단의 세포 증식 활성 효능 측정 결과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곽향, 복령 및 행인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혈류량 개선 및 세포 증식 활성 효능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곽향, 복령 및 행인은 각각 20 내지 70 중량부, 10 내지 60 중량부 및 10 내지 3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곽향, 복령 및 행인의 혼합 추출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3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혈류량 개선 및 세포 증식 활성 효능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부터 생약 등으로 사용되어 오던 자연의 천연물로부터 탁월한 혈류량 개선 또는 세포 증식 활성 효능을 갖는 물질을 찾기 위하여 여러 물질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곽향, 복령 및 행인을 혼합하여 추출한 혼합추출물(이하, '홍옥단'이라 함)이 피부에 있어 혈류량 개선 또는 세포 증식 활성 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곽향 (藿香학명 : Teucrium veronicoides)은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20 ∼ 30㎝, 잎은 달걀 모양 또는 넓은 달걀꼴이며 전체에 털이 있고 향기가 많다. 줄기는 모나며 마디가 있고 속은 비어있다. 7 ∼9 월에 꽃이 피는데, 꽃은 총상꽃차례이고 꽃차례는 길이 4 ∼ 8 ㎝로서 한쪽으로 치우쳐 꽃이 드문드문 달린다. 꽃턱잎은 꽃받침보다 다소 짧고 넓은 바소꼴이며, 꽃받침은 윗부분에 긴 선모(腺毛)가 드문드문 있고, 열매가 익을 때는 밑을 향하며 길이 3 ∼ 35 ㎜이다. 산과 들에 나며 정원에도 심는다. 한약에도 쓰이며, 예로부터 상한음증(傷寒陰症), 내상생랭 (內傷生冷), 위장질환, 두통, 구토 등에 사용했는데 위장병, 곽란, 소화기에 주로 나타나는 외감(外感)에도 쓰인다. 가지객곽향
(-藿香Teucrium brevispicum), 개곽향 (-藿香Teucrium japonicum)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복령 (학명 : Poria cocos)은 담자균류 민주름목 구멍장이버섯과로 옛날부터 한방 재료로 이용되어 온 약용버섯이다. 약용으로 하는 것은 이 버섯이 땅 속의 소나무뿌리에 만드는 균핵이며, 자실체는 균핵이 지표에 노출되었을 때 균핵의 표면에 드물게 형성된다. 균핵은 지름 10 ∼ 30 ㎝의 감자모양 또는 타원형덩어리로, 표면은 암갈색이고, 주름이 많은 단단한 껍질로 덮여 있다. 육질(肉質)은 반쯤 마른 치즈와 비슷하고, 빛깔이 희다. 조직을 현미경으로 보면, 균사 조각에 섞여 광선을 심하게 굴절시키는 과립체(顆粒體)를 많이 볼 수가 있다. 이것은 균사의 변형물로, 요오드화칼륨용액에서 짙은 적갈색으로 변색되는 덱스트린반응을 나타낸다. 복령의 자실체는 균핵 위에 평평하게 퍼지고, 깊이 2 ∼ 20 ㎜,
지름 05 ∼ 2 ㎜의 관공(管孔)이 표면에 배열되어 있을 뿐, 버섯모양을 나타내지 않으며, 색은 거의 흰색이다. 이뇨제, 진정제, 강장제로서 부종(浮腫), 정신불안, 동계(動悸), 소화불량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 또 최근에는 함유성분의 하나로 다당류인 파키만에 항종양성작용(抗腫瘍性作用)이 있다는 발표도 있어, 약용효과가 한층 기대되고 있다. 빛깔이 희기 때문에 백복령이라 부르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행인 (杏仁)은 살구 씨의 껍데기를 깐 알맹이로서 기침, 변비 따위의 약재로 쓴다. 씨 속에 있는 인(仁)으로 맛이 달아서 볶아서 먹기도 하고 과자를 만들기도 하는 감행(甘杏)과 맛이 쓴 것으로 행인유(杏仁油), 행인수(杏仁水)를 만들어 사용하는 고행인(苦杏仁)이 있으며 옛날에는 개고기 체한 데, 육체, 토사, 설사, 선홍열, 기침 등에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홍옥단'은 곽향 : 복령 : 행인의 혼합비율이 20 내지 70 중량부 : 10 내지 60 중량부 : 10 내지 3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중량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약재의 과다 사용에 의한 피부 부작용 및 침전 등과 같은 제품 안정성 저하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홍옥단'의 추출방법은 통상의 추출 방법에 의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용매의 종류 및 함량 등도목적에 따라 임의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예로 세정하여 건조한 곽향, 복령 및 행인을 탄소수 1 내지 4 의 저급 알콜 및 에틸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혈류량 개선 및 세포 증식 활성 효능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화장수, 에센스, 크림, 팩, 젤, 로션, 연고, 패취 또는 분무제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형에 있어서 홍옥단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홍옥단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함량 부족으로 인하여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혈류개선 또는 세포 증식 활성 효능을 기대할 수 없고,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부작용의 우려가 있으며 증가하는 함량만큼 뚜렷한 효과가 기대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예]
먼저, 곽향 400 g, 복령 300 g, 행인 200 g 을 완전 건조 한 후 한약분쇄기를 이용해 100-200 메쉬 크기로 분쇄시킨 후 분쇄물 100 g을 85 % 에탄올 1 L에 투입하고, 5 일간 냉침하여 추출하였다.
에탄올을 이용해 추출한 약재는 와트만 여과지(Whatman filter paper No 4)를 사용해 고형분을 제거 한 후 회전식 증발 농축기(rotary evaporator)를 이용해 감압 농축 한 후 '홍옥단'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인체에 대한 피부 혈류량 개선 효능 측정 본 발명의 추출예에 의해 수득된 '홍옥단'을 이용하여 인체에 대한 피부 혈류량 개선 효능 시험을 행하였다.
건강한 성인 남녀 50 명을 대상으로 피부의 혈류량 촉진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팔 부위에 '홍옥단' 사용 전, 후의 혈류량을 스웨덴 페리메드 AB (Perimed AB, Sweden)사에서 제조한 페리플럭스 시스템 5000 (PeriFlux System 5000 ) 혈류량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기기는 모세혈관을 흐르는 적혈구가 레이저 빛을 파장으로 전환시키고 전환된 파장을 회복섬유(returning fiber)가 잡아서 전기적 신호로 다시 전환시켜 이 전기적 신호를 수치로 표현하여 혈류량을 나타내 준다.
즉, 혈류량이 많을수록 수치는 높아지고 혈류량이 적을수록 수치는 낮아진다. 혈류량을 나타내는 수치는 기기자체에서 제공하는 LDPF unit로 표현된다. 피시험자는 항온 항습이 유지되는 실험실에 20 ~ 30 분 정도 적응을 시킨 후 시험부위인 전팔(forearm)부위에 시료를 도포하기 전 혈류량을 측정하였고, 시료 도포 후 10 분 정도 기다린 후 다시 혈류량을 측정하였다.

