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872A - 마이크로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872A
KR20200082872A KR1020180173880A KR20180173880A KR20200082872A KR 20200082872 A KR20200082872 A KR 20200082872A KR 1020180173880 A KR1020180173880 A KR 1020180173880A KR 20180173880 A KR20180173880 A KR 20180173880A KR 20200082872 A KR20200082872 A KR 20200082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unit
type semiconductor
emitting devic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7014B1 (ko
Inventor
이상헌
김영우
박승현
박종민
김진모
김정현
정태훈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173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014B1/ko
Publication of KR20200082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05Processes
    • H01L33/0093Wafer bonding; Removal of the growth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004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operation
    • H01L33/0008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operation having p-n or hi-lo j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05Processes
    • H01L33/0095Post-treatment of devices, e.g. annealing, recrystallisation or short-circuit elimin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1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light reflecting structure, e.g. semiconductor Bragg refl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1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stress relaxation structure, e.g. buffer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개시되는 마이크로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은, 성장기판 상에 n형 반도체층,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해 광을 생성하는 활성층 및 p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발광부를 성장시키는 제1 공정; 상기 발광부를 두께방향으로 식각하여 설정된 제1 크기로 구획된 단위발광부를 형성하는 제2 공정; 상기 단위발광부의 상면에 상기 활성층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막을 형성하는 제3 공정; 상기 단위발광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n형 반도체층에 이르는 n-전극을 형성하는 제4 공정; 상기 단위발광부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는 파괴 보호층을 형성하는 제5 공정; 상기 파괴 보호층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n형 반도체층 및 상기 p형 반도체층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본딩전극을 형성하는 제6 공정; 상기 본딩전극이 형성되는 면에 이송기판을 접합시키는 제7 공정; 및 상기 성장기판을 제거하는 제8 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이크로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micro scal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Disclsoure)은, 마이크로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파괴 보호층을 이용하여 성장기판이 제거된 마이크로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마이크로 반도체 발광소자LED(MicroLED, micro-LED, mLED, μLED)는 일반적으로 소자의 크기(발광면의 가로 또는 세로 길이)가 100um이하인 것을 의미하며, 이는 개별소자가 하나의 직접 하나의 화소로 기능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를 형성하기 위한 기술이다.
마이크로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는, 보편화된 LCD 기술과 비교할 때 더 나은 대비, 응답 시간, 에너지 효율성을 제공한다.
OLED와 함께 마이크로 반도체 발광소자는 스마트워치, 스마트폰과 같이 크기가 작고 에너지가 적은 장치에 주 목적을 둔다.
OLED와 마이크로 반도체 발광소자는 전통적인 LCD 시스템에 비해 에너지 요구량이 상당히 더 적은 편이다.
또한, OLED와 달리 마이크로 반도체 발광소자는 전통적인 GaN LED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어서 OLED가 내는 총 광량 대비 30배 이상 더 밝은 밝기를 제공할뿐 아니라 lux/W 면에서도 효율성이 더 좋다. 또, OLED의 짧은 수명으로 인한 문제가 없다.
이러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최종 기판상에 개별적으로 성장된 적색(Red, R), 녹색(Green, G) 및 청색(Blue, B) 발광 다이오드(LED)의 구조들을 전사함으로써 얻어진다.
최근에는 100~200um 크기의 소위 '미니 반도체 발광소자'가 중대형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미니 반도체 발광소자의 경우,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고, 성장기판(통상 '사파이어 기판')을 제거하지 않고 사용되어 두께에 대한 제약을 가지고 있어서 고해상도를 구현하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효율적인 고해상도 구현을 위해서는, 반도체 발광소자의 크기가 100um 이하이고, 100~150um의 두께를 가지고 있는 성장기판이 제거되는 것이 필요한데, 공지된 성장기판의 제거방법(화학적, 기계적 방법)에 의해 성장기판을 제거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얇은 발광소자의 두께로 인해 접합 또는 전사 과정에서 발광소자의 파괴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3906호
본 발명(Discloure)은, 파괴 보호층을 이용하여 성장기판이 제거된 마이크로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마이크로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은, 성장기판 상에 n형 반도체층,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해 광을 생성하는 활성층 및 p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발광부를 성장시키는 제1 공정; 상기 발광부를 두께방향으로 식각하여 설정된 제1 크기로 구획된 단위발광부를 형성하는 제2 공정; 상기 단위발광부의 상면에 상기 활성층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막을 형성하는 제3 공정; 상기 단위발광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n형 반도체층에 이르는 n-전극을 형성하는 제4 공정; 상기 단위발광부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는 파괴 보호층을 형성하는 제5 공정; 상기 파괴 보호층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n형 반도체층 및 상기 p형 반도체층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본딩전극을 형성하는 제6 공정; 상기 본딩전극이 형성되는 면에 이송기판을 접합시키는 제7 공정; 및 상기 성장기판을 제거하는 제8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마이크로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에서, 상기 파괴 보호층은, 폴리이미드(PI, polyimide)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마이크로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에서, 상기 파괴 보호층은, 10um의 두께로 형성되며, 200℃의 열로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마이크로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에서, 상기 설정된 제1 크기는, 상기 단위발광부 상면의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50um ~ 100um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마이크로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에서, 상기 이송기판은 UV 조사에 의해 분리되는 UV-tape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괴 보호층에 의해 성장기판이 제거된 마이크로 스케일(즉 크기가 100um 이하)의 반도체 발광소자의 접합 과정에 손상이 방지되므로,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의 구현이 용이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의 일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에서 제1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서 제2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에서 제3,4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에서 제5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에서 제6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1에서 제7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1에서 제8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을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의 일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2 내지 도 8은 도 1에서 제1 공정~제8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각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은, 성장기판(101) 상에 n형 반도체층(120a),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해 광을 생성하는 활성층(120b) 및 p형 반도체층(120c)을 포함하는 발광부(120)를 성장시키는 제1 공정(S10)으로 시작된다.
