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7720A - 센싱 장치 - Google Patents
센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77720A KR20200077720A KR1020180166876A KR20180166876A KR20200077720A KR 20200077720 A KR20200077720 A KR 20200077720A KR 1020180166876 A KR1020180166876 A KR 1020180166876A KR 20180166876 A KR20180166876 A KR 20180166876A KR 20200077720 A KR20200077720 A KR 202000777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der
- sensing device
- disposed
- housing
- metal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23 axial leng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1—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 B62D15/0215—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by measuring on the steering colum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 B62D5/04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including housing for electronic control uni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02—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2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he force applied to control members, e.g. control members of vehicles, triggers
- G01L5/221—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he force applied to control members, e.g. control members of vehicles, triggers to steering wheels, e.g. for power assisted stee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7—Torqu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실시예는 제 1 회전부; 상기 제 1 회전부가 배치되는 제 2 회전부; 상기 제 2 회전부가 배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 2 회전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금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회전부는 제 1 홀더 및 상기 제 1 홀더와 결합된 제 2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금속부재는 상기 제 1 홀더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몸체 및 상기 몸체에서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된 제 1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센싱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실시예는 센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Electronic Power System, 이하, 'EPS'라 한다.)은 운행조건에 따라 전자제어장치(Electronic Control Unit)에서 센싱 장치를 구동하여 선회 안정성을 보장하고 신속한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한 주행을 가능하게 한다.
EPS는 적절한 토크를 제공하기 위하여, 조향축의 토크, 조향각 등을 측정하는 센서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 조립체는 조향축에 걸리는 토크를 측정하는 토크 센서와 조향축의 각가속도를 측정하는 인덱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향축은 핸들에 연결되는 입력축, 바퀴측의 동력전달구성과 연결되는 출력축 및 입력축과 출력축을 연결하는 토션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크 센서는 토션바의 비틀림 정도를 측정하여 조향축에 걸리는 토크를 측정한다. 그리고 인덱스 센서는 출력축의 회전을 감지하여, 조향축의 각가속도를 측정한다. 상기 센서 조립체에서, 상기 토크 센서와 인덱스 센서는 함께 배치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토크 센서는 하우징, 로터, 스테이터 및 콜렉터를 포함하여 상기 토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는 제 1 홀더, 제 2 홀더 및 스테이터 투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테이터는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데, 금속 소재의 제 1 홀더와 플라스틱 소재의 하우징과 습동되면서 소음이 과대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실시예는 스테이터와 하우징 사이의 소음과 마모를 저감할 수 있는 센싱 장치를 제공한다.
상세하게, 하우징의 내측면 습동 부분에 상기 제 1 홀더와 동일한 소재의 금속 부재를 배치하여, 구동시 하우징과 제 1 홀더 사이의 마찰 소음과 마모를 저감할 수 있는 센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홀더와 제 2 홀더 사이의 습동 부분에 금속 부재를 배치하여, 구동시 제 1 홀더와 제 2 홀더 사이의 마찰 소음과 마모를 저감할 수 있는 센싱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는 실시예에 따라 제 1 회전부; 상기 제 1 회전부가 배치되는 제 2 회전부; 상기 제 2 회전부가 배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제 2 회전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금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회전부는 제 1 홀더 및 상기 제 1 홀더와 결합된 제 2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금속부재는 상기 제 1 홀더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몸체 및 상기 몸체에서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된 제 1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센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금속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 2 홀더와 오버랩 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홀더는 금속이고 상기 제 1 금속부재와 대응하여 회전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홀더는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홀더가 배치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금속부재의 제 1 플랜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부의 일단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플랜지부의 단부면은 상기 개구부의 외측면과 회전축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홀더는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홈에 결합된 걸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금속부재는 상기 제 2 홀더와 상기 걸림 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 부재는 