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3338A - 자동차정비에 필요한 교환시점을 확인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정비에 필요한 교환시점을 확인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3338A
KR20200023338A KR1020200021498A KR20200021498A KR20200023338A KR 20200023338 A KR20200023338 A KR 20200023338A KR 1020200021498 A KR1020200021498 A KR 1020200021498A KR 20200021498 A KR20200021498 A KR 20200021498A KR 20200023338 A KR20200023338 A KR 20200023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fuel
mileage
tim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6763B1 (ko
Inventor
박경수
Original Assignee
박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1523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40102369A/ko
Application filed by 박경수 filed Critical 박경수
Priority to KR1020200021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763B1/ko
Publication of KR20200023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338A/ko
Priority to KR1020210075910A priority patent/KR1023408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763B1/ko
Priority to KR1020210176343A priority patent/KR20210154129A/ko
Priority to KR1020220055446A priority patent/KR202200914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서버 또는 무선단말기로부터 자동차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행거리를 추출하는 단계; 및 연료정보가 저장된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연료량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행거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료량으로부터 연비, 예상 주행거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연비, 예상 주행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활용하여 자동차의 오일 교환시기, 자동차의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차 캐미컬의 교환시기 중 적어도 하나의 교환시기가 되었는지 추출하는 단계;로 구성하여 자동차의 주행거리와 서버에 저장된 연료량을 이용하여 자동차정비에 필요한 교환시점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정비에 필요한 교환시점을 확인하는 방법{ The method which confirms the exchange point of view which is necessary to a automotive repair}
주행거리와 실제 주유한 주유량을 이용하여 자동차정비에 필요한 교환주기를 추출할 수 있는 기술이다.
무선단말기로 모바일 결제시 주유한 주유량을 이용한 자동차 정비에 필요한 교환주기를 추출할 수 있는 기술이다.
자동차 소지자는 엔진오일을 교환하는 시점을 파악하는 방법으로는 엔진오일 교환한 시점에 대한 주행거리를 기록하고 기록된 주행거리에서 5,000Km가 늘어나면 엔진오일을 교환할 수 있는 시기를 자동차 소지자가 알아서 인지하여 왔다.
또한 정비소에서 엔진오일을 교환한 후 엔진오일을 교환한 시점의 주행거리를 전산에 입력하고, 엔진오일 교환주기인 5,000Km을 운행 했을 때의 예상 날자를 일률적으로 계산하고,계산된 일률적인 날자를 모든 고객에게 적용한 후 일정 날자 이후에 엔진오일 교환주기가 되었다는 문자 메세지를 전송하여왔다.
또한 정확한 자동차의 교환주기를 알수 없기 때문에 엔진오일 외의 다양한 자동차의 오일류, 자동차의 소모품, 자동차의 캐미컬의 수많은 교환주기때마다 자동차소지자에게 문자메세지등으로 알려줘서 정비를 해야 하는 시점의 서비스를 하려고 해도, 정확하지 않은 수많은 교환주기를 자동차소지자에게 전달하는 것은 과다한 스팸 메세지로 취급 받을 수 있었다.
다양한 교환주기를 자동차소지자가 모를거나 기억 못할 경우, 정비사의 의견으로 자동차를 수리 및 교환하는 경우가 있어 왔다.
또한 연료주입소에서는 IC신용카드(또는 마그네틱 신용카드)가 주로 사용되었으며, 무선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결제가 기존의 IC신용카드 보다는 차별화되는 요인이 적어, 연료주입소를 이용하는 고객은 기존에 사용해왔던 IC신용카드에서 모바일 결제를 사용하려는 인지도가 낮을 수 밖에 없었다.
자동차의 소지자가 엔진오일 교환시점을 파악하다 보면 사람의 실수등으로 엔진오일 교환주기를 놓치는 경우가 있으며, 사람의 기억으로는 엔진오일 뿐 아니라 다양한 자동차관리를 관리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사람의 기억에 의존하지 않는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현 정비소에서 일률적인 날자가 경과되면 엔진오일 교환주기가 되었다고 예측하는 방법으로는 고객의 정확한 엔진오일 교환주기를 고객에게 전달할 수 없기 때문에 자동차마다 디테일한 엔진오일 교환주기를 추출하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정확한 자동차의 교환주기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엔진오일 외의 다양한 자동차의 오일류, 자동차의 소모품, 자동차의 캐미컬의 수많은 교환주기 때마다 자동차소지자에게 문자메세지등으로 알려줘서 과다한 스팸 메세지로 발생할 수있는 기존의 방법을 해소하기 위해서, 실제 자동차마다 디테일 한 자동차의 오일류, 자동차의 소모품, 자동차의 캐미컬의 교환주기를 꼭 필요한 시기에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다양한 교환주기를 자동차소지자가 모를거나 기억 못할 경우, 정비사의 의견으로 자동차를 수리 및 교환하는 경우, 실제 교환주기가 맞는지 자동차소지자는 확인할 상식이 없어서 정비사와 자동차소지자간에 오해의 소지가 발생할 수 있다.
