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5494A - 유압식 갠트리 - Google Patents

유압식 갠트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5494A
KR20200075494A KR1020180164243A KR20180164243A KR20200075494A KR 20200075494 A KR20200075494 A KR 20200075494A KR 1020180164243 A KR1020180164243 A KR 1020180164243A KR 20180164243 A KR20180164243 A KR 20180164243A KR 20200075494 A KR20200075494 A KR 20200075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assembly
gantry
hydraulic gantry
hydraulic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윤용
차태형
이동주
오현수
Original Assignee
삼보씨엠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보씨엠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보씨엠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4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5494A/ko
Publication of KR20200075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4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5Straddle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5/00Base supporting structures with legs
    • B66C5/02Fixed or travelling bridges or gantries, i.e. elongated structures of inverted L or of inverted U shape or trip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ly Devices, Intensifiers, Converters, And Tele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유압식 갠트리는 승강실린더의 구동에 의한 수평프레임의 상하 이동에 의해 후크에 매달리는 제품(혹은, 구조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려놓을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두 레그조립체의 전후 이동에 의해 상기 후크에 매달린 제품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이동부와 배전반 및 압유 공급부가 각 레그조립체의 서로 개별 위치상에 각각 구비되도록 하되, 그의 유지 보수를 위한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압식 갠트리{hydraulic gantry}
본 발명은 유압식 갠트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각 부위별 유지 보수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각 레그조립체가 서로 정확히 연동되면서 동작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유압식 갠트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갠트리는 수평빔의 중간에 넓은 간격을 두고 지지대를 내려 다리 모양으로 만들어지는 구조물로써, 대형 재료나 구조물 등을 들어올리거나 운반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갠트리 중 이동식의 갠트리는 레일이나 가이드 혹은, 지면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되면서 다양한 물품을 먼 위치에 이르기까지 옮길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동식 갠트리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0900872호, 등록특허 제10-1489405호, 등록특허 제10-1069881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51020호 등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된 종래의 이동식 갠트리는 각 구조물들 전체가 일체로 제공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다양한 장소로의 이동 설치에 불리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이동식 갠트리 중 복수 열로 레그조립체가 배치되는 구조의 경우 각 레그조립체의 열간 거리에 대한 조절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이 레그조립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수평 프레임을 해당 레그조립체로부터 전후 이동시키거나 혹은, 상기 수평 프레임에 설치되는 후크(또는, 트롤리)를 전후 이동시키도록 구성하는 등과 같은 구조적인 변경이 이루어져야 함에 따라 제조 단가가 비쌀 수밖에 없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갠트리는 각 구동 부위의 동작을 위한 압력 유체가 별도의 펌핑장치로부터 일괄적으로 공급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해당 펌핑장치로부터 상기 갠트리의 각 구동 부위로 압력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의 설치가 추가로 이루어져야만 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이동식 갠트리는 각 구동 부위나 제어장치에 대한 설치가 복잡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유지 보수를 위한 작업상의 어려움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0900872호 등록특허 제10-1489405호 등록특허 제10-1069881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51020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각 부위별 유지 보수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각 레그조립체가 서로 정확히 연동되면서 동작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유압식 갠트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압식 갠트리에 따르면 저면에는 지면 혹은,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이루어진 이동부가 구비되고, 중앙으로는 승강실린더가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실린더장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장착부의 전방 혹은, 후방측 중 어느 한 측에는 배전반이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장착부의 다른 한 측에는 상기 승강실린더로의 압력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압유 공급부가 설치되도록 이루어지며, 서로 쌍을 이루면서 이격되게 배치된 두 