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5933A - 스티어링휠의 핸즈온오프 감지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티어링휠의 핸즈온오프 감지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5933A
KR20200075933A KR1020180159643A KR20180159643A KR20200075933A KR 20200075933 A KR20200075933 A KR 20200075933A KR 1020180159643 A KR1020180159643 A KR 1020180159643A KR 20180159643 A KR20180159643 A KR 20180159643A KR 20200075933 A KR20200075933 A KR 20200075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indirect
direct
hands
steer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형준
정홍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9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5933A/ko
Priority to US16/568,052 priority patent/US11685433B2/en
Priority to EP19197185.2A priority patent/EP3666623B1/en
Priority to CN201910953156.4A priority patent/CN111301509A/zh
Publication of KR20200075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9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6Adaptations on rotatable parts of the steering wheel for accommodation of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50/16Tactile feedback to the driver, e.g. vibration or force feedback to the driver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accelerator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60K35/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for controlling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5Active steering aids, e.g. helping the driver by actively influencing the steering system after environment eval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01Mechanical components or aspects of steer-by-wi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maingroup
    • B62D5/005Mechanical components or aspects of steer-by-wi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maingroup means for generating torque on steering wheel or input member, e.g. feedback
    • B62D5/006Mechanical components or aspects of steer-by-wi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maingroup means for generating torque on steering wheel or input member, e.g. feedback power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2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he force applied to control members, e.g. control members of vehicles, triggers
    • G01L5/221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he force applied to control members, e.g. control members of vehicles, triggers to steering wheels, e.g. for power assisted steering
    • B60K2370/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20Ste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20Steering systems
    • B60W2510/202Steering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7Torqu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접식 센서와 직접식 센서를 연동하여 핸즈온오프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핸즈온 및 핸즈오프 감지율과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스티어링휠을 잡는 그립면적에 따라 센싱값이 상이하게 검출되는 직접센서; 스티어링휠을 회전시키는 토크의 크기에 따라 센싱값이 상이하게 검출되는 간접센서; 및 상기 직접센서에서 검출되는 직접센싱값과, 상기 간접센서에서 검출되는 간접센싱값을 조합하여, 조합된 센싱조건에 따라 스티어링휠의 파지상태를 판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티어링휠의 핸즈온오프 감지시스템 및 방법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스티어링휠의 핸즈온오프 감지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DETECTING HANDS-ON OR OFF OF STEERING WHEE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간접식 센서와 직접식 센서를 연동하여 핸즈온오프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핸즈온 및 핸즈오프 감지율과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스티어링휠의 핸즈온오프 감지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MDPS에 마련된 토크센서의 경우 스티어링휠의 조타토크를 측정하는 센서인데, 이 토크센서를 활용하여 운전자가 스티어링휠을 파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스티어링휠을 잡고 있는 경우와, 스티어링휠에서 손을 뗀 경우의 토크 변동이 상이하게 검출되므로, 이 같은 토크 변동량 차이에 의해 스티어링휠의 핸즈온 상태(스티어링휠을 손으로 잡고 있는 상태)와 핸즈오프 상태(스티어링휠에서 손을 떼고 있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토크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토크 변동량이 소정의 토크 변동량 구간 내에 있는 경우, 핸즈오프 상태로 판단하게 된다.
그런데, 스티어링컬럼의 틸트업/틸트다운 기능에 따라 스티어링휠의 위치가 변화하면, 스티어링컬럼을 감싸는 고무재의 더스트커버라이너와, 이를 감싸는 커버 사이의 간극이 변화하면서 더스트커버라이너의 눌림량이 증대된다.