여기서, 성장기판(101)은, 사파이어(Al2O3), SiC, GaN, Si를 예로 들 수 있으며, 발광부(120)는, 3족 질화물 반도체, 즉 Al(x)Ga(y)In(1-x-y)N (0≤x≤1, 0≤y≤1, 0≤x+y≤1)으로 된 화합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제2 공정(S20)은, 발광부(120)를 두께방향으로 식각하여 설정된 제1 크기로 구획된 단위발광부(121)를 형성하는 공정이다.
여기서, 설정된 제1 크기는, 단위발광부(121) 상면의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50um ~ 100um인 것을 의미한다.
제2 공정(S20)은 마스크를 이용한 식각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일 예로 식각이 필요한 부분에 DNR thick PR(photo resistor) 패턴을 코팅한 한 후 metal mask증착하여 식각(ICP etching)을 수행한다.
이때, DNR thick PR(photo resistor)의 두께는 6um, metal mask는 1.6um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3 공정(S30) 및 제4 공정(S40)은 함께 설명한다.
제3 공정(S30)을 수행하기 전에 n-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mesa 공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mesa 공정은, 각 단위발광부(121)의 상면으로부터 n형 반도체층(120a)에 이르는 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일 예로 ZNP PR 마스크를 이용한 ICP 에칭 공정이 있다. 이때 ZNP PR 마스크의 두께는 3um이고, 에칭 깊이는 1um 내외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3 공정(S30)은, 각 단위발광부(121)의 상면에 활성층(120b)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막(122)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반사막(122)은, 증착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며, ZNP PR 마스크를 이용하되, Ni/Ag 반사막으로 마련될 수 있다.
ZNP PR 마스크는 3um 두께, 반사막(122)의 두께는 0.35um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4 공정(S40)은, 각 단위발광부(121)의 상면으로부터 n형 반도체층(120a)에 이르는 n-전극(123)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n-전극(123)은, 증착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며, ZNP PR 마스크를 이용하되, Cr/Au로 마련될 수 있다.
ZNP PR 마스크는 3um 두께, n-전극(123)의 두께는 0.7um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5 공정(S50)은, 각 단위발광부(121)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는 파괴 보호층(130)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파괴 보호층(130)은, 폴리이미드(PI, polyimide)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괴 보호층(130)은, 10um의 두께로 형성되며, 200℃의 열로 경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파괴 보호층(130)은, 성장기판(101)이 제거되어 크기에 비해 두께가 얇은 각 단위발광부(121)의 접합과정에서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는 각 단위발광부(121)를 이용한 고해상도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제6 공정(S60)은, 파괴 보호층(130)의 상면에 형성되며, n형 반도체층(120a) 및 p형 반도체층(120c)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본딩전극(141,142)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본딩전극(141,142)은, 증착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며, ZNP PR 마스크를 이용하되, Cr/Ni/Au로 마련될 수 있다.
ZNP PR 마스크는 3um 두께, 본딩전극(141,142)의 두께는 0.7um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7 공정(S70)은, 본딩전극(141,142)이 형성되는 면에 이송기판(150)을 접합시키는 공정이다.
이송기판(150)은, 성장기판(101)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단위발광부(121)의 이송을 쉽게 하기 위함이다.
이송기판(150)은,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UV 조사에 의해 분리되는 UV-tape(모델명: DU-130P)로 구비될 수 있다.
