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4583A - 자동차 및 자동차의 오디오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및 자동차의 오디오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4583A
KR20200084583A KR1020190000650A KR20190000650A KR20200084583A KR 20200084583 A KR20200084583 A KR 20200084583A KR 1020190000650 A KR1020190000650 A KR 1020190000650A KR 20190000650 A KR20190000650 A KR 20190000650A KR 20200084583 A KR20200084583 A KR 20200084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broadcast
broadcast signal
cont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3514B1 (ko
Inventor
이상흔
김주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0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514B1/ko
Priority to US16/693,247 priority patent/US11070915B2/en
Publication of KR20200084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4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7/00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 H03G7/002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in untuned or 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amplif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6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control mea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7/00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 H03G7/007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of digital or coded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1/00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 H03J1/0008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 H03J1/0058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provided with channel identification means
    • H03J1/0066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provided with channel identification means with means for analys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및 자동차의 오디오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신된 방송 신호의 변조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 증폭기의 볼륨을 일정한 값으로 조정함으로써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량이 미리 설정된 음량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오디오 처리 방법은,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 신호의 변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변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신호의 볼륨 정보를 판별하는 단계와; 판별된 상기 볼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신호의 출력 음량이 미리 설정된 출력 음량을 따르도록 전력 증폭기의 볼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및 자동차의 오디오 처리 방법{VEHICLE AND AUDIO PROCESSING METHOD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오디오 신호 처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라디오 방송 신호 또는 텔레비전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도록 헤드 유닛이 마련된다. 라디오 방송 신호와 텔레비전 방송 신호는 모두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데, 청취자(탑승자)는 자신에게 적합한 볼륨 설정 값으로 오디오의 출력 음량을 설정한다.
그러나 방송 신호의 오디오 신호는 방송 유형에 따라 서로 상이한 값으로 볼륨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들면, 'A 방송'은 볼륨 설정 값 25에서 80dB의 음량이 출력되는 반면, 'B 방송'은 동일한 볼륨 설정 값 25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70dB의 음량이 출력된다. 이 경우 청취자는 'A 방송'을 청취하다가 'B 방송'을 청취하기 위해 볼륨을 25보다 볼륨 설정 값을 더 높게 조정해야만 'A 방송'과 동일한 음량으로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즉, 다른 방송을 듣기 위해 볼륨 설정을 조작해야 하는 불편이 초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신된 방송 신호의 변조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 증폭기의 볼륨을 일정한 값으로 조정함으로써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량이 미리 설정된 음량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오디오 처리 방법은,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 신호의 변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변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신호의 볼륨 정보를 판별하는 단계와; 판별된 상기 볼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신호의 출력 음량이 미리 설정된 출력 음량을 따르도록 전력 증폭기의 볼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오디오 처리 방법에서, 상기 변조 정보는 상기 방송 신호의 송출 지역과 송출 방송국, 방송 명칭, 방송 콘텐츠의 구분을 통해 획득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오디오 처리 방법에서, 상기 변조 정보는 상기 방송 신호의 송출 지역과 송출 방송국, 방송 명칭, 방송 콘텐츠마다 구별되는 변조 지수 및 주파수 편이 가운데 적어도 하나이다.
상술한 자동차의 오디오 처리 방법에서, 상기 방송 콘텐츠는 음성 위주의 콘텐츠와 음악 위주의 콘텐츠로 구분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오디오 처리 방법에서, 상기 전력 증폭기의 볼륨 조정은, 상기 방송 신호가 미리 설정된 볼륨 설정 값의 음량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안테나를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는 튜너와; 상기 방송 신호의 변조 정보를 획득하도록 마련되는 신호 처리부와; 설정된 볼륨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전력 증폭기와; 상기 변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신호의 볼륨 정보를 판별하고, 판별된 상기 볼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신호의 출력 음량이 미리 설정된 출력 음량을 따르도록 상기 전력 증폭기의 볼륨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자동차에서, 상기 변조 정보는 상기 방송 신호의 송출 지역과 송출 방송국, 방송 명칭, 방송 콘텐츠의 구분을 통해 획득한다.