레그조립체; 상기 두 레그조립체의 각 승강실린더에 양단이 연결되면서 상기 각 승강실린더의 승강 동작에 의해 승강되며, 하나 혹은, 둘 이상 복수의 후크가 설치되는 수평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레그조립체를 이루는 실린더장착부의 양측 벽면에는 받침프레임이 각각 외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받침프레임에는 해당 레그조립체의 이동 방향측에 위치되는 또 다른 레그조립체와의 간격 조절을 위한 거리조절용 프레임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리조절용 프레임은 텔레스코픽 구조로 다단 인출 가능하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레그조립체의 저면 전방측 및 후방측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각 결합플레이트의 저면에 각각 구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름바퀴와, 상기 각 결합플레이트 중 어느 한 결합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면서 해당 결합플레이트에 구비된 적어도 어느 한 구름바퀴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그조립체에 설치되는 배전반은 상기 레그조립체의 전방 혹은, 후방으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레그조립체에 설치되는 압유 공급부는 상기 레그조립체의 전방 혹은, 후방측에 위치되면서 커버체로 감싸여진 상태로 외부 노출이 방지되도록 제공되며, 상기 커버체는 상기 레그조립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유압식 갠트리는 이동부와 배전반 및 압유 공급부가 서로 구별된 공간에 각각 제공됨에 따라 해당 구성에 대한 유지 보수를 위한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각 장치별 및 부위별 해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장소로 분리하여 운반할 때 종래의 일반적인 갠트리에 비해 매우 유리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유압식 갠트리는 배전반의 경우 레그조립체 중에서도 상대측 유압식 갠트리와의 대향면에 각각 위치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대하여 보호받을 수 있으면서도 작업자의 접근이 용이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유압식 갠트리는 각 유압식 갠트리 간의 대향 부위에 받침프레임이 각각 형성됨과 더불어 이러한 각 받침프레임에 양단이 고정되는 거리조절용 프레임의 추가 제공을 통해 각 이동부의 동조에 오차가 있다 하더라도 각 유압식 갠트리 간의 거리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갠트리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갠트리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갠트리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갠트리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갠트리 중 압유 공급부 및 배전반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레그조립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갠트리가 복수로 제공될 경우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갠트리가 복수로 제공될 경우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갠트리가 복수로 제공될 경우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유압식 갠트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갠트리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갠트리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갠트리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갠트리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갠트리는 승강실린더(140)의 구동에 의한 수평프레임(200)의 상하 이동에 의해 후크(210)에 매달리는 제품(혹은, 구조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려놓을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두 레그조립체(100)의 전후 이동에 의해 상기 후크(210)에 매달린 제품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이동부(130)와 배전반(310) 및 압유 공급부(320)가 각 레그조립체(100)의 서로 개별 위치상에 각각 구비되도록 하되, 그의 유지 보수를 위한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레그조립체(100)는 유압식 갠트리의 몸체 부위를 이루는 구조체이다.
상기 레그조립체(100)는 두 개가 한 쌍으로 제공됨과 더불어 서로는 좌우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레그조립체(100)는 바닥프레임(110)과 실린더장착부(120) 및 이동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바닥프레임(110)은 해당 레그조립체(100)의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제공되는 평판의 프레임이다.
또한, 상기 실린더장착부(120)는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승강실린더(140)의 장착을 위한 부위로써 상기 승강실린더(140)를 지지하는 박스체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프레임(110)의 상면 중 중앙측 부위에 얹혀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승강실린더(140)는 그의 플런저(141)가 다단으로 인출되는 텔레스코픽형 승강실린더(140)로 적용하여 높이를 최소로 줄여 더욱 높은 휴대성과 이동상의 불편함 해소를 이룰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와 함께, 상기 바닥프레임(110)의 상면 중 상기 실린더장착부(120)를 기준으로 전방측 및 후방측 부위는 배전반(310) 및 압유 공급부(320)의 장착을 위한 장착 부위로 제공된다. 즉, 상기한 배치 구조를 통해 단일의 레그조립체(100)에 배전반(310)과 압유 공급부(320)가 동시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하여 그 독립적인 사용이나 운반이 가능한 단일의 어셈블리로 취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배전반(310)은 각 구동 부위로 전원의 공급과 동작 제어를 위한 각종 회로 부품 및 컨트롤러가 구비되는 장치이고, 상기 압유 공급부(320)는 상기 승강실린더(140)로의 압력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써 유체탱크(321)와 유체펌프(3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동부(130)는 상기 바닥프레임(110)의 저면에 구비되면서 지면 혹은, 레일(10)을 따라 이동되도록 이루어진 장치이다.