모바일결제 주로 이용하게 되면, 모바일 결제로 적용된 연료량을 근거로 예상주행거리등을 추출하여, 다양한 교환주기를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기존의 IC신용카드보다는 모바일 결제를 주로 사용하여 연료주입소에서 결제하는 빈도를 높이는 방법이 필요하다.
사람의 기억에 의존하지 않고, 자동차의 오일류, 자동차의 소모폼, 캐미컬의 교환주기를 일률적인 날자가 아닌 각각의 자동차마다 다양하게 운행되는 실제 자동차의 예상 주행거리를 추출하도록 구성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그리고 실제 자동차의 예상 주행거리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오일류, 자동차의 소모폼, 캐미컬의 교환주기를 자동차 마다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즉 현재 자동차의 주행거리를 직접 확인하지 않더라도 운행중인 자동차에 대한 실제 주행거리에 근접하게 알 수 있는 예상 주행거리를 추출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이러한 예상주행거리를 이용하여 자동차마다 디테일한 교환주기를 자동차소지자에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정비사의 의견으로 자동차 수리 및 교환하는 경우, 실제 교환주기가 맞는지 자동차소지자는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를 자동차소지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서, 정비사와 자동차소지자간에 오해의 소지를 줄일 수가 있다.
또한 예상 주행거리와 함께 자동차소지자의 자동차에 대한 연비를 파악하여 캐미컬과 같은 자동차에 도움이 되는 정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여기서 상기 예상주행거리와 연비를 이용하여 자동차정비에 필요한 교환시점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서버 또는 무선단말기로부터 자동차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행거리를 추출하고, 연료정보가 저장된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연료량을 추출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주행거리와 적어도 하나의 연료량으로부터 연비, 예상 주행거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연비, 예상 주행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활용하여 자동차의 오일 교환시기, 자동차의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차 캐미컬의 교환시기 중 적어도 하나의 교환시기가 되었는지 추출하도록 구성하여, 자동차의 주행거리와 서버에 저장된 연료량을 이용하여 자동차정비에 필요한 교환시점을 확인하는 방법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연비, 예상 주행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활용하여 자동차의 오일 교환시기, 자동차의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차 캐미컬의 교환시기 중 적어도 하나의 교환시기가 되었는지 추출한 정보를 무선단말기, 이메일, DM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여기서 자동차의 오일, 자동차의 소모품, 자동차 캐미컬의 중 적어도 하나가 교환된 경우, 교환된 주행거리의 시점을 반영하여, 자동차의 오일 교환시기, 자동차의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차 캐미컬의 교환시기 중 적어도 하나의 교환시기를 추출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여기서 예상 주행거리를 알기 위해서, 서버 또는 무선단말기로부터 추출한 주행거리에, 연료량과 기 설정된 연비를 곱하여 나온 주행거리와 합산하여 자동차의 예상주행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예상주행거리를 적용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여기서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연료량을 추출할 때, 서버에 저장 안되고 누락된 비율을 산정하고, 상기 누락된 비율을 이용하여, 예상 연료량을 추출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여기서 연료량을 서버에 저장하기 위해서, 연료주입시스템에서 연료주입 후 자동차정보 또는 자동차정보를 유추할 수 있는 정보와 함께, 연료 주입한 연료량을 서버에 저장하도록 서버를 구성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연료량을 전달받을 때, 상기 자동차정보 또는 자동차정보를 유추할 수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연료량을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여기서 자동차 정비소에서 자동차번호를 선택하고 상기 자동차번호에 주행거리를 입력하여 저장된 서버로부터 자동차번호, 자동차의 차종, 정비내역, 예상정비 내역, 정비할인쿠폰, 정비 무료쿠폰, 자동차 정비소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주행거리를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연비, 예상 주행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활용하여 자동차의 오일 교환시기, 자동차의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차 캐미컬의 교환시기 중 적어도 하나의 교환시기가 되었는지 추출되었을 때, 상기 추출된 교환시기까지 도달할 때의 예측 날자를 무선단말기에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무선단말기에서 자동차번호 또는 자동차번호의 속성을 가진 정보를 선택하면, 서버로부터 주행거리, 연료량, 연비, 예상 주행거리, 자동차의 오일교환시기, 자동차의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차 캐미컬 교환시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무선단말기에 불러와서 무선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자동차번호 또는 자동차번호의 속성을 가진 정보가 연료주입시 연료주입기에 전달되면, 상기 연료주입기의 모니터, 연료주입기에서 출력되는 영수증, 연료주입기를 사용하면서 통신이 가능한 무선단말기의 화면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자동차의 오일교환시기, 자동차의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차 캐미컬 교환시기 중 적어도 하나의 교환시기가 되었다는 것을 표시하여 주도록 구성한다.
