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7122A - 주유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주유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7122A
KR20120017122A KR1020100079609A KR20100079609A KR20120017122A KR 20120017122 A KR20120017122 A KR 20120017122A KR 1020100079609 A KR1020100079609 A KR 1020100079609A KR 20100079609 A KR20100079609 A KR 20100079609A KR 20120017122 A KR20120017122 A KR 20120017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ehicle
fuel
gas station
fu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9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성
김종선
소태수
장병탁
이수재
유현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키스
김종선
김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키스, 김종선, 김종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키스
Priority to KR1020100079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7122A/ko
Publication of KR20120017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1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06Q20/065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e-cash managed centr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e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주유소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주유소 관리 방법은, 주유장치가 차량 연료 배출에 따른 주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주유장치가 상기 차량 연료 배출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 연료 배출이 종료되면, 상기 주유장치는 차량에 구비된 전자태그에 저장된 연료 변동량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주유장치가 상기 차량 연료의 배출이 종료될 때까지 생성된 주유 정보와 상기 연료 변동량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관리센터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고객이 플라스틱 형태의 포인트 카드를 휴대하지 않더라도 지정된 포인트 적립 및/또는 할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포인트를 이용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주유소 관리 시스템 및 방법{Filling service st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주유소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 운전자들은 다양한 조건에 따라 차량 연료를 주입할 주유소를 결정하여 방문한다. 이때, 적용 가능한 조건은 주변 시세보다 연료의 판매값이 저렴한지에 따른 가격 조건, 보유한 할인 카드가 적용될 수 있는지에 따른 가맹점 조건, 주유를 위해 방문이 편리한지 여부에 따른 위치 조건, 주유소에서의 단골 고객에 대한 차별화 서비스 여부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차량 운전자들이 전술한 조건에 따라 차량 연료를 주입할 주유소를 결정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각 주유소들도 포인트 적립, 쿠폰 제공, 무료 세차 서비스, 저렴한 연료값 결정 등 보다 많은 고객의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주유소에서 개별적으로 시행하거나 정유사 등과 제휴하여 제공하는 포인트 서비스나 쿠폰 서비스의 경우, 고객이 포인트 카드를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포인트 카드를 휴대하지 않은 경우라면 포인트 적립이나 할인 서비스 등을 제공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객이 어느 정도의 포인트가 적립되었는지를 주의 깊게 관리하지 않는다면 포인트 사용 기회를 가지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주변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주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유소의 경우, 많은 고객이 가격 조건 때문에 주유를 위해 방문하고 있으나, 해당 주유소에서 주유하는 연료가 정품인지 또한 정량을 주유한 것인지에 대한 의문점을 가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도, 주유소 관리를 위해 잔여 유량의 지속적 또는 주기적인 확인이 필요하며, 이때 유류 재고량 파악시 사람이 직접 잣대를 파이프 관을 통해 잣대로 측정하여 추가적인 필요 물량을 확인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 경우, 계산된 물량이 정확하지 않고, 수작업 업무가 과다한 문제점도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고객이 플라스틱 형태의 포인트 카드를 휴대하지 않더라도 지정된 포인트 적립 및/또는 할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포인트를 이용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주유소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객이 주문한 금액 또는 용량에 대한 정확한 주유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주유 서비스 결과가 정확히 검증될 수 있도록 하는 주유소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주유 서비스 결과의 검증으로 인해 각 주유소에서 정품정량 원칙을 준수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주유소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주유소에서 확보하고 있는 유류량의 잔여량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측정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주유소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주유소 관리 방법으로서, 주유장치가 차량 연료 배출에 따른 주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주유장치가 상기 차량 연료 배출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 연료 배출이 종료되면, 상기 주유장치는 차량에 구비된 전자태그에 저장된 연료 변동량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주유장치가 상기 차량 연료의 배출이 종료될 때까지 생성된 주유 정보와 상기 연료 변동량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관리센터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은 연료 탱크의 무게를 감지하도록 설치된 센서부의 무게 변화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연료 변동량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관리센터 장치는 연료 정량 주유 여부의 검증을 위해, 상기 주유 정보에 포함된 연료 주입량과 상기 연료 변동량 정보에 포함된 연료 변동량이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주유장치는 독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상기 전자태그에 기록된 차량 식별자를 독출하여 상기 관리센터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주유장치가 상기 관리센터 장치 및 주유소 장치 중 하나 이상으로 상기 차량 식별자를 포함하는 적립 포인트 조회 요청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적립 포인트 조회 요청을 수신한 상기 관리센터 장치 및 주유소 장치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적립 관리되는 포인트 정보를 상기 주유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주유장치가 상기 관리센터 장치 및 주유소 장치 중 하나 이상으로 상기 차량 식별자 및 차감 포인트 정보를 포함하는 포인트 차감 요청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포인트 차감 요청을 수신한 상기 관리센터 장치 및 주유소 장치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적립 관리되는 포인트 정보에서 상기 차감 포인트 정보에 상응하는 포인트를 차감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식별자를 수신한 상기 고객센터 장치는,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저장된 차량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기준에 따른 정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저장된 전화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주유소 관리 방법으로서, 주유장치가 독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차량에 구비된 전자태그에 저장된 차량 식별자, 연료 소모량 정보 및 주행 거리 정보를 독출하여 통신망을 통해 관리센터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센터 장치가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저장된 차량 정보 및 이에 따른 연비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차량 정보에 기반한 상기 차량의 연비가 적정한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유소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주유소 관리 방법은, 연비가 적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관리센터 장치는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저장된 차량 정비관련 정보 및 이에 따른 연비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센터 장치는 상기 독출된 연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연비가 적정한지 재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유소 관리 방법은, 상기 재판단하는 단계의 판단 결과에 의해 상기 차량의 연비가 적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관리센터 장치는 정품 연료 주유 여부의 검증을 위해 상기 차량 식별자와 함께 수신된 직전 주유시의 연료 변동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에 연료를 주유한 주유소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주유장치로부터 상기 차량 식별자를 포함하는 적립 포인트 조회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고객센터 장치는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적립 관리되는 포인트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주유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주유장치로부터 상기 차량 식별자 및 차감 포인트 정보를 포함하는 포인트 차감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고객센터 장치는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적립 