상술한 자동차에서, 상기 변조 정보는 상기 방송 신호의 송출 지역과 송출 방송국, 방송 명칭, 방송 콘텐츠마다 구별되는 변조 지수 및 주파수 편이 가운데 적어도 하나이다.
상술한 자동차에서, 상기 방송 콘텐츠는 음성 위주의 콘텐츠와 음악 위주의 콘텐츠로 구분한다.
상술한 자동차에서, 상기 전력 증폭기의 볼륨 조정은, 상기 방송 신호가 미리 설정된 볼륨 설정 값의 음량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또 다른 오디오 처리 방법은,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 신호의 변조 지수와 주파수 편이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 신호의 변조 지수와 주파수 편이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신호의 볼륨 정보를 판별하는 단계와; 판별된 상기 볼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신호의 출력 음량이 미리 설정된 볼륨 설정 값의 음량을 따르도록 전력 증폭기의 볼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오디오 처리 방법에서, 상기 방송 신호의 변조 지수와 주파수 편이 가운데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방송 신호의 송출 지역과 송출 방송국, 방송 명칭, 방송 콘텐츠의 구분을 통해 획득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오디오 처리 방법에서, 상기 방송 콘텐츠는 음성 위주의 콘텐츠와 음악 위주의 콘텐츠로 구분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자동차는, 안테나를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는 튜너와; 상기 방송 신호의 변조 지수와 주파수 편이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도록 마련되는 신호 처리부와; 설정된 볼륨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전력 증폭기와; 상기 방송 신호의 변조 지수와 주파수 편이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신호의 볼륨 정보를 판별하고, 판별된 상기 볼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신호의 출력 음량이 미리 설정된 볼륨 설정 값의 음량을 따르도록 상기 전력 증폭기의 볼륨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자동차에서, 상기 방송 신호의 변조 지수와 주파수 편이 가운데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방송 신호의 송출 지역과 송출 방송국, 방송 명칭, 방송 콘텐츠의 구분을 통해 획득한다.
상술한 자동차에서, 상기 방송 콘텐츠는 음성 위주의 콘텐츠와 음악 위주의 콘텐츠로 구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신된 방송 신호의 변조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 증폭기의 볼륨을 일정한 값으로 조정함으로써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량이 미리 설정된 음량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방송 수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국가 별 방송 주파수 및 주파수 편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방송의 콘텐츠의 형태(종류)에 따른 변조 지수의 차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방송 콘텐츠에 따라 변조 지수가 달라지는 이유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방송 수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방송 수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방송 수신 장치는, 라디오 방송 신호 또는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안테나(102)를 통해 수신하여 신호 처리를 거친 후 스피커(112)를 통해 출력한다. 수신한 방송 신호의 신호 처리를 위해 저 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104)와 튜너(106), 디지털 신호 처리부(Digital Signal Processor, DSP)(108),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110)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52)는, 안테나(102)를 통해 수신한 방송 신호가 스피커(112)를 통해 원활하게 출력되도록 튜너(106)와 디지털 신호 처리부(108), 전력 증폭기(110)를 제어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108)는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도록 마련되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일 수도 있다.
저 잡음 증폭기(104)는 안테나(102)를 통해 수신한 비교적 미약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장치이다. 저 잡음 증폭기(104)는 전송 선로에서의 감쇠를 줄이기 위해 안테나(102)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거나, 또는 안테나(102)에 내장될 수도 있다.