상기 설명한바와 같이 서버 및 무선단말기에서 주행거리와 연료주입시 연료를 주입하면서 서버에 저장된 연료량을 이용하여, 현 자동차의 예상 주행거리와 연비를 예측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자료를 이용하여 자동차소지자 및 자동차 정비에 관련 있는 관련자에게 자동차정비에 필요한 교환시점을 확인시켜 줄 수 있다.
또한 교환된 엔진오일, 자동차 소모품, 자동차 캐미컬 중 하나가 교환된 A시점의 A주행거리에서,
교환된 엔진오일, 자동차 소모품, 자동차 캐미컬 중 하나의 교환주기를 새롭게 적용한 C주행거리인 C시점까지 도달할 때의 예측날자를 무선단말기에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C시점은 A시점 이후의 연료량에 연비를 계산하여 추출한 B시점의 B주행거리가, C주행거리까지 도달할때의 예측날자이고,
상기 연료량은 서버에 저장된 실제 주유한 정보이고,
상기 연료량은 무선단말기에 저장된 모바일 결제시 연료주입시스템으로 전달되는 정보와 대응되는 주유량이고,
상기 A주행거리는 상기 무선단말기 또는 서버에 저장된 주행거리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예상주행거리인 상기 B주행거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엔진오일 교환시기, 자동차의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차 캐미컬 교환시기인 C시점이 되었는지를 추출하여 무선단말기에 교환시기를 알 수 있도록 화면에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 무선단말기의 화면에 예상주행거리가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예상주행거리는 서버에 저장된 A시점의 주행거리에 상기 연료량과 기설정된 연비를 곱하여 나온 주행거리와 합산한 자동차의 예상주행거리 정보로 구성할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무선단말기는, 연료주입기를 셋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무선단말기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무선단말기가 연료주입기를 셋팅하기 위해서 상기 무선단말기와 연료주입기가 무선 프로토콜로 송수신하게되면,
상기 교환시기을 알 수 있도록 상기 무선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도록 구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 자동차 정비소에서 자동차번호를 선택하고 상기 자동차번호에 A주행거리를 입력하여 저장된 서버로부터 정비할인쿠폰 또는 정비 무료쿠폰와 상기 자동차 정비소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 예상정비 내역을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사람의 기억에 의존하지 않고 디테일한 자동차정비 교환주기를 실제 주행거리와 근사한 예측 주행거리를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 날자의 경과 후 일률적으로 자동차정비 교환주기 보다 정확하고 신뢰 있는 자동차정비 교환시기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자동차마다 디테일한 예상주행거리를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자동차마다 디테일한 마케팅이 가능하다.
자동차소지자도 자동차의 교환주기를 실제 주행거리와 근사한 내용으로 알려주는 자동차정비 교환시기를 알수 있기 때문에, 정비사와 자동차소지자간에 오해의 소지를 방지할 수 있어 정비소와 자동차소지자간에 신뢰가 쌓일 수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자동차정비를 위해서 자동차소지자에게 놓치고 넘어갈 수 있는 교환주기를 전달하여 자동차정비시의 매출을 올릴 수 있고, 자동차소지자는 안전한 자동차관리를 통하여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모바일결제시 추출이 가능한 주유량에 연비를 대응한 예상주행거리를 적용하게되면, 모바일 결제의 사용으로 적용된 연료량을 근거로, 다양한 교환주기를 추출할 수 있어서, 고객은 해당 교환주기를 추출할 수 있는 모바일 결제가 탑재된 무선단말기의 사용을 더 초진할 수 있으며, 고객은 해당 무선단말기의 모바일 결제를 사용하여 차량의 교환주기를 관리받을 수 있기 때문에 해당 모바일 결제를 주로 사용할 가능성이 높아지게되어, 특정 모바일 결제 또는 모바일 결제가 탑재된 무선단말기의 사용빈도가 높아질수 있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해당 모바일 결제를 사용하게되면, 다양한 교환주기의 관리를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다.
도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 주행거리과 주유량을 시간적으로 흐름으로 표시하여 연비 및 예상 주행거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다.
도3은 본 발명을 설명할 때 연비 및 예상주행거리를 수식으로 추출할 수 있는 하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교환된 엔진오일, 자동차 소모품, 자동차 캐미컬 중 하나가 교환된 A시점의 A주행거리에서,
교환된 엔진오일, 자동차 소모품, 자동차 캐미컬 중 하나의 교환주기를 새롭게 적용한 C주행거리인 C시점까지 도달할 때의 예측날자를 무선단말기에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단계;를 포함하고,[0072]
C시점은 A시점 이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료량에 연비를 계산하여 추출한 B시점의 B주행거리가, C주행거리까지 도달할때의 예측날자이고,
상기 연료량은 서버에 저장된 실제 주유한 정보이고,[0052]
상기 연료량은 무선단말기에 저장된 모바일 결제시 연료주입시스템으로 전달되는 정보와 대응되는 주유량이고,[0080]
상기 A주행거리는 상기 무선단말기 또는 서버에 저장된 주행거리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정비에 필요한 교환시점을 확인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서버 또는 무선단말기로부터 자동차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행거리를 추출하는 단계; 및 연료정보가 저장된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연료량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행거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료량으로 부터 연비, 예상 주행거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연비, 예상 주행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활용하여 자동차의 오일 교환시기, 자동차의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차 캐미컬의 교환시기 중 적어도 하나의 교환시기가 되었는지 추출하는 단계;로 구성하여 자동차의 주행거리와 서버에 저장된 연료량을 이용하여 자동차정비에 필요한 교환시점을 확인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바람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다.
