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7014A - 화학적으로 내구성이 향상된 막-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학적으로 내구성이 향상된 막-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7014A
KR20200077014A KR1020180166105A KR20180166105A KR20200077014A KR 20200077014 A KR20200077014 A KR 20200077014A KR 1020180166105 A KR1020180166105 A KR 1020180166105A KR 20180166105 A KR20180166105 A KR 20180166105A KR 20200077014 A KR20200077014 A KR 20200077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ionomer
electrolyt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tioxi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6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7014A/ko
Priority to US16/385,985 priority patent/US11088379B2/en
Priority to CN201910336884.0A priority patent/CN111354962A/zh
Publication of KR20200077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014A/ko
Priority to US17/371,481 priority patent/US1149581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41Polymer electrolyte composites, mixtures or blends
    • H01M8/1046Mixtures of at least one polymer and at least one additive
    • H01M8/1051Non-ion-conducting additives, e.g. stabilisers, SiO2 or ZrO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3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sulfur, e.g. sulfonated-polyethersulfones [S-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23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only carbon, e.g. polyarylenes, polystyrenes or polybutadiene-styre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27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carbon, oxygen and other atoms, e.g. sulfonated polyethersulfones [S-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3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halogenated, e.g. sulfonated polyvinylidene fluo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41Polymer electrolyte composites, mixtures or blends
    • H01M8/1046Mixtures of at least one polymer and at least one additive
    • H01M8/1048Ion-conducting additives, e.g. ion-conducting particles, heteropolyacids, metal phosphate or polybenzimidazole with phosphoric ac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 H01M8/1081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starting from solutions, dispersions or slurries exclusively of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 H01M8/1086After-treatment of the membrane other than by polymerisation
    • H01M8/109After-treatment of the membrane other than by polymerisation thermal other than drying, e.g. sint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8Compo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8Composites
    • H01M2300/0091Composites in the form of mix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03Supports for the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 H01M4/881Electrolytic membr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membrane-electrode assemblies [ME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uel Cell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적으로 내구성이 향상된 막-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온 상태의 산화방지제 및 상기 산화방지제를 에워싸고 있는 제1 이오노머를 포함하는 복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체는 고분자 매트릭스인 제2 이오노머에 분산되어 있는 것인 막-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학적으로 내구성이 향상된 막-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CHEMICALLY IMPROVED DURABLE ELECTROLYTE MEMBRANE OF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학적으로 내구성이 향상된 막-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는 수소와 공기 중 산소의 전기 화학 반응(Electrochemical Reaction)에 의해 전기를 생산시키는 전기 발생 장치로서, 발전 효율이 높고 물 이외의 배출물이 없어 친환경적인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연료전지의 전기 생성을 위한 반응은 과불소 술폰산계 이오노머 기반의 전해질막(Perfluorinated Sulfonic Acid Ionomer-Based Membrane)과 애노드(Anode)/캐소드(Cathode)의 전극으로 구성된 막-전극 접합체(MEA: Membrane-Electrode Assembly)에서 발생한다.
연료전지의 산화극인 애노드에 공급된 수소는 수소 이온(Proton)과 전자(Electron)로 분리된다. 상기 수소 이온은 막을 통해 환원극인 캐소드 쪽으로 이동하고, 전자는 외부 회로를 통해 캐소드로 이동한다. 상기 캐소드에서는 산소 분자, 수소 이온 및 전자가 반응하여 전기와 열을 생성함과 동시에 반응 부산물로서 물(H2O)이 생성된다.