관리되는 포인트 정보에서 상기 차감 포인트 정보에 상응하는 포인트를 차감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식별자를 수신한 상기 고객센터 장치는,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저장된 차량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기준에 따른 정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저장된 전화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주유소 장치에서 수행되는 주유소 관리 방법으로서, 주유소 지하에 매설된 연료 탱크에 부합되도록 설치된 센서부로부터 잔여 유량 산출을 위한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잔여 유량을 산출하고, 직전의 잔여 유량과 현재 잔여 유량간의 변동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변동량에 관한 정보를 관리센터 장치로 전송되도록 설정되어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전송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변동량에 관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유소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연료 탱크의 하부에 설치되어 차량 연료가 적재된 상기 연료 탱크 자체의 무게에 관한 센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연료 탱크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료 탱크 내에적재된 연료의 상부 표면까지의 거리의 관한 센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주유소 관리 시스템으로서, 차량의 일측에 구비되고, 차량으로의 연료 주입에 따라 생성되는 연료 변동량 정보가 저장되는 전자태그; 및 차량으로의 연료 주입에 따른 주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연료 주입이 종료되면 상기 전자태그에 저장된 연료 변동량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연료 주입이 종료될 때까지 생성한 주유 정보와 상기 연료 변동량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관리센터 장치로 전송하는 주유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은 연료 탱크의 무게를 감지하도록 설치된 센서부의 무게 변화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연료 변동량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전자태그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관리센터 장치는 연료 정량 주유 여부의 검증을 위해, 상기 주유 정보에 포함된 연료 주입량과 상기 연료 변동량 정보에 포함된 연료 변동량이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주유장치는 독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상기 전자태그에 기록된 차량 식별자를 독출하여 상기 관리센터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주유장치가 상기 관리센터 장치 및 주유소 장치 중 하나 이상으로 상기 차량 식별자를 포함하는 적립 포인트 조회 요청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관리센터 장치 및 주유소 장치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적립 관리되는 포인트 정보를 상기 주유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주유장치가 상기 관리센터 장치 및 주유소 장치 중 하나 이상으로 상기 차량 식별자 및 차감 포인트 정보를 포함하는 포인트 차감 요청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관리센터 장치 및 주유소 장치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적립 관리되는 포인트 정보에서 상기 차감 포인트 정보에 상응하는 포인트를 차감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식별자를 수신한 상기 고객센터 장치는,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저장된 차량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기준에 따른 정비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저장된 전화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주유소 관리 시스템으로서, 독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차량에 구비된 전자태그에 저장된 차량 식별자, 연료 소모량 정보 및 주행 거리 정보를 독출하여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주유장치; 및 상기 주유장치로부터 차량 식별자, 연료 소모량 정보 및 주행 거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저장된 차량 정보 및 이에 따른 연비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차량 정보에 기반한 상기 차량의 연비가 적정한지 판단하는 관리센터 장치를 포함하는 주유소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연비가 적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관리센터 장치는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저장된 차량 정비관련 정보 및 이에 따른 연비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차량의 연비가 적정한지 재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재판단에 의해서도 상기 차량의 연비가 적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관리센터 장치는 정품 연료 주유 여부의 검증을 위해 상기 차량 식별자와 함께 수신된 직전 주유시의 연료 변동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에 연료를 주유한 주유소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주유장치로부터 상기 차량 식별자를 포함하는 적립 포인트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고객센터 장치는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적립 관리되는 포인트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주유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주유장치로부터 상기 차량 식별자 및 차감 포인트 정보를 포함하는 포인트 차감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고객센터 장치는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적립 관리되는 포인트 정보에서 상기 차감 포인트 정보에 상응하는 포인트를 차감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식별자를 수신한 상기 고객센터 장치는,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저장된 차량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기준에 따른 정비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저장된 전화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주유소 장치에 있어서, 주유소 지하에 매설된 연료 탱크에 부합되도록 설치된 센서부로부터 잔여 유량 산출을 위한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센서 데이터 수집부; 상기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잔여 유량을 산출하고, 직전의 잔여 유량과 현재 잔여 유량간의 변동량을 산출하는 잔여유량 산출부; 상기 변동량에 관한 정보를 관리센터 장치로 전송되도록 설정되어있는지 판단하고, 전송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변동량에 관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 센터로 전송되도록 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주유소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연료 탱크의 하부에 설치되어 차량 연료가 적재된 상기 연료 탱크 자체의 무게에 관한 센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연료 탱크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료 탱크 내에 적재된 연료의 상부 표면까지의 거리의 관한 센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이 플라스틱 형태의 포인트 카드를 휴대하지 않더라도 지정된 포인트 적립 및/또는 할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포인트를 이용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객이 주문한 금액 또는 용량에 대한 정확한 주유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주유 서비스 결과가 정확히 검증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주유 서비스 결과의 검증으로 인해 각 주유소에서 정품정량 원칙을 준수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주유소에서 확보하고 있는 유류량의 잔여량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측정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유소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유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유소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센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트 적립 및 차감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객의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유소 장치의 잔여 유량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량 주유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품 연료 주유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각 도면을 참조하여 개별적으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구현되도록 제한되지 않으며, 복수의 실시예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유소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유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유소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센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주유소 관리 시스템은 주유장치(110), 주유소 장치(120) 및 관리센터 장치(140)를 포함한다. 주유장치(110), 주유소 장치(120) 및 관리센터 장치(140)는 각각 유선 통신망 또는/및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관리센터 장치(140)는 통신망을 통해 차량 및 정비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차량 명칭 및 연식, 연비, 오일 교환 내역, 타이어 교환 내역 등 중 하나 이상)를 제공하는 정비센터 장치(150)와 연결될 수 있다. 정비센터 장치(150)는 차량 정비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정비소에 구비된 장치이거나, 복수의 정비소로부터 차량 정비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아 통합 관리하는 장치일 수 있다.
