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524A -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6524A
KR20200086524A KR1020190002835A KR20190002835A KR20200086524A KR 20200086524 A KR20200086524 A KR 20200086524A KR 1020190002835 A KR1020190002835 A KR 1020190002835A KR 20190002835 A KR20190002835 A KR 20190002835A KR 20200086524 A KR20200086524 A KR 20200086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device
angle
bracket
camera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성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2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6524A/ko
Priority to US17/418,318 priority patent/US20220086312A1/en
Priority to PCT/KR2020/000344 priority patent/WO2020145664A1/ko
Priority to CN202080008589.3A priority patent/CN113273175B/zh
Priority to EP20738820.8A priority patent/EP3910930A4/en
Priority to JP2021539023A priority patent/JP2022516742A/ja
Publication of KR20200086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5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29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04N5/225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상기 브라켓에 배치되는 일측과, 상기 카메라 모듈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에 결합되는 타측을 포함하는 화각 조정 장치; 및 상기 화각 조정 장치의 상기 일측과 상기 브라켓을 접촉시키도록 상기 브라켓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Camera Angle Adjustment Device}
본 발명은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초소형 카메라 모듈이 개발되고 있고, 초소형 카메라 모듈은 스마트폰, 노트북, 게임기 등과 같은 소형 전자 제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자동차의 보급이 대중화됨에 따라 초소형 카메라는 소형 전자 제품뿐만 아니라 차량에도 많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차량의 보호 또는 교통사고의 객관적인 자료를 위한 블랙박스 카메라, 차량 후미의 사각지대를 운전자가 화면을 통해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후진 시에 안전을 기할 수 있게 하는 후방 감시카메라, 차량의 주변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주변 감지 카메라 등이 구비된다.
한편, 기술의 발전에 따라 주행중인 도로의 전방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그 신호를 입력받아 운전자의 부주의나 졸음운전 등으로 발생되는 차선 이탈상황을 감지한 후 경보를 발생하는 차선 이탈 자동 복귀 시스템(LKAS; Lane Keeping Assist System)을 적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차량마다 차량의 크기와 윈드 글라스의 각도 등의 차이로 인해, 차선 이탈 자동 복귀 시스템용 카메라의 최적을 화각을 위해 차량마다 별도의 커플러(coupler) 등의 구성을 사용해야 하고, 이로 인한 금형의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상기 브라켓에 배치되는 일측과, 상기 카메라 모듈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에 결합되는 타측을 포함하는 화각 조정 장치; 및 상기 화각 조정 장치의 상기 일측과 상기 브라켓을 접촉시키도록 상기 브라켓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화각 조정 장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에서 외주로 연장되는 단부와, 상기 단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단부와 상기 걸림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절곡되어 상기 단부와 상기 브라켓의 일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탄성 부재가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화각 조정 장치의 상기 일측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측벽과, 상기 제1 측벽과 대향하는 제2 측벽과,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을 연결하는 제3 측벽과 제4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측벽은 상기 화각 조정 장치의 일부가 배치되는 제1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벽은 상기 화각 조정 장치의 상기 일측의 끝단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2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개구와 대응되는 제3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개구와 대응되는 제4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상기 화각 조정 장치의 타측이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결합부와 상기 브라켓의 지지부는 일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결합부와 상기 지지부의 간격이 멀어지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부와 상기 브라켓의 상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하부와 상기 브라켓의 하부 사이의 간격보다 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개구는 제1 방향의 길이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각 조정 장치의 상기 걸림부의 일면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1 측벽은 상기 걸림부의 일면의 곡면 형상과 대응되는 곡면 형상을 갖는 제1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각 조정 장치의 타측은 상기 결합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각 조정 장치와 상기 카메라 모듈이 나사 결합되는 길이와, 상기 브라켓에 대한 상기 카메라 모듈의 회전 각도는 서로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각 조정 장치의 상기 단부는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화각 조정 장치의 상기 걸림부의 일측에 접촉하여 상기 화각 조정 장치를 탄성 지지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브라켓의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2 측벽의 일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화각 조정 장치의 상기 걸림부의 상기 일측과 선 접촉하여 상기 브라켓에 대하여 상기 화각 조정 장치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의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2 측벽은 내측면에서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브라켓의 상기 돌기와 상기 지지부의 바닥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결합부는 제2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홈에 배치되고, 상기 화각 조정 장치의 상기 몸체에 의해 관통되는 풀림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브라켓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통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의 화각 조정 장치, 탄성 부재 및 풀림 방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의 화각 조정 장치 및 풀림 방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의 일부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의 동작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B부분 확대도이다.