튜너(106)는 일정한 전파(또는 전기 신호)의 주파수에 동조(同調)하여 해당 전파만을 취사 선택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면, 안테나(102)를 통해 수신된 여러 방송 신호들 가운데 특정 방송에 해당하는 주파수의 신호만을 선택할 수 있다. 청취자(탑승자)가 자동차의 헤드 유닛에서 특정 방송을 선국하면 청취자의 선국 내용이 제어부(152)를 통해 튜너(106)에 전달된다. 튜너(106)는 청취자가 선국한 방송에 해당하는 주파수의 신호만을 선택하여 후단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108)로 전달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108)는 수신된 방송 신호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후단의 전력 증폭기(110)로 전달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108)의 디지털 신호 처리는 수신된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디지털 방송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108)에서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통해, 방송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지털 신호 처리를 통해 방송 신호의 송출 국가와 송출 방송국, 방송 제목(프로그램 제목), 컨텐츠의 종류(형태)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108)에서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통해, 해당 방송의 변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변조 정보는 변조 지수(modulation index)와 주파수 편이(frequency deviation) 가운데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특히, 주파수 편이는 최대 주파수 편이(maximum frequency deviation)일 수 있다.
제어부(152)는 수신된 방송 신호의 변조 정보(즉, 변조 지수와 최대 주파수 편이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전력 증폭기(110)의 볼륨을 일정한 값으로 조정함으로써 스피커(112)를 통해 출력되는 음량이 미리 설정된 음량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음량'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자동차의 오디오 기기(또는 비디오 기기)에 설정되어 있는 볼륨 설정 값에 따른 음량일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이 적용된 자동차의 탑승자(청취자)가 해당 자동차의 오디오 기기(또는 비디오 기기)를 볼륨 설정 값 25, 80dB의 출력이 발생하도록 설정한 상태이면, 제어부(152)는 볼륨 설정 값 및 출력(dB)이 상이한 다른 방송을 수신하더라도 볼륨 설정 값 25에서 80dB의 출력이 발생하도록 전력 증폭기(110)의 볼륨을 조정한다.
제어부(152)가 스피커(112)를 통해 출력되는 음량이 미리 설정된 음량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은, 라디오 방송 또는 텔레비전 방송의 음량이 방송마다 서로 다를 수 있고, 이로 인해 스피커(112)를 통해 출력되는 음량이 일관되지 않아서 청취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A 방송'은 볼륨 설정 값 25에서 80dB의 음량이 출력되는 반면, 'B 방송'은 동일한 볼륨 설정 값 25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70dB의 음량이 출력된다. 이 경우 청취자는 'A 방송'을 청취하다가 'B 방송'을 청취하기 위해 볼륨을 25보다 볼륨 설정 값을 더 높게 조정해야만 'A 방송'과 동일한 음량으로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즉, 다른 방송을 듣기 위해 볼륨 설정을 조작해야 하는 불편이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볼륨 설정 값 25에서 80dB의 음량으로 'A 방송'을 청취하던 청취자가 볼륨 설정 값 25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70dB 음량의 'B 방송'으로 전환하더라도, 제어부(152)에서 전력 증폭기(110)의 제어를 통해 볼륨 설정 값 25에서 80dB의 음량으로 'B 방송'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청취자가 볼륨 설정 값을 조정하지 않더라도 'A 방송'과 'B 방송' 모두를 일정한 음량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수신된 방송의 오디오 출력 시 음량의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은 다음과 같다.
<지역(국가) 별 차이>
국가마다 방송 신호의 변조 지수(modulation index) 및 최대 주파수 편이(maximum frequency deviation)가 다를 수 있다. AM 신호의 변조 지수는 '원래 정보 신호의 최대 진폭의 크기'를 '반송파의 최대 진폭 크기'로 나눈 값이다. FM 신호의 변조 지수는 '최대 주파수 편이'를 '변조 주파수'로 나눈 값이다.