Claims (3)

  1. 피부 혈류량 개선 및 세포 증식 활성 효능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곽향 20 내지 70 중량부, 복령 10 내지 60 중량부, 행인 10 내지 3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한 생약 추출물('홍옥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혈류량 개선 및 세포 증식 활성 효능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곽향, 복령, 행인의 혼합 추출물로 구성되는 유효성분의 함량은 화장료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3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혈류량 개선 및 세포 증식 활성 효능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제형이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젤, 연고, 패취 또는 분무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혈류량 개선 및 세포 증식 활성 효능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004508A 2019-01-14 2019-01-14 혈류량개선및세포증식활성효능을갖는조성물 KR202000880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508A KR20200088027A (ko) 2019-01-14 2019-01-14 혈류량개선및세포증식활성효능을갖는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508A KR20200088027A (ko) 2019-01-14 2019-01-14 혈류량개선및세포증식활성효능을갖는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027A true KR20200088027A (ko) 2020-07-22

Family

ID=71893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508A KR20200088027A (ko) 2019-01-14 2019-01-14 혈류량개선및세포증식활성효능을갖는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80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984B1 (ko) * 2021-06-08 2021-11-12 (주)나우코스 피부 혈류 개선 효과를 위한 피부 도포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984B1 (ko) * 2021-06-08 2021-11-12 (주)나우코스 피부 혈류 개선 효과를 위한 피부 도포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525873B1 (ko) 산삼 배양근, 단너삼, 고삼 및 사삼을 포함하는 2단 발효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3645B1 (ko) 미세침 분말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00213B1 (ko) 청시닥나무, 개시닥나무 또는 시닥나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2732B1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염증 및 모공축소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101825704B1 (ko) 커피 실버스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43588B1 (ko) 목단피추출물과 자귀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화장료 조성물
KR102094846B1 (ko) 피부 개선에 효능이 있는 혼합생약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혼합생약 화장료 조성물
KR101171761B1 (ko) 피부노화 방지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9891B1 (ko)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30243B1 (ko) 글루타치온, 미세침, 아세틸헥사펩타이드, 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항노화, 항산화 효능의 화장료 조성물
KR20200088027A (ko) 혈류량개선및세포증식활성효능을갖는조성물
KR102100345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9546B1 (ko) 무궁화의 꽃, 뿌리, 캘러스 및 씨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항알러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61080A (ko) 트러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03394B1 (ko) 표고버섯을 함유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KR102119316B1 (ko) 모란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09124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969A (ko) 당류를 이용한 천연 추출물 제조 방법
KR101941691B1 (ko) 피부 개선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용 한방진액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KR20130070062A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73304B1 (ko) 혈류량 개선 및 세포 증식 활성 효능을 갖는 조성물
KR100529542B1 (ko) 화장료 유효성분물질의 분리추출방법,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KR102627688B1 (ko) 죽단화 꽃 에센셜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