도 1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C부분 확대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의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10)는 차량(1)의 윈드 글라스(2)(wind glass)에 결합될 수 있다. 차량(1)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윈드 글라스(2)가 배치될 수 있다. 윈드 글라스(2)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운전자가 전방 또는 후방을 주시할 수 있게 한다. 윈드 글라스(2)는 차량(1)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 윈드 글라스와 차량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윈드 글라스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10)는 윈드 글라스(2)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10)는 전방 윈드 글라스에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후방 윈드 글라스에 결합될 수도 있다.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10)의 브라켓(100)이 직접 윈드 글라스(2)의 내측면에 접착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별도의 커플러(미도시) 및/또는 커버(미도시)를 통해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10)가 윈드 글라스(2)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의 화각 조정 장치, 탄성 부재 및 풀림 방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의 화각 조정 장치 및 풀림 방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의 일부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10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10)는 브라켓(100)과, 카메라 모듈(200)과, 화각 조정 장치(300)와, 탄성 부재(400)와, 풀림 방지부(50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10)는 차량(1)의 윈드 글라스(2)에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10)는 카메라 모듈(200)의 화각을 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카메라 모듈(200)의 제작 공차나, 차량(1)에의 장착 공차 등을 보상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지향각의 범위 내로 화각을 조정할 수 있다.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10)는 브라켓(10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100)은 카메라 모듈(2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100)은 카메라 모듈(2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100)은 차량(1)의 윈드 글라스(2)에 장착될 수 있다. 브라켓(100)은 카메라 모듈(2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브라켓(100)에는 화각 조정 장치(300)의 적어도 일부와, 탄성 부재(400)가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100)은 몸체(102)와, 연장부(104)와, 지지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100)의 몸체(102)는 카메라 모듈(200)의 하우징(210)을 지지할 수 있다. 몸체(102)는 카메라 모듈(200)의 하우징(210)의 일측 또는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몸체(102)는 카메라 모듈(200)의 하우징(210)과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100)의 몸체(102)의 양단에는 연장부(104)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지지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100)의 연장부(104)는 몸체(102)의 양단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100)의 연장부(104)는 카메라 모듈(200)의 연장부(230)와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100)의 연장부(104)는 카메라 모듈(200)의 연장부(230)와 힌지(Hinge)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100)의 연장부(104)는 카메라 모듈(200)의 연장부(2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연장부(104)는 몸체(102)의 양단에서 일측 또는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몸체(102)의 양단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거나 외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부(110)는 몸체(10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110)는 몸체(102)의 상면에서 위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10)에는 탄성 부재(400)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110)에는 화각 조정 장치(300)의 일측이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110)는 카메라 모듈(200)의 결합부(220)와 대향할 수 있다. 