변조 지수가 너무 크면 신호의 왜곡이 발생하거나 또는 인접 주파수와의 혼신이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변조 지수가 너무 작으면 신호가 약해서 볼륨이 감소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방송의 적절한 변조 지수를 설정하는데, 이로 인해 방송마다 변조 지수가 서로 달라서 출력 음량이 방송마다 균일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는 국가 별 방송 주파수 및 주파수 편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랑스의 93.3MHz FM 방송의 경우 주파수 편이는 50KHz이다. 이와 달리, 독일의 99.1MHz FM 방송의 경우 주파수 편이는 75MHz이다. 참고로, 한국의 FM 방송의 주파수 편이는 독일과 같은 75KHz이고, 프랑스 및 독일과 같은 유럽의 국가인 영국은 100KHz로서 서로 다르다. 이처럼 주파수 편이가 국가 별로 다르기 때문에 방송 수신 장치에서 볼륨 설정 값이 동일하더라도 주파수 편이의 차이로 인해 실제로 출력되는 음량은 국가 별 방송마다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전력 증폭기(110)에 국가 별 주파수 편이에 기초한 복수의 국가 별 설정 값을 마련하고, 특정 국가의 방송 수신 시 해당 국가의 설정 값을 적용하여 전력 증폭기(110)에서의 증폭 정도를 다르게 적용함으로써 스피커(112)를 통해 출력되는 음량을 일정 값으로 유지한다. 주파수 편이에 기초한 국가 별 설정 값은 주파수 편이가 다르더라도 전력 증폭기(110)에서의 증폭 결과가 항상 일정한 값을 만족하도록 설정 값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프랑스 국적의 자동차가 독일 방송을 수신하는 경우, 프랑스 방송의 주파수 편이 75MHz와 독일 방송의 주파수 편히 50MHz의 차이인 25MHz만큼 전력 증폭기(110)의 볼륨(증폭률)을 다르게 조정함으로써, 독일 방송의 음량도 프랑스 방송의 음량과 동일한 크기로 출력되도록 한다. 이로써 청취자는 프랑스 방송을 수신하는 경우와 독일 방송을 수신한 경우 각각에 대해 오디오 음량을 조절할 필요 없이 항상 일정한 음량으로 방송을 청취할 수 있다.
<방송 형태(종류) 별 차이>
방송의 컨텐츠의 형태(종류)마다 방송 신호의 변조 지수(음성/음악)에 따라 변조 지수가 다를 수 있다. 도 3은 방송의 콘텐츠의 형태(종류)에 따른 변조 지수의 차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송 콘텐츠가 음성 위주(예를 들면 아나운서의 멘트 위주)로 구성되는 경우 실시간 변조 지수의 측정 값은 최대 16, 최소 2, 평균 6, 편차 3.32이다. 이와 다르게,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송 콘텐츠가 음악 위주로 구성되는 경우 실시간 변조 지수의 측정 값은 최대 61, 최소 22, 평균 41, 편차 7.81이다. 이와 같이, 방송 콘텐츠가 음성 위주인 경우(A)와 음악 위주인 경우(B)의 변조 지수의 평균은 각각 '6'과 '41'로서 그 차이가 매우 큰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볼륨 설정 값에서 음성 위주의 방송을 출력하는 경우와 음악 위주의 방송을 출력하는 경우 실제로 출력되는 음량의 편차도 매우 커서 청취자가 불편을 느낄 수 있을 정도이다.
도 4는 방송 콘텐츠에 따라 변조 지수가 달라지는 이유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파(carrier wave)는 일정한 진폭과 주파수를 FM 대역의 신호이다. 이 반송파에는 방송 콘텐츠에 따라 음성 위주의 콘텐츠나 음악 위주의 콘텐츠의 데이터 신호가 실려서 전송된다. 반송파에 데이터 신호를 반송파에 실을 때, 데이터 신호의 진폭은 일정하게 유지하되 데이터 신호의 크기에 비례하여 주파수가 변화하도록 한다(변조). 즉, 데이터 신호의 크기에 따라 변조율(변조 지수)가 달라진다. 아나운서 멘트와 같은 음성보다는 음악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더 크기 때문에 음성 위주의 방송의 변조 지수보다 음악 위주의 방송의 변조 지수가 상대적으로 훨씬 더 크다.