제 1 홀더의 외주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금속부재는 상기 제 2 홀더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제 2 플랜지부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싱 장치는, 상기 제 2 홀더와 상기 제 2 플랜지부 사이에 제 2 금속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홀더는 제 2 홀더와 결합하는 외주면에 복수 개의 제 2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홈은 복수 개이고, 복수 개의 상기 제 2 홈은 상기 제 1 홀더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홀더는 제 2 홈을 둘러싸는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홀더는 제 2 홈을 마주하는 바닥면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은 측벽을 향해 기울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홀더는 상기 제 1 홀더와 결합하는 내측부와,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내측부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는 외측부와, 상기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를 연결하는 격판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부는, 내측에 제 1 홀더가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개구부에 안착되는 제 1 영역과,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영역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는 제 2 영역과, 상기 제 1영역과 제 2영역을 연결하는 제 3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영역의 타단면은 제 1 홀더의 단부면과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영역의 반경 방향 길이는 상기 제 1 홀더와 상기 하우징 개구부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보다 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영역의 일단은 외측으로 갈수록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3 영역의 일단은 회전축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플랜지부의 반경 방향 길이는 상기 제1영역의 반경 방향 길이보다 길고 상기 내측부의 반경 방향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플랜지부의 단부면은 상기 제 2 영역의 경사에 이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금속부재는 상기 제 1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회전부; 상기 제 1 회전부가 배치되는 제 2 회전부; 상기 제 2 회전부가 배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 2 회전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금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회전부는 제 1 홀더 및 상기 제 1 홀더와 결합된 제 2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금속부재는 상기 제 1 홀더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센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는, 하우징과 제 1 홀더의 습동 부분에 제 1 금속부재를 배치함에 따라, 제 1 홀더가 회전하면서 동일한 금속 소재에 습동되도록 하여, 제 1 홀더와 하우징 사이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마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 1 홀더와 제 2 홀더의 습동 부분에 금속 소재의 제 2 플랜지부 및 제 2 금속부재를 배치함에 따라, 제 1 홀더가 회전하면서 동일한 금속 소재에 습동되도록 하여, 제 1 홀더와 제 2 홀더 사이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마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가장 소음이 큰 제 1 홀더와 하우징의 습동 부분에 원통 형상의 제 1 금속부재를 배치하여, 형상을 단순화하면서 효과적으로 소음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제 2 회전부 및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제 2 회전부, 하우징 및 제 1 금속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도,
도 6은 제 1 금속부재의 변형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부분 확대도,
도 8은 제 2 금속부재가 포함된 단면도,
도 9는 제 1 금속부재의 다른 변형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제 2 회전부 및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제 2 회전부, 하우징 및 제 1 금속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도,
도 6은 제 1 금속부재의 변형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부분 확대도,
도 8은 제 2 금속부재가 포함된 단면도,
도 9는 제 1 금속부재의 다른 변형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제 2 회전부 및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제 2 회전부, 하우징 및 제 1 금속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1)는 제 1 회전부(100), 제2회전부(200), 하우징(300) 및 제 1 금속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측이라 함은 제 2 회전부(200)의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중심(C)을 향하여 배치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외측이라 함은 내측과 반대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제 2 회전부(200)는 출력축(미도시)과 연결되고, 제 2 회전부(200)에 적어도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회전부(100)는 입력축(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회전부(100)는 마그넷(미도시)을 포함한다. 제 1 회전부(100)는 제2회전부(2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2 회전부(200)는 제 1 홀더(210)와, 제 2 홀더(220) 및 걸림 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홀더(210)는 전동식 조향장치의 출력축(Output shaft)에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 1 홀더(210)는 상기 출력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 1 홀더(2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홀더(210)는 금속 소재일 수 있다.
제 1 홀더(210)는 제 1 홈(2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홈(211)은 제 1 홀더(210)의 하우징(300)으로부터 드러난 부분에 형성된다. 제 1 홈(211)은 외주면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 1 홈(211)에는 걸림 부재(230)가 배치된다
제 1 홀더(210)는 제 2 홀더(220)와 결합할 수 있다.
