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089A - 무선 충전기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6089A
KR20200086089A KR1020190002263A KR20190002263A KR20200086089A KR 20200086089 A KR20200086089 A KR 20200086089A KR 1020190002263 A KR1020190002263 A KR 1020190002263A KR 20190002263 A KR20190002263 A KR 20190002263A KR 20200086089 A KR20200086089 A KR 20200086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nnector
disposed
gasket
wireless char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옥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2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6089A/ko
Publication of KR20200086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0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1Hermetically-sealed casings sealed by a gasket held between a removable cover and a body, e.g. O-ring, pack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05K5/0013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assembled by resilient memb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9Other details of the casing, e.g. wall structure, passage for a connector, a cable, a shaf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27Natural conve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제1 케이스, 상기 내부공간에 안착되며, 상부로 돌출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기판모듈, 상기 기판모듈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커넥터가 관통하는 관통공을 구비하는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케이스의 외곽부를 따라 배치되는 케이스 가스켓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의 내벽과 상기 커넥터 사이에는 커넥터 가스켓이 배치되는 무선 충전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 충전기{Wireless charger}
실시예는 무선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켓 구조를 개선하여 수밀성의 향상과 동시에 방열구조를 개선시킨 무선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내부에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는 휴대물품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콘솔박스가 구비되고, 상기 콘솔박수의 내부에는 간단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근래에는 USB커넥터 및 사용자의 휴대폰 등을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 리드선 커넥터 등이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콘솔박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콘솔 바디는 콘솔박스 전방부에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속도를 조작하기 위한 변속레버가 설치되는 변속레버 설치구가 구비되고, 상기 변속레버 설치구와 상기 콘솔 박스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콘솔 바디에는 사용자의 음료 용기를 수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컵 홀더가 구비된다. 이러한 차량구조에는 시거잭 소켓이 구비되어 있어 충전기기의 시거잭을 차량 시거잭소켓에 장착하고 충전기기를 커넥터로 핸드폰과 연결하여 차량내 핸드폰충전이 가능하게 한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이 광범위한 소비자층을 확보하면서 스마트폰의 사용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에 전자기 유도 방식(Electro magnetic induction)에 의한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이 가능하도록 충전코일부를 구비하여 차량의 전원부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무선 충전할 수 있는 기술이 상용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대다수의 무선충전기가 컵홀더 근처에 배치되고 있는바, 수분의 유입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존재한다.
실시예는 방수 및 방열구조를 최적화한 무선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제1 케이스; 상기 내부공간에 안착되며, 상부로 돌출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기판모듈; 상기 기판모듈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커넥터가 관통하는 관통공을 구비하는 제2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케이스의 외곽을 따라 배치되는 케이스 가스켓; 및 상기 관통공의 내벽과 상기 커넥터 사이에 배치되는 커넥터 가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은 상기 제2 케이스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커넥터 체결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의 외측에는 제1 삽입홈이 배치되며, 상기 커넥터 가스켓의 내측에는 제1 삽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삽입부는 상기 제1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가스켓의 외측에는 제1 압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압입부는 상기 커넥터 체결부의 내벽에 압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압입부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압입부는 경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에는 외곽을 따라 제2 삽입홈이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 가스켓에는 제2 삽입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2 삽입부는 상기 제2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삽입부의 반대측에는 제2 압입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2 압입부는 복수의 돌출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의 결합부를 연결한 연결선은 상기 케이스 가스켓의 폭방향 중심선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 내측에는 상기 기판모듈의 측면을 차폐하는 차폐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에는 복수의 방열홈이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 및 바디부에 가스켓을 적용하여 기밀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히트 싱크(heat sink)를 삭제하여 조립구조를 간소화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구성요소인 제1 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커넥터 가스켓의 체결 구조이고,
도 5는 도 1의 커넥터 가스켓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커넥터 가스켓의 일실시예이고,
도 7은 도 1의 케이스 가스켓의 체결 구조이고,
도 8은 도 7의 케이스 가스켓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케이스 가스켓의 배치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에 설치되는 무선 충전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휴대폰을 무선 충전하기 위한 다양한 위치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휴대폰은 하면에 놓여 충전될 수 있으며, 구성요소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을 배치하였다.
