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6748A - 엔진 냉각수 온도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엔진 냉각수 온도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6748A
KR20200076748A KR1020207016607A KR20207016607A KR20200076748A KR 20200076748 A KR20200076748 A KR 20200076748A KR 1020207016607 A KR1020207016607 A KR 1020207016607A KR 20207016607 A KR20207016607 A KR 20207016607A KR 20200076748 A KR20200076748 A KR 20200076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temperature
value
coolant temperature
lower lim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6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9972B1 (ko
Inventor
아즈사 고바야시
히로키 에구치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76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7/1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by thermostatic control
    • F01P7/167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by thermostatic control by adjusting the pre-set temperature according to engine parameters, e.g. engine load, engin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1/00Use of speed-sensing governors to control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1/001Electric control of rotation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60L1/02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to electric heating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1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generators driven by combustion engines
    • B60L50/16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generators driven by combustion engines with provision for separate direct mechanical propul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7/1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by thermostatic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01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regulation meth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9/00Starting aids for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4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combustion engines
    • B60L2240/44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10Emission reduction
    • B60L2270/14Emission reduction of noise
    • B60L2270/142Emission reduction of noise acous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25/00Measuring
    • F01P2025/08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25/00Measuring
    • F01P2025/08Temperature
    • F01P2025/13Ambient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25/00Measuring
    • F01P2025/60Operating parameters
    • F01P2025/64Number of revolu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25/00Measuring
    • F01P2025/60Operating parameters
    • F01P2025/66Vehicl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21Engine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10Parameters related to the engine output, e.g. engine torque or engine speed
    • F02D2200/101Engin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5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vehicle or its components
    • F02D2200/501Vehicl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7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vehicle exteri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에 탑재되는 엔진의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이며, 외기온 및 차속에 따라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을 설정한다. 차량이 주행을 개시할 때에는, 승온시 하한 회전수를 설정하여 냉각수 온도를 제3 임계값(70℃)까지 상승시킨다. 제3 임계값까지 상승한 후에는 하한값을 설정하지 않는다. 냉각수 온도가 저하로 바뀌어 제2 임계값(65℃)까지 저하된 경우에는 승온시 하한 회전수보다 낮은 유지시 하한 회전수를 설정하여 냉각수 온도를 상승시킨다. 이 때, 냉각수 온도가 상승하지 않고 여전히 하강하는 경우에는, 제1 임계값(60℃)까지 저하한 경우에, 승온시 하한 회전수보다 낮게 유지시 하한 회전수보다 높은 재상승시 하한 회전수를 설정한다.

Description

엔진 냉각수 온도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는 엔진의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는 엔진 냉각수 온도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하이브리드 차량에 있어서, 엔진을 온, 오프 동작시킴으로써, 조기에 원하는 온도의 온풍을 출력하고, 또한, 외기온, 차속에 따라 엔진을 온, 오프 동작시킬 때의 냉각수 온도의 임계값을 변경함으로써, 소음을 저감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086728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는, 외기온이나 차속 등의 엔진의 냉각수 온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에 기초하여 엔진의 발열량을 제어하는 것에 대해 언급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엔진의 냉각수 온도를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없어, 차 실내의 난방이 느려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엔진의 냉각수 온도를 신속하게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한 엔진 냉각수 온도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엔진의 냉각수 온도의 저하 요인에 따라, 엔진 발열량의 하한값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엔진의 냉각수 온도를 신속하게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엔진 냉각수 온도의 제어 장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재승온 판정 회로, 승온 판정 회로 및 주행 중 운전점 설정 회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냉각수를 승온할 때의 차속, 외기온,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4는 냉각수 온도를 유지할 때의 차속, 외기온,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엔진 냉각수의 온도 제어 장치의 처리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엔진 회전수와 냉각수 온도의 변화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a) 차속, (b) 승온시 하한 회전수, (c) 재승온시 하한 회전수, (d) 유지시 하한 회전수, (e) 승온 종료 판정 플래그, (f) 난방 요구 플래그, (g) 냉각수 온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8은 엔진 회전수와 엔진 토크의 관계 및 노이즈가 발생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구성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엔진 냉각수 온도의 제어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재승온 판정 회로(31), 승온 판정 회로(32) 및 주행 중 운전점 설정 회로(34)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엔진 냉각수 온도의 제어 장치는, 엔진과, 해당 엔진에 접속된 발전 모터를 구비하고, 엔진을 파이어링 운전, 혹은 모터링 운전시켜 차량을 주행시키는 하이브리드 차량에 탑재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파이어링 운전이란,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여 연소시키고, 발전 모터를 회전시켜 발전시키는 운전을 가리킨다. 모터링 운전이란, 엔진을 연소시키지 않고, 발전 모터로 엔진을 회전시켜 배터리의 SOC를 저하시키는 운전을 가리킨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엔진 냉각수 온도의 제어 장치(100)는, 차량에 탑재되어 엔진의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며, 수온 제어 회로(11)와, 회전수 조정 회로(12)를 구비하고 있다. 수온 제어 회로(11)는, 차량의 외기온을 추정하는 외기온 추정 회로(21)와, 난방 요구 판정 회로(22)와, 운전점 연산 회로(23)를 구비하고 있다.
수온 제어 회로(11) 및 회전수 조정 회로(12)는, CPU(중앙 처리 장치), 메모리 및 입출력부를 구비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사용하여 실현 가능하다. 마이크로 컴퓨터를 수온 제어 회로(11) 혹은 회전수 조정 회로(12)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마이크로 컴퓨터에 인스톨하여 실행한다. 이에 의해, 마이크로 컴퓨터는, 수온 제어 회로(11) 및 회전수 조정 회로(12)가 구비하는 복수의 정보 처리 회로로서 기능한다. 또한, 여기서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온 제어 회로(11), 회전수 조정 회로(12)를 실현하는 예를 나타내지만, 물론, 각 정보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전용의 하드웨어를 준비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수온 제어 회로(11), 회전수 조정 회로(12)에 포함되는 복수의 회로를 개별적인 하드웨어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도 1에 도시하는 외기온 추정 회로(21)는, 차량의 흡기구로부터 흡기되는 공기 온도, 혹은 냉각수 온도에 기초하여 외기온을 추정한다. 외기온의 추정값을, 후술하는 주행 중 운전점 설정 회로(34) 및 정차 중 운전점 설정 회로(36)에 출력한다. 또한, 외기온을 추정하는 대신에, 차량의 외부에 마련한 온도 센서로 검출되는 외기온을 취득해도 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엔진의 냉각수 온도」를 간단히 「냉각수 온도」라고 약칭하는 경우가 있다.