주유소에 진입한 차량에 연료를 주입하는 주유장치(110)와 통신망을 통해 하나 이상의 주유장치(110)에 연결되는 주유소 장치(120)는 동일 주유소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주유소 장치(120)는 주유량 정보, 매상 정보, 주유소의 기름 탱크 내의 잔여유량 정보 등 중 하나 이상의 확인 및 관련 처리를 위해 관리자 컴퓨터, 스마트폰 장치 등 중 하나 이상인 사용자 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장치 자체가 주유소 장치(120)로 기능될 수도 있다.
관리센터 장치(140)는 복수의 주유소에 산재된 복수의 주유소 장치(120)에 연결되며, 주유장치(110) 등의 요청에 따라 상응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관리센터 장치(14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주유소에서의 연료 주입에 따라 발생되는 포인트를 관리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바, 정유사 및 카드사 등 중 하나 이상에 의해 관리되는 장치일 수 있다.
주유장치(110)는 주유소에 진입한 차량에 연료를 주입하고, 포인트 정보 등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주유소에 진입한 차량이 주유장치(110) 전면에 위치되면, 주유장치(110)는 차량에 부착된 전자태그(160)에 기록된 정보를 독출하여 관리센터 장치(140)로 전송하고, 관리센터 장치(14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30)는 주유장치(110)의 일 구성요소로 포함될 수도 있으나, 주유장치(11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독립된 전자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전자태그(160)는 예를 들어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일 수 있고, 전자태그(160) 내에는 임의의 정보(예를 들어, 차량번호 등의 차량 식별자, 연료 주입량 정보, 기간별 연비 등 중 하나 이상)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가 포함될 수 있다.
전자태그(160)는 예를 들어 차량의 전면 유리창 표면, 주유구 커버 내측 등 중 어느 하나인 차량의 일측에 부착될 수 있으며, 전자태그(160)에 기록된 정보를 독출하기 위한 리더부(210, 도 2 참조)는 예를 들어 주유장치(110)의 일측에 구비되거나, 주유장치(110)에 결합된 주유기(125)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고객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누적 포인트를 이용하여 세차 서비스, 차량 정비 서비스 등을 이용하고, 누적 포인트를 이용하여 결제하는 경우 누적 포인트 차감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세차 서비스 장치, 정비센터 등에 리더부(210), 처리 수행부(220) 등을 포함하는 장치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고객이 이용한 서비스에 대한 비용 결제시 신규 포인트가 추가 적립되도록 해당 장치가 기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주유장치(110), 주유소 장치(120) 및 관리센터 장치(140) 각각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주유장치(110)는 리더부(210), 처리 수행부(220), 통신부(230), 디스플레이부(130), 입력부(250), 주유기 조작부(260), 주유정보 산출부(27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주유장치(110)는 주유 정보 등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주유장치(110)는 고객의 신용카드 결제 요청시 이를 처리하기 위한 신용카드 결제 처리부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신용카드 결제 처리부를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 요청정보가 처리되는 경우 해당 정보는 결제대행서비스(VAN)업체를 통해 신용카드사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리더부(210)는 차량의 일측에 부착된 전자태그 정보를 독출(read)한다. 리더부(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주유장치(110)의 일측에 구비되거나, 주유장치(110)에 결합된 주유기(125)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처리 수행부(220)는 리더부(210)에 의해 독출된 전자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식별자를 인식하고, 통신부(230)를 통해 차량 식별자와 해당 주유장치(110)의 식별자(즉, 주유장치 식별자)를 포함하여 관리센터 장치(140)로 포인트 조회 요청을 전송한다. 포인트 조회 요청은 주유소 장치(120)를 경유하여 관리센터 장치(140)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포인트는 각 주유소별 적립되고 이용 가능한 개별 포인트(즉, 각 주유소에서의 단골 고객 확보를 위해 제공하는 포인트 및/또는 쿠폰)와, 정유사 또는 카드사 단위에서 적립되고 이용 가능하도록 관리센터 장치(140)에서 관리되는 센터 포인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개별 포인트와 센터 포인트가 모두 적용되는 경우라면, 포인트 조회 요청에 따라 주유소 장치는 해당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적립된 개별 포인트 정보를 주유장치(110)로 제공할 것이고, 관리센터 장치(140)는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적립된 센터 포인트 정보를 주유장치(110)로 제공할 것이다. 이때, 센터 포인트 정보는 주유소 장치(120)를 경유하여 주유장치(110)로 제공될 수도 있다.
처리 수행부(220)는 통신부(230)를 통해 주유소 장치(120) 및/또는 관리센터 장치(140)로부터 포인트 조회 요청에 따른 포인트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정보가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처리 수행부(220)는 차량 연료 비용 또는/및 유료 서비스 이용에 대한 비용을 고객이 적립 포인트를 이용하여 지불하고자 하는 경우, 포인트 차감 요청을 해당 포인트의 관리 주체측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개별 포인트를 이용한 지불인 경우라면 주유소 장치(120)로 포인트 차감 요청이 전송될 것이고, 센터 포인트를 이용한 지불인 경우라면 관리센터 장치(140)로 포인트 차감 요청이 전송될 것이다. 관리센터 장치(140)로 포인트 차감 요청이 전송되는 경우 이는 주유소 장치(120)를 경유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처리 수행부(220)는 고객의 연료 주입에 의해 신규로 발생되는 신규 포인트에 대한 포인트 적립 요청을 주유소 장치(120) 및/또는 관리센터 장치(140)로 전송한다.
처리 수행부(220)는 연료 주입에 따라 신규로 생성되는 포인트 및/또는 유료 서비스 등을 포인트로 지불하고자 하는 경우 차감되는 포인트를 산출하여 주유소 장치(120) 및/또는 관리센터 장치(14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처리 수행부(220)는 고객의 연료 주입 요청에 따른 연료 주입으로써 주유정보 산출부(270)에 의해 산출된 주유량 및/또는 주유 금액에 관한 정보를 주유소 장치(120) 및/또는 관리센터 장치(14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30)에는 예를 들어, 고객의 요청에 따른 주유 요청 정보(즉, 주유량 또는/및 주유 금액), 주유 정보(예를 들어, 주유기(125)를 통해 배출된 연료의 양 및/또는 연료의 양에 따른 금액), 포인트 정보 등 중 하나 이상이 출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포인트 정보는, 예를 들어 현재의 주유 서비스 이용 직전까지 누적된 포인트인 기 누적 포인트 정보, 현재의 주유 서비스 이용에 의해 생성되는 신규 포인트 정보 및 기누적 포인트 정보와 신규 포인트 정보의 합산에 따른 총 누적 포인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해당 고객이 누적 포인트를 이용하여 세차 서비스, 차량 정비 서비스 등을 이용하는 경우 차감 포인트 정보가 더 표시될 수도 있다.
