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7291A - Nozzle apparatus for 3d printer and 3d printer using therewith - Google Patents

Nozzle apparatus for 3d printer and 3d printer using therewi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7291A
KR20200087291A KR1020180168182A KR20180168182A KR20200087291A KR 20200087291 A KR20200087291 A KR 20200087291A KR 1020180168182 A KR1020180168182 A KR 1020180168182A KR 20180168182 A KR20180168182 A KR 20180168182A KR 20200087291 A KR20200087291 A KR 20200087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uch
printer
pressing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81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41778B1 (en
Inventor
한주석
전명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페이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페이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페이스디
Priority to KR1020180168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778B1/en
Publication of KR20200087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2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7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09Head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27Driving means
    • B29C64/232Driving means for motion along the axis orthogonal to the plane of a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27Driving means
    • B29C64/236Driving means for motion in a direction within the plane of a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07Handling of material to be used in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21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zzle device for a 3d printer and a 3d printer using the same. The nozzle device of a 3D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ouch unit having a material receiving space in which materials are accommodated,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having a nozzle portion for discharging the material at a lower side; a squeeze unit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ouch unit, presses the pouch unit, and is movable upward or downward; and a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squeeze unit and moving the squeeze unit in an up-down direc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3D printer nozzle device of which the supply of materials is smooth and a 3D printer using the same.

Description

3D 프린터의 노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D 프린터{NOZZLE APPARATUS FOR 3D PRINTER AND 3D PRINTER USING THEREWITH}Nozzle device of 3D printer and 3D printer using the same{NOZZLE APPARATUS FOR 3D PRINTER AND 3D PRINTER USING THEREWITH}

본 발명은 3D 프린터의 노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D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printer nozzle device and a 3D printer using the same.

3D 프린터는 3D 도면을 바탕으로 3차원 물체를 만들어내는 장치를 말하며, 가공의 용이성 등 여러 문제 덕분에 초창기에는 대부분 재료로 플라스틱을 사용하였지만 점차 종이, 고무, 콘크리트, 식품에 금속까지 재료의 범위가 점점 넓어지고 있어서 단순히 조형물 출력뿐만 아니라 건축, 설계 분야 및 식품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3D printer refers to a device that creates 3D objects based on 3D drawings, and plastics were mostly used as materials in the early days due to various problems such as ease of processing, but gradually the range of materials from paper, rubber, concrete, food to metals As it is getting wider, it is expanding not only to the output of sculptures, but also to the fields of architecture, design and food.

한국공개특허 10-2017-0069429호(2017.06.21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69429 (published on June 21, 2017)

본 발명은 재료의 공급이 원활한 3D프린터의 노즐장치 및 이를 이용한 3D프린터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3D printer using a nozzle device and a 3D printer that provides a smooth material supply.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른 3D 프린터의 노즐장치는, 3D 프린터의 노즐 장치에 있어서, 재료가 수용되는 재료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고, 하측에는 재료를 토출하기 위한 노즐부가 형성되는 파우치 유닛; 상기 파우치 유닛의 외면에 접촉되며, 상기 파우치 유닛을 가압하며,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 가능한 스퀴즈 유닛; 및 상기 스퀴즈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스퀴즈 유닛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In the nozzle device of a 3D printer according to an asp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nozzle device of a 3D printer, a material receiving space in which a material is accommodated is formed therein, and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discharges the material on the lower side. A pouch unit in which a nozzle unit for forming is formed; A squeeze unit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ouch unit, presses the pouch unit, and is movable upward or downward; And a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squeeze unit and moving the squeeze unit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되는 메인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부는,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고정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이격되며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수직 프레임과, 일측은 상기 제1 수직프레임의 상측과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의 상측과 연결되는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프레임의 중앙에는 상기 파우치 유닛이 고정되기 위한 파우치 고정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측에 형성되는 고정홀에 상기 고정 고리부의 고정팁이통과되어, 상기 파우치 유닛이 상기 수평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frame portion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further comprising, the main frame portion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a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first vertical frame spaced apart from the A second vertical frame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vertical frame,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vertical frame, the other side includes a horizontal fram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A pouch fixing ring for fixing the pouch unit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ouch unit, and a fixing tip of the fixing ring portion passes through a fixing hole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pouch unit, so that the pouch unit can be fixed to the horizontal frame. .

또한, 상기 파우치의 상기 노즐부는 상기 재료수용공간과 연통되며 하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며, 상기 노즐부의 토출유로는 일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재료수용공간의 단면 넓이는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상측에서 상기 파우치의 상기 하측으로 갈수록 증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zzle portion of the pouch communicates with the material receiving space and protrudes downward, and the discharge flow path of the nozzle portion is formed in a straight shape,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material receiving space is the upper side of the pouch unit. It can be increased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pouch.