난방 요구 판정 회로(22)는, 에코 스위치의 입력 신호, 블로워 팬의 구동 신호 및 외기온을 취득하고, 이들에 기초하여 냉각수 온도의 상한 온도(예를 들어, 70℃)를 설정하여, 재승온 판정 회로(31)에 출력한다. 또한 냉각수 온도, 냉각수 온도의 상한 온도 및 히스테리시스값(예를 들어, 5℃)에 기초하여 난방 요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난방 요구 플래그를, 승온 판정 회로(32) 및 정차 중 운전점 설정 회로(36)에 출력한다. 냉각수 온도가 냉각수 온도의 상한 온도보다 낮은 상태로부터 높은 상태로 변화된 경우는 난방 요구 플래그를 「1」에서 「0」으로 하고, 냉각수 온도가 냉각수 온도의 상한 온도로부터 히스테리시스값을 감산한 값(예를 들어, 65℃)보다 높은 상태에서 낮은 상태로 변화된 경우에는 난방 요구 플래그를 「0」에서 「1」로 한다. 또한, 감산하는 히스테리시스값(상기에서는 5℃)을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제2 임계값을 65℃ 이외의 온도로 변경할 수 있다.
운전점 연산 회로(23)는, 재승온 판정 회로(31)와, 승온 판정 회로(32)와, 정차 판정 회로(33)와, 주행 중 운전점 설정 회로(34)와, 급속 난방 설정 회로(35)와, 정차 중 운전점 설정 회로(3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 선택 회로(37) 및 제2 선택 회로(38)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외기온이나 차속 등의 냉각수 온도의 저하 요인에 따라 엔진 발열량의 하한값(일례로서,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 및 엔진의 출력 토크를 설정하여 회전수 조정 회로(12)에 제어 명령을 출력한다.
즉, 운전점 연산 회로(23)는, 차속이나 외기온 등의 냉각수 온도의 저하 요인에 따라, 엔진 발열량의 하한값을 설정하는 하한값 설정부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엔진 발열량의 하한값으로서,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에 제한을 마련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정차 판정 회로(33)는, 예를 들어 차륜속 센서 등으로부터 차속 데이터를 취득하고, 차량이 정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차속이 0인 경우, 혹은 0에 가까운 임계값을 설정해 이 임계값을 하회한 경우에 정차라고 판정한다.
주행 중 운전점 설정 회로(34)는, 차량이 주행하고 있을 때의, 엔진의 운전점을 설정한다. 「운전점」이란,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 및 엔진의 출력 토크를 나타낸다.
재승온 판정 회로(31)는, 냉각수 온도의 승온이 완료되어 상한 온도(예를 들어, 70℃; 제3 임계값)에 달한 후, 해당 냉각수 온도가 저하되어 60℃(제1 임계값)까지 달하였을 때, 60℃까지 저하되었음을 나타내는 플래그 「1」을 출력한다.
승온 판정 회로(32)는, 차량이 주행을 개시하였을 때, 냉각수 온도가 상한 온도(예를 들어, 70℃)까지 승온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70℃까지 승온된 경우에는, 승온이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승온 종료 판정 플래그를 「1」로 하여, 주행 중 운전점 설정 회로(34) 및 급속 난방 설정 회로(35)에 출력한다.
또한, 주행 중 운전점 설정 회로(34), 재승온 판정 회로(31) 및 승온 판정 회로(32)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급속 난방 설정 회로(35)는, 외부 입력으로서 공조 설정 온도 데이터가 입력되고, 원하는 온도로 즉시 상승시켜 난방을 기능시킬 필요가 발생하였을 때, 급속 난방용 엔진 회전수를 설정하여 출력한다.
정차 중 운전점 설정 회로(36)는, 정차 판정 회로(33)로부터 차량이 정지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외기온 추정값 및 난방 요구 플래그에 기초하여, 정차 중에 있어서의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을 설정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도 3의 그래프의, 횡축에 나타내는 차속이 0일 때 엔진 회전수를 하한값(예를 들어, 1800rpm)으로서 출력한다.
제1 선택 회로(37)는, 주행 중 운전점 설정 회로(34)로부터 출력되는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과, 급속 난방 설정 회로(35)로부터 출력되는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 중, 큰 쪽을 선택하여 회전수 조정 회로(12)에 출력한다. 공조 설정 온도가 설정되지 않을 때에는, 급속 난방 설정 회로(35)에 있어서 급속 난방 시의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은 설정되지 않으므로, 주행 중 운전점 설정 회로(34)로부터 출력되는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이 선택된다.
제2 선택 회로(38)는, 정차 중 운전점 설정 회로(36)로부터 출력되는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과, 급속 난방 설정 회로(35)로부터 출력되는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 중, 큰 쪽을 선택하여 회전수 조정 회로(12)에 출력한다. 공조 설정 온도가 설정되지 않을 때에는, 급속 난방 설정 회로(35)에 있어서 급속 난방 시의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은 설정되지 않으므로, 정차 중 운전점 설정 회로(36)로부터 출력되는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이 선택된다.
회전수 조정 회로(12)는, 수온 제어 회로(11)로부터 출력되는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 및 엔진의 출력 토크에 기초하여 엔진의 회전수, 출력 토크를 제어한다. 또한, 파이어링 운전, 모터링 운전의 전환을 제어한다.
다음에, 도 2를 참조하여 주행 중 운전점 설정 회로(34), 재승온 판정 회로(31) 및 승온 판정 회로(32)의 상세한 구성,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주행 중 운전점 설정 회로(34)의 구성, 동작)
주행 중 운전점 설정 회로(34)는, 세 맵(34a, 34b, 34c)과, 두 전환기(34d, 34e)를 구비하고 있다.
맵(34a)은, 차량 주행 중인 외기온 및 차속과, 승온시의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이하, 「승온시 하한 회전수」라고 함)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맵이다. 차속 및 외기온이 입력되면, 이들에 대응하는 승온시 하한 회전수를 출력한다. 「승온시」란, 차량의 주행 개시 시 등의 엔진 냉각수의 수온이 주위 온도(예를 들어, 25℃) 정도로 저하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상한 온도(제3 임계값)까지 승온되는 것을 나타낸다. 일례로서 상한 온도를 70℃로 한다.
