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3288A -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 Google Patents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3288A
KR20200083288A KR1020190175141A KR20190175141A KR20200083288A KR 20200083288 A KR20200083288 A KR 20200083288A KR 1020190175141 A KR1020190175141 A KR 1020190175141A KR 20190175141 A KR20190175141 A KR 20190175141A KR 20200083288 A KR20200083288 A KR 20200083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blade
operation lever
return
unit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시 기타무라
도모히로 무라타
아키오 나이토
고우지 가와구치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83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32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14Platen-shift mechanisms; Driving gear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18Platen-impression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20Platen adjustments for varying the strength of impression, for a varying number of papers, for wear or for alignment, or for print gap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24Detents, brakes, or couplings for feed rollers or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Landscapes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인자 유닛으로서, 기록지에 인자하는 서멀 헤드를 갖는 헤드 유닛과, 기록지를 반송하는 플래튼 롤러를 갖고, 헤드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는 플래튼 유닛과, 헤드 유닛 및 플래튼 유닛 중 한쪽에 설치된 고정 날과, 헤드 유닛 및 플래튼 유닛 중 다른쪽에 설치되고, 고정 날에 대해서 상대 이동 가능한 가동 날과, 가동 날에 연결된 구동 랙을 갖고, 고정 날로부터 떨어진 대기 위치와, 고정 날에 올라앉은 절단 위치의 사이에서 가동 날을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와, 헤드 유닛에 대해서 플래튼 유닛을 잠그는 록 위치와, 헤드 유닛에 대한 플래튼 유닛의 잠금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조작 레버와, 가동 날이 절단 위치에 멈추어진 상태에 있어서, 조작 레버와 연동하여, 구동 랙을 통해 가동 날을 절단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측으로 이동시키는 복귀 기구를 구비하고, 복귀 기구는, 가동 날이 절단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록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를 향한 조작 레버의 조작에 수반하는 동력을 구동 기구에 전달하여, 가동 날을 대기 위치를 향해서 이동시키며, 또한, 조작된 조작 레버를 해제 위치측으로부터 록 위치로 복귀시키는 레버 복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PRINTING UNIT AND THERMAL PRINTER}
본 발명은,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서멀 프린터에는 인자 유닛이 구비되어 있다. 인자 유닛은, 가동 날을 대기 위치부터 절단 위치까지 이동시킴으로써, 가동 날과 고정 날의 사이에서 종이를 절단하는 유닛이다. 가동 날을 절단 위치까지 이동시켜 종이의 절단을 행할 때, 가동 날과 고정 날의 사이에 종이 잼(즉, 종이 걸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가동 날이 고정 날에 올라앉은 위치에서 멈추어 버리는 것이 생각된다.
이러한 종이 잼을 해제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조작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가동 날과 고정 날의 사이에 간극을 두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가동 날과 고정 날의 사이에 간극을 설치함으로써, 종이 잼의 부하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가동 날을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홈 포지션(이하, 대기 위치라고 한다)으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고정 날과 가동 날의 사이에 간극을 설치하는 종래의 구성에서는, 간극보다 큰 종이 잼이 발생한 경우에, 종이 잼의 부하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어렵다. 이로 인해, 조작 레버의 1회의 조작으로 고정 날과 가동 날의 사이에 간극을 설치했다고 하더라도, 가동 날이 되돌아오지 않을 우려가 있다. 그로 인해, 조작 레버를 몇 번이든 조작하여 종이 잼을 해제할 필요가 있으며, 종이 잼의 해제성이 낮다.
또한 종이 잼을 해제할 수 없는 경우에는, 가동 날이 고정 날에 올라앉은 위치에서 멈춘 채로 상태가 유지된다. 그로 인해, 고정 날이 장착된 프린터의 커버를 열지 못하고, 고정 날 및 가동 날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것도 할 수 없다. 따라서, 간극보다 큰 종이 잼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 종이 잼을 해제하는 것이 어려워, 개량의 여지가 남아 있었다.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에 관련하는 기술 분야에서는, 종이 잼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는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가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는 인자 유닛은, 기록지에 인자하는 서멀 헤드를 갖는 헤드 유닛과, 상기 기록지를 반송하는 플래튼 롤러를 갖고, 상기 헤드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는 플래튼 유닛과,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유닛 중 한쪽에 설치된 고정 날과,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유닛 중 다른쪽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 날에 대해서 상대 이동 가능한 가동 날과, 상기 가동 날에 연결된 구동 랙을 갖고, 상기 고정 날로부터 떨어진 대기 위치와, 상기 고정 날에 올라앉은 절단 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가동 날을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와, 상기 헤드 유닛에 대해서 상기 플래튼 유닛을 잠그는 록 위치와, 상기 헤드 유닛에 대한 상기 플래튼 유닛의 잠금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조작 레버와, 상기 가동 날이 상기 절단 위치에 멈추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와 연동하여, 상기 구동 랙을 통해 상기 가동 날을 상기 절단 위치로부터 상기 대기 위치측으로 이동시키는 복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복귀 기구는, 상기 가동 날이 상기 절단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록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를 향한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에 수반하는 동력을 상기 구동 기구에 전달하여, 상기 가동 날을 상기 대기 위치를 향해서 이동시키며, 또한, 조작된 상기 조작 레버를 상기 해제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록 위치로 복귀시키는 레버 복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는 인자 유닛에서는, 상기 레버 복귀 기구는, 상기 조작 레버의 이동에 수반하여 회전함과 더불어 제1 결합부를 갖는 클러치 부재와, 상기 클러치 부재를 둘러싸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클러치 부재가 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상기 제1 결합부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갖고, 상기 구동 기구와의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 가능한 래칫 휠과, 상기 조작 레버를 상기 해제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록 위치를 향해서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날이 상기 절단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록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측을 향해서 상기 조작 레버가 조작되었을 때에,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클러치 부재 및 상기 래칫 휠이 함께 회전하여, 상기 래칫 휠로부터 상기 구동 기구에 동력을 전달시키며, 상기 가동 날이 상기 절단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탄성 가압 부재에 의해서 상기 해제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록 위치측을 향해서 상기 조작 레버가 이동했을 때에,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가 비(非)결합 상태가 되어, 상기 래칫 휠에 대해서 상기 클러치 부재가 공전한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는 인자 유닛에서는, 상기 복귀 기구는, 상기 구동 랙에 형성된 복귀 랙과, 상기 복귀 랙의 랙 톱니에 맞물리는 복귀 피니언을 구비하고, 상기 래칫 휠에는, 상기 복귀 피니언과 맞물리는 바깥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는 인자 유닛에서는, 상기 복귀 기구는, 상기 조작 레버의 회전축선과 동축 상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클러치 부재에 연결된 선 기어와, 상기 선 기어에 맞물림과 더불어, 상기 조작 레버의 이동에 수반하여 공전하는 플래니터리 기어와, 상기 플래니터리 기어의 공전시에, 상기 플래니터리 기어가 맞물리는 인터널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플래니터리 기어는,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록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인터널 기어에 대한 맞물림이 풀려 공전이 허용된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는 인자 유닛에서는, 상기 복귀 기구는, 상기 플래니터리 기어의 공전시, 상기 인터널 기어에 대해서 소정의 맞물림 관계로 상기 플래니터리 기어가 맞물리도록, 상기 인터널 기어에 대한 상기 플래니터리 기어의 자세를 교정하는 교정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는 인자 유닛에서는, 상기 교정 부재는, 상기 플래니터리 기어에 있어서의 플래니터리 톱니부와, 상기 인터널 기어에 있어서의 인터널 톱니부 중 상기 플래니터리 기어가 최초로 맞물리는 제1 톱니째의 인터널 톱니부의 톱니끝들이 비접촉이 되는 맞물림 관계가 되도록, 상기 플래니터리 기어의 자세를 교정한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는 인자 유닛에서는, 상기 교정 부재는, 상기 인터널 기어보다 상기 조작 레버의 상기 록 위치측에 배치되고, 상기 플래니터리 톱니부가 미끄럼 접촉하는 탄성체가 되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플래니터리 톱니부의 미끄럼 접촉시에 탄성 변형함과 더불어, 탄성 복원 변형에 수반하여 상기 플래니터리 기어의 위상을 어긋나게 한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는 인자 유닛에서는, 상기 랙 톱니는, 상기 가동 날이 상기 절단 위치에 위치했을 때에 상기 복귀 피니언에 대해서 맞물리고, 또한 상기 가동 날이 상기 대기 위치에 위치했을 때에 상기 복귀 피니언에 대한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상기 가동 날에 있어서의 날끝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는 인자 유닛에서는, 상기 가동 날이 상기 절단 위치에 멈추어졌을 때, 상기 록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를 향한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 스트로크량은, 상기 조작 레버에 의한 복수 회의 조작으로, 상기 가동 날을 상기 절단 위치로부터 상기 대기 위치로 되돌리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는 인자 유닛에서는, 상기 조작 스트로크량은, 상기 조작 레버에 의한 2회의 조작으로, 상기 가동 날을 상기 절단 위치로부터 상기 대기 위치로 되돌리도록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는 서멀 프린터는, 상기 기록지를 수용하는 기록지 수용부를 가짐과 더불어,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유닛 중 상기 가동 날이 설치된 유닛이 장착된 프린터 본체와,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유닛 중 상기 고정 날이 설치된 유닛이 장착되고, 상기 프린터 본체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프린터 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는 서멀 프린터의 사시도이며, 프린터 커버를 닫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프린터 커버가 열린 상태에 있어서의 서멀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인자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인자 유닛의 고정 날과 가동 날의 사이에서 기록지를 절단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V-V선을 따른 인자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인자 유닛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한 인자 유닛의 복귀 기구 및 조작 레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한 인자 유닛의 복귀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한 인자 유닛의 록 해제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가동 날이 대기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인자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를 조작하여, 플래튼 유닛의 잠금을 해제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를 록 위치로 복귀시키는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가동 날과 고정 날의 사이에 종이 잼이 발생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를 조작(1회째의 조작)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를 록 위치로 복귀시키는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를 재차 조작(2회째의 조작)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복귀 기구 및 조작 레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코일 스프링을 떼어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가동 날이 대기 위치에 위치하고, 또한 조작 레버가 록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인자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7에 도시한 화살표(W) 방향에서 본 코일 스프링 주변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플래니터리 기어가 인터널 기어를 향해서 공전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플래니터리 기어가 더욱 공전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플래니터리 기어가 더욱 공전하여, 플래니터리 톱니부의 대응하는 것이 인터널 기어의 제1 톱니째의 인터널 톱니부에 대해서 맞물린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4는,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복귀 기구 및 조작 레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탄성체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멀 프린터(1)는, 롤지(R)로부터 인출된 기록지(P)(예를 들어 감열지)에 인쇄를 행하여, 기록지(P)를 티켓이나 영수증 등으로써 이용할 수 있는 프린터(단말)이다. 서멀 프린터(1)는, 케이싱(본 발명에 따르는 프린터 본체)(2)과, 프린터 커버(3)와, 프린터 커버(3)측에 설치된 플래튼 유닛(4)과, 케이싱(2)측에 설치된 헤드 유닛(5)을 구비하고 있다. 플래튼 유닛(4) 및 헤드 유닛(5)으로 인자 유닛(8)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한 프린터 커버(3)의 닫힘 위치에 있어서, 지면에 대해서 좌하측(프린터 커버(3)측)을 전방(화살표(FW) 방향), 우상측(케이싱(2)측)을 후방(화살표(BA) 방향), 상측을 상방, 하측을 하방으로 한다. 또, 기록지(P)는 전방(FW)으로 배출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전후 방향(L1) 및 상하 방향(L2)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L3)으로 한다.