또한, 상기 스퀴즈 유닛은, 상기 파우치 유닛의 일면과 접촉되는 제1 가압 유닛과, 상기 파우치 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가압 유닛과 이격되며 상기 파우치 유닛의 타면과 접촉되는 제2 가압유닛과, 일단이 상기 제1 가압 유닛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가압 브래킷과, 일단이 상기 제2 가압 유닛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가압 브래킷과, 상기 제1 가압 브래킷의 타단 및 상기 제2 가압 브래킷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1 가압 브래킷 및 상기 제2 가압 브래킷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며 선택적으로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queeze unit, a first pressing unit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pouch unit, a second pressing uni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ressing unit with the pouch unit therebetween and in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pouch unit, One end of the first pressing uni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pressing bracket, one end of the second pressing uni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pressing bracket,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pressing bracket and the second pressing I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racket and may include a rotation fixing part that provides a rotation center of the first pressure bracket and the second pressure bracket and selectively restricts rotation.

상기 제2 가압 유닛과 상기 구동 유닛이 연결되며,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스퀴즈 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구동 유닛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는 구동 프레임 유닛;을 더 포함하고, 제1 구동 유닛은 상기 제2 가압 유닛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1 구동 유닛과 이격되는 제2 구동 유닛은 상기 제2 가압 유닛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pressing unit and the driving unit are connected, and the driving unit is provided as a pai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squeeze unit therebetween, and the driving unit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Further comprising; a fixed drive frame unit, the first drive uni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pressure unit, the second drive uni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rive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ressure unit have.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따른 3D 프린터는, 작업 대상물이 안착되는 스테이지 유닛; 재료가 수용되는 재료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고, 하측에는 재료를 토출하기 위한 노즐부가 형성되는 파우치 유닛, 상기 파우치 유닛의 외면에 접촉되며, 상기 파우치 유닛을 가압하며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 가능한 스퀴즈 유닛, 및 상기 스퀴즈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스퀴즈 유닛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노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파우치는, 상기 파우치의 상기 타측에서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며 하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스테이지 유닛의 상면을 향하며, 상기 노즐 장치의 상기 스퀴즈 유닛이 상기 파우치 유닛의 외면을 가압한 상태에서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내용물을 상기 스테이지 유닛이 상면에 공급한다.3D print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ge unit on which a work object is seated; A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in which the material is accommodated is formed therein, and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 pouch unit in which a nozzle unit for discharging material is formed on the low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ouch unit, and presses the pouch unit. A nozzle device including a squeeze unit movable upward or downward, and a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squeeze unit and moving the squeeze uni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cluding, and the pouch receiv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pouch It includes a nozzle portion which communicates with the space and protrudes downward, and the nozzle portion faces the upper surface of the stage unit, and the squeeze unit of the nozzle device is moved downward while pressing the outer surface of the pouch unit to the contents. The stage unit supplies the upper surface.

또한, 상기 스테이지 유닛은 X 축 방향, Y 축 방향 및 Z 축 방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노즐 장치는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ge unit is movable in any one or more of the X-axis direction, Y-axis direction and Z-axis direction, and the nozzle device may be fix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또한, 상기 노즐 장치 및 상기 스테이지 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싱 유닛; 상기 케이싱 유닛의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포스트 유닛; 및 일단은 상기 파우치의 상기 노즐부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케이싱 유닛 및 상기 포스트 유닛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한 쌍의 파우치 고정스트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casing unit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nozzle device and the stage unit and forming an outer shape; A post unit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casing unit and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nozzle portion of the pouch, the other end of the casing unit and a pair of pouch fixing string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ost unit; may further include a.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재료의 공급이 원활한 3D프린터의 노즐장치 및 이를 이용한 3D프린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opose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nozzle device for a 3D printer having a smooth supply of material and a 3D printer using the nozzl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은 도 1의 3D 프린터의 케이스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3D 프린터의 노즐 장치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노즐 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3D 프린터에서 재료가 공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3D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se of the 3D printer of FIG. 1 is removed.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nozzle device of the 3D printer of FIG. 2.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art of the nozzle device of FIG. 3.
5 and 6 are views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material is supplied from the 3D printer of FIG. 1.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Each of the features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rtially or entire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may be possible a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and each of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t can also be implemented together in an associative relationship.

한편,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될 수 있는 잠정적인 효과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되며,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것인바, 도면에 도시된 내용은 실제 발명의 구현모습에 비해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기재한다.On the other hand, the potential effects that can be expected by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specifically mention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reated a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is embodiment is appli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more fully, and the cont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ly expressed as compared to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a configuration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Omitted or briefly described.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은 도 1의 3D 프린터의 케이스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3D 프린터의 노즐 장치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노즐 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3D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se of the 3D printer of FIG. 1 is removed. And, FIG.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nozzle device of the 3D printer of FIG. 2, and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nozzle device of FIG. 3.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1)는 식품 재료 등과 같이 점성이 있는 액체 또는 젤 타입의 재료를 토출하여, 3차원 형태의 조형물을 출력한다.1 to 4, the 3D print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harges a viscous liquid or gel type material such as food material, and outputs a three-dimensional shape.