맵(34b)은, 차량 주행 중의 외기온 및 차속과, 유지시의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이하, 「유지시 하한 회전수」라고 함)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맵이다. 차속 및 외기온이 입력되면, 이것에 대응하는 유지시 하한 회전수를 출력한다. 「유지시」란, 냉각수 온도가 일단 상한 온도인 70℃에 달하고, 그 후, 이 냉각수 온도가 저하된 경우에, 65℃(제2 임계값) 내지 70℃(제3 임계값)의 범위에 냉각수 온도를 유지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냉각수 온도가 70℃에 달하여, 승온시 하한 회전수로부터 유지시 하한 회전수로 전환되었을 때에는, 그 후, 냉각수 온도가 65℃(제2 임계값)로 저하될 때까지, 난방 요구 플래그가 「0」이 됨으로써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을 설정하지 않는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난방 요구 플래그가 「0」인 경우에는, 전환기(34d)의 입력 단자 p12와 출력 단자 p14가 접속된 경우에도, 맵(34b)으로부터 유지시 하한 회전수가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된다. 혹은, 난방 요구 플래그가 「0」인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하는 주행 중 운전점 설정 회로(34)의 출력을 채용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이 기간에서는, 그 밖의 조건에서 엔진 회전수가 결정되거나, 모터링 운전으로 전환되는 경우도 있다. 냉각수 온도가 65℃까지 저하되면, 난방 요구 플래그가 다시 「1」이 됨으로써 유지시 하한 회전수를 출력한다.
맵(34c)은, 차량 주행 중의 외기온 및 차속과, 재승온시의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이하, 「재승온시 하한 회전수」라고 함)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맵이다. 재승온시 하한 회전수는, 재승온시의 하한 발열량인 재승온시 하한 발열량을 나타낸다. 차속 및 외기온이 입력되면, 이것에 대응하는 재승온시 하한 회전수를 출력한다. 「재승온시」란, 냉각수 온도가 70℃에 달한 후, 65℃를 하회하고, 또한, 65℃로부터 히스테리시스값(5℃)을 감산한 온도인 60℃(제1 임계값)까지 저하시킨 경우에, 냉각수 온도를 다시 70℃까지 승온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즉, 상기 유지시 하한 회전수를 설정해도, 또한 냉각수 온도가 저하되어 60℃를 하회한 경우에, 재승온시 하한 회전수를 출력한다. 또한, 히스테리시스값은 5℃ 이외의 온도로 변경할 수 있다.
전환기(34d)는, 세 입력 단자 p11, p12, p13과, 출력 단자 p14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 단자 p13에 플래그 「1」이 입력되면, 입력 단자 p11에 입력된 신호를 출력 단자 p14로부터 출력한다. 한편, 입력 단자 p13에 플래그 「0」이 입력되면, 입력 단자 p12에 입력된 신호를 출력 단자 p14로부터 출력한다. 즉, 입력 단자 p13에 입력되는 플래그가 「0」이거나 「1」에 의해, p11 또는 p12의 입력 신호를 택일적으로 출력한다.
전환기(34e)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세 입력 단자 p21, p22, p23과, 출력 단자 p24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 단자 p23에 플래그 「1」이 입력되면 입력 단자 p21에 입력된 신호를 출력 단자 p24로부터 출력한다. 플래그 「0」이 입력되면 입력 단자 p22에 입력된 신호를 출력 단자 p24로부터 출력한다.
(재승온 판정 회로(31)의 구성, 동작)
다음에, 재승온 판정 회로(31)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승온 판정 회로(31)는, 감산기(31a)와, 비교기(31b, 31c)와, NOT 회로(31d)와, AND 회로(31e)와, 연산기(31f)를 구비하고 있다.
감산기(31a)는, 냉각수를 승온시킬 때의 상한 온도(예를 들어, 70℃)로부터 10℃를 감산한 온도(예를 들어, 60℃)를 비교기(31b)에 출력한다.
비교기(31b)는, 수온 센서(도시 생략)로부터 출력되는 냉각수 온도와 60℃(제1 임계값)를 비교하여, 냉각수 온도쪽이 낮은 경우, 즉 냉각수 온도가 60℃까지 저하된 경우에는, 플래그 「1」을 출력한다. 또한, 감산하는 온도(상기에서는 10℃)를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제1 임계값을 60℃ 이외의 온도로 변경할 수 있다.
비교기(31c)는, 외기온 추정 회로(21)(도 1 참조)로 추정 혹은 측정된 외기온과 10℃를 비교하여, 외기온이 10℃ 미만인 경우에는 플래그 「1」을 출력한다. 외기온이 10℃ 이상인 경우에는 플래그 「0」을 출력한다. 그 이유는, 외기온이 10℃ 이상인 경우에는 차내를 난방할 필요가 없으므로, 플래그를 「0」으로 하고,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을 재승온시 하한 회전수로 설정하는 제어를 행하지 않는다.
AND 회로(31e)는, 비교기(31b, 31c)로부터 출력되는 플래그가 모두 「1」인 경우에, 플래그 「1」을 연산기(31f)의 「set」에 출력한다. 연산기(31f)는, 플래그 「1」을, 전환기(34d)의 입력 단자 p13에 출력한다. 즉, 냉각수 온도가 60℃(제1 임계값 온도)까지 저하되고, 또한, 외기온이 10℃ 미만인 경우에는, 재승온 판정 회로(31)로부터 플래그 「1」이 출력된다. 또한, 난방 요구 플래그가 「1」에서 「0」으로 전환된 경우에는, NOT 회로(31d)에 의해 연산기(31f)의 「clear」에 플래그 「1」이 입력되고, 연산기(31f)로부터 출력되는 플래그는 클리어되어 「0」이 된다.
(승온 판정 회로(32)의 구성, 동작)
다음에, 승온 판정 회로(32)에 대해 설명한다. 승온 판정 회로(32)는, 에지 검출기(32a)와, NOT 회로(32b)와, 연산기(32c)를 구비하고 있다.
에지 검출기(32a)는, 난방 요구 플래그가 「1」에서 「0」으로 전환되는 에지에서 플래그 「1」을 출력한다.
연산기(32c)는, 「set」에 플래그 「1」이 입력되면, 출력 플래그를 「1」로 설정한다. 또한, 차량의 이그니션이 오프로 간주되면 NOT 회로(32b)에 의해, 연산기(32c)의 「clear」에 플래그 「1」이 입력되고, 연산기(32c) 로부터 출력되는 플래그는 「0」으로 클리어된다.
