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7330A - 통기성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 필터 - Google Patents

통기성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7330A
KR20200077330A KR1020180166729A KR20180166729A KR20200077330A KR 20200077330 A KR20200077330 A KR 20200077330A KR 1020180166729 A KR1020180166729 A KR 1020180166729A KR 20180166729 A KR20180166729 A KR 20180166729A KR 20200077330 A KR20200077330 A KR 20200077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guide plate
breathable
flat plat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6384B1 (ko
Inventor
심홍식
김병묵
민지현
오미연
이진규
김민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166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384B1/ko
Priority to PCT/KR2019/014994 priority patent/WO2020130341A1/ko
Priority to EP19900852.5A priority patent/EP3834909B1/en
Priority to CN201980061299.2A priority patent/CN113164852B/zh
Priority to US17/282,102 priority patent/US20210370214A1/en
Priority to JP2021512683A priority patent/JP7164079B2/ja
Publication of KR20200077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odor, e.g. deodorizing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75Arrangements of multiple light guides
    • G02B6/0078Side-by-side arrangements, e.g. for large area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71Surface coating material
    • B01D2239/0478Surface coating material on a layer of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5More than one layer present in the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5More than one layer present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54Support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20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207Transition metals
    • B01D2255/20707Tita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20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209Other metals
    • B01D2255/2092Alumi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80Type of catalytic reaction
    • B01D2255/802Photocatalyt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도광판은 적어도 일측면에 위치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이 통과하는 평판형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의 평판에 수직한 방향으로 빛을 방출하고,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는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다.

Description

통기성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 필터{LIGHT GUIDE PLATE HAVING AIR PERMABILITY AND AIR PURIFYING FILT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통기성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공기가 통과하고 동시에 빛을 방출하는 통기성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 필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화와 산업 구조의 변화로 인해, 사무실, 지하 역사, 차량 등 밀폐된 공간에서 하루 대부분을 보내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현대인들은 갇힌 공기 속에서 살아갈 수밖에 없으며, 실내 공기는 건축 자재, 가구, 벽지, 전자 제품 등에서 발생하는 먼지나 유해 화합물로 인해 오염될 수 있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나, 개인 및 대중 교통 차량에 대한 관심은 최근에 급격히 증가된 바 있다.
따라서, 상기 오염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환기나 필터형 공기 청정기 등으로 대처하고 있으나, 악취, 세균 및 휘발성 유해 물질 등을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광 촉매 또는 광 감응제에 빛을 조사하여 휘발성 유해 물질을 제거하거나 항균 기능을 구현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고 한 예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38975호에서 공기의 광촉매 필터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나 에어컨에는 부피를 줄이기 위해 평판 구조의 필터가 여러 장 사용될 수 있다. 광 촉매 또는 광 감응제는 필터에 부착되거나 별도의 얇은 평판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 촉매 또는 광 감응제에 고르게 빛을 비추고 제품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서는 면광원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기존 면광원을 필터 사이에 삽입하면 공기의 흐름을 막게 되므로 공기 청정기나 에어컨의 정상적인 동작이 어렵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기가 통과하고 동시에 빛을 방출하는 통기성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 필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도광판은 적어도 일측면에 위치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이 통과하는 평판형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의 평판에 수직한 방향으로 빛을 방출하고,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는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다.
상기 복수의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가 웨이브 구조, 트위스트 구조 및 펀치 구조 중 하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는 복수의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부는 웨이브 모양 또는 트위스트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웨이브 모양을 갖는 패턴부를 포함하는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에서, 서로 이웃하는 패턴부의 웨이브 모양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위스트 모양을 갖는 패턴부를 포함하는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에서, 서로 이웃하는 패턴부의 트위스트 모양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펀치 구조를 갖는 평판형 플레이트는 다공성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에 광 반사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상기 광 반사 물질은 이산화 티타늄 또는 산화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필터는 앞에서 설명한 통기성 도광판을 포함한다.