이러한 이동부(130)는 상기 레그조립체(100)를 이루는 바닥프레임(110)의 저면 전방측 및 후방측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133)와, 상기 각 결합플레이트(133)의 저면에 각각 구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름바퀴(131)와, 상기 각 결합플레이트(133) 중 어느 한 결합플레이트(133)에 고정 설치되면서 해당 결합플레이트(133)에 구비된 적어도 어느 한 구름바퀴(131)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플레이트(133)는 상기 바닥프레임(110)에 볼트 체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이동부(130)를 바닥프레임(110)과는 분리 가능하게 제공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해당 부분의 고장 발생시 신속한 교체를 통한 계속적인 작업 진행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또한 하나의 구동모터(132)로 전방측(혹은, 후방측)의 두 구름바퀴(131)를 동시에 구동시킴과 동시에 후방측(혹은, 전방측)의 나머지 두 구름바퀴(131)는 상기 구동측의 두 구름바퀴(131)를 따라 구르도록 구성한 것이다.
특히, 상기한 구동모터(132)는 유압모터로 사용함으로써 동작상의 안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레그조립체(100)에 설치되는 배전반(310)은 상기 레그조립체(100)의 전방 혹은, 후방으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레그조립체(100)에 설치되는 압유 공급부(320)는 상기 레그조립체(100)의 전방 혹은, 후방측에 위치되면서 커버체(150)로 감싸여진 상태로 외부 노출이 방지되도록 제공되며, 이때 상기 커버체(150)는 상하 회전되면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는 배전반(310)의 경우 통상 개폐도어(311)가 존재하면서 필요시 상기 개폐도어(311)를 개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별도의 커버체가 필요치 않으나, 상기 압유 공급부(320)의 경우는 유체탱크(321)나 유체펌프(322)가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하면서도 필요시 상기 커버체(150)의 개방을 통한 유지 보수가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물론, 상기 배전반(310)은 각종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방진부재(312)를 이용하여 상기 레그조립체(100)에 결합되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상기 수평프레임(200)은 후크(210)를 설치하기 위해 제공되는 구조물이다.
이와 같은 수평프레임은 통상의 H형 빔(H-beam)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양단 저면이 상기 두 레그조립체(100)의 각 승강실린더(140)에 연결되면서 상기 각 승강실린더(140)의 승강 동작에 의해 승강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 수평프레임(200)에는 하나 혹은, 둘 이상 복수의 후크(2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후크(210)는 상기 수평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설치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평프레임(200)은 상기 각 승강실린더(140)에 의해 들어올려지거나 혹은, 내려지기 때문에 모터 구동에 의한 승강 동작시에 비해 더욱 큰 힘을 제공할 수 있어서 중량물이나 구조물 등의 이동에 유리하다.
한편, 전술된 두 레그조립체(100) 및 하나의 수평프레임(200)으로 이루어지는 유압식 갠트리는 복수로 제공되면서 서로 쌍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운반하고자 하는 제품(혹은, 구조물)의 크기에 따라 상기 유압식 갠트리는 둘 이상 복수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특히, 상기 유압식 갠트리가 둘 이상 복수로 제공될 경우 상기 각 유압식 갠트리는 그의 이동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면서 거리조절 프레임(330)을 이용하여 서로 간의 간격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각 유압식 갠트리의 레그조립체(100)를 이루는 실린더장착부(120)의 양측 벽면에는 받침프레임(160)이 각각 외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거리조절용 프레임(330)은 양 끝단이 상기 받침프레임(160)에 각각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면서 각 유압식 갠트리의 레그조립체(100)들에 대한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물론, 상기한 거리조절용 프레임(330)은 텔레스코픽 구조로 다단 인출 가능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각 유압식 갠트리 간의 간격이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거리조절용 프레임(330)은 유압식 갠트리가 복수로 제공되지 않더라도 해당 유압식 갠트리에 설치될 수가 있다. 즉, 상기 유압식 갠트리가 하나로만 제공될 때에는 상기 거리조절용 프레임(330)이 배전반(310)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사용된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둘 이상의 유압식 갠트리가 서로 쌍을 이루도록 설치될 경우 각 유압식 갠트리의 배전반(310)은 서로 마주보는 측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해당 유압식 갠트리의 이동시 외부 물체의 충격에 의한 배전반(31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고, 각 유압 공급부(320)는 해당 유압식 갠트리의 외부로 노출되는 측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그의 유지 보수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갠트리의 설치 과정 및 동작 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유압식 갠트리는 두 개로 제공됨을 그 예로 한다.
