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8462A - 주행연비 제공 시스템의 메인 서버 - Google Patents

주행연비 제공 시스템의 메인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8462A
KR20200078462A KR1020200077943A KR20200077943A KR20200078462A KR 20200078462 A KR20200078462 A KR 20200078462A KR 1020200077943 A KR1020200077943 A KR 1020200077943A KR 20200077943 A KR20200077943 A KR 20200077943A KR 20200078462 A KR20200078462 A KR 20200078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ueling
data
amount
vehicle
mile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7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3044B1 (ko
Inventor
박병각
양성필
이봉희
Original Assignee
박병각
이봉희
양성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8853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29076B1/ko
Application filed by 박병각, 이봉희, 양성필 filed Critical 박병각
Priority to KR1020200077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044B1/ko
Publication of KR20200078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8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연비 제공 시스템의 메인 서버는, 주유 일시, 리터당 주유 단가, 주유금액, 그리고 주유량을 포함하는 주유 데이터를 주유 단말로부터 입력받고, 자동차의 주행거리 데이터를 운전자 단말로부터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제공된 주유 데이터와 주행 거리 데이터를 저장하고, 회원정보와 차량정보와 주유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이전 주유 데이터와 이전 주행거리 데이터를 추출하고, 현재 주유 데이터와 주행거리 데이터를 추출한 이전 데이터를 연산함으로 주행연비를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행연비 제공 시스템의 메인 서버 {MAIN SERVER OF SYSTEM FOR OFFERING FUEL CONSUMPTION RATE OF AVEHICLE}
본 발명은 주행연비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주행연비를 계산하고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주행연비 제공 시스템의 메인 서버에 관한 것이다.
주행 연비는 보통 차량 연료의 리터 당 주행거리로 계산할 수 있다. 주행 연비는 동종의 차량이라고 하더라도 도로 상황, 운전자의 운전 습관이나 차량의 상태 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0051호에서는 구간 주행거리에 구간 거래량을 반영하여 연비를 계산하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연료주입소에서 사용된 거래도구에 의해 발생한 거래내역에서 거래 시점과 거래량을 저장한다. 거래도구와 대응되는 차의 주행거리와 주행거리 시점을 저장한다. 상기 주행거리 시점의 주행거리와, 다른 주행거리 시점의 주행거리 사이의 차이에 해당하는 구간 주행거리를 추출하고, 상기 구간 주행거리에 해당하는 구간 거래량을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구간 주행거리에 구간 거래량을 반영하여 연비를 추출한다.
일반적으로 주행 연비는 차량의 연료 탱크에 가득 주유하고 운행한 후에 다음 번 가득 주유 시까지 주행한 거리로 알 수 있다. 또한, 주행 연비는 엔진 내부에 연료 소모율을 측정하는 전자 장비를 별도로 장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의 방법은 매번 가득 주유 시 마다 일일이 주행거리를 기록하거나 구간 주행거리 버튼을 리셋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고가의 장비를 구매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장비 없이 자동차의 주행 연비를 쉽게 계산하고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주행연비 제공 시스템의 메인 서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연비 제공 시스템의 메인 서버는, 주유 일시, 리터당 주유 단가, 주유금액, 그리고 주유량을 포함하는 주유 데이터를 주유 단말로부터 입력받고, 자동차의 주행거리 데이터를 운전자 단말로부터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제공된 주유 데이터와 주행 거리 데이터를 저장하고, 회원정보와 차량정보와 주유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이전 주유 데이터와 이전 주행거리 데이터를 추출하고, 현재 주유 데이터와 주행거리 데이터를 추출한 이전 데이터를 연산함으로 주행연비를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차의 제 1 시점의 주유량은 추가하고 제 2 시점의 주유량은 차감하여 상기 제 1 시점 내지 상기 제 2 시점 사이의 전체 주유량을 계산하고, 상기 제 2 시점 이전 시점들 각각의 주유량과 상기 전체 주유량을 비교함으로 주유 적용율을 계산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시점의 누적 주행거리 차이를 계산하고, 상기 누적 주행거리 차이와 상기 주유 적용율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시점 이전 시점들 각각의 구간 주행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구간 주행거리와 상기 제 2 시점 이전 시점들 각각의 주유량을 이용하여 주행연비를 계산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제 1 시점의 주유량은 상기 제 1 시점에 상기 자동차의 계기판을 통해 확인되는 주유량이고, 상기 제 2 시점의 주유량은 상기 제 2 시점에 상기 자동차의 계기판을 통해 확인되는 주유량이다. 