3D 프린터(1)는, 베이스유닛(100)과, 스테이지 유닛(300)과, 노즐 장치(400)와, 케이싱 유닛(200)과, 포스트 유닛(700)을 포함한다.The 3D printer 1 includes a base unit 100, a stage unit 300, a nozzle device 400, a casing unit 200, and a post unit 700.

보다 상세히, 베이스유닛(100)은, 테이블(미도시)에 대하여 3D 프린터(1)을 지지하며, 스테이지 유닛(300)과, 노즐 장치(400)와, 케이싱 유닛(200)과, 상기 포스트 유닛(700)의 지지 위치를 제공한다. 이때, 베이스유닛(100)의 상면을 3D 프린터의 바닥면이라고 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base unit 100 supports the 3D printer 1 with respect to a table (not shown), a stage unit 300, a nozzle device 400, a casing unit 200, and the post unit Provide a support position of 700.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unit 100 may be referred to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3D printer.

스테이지 유닛(300)은, 베이스유닛(100)에 대하여 지지되며, 상면에는 작업대상물(미도시)이 안착될 수 있도록 판상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테이지 유닛(300)은 X 축 방향, Y 축 방향 및 Z 축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테이지 유닛(300)은 예시적으로 X 축 방향, Y 축 방향 및 Z 축 방향, 즉 3개 축 방향으로 모두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스테이지유닛(300)이 Z 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구성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The stage unit 300 is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base unit 100, and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so that a work object (not shown) can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The stage unit 300 is formed to be movable in at least one of the X-axis direction, the Y-axis direction and the Z-axis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stage unit 300 is exemplarily formed to be movable in the X axis direction, the Y axis direction, and the Z axis direction, that is, all three axis directions. In additio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tage unit 300 is rotatably formed around the Z-axis direction is also includ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케이싱 유닛(200)은, 노즐 장치(400) 및 스테이지 유닛(30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3D 프린터(1)의 외형을 형성한다. 케이싱 유닛(200)은 복수의 판상 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잇다.The casing unit 200 forms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nozzle device 400 and the stage unit 300, and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3D printer 1. The casing unit 200 may be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plate-like members.

포스트 유닛(700)은, 3D 프린터(1)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케이싱 유닛(200)의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The post unit 700 is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casing unit 200 in order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3D printer 1, and is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노즐 장치(400)는, 스테이지 유닛(300)에 대하여 재료를 공급하여 스테이지 유닛(100)에서 3차원 조형물이 형성되도록 하며, 재료(S)의 공급 과정에서 병목 현상의 발생을 억제하여, 스테이지 유닛(300) 방향에 대한 재료(S)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nozzle device 400 supplies a material to the stage unit 300 so that a three-dimensional sculpture is formed in the stage unit 100, and suppresses the occurrence of a bottleneck in the process of supplying the material S, so that the stage unit The supply of the material (S) to the (300) direction can be made smoothly.

보다 상세히, 노즐 장치(400)는, 재료(S)가 수용되며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파우치 유닛(500)과, 파우치 유닛(500)의 외면에 접촉되며, 파우치 유닛(500)을 가압하며 파우치 유닛(500)의 일측에서 파우치 유닛(500)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스퀴즈 유닛(440)과, 스퀴즈 유닛(440)과 연결되며 스퀴즈 유닛(40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유닛(430)과, 일측은 상기 바닥면과 연결되어 파우치 유닛(500)을 베이스 유닛(100)의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부(410)와, 구동 유닛(43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는 구동 프레임 유닛(420)을 포함한다.In more detail, the nozzle device 400 is in contact with the pouch unit 500 in which the material S is accommodated and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pouch unit 500, while pressing the pouch unit 500 A squeeze unit 440 that can move in one direction of the pouch unit 500 from one side of the unit 500, and a driving unit 430 that is connected to the squeeze unit 440 and moves the squeeze unit 400 in the vertical direction. ,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to support the pouch unit 500 against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unit 100, the main frame portion 410, and the driving unit 430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e end includes a drive frame unit 420 fixed to the bottom surface.

메인 프레임부(410)는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고정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직 프레임(411)과, 제1 수직 프레임(411)과 이격되며 제1 수직 프레임(411)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수직 프레임(413)과, 일측은 제1 수직프레임(411)의 상측과 연결되며 타측은 제2 수직 프레임(413)의 상측과 연결되는 수평 프레임(412)을 포함한다. 그리고, 수평 프레임(412)의 중앙에는 파우치 유닛(500)이 고정되기 위한 파우치 고정고리부(415)가 형성되며, 파우치 유닛(500)의 타측(520)에 형성되는 고정홀(521)에 고정 고리부(415)의 고정팁(416)이 통과되어 파우치 유닛(500)이 수평 프레임(412)에 고정될 수 있다.The main frame part 410 is fix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vertical frame 411 and the first vertical frame 411 which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vertical frame 411. The second vertical frame 413 is extended, and one side includes a horizontal frame 412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vertical frame 411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413. In addition, a pouch fixing hook portion 415 for fixing the pouch unit 50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frame 412 and fixed to a fixing hole 521 formed on the other side 520 of the pouch unit 500. The fixing tip 416 of the hook portion 415 is passed so that the pouch unit 500 can be fixed to the horizontal frame 412.