이와 같은 변조 지수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출력 음량의 불균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08)에서 방송의 변조 지수 또는 주파수 편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방송의 변조 지수 또는 주파수 편이의 정보에 따라 전력 증폭기(110)에서의 증폭 정도를 다르게 적용함으로써 스피커(112)를 통해 출력되는 실제 음량을 일정한 값으로 유지한다. 예를 들면, 방송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RDS 정보를 이용하거나 또는 방송 정보 DB(지역(국가)/방송국/콘텐츠)를 참조하여 지역(국가)/방송국/콘텐츠 별로 서로 다른 변조 지수를 참조하여 전력 증폭기(110)에서의 증폭 정도를 다르게 적용함으로써 스피커(112)를 통해 출력되는 실제 음량을 일정한 값으로 유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방송 수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방송 수신 방법을 통해, 방송 유형(예를 들면 지역(국가)/방송국/콘텐츠) 별로 서로 다른 변조 지수를 참조하여 전력 증폭기(110)에서의 증폭 정도를 다르게 적용함으로써, 스피커(112)를 통해 출력되는 실제 음량이 일정한 값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152)는 청취자가 선국한 주파수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튜너(106)를 제어하여 해당 방송의 방송 신호가 수신되도록 한다(502). 수신된 방송 신호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08)에 의해 디지털 신호 처리가 이루어진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108)에서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통해 방송 신호의 송출 국가와 송출 방송국, 방송 제목(프로그램 제목), 컨텐츠의 종류(형태) 등의 정보를 획득하고, 특히 해당 방송의 변조 지수 및 최대 주파수 편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제어부(152)는, 수신된 방송의 디지털 신호 처리 과정에서 획득한 정보로부터 해당 방송의 방송 유형을 판별한다(504). 방송 유형은, 해당 방송이 송출되는 지역(국)과 방송국, 방송 명칭, 콘텐츠의 형태(종류)의 구분과 함께, 변조 지수 및 최대 주파수 편이 등의 구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송 유형의 구분은 해당 방송의 변조 지수 및 최대 주파수 편이의 정보를 획득하여 방송 유형에 따라 전력 증폭기(110)의 볼륨을 조정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52)는 판별된 방송 유형에 따라 전력 증폭기(110)의 볼륨을 조정 및 설정한다(506). 즉, 방송마다 변조 지수 또는 주파수 편이가 서로 달라서 출력 음량이 방송마다 균일하지 않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어부(152)는 해당 방송의 변조 지수 또는 주파수 편이의 정보에 따라 전력 증폭기(110)에서의 볼륨(증폭률)을 각 방송의 변조 지수 또는 주파수 편이에 맞도록 조정한다.
이와 같은 전력 증폭기(110)의 볼륨 조정에 의해 스피커(112)에서는 설정된 볼륨으로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508). 즉, 비록 방송마다 변조 지수 또는 주파수 편이가 다르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유형 별 자동 볼륨 조정을 통해 별도의 수동 볼륨 조정 없이 항상 일정한 크기의 음량으로 오디오를 청취할 수 있다.
위의 설명은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위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2 : 안테나
104 : 저 잡음 증폭기
106 : 튜너
108 : 디지털 신호 처리부
110 : 전력 증폭기
112 : 스피커
152 : 제어부
202, 204 : 기지국

Claims (16)

  1.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 신호의 변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변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신호의 볼륨 정보를 판별하는 단계와;
    판별된 상기 볼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신호의 출력 음량이 미리 설정된 출력 음량을 따르도록 전력 증폭기의 볼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오디오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정보는 상기 방송 신호의 송출 지역과 송출 방송국, 방송 명칭, 방송 콘텐츠의 구분을 통해 획득하는 자동차의 오디오 처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정보는 상기 방송 신호의 송출 지역과 송출 방송국, 방송 명칭, 방송 콘텐츠마다 구별되는 변조 지수 및 주파수 편이 가운데 적어도 하나인 자동차의 오디오 처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콘텐츠는 음성 위주의 콘텐츠와 음악 위주의 콘텐츠로 구분하는 자동차의 오디오 처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증폭기의 볼륨 조정은, 상기 방송 신호가 미리 설정된 볼륨 설정 값의 음량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인 자동차의 오디오 처리 방법.