상기 자동차의 연료 탱크 용량 대비 상기 제 1 시점에 상기 자동차에 남은 주유량의 비율인 상기 제 1 시점의 주유량 추가율과, 상기 자동차의 연료 탱크 용량 대비 상기 제 2 시점에 상기 자동차에 남은 주유량의 비율인 상기 제 2 시점의 주유량 차감율이 상기 운전자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주행연비를 쉽게 계산할 수 있고, 운전자는 주행연비의 지속적인 관찰을 통해 차량 성능과 이상 여부를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는 주행연비를 쉽게 알 수 있고, 주행연비를 줄이고자 노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원의 낭비를 줄이는 경제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연비 제공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인 서버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메인 서버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주행연비 계산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4의 D1 시점과 D7 시점에서의 주행연비 계산을 위한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도 7은 도 4의 D7 시점에서 주행연비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운전자 단말과 메인 서버 사이의 주행거리 데이터 전송과 주행연비 전송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행연비 제공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연비 제공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주행연비 제공 시스템(100)은 운전자 단말(110), 주유기(120), 주유 단말(130), 그리고 메인 서버(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연비 제공 시스템의 주행연비 제공 방법은 그 원리상 휘발류와 같은 유류 이외에도, 가스나 전기 충전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운전자는 직접 주유를 하거나 주유소 관계자에게 주유를 요청할 수 있다. 주유기(120)의 주유 방식에는 정액 방식, 정량 방식, 및 기타 방식(예를 들면, 가득 채움) 등이 있다. 정액 방식은 3만원, 5만원, 7만원 등으로 일정 금액만큼 주유하는 방식이다. 정량 방식은 10리터, 20리터, 30리터 등으로 일정 주유량만큼 주유하는 방식이다. 기타 방식은 자동차의 연료 탱크에 일정량만큼 또는 가득 채움으로 주유하는 방식이다.
기타 방식에서는 주로 가득 채움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가득 채움 방식에 의하면, 연료 탱크가 가득 차게 될 때 주유기 토출부 끝의 노즐 센서가 작동하여 주유가 자동으로 정지될 수 있다. 보통 정액 방식이나 정량 방식인 경우는 주유 전에 주유비를 결제하고, 기타 방식인 경우에는 주유 후에 주유비를 결제한다.
주유가 완료되면, 주유기(120)는 주유 단말(130)로 주유기(120)의 번호, 주유량, 주유 금액을 포함한 주유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에서, 주유 단말(130)은 주유소의 판매시점 관리(POS; Point Of Sales) 시스템일 수 있다. 주유소의 POS 시스템은 회원의 주유 실적 관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주유기(120)로부터 전송된 주유 정보에 회원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주유 단말(130)은 주유 정보와 회원 정보 등을 포함한 주유 데이터를 메인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
주유 단말(130)은 신용 단말(CAT: Credit Authogorization Terminal)을 통해 주유 데이터를 메인 서버(14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신용 단말은 통상적으로 신용카드 결제를 수행하는 VAN 단말을 뜻한다. 또한, 주유 단말(130)은 옥외용 주유기 단말(ODT; Out Door Terminal)을 이용하여 주유 데이터를 메인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 ODT 단말은 주유기(120)에 부착되거나 주유기(120)와 일체된 것으로, 주유기(120)에서 발생한 주유 정보에 회원 ID의 인식을 추가하여 메인 서버(140)로 주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메인 서버(140)는 주유 단말(130)로부터 주유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주유 데이터에는 주유일시, 주유량, 리터당 주유단가, 주유금액 등과 같은 주유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메인 서버(140)는 주유 단말(130)로부터 주유 데이터를 입력 받고 주행연비를 계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서버(140)는 운전자 단말(110)로 주행거리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운전자는 메인 서버(140)로부터 주행거리 데이터 요청을 받고, 운전자 단말(110)을 이용하여 주행거리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운전자 단말(110)은 개인용 휴대폰, PDA, 휴대용 인터넷 단말, 또는 차량 장착 단말일 수 있다. 