입력부(250)는 고객이 요청한 주유 금액 및/또는 주유량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입력부(250)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키 버튼을 가지는 키패드 구조로 구현되거나 터치 감응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주유기 조작부(260)는 입력부(250)를 통해 요청된 주유 금액 또는 주유량 정보에 해당하는 차량 연료가 주유기(125)를 통해 차량에 주입되도록 연료 배출 및 차단을 제어한다. 주유기 조작부(260)는 주유기(125)와 일체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주유정보 산출부(270)는 주유기(125)를 통해 배출되는 연료의 양 및/또는 연료의 양에 따른 금액인 주유 정보를 산출한다. 산출된 주유 정보는 주유소 장치(120)로 제공될 수도 있다. 주유정보 산출부(270)는 배출된 연료의 양 등이 고객이 주유 요청한 연료의 양 등에 부합하는 경우 주유 완료 정보를 생성하여 처리 수행부(220)로 제공함으로써 연료 배출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주유장치(11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3에는 주유소 장치(120)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주유소 장치(120)는 통신부(310), 개별 포인트 관리부(320), 센서 데이터 수집부(330), 잔여유량 산출부(340) 및 제어부(360)를 포함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주유소 장치(120)는 개별 포인트 정보, 잔여 유량 정보 등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유소 장치(120)는 개별 포인트 관리부(320)에 대응되어 고객 정보(예를 들어, 차량 식별자 등)를 관리하기 위한 고객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개별 포인트 관리부(320)는 통신부(310)를 통해 주유장치(110)로부터 전송된 포인트 적립 요청 및/또는 포인트 차감 요청에 따른 처리를 수행한다. 포인트 적립 요청 및/또는 포인트 차감 요청시 주유장치(110)로부터 해당 포인트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반영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주유장치(110)로부터 지불 금액 등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라면 상응하는 포인트를 산출하여 이를 반영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포인트 적립 요청 및 포인트 차감 요청에는 주유장치(110)가 독출한 차량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센서 데이터 수집부(330)는 주유소 지하에 매설된 연료 탱크에 상응하도록 설치된 센서부(35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집한다.
센서부(350)는 연료 탱크 내의 잔여 유량을 산출하기 위해 설치되며, 예를 들어 무게 센서, 거리 감지 센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게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350)인 경우, 해당 센서부(350)는 연료 탱크의 외부 하측에 설치되어 연료가 축적된 연료 탱크 전체의 무게에 관한 센서 데이터를 센서 데이터 수집부(330)로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로서, 센서부(350)가 거리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센서부(350)는 연료 탱크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연료 탱크 내부에 축적된 연료의 상부 표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한 센서 데이터를 센서 데이터 수집부(330)로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잔여유량 산출부(340)는 센서 데이터 수집부(330)에 의해 수집된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료 탱크내에 남아있는 연료량인 잔여 유량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센서부(350)가 무게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잔여유량 산출부(340)는 연료 탱크 자체의 무게와 센서 데이터를 통해 인식되는 무게간의 차이를 남아있는 연료량으로 산출하여 잔여 유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센서부(350)가 거리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잔여유량 산출부(340)는 연료 탱크 자체의 높이와 센서 데이터를 통해 인식되는 거리간의 차이를 남아있는 연료량의 높이로 산출하고 이를 연료 탱크의 바닥 넓이에 곱하여 남아있는 연료의 부피를 산출함으로써 잔여 유량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잔여유량 산출부(340)가 센서 데이터 수집부(33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남아있는 연료량인 잔여 유량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이 다양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제어부(360)는 주유소 장치(12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60)는 고객의 연료 주입 요청에 따른 요청 정보, 주유정보 산출부(270)에 의해 산출된 주유 정보, 센터 포인트 적립/차감 요청 정보 등을 관리센터 장치(140)로 전송할 것인지 여부에 대해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설정 정보에 따라 통신부(310)가 동작되도록 제어한다.
도 4에는 관리센터 장치(140)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관리센터 장치(140)는 통신부(410), 고객정보 관리부(420), 센터 포인트 관리부(430), 차량정보 관리부(440), 주유소 정보 관리부(450), 메시지 전송부(460) 및 제어부(470)를 포함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관리센터 장치(140)는 센터 포인트 정보, 고객 정보,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는 차량 정보, 주유 이력 정보 등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객정보 관리부(420)는 고객의 차량 식별자(예를 들어, 차량 번호), 고객 개인정보(예를 들어, 이름, 전화번호 등), 주유 이력 정보 등 중 하나 이상을 관리한다.
센터 포인트 관리부(430)는 정유사 또는 카드사 단위에서 적립되고 이용 가능한 센터 포인트를 관리한다. 센터 포인트 관리부(430)는 주유장치(110)로부터 전송되는 센터 포인트 적립/차감 요청에 상응하는 처리도 수행한다. 포인트 적립 요청 및/또는 포인트 차감 요청시 주유장치(110)로부터 해당 포인트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반영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주유장치(110)로부터 지불 금액 등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라면 상응하는 포인트를 산출하여 이를 반영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차량정보 관리부(440)는 정비센터 장치(150)로부터 제공되는 차량 관련 정보(예를 들어, 차량 명칭 및 연식, 연비 등 중 하나 이상) 및 차량 정비 이력 정보(예를 들어, 오일 교환 내역, 타이어 교환 내역 등 중 하나 이상) 등 중 하나 이상인 차량 정보를 관리한다.