  6. 안테나를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는 튜너와;
    상기 방송 신호의 변조 정보를 획득하도록 마련되는 신호 처리부와;
    설정된 볼륨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전력 증폭기와;
    상기 변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신호의 볼륨 정보를 판별하고, 판별된 상기 볼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신호의 출력 음량이 미리 설정된 출력 음량을 따르도록 상기 전력 증폭기의 볼륨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정보는 상기 방송 신호의 송출 지역과 송출 방송국, 방송 명칭, 방송 콘텐츠의 구분을 통해 획득하는 자동차.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정보는 상기 방송 신호의 송출 지역과 송출 방송국, 방송 명칭, 방송 콘텐츠마다 구별되는 변조 지수 및 주파수 편이 가운데 적어도 하나인 자동차.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콘텐츠는 음성 위주의 콘텐츠와 음악 위주의 콘텐츠로 구분하는 자동차.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증폭기의 볼륨 조정은, 상기 방송 신호가 미리 설정된 볼륨 설정 값의 음량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인 자동차.
  11.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 신호의 변조 지수와 주파수 편이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 신호의 변조 지수와 주파수 편이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신호의 볼륨 정보를 판별하는 단계와;
    판별된 상기 볼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신호의 출력 음량이 미리 설정된 볼륨 설정 값의 음량을 따르도록 전력 증폭기의 볼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오디오 처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의 변조 지수와 주파수 편이 가운데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방송 신호의 송출 지역과 송출 방송국, 방송 명칭, 방송 콘텐츠의 구분을 통해 획득하는 자동차의 오디오 처리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콘텐츠는 음성 위주의 콘텐츠와 음악 위주의 콘텐츠로 구분하는 자동차의 오디오 처리 방법.
  14. 안테나를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는 튜너와;
    상기 방송 신호의 변조 지수와 주파수 편이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도록 마련되는 신호 처리부와;
    설정된 볼륨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전력 증폭기와;
    상기 방송 신호의 변조 지수와 주파수 편이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신호의 볼륨 정보를 판별하고, 판별된 상기 볼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신호의 출력 음량이 미리 설정된 볼륨 설정 값의 음량을 따르도록 상기 전력 증폭기의 볼륨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의 변조 지수와 주파수 편이 가운데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방송 신호의 송출 지역과 송출 방송국, 방송 명칭, 방송 콘텐츠의 구분을 통해 획득하는 자동차.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콘텐츠는 음성 위주의 콘텐츠와 음악 위주의 콘텐츠로 구분하는 자동차.