케이싱(2)은, 예를 들어 수지 재료나 금속 재료, 혹은 이들을 적당히 조합함으로써, 전방(FW)에 개구하는 큐브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케이싱(2)의 형상은,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적당히 변경해도 상관없다. 케이싱(2)은, 기본 골격이 되는 프레임체와, 프레임체를 덮는 외장 커버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2)의 내부에는, 롤지(R)가 수용되는 기록지 수용부(10)가 형성되고, 프린터 커버(3)를 여는 것으로써 기록지 수용부(10)가 전방(FW)에 개방된다.
기록지 수용부(10)는, 상기 서술한 프레임체의 일부에 의해 구성된 전방(FW)을 향해서 개구하는 상자형이 되고, 그 내측에 롤지(R)가 폭 방향을 좌우 방향(L3)에 일치시킨 상태로 수용된다.
케이싱(2)의 개구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하부에는, 좌우 방향(L3)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1 회동축(11)이 배치되어 있다. 제1 회동축(11)에는, 프린터 커버(3)가 케이싱(2)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프린터 커버(3)는, 케이싱(2)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닫힘 위치(도 1에 도시한 위치)와, 케이싱(2)의 개구부를 개방하는 열림 위치(도 2에 도시한 위치)의 사이에서 90도 정도의 각도 범위로 회동한다. 이로써, 케이싱(2)의 개구부(즉, 기록지 수용부(10))가 프린터 커버(3)로 개폐된다. 또한, 프린터 커버(3)가 열림 위치일 때에, 예를 들어 롤지(R)를 기록지 수용부(10) 내에 투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이른바 드롭 인 방식).
서멀 프린터(1)는, 프린터 커버(3)가 닫힘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프린터 커버(3)의 선단부와 케이싱(2)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비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록지(P)는, 이 간극을 이용하여 케이싱(2)의 내부로부터 전방(FW)으로 인출된다. 따라서, 약간의 간극은 기록지(P)의 배출구(12)로서 기능한다.
케이싱(2) 및 프린터 커버(3)는, 프린터 커버(3)가 닫힘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플래튼 유닛(4)과 헤드 유닛(5)의 조합에 수반하여 잠긴다. 케이싱(2)에 있어서의 상부 전측에 위치하는 모서리부 중, 좌우 방향(L3)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모서리부에는, 플래튼 유닛(4)과 헤드 유닛(5)의 조합(잠금)을 해제하여, 프린터 커버(3)의 열림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 레버(13)가 설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유닛(5)은, 서멀 헤드(도시 생략) 및 가동 날(22)이 주로 탑재된 유닛이며, 케이싱(2) 내에 있어서의 상부 전측에 배치되어 있다. 헤드 유닛(5)은, 케이싱(2)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연장되어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내부 플레이트 상에 고정되어, 기록지 수용부(10)보다 전방(FW)에서 유지되어 있다.
헤드 유닛(5)은, 헤드 프레임(23)과, 서멀 헤드와, 가동 날(22)과, 구동 기구(24)와, 조작 레버(25)와, 복귀 기구(26)와, 록 해제 기구(27)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헤드 프레임(23)은, 예를 들어 금속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있다. 서멀 헤드는, 좌우 방향(L3)을 따라서 라인형으로 늘어선 복수의 발열 소자를 갖고 있다.
플래튼 유닛(4)은, 프린터 커버(3)의 내면의 상부에 있어서, 보강 부재(31)와 전후 방향(L1)으로 겹치는 위치에 장착되고, 프린터 커버(3)의 개폐 동작에 수반하여 헤드 유닛(5)에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래튼 유닛(4)은 플래튼 롤러(33)와, 고정 날(34)과, 플래튼 프레임(35)을 구비하고 있다.
플래튼 롤러(33)는, 기록지(P)를 프린터 커버(3)의 외부로 반송하는 롤러이다. 고정 날(34)은, 프린터 커버(3)의 내부에 설치되고, 플래튼 롤러(33)에 대해서 전방(FW)에 배치되어 있다. 플래튼 프레임(35)은, 플래튼 롤러(33) 및 고정 날(34)을 지지하는 프레임이다. 이와 같이, 고정 날(34)은 프린터 커버(3)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날(22)을 구동시키는 구동 기구(24)를 프린터 커버(3)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프린터 커버(3)의 경량화가 도모되며, 프린터 커버(3)를 개폐할 때의 조작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서멀 헤드는, 프린터 커버(3)가 닫힘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플래튼 롤러(33)에 대향하여, 플래튼 롤러(33)와의 사이에 기록지(P)를 통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서멀 헤드와 플래튼 롤러(33)의 사이에는, 서멀 헤드를 하방(플래튼 롤러(33)측)을 향해서 탄성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이 개재되어 있다. 이로써, 플래튼 롤러(33)에 의해서 송출되는 기록지(P)에 대해서 서멀 헤드를 확실히 누를 수 있으며, 인자 유닛(8)에 의한 양호한 인쇄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날(22)은, 구동 기구(24)를 통해 케이싱(2)(도 2 참조)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4는 가동 날(22)을 이동시켜, 고정 날(34)과 가동 날(22)의 사이에서 기록지(P)를 절단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가동 날(22)은, 프린터 커버(3)가 닫힘 위치(도 1 참조)에 배치되고, 헤드 유닛(5)과 플래튼 유닛(4)이 조합된 상태에 있어서, 고정 날(34)에 전후 방향(L1)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가동 날(22)은, 근원(22a)으로부터 날끝(22b)까지의 길이가 양단으로부터 중앙을 향해서 점차 짧아지도록 형성된 V자형의 판형 날로 되어 있다.
가동 날(22)은, 가동 날 홀더(29)를 통해 구동 기구(24)의 구동 랙(46)에 장착되어 있다. 가동 날(22)은, 구동 기구(24)의 동작에 의해서 헤드 프레임(23)에 대해서 상하 방향(L2)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가동 날(22)은 고정 날(34)에 대해서 상하 방향(L2)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기구(24)는, 절단 위치(P1)와 대기 위치(P2)로 가동 날(22)을 이동시키는 기구이다. 절단 위치(P1)란, 가동 날(22)이 고정 날(34)에 올라앉고, 가동 날(22)이 고정 날(34)과 함께 기록지(P)를 절단하는 위치(도 4 참조)이다. 대기 위치(P2)란, 고정 날(34)로부터 가동 날(22)이 떨어진 위치(도 3 참조)이다. 구체적으로는, 구동 기구(24)는, 구동용 모터(M1)와, 제1~제4 구동 톱니(41~44)와, 구동 피니언(45)과, 구동 랙(46)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용 모터(M1)는,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이다. 제1 구동 톱니(41)는, 구동용 모터(M1)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있다. 제1 구동 톱니(41)는, 제2~제4 구동 톱니(42~44)를 통해 구동 피니언(45)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 피니언(45)은, 피니언 지지축(48)에 동축 상에 장착되어 있다. 피니언 지지축(48)은 구동 피니언(45)과 함께 일체로 회전한다. 구동 피니언(45)은, 좌우 방향(L3)에 각각 한 쌍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구동 피니언(45)은, 좌우 방향(L3)의 구동 랙(46)에 맞물려 있다. 한 쌍의 구동 피니언(45)은, 피니언 지지축(4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구동 랙(46)에는, 대기 위치(P2)측의 단부(상단부)로부터 절단 위치(P1)측의 단부(하단부)에 걸쳐 복수의 구동 랙 톱니(47)가 형성되어 있다. 즉, 구동 랙(46)에는, 전역에 걸쳐 구동 랙 톱니(47)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 랙(46)은, 가동 날 홀더(29)의 좌우 방향(L3)을 따르는 양단부에 장착되고, 상하 방향(L2)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즉, 구동 랙(46)에는 가동 날 홀더(29)를 통해 가동 날(22)이 장착되어 있다. 이하, 구성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구동용 모터(M1)측의 구동 피니언(45) 및 구동 랙(46)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 구동용 모터(M1)와는 좌우 방향(L3)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구동 피니언(45) 및 구동 랙(46)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구동용 모터(M1)가 정회전함으로써, 구동용 모터(M1)의 회전이 제1~제4 구동 톱니(41~44)를 거쳐 구동 피니언(45)에 전해진다. 이로써, 구동 피니언(45)이 도 3에 도시한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 랙(46)이 복귀 기구(26)의 복귀 랙(64)(후술한다)과 함께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한다. 구동 랙(46)이 이동함으로써, 구동 랙(46)과 함께 가동 날(22)이 화살표(B) 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이로써, 가동 날(22)을 절단 위치(P1)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구동용 모터(M1)가 역회전함으로써, 구동용 모터(M1)의 회전이 제1~제4 구동 톱니(41~44)를 거쳐 구동 피니언(45)에 전해진다. 이로써, 구동 피니언(45)이 도 3에 도시한 화살표(C) 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 랙(46)이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화살표(D) 방향으로 이동한다. 구동 랙(46)이 이동함으로써, 구동 랙(46)과 함께 가동 날(22)이 화살표(D) 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이로써, 가동 날(22)을 대기 위치(P2)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25)는, 헤드 프레임(23)의 측벽부(23a)측에 레버 지지축(52)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조작 레버(25)는, 도 6에 도시한 조작력(F1)에 의해 레버 지지축(52)을 축으로 하여 록 위치(P3)로부터, 후술하는 접촉 위치(P4)나 해제 위치(P5)를 향해서 후방(화살표(BA)방향)으로 압입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레버 지지축(52)은, 케이싱(2)의 외장 커버(53)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록 위치(P3)란, 헤드 유닛(5)에 대해서 플래튼 유닛(4)이 잠금 상태에 유지되는 위치를 말한다. 접촉 위치(P4)란, 조작 레버(25)의 후술하는 레버 돌기부(57)가 후술하는 릴리즈 캠(91)의 캠 돌기부(97)에 맞닿는 위치를 말한다. 해제 위치(P5)란, 헤드 유닛(5)에 대한 플래튼 유닛(4)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위치를 말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25)는, 외측면(25a)으로부터 플래니터리축(55)이 외측을 향해서 돌출되고, 외측면(25a)에 걸림 홈부(5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25)는, 내측면(25b)으로부터 레버 돌기부(57)가 내측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또한, 플래니터리축(55), 걸림 홈부(56) 및 레버 돌기부(57)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조작 레버(25)는, 후술하는 클러치 부재(73) 및 선 기어(66)에 대해서 레버 지지축(52)을 통해 동축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클러치 부재(73) 및 선 기어(66)는, 조작 레버(25)의 회전축선과 동축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클러치 부재(73) 및 선 기어(66)는, 복귀 기구(26)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재이다.