주유소 정보 관리부(450)는 주유소 장치(120)로부터 제공되는 잔여 유량 정보의 변동량을 이용하여 해당 주유소에서의 판매량을 산출하고, 해당 주유소에 대한 연료 공급량 예측시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주유소 정보 관리부(450)는 전술한 잔여 유량이 증가한 경우, 자사 정유사 및 타 정유사에서 해당 주유소에 공급한 유류량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정당한 공급 경로에 따른 연료의 증가인지 유사 휘발유 등과 같은 불법적 공급 경로에 따른 연료 증가인지를 검증할 수도 있다.
또한, 주유소 정보 관리부(450)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고객의 연료 주입 요청에 따른 요청 정보(즉, 차량의 연료 변동량)와 주유장치(110)에서 생성되어 제공되는 주유정보(즉, 주입량)가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해당 주유소가 정량 주유 원칙을 준수하는지 여부도 검증할 수 있다.
메시지 전송부(460)는 임의의 주유소에 진입한 차량에 관하여 주유장치(110)로부터 제공되는 차량 식별자를 이용하여 차량 소유주(또는 전자태그(160)에 상응하도록 등록된 고객)를 식별한 후 미리 저장된 전화번호로 상응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전송되는 메시지는 예를 들어 주유소 진입에 대한 인사 메시지, 기념일 알림 메시지, 정비 시점 및 내역 안내 메시지, 경품 이벤트 메시지, 주유문제 발생시 알림 메시지(예를 들어, 유사휘발유 제공 주유소 안내 등) 등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메시지 전송을 위해 필요한 경우, 메시지 전송부(640)는 고객정보 관리부(420), 센터 포인트 관리부(430), 차량정보 관리부(440) 및 주유소 정보 관리부(450)에 의해 관리되는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고객에게 전송되는 메시지 내에는 광고 메시지가 포함될 수 있으며, 광고를 포함함으로써 발생되는 수익을 이용하여 메시지 전송부(460)에 의해 전송되는 메시지를 무료화하거나, 광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고객에게 센터 포인트를 추가적으로 적립하는 등의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470)는 관리센터 장치(14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트 적립 및 차감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0에서 주유장치(110)는 차량에 부착된 전자태그 정보를 독출하여 차량 식별자를 인식한다.
단계 520에서, 주유장치(110)는 인식한 차량 식별자를 포함하는 포인트 조회 요청을 주유소 장치(120) 및/또는 관리센터 장치(140)로 전송한다.
단계 530에서, 주유장치(110)는 주유소 장치(120) 및/또는 관리센터 장치(140)로부터 수신한 포인트 정보(즉, 현재 주유 직전시점까지 누적된 기 누적 포인트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출력한다.
단계 540에서 주유장치(110)는 고객의 연료 주유에 의해 신규 포인트가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신규 포인트가 생성되었다면 단계 550으로 진행하여, 주유장치(110)는 신규 포인트 누적 처리를 위한 포인트 적립 요청을 주유소 장치(120) 및/또는 관리센터 장치(140)로 전송한다. 포인트 적립 요청에는 단계 510을 통해 인식한 차량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신규 포인트가 생성되지 않았다면, 단계 560으로 진행하여 주유장치(110)는 누적 포인트 사용 요청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 누적 포인트 사용 요청은 예를 들어 연료 주입에 따른 비용을 기 누적 포인트를 차감하는 방법으로 지불하고자 하는 경우에 입력될 수 있을 것이다.
만일 누적 포인트 사용 요청이 입력되었다면, 단계 570으로 진행하여 주유장치(110)는 누적 포인트 차감 처리를 위한 포인트 차감 요청을 주유소 장치(120) 및/또는 관리센터 장치(140)로 전송한다. 포인트 차감 요청에는 단계 510을 통해 인식한 차량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
이제까지, 도 5를 참조하여 연료 주입에 따른 포인트 적립 및/또는 차감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주유소 내에서의 세차 서비스 이용, 차량 정비 서비스 이용 등에 의해서도 포인트 적립 및/또는 차감 과정이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객의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10에서 관리센터 장치(140)는 주유장치(110)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차량 식별자를 수신한다.
단계 620에서 관리센터 장치(140)는 수신된 차량 식별자를 이용하여 고객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등), 센터 포인트 정보, 차량정보 및 주유소 정보를 검색한다. 단계 620에서의 관련 정보 검색 범위는 어떤 메시지를 전송할 것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관리센터 장치(140)에서 고객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는 예를 들어 주유소 진입에 대한 인사 메시지, 기념일 알림 메시지, 정비 시점 및 내역 안내 메시지(예를 들어, 주행거리 및 연도별 정비 필요 사항 등), 경품 이벤트 메시지, 주유문제 발생시 알림 메시지(예를 들어, 유사휘발유 제공 주유소 안내 등) 등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단계 630에서 관리센터 장치(140)는 해당 고객에 대해 메시지 서비스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해당 고객의 진입에 대한 인사 메시지를 발송하거나, 해당 고객이 경품 이벤트에 당첨되었거나, 해당 차량에 대한 정비가 필요한 경우(예를 들어, 오일 교환 시기) 등에서 관리센터 장치(140)는 해당 고객에 대한 메시지 서비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일 메시지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라면 단계 640으로 진행하여 관련 메시지를 전송한다. 단계 640을 통해 전송되는 메시지 내에는 광고 메시지가 포함될 수 있으며, 광고를 포함함으로써 발생되는 수익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해당 메시지를 무료화하거나, 광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고객에게 센터 포인트를 추가적으로 적립하는 등의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유소 장치의 잔여 유량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10에서 주유소 장치(120)는 주유소 지하에 매설된 연료 탱크에 부합하도록 설치된 센서부(350)로부터 잔여유량 산출을 위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한다.
단계 720에서 주유소 장치(120)는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잔여유량을 산출하고, 이전의 잔여유량과 현재의 잔여유량에 대한 변동량을 산출한다.
단계 730에서 주유소 장치(120)는 산출된 잔여유량에 관한 정보(즉, 잔여유량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관리센터 장치(140)로 전송할 것인지 판단한다. 잔여유량 정보를 관리센터 장치(140)로 전송할지 여부는 주유소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설정 정보에 의해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만일 잔여유량 정보를 관리센터 장치(140)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경우라면, 단계 740으로 진행하여 주유소 장치(120)는 잔여유량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관리센터 장치(140)로 전송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량 주유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810에서 주유장치(110)는 차량의 일측에 부착된 전자태그에 기록된 정보를 독출하여 차량 식별자를 인식한다.