이에, 스티어링샤프트의 회전시 눌림량이 증대된 만큼 프릭션이 더해짐으로써, 핸즈오프 상태에서도 토크센서에서 측정되는 토크 변동량이 소정의 토크 변동량을 넘어서는 오류가 발생하게 되어, 핸즈오프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고, 이에 따라 핸즈오프 경고가 발생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MDPS에 활용되는 토크센서는 스티어링기어박스의 토크 기준을 이용하기 때문에 차량의 휠이 도로에 패여 있는 홈을 지나가는 경우, 기어박스의 토크 변화가 생기면서 토크변동량이 커지게 되는바, 핸즈오프 상태임에도 핸즈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양손을 이용하여 스티어링휠의 좌우를 균등하게 잡고 있거나, 또는 스티어링휠을 약하게 잡고 있는 경우, 토크 변동량이 크지 않아 핸즈온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핸즈오프 상태로 판단할 수 있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스티어링휠의 핸즈온 또는 핸즈오프 상태를 직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방안으로, 스티어링휠에 센서를 설치하여 스티어링휠을 잡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런데, 스티어링휠에 운전자의 손이 아닌, 유전율이 있는 특정 물체를 매달았을 경우에도, 핸즈온 상태로 잘못 판단하여 핸즈오프 상태에서도 핸즈오프 경고음이 발생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더불어, 스티어링휠 중에서 센서가 없는 영역을 파지하는 경우, 핸즈온 상태의 판단이 불가한 문제가 있고, 또한 스티어링휠에 한 손가락만을 올린 상태로 있거나, 장갑 등을 끼고 있어 유전률의 변화가 작은 경우에도 핸즈온 상태의 판단이 불가한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상기 센서의 경우 스티어링휠의 단순 파지 여부에 대해서만 판단이 가능하고, 스티어링휠의 그립 강도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센서를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하는바,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도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8-0069504 A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간접식 센서와 직접식 센서를 연동하여 핸즈온오프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핸즈온 및 핸즈오프 감지율과 정확도를 향상시켜 시스템의 성능을 강건화하는 스티어링휠의 핸즈온오프 감지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스티어링휠을 잡는 그립면적에 따라 센싱값이 상이하게 검출되는 직접센서; 스티어링휠을 회전시키는 토크의 크기에 따라 센싱값이 상이하게 검출되는 간접센서; 및 상기 직접센서에서 검출되는 직접센싱값과, 상기 간접센서에서 검출되는 간접센싱값을 조합하여, 조합된 센싱조건에 따라 스티어링휠의 파지상태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표시 및 경고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직접센서는, 상기 스티어링휠의 림에 마련되고; 상기 림의 그립면적에 따라 전류값이 변화하면서 센싱값이 검출될 수 있다.
상기 간접센서는, 스티어링샤프트의 회전토크를 검출하는 토크센서일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직접센싱값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직접센싱영역과 직접비센싱영역이 구분 설정되고, 상기 간접센싱값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간접센싱영역과 간접비센싱영역이 구분 설정되며, 상기 직접센싱값과 간접센싱값의 입력시, 입력된 직접센싱값과 간접센싱값이 포함되는 센싱영역을 각각 검출하고, 검출된 센싱영역들을 조합한 센싱조건으로부터 스티어링휠의 파지상태를 판단하며, 판단한 스티어링휠의 파지상태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직접센싱값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직접센싱영역과 직접비센싱영역이 구분 설정되고, 상기 간접센싱값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간접센싱영역과 간접비센싱영역이 구분 설정된 저장부; 상기 직접센서 및 간접센서에서 측정된 직접센싱값 및 간접센싱값이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직접센싱값과 간접센싱값이 포함된 센싱영역을 각각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된 센싱영역들을 조합한 센싱조건으로부터 스티어링휠의 파지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한 스티어링휠의 파지상태의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접센싱영역은, 직접센싱값의 크기에 따라 직접강센싱영역과 직접중센싱영역과 직접약센싱영역 및 직접비센싱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간접센싱영역은, 간접센싱값의 크기에 따라 간접강센싱영역과 간접중센싱영역과 간접약센싱영역 및 간접비센싱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측정된 직접센싱값이 직접센싱영역에 포함되고, 측정된 간접센싱값이 간접센싱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핸즈온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측정된 직접센싱값이 직접약센싱영역에 포함되고, 측정된 간접센싱값이 간접센싱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핸즈오프전환카운터를 생성 및 누적하고; 누적된 핸즈오프전환카운터의 횟수에 따라 현재 스티어링휠의 파지상태를 검출하여 운전자에게 표시 및 경고할 수 있다.
누적된 핸즈오프전환카운터가 기준횟수 이하시, 핸즈온 상태로 판단하여 운전자에게 핸즈온 상태를 표시 및 경고하고; 누적된 핸즈오프전환카운터가 상기 기준횟수 초과시, 핸즈오프 상태로 판단하여 운전자에게 핸즈오프 상태를 표시 및 경고할 수 있다.
