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7474A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7474A
KR20200087474A KR1020190003798A KR20190003798A KR20200087474A KR 20200087474 A KR20200087474 A KR 20200087474A KR 1020190003798 A KR1020190003798 A KR 1020190003798A KR 20190003798 A KR20190003798 A KR 20190003798A KR 20200087474 A KR20200087474 A KR 20200087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stator
bus bar
insula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훈기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3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7474A/ko
Priority to JP2021540221A priority patent/JP2022517586A/ja
Priority to PCT/KR2020/000309 priority patent/WO2020145645A1/ko
Priority to CN202080008442.4A priority patent/CN113273059B/zh
Priority to US17/421,092 priority patent/US11799351B2/en
Publication of KR20200087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4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05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for large machine windings, e.g. bar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for generally annula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4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for insulating the magnetic circuit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 B62D5/04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including housing for electronic control un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9Machines characterised by wiring elements other than wires, e.g. bus ring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 내에 배치되는 로터; 상기 로터와 결합하는 샤프트;및 상기 스테이터의 상측에 배치되는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와, 코일과, 상기 코일과 상기 스테이터 사이에 배치되는 인슐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버스바 바디와, 상기 버스바 바디에 배치되는 복수의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바디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터미널의 적어도 일부는, 반경방향으로 상기 인슐레이터와 오버랩되어 배치되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Motor}
실시예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전동식 조향장치(EPS)는 차량의 선회 안정성을 보장하고 신속한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전동식 조향장치는 차속센서, 토크 앵글센서 및 토크센서 등에서 감지한 운행조건에 따라 전자제어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ECU)를 통해 모터를 구동하여 차량의 조향축의 구동을 제어한다.
모터는 로터와 스테이터를 포함한다. 로터는 샤프트와 결합한다. 로터가 회전하면 샤프트가 연동하여 회전한다. 스테이터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분할된 코일은 버스바에 의해 연결되다.
버스바는 스테이터의 상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축방향으로 버스바의 배치공간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축방향으로 모터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예는, 버스바의 배치공간을 확보하면서도, 축방향으로 크기를 줄일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 내에 배치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와 결합하는 샤프트 및 상기 스테이터의 상측에 배치되는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와, 코일과, 상기 코일과 상기 스테이터 사이에 배치되는 인슐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버스바 바디와, 상기 버스바 바디에 배치되는 복수의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바디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터미널의 적어도 일부는, 반경방향으로 상기 인슐레이터와 오버랩되어 배치되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 내에 배치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와 결합하는 샤프트 및 상기 스테이터의 상측에 배치되는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와, 코일과, 상기 코일과 상기 스테이터 사이에 배치되는 인슐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버스바 바디와, 상기 버스바 바디에 배치되는 복수의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바디와 상기 터미널의 터미널 바디는 반경방향으로 상기 인슐레이터의 외측 가이드와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스바 바디는, 환형의 베이스와, 반경방향으로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을 마주보고 배치되는 복수의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내주면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512)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슬롯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제1 슬롯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터미널은 각각 상기 제1 슬롯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는 내주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하방향따라 배치되며 상기 제1 슬롯과 교차 배치되는 제2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는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기와, 내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커버(512)와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2 돌기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인슐레이터와 상기 인슐레이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스바 바디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상면에 접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미널은 터미널 바디와 상기 터미널 바디에서 연장되어 코일과 연결되는 연결단을 포함하고, 복수의 터미널 바디는 축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며, 복수의 상기 터미널 바디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인슐레이터 상단보다 낮게 배치되며, 상기 연결단은 상기 인슐레이터 상단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커버(512)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의 내주면은 상기 인슐레이터의 외주면과 접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내주면은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면의 내경은 상기 제1 면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바의 배치공간을 확보하면서도, 축방향으로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바의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스테이터의 상측에 배치되는 버스바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버스바의 위치를 도시한 모터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2에서 도시한 버스바의 분해도,
도 5는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커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단위커버와 단위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돌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인슐레이터와 인슐레이터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돌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인슐레이터와 버스바의 측단면도,
도 10은 하우징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샤프트(100)와, 로터(200)와, 스테이터(300)와, 하우징(400)과, 버스바(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내측이라 함은 모터의 샤프트(100)를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며, 외측이라 함은 샤프트(100)에서 하우징(400)의 방향을 향하는 방향인 내측의 반대 방향을 나타낸다. 이하, 도면에서 z축은 모터의 축방향을 나타내며, y축은 모터의 반경방향을 나타낸다.