이어서, 단계 820에서 주유장치(110)는 고객의 요청에 따른 주유 요청 정보(즉, 주유량 또는/및 주유 금액)에 따른 연료 주입을 개시하여 주유 정보(예를 들어, 주유기(125)를 통해 배출된 연료의 양 및/또는 연료의 양에 따른 금액)를 생성한다.
단계 820에 의해 차량에 구비된 연료 탱크에는 연료가 주입될 것이다. 이때, 차량에 구비된 연료 탱크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도록 연료 탱크의 일측에 설치된 센서부는 연료 탱크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여 이에 상응하는 센서 데이터를 출력한다.
연료 탱크의 무게 변화 감지 및 이에 상응하는 센서 데이터의 출력은 차량이 엔진을 정지한 상태로서 미리 지정된 시간(예를 들어, 2초)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만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 등에는 연료 탱크 내의 연료가 유동하여 측정된 무게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센서 데이터는 차량 관리부(예를 들어, ECU(Electronic Control Unit) 등)로 수집되고, 차량 관리부는 수집된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잔여유량 변동량(즉, 주입된 연료량)을 산출한다(단계 830). 산출된 잔여유량 변동량은 전자태그(160) 내에 구비된 저장부에 저장되며(단계 840), 차량 관리부는 전자태그(160) 내의 저장부에 해당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구현된 구성요소와 연결될 수 있다.
연료 탱크의 무게 변화량 측정 및 전자태그(160)에 해당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 및 장치적 구성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850에서 주유장치(110)는 주유 요청 정보에 상응하는 연료 주입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연료 주입이 완료되지 않았다면, 차량의 연료 탱크 내에 연료를 주입하는 상태에서 대기한다.
그러나 만일 연료 주입이 완료되었다면 단계 860으로 진행하여, 주유장치(110)는 전자태그(160)를 다시 독출하여 기록된 잔여유량 변동량을 인식한다.
이어서, 주유장치(110)는 단계 870에서 통신망을 통해 단계 810에 의해 독출된 차량 식별자, 주유장치 식별자, 단계 820에 의해 생성된 주유정보(예를 들어, 주유량) 및 단계 860에 의해 인식된 변동량 정보를 관리센터 장치(140)로 전송한다.
관리센터 장치(140)는 단계 870을 통해 수신된 주유정보 및 변동량 정보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예를 들어, 3%)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해당 주유장치(110)가 정량 주유 원칙에 따른 주유를 실시하는지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다.
만일, 오차범위를 초과하여 주유정보와 변동량간에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관리센터 장치(140)는 해당 주유소의 주유소 장치(120)로 주유장치(110)의 고장 여부를 확인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해당 주유소에서 제공되는 주유정보와 변동량간의 오차범위 이상의 차이가 일정 횟수 또는 일정 기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정량 주유 원칙의 준수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해당 주유소의 주유소 장치(1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품 연료 주유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일반적으로 불법적 유통되는 유사 휘발유의 경우 정품 휘발유에 비해 연비가 약 10% 정도 낮으며, 차량 엔진 등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과정을 통해 관리센터 장치(140)는 유사 휘발유를 주유하는 주유소를 식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단계 910에서 차량에 구비된 차량 관리부(예를 들어, ECU(Electronic Control Unit) 등)는 직전 주유시의 변동량(도 8의 설명내용 참조), 연료 소모량 정보(즉, 직전 주유 완료후의 잔여유량 정보와 현재 잔여유량 정보, 또는 이들의 차이 정보)와 직전 주유 완료 후 현재까지의 주행 거리 정보를 전자태그(160) 내에 구비된 저장부에 저장한다. 직전 주유 완료후의 잔여유량 정보 및 현재 잔여유량 정보는 앞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에 구비된 연료 탱크의 무게 변화를 참조하여 산출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연료 소모량 정보가 산출될 수 있을 것이다. 차량 관리부는 전자태그(160) 내의 저장부에 해당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구현된 구성요소와 연결될 수 있다.
주유장치(110)는 단계 920에서 전면에 위치한 차량 내에 부착된 전자태그(160)에 기록된 정보(즉, 차량 식별자, 직전 주유시의 변동량, 연료 소모량 정보 및 주행거리 정보)를 독출하고, 단계 930에서 독출한 정보를 관리센터 장치(140)로 전송한다.
단계 940에서 관리센터 장치(140)는 수신된 차량 식별자를 이용하여 정비센터장치(150)로부터 수신되어 미리 저장된 정보들 중에서 상응하는 차량 정보(예를 들어, 차량 명칭 및 연식, 연비 등 중 하나 이상)를 검색한다.
단계 950에서 관리센터 장치(140)는 단계 930을 통해 수신된 연료 소모량 정보 및 주행 거리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차량의 연비가 적정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차량의 연비가 적정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관리센터 장치(140)의 저장부 내에는 차종, 차량 명칭 및 연식에 따른 연비 데이터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연비가 적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960으로 진행하여, 차량정보(예를 들어, 정비 내역 및 향후 정비가 요구되는 사항 등)를 이용하여 연비가 적정한지 여부에 대해 재검증을 수행한다. 이는, 차량 정비 여부에 따라 동일한 연식의 차량일지라도 연비 차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며, 예를 들어 차량 정비 내역 등에 따라 연비 증감에 관한 데이터가 관리센터 장치(140)의 저장부 내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관리센터 장치(140)는 단계 970에서 단계 960에 따른 재검증에 의할 때 연비가 적정한지 여부를 다시 판단한다.