조작 레버(25)의 선단부(25c)는, 조작 레버(13)에 있어서의 연결체(16)(도 2 참조)의 내측에 끼워맞춰져 있다. 그로 인해, 조작 레버(25)는, 조작 레버(13)의 조작에 연동하여 조작된다. 이로써, 조작 레버(13)를 록 위치로부터 릴리즈 위치로 조작함으로써, 조작 레버(25)가 록 위치(P3)로부터 해제 위치(P5)를 향해서 조작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귀 기구(26)는, 가동 날(22)을 절단 위치(P1)로부터 대기 위치(P2)측을 향해서 되돌리는 기구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5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귀 기구(26)는, 가속 기구(61)와, 레버 복귀 기구(62)와, 복귀 피니언(63)과, 복귀 랙(64)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복귀 기구(26)는, 종이 잼의 발생에 의해서 가동 날(22)이 절단 위치(P1)에 멈추어진 상태에 있어서, 조작 레버(25)와 연동하여 가동 날(22)을 대기 위치(P2)측을 향해서 이동시킨다. 가속 기구(61)는, 선 기어(66)와, 플래니터리 기어(67)와, 인터널 기어(68)를 구비하고 있다. 선 기어(66)는, 후술하는 래칫 기구(72)의 클러치 부재(73)와 함께 작동하도록 레버 지지축(5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선 기어(66)는, 클러치 베이스(77)의 내면(77a)에 일체로 형성되고, 클러치 부재(73)에 대해서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즉, 선 기어(66) 및 래칫 기구(72)는, 조작 레버(25)의 회전 중심에 대해 동축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선 기어(66)에 맞물리도록 플래니터리 기어(67)가 배치되어 있다.
플래니터리 기어(67)는, 조작 레버(25)에 플래니터리축(55)(도 6 참조)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플래니터리축(55)은, 레버 지지축(52)에 대해서 오프셋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 레버(25)가 레버 지지축(52)을 축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조작 레버(25)의 이동에 추종하여 플래니터리축(55)(즉, 플래니터리 기어(67))이 레버 지지축(52)을 중심으로 하여 공전한다.
플래니터리 기어(67)에 인터널 기어(68)가 맞물림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인터널 기어(68)는, 커버 만곡부(53a)의 내주에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 만곡부(53a)는, 인자 유닛(8)(도 6 참조)의 측부를 덮는 외장 커버(53)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인터널 기어(68)는, 조작 레버(25)가 록 위치(P3)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플래니터리 기어(67)와의 맞물림이 회피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레버(25)가 록 위치(P3)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커버 만곡부(53a)의 내주부(53b)에 플래니터리 기어(67)가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조작 레버(25)가 록 위치(P3)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플래니터리 기어(67)의 공전이 허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속 기구(61)에 의하면, 조작 레버(25)가 록 위치(P3)로부터 접촉 위치(P4)나 해제 위치(P5)를 향해서 조작됨으로써, 조작 레버(25)의 이동에 추종하여 플래니터리 기어(67)가 인터널 기어(68)를 향해서 공전한다. 플래니터리 기어(67)가 공전함으로써 인터널 기어(68)에 맞물린다. 그리고, 더 나은 조작 레버(25)의 조작에 의해, 플래니터리 기어(67)가 인터널 기어에 맞물리면서 회전(자전)한다. 플래니터리 기어(67)가 회전함으로써, 조작 레버(25)의 이동에 추종하여 선 기어(66)가 회전한다.
레버 복귀 기구(62)는, 래칫 기구(72)와, 탄성 가압 부재(75)를 포함하고 있다. 래칫 기구(72)는, 클러치 부재(73)와, 래칫 휠(74)을 포함하고 있다.
레버 복귀 기구(62)는, 가동 날(22)이 절단 위치(P1)에서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조작 레버(25)가 록 위치(P3)로부터 접촉 위치(P4)나 해제 위치(P5)를 향해서 조작될 때에, 조작 레버(25)의 조작력(누르는 힘)(F1)을 구동 기구(24)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력(F1)을 복귀 랙(64)을 거쳐 구동 랙(46)에 전달한다. 조작력(F1)이 구동 기구(24)에 전달됨으로써, 가동 날(22)이 대기 위치(P2)측을 향해서 이동한다. 또한 레버 복귀 기구(62)는, 접촉 위치(P4)나 해제 위치(P5)까지 조작된 조작 레버(25)를 탄성 가압 부재(75)에 의해 록 위치(P3)로 복귀시킨다.
도 6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부재(73)는, 클러치 베이스(77)와, 한 쌍의 클러치 톱니부(본 발명에 따르는 제1 결합부)(78)를 갖는다. 클러치 베이스(77)는, 원판형의 내면(77a)에 선 기어(66)가 동축 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 베이스(77)는, 선 기어(66)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레버 지지축(52)에 지지되어 있다. 클러치 베이스(77)의 외주부(77b)에, 한 쌍의 클러치 톱니부(78)가 축 대칭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 톱니부(78)는, 아암부(78a)와, 맞물림 클로(78b)를 갖는다. 아암부(78a)는, 클러치 베이스(77)의 외주부(77b)에 아암 기초부(78c)가 일체로 형성되고, 아암 기초부(78c)로부터 외주부(77b)에 대해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암부(78a)는, 좌우 방향(L3)의 외측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아암 기초부(78c)로부터 클러치 베이스(77)의 외주부(77b)를 따라서 맞물림 클로(78b)까지 반시계 회전 방향을 향해서 만곡하게 연장되어 있다. 즉, 아암부(78a)는, 클러치 베이스(77)의 외주부(77b)에 아암 기초부(78c)에서 캔틸레버 지지되고, 아암 기초부(78c)를 지지점으로 하여 외주부(77b)를 향해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아암부(78a)의 선단에는 맞물림 클로(78b)가 형성되어 있다. 맞물림 클로(78b)는, 반경 방향 외측의 선단이 래칫 휠(74)의 안쪽 톱니(74a)(후술한다)에 맞물림 가능하게 반시계 회전 방향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베이스(77)가 선 기어(66)와 일체로 레버 지지축(52)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클러치 부재(73)는, 레버 지지축(5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레버 지지축(52)에는, 조작 레버(25), 선 기어(66) 및 클러치 부재(73)의 각 회전 중심이 동축 상에 지지되어 있다. 클러치 부재(73)는, 선 기어(66)와 함께 작동하도록, 선 기어(66)에 대해서 동축 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선 기어(66)는, 조작 레버(25)의 이동에 추종하여 회전한다. 따라서, 선 기어(66)와 함께, 클러치 부재(73)가 조작 레버(25)의 이동에 추종하여 회전한다. 클러치 부재(73)에 맞물림 가능하게 래칫 휠(74)이 배치되어 있다.
래칫 휠(74)은, 휠 베이스(81)(도 3 참조)와, 래칫부(82)를 갖는다. 휠 베이스(81)는, 선 기어(66) 및 클러치 부재(73)에 대해서 동축 상에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클러치 부재(73)에 대해서 좌우 방향(L3)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휠 베이스(81)는, 선 기어(66) 및 클러치 부재(73)와 동일하게, 레버 지지축(5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휠 베이스(81)의 외주부에 래칫부(82)가 동축 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래칫부(82)는, 클러치 부재(73)의 경방향의 외측(즉, 한 쌍의 클러치 톱니부(78))을 덮도록 환상으로 형성되고, 클러치 부재(73)에 대해서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래칫부(82)는, 내주면에 환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안쪽 톱니(본 발명에 따르는 제2 결합부)(74a)와, 외주면에 환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바깥 톱니(74b)를 갖는다.