측정된 직접센싱값이 직접비센싱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간접센싱값에 관계없이 핸즈오프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측정된 간접센싱값이 간접비센싱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직접센싱값에 관계없이 핸즈오프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핸즈온오프 감지방법의 구성은, 직접센서에 의해 스티어링휠을 잡는 그립면적에 따라 센싱값이 상이하게 검출되는 단계; 간접센서에 의해 스티어링휠을 회전시키는 토크의 크기에 따라 센싱값이 상이하게 검출되는 단계; 및 상기 직접센서에서 검출되는 직접센싱값과, 상기 간접센서에서 검출되는 간접센싱값을 조합하여, 조합된 센싱조건에 따라 스티어링휠의 핸즈온 상태 또는 핸즈오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간접식 센서와 직접식 센서를 연동하여 핸즈온오프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간접식 센서와 직접식 센서가 갖고 있는 판단의 한계를 상호 보완하게 되는바, 핸즈온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율과, 감지 정확도를 향상시켜 시스템의 성능을 강건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핸즈온오프 감지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접센서의 센싱값 산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의 구성을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접센싱영역을 구분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간접센싱영역을 구분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핸즈온오프 감지과정의 흐름을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스티어링휠(1)의 핸즈온오프 감지시스템은 크게, 직접센서(2)와, 간접센서(3) 및 컨트롤러(CLR)를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직접센서(2)는 스티어링휠(1)을 잡는 그립면적에 따라 센싱값이 상이하게 검출되는 것으로, 스티어링휠(1)에 마련될 수 있다.
간접센서(3)는, 스티어링휠(1)을 회전시키는 토크의 크기에 따라 센싱값이 상이하게 검출되는 것으로, MDPS시스템에 활용되는 토크센서일 수 있다.
컨트롤러(CLR)는, 상기 직접센서(2)에서 검출되는 직접센싱값과, 상기 간접센서(3)에서 검출되는 간접센싱값을 조합하여, 조합된 센싱조건에 따라 스티어링휠(1)의 핸즈온 상태 또는 핸즈오프 상태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즉, 간접식 센서와 직접식 센서를 연동하여 핸즈온오프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간접식 센서와 직접식 센서가 갖고 있는 판단의 한계를 상호 보완하게 되는바, 핸즈온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율과, 감지 정확도를 향상시켜 시스템의 성능을 강건화하게 된다.
예컨대, 스티어링휠(1)에 유전율을 갖는 물체를 매달아 놓는 경우 직접센서(2)만으로는 이를 구분하기 어려운바, 이는 간접센서(3)를 통해 필터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컬럼의 틸트업 및 틸트다운의 경우, 프릭션 상승에 의해 토크변동량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간접센서(3)인 토크센서를 통해 구분하기 어려운바, 직접센서(2)를 통해 필터링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2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직접센서(2)는 스티어링휠(1)을 잡는 그립면적에 따라 전류값이 변화하는 원리를 이용한 센서로서, 상기 직접센서(2)는 상기 스티어링휠(1)의 림(1a)에 마련이 된다.
그리고, 상기 림(1a)의 그립면적에 따라 전류값이 변화하면서 센싱값이 검출이 된다.
즉, 핸즈온 상태에서는 직접센서(2)를 통해 센싱값이 검출되고, 핸즈오프 상태에서는 직접센서(2)를 통해 센싱값이 검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스티어링휠(1)을 양손으로 잡을 때와, 한손으로 잡을 때와, 손가락만으로 잡고 있을 때에 스티어링휠(1)에 접촉되는 면적이 달라지게 되는데, 이에 스티어링휠(1)을 잡고 있는 그립면적이 넓을수록 전류값이 커져 센싱값이 커지게 된다.
그리고,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간접센서(3)는, 스티어링휠(1)의 조타토크를 검출하는 토크센서일 수 있다.