일반적으로 연료전지의 반응 기체들인 수소와 산소는 전해질막을 통해 교차이동(Crossover)을 한다. 이 과정에서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HOOH)가 생성되는데, 상기 과산화수소에 의해 히드록실(Hydroxyl) 라디칼(·H), 히드로페록실(Hydroperoxyl) 라디칼(·OOH) 등의 산소 함유 라디칼들(Oxygen-Containing Radicals)이 생성된다. 상기 라디칼은 과불소 술폰산계 전해질막을 공격하여 막의 화학적 열화(Chemical Degradation)를 유발하고 결국 연료전지의 내구성을 감소시키는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전해질막의 화학적 열화를 완화(Mitigation)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산화방지제(Antioxidant)를 전해질막에 첨가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상기 산화방지제로는 세륨계 산화방지제가 주로 사용된다. 상기 전해질막에 세륨 산화물(Cerium Oxide)이나 3가 또는 4가의 세륨 이온(Cerium Ion)을 첨가한다. 산화방지제로서의 기능은 세륨 이온이 뛰어나지만 상기 세륨 이온은 전해질막 내부의 수분 또는 수소 이온의 이동에 따른 전기 침투(electro-osmosis) 현상 또는 자기 확산을 통해 전해질막 외부로 유출이 되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72588호 한국등록특허 제10-1767267호
본 발명은 이온 상태의 산화방지제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학적으로 내구성을 향상시킨 막-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수단 및 그 조합으로 실현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막-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은 산화방지제 및 상기 산화방지제를 에워싸고 있는 제1 이오노머를 포함하는 복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체는 고분자 매트릭스인 제2 이오노머에 분산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이온 상태의 것일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Ce3+, Ce4+, Mg2+, Mg3+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전이 금속 이온일 수 있다.
상기 제1 이오노머는 퍼플루오로술폰산(Perfluorosulfonic acid, PFSA)일 수 있다.
상기 제1 이오노머의 측쇄(Side chain)와 산화방지제는 서로 전기화학적으로 끌어당기고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이오노머는 퍼플루오로술폰산(Perfluorosulfonic acid, PFSA)일 수 있다.
상기 전해질막은 수소 이온(Proton)이 이동하는 경로인 이온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체는 상기 이온채널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이오노머와 제2 이오노머의 중량비는 1 : 50 내지 1,000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막-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의 제조방법은 산화방지제의 전구체를 포함하는 산화방지제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산화방지제 용액에 제1 이오노머 분산액을 투입하고 혼합하는 단계, 혼합한 결과물을 건조하여 상기 제1 이오노머가 상기 산화방지제를 에워싸고 있는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체를 제2 이오노머 분산액에 투입하고 혼합하는 단계 및 혼합한 결과물을 기재에 도포 및 건조하여 전해질막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막-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의 제조방법은 상기 전해질막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의 전구체는 아세트산세륨, 염화세륨, 질산세륨, 탄산세륨, 황산세륨, 황산암모늄세륨, 아세트산망간, 염화망간, 질산망간, 탄산망간, 황산망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 용액과 제1 이오노머 분산액을 혼합한 결과물을 25℃ 내지 280℃에서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복합체와 제2 이오노머 분산액을 혼합한 결과물을 25℃ 내지 100℃의 온도로 건조할 수 있다.
상기 전해질막을 열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전해질막을 160℃ 내지 200℃로 열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막-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은 종래의 전해질막에 비해 이온 상태의 산화방지제가 외부로 유출되는 양이 현저히 적다.
본 발명에 따른 막-전극 접합체는 화학적 내구성이 우수하여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의 수명이 늘어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하의 설명에서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막-전극 접합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질막의 이온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체와 제2 이오노머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막-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부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성분, 반응 조건, 폴리머 조성물 및 배합물의 양을 표현하는 모든 숫자, 값 및/또는 표현은, 이러한 숫자들이 본질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이러한 값을 얻는 데 발생하는 측정의 다양한 불확실성이 반영된 근사치들이므로, 모든 경우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기재에서 수치범위가 개시되는 경우, 이러한 범위는 연속적이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이러한 범 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의 모든 값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범위가 정수를 지칭하는 경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가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막-전극 접합체(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막-전극 접합체(1)는 캐소드(10), 애노드(20) 상기 캐소드와 애노드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막(30)을 포함한다.
상기 전해질막(30)은 산화방지제와 제1 이오노머를 포함하는 복합체(31) 및 상기 복합체(31)가 분산되어 있는 고분자 매트릭스인 제2 이오노머(32)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분자 매트릭스'는 상기 제2 이오노머(32)를 구성하는 고분자 수지가 서로 얽혀서 형성된 막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복합체(3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복합체(31)는 산화방지제(311) 및 상기 산화방지제(311)를 에워싸고 있는 제1 이오노머(312)를 포함한다.
상기 산화방지제(311)는 이온 상태의 것으로써, Ce3+, Ce4+, Mg2+, Mg3+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전이 금속 이온일 수 있다.
상기 제1 이오노머(312)는 퍼플루오로술폰산(Perfluorosulfonic acid, PFSA)일 수 있다.