제 1 홀더(210)는 제 2 홀더(220)와 결합하는 외주면에 복수 개의 제 2 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홈(212)은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 홈(212)은 제 1 홀더(2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 1 홀더(210)는 제 2 홈(212)을 둘러싸는 측벽(212a)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212a)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홈(212)은 'D' 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 1 홀더(210)는 제 2 홈(212)을 마주하는 바닥면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은 측벽을 향해 기울어질 수 있다. 즉, 제 2 홈(212)은 곡면(212a) 방향으로 갈수록 깊이가 증가하는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제 2 홈(212)은 제 1 홀더(210)와 제 2 홀더(220)의 이탈을 방지하고, 제 2 회전부(200)가 회전하면서 제 1 홀더(210)가 슬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홀더(220)는 제 1 홀더(210)의 일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홀더(220)는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제 1 홀더(210)와 결합될 수 있다. 제 2 홀더는 하우징(300)에 의해 지지된다. 제 2 홀더(220)는 플라스틱 소재일 수 있다.
제 2 홀더(220)는 내측부(221)와 외측부(222)와 격판(223)을 포함한다. 내측부(221)와 외측부(222)는 원통 형상이다. 외측부(222)는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내측부(221)의 외측에 이격되게 배치된다. 격판(223)은 내측부(221)와 외측부(222)를 연결한다. 내측부(221), 외측부(222) 및 격판(223)은 일체일 수 있다. 내측부(221)의 내측에는 제 1 홀더(210)가 결합될 수 있다. 외측부(222)와 내측부(221) 사이에는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격판(223)은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격판(223)은 내측부(221)와 외측부(2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내측부(221)는 제 1 영역(2211), 제 2 영역(2212) 및 제 3 영역(22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영역(2211)은 내측에 제 1 홀더(210)가 배치된다. 제 1 영역(2211)은 일단이 개구부(311)에 안착된다. 이때, 제 1 영역(2211)의 반경 방향 길이는 제 1 홀더(210)와 하우징 개구(311)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보다 크다. 이때, 제 1 영역(2211)의 타단면은 제 1 홀더(210)의 단부면과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
제 2 영역(2212)은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제 1 영역(2211)의 외측에 배치된다. 제 2 영역(2212)의 일단은 외측으로 갈수록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게 경사진다. 제 2 영역(2212)의 타단면은 외측부(222)의 단부면과 회전축의 수직한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
제 3 영역(2213)은 제 1 영역(2211)과 제 2 영역(2212)을 연결한다. 제 3 영역(2213)의 일단은 회전축 방향으로 함몰된다. 제 2영역(2213)의 타단은 외측으로 갈수록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게 경사진다.
걸림 부재(230)는 제 2 회전부(200)의 하측으로 하우징(300)이 빠질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걸림 부재(230)는 c-ring 형태일 수 있다. 걸림 부재(230)는 금속 소재일 수 있다. 걸림 부재(23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일 수 있다.
걸림 부재(230)는 제 1 홀더(210)의 제 1 홈(211)에 결합한다. 걸림 부재(230)는 제 1 홈(21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걸림 부재(230)는 제 1 홀더(2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걸림 부재(230)는 제 1 홀더(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300)의 하면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그리고 걸림 부재(230)는 제 1 플랜지부(420)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제 1 플랜지부(42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걸림 부재(230) 외륜의 직경은 하우징(300) 개구(311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300)은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으며,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형태이다. 하우징(300)은 중심에 개구(3111)가 형성된 개구부(311)를 포함한다. 개구(3111)의 내측에는 제 1 홀더(210)가 위치한다.
하우징(300)은 제1바디(310)와 제2바디(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310)는 중심에 개구부(311)가 배치되며, 개구(3111)의 내측에는 제 1 홀더(210)의 일부가 위치한다. 이때, 제 1 홀더(210)의 직경은 개구(3111)의 직경보다 적게 형성되어, 제 1 홀더(210)와 개구(3111) 내측면 사이에 간격이 발생한다. 제 1 홀더(210)와 개구(3111) 내측면 사이로 제 1 금속부재(400)의 일부가 배치된다.