지지부(110)는 카메라 모듈(200)의 결합부(220)와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지지부(110)는 제1 측벽(112)과, 제2 측벽(114)과, 제3 측벽(116)과, 제4 측벽(1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112)은 카메라 모듈(200)과 화각 조정 장치(300)의 일측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벽(112)은 카메라 모듈(200)의 결합부(220)와 대향할 수 있다. 제1 측벽(112)은 제2 측벽(114)과 대향할 수 있다. 제1 측벽(112)은 제3 측벽(116)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측벽(112)은 제4 측벽(118)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측벽(112)은 제1 개구(1122)와, 제1 홈(11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112)의 제1 개구(1122)에는 화각 조정 장치(30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벽(112)의 제1 개구(1122)에는 화각 조정 장치(300)의 몸체(3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벽(112)의 제1 개구(1122)에는 화각 조정 장치(300)의 몸체(310) 중 나사산(312)이 없는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벽(112)의 제1 개구(1122)는 제1 방향의 길이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벽(112)의 제1 개구(1122)는 세로 방향 길이가 가로 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1122)와 제2 개구(1142)의 사이에는 화각 조정 장치(300)의 단부(3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벽(112)의 제1 홈(1124)은 화각 조정 장치(300)의 걸림부(330)의 타측 방향 일면과 대응되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벽(112)의 제1 홈(1124)은 제1 측벽(112)의 제1 개구(1122)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벽(112)의 제1 홈(1124)에는 화각 조정 장치(300)의 걸림부(330)의 일면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벽(112)의 제1 홈(1124)의 크기는 화각 조정 장치(300)의 걸림부(330)의 일면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각 조정 장치(300)가 제1 측벽(112)을 기준으로 미세하게 회전할 수 있어, 제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측벽(114)은 제1 측벽(112)과 대향할 수 있다. 제2 측벽(114)은 제3 측벽(116)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측벽(114)은 제4 측벽(118)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측벽(114)은 제2 개구(1142)와, 돌기(1144, 11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측벽(114)의 제2 개구(1142)와 제1 측벽(112)의 제1 개구(1122)의 사이에는 화각 조정 장치(300)의 단부(320)와 걸림부(33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측벽(114)의 제2 개구(1142)는 화각 조정 장치(300)의 일측의 끝단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측벽(114)의 제2 개구(1142)는 화각 조정 장치(300)의 단부(320)의 공구홈(322)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공구를 공구홈(322)에 끼우고 회전시킴으로써 카메라 모듈(200)의 결합부(220)에 대해 화각 조정 장치(300)가 나사 결합되는 길이를 손쉽게 변경시킬 수 있다.
제2 측벽(114)의 돌기(1144, 1146)는 2개의 돌기(1144, 1146)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돌기(1144, 1146)는 제1 측벽(112)과 마주보는 제2 측벽(114)의 내측면에서 타측 또는 제1 측벽(11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측벽(114)의 2개의 돌기(1144, 1146)는 제1 측벽(112)의 모서리에 인접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측벽(114)의 2개의 돌기(1144, 1146)는 제2 측벽(114)의 상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측벽(114)의 2개의 돌기(1144, 1146)와 지지부(110)의 바닥면 사이에는 탄성 부재(400)의 제2 영역(42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 부재(4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및 제4 측벽(116, 118)은 제1 측벽(112)과 제2 측벽(114)을 연결할 수 있다. 