만일 연비가 적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관리센터 장치(140)는 단계 970에서 단계 920을 통해 수신된 직전 주유시의 변동량과 차량 식별자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 식별자의 차량에 해당 변동량을 전송(도 8 참조)한 주유장치(110)가 구비된 주유소를 검색하여 해당 주유소를 검증 대상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때, 관리센터 장치(140)는 해당 주유소의 주유소 장치(120)로 정품 연료 주유 원칙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주유소 관리 방법은 각 전자장치에 내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시계열적 순서에 따른 자동화된 절차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상기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주유장치 120 : 주유소 장치
125 : 주유기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관리센터 장치 150 : 정비센터 장치
160 : 전자태그 210 : 리더부
220 : 처리 수행부 230, 310, 410 : 통신부
250 : 입력부 260 : 주유기 조작부
270 : 주유정보 산출부 280, 360, 470 : 제어부
320 : 개별 포인트 관리부 330 : 센서 데이터 수집부
340 : 잔여유량 산출부 350 : 센서부
420 : 고객정보 관리부 430 : 센터 포인트 관리부
440 : 차량정보 관리부 450 : 주유소 정보 관리부
460 : 메시지 전송부
100 : 카메라 장치 110, 430 : 카메라부
115, 620 : 전송부 120 : 사용자 장치
125 : 수신부 130 : 영상 처리부
135 : 표시부 140 : 입력부
145 : 저장부 150 : 제어부
405 : 통신부 410 : 위치정보 수신부
420 : 지도정보 처리부 440 : 사고 감지부
450 : 사고 영상 저장 관리부 460 : 위치 정보 관리부
470 : 위치 정보 요청 처리부 600 : 신체정보 센싱 장치
610 : 심전도 센서 630 : 센서 데이터 처리부
640 : 주행 데이터 관리부 650 : 위급상태 조치부
810 : 게임 결과 정보 생성 및 관리부
820 : 주행 이력 정보 갱신부
1110 : 속도 산출부 1120 : 표시정보 갱신부

Claims (31)

  1. 주유소 관리 방법으로서,
    주유장치가 차량 연료 배출에 따른 주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주유장치가 상기 차량 연료 배출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 연료 배출이 종료되면, 상기 주유장치는 차량에 구비된 전자태그에 저장된 연료 변동량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주유장치가 상기 차량 연료의 배출이 종료될 때까지 생성된 주유 정보와 상기 연료 변동량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관리센터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은 연료 탱크의 무게를 감지하도록 설치된 센서부의 무게 변화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연료 변동량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센터 장치는 연료 정량 주유 여부의 검증을 위해, 상기 주유 정보에 포함된 연료 주입량과 상기 연료 변동량 정보에 포함된 연료 변동량이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장치는 독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상기 전자태그에 기록된 차량 식별자를 독출하여 상기 관리센터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장치가 상기 관리센터 장치 및 주유소 장치 중 하나 이상으로 상기 차량 식별자를 포함하는 적립 포인트 조회 요청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적립 포인트 조회 요청을 수신한 상기 관리센터 장치 및 주유소 장치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적립 관리되는 포인트 정보를 상기 주유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관리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장치가 상기 관리센터 장치 및 주유소 장치 중 하나 이상으로 상기 차량 식별자 및 차감 포인트 정보를 포함하는 포인트 차감 요청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포인트 차감 요청을 수신한 상기 관리센터 장치 및 주유소 장치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적립 관리되는 포인트 정보에서 상기 차감 포인트 정보에 상응하는 포인트를 차감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관리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식별자를 수신한 상기 고객센터 장치는,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저장된 차량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기준에 따른 정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저장된 전화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관리 방법.
  7. 주유소 관리 방법으로서,
    주유장치가 독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차량에 구비된 전자태그에 저장된 차량 식별자, 연료 소모량 정보 및 주행 거리 정보를 독출하여 통신망을 통해 관리센터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센터 장치가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저장된 차량 정보 및 이에 따른 연비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차량 정보에 기반한 상기 차량의 연비가 적정한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유소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연비가 적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관리센터 장치는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저장된 차량 정비관련 정보 및 이에 따른 연비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센터 장치는 상기 독출된 연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연비가 적정한지 재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판단하는 단계의 판단 결과에 의해 상기 차량의 연비가 적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관리센터 장치는 정품 연료 주유 여부의 검증을 위해 상기 차량 식별자와 함께 수신된 직전 주유시의 연료 변동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에 연료를 주유한 주유소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관리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장치로부터 상기 차량 식별자를 포함하는 적립 포인트 조회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고객센터 장치는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적립 관리되는 포인트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주유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관리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장치로부터 상기 차량 식별자 및 차감 포인트 정보를 포함하는 포인트 차감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고객센터 장치는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적립 관리되는 포인트 정보에서 상기 차감 포인트 정보에 상응하는 포인트를 차감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관리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식별자를 수신한 상기 고객센터 장치는,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저장된 차량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기준에 따른 정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저장된 전화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관리 방법.
  13. 주유소 장치에서 수행되는 주유소 관리 방법으로서,
    주유소 지하에 매설된 연료 탱크에 부합되도록 설치된 센서부로부터 잔여 유량 산출을 위한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잔여 유량을 산출하고, 직전의 잔여 유량과 현재 잔여 유량간의 변동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변동량에 관한 정보를 관리센터 장치로 전송되도록 설정되어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전송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변동량에 관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유소 관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연료 탱크의 하부에 설치되어 차량 연료가 적재된 상기 연료 탱크 자체의 무게에 관한 센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관리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연료 탱크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료 탱크 내에 적재된 연료의 상부 표면까지의 거리의 관한 센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관리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유소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7. 주유소 관리 시스템으로서,
    차량의 일측에 구비되고, 차량으로의 연료 주입에 따라 생성되는 연료 변동량 정보가 저장되는 전자태그; 및
    차량으로의 연료 주입에 따른 주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연료 주입이 종료되면 상기 전자태그에 저장된 연료 변동량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연료 주입이 종료될 때까지 생성한 주유 정보와 상기 연료 변동량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관리센터 장치로 전송하는 주유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은 연료 탱크의 무게를 감지하도록 설치된 센서부의 무게 변화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연료 변동량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전자태그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관리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센터 장치는 연료 정량 주유 여부의 검증을 위해, 상기 주유 정보에 포함된 연료 주입량과 상기 연료 변동량 정보에 포함된 연료 변동량이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관리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장치는 독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상기 전자태그에 기록된 차량 식별자를 독출하여 상기 관리센터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관리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장치가 상기 관리센터 장치 및 주유소 장치 중 하나 이상으로 상기 차량 식별자를 포함하는 적립 포인트 조회 요청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관리센터 장치 및 주유소 장치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적립 관리되는 포인트 정보를 상기 주유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관리 시스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장치가 상기 관리센터 장치 및 주유소 장치 중 하나 이상으로 상기 차량 식별자 및 차감 포인트 정보를 포함하는 포인트 차감 요청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관리센터 장치 및 주유소 장치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적립 관리되는 포인트 정보에서 상기 차감 포인트 정보에 상응하는 포인트를 차감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관리 시스템.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식별자를 수신한 상기 고객센터 장치는,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저장된 차량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기준에 따른 정비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저장된 전화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관리 시스템.