안쪽 톱니(74a) 및 바깥 톱니(74b)의 개수는, 조작 레버(25)의 조작량(조작 스트로크량)을 고려하여 적당히 선택된다. 바깥 톱니(74b)는, 래칫부(82)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복귀 피니언(63)에 맞물려 있다. 안쪽 톱니(74a)는, 좌우 방향(L3)의 외측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클러치 부재(73)가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맞물림 클로(78b)에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클러치 부재(73) 및 래칫 휠(74)은, 한 쌍의 맞물림 클로(78b)와 안쪽 톱니(74a)가 서로 맞물림으로써 연결되는 맞물림 클러치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 레버(25)가 록 위치(P3)로부터 접촉 위치(P4)나 해제 위치(P5)측을 향해서 조작될 때에, 좌우 방향(L3)의 외측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선 기어(66)가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선 기어(66)와 함께 클러치 부재(73)가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클러치 부재(73)의 맞물림 클로(78b)가 래칫 휠(74)의 안쪽 톱니(74a)에 맞물려, 클러치 부재(73)와 함께 래칫 휠(74)이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래칫 휠(74)은, 가속 기구(61)에 의해, 조작 레버(25)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조작 레버(25)의 조작 스트로크량에 대해서 래칫 휠(74)의 회전량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즉, 조작 레버(25)의 조작 스트로크량을 작게 억제한 상태로, 가동 날(22)을 대기 위치(P2)로 되돌리기 위해서 필요한 래칫 휠(74)의 회전량을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가동 날(22)을 대기 위치(P2)로 되돌릴 때에, 조작 레버(25)의 조작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 안쪽 톱니(74a)는, 좌우 방향(L3)의 외측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클러치 부재(73)가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아암부(78a)의 탄성 변형에 의해 맞물림 클로(78b)가 안쪽 톱니(74a)를 타고넘는다. 이로써, 안쪽 톱니(74a)는, 클러치 부재(73)가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맞물림 클로(78b)와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안쪽 톱니(74a)와 맞물림 클로(78b)의 맞물림이 해제됨으로써, 클러치 부재(73)가 시계 회전 방향으로 공전한다.
조작 레버(25)는, 접촉 위치(P4)나 해제 위치(P5)로부터 록 위치(P3)를 향해서 탄성 가압 부재(75)의 탄성 가압력으로 복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 레버(25)가 록 위치(P3)를 향해서 복귀할 때에, 플래니터리 기어(67)를 통해 선 기어(66)가, 좌우 방향(L3)의 외측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선 기어(66)와 함께 클러치 부재(73)가, 조작 레버(25)의 이동에 추종하여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안쪽 톱니(74a)와 맞물림 클로(78b)의 맞물림이 해제됨으로써, 클러치 부재(73)가 시계 회전 방향으로 공전한다.
이하, 좌우 방향(L3)의 외측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클러치 부재(73)의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을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이라고 약기하고, 클러치 부재(73)의 시계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을 「시계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이라고 약기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가압 부재(75)는, 지지 핀(85)에 지지된 코일부(75a)와, 외장 커버(53)에 걸린 제1 단부(75b)와, 조작 레버(25)의 걸림 홈부(56)에 걸린 제2 단부(75c)를 갖는다. 이로써, 조작 레버(25)는, 탄성 가압 부재(75)의 탄성 가압력으로 레버 스토퍼(도시하지 않음)에 맞닿은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록 위치(P3)에 위치 결정된다. 단, 탄성 가압 부재(75)로는 상기 서술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판 스프링 등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조작 레버(25)는, 록 위치(P3)로부터 접촉 위치(P4)나 해제 위치(P5)까지 탄성 가압 부재(75)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조작 레버(25)로부터 조작력(F1)이 제거됨으로써, 조작 레버(25)가 탄성 가압 부재(75)의 탄성 복원력(탄성 가압력)에 의해서 록 위치(P3)로 복귀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칫 휠(74)의 바깥 톱니(74b)는, 복귀 피니언(63)에 맞물려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귀 피니언(63)은, 구동 피니언(45)의 외측에 있어서 동축 상에 배치되고, 피니언 지지축(4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복귀 피니언(63)은, 래칫 휠(74)의 회전에 연동함으로써 피니언 지지축(48)을 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래칫 휠(74)은 조작 레버(25)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복귀 피니언(63)은, 조작 레버(25)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복귀 피니언(63)은, 복귀 랙(64)의 복수의 랙 톱니(59)에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복귀 랙(64)은, 구동 기구(24)의 구동 랙(46)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구동 랙(46)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복귀 랙(64)은, 가동 날(22)의 날끝(22b)(도 3 참조)의 반대측에만 랙 톱니(59)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복귀 랙(64)은, 가동 날(22)이 절단 위치(P1)에 위치했을 때에 복귀 피니언(63)과 맞물리고, 가동 날(22)이 대기 위치(P2)에 위치했을 때에 복귀 피니언(63)과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래칫 휠(74)은, 클러치 부재(73)를 통해 조작 레버(25)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 레버(25)를 조작함으로써, 클러치 부재(73), 래칫 휠(74), 복귀 피니언(63) 및 복귀 랙(64)을 통해, 가동 날(22)을 대기 위치(P2)로 확실히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구동 랙(46)에 복귀 랙(64)을 형성함으로써, 구동 랙(46)과 복귀 랙(64)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며, 부품점수를 늘리지 않고 복귀 랙(64)을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인자 유닛(8)이나 서멀 프린터(1)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더불어,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복수의 랙 톱니(59) 중, 가동 날(22)의 날끝(22b)(도 3 참조)측에 위치하는 랙 톱니(59)는, 변위 가능한 랙 톱니(59)로 되어 있다. 이하, 이 변위 가능한 랙 톱니(59)를, 랙 톱니(59A)로 약기하여 설명한다. 랙 톱니(59A)는, 랙 아암(65)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랙 아암(65)의 기단부는, 복귀 랙(64) 중 가동 날(22)의 날끝(22b)측에 위치하는 단부(64a)에 연결되어 있다. 랙 아암(65)은, 기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복귀 피니언(63)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랙 아암(65)을 복귀 피니언(63)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랙 톱니(59A)를 복귀 피니언(63)의 경방향 외측으로 퇴피시킬 수 있다.
복귀 랙(64)의 랙 톱니(59A)를 복귀 피니언(63)의 경방향 외측으로 퇴피 가능하게 형성한 이유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예를 들어, 복귀 랙(64)이 도 3에 도시한 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복귀 랙(64)의 랙 톱니(59A)가 복귀 피니언(63)의 톱니끝에 맞닿는 것이 생각된다. 이 경우, 복귀 랙(64)의 이동이 복귀 피니언(63)의 톱니끝에서 저지될 우려가 있다. 그로 인해, 랙 톱니(59A)를 랙 아암(65)의 선단부에 형성하도록 했다. 그리고, 랙 아암(65)을 탄성 변형 시킴으로써, 랙 톱니(59A)를 복귀 피니언(63)의 경방향 외측으로 퇴피시켜 복귀 피니언(63)의 톱니끝을 타고넘도록 했다. 랙 톱니(59A)가 복귀 피니언(63)의 톱니끝을 타고넘은 후, 랙 아암(65)의 복원력으로 랙 톱니(59A)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그러자 복귀한 랙 톱니(59A)가, 복귀 피니언(63)에 있어서의 다음의 날끝에 맞물린다. 이로써, 복귀 피니언(63)을 복귀 랙(64)의 랙 톱니(59)로 적절하게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 복귀 기구(62)에 클러치 부재(73)와, 래칫 휠(74)과, 탄성 가압 부재(75)를 구비시키고 있으므로, 조작 레버(25)가 접촉 위치(P4), 해제 위치(P5)측을 향해서 조작될 때에, 클러치 부재(73)를 래칫 휠(74)의 안쪽 톱니(74a)에 맞물리게 하여 래칫 휠(74)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로써, 래칫 휠(74)의 바깥 톱니(74b)를 통해, 조작 레버(25)의 조작에 수반하는 동력(조작력(F1))을, 복귀 피니언(63)으로부터 복귀 랙(64)(즉, 구동 기구(24))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비해, 종이 잼의 발생에 의해, 가동 날(22)이 대기 위치(P2)로 되돌아오지 않는 경우에는, 조작 레버(25)를 예를 들어 접촉 위치(P4)까지 조작한 후, 조작 레버(25)로부터 조작력(F1)을 해제하면, 조작 레버(25)는 탄성 가압 부재(7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록 위치(P3)를 향해서 복귀하고자 하지만, 래칫 휠(74)은 회전이 규제되어, 정지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로 인해, 클러치 부재(73)가 래칫 휠(74)의 안쪽 톱니(74a)와의 사이에서 공전한다. 이로써, 래칫 휠(74)을 정지 상태에 유지하면서, 클러치 부재(73)를 공전시킬 수 있고, 이로써 가동 날(22)을 대기 위치(P2)로 향하는 도중의 위치에 유지한 상태로, 조작 레버(25)를 록 위치(P3)로 복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작 레버(25)를 록 위치(P3)로부터 접촉 위치(P4)측을 향해서 다시 조작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조작 레버(25)를 복수 회, 반복하여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가동 날(22)을 대기 위치(P2)까지 확실히 되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레버 복귀 기구(62)에 클러치 부재(73), 래칫 휠(74), 및 탄성 가압 부재(75)를 구비하는 간소한 구성으로, 고정 날(34)과 가동 날(22)의 사이에 발생한 종이 잼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또한, 간소한 구성으로, 조작 레버(25)를 록 위치(P3)부터 해제 위치(P5)까지 조작할 때의 조작 스트로크량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스트로크량이란, 조작 레버(25)를 록 위치(P3)부터 해제 위치(P5)까지 조작할 때의 조작 레버(25)의 이동 거리를 말한다.
도 5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25)의 내측에는 록 해제 기구(27)가 배치되어 있다. 록 해제 기구(27)는, 조작 레버(25)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프린터 커버(3)의 잠금을 해제하는 기구이다. 즉, 헤드 유닛(5)에 대한 플래튼 유닛(4)의 잠금이 조작 레버(25)로 해제된다. 록 해제 기구(27)는, 릴리즈 캠(91)과, 레버 돌기부(57)와, 캠 스토퍼(92)를 구비하고 있다.
릴리즈 캠(91)은, 조작 레버(25)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릴리즈 캠(91)은, 기초부(91a)가 캠축(9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캠축(94)은, 케이싱(2)으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릴리즈 캠(91)은, 캠 스토퍼(92)와 베어링(96)의 사이에 협지됨으로써 정지 위치(도 9에 도시한 상태)에 유지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96)은, 플래튼 롤러(3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으로서 기능한다.