제3 측벽(116)과 제4 측벽(118)의 사이 공간에는 화각 조정 장치(300)의 단부(320) 및 걸림부(330)와, 탄성 부재(4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측벽(116)과 제4 측벽(118)의 길이 또는 면적은 제1 및 제2 측벽(112, 114)의 길이 또는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10)는 카메라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0)은 브라켓(100)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0)은 브라켓(100)의 타측 또는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0)은 브라켓(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200)은 트리플 카메라(triple camera)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듀얼 카메라(dual camera) 등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0)은 하우징(210)과, 결합부(220)와, 연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0)의 하우징(210)은 카메라 모듈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 모듈이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구성할 수 있는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210)는 브라켓(100)의 몸체(10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210)의 상부에는 결합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0)의 결합부(220)에는 카메라 모듈(200)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화각 조정 장치(300)의 타측이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220)는 브라켓(100)의 지지부(110)와 대향할 수 있다. 결합부(220)는 브라켓(100)의 지지부(110)와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결합부(220)와 브라켓(100)의 지지부(110)의 간격이 멀어지는 경우, 카메라 모듈(200)의 상부와 브라켓(100)의 상부 사이의 간격이 멀어질 수 있다. 결합부(220)와 브라켓(100)의 지지부(110)의 간격이 멀어지는 경우, 카메라 모듈(200)의 하부와 브라켓(100)의 하부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결합부(220)와 브라켓(100)의 지지부(110)의 간격이 멀어지는 경우, 카메라 모듈(200)의 상부와 브라켓(100)의 상부 사이의 간격이 카메라 모듈(200)의 하부와 브라켓(100)의 하부 사이의 간격보다 커질 수 있다. 결합부(220)에는 화각 조정 장치(300)의 타측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220)에는 화각 조정 장치(300)의 몸체(310)의 나사산(312)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220)에 나사 결합되는 모체(310)의 길이를 통해 결합부(220)와 지지부(110)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카메라 모듈(200)의 결합부(220)와 화각 조정 장치(300)가 나사 결합되는 길이를 통해 브라켓(100)에 대한 카메라 모듈(2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0)의 결합부(220)는 제2 홈(222)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0)의 결합부(220)의 제2 홈(222)에는 풀림 방지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0)의 결합부(220)의 제2 홈(222)의 내부에는 화각 조정 장치(300)의 몸체(310)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0)의 연장부(230)는 하우징(210)에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230)는 하우징(210)의 양단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0)의 연장부(230)는 브라켓(100)의 연장부(104)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카메라 모듈(200)은 브라켓(100)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200)의 연장부(230)는 하우징(210)의 양단에서 일측 또는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하우징(210)의 양단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거나 외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10)는 화각 조정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화각 조정 장치(300)의 일측은 브라켓(100)에 배치될 수 있다. 화각 조정 장치(300)의 타측은 카메라 모듈(200)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카메라 모듈(200)에 결합될 수 있다. 화각 조정 장치(300)의 타측은 카메라 모듈(200)에 나사(Screw) 결합될 수 있다. 화각 조정 장치(300)와 카메라 모듈(200)이 나사 결합되는 길이와, 브라켓(100)에 대한 카메라 모듈(200)의 회전 각도는 서로 대응될 수 있다. 화각 조정 장치(300)는 몸체(310)와, 단부(320)와, 걸림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화각 조정 장치(300)의 몸체(3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310)의 일측의 끝단에는 단부(320)가 배치될 수 있다. 몸체(310)의 타측의 외주면에는 나사산(312)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산(312)이 형성되는 영역과 단부(320) 사이에는 걸림부(330)가 배치될 수 있다. 화각 조정 장치(300)의 몸체(310) 중 나사산(312)이 형성되는 영역은 카메라 모듈(200)의 결합부(22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화각 조정 장치(300)의 몸체(310) 중 나사산(312)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은 브라켓(100)의 지지부(110)의 제1 측벽(112)의 제1 개구(1122)에 배치될 수 있다. 화각 조정 장치(300)의 몸체(310) 중 단부(320)와 걸림부(330) 사이에 배치되는 영역에는 탄성 부재(400)의 제1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화각 조정 장치(300)의 몸체(310) 중 단부(320)와 걸림부(330) 사이에 배치되는 영역은 브라켓(100)의 지지부(110)의 안에 배치될 수 있다.