운전자 단말(110)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자동 응답 서비스(ARS; Automatic Response Service),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기반의 메신저, 또는 이메일 등을 이용하여 주행거리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메인 서버(140)는 주유 데이터와 주행거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행연비를 계산할 수 있다. 메인 서버(140)에서 주행연비를 계산하는 방법은 이하에서 좀 더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인 서버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메인 서버(140)는 인터페이스부(210), 데이터 저장부(220), 그리고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제어부(230)는 주유정보 데이터 제어부(231), 주행거리 데이터 제어부(232), 주행거리 데이터 판별부(233), 주행연비 계산부(234), 그리고 적정연비 판단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10)는 주유 단말 인터페이스부(211)와 운전자 단말 인터페이스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주유 단말 인터페이스부(211)는 주유일시, 리터당 주유 단가, 주유금액, 주유량 등을 포함하는 주유 데이터를 입력 받고, 주유정보 데이터 제어부(231)로 전송할 수 있다. 운전자 단말 인터페이스부(212)는 자동차의 주행거리 데이터를 운전자 단말(110)로부터 입력 받고, 주행거리 데이터 제어부(232) 및 주행거리 데이터 판별부(233)로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220)는 인터페이스부(210)에서 수신하는 주유 데이터와 주행거리 데이터를 저장하며, 회원정보 DB(221), 차량정보 DB(222), 그리고 주유정보 DB(22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원정보 DB(221)에는 회원 ID, 성명, 주민등록번호, 운전자 단말 ID, 연락처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차량정보 DB(222)에는 차량 ID, 차종, 배기량, 연식, 변속 방법(AT/MT)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주유정보 DB(223)에는 주유일시, 주유량, 주유금액, 주유방식, 주유 단말 ID, 일평균 주행거리 데이터, 구간 주행거리 데이터, 누적 주행거리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유정보 DB(223)를 이용하여, 운전자 또는 메인 서버(140)의 사용자에게 주유일시, 주유금액 등이 저장된 차계부를 제공할 수 있다.
주유정보 데이터 제어부(231)는 주유 단말 인터페이스부(211)에서 수신하는 주유 데이터 중에서 주유일시, 주유량, 주유금액 등 주유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선별하여 취하는 주유 데이터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거리 데이터 제어부(232)는 운전자 단말 인터페이스부(212)로부터 주행거리를 수신하고, 데이터 저장부(220)의 차량 정보 DB(222)를 참조하여, 주행거리 데이터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거리 데이터 판별부(233)는 운전자 단말(110)과 주유 단말(130)로부터 주유 데이터 및 주행거리 데이터를 수신하고, 주행거리 데이터의 수신 시각과 실제 주유 시각과의 차이가 일정 범위 이내인 주행거리 데이터를 선별함으로, 적합한 주행거리 데이터를 판별할 수 있다.
주행연비 계산부(234)는 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된 이전 주유 데이터와 이전 주행거리 데이터를 추출하고, 현재 주유 데이터와 주행거리 데이터를 추출한 이전 데이터와 연산함으로, 주행연비를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인 주행연비 계산 방법은 뒤에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적정 연비 판단부(235)는 계산된 주행연비가 적정한 주행연비 범위 내에 해당하는지를 사전에 설정한 적정 주행연비와 비교하여 판별할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메인 서버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메인 서버(140)가 운전자 단말(110) 또는 주유 단말(130)로부터 주유 데이터를 수신하고, 운전자 단말(110)로부터 주행거리 데이터를 수신하고, 주행연비를 계산하는 과정이 설명될 것이다.
S110 단계에서, 메인 서버(140)는 운전자 단말(110)이나 주유 단말(130)로부터 주유 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할 수 있다. 메인 서버(140)는 주유 단말 인터페이스부(211)를 통해 주유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 저장부(220)에 접근하여 회원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서버(140)는 운전자 단말(110)이나 주유 단말(130)로부터 회원 ID, 차량 ID, 주유 단말 ID, 주유일자, 주유금액, 리터당 주유단가, 주유량을 포함하는 주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메인 서버(140)는 주유 데이터에 포함된 회원 ID를 키워드로 데이터 저장부(220)의 회원정보 DB(221), 차량정보 DB(222), 그리고 주유정보 DB(223)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서버(140)는 입력된 주유 정보(주유일자, 주유금액, 리터당 주유단가, 주유량 등)를 주유정보 데이터 제어부(231)로 제공할 수 있다. 주유정보 데이터 제어부(231)는 주유 정보를 선별하여 주유 데이터를 필터링하고, 필터링한 정보를 주유정보 DB(223)에 저장할 수 있다.
S120 단계에서, 메인 서버(140)는 데이터 저장부(220)를 검색하고, 운전자 단말 ID를 추출할 수 있다. 메인 서버(140)는 데이터 저장부(220) 내의 회원정보 DB(221)와 차량정보 DB(222)에 저장된 해당 회원 ID를 키워드로 하여 운전자 단말 ID를 추출할 수 있다.