휴대폰의 충전을 위해 놓이는 단면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1)는 제1 케이스(100), 기판모듈(200), 제2 케이스(300) 및 케이스 가스켓(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00)는 기판모듈(200)이 위치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00)의 형상은 제한이 없으나 기판모듈(200)의 형상에 따라 변형실시될 수 있다.
기판모듈(200)은 제1 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 안착될 수 있으며, 일측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커넥터(210)를 구비할 수 있다. 기판모듈(200)은 무선으로 휴대폰을 충전하기 위한 전자부품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기판모듈(200)의 일 영역에는 외부 전원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210)가 구비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커넥터(210)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의 기둥구조로 변형실시될 수 있다.
또한, 기판모듈(200)에는 휴대폰의 충전을 위한 무선 충전 코일이 설치될 수 있다.
제2 케이스(300)는 기판모듈(2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커넥터(210)가 관통하는 관통공(310)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케이스(300)는 제1 케이스(100)와 결합하여 기판모듈(200)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300)는 나사를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300)가 사각 단면구조를 가지는 경우 각 꼭지점 근방에 나사가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 가스켓(400)은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300)의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케이스(100)의 외곽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 가스켓(400)은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300)의 결합시 외부로부터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케이스 가스켓(400)은 띠 형상으로 마련되어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300)의 결합시 가압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케이스 가스켓(400)은 탄성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관통공(310)의 내벽과 커넥터(210) 사이에는 커넥터 가스켓(5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 가스켓(400)과 커넥터 가스켓(500)을 이용하여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구성요소인 제2 케이스(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커넥터 가스켓(500)의 체결 구조이고, 도 5는 도 1의 커넥터 가스켓(500)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커넥터 가스켓(500)의 일 실시예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2 케이스(300)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커넥터 체결부(330)가 구비될 수 있다. 커넥터 체결부(330)는 커넥터(210)가 제2 케이스(300)에 삽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으며, 커넥터(210)와 기판모듈(200)의 연결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커넥터(210)와 제2 케이스(300)의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커넥터 가스켓(500)의 내측은 커넥터(210)와 접촉하며, 외측은 제2 케이스(300)의 관통공(310)과 접촉할 수 있다.
커넥터 가스켓(500)의 내측에는 제1 삽입부(5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외측에는 제1 압입부(53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삽입부(510)는 커넥터(21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삽입홈(331)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압입부(530)는 커넥터(210)가 제2 케이스(300)와 체결시 압착될 수 있다. 이때, 제1 압입부(530)는 25~35%의 압축률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8~31%의 압착률을 가져 커넥터(210)의 결합시 측면 방수를 통한 기밀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제1 압입부(53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 제1 압입부(530)의 단부는 곡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압입부(530)는 3개로 구성되어 기판모듈(200)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가스켓(500)은 제1 압입부(530)를 통하여 방수 및 고정 기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제1 압입부(530)는 경사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넥터 가스켓(500)의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커넥터 가스켓(500)의 제1 삽입부(510)가 커넥터(210)의 제1 삽입홈(331)에 삽입결합된 후 제2 케이스(300)의 관통공(310)에 삽입된다. 이때, 커넥터 가스켓(500)의 외벽에 배치되는 제1 압입부(530)는 관통공(310)의 내벽과 접촉한 상태로 상승하게 되며, 이 경우 제1 압입부(530)는 하방 경사를 가지게 된다. 이는 커넥터 가스켓(500)이 밀착결합을 하더라도 하방 경사를 가지게 되고, 아랫 방향으로 수분이 유입될 우려가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제1 압입부(530)는 제2 케이스(300)가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일실시예로, 복수의 제1 압입부(530)는 서로 다른 경사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케이스(300)와 가장 가까운 제1 압입부(530)는 제2 케이스(300)측을 향하도록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가스켓(500)은 제1 압입부(530)를 통하여 방수 및 고정 기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케이스(300)에는 복수의 방열홈(370)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방열홈(370)은 제2 케이스(300)의 표면적을 증대하여 기판모듈(200)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평면 구조의 케이스 대비 표면적을 약 20% 내외로 증대하여 방열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제2 케이스(300)는 알루미늄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케이스(300)의 내측에는 기판모듈(200)의 측면을 차폐하는 차폐부(350)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차례부는 제2 케이스(300) 하면에서 하부를 향하도록 돌출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차폐부(350)는 기판모듈(200)의 모서리를 차폐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지지돌기(351)가 구비되어 강성을 보완할 수 있다.