도1을 참조하면,
서버 또는 무선단말기로부터 자동차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행거리(또는 A주행거리)를 추출하도록 구성하기 위해서 정비소(1)에서 자동차(12-1)의 정비를 하면서 정비사가 정비소 전산시스템(2)에 자동차의 자동차번호와 함께 자동차의 정비내역을 저장하면서, 자동차의 주행거리(또는 A주행거리)를 입력하게 된다. 이때 정비소 전산시스템(2)는 자동차번호와 함께 서버(3)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서버(3)은 본 발명을 위해서 주행거리(또는 A주행거리)를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는 별도의 주행거리(또는 A주행거리)를 저장하기 위한 전용서버(3)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정비내역을 보관하고 있는 서버(3) 또는 정비소(1)의 자체 정비소 저장장치를 서버(3)로 구성하여 정비내역과 주행거리(또는 A주행거리)를 저장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무선단말기에서 무선단말기의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상기 무선단말기에 상기 주행거리(또는 A주행거리)를 직접 입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단말기는 상기 직접 입력한 상기 주행거리(또는 A주행거리)를 추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직접 입력하거나 상기 무선단말기에서 추출한 주행거리(또는 A주행거리)를 서버(3)으로 전송하도록 무선단말기를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서버(3) 또는 무선단말기에 주행거리(또는 A주행거리)를 입력할 경우에는 상기 주행거리의 대상이 되는 자동차번호의 속성을 가지고 저장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무선단말기에서는 상기 서버(3)에 저장된 주행거리(또는 A주행거리)를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출하는 방법 중 하나로는 차량번호 또는 차량번호는 상기 서버(3)와 무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3)으로부터 주행거리를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는 무선단말기에서 자동차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자동차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3)으로부터 주행거리를 전달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하나의 예로는 무선단말기에 자동차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서버(3)에 상기 자동차번호와 대응되는 주행거리가 저장되어 있다며, 상기 주행거리를 무선단말기에 불러 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3)으로부터 상기 주행거리를 전달받을 수도 있지만, 상기 무선단말기에서 자연인이 직접 자동차의 주행거리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상기 주행거리를 무선단말기에서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무선단말기에 자연인이 직접 저장할 때는 자동차번호를 기준으로 저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선단말기에서 자동차에 설치된 별도의 무선장치를 통하여 상기 주행거리를 상기 무선단말기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자동차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행거리를 추출한다는 의미는 자동차의 자동차번호와 대응이 되는 주행거리를 추출한다고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자동차번호가 아니더라도 자동차번호를 추출할 수 있거나, 자동차번호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주민번호, 신용카드번호, 전화번호, 마일리지번호, 무선단말기 식별번호와 같은 정보를 근거로 주행거리를 추출할 수있으며, 이때 상기 자동차번호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주민번호, 신용카드번호, 전화번호, 마일리지번호, 무선단말기 식별번호와 같은 정보로 부터 자동차를 유추할 수 있다면, 이때의 상기 정보들은 자동차와 대응된다 라고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주행거리를 추출할 때는 하나의 주행거리가 아닌 다수의 주행거리를 추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연료정보가 저장된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연료량을 추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연료주입소인 주유소(13)와 같은 곳에서 연료를 주입할 때 실제 주유한 주유량에 대한 정보를 서버(3)에 저장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서버(3)는 주유소 자체에 보관중인 서버(3), 신용카드와 같은 결제사의 서버(3), 마일리지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3), 정비내역이 포함되어 있는 서버(3)을 활용하도록 구성할 도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서버(3)으로부터 주유량을 추출하도록 구성하기 위해서 연료량은 자동차번호 또는 자동차번호를 유추할 수 있는 정보나 또는 자동차번호를 유추할 수 있는 정보가 없더라도 추후에 자동차번호를 유추할 수 있도록 별도의 식별가능한 정보와 함께 저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행거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료량으로부터 연비, 예상 주행거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을 도2와 도3을 예를 들어 참조하면,
A시점에서의 주행거리(5-1, 또는 A주행거리)와 B시점의 주행거리(5-2, 또는 예상주행거리, 또는 B주행거리)와 A시점과 B시점 사이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유량(9)를 추출하며, 이때 A시점과 B시점의 전체 주유량은 예제2에서와 같이 합산된 주유량(9-201)를 추출하고, 상기 주유량(9-201)과 A시점의 주행거리(5-1, 또는 A주행거리)와 B시점의 주행거리(5-2, 또는 B주행거리)를 활용하여 상기 예제3에서와 같이 적용하면 연비(7-10)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연비(7-10)과 A시점의 날자(B)와 날자(A)를 이용하여 예제4와 같이 날자당 주유량(11)를 추출하고, 상기 날자당 주유량(11)와 상기 연비(7-10)과 상기 주행거리(5-1)와 상기 A날자와 알고 싶은 D날자의 예상주행거리(12-1)를 예제5)의 공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또한 주행거리(5-1)와 연비(7-10)과 날자당 주유량(11)을 이용하여 주행거리가 0이되는 시점의 날자를 추출할 수도 있으며, 이때 0이 되는 시점은 차량의 출고 또는 출고되었던 시기를 예상할 수 있으며, 상기 주유량과 주행거리을 이용하여 차량의 출고되는 시점을 유추하여 차량연식을 유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예제1과 예제5의 공식만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연료량 및 주행거리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여러 가지 다양한 수학 기법 및 공식을 응용하여 상기 연비 및 예상주행거리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예상 주행거리(또는 B주행거리)를 알게 되면 상기 연비, 예상 주행거리(또는 B주행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활용하여 자동차의 오일 교환시기, 자동차의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차 캐미컬의 교환시기 중 적어도 하나의 교환시기(또는 C시점)가 되었는지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오일이라는 것은 자동차에 필요한 오일을 의미하며, 그 종류에는 엔진오일, 브레이크오일, 미션오일, 파워오일, 벨트오일 등이 있다.