릴리즈 캠(91)에는 캠 돌기부(97)가 하방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캠 돌기부(97)의 하방에, 도 7에 도시한 레버 돌기부(57)가 배치되어 있다. 레버 돌기부(57)는, 캠 돌기부(97)에 대향하도록 조작 레버(25)에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리즈 캠(91)이 정지 위치에 위치하고, 또한 조작 레버(25)가 록 위치(P3)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레버 돌기부(57)와 캠 돌기부(97)의 사이의 돌기부 간격(L1)은, 비교적 작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레버(25)가 록 위치(P3)로부터 접촉 위치(P4)까지 조작됨으로써, 레버 돌기부(57)가 캠 돌기부(97)에 맞닿는다. 또한, 조작 레버(25)가 접촉 위치(P4)를 넘어 해제 위치(P5)까지 조작됨으로써, 릴리즈 캠(91)이 캠축(94)을 축으로 하여 정지 위치부터 릴리즈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로써, 릴리즈 캠(91)을 이용하여, 베어링(96)을 들어올릴 수 있고, 헤드 유닛(5)에 대한 플래튼 유닛(4)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레버 돌기부(57)와 캠 돌기부(97)의 돌기부 간격(L1)을 비교적 작게 설정함으로써, 가동 날(22)이 대기 위치(P2)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프린터 커버(3)의 잠금을 조작 레버(25)로 해제할 때에, 조작 레버(25)의 조작 스트로크량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 랙 톱니(59)는 가동 날(22)의 날끝(22b)의 반대측에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프린터 커버(3)의 잠금이 해제된 후, 복귀 랙(64)의 랙 톱니(59)와 복귀 피니언(63)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날(22)이 대기 위치(P2)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프린터 커버(3)의 잠금을 조작 레버(25)로 해제할 때에, 복귀 피니언(63)을 공전시킬 수 있으며, 가동 날(22)을 대기 위치(P2)에 유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8)에 의하면, 고정 날(34)과 가동 날(22)의 사이에 발생한 종이 잼에 의해서 가동 날(22)이 절단 위치(P1)에 정지한 경우에는, 조작 레버(25)를 록 위치(P3)로부터 접촉 위치(P4) 및 해제 위치(P5)측을 향해서 조작함으로써, 조작 레버(25)에 연동하여 복귀 기구(26)를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조작 레버(25)를 록 위치(P3)로부터 접촉 위치(P4) 및 해제 위치(P5)측을 향해서 조작함으로써, 복귀 기구(26)에 의해서 조작 레버(25)의 조작에 수반하는 동력(조작력(F1))을 구동 기구(24)에 전달할 수 있으며, 가동 날(22)을 대기 위치(P2)측을 향해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복귀 기구(26)는 레버 복귀 기구(62)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조작한 조작 레버(25)를 접촉 위치(P4) 및 해제 위치(P5)측으로부터 록 위치(P3)로 복귀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조작 레버(25)를 록 위치(P3)로부터 접촉 위치(P4) 및 해제 위치(P5)측을 향해서 다시 조작할 수 있으며, 복귀 기구(26)에 의해 가동 날(22)을 대기 위치(P2)측을 향해서 더욱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작 레버(25)를 록 위치(P3)로부터 접촉 위치(P4) 및 해제 위치(P5)측을 향해서 복수 회 반복하여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 후, 조작 레버(25)의 1회의 조작마다 가동 날(22)을 대기 위치(P2)측을 향해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작 레버(25)의 복수 회의 조작에 의해서, 가동 날(22)을 대기 위치(P2)까지 확실히 이동시킬 수 있으며, 가동 날(22)이 고정 날(34)에 대해서 올라앉은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고정 날(34)에 대한 가동 날(22)의 올라앉음이 해제된 타이밍에 조작 레버(25)를 해제 위치(P5)까지 이동시킬 수 있으며, 플래튼 유닛(4)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고정 날(34)과 가동 날(22)의 사이에 발생한 종이 잼을 해제할 수 있다.
특히, 조작 레버(25)를 록 위치(P3)로부터 접촉 위치(P4) 및 해제 위치(P5)측을 향해서 복수 회 반복하여 조작할 수 있음과 더불어, 조작 레버(25)의 1회의 조작마다 가동 날(22)을 대기 위치(P2)측을 향해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조작 레버(25)의 1회의 조작 스트로크량을 작게 억제할 수 있으며, 종이 잼이 발생하지 않고, 가동 날(22)이 대기 위치(P2)에 위치하고 있는 통상의 경우에 있어서, 조작 레버(25)를 크게 조작하지 않고 플래튼 유닛(4)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인자 유닛(8)이 탑재되는 서멀 프린터(1)의 소형화나 레이아웃성의 향상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플래튼 유닛(4)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조작 레버(25)를 복귀 기구(26)에 연동시키고 있으므로, 종이 잼 해제용의 레버로서 겸용할 수 있다. 이로써, 부품점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으며,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날(34)을 프린터 커버(3)에 설치하고, 가동 날(22)을 케이싱(2)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가동 날(22)을 구동하는 구동 기구(24)를 프린터 커버(3)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프린터 커버(3)의 경량화가 도모되고, 프린터 커버(3)를 개폐할 때의 조작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멀 프린터(1)의 조작 레버(25)를 조작함으로써, 프린터 커버(3)의 잠금을 해제하여 프린터 커버(3)를 개방하는 동작에 대해서, 도 10~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복귀 기구(26)를 작동시키는 조작 레버(25)는, 조작 레버(13)에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도 10~도 16에 있어서는, 복귀 기구(26)의 동작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조작 레버(25)의 조작부터 먼저 설명한다.
처음에, 가동 날(22)이 대기 위치(P2)에 위치하고 있는 통상시(즉 종이 잼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조작 레버(25)를 조작함으로써, 헤드 유닛(5)에 대한 플래튼 유닛(4)의 잠금을 해제하고, 프린터 커버(3)를 개방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날(22)이 대기 위치(P2)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복귀 피니언(63)이 복귀 랙(64)의 랙 톱니(59)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 조작 레버(25)의 레버 돌기부(57)와, 릴리즈 캠(91)의 캠 돌기부(97)의 돌기부 간격(L1)은 비교적 작게 설정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25)에 조작력(F1)을 작용시킴으로써, 조작 레버(25)를 록 위치(P3)로부터 접촉 위치(P4) 및 해제 위치(P5)측을 향해서 탄성 가압 부재(75)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조작한다. 이로써, 조작 레버(25)의 이동에 수반하여 플래니터리 기어(67)를 인터널 기어(68)를 향해서 공전시킬 수 있으며, 플래니터리 기어(67)를 인터널 기어(68)에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조작 레버(25)의 더 나은 조작에 의해서, 플래니터리 기어(67)를 인터널 기어(68)에 맞물리게 하면서 회전(자전)시킬 수 있다. 그러자, 플래니터리 기어(67)의 회전에 의해서, 조작 레버(25)의 이동에 수반하여 선 기어(66)가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써, 선 기어(66)의 회전에 수반하여, 선 기어(66)와 함께 클러치 부재(73)를 화살표(E)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클러치 부재(73)가 래칫 휠(74)의 안쪽 톱니(74a)에 맞물리므로, 클러치 부재(73)와 함께 래칫 휠(74)을 화살표(E)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래칫 휠(74)의 바깥 톱니(74b)에 맞물리는 복귀 피니언(63)을, 화살표(F)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복귀 피니언(63)은, 복귀 랙(64)의 랙 톱니(59)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복귀 피니언(63)을 프리 상태로 공전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복귀 랙(64)측에 조작 레버(25)측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것이 아니다. 또, 래칫 휠(74)은, 조작 레버(25)에 대해서 가속 기구(61)에 의해 개별적으로 회전하므로, 조작 레버(25)의 조작 스트로크량에 대해서 래칫 휠(74)의 회전량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조작 레버(25)를 록 위치(P3)로부터 접촉 위치(P4)까지 조작함으로써, 레버 돌기부(57)가 캠 돌기부(97)에 맞닿는다. 그리고, 조작 레버(25)를, 접촉 위치(P4)를 넘어 해제 위치(P5)까지 더욱 조작함으로써, 레버 돌기부(57)를 이용하여 캠 돌기부(97)를 밀어올릴 수 있다. 이로써, 릴리즈 캠(91)을 도 10에 도시한 정지 위치부터 릴리즈 위치까지 화살표(G)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릴리즈 캠(91)을 이용하여, 베어링(96)을 들어올릴 수 있다. 그 결과, 헤드 유닛(5)에 대한 플래튼 유닛(4)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으며, 프린터 커버(3)를 여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조작 레버(25)의 레버 돌기부(57)와, 릴리즈 캠(91)의 캠 돌기부(97)의 돌기부 간격(L1)(도 10 참조)을 비교적 작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조작 레버(25)를 록 위치(P3)부터 해제 위치(P5)까지 조작할 때의 조작 스트로크량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래튼 유닛(4)의 잠금이 해제된 후, 조작 레버(25)에 작용시키고 있던 조작력(F1)을 해제함으로써, 탄성 가압 부재(75)에 의한 탄성 복원력(탄성 가압력(F2))을 이용하여, 조작 레버(25)를 해제 위치(P5)측으로부터 록 위치(P3)를 향해서 화살표(H)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조작 레버(25)가 이동함으로써, 플래니터리 기어(67)가 인터널 기어(68)에 맞물리면서 회전(자전)한다. 또, 플래니터리 기어(67)가 회전함으로써 선 기어(66)가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써, 선 기어(66)와 함께 클러치 부재(73)를 화살표(I)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복귀 피니언(63)은 복귀 랙(64)의 랙 톱니(59)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래칫 휠(74)의 바깥 톱니(74b)에는 복귀 피니언(63)으로부터의 부하가 작용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래칫 휠(74)을 클러치 부재(73)와 함께 화살표(I)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래칫 휠(74)이 회전함으로써, 복귀 피니언(63)은 화살표(J) 방향으로 프리 상태로 공전한다.