S130 단계에서, 메인 서버(140)는 추출한 운전자 단말 ID를 이용하여 운전자 단말(110)을 선정하고, 선정한 운전자 단말(110)에 주행거리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메인 서버(140)가 주행거리 데이터를 요청하면, 운전자는 휴대폰 등과 같은 운전자 단말(110)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계기판의 주행거리를 전송할 수 있다. 운전자는 운전자 단말(110)에 수동으로 주행거리를 입력하여 전송할 수 있다. 운전자 단말(110)이 차량 장착형 PC 등일 경우에는, 차량 장착 단말이 자동으로 주행거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S140 단계에서, 메인 서버(140)는 운전자 단말(110)로부터 주행거리 데이터를 수신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메인 서버(140)가 주행거리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NO)에는, S110 내지 S140 단계가 반복될 수 있다. 이때 S110 내지 S140 단계는 다른 주유소에서 수행되거나 다른 주유 시점에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메인 서버(140)는 운전자 단말(110)로부터 단문자 메시지 서비스(SMS)나 메신저 서비스(카카오톡 등) 등을 이용하여 주행거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메인 서버(140)는 시스템 운영자가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상에 주행거리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주행거리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메인 서버(140)는 회원정보 DB(221)와 차량정보 DB(222)를 이용하여, 운전자 단말(110)에게 주행거리 데이터를 요청할 때, 차량 ID를 확인하는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차량 ID가 다를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메뉴 선택을 통해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게 함으로, 차량 ID별로 주행거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S150 단계에서, 메인 서버(140)는 수신한 주행거리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주행거리 데이터의 오류는 운전자 단말(110)의 입력 지연이나 통신망 오류 등으로 인한 주행거리 데이터의 전송 지연에 기인할 수 있다. 주행거리 데이터의 유효성은 이러한 오류를 제거하기 위한 과정이다.
즉, 소정의 수신 허용 한계 시간을 설정하고, 주유 데이터에 포함된 주유일자 및 주유시각으로부터 주행거리 데이터에 포함된 주행거리 수신 시각까지의 소요 시간이 허용 시간 한계를 초과하는 지를 판별할 수 있다. 허용 시간 한계를 초과한 경우의 데이터는 이미 일정 거리를 운행한 후의 데이터일 확률이 높기 때문에, 유효한 주행거리 데이터에서 제외할 수 있다. 허용 시간은 메인 서버(140)의 수신 시각 대신 운전자 단말(110)의 전송 시각을 기준으로 할 수도 있다.
한편, 시스템 운영자는 운전자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주행거리 데이터가 오류일 가능성을 고려하여, 별도로 적정 연비 판단부(도 2 참조, 235)를 구비할 수 있다. 적정 연비 판단부(235)는 주행연비가 적정연비에 규정된 소정의 최소 연비 미만이거나 최대 연비 초과인 경우 메인 서버(140)는 운전자 단말(110)에게 오류 안내와 함께 주행거리 데이터의 재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메인 서버(140)는 운전자 단말(110)로부터 재전송되는 주행거리 데이터로, 상술한 방법으로 주행연비를 다시 계산할 수 있다.
S160 단계에서, 메인 서버(140)는 주행거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행연비를 계산하고, 운전자 단말(110)로 주행연비를 전송할 수 있다. 메인 서버(140)는 주행 연비 계산을 수행한 후, 주행연비 결과와 주행거리 데이터를 메인 서버(140)의 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할 수 있다. 메인 서버(140)는 단문자 메시지 서비스(SMS), 메신저 서비스, 인터넷, 또는 이메일 등 사전에 회원과 약정한 다양한 통신경로를 통해 주행연비를 전송할 수 있다.
메인 서버(140)에서 주행거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행연비를 계산하는 방법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주행연비 계산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고,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4의 D1 시점과 D7 시점에서의 주행연비 계산을 위한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주행연비는 자동차가 주행한 주행거리를 그 주행에 소요된 주유량으로 나누어 계산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운전자는 D1 시점에 자동차의 계기판을 통해 주유량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의 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D1 시점에 계기판에서 확인하는 주유량은 약 30%라고 가정하자. 자동차의 연료 탱크가 56L라고 가정할 때, D1 시점에 자동차에 남은 주유량은 16.80L일 수 있다. D1 시점에 평균 리터랑 주유단가가 1,500원이라 할 때, D1 시점에 자동차에 있는 주유량의 금액은 25,200원일 수 있다. 한편, D1 시점에 계기판에서 확인할 수 있는 주행거리가 100,000Km라고 가정하면, 운전자는 운전자 단말(110)을 통해 D1 시점의 주행거리를 메인 서버(140)로 제공할 수 있다.