상기 제1 이오노머(312)는 주쇄(312a) 및 측쇄(312b)를 포함하고, 상기 측쇄(312b)는 관능기로 술폰산기(-SO3H)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이오노머(312)는 퍼플루오로술폰산(PFSA)일 수 있고, 상기 퍼플루오로술폰산(PFSA)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 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을 주쇄로 하고, 측쇄에 술폰산기를 함유한다. 상기 퍼플루오로술폰산(PFSA)은 수화된 상태에서 술폰산기(-SO3H)가 해리되어 높은 수소이온 전도도를 나타내며, 내화학성 및 전기화학적 안정성이 모두 우수하다.
상기 제1 이오노머(312)의 측쇄(312b)와 산화방지제(311)는 서로 전기화학적으로 끌어당기고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산화방지제(311)가 상기 전해질막(3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억제된다. 여기서, '전기화학적으로 끌어당긴다'는 것은 상기 제1 이오노머(312)의 측쇄(312b)의 음전하와 상기 산화방지제(311)의 양전하 사이에 정전기적 인력이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2 이오노머(32)는 퍼플루오로술폰산(Perfluorosulfonic acid, PFSA)일 수 있다.
상기 제2 이오노머(32)는 주쇄 및 측쇄를 포함하고, 상기 측쇄는 술폰산기(-SO3H)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이오노머(31)와 제2 이오노머(32)는 구조, 이온당량(Equivalent weight, EW), 측쇄(Side chain)의 길이 또는 함량이 같거나 다른 것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이오노머(31)와 제2 이오노머(32)로 같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질막(30)의 이온채널(33)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전해질막(30)은 수소 이온(Proton)이 이동하는 경로인 이온채널(33)을 포함한다.
상기 이온채널(33)은 수소 이온이 애노드(20)에서 캐소드(10)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전해질막(30)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일종의 통로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체(31)와 제2 이오노머(32)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이온채널(33)은 상기 제2 이오노머(32)를 구성하는 고분자의 주쇄(32a)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쇄(32a)의 배열에 따라 측쇄(32b)도 연속적으로 배열되는데, 상기 측쇄(32b)의 술폰산기(-SO3H) 등의 관능기를 통해 수분이 전해질막(30)에 함습되며 상기 이온채널(33)이 형성된다.
상기 복합체(31)는 상기 이온채널(33)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복합체(31)와 상기 제2 이오노머(32) 사이에 일종의 계면이 형성된다. 상기 복합체(31)의 제1 이오노머(312)와 제2 이오노머(32) 간의 계면이므로 수소 이온(Proton)의 이동은 방해 받지 않지만 입자가 크고 전하 밀도가 높은 산화방지제(311)는 상기 계면에 갇히게 된다. 그에 따라 산화방지제(311)의 유출이 더욱 억제된다.
상기 제1 이오노머(31)와 산화방지제(311)의 중량비는 1 : 1 ~ 1 : 5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오노머(31)와 제2 이오노머(32)의 중량비는 1 : 50 내지 1,000일 수 있다. 중량비가 1 : 50 미만이면 제1 이오노머(31)의 양이 과다해져 상기 복합체(31)의 크기가 너무 커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복합체(31)가 상기 제2 이오노머(32)에 고르게 분산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산화방지제의 유출을 억제하지 못할 수도 있다. 반면에 중량비가 1 : 1,000을 초과하면 제1 이오노머(31)의 양이 과소하여 상기 산화방지제(311)의 함량이 너무 적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막-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전해질막의 제조방법은 산화방지제의 전구체를 포함하는 산화방지제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S10), 상기 산화방지제 용액과 제1 이오노머 분산액을 혼합하는 단계(S20), 혼합한 결과물을 건조하여 상기 제1 이오노머가 상기 산화방지제를 에워싸고 있는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S30), 상기 복합체를 제2 이오노머 분산액에 투입하고 혼합하는 단계(S40) 및 혼합한 결과물을 기재에 도포 및 건조하여 전해질막을 제조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상기 산화방지제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S10)는 상기 산화방지제의 전구체를 물 등의 용매에 분산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의 전구체는 아세트산세륨, 염화세륨, 질산세륨, 탄산세륨, 황산세륨, 황산암모늄세륨, 아세트산망간, 염화망간, 질산망간, 탄산망간, 황산망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산화방지제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S10)는 파우더 행태의 질산세륨6수화물을 물, 알코올 등의 1종 이상의 용매에 투입 및 혼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 용액과 제1 이오노머 분산액을 혼합(S20)하고, 그 혼합한 결과물을 건조하여 전술한 복합체을 제조(S30)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오노머는 전술하였는바, 이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이오노머 분산액은 제1 이오노머를 물, 알코올 등의 1종 이상의 용매에 분산시킨 것일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 용액과 제1 이오노머 분산액의 혼합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 산화방지제 용액과 제1 이오노머가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장치 및 조건을 설정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 용액과 제1 이오노머 분산액을 혼합한 결과물의 건조는 25℃ 이상 및 상기 제1 이오노머의 측쇄가 유실되는 온도 이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오노머의 측쇄가 유실되는 온도는 상기 제1 이오노머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이오노머가 퍼플루오로술폰산(PFSA)인 경우 상기 혼합한 결과물의 건조는 25℃ 내지 280℃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복합체는 전술하였는바, 이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복합체를 제2 이오노머 분산액에 투입 및 혼합(S40)하고, 그 혼합한 결과물을 기재에 도포 및 건조하여 전해질막을 제조(S50)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오노머는 전술하였는바, 이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 이오노머 분산액은 제2 이오노머를 물, 알코올 등의 1종 이상의 용매에 분산시킨 것일 수 있다.