상기 통기성 도광판에서 상기 헤파 필터로 빛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청정 필터는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와 상기 헤파 필터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기성 도광판에 포함된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에서 빛이 방출되는 면에 쐐기 형태의 복수개의 도광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도광 패턴 각각은 상기 헤파 필터의 접힌 부분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균일한 광을 정면으로 보낼 수 있는 도광 패턴을 가짐으로써, 공기 청정 필터에서 휘발성 유해 물질 제거 또는 항균 기능을 구현하도록 광 촉매 또는 광 감응제에 빛을 조사하는 통기성 도광판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도광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도광판에 포함된 평판형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통기성 도광판을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들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의 평판형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하나의 패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도광판에 포함된 평판형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통기성 도광판을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들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의 평판형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하나의 패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도광판에 포함된 평판형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통기성 도광판을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도광판에 포함된 평판형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도광판이 공기 청정 필터 내에 배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도광판이 인접하도록 형성된 지지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도광판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통기성 도광판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도광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도광판(100)은 공기가 통과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뻗는 평판형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평판형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측면에 위치하는 광원(1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광원(110)는 하나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 외에도 다른 일측면에 광원(110)이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광원(110)은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으며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도광판(100)은, 광원(110)에서 발생한 빛을 평판형 플레이트의 평판에 수직한 방향으로 방출할 수 있고, 동시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의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통기성 도광판(100)은 평판형 플레이트를 둘러싸는 모듈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모듈 프레임을 사용하여 광원(110)에서 발생한 빛이 Z축 방향으로 모두 진행할 수 있도록 빛을 흡수 또는 반사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복수의 개구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도광판에 포함된 평판형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통기성 도광판을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들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의 평판형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하나의 패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도광판은 복수의 개구부(150h)를 형성하기 위해 웨이브 구조를 갖는 평판형 플레이트(150)를 포함할 수 있다. 평판형 플레이트(150)는 복수의 패턴부(150p)를 포함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패턴부(150p)는 웨이브 모양을 가지며, 이는 마치 파동처럼 마루와 골에 해당하는 제1 부분(151)과 제2 부분(152)이 반복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모양이다.
본 실시예에서 평판형 플레이트(150)는 서로 이웃하는 패턴부(150p)의 웨이브 모양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됨으로써 개구부(150h)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a)는 도 2의 평판형 플레이트(150)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에 해당하고, 도 3(b)는 도 3(a)를 X축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며, 도 3(c)는 도 3(a)를 Y축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b) 및 도 4를 참고하면, 서로 이웃하는 패턴부(150p)의 웨이브 모양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면, 서로 이웃하는 패턴부(150p) 중 하나의 패턴부(150p)의 제1 부분(151)과, 다른 하나의 패턴부(150p)의 제2 부분(152)이 X축 방향으로 서로 중첩하여 개구부(150h)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c)를 참고하면, Y축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복수의 패턴부(150p)의 웨이브 모양이 엇갈리게 배치되어 평판형 플레이트(150)의 상단면 및 하단면이 평평하게 나타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도광판에 포함된 평판형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통기성 도광판을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들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의 평판형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하나의 패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도광판은 복수의 개구부(160h)를 형성하기 위해 트위스트 구조를 갖는 평판형 플레이트(160)를 포함할 수 있다. 평판형 플레이트(160)는 복수의 패턴부(160p)를 포함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패턴부(160p)는 트위스트 모양을 갖는다. 트위스트 되기 이전에 하나의 패턴부(160p)는 서로 대향하고 있는 제1 면과 제2 면을 갖는 상태에서, 트위스트 된 이후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161)의 제1 면과 제2 부분(162)의 제2 면이 동일한 일측면에서 꼬인점(163)을 기준으로 반복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모양이다.