파우치 유닛(500)은, 내부에 재료(S)가 충진되는 재료 수용 공간(미도시)가 형성되며, 예시적으로 실리콘, 고무, 연성 플라스틱 또는 무른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재료수용공간의 단면 넓이는 파우치 유닛(500)의 상측(520)에서 하측(510)으로 갈수록 증가된다. 즉, 파우치 유닛(500)은 상측(520)에서 하측(510)으로 갈수록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ouch unit 500 is formed with a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not shown) in which the material S is filled, and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silicon, rubber, soft plastic, or soft metal material.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is increased from the upper side 520 of the pouch unit 500 to the lower side 510. That is, the pouch unit 500 may be formed in an inverted trapezoidal shape from the upper side 520 to the lower side 510.

파우치 유닛(500)의 하측(510)에는 상기 재료 수용 공간과 연통되는 재료를 토출하기 위한 노즐부(530)가 형성된다. 파우치 유닛(500)에서 재료가 토출되는 과정에서, 재료의 토출을 멈추는 리트랙션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파우치 유닛(500)의 리트랙션되는 부분에서 재료(S)의 병목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리트랙션되는 부분에서 재료(S)의 병목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재료(S)의 리트랙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재료(S)의 토출이 멈추지 않고 재료(S)가 노즐부(530) 측으로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노즐 장치(400)의 노즐부(530)의 토출유로는 일자 형태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리트랙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On the lower side 510 of the pouch unit 500, a nozzle unit 530 for discharging material in communication with the material receiving space is formed.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material from the pouch unit 500, when performing a retraction operation to stop discharging the material, a bottleneck of the material S occurs in the retracted portion of the pouch unit 500. When the bottleneck of the material (S) occurs in the retracted portion, the retraction of the material (S) is not made smoothly, the ejection of the material (S) does not stop and the material (S) is a nozzle unit (530) There is a problem of being exposed to the side. Therefore, the discharge flow path of the nozzle unit 530 of the nozzle devic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s formed in a straight shape, so that retraction can be smoothly performed.

파우치 유닛(500)의 상측(510)에는 고정 고리부(415)의 고정팁(416)이 통과되기 위한 고정홀(520)이 형성되며, 고정홀(520)은 파우치 유닛(500)의 두께 방향으로 이격되는 한쌍으로 마련되며, 각각의 고정홀(520)은 파우치 유닛(500)의 상측(510)의 단부측 몸체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 고리부(415)의 고정팁(416) 또한 한 쌍의 고정홀(520)에 각각 끼워질 수 있도록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On the upper side 510 of the pouch unit 500, a fixing hole 520 is formed through which a fixing tip 416 of the fixing ring portion 415 passes, and the fixing hole 520 is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ouch unit 500 It is provided as a pair of spaced apart, each of the fixing hole 520 is formed in the body of the end side of the upper side 510 of the pouch unit 500,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ixing tip 416 of the fixing ring portion 415 may also be provided in a pair so that they can be fitted into a pair of fixing holes 520, respectively.

스퀴즈 유닛(440)은, 파우치 유닛(500)의 일면과 접촉되는 제1 가압 유닛(441)과, 파우치 유닛(500)을 사이에 두고 제1 가압 유닛(441)과 이격되며 파우치 유닛(500)의 타면과 접촉되는 제2 가압유닛(442)과, 일단이 제1 가압 유닛(441)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가압 브래킷(443)과, 일단이 제2 가압 유닛(442)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가압 브래킷(444)과, 제1 가압 브래킷(443)의 타단 및 제2 가압 브래킷(444)의 타단과 연결되며 제1 가압 브래킷(443) 및 상기 제2 가압 브래킷(444) 회전 중심을 제공하며 선택적으로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고정부(445)를 포함한다. 제1 가압 브래킷(443), 제2 가압 브래킷(444) 및 회전 고정부(445)는 제1 가압 유닛(441) 및 제2 가압 유닛(442)의 일단 및 타단에 연결되는 한 쌍으로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가압 유닛(441) 및 제2 가압 유닛(442)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queeze unit 44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ressing unit 441 with the first pressing unit 441 contacting one surface of the pouch unit 500 and the pouch unit 500 therebetween, and the pouch unit 500 The second pressing unit 442 contacting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pressing bracket 443 to which the first pressing unit 441 is rotatably connected, and the second pressing unit 442 to which one end is rotatable The second pressure bracket 444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pressure bracket 443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ressure bracket 444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pressure bracket 443 and the second pressure bracket 444 It includes a rotation fixture 445 that provides a center of rotation and optionally limits rotation. The first pressing bracket 443, the second pressing bracket 444, and the rotation fixing part 445 are provided as a pair connect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pressing unit 441 and the second pressing unit 442, respectively. The first pressing unit 441 and the second pressing unit 442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이때, 제2 가압 유닛(442)은 구동 유닛(430)과 연결된다. 제1 가압 유닛(441)과 구동 유닛(430) 사이에는, 제2 가압 유닛(442) 및 구동 유닛(430)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 프레임(446)이 배치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pressing unit 442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430. A connection frame 446 for connecting the second pressing unit 442 and the driving unit 43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ressing unit 441 and the driving unit 430.