먼저, 상기 두 유압식 갠트리는 동일한 레일(10)에 얹혀 작업 방향을 향해 전후 이동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거리조절용 프레임(330)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의 상태에서 각 유압식 갠트리를 이루는 이동부(130)의 각 구동모터(132)에 대한 동작 제어가 이루어지면 상기 각 구동모터(132)들은 서로 동조되면서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를 이루면서 구동되며, 이로써 상기 각 구동모터(132)들의 구동력을 제공받는 각 구름바퀴(131)의 구름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각 유압식 갠트리를 작업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각 유압식 갠트리의 이동이 완료되면 수평프레임(200)에 설치된 각 후크(210)를 이용하여 작업 대상제품이 해당 후크(210)에 매달리도록 연결한 후 각 유압식 갠트리를 이루는 승강실린더(140)들의 동작 제어를 통해 수평프레임(200)을 상승 혹은,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각 승강실린더(140)들은 서로 동조되면서 동일한 속도로 동일한 방향(상하 방향)을 향해 수평프레임(200)이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동작된다.
물론, 작업에 따라 상기 이동부(130)의 각 구동모터(132)의 동작도 연동되어 이루어지면서 각 작업 대상제품을 원하는 위치에 옮겨 싣거나 혹은, 장착하게 된다.
한편, 각 유압식 갠트리의 동작 불량이 발생되거나 혹은, 유지 보수가 필요할 때에는 필요 부위별로 유지 보수를 수행하면 된다.
예컨대, 유압식 갠트리의 이동에 따른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이동부(130)만 점검하거나 혹은, 상기 이동부(130)와 배전반(310) 간의 전원 연결이나 신호 연결의 손상 여부를 점검하면 되고, 전원이나 동작 제어에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배전반(310)을 점검하면 되며, 수평프레임(200)의 승강 동작에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커버체(150)를 개방하여 압유 공급부(320)를 점검하면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유압식 갠트리는 이동부(130)와 배전반(310) 및 압유 공급부(320)는 서로 구별된 공간에 각각 제공됨에 따라 해당 구성에 대한 유지 보수를 위한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각 장치별 및 부위별 해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장소로 분리하여 운반할 때 종래의 일반적인 갠트리에 비해 매우 유리하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유압식 갠트리는 배전반(310)의 경우 레그조립체 중에서도 상대측 유압식 갠트리와의 대향면에 각각 위치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대하여 보호받을 수 있으면서도 작업자의 접근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유압식 갠트리는 각 유압식 갠트리 간의 대향 부위에 받침프레임(160)이 각각 형성됨과 더불어 이러한 각 받침프레임(160)에 양단이 고정되는 거리조절용 프레임(330)의 추가 제공을 통해 각 이동부(130)의 동조에 오차가 있다 하더라도 각 유압식 갠트리 간의 거리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10. 레일 100. 레그조립체
110. 바닥프레임 120. 실린더장착부
130. 이동부 131. 구름바퀴
132. 구동모터 133. 결합플레이트
140. 승강실린더 150. 커버체
160. 받침프레임 200. 수평프레임
210. 후크 310. 배전반
311. 개폐도어 312. 방진부재
320. 압유공급부 321. 유체탱크
322. 유체펌프 330. 거리조절 프레임

Claims (5)

  1. 저면에는 지면 혹은,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이루어진 이동부가 구비되고, 중앙으로는 승강실린더가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실린더장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장착부의 전방 혹은, 후방측 중 어느 한 측에는 배전반이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장착부의 다른 한 측에는 상기 승강실린더로의 압력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압유 공급부가 설치되도록 이루어지며, 서로 쌍을 이루면서 이격되게 배치된 두 레그조립체;
    상기 두 레그조립체의 각 승강실린더에 양단이 연결되면서 상기 각 승강실린더의 승강 동작에 의해 승강되며, 하나 혹은, 둘 이상 복수의 후크가 설치되는 수평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갠트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조립체를 이루는 실린더장착부의 양측 벽면에는 받침프레임이 각각 외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받침프레임에는 해당 레그조립체의 이동 방향측에 위치되는 또 다른 레그조립체와의 간격 조절을 위한 거리조절용 프레임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갠트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조절용 프레임은 텔레스코픽 구조로 다단 인출 가능하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갠트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레그조립체의 저면 전방측 및 후방측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각 결합플레이트의 저면에 각각 구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름바퀴와,
    상기 각 결합플레이트 중 어느 한 결합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면서 해당 결합플레이트에 구비된 적어도 어느 한 구름바퀴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갠트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조립체에 설치되는 배전반은 상기 레그조립체의 전방 혹은, 후방으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레그조립체에 설치되는 압유 공급부는 상기 레그조립체의 전방 혹은, 후방측에 위치되면서 커버체로 감싸여진 상태로 외부 노출이 방지되도록 제공되며,
    상기 커버체는 상기 레그조립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갠트리.