본 실시예에서 평판형 플레이트(160)는 서로 이웃하는 패턴부(160p)의 트위스트 모양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됨으로써 개구부(160h)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a)는 도 5의 평판형 플레이트(160)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에 해당하고, 도 6(b)는 도 6(a)를 X축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며, 도 6(c)는 도 6(a)를 Y축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b) 및 도 7을 참고하면, 서로 이웃하는 패턴부(160p)의 트위스트 모양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면, 서로 이웃하는 패턴부(160p) 중 하나의 패턴부(160p)의 제1 부분(161)과 제2 부분(162)은, 다른 하나의 패턴부(160p)의 제1 부분(161)과 제2 부분(162)과 X축 방향으로 서로 중첩하고, 꼬인점(163) 역시 동일한 X축 방향의 가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트위스트 모양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패턴부(160p)의 꼬인점(163) 사이의 공간인 개구부(160h)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c)를 참고하면, Y축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복수의 패턴부(160p)의 트위스트 모양이 나란하게 배치되어 평판형 플레이트(160)의 상단면 및 하단면이 웨이브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도광판에 포함된 평판형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통기성 도광판을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들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도광판은 복수의 개구부(170h)를 형성하기 위해 펀치 구조를 갖는 평판형 플레이트(170)를 포함할 수 있다. 평판형 플레이트(170)는 개구부(170h)가 형성된 다공성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9(a)는 도 8의 평판형 플레이트(170)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에 해당하고, 도 9(b)는 도 9(a)를 X축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며, 도 9(c)는 도 9(a)를 Y축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b) 및 도 9(c)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개구부(170h)는 하나의 평판형 플레이트(170) 내에 펀칭 공정을 통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의 구멍을 뚫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는 개구부(170h)가 보이지 않고 평판형 플레이트(170)의 상단면 및 하단면이 평평하게 나타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도광판에 포함된 평판형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도광판은 복수의 개구부(180h)를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슬라브(180p)로 이루어진 평판형 플레이트(18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슬라브(180p)는 빛 및 공기가 통과하는 방향인 도 1의 Z축 방향을 기준으로 틸트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평판형 플레이트(150, 160, 170, 180)는 PMMA(Poly Methyl Meth Acrylate) 수지로 만들어진 투명 아크릴 패널일 수 있다.
평판형 플레이트(150, 160, 170, 180)에는 광 반사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광 반사 물질은 이산화 티타늄(TiO2) 또는 산화 알루미늄(Al2O3)을 포함할 수 있고, 평판형 플레이트(150, 160, 170, 180)에 코팅된 광 반사 물질에 의해 광원(110)에서 발생한 빛을 평판형 플레이트의 평판에 수직한 방향으로 방출할 수 있다.
광 반사 물질은 도트 형태로 평판형 플레이트(150, 160, 170, 180)에 인쇄될 수 있으며, 도트의 크기는 광원(1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질 수 있다. 도트 형태는 평판형 플레이트(150, 160, 170, 180)의 금형에 레이저 등으로 스크래치를 내서 구현할 수 있다.
다만, 광 반사 물질을 코팅하지 않고 평판형 플레이트(150, 160, 170, 180)의 패턴 설계를 통해 빛의 굴절, 반사 및/또는 확산을 이용하여, 광 반사 물질을 코팅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도 11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도광판이 공기 청정 필터 내에 배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필터는 앞에서 설명한 통기성 도광판이 프리 필터와 헤파 필터 사이에 해당하는 "A"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에서 도시한 통기성 도광판의 위치는 한 예시이고, 통기성 도광판은 프리 필터와 헤파 필터 사이 대신에 프리 필터를 기준으로 헤파 필터가 위치하는 부분의 반대편에 통기성 도광판이 위치할 수도 있으며, 광촉매 또는 광 감응제에 빛을 제공할 수 있는 위치라면 헤파 필터를 기준으로 프리 필터가 위치하는 부분의 반대편에 통기성 도광판이 위치할 수도 있다.
프리 필터는 대략 10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먼지를 걸러내는 기능을 하고, 헤파 필터는 대략 0.3 내지 10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필터 기능을 할 수 있다. 헤파 필터는 광 촉매 또는 광 감음제가 코팅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통기성 도광판에서 방출된 빛이 헤파 필터에 형성된 광 촉매 또는 광 감응제와 반응하여 휘발성 유해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도광판이 인접하도록 형성된 지지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필터는 통기성 도광판(100)과 헤파 필터 사이에 지지층(10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층(105)은 헤파 필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면서도 광 촉매 또는 광 감응제가 코팅될 수 있다. 지지층(105)은 메쉬 타입으로 형성되어 통기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균일한 광을 헤파 필터를 향하여 보낼 수 있는 도광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도광판 구조 안에서 확산 패턴을 적용하면 그 부분만 전반사가 깨져 확산이 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광 패턴의 밀도를 조절함으로써 균일한 광을 보낼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청정 필터에서 휘발성 유해 물질 제거 또는 항균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도광판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통기성 도광판의 평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하면, 통기성 도광판에 포함된 평판형 플레이트에서 빛이 방출되는 면에 쐐기 형태의 복수개의 도광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개의 도광 패턴 각각은 헤파 필터의 접힌 부분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통기성 도광판
150, 160, 170, 180: 평판형 플레이트
150h, 160h, 170h, 180h: 개구부
150p, 160p: 패턴부
180p: 슬라브

Claims (12)

  1. 적어도 일측면에 위치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이 통과하는 평판형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의 평판에 수직한 방향으로 빛을 방출하고,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는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통기성 도광판.