화각 조정 장치(300)의 단부(320)는 몸체(310)에서 외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단부(32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부(320)는 화각 조정 장치(300)의 일측의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단부(320)는 걸림부(330)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단부(320)의 외측면 또는 후면에는 걸림홈(322)이 형성될 수 있다. 화각 조정 장치(300)의 단부(320)는 브라켓(100)의 지지부(110)의 안에 배치될 수 있다. 화각 조정 장치(300)의 단부(320)는 제1 개구(1122)와 제2 개구(11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화각 조정 장치(300)의 단부(320)는 탄성 부재(400)의 제1 영역(410)과 제2 영역(4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화각 조정 장치(300)의 단부(320)는 탄성 부재(400)의 제3 개구(412)과 제4 개구(4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화각 조정 장치(300)의 단부(320)의 외측면 또는 후면은 탄성 부재(400)의 제4 개구(422)와 제2 측벽(114)의 제2 개구(114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화각 조정 장치(300)의 걸림부(330)는 몸체(310)에서 외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330)는 몸체(310) 중 나사산이 형성되는 영역과 단부(3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걸림부(330)는 단주(320)에서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걸림부(33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330)의 일면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330)는 브라켓(100)의 지지부(110)의 제1 측벽(112)의 내측과 탄성 부재(400)의 제1 영역(4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부(330)의 일면은 브라켓(100)의 지지부(110)의 제1 측벽(112)의 내측면과 대향할 수 있다. 걸림부(330)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측벽(112)의 제1 개구(1122)에 배치될 수 있다. 걸림부(330)는 제1 측벽(112)의 제1 홈(1124)과 접촉할 수 있다. 걸림부(330)의 반경은 제1 홈(1124)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각 조정 장치(300)의 일측은 화각 조정 장치(300)의 단부(320) 방향 영역을 의미하고, 타측은 몸체(310)를 기준으로 단부(320)의 반대 방향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10)는 탄성 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400)는 브라켓(100)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400)는 브라켓(100)의 지지부(110)의 안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400)는 화각 조정 장치(300)의 일측과 브라켓(100)을 접촉시킬 수 있다. 탄성 부재(400)는 화각 조정 장치(300)의 걸림부(330)의 타면과 접촉 및 탄성 지지하여, 화각 조정 장치(300)의 걸림부(330)의 일면을 제1 측벽(112)과 지속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 탄성 부재(400)는 적어도 일부가 절곡될 수 있다. 탄성 부재(400) 중 절곡되는 영역은 지지부(110)의 바닥면과 접촉하거나 바닥면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400) 중 절곡되지 않는 영역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탄성 부재(400)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400)의 단면은 'U'자 또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40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4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400)는 제1 영역(410)과 제2 영역(420)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400)의 제1 영역(410)은 화각 조정 장치(300)의 단부(320)와 걸림부(330) 사이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410)은 화각 조정 장치(300)의 걸림부(320)의 일측과 접촉하여, 화각 조정 장치(30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제1 영역(410)은 화각 조정 장치(300)의 걸림부(320)의 일측과 선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각 조정 장치(300)의 걸림부(320)의 타측이 브라켓(100)의 제1 측벽(112)에 접촉되게 하거나, 브라켓(100)에 대하여 화각 조정 장치(300)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영역(410)은 제3 개구(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410)의 제3 개구(412)는 제1 측벽(112)의 제1 개구(1122)와 대응될 수 있다. 제1 영역(410)의 제3 개구(412)는 제1 측벽(112)의 제1 개구(1122)와 대향할 수 있다. 제1 영역(410)의 제3 개구(412)는 제1 측벽(112)의 제1 개구(1122)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400)의 제2 영역(420)은 화각 조정 장치(300)의 단부(320)와 브라켓(300)의 제2 측벽(114)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영역(420)은 돌기(1144, 1146)와 지지부(110)의 바닥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영역(420)은 브라켓(100)의 지지부(110)의 제2 측벽(114)의 일면 또는 내측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2 영역(420)은 제1 영역(420)에서 절곡(bending) 형성될 수 있다. 제2 영역(420)제2 영역(420)은 제4 개구(4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420)의 제4 개구(422)는 제2 측벽(114)의 제2 개구(1142)와 대응될 수 있다. 