즉, 핸즈온 상태에서는 토크센서에서 측정되는 토크 변동량이 상대적으로 높게 검출되고, 핸즈오프 상태에서는 토크센서에서 측정되는 토크 변동량이 상대적으로 낮게 검출이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직접센서(2)와 간접센서(3)에서 측정되는 센싱값을 그 크기에 따라 세분화하여 스티어링휠(1)의 그립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컨트롤러(CLR)에서는, 상기 직접센싱값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직접센싱영역과 직접비센싱영역이 구분 설정되고, 상기 간접센싱값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간접센싱영역과 간접비센싱영역이 구분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직접센싱값과 간접센싱값의 입력시, 입력된 직접센싱값과 간접센싱값이 포함되는 센싱영역을 각각 검출하고, 검출된 센싱영역들을 조합한 센싱조건으로부터 스티어링휠(1)의 핸즈온 상태 또는 핸즈오프 상태를 판단하며, 판단한 스티어링휠(1)의 파지상태의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 같은 기능의 구현을 위해, 상기 컨트롤러(CLR)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부(11)와, 입력부(12)와, 검출부(13)와, 판단부(14) 및 출력부(15)를 포함하여 구성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장부(11)에는 상기 직접센싱값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직접센싱영역과 직접비센싱영역이 구분 설정되고, 상기 간접센싱값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간접센싱영역과 간접비센싱영역이 구분 설정되어 미리 저장된다.
입력부(12)에는, 상기 직접센서(2) 및 간접센서(3)에서 측정된 직접센싱값 및 간접센싱값이 입력된다.
검출부(13)에서는 상기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되는 직접센싱값과 간접센싱값이 포함된 센싱영역을 각각 검출하게 된다.
그리고, 판단부(14)에서는 상기 검출된 센싱영역들을 조합한 센싱조건으로부터 스티어링휠(1)의 핸즈온 상태 또는 핸즈오프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또한, 출력부(15)에서는 상기 판단부(14)에서 판단한 스티어링휠(1) 파지상태의 신호를 클러스터 및 스피커 등에 출력하게 된다.
즉, 직접센싱값과 간접센싱값이 검출되면, 검출된 센싱값의 크기에 따라 이들이 포함되는 직접센싱영역과 간접센싱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두 개의 센싱영역의 조합을 통해 현재 스티어링휠(1)의 파지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아울러,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직접센싱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직접센싱값의 크기에 따라 직접강센싱영역과 직접중센싱영역과 직접약센싱영역 및 직접비센싱영역으로 구분이 된다.
즉, 직접센싱값의 크기에 따라 강/중/약 의 센싱값이 검출되는 영역과 센싱값이 검출되지 않는 영역으로 세분화하여 구분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바람직한 예시에 불과하며 설계변수에 따라 상기 센싱영역의 수는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간접센싱영역은, 바람직하게는 간접센싱값의 크기에 따라 간접강센싱영역과 간접중센싱영역과 간접약센싱영역 및 간접비센싱영역으로 구분이 된다.
즉, 간접센싱값의 크기에 따라 강/중/약 의 센싱값이 검출되는 영역과 센싱값이 검출되지 않는 영역으로 세분화하여 구분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바람직한 예시에 불과하며 설계변수에 따라 상기 센싱영역의 수는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상기 컨트롤러(CLR)는 측정된 직접센싱값이 직접센싱영역에 포함되고, 측정된 간접센싱값이 간접센싱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핸즈온 상태로 판단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러(CLR)는 측정된 직접센싱값이 직접약센싱영역에 포함되고, 측정된 간접센싱값이 간접센싱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핸즈오프전환카운터를 생성 및 누적하게 되고, 누적된 핸즈오프전환카운터의 횟수에 따라 현재 스티어링휠(1)의 파지상태를 검출하여 운전자에게 표시 및 경고하게 된다.
여기서, 운전자에게 표시 및 경고하는 내용은 핸즈온 상태와 핸즈오프 상태일 수 있는 것으로, 차실 내부에 마련된 클러스터에 표시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차량 내부에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누적된 핸즈오프전환카운터가 기준횟수 이하시, 핸즈온 상태로 판단하여 운전자에게 핸즈온 상태를 표시 및 경고할 수 있다.