이상에 의해, 탄성 가압 부재(75)로부터의 탄성 복원력(탄성 가압력(F2))을 이용하여, 조작 레버(25)를 록 위치(P3)까지 복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도 16을 참조하여, 가동 날(22)과 고정 날(34)의 사이에 종이 잼(95)이 발생한 경우에, 조작 레버(25)를 조작함으로써, 플래튼 유닛(4)의 잠금을 해제하여 프린터 커버(3)를 개방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3~도 16에서는, 조작 레버(25)의 조작을 복수 회 반복하는 바람직한 조작 횟수로서, 조작을 2회 반복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종이 잼(95)이 발생하는 전단층으로서, 가동 날(22)을 절단 위치(P1)까지 이동시켜 기록지(P)를 절단하는 움직임에 대해서, 우선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25)가 록 위치(P3)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플래니터리 기어(67)와 인터널 기어(68)의 맞물림이 회피되어 있으므로, 플래니터리 기어(67)의 공전이 허용되고 있다. 따라서, 구동용 모터(M1)를 구동하여 구동 랙(46)을 이동시키고, 가동 날(22)을 절단 위치(P1)까지 화살표(K)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 랙(46)의 이동에 수반하여 복귀 랙(64)이 이동하므로, 복귀 피니언(63)을 화살표(L)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복귀 피니언(63)이 회전함으로써, 래칫 휠(74)을 화살표(M)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래칫 휠(74)의 안쪽 톱니(74a)가 클러치 부재(73)에 맞물린다. 그로 인해, 클러치 부재(73)와 함께 선 기어(66)(도 12 참조)를 화살표(M)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선 기어(66)가 회전함으로써, 플래니터리 기어(67)가 화살표(N) 방향으로 프리 상태로 공전한다.
이상에 의해, 가동 날(22)을 절단 위치(P1)까지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고정 날(34)과 가동 날(22)의 사이에서 기록지(P)를 절단할 수 있다. 이때, 가동 날(22)과 고정 날(34)의 사이에 종이 잼(95)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 종이 잼(95)에 의해서, 가동 날(22)이 고정 날(34)에 올라앉은 위치에서 멈추어 버린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날(22)이 종이 잼(95)으로 멈춘 상태에 있어서, 조작 레버(25)를 조작력(F1)으로 록 위치(P3)로부터 접촉 위치(P4)측을 향해서 조작한다. 이 조작에 의해서, 플래니터리 기어(67)가 인터널 기어(68)를 향해서 공전하고, 인터널 기어(68)에 맞물린다. 그로 인해, 플래니터리 기어(67)를 자전시키면서 공전시킬 수 있다. 이로써, 선 기어(66)를 통해 클러치 부재(73)를 화살표(O)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클러치 부재(73)가 래칫 휠(74)의 안쪽 톱니(74a)에 맞물리고 있으므로, 클러치 부재(73)와 함께 래칫 휠(74)을 화살표(O)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래칫 휠(74)의 바깥 톱니(74b)에 맞물리고 있는 복귀 피니언(63)을 화살표(P)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귀 피니언(63)에 맞물리고 있는 복귀 랙(64)과 함께, 구동 랙(46)을 가동 날(22)의 대기 위치(P2)측을 향해서 화살표(Q)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서술한 과정에 있어서, 래칫 휠(74)은, 조작 레버(25)에 대해서 가속 기구(61)에 의해 개별적으로 회전하므로, 조작 레버(25)의 조작 스트로크량에 대해서 래칫 휠(74)의 회전량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즉, 조작 레버(25)의 조작 스트로크량을 작게 억제한 상태로, 가동 날(22)을 대기 위치(P2)로 되돌리기 위해서 필요한 래칫 휠(74)의 회전량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 레버(25)를 접촉 위치(P4)까지 조작함으로써, 레버 돌기부(57)가 캠 돌기부(97)에 맞닿는다. 그러나, 이 상태에 있어서는, 가동 날(22)과 고정 날(34)의 사이의 종이 잼(95)이 아직 해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가동 날(22)이 고정 날(34)에 실린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플래튼 유닛(4)의 개방이 가동 날(22)에 의해서 저지된다. 따라서, 캠 돌기부(97)에 맞닿는 레버 돌기부(57)의 이동이 캠 돌기부(97)로 저지된다. 따라서, 조작 레버(25)의 그 이상의 조작이 저지되어, 조작 레버(25)의 1회째의 조작이 완료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조작 레버(25)에 작용시키고 있던 조작력(F1)을 해제함으로써,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가압 부재(75)의 탄성 복원력(탄성 가압력(F2))을 이용하여, 조작 레버(25)를 록 위치(P3)를 향해서 화살표(R)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조작 레버(25)가 록 위치(P3)를 향해서 이동함으로써, 플래니터리 기어(67)가 인터널 기어(68)에 맞물리면서 회전(자전)하므로, 선 기어(66)를 통해 클러치 부재(73)를 화살표(S)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래칫 휠(74)의 바깥 톱니(74b)에 복귀 피니언(63)이 맞물리고, 복귀 피니언(63)에 복귀 랙(64)의 랙 톱니(59)가 맞물려 있다. 그런데, 가동 날(22)은, 종이 잼(95)에 의해 대기 위치(P2)로 되돌아오는 도중에 멈추어 있다. 그로 인해, 복귀 피니언(63) 및 래칫 휠(74)은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정지한 래칫 휠(74)에 대해서 클러치 부재(73)가 화살표(S) 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하므로, 아암부(78a)가 탄성 변형하면서 맞물림 클로(78b)가 안쪽 톱니(74a)를 넘어, 안쪽 톱니(74a)와 맞물림 클로(78b)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그로 인해, 클러치 부재(73)가 공전하게 되어, 화살표(S)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로 인해, 탄성 가압 부재(75)의 탄성 복원력(탄성 가압력(F2))을 이용하여, 조작 레버(25)를 록 위치(P3)까지 복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25)를 록 위치(P3)로부터 접촉 위치(P4) 및 해제 위치(P5)측을 향해서 이동시키도록, 2회째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 위치(P3)로 복귀한 조작 레버(25)를 조작력(F1)으로 재차 조작한다. 이로써, 앞서 설명한 경우와 동일하게, 플래니터리 기어(67)가 인터널 기어(68)를 향해서 공전하고, 인터널 기어(68)에 맞물린 후, 자전하면서 공전한다. 그로 인해, 선 기어(66), 클러치 부재(73) 및 래칫 휠(74)을 화살표(T)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래칫 휠(74)의 바깥 톱니(74b)에 맞물려 있는 복귀 피니언(63)을 화살표(U)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복귀 랙(64)과 함께 구동 랙(46)을 화살표(Y)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도 16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가동 날(22)을 더욱 이동시킬 수 있으며, 대기 위치(P2)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고정 날(34)에 대해서 가동 날(22)이 겹친 상태를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 레버(25)를 록 위치(P3)부터 접촉 위치(P4)까지 조작함으로써,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레버 돌기부(57)가 캠 돌기부(97)에 맞닿는다. 이때, 가동 날(22)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대기 위치(P2)로 이동하고 있으므로, 조작 레버(25)를, 도 16에 도시한 접촉 위치(P4)를 넘어 해제 위치(P5)까지 조작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레버 돌기부(57)를 이용하여 캠 돌기부(97)를 밀어올릴 수 있으며, 릴리즈 캠(91)을 이용하여 베어링(96)을 들어올릴 수 있다.
그 결과, 플래튼 유닛(4)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으며, 가동 날(22)과 고정 날(34)의 사이에 발생한 종이 잼(95)을 해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25)의 조작을 2회 반복함으로써, 가동 날(22)을 대기 위치(P2)로 확실히 되돌릴 수 있다. 이로써, 고정 날(34)과 가동 날(22)의 사이에 발생한 종이 잼(95)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레버(25)의 조작을 2회 반복함으로써, 조작 레버(25)를 록 위치(P3)로부터 조작할 때의 조작 스트로크량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는데, 이들의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실시 형태는, 그 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예에는, 예를 들어 당업자가 용이하게 상정할 수 있는 것,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 균등의 범위인 것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 날(34)을 프린터 커버(3)(구체적으로는 플래튼 유닛(4))에 설치하고, 가동 날(22)을 케이싱(2)(구체적으로는 헤드 유닛(5))에 설치한 예에 대해 설명했는데,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고정 날(34)을 케이싱(2)측에 설치하고, 가동 날(22)을 프린터 커버(3)측에 설치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 날(34)을 고정한 상태로 유지하고, 조작 레버(25)로 가동 날(22)을 대기 위치(P2)로 되돌림으로써, 종이 잼(95)을 제거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는데,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조작 레버(25)로 가동 날(22)을 대기 위치(P2)로 되돌릴 때에, 고정 날(34)을 가동 날(22)로부터 이격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고정 날(34)을 가동 날(22)로부터 떼어내는 동작에 대해서도, 조작 레버(25)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레버(25)를 조작 레버(13)의 회동 동작에 연동시킨 예에 대해 설명했는데,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조작 레버(25)의 선단부(25c)를 케이싱(2)의 외측에 노출시키고, 케이싱(2)의 외측으로부터 조작 레버(25)를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복귀 랙(64)을 구동 랙(46)에 일체로 형성한 예에 대해 설명했는데,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복귀 랙(64)을 구동 랙(46)과는 별체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복귀 랙(64)을 가동 날(22)에 장착해 두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복귀 랙(64)을 구동 랙(46)의 외측에 배치한 예에 대해 설명했는데,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복귀 랙(64)을 구동 랙(46)의 내측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속 기구(61)를 선 기어(66), 플래니터리 기어(67) 및 인터널 기어(68)로 구성한 예에 대해 설명했는데, 예를 들어 가속 기구(61)를 다른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래칫 기구(72)의 클러치 부재(73)에 한 쌍의 클러치 톱니부(78)(즉, 맞물림 클로(78b))를 구비한 예에 대해 설명했는데, 맞물림 클로(78b)의 클로수는 임의로 선택 가능함과 더불어, 맞물림 클로(78b)의 형상도 임의로 선택 가능하다. 또한, 래칫 휠(74)의 안쪽 톱니(74a)의 치수, 안쪽 톱니(74a)의 형상 등은, 임의로 선택 가능하다. 