또한 여기서 자동차의 소모품이란 자동차를 운행하면서 필요한 소모품이며 그 종류에는 필터류, 벨트류, 브레이크 패드, 인젝터 등이 있다.
여기서 캐미컬은 오일 및 연료에 첨가하여 자동차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화학성분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오일과 자동차의 소모품과 자동차의 캐미컬은 일정한 평균적인 교환주기를 가지게 되며 이때 상기 교한주기를 차종별 또는 차종의 그룹별로 별도의 교환주기를 기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주기는 주행거리를 기준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상기 예상 주행거리(또는 B주행거리)를 파악하면, 상기 오일 교환시기, 자동차의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차 캐미컬의 교환시기(또는 C주행거리가 되는 C시점)가 되었는지 추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연비, 예상 주행거리(또는 B주행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활용하여 자동차의 오일 교환시기, 자동차의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차 캐미컬의 교환시기 중 적어도 하나의 교환시기(또는 C주행거리가 되는 C시점)가 되었는지 추출한 정보를 무선단말기, 이메일, DM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정비에 필요한 교환시점(또는 C주행거리가 되는 C시점)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A시점의 주행거리(5-1, 또는 A주행거리)와 연비(9-201)를 이용하여 일정 엔진오일 교환주기를 합한 주행거리(5-3)라고할 때 상기 도3에서 설명한 예제1에서 예제5를 이용하여 통상의 수학지식을 갖는 자라면, C시점을 추출할 수 있으며, 이때 C시점이 되기 이전 또는 C시점을 초과하거나 또는 C시점이 된 경우, 상기 무선단말기에 설치된 프로그램에서 엔진오일 교환주기(또는 C시점)가 되었다는 것을 알람으로 울리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이메일 및 DM를 활용하여 자동차 관리자에게 상기 엔진오일 교환주기(또는 C시점)가 되었다는 것을 알릴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단말기에는 상기 자동차의 오일 교환시기(또는 C시점), 자동차의 소모품 교환시기(또는 C시점), 자동차 캐미컬의 교환시기(또는 C시점)에 대한 정보를 서버(3)로부터 추출하여 무선단말기에 저장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무선단말기 자체에 상기 교환주기를 미리 저장되도록 프로그램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 무선단말기에서는 상기 오일 교환시기(또는 C시점), 자동차의 소모품 교환시기(또는 C시점), 자동차 캐미컬의 교환주기(또는 C시점)를 서버로부터 자동으로 전달 받도록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무선단말기, 이메일, DM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때는 자동으로 추출하고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서 무선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자동차의 오일, 자동차의 소모품, 자동차 캐미컬의 중 적어도 하나가 교환된 경우 상기 교환된 주행거리(또는 A주행거리)의 시점(또는 A시점)을 반영(또는 교환된 엔진오일, 자동차 소모품, 자동차 캐미컬 중 하나의 교환주기를 새롭게 적용하여 반영)하여, 상기 자동차의 오일 교환시기, 자동차의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차 캐미컬의 교환시기 중 적어도 하나의 교환시기(또는 시점)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이때는 정비소의 정비내역을 추출하고 상기 정비내역에 상기 자동차의 오일, 자동차의 소모품, 자동차 캐미컬의 중 적어도 하나를 교환했을 때 상기 교환한 시점(또는 A시점)에서 기 설정한 교환주기를 새롭게 설정하여 적용하도록 프로그램되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3을 참조하면, A시점에 엔진오일을 교환하였을 경우 A시점의 주행거리(5-1,또는 A주행거리)에서 엔진오일교환주기를 새롭게 적용이 되며, 이때 A시점으로부터 엔진오일 교환주기 5000km를 적용한 시점이 C시점이 새롭게 엔진오일을 교환해야 하는 주기가 되는 것이다.