제2바디(320)는 제1바디(310)에 연결되어, 복수의 기어(미도시)가 배치되고 외부 케이블과 연결된다. 제1바디(310)와 제2바디(320)는 플라스틱 소재이고,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금속부재(400)는 제 2 회전부(200)와 하우징(300) 사이에 배치된다. 개구부(311)의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제 1 금속부재(400)는 몸체(410)와, 제 1 플랜지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몸체(410)와 제 1 플랜지부(4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금속부재(400)는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하우징(300)의 개구부(311)와 결합할 수 있다.
몸체(410)는 제 1 홀더(210)와 하우징(300) 사이에 배치된다. 몸체(410)는 상기 제 2 회전부(200)의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홀더(210)와 하우징 개구부(311) 사이에 배치된다. 몸체(410)는 외륜의 크기가 하우징 개구(3111)의 크기에 대응하고, 내륜의 크기가 상기 제 1 홀더(210)의 외륜의 크기에 대응한다. 몸체(410)는 금속 소재일 수 있다.
즉, 몸체(410)는 제 1 홀더(210)와 하우징 개구부(311)의 습동 부분에 배치되어, 금속 소재인 제 1 홀더(210)와 플라스틱 소재인 하우징(300)이 습동되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한다. 이때, 제 1 홀더(210)는 회전하는 동안 동일 금속 소재의 몸체(410)와 습동된다. 이처럼 서로 다른 금속 소재의 부품이 습동되는 경우, 금속 소재의 부품과 플라스틱 소재의 부품이 습동되는 것보다 소음이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다.
제 1 플랜지부(420)는 몸체(410)의 일단에서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 1 플랜지부(420)는 제 2 회전부(200)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개구부(311)의 단부와 걸림 부재(230)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플랜지부(420)는 일면이 개구부(311)의 단부에 접촉하고, 다른 일면이 걸림 부재(230)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제 1 플랜지부(420)의 단부면은 개구부(311)의 외측면과 회전축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 1 플랜지부(420)는 걸림 부재(230)와 하우징 개구부(311)의 습동 부분에 배치되어, 금속 소재인 걸림 부재(230)와 플라스틱 소재인 하우징(300)이 습동되어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한다. 이때, 걸림 부재(230)는 제 1 홀더(210)에 의해 회전하는 동안 동일 금속 소재의 제 1 플랜지부(420)와 습동된다. 이처럼 서로 다른 금속 소재의 부품이 습동되는 경우, 금속 소재의 부품과 플라스틱 소재의 부품이 습동하는 것보다 소음이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다.
도 6은 제 1 금속부재의 변형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는 제 2 플랜지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플랜지부(430)는 몸체(410)의 타단에서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 2 플랜지부(430)는 금속 소재일 수 있다. 제 2 플랜지부(430)는 제 2 회전부(200) 축방향을 기준으로 개구부(311)의 상단 제 2 홀더(220)의 하단 사이에 배치된다. 제 2 플랜지부(430)는 일면이 개구부(311)의 상단면과 접촉하고 다른 일면이 제 2 홀더 내측부(221)의 하단면에 접촉할 수 있다.
제 2 플랜지부(430)의 반경 방향 길이는 제 1 영역(2211)의 반경 방향 길이보다 길고, 내측부(221)의 반경 방향 길이보다 짧다. 이때, 제 2 플랜지부(430)의 단부면은 제 2 영역(2212)의 경사와 이격된다.