차폐부(350)는 기판모듈(200)에서 발생하는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를 차폐하여 차량의 외부에 배치되는 전자기기의 오작동을 차단함과 동시에, 차량 외부에서 발생하는 EMI를 차폐하여 기판모듈(200)의 오작동을 차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제2 케이스(300)는 무선 충전기(1)의 바닥 케이스 및 방열체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판 모듈(200)의 EMI를 차폐하는 역할까지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1)는 방열체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바닥 케이스의 역할을 하는 제2 케이스 (300)를 통해 구현함으로써, 조립 구조를 간소화하고, 작업 공수를 감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 대비 방열 성능을 향상 시키고, EMI 차폐의 역할까지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도 1의 케이스 가스켓(400)의 체결 구조이고, 도 8은 도 7의 케이스 가스켓(400)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케이스 가스켓(400)의 배치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하면, 케이스 가스켓(400)은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300)의 결합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할 수 있다.
케이스 가스켓(400)은 제2 삽입부(410)와 제2 압입부(43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삽입부(410)는 제1 케이스(100)의 외곽을 따라 배치되는 제2 삽입홈(110)에 결합되며, 제2 삽입부(410)에 반대측에는 제2 압입부(43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압입부(430)는 결합부(600)를 통해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300)가 압입되어 밀폐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제2 압입부(430)는 복수로 마련되며, 단부가 곡면의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제2 압입부(43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 제2 압입부(430)의 단부는 곡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압입부(530)는 2개로 구성되어 기판모듈(200)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가스켓(400)은 결합부(600)가 고정되는 영역을 피해 곡면의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 가스켓(400)을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300)에 고정시,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300)의 결합부(600)의 중심을 연결한 연결선(L1)은 케이스 카스켓의 폭 방향 중심선(L2)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결합부(600)를 통해 제1 케이스(100)와 제2 케이스(300)가 결합시 케이스 가스켓(400)의 밀착력을 증대하기 위함이다. 이때, 연결선(L1)은 케이스 가스켓(400)의 중심선(L2)보다 내측에 배치되며, 케이스 가스켓(400)의 폭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가스켓(400)은 제2 압입부(430)를 통하여 방수 및 고정 기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무선 충전기 100 : 제1 케이스
110 : 제2 삽입홈 200 : 기판모듈
210 : 커넥터 300 : 제2 케이스
310 : 관통공 330 : 커넥터 체결부
331 : 제1 삽입홈 350 : 차폐부
351 : 지지돌기 370 : 방열홈
400 : 케이스 가스켓 410 : 제2 삽입부
430 : 제2 압입부 500 : 커넥터 가스켓
510 : 제1 삽입부 530 : 제1 압입부
600 : 결합부

Claims (11)

  1.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제1 케이스;
    상기 내부공간에 안착되며, 상부로 돌출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기판모듈;
    상기 기판모듈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커넥터가 관통하는 관통공을 구비하는 제2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케이스의 외곽을 따라 배치되는 케이스 가스켓; 및
    상기 관통공의 내벽과 상기 커넥터 사이에 배치되는 커넥터 가스켓;
    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제2 케이스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커넥터 체결부에 배치되는 무선 충전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외측에는 제1 삽입홈이 배치되며,
    상기 커넥터 가스켓의 내측에는 제1 삽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삽입부는 상기 제1 삽입홈에 삽입되는 무선 충전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가스켓의 외측에는 제1 압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압입부는 상기 커넥터 체결부의 내벽에 압착되는 무선 충전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입부는 복수로 구비되는 무선 충전기.