메인 서버(140)는 운전자 단말(110)로부터 주유 데이터(예를 들면, 주유량 확인 일자, 주유량 등)을 수신하고, 리터당 주유단가를 이용하여 주유금액 등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운전자 단말(110)에서 리터당 주유단가를 이용하여 주유금액을 계산하고 메인 서버(14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메인 서버(140)는 주유정보 데이터 제어부(231)를 통해 주유 정보를 주유정보 DB(223)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서버(140)는 운전자 단말(110)로부터 주행거리 데이터(누적 주행거리)를 입력받고, 주행거리 데이터 제어부(232)를 통해 주행거리 정보를 차량정보 DB(222)에 저장할 수 있다.
D2 시점에, 운전자는 리터당 1,555원하는 주유소에서 50,000원을 지불하고 32.15L를 주유할 수 있다. D3 시점에, 운전자는 리터당 1,405원하는 주유소에서 50,000원을 지불하고 35.59L를 주유할 수 있다. D4 시점에, 운전자는 리터당 1,604원하는 주유소에서 40,000원을 지불하고 24.94L를 주유할 수 있다. D5 시점에, 운전자는 리터당 1,555원하는 주유소에서 80,000원을 지불하고 51.45L를 주유할 수 있다. D6 시점에, 운전자는 리터당 1,500원하는 주유소에서 70,000원을 지불하고 46.67L를 주유할 수 있다. D2 내지 D6 시점에, 운전자는 메인 서버(140)로 주행거리 데이터를 보내지 않을 수 있다(도 3 참조, S140). 메인 서버(140)는 주행연비를 계산하지 않고, D2 내지 D6 시점의 주유 정보를 주유정보 DB(223)에 저장할 수 있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운전자는 D7 시점에 자동차의 계기판을 통해 주유량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의 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D7 시점에 계기판에서 확인한 주유량은 약 65%라고 가정하자. 자동차의 연료 탱크가 56L라고 가정할 때, D7 시점에 자동차에 남은 주유량은 36.40L일 수 있다. D7 시점에 평균 리터랑 주유단가가 1,600원이라 할 때, D7 시점에 남은 주유량의 금액은 58,240원일 수 있다. 한편, D7 시점에 계기판에서 확인할 수 있는 주행거리가 102,380Km라고 가정하면, 운전자는 운전자 단말(110)을 통해 D7 시점의 주행거리를 메인 서버(140)로 제공할 수 있다.
메인 서버(140)는 운전자 단말(110)로부터 주유 데이터(예를 들면, 주유량 확인 일자, 주유량 등)을 수신하고, 리터당 주유단가를 이용하여 주유금액 등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운전자 단말(110)에서 리터당 주유단가를 이용하여 주유금액을 계산하고 메인 서버(14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메인 서버(140)는 주유정보 데이터 제어부(231)를 통해 주유 정보를 주유정보 DB(223)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서버(140)는 운전자 단말(110)로부터 주행거리 데이터(누적 주행거리)를 입력받고, 주행거리 데이터 제어부(232)를 통해 주행거리 정보를 차량정보 DB(222)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정보 DB(222)나 주유정보 DB(223)를 이용하여, 운전자 또는 메인 서버(140)의 사용자에게 주유일시, 주유금액 등과 같은 주유 정보가 저장된 차계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D7 시점에서 주행연비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주행연비 계산은 메인 서버(140)의 주행연비 계산부(도 2 참조, 234)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여, 자동차의 주행연비를 계산하는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S210 단계에서, 메인 서버(140)의 주행연비 계산부(234)는 전체 주유량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체 주유량은 D1 내지 D7 시점 동안에 실제 자동차 주행에 소비된 주유량을 의미한다. 전체 주유량은 D1 시점에 확인한 주유량은 추가하고, D7 시점에 확인한 주유량은 차감하는 방식으로 계산한다. 왜냐하면, D1 시점의 주유량은 실제 자동차 주행으로 소비되고, D7 시점의 주유량은 아직 소비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5에서, D1 시점의 주유량 추가율은 30%이고, 주유량으로 계산하면 추가 리터는 16.80L이다. 리터당 주유단가가 1,500원이므로 추가 금액은 25,200원이다. 도 6에서, D7 시점의 주유량 차감율은 65%이고, 주유량으로 계산하면 차감 리터는 36.40L이다. 리터당 주유단가가 1,600원이므로 차감 금액은 58,240원이다. 도 4의 예에서, D1 내지 D7 시점의 합계 주유량이 243.99L라고 하면, D1 시점에서 추가하고 D7 시점에서 차감한 전체 주유량은 207.59L이다.