또한 여기서 C시점의 엔진오일 교환주기까지 도달할 때의 예측 날자를 무선단말기에 표시되도록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엔진오일 교환주기뿐만 아니라, 상기 연비, 예상 주행거리(또는 B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활용하여 자동차의 오일 교환시기, 자동차의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차 캐미컬의 교환시기 중 적어도 하나의 교환시기(또는 C시점)가 되었는지 추출되었을 때, 상기 추출된 교환시기(또는 C시점)까지 도달할 때의 예측 날자를 무선단말기에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예상 주행거리(또는 B시점)를 알기 위해서, 서버 또는 무선단말기로부터 추출한 주행거리(또는 A주행거리)에, 연료량과 기 설정된 연비를 곱하여 나온 주행거리와 합산하여 자동차의 예상주행거리(또는 B주행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예상주행거리(또는 B주행거리)를 적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기 설정된 연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행거리와 주유량의 추출을 통하여 예제1과 예제2의 공식을 이용하여 연비를 산출하는 방법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주행거리와 주유량을 추출하는 자동차의 차종을 함께 추출하고 상기 차종이 가지고 있는 제조원의 연비를 이용하거나, 상기 차종이 평균적을 가지게 되는 연비를 기 설정한 후, 상기 연비의 정보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연료량을 추출할 때, 서버에 저장 안되고 누락된 비율을 산정하고, 상기 누락된 비율을 이용하여, 예상 연료량을 추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누락된 비율을 산정하는 이유에 있어서, 사상 주유량이 서버에 저장될때, 상기 주유량이 특정 마일리지 카드 또는 특정 신용카드를 사용할 경우 상기 주유량에 대한 정보가 같이 저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시적으로 상기 마일리지를 적립하거나 특정 신용카드를 사용하여 주유하여 저장될 비율이 100%는 아니기 때문에, 보편적으로 상기 마일리지나 신용카드를 사용하여 적립하거나 사용할 때, 누락되는 비율을 산정하여, 누락된 비율만큼 보완하는 수식을 이용하여 반영하고, 이때 반영되어 추출된 주유량을 근거로 하여 예상 주행거리를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실제적으로 주유소에서 고객당 마일리지 적립율이 90%라고하면, 90리터의 주유량이 추출된 경우라 하더라도 실제적으로는 100% 적립할 경우로 예상하여, 100리터의 주유량이 주유되었다고 추출할 수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때 100리터에 연비를 곱하여 100리터를 주유했을 경우의 주행거리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연료량을 서버에 저장하기 위해서, 연료주입시스템에서 연료주입 후 자동차정보 또는 자동차정보를 유추할 수 있는 정보와 함께, 연료 주입한 연료량을 서버에 저장하도록 서버를 구성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연료량을 전달받을 때, 상기 자동차정보 또는 자동차정보를 유추할 수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연료량을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연료주입시스템에서 연료주입 후에 실제 연료주입한 연료량이 서버에 저장할때, 연료량만을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연료량과 함께 자동차번호가 저장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자동차번호가 아니더라도 자동차에 연료주입할때 연료주입한 결제도구로부터 자동차 또는 자동차정보를 유추할 수 있는 정보를 전달받은 후, 연료량과 함께 서버에 저장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서버에 저장된 자동차번호 또는 자동차번호를 유추할 수있는 정보와 함께 저장된 주유량을 불러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연비 또는 예상연비를 추출할 수 있는 주유량을 불러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자동차번호를 유추할 수 있는 정보는 무선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모바일결제를 이용할 경우에는 모바일결제시 연료주입시스템으로 전달되는 모바일식별 정보, 모바일결제 정보, 폰번호, 계좌번호, 자동차번호, 이메일 주소, 계정번호, IP 정보와 같은 정보와 대응하여 주유량이 저장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주유량과 대응하여 저장된 상기 정보를 근거로 상기 주유량을 추출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추출된 주유량과 자동차번호와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서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차 정비소에서 자동차번호를 선택하고 상기 자동차번호에 주행거리를 입력하여 저장된 서버로 부터 자동차번호, 자동차의 차종, 정비내역, 예상정비 내역, 정비할인쿠폰, 정비 무료쿠폰, 자동차 정비소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주행거리를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자동차 정비소에서 자동차번호를 선택하고 상기 자동차번호에 A주행거리를 입력하여 저장된 서버로부터 정비할인쿠폰 또는 정비 무료쿠폰와 상기 자동차 정비소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주행거리는 정비소에서 정비시 자동차번호를 선택하고 정비시 자동차번호에 대응되는 주행거리를 입력하여 서버로 저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주행거리를 추출할 경우, 상기 주행거리와 함께 정비소 또는 정비소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자동차의 차종, 정비내역, 예상정비 내역, 정비할인쿠폰, 정비무료쿠폰, 자동차정비소의 정비등을 함께 추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단말기에서 자동차번호 또는 자동차번호의 속성을 가진 정보를 선택하면, 서버로부터 주행거리, 연료량, 연비, 예상 주행거리, 자동차의 오일교환시기, 자동차의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차 캐미컬 교환시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무선단말기에 불러와서 무선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차번호 또는 자동차번호의 속성을 가진 정보가 연료주입시 연료주입기에 전달 되면, 상기 연료주입기의 모니터, 연료주입기에서 출력되는 영수증, 연료주입기를 