샤프트(100)는 로터(200)에 결합될 수 있다. 전류 공급을 통해 로터(200)와 스테이터(300)에 전자기적 상호 작용이 발생하면, 로터(200)가 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샤프트(100)가 회전한다. 샤프트(100)는 차량의 조향장치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로터(200)는 스테이터(300)와 전기적 상호 작용을 통해 회전한다. 로터(200)는 스테이터(3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로터(200)는 로터코어와 로터코어에 배치되는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300)는 로터(200)의 외측에 배치된다. 스테이터(300)는 스테이터 코어(310)와, 코일(320)과, 스테이터 코어(310)에 장착되는 인슐레이터(33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320)은 인슐레이터(330)에 감길 수 있다. 인슐레이터(330)는 코일(320)과 스테이터 코어(310) 사이에 배치된다. 코일(320)은 로터(200)의 마그넷과 전기적 상호 작용을 유발한다.
하우징(400) 내에 스테이터(300)가 배치된다. 스테이터(300) 내에 로터(200)가 배치된다, 또한, 로터(200)는 샤프트(100)의 외측에 배치된다.
버스바(500)는 스테이터(300)의 상측에 배치된다. 버스바(400)는 스테이터(300)에 감긴 코일(320)들을 연결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진 않았으나, 센싱마그넷이 샤프트(100)에 결합될 수 있다. 센싱마그넷은 로터(200)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기판도 배치될 수 있다. 기판에는 센싱마그넷의 자기력을 감지하는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센서는 홀 IC(Hall IC)일 수 있다.
도 2는 스테이터의 상측에 배치되는 버스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버스바의 위치를 도시한 모터의 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버스바(500)는 버스바 바디(510)와 버스바 바디(510)에 배치되는 복수의 터미널(520)을 포함한다. 터미널(520)은 코일(330)과 연결된다. 인슐레이터(330)는 바디(331)와 외측 가이드(33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331)에는 코일(330)이 권선된다.
버스바(500)의 일부는 반경방향으로 인슐레이터(330)의 일부와 오버랩 영역(O)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버스바 바디(510)의 일부와 터미널(520)의 일부가 반경방향으로, 인슐레이터(330)의 외측 가이드(332)와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버스바(500)는 인슐레이터(330)와 하우징(400)의 내주면(4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축중심(C)에서 반경방향으로, 버스바(500)는 제1 기준선(C1)과 제2 기준선(C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준선은 인슐레이터(330)의 외측 가이드(332)의 외주면의 경계를 나타내며, 제2 기준선은 하우징(400)의 내주면(410)의 경계를 나타낸다.
이는 인슐레이터(330)의 외측 공간을 버스바(500)의 배치 공간으로 활용함으로써, 모터의 축방향을 길이를 줄이고자 함이다.
도 4는 도 2에서 도시한 버스바의 분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버스바(500)는 버스바 바디(510)와 복수의 터미널(520)을 포함한다.
버스바 바디(510)는 베이스(511)와 커버(51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511)와 커버(512)는 환형 부재일 수 있다. 커버(512)는 베이스(511)의 외측에 배치된다. 커버(512)는 베이스(511)의 외주면을 마주보고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터미널(520)은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각각의 터미널(520)은 터미널 바디(521)와 터미널 바디(521)에서 연장되는 연결단(522)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단(522)은 코일(330)과 연결된다. 터미널 바디(521)는 베이스(511)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터미널(520)은 U,V,W의 상터미널 또는 중성 터미널일 수 있다. 터미널 바디(521)는 호형 부재일 수 있다. 연결단(522)의 터미널 바디(521)에서 분기되어 절곡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터미널 바디(521)는 축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며, 복수의 연결단(522)은 축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버스바(500) 구조는 터미널(520)이 밀집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버스바 바디(510)의 구조가 단순하여, 버스바(500)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511)는 환형의 바디(511a)와 바디(511a)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511b)가 배치될 수 있다. 플랜지(511b)는 베이스(511)의 하부에 배치된다. 바디(511a)의 외주면을 따라 터미널 바디(521)가 배치된다. 바디(511a)는 제1 돌기(511c)와 제2 돌기(511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511c)는 바디(511a)의 외주면에서 돌출된다.