S220 단계에서, 주행연비 계산부(234)는 D1 시점부터 D6 시점까지의 주유 적용율을 계산할 수 있다. 주유 적용율(A)은 전체 주유량을 각 시점의 주유량으로 나눈 것이다. 도 4는 주유 적용율(A)을 소수점 첫째자리까지의 백분율로 계산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D1 시점의 주유 적용율은 8.1%이다. 즉, D1 시점에, 자동차에는 전체 주유량(207.59L)의 8.3%가 남아 있다. D2 내지 D6의 주유 적용율은 각각 15.5%, 17.1%, 12.0%, 24.8%, 22.55%이다.
S230 단계에서, 주행연비 계산부(234)는 누적 주행거리 차이(B)를 계산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누적 주행거리 차이(B)는 D7 시점의 누적 주행거리(102,380Km)와 D1 시점의 누적 주행거리(100,000Km) 차이로 계산할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 D7 시점과 D1 시점의 누적 주행거리 차이(B)는 2,380Km이다.
S240 단계에서, 주행연비 계산부(234)는 구간 주행거리(B*A)를 계산할 수 있다. 구간 주행거리는 누적 주행거리 차이(B)와 주유 적용율(A)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 D1 시점의 구간 주행거리는 누적 주행거리 차이(2,380Km)와 주유 적용율(8.1%)의 곱으로 계산하고, 계산 결과로 193Km를 얻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D2 내지 D6의 구간 주행거리는 각각 369Km, 408Km, 286Km, 590Km, 535Km이다.
S250 단계에서, 주행연비 계산부(234)는 D1 내지 D6 시점의 구간 주행거리를 각 구간의 주유량으로 나눔으로 주행연비를 계산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D6 시점의 구간 주행거리는 535Km이고 주유량은 46.67L이다. 주행연비 계산부(234)는 535Km를 46.67L로 나눔으로, 주행연비 11.46Km/L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D6 시점의 주행연비를 계산하였으나, D1 내지 D5 시점에서의 주행연비를 계산하여도 동일한 주행연비 11.46Km/L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 연비 계산 방법은, D1 시점 (또는 이전 시점)의 주유량 추가율과 D7 시점 (또는 현재 시점)의 주유량 차감율을 일률적으로 정하고, 전체 주유량 및 주행연비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전 시점의 주유량 추가율과 현재 시점의 주유량 차감율을 각각 50%로 정할 수 있다. 이전 시점에 약 -20%의 오차가 있고, 현재 시점에 약 +15%의 오차가 있지만, 이러한 오차는 전체 주유량이 많아질수록 줄어들 수 있다. 주유량 추가율과 차감율을 일정하게 정하는 방식에 의하면, 이전 시점과 현재 시점의 주행거리만 알면 쉽게 주행연비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연비 계산 방법은, 이전 시점과 현재 시점의 주행거리 데이터를 외부 관리서버로부터 입력받고, 자동으로 주행연비를 계산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 정기검사는 일정 주기마다 실시되고, 정기검사 결과는 자동차 등록원부에 기록된다. 이때 자동차의 주행거리도 기록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연비 계산 방법은, 주행거리 데이터를 자동차 등록원부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받고, 주행연비를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전 자동차 검사 시에 기록된 자동차 주행거리와 현재 자동차 검사 시에 기록된 주행거리를 이용하여, 주행연비를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운전자 단말과 메인 서버 사이의 주행거리 데이터 전송과 주행연비 전송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운전자 단말(110)이 개인용 휴대폰일 경우, 메인 서버(100)로부터 단문자 메시지 서비스(SMS)의 형태로 주행거리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 받을 수 있다. 운전자는 운전자 단말(110)의 화면에, 차량 계기판의 누적 주행거리(예, 102,380)를 입력하고 전송 버튼을 누를 수 있다. 이때 D7 시점(도 4 참조)의 누적 주행거리가 메인 서버(140)로 전송될 수 있다. 메인 서버(140)는 입력 받은 누적 주행거리를 이용하여 주행연비를 계산하고, 주행연비를 운전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운전자 단말(110)은 차량에 장착되어 외부의 통신 매체와 무선 송수신이 가능한 차량 운행정보 저장 칩 및 차량 컴퓨터일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서버(140)는 사전에 약정한 규약에 따라 주행거리 데이터를 차량 장착 운전자 단말(110)로부터 자동으로 수신할 수 있다. 운전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메인 서버(140)는 운전자 단말(110)로 주행연비를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서버(140)는 해당 차량의 주행연비 뿐만 아니라 동종 차량 또는 특정 그룹에 속하는 차량의 주행연비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주행연비의 제공 방법에 따르면, 운전자는 주행연비의 지속적인 관찰을 통해 차량 성능과 이상 여부를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는 주행연비를 지속적으로 전송받으므로 주행연비를 줄이고자 하고, 이를 통해 자원의 낭비를 줄이는 경제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동종 차량과의 주행연비를 비교 분석하고, 주행연비 랭킹 정보 제공이나 연비왕 선발 등을 통해, 운전자에게 경제적이고 안전한 운전을 유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행연비 제공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주행연비 제공 시스템(300)은 운전자 단말(310), 주유기(320), 주유 단말 또는 통신사(330), 그리고 메인 서버(340)를 포함한다. 