사용하면서 통신이 가능한 무선단말기의 화면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자동차의 오일교환시기, 자동차의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차 캐미컬 교환시기 중 적어도 하나의 교환시기(또는 C시점)가 되었다는 것을 표시하여 주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연료주입기를 셋팅하기 위해서 무선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연료주입기와 무선단말기가 무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송수신을 하게 되며, 이때 연료주입기로부터 무선단말기로 상기 오일교환시기, 자동차의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차 캐미컬 교환시기 중 적어도 하나의 교환시기(또는 C시점)가 되었다는 것을 전달하여, 상기 무선단말기에서 상기 교환시기(또는 C시점)들을 알수 있도록 무선단말기 화면에 출력되도록 구성할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무선단말기 또는 신용카드 또는 마일리지와 같은 카드를 셀프연료주입기인 셀프주유기에서 리딩하거나 접촉하게 되면, 상기 셀프주유기에서 상기 무선단말기 또는 신용카드 또는 마일리지을 이용하여 고객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고객정보에 맞는 오일교환시기, 자동차의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차 캐미컬 교환시기 중 적어도 하나의 교환시기가 되었다는 것을 셀프주유기의 화면에 출력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때 셀프주유기로 연료주입 후 영수증에도 교환시기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1: 정비소 2: 정비소 전산시스템
3: 서버 5: 주행거리
9: 주유량 10: 날자
11: 날자당 주유량 12: 자동차
13: 주유소

Claims (10)

  1. 서버 또는 무선단말기로부터 자동차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행거리를 추출하는 단계; 및 연료정보가 저장된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연료량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행거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료량으로부터 연비, 예상 주행거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연비, 예상 주행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활용하여 자동차의 오일 교환시기, 자동차의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차 캐미컬의 교환시기 중 적어도 하나의 교환시기가 되었는지 추출하는 단계;로 구성하여 자동차의 주행거리와 서버에 저장된 연료량을 이용하여 자동차정비에 필요한 교환시점을 확인하는 방법
  2. 청구항1에 있어서
    연비, 예상 주행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활용하여 자동차의 오일 교환시기, 자동차의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차 캐미컬의 교환시기 중 적어도 하나의 교환시기가 되었는지 추출한 정보를 무선단말기, 이메일, DM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정비에 필요한 교환시점을 확인하는 방법
  3.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오일, 자동차의 소모품, 자동차 캐미컬의 중 적어도 하나가 교환된 경우, 상기 교환된 주행거리의 시점을 반영하여, 상기 자동차의 오일 교환시기, 자동차의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차 캐미컬의 교환시기 중 적어도 하나의 교환시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정비에 필요한 교환시점을 확인하는 방법
  4. 청구항1에 있어서
    예상 주행거리를 알기 위해서, 서버 또는 무선단말기로부터 추출한 주행거리에, 연료량과 기 설정된 연비를 곱하여 나온 주행거리와 합산하여 자동차의 예상주행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예상주행거리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정비에 필요한 교환시점을 확인하는 방법
  5. 청구항1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연료량을 추출할 때, 서버에 저장 안되고 누락된 비율을 산정하고, 상기 누락된 비율을 이용하여, 예상 연료량을 추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정비에 필요한 교환시점을 확인하는 방법
  6. 청구항1에 있어서
    연료량을 서버에 저장하기 위해서, 연료주입시스템에서 연료주입 후 자동차정보 또는 자동차정보를 유추할 수 있는 정보와 함께, 연료 주입한 연료량을 서버에 저장하도록 서버를 구성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연료량을 전달받을 때, 상기 자동차정보 또는 자동차정보를 유추할 수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연료량을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정비에 필요한 교환시점을 확인하는 방법
  7. 청구항1에 있어서,
    자동차 정비소에서 자동차번호를 선택하고 상기 자동차번호에 주행거리를 입력하여 저장된 서버로 부터 자동차번호, 자동차의 차종, 정비내역, 예상정비 내역, 정비할인쿠폰, 정비 무료쿠폰, 자동차 정비소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주행거리를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정비에 필요한 교환시점을 확인하는 방법
  8.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연비, 예상 주행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활용하여 자동차의 오일 교환시기, 자동차의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차 캐미컬의 교환시기 중 적어도 하나의 교환시기가 되었는지 추출되었을 때, 상기 추출된 교환시기까지 도달할 때의 예측 날자를 무선단말기에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정비에 필요한 교환시점을 확인하는 방법
  9.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에서 자동차번호 또는 자동차번호의 속성을 가진 정보를 선택하면, 서버로부터 주행거리, 연료량, 연비, 예상 주행거리, 자동차의 오일교환시기, 자동차의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차 캐미컬 교환시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무선단말기에 불러와서 무선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정비에 필요한 교환시점을 확인하는 방법