제1 돌기(511c)는 복수 개 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돌기(511c)는 베이스(51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배치될 수 있다. 제1 돌기(511c)는 바디(511a)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돌기(511d)는 바디(511a)의 내주면(410)에 돌출된다. 제2 돌기(511d)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돌기(511d)는 베이스(511)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511)의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제1 돌기(511c)와 제2 돌기(511d)는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커버(512)는 복수 개의 단위커버(512A,512B,512C)가 조합되어 환형의 부재를 이룰 수 있다. 각각의 단위커버(512A,512B,512C)들은 베이스(511)에 순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커버(512)는 제1 슬롯(512a)과 제2 슬롯(51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롯(512a)은 커버(512)의 내주면(410)에 배치되며, 커버(512)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슬롯(512a)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슬롯(512a)은 터미널(520)의 터미널 바디(521)가 배치되는 곳이다. 커버(512)의 측면에서, 각각의 제1 슬롯(512a)마다 터미널 바디(521)가 삽입될 수 있다. 터미널(520)이 장착된 커버(512)는 베이스(511)에 결합한다.
제2 슬롯(512b)은 커버(512)의 내주면(410)에 배치되며, 커버(512)의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슬롯(512b)은 커버(512)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2 슬롯(512b)은 제1 슬롯(512a)과 교차되게 배치된다. 제2 슬롯(512b)은 터미널(520)의 연결단(522)이 배치되는 곳이다.
도 7은 단위커버와 단위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베이스(511)의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제1 돌기(511c)는 단위커버(예를 들어, 512A)와 단위커버(예를 들어,512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돌기(511c)는 베이스(511)의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단위커버(512A,512B,512C)의 위치를 정렬하고, 베이스(511)에 대한 단위커버(512A,512B,512C)의 장착공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도 8은 인슐레이터와 인슐레이터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베이스(511)의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제2 돌기(511d)는 서로 인접하는 인슐레이터(330A,330B)의 외측가이드(332A,332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돌기(511d)는 베이스(511)의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코일(330)의 위치 대비 버스바(500)의 위치를 정렬시킨다.
도 9는 인슐레이터와 버스바의 측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복수의 터미널 바디(521)는 축방향을 따라 버스바 바디(510)에 배열된다. 각각의 터미널 바디(521)는 커버(512)에 수용되어 축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버스바(500)는 버스바(500)의 반경방향을 길이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인슐레이터(330)와 하우징(400)의 내주면(410) 사이에서 버스바(500)의 배치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의 터미널 바디(521) 중 적어도 하나는 인슐레이터(330)의 외측 가이드(332)의 상단보다 낮게 배치된다. 코일(330)과 연결되는 연결단(522)의 일 영역은 외측 가이드(332)보다 높게 배치된다.
버스바 바디(510)의 하면은 스테이터 코어의 상면(311)과 접촉할 수 있다. 축방향으로 버스바(500)는 스테이터 코어(3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511)의 내주면(410)은 외측 가이드(332)의 외주면과 접촉할 수 있다. 한편, 플랜지(511b)의 상면은 커버(512)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
도 10은 하우징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하우징(400)의 내주면(410)은 제1 면(401)과 제2 면(402)을 포함한다. 제1 면(401)은 스테이터 코어(31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부분이다. 제2 면(402)은 제1 면(401)의 상측에 배치되는 부분이다. 모터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제2 면(402)은 인슐레이터(330)의 외주면과 함께 버스바(50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2 면(402)은 내경(D2)은 제1 면(401)의 내경(D1)보다 크다. 이는 버스바(500)와 하우징(400)의 내주면(410) 사이에 유격을 확보하여 버스바(500)의 조립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샤프트
200: 로터
300: 스테이터
310: 스테이터 코어
320: 코일
330: 인슐레이터
332: 외측 가이드
400: 하우징
500: 버스바
510: 버스바 바디
520: 터미널

Claims (10)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 내에 배치되는 로터;
    상기 로터와 결합하는 샤프트;및
    상기 스테이터의 상측에 배치되는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와, 코일과, 상기 코일과 상기 스테이터 사이에 배치되는 인슐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버스바 바디와, 상기 버스바 바디에 배치되는 복수의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바디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터미널의 적어도 일부는, 반경방향으로 상기 인슐레이터와 오버랩되어 배치되는 모터.
  2.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 내에 배치되는 로터;
    상기 로터와 결합하는 샤프트;및
    상기 스테이터의 상측에 배치되는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와, 코일과, 상기 코일과 상기 스테이터 사이에 배치되는 인슐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버스바 바디와, 상기 버스바 바디에 배치되는 복수의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바디와 상기 터미널의 터미널 바디는 반경방향으로 상기 인슐레이터의 외측 가이드와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모터,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바디는,
    환형의 베이스와, 반경방향으로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을 마주보고 배치되는 복수의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내주면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슬롯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제1 슬롯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터미널은 각각 상기 제1 슬롯에 배치되는 모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내주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하방향따라 배치되며 상기 제1 슬롯과 교차 배치되는 제2 슬롯을 포함하는 모터.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기와, 내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커버와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2 돌기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인슐레이터와 상기 인슐레이터 사이에 배치되는 모터.