구동 유닛(430)은, 스퀴즈 유닛(440)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구동 프레임 유닛(420)도 한쌍으로 마련되며 각각의 구동 유닛(43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바닥면에 고정된다. 구동 프레임 유닛(420)의 상측은 수평 프레임(412)과 연결된다.The driving unit 430 is provided as a pai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squeeze unit 44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driving frame unit 420 is also provided as a pair, and each driving unit 430 is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installed and fixed to the bottom surface. The upper side of the driving frame unit 420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frame 412.

구동 유닛(430)의 제1 구동 유닛(430a)은 스퀴즈 유닛(440)의 제2 가압 유닛(442)의 일측과 연결되며, 제1 구동 유닛(430a)과 이격되는 제2 구동 유닛(430b)은 제2 가압 유닛(442)의 타측과 연결된다.The first driving unit 430a of the driving unit 43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pressing unit 442 of the squeeze unit 440, and the second driving unit 430b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riving unit 430a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ressing unit 442.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1)는, 일단은 파우치(500)의 노즐부(530)와 연결되며, 타단은 케이싱 유닛(200) 및 포스트 유닛(70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한 쌍의 파우치 고정스트링(600)을 더 포함한다. 고정 스트링(600)은 파우치(500)의 노즐부(530)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고품질의 조형물을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3D print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is connected to the nozzle unit 530 of the pouch 500,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casing unit 200 and the post unit 700 It further includes a pair of pouch fixing string (600). The fixed string 600 allows the position of the nozzle portion 530 of the pouch 500 to be stably maintained, thereby forming a higher quality sculpture.

즉, 본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1)의 노즐 장치(400)는, 파우치 유닛(500)의 양면에 접촉되며 파우치 유닛(500)의 상기 재료 수용공간을 가압하는 스퀴즈 유닛(440)을 예시적으로 파우치 유닛(500)의 상측(520)에서 하측 방향(530)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파우치 유닛(500)의 상기 재료 수용공간에 충전된 재료(S)가 토출되록 한다. That is, the nozzle device 400 of the 3D print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llustrates a squeeze unit 440 contacting both surfaces of the pouch unit 500 and pressing the material receiving space of the pouch unit 500 In general, by moving from the upper side 520 of the pouch unit 500 to the lower direction 530, the material S filled in the material receiving space of the pouch unit 500 is discharged.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1)의 노즐 장치(400)에서 재료(S)가 토출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material S from the nozzle device 400 of the 3D print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 및 도 6은 도 1의 3D 프린터에서 재료가 공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5 and 6 are views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material is supplied from the 3D printer of FIG. 1.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노즐 장치(400)의 스퀴즈 유닛(440)의 제1 가입 유닛(441)과 제2 가압 유닛(442)가 상호 이격되도록, 제1 가압 브래킷(443)과 제2 가압 브래킷(444)를 기설정된 각도(제1 각도)로 벌려 놓는다. 이때, 제1 가압 브래킷(443)과 제2 가압 브래킷(444)은 회전 고정부(445)를 중심으로 움직일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5, first, the first pressure bracket 443 and the first pressure bracket 443 are provided so that the first subscription unit 441 and the second pressure unit 442 of the squeeze unit 440 of the nozzle device 4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2 Spread the pressure bracket 444 at a predetermined angle (first angle). At this time, the first pressure bracket 443 and the second pressure bracket 444 may move around the rotation fixing part 445.

그 다음, 수평 프레임(412)의 고정 고리부(415)에 파우치 유닛(500)의 상측(520)을 고정시켜, 파우치 유닛(500)이 메인 프레임부(410)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한다.Then, the upper side 520 of the pouch unit 500 is fixed to the fixing ring portion 415 of the horizontal frame 412, so that the pouch unit 500 is fixed to the main frame portion 410.

그 다음, 스퀴즈 유닛(440)의 제1 가입 유닛(441)과 제2 가압 유닛(442)이 각각 파우치 유닛(500)의 일면 및 이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파우치 유닛(500)의 상기 재료수용공간을 가압하도록, 제1 가압 브래킷(443)과 제2 가압 브래킷(444)를 기설정된 제2 각도로 조정한다. 이때,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제1 각도보다 작게 형성된다.Next, the material receiving space of the pouch unit 500 while the first joining unit 441 and the second pressing unit 442 of the squeeze unit 440 are in contact with one side and the back side of the pouch unit 500, respectively. In order to pressurize, the first pressing bracket 443 and the second pressing bracket 444 are adjusted to a predetermined second angle. At this time, the second angle is formed smaller than the first angle.