(맵(34a, 34b, 34c)의 설명)
다음에, 주행 중 운전점 설정 회로(34)에 마련된 각 맵(34a, 34b, 34c)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차량 주행 시의 승온시 하한 회전수(승온시 하한 발열량)를 나타내는 맵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의 맵(34a)에 대응한다. 도 3에 도시하는 곡선 q11은 외기 온도가 -20℃인 경우, 곡선 q12는 외기 온도가 -10℃인 경우, 곡선 q13은 외기 온도가 0℃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각 외기온에 있어서, 차속이 0km/h(정차)일 때,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은 1800rpm으로 설정되고, 차속이 40km/h에 달하기까지 일정한 기울기로 상승한다. 즉, 단조 증가한다. 그 후, 일정한 회전수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외기온이 -20℃인 곡선 q11에서는, 차속이 40km/h일 때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은 2900rpm까지 상승하고, 그 후 2900rpm으로 일정값이 된다. 즉, 차속이 높을수록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을 높이고 있고, 외기온이 낮을수록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을 높이고 있다. 또한, 차속이 높을수록 엔진 회전수를 높이고 있고, 외기온이 낮을수록 엔진 회전수를 높이고 있다. 또한, 엔진의 출력 토크는, 최하한값으로 설정하고 있다.
도 4는, 차량 주행 시의 유지시 하한 회전수(유지시 하한 발열량)를 나타내는 맵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의 맵(34b)에 대응한다. 도 4에 도시하는 곡선 q21은 외기 온도가 -20℃인 경우, 곡선 q22는 외기 온도가 -10℃ 및 0℃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곡선 q23은, R/L(Road/Load) 회전수(무부하시의 엔진 회전수)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곡선 q21 또는 q22와, 곡선 q23의 셀렉트 하이를 나타내는 곡선 q24를,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차속이 대략 8km/h 미만이면 곡선 q21이 선택되고, 이것을 초과하면 곡선 q23이 선택되어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이 2000rpm으로 설정되게 된다.
또한, 도시를 생략하지만, 도 2에 도시한 재승온 판정 회로(31)에서, 연산기(31f)의 출력 플래그가 「1」이 되었을 때 사용되는 재승온시 하한 회전수를 나타내는 맵(34c)에 대해서도, 차속 및 외기온과, 재승온시 하한 회전수의 대응 관계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3, 도 4에서는, 3종류의 외기온 -20℃, -10℃, 0℃에 대해,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을 나타내는 맵을 나타내었지만, 더 자잘한 온도(예를 들어, 5℃별로)로 맵을 설정하면, 보다 고정밀도로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작용의 설명]
다음에, 상술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엔진 냉각수 온도의 제어 장치(100)의 처리 수순을, 도 5에 도시하는 흐름도 및 도 6에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처리는, 도 1에 도시한 운전점 연산 회로(23)에 의해 실행된다.
먼저, 스텝 S11에서, 운전점 연산 회로(23)는, 차속 및 외기온을 취득한다. 예를 들어, 차륜속 센서의 출력 신호로부터 차속을 취득한다. 혹은, 차량에 탑재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외기온 추정 회로(21)에 의해 추정된 외기온을 취득한다. 혹은, 차량 외부에 마련한 외기온 센서로 측정되는 데이터를 취득해도 된다.
스텝 S12에서, 운전점 연산 회로(23)는, 차량이 주행을 개시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차량이 정차 중인 경우에는(스텝 S12에서 "아니오"), 도 1에 도시하는 정차 판정 회로(33)에 의해 정차라고 판단되고, 스텝 S13에서, 정차 중 운전점 설정 회로(36)에 의해,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이 정차 시의 회전수로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속이 0일 때 회전수인 1800rpm으로 설정된다. 또한, 공조 설정 온도 신호에 기초하여, 급속 난방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급속 난방 설정 회로(35)에서, 급속 난방용 엔진 회전수가 설정되어 출력된다. 그리고, 제2 선택 회로(38)에 의해, 정차 중 운전점 설정 회로(36)로부터 출력되는 엔진 회전수와, 급속 난방 설정 회로(35)로부터 출력되는 엔진 회전수가 큰 쪽이 선택되어 회전수 조정 회로(12)에 출력된다.
한편, 차량이 주행한 경우에는(스텝 S12에서 "예"), 스텝 S14에서, 운전점 연산 회로(23)는,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을 승온시 하한 회전수로 설정한다. 또한, 이 승온시 하한 회전수 이상이 되는 회전수로, 엔진을 파이어링 운전한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승온 판정 회로(32)에 있어서, 난방 기능의 작동을 요구하는 난방 요구 플래그 「1」이 입력되고, 그 후 「0」으로 전환되면, 에지 검출기(32a)는 난방 요구 플래그의 하강(오프 타이밍)을 검출한다. 난방 요구 플래그는, 차량의 운전 개시 시에는 「1」이며, 냉각수 온도가 70℃(상한 온도, 제3 임계값)보다 낮은 상태로부터 높은 상태로 변화된 경우에는 난방 요구 플래그를 「1」에서 「0」으로 하고, 냉각수 온도가 65℃(상한 온도에서 히스테리시스값을 감산한 온도, 제2 임계값)보다 높은 상태에서 낮은 상태로 변화된 경우에는 난방 요구 플래그를 「0」에서 「1」로 한다. 또한, 감산하는 히스테리시스값(상기에서는 5℃)을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제2 임계값을 65℃ 이외의 온도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운전 개시 후에서 냉각수 온도가 70℃에 달하지 않았으면, 난방 요구 플래그는 「1」이며, 에지 검출기(32a)의 출력 플래그는 「0」이 된다. 연산기(32c)의 「set」에, 플래그 「0」이 입력되고, 연산기(32c)의 출력 플래그는 「0」이 된다. 그 후, 냉각수 온도가 70℃에 도달하면 에지 검출기(32a)의 출력 플래그는 「1」이 되고, 나아가 연산기(32c)의 출력 플래그는 「1」로 전환된다. 즉, 연산기(32c)의 출력 플래그는, 승온 종료 판정 플래그를 나타내고 있다.
연산기(32c)의 출력 플래그가 「0」일 때, 즉 냉각수 온도가 70℃에 달하지 않았을 때에는, 전환기(34e)의 출력 단자 p24는, 입력 단자 p22(맵(34a)측)에 접속된다. 따라서, 승온시 하한 회전수를 나타내는 맵(34a)의 출력이 선택된다.