그리고, 누적된 핸즈오프전환카운터가 상기 기준횟수 초과시, 핸즈오프 상태로 판단하여 운전자에게 핸즈오프 상태를 표시 및 경고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컨트롤러(CLR)는 측정된 직접센싱값이 직접비센싱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간접센싱값에 관계없이 핸즈오프 상태로 판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CLR)는 측정된 간접센싱값이 간접비센싱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직접센싱값에 관계없이 핸즈오프 상태로 판단하게 된다.
즉, 직접센서(2)나 간접센서(3)를 통해 센싱값이 측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다른 센싱값에 관계없이 스티어링휠(1)을 파지하고 있지 않는 상태로 간주하여, 핸즈오프 상태로 판단하고, 이에 핸즈오프 경고를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핸즈온오프 감지시스템을 통한 감지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본 발명은 직접센서(2)에 의해 스티어링휠(1)을 잡는 그립면적에 따라 센싱값이 상이하게 검출되는 단계와, 간접센서(3)에 의해 스티어링휠(1)을 회전시키는 토크의 크기에 따라 센싱값이 상이하게 검출되는 단계와, 상기 직접센서(2)에서 검출되는 직접센싱값과, 상기 간접센서(3)에서 검출되는 간접센싱값을 조합하여, 조합된 센싱조건에 따라 스티어링휠(1)의 핸즈온 상태 또는 핸즈오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핸즈온오프 감지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차량의 주행과정에서 직접센서(2) 및 간접센서(3)를 통해 센싱값을 입력받아 상기 센싱값이 포함된 센싱영역을 검출한다(S10).
예를 들어, 검출된 직접센싱값이 직접강센싱영역에 포함되고, 검출된 간접센싱값이 간접강센싱영역에 포함되는 경우(S20), 양손을 스티어링휠(1)에 파지한 상태에서 좌우로 보타 운전하는 핸즈온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S21).
다만, 검출된 간접센싱값이 간접중센싱영역에 포함되는 경우에는(S30), 양손을 스티어링휠(1)에 파지한 상태에서 직진 도로를 주행하여 운전하는 핸즈온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S31).
그리고, 검출된 간접센싱값이 간접약센싱영역에 포함되는 경우에는(S40), 양손을 스티어링휠(1)에 파지한 상태에서 스티어링휠(1)의 좌우를 균등하게 그립하여 운전하는 핸즈온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S41).
다른 예시로서, 검출된 직접센싱값이 직접중센싱영역에 포함되고, 검출된 간접센싱값이 간접강센싱영역에 포함되는 경우(S50), 한손을 스티어링휠(1)에 파지한 상태에서 좌우로 보타 운전하는 핸즈온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S51).
다만, 검출된 간접센싱값이 간접중센싱영역에 포함되는 경우에는(S60), 한손을 스티어링휠(1)에 파지한 상태에서 직진 도로를 주행하여 운전하는 핸즈온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S61).
그리고, 검출된 간접센싱값이 간접약센싱영역에 포함되는 경우에는(S70), 한손을 스티어링휠(1)에 파지한 상태에서 스티어링휠(1)의 하단부 중심을 그립하여 운전하는 핸즈온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S71).
또 다른 예시로서, 검출된 직접센싱값이 직접약센싱영역에 포함되고, 검출된 간접센싱값이 간접강센싱영역에 포함되는 경우(S80), 한손의 일부만을 스티어링휠(1)에 파지하거나 스포크 부분을 파지한 상태에서 좌우로 보타 운전하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S81).
이 경우에는 핸즈오프전환카운터를 생성 및 누적하여, 누적된 핸즈오프전환카운터(A)가 제1기준횟수(ex : 300회) 초과인지 판단하고(S82), 이를 만족시 운전자에게 핸즈오프 상태로 전환될 수 있음을 알리는 1차 경고를 실시하고(S83), 반면 상기 제1기준횟수 이하시 핸즈온 상태로 판단하면서 핸즈오프전환카운터를 누적하게 된다(S110).
그리고, 검출된 직접센싱값이 직접약센싱영역에 포함되고, 검출된 간접센싱값이 간접중센싱영역에 포함되는 경우(S90), 스티어링휠(1)에 한손을 파지한 상태에서 직진 도로를 주행하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S91).