그 다음, 제1 가압 브래킷(443)과 제2 가압 브래킷(444)이 상기 제2 각도로 유지되도록, 회전 고정부(445)를 고정시킨다. 예시적으로 회전 고정부(445)는 스크류 타입일 수 있으며, 회전 고정부(445)가 릴리즈 된 상태에서는 제1 가압 브래킷(443)과 제2 가압 브래킷(444)이 회전 고정부(445)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으며, 회전 고정부(445)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제1 가압 브래킷(443)과 제2 가압 브래킷(444)의 움직임이 제한된다.Then, the rotation fixing part 445 is fixed so that the first pressing bracket 443 and the second pressing bracket 444 are maintained at the second angle. For example, the rotation fixing part 445 may be a screw type, and when the rotation fixing part 445 is released, the first pressure bracket 443 and the second pressure bracket 444 may rotate the rotation fixing part 445. It can be freely rotated to the center, and the movement of the first pressing bracket 443 and the second pressing bracket 444 is restricted when the rotating fixing portion 445 is fixed.

그 다음, 도 6을 참조하면, 파우치 유닛(500)의 노즐부(530)의 씌워진 커버 부재(미도시)를 제거하여, 노즐부(530)의 상기 토출유로가 스테이지 유닛(300)의 상면을 바라보도록 한다.Next, referring to FIG. 6, the cover member (not shown) of the nozzle unit 530 of the pouch unit 500 is removed, so that the discharge flow path of the nozzle unit 530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stage unit 300. Look at it.

그 다음, 스퀴즈 유닛(440)의 제2 가압 유닛(442)과 연결된 구동 유닛(430a, 430b)이 외부 신호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스퀴즈 유닛(440)도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스퀴즈 유닛(440)의 제1 가압 유닛(441) 및 제2 가압 유닛(442)은 파우치 유닛(500)의 양면을 가압한 상태에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의하여 파우치 유닛(500)의 상기 재료수용공간에 충전된 재료(S)는 노출부(530)를 통하여 스테이지 유닛(300) 측으로 토출된다. 스퀴즈 유닛(440)의 제1 가압 유닛(441) 및 제2 가압 유닛(442)은 각각 제1 가압 브래킷(443) 및 제2 가압 브래킷(444)과의 연결 부분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 가압 유닛(441) 및 제2 가압 유닛(442)은 스퀴즈 유닛(440)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파우치 유닛(500)의 외면에 대하여 회전되면서 이동하게 된다. 제1 가압 유닛(441) 및 제2 가압 유닛(442)의 외면은 예시적으로 파우치 유닛(500)의 외면에 대하여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n, when the driving units 430a and 430b connected to the second pressing unit 442 of the squeeze unit 440 move downward by an external signal, the squeeze unit 440 also moves downward. At this time, the first pressing unit 441 and the second pressing unit 442 of the squeeze unit 440 are moved downward while pressing both surfaces of the pouch unit 500, whereby the pouch unit 500 The material S filled in the material receiving space is discharged to the stage unit 300 through the exposed portion 530. The first pressing unit 441 and the second pressing unit 442 of the squeeze unit 440 are formed in a rotatable cylindrical shape with respect to a connection portion with the first pressing bracket 443 and the second pressing bracket 444,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first pressing unit 441 and the second pressing unit 442 are moved while being rotated relativ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ouch unit 500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squeeze unit 440 upward or downward.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pressing unit 441 and the second pressing unit 442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material having a high coefficient of fric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pouch unit 500.

한편, 3D 프린터(1)가 재료(S)의 토출을 일시 중단하는 리트랙션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스퀴즈 유닛(440)과 연결되는 구동 유닛(430a, 430b)이 상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며, 이에 의하여 스퀴즈 유닛(440)도 구동 유닛(430a, 430b)이 이동된 거리만큼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스퀴즈 유닛(440)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스퀴즈 유닛(440)이 접촉된 파우치 유닛(500)의 상기 재료수용공간에 기설정된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의 형성에 따라 상기 재료수용공간의 내부 압력이 감소하게 되어, 노즐부(430) 측의 재료가 외부로 토출되지 않고 상기 재료수용공간 측으로 유입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3D printer 1 performs a retraction operation to temporarily suspend the ejection of the material S, the driving units 430a and 430b connected to the squeeze unit 440 are moved up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is way, the squeeze unit 440 is also moved upward by the distance the drive units 430a and 430b are moved. When the squeeze unit 440 is moved upward, a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in the material receiving space of the pouch unit 500 to which the squeeze unit 440 is contacted, and the material receiving space is formed according to the formation of the spac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s reduced, the material on the nozzle portion 430 side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flows into the material receiving space side.

이때, 스테이지 유닛(300)은, X축, Y축 및 Z 축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며, 상기 Z 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노즐 장치(400)에서 스테이지 유닛(300)측에 공급되는 재료(S)에 의하여 원하는 형상의 3차원 조형물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age unit 300 is movable relative to the X-axis, Y-axis and Z-axis, and is provided to be rotatable about the Z-axis, so that the material supplied from the nozzle device 400 to the stage unit 300 side is provided. By (S) it is possible to form a three-dimensional sculpture of a desired shape.