제 2 플랜지부(430)는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하우징의 개구부(311)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몸체(410), 제 1 플랜지부(420) 및 제 2 플랜지부(430)는 일체로 형성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몸체(400), 제 1 플랜지부(420) 및 제 2 플랜지부(430)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하우징(300)에 인서트 사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제 2 금속부재가 포함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2 금속부재(600)는 제 2 홀더(220)와 제 2 플랜지부(430) 사이에 배치된다. 제 2 금속부재(600)는 제 2 홀더(220)의 단부면에 대응하는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2 금속부재(600)는 반경방향 길이가 축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 금속부재(600)는 반경방향 길이가 제 2 플랜지부(430)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금속부재(600)는 제 2 홀더(220)에 고정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 2 금속부재(600)는 제 1 영역(22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금속부재(600)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제 2 홀더(2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 2 금속부재(600)는 제 2 홀더(220)에 의해 회전하면서 제 2 플랜지부(430)와 습동된다. 이처럼 제 2 홀더(220)와 하우징 개구부(311)는 습동 부분에 금속 소재인 제 2 플랜지부(430)와 제 2 금속부재(600)가 배치되어, 제 2 홀더(220)와 하우징 개구부(311)의 플라스틱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도 9는 제 1 금속부재의 다른 변형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1 금속부재(50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홀더(210)와 하우징 개구부(311)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제 1 금속부재(500)는 개구부(311)에 인서트 사출에 의해 결합된다. 제 1 금속부재(500)는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 2 홀더(220)와 오버랩 되지 않는다. 이러한 제 1 금속부재(500)는 가장 소음이 큰 제 1 홀더(210)와 하우징(300)의 습동 부분에 배치되어, 형상을 단순화하면서 소음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제 1 회전부
200: 제 2 회전부
210: 제 1 홀더
211: 제 1 홈
212: 제 2 홈
212a: 곡면
220: 제 2 홀더
221: 내측부
2211: 제 1 영역
2212: 제 2 영역
2213: 제 3 영역
222: 외측부
223: 격판
230: 걸림부재
300: 하우징
310: 제1바디
320: 제2바디
400, 500: 제 1 금속부재
410: 몸체
420: 제 1 플랜지부
430: 제 2 플랜지부
600: 제 2 금속부재
200: 제 2 회전부
210: 제 1 홀더
211: 제 1 홈
212: 제 2 홈
212a: 곡면
220: 제 2 홀더
221: 내측부
2211: 제 1 영역
2212: 제 2 영역
2213: 제 3 영역
222: 외측부
223: 격판
230: 걸림부재
300: 하우징
310: 제1바디
320: 제2바디
400, 500: 제 1 금속부재
410: 몸체
420: 제 1 플랜지부
430: 제 2 플랜지부
600: 제 2 금속부재
Claims (26)
- 제 1 회전부;
상기 제 1 회전부가 배치되는 제 2 회전부;
상기 제 2 회전부가 배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제 2 회전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금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회전부는 제 1 홀더 및 상기 제 1 홀더와 결합된 제 2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금속부재는 상기 제 1 홀더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몸체 및 상기 몸체에서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된 제 1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센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 2 홀더와 오버랩 되지 않는 센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홀더는 금속이고 상기 제 1 금속부재와 대응하여 회전되도록 배치되는 센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홀더는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센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홀더가 배치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금속부재의 제 1 플랜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부의 일단 상에 배치되는 센싱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랜지부의 단부면은 상기 개구부의 외측면과 회전축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센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홀더는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홈에 결합된 걸림 부재를 포함하는 센싱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부재는 상기 제 2 홀더와 상기 걸림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센싱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는 제 1홀더의 외주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센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부재는 상기 제 2 홀더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제 2 플랜지부를 갖는 센싱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홀더는 상기 제 1 금속부재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과 이격되는 센싱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홀더와 상기 제 2 플랜지부 사이에 제 2 금속부재를 포함하는 센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홀더는 제 2 홀더와 결합하는 외주면에 복수 개의 제 2 홈이 형성되는 센싱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제 2 홈은 복수 개이고, 복수 개의 상기 제 2 홈은 상기 제 1 홀더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센싱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제 1 홀더는 제 2 홈을 둘러싸는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센싱 장치. - 제15항 있어서,