즉, 맞물림 클로(78b) 및 안쪽 톱니(74a)의 수나 형상은, 래칫 기구(72)가 임의의 방향으로만 회전 동작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래칫 휠(74)의 내측에 클러치 부재(73)를 배치한 예에 대해 설명했는데, 래칫 휠(74)의 외측에 클러치 부재(73)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래칫 휠(74)의 내주면에 안쪽 톱니(74a)를 설치하고, 클러치 부재(73)에 맞물림 클로(78b)를 설치한 예에 대해 설명했는데,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래칫 휠(74)에 클로부를 설치하고, 클러치 부재(73)에 톱니부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래칫 기구(72)를 클러치 부재(73)와 래칫 휠(74)로 구성한 예에 대해 설명했는데,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래칫 기구를 다른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레버(25)의 조작을 복수 회 반복하는 바람직한 조작 횟수로서, 조작을 2회 반복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는데,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조작 레버(25)의 조작을 3회 이상 반복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인터널 기어(68)와 플래니터리 기어(67)가 항상 소정의 맞물림 관계로 맞물리도록, 인터널 기어(68)에 대한 플래니터리 기어(67)의 자세를 교정하여, 인터널 기어(68)와의 맞물림시에 있어서의 플래니터리 기어(67)의 위상을 적정한 상태로 하는 교정 부재를 더 구비시켜도 상관없다. 이 경우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7~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경우의 인자 유닛(8)은, 복귀 기구(26)가, 조작 레버(25)의 조작(록 위치(P3)로부터 접촉 위치(P4) 및 해제 위치(P5)측을 향한 조작)에 수반하는 플래니터리 기어(67)의 공전시, 인터널 기어(68)에 대해서 소정의 맞물림 관계로 플래니터리 기어(67)가 맞물리도록, 인터널 기어(68)에 대한 플래니터리 기어(67)의 자세를 교정하는 코일 스프링(본 발명에 따르는 탄성체, 교정 부재)(100)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코일 스프링(100)은, 인터널 기어(68)보다 조작 레버(25)의 록 위치(P3)측에 배치되고, 플래니터리 기어(67)에 있어서의 플래니터리 톱니부(67a)가 미끄럼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00)은, 레버 지지축(52)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고, 외장 커버(53)에 있어서의 커버 만곡부(53a)에 형성된 장착 구멍(101) 내에 고정되어 있다. 장착 구멍(101)은, 인터널 기어(68)에 있어서의 인터널 톱니부(68a) 중, 플래니터리 기어(67)가 최초로 맞물리는 제1 톱니째의 인터널 톱니부(68a)보다 조작 레버(25)의 록 위치(P3)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커버 만곡부(53a)의 내주부(53b)에 반원형으로 패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장착 구멍(101)은 제1 톱니째의 인터널 톱니부(68a)에 대해서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레버 지지축(52)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00)은, 장착 구멍(101) 내에 내측으로부터 끼워 넣어지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착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코일 스프링(100)은 커버 만곡부(53a)보다 내측으로 돌출하는 길이로 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적당히 변경해도 상관없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장착 구멍(101)을 이용하여 레버 지지축(52)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코일 스프링(100)을 배치하고 있으므로, 코일 스프링(100)은 플래니터리 기어(67)의 경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조작 레버(25)의 조작에 수반하여 플래니터리 기어(67)가 공전했을 때에, 플래니터리 톱니부(67a)는 코일 스프링(100)을 경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면서, 코일 스프링(100)의 외주면 상을 미끄러지도록 미끄럼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100)은, 탄성 복원 변형에 수반하여 플래니터리 톱니부(67a)를 통해, 예를 들어 플래니터리 기어(67)의 장착 오차분만큼 경방향 혹은 둘레 방향으로 플래니터리 기어(67)를 압압(押壓)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부여함으로써, 플래니터리 기어(67)의 위상을 어긋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100)은, 플래니터리 기어(67)에 있어서의 플래니터리 톱니부(67a)와, 제1 톱니째의 인터널 톱니부(68a)의 톱니끝들이 비접촉이 되는 맞물림 관계가 되도록, 플래니터리 기어(67)의 자세를 교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코일 스프링(100)을 갖는 복귀 기구(26)의 작용에 대해서, 도 20~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20~도 23은, 도 17에 도시한 화살표(W) 방향에서 본 코일 스프링(100) 주변의 확대 측면도이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25)가 록 위치(P3)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 17,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래니터리 기어(67)와 인터널 기어(68)의 맞물림이 회피되고 있으므로, 플래니터리 기어(67)의 공전이 허용되고 있다. 그로 인해, 이 단계에 있어서, 플래니터리 기어(67)의 회전 자세는 정해진 상태에 유지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후에 행해지는 조작 레버(25)의 조작에 수반하여 플래니터리 기어(67)가 공전할 때, 인터널 기어(68)로 향하는 플래니터리 기어(67)의 회전 자세는 변화해 버린다.
그로 인해, 예를 들어 플래니터리 기어(67)의 회전 자세에 따라서는, 예를 들어 인터널 톱니부(68a) 및 플래니터리 톱니부(67a)의 톱니끝들이 접촉하여 인터널 톱니부(68a) 및 플래니터리 톱니부(67a)가 서로 부딪치도록, 플래니터리 기어(67)가 공전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인터널 기어(68)에 있어서의 제1 톱니째의 인터널 톱니부(68a)보다 조작 레버(25)의 록 위치(P3)측에 코일 스프링(100)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조작 레버(25)를 록 위치(P3)로부터 접촉 위치(P4) 및 해제 위치(P5)측을 향해서 조작하여 플래니터리 기어(67)를 공전시켰을 때, 코일 스프링(100)에 의해서 인터널 기어(68)에 대한 플래니터리 기어(67)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래니터리 기어(67)를 화살표(X) 방향으로 공전시켰을 때, 플래니터리 톱니부(67a)가 제1 톱니째의 인터널 톱니부(68a)에 대해서 맞물리기 전에, 플래니터리 톱니부(67a)를 코일 스프링(100)에 미끄럼 접촉시킬 수 있다. 이로써, 코일 스프링(100)의 외주면 상에서 플래니터리 톱니부(67a)를 미끄러지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플래니터리 톱니부(67a)의 미끄럼 접촉시에 코일 스프링(100)을 탄성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플래니터리 기어(67)는, 조작 레버(25)의 더 나은 조작에 수반하여, 코일 스프링(100)을 탄성 변형시키면서, 화살표(X) 방향으로 코일 스프링(100)의 외주면 상을 미끄러지도록 계속 공전한다. 그 동안, 플래니터리 기어(67)의 전체에, 코일 스프링(100)의 탄성 복원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특히,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래니터리 기어(67)의 더 나은 공전에 의해서, 코일 스프링(100)에 접촉하고 있는 플래니터리 톱니부(67a)가 코일 스프링(100)을 넘도록 이동하면, 플래니터리 기어(67)는, 코일 스프링(100)의 외주면 상에서의 미끄러짐에 더해, 코일 스프링(100)으로부터의 화살표(F3)로 나타낸 탄성 복원력을 받는다. 이들에 의해, 플래니터리 기어(67)는, 제1 톱니째의 인터널 톱니부(68a)를 향해서 플래니터리 기어(67)의 장착 오차분만큼 강제적으로 밀려나와, 인터널 톱니부(68a)에 대한 접촉 각도가 변화한다.
그 결과, 플래니터리 기어(67)의 위상을 강제적으로 어긋나게 할 수 있으며,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널 기어(68)에 대해서, 항상 소정의 맞물림 관계로 플래니터리 기어(67)를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즉, 인터널 기어(68)에 대한 맞물림시에 있어서의 플래니터리 기어(67)의 위상을 적정한 상태에 유지할 수 있으며, 인터널 기어(68)의 제1 톱니째에 대해서, 플래니터리 기어(67)를 매회 적절히 맞물리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톱니째의 인터널 톱니부(68a)와 플래니터리 톱니부(67a)의 톱니끝들이 비접촉이 되는 맞물림 관계가 되도록, 인터널 기어(68)에 대해서 플래니터리 기어(67)를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널 톱니부(68a) 및 플래니터리 톱니부(67a)의 톱니면들이 접촉하도록 적절히 맞물리게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인터널 톱니부(68a) 및 플래니터리 톱니부(67a)의 톱니끝들이 부딪친다고 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널 기어(68)에 대한 맞물림시에 있어서의 플래니터리 기어(67)의 위상을, 보다 확실히 적정한 상태에 유지할 수 있으며, 인터널 기어(68)에 대해서 플래니터리 기어(67)를 매회 적절히 맞물리게 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인터널 기어(68) 및 플래니터리 기어(67)의 톱니끝들이 부딪친다고 하는 문제점(인터널 기어(68) 및 플래니터리 기어(67)들의 간섭)이 생겨 버리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충돌에 기인하는 플래니터리 기어(67)의 문제점 및 회전 불량이나, 플래니터리 기어(67) 주변의 문제점 및 동작 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조작 레버(25)의 동작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보다 안정된 레버 조작을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코일 스프링(100)을 이용할 뿐의 간편한 구성으로 할 수 있으므로, 구성의 간략화 및 저비용화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플래니터리 톱니부(67a)가 코일 스프링(100)의 외주면에 미끄럼 접촉했을 때, 코일 스프링(100)의 형상에 의해서, 선 접촉 상태로 양자가 미끄럼 접촉한다. 그로 인해, 플래니터리 톱니부(67a)와 코일 스프링(100)의 사이의 마찰 저항을 낮게 억제할 수 있으며, 상기 서술한 작용 효과를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교정 부재인 탄성체의 일례로서 코일 스프링(100)을 예로 들어 설명했는데,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성을 갖고, 또한 미끄럼성이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으면 탄성체로서 이용할 수 있으며, 코일 스프링(100)을 이용한 경우와 동등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무나 우레탄(우레탄 고무 혹은 우레탄 수지) 등을 이용한 탄성 부재, 선 스프링, 또는 토션 스프링 등을 탄성체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 24 및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 수지 재료로 일체 형성한 탄성체(110)여도 상관없다. 이 경우의 탄성체(110)는, 외장 커버(53)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아암 지지부(111)와, 아암 지지부(111)에 대해서 캔틸레버 지지됨과 더불어, 플래니터리 기어(67)의 경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아암편(112)을 구비하고 있다.