  6. 제4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입부는 경사를 구비하는 무선 충전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에는 외곽을 따라 제2 삽입홈이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 가스켓에는 제2 삽입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2 삽입부는 상기 제2 삽입홈에 삽입되는 차량용 무선충전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삽입부의 반대측에는 제2 압입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2 압입부는 복수의 돌출구조로 구비되는 차량용 무선충전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의 결합부를 연결한 연결선은 상기 케이스 가스켓의 폭방향 중심선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무선 충전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 내측에는 상기 기판모듈의 측면을 차폐하는 차폐부가 구비되는 무선 충전기.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에는 복수의 방열홈이 배치되는 무선 충전기.
KR1020190002263A 2019-01-08 2019-01-08 무선 충전기 KR202000860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263A KR20200086089A (ko) 2019-01-08 2019-01-08 무선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263A KR20200086089A (ko) 2019-01-08 2019-01-08 무선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089A true KR20200086089A (ko) 2020-07-16

Family

ID=71839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263A KR20200086089A (ko) 2019-01-08 2019-01-08 무선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608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01426A (zh) * 2020-12-23 2021-04-02 深圳市威尔丽斯科技有限公司 一种集中散热的桌面嵌入式无线充电器
CN112636479A (zh) * 2020-12-23 2021-04-09 深圳市威尔丽斯科技有限公司 一种桌面嵌入式的无线充电设备
CN116799929A (zh) * 2023-08-28 2023-09-22 深圳市氮化镓电子科技有限公司 电动车用车载充电器结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01426A (zh) * 2020-12-23 2021-04-02 深圳市威尔丽斯科技有限公司 一种集中散热的桌面嵌入式无线充电器
CN112636479A (zh) * 2020-12-23 2021-04-09 深圳市威尔丽斯科技有限公司 一种桌面嵌入式的无线充电设备
CN116799929A (zh) * 2023-08-28 2023-09-22 深圳市氮化镓电子科技有限公司 电动车用车载充电器结构
CN116799929B (zh) * 2023-08-28 2023-11-17 深圳市氮化镓电子科技有限公司 电动车用车载充电器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86089A (ko) 무선 충전기
US20150171386A1 (en) Battery pack
EP2913218B1 (en) Electric connector attachment structure of battery pack for electric vehicle
US20040135542A1 (en) Battery charger with improved terminal protection
US10673163B2 (en) Power interface,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US8248767B2 (en) Protective cover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CN103796456B (zh) 车载用电子控制单元
TW201349991A (zh) 晶片卡固持結構
CN208781126U (zh) 一种扩展坞
KR102018692B1 (ko)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제조 방법
US7156699B1 (en) Connector with a capacitor connected to a metal casing
WO2024067504A1 (zh) 连接器及电子设备
CN107147163A (zh) 手环充电器及充电系统
KR20200144814A (ko) 차량용 충전장치
KR20110124578A (ko) 무접점 충전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US10811793B2 (en) Mobile terminal, power adapter and power interface
WO2019113849A1 (zh) 电池仓及电动车
CN100429873C (zh) 用于移动通信终端的电池和移动通信终端
CN210157271U (zh) 用于遮挡摄像头的挡门结构和电子设备
JP3181870U (ja) 保護枠底部構造
CN206664781U (zh) 一种摩托车用多功能mp3 播放箱
CN209965232U (zh) 一种电子烟
CN209757293U (zh) 盖件和充电组件
US11750028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having an inclined surface to receive a charging rack
KR20130004179U (ko) 휴대폰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