또한, 주행 중 운전점 설정 회로(34)의 맵(34a)에는, 차속 및 외기온이 입력되므로, 맵(34a)(도 3 참조)에 차속 및 외기온을 적용시킴으로써,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승온시 하한 회전수)이 얻어진다. 예를 들어, 외기온이 -20℃이고, 차속이 40km/h인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승온시 하한 회전수는 2900rpm이다. 이 승온시 하한 회전수는, 도 1에 도시한 회전수 조정 회로(12)에 출력되어, 엔진의 회전수가 제어된다. 그 결과, 엔진 회전수가 상승하여 냉각수 온도가 상승한다.
이것을 도 6에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 있어서, 곡선 Q1은 냉각수 온도의 변화를 나타내고, 곡선 Q2는 엔진 회전수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차량이 주행을 개시하고, 난방 요구가 발생하여 난방 요구 플래그가 「1」이 되면, 승온시 하한 회전수를 나타내는 맵(34a)을 참조하여, 엔진 회전수가 승온시 하한 회전수 q1(예를 들어, 2900rpm)로 설정된다. 따라서, 엔진은, 2900rpm 이상의 회전수로 파이어링 운전됨으로써, 냉각수 온도 Q1은 상승한다.
다음에, 도 5에 도시하는 스텝 S15에서, 운전점 연산 회로(23)는, 냉각수 온도가 70℃(제3 임계값)에 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냉각수 온도가 70℃에 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4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냉각수 온도가 70℃에 달한 경우에는, 스텝 S16에서, 엔진 회전수의 요구를 오프로 한다. 즉,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을 설정하지 않는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냉각수 온도는, 일단 70℃에 달하였으므로(도 6의 시각 t2 참조), 연산기(32c)로부터 출력되는 승온 종료 판정 플래그는 「1」이다. 따라서, 전환기(34e)의 출력 단자 p24는, 입력 단자 p21에 접속된다. 즉, 입력 단자 p22로부터 p21로 접속이 전환된다.
한편, 냉각수 온도는 60℃까지 저하되지 않았으므로(70℃로부터 10℃ 이상 저하되지 않았으므로), 도 2에 도시하는 재승온 판정 회로(31)의 비교기(31b)의 출력 플래그는 「0」이 된다. AND 회로(31e)의 출력 플래그도 「0」이 되므로, 나아가 연산기(31f)의 출력 플래그도 「0」이 된다. 이 때문에, 전환기(34d)의 입력 단자 p13에는 플래그 「0」이 입력되고, 출력 단자 p14는 입력 단자 p12에 접속된다. 따라서, 유지시 하한 회전수를 나타내는 맵(34b)이 선택된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수 온도가 65℃로 저하될 때까지는, 난방 요구 플래그가 「0」이기 때문에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을 설정하지 않는다. 즉, 난방 요구 플래그가 「0」인 경우에는, 도 2에 도시하는 전환기(34d)의 입력 단자 p12와 출력 단자 p14가 접속된 경우에도, 맵(34b)으로부터 유지시 하한 회전수가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된다. 혹은, 난방 요구 플래그가 「0」인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하는 주행 중 운전점 설정 회로(34)의 출력을 채용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냉각수 온도가 70℃로부터 65℃로 저하될 때까지의 동안은, 엔진 회전수의 요구가 오프로 된다(도 6의 t2 내지 t3 참조). 이 때, 엔진을 모터링 운전으로 한다.
도 5의 스텝 S17에서, 운전점 연산 회로(23)는, 냉각수 온도가 65℃로 저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65℃로 저하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6으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65℃로 저하된 경우에는, 스텝 S18에서, 운전점 연산 회로(23)는,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을 유지시 하한 회전수로 설정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즉, 도 2에 도시한 주행 중 운전점 설정 회로(34)의 맵(34b)에 기초하여,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한 그래프를 참조하여, 차속 및 외기온에 기초하여,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을 설정한다.
그 결과, 엔진 회전수가 상승하고, 이에 수반하여 냉각수 온도가 변화된다. 이것을 도 6에 도시하는 그래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t3 내지 t4의 기간에서는, 엔진 회전수 Q2를 유지시 하한 회전수 q3으로 함으로써 냉각수 온도 Q1이 상승하고 있고, 한편, t5 내지 t6의 기간에서는, 유지시 하한 회전수 q3으로 상승시켜도 냉각수 온도 Q1은 저하되어 있다. 즉, 유지시 하한 회전수 q3으로 설정한 후, 냉각수 온도 Q1이 상승으로 돌아서는 경우, 혹은 그대로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도 5의 스텝 S19에서, 운전점 연산 회로(23)는, 냉각수 온도가 상승되었는지, 혹은 저하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냉각수 온도가 상승된 경우에는, 스텝 S20에서, 냉각수 온도가 70℃에 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70℃에 달한 경우에는 스텝 S16으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한편, 냉각수 온도가 저하된 경우에는, 스텝 S21에서, 운전점 연산 회로(23)는, 냉각수 온도가 60℃까지 저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60℃까지 저하된 경우에는, 스텝 S22에서, 운전점 연산 회로(23)는,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을 재승온시 하한 회전수로 설정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냉각수 온도는, 일단 70℃에 달하였으므로, 연산기(32c)로부터 출력되는 승온 종료 판정 플래그는 「1」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전환기(34e)의 출력 단자 p24는, 입력 단자 p2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냉각수 온도는 60℃까지 저하되었으므로(70℃로부터 10℃ 이상 저하되었으므로), 도 2에 도시하는 재승온 판정 회로(31)의 비교기(31b)의 출력 플래그는 「1」이 된다. AND 회로(31e)의 출력 플래그도 「1」이 되므로, 나아가 연산기(31f)의 출력 플래그도 「1」이 된다.
이 때문에, 전환기(34d)의 출력 단자 p14는, 입력 단자 p11에 접속된다. 따라서, 재승온시 하한 회전수를 나타내는 맵(34c)이 선택된다. 이 맵(34c)에서 설정되는 재승온시 하한 회전수는, 도 6의 부호 q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승온시 하한 회전수 q1보다 낮고, 유지시 하한 회전수 q3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엔진 회전수 Q2를 재상승시 하한 회전수 q2로 설정함으로써, 도 6의 t6 내지 t7의 기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냉각수 온도 Q1을 상승시킬 수 있다.