아암 지지부(111)는, 외장 커버(53)에 형성된 장착 구멍(115) 내에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돌기(113)를 구비하고 있다. 아암 지지부(111)는, 장착 구멍(115) 내에 끼워맞춤 돌기(113)가 끼워맞춰져 있음으로써, 빠짐 방지된 상태로 외장 커버(53)에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아암편(112)은, 기단부가 아암 지지부(111)에 연결되고, 선단부에 플래니터리 기어(67)측으로 돌출된 클로부(112a)가 형성되어 있다. 클로부(112a)는, 제1 톱니째의 인터널 톱니부(68a)에 대해서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탄성체(110)의 경우에도, 조작 레버(25)의 조작에 수반하여 플래니터리 기어(67)가 공전했을 때에, 플래니터리 톱니부(67a)가 아암편(112)을 탄성 변형시키면서, 클로부(112a) 상을 미끄러지도록 미끄럼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코일 스프링(100)을 이용한 경우와 동등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Claims (15)

  1. 기록지에 인자하는 서멀 헤드를 갖는 헤드 유닛과,
    상기 기록지를 반송하는 플래튼 롤러를 갖고, 상기 헤드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는 플래튼 유닛과,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유닛 중 한쪽에 설치된 고정 날과,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유닛 중 다른쪽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 날에 대해서 상대 이동 가능한 가동 날과,
    상기 가동 날에 연결된 구동 랙을 갖고, 상기 고정 날로부터 떨어진 대기 위치와, 상기 고정 날에 올라앉은 절단 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가동 날을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와,
    상기 헤드 유닛에 대해서 상기 플래튼 유닛을 잠그는 록 위치와, 상기 헤드 유닛에 대한 상기 플래튼 유닛의 잠금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조작 레버와,
    상기 가동 날이 상기 절단 위치에 멈추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와 연동하여, 상기 구동 랙을 통해 상기 가동 날을 상기 절단 위치로부터 상기 대기 위치측으로 이동시키는 복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복귀 기구는, 상기 가동 날이 상기 절단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록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를 향한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에 수반하는 동력을 상기 구동 기구에 전달하여, 상기 가동 날을 상기 대기 위치를 향해서 이동시키며, 또한, 조작된 상기 조작 레버를 상기 해제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록 위치로 복귀시키는 레버 복귀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인자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 복귀 기구는,
    상기 조작 레버의 이동에 수반하여 회전함과 더불어 제1 결합부를 갖는 클러치 부재와,
    상기 클러치 부재를 둘러싸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클러치 부재가 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상기 제1 결합부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갖고, 상기 구동 기구와의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 가능한 래칫 휠과,
    상기 조작 레버를 상기 해제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록 위치를 향해서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날이 상기 절단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록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측을 향해서 상기 조작 레버가 조작되었을 때에,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클러치 부재 및 상기 래칫 휠이 함께 회전하여, 상기 래칫 휠로부터 상기 구동 기구에 동력을 전달시키며,
    상기 가동 날이 상기 절단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탄성 가압 부재에 의해서 상기 해제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록 위치측을 향해서 상기 조작 레버가 이동했을 때에,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가 비(非)결합 상태가 되어, 상기 래칫 휠에 대해서 상기 클러치 부재가 공전하는, 인자 유닛.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귀 기구는,
    상기 구동 랙에 형성된 복귀 랙과,
    상기 복귀 랙의 랙 톱니에 맞물리는 복귀 피니언을 구비하고,
    상기 래칫 휠에는, 상기 복귀 피니언과 맞물리는 바깥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인자 유닛.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귀 기구는,
    상기 조작 레버의 회전축선과 동축 상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클러치 부재에 연결된 선 기어와,
    상기 선 기어에 맞물림과 더불어, 상기 조작 레버의 이동에 수반하여 공전하는 플래니터리 기어와,
    상기 플래니터리 기어의 공전시에, 상기 플래니터리 기어가 맞물리는 인터널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플래니터리 기어는,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록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인터널 기어에 대한 맞물림이 풀려 공전이 허용되는, 인자 유닛.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귀 기구는, 상기 플래니터리 기어의 공전시, 상기 인터널 기어에 대해서 소정의 맞물림 관계로 상기 플래니터리 기어가 맞물리도록, 상기 인터널 기어에 대한 상기 플래니터리 기어의 자세를 교정하는 교정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인자 유닛.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교정 부재는, 상기 플래니터리 기어에 있어서의 플래니터리 톱니부와, 상기 인터널 기어에 있어서의 인터널 톱니부 중 상기 플래니터리 기어가 최초로 맞물리는 제1 톱니째의 인터널 톱니부의 톱니끝들이 비접촉이 되는 맞물림 관계가 되도록, 상기 플래니터리 기어의 자세를 교정하는, 인자 유닛.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교정 부재는, 상기 인터널 기어보다 상기 조작 레버의 상기 록 위치측에 배치되고, 상기 플래니터리 톱니부가 미끄럼 접촉하는 탄성체가 되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플래니터리 톱니부의 미끄럼 접촉시에 탄성 변형함과 더불어, 탄성 복원 변형에 수반하여 상기 플래니터리 기어의 위상을 어긋나게 하는, 인자 유닛.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랙 톱니는, 상기 가동 날이 상기 절단 위치에 위치했을 때에 상기 복귀 피니언에 대해서 맞물리고, 또한 상기 가동 날이 상기 대기 위치에 위치했을 때에 상기 복귀 피니언에 대한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상기 가동 날에 있어서의 날끝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는, 인자 유닛.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동 날이 상기 절단 위치에 멈추어졌을 때, 상기 록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를 향한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 스트로크량은, 상기 조작 레버에 의한 복수 회의 조작으로, 상기 가동 날을 상기 절단 위치로부터 상기 대기 위치로 되돌리도록 설정되어 있는, 인자 유닛.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조작 스트로크량은, 상기 조작 레버에 의한 2회의 조작으로, 상기 가동 날을 상기 절단 위치로부터 상기 대기 위치로 되돌리도록 설정되어 있는, 인자 유닛.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랙 톱니는, 상기 가동 날이 상기 절단 위치에 위치했을 때에 상기 복귀 피니언에 대해서 맞물리고, 또한 상기 가동 날이 상기 대기 위치에 위치했을 때에 상기 복귀 피니언에 대한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상기 가동 날에 있어서의 날끝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는, 인자 유닛.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 날이 상기 절단 위치에 멈추어졌을 때, 상기 록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를 향한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 스트로크량은, 상기 조작 레버에 의한 복수 회의 조작으로, 상기 가동 날을 상기 절단 위치로부터 상기 대기 위치로 되돌리도록 설정되어 있는, 인자 유닛.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조작 스트로크량은, 상기 조작 레버에 의한 2회의 조작으로, 상기 가동 날을 상기 절단 위치로부터 상기 대기 위치로 되돌리도록 설정되어 있는, 인자 유닛.
  14. 청구항 1에 기재된 인자 유닛과,
    상기 기록지를 수용하는 기록지 수용부를 가짐과 더불어,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유닛 중 상기 가동 날이 설치된 유닛이 장착된 프린터 본체와,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유닛 중 상기 고정 날이 설치된 유닛이 장착되고, 상기 프린터 본체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프린터 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서멀 프린터.
  15. 청구항 10에 기재된 인자 유닛과,
    상기 기록지를 수용하는 기록지 수용부를 가짐과 더불어,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유닛 중 상기 가동 날이 설치된 유닛이 장착된 프린터 본체와,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유닛 중 상기 고정 날이 설치된 유닛이 장착되고, 상기 프린터 본체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프린터 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서멀 프린터.
KR1020190175141A 2018-12-28 2019-12-26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KR202000832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47009 2018-12-28
JPJP-P-2018-247009 2018-12-28
JPJP-P-2019-044789 2019-03-12
JP2019044789A JP7189052B2 (ja) 2018-12-28 2019-03-12 印字ユニット及びサーマルプリン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288A true KR20200083288A (ko) 2020-07-08

Family

ID=71569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141A KR20200083288A (ko) 2018-12-28 2019-12-26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189052B2 (ko)
KR (1) KR20200083288A (ko)
CN (1) CN21237298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72192B2 (en) * 2018-12-28 2021-07-27 Seiko Instruments Inc. Printing unit and thermal print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414Y2 (ja) * 1988-08-29 1995-01-30 三田工業株式会社 分離爪移動装置
JPH06231321A (ja) * 1993-01-29 1994-08-19 Orient Watch Co Ltd 発券装置
JP4174489B2 (ja) * 2005-04-13 2008-10-29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カッタ装置及びカッタ装置を備えたプリンタ
JP5265972B2 (ja) * 2008-06-18 2013-08-14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カッター付きプリンタ
JP5001324B2 (ja) * 2009-03-30 2012-08-15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プリンタ
JP5977619B2 (ja) * 2012-08-23 2016-08-2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JP6966279B2 (ja) * 2017-07-31 2021-11-10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印字ユニットおよびサーマルプリン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89052B2 (ja) 2022-12-13
JP2020108945A (ja) 2020-07-16
CN212372980U (zh) 202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06485C (en) Full memory i-disc
KR100840404B1 (ko) 차량 좌석용 힌지 기구 및 그 힌지 기구를 구비한 좌석
EP2130715B1 (en) Locking device
US8070231B2 (en) Locking and releasing mechanism for vehicle seat
TWI763890B (zh) 印字單元以及熱列印機
US7823978B2 (en) Reclining device
CN101506543A (zh) 驱动力正反切换装置
EP3437811B1 (en) Printing unit and thermal printer
US11273732B2 (en) Lifter device
US11279263B2 (en) Lifter device
JP5865518B2 (ja) 車両シート用継手及び車両シート
US20140125096A1 (en) Dual cam recliner
US20140300166A1 (en) Vehicle seat
KR20200083288A (ko)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EP3677395B1 (en) Printing unit and thermal printer
WO2016084471A1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20210069008A (ko)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JP2010266044A (ja) 変速機の操作装置
JP2011079472A (ja) モーターの回転トルク伝達機構および該機構を有する車両用シート
KR101585263B1 (ko) 차량용 리클라이너의 작동장치
CN112977193B (zh) 一种集成保持功能的定点回位机构及其汽车座椅
JP2002291568A (ja) シートリフター駆動機構
JP2012180852A (ja) 多軸駆動装置
KR20220132443A (ko)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