본 실시예에서, 스테이지 유닛(300)이 X축, Y축 및 Z 축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며, 상기 Z 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구성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스테이지 유닛(300)이 베이스 유닛(100)에 대하여 고정되며, 노즐 장치(400)가 X축, Y축 및 Z 축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구성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 또한 스테이지 유닛(300)이 X 축에 대해서만 이동 가능하며, 노즐 장치(400)가 Y 출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구성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age unit 300 is movable with respect to the X-axis, Y-axis and Z-axis, and has been described as being configur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Z-axis, the stage unit 300 is a base unit ( It is fixed with respect to 100),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nozzle device 400 is provided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X-axis, Y-axis and Z-axis is also includ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the stage unit 300 is movable only with respect to the X axis, and the nozzle device 400 is also movable with respect to Y output.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possible to carry out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natural to fall within the scope of.

Claims (8)

3D 프린터의 노즐 장치에 있어서,
재료가 수용되는 재료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고, 하측에는 재료를 토출하기 위한 노즐부가 형성되는 파우치 유닛;
상기 파우치 유닛의 외면에 접촉되며, 상기 파우치 유닛을 가압하며,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 가능한 스퀴즈 유닛; 및
상기 스퀴즈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스퀴즈 유닛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3D 프린터의 노즐 장치.
In the nozzle device of the 3D printer,
A pouch unit in which a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in which the material is accommodated is formed,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a nozzle unit for discharging the material is formed on the lower side;
A squeeze unit that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ouch unit, presses the pouch unit, and is movable upward or downward; And
It is connected to the squeeze unit,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squeeze unit in the vertical direction; nozzle device of a 3D printer comprising a.
제1 항에 있어서,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되는 메인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부는,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고정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이격되며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수직 프레임과, 일측은 상기 제1 수직프레임의 상측과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의 상측과 연결되는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프레임의 중앙에는 상기 파우치 유닛이 고정되기 위한 파우치 고정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측에 형성되는 고정홀에 상기 고정 고리부의 고정팁이통과되어, 상기 파우치 유닛이 상기 수평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의 노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 main frame portion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The main frame portion, a first vertical fram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and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and a second vertical fram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vertical frame,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other side includes a horizontal fram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A pouch fixing ring for fixing the pouch unit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frame,
The nozzle device of the 3D prin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tip of the fixing ring portion passes through the fixing hol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pouch unit, so that the pouch unit is fixed to the horizontal fram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의 상기 노즐부는 상기 재료수용공간과 연통되며 하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며,
상기 노즐부의 토출유로는 일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재료수용공간의 단면 넓이는 상기 파우치 유닛의 상기 상측에서 상기 파우치의 상기 하측으로 갈수록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의 노즐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nozzle portion of the pouch communicates with the material receiving space and protrudes downward.
The discharge flow path of the nozzle portion is formed in a straight shape,
The nozzle device of the 3D prin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material receiving space increases from the upper side of the pouch unit to the lower side of the pouch.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퀴즈 유닛은, 상기 파우치 유닛의 일면과 접촉되는 제1 가압 유닛과, 상기 파우치 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가압 유닛과 이격되며 상기 파우치 유닛의 타면과 접촉되는 제2 가압유닛과, 일단이 상기 제1 가압 유닛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가압 브래킷과, 일단이 상기 제2 가압 유닛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가압 브래킷과, 상기 제1 가압 브래킷의 타단 및 상기 제2 가압 브래킷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1 가압 브래킷 및 상기 제2 가압 브래킷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며 선택적으로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고정부를 포함하는 3D 프린터의 노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queeze unit includes a first pressing unit contacting one surface of the pouch unit, a second pressing uni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ressing unit with the pouch unit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second pressing unit contacting the other surface of the pouch unit, The first pressing bracket to which the first pressing unit is rotatably connected, the second pressing bracket to which the second pressing unit is rotatably connected, the other end of the first pressing bracket, and the second pressing bracket A nozzle device of a 3D printer tha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and includes a rotation fixing part that provides rotation centers of the first pressure bracket and the second pressure bracket and selectively restricts rotation.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 유닛과 상기 구동 유닛이 연결되며,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스퀴즈 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구동 유닛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는 구동 프레임 유닛;을 더 포함하고,
제1 구동 유닛은 상기 제2 가압 유닛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1 구동 유닛과 이격되는 제2 구동 유닛은 상기 제2 가압 유닛의 타단과 연결되는 3D 프린터의 노즐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second pressing unit and the driving unit are connected,
The driving unit is provided as a pai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squeeze unit therebetween,
The drive unit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drive frame unit fixed to the bottom surface; further includes,
The first driving uni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press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riving unit is a nozzle device of a 3D printe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ressing unit.
3D 프린터에 있어서,
작업 대상물이 안착되는 스테이지 유닛;
재료가 수용되는 재료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고, 하측에는 재료를 토출하기 위한 노즐부가 형성되는 파우치 유닛, 상기 파우치 유닛의 외면에 접촉되며, 상기 파우치 유닛을 가압하며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 가능한 스퀴즈 유닛, 및 상기 스퀴즈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스퀴즈 유닛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노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파우치는, 상기 파우치의 상기 타측에서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며 하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스테이지 유닛의 상면을 향하며,
상기 노즐 장치의 상기 스퀴즈 유닛이 상기 파우치 유닛의 외면을 가압한 상태에서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내용물을 상기 스테이지 유닛이 상면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
For 3D printers,
A stage unit on which a work object is seated;
A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in which the material is accommodated is formed therein, and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 pouch unit in which a nozzle unit for discharging material is formed on the low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ouch unit, and presses the pouch unit. It includes; a nozzle device including a squeeze unit movable upward or downward, and a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squeeze unit and moving the squeeze uni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ouch includes a nozzle part that communicates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at the other side of the pouch and protrudes downward.
The nozzle unit faces the upper surface of the stage unit,
The 3D prin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queeze unit of the nozzle device is moved downward while pressing the outer surface of the pouch unit to supply the content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tage unit.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 유닛은 X 축 방향, Y 축 방향 및 Z 축 방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노즐 장치는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
The method of claim 6,
The stage unit is movable in any one or more of the X-axis direction, Y-axis direction and Z-axis direction,
The nozzle device is a 3D printer,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bottom surfac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장치 및 상기 스테이지 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싱 유닛;
상기 케이싱 유닛의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포스트 유닛;
일단은 상기 파우치의 상기 노즐부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케이싱 유닛 및 상기 포스트 유닛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한 쌍의 파우치 고정스트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
The method of claim 7,
A casing unit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nozzle device and the stage unit, and forming an outer shape;
A post unit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casing unit and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e end is connected to the nozzle portion of the pouch, the other end is a pair of pouch fixing string connected to any one of the casing unit and the post unit; 3D printer further comprising a.
KR1020180168182A 2018-12-24 2018-12-24 Nozzle apparatus for 3d printer and 3d printer using therewith KR1022417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182A KR102241778B1 (en) 2018-12-24 2018-12-24 Nozzle apparatus for 3d printer and 3d printer using therewi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182A KR102241778B1 (en) 2018-12-24 2018-12-24 Nozzle apparatus for 3d printer and 3d printer using therewi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291A true KR20200087291A (en) 2020-07-21
KR102241778B1 KR102241778B1 (en) 2021-04-26