그 후, 스텝 S23에서, 운전점 연산 회로(23)는, 냉각수 온도가 70℃에 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2에 처리를 복귀시키고, 달한 경우에는, 스텝 S16으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그리고, 각 맵(34a, 34b, 34c)의 어느 것에서 설정된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은, 도 1에 도시하는 제1 선택 회로(37)에서, 급속 난방 시의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과 비교되어, 이 중 큰 쪽이 선택되어 회전수 조정 회로(12)에 출력된다.
회전수 조정 회로(12)에 의해, 설정된 하한값이 되도록 엔진 회전수가 제어된다. 이와 같이 하여, 냉각수 온도를 즉시 상한 온도인 제3 임계값(70℃)까지 상승시킬 수 있고, 그 후, 60℃ 내지 70℃의 범위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냉각수 온도를 신속하게 상승시켜 원하는 온도에 도달시키기 위해,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을 설정하고 있는 것이며, 난방 이외의 다른 운전 조건, 환경 조건 등에 따라, 엔진 회전수를 하한값보다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 설정하고 있는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은, 최저한의 엔진 회전수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것보다 높게 하는 것에 대해서는 따지지 않는다.
다음에, 상술한 동작을, 도 7에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 있어서 (a)는 차속, (b)는 승온시 하한 회전수, (c)는 재승온시 하한 회전수, (d)는 유지시 하한 회전수, (e)는 승온 종료 판정 플래그, (f)는 난방 요구 플래그, (g)는 냉각수 온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곡선 X1은 엔진 회전수의 변화를 나타내고, 곡선 X2는 냉각수 온도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각 T1에서 차량이 주행을 개시하여 차속이 상승하면, 난방 요구 플래그가 「1」이 된다. 또한, 승온 종료 판정 플래그는 「0」이므로,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은, 도 7의 (b)에 나타내는 승온시 하한 회전수로 설정된다. 엔진 회전수 X1이 상승함으로써 냉각수 온도는 상승하고, 시각 T2에서 도 7의 (g)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70℃(제3 임계값)에 도달한다.
냉각수 온도가 70℃에 달함으로써, 도 7의 (f)에 나타내는 난방 요구 플래그는 「1」에서 「0」으로 전환되고, 도 7의 (e)에 나타내는 승온 종료 판정 플래그가 「1」이 된다.
그 후, 냉각수 온도가 65℃(제2 임계값)로 저하될 때까지,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은 설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T2 내지 T3의 기간에서는 엔진 회전수 X1은, 운전 조건이나 환경 조건에 따라 설정된다.
시각 T3에서, 냉각수 온도가 65℃까지 저하되면, 난방 요구 플래그가 「1」로 전환되고,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은 도 7의 (d)에 나타내는 유지시 하한 회전수로 설정된다. 그 결과, 냉각수 온도는 약간 상승하지만, 곧 저하로 바뀌어 시각 T4에서 60℃(제1 임계값)까지 저하된다.
60℃로 저하됨으로써,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은, 도 7의 (c)에 나타내는 재승온시 하한 회전수로 설정된다. 그 결과, 냉각수 온도는 상승으로 바뀐다. 그 후, 냉각수 온도가 70℃에 달한 경우에는, 마찬가지 처리가 반복되고, 냉각수 온도가 원하는 온도로 되도록 제어된다.
(노이즈 대책의 설명)
다음에, 엔진의 회전수를 변경함으로써 발생되는 노이즈를 저감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냉각수 온도를 신속하게 상승시켜 난방 기능을 작동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파이어링 운전 시의 엔진 토크는 가능한 한 작은 쪽이 좋다. 그러나, 엔진 토크를 저감시키면, 브레이크 기구나 그 부근 등으로부터 노이즈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도 8은, 엔진 회전수와 엔진 토크의 변화에 대한 노이즈의 발생 영역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 토크가 30Nm보다 낮은 영역에서는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이 이해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이즈가 발생되는 영역의 상한값, 바꾸어 말하면, 노이즈가 억제되는 하한 토크(도면 중 Z1 참조)가 되도록, 엔진 토크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더 낮은 엔진 토크로 설정할 수 있다. 방전 시간(모터링)에 비해 충전 시간(파이어링)을 길게 할 수 있고, 냉각수 온도를 신속하게 상승시키는 동시에 유리해진다.
[본 실시 형태의 효과의 설명]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엔진 냉각수 온도의 제어 장치(100)에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1) 외기온 및 차속에 따라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을 적절하게 설정하므로, 엔진의 냉각수 온도를 상한 온도인 70℃보다 낮은 60℃ 내지 70℃의 범위로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어, 차내의 난방 기능을 신속히 작동시킬 수 있다.
(2) 차속이 높을수록, 엔진 회전수(엔진 발열량)의 하한값이 높아지도록 설정하므로, 차속이 높아 냉각수 온도가 상승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냉각수 온도를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3) 차속이 높을수록, 엔진 회전수를 높여 엔진 발열량을 증가시키므로, 차속이 높아 냉각수 온도가 상승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발열량의 증가에 의해, 냉각수 온도를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4) 외기온이 낮을수록, 엔진 회전수(엔진 발열량)의 하한값이 높아지도록 설정하므로, 외기온이 낮아 냉각수 온도가 상승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냉각수 온도를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5) 외기온이 낮을수록, 엔진 회전수를 높여 엔진 발열량을 증가시키므로, 외기온이 낮아 냉각수 온도가 상승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발열량의 증가에 의해, 냉각수 온도를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6) 차량의 주행을 개시할 때, 냉각수 온도가 60℃(제1 임계값)를 하회하고 있는 경우에는,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이 승온시 하한 회전수(승온시 하한 발열량)로 설정되므로, 냉각수 온도를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냉각수 온도가 70℃(제3 임계값)에 달하면,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이 설정되지 않고 회전수 요구가 오프로 되므로, 냉각수 온도가 저하되어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냉각수 온도가 65℃(제2 임계값)까지 저하되면,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이 유지시 하한 회전수(유지시 하한 발열량)로 설정되므로, 냉각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유지시 하한 회전수로 설정해도 또한 냉각수 온도가 저하되는 경우에는, 재승온시 하한 회전수로 설정되므로, 확실하게 냉각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7) 차량의 주행을 개시할 때, 냉각수 온도가 60℃(제1 임계값)를 하회하고 있는 경우에는, 엔진을 파이어링 운전으로 하고 또한,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이 승온시 하한 회전수(승온시 하한 발열량)로 설정되므로, 냉각수 온도를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냉각수 온도가 70℃(제3 임계값)에 달하면, 엔진을 모터링 운전으로 하여 엔진을 연소시키지 않으므로, 냉각수 온도가 저하되고 과도한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냉각수 온도가 65℃(제2 임계값)까지 저하되면, 엔진을 파이어링 운전으로 하고, 또한, 엔진 회전수의 하한값이 유지시 하한 회전수(유지시 하한 발열량)로 설정되므로, 냉각수 온도를 다시 상승시킬 수 있다.