제8 공정(S80)은, 성장기판(101)을 제거하는 공정으로서, LLO(Laser Lift Off) 공정에 의해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초소형의 마이크로 LED를 이송 접합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얇은 두께에 의해 픽셀의 정렬 정렬도가 높아져 고해상도 구현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Claims (5)

  1. 성장기판 상에 n형 반도체층,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해 광을 생성하는 활성층 및 p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발광부를 성장시키는 제1 공정;
    상기 발광부를 두께방향으로 식각하여 설정된 제1 크기로 구획된 단위발광부를 형성하는 제2 공정;
    상기 단위발광부의 상면에 상기 활성층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막을 형성하는 제3 공정;
    상기 단위발광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n형 반도체층에 이르는 n-전극을 형성하는 제4 공정;
    상기 단위발광부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는 파괴 보호층을 형성하는 제5 공정;
    상기 파괴 보호층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n형 반도체층 및 상기 p형 반도체층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본딩전극을 형성하는 제6 공정;
    상기 본딩전극이 형성되는 면에 이송기판을 접합시키는 제7 공정; 및
    상기 성장기판을 제거하는 제8 공정;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괴 보호층은, 폴리이미드(PI, polyimide)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파괴 보호층은, 10um의 두께로 형성되며, 200℃의 열로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제1 크기는, 상기 단위발광부 상면의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50um ~ 100u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기판은 UV 조사에 의해 분리되는 UV-tape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KR1020180173880A 2018-12-31 2018-12-31 마이크로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KR102137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880A KR102137014B1 (ko) 2018-12-31 2018-12-31 마이크로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880A KR102137014B1 (ko) 2018-12-31 2018-12-31 마이크로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872A true KR20200082872A (ko) 2020-07-08
KR102137014B1 KR102137014B1 (ko) 2020-07-23

Family

ID=71601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880A KR102137014B1 (ko) 2018-12-31 2018-12-31 마이크로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0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82520A (zh) * 2020-12-29 2021-03-30 苏州芯聚半导体有限公司 微发光二极管转移方法及显示面板
CN112582506A (zh) * 2020-12-09 2021-03-30 苏州芯聚半导体有限公司 发光二极管衬底的剥离方法及发光二极管阵列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61095A1 (en) * 2020-09-28 2023-11-0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package,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package manufactured thereby,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802B1 (ko) * 2006-09-26 2007-12-18 한국광기술원 보호막을 구비한 수직형 반도체 발광소자 및 제조방법
KR101754528B1 (ko) * 2016-03-23 2017-07-06 한국광기술원 건식 접착구조를 갖는 led 구조체 어레이의 전사체와 이를 이용한 led 구조체 어레이의 이송방법 및 led 구조체
KR20170083906A (ko) 2016-01-11 2017-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802B1 (ko) * 2006-09-26 2007-12-18 한국광기술원 보호막을 구비한 수직형 반도체 발광소자 및 제조방법
KR20170083906A (ko) 2016-01-11 2017-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54528B1 (ko) * 2016-03-23 2017-07-06 한국광기술원 건식 접착구조를 갖는 led 구조체 어레이의 전사체와 이를 이용한 led 구조체 어레이의 이송방법 및 led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82506A (zh) * 2020-12-09 2021-03-30 苏州芯聚半导体有限公司 发光二极管衬底的剥离方法及发光二极管阵列
CN112582520A (zh) * 2020-12-29 2021-03-30 苏州芯聚半导体有限公司 微发光二极管转移方法及显示面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014B1 (ko)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18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형성 방법
CN107170773B (zh) 微发光二极管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WO2018121611A1 (zh) 基于iii-v族氮化物半导体的led全彩显示器件结构及制备方法
TWI663753B (zh) 在組裝模組中填充有機或無機液體的方法
KR101968592B1 (ko) 통합된 컬러 led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KR102137014B1 (ko) 마이크로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WO2017181743A1 (zh) 发光二极管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US11915962B2 (en) High-resolution micro-LED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20200185368A1 (en) L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0879419B2 (en) Light emitting device
US8071401B2 (en) Method of forming vertical structure light emitting diode with heat exhaustion structure
US7781242B1 (en) Method of forming vertical structure light emitting diode with heat exhaustion structure
US11742472B2 (en) Unit pixel having light emitting device, pixel module and displaying apparatus
CN111048497B (zh) 一种有源矩阵彩色显示器件的制造方法
CN108922899A (zh) 像素阵列基板及其驱动方法
JP2023022313A (ja) マイクロ発光デバイス、マイクロ発光ダイオード及びその転写方法
KR20220020936A (ko)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
EP3726576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KR102078643B1 (ko) 원칩 타입의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202042287A (zh) 用於表面貼裝微型led流體組裝的發光顯示基板及製備方法
CN110249435A (zh) 发光元件及其制造方法
JP2018142687A (ja) 発光装置の製造方法
CN116404027A (zh) 一种Micro-LED微显示器及其制备方法
KR102598043B1 (ko) 플로팅 도전성 패턴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
US11843077B2 (en) Unit pixel having light emitting device and display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