이 경우에 핸즈오프전환카운터를 생성 및 누적하여, 누적된 핸즈오프전환카운터(B)가 제2기준횟수(ex : 200회) 초과인지 판단하고(S92), 이를 만족시 운전자에게 핸즈오프 상태로 전환될 수 있음을 알리는 1차 경고를 실시하고(S93), 반면 상기 제2기준횟수 이하시, 핸즈온 상태로 판단하면서 핸즈오프전환카운터를 누적하게 된다(S110).
이어서, 누적된 핸즈오프전환카운터(B)가 상기 제2기준횟수보다 많은 제3기준횟수 초과인지 판단하고(S94), 이를 만족시 운전자에게 핸즈오프 상태로 전환되었음을 알리는 2차 경고를 실시하며(S120), 반면 누적된 핸즈오프전환카운터(B)가 상기 제3기준횟수 이하시 핸즈오프전환카운터를 누적한다(S110).
참고로, 상기 2차 경고 후에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도 직접약센싱영역과 간접중센싱영역의 센싱조건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크루즈컨트롤 기능과 같이 차량의 주행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기능을 강제적으로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검출된 직접센싱값이 직접약센싱영역에 포함되고, 검출된 간접센싱값이 간접약센싱영역에 포함되는 경우(S100), 스티어링휠(1) 하단에 한손의 일부를 파지하여 주행하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S101).
이 경우에 핸즈오프전환카운터를 생성 및 누적하여, 누적된 핸즈오프전환카운터(C)가 제4기준횟수(ex : 100회) 초과인지 판단하고(S102), 이를 만족시 운전자에게 핸즈오프 상태로 전환될 수 있음을 알리는 1차 경고를 실시하고(S103), 반면 상기 제4기준횟수 이하시, 핸즈온 상태로 판단하면서 핸즈오프전환카운터를 누적하게 된다(S110).
이어서, 누적된 핸즈오프전환카운터(C)가 상기 제4기준횟수보다 많은 제5기준횟수 초과인지 판단하고(S104), 이를 만족시 운전자에게 핸즈오프 상태로 전환되었음을 알리는 2차 경고를 실시하며(S120), 반면 누적된 핸즈오프전환카운터(C)가 상기 제5기준횟수 이하시 핸즈오프전환카운터를 누적한다(S110).
참고로, 상기 2차 경고 후에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도 직접약센싱영역과 간접약센싱영역의 센싱조건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크루즈컨트롤 기능과 같이 차량의 주행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기능을 강제적으로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간접식 센서와 직접식 센서를 연동하여 핸즈온오프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간접식 센서와 직접식 센서가 갖고 있는 판단의 한계를 상호 보완하게 되는바, 핸즈온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율과, 감지 정확도를 향상시켜 시스템의 성능을 강건화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 스티어링휠
2 : 직접센서
3 : 간접센서
11 : 저장부
12 : 입력부
13 : 검출부
14 : 판단부
15 : 출력부
CLR : 컨트롤러

Claims (12)

  1. 스티어링휠을 잡는 그립면적에 따라 센싱값이 상이하게 검출되는 직접센서;
    스티어링휠을 회전시키는 토크의 크기에 따라 센싱값이 상이하게 검출되는 간접센서; 및
    상기 직접센서에서 검출되는 직접센싱값과, 상기 간접센서에서 검출되는 간접센싱값을 조합하여, 조합된 센싱조건에 따라 스티어링휠의 파지상태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표시 및 경고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스티어링휠의 핸즈온오프 감지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접센서는,
    상기 스티어링휠의 림에 마련되고;
    상기 림의 그립면적에 따라 전류값이 변화하면서 센싱값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휠의 핸즈온오프 감지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접센서는, 스티어링샤프트의 회전토크를 검출하는 토크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휠의 핸즈온오프 감지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직접센싱값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직접센싱영역과 직접비센싱영역이 구분 설정되고, 상기 간접센싱값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간접센싱영역과 간접비센싱영역이 구분 설정되며, 상기 직접센싱값과 간접센싱값의 입력시, 입력된 직접센싱값과 간접센싱값이 포함되는 센싱영역을 각각 검출하고, 검출된 센싱영역들을 조합한 센싱조건으로부터 스티어링휠의 파지상태를 판단하며, 판단한 스티어링휠의 파지상태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휠의 핸즈온오프 감지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직접센싱값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직접센싱영역과 직접비센싱영역이 구분 설정되고, 상기 간접센싱값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간접센싱영역과 간접비센싱영역이 구분 설정된 저장부;
    상기 직접센서 및 간접센서에서 측정된 직접센싱값 및 간접센싱값이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직접센싱값과 간접센싱값이 포함된 센싱영역을 각각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된 센싱영역들을 조합한 센싱조건으로부터 스티어링휠의 파지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한 스티어링휠의 파지상태의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휠의 핸즈온오프 감지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직접센싱영역은,
    직접센싱값의 크기에 따라 직접강센싱영역과 직접중센싱영역과 직접약센싱영역 및 직접비센싱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간접센싱영역은,