이 경우, 1회째에 냉각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경우에는, 초기적인 냉각수 온도가 낮으므로, 엔진 회전수(엔진 발열량)를 대폭 높였다고 해도 탑승원은 이것을 허용한다. 그러나, 2회째 이후의 냉각수의 상승에서는, 냉각수 온도가 1회째보다 높아, 탑승원은 위화감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승온시 하한 회전수보다, 재승온시 가감 회전수를 낮게 설정한다.
(8) 엔진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엔진의 발열량을 제어하므로, 용이한 방법으로 엔진 발열량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9) 파이어링 운전과 모터링 운전에서, 엔진의 회전수 하한값을 동일 수치로 설정하므로, 소리의 변화의 위화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즉, 모터링 운전은 배터리의 SOC를 저하시키기 위해 실시하는 경우가 있고, SOC를 신속히 저하시키기 위해서는 파이어링 운전보다 높은 회전수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회전수가 변화하면 소리의 변화에 의한 위화감이 발생하므로,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 파이어링 운전과 모터링 운전에서 하한 회전수를 동일하게 설정한다.
(10) 엔진의 출력 토크를, 노이즈가 발생하는 토크 영역보다 높게 설정하므로, 엔진 회전수가 낮은 것에 기인하는 불쾌한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출력 토크를, 노이즈가 발생하는 토크 영역의 상한, 바꾸어 말하면,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최대한 낮은 출력 토크로 설정함으로써, 파이어링 운전의 시간을 길게 하고 모터링 운전의 시간을 짧게 할 수 있으므로, 냉각수 온도를 보다 신속하게 승온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기재하였지만, 본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된다. 본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대체 실시 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백해질 것이다.
11: 수온 제어 회로
12: 회전수 조정 회로
21: 외기온 추정 회로
22: 난방 요구 판정 회로
23: 운전점 연산 회로
31: 재승온 판정 회로
31a: 감산기
31b: 비교기
31c: 비교기
31d: NOT 회로
31e: AND 회로
31f: 연산기
32: 승온 판정 회로
32a: 에지 검출기
32b: NOT 회로
32c: 연산기
33: 정차 판정 회로
34: 주행 중 운전점 설정 회로
34a, 34b, 34c: 맵
34d, 34e: 전환기
35: 급속 난방 설정 회로
36: 정차 중 운전점 설정 회로
37: 제1 선택 회로
38: 제2 선택 회로
100: 엔진 냉각수 온도의 제어 장치
p11 내지 p13, p21 내지 p23: 입력 단자
p14, p24: 출력 단자

Claims (13)

  1. 차량에 탑재되는 엔진의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이며,
    상기 냉각수 온도의 저하 요인에 따라, 엔진 발열량의 하한값을 설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냉각수 온도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온도의 저하 요인은 차속이며, 차속이 높을수록 상기 엔진 발열량의 하한값을 높이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냉각수 온도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온도의 저하 요인은 차속이며, 차속이 높을수록 상기 엔진 발열량을 높이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냉각수 온도의 제어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온도의 저하 요인은 외기온이며, 외기온이 낮을수록 상기 엔진 발열량의 하한값을 높이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냉각수 온도의 제어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온도의 저하 요인은 외기온이며, 외기온이 낮을수록 상기 엔진 발열량을 높이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냉각수 온도의 제어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발열량의 하한값으로서, 적어도 승온시 하한 발열량 및 해당 승온시 하한 발열량보다 낮은 유지시 하한 발열량을 설정하고,
    상기 냉각수 온도가 미리 설정한 제1 임계값을 하회한 경우에는,
    상기 승온시 하한 발열량으로 하여 상기 냉각수 온도를 상승시키고,
    상기 냉각수 온도가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은 제3 임계값까지 상승한 경우에는, 상기 엔진 발열량의 하한값을 설정하지 않고,
    상기 냉각수 온도가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제3 임계값보다 낮은 제2 임계값을 하회한 경우에는, 상기 유지시 하한 발열량으로 설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냉각수 온도의 제어 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은, 엔진을 연소시키는 파이어링 운전 및 엔진을 연소시키지 않는 모터링 운전 중 어느 것의 전환이 가능하고,
    상기 엔진 발열량의 하한값으로서, 적어도 승온시 하한 발열량 및 해당 승온시 하한 발열량보다 낮은 유지시 하한 발열량을 설정하고,
    상기 냉각수 온도가 미리 설정한 제1 임계값을 하회한 경우에는, 상기 엔진을 상기 파이어링 운전으로 하고 또한, 상기 승온시 하한 발열량으로 하여 상기 냉각수 온도를 상승시키고,
    상기 냉각수 온도가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은 제3 임계값까지 상승한 경우에는, 상기 엔진을 모터링 운전으로 하고,
    상기 냉각수 온도가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제3 임계값보다 낮은 제2 임계값을 하회한 경우에는, 파이어링 운전으로 하고 또한, 상기 유지시 하한 발열량으로 하여 상기 냉각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냉각수 온도의 제어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온시 하한 발열량보다 낮고, 또한, 상기 유지시 하한 발열량보다 높은 재승온시 하한 발열량을 설정하고,
    상기 유지시 하한 발열량으로 하였을 때, 상기 냉각수 온도가 상승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엔진 발열량의 하한값을 상기 재승온시 하한 발열량으로 설정하여 상기 냉각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냉각수 온도의 제어 방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온시 하한 발열량 및 상기 유지시 하한 발열량은, 상기 엔진의 회전수 하한값으로 제한을 마련하여 설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냉각수 온도의 제어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회전수 하한값은, 상기 파이어링 운전 및 모터링 운전에서 동일한 회전수로 설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냉각수 온도의 제어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어링 운전에 있어서의 토크는, 노이즈가 발생하는 토크 영역보다 높은 하한 토크로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냉각수 온도의 제어 방법.