제 1 홀더는 제 2 홈을 마주하는 바닥면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은 측벽을 향해 기울어진 센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제2홀더는 상기 제 1 홀더와 결합하는 내측부와,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내측부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는 외측부와, 상기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를 연결하는 격판을 포함하는 센싱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는,
내측에 제 1 홀더가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개구부에 안착되는 제 1 영역과,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영역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는 제 2 영역과, 상기 제 1영역과 제 2영역을 연결하는 제 3 영역을 포함하는 센싱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의 타단면은 제 1 홀더의 단부면과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센싱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반경 방향 길이가 상기 제 1 홀더와 상기 개구부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보다 큰 센싱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의 일단은 축방향으로 함몰되는 센싱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영역의 일단은 외측으로 갈수록 돌출되도록 경사지는 센싱 장치. - 제10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제 2 플랜지부의 반경 방향 길이는 상기 제 1 영역의 반경 방향 길이보다 길고 상기 내측부의 반경 방향 길이보다 짧은 센싱 장치.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랜지부의 단부면은 상기 제 2 영역의 경사와 이격되는 센싱 장치. - 제12항 또는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금속부재는 상기 제 1 영역 상에 배치되는 센싱 장치. - 제 1 회전부;
상기 제 1 회전부가 배치되는 제 2 회전부;
상기 제 2 회전부가 배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 2 회전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금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회전부는 제 1 홀더 및 상기 제 1 홀더와 결합된 제 2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금속부재는 상기 제 1 홀더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센싱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6876A KR102715553B1 (ko) | 2018-12-21 | 센싱 장치 | |
US17/312,542 US11987285B2 (en) | 2018-12-21 | 2019-11-26 | Sensing apparatus for use in power steering system of a vehicle |
CN201980085201.7A CN113226892B (zh) | 2018-12-21 | 2019-11-26 | 感测设备 |
PCT/KR2019/016327 WO2020130391A1 (ko) | 2018-12-21 | 2019-11-26 | 센싱 장치 |
JP2021535772A JP7510421B2 (ja) | 2018-12-21 | 2019-11-26 | センシング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6876A KR102715553B1 (ko) | 2018-12-21 | 센싱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7720A true KR20200077720A (ko) | 2020-07-01 |
KR102715553B1 KR102715553B1 (ko) | 2024-10-11 |
Family
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2515161A (ja) | 2022-02-17 |
US11987285B2 (en) | 2024-05-21 |
US20220055688A1 (en) | 2022-02-24 |
JP7510421B2 (ja) | 2024-07-03 |
WO2020130391A1 (ko) | 2020-06-25 |
CN113226892B (zh) | 2023-01-17 |
CN113226892A (zh) | 2021-08-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330572A1 (en) | Servo and robot with servo | |
KR100262098B1 (ko) | 조타각 센서유닛 | |
JP6491456B2 (ja) | トラクション動力伝達装置 | |
CN106584502A (zh) | 舵机及机器人 | |
JP4529000B2 (ja) | ブラシレスモータレゾルバ構造 | |
JP2006081986A (ja) | 遠心分離機のロータ取付け構造 | |
US20230182859A1 (en) | Wheel hub motor | |
KR20200077720A (ko) | 센싱 장치 | |
US11285586B2 (en) | Electric power tool | |
KR102715553B1 (ko) | 센싱 장치 | |
CN109923769B (zh) | 旋转位置检测装置 | |
JP6720287B2 (ja) | ロータおよび遠心機 | |
KR20180009581A (ko) | 센서 장치 | |
JP6859329B2 (ja) | 密閉回転台 | |
KR101786197B1 (ko) | 감속기 일체형 모터 | |
JP2014227040A (ja) |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 |
CN109211454A (zh) | 一种推力测力推杆 | |
KR20200029420A (ko) | 브레이크장치용 엑츄에이터 | |
KR20200076052A (ko) |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 |
CN110238800B (zh) | 电动工具及其扭力侦测装置 | |
EP3632625B1 (en) | Power tool | |
CN215149253U (zh) | 机器人关节结构及机器人 | |
KR20140031029A (ko) | 전동식 조향장치 | |
JP2008259318A (ja) | ブラシレスモータレゾルバ構造 | |
KR20220091886A (ko) | 센싱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