    간접센싱값의 크기에 따라 간접강센싱영역과 간접중센싱영역과 간접약센싱영역 및 간접비센싱영역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휠의 핸즈온오프 감지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측정된 직접센싱값이 직접센싱영역에 포함되고, 측정된 간접센싱값이 간접센싱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핸즈온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휠의 핸즈온오프 감지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측정된 직접센싱값이 직접약센싱영역에 포함되고, 측정된 간접센싱값이 간접센싱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핸즈오프전환카운터를 생성 및 누적하고;
    누적된 핸즈오프전환카운터의 횟수에 따라 현재 스티어링휠의 파지상태를 검출하여 운전자에게 표시 및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휠의 핸즈온오프 감지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누적된 핸즈오프전환카운터가 기준횟수 이하시, 핸즈온 상태로 판단하여 운전자에게 핸즈온 상태를 표시 및 경고하고;
    누적된 핸즈오프전환카운터가 상기 기준횟수 초과시, 핸즈오프 상태로 판단하여 운전자에게 핸즈오프 상태를 표시 및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휠의 핸즈온오프 감지시스템.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측정된 직접센싱값이 직접비센싱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간접센싱값에 관계없이 핸즈오프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휠의 핸즈온오프 감지시스템.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측정된 간접센싱값이 간접비센싱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직접센싱값에 관계없이 핸즈오프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휠의 핸즈온오프 감지시스템.
  12. 직접센서에 의해 스티어링휠을 잡는 그립면적에 따라 센싱값이 상이하게 검출되는 단계;
    간접센서에 의해 스티어링휠을 회전시키는 토크의 크기에 따라 센싱값이 상이하게 검출되는 단계; 및
    상기 직접센서에서 검출되는 직접센싱값과, 상기 간접센서에서 검출되는 간접센싱값을 조합하여, 조합된 센싱조건에 따라 스티어링휠의 핸즈온 상태 또는 핸즈오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티어링휠의 핸즈온오프 감지방법.
KR1020180159643A 2018-12-12 2018-12-12 스티어링휠의 핸즈온오프 감지시스템 및 방법 KR2020007593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643A KR20200075933A (ko) 2018-12-12 2018-12-12 스티어링휠의 핸즈온오프 감지시스템 및 방법
US16/568,052 US11685433B2 (en) 2018-12-12 2019-09-11 System for sensing hands-on or off of steering wheel and method thereof
EP19197185.2A EP3666623B1 (en) 2018-12-12 2019-09-13 System for sensing hands-on or off of steering wheel and method thereof
CN201910953156.4A CN111301509A (zh) 2018-12-12 2019-10-09 用于检测方向盘的手扶握或脱开的系统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643A KR20200075933A (ko) 2018-12-12 2018-12-12 스티어링휠의 핸즈온오프 감지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933A true KR20200075933A (ko) 2020-06-29

Family

ID=67956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643A KR20200075933A (ko) 2018-12-12 2018-12-12 스티어링휠의 핸즈온오프 감지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85433B2 (ko)
EP (1) EP3666623B1 (ko)
KR (1) KR20200075933A (ko)
CN (1) CN11130150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15707A (zh) * 2021-09-27 2021-12-21 同济大学 一种驾驶员方向盘握持姿态监测方法及系统
KR20220108555A (ko) 2021-01-27 2022-08-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티어링휠 핸즈온오프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69662A (ko) 2021-06-21 2022-12-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티어링휠 핸즈온오프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09201A (ko) * 2021-07-08 2023-01-17 (주)컨트롤웍스 스티어링 오버라이드 감지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11990B3 (de) * 2019-05-08 2020-06-1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ands-On"-Erkennung an Lenksystemen
JP7272329B2 (ja) * 2020-07-21 2023-05-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KR20220089520A (ko) * 2020-12-21 2022-06-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 상태 판단 장치 및 방법
JP2023022683A (ja) * 2021-08-03 2023-02-15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接触判定装置、及び、接触判定方法