메인 서버(340)는 사용자 단말(310), 주유 단말 또는 통신사(330)로부터 주유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주유 데이터에는 주유일시, 주유량, 리터당 주유단가, 주유금액 등과 같은 주유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메인 서버(340)는 주유 단말 또는 통신사(330)로부터 주유 일시와 주유금액과 같은 기본 주유 정보만을 입력 받고, 나머지 주유 정보는 다른 수단을 통해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서버(340)는 GPS를 이용하여 주유기(32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메인 서버(340)는 한국석유공사(350)에서 제공하는 전국 주유소 실시간 주유단가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여, 주유기(320)의 리터당 주유단가를 확인할 수 있다. 메인 서버(340)는 주유 단말(330)에서 제공하는 주유금액과 한국석유공사(350)에서 제공하는 리터당 주유단가를 이용하여 주유량을 구할 수 있다. 메인 서버(340)는 주유 데이터와 운전자 단말(310)로부터 제공된 주행거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행연비를 계산할 수 있다. 메인 서버(340)는 운전자 단말(210)로 주행연비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서버(340)는 운전자 단말(310)이나 주유 단말 또는 통신사(330)로부터 제공되는 문자 메시지나 정보를 이용하여 리터당 주유단가 등과 같은 주유 정보를 구할 수 있다. 주유정보는 주유정보 DB(223)에 저장될 수 있다. 주유정보 DB(223)를 이용하여, 운전자 또는 메인 서버(340)의 사용자에게 주유일시, 주유금액 등이 저장된 차계부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정유사에 대한 정보를 운전자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전자가 여러 주유소에서 주유한다고 할 때, 메인 서버(340)는 각 주유소에 유류를 제공하는 정유사의 연비 정보를 운전자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메인 서버(340)는 A 정유사나 B 정유사의 연비 또는 평균 연비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 사용자에게 주유소를 선택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도 포함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300: 주행연비 제공 시스템
110, 310: 운전자 단말
120, 320: 주유기
130, 330: 주유 단말
140, 340: 메인 서버
210: 인터페이스부
220: 데이터 저장부
230: 제어부

Claims (3)

  1. 주행연비 제공 시스템의 메인 서버에 있어서,
    주유 일시, 리터당 주유 단가, 주유금액, 그리고 주유량을 포함하는 주유 데이터를 주유 단말로부터 입력받고, 자동차의 주행거리 데이터를 운전자 단말로부터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제공된 주유 데이터와 주행 거리 데이터를 저장하고, 회원정보와 차량정보와 주유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이전 주유 데이터와 이전 주행거리 데이터를 추출하고, 현재 주유 데이터와 주행거리 데이터를 추출한 이전 데이터를 연산함으로 주행연비를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차의 제 1 시점의 주유량은 추가하고 제 2 시점의 주유량은 차감하여 상기 제 1 시점 내지 상기 제 2 시점 사이의 전체 주유량을 계산하고, 상기 제 2 시점 이전 시점들 각각의 주유량과 상기 전체 주유량을 비교함으로 주유 적용율을 계산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시점의 누적 주행거리 차이를 계산하고, 상기 누적 주행거리 차이와 상기 주유 적용율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시점 이전 시점들 각각의 구간 주행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구간 주행거리와 상기 제 2 시점 이전 시점들 각각의 주유량을 이용하여 주행연비를 계산하는 메인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점의 주유량은 상기 제 1 시점에 상기 자동차의 계기판을 통해 확인되는 주유량이고, 상기 제 2 시점의 주유량은 상기 제 2 시점에 상기 자동차의 계기판을 통해 확인되는 주유량인 메인 서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연료 탱크 용량 대비 상기 제 1 시점에 상기 자동차에 남은 주유량의 비율인 상기 제 1 시점의 주유량 추가율과, 상기 자동차의 연료 탱크 용량 대비 상기 제 2 시점에 상기 자동차에 남은 주유량의 비율인 상기 제 2 시점의 주유량 차감율이 상기 운전자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메인 서버.