  12. 차량에 탑재되는 엔진의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는 엔진 냉각수 온도의 제어 장치이며,
    상기 냉각수 온도의 저하 요인에 따라, 엔진 발열량의 하한값을 설정하는 하한값 설정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냉각수 온도의 제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은, 엔진을 연소시키는 파이어링 운전 및 엔진을 연소시키지 않는 모터링 운전 중 어느 것의 전환이 가능하고,
    상기 하한값 설정부는, 상기 엔진 발열량의 하한값으로서, 승온시 하한 발열량 및 해당 승온시 하한 발열량보다 낮은 유지시 하한 발열량을 설정하고, 또한,
    상기 냉각수 온도가 미리 설정한 제1 임계값을 하회한 경우에는, 상기 엔진을 상기 파이어링 운전으로 하고 또한, 상기 승온시 하한 발열량으로 하여 상기 냉각수 온도를 상승시키고,
    상기 냉각수 온도가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은 제3 임계값까지 상승한 경우에는, 상기 엔진을 모터링 운전으로 하고,
    상기 냉각수 온도가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제3 임계값보다 낮은 제2 임계값을 하회한 경우에는, 파이어링 운전으로 하고 또한, 상기 유지시 하한 발열량으로 하여 상기 냉각수 온도를 상승시키는 운전점 연산 회로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냉각수 온도의 제어 장치.
KR1020207016607A 2017-12-15 2017-12-15 엔진 냉각수 온도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KR1023399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45174 WO2019116558A1 (ja) 2017-12-15 2017-12-15 エンジン冷却水温度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748A true KR20200076748A (ko) 2020-06-29
KR102339972B1 KR102339972B1 (ko) 2021-12-16

Family

ID=66819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6607A KR102339972B1 (ko) 2017-12-15 2017-12-15 엔진 냉각수 온도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280250B2 (ko)
EP (1) EP3726019B1 (ko)
JP (1) JP6874859B2 (ko)
KR (1) KR102339972B1 (ko)
CN (1) CN111492129B (ko)
BR (1) BR112020011841A2 (ko)
MX (1) MX2020006166A (ko)
RU (1) RU2742181C1 (ko)
WO (1) WO20191165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38493B (zh) * 2021-10-09 2022-11-04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发动机水温的控制方法、装置、车辆控制器及介质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4860A (ko) * 1995-12-27 1997-07-26 전성원 아이들 엔지 회전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JP2000179670A (ja) * 1998-12-17 2000-06-27 Toyota Motor Corp 車両用空調機の制御装置
JP2006105178A (ja) * 2004-09-30 2006-04-20 Jatco Ltd 無段変速機搭載車の暖房性能補償装置
JP2006138306A (ja) * 2004-04-07 2006-06-01 Toyota Motor Corp 駆動制御装置
JP2007245753A (ja) * 2006-03-13 2007-09-27 Toyota Motor Corp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2008184065A (ja) * 2007-01-30 2008-08-14 Toyota Motor Corp 車両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3071715A (ja) * 2011-09-29 2013-04-22 Toyota Motor Corp ハイブリッド車両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3086728A (ja) 2011-10-20 2013-05-13 Denso Corp 車両制御システム
JP2016007884A (ja) * 2014-06-23 2016-01-1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回生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O095296A0 (en) * 1996-07-10 1996-08-01 Orbital Engine Company (Australia) Proprietary Limited Engine warm-up offsets
FR2996168B1 (fr) * 2012-10-02 2014-10-10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calcul d'une temperature de substitution du liquide de refroidissement d'un moteur thermique equipe d'un rechauffeur additionnel
KR101776502B1 (ko) * 2016-05-26 2017-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난방 공조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4860A (ko) * 1995-12-27 1997-07-26 전성원 아이들 엔지 회전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JP2000179670A (ja) * 1998-12-17 2000-06-27 Toyota Motor Corp 車両用空調機の制御装置
JP2006138306A (ja) * 2004-04-07 2006-06-01 Toyota Motor Corp 駆動制御装置
JP2006105178A (ja) * 2004-09-30 2006-04-20 Jatco Ltd 無段変速機搭載車の暖房性能補償装置
JP2007245753A (ja) * 2006-03-13 2007-09-27 Toyota Motor Corp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2008184065A (ja) * 2007-01-30 2008-08-14 Toyota Motor Corp 車両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3071715A (ja) * 2011-09-29 2013-04-22 Toyota Motor Corp ハイブリッド車両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3086728A (ja) 2011-10-20 2013-05-13 Denso Corp 車両制御システム
JP2016007884A (ja) * 2014-06-23 2016-01-1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回生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492129A (zh) 2020-08-04
EP3726019A4 (en) 2020-10-28
BR112020011841A2 (pt) 2020-11-24
EP3726019A1 (en) 2020-10-21
US20200332700A1 (en) 2020-10-22
JPWO2019116558A1 (ja) 2020-12-24
CN111492129B (zh) 2022-01-04
RU2742181C1 (ru) 2021-02-03
EP3726019B1 (en) 2022-02-09
WO2019116558A1 (ja) 2019-06-20
KR102339972B1 (ko) 2021-12-16
JP6874859B2 (ja) 2021-05-19
MX2020006166A (es) 2020-08-13
US11280250B2 (en) 202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30493B2 (ja) 電気駆動ダンプトラックの駆動システム
US95335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ting modes for hybrid electric vehicle (HEV)
JP4604047B2 (ja) 内燃機関を自動的にスタートおよびストップさせる方法
KR20200076748A (ko) 엔진 냉각수 온도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JP7135476B2 (ja) 車両の発電制御装置
US10919517B2 (en) Method for controlling engine power during charge depleting (CD) mode heating
JP6741645B2 (ja) 車両の制御装置及び車両の制御方法
US2016015934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attern of hybrid vehicle
US11465604B2 (en) Vehicle control method and vehicle control device
JP6696342B2 (ja) エンジン始動方法及びエンジン始動装置
JP2015137032A (ja) 車両
JP6224897B2 (ja) 車両の走行制御装置
JP6913496B2 (ja) 車両用制御装置
JP5523441B2 (ja) 駆動装置、とりわけ自動車のエンジン冷却ファンを作動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50066217A1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 controller of an electric compressor for an air conditioner in a vehicle
KR101878061B1 (ko) 차량의 냉각시스템 제어방법
JP2022011947A (ja) モータ制御装置
JP2006148991A (ja) 電気車の制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車
JP2016030468A (ja) 車載制御装置
JP2022011946A (ja) モータ制御装置
CN117068174A (zh) 发动机加热方法和车辆
JP2017019302A (ja) 自動車
JP2022011945A (ja) モータ制御装置
JP2024518892A (ja) 車道連結型の全輪駆動車両を動作させるための制御装置
JP2019176689A (ja) 電気自動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