제2 영역(420)의 제4 개구(422)는 제2 측벽(114)의 제2 개구(1142)와 대향할 수 있다. 제2 영역(420)의 제4 개구(422)는 제2 측벽(114)의 제2 개구(1142)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10)는 풀림 방지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풀림 방지부(500)는 카메라 모듈(200)의 결합부(220)의 제2 홈(222)에 배치될 수 있다. 풀림 방지부(500)는 화각 조정 장치(300)의 몸체(310)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풀림 방지부(500)는 락너트(Locknut)를 의미할 수 있다. 풀림 방지부(500)는 결합부(200)에 나사 결합되는 화각 조정 장치(300)의 풀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의 동작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공구를 화각 조정 장치(300)의 공구 홈(222)을 돌리게 되면, 카메라 모듈(200)의 결합부(220)에 나사 결합된 화각 조정 장치(30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나사 결합되는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를 통해, 카메라 모듈(200)의 상부와 브라켓(100)의 상부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여, 브라켓(100)에 대한 카메라 모듈(2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200)의 최적을 화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B부분 확대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20)는 브라켓(100)과, 카메라 모듈(200)과, 화각 조정 장치(300)와, 탄성 부재(400)와, 풀림 방지부(60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20) 중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10)와 다른점에 대해 설명한다. 이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2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10)의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0)의 결합부(220)의 전방부 또는 타측에는 풀림 방지부(600)가 배치되는 홈(224)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220)의 홈(224)의 일부는 결합부(220)의 전면 또는 타측면에 형성되고, 다른 일부는 결합부(220)의 전면 또는 타측면과 이격될 수 있다. 결합부(220)의 홈(224)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220)의 홈(224)은 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풀림 방지부(600)는 카메라 모듈(200)의 결합부(220)의 홈(224)에 배치될 수 있다. 풀림 방지부(600)는 위에서 결합부(200)의 홈(224)으로 삽입될 수 있다. 풀림 방지부(600)는 화각 조정 장치(300)의 몸체(310)의 나사산(312)에 의해 관통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풀림 방지부(6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풀림 방지부(5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풀림 방지부(600)는 결합부(220)에 나사 결합되는 화각 조정 장치(30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20)의 제조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주조된 카메라 모듈(200)의 결합부(220)에 홀(222)을 타공한다. 이 때, 결합부(220)의 홀(222)의 직경은 화각 조정 장치(300)의 몸체(102)의 직경에 대응되게 가공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결합부(220)의 홀(222)의 나사산과, 홈(224)을 가공한다. 결합부(220)의 홀(222)의 나사산은 화각 조정 장치(300)의 몸체(310)의 나사산(312)과 대응되게 가공될 수 있다. 결합부(220)의 홈(224)의 일부는 결합부(220)의 전면 또는 타측면에 형성되고, 다른 일부는 결합부(220)의 전면 또는 타측면과 이격될 수 있다. 결합부(220)의 홈(224)은 '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부(220)의 홈(224)은 '凸'형상의 가공 장치를 통해 가공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가공된 결합부(220)의 홀(222)에 풀림 방지부(600)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풀림 방지부(600)의 홈은 카메라 모듈(200)의 결합부(220)의 홀(222)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풀림 방지부(600)는 도넛 형상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풀림 방지부(600)의 사각판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브라켓(100)의 지지부(110)에 탄성 부재(400)을 배치시키고, 탄성 부재(400)와 지지부(110)에 화각 조정 장치(300)를 배치시킨다. 이 후, 화각 조정 장치(300)를 카메라 모듈(200)의 결합부(200)에 나사 결합 시킴으로써, 브라켓(100)에 대한 카메라 모듈(200)의 화각을 조정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C부분 확대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의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조정 장치(30)는 브라켓(100)과, 카메라 모듈(200)과, 화각 조정 장치(300)와, 탄성 부재(400)와, 풀림 방지부(50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30) 중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10)와 다른점에 대해 설명한다. 이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3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10)의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브라켓(100)의 지지부(110)의 제2 측벽(114)은 홈(1147, 1148)을 포함할 수 있다. 홈(1147, 1148)은 2개의 홈(1147, 1148)을 포함할 수 있다. 