KR1020200077943A 2018-07-30 2020-06-25 주행연비 제공 시스템의 메인 서버 KR102353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943A KR102353044B1 (ko) 2018-07-30 2020-06-25 주행연비 제공 시스템의 메인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532A KR102129076B1 (ko) 2018-07-30 2018-07-30 주행연비 제공 시스템 및 그것의 주행연비 제공 방법
KR1020200077943A KR102353044B1 (ko) 2018-07-30 2020-06-25 주행연비 제공 시스템의 메인 서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532A Division KR102129076B1 (ko) 2018-07-30 2018-07-30 주행연비 제공 시스템 및 그것의 주행연비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462A true KR20200078462A (ko) 2020-07-01
KR102353044B1 KR102353044B1 (ko) 2022-01-18

Family

ID=80051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943A KR102353044B1 (ko) 2018-07-30 2020-06-25 주행연비 제공 시스템의 메인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0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25448A (zh) * 2023-07-19 2023-08-22 烟台港股份有限公司矿石码头分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油耗检测方法、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2028A (ko) * 2004-10-06 2006-05-19 박혜원 주유소에서 발생하는 주유정보 데이터와 차량의 주행거리데이터를 이용한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026212B1 (ko) * 2010-05-14 2011-03-31 주식회사 케이에프이앤이 차량의 화물 환경 지표 획득 서버에서의 차량의 화물 환경 지표 획득 방법, 차량의 화물 환경 지표 획득 서버, 및 화물 환경 지표 정보가 표시가능한 차량
KR20170040051A (ko) * 2015-10-03 2017-04-12 박경수 실 거래량을 검증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2028A (ko) * 2004-10-06 2006-05-19 박혜원 주유소에서 발생하는 주유정보 데이터와 차량의 주행거리데이터를 이용한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026212B1 (ko) * 2010-05-14 2011-03-31 주식회사 케이에프이앤이 차량의 화물 환경 지표 획득 서버에서의 차량의 화물 환경 지표 획득 방법, 차량의 화물 환경 지표 획득 서버, 및 화물 환경 지표 정보가 표시가능한 차량
KR20170040051A (ko) * 2015-10-03 2017-04-12 박경수 실 거래량을 검증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25448A (zh) * 2023-07-19 2023-08-22 烟台港股份有限公司矿石码头分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油耗检测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6625448B (zh) * 2023-07-19 2023-10-31 烟台港股份有限公司矿石码头分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油耗检测方法、装置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044B1 (ko)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59583C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volume of fluid in a tank
US20020178033A1 (en) Automobile insurance contents setting system, automobile insurance premium setting system, and automobile insurance premium collection system
US20080162193A1 (en) Data Recording System and Data Recording Method
KR101585115B1 (ko) 차량 유가보조금 부정수급검출관리시스템
KR101939722B1 (ko) 택시용 앱미터기
US20100332363A1 (en) Payment cards and fuel cards
KR20010050264A (ko) 차량 정보 수집 방법 및 장치
CN104239669A (zh) 用于监测加油站的系统和方法
KR20170054993A (ko) 주유 이력을 이용한 선결제 주유 예약 방법
KR100941548B1 (ko) 주유소에서 발생하는 주유정보 데이터와 차량의 주행거리데이터를 이용한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214900B1 (ko) 차량 운전자의 탄소 배출 절감 노력에 따라 보상금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353044B1 (ko) 주행연비 제공 시스템의 메인 서버
KR101677098B1 (ko) ⅠoT컨트롤러를 이용한 주유소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29076B1 (ko) 주행연비 제공 시스템 및 그것의 주행연비 제공 방법
KR20120017122A (ko) 주유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601405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and Collecting Taxes for Motor Vehicle Fuel at the Point of Sale
KR20120036734A (ko) 주유고객 관리장치 및 방법
US202000130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raud Reduction
KR101593607B1 (ko) 통신 단말을 이용한 주유소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100683B1 (ko) 텔레매틱스 장치를 이용한 렌트 차량 요금 정산 시스템
CN103927829B (zh) 一种准确计算货物运输纳税人进项税额的方法
KR20140078042A (ko) 연료금액 또는 연료량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단말기의 프로그램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CN118037171A (zh) 一种物流车的分油管理方法、系统及设备
JP2003312305A (ja) ドライバ評価方法
CN111695753A (zh) 搭乘请求评估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