  2.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가 웨이브 구조, 트위스트 구조 및 펀치 구조 중 하나를 갖는 통기성 도광판.
  3. 제2항에서,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는 복수의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부는 웨이브 모양 또는 트위스트 모양을 갖는 통기성 도광판.
  4. 제3항에서,
    상기 웨이브 모양을 갖는 패턴부를 포함하는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에서, 서로 이웃하는 패턴부의 웨이브 모양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는 통기성 도광판.
  5. 제3항에서,
    상기 트위스트 모양을 갖는 패턴부를 포함하는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에서, 서로 이웃하는 패턴부의 트위스트 모양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는 통기성 도광판.
  6. 제2항에서,
    상기 펀치 구조를 갖는 평판형 플레이트는 다공성 구조를 갖는 통기성 도광판.
  7. 제1항에서,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에 광 반사 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통기성 도광판.
  8. 제7항에서,
    상기 광 반사 물질은 이산화 티타늄 또는 산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통기성 도광판.
  9. 제1항의 통기성 도광판을 포함하는 공기 청정 필터.
  10. 제9항에서,
    상기 통기성 도광판에서 상기 헤파 필터로 빛이 진행되는 공기 청정 필터.
  11. 제9항에서,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와 상기 헤파 필터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층을 더 포함하는 공기 청정 필터.
  12. 제9항에서,
    상기 통기성 도광판에 포함된 상기 평판형 플레이트에서 빛이 방출되는 면에 쐐기 형태의 복수개의 도광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도광 패턴 각각은 상기 헤파 필터의 접힌 부분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공기 청정 필터.
KR1020180166729A 2018-12-20 2018-12-20 통기성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 필터 KR102556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729A KR102556384B1 (ko) 2018-12-20 2018-12-20 통기성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 필터
PCT/KR2019/014994 WO2020130341A1 (ko) 2018-12-20 2019-11-06 통기성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 필터
EP19900852.5A EP3834909B1 (en) 2018-12-20 2019-11-06 Breathable light guide plate and air purification filter comprising same
CN201980061299.2A CN113164852B (zh) 2018-12-20 2019-11-06 透气导光板以及包括其的空气净化过滤器
US17/282,102 US20210370214A1 (en) 2018-12-20 2019-11-06 Light guide plate having air permeability and air purifying filter including the same
JP2021512683A JP7164079B2 (ja) 2018-12-20 2019-11-06 通気性導光板およびそれを含む空気清浄フィル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729A KR102556384B1 (ko) 2018-12-20 2018-12-20 통기성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330A true KR20200077330A (ko) 2020-06-30
KR102556384B1 KR102556384B1 (ko) 2023-07-14

Family

ID=71102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729A KR102556384B1 (ko) 2018-12-20 2018-12-20 통기성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 필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370214A1 (ko)
EP (1) EP3834909B1 (ko)
JP (1) JP7164079B2 (ko)
KR (1) KR102556384B1 (ko)
CN (1) CN113164852B (ko)
WO (1) WO202013034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7563A (ja) * 2005-01-26 2006-09-07 Sumitomo Electric Ind Ltd 面発光デバイス
KR20100108962A (ko) * 2009-03-31 2010-10-08 박성진 조명용 백라이트 유니트의 도광판
KR20150002366A (ko) * 2013-06-28 2015-01-07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Uv led를 구비한 후드 시스템
WO2018016116A1 (ja) * 2016-07-22 2018-01-2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清浄装置及び集塵フィルタ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5969B2 (ja) * 2000-03-27 2004-02-09 神栄株式会社 有機物分解ユニット