  23. 주유소 관리 시스템으로서,
    독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차량에 구비된 전자태그에 저장된 차량 식별자, 연료 소모량 정보 및 주행 거리 정보를 독출하여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주유장치; 및
    상기 주유장치로부터 차량 식별자, 연료 소모량 정보 및 주행 거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저장된 차량 정보 및 이에 따른 연비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차량 정보에 기반한 상기 차량의 연비가 적정한지 판단하는 관리센터 장치를 포함하는 주유소 관리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연비가 적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관리센터 장치는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저장된 차량 정비관련 정보 및 이에 따른 연비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차량의 연비가 적정한지 재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관리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재판단에 의해서도 상기 차량의 연비가 적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관리센터 장치는 정품 연료 주유 여부의 검증을 위해 상기 차량 식별자와 함께 수신된 직전 주유시의 연료 변동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에 연료를 주유한 주유소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관리 시스템.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장치로부터 상기 차량 식별자를 포함하는 적립 포인트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고객센터 장치는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적립 관리되는 포인트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주유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관리 시스템.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장치로부터 상기 차량 식별자 및 차감 포인트 정보를 포함하는 포인트 차감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고객센터 장치는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적립 관리되는 포인트 정보에서 상기 차감 포인트 정보에 상응하는 포인트를 차감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관리 시스템.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식별자를 수신한 상기 고객센터 장치는,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저장된 차량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기준에 따른 정비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차량 식별자에 상응하도록 저장된 전화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관리 시스템.
  29. 주유소 장치에 있어서,
    주유소 지하에 매설된 연료 탱크에 부합되도록 설치된 센서부로부터 잔여 유량 산출을 위한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센서 데이터 수집부;
    상기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잔여 유량을 산출하고, 직전의 잔여 유량과 현재 잔여 유량간의 변동량을 산출하는 잔여유량 산출부;
    상기 변동량에 관한 정보를 관리센터 장치로 전송되도록 설정되어있는지 판단하고, 전송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변동량에 관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 센터로 전송되도록 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주유소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연료 탱크의 하부에 설치되어 차량 연료가 적재된 상기 연료 탱크 자체의 무게에 관한 센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장치.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연료 탱크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료 탱크 내에적재된 연료의 상부 표면까지의 거리의 관한 센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소 장치.
KR1020100079609A 2010-08-18 2010-08-18 주유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171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609A KR20120017122A (ko) 2010-08-18 2010-08-18 주유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609A KR20120017122A (ko) 2010-08-18 2010-08-18 주유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122A true KR20120017122A (ko) 2012-02-28

Family

ID=45839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609A KR20120017122A (ko) 2010-08-18 2010-08-18 주유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712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644B1 (ko) * 2013-06-29 2014-05-30 장선자 주유소 현장 실시간 시각화를 통한 신뢰 프로세스 시스템
KR101500378B1 (ko) * 2013-07-25 2015-03-1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유사 연료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N105351746A (zh) * 2015-11-25 2016-02-24 广东未来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瓶装液化气充装监管的装置和方法
US9754301B2 (en) 2013-06-24 2017-09-05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gas station
KR20170117813A (ko) * 2016-04-14 2017-10-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스마트 주유결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54301B2 (en) 2013-06-24 2017-09-05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gas station
KR101400644B1 (ko) * 2013-06-29 2014-05-30 장선자 주유소 현장 실시간 시각화를 통한 신뢰 프로세스 시스템
KR101500378B1 (ko) * 2013-07-25 2015-03-1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유사 연료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N105351746A (zh) * 2015-11-25 2016-02-24 广东未来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瓶装液化气充装监管的装置和方法
KR20170117813A (ko) * 2016-04-14 2017-10-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스마트 주유결제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332363A1 (en) Payment cards and fuel cards
KR100751530B1 (ko) 셀프 주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주유 방법
KR101585115B1 (ko) 차량 유가보조금 부정수급검출관리시스템
US10318963B1 (en) System and methods for performing vehicle renewal services at an integrated dispensing terminal
KR20120017122A (ko) 주유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04663A (ko) 주유기, 자동 결제 주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유 방법
KR100930553B1 (ko) Rfid시스템 기반의 주유시스템
JP4787116B2 (ja) 燃料供給システム
JP4628317B2 (ja) 燃料供給システム
KR101677098B1 (ko) ⅠoT컨트롤러를 이용한 주유소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73278B1 (ko) 기만 행위를 방지하는 자가 주유 시스템
KR20170040407A (ko) 알에프태그를 이용한 유가보조금 주유 결제 운영 방법
US202000130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raud Reduction
KR20120036734A (ko) 주유고객 관리장치 및 방법
KR102353044B1 (ko) 주행연비 제공 시스템의 메인 서버
KR20180137651A (ko) 간편 주유결제 방법
KR20140078042A (ko) 연료금액 또는 연료량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단말기의 프로그램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KR20170117813A (ko) 스마트 주유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24472A (ko) 자동차 보험료 산정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160761A (ko) 주행거리 습득 방법
KR101169774B1 (ko) 에코 드라이빙을 유도하기 위한 주유 가격 할인 시스템 및 방법
KR102129076B1 (ko) 주행연비 제공 시스템 및 그것의 주행연비 제공 방법
KR102383830B1 (ko)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한 주유소 장치
KR20170054225A (ko) 차에 존재하는 연료량을 반영한 서비스 방법
KR20200023338A (ko) 자동차정비에 필요한 교환시점을 확인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