홈(1142, 1144)은 제2 개구(1142)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홈(1147, 1148) 중 하나는 제2 개구(1142)의 일측에 위치한 제2 측벽(114)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제2 개구(1142)의 타측에 위치한 제2 측벽(114)의 중앙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홈(1147, 1148)은 돌기(1144, 1146)과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홈(1147, 1148)을 통해, 돌기(1144, 1146)를 손쉽게 성형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30)의 돌기(1144, 1146) 성형 과정을 설명한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제1 펀치(P1)는 제2 측벽(114)의 밖에서 제2 측벽(114)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진입하고, 제2 펀치(P2)는 지지부(110)의 위에서 지지부(110)의 바닥면을 향해 수직 방향으로 진입한다. 이 때, 제2 펀치(P2)가 먼저 진입한 후, 제1 펀치(P1)가 진입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1 펀치(P1)가 먼저 진입한 후 제2 펀치(P2)가 진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브라켓(100)의 지지부(110)의 세부 구성들을 손쉽게 제조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차량 10: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100: 브라켓 200: 카메라 모듈
300: 화각 조정 장치 400: 탄성 부재
500: 풀림 방지부

Claims (20)

  1.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상기 브라켓에 배치되는 일측과, 상기 카메라 모듈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에 결합되는 타측을 포함하는 화각 조정 장치; 및
    상기 화각 조정 장치의 상기 일측과 상기 브라켓을 접촉시키도록 상기 브라켓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각 조정 장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에서 외주로 연장되는 단부와, 상기 단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단부와 상기 걸림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절곡되어 상기 단부와 상기 브라켓의 일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탄성 부재가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화각 조정 장치의 상기 일측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측벽과, 상기 제1 측벽과 대향하는 제2 측벽과,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을 연결하는 제3 측벽과 제4 측벽을 포함하는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은 상기 화각 조정 장치의 일부가 배치되는 제1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벽은 상기 화각 조정 장치의 상기 일측의 끝단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개구와 대응되는 제3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개구와 대응되는 제4 개구를 포함하는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상기 화각 조정 장치의 타측이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결합부와 상기 브라켓의 지지부는 일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결합부와 상기 지지부의 간격이 멀어지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부와 상기 브라켓의 상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하부와 상기 브라켓의 하부 사이의 간격보다 커지는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제1 방향의 길이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각 조정 장치의 상기 걸림부의 일면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1 측벽은 상기 걸림부의 일면의 곡면 형상과 대응되는 곡면 형상을 갖는 제1 홈을 포함하는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화각 조정 장치의 타측은 상기 결합부에 나사 결합되는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화각 조정 장치와 상기 카메라 모듈이 나사 결합되는 길이와, 상기 브라켓에 대한 상기 카메라 모듈의 회전 각도는 서로 대응되는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각 조정 장치의 상기 단부는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의 사이에 배치되는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1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화각 조정 장치의 상기 걸림부의 일측에 접촉하여 상기 화각 조정 장치를 탄성 지지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브라켓의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2 측벽의 일면에 의해 지지되는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화각 조정 장치의 상기 걸림부의 상기 일측과 선 접촉하여 상기 브라켓에 대하여 상기 화각 조정 장치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1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2 측벽은 내측면에서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브라켓의 상기 돌기와 상기 지지부의 바닥면 사이에 배치되는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1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결합부는 제2 홈을 포함하는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에 배치되고, 상기 화각 조정 장치의 상기 몸체에 의해 관통되는 풀림 방지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는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KR1020190002835A 2019-01-09 2019-01-09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KR20200086524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835A KR20200086524A (ko) 2019-01-09 2019-01-09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US17/418,318 US20220086312A1 (en) 2019-01-09 2020-01-08 Camera device