US11981354B2 (en) * 2022-04-01 2024-05-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itigating spoofing of vehicle featur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504A (ko) 2016-12-15 2018-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의 핸즈오프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0130A (ja) * 1991-08-09 1993-11-22 Toyoda Gosei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14190856A (ja) * 2013-03-27 2014-10-06 Nidec Elesys Corp ハンドル手放検知装置
US10160484B2 (en) * 2015-07-31 2018-12-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nhanced steering wheel hold detection by a hybrid method
US9873453B2 (en) * 2016-04-15 2018-01-23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Driver hands-on steering wheel detect using EPS signals
JP6406761B2 (ja) 2016-06-30 2018-10-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把持状態検知装置
JP6631802B2 (ja) 2016-09-30 2020-01-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把持状態判定装置
JP2018144643A (ja) * 2017-03-06 2018-09-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報知システム、走行支援システム
JP7005933B2 (ja) * 2017-05-09 2022-01-24 オムロン株式会社 運転者監視装置、及び運転者監視方法
CN108284792A (zh) * 2017-11-24 2018-07-17 南京依维柯汽车有限公司 一种车辆安全驾驶检测预警系统及其方法
DE102018210320A1 (de) * 2018-06-25 2020-01-0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system mit einer per Lenkeingriff deaktivierbaren automatisierten Querführung sowie Verfahren zum Deaktivieren einer automatisierten Querführu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504A (ko) 2016-12-15 2018-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의 핸즈오프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8555A (ko) 2021-01-27 2022-08-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티어링휠 핸즈온오프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69662A (ko) 2021-06-21 2022-12-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티어링휠 핸즈온오프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09201A (ko) * 2021-07-08 2023-01-17 (주)컨트롤웍스 스티어링 오버라이드 감지 장치 및 방법
CN113815707A (zh) * 2021-09-27 2021-12-21 同济大学 一种驾驶员方向盘握持姿态监测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66623B1 (en) 2023-08-23
EP3666623A1 (en) 2020-06-17
US20200189655A1 (en) 2020-06-18
US11685433B2 (en) 2023-06-27
CN111301509A (zh) 2020-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75933A (ko) 스티어링휠의 핸즈온오프 감지시스템 및 방법
JP5081815B2 (ja) 疲労を検出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329986B1 (ko) 조향각 센서의 불량검출방법
US11254351B2 (en) Steering mode selection using machine learning
JP4463311B2 (ja) タイヤ空気圧低下検出方法及び装置、並びにタイヤ減圧判定のプログラム
US959800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urn signal
US8392055B2 (en) Method for detecting internal friction in a steering system
JP3624446B2 (ja) タイヤ内圧低下検出装置
KR20150010435A (ko) 차량의 운전자 조향의지 판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전자 조향의지 판단방법
JP2018151911A5 (ko)
JP4159541B2 (ja) タイヤ空気圧低下検出方法および装置
JP2007163158A (ja) 車両の荷重状態推定方法およびタイヤ空気圧低下警報方法
JP6582543B2 (ja) 異常検出装置
CN110901757B (zh) 用于确定驾驶员的转向干预的系统以及方法
JP2001080323A (ja) タイヤ空気圧低下検出装置
WO2023145195A1 (ja) 車輪状態判定装置
US11712931B2 (en)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tire pressure of electric vehicle
JP5949308B2 (ja) 車両用方向指示装置
CN111216622A (zh) 一种基于车轮转角的转向灯控制方法及装置
JP2001080322A (ja) 車両異常検出装置
JP2006151281A (ja) タイヤ状態判定装置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KR102065322B1 (ko) 차량 브레이크 경고 장치 및 그 방법
JP4127168B2 (ja) タイヤ空気圧警報装置
JP2010000978A (ja) 車載表示装置
JP2007191152A (ja) タイヤ空気圧低下警報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しきい値変更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