KR1020180164243A 2018-12-18 2018-12-18 유압식 갠트리 KR202000754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243A KR20200075494A (ko) 2018-12-18 2018-12-18 유압식 갠트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243A KR20200075494A (ko) 2018-12-18 2018-12-18 유압식 갠트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494A true KR20200075494A (ko) 2020-06-26

Family

ID=71136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243A KR20200075494A (ko) 2018-12-18 2018-12-18 유압식 갠트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54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91612A (zh) * 2020-12-23 2021-04-02 邵锐玲 一种农用机械维修用的吊装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872B1 (ko) 2004-11-24 2009-06-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키스톤플레이트 아크용접용 갠트리 로봇장치
KR200451020Y1 (ko) 2010-05-03 2010-11-18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KR101069881B1 (ko) 2008-10-01 2011-10-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갠트리 및 이를 구비한 강판 곡면 가공 장치.
KR101489405B1 (ko) 2013-01-29 2015-02-04 강미연 비접촉식으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타이어형 갠트리 크레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872B1 (ko) 2004-11-24 2009-06-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키스톤플레이트 아크용접용 갠트리 로봇장치
KR101069881B1 (ko) 2008-10-01 2011-10-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갠트리 및 이를 구비한 강판 곡면 가공 장치.
KR200451020Y1 (ko) 2010-05-03 2010-11-18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KR101489405B1 (ko) 2013-01-29 2015-02-04 강미연 비접촉식으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타이어형 갠트리 크레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91612A (zh) * 2020-12-23 2021-04-02 邵锐玲 一种农用机械维修用的吊装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72997A1 (zh) 矿用起吊、安装、拆卸的智能化平台及控制系统与方法
CN104604372A (zh) 一种悬臂垂直升降系统
US3302801A (en) Gantry crane with extensible bridge girder carrying legs
CN113321121A (zh) 一种装配式建筑预制构件的吊装装置
CN106865446A (zh) 一种举升机构
CN205385235U (zh) 配电开关柜安装就位平台
KR20200075494A (ko) 유압식 갠트리
KR20010040011A (ko) 크레인 등의 다리용 유니버설 트래버스 어셈블리
CN2825401Y (zh) 电气盘柜起吊运输装置
CN203306560U (zh) 配电开关柜安装就位平台
CN104249901A (zh) 配电开关柜安装就位平台
CN205366790U (zh) 移动式悬臂货架
CN209942277U (zh) 一种用于铝合金模板安装的支撑装置
JP2019515166A (ja) 周縁安全スクリーンアセンブリ
CN204796056U (zh) 一种悬臂垂直升降系统
CN210999282U (zh) 一种展开式模具刷油机
CN202094507U (zh) 手车式断路器设备检修车的承载悬架机构
CN109879220B (zh) 一种可调式销轴安装平台
CN208071104U (zh) 一种钢板吊装装置
CN210261017U (zh) 一种垂直升降货柜用升降机可伸缩式定位机构
CN208265703U (zh) 一种汽车机械举升装置
CN214691021U (zh) 一种生产泡沫板用发泡模具的搁置架
CN105151849A (zh) 原纸卷上纸架
CN220245446U (zh) 一种用于物流运输箱的卸货机构
CN103817676A (zh) 躯体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