  10. 청구항1에 있어서,
    자동차번호 또는 자동차번호의 속성을 가진 정보가 연료주입시 연료주입기에 전달되면, 상기 연료주입기의 모니터, 연료주입기에서 출력되는 영수증, 연료주입기를 사용하면서 통신이 가능한 무선단말기의 화면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자동차의 오일교환시기, 자동차의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차 캐미컬 교환시기 중 적어도 하나의 교환시기가 되었다는 것을 표시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정비에 필요한 교환시점을 확인하는 방법
KR1020200021498A 2013-02-13 2020-02-21 자동차정비에 필요한 교환시점을 확인하는 방법 KR102266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498A KR102266763B1 (ko) 2013-02-13 2020-02-21 자동차정비에 필요한 교환시점을 확인하는 방법
KR1020210075910A KR102340819B1 (ko) 2020-02-21 2021-06-11 연료첨가제의 시점을 확인하는 방법
KR1020210176343A KR20210154129A (ko) 2020-02-21 2021-12-10 자동차정비에 필요한 교환시점을 확인하는 방법
KR1020220055446A KR20220091436A (ko) 2020-02-21 2022-05-04 자동차정비에 필요한 교환시점을 확인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236A KR20140102369A (ko) 2013-02-13 2013-02-13 자동차정비에 필요한 교환시점을 확인하는 방법
KR1020200021498A KR102266763B1 (ko) 2013-02-13 2020-02-21 자동차정비에 필요한 교환시점을 확인하는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236A Division KR20140102369A (ko) 2013-02-13 2013-02-13 자동차정비에 필요한 교환시점을 확인하는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910A Division KR102340819B1 (ko) 2020-02-21 2021-06-11 연료첨가제의 시점을 확인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338A true KR20200023338A (ko) 2020-03-04
KR102266763B1 KR102266763B1 (ko) 2021-06-17

Family

ID=69783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498A KR102266763B1 (ko) 2013-02-13 2020-02-21 자동차정비에 필요한 교환시점을 확인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76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8346A (ja) * 2002-11-28 2004-06-24 Ryomo Maruzen Kk 車両の保守管理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による車両の保守管理方法及び車両の保守管理プログラム
JP2004362347A (ja) * 2003-06-05 2004-12-24 Shimomoto Shoji ユーザー車検支援システム
KR20120112301A (ko) * 2012-08-26 2012-10-11 박경수 모바일에서의 연료셋팅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8346A (ja) * 2002-11-28 2004-06-24 Ryomo Maruzen Kk 車両の保守管理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による車両の保守管理方法及び車両の保守管理プログラム
JP2004362347A (ja) * 2003-06-05 2004-12-24 Shimomoto Shoji ユーザー車検支援システム
KR20120112301A (ko) * 2012-08-26 2012-10-11 박경수 모바일에서의 연료셋팅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763B1 (ko)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115B1 (ko) 차량 유가보조금 부정수급검출관리시스템
CN108305391A (zh) 加油信息采集处理方法及加油服务系统
JP2015103187A (ja) 車両の評価システム及び車両の評価方法
KR20100109760A (ko) 셀프 주유소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30346158A1 (en) Method for drivers of motor vehicles or motor boats to lock in the price they pay for fuel irrespective of the quantity of fuel they use in the future
KR101677098B1 (ko) ⅠoT컨트롤러를 이용한 주유소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583870A (zh) 一种基于微信支付的快捷加油支付方法
KR20120017122A (ko) 주유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23338A (ko) 자동차정비에 필요한 교환시점을 확인하는 방법
KR20130094595A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관리 시스템
KR102340819B1 (ko) 연료첨가제의 시점을 확인하는 방법
KR20150061047A (ko) 주유정보에 따른 주유할인 방법
KR20120050371A (ko) 자동차 관리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2000130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raud Reduction
KR102353044B1 (ko) 주행연비 제공 시스템의 메인 서버
CN108520430A (zh) 停车收费异常分析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020053439A (ko) 차량운행 및 주유관리 정보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의차량관리 시스템
KR20140078042A (ko) 연료금액 또는 연료량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단말기의 프로그램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KR20180137651A (ko) 간편 주유결제 방법
KR20140102369A (ko) 자동차정비에 필요한 교환시점을 확인하는 방법
KR20170040051A (ko) 실 거래량을 검증하는 방법
KR20020053438A (ko) 네트워크 기반의 업무용 차량 주유관리 시스템
KR101941651B1 (ko) 유가보조금 부정수급 방지 방법
KR20150024472A (ko) 자동차 보험료 산정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128673A (ko) 주유비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