상기 복합체와 제2 이오노머 분산액의 혼합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 복합체와 제2 이오노머가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장치 및 조건을 설정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복합체와 제2 이오노머 분산액을 혼합한 결과물의 도포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목적하는 전해질막의 두께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복합체와 제2 이오노머 분산액을 혼합한 결과물의 건조는 25℃ 내지 100℃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해질막의 제조방법은 상기 전해질막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전해질막을 160℃ 내지 200℃로 열처리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전해질막을 제조하는 단계(S50)와 연속 또는 불연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S10) 물 1g에 질산세륨6수화물(Cerium(III) Nitrate Hexahydrate) 0.5g을 분산시켜 산화방지제 용액을 준비하였다.
(S20) 상기 산화방지제 용액과 제1 이오노머 분산액 0.25g을 혼합하였다. 상기 제1 이오노머로 퍼플루오로술폰산(PFSA)을 사용하였다.
(S30) 위 혼합한 결과물을 약 80℃ 오븐에서 약 1시간 동안 건조하여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S40) 상기 복합체를 제2 이오노머 분산액 4.75g에 투입 및 혼합하였다. 상기 제2 이오노머로 퍼플루오로술폰산(PFSA)을 사용하였다.
(S50) 위 혼합한 결과물 1g을 유리판에 도포한 뒤, 약 80℃ 오븐에서 약 1시간 동안 건조하여 전해질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2
(S30) 단계에서 오븐의 온도를 약 140?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해질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본 발명의 제1 이오노머를 포함하지 않는 전해질막을 아래와 같이 제조하였다.
물 1g에 질산세륨6수화물(Cerium(III) Nitrate Hexahydrate) 0.5g을 분산시켜 산화방지제 용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산화방지제 용액과 퍼플루오로술폰산(PFSA) 분산액 5g을 혼합하였다.