KR1020190000650A 2019-01-03 2019-01-03 자동차 및 자동차의 오디오 처리 방법 KR102643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650A KR102643514B1 (ko) 2019-01-03 2019-01-03 자동차 및 자동차의 오디오 처리 방법
US16/693,247 US11070915B2 (en) 2019-01-03 2019-11-23 Vehicle and audio processing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650A KR102643514B1 (ko) 2019-01-03 2019-01-03 자동차 및 자동차의 오디오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583A true KR20200084583A (ko) 2020-07-13
KR102643514B1 KR102643514B1 (ko) 2024-03-06

Family

ID=71404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650A KR102643514B1 (ko) 2019-01-03 2019-01-03 자동차 및 자동차의 오디오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070915B2 (ko)
KR (1) KR10264351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147A (ko) * 1998-08-27 2000-03-15 구자홍 오디오레벨 자동유지 방법 및 장치
KR20050060822A (ko) * 2003-12-17 2005-06-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카오디오의 볼륨 레벨 유지 방법
KR100762649B1 (ko) * 2006-08-07 2007-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단말기의 음량 자동설정 방법 및 그를위한 시스템
KR20110039560A (ko) * 2008-07-29 2011-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신호의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50086263A (ko) * 2012-11-19 2015-07-27 하만인터내셔날인더스트리스인코포레이티드 오디오 라우드니스 제어 시스템
JP2016523006A (ja) * 2013-03-26 2016-08-04 ドルビー ラボラトリーズ ライセンシング コーポレイション ボリューム平準化器コントローラおよび制御方法
US9565508B1 (en) * 2012-09-07 2017-02-07 MUSIC Group IP Ltd. Loudness level and range processi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2569A (ja) * 2001-11-15 2003-05-23 Nissan Motor Co Ltd サテライトラジオ
US7502589B2 (en) * 2002-12-06 2009-03-10 Bose Corporation Supplemental broadcast data processing
DE102011113133B4 (de) * 2011-09-14 2013-04-11 Technisat Digital Gmbh Verfahren zum einstellen der wiedergabelautstärke einer rundfunkempfangseinrichtung
CN203840326U (zh) * 2014-03-12 2014-09-17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载收音机控制系统及汽车
KR101958664B1 (ko) * 2017-12-11 2019-03-18 (주)휴맥스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시스템에서 다양한 오디오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147A (ko) * 1998-08-27 2000-03-15 구자홍 오디오레벨 자동유지 방법 및 장치
KR20050060822A (ko) * 2003-12-17 2005-06-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카오디오의 볼륨 레벨 유지 방법
KR100762649B1 (ko) * 2006-08-07 2007-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단말기의 음량 자동설정 방법 및 그를위한 시스템
KR20110039560A (ko) * 2008-07-29 2011-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신호의 처리 방법 및 장치
US9565508B1 (en) * 2012-09-07 2017-02-07 MUSIC Group IP Ltd. Loudness level and range processing
KR20150086263A (ko) * 2012-11-19 2015-07-27 하만인터내셔날인더스트리스인코포레이티드 오디오 라우드니스 제어 시스템
JP2016523006A (ja) * 2013-03-26 2016-08-04 ドルビー ラボラトリーズ ライセンシング コーポレイション ボリューム平準化器コントローラおよび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70915B2 (en) 2021-07-20
KR102643514B1 (ko) 2024-03-06
US20200221226A1 (en) 202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91740A2 (en) Radio station memory presets with stored audio effects
US20110110464A1 (en) Radio broadcast receiver
US20060002573A1 (en) Radio receiver volume control system
US20120316663A1 (en) Radio broadcast reception device
KR20050117301A (ko) 아날로그 방송과 디지털 방송의 음향신호의 자동보정장치및 그 보정방법
KR102643514B1 (ko) 자동차 및 자동차의 오디오 처리 방법
US4569073A (en) Asymmetrical sideband transmission
EP0691736A1 (en) Control of audio effects in radio receivers
JP2006109121A (ja) ラジオ放送受信機及びその制御方法
JP4219535B2 (ja) 放送受信装置
JP2016134645A (ja)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方法
JP7054751B2 (ja)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方法
JPH02127808A (ja) 車載音響装置における自動音量調整装置
JP3237491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US8611438B2 (en) Broadcast receiver
JPH03106129A (ja) ラジオデータシステム受信機
JP2002359569A (ja) 放送受信装置
JP2703600B2 (ja) 受信装置
KR0171739B1 (ko) 카 오디오의 주파수 자동 선국장치 및 방법
RU2007043C1 (ru) Радиопри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S6223500B2 (ko)
KR20100111477A (ko) 라디오의 주파수 자동 선국 방법
JP2005005818A (ja) ラジオ受信機
JP2014204189A (ja)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方法
KR100635536B1 (ko) 노이즈 커브 조절 기능이 구비된 카오디오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