  6.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바디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상면에 접촉하는 모터.
  7.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터미널 바디와 상기 터미널 바디에서 연장되어 코일과 연결되는 연결단을 포함하고,
    복수의 터미널 바디는 축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며,
    복수의 상기 터미널 바디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인슐레이터 상단보다 낮게 배치되며,
    상기 연결단은 상기 인슐레이터 상단보다 높게 배치되는 모터.
  8.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커버의 하면과 접촉하는 모터.
  9.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내주면은 상기 인슐레이터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모터.
  10.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주면은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면의 내경은 상기 제1 면의 내경보다 큰 모터.
KR1020190003798A 2019-01-11 2019-01-11 모터 KR20200087474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798A KR20200087474A (ko) 2019-01-11 2019-01-11 모터
JP2021540221A JP2022517586A (ja) 2019-01-11 2020-01-08 モーター
PCT/KR2020/000309 WO2020145645A1 (ko) 2019-01-11 2020-01-08 모터
CN202080008442.4A CN113273059B (zh) 2019-01-11 2020-01-08 电动机
US17/421,092 US11799351B2 (en) 2019-01-11 2020-01-08 Mo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798A KR20200087474A (ko) 2019-01-11 2019-01-11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474A true KR20200087474A (ko) 2020-07-21

Family

ID=71520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798A KR20200087474A (ko) 2019-01-11 2019-01-11 모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99351B2 (ko)
JP (1) JP2022517586A (ko)
KR (1) KR20200087474A (ko)
CN (1) CN113273059B (ko)
WO (1) WO20201456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6199A1 (ko) * 2020-10-22 2022-04-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1309A1 (ko) * 2019-10-10 2021-04-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93748B2 (ja) 2007-03-01 2012-12-12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JP4331231B2 (ja) * 2007-10-19 2009-09-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テータおよび回転電機
JP4494457B2 (ja) 2007-12-12 2010-06-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回転電機の集中配電部材
US20160380522A1 (en) * 2011-08-10 2016-12-29 Lg Innotek Co., Ltd. Stator and EPS Motor Having the Same
JP6135982B2 (ja) * 2013-01-17 2017-05-31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KR101604914B1 (ko) * 2014-08-04 2016-03-21 뉴모텍(주) 버스바 어셈블리를 갖는 모터
KR102270422B1 (ko) 2014-11-11 2021-06-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KR101674080B1 (ko) * 2014-12-04 2016-11-08 뉴모텍(주) 버스바 어셈블리를 갖는 모터
KR102388468B1 (ko) * 2015-05-28 2022-04-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102529820B1 (ko) * 2015-11-03 2023-05-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KR102512584B1 (ko) * 2015-12-15 2023-03-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인슐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102614031B1 (ko) * 2016-02-23 2023-12-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KR101871597B1 (ko) 2016-11-11 2018-06-26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디스트리뷰션 버스바 유니트
KR20210089512A (ko) * 2020-01-08 2021-07-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6199A1 (ko) * 2020-10-22 2022-04-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45645A1 (ko) 2020-07-16
US20220109347A1 (en) 2022-04-07
CN113273059B (zh) 2023-12-05
JP2022517586A (ja) 2022-03-09
US11799351B2 (en) 2023-10-24
CN113273059A (zh) 202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17117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
US10958131B2 (en) Motor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US9601958B2 (en) Stator portion and motor
CN108155762B (zh) 分解器及电机
US10938262B2 (en) Motor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US20200014273A1 (en) Stator, motor,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KR102512584B1 (ko) 인슐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US11515747B2 (en) Motor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CN112567601A (zh) 马达、电动助力转向装置、马达的制造方法、汇流条单元以及汇流条单元的制造方法
KR20200087474A (ko) 모터
US11130515B2 (en) Cover assembly, motor and electric steering device including same
US11909287B2 (en) Insulator and motor comprising same
US10508931B2 (en) Motor and resolver thereof
JP7395571B2 (ja) モータ
JP7377797B2 (ja) モーター
JP2009124927A (ja) バスバー装置及びブラシレスモータ
KR102477861B1 (ko)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 장치
KR20220007448A (ko) 모터용 버스바 유닛
KR102640810B1 (ko) 모터
KR20220008543A (ko) 모터
JP2023044972A (ja) 巻線ホルダ
KR20200026619A (ko) 모터
KR20220130969A (ko) 모터
KR20210042781A (ko) 모터
JP2023051601A (ja) 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