위 혼합한 결과물 1g을 유리판에 도포한 뒤, 약 80℃ 오븐에서 약 1시간 동안 건조하여 전해질막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1, 실시예2 및 비교예에 따른 전해질막의 산화방지제 유출량을 X선 형광 분석기(X-Ray Fluorescence Spectrometer)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초기 세륨 함량과 상기 전해질막을 약 25℃의 증류수에 2분간 함침하고 약 80℃ 오븐에서 10분간 건조한 뒤의 세륨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항목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
초기 세륨 함량[㎍/cm2] 490 511 516
증류수 함침후 세륨 함량[㎍/cm2] 270 331 261
세륨 유실 비율 45% 36% 49%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해질막은 산화방지제의 유출 경로를 복잡하게 함으로써, 산화방지제의 유실 비율을 약 4% 내지 13% 개선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1 및 실시예2의 결과를 참조하면,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온도를 높이면 제1 이오노머와 제2 이오노머 간의 계면을 보다 분명하게 형성할 수 있는바, 산화방지제의 유실 비율이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험예 및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험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 막-전극 접합체
10: 캐소드 20: 애노드 30: 전해질막
31: 복합체 311: 산화방지제 312: 제1 이오노머
312a: 제1 이오노머의 주쇄 312b: 제1 이오노머의 측쇄
32: 제2 이오노머
32a: 제2 이오노머의 주쇄 32b: 제2 이오노머의 측쇄
33: 이온채널

Claims (16)

  1. 산화방지제; 및
    상기 산화방지제를 에워싸고 있는 제1 이오노머를 포함하는 복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체는 고분자 매트릭스인 제2 이오노머에 분산되어 있는 것인 막-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는 이온 상태의 것인 막-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는 Ce3+, Ce4+, Mg2+, Mg3+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전이 금속 이온인 막-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오노머는 퍼플루오로술폰산(Perfluorosulfonic acid, PFSA)인 막-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오노머의 측쇄(Side chain)와 산화방지제는 서로 전기화학적으로 끌어당기고 있는 것인 막-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오노머는 퍼플루오로술폰산(Perfluorosulfonic acid, PFSA)인 막-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막은 수소 이온(Proton)이 이동하는 경로인 이온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체는 상기 이온채널에 위치하는 것인 막-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오노머와 제2 이오노머의 중량비는 1 : 50 내지 1,000인 막-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
  9. 산화방지제의 전구체를 포함하는 산화방지제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산화방지제 용액과 제1 이오노머 분산액을 혼합하는 단계;
    혼합한 결과물을 건조하여 상기 제1 이오노머가 상기 산화방지제를 에워싸고 있는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체를 제2 이오노머 분산액에 투입하고 혼합하는 단계; 및
    혼합한 결과물을 기재에 도포 및 건조하여 전해질막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막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의 전구체는 아세트산세륨, 염화세륨, 질산세륨, 탄산세륨, 황산세륨, 황산암모늄세륨, 아세트산망간, 염화망간, 질산망간, 탄산망간, 황산망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막-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오노머는 퍼플루오로술폰산(Perfluorosulfonic acid, PFSA)인 막-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 용액과 제1 이오노머 분산액을 혼합한 결과물을 25℃ 내지 280℃에서 건조하는 것인 막-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오노머는 퍼플루오로술폰산(Perfluorosulfonic acid, PFSA)인 막-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와 제2 이오노머 분산액을 혼합한 결과물을 25℃ 내지 100℃의 온도로 건조하는 것인 막-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막을 160℃ 내지 200℃로 열처리하는 것인 막-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KR1020180166105A 2018-12-20 2018-12-20 화학적으로 내구성이 향상된 막-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7701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105A KR20200077014A (ko) 2018-12-20 2018-12-20 화학적으로 내구성이 향상된 막-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US16/385,985 US11088379B2 (en) 2018-12-20 2019-04-16 Electrolyte membrane of a membrane-electrode assembly having improved chemical durability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1910336884.0A CN111354962A (zh) 2018-12-20 2019-04-24 具有改进的化学耐久性的膜-电极组件的电解质膜及其制造方法
US17/371,481 US11495815B2 (en) 2018-12-20 2021-07-09 Electrolyte membrane of a membrane-electrode assembly having improved chemical durability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105A KR20200077014A (ko) 2018-12-20 2018-12-20 화학적으로 내구성이 향상된 막-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014A true KR20200077014A (ko) 2020-06-30

Family

ID=71098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105A KR20200077014A (ko) 2018-12-20 2018-12-20 화학적으로 내구성이 향상된 막-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088379B2 (ko)
KR (1) KR20200077014A (ko)
CN (1) CN11135496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7571A (ko) * 2020-11-16 2022-05-25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자가조립 공정을 이용한 고분산성 라디칼 스캐빈저 금속산화물-이오노머 나노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US11909084B2 (en) 2020-12-07 2024-02-20 Hyundai Motor Company Electrolyte membrane with improved ion conductiv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588B1 (ko) 2013-07-31 2016-11-0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67267B1 (ko) 2007-08-10 2017-08-10 니뽄 고아 가부시끼가이샤 보강된 고체 고분자 전해질 복합막,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용 막 전극 조립체 및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6187A (ja) * 2001-09-14 2003-03-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