JP2003126227A (ja) * 2001-10-26 2003-05-07 Iwasaki Kankyo Shisetsu Kk 汚染空気の処理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CN2657030Y (zh) * 2003-11-08 2004-11-1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数码相机模组
EP1843401A4 (en) * 2005-01-26 2010-01-13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SURFACE-EMITTING DEVICE
JP2009229471A (ja) * 2006-07-12 2009-10-08 Sharp Corp 光学部品、表示装置用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WO2009122610A1 (ja) * 2008-04-02 2009-10-08 シャープ株式会社 面光源およびその面光源を含む表示装置
KR101494450B1 (ko) * 2008-10-08 2015-0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0938975B1 (ko) 2009-07-20 2010-01-26 신용태 내연기관에 흡입되는 공기의 광촉매 필터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US20120075885A1 (en) * 2010-09-24 2012-03-29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Backlight for large format illumination
US9157642B2 (en) * 2010-10-12 2015-10-13 Lg Innotek Co., Ltd. Air conditioner including virus removal device
WO2013168985A1 (ko) * 2012-05-08 2013-11-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광섬유 적용 항균 필터 및 이를 포함한 공기청정기
JP6174340B2 (ja) * 2013-03-07 2017-08-02 健太朗 大坪 光触媒空気清浄フィルター
CN204469537U (zh) * 2014-12-25 2015-07-15 福建金源泉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光触媒高效节能空气过滤网
CN206725801U (zh) * 2017-02-12 2017-12-08 广州市鸿益塑料有限公司 一种具有纳米孔和金属颗粒的导光板
CN207196175U (zh) * 2017-06-08 2018-04-06 漳州立达信光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曲面面板灯
CN107488579B (zh) * 2017-09-19 2019-10-25 广西大学 一种光生物空气净化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7563A (ja) * 2005-01-26 2006-09-07 Sumitomo Electric Ind Ltd 面発光デバイス
KR20100108962A (ko) * 2009-03-31 2010-10-08 박성진 조명용 백라이트 유니트의 도광판
KR20150002366A (ko) * 2013-06-28 2015-01-07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Uv led를 구비한 후드 시스템
WO2018016116A1 (ja) * 2016-07-22 2018-01-2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清浄装置及び集塵フィル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35792A (ja) 2021-12-23
US20210370214A1 (en) 2021-12-02
CN113164852A (zh) 2021-07-23
EP3834909B1 (en) 2022-08-24
KR102556384B1 (ko) 2023-07-14
JP7164079B2 (ja) 2022-11-01
CN113164852B (zh) 2023-04-18
EP3834909A4 (en) 2021-08-25
EP3834909A1 (en) 2021-06-16
WO2020130341A1 (ko) 202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09479B2 (ja) 空気清浄機の光触媒による空気清浄化構造、該空気清浄化構造を備える空気清浄機、及び前記空気清浄化構造に用いる光触媒フィルタ
CN109477652B (zh) 空气净化装置及集尘过滤器
JP2015507816A (ja) 吸音光パネル
JP5153681B2 (ja) 空調関連機器
DE602004013349T2 (de) Luftreinigungswand
KR20080108234A (ko) 면발광장치
JP2006228698A (ja) 導光機能を有する直下型バックライト装置
JP2008505258A (ja) 吸音ブロック及び吸音ブロックの施工方法
DE102014209521B4 (de) Fahrzeuginterieurteil
JP2007017118A (ja) レンジフード用消音装置
KR20200077330A (ko) 통기성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 필터
JP3069770B2 (ja) 透光・吸音パネルの組立構造
JP2021508936A (ja) 照明モジュール、キット及びパネル
KR102397214B1 (ko) 창호용 미세먼지 차단 방충망
DE202021100238U1 (de) UV-Desinfektion von interaktiven Oberflächen
JP3475289B2 (ja) 防音パネルの洗浄構造及びこの洗浄構造を備えた防音壁
TW201600889A (zh) 具有光散射元素混合物的導光平板單元與其製造方法
JP2012248443A (ja) 照明装置
KR102218730B1 (ko) 조류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방음패널
TWI407055B (zh) 照明裝置
JP2007294297A (ja) 面発光装置
JP2021018280A (ja) 光路制限装置
CN106199969A (zh) 一种显示结构及视觉转换膜的制作方法
JP2017089187A (ja) パネル材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間仕切り壁、建具、およびドア
KR100555966B1 (ko) 클린룸 천장 그리드 프레임용 실링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