Family

ID=71832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182A KR102241778B1 (en) 2018-12-24 2018-12-24 Nozzle apparatus for 3d printer and 3d printer using therewi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77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1620A (en) 2022-04-26 2023-11-02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Extrusion Device for 3D Concrete Printer
KR20240027983A (en) 2022-08-24 2024-03-05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Extrusion Device for 3D Concrete Printer For Stirring Of Concrete Hardening Actuating Admix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1417A (en) * 2001-12-05 2005-04-28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ディスペンシング コーポレーション Metered dispenser
JP2008018695A (en) * 2006-07-14 2008-01-31 Seiko Epson Corp Liquid container
KR20170069429A (en) 2015-12-11 2017-06-21 한주석 3D latte art printer and 3D latte art printing metho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1417A (en) * 2001-12-05 2005-04-28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ディスペンシング コーポレーション Metered dispenser
JP2008018695A (en) * 2006-07-14 2008-01-31 Seiko Epson Corp Liquid container
KR20170069429A (en) 2015-12-11 2017-06-21 한주석 3D latte art printer and 3D latte art printing metho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1778B1 (en) 2021-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87291A (en) Nozzle apparatus for 3d printer and 3d printer using therewith
CN104364051B (en) The multistage grinding method and vacuum adsorption table of workpiece, storage container, provision for disengagement and the equipment for implementing this method
GB2590869A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st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ing
JP63445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rface machining a workpiece
WO2018181344A1 (en)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system
JP7368862B2 (en) Vibration device, vibration method, and vibration transfer device
TWI593834B (en) Polishing system based on the non-newton fluid and polishing method thereof
CN108604543A (en) The carrier of small-sized pad for chemically mechanical polishing
KR20200012826A (en) Liquid material appl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JP59614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base body with hard material particles
KR20200013169A (en) Discharging device having nozzle clogging prevention function
CN110238714A (en) Metal increasing material manufacturing part surface current becomes liquid assisting ultrasonic burnishing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KR101965072B1 (en) Cnc lathe device
KR101647500B1 (en) chip conveyor
KR20160015153A (en) Apparatus for generating a holding jig
TWI717320B (en) Coating device and dropping method using the device
KR100895857B1 (en) Wafer cleaning device and method of cleaning the same
KR101832808B1 (en) Polishing apparatus
KR20120032653A (en) Supersonic machine
KR102384218B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JP2008168179A (en) Coa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tip fitted to coating apparatus
US20180161955A1 (en) Random Walk Polishing Machine
JP200132170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ating
CN219664588U (en) Wafer cleaning device
JP7240738B2 (en) Work grinding method and work fixing ji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