DE602005025213D1 (de) * 2004-06-22 2011-01-20 Asahi Glass Co Ltd Flüssige zusammensetzung,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embranelektrodenbaugruppe für polymerelektrolyt-brennstoffzelle
JP2006265478A (ja) * 2005-03-25 2006-10-05 Aisin Seiki Co Ltd 電解質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US8628871B2 (en) * 2005-10-28 2014-01-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igh durability fuel cell components with cerium salt additives
JP2008027586A (ja) * 2006-07-18 2008-02-07 Hitachi Ltd 高分子電解質組成物及びその用途
JP4831831B2 (ja) * 2006-11-02 2011-12-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5092967B2 (ja) * 2008-07-23 2012-12-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高分子電解質膜、高分子電解質膜の製造方法、及び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JP2010114020A (ja) * 2008-11-10 2010-05-20 Toyota Motor Corp 高分子電解質膜の製造方法、高分子電解質膜、及び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CN101728551B (zh) * 2009-12-10 2011-06-08 山东东岳神舟新材料有限公司 一种增强多层含氟离子交换膜
KR101550205B1 (ko) * 2013-11-12 2015-09-0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금속-리간드 착물을 포함하는 전해질 복합막 또는 전극측 바인더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6050B1 (ko) * 2014-10-01 2021-09-01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연료 전지용 전해질 막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6410247A (zh) * 2016-12-07 2017-02-15 黄河科技学院 一种具有高磷酸吸附能力的聚苯并咪唑磷酸高温质子交换膜及其制备方法
CN206574804U (zh) * 2017-03-21 2017-10-20 北京化工大学 一种基于静电吸附的聚合物电解质膜燃料电池
KR101860870B1 (ko) * 2017-07-14 2018-05-29 (주)상아프론테크 Pemfc용 라디칼 스캐빈져 조성물, pemfc용 라디칼 스캐빈져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90280307A1 (en) * 2018-03-08 2019-09-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mposite electrode layer for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7267B1 (ko) 2007-08-10 2017-08-10 니뽄 고아 가부시끼가이샤 보강된 고체 고분자 전해질 복합막,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용 막 전극 조립체 및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
KR101672588B1 (ko) 2013-07-31 2016-11-0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7571A (ko) * 2020-11-16 2022-05-25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자가조립 공정을 이용한 고분산성 라디칼 스캐빈저 금속산화물-이오노머 나노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US11909084B2 (en) 2020-12-07 2024-02-20 Hyundai Motor Company Electrolyte membrane with improved ion conductiv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36285A1 (en) 2021-10-28
US11495815B2 (en) 2022-11-08
CN111354962A (zh) 2020-06-30
US20200203745A1 (en) 2020-06-25
US11088379B2 (en) 202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01092A1 (en)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fuel cell and membrane-electrode assembly for fuel cell including same
US11495815B2 (en) Electrolyte membrane of a membrane-electrode assembly having improved chemical durability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621519B1 (ko)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용 산화방지제, 이를 포함하는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운송 수단용 막-전극 접합체
US11522208B2 (en) Membrane-electrode assembly for fuel cells with improved chemical durability and proton conductiv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86427B1 (ko) 고내구성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KR20210076754A (ko)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단위셀과 연료전지 스택
KR102575409B1 (ko) 연료전지용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US8420274B2 (en) Membrane electrode assembly for fuel cell,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fuel cell including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KR101881139B1 (ko) 연료전지용 미세다공층, 이를 포함하는 기체확산층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CN111755728B (zh) 膜-电极组件的包括电子绝缘层的电解质膜及其制备方法
JP7359077B2 (ja) 燃料電池用の積層体
JP2021184368A (ja) 燃料電池用の積層体
KR20100098234A (ko) 고분자 전해질 복합막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한 고분자 전해질 복합막을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KR20180067988A (ko) 연료전지용 막전극접합체 및 그 제조 방법
US2021023417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lurry for microporous layer formation and gas diffusion layer including microporous layer manufactured thereby
KR20230145721A (ko) 내구성과 수소 이온 전도성이 우수한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Tsuchida et al. Fabrication of Function‐Graded Proton Exchange Membranes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s Using Electron Beam‐Grafting
JP7272318B2 (ja) 燃料電池用の積層体
KR102531113B1 (ko) 막 전극 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JP7243030B2 (ja) 電極触媒層、膜電極接合体、および、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
KR20220114679A (ko) 플라즈마 처리된 충진제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의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08913A (ko)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전해질막 및 이를 구비한 연료 전지
KR20220096339A (ko) 이온 전도도가 향상된 고내구성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9216064A (ja) 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
JPS6343258A (ja) 燃料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