PCT/KR2020/000344 WO2020145664A1 (ko) 2019-01-09 2020-01-08 카메라 장치
CN202080008589.3A CN113273175B (zh) 2019-01-09 2020-01-08 相机装置
EP20738820.8A EP3910930A4 (en) 2019-01-09 2020-01-08 CAMERA DEVICE
JP2021539023A JP2022516742A (ja) 2019-01-09 2020-01-08 カメラ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835A KR20200086524A (ko) 2019-01-09 2019-01-09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524A true KR20200086524A (ko) 2020-07-17

Family

ID=71521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835A KR20200086524A (ko) 2019-01-09 2019-01-09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86312A1 (ko)
EP (1) EP3910930A4 (ko)
JP (1) JP2022516742A (ko)
KR (1) KR20200086524A (ko)
CN (1) CN113273175B (ko)
WO (1) WO202014566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0510A1 (ko) * 2021-05-28 2022-12-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장치
KR102607039B1 (ko) 2023-01-13 2023-11-29 오상철 지향각도 보정이 가능한 개인 일상용 녹화 카메라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37958A (en) * 1973-04-27 1976-06-03 Wingard Ltd Rear-view mirror for vehicles
JPH1178716A (ja) * 1997-09-16 1999-03-23 Sony Corp ビデオカメラ取り付け装置
JP2003048491A (ja) * 2001-08-02 2003-02-18 Toyota Motor Corp 車両搭載カメラの角度調整装置
KR100661051B1 (ko) * 2005-10-07 2006-12-26 피엠이케이(주) 차량 후방관찰용 카메라의 각도조절장치
KR20110006253U (ko) * 2009-12-15 2011-06-22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감시 장치
KR20110107536A (ko) * 2010-03-25 2011-10-04 씨아이즈주식회사 화각 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카메라 하우징
KR101842461B1 (ko) * 2011-08-04 2018-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메라 장치
CN103225617B (zh) * 2013-04-16 2015-06-24 广东金莱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俯仰角可调的电风扇
KR20160092819A (ko) * 2015-01-28 2016-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의 운전자 지원 시스템용 카메라 장치
JP6421691B2 (ja) * 2015-04-28 2018-11-14 株式会社デンソー カメラ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0510A1 (ko) * 2021-05-28 2022-12-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장치
KR102607039B1 (ko) 2023-01-13 2023-11-29 오상철 지향각도 보정이 가능한 개인 일상용 녹화 카메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10930A1 (en) 2021-11-17
CN113273175B (zh) 2024-04-30
WO2020145664A1 (ko) 2020-07-16
CN113273175A (zh) 2021-08-17
EP3910930A4 (en) 2022-08-31
JP2022516742A (ja) 2022-03-02
US20220086312A1 (en)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0822B2 (en) Vehicular rearview vision system with A-pillar display
US7380996B2 (en) Camera platform
KR100475960B1 (ko) 차량의 후방인식장치
US8836786B2 (en) Camera for a vehicle
KR200391521Y1 (ko) 번호판 부착 타입의 차량 후방감시용 카메라장치
KR20200086524A (ko) 카메라 각도 조정 장치
JP2002504453A (ja) 車両に装着される光学アセンブリ
EP1640215B1 (en) Outside rear-view mirror assembly for vehicle, which is designed to support an image-detector device
CN114762310B (zh) 摄像装置
JP3234888U (ja) 撮像装置
EP4350434A1 (en) Camera device
EP4350433A1 (en) Camera device
KR20200062768A (ko) 카메라 모듈 장착 구조
KR20180032958A (ko) 열선을 구비한 차량의 감시 장치
KR20210120413A (ko) 카메라 모듈
KR20210051767A (ko) 카메라 모듈
JP2024520501A (ja) カメラ装置
KR102261847B1 (ko) 카메라와 레이더가 장착되는 일체형 브라켓
KR102566251B1 (ko) 인접 차선의 전방 확인이 가능한 차량용 사이드 미러 시스템
CN211032369U (zh) 电致变色镜和流媒体后视镜总成
CN211684931U (zh) 右侧肓区影像系统
CN215513458U (zh) 一种a柱盲区消除镜
CN218463543U (zh) 前风挡玻璃支架及车辆
US20150165977A1 (en) Modular front view mirror for vehicles
KR200378741Y1 (ko) 차량후방감시용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